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009A - 리드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009A
KR20080103009A KR1020080047162A KR20080047162A KR20080103009A KR 20080103009 A KR20080103009 A KR 20080103009A KR 1020080047162 A KR1020080047162 A KR 1020080047162A KR 20080047162 A KR20080047162 A KR 20080047162A KR 20080103009 A KR20080103009 A KR 2008010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ock
pin
lock pi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913B1 (ko
Inventor
토모요시 오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8010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05B63/242Auxiliary bolts on the frame, actuated by bolts on the wing, or vice vers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63Gravity actuated
    • Y10T292/1064Op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밀어 넣는 힘을 효율적으로 록 핀에 작용시켜, 리드를 요(凹)소로부터 확실하게 열리게 할 수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이 리드 개폐 장치는 요(凹)소(13)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리드(20)와, 리드(20)의 닫힘 상태를 록하는 록 장치(30)와, 리드(20)의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장치(60)를 구비하고, 록 장치(30)는 걸림공(15)에 걸리는 록 핀(40, 50)을 가지고, 록 해제 장치(60)는 푸쉬 버튼(70)과, 푸쉬 버튼(70)을 밀어 넣으면 그에 연동하여 푸쉬 버튼(70)의 누르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자(80)를 가지고 있다. 가압자(80)는 푸쉬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 가압자 받이부(43)의 경사면(43a)에 맞닿아, 록 핀(40, 50)이 리드(20)측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리드(20)를 여는 방향으로도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Figure P1020080047162
리드, 개폐, 장치

Description

리드 개폐 장치{Lid Opening/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글로브 박스 등의 리드를 차량의 요(凹)소로부터 개폐하기 위한 리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의 조수석측에는 글로브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글로브 박스 등의 리드를, 차량측에 설치한 요(凹)소에 대하여 개폐 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 특허공개 2005-104192호 공보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에 장착되며, 푸쉬식의 노브를 구비한 조작부와, 리드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랙 피니언 기구에 의해 연동하여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록부를 갖는 글로브 박스용 개폐 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노브의 누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를 밀어 넣으면, 그에 직교하여 상기 조작편이 이동하여 록부가 리드 내방으로 밀려 들어가고, 그 결과, 리드가 자중에 의해 요(凹)소로부터 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글로브 박스용 개폐 록 장치에서는 리드가 뒤틀리거나 꺾이거나 하여, 차량측의 요(凹)소 주연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 경우, 록부를 리드 내방으로 인입시켜 록을 해제하였다 하여도, 리드가 자중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하기 일본 특허공개 2006-327332호 공보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를 이룬 글로브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측에 장착된, 누름 가능한 조작 버튼(1)과, 리드(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랙 피니언 기구에 의해 연동하여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 부재(3)를 갖는 글로브 박스용 개폐 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조작 버튼(1)의 측방에는, 조작 버튼(1)의 누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출 핀(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버튼(1)의 선단에는 제 1 경사면(1a)이 형성되고, 이것이 압출 핀(4)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경사면(4a)에 맞닿아 있으며, 또한 압출 핀(4)의 타측면에는 테이퍼면(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1)을 누르면, 제 1 경사면(1a)을 통하여 제 2 경사면(4a)에 그 압력이 전달되고, 압출 핀(4)이 상기 조작 버튼(1)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걸림 부재(3)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리드(2) 내방으로 인입시킴과 동시에, 압출 핀(4)의 테이퍼면(4b)이 박스(5)의 모서리부(5a)에 맞닿아, 이를 가압하여 리드(2)를 눌러 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6-327332호 공보에서는 조작 버튼(1)으로부터의 누르는 힘을, 압출 핀(4)을 통하여 상기 누름 방향과는 직각인 방향의 누르는 힘으로 바꿔, 이 압출 핀(4)에 의해 걸림 부재(3)를 인입시킴과 동시에, 박스(5)의 모서리부(5a)에 압출 핀(4)의 테이퍼면(4b)이 맞닿아 리드(2)를 눌러 열도록 되어 있는데, 테이퍼면(4b)을 통하여 누르고 있기 때문에, 조작 버튼(1)을 누르고 나서, 그 누르는 힘이 리드(2)에 전달될 때까지 2개소의 테이퍼면을 통하게 되므로, 리드(2)를 열리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약해져, 조작 버튼(1)의 누르는 힘을 리드(2)를 열리게 하는 힘으로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자로부터의 누르는 힘을 효과적으로 록 핀에 작용시켜, 리드를 차체의 요(凹)소로부터 확실하게 열리게 할 수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은, 차량측에 설치된 요(凹)소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리드와, 이 리드의 닫힘 상태를 록하는 록 장치와, 차량측에 설치되며, 상기 록 장치에 의한 상기 리드의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록 장치는, 상기 리드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출몰하고, 평상시에는 이 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세되고, 상기 리드를 닫았을 때에 상기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에 걸리는 록 핀을 가지며, 상 기 록 해제 장치는, 차량의 상기 요(凹)소의 상기 리드와 대향하는 측의 면 상에 설치된 푸쉬 버튼과, 이 푸쉬 버튼을 누르면, 그에 연동하여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압자는, 상기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이 맞닿은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록 핀을 상기 리드측으로 인입시켜 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푸쉬 버튼을 누르면, 그에 연동하여 가압자가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이 맞닿는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록 핀이 리드측으로 인입하도록 눌리기 때문에, 록 상태가 해제되어 리드를 열 수 있다.
