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010A -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010A
KR20080106010A KR1020080046688A KR20080046688A KR20080106010A KR 20080106010 A KR20080106010 A KR 20080106010A KR 1020080046688 A KR1020080046688 A KR 1020080046688A KR 20080046688 A KR20080046688 A KR 20080046688A KR 20080106010 A KR20080106010 A KR 2008010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ilm
insulating
hole
low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005B1 (ko
Inventor
료 구보타
노부타카 나가이
사토시 구라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에 걸쳐 적층된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를 통해 연장되는 홀을 형성하고; 홀의 내벽의 사이드-에칭이 절연 중간층 부분에 특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여,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제 1 절연막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측면 및 후면에 걸쳐, 및 홀의 내벽 및 저면에 걸쳐 연장하는 하부 전극막을 형성하고; 홀 내에 보호막을 충전하고;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서 일부분씩 특이적으로 하부 전극막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고; 홀 내에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소자가 제조된다.
반도체 소자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 2007-143146호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나믹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의 메모리 셀은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DRAM의 커패시터의 구조는 반도체 소자의 축소에 따라 극적으로 변하였다. 메모리 셀에 대한 커패시터는 플랫형, 적층형, 실린더형, 트렌치형 등에 의해 예시되는데, 더 높은 집적화에 가장 적합한 커패시터로서 실린더형 커패시터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린더형 커패시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스텝 커버리지 하에서 실린더형으로 패터닝된 홀을 커버하도록, 하부 전극, 절연막 및 상부 전극을 이 순서로 적층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커패시터 부분은 홀을 패터닝한 이후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형 커패시터는 인접한 DRAM 메모리 셀 사이에서 단락을 일으 킬 가능성이 적고, 따라서 대규모 집적화에 적합하다. 그렇지만, 축소화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비록 실린더형이라 하더라도 커패시터가 충분한 수준의 커패시턴스를 보장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어서, 커패시턴스를 어떤 식으로든 증가시키는 기술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H11-87650호는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기술한다.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5A 내지 6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단,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절연막(180)이 실리콘 기판(110)에 걸쳐 형성되고, 접촉부(190)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절연 중간층(120)은 이후 그 위에 형성되고(일반적으로 500 nm부터 1.2 μm 정도의 두께로), 포토레지스트 막을 통해 패터닝되어, 홀(130)을 형성시킨다.
이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하부 전극막(141)이 형성된다.
절연 중간층(120) 상에 떨어지는 하부 전극막(141) 부분은 인접한 DRAM 메모리 셀 사이의 단락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하부 전극막(141)을 제거하는 가능한 방법은 에치백(etchback) 및 CMP(화학기계적 연마)에 기초한 것을 포함한다.
에치백에 기초한 방법에서, 홀(130)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막(170)으로 충전되어, 홀(130) 내 하부 전극막(141)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 막은 보호막(170)으로서 사용된다. 이 구성에서, 보호막(170)(포토레지스트 막)은 만약 막이 그 형성 이후 광에 적절히 노출된다면, 단 지 홀(130) 내부에만 남겨질 수 있다. 보호막(170)은 하부 전극막(141)이 에치백된 후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하부 전극막(141)의 일부는 제거되고, 이에 의해 도 5D에 나타낸 상태가 얻어질 수 있다.
다음,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도전성 상부 전극(143)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이후 포토레지스트 막을 사용하여 패터닝되어, 도 6B에 나타낸 구조를 얻는다. 비록 편의상 도면은 단지 단일 DRAM 메모리 셀에 대한 패터닝만 나타내지만, 실무상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다른 DRAM 메모리 셀을 공통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나타낸 실린더형 커패시터(140)를 형성하도록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반도체 소자를 얻는다.
