KR20090026175A -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175A
KR20090026175A KR1020090012918A KR20090012918A KR20090026175A KR 20090026175 A KR20090026175 A KR 20090026175A KR 1020090012918 A KR1020090012918 A KR 1020090012918A KR 20090012918 A KR20090012918 A KR 20090012918A KR 20090026175 A KR20090026175 A KR 20090026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artition member
air
flame retardan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모토 아라이
겐조 다카하시
요이치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15Heat and mass exchangers, e.g. with permea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3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64Tube joined to flat sheet longitudinally, i.e., tube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66Sheet joined to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3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with metallurgical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사이에서의 열 교환을 실행시키는 주로 공조분야에 이용되는 적층구조의 열 교환기 및 열 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가이고 또한 높은 습도 교환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열 교환기 및 열 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간격유지부재에 의해서 간격이 유지된 간막이부재를 사이에 두고 2종의 기류를 유통시킴과 동시에 이 2종의 기류 사이에서 상기 간막이부재를 거쳐서 전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에 있어서, 간막이부재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흡습제를 함유하는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열 교환기로서 높은 습도 교환효율과 적은 가스 이행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코루게이트 가공, 간격유지부재, 난연제, 프레스롤러, 사이징롤러

Description

열 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유체 사이에서의 열 교환을 실행시키는 주로 공조분야에 이용되는 적층구조의 열 교환기 및 열 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난방 및 냉방 등의 공조기기는 발달 또한 보급되어 있고, 공조장치를 사용한 거주구역이 확대됨에 따라서 환기에 있어서 온도 및 습도를 회수할 수 있는 공조용 열 교환기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조용 열 교환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 47-19990호나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 51-213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들 중의 어떠한 종래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도 전열성과 투습성을 갖는 간막이판에 의해 간격판을 끼워 넣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한 기본구조를 취하고 있다. 간막이판은 방형의 평판으로 되어 있고, 간격판은 투영평면에 있어서 간막이판과 일치하는 톱니파형상 또는 정현파형상의 파형을 성형한 파형판으로 되어 있다.
또, 간격판은 그 파형의 성형방향을 교대로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를 갖게 하여 간막이판의 사이에 협착되어 있다. 2계통의 유체통로는 1차기류와 2차기류를 각각 따로따로 통과시키고 있고, 간격판과 간막이판으로 구성되는 각 층사이에 1층 걸러 교대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 교환기의 간막이판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통기성이 낮고, 투습성이 높은 것이다. 이것은 사용시에 옥외에서 옥내로 흡입되는 신선한 외기와 옥내에서 옥외로 배기되는 더러워진 공기가 혼합되는 일이 없고, 또한 현열(顯熱)과 동시에 잠열도 열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증기를 흡입공기와 배출공기 사이에서 효율좋게 이행시키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간막이판의 소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 58-4632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체차폐물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다공질부재에 흡습제(moisture absorbent)로서 할로겐화 리튬을 함유한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함침 또는 도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 53-34663호의 것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 물질내에 구아니딘계의 난연제를 섞어 함침 또는 도포하는 것에 의해 난연성을 개선하는 연구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공질부재에 수용성 고분자물질을 함침 또는 도포한 투습성 기체차폐물로 간막이판을 구성한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하기(夏期) 등의 온도와 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는 간막이판의 흡습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일부가 녹아 브로킹현상이 일어나고, 코루게이트시 등의 되감기(rewinding) 작업시에 소재가 찢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열 교환기는 간막이판을 구성하는 소재에 간격판을 구성하는 소재를 코루게이트 가공하면서 접착해서 얻어지는 단일면단 볼구조물(single faced corrugated structure)을 열 교환기 구성부재로 해서 복수개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코루게이트 가공은 간격판의 소재를 성형하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형상의 상하의 코루게이터와 간막이판의 소재를 간격판의 소재에 회전하면서 누르는 프레스롤러를 중핵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고, 간격판의 단형상을 마련하기(형성하기) 위해 상하의 코루게이터와 프레스롤러는 통상 150℃ 이상의 고온으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간막이판의 소재의 수용성 고분자물질의 일부가 프레스롤러의 열에 의해서 녹아 프레스롤러에 융착하기 쉽고, 프레스롤러의 온도를 내리면 간막이판의 소재의 프레스롤러로의 융착은 방지할 수 있지만, 온도를 낮게 하면 코루게이트의 단형상이 붕괴되어 열 교환기 구성부재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종래는 융착이 일어나기 어려운 온도로 프레스롤러 및 상하의 코루게이터의 온도를 조정하고 공급속도를 느리게 하여 단형상의 붕괴를 방지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생산성이 아주 낮고 제조비용도 증대하고 있었다. 또, 간막이판을 구성하기 위해 약액가공을 실행하지 않고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열 교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출원 평성5-109005호나 특허출원 평성5-33776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간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2종의 기류를 유통시키고, 이 2종의 기류의 현열 및 잠열을 간막이판을 거쳐서 열 교환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이 간막이판을 다공질시트의 한쪽면에 수증기를 투과시킬 수 있는 비수용성의 친수성 고분자박막을 형성한 복합투습막에 의해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결로를 반복하는 것과 같은 환경에서도 변형하지 않고,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도 성능이 저하하지 않는 전열 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친수성 고분자 박막이 비수용성이기 때문에 유동하는 일이 없어 성능의 경시적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막을 간막이판에 사용한 경우에는 서로 맞붙일 베이스로 되는 소재가 필요하게 되어 전체의 간막이판으로서 막두께가 두꺼워지고, 그 결과 투습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 투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습제를 수지막형성시에 혼입시키는 등의 작업을 실행하면 순조롭게 막을 성막할 수 없고, 성막후에 흡습제를 함침 및 도공하고자 해도 필요로 하는 양의 흡습제를 첨가할 수 없었다.