이 때, 가압자는 상기 맞닿는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록 핀을 리드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리드를 여는 방향으로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으로부터 록 핀이 빠지게 되면, 리드를 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리드를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따라서, 리드와 요(凹)소 사이에 마찰력 등이 작용하여 리드가 자중으로는 열리기 어려워진 상태에서도, 리드를 확실하게 열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자가 상기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상기 록 핀을 리드측으로 밀어 넣어 록 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가압자가 상기 리드의 일부에 맞닿아 리드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가압자에 의해 록 핀이 리드측으로 밀려 들어가 록 상태가 해제될 때, 가압자는 리드의 일부에도 맞닿아 리드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리드를 보다 확실하게 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자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랙피니언 기구 또는 링크 레버 기구인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푸쉬 버튼에 연동하여 가압자를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기구로 공간 절약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는 상기 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핀은 상기 리드의 양측 주연으로부터 각각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요(凹)소 내주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록 핀이 걸려 맞춰지는 한 쌍의 걸림공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록 핀은 서로 연동하여 상기 리드의 양측 주연부로부터 출몰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리드의 양측 주연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록 핀이, 리드를 닫았을 때에, 요(凹)소 양측의 걸림공에 각각 걸려 맞춰지기 때문에, 리드에 예를 들면 다소의 휨이 발생하거나, 리드와 차량의 요(凹)소 사이에서 다소의 치수 오차가 생겨도, 리드를 흔들림없이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는 상기 제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자가, 상기 록 핀이 상기 걸림공에 걸리는 부분과는 별도의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록 핀을 상기 리드측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가압자가 록 핀의 걸림공에 걸리는 부분과는 별도의 부분을 가압하여 록 핀을 리드측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공에 결합하는 부분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부분과 가압자가 맞닿는 경사면의 록 핀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경사면의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록 핀의 걸림공에 걸리는 부분을 직접 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은 스트로크로 록 핀을 리드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급한 각도로 경사면을 설정한 경우에는, 록 핀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버튼 조작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은 상기 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 내주는 상기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리드로부터 떨어진 쪽의 가장자리부에 비해, 상기 록 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자가, 상기 걸림공의 상기 리드로부터 떨어진 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록 핀의 상기 걸림공에 결합하는 부분을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가압자가, 걸림공의 리드로부터 떨어진 쪽의 가장자리 로부터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록 핀을 리드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고, 가압자가 걸림공의 리드에 가까운 가장자리부에 접촉 또는 근접한 위치에서는, 걸림공의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보다도 내측으로 록 핀을 확실하게 인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록 핀의 걸림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핀의 선단부에는, 상기 리드를 닫을 때에, 상기 요(凹)소의 주연부에 맞닿아 상기 리드를 인입시키기 위한 핀 경사면과, 이 핀 경사면에 인접하여 상기 가압자가 맞닿아 상기 록 핀을 밀어 넣기 위한 가압자 경사면이 설치되고, 록 핀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상기 핀 경사면쪽이 상기 가압자 경사면보다도 급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자 경사면은 상기 핀 경사면보다도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가압자 경사면은 핀 경사면보다도, 록 핀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 버튼에 연동하여 가압자가 이동해 가압자 경사면을 가압했을 때에, 가압자의 이동량에 대하여 록 핀을 보다 크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핀 경사면은 록 핀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보다 급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를 닫을 때에, 핀 경사면이 요(凹)소 주연에 맞닿아 록 핀을 리드 내방으로 부드럽게 인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에 따르면, 푸쉬 버튼을 누르면, 그에 연동하여 가압자가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이 맞닿는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록 핀이 리드측으로 인입하도록 눌리기 때문에, 록 상태가 해제되어 리드를 열 수 있다.
이 때, 가압자는 맞닿는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록 핀을 리드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리드를 여는 방향으로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으로부터 록 핀이 빠져 나오면, 리드를 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그 결과, 리드와 요(凹)소 사이에 마찰력 등이 작용하여 리드가 자중으로는 열리기 어려워진 상태에서도, 리드를 확실하게 열리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리드 개폐 장치는 차량에 형성된 요(凹)소(13)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리드(20)와, 이 리드(20)의 닫힘 상태를 록하는 록 장치(30)와, 록 장치(30)에 의한 리드(20)의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상기 (凹)소(13)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 설치된 박스형의 글로브 박스(10)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요(凹)소(13)로는 차량실 내의 측벽이나 저벽 등에 설치된 것이라도 무방하며, 특별히 한 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凹)소(13)는 옆으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록 핀(40, 50)이 걸리는 한 쌍의 걸림공(15, 15)이 설치되어 있다. 요(凹)소(13)의 내주이자, 도면 좌측의 걸림공(15)의 하방에는, 글로브 박스(10)의 안쪽을 향해 소정 길이로 요(凹)홈(16)이 형성되어 있는데, 리드(20)를 닫을 때에, 리드(20)의 측벽(24)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압자 받이부(43)(후술함)가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이 요(凹)홈(16)의 더욱 안쪽에는 장공(17)이 형성되어 있어, 록 해제 장치(60)의 가압 핀(88)(후술함)이 글로브 박스(10)의 전후 방향(안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글로브 박스(10)의 좌상 모서리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컷되어 장착 요(凹)부(18)가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록 해제 장치(60)가 장착되고, 이 록 해제 장치(60)를 구성하는 가압 핀(88)이 상기 장공(17)을 지나, 요(凹)소(13) 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요(凹)소(13)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20)는, 글로브 박스(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상 모서리부가 컷되어 옆으로 긴 형상을 이루는 표판(21)과, 이 표판(21)의 이면측에 장착되며, 상기 요(凹)소(13)의 개구폭에 거의 적합한 폭으로 형성된 옆으로 긴 박스 형상의 하우징(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리드(20)는 그 하방 양측에 도시하지 않은 지축(支軸) 등이 돌출되어 있고, 이것이 글로브 박스(10)의 요(凹)소(13)의 하방 양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축공 등에 삽입되며, 요(凹)소(13)에 대하여 리드(20)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3)의 양측벽(24, 24)으로부터는 한 쌍의 핀 