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455A -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455A
KR20080111455A KR1020087022533A KR20087022533A KR20080111455A KR 20080111455 A KR20080111455 A KR 20080111455A KR 1020087022533 A KR1020087022533 A KR 1020087022533A KR 20087022533 A KR20087022533 A KR 20087022533A KR 20080111455 A KR20080111455 A KR 2008011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in body
cover
toilet lid
transmiss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마츠시타
히로키 후지무라
사키 나카오
다츠야 후쿠다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347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1920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2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9049B2/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생 세정 장치는,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토수 노즐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변기 시트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시트 및 상기 본체의 상면을 대략 전체적으로 덮는 변기 덮개와, 상기 변기 덮개의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 덮개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투과창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창을 통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SANITARY CLEANSING DEVICE AND TOILET DEVICE}
본 발명은,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가능한 변기 덮개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는, 그 내부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토수(吐水) 노즐을 진퇴 가능하게 수용한다. 위생 세정 장치는 좌변기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온수로 세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시트와, 이 변기 시트를 덮는 변기 덮개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한편, 많은 위생 세정 장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존재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이 인체 검지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화장실을 입실하거나 퇴실할 때에, 변기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거나, 변기에 세정수를 자동으로 흘리거나, 변기 시트나 세정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모터에 의해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53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734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270831호 공보(1989년)
폐쇄 상태의 변기 덮개가 변기 시트뿐만 아니라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도 덮으면, 깔끔한 외관이 얻어진다. 또한, 변기 덮개로 인하여, 먼지가 침입할 수 있는 간극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변기 덮개로 인하여 와이핑 및 기타 청소 시의 청소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변기 덮개가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까지 덮으면, 적외선 투광식의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 범위를 차광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체 검지 센서를 위생 세정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변기 덮개의 후방에 노치를 마련하여 인체 검지 센서를 노출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오히려 미관을 나쁘게 하고, 위생 세정 장치의 청소성도 저하시킨다.
한편, 변기 덮개가 수동 개폐식인 경우에든 전동 개폐식인 경우에든, 변기 덮개의 개방단 각도, 즉 최대 개방 각도는 부착 현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탱크 타입(low-tank type)의 변기인 경우에, 변기 덮개의 후방에 하부 탱크가 위치한다. 하부 탱크를 갖지 않는 수도(水道) 직압식의 변기의 경우에, 변기 후방에는 화장실의 선반이나 돌출창(bay window)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체가 변기 덮개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일 수 있고, 인체 검지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 덮개의 개방 시에 후방 물체와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변기 시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토수 노즐을 내장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대적으로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변기 시트와, 이 본체의 상대적으로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폐쇄 상태에서 변기 시트 및 본체의 상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변기 덮개와, 변기 덮개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변기 덮개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투과창과,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투과창을 통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인체 검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좌변기와, 상기 위생 세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탑재한 변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탑재한 변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인체 검지 센서(500)의 부착부 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인체 검지 센서(500)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인체 검지 센서(500)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개방된 상태의 변기 덮개(300)의 피벗 지지부를 정면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체 검지 센서(500)를 매립한 본체(400)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인체 검지 센서(500)를 매립한 본체(400)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 인체 검지 센서(500)에 의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범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 인체 검지 센서(500)에 의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범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투과창(310)이 설치되는 변기 덮개(300)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투과창(310)을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투과창(310)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투과창(310)을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투과창(310)의 부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체(400)의 내부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체(400)의 내부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부착부를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1은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을 뒤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3은 변기 시트 장치를 옆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가 탑재된 변기 장치가 화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26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27은 변기 덮개(300)를 전기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할 수 있는 변기 덮개 개폐 유닛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와, 변기 덮개(300)의 중량에 의해 회전축(728)에 가해지는 토크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변기 시트(200)와 변기 덮개(300)를 동시에 개방한 경우의 본 예의 변기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체(400)에 설치된 수광창(58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체(400)에 설치된 수광창(58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는 리모콘(9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의 경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5은 적외선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6은 변기 덮개(300)를 개방한 상태의 본 변형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램프(792)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램프(792)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9는 변기 덮개(300)와 변기 시트(200)를 개방한 상태의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기 시트