또, 투습성이 높은 수지막이 종이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다공질재를 베이스로 하는 것에 비해 고가라는 문제도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가이고 또한 높은 습도 교환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열 교환기 및 열 교환 환기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흡습제를 함유한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를 사용해서 열 교환기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열 교환기로서 높은 습도 교환효율과 적은 가스 이행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투기도를 200초/100㏄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열 교환기의 간막이판을 통한 가스이행을 저감할 수 있고 환기장치로서 배기에 급기가 누설되는 비율을 5%이하로 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환기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친수성섬유의 주성분을 셀룰로스 섬유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저가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흡습제의 주성분을 알칼리금속염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높은 습도 교환효율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에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막두께를 10미크론 이상 50미크론 이하의 범위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투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가공시의 파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간막이부재를 상기 흡습제의 주성분인 알칼리금속염과 반응하지 않는 난연제를 함유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간막이부재의 약액가공을 한번에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상기 간격유지부재를 투습성에 기여하지 않는 난연제를 함유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많은 흡습제를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습도 교환효율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흡습제를 함유하는 공기차폐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를 사용해서 열 교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열 교환기로서 높은 습도 교환효율과 적은 가스이행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 환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투기도를 200초/100㏄이상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열 교환기의 간막이판을 통한 가스 이행을 저감할 수 있고 환기장치로서 배기에 급기가 누설되는 비율을 5%이하로 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환기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에 의해서 간격이 유지된 간막이부재를 사이에 두고 2종의 기류를 유통시킴과 동시에 이 2종의 기류의 사이에서 상기 간막이부재를 거쳐서 전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가 친수성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흡습제를 함유한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의 투기도(air permeability) (JIS P 8117)는 200초/100㏄이상인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섬유의 주성분은 셀룰로스 섬유인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의 주성분은 알칼리금속염인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의 막두께는 10미크론 이상 50미크론 이하의 범위인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는 상기 흡습제의 주성분인 알칼리금속염과 반응하지 않는 난연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투습성에 기여하지 않는 난연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격유지부재에 의해서 간격이 유지된 간막이부재를 사이에 두고 2종의 기류를 유통시킴과 동시에 이 2종의 기류의 사이에서 상기 간막이부재를 거쳐서 전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를 갖는 열 교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가 친수성섬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흡습제를 함유한 공기차폐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열 교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의 투기도(JIS P 8117)는 200초/100㏄ 이상인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의 열 교환기 구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에 있어서의 코루게이트 가공(corrugation process)을 실행하는 싱글페이서(single facer)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층구조의 6면체로 구성된 공조용에 적합한 열 교환기(1)를 예시해서 설명한다.
열 교환기(1)는 전열성과 투습성을 갖는 박형의 간막이부재(2)에 의해 간격유지부재(3)를 끼워 넣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해서 접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 교환기(1)를 구성하고 있는 간막이부재(2)는 정방형이나 마름모형의 평판으로서 구성되고, 간격유지부재(3)는 투영평면형상이 간막이부재(2)와 일치하는 톱니파형상 또는 정현파형상의 파형을 성형한 파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유지부재(3)는 그 파형의 눈(corrugation)의 방향을 교대로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를 갖게 하고 간막이부재(2) 사이에 협착되어 있다. 유체통로(4)와 유체통로(5)는 간격유지부재(3)와 간막이부재(2)로 구성되는 각 층 사이에 1층 걸러 교대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체통로(4)는 1차기류(a)를 통과시키고, 유체통로(5)는 2차기류(b)를 통과시킨다.
열 교환기(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간막이부재(2)의 한쪽면에 간격유지부재(3)가 접착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적층 접착하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이 열 교환기 구성부재(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의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를 간막이부재(2)로 하고, 유체통로(4), (5)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재(3)를 후술하는 코루게이트 가공에 의해서 접착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성된다.
간막이부재(2)의 시트 두께는 투습성능의 점을 고려하면 박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게 하면 후가공시의 인장강도가 작아져 가공시에 쉽게 찢어진다. 투습성능과 인장강도를 고려하면, 간막이부재(2)의 두께는 10∼50㎛가 바람직하다. 간막이부재(2)를 구성하는 종이소재의 제조기술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하한은 25㎛정도이다.