삽출공(25, 25)이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판(21)의 이면측에 상기 록 장치(30)가 장착되고, 또한 록 장치(30)는 하우징(23)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하우징(23)의 양측벽(24, 24)으로부터는 한 쌍의 핀 삽출공(25, 25)이 형성되어 있어, 록 장치(30)의 각 록 핀(40, 50)의 선단부가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3)의 도면 좌측의 측벽(24)이자 상기 핀 삽출공(25)의 하방에는, 록 핀에 연동하는 부분인 가압자 받이부(43)를 출몰 가능하게 하는 받이부 삽출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3)의 좌측의 측벽(24)이자 상기 받이부 삽출공(26)에 인접한 표판(21) 근처의 위치로부터는, 압출용 철(凸)부(27)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이 압출용 철(凸)부(2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해제 장치(60)의 가압 핀(88)이 록 핀에 연동하는 가압자 받이부(43)에 맞닿아 이것을 리드(20) 내방으로 인입시킨 후, 상기 가압 핀(88)이 맞닿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리드(20)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리드(20)는 차량측에 형성된 글로브 박스(10)의 요(凹)소(13)를 개폐하는 것이지만, 리드 자체가 상자형을 이루고, 내부에 수납 요(凹)부를 설치한 글로브 박스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리드(20)에는, 요(凹)소(13)에 대하여 밀어 넣어, 이 요(凹)소(13)를 닫았을 때에 그 닫힘 상태를 록하기 위한 록 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록 장치(30)는 제 1 록 핀(40), 제 2 록 핀(50)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록 핀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각 록 핀(40, 50)끼리를 연동시켜 상기 핀 삽출공(25, 25)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하는 랙 피니온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록 핀(40, 50)끼리를 평상시에는 핀 삽출공(25, 2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58)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록 핀(40, 50)은 리드(20)의 표판(21)의 이면측에 고정된, 대략 긴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부(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31) 이면측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피니언 기어(5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이 지축(33)은, 베이스부(31) 이면으로부터 세워진, 바닥이 있는 원통부(33a)와, 이 원통부(33a)로부터 세워진 기둥부(33b)와, 이 기둥부(33b)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 형상부(33c)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것에 회동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57)는 각 록 핀(40, 50)의 각 랙 홈(44, 54)(후술함)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새겨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본체부(57a)와, 이 본체부(57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부(57b)로 이루어지고, 또한 돌기부(57b)의 내측에는 구 형상 요(凹)부(57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57a) 내주에 원통부(33a)를 삽입하고, 그 선단의 구 형상부(33c)를 구 형상 요(凹)부(57c)에 삽입함으로써, 지축(33)에 피니언 기어(57)가 빠짐 방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31)의 이면측의 상하 주연으로부터는, 소정 높이로 세워짐과 동시에 그들의 단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각각 직각으로 꺾여 이루어지는 상측 가이드벽(34) 및 하측 가이드벽(35)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양가이드벽(34, 35)의 중간이자 상기 지축(33)의 양측부에는 단면 T자 형상을 이루는 중간 가이드벽(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이드벽(34) 및 하측 가이드벽(35)의 경사 방향으로 대향한 위치에는, 슬릿(37a)을 통하여 휨 가능하게 된 빠짐 방지 고리(37, 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1) 이면측의 좌우 방향 일측부이자 상측 가이드벽(34) 및 중간 가이드벽(3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8)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받이부(3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록 핀(40, 5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 록 핀(40)은 대략 각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록해야 할 리드(20)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점점 얇은 형상이 되는 핀 경사면(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가 상기 글로브 박스(10)의 걸림공(15)에 걸림/이탈하는 부분이 되고, 상기 핀 경사면(41)은 리드(20)를 닫을 때에, 글로브 박스(10)의 요(凹)소(13) 주연부에 서서히 맞닿아, 제 1 록 핀(40)을 리드(20) 내방으로 부드럽게 인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제 1 록 핀(40)의 축 방향 도중이자 선단부보다도 조금 앞쪽의 하방측면에는 연결부(42)가 돌출되어 있고, 이 연결부(42)를 통하여 두갈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선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압자 받이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자 받이부(43)에도 제 1 록 핀(40)의 선단부와 마찬가지로 리드(20)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점점 얇은 형상이 되는 받이부 경사면(43a)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록 핀(40)의 기단부측의 하방 측면에는 랙 홈(44)이 형성되고, 이 기단 부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이드 리브(45, 45)가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랙 홈(44)과는 반대측의 상방 측면에는 빠짐 방지 요(凹)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록 핀(40)의 기단면에는 코일 스프링(58)의 타단부를 삽입 지지하는 스프링 받이공(4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록 핀(50)은 상기 제 1 록 핀(40)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이 제 2 록 핀(50)은 각기둥 형상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에 리드(20)의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점점 얇은 형상을 이루는 핀 경사면(51)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록 핀(50)의 선단부는 상기 제 1 록 핀(40)의 선단부와 마찬가지로, 글로브 박스(10)의 걸림공(15)에 걸림/이탈하는 부분이고, 핀 경사면(51)은 제 2 록 핀(40)을 리드(20) 내방으로 원활하게 인입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제 2 록 핀(50)의 축 방향 도중이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굴곡하여, 그대로 선단부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연장되어 기단부를 이루고 있으며, 이 기단부의 상방 측면에 랙 홈(54)이 형성되고, 이 기단부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가이드 리브(55, 55)가 돌출되며, 또한 기단부의 하방 측면에 빠짐 방지 요(凹)부(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록 핀(40)의 스프링 받이공(47)에 코일 스프링(58)의 타단부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 1 록 핀(40)의 가이드 리브(45, 45)를 상측 가이드벽(34) 및 중간 가이드벽(36)에 정합시키고, 베이스부(31)의 좌우 방향의 일측부로부터 제 1 록 핀(40)을 밀어 넣음으로써, 코일 스프링(58)의 일단부가 스프링 받이부(38)에 맞닿음과 동시에 빠짐 방지 고리(37)가 빠짐 방지 요(凹)부(46)에 걸려, 코일 스프링(58)이 압축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1)에 제 1 록 핀(40)이 빠짐 방지되어 지지된 다. 마찬가지로, 제 2 록 핀(50)도 그 가이드 리브(55, 55)를 하측 가이드벽(35) 및 중간 가이드벽(36)에 정합시키고, 베이스부(31)의 좌우 방향의 타측부로부터 눌러 넣으므로써, 빠짐 방지 고리(37)가 빠짐 방지 요(凹)부(56)에 걸려 베이스부(31)에 제 2 록 핀(50)이 빠짐 방지되어 지지된다. 또한, 휨 가능하게 된 각 빠짐 방지 고리(37, 37)는, 각 록 핀(40, 50)이 리드(20) 내방으로 인입되는 경우에는 각 빠짐 방지 요(凹)부(46, 56)로부터 빠져 나와, 각 록 핀(40, 5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7)의 본체부(57a) 내주에 지축(33)의 원통부(33a)를 삽입하고, 그 선단의 구 형상부(33c)를 구 형상 요(凹)부(57c)에 삽입함으로써, 지축(33)에 피니언 기어(57)가 빠짐 방지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도 3 참조), 제 1 록 핀(40) 및 제 2 록 핀(50)의 각 랙 홈(44, 54)에 피니언 기어(57)가 맞물려, 랙 피니언 기구를 통해 각 록 핀(40, 50)이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도록 조립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록 장치(30)는 베이스부(31)의 상하 주연에 설치된 장착편(39, 39)을 통하여 리드(20)의 표판(21)의 소정 개소에 나사 고정되고, 록 장치(30)를 덮도록 하우징(23)이 표판(21)의 이면측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리드(20)에 록 장치(30)가 장착되고, 각 록 핀(40, 50)이 리드(20)의 양측 주연으로부터 각각 출몰 가능하게 된다. 