300: 변기 덮개
302: 이면
303: 측벽
305: 후측 하단
310: 투과창
312: 레일 홈
314: 훅(hook)
320: 창부
330: 플랜지부
340: 개구
350: 레일
360: 지지 브릿지
365: 훅용 오목부
370: 피벗 지지부
372; 개구단
380: 회전축
400: 본체
402: 만곡 오목면
404: 연장부
405: 단차부(step)
408: 경사면
410: 오목부
420: 착좌 센서
430: 케이스 커버
440: 배기구
450: 배출 구멍
460: 노즐 댐퍼
470: 온풍 댐퍼
480: 스토퍼
500: 인체 검지 센서
510: 초전 소자
520: 렌즈
530: 기판
580: 수광창
610: 노즐 유닛
620: 온풍 유닛
630: 탈취 유닛
640: 컨트롤러
650: 펌프 유닛
660: 열 교환 유닛
670: 표시부
680: 보조 조작 유닛
690: 밸브 유닛
700: 컨트롤러
710: 드라이버 유닛
720: 변기 덮개 개폐 유닛
721: 모터
722: 감속 기구
724: 각도 스토퍼(angle stopper)
725: 각도 검출부
726: 어시스트 스프링
728: 회전축
730: 변기 세정 밸브 유닛
735: 급수 배관
740: 실내 난방 유닛
760: 변기측 베이스 플레이트
770: 부착 기판
772: 핀
775: 개구
780: 변기 시트 개폐 유닛
792: 램프
793: 창
800: 변기
810: 보울(bowl)
900: 리모콘
902: 본체
904: 커버
906: 적외선 발광부
950: 후측벽
960: 돌출체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탑재한 변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양식 좌변기(800) 위에 위생 세정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본체(400)와, 이 본체(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변기 시트(200) 및 변기 덮개(300)를 구비한다. 본체(400)로부터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토수 노즐(도시 생략)이 변기(800)의 보울 내로 연장되어 나오고, 그 선단 부근에 설치된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세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이란 용 어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온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체(400)에는 "탈취 유닛", "온풍 유닛", "실내 난방 유닛"과 같은 각종 기구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400)의 측면에는 배기구(440) 및 배출 구멍(450)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체(4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변기 시트(200)는 본체(400)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피벗 지지되는 반면, 변기 덮개(300)는 본체(400)에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피벗 지지되어 있다. 즉, 변기 시트(200)의 회전축은 변기 덮개(300)의 회전축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400)와 변기 시트(200)는 거의 완전히 노출되고, 사용자는 변기 덮개(300)에 간섭하지 않고 변기 시트(200)에 앉을 수 있다. 변기 덮개(300)를 본체(400)의 후측부에서 피벗 지지함으로써, 변기 덮개(300)를 변기 시트(200)에 앉는 사용자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변기 시트(200)에 앉는 사용자는 개방감을 느낄 수 있고,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예컨대 두꺼운 상의나 긴 드레스를 걷어올리고 변기 시트(200)에 앉을 경우에도, 이들 상의나 드레스가 변기 덮개(300)에 잘 접촉하지 않게 되고, 사용자에게 압박감이나 위생적인 불쾌감을 부여하지도 않는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가 폐쇄되면, 변기 덮개(300)는 변기 시트(200)뿐만 아니라 본체(400)도 거의 완전히 덮는다. 이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가 변기 덮개(300)로 거의 전체적으로 덮이면, 매우 스마트하고 심플하며 깔끔한 외관이 얻어진다. 위생 세정 장치(100) 전체를 변기 덮개(300)로 덮음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변기 시트(200)뿐만 아니라 본체(400) 위에도 먼지나 티끌이 쌓이지 않는다. 또한,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위생 세정 장치(100)의 상면에는 "간극(gap)"이나 "요철(irregularity)"이 없다. 이 때문에, 적신 걸레 등으로 닦을 때에도, 변기 덮개(300)의 상면 전체를 순조롭게 빨리 닦을 수 있어, 청소성이 양호해진다.
본 예의 경우, 본체(400)의 측면에 단차부(405; step)(도 5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 단차부(405)는 변기 덮개(300)의 후측 하단(305)과 접촉하거나 근접한 상태로 정합하고, 본체(400)의 측면과 변기 덮개(300)의 측면은 거의 연속된 동일면을 형성한다. 그 결과로서,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위생 세정 장치(100)의 측면에도 변기 덮개(300)로부터 본체(400)에 이르는 연속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외관이 더 깔끔하게 되고, 또한 먼지나 오물이 퇴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로, 젖은 걸레가 걸리지 않으면서 위생 세정 장치(100)의 측면을 순조롭게 빨리 닦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400)는 변기 시트(200)의 피벗 지지부와 변기 덮개(300)의 피벗 지지부 사이에 상면을 갖고 있고, 이 상면은 폐쇄된 상태의 변기 덮개(300)와 거의 평행하다. 상면에는 인체 검지 센서(5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변기 덮개(300)의 후방에는 투과창(3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인체 검지 센서(500)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변기 덮개(300)의 폐쇄 상태, 도 5 및 도 6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개방 상태의 변기 덮개(300)의 피벗 지지부를 정면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본체(400)의 상면에 오목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체 검지 센서(500)는 그 일부가 상기 오목부(410)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체 검지 센서(500)는 적외선 검지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초전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높은 정확도로 검지할 수 있다. 초전 센서는, 그 전방의 소정의 검지 범위 내에서의 발열체의 이동을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인체 검지 센서(500)는 투과창(310)을 통해 위생 세정 장치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한다. 즉, 투과창(310)은 인체 검지 센서(500)에 의해 검지된 적외선을 투과시킨다. 인체 검지 센서(500)로서 예컨대 초전 센서를 이용한 경우, 초전 센서는 파장이 약 10 마이크로미터인 원적외선을 검지한다. 따라서 투과창(310)은, 그러한 파장대의 적외선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투과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투과창(310)의 재료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이용함으로써,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접근이나 존재를 투과창(310)을 통해 높은 감도로 검지할 수 있다.
한편, 투과창(310)을 지지하는 변기 덮개(300)는 적외선에 대한 투과율이 투과창(310)보다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변기 덮개(300)를 투과창(310)보다 딱딱하고 견고한 재료로 형성하면, 휘어짐이나 변형이 작고, 흠집도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변기 덮개(300)의 색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변기(800) 및 본체(400)의 색에 용이하게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요건을 만족시키는 변기 덮개(300)의 재료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인체 검지 센서(500)가 사용자를 검지하면, 예컨대 본체(400)에 내장된 변기 덮개 개폐 유닛을 동작시킴으로써 변기 덮개(300)를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변기 시트(200)를 급속 난방하거나, 본체(400)에 설치된 실내 난방 유닛을 동작시켜 화장실을 따뜻하게 하거나, 변기(800)에 미리 소량의 세정수를 흘려 보내 보울을 적심으로써 오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처리 등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가 개방되면, 인체 검지 센서(500)의 전방에 차폐체가 위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인체 검지 센서(500)가 사용자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400)에는 착좌 센서(420)가 설치되어,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착좌 센서(420)는, 예컨대 적외선을 방사하고 그 반사 광량을 검지하는 방식의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도 8은 인체 검지 센서(500)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인체 검지 센서(500)로서 초전 센서(420)를 이용한 구조를 나타낸다.