일본 공개 특허 제 H11-87650호는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소자를 기술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96039호는 하부 전극막 등이 에칭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CMP를 사용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도 5A 내지 5D 및 도 6A 내지 6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공정에 있어서 에치백에 의해 하부 전극막은 제거되기 때문에, 이 방법은 홀(130)의 내벽에 걸쳐 형성된 하부 전극막(141)의 상부 말단부가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 치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는 문제를 일으켰다. 그러한 불일치성은 하부 전극막(141)의 표면적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를 일으켰다. 비록 보호막(170)(포토레지스트 막)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130)을 완전히 채우도록 형성되더라도, 에치백에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의 손실 또는 제거를 회피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제 2000-19603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CMP 공정은 먼지 또는 스크래칭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커패시터 막을 통한 누출에 민감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현재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에 걸쳐 절연 중간층 및 제 1 절연막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을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을 연장되는 홀을 형성하고;
홀의 내벽의 사이드-에칭이 절연 중간층 부분에 특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여,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제 1 절연막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측면 및 후면에 걸쳐, 및 홀의 내벽 및 저면에 걸쳐 연장하는 하부 전극막을 형성하고;
홀 내에 보호막을 충전하고;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에 걸쳐 일부분씩 특이적으로 하부 전극막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고; 및
커패시터 절연막 및 상부 전극을 이 순서로, 홀 내에 및 하부 전극막에 걸쳐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절연막은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 떨어지는 하부 절연막의 부분들이 제거될 때 홀의 상부에서 하부 절연막의 상부 말단부가 손실 또는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에 걸쳐 형성된 절연 중간층;
절연 중간층에 걸쳐 형성된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 및 제 1 절연막을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홀 내에 충전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실린더형 커패시터는 하부 전극막, 커패시터 절연막 및 상부 전극을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및
하부 전극막의 상단면은 홀의 상부에서 제 1 절연막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는 반도체 소자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절연막은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 도록 구성되고, 하부 전극막의 상단면은 홀의 상부에서 제 1 절연막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어, 하부 전극막의 상단부가 홀의 상부에서 손실 또는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전극막은 그 표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형 커패시터 내에 함유된 하부 전극막의 상단부의 손실 또는 제거를 억제할 수 있다.
본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다음 기술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예시적 구체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기술한다. 본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사용하여 수많은 변형 구체예가 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설명의 목적으로 예시된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
아래의 문단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가 주어짐을 유의한다.
(제 1 구체예)
반도체 소자(100)는 반도체 기판(110), 그 위에 형성된 제 2 절연막(180), 그 위에 형성된 절연 중간층(120), 그 위에 형성된 제 1 절연막(150),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된 홀(130) 내에 충전된 실린더형 커패시터(140), 및 그 위에 형성된 절연막(160)을 포함한다(도 2D).
도 2D에 나타낸 반도체 소자(100)는 도 6C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비슷하지만, 제 1 절연막(150)이 홀(130)의 내벽의 상부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마스크로서 작용하는 점이 다른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린더형 커패시터(140)는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을 통해 연장하여 형성된 홀(130) 내에 매립된다. 실린더형 커패시터(140)는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을 하부 전극막(141)에 걸쳐 이 순서로 적층되어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면은 홀(130)의 상단부에서 제 1 절연막(150)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된다.
하부 전극막(141)은 홀(130)의 내벽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전극막(141)은 절연 중간층(120)과 커패시터 절연막(142) 사이에서, 홀(130)의 내벽을 따라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면은 제 1 절연막(150)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된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홀(130)의 상부에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가 에치백에 의해 제거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는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면은 제 1 절연막(150)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어,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의 손실 또는 제거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전극막(141)의 표면적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전체 하부 전극막(141) 중, 홀(130)의 내벽의 상부에서 하부 전극막(141)의 최소한 상단 면이 제 1 절연막(150)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면 충분히 양호할 수 있다.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은 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은 자신들을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는 홀(130)을 갖는다.