즉, 제 1 록 핀(40) 및 가압자 받이부(43)가 하우징(23)의 좌측 측벽(24)의 핀 삽출공(25) 및 받이부 삽출공(26)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록 핀(50)을 우측 측벽(24)의 핀 삽출공(25)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된다(도 1 참조). 또한, 이 록 장치(30)는 상기의 랙 피니언 기구에 의해, 한 쪽의 록 핀이 슬라이드하면, 그에 연동하여 다른 쪽의 록 핀이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도 10, 11 참조). 또한, 압축 상태로 된 코일 스프링(58)에 의해 제 1 록 핀(40)이 평상시 리드(20) 주연의 측벽(24)의 핀 삽출공(2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다른 제 2 록 핀(50)도 반대측 측벽(24)의 핀 삽출공(2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9를 함께 참조하여, 록 장치(30)에 의한 리드(20)의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록 해제 장치(60)는 상술한 글로브 박스(10)의 장착 요(凹)부(18)에 대응하여, 세로로 긴 박스 형상을 이룬 케이스 본체(61)와, 이 케이스 본체(61)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쉬 버튼(70)과, 상기 한 쌍의 록 핀(40, 50)과 마찬가지로, 랙 피니언 기구를 통하여, 이 푸쉬 버튼(70)의 누름 조작에 연동해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자(80)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푸쉬 버튼은 차량의 요(凹)소의 리드와 대향하는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량의 요(凹)소의 리드와 대향하는 면'이라 함은, 차량의 요(凹)소(13)의, 리드(20)가 개폐하는 부분의 주위에 있어서, 리드(20)와 거의 평행한 면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부호 T로 나타내는 면 등이 그에 해당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면(T) 상에 푸쉬 버튼(70)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61)는, 하부 케이스(63)와, 이 하부 케이스(63)의 상방에 설치 되며 하부 케이스(63)의 전단면보다도 돌출한 상부 케이스(90)를 가지고 있다. 먼저, 하부 케이스(6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하부 케이스(63)는 전방의 왼쪽 반 정도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하고, 후방의 오른쪽 반 정도가 마찬가지로 개구함과 동시에(도 4, 7 참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하부 케이스(63)의 한 쪽 측벽(64)에는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홈(64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3)의 내주에는 복수의 가이드홈(63a)이 케이스 본체(6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3)의 전벽(65)의 내면측에는 코일 스프링(69)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65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가압자(80)의 복수의 가이드 리브(82)가 각 가이드 홈(63a)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홈(64a)을 통과하여 케이스 본체(61) 외방으로 가압자(80)의 가압 핀(88)이 돌출한 상태로, 이 가압자(80)가 케이스 본체(6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푸쉬 버튼(70)의 복수의 가이드 리브(77)도 각 가이드홈(63a)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푸쉬 버튼(70)이 케이스 본체(6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3)의 저벽(66)의 후단부 근처의 부분에는 원 형상의 축 삽입공(66a)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관련하여, 축 삽입공(66a)에 삽입되는 지축(67)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지축(67)은 원형 덮개(67a)와, 이 원형 덮개(67a)로부터 세워져 피니언 기어(68)의 내주에 삽입되는 기둥부(67b)와, 이 기둥부(67b)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부에 돌출된 한 쌍의 걸림 고리(67c, 67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푸쉬 버튼(70)의 랙 홈(76) 및 가압자(80)의 랙 홈(86)을 외주에 설치한 피니언 기어(68)를 기둥부(67b)에 외장한 상태에서, 축 삽입공(66a)으로부터 지축(67)을 삽입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3) 상방의 걸림공(63b) 주연에 상기 한 쌍의 걸림 고리(67c, 67c)가 각각 걸려, 피니언 기어(68)를 소정 개소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66)의 전단부 근처의 부분에는 개구부(66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66b) 주연에 푸쉬 버튼(70)의 걸림 고리(75b)가 걸려, 푸쉬 버튼(70)의 케이스 본체(6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하부 케이스(63) 내에는 푸쉬 버튼(70)과, 그에 연동하는 가압자(80)가 설치된다. 푸쉬 버튼(70)은 버튼 본체(71)와, 이 버튼 본체(71)의 전면에 장착되는 버튼 커버(79)를 가지고 있다. 버튼 본체(71)는 사각틀 형상의 틀체(73)와, 이 틀체(73)의 후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하는 띠 형상 부재(74)를 가지고 있다. 띠 형상 부재(74)의 상하 주연이자, 좌우 방향의 일측면으로부터는 입벽(75, 75)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있고, 또한, 띠형상 부재(74)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68)에 맞물리는 랙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입벽(75, 75)에는 ㄷ자 형상 슬릿(75a)을 통하여 걸림 고리(75b)가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63)의 상벽에 설치된 단(段)부(63b) 및 저벽(66)의 개구 부(66b) 주연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74)의 상하 양단면 및 좌우 방향의 타측면으로부터는 상기 하부 케이스(63)의 가이드 홈(63a)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77)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도 4, 6 참조). 또한, 틀체(73)의 외주에는 마찬가지로 틀 형상을 이룬 버튼 커버(79)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압자(8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라이드체(81)와, 이 슬라이드체(81)의 후단부(길이 방향의 일단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한 가압 핀(88)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체(81)의 상하 양단면으로부터는, 하부 케이스(63)의 가이드홈(63a)에 삽입하는 가이드 리브(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드체(81)의 전단면에는 코일 스프링(69)의 타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스프링 받이공(83)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도 7 참조), 이 스프링 받이공(83)의 주연으로부터는 스프링 외주를 따라 만곡한 스프링 누름벽(85, 85)이 세워져 있어, 코일 스프링(69)의 안정 지지가 도모되고 있다(도 6, 7 참조). 또한, 슬라이드체(81)의 상기 가압 핀(88)이 돌출한 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피니언 기어(68)에 맞물리는 랙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핀(88)은, 이 실시예의 경우, 제 1 록 핀(40)에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는 부분인, 가압자 받이부(43)에 맞닿은 부분에서, 그 선단부의 정면측의 모서리부(88a)가 둥근 R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선단부의 배면측이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점점 얇은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진 테이퍼면(88b)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푸쉬 버튼(70)의 가이드 리브(77)를, 대응하는 가이드홈(63a)에 정 합시켜 하부 케이스(63)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밀어 넣음으로써, 한 쌍의 걸림 고리(75b, 75b)가 단부(63c) 및 개구부(66b) 주연에 걸리고, 푸쉬 버튼(70)이 하부 케이스(63)에 장착된다(도 5 참조). 또한, 코일 스프링(69)의 타단부를 스프링 수요용공(83)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가압자(80)의 가압 핀(88)을 슬라이드홈(64a)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시키고, 이 가압자(80)의 가이드 리브(82)를 대응하는 가이드홈(63a)에 정합시켜, 하부 케이스(63)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밀어 넣음으로써, 코일 스프링(69)의 일단부가 지지 돌기(65a)에 지지되어 코일 스프링(69)이 압축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63)에 가압자(80)가 장착된다.