여기서는 두께가 10∼50㎛의 범위이고 평량(坪量)이 10∼50(g/㎡)정도인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2)를 채용하였다. 간막이부재(2)를 구성하는 종이재에 있어서의 친수성섬유의 주성분에는 셀룰로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간막이부재(2)를 구성하는 종이재의 친수성섬유의 주성분으로 셀룰로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저가이고 또한 인장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간막이부재(2)는 알칼리용액 등을 사용하여 고도로 점상(粘狀)고해(beating)한 미세한 친수성 섬유를 사용해서 온수중에서 초지(抄紙)수분율15∼25%의 습지감기를 실행한 후, 롤러로 종이를 압축하는 캘린더가공의 각 공정조건의 조합에 의해서 작성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차폐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2)가 작성된다. 또, 간막이부재(2)는 건조와 동시에 강압력이 부가 되기 때문에 고밀도, 투명성과 고평활도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성된다.
초지수분율에 관해서는 너무 습하면, 감기 마무리공정시 블로킹이 발생하거나 종이가 쉽게 찢어지게 되고 또 너무 건조한 상태에서 캘린더가공을 실행해도 원하는 밀도가 높은 종이를 얻기 어렵다. 이것은 너무 건조하면, 섬유 사이에서의 움직임이 적어져 재결합에 의한 고밀도화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을 고려하면, 초지수분율은 15∼25%의 범위의 습지감기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막이부재(2)의 공극율은 20% 전후로 억제하여 투기도를 5000초(sec)/100㏄ 이상 확보하도록 작성한다. 투기도가 5000sec/100㏄ 이상으로 확보되는 것에 의해, 열 교환 환기장치로서 중요항목인 탄산가스의 이행율은 1%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 교환 환기장치로서 중요항목인 탄산가스의 이행율을 1% 이하로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투기도는 5000sec/100㏄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산가스 이행율을 5% 이하의 것에 적용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투기도는 200sec/100㏄ 이상이면 좋다.
간막이부재(2)는 고도로 점상 고해시키는 것에 의해 작성했기 때문에 셀룰로스 섬유가 짧고, 보풀이 인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섬유가 잘 얽혀 인장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했을 때에 고밀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간막이부재(2)에 미세한 친수성섬유를 사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기인한다. 셀룰로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끼리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없을 정도로 고밀도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증기는 고농도측에서 저농도측으로 섬유 사이의 공극을 빠져 나가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것은 섬유표면의 수산기로 보내지거나 또는 섬유내를 확산법칙에 따라서 저농도측으로 이동하여 기화해 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부터 수산기를 많이 함유하는 재질이 아니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막과 마찬가지로 투습성을 상실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간막이부재(2)에는 수산기를 많이 함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친수성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간막이부재(2)는 공기차폐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고밀도로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공정에서의 약액함침에 대비하여 초지시에 습윤지력 보강제로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에폭시화 폴리아미드수지 등을 사용하여 섬유 사이에 인공적인 결합을 도입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2)는 또한 흡습제인 알칼리금속염의 염화리튬과 일반적으로 지난연제로서 사용되는 구아니딘염 중에서도 염화리튬과 반응해서 소금을 발생시키지 않는 설퍼민산 구아니딘을 시트에 대해 각각 중량%로 20%wt의 함침도공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는 간막이부재(2)는 흡습제가 함유되므로 내부에 수분을 용이하게 흡입시킬 수 있고, 수증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투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습제의 주성분을 알칼리 금속염으로 했기 때문에 물에 잘 녹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액의 준비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설비기기의 세정성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흡습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소량이라도 투 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습제의 주성분인 알칼리 금속염과 반응하지 않는 난연제(염산 구아니딘, 설퍼민계 구아니딘)를 사용하여 이 난연제를 간막이부재(2)에 함유시켜 열 교환기(1)에 난연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간막이부재(2)의 약액가공을 한번에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이의 난연제로서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구아니딘 염류를 들 수 있다.