제 1 절연막(150)은 절연 중간층(120)에 걸쳐 형성되고, 에지로부터 홀(130)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절연막(150)은 홀(130)의 개구 중심 쪽으로 돌출하고, 홀(130)의 단부를 커버하는 차양의 형태를 갖는다. 이 기하학 덕분에, 홀(130)의 내벽의 상부에서 형성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를 에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110)과 절연 중간층(120)의 사이에 제 2 절연막(180)이 제공된다. 제 2 절연막(180)은 그 내부에 형성된 접촉부(190)를 갖는다. 접촉부(190)는 실린더형 커패시터(140)에 의해 속하는 하부 전극막(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촉부(190)의 주변은 장벽 금속으로 커버된다. 접촉부(190)는 에칭에 의해 제거가능하지 않은 재료로 구성되면 충분히 양호할 수 있다. 접촉부(190)를 구성하는 그러한 금속은 구리, 텅스텐 등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 및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A) 반도체 기판에 걸쳐 절연 중간층 및 제 1 절연막을 이 순서로 적층하는 단계;
(B)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을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1 절연막 및 절연 중간층을 통해 연장되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
(C) 홀의 내벽의 사이드-에칭이 절연 중간층 부분에 특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여,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제 1 절연막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D)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측면 및 후면에 걸쳐, 및 홀의 내벽 및 저면에 걸쳐 연장하는 하부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E) 홀 내에 보호막을 충전하는 단계;
(F)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서 일부분씩 특이적으로 하부 전극막을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H) 커패시터 절연막 및 상부 전극을 이 순서로, 홀 내에 및 하부 전극막에 걸쳐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단,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 2 절연막(180)이 실리콘 기판(110)에 걸쳐 형성되고, 접촉 홀이 제 2 절연막(180)을 통해 연장하여 형성되고, 접촉부(190)가 접촉 홀 내에 형성된다. 그 위에 추가로, 절연 중간층(120)(일반적으로 500 nm부터 1.2 μm 정도의 두께로), 및 제 1 절연막(150)이 이 순서로 적층된다. 다음, 포토레지스트 막이 제 1 절연막(150) 상에 패터닝되고,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은 공지의 에칭 방법에 의해 상기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 막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이에 의해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을 통해 연장되는 홀(130)을 형성한다.
제 2 절연막(180)을 구성하는 재료는 질화 실리콘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다음,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130)의 내벽은 절연 중간층(120)의 부분에서 특이적으로 측면 에칭되어, 홀(130)의 에지로부터 홀(130)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제 1 절연막(150)을 갖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절연막(150)은 홀(130)의 에지로부터, 홀(130)의 내부(중심 쪽)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돌출부의 길이, 즉, 홀(130)의 에지로부터 내부쪽 돌출부의 말단까지 측정된 돌출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전극막(141)의 두께와 같다. 돌출부가 홀(130)의 내벽의 상부에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면을 커버하기에 충분한 만큼만 긴 길이를 가져도 충분히 양호할 수 있다. 더욱 특이적으로, 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nm 정도이다. 이 구성으로 인해,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는 손실 또는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
습윤 에칭에 기초한 방법은 절연 중간층(120) 부분의 측면-에칭이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으로서 대표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습윤 에칭을 위해, 희석 불화수소산, 완충된 불화수소산 등과 같이 불화수소산-함유 용액이 바람직하게는 채용될 수 있다.
절연 중간층(120)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산화 실리콘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제 1 절연막(150)을 구성하는 재료는 질화 실리콘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비록 제 2 절연막(18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질화 실리콘 막이 예시되었지만,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대신 절연 중간층(120)의 건조 에칭 또는 측면-에칭에 덜 민감한 어떠한 재료도 가능하다.
제 1 절연막(150)의 두께는 20 내지 100 nm 정도이면 충분하다.
다음,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전극막(141)은 제 1 절연막(150)의 상단면, 측면 및 후면에 걸쳐, 및 홀(130)의 내벽 및 저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전극막(141)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은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막은 하부 전극막(141)을 생성하도록 스퍼터링되는 소정의 재료를 표적으로서 채용함으로써, 또는 질소-함유 대기 하에서 반응성 스퍼터링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1 절연막(150)의 돌출부의 바로 아래 부분에도 막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막(141)을 구성하는 재료는 도전성을 나타내는 재료일 수 있고, 질화티타늄(TiN), 인(phosphorous)-도핑된 폴리실리콘 등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하부 전극막(14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nm 정도일 수 있다. 저항성의 증가는 두께를 10 nm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고, 반면 하부 전극막(141)의 표면적의 감소 및 이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감소는 두께를 80 nm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다음,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막(170)이 홀(130) 내에 충전된다.