초전 센서는, 기판(530)에 실장된 초전 소자(510)와, 초전 소자(510)의 수광면에 대향 배치된 렌즈(520)를 갖는다. 초전 소자(510)는, 예컨대 PZT(납 지르코 늄티타늄산화물)계, LiTaO3(탄탈산 리튬)계, PbTaO3(탄탈산 납)계 등의 초전 물질로 제조되고, 복수의 검지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렌즈(520)도, 복수의 렌즈부(520L)로 분할되어 있다. 인체 등의 발열원이 이동하면, 이들 렌즈체(520)에 의한 적외선의 집광 패턴도 초전 소자(510)의 수광면 상에서 이동하므로, 그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도 9는 인체 검지 센서(500)를 매립한 본체(400)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 검지 센서(500)를, 본체(400)의 상면 상의 케이스 커버(430)의 후방, 즉 변기 덮개(300)의 피벗 지지부에 근접시켜, 본체(400)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투과창(310)과 인체 검지 센서(50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투과창(310)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서 넓은 범위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인체 검지 센서(500)에서 보았을 때에, 작은 투과창(310)을 통해 광각의 범위를 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창(310)은 적외선에 대한 투과율이 변기 덮개(300)보다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투과창(310)은 변기 덮개(300)와는 색상 및 질감이 상이할 수도 있으며, 낮은 경도로 인하여, 변형되거나 흠집이 쉽게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투과창(310)을 작게 할 수 있고, 변기 덮개(300)의 후단 부근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투과창(310)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또한 남의 손에 잘 닿지 않게 되므로 변형이나 흠집도 억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00)에 오목부(410)를 마련하고, 인체 검지 센서(500)의 일부분을 이 오목부(410)에 매립함으로써, 인체 검지 센서(500)를 본체의 케이스 커버(430)의 상면으로부터 그다지 돌출시키지 않으면서, 넓은 각도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 커버(430)의 상면의 청소성을 유지하면서, 인체 검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 인체 검지 센서(500)에 의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범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수평 방향의 검지 가능 범위를, 도 11은 수직 방향의 검지 가능 범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체 검지 센서(500)는 수평 방향으로 40˚ 범위 내에서 인체(920)를 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는 33˚ 범위 내에서 위생 세정 장치의 전방 위쪽에 위치한 인체(920)를 검지할 수 있다. 이들 범위는, 표준 사이즈의 화장실에서, 위생 세정 장치(100)에 접근하는 사용자나,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전방에 서 있는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데 충분한 범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신장의 성인(920)이 변기(800)의 후단으로부터 2.5 미터의 거리에 접근하면 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적인 신장의 성인(920)이 변기(800) 바로 앞에 서 있을 때에 머리부도 검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혼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신장이 1미터가 조금 넘는 어린이(910)도,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전단으로부터 약 100 밀 리미터까지 접근하면 검지가 가능해진다. 물론, 그 어린이(910)가 변기(800) 바로 앞에 서 있을 때에 머리 부분도 검지 가능하다. 즉, 변기(800)[위생 세정 장치(100)]를 사용하는 성인부터 어린이까지의 사용자의 존재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예에서 이용하는 투과창(310)과 그 부착 구조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투과창(310)이 설치되는 변기 덮개(300)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변기 덮개(300)의 후단에는, 투과창(310)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34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40)의 전방 측벽과 좌우 측벽에는, 박판형의 레일(3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구(340)의 후단에는 지지 브릿지(360)가 설치되어 있다. 투과창(310)은, 변기 덮개(300)의 후방측으로부터 레일(350)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지지 브릿지(360)의 위를 통과하여, 슬라이드 삽입된다.
도 13은 투과창(310)을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투과창(310)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투과창(310)을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투과창(310)의 부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투과창(310) 전방의 측면 및 좌우 측면에는, 변기 덮개(300)의 레일(350)과 결합하는 레일 홈(312)이 마련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창(310)은, 레일 홈(312)을 양측단의 레일(350)과 결합시키면서, 변 기 덮개(30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개구(340)를 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투과창(310)을 전단까지 슬라이드시키면, 그 전방단의 레일 홈(312)이 개구(340)의 전방단의 레일(35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투과창(310)이 변기 덮개(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과창(310)의 상면은 변기 덮개(300)의 상면과는 연속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 "단차(step)"나 "이음부(seam)"는 거의 없어진다. 외관이 깔끔하고, 와이핑 등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개구(340)의 측벽에 레일(350)이 설치되고, 투과창(310)의 측면에 레일 홈(3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와는 반대로, 개구(340)의 측벽에 레일 홈이 마련되고, 투과창(310)의 측면에 레일이 설치된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투과창(310)의 후방의 이면측 양측에는 훅(결합 볼록부)(314)이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훅(314)은 갈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일 홈(312)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지지 브릿지(360)의 양단에는, 훅용 오목부(결합 오목부)(365)가 마련되어 있다. 투과창(310)을 레일(350)을 따라 전단까지 슬라이드시키면, 훅(314)이 훅용 오목부(365)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확실하면서 용이하게 투과창(310)을 변기 덮개(300)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변기 덮개(300)에 부착된 투과창(310)을 소정 레벨 이상의 힘으로 후방으로 당기면, 훅(314)이 탄성적으로 후퇴하여 훅용 오목부(365)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레일(350)을 따라 후방으로 투과창(310)을 슬라이드시켜 변기 덮개(300)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투과창(310)이 파손되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변기 덮개(300)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하여 교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경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와 같이 훅(314)을 투과창(310)의 후단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방 상태에서도, 사용자로부터 훅(314)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과창(310)에 훅(결합 볼록부)(314)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 브릿지(360)에 훅용 오목부(결합 오목부)(365)에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와는 반대로, 투과창(310)에 훅용 오목부(결합 오목부)를 마련하고, 지지 브릿지(360)에 훅(결합 볼록부)을 설치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변기 덮개(300)의 폐쇄 상태에서, 인체 검지 센서(500)는 투과창(310)을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한다. 이 때문에, 투과창(310)은 가능한 한 많이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투과창(310)의 재료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이용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얇은 창부(320)를 설치하여 적외선 투과율을 높이고, 그 주위에는 두꺼운 플랜지부(330)를 설치하여 지지 보강하고 있다.
투과창(310)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한 경우, 창부(320)의 두께를 약 0.5 밀리미터로 얇게 하면, 인체 검지 센서(500)로서 초전 센서(420)를 이용한 경 우에도 충분한 검출 감도를 얻었다. 한편, 창부(320)의 주위에 설치되는 플랜지부(330)의 두께를 약 1.5 밀리미터로 하면,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투과창(310)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투과창(310)의 아래에 인체 검지 센서(500)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430)의 상단과 투과창(310) 사이의 간격(S)은 약 1 밀리미터이다. 따라서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 투과창(310)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창부(320)가 변형되지만, 그 변형량은 1 밀리미터로 제한되고, 추가의 압박력은 케이스 커버(430)에 의해 지탱된다. 이에 따라, 투과창(310)의 파손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예에서의 투과창(310)과 그 부착부에 대해서 상술하였다.