구아니딘 염류 중에서도 인산 구아니딘 및 설퍼민산 구아니딘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흡습제인 인산 구아니딘을 종이에 사용한 경우, 얻어진 난연제의 열안정성이 불량이 되기 쉬워 열처리시의 변색이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범위는 한정되어 있고, 설퍼민산 구아니딘쪽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흡습제로서 염화리튬을 사용하는 경우, 인은 리튬과 반응하여 염을 생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이상으로부터 구아니딘염류 중에서도 설퍼민산 또는 염산 구아니딘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염산구아니딘에는 흡습성이 있으므로, 종이의 난연제로서는 적당하지 않다. 그러나, 전열 열 교환장치에 있어서는 흡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염산 구아니딘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는 다이옥신 문제로 염소를 함유한 소재가 회피되고 있으며, 설퍼민산 구아니딘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간막이부재(2)용의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는 고밀도로 압착된 무공형상 시트에 난연/흡습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공기차폐기능, 흡습기능, 난연기능을 구비 시킬 수 있다. 이에 셀룰로스 섬유를 주로 하는 간격유지부재(3)로 되는 소재(9)(종이재)가 도 4에 도시한 싱글페이서장치로 보내지고 코루게이트 가공되어 단일면단 볼형상의 열 교환기 구성부재(6)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코루게이트 가공을 실행하는 싱글페이서 장치는 간격유지부재(3)를 성형하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형상의 상하의 코루게이터(10), (11)과 간막이부재(2)의 소재를 간격유지부재(3)의 소재(9)에 회전하면서 누르는 프레스롤러(12) 및 사이징롤러(sizing roller)(13)을 중핵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코루게이터(10), (11)와 프레스롤러(12)는 간격유지부재(3)의 단형상을 마련하기 위해 단형상을 마련하기 쉬운 높은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사이징롤러(13)는 하단 코루게이터(11)에 의해 송출되는 단을 갖는(파형의) 간격유지부재(3)의 소재(9)의 단의 피크부분에 수용매체의 초산비닐계 에멀젼 접착제를 도포한다. 간막이부재(2)의 소재는 프레스롤러(12)측에 투습막(8)이 없는 면을 향해서 보내어지고, 투습막(8)측의 면이 간격유지부재(3)의 소재(9)와의 접착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재단하고 교대로 방향을 90도 변경하여 적층접착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 교환기(1)가 제조된다. 또한, 재단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간격유지부재(3)의 파형의 눈의 방향을 병행으로 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 대향류(對向流)형태의 열 교환기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 열 교환기(1)의 제조방법의 특징은 수용성 및 열융착제의 공기차폐기능의 고분자막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코루게이트 가공을 실행하는 싱글페이서장치에 있어서는 단형상을 마련하기 위한 상하의 코루게이터(10), (11)과 프레스롤러(12)의 온도를 높게 유지해도 프레스롤러(12)에 간막이부재(2)의 소재인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가 융착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단형상을 마련하기 쉬운 고온하에서 공급속도를 빠르게 해서 코루게이트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간막이부재(2)의 표면에 공기차폐층인 수용성 고분자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시의 접착성이 증가하고, 또한 종래의 코루게이트 가공의 공급속도보다 고속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현저하게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하고 있던 다공질 종이소재에 비해 본 실시예의 것에서는 고해도(levels of beating)를 고도로 유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인열강도는 저하하지만, 결합강도의 향상에 의해 파열강도, 인장강도, 접힘내구성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박막화해도 후가공시의 인장강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어 종래 100미크론 정도 이었던 막두께를 20미크론 정도까지 박막화할 수 있으므로, 투습저항을 1/5까지 저감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를 사용한 열 교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환기장치는 대향하는 측면의 한쪽에 실내측의 흡입구(104)와 취출구(106)을 갖고, 다른쪽에 실외측의 흡입구(105)와 취출구(107)을 갖는 상자체(101)내에 상기 흡입구(104), (105)와 취출구(107), (106) 사이에 마련한 열 교환기(112)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여 열 교환하도록 마련된 급기통로(109) 및 배기통로(10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자체(10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급기통로(109)와 배기통로(108)에 각각 급기류 또는 배기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121) 및 전동기(126)로 각각 구성되는 송풍기(110), (111)에 대해 급기통로(109)와 배기통로(108)에 마련된 블레이드 케이싱(211)과 본체의 다른 측면에 마련한 개구(115)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급기류와 배기류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112)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 교환 환기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기(112)를 이용한 공조환기에 대해서는 각각의 송풍기(110), (111)을 운전하는 것에 의해 실내공기는 덕트를 거쳐서 실내측 흡입구(104)로부터 화살표A와 같이 흡입되고, 열 교환기(112) 및 배기통로(108)을 화살표 B와 같이 통과하여 배기용송풍기(110)에 의해 실외측 취출구(107)로부터 화살표 C와 같이 취출된다.
또, 덕트를 거쳐서 실외측 흡입구(105)로부터 화살표 D와 같이 흡입되어 열 교환기(112) 및 급기통로(109)를 화살표 E와 같이 통과하고, 급기용 송풍기(111)에 의해 실내측 취출구(106)로부터 화살표 F와 같이 취출되고, 덕트를 거쳐서 실내로 급기된다. 이 때, 열 교환기(112)에서는 배기류와 급기류 사이에서 열 교환이 실행되고, 배기열을 회수하여 냉난방부하를 경감하는 것이다. 상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를 사용하면, 열 교환 환기장치의 습도 교환효율을 약 10% 개선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적층구조의 6면체로 구성된 공조용에 적합한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도 간막이부재의 조성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도 3은 이것을 원용함과 동시에 실시예1의 것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예1의 것과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1)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성과 투습성을 갖는 박형의 간막이부재(2)에 의해 간격유지부재(3)를 끼워넣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접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 교환기(1)를 구성하고 있는 간막이부재(2)는 정방형이나 마름모형의 평판으로서 구성되고, 간격유지부재(3)는 투영평면형상이 간막이부재(2)와 일치하는 톱니파형상 또는 정현파형상의 파형을 성형한 파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유지부재(3)는 그 파형의 눈의 방향을 교대로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를 갖게 하여 간막이부재(2) 사이에 협착되어 있다. 유체통로(4)와 유체통로(5)는 간격유지부재(3)와 간막이부재(2)로 구성되는 각 층 사이에 1층 걸러 교대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체통로(4)는 1차기류(a)를 통과시키고, 유체통로(5)는 2차기류(b)를 통과시킨다.