그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68)를 기둥부(67b)에 외장한 지축(68)을 하부 케이스(63) 하방의 축 삽입공(66a)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공(63b) 주연에 각 걸림 고리(67c)가 걸리고, 하부 케이스(63)에 피니언 기어(68)가 장착됨과 동시에, 푸쉬 버튼(70) 및 가압자(80)의 각 랙 홈(76, 86)에 피니언 기어(68)가 맞물리고, 랙 피니언 기구를 통하여 푸쉬 버튼(70) 및 가압자(80)가 하부 케이스(63)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푸쉬 버튼(70)을 누르면, 그에 연동하여 푸쉬 버튼(70)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자(80)가 이동하고, 가압 핀(88)이 슬라이드홈(64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7~9 참조). 또한, 코일 스프링(69)에 의해, 가압자(80)가 평상시에는 하부 케이스(63)의 전벽(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푸쉬 버튼(70)이 하부 케이스(63)의 전벽(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도 7 참조), 전벽(65)에 대하여 푸쉬 버튼(70)의 틀체(73)가 소정 길이 떨어지 도록 되어 있어, 이 길이분만큼 푸쉬 버튼(70)을 누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하부 케이스(63)의 상방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3)의 전단면보다도 조금 길게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키 실린더(93)를 수용하기 위한 원 형상의 수용공(91)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키 실린더(93)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그 전면측에 키 삽입공(93a)이 형성되고, 후면측에 이동 돌기(93b)가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9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90)의 상벽면으로부터는 상기 수용공(91)에 연통하는 절삭홈(95)이 형성되고, 이 절삭홈(95)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95a)이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키 텀블러(97)의 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리브(97a)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95a)에 삽입되어, 이 키 텀블러(97)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키 텀블러(97)의 전면에는, 평행한 홈과 그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직각으로 굴곡한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 실린더(93)의 이동 돌기(93b)가 삽입되는 돌기 이동홈(97b)이 형성되고, 그 후면측의 하단부로부터는 키 돌기(97c)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부 케이스(90)의 전방에는 둥근 구멍(98a)을 갖는 키 커버(98)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키 삽입공(93a)에 도시하지 않은 키를 삽입하여 키 실린더(93)를 회동시키면, 그 이동 돌기(93b)가 돌기 이동홈(97b) 내를 이동하여(도 6 중, 상상선 참조) 키 텀블러(97)를 하방으로 눌러 내림과 동시에, 키 돌기(97c)가 도시하지 않은 푸쉬 버튼(7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푸쉬 버튼(70)이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게 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록 해제 장치(60)는 글로브 박스(10)의 장착 요(凹)부(18)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되고, 요(凹)홈(16) 안쪽의 장공(17)으로부터, 가압자(80)의 가압 핀(88)이 요(凹)소(13) 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리드 개폐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글로브 박스(10)의 요(凹)소(13)를 닫기 위하여, 리드(20)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가압자 받이부(43)가 요(凹)홈(16) 내로 들어가 가압 핀(88)의 바로 앞 쪽에 이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도 7 참조). 그와 동시에, 요(凹)소(13)의 주연부가, 핀 삽출공(25, 25)으로부터 돌출한 각 록 핀(40, 50)의 핀 경사면(41, 51)에 각각 맞닿고, 이를 코일 스프링(58)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가압하여, 각 록 핀(40, 50)이 리드(20) 내방으로 인입된다. 또한, 각 록 핀(40, 50)의 선단부가 한 쌍의 걸림공(15, 15)에 이르면, 각 록 핀(40, 50)이 탄성 복귀하여 각 선단부가 걸림공(15, 15)에 각각 걸리고, 또한 글로브 박스(10)의 단면이 리드(20)의 표판(21)의 이면측에 닿아 지지되어, 요(凹)소(13)에 대하여 리드(20)를 닫힌 상태로 록할 수 있다(도 7, 10 참조).
이와 같이 한 쌍의 각 록 핀(40, 50)의 선단부가, 요(凹)소(13) 내주에 설치한 한 쌍의 걸림공(15, 15)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20)에 예를 들면 다소의 휨이 발생하거나, 리드(20)와 차량의 요(凹)소(13) 사이에서 다소의 치수 오차가 생기거나 하여도, 리드(20)를 흔들림없이 닫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드(20)의 록 상태를 해제하여, 리드(20)를 열 때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조작은 록 해제 장치(60)의 푸쉬 버튼(70)을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7~9에는 이 때의 푸쉬 버튼(70) 및 가압자(80)의 작동 상태와, 가압자(8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자 받이부(43)의 상태가 나타나 있고, 또한, 그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동작하는 제 1 록 핀(40)의 상태가 병기되어 있다. 도 7에는 푸쉬 버튼(70)을 누르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푸쉬 버튼(70)의 전단면은 리드(20)의 전단면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고, 또한 가압자(80)의 가압 핀(88)의 모서리부(88a)가, 제 1 록 핀(40)에 연동하는 가압자 받이부(43)의 받이부 경사면(43a)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록 핀(40)의 선단부는 걸림공(15)에 걸려 있다.
