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123A -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123A
KR20080081123A KR1020080016163A KR20080016163A KR20080081123A KR 20080081123 A KR20080081123 A KR 20080081123A KR 1020080016163 A KR1020080016163 A KR 1020080016163A KR 20080016163 A KR20080016163 A KR 20080016163A KR 20080081123 A KR20080081123 A KR 2008008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pipe coupling
sleeve
strap
str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255B1 (ko
Inventor
로니 홀스타인
헤리베르트 임캄프
하우케 룬드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8008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으로서, 파이프들의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 슬리브(11), 하나 이상의 조임 스트랩(12, 13) 및 하나 이상의 조임 스크루(14)를 가진, 상기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조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은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들(15)을 가지며, 상기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는 각각 조임 볼트(18)를 휘감는 감는 부분(16), 및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를 상기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분(17)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는,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상기 외부면(19)에 접촉하는, 상기 단부의 상기 감는 부분(16)과 상기 결합 부분(17) 사이의 이행 영역(20)이 상기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19)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상기 외부면(19)에 접선으로 안내되고, 상기 단부를 상기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상기 단부(15)의 상기 결합 부분(17)은 조임 볼트(18)로부터 볼 때 상기 이행 영역 뒤에 놓인다.

Description

파이프 커플링{PIPE COUPLING}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 및 청구항 7의 전제부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독일 실용신안 제89 16 031호에는 2개의 파이프들의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커플링은 고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2개의 파이프들의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독일 실용신안 제89 16 031호에 따라 슬리브는 벨의 내부면에서 축방향 링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벨 및 그에 따라 슬리브는 조임 장치에 의해 조여질될 수 있다. 조임 장치는 상기 선행 기술에 따라 2개의 조임 스트랩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조임 스트랩은 조임 스크루와 협력한다. 독일 실용신안 제89 16 031호에 따르면, 2개의 조임 스트랩들의 단부들이 휘어져서 루프를 형성하고,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각각의 단부는 원형 볼트로서 형성된 조임 볼트를 둘러싼다. 각각의 조임 스트랩과 협력하는 조임 스크루는 원형 볼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원형 볼트는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를 둘러싼다.
조임 스트랩들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들은 2개의 부분으로, 즉 감는 부분 과 결합 부분으로 나눠진다. 감는 부분은 각각의 원형 볼트를 감는 데 사용되고,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는 결합 부분에서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에 영구 결합된다. 독일 실용신안 제89 16 031호에 따라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의 결합 부분은 용접 점에 의해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 부분은 감는 부분에 대해 휘어진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파이프 커플링은 동적 하중으로 인해,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의 결합 부분에서 균열 형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결국 파이프 커플링이 분리되고, 2개의 결합된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 사이의 갭이 밀봉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새로운 방식의 파이프 커플링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청구항 1의 파이프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면,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는, 상기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각각의 단부의 감는 부분과 결합 부분 사이의 이행 영역이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하도록,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에 접선으로 안내된다. 상기 단부를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조임 스트랩의 각각의 단부의 결합 부분은 조임 볼트로부터 볼 때 이행 영역 뒤에 놓인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청구항 7의 파이프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면, 슬리브가 성형 셸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성형 셸에는 조임 장치의 하나 이상의 조임 부재가 안내되고, 상기 조임 장치는 성형 셸을 통해 슬리브를 조인다.
본 발명의 2가지 관점의 공통점은 파이프 커플링이 동적 하중에 대해 민감하지 않고 긴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조임력은 하나 이상의 조임 스트랩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조임 스트랩은 슬리브를 부분적으로 직접 둘러싸 며,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에서 조임 스트랩의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에 의해, 동적 하중으로 인한 균열 형성의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슬리브의 조임은 성형 셸에 고정된 조임 장치의 하나 이상의 조임 부재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 부재는 조임 벨트 또는 조임 케이블로서 형성된다. 슬리브를 부분적으로 직접 둘러싸는 성형 셸은 조임력을 안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파이프 커플링(10)은 링형 슬리브(11)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는 서로 결합되어야 하는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슬리브(11)는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무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파이프 커플링(10)의 슬리브(11)는 조임 장치에 의해 조여질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임 장치는 2개의 조임 스트랩들(12, 13) 및 4개의 조임 스크루들(14)로 형성된다.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은 대략 슬리브(11)의 1/2 원주에 걸쳐 연장되며, 조임 스트랩(12, 13)의 마주 놓인 단부는 조임 스크루(14)에 의해 결합된다. 조임 스트랩들(12, 13)은 슬리브(11)에 직접 인 접한다. 즉, 방사방향 외부로 그리고 측면으로 인접한다. 슬리브(11)의 대략 1/2 원주에 걸쳐 연장된, 2개의 조임 스트랩들(12, 13) 대신에, 대략 슬리브(11)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된 단일 조임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임 스트랩의 마주 놓인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조임 스크루(14)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각각의 단부(15)의 영역에서 상기 단부는 휘어져서 루프를 형성하고,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는 각각 감는 부분(16)과 결합 부분(17)을 갖는다.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의 감는 부분(16)은 파이프 커플링(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임 볼트(18)를 휘감는다. 조임 스트랩(12, 13)의 마주 놓인 단부(15)에 있는 조임 볼트(18)에는 조임 스크루(14)가 고정되고, 상기 조임 스크루(14)를 조이면, 조임 스트랩(12, 13)의 마주 놓인 단부들(15)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파이프 커플링(10)의 슬리브(11)가 조여진다.