이 열 교환기(1)도 실시예1의 것과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간막이부재(2)의 한쪽면에 간격유지부재(3)가 접착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열 교환기 구성부재(6)는 실시예1과 동일한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를 간막이부재(2)로 하고, 이 시트에 흡습제인 염화 리튬에 의해 함침도공을 실행하고, 형성된 간막이부재(2)로 되는 기체차폐물에 유체통로(4), (5)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재(3)로 되는 소재(9)를 코루게이트 가공에 의해 접착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성된다.
간막이부재(2)로 되는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인 시트가 선택된다. 함침도공은 더욱 투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습제인 염화 리튬만을 수용매에 녹여 실행된다.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는 공극율의 낮음에 따른 약액의 침투가 나쁘고, 그 결과 약액을 많이 도공할 수 없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즉, 투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습제인 염화리튬을 많이 도포하려고 해도 난연제와 동시에 도공하고자 하면, 충분한 양을 도공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에는 흡습제로서 염화리튬만을 도공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1의 것이 약 2g/㎡의 염화리튬인 부착량에 대해 약 4g/㎡로 약 2배의 부착량을 얻을 수 있어 투습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난연성의 부여에 관해서는 간격유지부재(3)에 난연지라 불리우는 JIS. A 1322적합품을 사용하면, 유닛으로서 난연화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난연지는 수불용성으로 미분말의 난연화제를 종이내부에 넣어서 뜨는 내첨법 또는 초지후의 종이에 수분산액의 난연화제를 함침, 스프레이, 코팅하는 후가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두께60∼120㎛정도이고, 평량이 25∼150(g/㎡)인 종이재이다. 간막이부재(2)를 구성하는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는 고밀도로 압착된 무공형상 시트에 흡습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공기차폐기능, 흡습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된다.
이것에 셀룰로스 섬유를 주로 하는 난연성을 겸비한 간격유지부재(3)로 되는 소재(9)는 싱글페이서장치로 보내지고,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코루게이트 가공되어 단일면단 볼형상의 열 교환기 구성부재(6)가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재단하고, 교대로 방향을 90도 변경해서 적층접착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 교환기(1)가 제조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미리 난연처리를 실시한 난연종이재를 간막이부재(2)의 소재로 하기 때문에 투습막(8)을 형성하기 위한 약액도공량을 실시예1의 방법보다 적게 할 수 있고,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약액도공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실시예1과 동일한다.
또한, 종래 사용하고 있던 다공질 종이소재에 비해 고해도를 고도로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인열강도는 저하하지만, 결합강도의 향상에 의해 파열강도, 인장강도, 접힘내구성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박막화해도 후가공시의 인장강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어 종래 100미크론 정도이던 막두께를 20미크론 정도까지 박막화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투습저항을 1/5까지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열 교환기에 있어서도 실시예1의 도 5에 도시한 열 교환 환기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를 사용하면, 열 교환 환기장치의 습도 교환효율을 약 10% 개선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재단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간격유지부재(3)의 파형의 눈의 방향을 병행으로 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 대향류 형태의 열 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2에서 설명한 열 교환기에 있어서는 흡습제인 염화리튬을 수용매로 녹이고 도공해도 도공량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흡습제와 폴리비닐알콜(PVA)을 수용매에 녹이고 폴리비닐 알콜을 바인더로서 사용하면, 염화리튬의 도공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약제를 간막이부재(2)로 되는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의 한쪽면에만 도공을 실행하고, 약액도공면과 코루게이트 가공을 실행하면, 코루게이트시에 PVA수지의 끈적거림이 없어 양호한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염화리튬을 약 6g/㎡까지 도공할 수 있다. 이 도공후, 열 교환기로 가공한 후, 도공된 약액이 습도를 흡수하여 일부 액화한다. 이것에 의해, 서서히 공기차폐 기능성 시트 내부에 염화리튬이 침투해 버리고 표리에서의 투습성의 차가 없어져 투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열 교환기에 있어서도 실시예1의 도 5에 도시한 열 교환 환기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를 사용하면, 열 교환 환기장치의 습도 교환효율을 종래에 비해 약 20% 개선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재단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6)를 간격유지부재 (3)의 파형의 눈의 방향을 병행으로 해서 적층하는 것에 의해 대향류 형태의 열 교환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에 있어서의 열 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의 열 교환기 구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열 교환기 구성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에 있어서의 코루게이트 가공을 실행하는 싱글 페이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열 교환기를 사용한 열 교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열 교환기 2…간막이 부재
3…간격유지부재 4, 5…유체통로
6…열 교환기 구성부재 8…투습막

Claims (1)