상기 상태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푸쉬 버튼(70)을 밀어 넣으면, 랙 피니언 기구를 통해, 그에 연동하여 푸쉬 버튼(70)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자(80)의 가압 핀(88)이 이동한다. 이 때, 가압자 받이부(43)에는 받이부 경사면(4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받이부 경사면(43a)에 맞닿은 상기 가압 핀(88)의 모서리부(88a)로부터의 누르는 힘이, 도 8의 화살표(F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록 핀(40)을 리드(20) 내방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도 8의 화살표(F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20)를 여는 방향으로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에 연동하여 제 1 록 핀(40)의 선단부도 걸림공(15)으로부터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상기 상태에서 푸쉬 버튼(70)을 더 밀어 넣으면, 가압자 받이부(43)가 리드(20) 내방으로 더 인입됨과 동시에(도 9 참조), 그에 연동하여 제 1 록 핀(40)의 선단부가 요(凹)소(13) 내주의 걸림공(15)으로부터 빠져 나오고, 또한 제 1 록 핀(40)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제 2 록 핀(50)의 선단부도 걸림공(15)으로부터 빠져 나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20)의 요(凹)소(13)에 대한 록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이 리드 개폐 장치에 따르면, 푸쉬 버튼(70)을 밀어 넣으면 그에 연동하여 가압자(80)가 푸쉬 버튼(70)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록 핀(40)에 연결 설치된 가압자 받이부(43)에 맞닿고, 이 접촉면에 구비된 받이부 경사면(43a)에 의해 각 록 핀(40, 50)이 리드(20)측으로 인입되도록 눌리기 때문에, 록 상태가 해제되어 리드(20)를 열 수 있다.
이 때, 가압자(80)는 받이부 경사면(43a)에 의해 그 가압력이 도 8의 화살표(F1, F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 록 핀(40, 50)을 리드(20)측으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리드(20)를 여는 방향으로도 가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요(凹)소(13) 내주의 한 쌍의 걸림공(15, 15)으로부터 각 록 핀(40, 50)의 선단부가 빠져 나오면, 리드(20)를 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리드(20)를 요(凹)소(13)로부터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따라서, 리드(20)와 요(凹)소(13) 사이에 마찰력 등이 작용하여 리드(20)가 자중으로는 열리기 어렵게 된 상태에서도, 리 드(20)를 확실하게 열리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자(80)는 랙 피니언 기구를 통해, 푸쉬 버튼(70)의 누르는 방향에 대하여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록 핀을 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버튼(1)에 직교 이동하는 핀(4)을 통하여 걸림 부재(3)(록 핀)를 인입시키는 것에 비하여, 푸쉬 버튼(70)으로부터의 누르는 힘을 록 핀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리드(20)를 열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리드(20)측에 압출용 철(凸)부(27)를 설치했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자(80)에 의해 각 록 핀(40, 50)이 리드(20)측으로 밀어 넣어져 록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자 받이부(43)를 리드(20) 내방으로 인입시킨 후에, 가압 핀(88)이 압출용 철(凸)부(27)에 맞닿아, 리드(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20)를 보다 확실하게 열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자(80)의 가압핀(88)은, 걸림공(15)에 걸리는 록 핀의 선단부가 아니라 그와는 별도의 가압자 받이부(43)를 가압하여, 각 록 핀(40, 50)의 선단부를 리드(20)측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공(15)에 걸리는 각 록 핀(40, 5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가압자 받이부(43)와 가압자(80)가 맞닿는 경사면(43a)의 록 핀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경사면(43a)의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록 핀(40)의 걸림공에 걸리는 부분을 직접 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은 스트로크로 록 핀을 리드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급한 각도로 경사면(43a)을 설정한 경우에는, 록 핀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버튼 조작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푸쉬 버튼(70)에 연동하여 가압자(80)를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랙 피니언 기구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이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기구로, 또한 공간 절약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푸쉬 버튼에 연동하여 가압자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랙 피니언 기구인 것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링크 레버 기구인 점이 다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록 해제 장치(60a)는, 푸쉬 버튼(70a)이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통해 케이스 본체(61a)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후단부와 케이스 본체(61)의 후벽 사이에 코일 스프링(69a)이 장착되어, 이 푸쉬 버튼(70a)이 케이스 본체(61)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가압자(80a)도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통해 케이스 본체(61a)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61a) 중앙에 설치된 지축(105)에, 양단에 장공(101, 101)을 설치한 회동 레버(100)가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장공(101, 101)에 상기 푸쉬 버튼(70a) 및 가압자(80a)가 핀(107, 107)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푸쉬 버튼(70a)를 누르면, 회동 레버(100)를 통하여 가압자(80a)가 푸쉬 버튼(70a)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푸쉬 버튼(70)에 연동하여 가압자(80)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기구이자 공간 절약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3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자(80)는 가압자 받이부(43)를 가압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요(凹)소(13) 내주의 걸림공(15)에 걸리는 록 핀의 선단부를 직접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글로브 박스(10)의 주벽(周壁)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정면측의 벽면에는 삽통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공(15a)의 양측 주연의 전후벽(11, 12)은 후벽(12)(리드로부터 먼 쪽의 가장자리부)이 전벽(11)(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보다도 리드(20) 내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가압 핀(89)이 이동하여(상상선 참조) 제 1 록 핀(40)을 밀어 넣었을 때에, 이 제 1 록 핀(40)의 선단부가 걸림공(15a) 주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압 핀(89)의 정면 중앙으로부터는 소정 높이로 가압 리브(89a)가 세워져 있고, 이 가압 핀(89)이 이동했을 때에, 상기 삽통공(10a)을 지나 리드(20)의 이면측에 직접 맞닿아 리드(20)를 밀어 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푸쉬 버튼을 밀어 넣어 가압 핀(89)이 이동하면, 제 1 록 핀(40)을 직접 리드(20) 내방으로 인입시켜 걸리공(15a)으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가압 리브(89a)가 삽통공(10a)을 통과해 리드(20)의 이면측에 충돌하여, 리드(20)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20)를 확실하게 열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요(凹)소(13) 내주의 걸림공(15)에 걸리는 록 핀의 선단부를 가압자(80)에 의해 직접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록 핀(4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 경사면(41)의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핀 경사면(41)과는 다른 경사 각도로 형성된 가압자 경사면(41a)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자 경사면(41a)은 핀 경사면(41a)보다도 제 1 록 핀(40)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푸쉬 버튼(70)에 연동하여 가압자(80)가 이동해 가압자 경사면(41a)을 가압했을 때에, 가압자(80)의 이동량에 대하여 제 1 록 핀(40)을 보다 크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핀 경사면(41)은 상기 제 1 록 핀(40)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보다 급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리드(20)를 닫을 때에, 요(凹)소(13) 주연에 맞닿아 제 1 록 핀(40)을 리드(20) 내방으로 원활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5가 도시되어 있다. 