다음으로, 본 예의 위생 세정 장치(100)를 수도 직압식의 변기와 조합한 변기 장치의 본체(40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체(400)의 내부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체(400)의 내부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 커버(430)의 상면에는, 인체 검지 센서(500)의 근방에 표시부(670)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670)는, 예컨대 변기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적절하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 커버(430)의 전방 상부에는, 변기 시트(200)를 자동 개폐시키기 위한 변기 시트 개폐 유닛(780)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커버(430)의 내부 전방부에는, 노즐 유닛(610), 온풍 유닛(620) 및 탈취 유닛(630)이 병설되어 있다. 노즐 유닛(610)은 진퇴 가능한 토수 노즐을 포함하며,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온풍 유닛(620)은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에 온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탈취 유닛(630)은 변기(800)의 보울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탈취하여, 배기구(440)로부터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 커버(430)의 내부 전측에는 AC(교류) 컨트롤러(640)가 설치되고, 그 후측부에는 펌프 유닛(650)과 열 교환 유닛(660)이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 유닛(660)에 공급된 물은 내부에서 가열된다. 펌프 유닛(650)은 물에 맥동을 부여하여, 노즐 유닛(610)에 이 맥동수를 공급한다.
케이스 커버(430)의 측면에는 보조 조작 유닛(680)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조작 유닛(680)은 노즐 유닛(610)에 의한 "엉덩이"의 세정 등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예컨대 리모콘(도시 생략)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위생 세정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 커버(430)의 아래쪽 후부에는, 밸브 유닛(690)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 유닛(690)은 수도로부터 공급된 물이 펌프 유닛(65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스 커버(430) 내부의 전측 상부에는 DC(직류) 컨트롤러(700)와 드라이버 유닛(710)이 병설되어 있다. 케이스 커버(430) 내부의 후측에는,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이 병설되어 있다.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변기 덮개(3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 은 변기(800)에 흘리는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예의 변기 장치는 소위 "수도 직압식(service-water direct-pressure type)"의 구조를 가지며, 하부 탱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이는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을 통해 변기(800)에 공급함으로써 세정을 실시한다.
한편, 케이스 커버(430) 내부의 최후방측에는 실내 난방 유닛(740)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난방 유닛(740)은 온풍을 배출 구멍(450)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변기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공간을 난방하는 역할을 한다. 하단에 전원 코드가 배치되어, 외부에서 교류 100 볼트 등의 전원을 공급한다.
도 19는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부착부를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은, 변기(800)의 뒤측에 고정된 변기측 베이스 플레이트(760)에 의해 지지되고, 급수 배관(735)을 통하여 변기(800)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800)의 상면에는 본체(400)의 부착 기판(770)이 고정된다.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은 부착 기판(770)에 마련된 개구(775)를 관통하여 그 위쪽으로 돌출한다.
도 21은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이들 요소를 뒤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부착 기판(770)에 직립 설치된 복수의 핀(772) 상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부착 기판(770)으로부터 공간을 두고 있고, 그 공간에 급수 배관(735)이 배치되어 있다. 즉,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급수 배관(735)의 하나의 관을 걸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은 본체(400)의 후측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유닛(610)과 같은 변기 장치(100)의 기능 부품은, 부착 기판(770)의 전측과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의 아래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변기 장치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한다. 본 예에 의하면, 도 17 및 도 18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유닛(610), 온풍 유닛(620), 탈취 유닛(630), 펌프 유닛(650), 열 교환 유닛(660), 밸브 유닛(690)이 본체(40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보체(400)의 후측에는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이 내장되어 있고, 이에 인접하여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이 본체(400)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본체(400)의 후측에 설치함으로써, 변기 덮개(300)를 본체(400)의 후측부에서 피벗 지지하여, 변기 덮개(300)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본체(400)의 상면의 대략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핀(772)에 의해 부착 기판(770)의 위쪽으로 들어올려, 그 아래쪽에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에 접속되는 급수 배관(735)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복수의 핀(772)에 의해 부착 기 판(77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대신에,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에 복수의 긴 레그를 설치하여 부착 기판(77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을 본체(400)의 후측에 내장하고, 그 위쪽에 인체 검지 센서(500)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체(400)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하면서, 인체 검지 센서(500)를 본체(400)의 상면에 설치할 수 있고,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투과창(310)을 통해 넓은 범위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검지 센서(500)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의 위쪽이 아니라,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의 위쪽에 설치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과 변기 세정 밸브 유닛(730)을 본체(400)의 후측에 내장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위쪽에 인체 검지 센서(500)를 설치함으로써, 본체(400)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하면서, 투과창(310)을 통해 인체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덮개(300)를 설명한다.
도 23은 변기 시트 장치를 옆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 장치(100)의 변기 덮개(30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변기 덮개(300)의 무게 중심(G)은 그 회전축(C) 위의 수직 상향으로 폐쇄측에 위치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변기 덮개(300)의 무게 중심(G)은 그 회전축(C)에서의 수직선(V)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 장치(100)에서, 변기 덮개(300)는 완전 개방되어 있을 때에, 그 배면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 컨대 변기 덮개(300)의 후방에 화장실의 창틀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는, 소위 "하부 탱크식(low-tank type)"의 변기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변기 덮개(300)는 그 회전축(C)의 수직 위쪽보다 폐쇄측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기 시트 장치(100)에서, 변기 덮개(300)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 때에, 그 배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24는,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가 탑재된 변기 장치가 화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4a는, 변기 덮개(300)의 무게 중심(G)이 그 회전축(C)에서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점까지 개방된 변기 덮개(300)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예의 변기 장치는, 소위 "수도 직압식"이기 때문에, 하부 탱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변기 장치를 화장실의 뒷벽(950)에 근접시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실의 뒷벽(950)이 평탄하면, 변기 덮개는, 변기 덮개(300)와 뒷벽(950)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남기고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화장실 뒷벽(950)에, 창틀이나 장식 액자와 같은 돌출체(9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 덮개(300)는 완전 개방 상태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므로, 돌출체(96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변기 덮개(300)를 개방할 때마다 발생하는 돌출체(960)와 변기 덮개(300)의 충돌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변기 덮개(300)에 흠집이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화장실의 뒷벽(950)에 설치되는 창틀이나 장식 액자 등의 돌출량, 즉 두께는 대부분의 경우에, 20 밀리미터 이내이다. 따라서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는, 도 23a에 나타낸 각도 θ를 대략 7˚로 설정함으로써, 돌출체(96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변기 덮개(300)의 무게 중심(G)이 그 회전축(C)에서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약 7˚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대부분의 경우에 돌출체(960)와 변기 덮개(300)의 충돌을 방지하여,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변기 덮개(300)의 회전축(728)은 본체(400)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다. 변기 덮개(300)에는 슬릿형으로 개구된 피벗 지지부(3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벗 지지부(370) 내로 회전축(728)을 삽입함으로써, 변기 덮개(300)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다. 한편, 본체(400)의 회전축(728)의 기단부에는 스토퍼(480)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 덮개(300)를 개방하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구단(372)이 스토퍼(480)에 접촉하여, 개방단 각도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방단 각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00)의 회전축(728)의 후방에는, 수광창(580)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창부이다.