  1.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 간막이부재를 사이에 두고 2종의 기류를 유통시킴과 동시에, 이 2종의 기류 사이에서 상기 간막이부재를 거쳐서 전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부재에는 투습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흡습제만 도포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 쪽에는 난연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열 교환기 전체로서 난연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주성분이 셀룰로스 섬유이며, 난연제로서 설퍼민산 구아니딘이 첨가된 두께가 60 내지 120㎛의 파형판 형상의 난연지이고,
    상기 간막이부재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공기 차폐 기능성 시트형상 소재로 이루어지고, 흡습제는 부여되어 있지만 난연제는 부여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흡습제는 알칼리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두께가 10 내지 50㎛이고, 5000sec/100cc 이상의 투기도로 이루어지는 공극율을 구비하며,
    열 교환기 전체로서 탄산가스의 이행율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KR1020090012918A 2001-11-16 2009-02-17 열 교환기 KR20090026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351213 2001-11-16
JP2001351213A JP3969064B2 (ja) 2001-11-16 2001-11-16 熱交換器及び熱交換換気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94A Division KR100893819B1 (ko) 2001-11-16 2007-11-14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175A true KR20090026175A (ko) 2009-03-11

Family

ID=1916354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52A KR100518418B1 (ko) 2001-11-16 2002-06-20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50059022A KR20050076787A (ko) 2001-11-16 2005-07-01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70115894A KR100893819B1 (ko) 2001-11-16 2007-11-14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90012918A KR20090026175A (ko) 2001-11-16 2009-02-17 열 교환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52A KR100518418B1 (ko) 2001-11-16 2002-06-20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50059022A KR20050076787A (ko) 2001-11-16 2005-07-01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20070115894A KR100893819B1 (ko) 2001-11-16 2007-11-14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188665B2 (ko)
EP (1) EP1312870B8 (ko)
JP (1) JP3969064B2 (ko)
KR (4) KR100518418B1 (ko)
CN (1) CN1217149C (ko)
CA (1) CA23834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6894B2 (ja) * 2003-10-15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
KR100579373B1 (ko) * 2003-11-24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기능성 종이
DE10357307A1 (de) * 2003-12-05 2005-07-14 2H Kunststoff Gmbh Kontaktkörper, insbesondere für einen Verdunstungsbefeuch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körpers
US7585355B2 (en) * 2004-02-10 2009-09-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mperature/humidity exchanger
KR100590329B1 (ko) * 2004-05-14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JP4324924B2 (ja) * 2004-09-28 2009-09-02 株式会社ティラド 熱交換器
CN100417907C (zh) * 2004-12-18 2008-09-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全热交换装置
CN100425934C (zh) * 2004-12-30 2008-10-15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转轮式全热交换装置
TWI276768B (en) * 2005-01-03 2007-03-21 Taiwan Textile Res Inst Heat exchange structure with at least three different airflow direction
US20060260790A1 (en) * 2005-05-18 2006-11-23 Mark Theno Heat exchanger core
JP2007003161A (ja) * 2005-06-27 2007-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US7320361B2 (en) * 2005-10-28 2008-0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r
JP4736718B2 (ja) * 2005-10-31 2011-07-27 王子製紙株式会社 全熱交換器エレメント用原紙
JP4794280B2 (ja) * 2005-11-14 2011-10-1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7285598A (ja) * 2006-04-17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US20090101321A1 (en) * 2006-05-03 2009-04-23 Tat Technologies Ltd. Heat Exchanger
JP2007315649A (ja) * 2006-05-24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全熱交換器
JP4980789B2 (ja) 2006-06-05 2012-07-18 レンゴー株式会社 全熱交換器用シート
KR100731302B1 (ko) * 2006-08-16 2007-06-25 강창희 난방판넬
KR100783717B1 (ko) * 2007-04-13 2007-12-07 강창희 난방판넬
WO2008041327A1 (fr) * 2006-10-03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Élément d'échange thermique total et appareil d'échange thermique total
JP4874389B2 (ja) * 2007-04-17 2012-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全熱交換素子
WO2008139560A1 (ja) * 2007-05-02 2008-11-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器
ES2367529T3 (es) * 2007-05-21 2011-11-04 Covidien Ag Intercambiador médico de calor y humedad (hme, siglas en inglés de " heat and moisture exchanger" ).