또 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 2를 더욱 개량한 것이다. 즉, 푸쉬 버튼(70b)이 하부 케이스(63)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69)에 의해 평상시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이 푸쉬 버튼(70b)의 내면에는 푸셔(7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63) 내에는 회동 레버(108)가 지축(105)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동 레버(108)의 일단(108a)은 상기 푸셔(77)의 선단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드(20)의 측벽(22)에 핀 삽출공(25)이 형성되고, 이 핀 삽출공(25)으로부터 제 1 록 핀(40)의 선단부가 돌출하여, 요(凹)소(13)의 내측벽(14)에 형성된 걸림공(15)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레버(108)의 타단(108b)은 제 1 록 핀(40)의 선단의 경사면(41)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푸쉬 버튼(70b)을 누름으로써, 회동 레버(108)의 일단(108a)이 푸셔(77)에 의해 눌려 회동 레버(108)가 회동하고, 회동 레버(108)의 타단(108b)이 제 1 록 핀(40)의 경사면(41)을 가압한다. 그 결과, 제 1 록 핀(40)이 핀 삽출공(25) 내로 인입하여, 걸림공(15)으로부터 빠져 나와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회동 레버(108)의 타단(108b)에 의해, 제 1 록 핀(40)을 통하여 리드(20)가 개방측으로 눌리기 때문에, 리드(20)가 원활하게 열리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푸쉬 버튼(70b)의 푸셔(77)에 의해 회동 레버(108)의 일단(108a)이 직접 눌림과 동시에, 회동 레버(108)의 타단(108b)이 제 1 록 핀(40)의 경사면(41)을 직접 누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 2보다도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6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 3을 더욱 개량한 것이다. 즉, 도 13의 실시예 3에서는, 요(凹)소(13)의 내측벽이 전벽(11)과 후벽(12)으로 나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후벽(11, 12)이, 리드(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리드(20)의 내방으로 경사진 동일면상의 벽(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의 경우에도 도시하지 않은 푸쉬 버튼을 누름으로써, 가압 핀(89)이 리드 전면측으로 이동하여, 걸림공(15b)에 삽입된 제 1 록 핀(40)의 경사면(41)에 가압되기 때문에, 제 1 록 핀(40)을 리드(20)의 내방으로 인입시켜 걸림공(15b)과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리드 개폐 장치의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록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록 해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록 해제 장치를 조립한 경우에 있어서,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록 해제 장치를 조립한 경우에 있어서,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상기 록 해제 장치의 제 1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록 해제 장치의 제 2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상기 록 해제 장치의 제 3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에 의한 리드를 닫은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상기 리드 개폐 장치에 의한 리드를 연 상태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리드 개폐 장치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요(凹)소
15 걸림공
20 리드
30 록 장치
40 제 1 록 핀
41 핀 경사면
43 가압자 받이부
43a 받이부 경사면
50 제 2 록 핀
51 핀 경사면
60 록 해제 장치
70 푸쉬 버튼
80 가압자

Claims (7)

  1. 차량측에 설치된 요(凹)소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리드와,
    이 리드의 닫힘 상태를 록하는 록 장치와,
    차량측에 설치되며, 상기 록 장치에 의한 상기 리드의 록 상태를 해제하는 록 해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록 장치는, 상기 리드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출몰하고, 평상시에는 이 주연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세되고, 상기 리드를 닫았을 때에 상기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에 걸려 결합하는 록 핀을 가지며,
    상기 록 해제 장치는, 차량의 상기 요(凹)소의 상기 리드와 대향하는 측의 면 상에 설치된 푸쉬 버튼과, 이 푸쉬 버튼을 누르면, 그에 연동하여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압자는, 상기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이 맞닿은 면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록 핀을 상기 리드측으로 인입시켜 록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자가 상기 푸쉬 버튼의 누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 핀 또는 그에 연동하는 부분에 맞닿아, 상기 록 핀을 리드측으로 밀어 넣어 록 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가압자가 상기 리드의 일부에 맞닿아 리드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자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랙피니언 기구 또는 링크 레버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 핀은 상기 리드의 양측 주연으로부터 각각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요(凹)소 내주의 양측에, 상기 한 쌍의 록 핀이 걸려 맞춰지는 한 쌍의 걸림공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록 핀은 서로 연동하여 상기 리드의 양측 주연부로부터 출몰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자가, 상기 록 핀이 상기 걸림공에 걸려 결합하는 부분과는 별도의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록 핀을 상기 리드측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소 내주에 설치된 걸림공 내주는 상기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리드로부터 떨어진 쪽의 가장자리부에 비해, 상기 록 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자가, 상기 푸쉬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공의 상기 리드로부터 떨어진 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리드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록 핀의 상기 걸림공에 걸려 결합하는 부분에 맞닿아 이 록 핀을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록 핀의 선단부에는, 상기 리드를 닫을 때에, 상기 요(凹)소의 주연부에 맞닿아 상기 리드를 인입시키기 위한 핀 경사면과, 이 핀 경사면에 인접하여 상기 가압자가 맞닿아 상기 록 핀을 밀어 넣기 위한 가압자 경사면이 설치되고, 록 핀의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 대하여, 상기 핀 경사면쪽이 상기 가압자 경사면보다도 급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자 경사면은 상기 핀 경사면보다도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개폐 장치.