조임 스트랩들(12, 13)의 마주 놓인 단부들(15) 사이에 연장되는, 조임 스트랩(12, 13)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슬리브(11)의 영역은 도시되지 않은 커버링 부재에 의해 방사방향 외부에서 커버되고, 조임 스크루(14)를 조이면 조임 스트랩(12, 13)의 단부들(15)이 상기 커버링 부재를 통해 이동된다. 도시되지 않은 커버링 부재는 슬리브(11)가 그것을 조일 때 조임 스트랩(12, 13)의 마주 놓인 단부들(15) 사이에서 방사방향 외부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 의 영역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는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는, 각각의 단부(15)의 감는 부분(16)과 결합 부분(17) 사이에 위치한, 각각의 단부(15)의 이행 영역(20)이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접선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된다. 감는 부분(16)은 바람직하게는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으로 이행한다.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를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조임 스트랩(12, 13)의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은 조임 볼트(18)에서 볼 때 각각의 단부(15)의 이행 영역(20) 뒤에 놓인다. 이로 인해, 결합 부분(17) 내로의 방사방향 힘의 도입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은 용접에 의해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용접 시임(21)은 파이프 커플링(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은 도 2에 따라 사다리꼴로 형성된 다수의 태브(22)를 형성한다. 사다리꼴로 형성된 태브(22)의 에지(23)는 파이프 커플링(10)의 원주 방향과 20°까지의 각, 특히 15°까지의 각을 형성한다. 이로부터, 인접한 태브들(22)의 에지들(23) 사이에 형성된 쐐기는 40°까지의 개방각, 특히 30°까지의 개방 각을 갖는다. 용접 시임들(21)은 태브 의 에지(23)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그에 따라 에지(23)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인접한 태브들(22) 사이의 축소부(24)는 도 2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용접 시임들(21)은 상기 축소부(24)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의 상기 디자인에 의해 그리고 상기 결합 부분의 영역에서 용접 시임(21)의 상기 연장에 의해, 용접 시임들(21)은 전단 응력에 노출되며 인장 하중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인접한 태브들(22) 사이의 축소부(24)에 의해, 용접 시임들(21)은 특히, 민감한 용접 시임 시작 부분에서 추가로 부하 경감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2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의 파이프 커플링(25)은 조임 스트랩들(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의 디자인만이 도 1 및 도 2의 파이프 커플링(10)과 다르기 때문에, 불필요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유닛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조임 스트랩들(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의 결합 부분(17)은 니벳에 의해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따라 결합 부분(17)은 상하로 놓인 다수의 열로 그룹화된 다수의 니벳(26)에 의해 조임 스트랩(12)의 외부면(19)과 결합된다. 결합 부분(17)을 각각의 조임 스트랩(12, 13)의 외부면(19)과 니벳 결합할 때, 열이 재료 내로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동적 하중에 대한 재료의 내성이 높아지고, 용접 결합에 비해 균열 형성의 위험이 낮아진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도 슬리브(11)를 조이기 위한 조임력이 슬리브(11)에 직접 인접한 조임 스트랩들(12, 13)을 통해 안내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27)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이프 커플링(27)은 2개의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파이프 커플링(27)의 슬리브는 서로 결합될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슬리브는 탄성의, 바람직하게는 고무 탄성의 재료로 형성된다. 슬리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지 않으며, 오히려 슬리브를 조일 때 슬리브가 방사방향 외부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링 부재(28)가 도시된다.