JP2008292061A (ja) * 2007-05-24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全熱交換器
CN101680726B (zh) * 2007-05-31 2011-12-14 三菱电机株式会社 热交换元件及其制造方法以及热交换换气装置
EP2169339B1 (en) * 2007-06-18 2015-07-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element, method of producing the heat exchange element,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and ventilation device
KR100837023B1 (ko) * 2007-06-27 2008-06-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열교환 소자 및 전열교환기
EP2163842B1 (en) * 2007-06-29 2014-10-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otal heat exchanger elem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24766B2 (en) * 2007-11-20 2010-11-02 Energy Wall, Llc Sorption paper and method of producing sorption paper
WO2010125643A1 (ja) * 2009-04-28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素子
CN102458625A (zh) 2009-05-18 2012-05-16 迪博因特技术公司 用于全热交换和其它应用的涂层膜
KR101640411B1 (ko) * 2009-10-16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76820B1 (ko) * 2009-11-11 2014-03-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열 교환기 및 그것에 이용하는 칸막이판의 제조 방법
CN101907408A (zh) * 2010-07-30 2010-12-0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东北电力设计院 火力发电厂表面式间接空冷系统板式凝汽器
JP2012076066A (ja) * 2010-10-06 2012-04-19 Sepa Sigma Inc 省エネ型除湿および熱回収装置
CA2826995A1 (en) 2011-02-09 2012-08-16 Klingenburg Gmbh A heat- and/or moisture-exchange element
CN103747854B (zh) 2011-06-07 2016-12-07 迪博因特技术公司 包括纳米纤维层的选择性水蒸汽输送膜及其制作方法
EP2618090B1 (en) 2012-01-20 2014-10-15 Westwind Limited Heat exchang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KR101406990B1 (ko) * 2012-12-21 2014-07-02 (주)환경이에스피 기능성 열전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소자
KR101440723B1 (ko) * 2013-03-14 2014-09-17 정인숙 현열교환기, 이를 포함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그 해빙운전과 점검운전 방법
JP6194472B2 (ja) * 2013-06-20 2017-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用仕切部材およびその素材を用いた全熱交換素子および全熱交換形換気装置
US10415900B2 (en) 2013-07-19 2019-09-17 Westwind Limited Heat / enthalpy exchang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US20160237620A1 (en) 2013-10-02 2016-08-18 Toray Industries, Inc. Base paper for heat exchanger, and total heat exchange element using same
NO2697473T3 (ko) * 2014-01-13 2018-07-07
WO2015111610A1 (ja) 2014-01-27 2015-07-30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吸湿性ポリマー粒子、ならびに、該粒子を有するシート、素子および全熱交換器
JP5741723B1 (ja) * 2014-01-31 2015-07-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WO2015126239A1 (en) * 2014-02-20 2015-08-27 Oxycom Beheer B.V. Heat and moisture exchanger
CN104075593B (zh) * 2014-06-10 2016-08-24 佛山市科蓝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错式热交换器
FR3024533B1 (fr) * 2014-07-31 2016-08-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changeur enthalpique ameliore
US9657999B2 (en) 2014-11-11 2017-05-2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Alternating channel heat exchanger
DE102014017362A1 (de) * 2014-11-24 2016-05-25 Klingenburg Gmbh Plattenelement für einen Plattenwärmetauscher
CZ2014956A3 (cs) * 2014-12-23 2016-05-18 2Vv S.R.O. Entalpický výměník tepla
WO2017023068A1 (ko) * 2015-07-31 2017-02-09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EP3217132B1 (en) * 2016-03-07 2018-09-05 Bosal Emission Control Systems NV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te heat exchanger
NL2018175B1 (nl) * 2017-01-16 2018-07-26 Recair Holding B V Recuperator
CN106931580B (zh) * 2017-05-04 2022-07-15 嘉善玏奇电器贸易有限公司 一种管道式换气装置
US20220163272A1 (en) * 2017-05-18 2022-05-26 Kai Klingenburg Heat-exchanger plate
US10967703B2 (en) * 2018-02-08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cabin heating
KR20200032524A (ko) *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US20220178630A1 (en) * 2019-02-27 2022-06-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 exchange element and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device using same
CN110081584B (zh) * 2019-03-26 2020-12-22 绍兴创福邦纺织有限公司 一种扭转全热交换连接管装置
WO2020226048A1 (ja) * 2019-05-09 2020-1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シート状部材の使用方法
JP6822517B2 (ja) * 2019-05-09 2021-0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
KR102223355B1 (ko) * 2020-07-13 2021-03-05 (주)가온테크 폴리머 시트를 이용한 대향류형 전열교환기
US11391487B2 (en) 2020-09-17 2022-07-19 Bradford D Wallace Air to air cross flow heat and moisture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898A (en) * 1969-03-20 1977-10-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tatic heat-and-moisture exchanger
JPS512131A (ja) 1974-06-24 1976-01-09 Hitachi Ltd Jidoshayoreibosochi