KR1020080047162A 2007-05-22 2008-05-21 리드 개폐 장치 KR10115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5612 2007-05-22
JPJP-P-2007-00135612 2007-05-22
JP2008126881A JP4927026B2 (ja) 2007-05-22 2008-05-14 リッド開閉装置
JPJP-P-2008-00126881 200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009A true KR20080103009A (ko) 2008-11-26
KR101157913B1 KR101157913B1 (ko) 2012-06-22

Family

ID=4007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162A KR101157913B1 (ko) 2007-05-22 2008-05-21 리드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6409B2 (ko)
JP (1) JP4927026B2 (ko)
KR (1) KR101157913B1 (ko)
CN (1) CN101323280B (ko)
FR (1) FR2916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546A (ko)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잠금 장치
KR20150054579A (ko) * 2013-11-12 2015-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1055B4 (de) * 2007-12-18 2022-06-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lappenanordnung
JP5275179B2 (ja) * 2009-09-10 2013-08-2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1176345B1 (ko) * 2010-12-08 2012-08-23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US8740262B2 (en) 2011-01-11 2014-06-03 Honda Motor Co., Ltd. Push button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glovebox for a vehicle
CN102229326B (zh) * 2011-03-28 2012-11-0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杂物箱开启机构
US8353549B2 (en) * 2011-04-18 2013-01-15 Honda Motor Co., Ltd.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JP5862343B2 (ja) * 2011-09-26 2016-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ア装置
CN103085723B (zh) * 2011-10-27 2015-11-1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杂物箱
JP5693443B2 (ja) * 2011-12-28 2015-04-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装置
KR102228984B1 (ko) 2012-03-02 2021-03-1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 장치
DE102012104714B4 (de) * 2012-05-31 2023-03-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CN104583516B (zh) * 2012-08-23 2017-12-05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止装置
SI2959495T1 (sl) * 2013-02-22 2020-08-31 Bourns Incorporated Naprave in metode, povezane s ploskimi plinskimi odvodniki
WO2015019571A1 (ja) * 2013-08-09 2015-0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US20150123408A1 (en) * 2013-11-06 2015-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ushbutton latch mechanism for a vehicle
CN106164400B (zh) * 2014-02-04 2018-11-20 江森自控科技公司 一种汽车内饰操控台
JP2016084001A (ja) * 2014-10-24 2016-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US9810003B2 (en) * 2015-11-19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 resistant door retainer for vehicle glove box
KR102443072B1 (ko) * 2015-11-30 2022-09-14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장치
CN105822164B (zh) * 2016-05-07 2017-06-09 雷沃重工股份有限公司 盖板开闭机构
WO2017195557A1 (ja)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6850625B2 (ja) * 2017-02-15 2021-03-31 サクラ精機株式会社 包埋装置
CN114856330A (zh) 2018-04-03 2022-08-05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及车辆手套箱闩锁
US10781612B2 (en) 2018-06-27 2020-09-22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ctuator for a vehicle compartment
US10738512B2 (en) * 2018-06-27 2020-08-1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ctuator for a vehicle compartment
US10731382B2 (en) 2018-06-27 2020-08-04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ctuator for a vehicle compartment
CN108825011A (zh) * 2018-08-02 2018-11-16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车用储物盒的侧锁方法和装置
US11565629B2 (en) * 2018-08-31 2023-01-31 Toyoda Gosei Co., Ltd. Double-doored lid apparatus
CN109850446B (zh) * 2018-12-14 2021-05-28 朱荣茂 一种园林使用的垃圾盛放装置
US11261626B2 (en) * 2019-03-08 2022-03-01 Volvo Car Corporation Latch assembly including latch module with retractable latch bolt for storage compartment in automotive vehicle
US11585128B2 (en) 2019-05-29 2023-02-2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ctuator for a vehicle compartment
DE102019125988A1 (de) * 2019-09-26 2021-04-01 Solarlux Gmbh Faltanlage
US11541820B2 (en) 2020-03-30 2023-01-0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ctuator for a vehicle compartment
FR3114120A1 (fr) * 2020-09-16 2022-03-18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Dispositif de verrouillage comprenant un élément à mémoire de for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324Y2 (ja) * 1989-12-27 1996-08-0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枠組足場用梁枠受金物
JPH0613953U (ja) * 1991-04-20 1994-02-22 加藤発条株式会社 グロ−ブボックスリッドの開閉機構
CN1268828C (zh) * 2000-10-31 2006-08-09 科奈克制造公司 用于卧式工具箱的锁系统
JP4462768B2 (ja) * 2001-01-19 2010-05-12 株式会社ニフコ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JP4108503B2 (ja) * 2003-02-21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オープンルーフ収納構造
JP4248357B2 (ja) 2003-09-29 2009-04-0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JP4619037B2 (ja) * 2004-02-20 2011-01-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機構
US7475929B2 (en) *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JP4542865B2 (ja) * 2004-10-06 2010-09-1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12234B2 (ja) * 2005-05-24 2010-02-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546A (ko)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잠금 장치
KR20150054579A (ko) * 2013-11-12 2015-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0685A1 (en) 2008-11-27
CN101323280A (zh) 2008-12-17
US7766409B2 (en) 2010-08-03
CN101323280B (zh) 2011-09-28
KR101157913B1 (ko) 2012-06-22
JP2009002143A (ja) 2009-01-08
FR2916468A1 (fr) 2008-11-28
FR2916468B1 (fr) 2012-04-27
JP4927026B2 (ja)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913B1 (ko) 리드 개폐 장치
KR20110117228A (ko) 리드 개폐 장치
US8973956B2 (en) Latch device
US9038977B2 (en) Holding device
JP5171547B2 (ja) ラッチ装置
JP2008090148A (ja) 光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
JP5205508B1 (ja) 光ファイバカッタ内蔵ケース
JP4616866B2 (ja) 商品展示ケースの開閉施錠装置及び解錠装置
JP3737691B2 (ja) 小物収納装置
JP4467471B2 (ja) 収納具
JP2005220702A (ja) リモコン装置
JPH0655977A (ja) 蓋開閉装置
JP2006022543A (ja) ラッチ装置
JP4650766B2 (ja) 収納装置
JP4023689B2 (ja) 商品展示ケースの開閉施錠装置及びその解錠装置
JP4566118B2 (ja) 小型電子機器
CN220451629U (zh) 锁定装置
JP2006074444A (ja) スライド装置及び携帯電話
JP3652876B2 (ja) 容器保持装置
JP4467228B2 (ja) 収納具
JP4983234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8048496A (ja) 扉錠装置
JP6055603B2 (ja) 携帯機スロット装置
JP2006019539A (ja) 機器の着脱装置
JP2018193829A (ja) 止め金用ラッチ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止め金式の各種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