도 27은 변기 덮개(300)를 전기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될 수 있는 변기 덮개 개폐 유닛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예의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본체(400)에 내장될 수 있고, 그 회전축(728)은 모터(7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 구동 기구는 모터(721)의 회전 출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기구(722), 인가되는 최대 토크를 규제하는 토크 리미터(723), 회전축(728)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각도 스토퍼(724), 회전축(728)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부(725), 그리고 회전축(728)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어시스트 스프링(탄성체)(726)을 포함한다. 감속 기구(722)는 회전 검출부(722A), 헬리컬 기어(722B), 웜 기어(722C), 스퍼 기어(722D), 유성 기어(722E)를 포함한다.
이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이용함으로써, 변기 덮개(300)를 전기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변기 덮개(300)는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 개폐의 경우든 수동 개폐의 경우에든, 어시스트 스프링(726)을 설치하여, 변기 덮개(300)를 가볍게 개방할 수 있고, 도 23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에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8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와, 변기 덮개(300)의 중량에 의해 회전축(728)에 가해지는 토크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의 경우에,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 무게 중심(G)은 회전축(C)에서의 수평선(H)보다 수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변기 덮개(300)를 개방하면, 무게 중심(G)이 수평선(H) 상에 왔을 때에, 변기 덮개(300)의 중량의 모멘트에 의한 회전축(728)에서의 토크는 최대값 Tmax를 취한다. 변기 덮개(300)가 더 개방되면, 그 중량 모멘트에 의한 토크는 서서히 감소한다. 어시스트 스프링(726)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무게 중심(G)이 회전축(728)의 수직 위쪽, 즉 수직선(V)(도 23) 위에 왔을 때(θ0)에, 토크가 제로로 된다. 즉, 이 각도(θ0)에서, 변기 덮개(300)는 중립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기 덮개(300)의 개방단 각도가 그 중립 각도(θ0)보다 작다. 즉, 도 25 및 도 26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단 각도는 스토퍼(480)에 의해 θ0보다 작아지게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시스트 스프링(726)이 변기 덮개(30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축(728)을 압박하고 있다. 어시스트 스프링(726)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에 대하여 서서히 저하하는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어시스트 스프링(726)을 설치함으로써, 변기 덮개(300)의 중량 모멘트에 의한 토크는 경감된다. 즉, 변기 덮개(300)의 중량 모멘트에 의한 토크로부터 어시스트 스프링(726)의 토크를 뺀 나머지가, 변기 덮개(300)를 개폐하는 데에 필요한 토크가 된다. 따라서 이들 토크가 균형을 이루는 각도 θ1에서, 변기 덮개(300)는 중립을 유지할 수 있다. 변기 덮개(300)가 θ1보다 개방되면, 회전축(728)에는 개방 방향의 토크가 가해진다. 즉, 변기 덮개(300)를 θ1보다 많이 개방하면, 변기 덮개(300)는 자동적으로 개방단 각도까지 개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23a에 나타낸 변기 덮개(300)의 최대 개방 각도는 이 각도 θ1보다 큰 각 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변기 덮개(300)가 스토퍼(480)(도 25 및 도 26)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는, 어시스트 스프링(726)의 압박력에 의한 토크가 변기 덮개(300)의 중량 모멘트에 의한 토크보다 크다. 이와 같이 하면, 완전 개방 상태에서, 변기 덮개(300)는 어시스트 스프링(726)에 의해 스토퍼(480)를 향해 압박되고,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동식의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에 어시스트 스프링(726)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시스트 스프링(726)은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설치하지 않고 수동 조작만으로 변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경우에도, 유사한 어시스트 스프링을 설치하여 변기 덮개(300)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도 23a에 나타낸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은, 그 감속 기구(722)에 설치된 회전 검출부(722A)와, 회전축(728)의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부(725)를 이용함으로써, 변기 덮개(300)의 위치와 동작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들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본체(400)에 내장된 제어부(640)(도 17)는 변기 덮개(300)의 개방단 각도를 알 수 있다. 예컨대, 개방 시에 변기 덮개(300)가 개방단 각도에 도달하면, 모터(721)의 회전이 정지하는데, 이는 감속 기구(722)의 회전 검출부(722A)에 의해 검지된다. 또한, 각도 검출부(725)에 의해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변기 덮개(300)를 개방할 때에, 변기 덮개(300)는, 그 개방 각도에 근접함에 따라서 속도가 저하되고, 천천히 개방단 각도에 도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컨대 도 24b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돌출체(960)의 돌출량이 큰 화장실에 본 예의 변기 장치를 화장실에 설치하고, 처음으로 동작시킬 때에,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알 수 있다. 그 다음 동작부터는, 변기 덮개(300)가 돌출체(960)에 세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예의 변기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후, 화장실의 뒷벽에 돌출량이 큰 장식 액자를 추가로 배치한 경우에도, 변기 시트 장치(100)는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새로이 기억하여, 다음번의 동작부터는 이에 세게 충돌하지 않도록 변기 덮개(300)의 열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9는, 변기 시트(200)와 변기 덮개(300)를 동시에 개방한 경우의 본 예의 변기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시트(200)와 변기 덮개(300)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변기 시트(200)를 수동으로 개방할 경우에는,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는 변기 시트(200)에 의해 압박되어 동시에 개방된다. 그 후, 도 2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시트(200)가 완전히 개방되면, 변기 덮개(300)는 도 23에 나타낸 완전 개방 상태에 비하여 대략 10˚전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도 27 및 도 28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어시스트 스프링(726)의 압박력으로 인하여, 변기 덮개(300)는 폐쇄되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7을 참고로 전술한 변기 덮개 개폐 유닛(720)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 각도 검출부(725)를 사용하여 변기 덮개(300)가 도 29c에 나타낸 각도까지 개방된 것을 검지할 수 있고, 그 후, 모터(721)를 구동 제어하여 변기 덮개(300)를 개방단 각도까지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변기 덮개(300)의 개방단 각도를 규제함으로써 얻어지는 다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기 덮개(300)를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유지함으로써, 유리하게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을 확실하게 수광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예의 리모콘(900)은 본체(902)와 이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된 커버(904)를 갖는다. 도 30은 커버(904)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1은 커버(904)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체(902) 및 커버(904)에는 각각 스위치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이들 스위치를 조작하여, 변기 시트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기 시트 장치(100)의 본체(400)로의 지령 신호는 리모콘의 상부의 양단에 설치된 적외선 발광부(906)로부터 송신된다.