조여야 하는 슬리브는 도 5 및 도 6에 따라 성형 셸(29)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조임 장치의 조임 부재(30)는 성형 셸(29)에 방사방향 외부로 안내된다. 조임 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 따라 조임 벨트로 형성되고, 조임 벨트(30)의 단부들(31)은 각각 조임 볼트(32)를 둘러싸는 루프를 형성한다. 조임 볼트(32)는 파이프 커플링(27)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임 볼트(32)에는 조임 스크루(33)가 고정되고, 상기 조임 스크루는 파이프 커플링(27)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임 벨트(3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화합물, 특히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이러한 폴리머 화합물의 높은 파괴 연신율로 인해, 조임 벨트(30)가 동적 하중에 대해 민감하지 않게 된다. 조임 벨트(30)는 전체 원주 방향 힘을 흡수하고, 상기 힘은 슬리브를 조이기 위해 사용되므로, 슬리브에 직접 인접한 파이프 커플 링(27)의 성형 셸(29)은 조임력을 흡수할 필요가 없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34)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는 조임 장치의 조임 부재로서 조임 벨트 대신에 2개의 조임 케이블(35)을 사용한다는 점이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다르다. 나머지 세부사항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일치하므로, 불필요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유닛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도 슬리브(28)를 조이기 위해 필요한 원주 방향 힘이 조임 케이블(35)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기 때문에, 성형 셸(29)은 조임력을 전달하거나 흡수할 필요가 없다. 조임 케이블들(35)은 바람직하게 강 케이블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조임 케이블의 사용시, 기계적 손상에 대한 내성이 도 5 및 도 6에 따른 조임 벨트의 사용시 보다 약간 더 양호하지만, 제조 비용이 조임 케이블의 사용시 보다 높다. 조임 벨트의 사용시, 조임 볼트(32)를 통한 힘의 도입이 조임 케이블의 사용시 보다 더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부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5, 27, 34 : 파이프 커플링 11 : 슬리프
12, 13 : 조임 스트랩 14, 33: 조임 스크루
15, 31 : 단부 16 : 감는 부분
17 : 결합 부분 18, 32 : 조임 볼트
19 : 외부면 20 : 이행 영역
21 : 용접 시임 22 : 태브
23 : 에지 24 : 축소부
26 : 니벳 28 : 커버링 부재
29 : 성형 셸 30 : 조임 부재(조임 벨트)
35 : 조임 부재(조임 케이블)

Claims (11)

  1. 2개의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으로서, 파이프들의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 슬리브, 및 하나 이상의 조임 스트랩 및 하나 이상의 조임 스크루를 가진, 상기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조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 스트랩은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조임 스트랩의,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는 각각 조임 볼트를 휘감는 감는 부분, 및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단부를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외부면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분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단부(15)는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상기 외부면(19)에 접촉하는, 상기 단부의 상기 감는 부분(16)과 상기 결합 부분(17) 사이의 이행 영역(20)이 상기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19)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상기 외부면(19)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단부를 상기 각각의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각각의 단부(15)의 상기 결합 부분(17)은 조임 볼트(18)에서 볼 때 상기 이행 영역 뒤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각각의 단부의 상기 결합 부분(17)은 용접에 의해 상기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19)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용접 시임들(21)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스트랩(12, 13)의 각각의 단부의 상기 결합 부분(17)은 다수의 태브(22)를 형성하고, 상기 태브(22)의 에지들(23)은 원주 방향과 20°까지의, 특히 15°까지의 각을 형성하고, 용접 시임들은 상기 에지(23)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한 태브들(22) 사이의 축소부(24)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용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스트랩의 각각의 단부(15)의 상기 결합 부분(17)은 니벳에 의해 상기 조임 스트랩의 상기 외부면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부분(16)은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각각의 단부(15)의 상기 결합 부분(17)으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7. 