보호막(170)을 제공함으로써, 제 1 절연막(150) 상에 있는 하부 전극막(141) 부분이 에치백될 때 홀(130) 내 하부 전극막(141)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막(170)을 구성하는 재료는 포토레지스트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함으로써, 및 공지된 방법에 의해 막을 형성한 후 광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적절히 조사함으로써, 홀(130)은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하부 전극막(141)이 에치백된 이후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다음,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전극막(141)은 제 1 절연막(150)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 있는 부분에서 특이적으로 제거되고, 보호막(170)은 이후 제거된다.
제 1 절연막(150) 상의 하부 전극막(141)을 제거함으로써, 인접한 DRAM 메모리 셀은 단락이 방지된다.
하부 전극막(141)을 제거하는 방법은 에치백에 기초한 방법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에치백에 기초한 종래의 방법은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130)의 내벽의 상부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막(141) 상단부도 에치백될 수 있어서, 하부 전극막(141)의 표면적이 감소하거나, 커패시턴스가 따라서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설사,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막(170)(포토레지스트 막)은 홀(130)을 완전히 충전하도록 형성될 지라도, 이 문제는 해결될 수 없었다. 대조적으로,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하부 전극막(141) 이 에치백될 때 제 1 절연막(150)이 마스크로서 작용하여, 홀(130)의 내벽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하부 전극막(141)의 상단부의 손실 또는 제거가 억제될 수 있다. 결과로서, 하부 전극막(141)의 표면적의 감소 및 이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감소가 억제될 수 있고, 그러므로 그러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에치백 방법은 하부 전극막(141)이 TiN으로 구성되는 경우 트리염화브롬(BCl3)을 사용하는 건조 에칭, 및 막이 인-도핑된 폴리실리콘일 때 염소(Cl2)를 사용하는 건조 에칭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보호막(170)이 포토레지스트 막으로 구성되는 경우, 산소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탄화)가 채용될 수 있다.
다음,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홀(130)을 충전하도록 하부 전극막(141)에 걸쳐 이 순서로 적층된다.
이후,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포토레지스트 막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패터닝되어, 도 2C에 나타낸 구조를 얻는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비록 편의상 단지 단일 DRAM 메모리 셀에 대한 패터닝만 나타내지만, 실무상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다른 DRAM 메모리 셀을 공통적으로 구비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절연막(160)을 형성함으로써, 도 2D에 나타낸 DRAM 커패시터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체예)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는 도 1A 내지 1D 및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 여 설명된 제 1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제 1 절연막(150)이 제거되었다는 점이 제 1 구체예와 다르다(도 3D). 제 1 구체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한 기술은 중복하지 않는다.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일단, 제 1 구체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다. 다음, 하부 전극막(141)의 에치백을 위한 에칭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제 1 절연막(150)이 제거된다(도 3A). 제거 방법은 인산 등을 이용한 습윤 에칭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절연막(150)은 니트리드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이후, 제 1 구체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홀(130)을 충전하도록 하부 전극막(141)에 걸쳐 이 순서로 적층되고(도 3B), 커패시터 절연막(142) 및 상부 전극(143)은 포토레지스트 막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패터닝되어, 도 3C에 나타낸 구조를 얻는다. 추가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절연막(160)을 형성함으로써, 도 3D에 나타낸 DRAM 커패시터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도, 제 1 구체예와 비교하여 커패시턴스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거의 관찰되지 않아서, 제 1 구체예에서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제 3 구체예)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는 제 1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제 2 절연막(180)과 절연 중간층(120) 사이에 제 3 절연막(200)이 형성된다는 점, 및 접촉부(190)가 제 2 절연막(180) 및 제 3 절연 막(200)을 통해 연장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이 제 1 구체예와 다르다(도 4B). 제 1 구체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한 기술은 중복하지 않는다.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100)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일단, 실리콘 기판(110)과 절연 중간층(120)(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제 2 절연막(180) 및 제 3 절연막(200)이 이 순서로 적층된다. 다음,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 3 절연막(200) 및 제 2 절연막(180)이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제 2 절연막(180) 및 제 3 절연막(200)을 통해 연장하는 접촉 홀을 형성하고, 이후 하부 전극막(141)에 접속된 접촉부(190)는 홀(도시되지 않음) 내에 형성된다. 제 3 절연막(200)은 홀이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될 때, 제 2 절연막(180)을 보호하기 위한 에칭 스토퍼 막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하부 전극막(141)은 절연 중간층(120) 내의 절연 중간층(120) 내에서 연속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형 커패시터(140) 내에 포함된다.