도 32 및 도 33은 본체(400)에 설치된 수광창(58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2는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의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로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체(4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는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 거의 전체가 변기 덮개(300)에 의해 덮여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깔끔한 외관을 얻고,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리모콘(900)으로부터의 적외선은 수광해야 한다. 따라서 도 25, 도 26,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변기 덮개(300)의 피벗 지지부의 후방에 하향 단차를 설치하고, 이 단차에 수광창(580)을 설치하고 있다. 이 위치에 수광창(580)을 설치한 경우에는, 변기 덮개(30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변기(800)의 정면에 서는 사용자에게 수광창(580)은 거의 보이지 않으므로, 깔끔한 외관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 덮개(300)를 개방단 각도로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유지함으로써,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을 확실하게 수광할 수 있다.
도 34는 리모콘(9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의 경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화살표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R)은 리모콘(900)에 설치된 적외선 발광부(906)로부터 위쪽을 향해 방출된다. 방출된 적외선은 화장실의 천장에서 반사되어 본체(400)를 향한다. 그러나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가 크면, 천장에서 반사된 적외선은 변기 덮개(300)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400)의 수광창(580)에 도달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도 35는 적외선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가 크면, 화장실의 천장에서 반사된 적외선(R)은 변기 덮개(300)에 의해 차단되기 쉬워진다. 특히, 변기 장치를 화장실의 뒷벽(950)에 근접시켜 배치한 경우에는,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가 클 때에, 변기 덮개(300)와 화장실의 뒷벽(950)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어진다. 이 때문에, 천장에서 반사된 적외선(R)은 변기 덮개(300)의 뒤측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수광창(580)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와 달리, 도 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되도록 하면, 변기 장치를 뒷벽(950)에 근접시켜 설치한 경우에도, 변기 덮개(300)가 뒷벽(950)으로부터 이격되어 충분한 간극이 발생한다. 그 결과로서, 천장에서 반사된 적외선(R)은 변기 덮개(300)의 이면에 들어갈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또는 변기 덮개(300)와 뒷벽(950) 사이에서 반사를 적절하게 반복하면서 수광창(58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 덮개(300)가 변기 시트 장치(100)를 거의 전체적으로 덮으면서,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리모콘(900)으로부터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고,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변기 시트 장치(100)에 램프를 설치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6은 본 변형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의 변기 덮개(300)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는 본체(400)의 상측부 후방에 램프(792)를 갖는다.
도 37은 램프(792)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792)는 본체(400)의 표면과 대략 동일면에 매설된 창(793)의 내측에 LED(light emitting diode)(794)를 포함한다. LED(794)로부터 방출된 광은, 창(793)을 통해 화장실 룸의 천장을 향해 취출된다. 이 광은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기 덮개(300)의 폐쇄 상태에서도,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기 덮개(300)의 개방 상태에서도, 외부로 취출되어,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램프(792)는, 예컨대 동작 준비 중에 점멸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기 덮개(300)는 완전 개방되어 있을 때에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유지되며, 이로써 램프(792)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램프(792)는 변기 덮개(300)의 전방(도 23 참조)에 위치되어 있다. 즉, 변기 덮개(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광은 그 전방에서 램프(792)로부터 방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광의 일부는 변기 덮개(300)의 이면(30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도 38은 램프(792)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기 덮개(300)가 개방 상태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램프(792)로부터 방출된 광(L)의 일부는 변기 덮개(300)의 이면(302)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을 향해 퍼진다. 마찬가지로, 광은, 변기 덮 개(300)의 주위에 절곡되어 세워져 설치되어 있는 측벽(303)(도 1 참조)의 내측 표면에서도 반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변기 시트의 이면(302) 및 측벽(303)의 내측 표면에서 반사된 광(L)은 화장실의 벽에 설치된 리모콘(900)을 조사한다. 즉,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보았을 때, 후방으로부터의 부드러운 광에 의해 리모콘(900)의 조작 패널을 조사할 수 있다. 야간에 수면 중에 깨어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화장실의 조명에 의해 눈이 부실 수도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에도, 본체(400)에 설치된 램프(79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변기 덮개(30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반사되어, 리모콘(900)의 조작 패널을 적절한 밝기로 조사하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9는 변기 덮개(300)와 변기 시트(200)를 개방한 상태의 본 예의 변기 시트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예에서, 본체(400)는 변기(800)의 보울(810)의 개구단에 적합하게 후퇴된 형상을 갖는다. 즉, 본체(400)는 변기(80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고, 그 전면(前面)은 변기(800)의 보울(810)의 개구단의 형상을 따라 보울(810)의 개구단으로부터 보울(810)을 향하여 약간 돌출하도록 오목하게 만곡된 만곡 오목면(402)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 오목면(402)의 좌우에는, 보울(810)의 개구단을 따라 전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404)가 설치되어 있다. 만곡 오목면(402)은 그 중앙 부근이 높고, 연장부(404)를 향할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만곡 오목면(402)의 중앙 부근의 높은 부분에는 토수 노즐을 진출 및 후퇴시키는 개구부 및 그 개구부를 덮는 폐쇄 부재로서의 노즐 댐퍼(460)가 설치되어 있다. 그 우측에는, 온풍 분출구 및 온풍 분출구를 덮는 폐지 부재로서의 온풍 댐퍼(4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대기 중에는 모두 폐쇄된 상태로 있다. 토수 노즐이 변기 시트(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하기 위해 진출하면, 노즐 댐퍼(460)가 개방된다. 온풍 유닛(620)으로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향해 온풍을 송풍할 때에는, 온풍 댐퍼(470)가 개방된다.