JPS5334663A (en) 1976-09-13 1978-03-31 Nippon Steel Corp Watching method of forge weld steel pipe welded state with tndustrial television
JPS5579996A (en) * 1978-12-14 1980-06-16 Teijin Ltd Wet heat exchanger
JPS5596896A (en) * 1979-01-17 1980-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Total heat exchanger
JPS5630595A (en) * 1979-08-21 1981-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Total heat exchanger
JPS5782695A (en) * 1980-11-12 1982-05-24 Nippon Soken Inc Heat exchanger for air ventilation
US4377400A (en) * 1980-11-11 1983-03-22 Nippon Soken, Inc. Heat exchanger
JPS57207795A (en) * 1981-06-17 198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Total heat exchanging element
JPS5846325A (ja) 1981-09-14 1983-03-17 Sharp Corp カラ−液晶表示装置のセル構造
JPS58129199A (ja) * 1982-01-28 1983-08-02 Nippon Soken Inc 全熱交換器
JPS58180650A (ja) * 1982-04-19 1983-10-22 帝人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不織布の製造法
JPS59107198A (ja) * 1982-12-09 1984-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熱交換器
JPS60164197A (ja) * 1984-02-06 1985-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熱交換器
JPH0628173Y2 (ja) * 1986-03-10 1994-08-03 株式会社西部技研 湿気交換用エレメント
US4977400A (en) * 1989-07-27 1990-12-11 Harry Jeffries Auto ramp safety signal
US5133835A (en) * 1990-03-05 1992-07-2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rintable, high-strength, tear-resistant nonwoven material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2959896B2 (ja) 1991-01-31 1999-10-0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記憶装置の書込補償方式
JP2722943B2 (ja) 1992-05-30 1998-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組立ラインにおける稼動システム
JPH06109395A (ja) * 1992-09-24 1994-04-19 Abb Gadelius Kk フィン付きプレート型熱交換器に於ける熱交換素子
JP2639303B2 (ja) * 1992-11-05 1997-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全熱交換器
JPH07133994A (ja) * 1993-11-09 1995-05-23 Japan Gore Tex Inc 熱交換膜
JP3460358B2 (ja) * 1995-02-15 2003-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間隔板並びに熱交換器の仕切板
JPH09184692A (ja) * 1995-12-28 1997-07-15 Ebara Corp 熱交換エレメント
JP3546574B2 (ja) * 1996-01-08 2004-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JPH09280765A (ja) * 1996-04-08 1997-10-31 Ebara Corp 熱交換エレメント
JPH1054691A (ja) * 1996-08-08 1998-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の間隔板及び熱交換器用部材及び熱交換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6074523A (en) * 1996-11-11 2000-06-13 Nippon Kodoshi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ly-airtightened porous paper
JP3488028B2 (ja) 1996-11-25 2004-01-19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素子
JPH10183492A (ja) * 1996-12-20 1998-07-14 Lintec Corp 全熱交換素子用原紙
JP3791726B2 (ja) * 1997-12-19 2006-06-28 特種製紙株式会社 全熱交換器用紙及びそれを使用した全熱交換器用エレメント
US6145588A (en) * 1998-08-03 2000-11-14 Xetex, Inc. Air-to-air heat and moisture exchanger incorporating a composite material for separating moisture from air technical field
JP2000087041A (ja) * 1998-09-17 2000-03-28 Sanwa Chemical:Kk 紙用難燃剤組成物
CA2283089C (en) * 1999-05-10 2004-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eparing it
JP3501075B2 (ja) * 1999-05-10 2004-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4252892B2 (ja) 2001-06-01 2009-04-08 三菱製紙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用紙
JP2007285598A (ja) * 2006-04-17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4269A1 (en) 2003-05-22
KR20070121613A (ko) 2007-12-27
KR20050076787A (ko) 2005-07-27
JP3969064B2 (ja) 2007-08-29
EP1312870A3 (en) 2004-03-17
EP1312870A2 (en) 2003-05-21
KR100893819B1 (ko) 2009-04-20
US7188665B2 (en) 2007-03-13
US20060168813A1 (en) 2006-08-03
CA2383487C (en) 2008-01-29
EP1312870B8 (en) 2017-03-01
KR100518418B1 (ko) 2005-09-29
EP1312870B1 (en) 2016-10-12
CA2383487A1 (en) 2003-05-16
CN1217149C (zh) 2005-08-31
CN1420337A (zh) 2003-05-28
JP2003148892A (ja) 2003-05-21
KR20030040007A (ko) 2003-05-22
US20080210412A1 (en)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819B1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 환기장치
KR100621716B1 (ko) 전열교환 소자
US6536514B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eparing it
KR101148711B1 (ko) 열교환 소자 및 열교환기
JPH1054691A (ja) 熱交換器の間隔板及び熱交換器用部材及び熱交換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2012018089A1 (ja) 隔膜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JPWO2009004695A1 (ja) 全熱交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38284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間隔板並びに熱交換器の仕切板の製造方法
JP5610777B2 (ja) 全熱交換素子
GB2417315A (en) Heat exchange element with flame retardant and moisture permeable portions
JP4305530B2 (ja) 熱交換器
WO2019180834A1 (ja) 全熱交換素子および全熱交換器
JP2007003161A (ja) 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