다음, 제 1 구체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절연 중간층(120) 및 제 1 절연막(150)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제 1 절연막(150) 및 절연 중간층(120)은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제 1 절연막(150) 및 절연 중간층(120)을 통해 연장되는 홀(130)을 형성하고, 홀(130)의 내벽은 특이적으로 절연 중간층(120) 부분에서 측면 에칭되어, 이에 의해 홀(130)의 에지로부터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제 1 절연막(150)을 갖는 구조물을 형성한다(도 4A). 이후의 공정은 제 1 구체예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되어,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DRAM 커패시터 부분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구체예는 아래의 효과를 일으킨다. 절연 중간층(120) 및 제 2 절연막(180)이 동일한 필름 종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여, 양자의 에칭물은 동등할 것이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구조는 제 3 절연막(200)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아마도 나타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절연막(150) 및 절연 중간층(120)을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 1 절연막(150) 및 절연 중간층(120) 내에 홀(130)이 형성된 때, 및 절연 중간층(120)이 측면-에칭될 때, 제 2 절연막(180)은 과도하게 에칭될 수 있어서, 접촉부(190)가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 접촉부(190)의 돌출부는 전기장의 농축을 유도할 수 있고, 따라서 전류 누출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구체예의 반도체 소자에서, 제 3 절연막(200)은 스토퍼 막으로서 사용되어서, 비록 절연 중간층(120) 및 제 2 절연막(180)이 동일한 필름 종일지라도 제 2 절연막(180)은 에칭은 억제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부(190)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절연막(200)을 구성하는 재료는 질화 실리콘 막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절연막(180) 및 절연 중간층(120)은 공통적으로 산화 실리콘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제 2 절연막(180)에 걸쳐 형성된 제 3 절연막(200)을 갖는 이중층 구조가 본 구체예에서 나타내어졌지만, 제 3 절연막(200)이 최외곽층으로서 제공되는 한, 다층 구조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 제 1 구체예에서와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발명의 구체예는 단지 본발명의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고, 다른 다양한 구성의 채용을 허용한다.
본발명의 상기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남 없이 변조 및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A 내지 1D, 및 도 2A 내지 2D는 본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3D, 및 도 4A 및 4B는 본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5D, 및 도 6A 내지 6C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종래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제조방법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반도체 기판에 걸쳐 절연 중간층 및 제 1 절연막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상기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절연 중간층을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절연 중간층을 통해 연장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의 내벽의 사이드-에칭이 상기 절연 중간층 부분에 특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 1 절연막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측면 및 후면에 걸쳐, 및 상기 홀의 내벽 및 저면에 걸쳐 연장하는 하부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홀 내에 보호막을 충전하고;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서 일부분씩 특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막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고; 및
    상기 커패시터 절연막 및 상기 상부 전극을 이 순서로, 상기 홀 내에 및 상기 하부 전극막에 걸쳐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의 상단면 및 측면 상에서 일부분씩 특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막을 제거한 후, 상기 제 1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걸쳐 절연 중간층 및 제 1 절연막을 이 순서로 적층하기 이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절연 중간층 사이에, 제 2 절연막 및 제 3 절연막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고;
    제 3 절연막 및 제 2 절연막을 이 순서대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 2 절연막 및 상기 제 3 절연막을 통해 연장하는 접촉 홀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접촉 홀 내에서, 상기 하부 전극 막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홀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홀은 에칭 스토퍼 막으로서 상기 제 3 절연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4.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에 걸쳐 형성된 절연 중간층;
    상기 절연 중간층에 걸쳐 형성된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절연 중간층 및 상기 제 1 절연막을 통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홀 내에 충전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홀의 에지로부터 홀의 중심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형 커패시터는 하부 전극막, 커패시터 절연막 및 상부 전극을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하부 전극막의 상단면은 상기 홀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절연막의 돌출부에 의해 커버되는 반도체 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중간층은 산화 실리콘 막인 반도체 소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질화 막인 반도체 소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절연 중간층의 사이에 제 2 절연막 및 제 3 절연막을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절연막 및 제 3 절연막은 상기 하부 절연막에 접속하는, 그 안에 형성된 접촉부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20080046688A 2007-05-30 2008-05-20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43146 2007-05-30