본체(400)의 전면을 후퇴시켜 만곡 오목면(402)을 형성함으로써,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중에도 소변이 잘 튀지 않아,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협착감을 부여하지도 않는다. 만곡 오목면(402)의 중앙 부근을 높게 함으로써,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중에 본체(400)에 소변이 튀었다고 해도, 만곡 오목면(402)의 중앙 부근의 높은 부분에서 소변을 받아 보울(810)에 낙하시킬 수 있다. 즉, 소변이 본체(400)의 경사면(408)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소변에 의한 오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체(400)를 후퇴시킴으로써, 본체(400)의 이면에 오물이 부착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고, 청소성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 따르면, 변기(800)의 전방에 앉은 사용자는, 보울(810)의 후단 림부의 상단 부근까지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자세로 있는 사용자는, 걸레나 브러시를 이용하여 보울(810)의 후단까지 청소할 수 있고, 오물이 제거되어 깨끗해진 것 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울(810) 위로의 본체(400)의 돌출량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그 돌출부의 이면측에 부착된 오물을 청소하는 것도 용이하다. 예컨대,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중에, 사용자는 본체(400)의 이면측에 걸레를 대고, 좌우로 빨리 닦아낼 수 있다.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9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수도 직압식뿐만 아니라, 하부 탱크를 탑재한 변기에 설치된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9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예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의 구조 및 동작도,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유사하게 실시하고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경한 것들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에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변기 덮개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덮일 수 있고, 인체 검지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 덮개를 개방할 때에 후방의 물체와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변기 시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토수구(吐水口)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토수 노즐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변기 시트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시트 및 상기 본체의 상면을 대략 전체적으로 덮는 변기 덮개와,
    상기 변기 덮개의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 덮개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투과창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창을 통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인체 검지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검지 센서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적외선을 검지하는 초전 소자(pyroelectric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토수 노즐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변기 시트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으로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변기 시트 및 상기 본체의 상면을 대략 전체적으로 덮는 변기 덮개와,
    상기 변기 덮개의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 덮개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변기 덮개보다 얇은 창부를 갖는 투과창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창을 통해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인체 검지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인체 검지 센서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렌즈와, 상기 적외선을 검지하는 초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는, 주위에 비하여 오목하게 된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매립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렌즈는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창의 창부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상기 변기 덮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는 그 후단(rear edge)에 마련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투과창의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측벽 중 어느 한쪽에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투과창의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측벽 중 다른 쪽에 레일 홈이 마련되며,
    상기 투과창은, 상기 레일이 상기 레일 홈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변기 덮개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과 상기 개구부 중 어느 한쪽에 결합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투과창과 상기 개구부 중 다른 쪽에 결합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 볼록부는, 상기 투과창이 상기 변기 덮개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좌변기와,
    제1항에 기재한 위생 세정 장치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변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전동식 변기 덮개 개폐 장치와, 상기 좌변기에 대한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변기 세정 밸브를 내장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는, 상기 전동식 변기 덮개 개폐 장치 및 상기 변기 세정 밸브 중 어느 하나의 위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를 개폐하는 전동식 변기 덮개 개폐 장치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 세정 밸브와 상기 전동식 변기 덮개 개폐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단차부(step)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덮개의 측면이 상기 단부에 정합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과 상기 변기 덮개의 측면이 대략 연속된 동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변기 덮개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의 무게 중심이 상기 변기 덮개의 상기 회전축의 수직 위쪽보 다 폐쇄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기 덮개의 개방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변기 덮개를 개방측으로 압박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덮개는 상기 폐쇄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덮개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의 압박력에 의한 토크는 상기 변기 덮개의 중량 모멘트에 의한 토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변기 덮개의 피벗 지지부 뒤에 설치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KR1020087022533A 2006-02-13 2007-02-13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KR20080111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4730 2006-02-13
JP2006034730A JP3931920B1 (ja) 2006-02-13 2006-02-13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6034731 2006-02-13
JPJP-P-2006-00034731 2006-02-13
JPJP-P-2006-00152868 2006-05-31
JP2006152868A JP4999049B2 (ja) 2006-05-31 2006-05-31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455A true KR20080111455A (ko) 2008-12-23

Family

ID=3837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533A KR20080111455A (ko) 2006-02-13 2007-02-13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2607B2 (ko)
EP (1) EP2005872B1 (ko)
KR (1) KR20080111455A (ko)
TW (1) TW200745421A (ko)
WO (1) WO20070943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69B1 (ko) * 2022-02-17 2023-02-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변기 내부 자동 살균 및 세척장치와 자동 살균 및 세척방법
KR20230123662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1368B2 (en) * 2005-07-26 2011-07-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and drying apparatus
JP5633267B2 (ja) * 2009-09-30 2014-12-0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660106B2 (ja) * 2012-11-09 2015-01-28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US9212477B2 (en) 2013-09-05 2015-12-15 Ilan Tiagai Electronic automatically adjusting bidet with visual object recognition software