2개의 파이프들의 인접한 단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으로서, 파이프들의 단부들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 슬리브, 및 하나 이상의 조임 스크루를 가진, 상기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8)는 성형 셸(29)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성형 셸(29)에는 상기 조임 장치의 하나 이상의 조임 부재(30, 35)가 안내되고, 상기 조임 장치는 상기 성형 셸(29)을 통해 상기 슬리브(28)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의 상기 조임 부재(30)는 조임 벨트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 벨트(30)는 상기 성형 셸(29)의 외부면에 안내되며, 상기 조임 벨트(29)의 단부들은 각각 조임 볼트(32)를 감는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 볼트를 통해 상기 조임 스크루(33)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벨트(30)가 폴리머 화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의 상기 조임 부재(35)는 조임 케이블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임 케이블(35)은 상기 성형 셸(29)의 외부면에 안내되며, 상기 조임 케이블(35)의 단부들은 각각 조임 볼트(32)를 감는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 볼트를 통해 상기 조임 스크루(33)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케이블(35)은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KR1020080016163A 2007-03-03 2008-02-22 파이프 커플링 KR101385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0342.7 2007-03-03
DE102007010342.7A DE102007010342B4 (de) 2007-03-03 2007-03-03 Rohrkupplu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6214A Division KR101492742B1 (ko) 2007-03-03 2013-12-16 파이프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23A true KR20080081123A (ko) 2008-09-08
KR101385255B1 KR101385255B1 (ko) 2014-04-16

Family

ID=39149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163A KR101385255B1 (ko) 2007-03-03 2008-02-22 파이프 커플링
KR20130156214A KR101492742B1 (ko) 2007-03-03 2013-12-16 파이프 커플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6214A KR101492742B1 (ko) 2007-03-03 2013-12-16 파이프 커플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5426104B2 (ko)
KR (2) KR101385255B1 (ko)
CN (2) CN102135212B (ko)
DE (1) DE102007010342B4 (ko)
FI (1) FI1223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18B1 (ko) * 2013-12-23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라디언트 튜브 보수용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0386B4 (de) * 2010-11-26 2014-11-06 Winfried Felber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endlichen Bands
DE102012002196A1 (de) 2012-01-24 2013-07-25 Winfried Felber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zwei unterschiedliche Außendurchmesser aufweisende Rundlingen
CN103148315B (zh) * 2013-03-26 2015-09-09 江苏明江机械制造有限公司 无两翼耳板对夹式螺栓扣高温管道隔热卡箍
FR3004505B1 (fr) * 2013-04-11 2015-05-08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tubes lisses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DE102017002885A1 (de) * 2017-03-25 2018-09-27 Man Truck & Bus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Spannband
KR102657669B1 (ko) * 2023-06-21 2024-04-15 한은희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1828A (en) * 1942-07-22 1944-02-15 Clarence C Tetzlaff Clamp
FR984592A (fr) * 1949-02-14 1951-07-09 Dispositif de frettage pour corps cylindriques et notamment pour tuyaux
DE1733145U (de) * 1954-03-31 1956-10-31 Ernst Peyer Schlauchbinder.
DE1717978U (de) * 1955-03-29 1956-03-01 Siemens Ag Bandschelle.
US2834087A (en) * 1957-05-21 1958-05-13 Herman Albert Dale V-band clamp with integral strengthening ribs
DE6900634U (de) * 1969-01-09 1969-06-12 Erich Schlemper Insbesondere als schlauchklemme zu verwendende ringfoermige spannvorrichtung
DE7429044U (de) * 1974-08-28 1976-03-04 Brandmueller Gmbh & Co Kg Lufttechnischer Geraete- Und Kanalbau, 8430 Neumarkt Vorrichtung zum gasdichten verbinden flanschloser rohre
JPS5436126U (ko) * 1977-08-17 1979-03-09
JPS56149184U (ko) * 1980-04-09 1981-11-09
JPS6114726Y2 (ko) * 1981-04-15 1986-05-08
DE3729372A1 (de) * 1987-09-03 1989-03-16 Rasmussen Gmbh Schelle mit geschlitzten bandschlaufen zum einhaengen eines verschlusses