JP2007143146A JP5128851B2 (ja) 2007-05-30 2007-05-30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010A true KR20080106010A (ko) 2008-12-04
KR101016005B1 KR101016005B1 (ko) 2011-02-23

Family

ID=4008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688A KR101016005B1 (ko) 2007-05-30 2008-05-20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85997B2 (ko)
JP (1) JP5128851B2 (ko)
KR (1) KR101016005B1 (ko)
CN (1) CN101315905A (ko)
TW (1) TWI3834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647A1 (en) * 2012-12-14 2014-06-19 Spansion Llc Three dimensional capaci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9392B2 (ja) * 2011-09-02 2015-03-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9309085A (zh) * 2017-07-28 2019-02-05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集成电路以及其制作方法
CN113299651B (zh) * 2020-02-24 2023-06-1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制备方法和半导体结构
CN111968980B (zh) * 2020-08-26 2021-11-23 无锡拍字节科技有限公司 一种存储器件的制造方法及其电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7650A (ja) 1997-09-08 1999-03-30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20000001619A (ko) * 1998-06-12 2000-01-15 윤종용 굴곡형 컨테이너 형상의 하부전극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0156479A (ja) * 1998-11-20 2000-06-06 Sony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55113B2 (ja) * 1998-12-28 2005-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2001036035A (ja) * 1999-07-19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14313B1 (ko) 2000-11-30 2007-05-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탈성 하부전극 패턴 형성 방법
KR100388206B1 (ko) 2000-12-29 2003-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JP2002217375A (ja) * 2001-01-18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容量素子の製造方法及び容量素子
AU2002303842A1 (en) * 2001-05-22 2002-12-03 Reflectivity, Inc. A method for making a micromechanical device by removing a sacrificial layer with multiple sequential etchants
KR100422566B1 (ko) 2001-06-30 2004-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US6605540B2 (en) * 2001-07-09 2003-08-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forming a dual damascene structure
US6879677B2 (en) * 2001-11-01 2005-04-12 Callwa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elephony call completion
US7224014B2 (en) * 2003-12-05 2007-05-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628862B2 (ja) * 2005-05-12 2011-02-0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266474A (ja) * 2006-03-29 2007-10-11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647A1 (en) * 2012-12-14 2014-06-19 Spansion Llc Three dimensional capacitor
US10141393B1 (en) 2012-12-14 2018-11-2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3161A (en) 2009-03-16
KR101016005B1 (ko) 2011-02-23
US20080296729A1 (en) 2008-12-04
JP2008300489A (ja) 2008-12-11
CN101315905A (zh) 2008-12-03
US20110256686A1 (en) 2011-10-20
JP5128851B2 (ja) 2013-01-23
US8748282B2 (en) 2014-06-10
TWI383471B (zh) 2013-01-21
US7985997B2 (en)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0402A (zh) 电容器阵列结构、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JP2008113005A (ja) 集積半導体構造の製造方法
JP200906508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8182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1600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077622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5350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3577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591016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59895A (en) Method of fabricating a capacitor storage node having a rugged-fin surface
US20040089891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electrode or the like having opening clos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179948A1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84422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orage electrode of capacitor
JP2010118439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6992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23254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59507B (zh) 一种半导体存储装置的形成方法
JP2004111711A (ja) 半導体装置
JP2009170637A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
JP200827743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849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326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00022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for and capacitor structure
JP4133039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85560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