US10465366B2 (en) 2014-05-27 2019-11-05 As America, Inc.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WO2015183936A1 (en) 2014-05-27 2015-12-03 As Ip Holdco, Llc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DE102015106220A1 (de) * 2015-04-22 2016-10-27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äreinrichtung
JP6617910B2 (ja) * 2015-07-30 2019-12-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WO2017165349A1 (en) * 2016-03-22 2017-09-28 Spectrum Brands, Inc.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WO2017170349A1 (ja) *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JP6249309B1 (ja) * 2016-08-17 2017-12-2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249061B1 (ja) * 2016-08-17 2017-12-2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183516B1 (ja) 2016-08-17 2017-08-23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800424B2 (ja) * 2016-08-23 2020-12-16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2018031140A (ja) * 2016-08-23 2018-03-01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800425B2 (ja) * 2016-08-23 2020-1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06108760B (zh) * 2016-08-25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
WO2018140634A1 (en) 2017-01-25 2018-08-02 As Ip Holdco, Llc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JP6443771B2 (ja) * 2017-02-01 2018-12-26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447889B2 (ja) 2017-02-02 2019-01-09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18122029A (ja) * 2017-02-03 2018-08-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N107174159A (zh) * 2017-05-27 2017-09-19 厦门致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光智能坐便器自动控制装置及自动控制方法
CN108685518B (zh) * 2018-05-29 2020-07-07 宁波市晶杰国际物流有限公司 智能马桶盖换垫纸装置
CN109056947A (zh) * 2018-11-02 2018-12-21 济宁衍利博机械有限公司 不插电源的智能马桶
CN110151041B (zh) * 2019-04-03 2024-02-06 台州艺马卫浴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盖
CN110269536A (zh) * 2019-04-24 2019-09-24 天津幻丝眼镜有限公司 一种自动马桶提盖器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34A (ja) * 1984-06-29 1986-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651698B2 (ja) 1988-04-25 1997-09-10 加藤電機株式会社 便座や便蓋等の自動開閉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軸受装置及び洋式便器装置
CN2060915U (zh) 1989-07-06 1990-08-22 长春康力公司 红外线探测装置
JPH0424219A (ja) 1990-05-15 1992-01-28 Kanebo Ltd 防虫性アクリル系合成繊維
JPH0424219U (ko) * 1990-06-21 1992-02-27
JP3428023B2 (ja) * 1994-02-10 2003-07-22 東陶機器株式会社 着脱容易な便座を備えたトイレット付属装置
US5548119A (en) * 1995-04-25 1996-08-20 Sloan Valve Company Toilet room sensor assembly
US5878444A (en) * 1996-06-25 1999-03-09 T.C. Everdown Limited Toilet seat
JP3223960B2 (ja) * 1997-09-19 2001-10-29 船井電機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の筐体構造
JP4144055B2 (ja) 1997-12-15 2008-09-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1107435A (ja) * 1999-10-08 2001-04-17 Toto Ltd 便蓋装置
DE60029820T2 (de) * 1999-11-29 2007-10-31 Inax Corp., Tokoname Spülkastenloses WC
US6219857B1 (en) * 1999-12-16 2001-04-24 Hydrotek Corporation Sensor device for use with a flush valve
US6757917B2 (en) * 2001-01-22 2004-07-06 Seat One, Inc. Low maintenance hygienic toilet seat
JP2003038389A (ja) * 2001-07-30 2003-02-12 Aisin Seiki Co Ltd 衛生洗浄便座装置
WO2003065866A1 (fr) * 2002-02-08 2003-08-14 Toto Ltd. Dispositif d'ouverture/de fermeture automatique pour siege de toilette ou pour couvercle de toilette
JP2004065540A (ja) * 2002-08-06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JP4442074B2 (ja) * 2002-02-19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2003265360A (ja) 2002-03-14 2003-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JP4132895B2 (ja) 2002-03-18 2008-08-13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JP2003301498A (ja) * 2002-04-12 2003-10-24 Aisin Seiki Co Ltd 温水洗浄便座装置
JP4228584B2 (ja) * 2002-04-25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ダンパー
KR101104458B1 (ko) * 2002-08-29 2012-01-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JP2004232404A (ja) * 2003-01-31 2004-08-1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CA2458063C (en) * 2003-02-20 2013-04-30 Arichell Technologies, Inc. Toilet flushers with modular design
JP4314846B2 (ja) 2003-03-06 2009-08-19 株式会社Inax 便蓋装置
JP2004275268A (ja) 2003-03-13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
JP2005177223A (ja) 2003-12-22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JP4400333B2 (ja) * 2004-06-18 2010-01-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のリモコン
FR2877362B1 (fr) * 2004-10-28 2007-02-23 Jcdecaux Sa Module sanitaire a nettoyage automatique comportant une cuvette et un dossier mobiles par basculement
US7971368B2 (en) * 2005-07-26 2011-07-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and drying apparatus
FR2911156B1 (fr) * 2007-01-04 2012-07-20 Ramez Ghadri Equipement de cuvette wc avec aspiration et filtration de l'air.
JP5601570B2 (ja) *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2305903A1 (en) * 2009-09-28 2011-04-06 Toto Ltd.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JP4572999B1 (ja) * 2010-01-15 2010-11-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69B1 (ko) * 2022-02-17 2023-02-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변기 내부 자동 살균 및 세척장치와 자동 살균 및 세척방법
KR20230123662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17447A1 (en) 2009-09-03
EP2005872B1 (en) 2015-10-21
EP2005872A2 (en) 2008-12-24
WO2007094323A1 (ja) 2007-08-23
EP2005872A9 (en) 2009-07-08
TWI378171B (ko) 2012-12-01
US8082607B2 (en) 2011-12-27
EP2005872A4 (en) 2011-03-23
TW200745421A (en) 200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1455A (ko) 위생 세정 장치 및 변기 장치
JP3931920B1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999049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732144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889100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11445869B2 (en) Toilet seat assembly
JP4509810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731511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WO2007129714A1 (ja) 便座装置
JP4847816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840979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664237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7321441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483572Y1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20150123083A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JP6805807B2 (ja) トイレユニット
JP5511123B2 (ja) トイレ装置
JP3894456B1 (ja) トイレ装置
JP5028916B2 (ja) トイレ装置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5515416B2 (ja) 便座装置
JP7449725B2 (ja) 便器装置
JP2013060766A (ja) 便座装置
JP2009039260A (ja) 便座装置
JP4094461B2 (ja) 便器装置
JP2022177894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628

Effective date: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