CN2043313U (zh) * 1988-09-03 1989-08-23 刘克喜 管道密封紧固节
DE3926626A1 (de) 1989-04-11 1990-10-18 Rasmussen Gmbh Rohrkupplung zum verbinden der enden zweier rohre
DE3931275A1 (de) * 1989-09-20 1991-03-28 Total Feuerschutz Gmbh Rohrkupplung
EP0550813B1 (de) * 1992-01-07 1997-02-12 Straub Federnfabrik Ag Rohrkupplung
IL102960A (en) * 1992-08-26 1994-10-21 Krausz Eliezer Means of perception and linkage
DE4309565C2 (de) * 1993-03-24 1995-05-04 Kratzer F Mefa Duebel Gmbh Bandschelle
GB2283068B (en) * 1993-10-22 1997-09-10 Taylor Kerr Pipe coupling
JPH07248086A (ja) * 1994-03-09 1995-09-26 Hino Motors Ltd ホースクランプ
JP3160794B2 (ja) * 1994-09-30 2001-04-25 株式会社ベンカン 管継手
JPH09317963A (ja) * 1996-03-26 1997-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管体保持装置
DE19802676C1 (de) * 1998-01-24 1999-05-06 Rasmussen Gmbh Spannbare Rohrkupplung
JPH11294656A (ja) * 1998-04-07 1999-10-29 Sakamoto:Kk ダクト用継手
DE19822915C1 (de) * 1998-05-22 1999-09-23 Rasmussen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Fluidleitungen
DE19901663C2 (de) * 1999-01-18 2001-02-22 Rasmussen Gmbh Rohrkupplung
DE19938606C1 (de) * 1999-08-14 2000-12-14 Rasmussen Gmbh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Erreichens des Sollwerts der Spannkraft einer spannbaren Schelle
DE20002111U1 (de) * 2000-02-07 2000-04-27 Johann Sauer Eisenwarenfabrik Gelenkschraubrohrschelle
JP2001254883A (ja) * 2000-03-10 2001-09-21 Torii Kasei Kk コルゲート管用継ぎ手
US6758501B2 (en) * 2000-06-23 2004-07-06 Breeze-Torca Products, Llc Pipe coupler
DE10048955A1 (de) * 2000-10-04 2002-05-02 Rasmussen Gmbh Schellenband
JP2003120868A (ja) * 2001-10-16 2003-04-23 Sho Bond Coupling Kk 管継手
CN2585002Y (zh) * 2002-11-19 2003-11-05 河南上蝶阀门股份有限公司 双法兰传力接头
DE202004017501U1 (de) * 2004-11-11 2005-01-05 Kirchhoff Gmbh & Co.Kg 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Abgas führender Rohre
MX2007006041A (es) * 2004-11-19 2007-07-20 Breeze Torca Products Llc Abrazadera para tubo con sujetador mejorado.
EP1745917B1 (de) * 2005-07-18 2013-03-06 Georg Fischer Wavin AG Elektroschweissmuffe
JP4699150B2 (ja) * 2005-09-16 2011-06-08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18B1 (ko) * 2013-12-23 2015-05-11 주식회사 포스코 라디언트 튜브 보수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2379B (fi) 2011-12-30
KR101385255B1 (ko) 2014-04-16
CN101255937A (zh) 2008-09-03
DE102007010342B4 (de) 2019-10-02
FI20085178A0 (fi) 2008-02-28
JP2008215622A (ja) 2008-09-18
JP2015111003A (ja) 2015-06-18
FI20085178A (fi) 2008-09-04
DE102007010342A1 (de) 2008-09-04
CN102135212B (zh) 2014-01-29
KR101492742B1 (ko) 2015-02-12
JP2014013086A (ja) 2014-01-23
CN102135212A (zh) 2011-07-27
JP5703356B2 (ja) 2015-04-15
KR20140022357A (ko) 2014-02-24
CN101255937B (zh) 2012-06-13
JP5426104B2 (ja)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742B1 (ko) 파이프 커플링
US6328352B1 (en) Pipe coupling
FI76198C (fi) Stickkoppling foer foerbindande av tvenne roeraendar.
CA2721782A1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CN100552274C (zh) 包括具有垫片的中心肋的管箍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021968B1 (ko)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 이음매
US6692042B2 (en) Profiled clamp and sleeve joint comprising such a profiled clamp
US3144264A (en) Band type coupling for flanged pipe
CN205606032U (zh) 能够连接电缆的管接头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CN210600664U (zh) 异径管连接处抢修装置
JP3601963B2 (ja) ポリオレフィン管用分岐管
CN214534978U (zh) 一种卡箍及一种管路系统
JP4372897B2 (ja) ポリエチレン管用補修継手
KR200458990Y1 (ko) 고온 및 고압 가스관용 관이음 장치
CN202402843U (zh) 一种螺旋波纹管道的连接接头
US20230160517A1 (en) Pipe coupling sleeve assembly
US11506312B2 (en) Encapsulation sleeve gasket assembly with detachable inner layer
KR20080037200A (ko) 수지파형강관의 연결구조
JPH08261376A (ja) 管体の継手装置
JPH10122455A (ja) 管継手の耐震構造
JP2007239847A (ja) パイプ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