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827A -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827A
KR20080076827A KR1020080013843A KR20080013843A KR20080076827A KR 20080076827 A KR20080076827 A KR 20080076827A KR 1020080013843 A KR1020080013843 A KR 1020080013843A KR 20080013843 A KR20080013843 A KR 20080013843A KR 20080076827 A KR20080076827 A KR 2008007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ooting
shake
shake correc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563B1 (ko
Inventor
스에유키 오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60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60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6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2833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08007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시스템은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종료 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CAMERA SYSTEM AND CAMERA BODY}
본 발명은 손의 흔들림 등에 기인하는 상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9084호에는 손의 흔들림에 의한 각속도(角速度)나 화상의 상 흔들림에 기초하여 흔들림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흔들림량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 렌즈를 구동하여, 촬상면 또는 필름면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흔들림 보정 장치에서는 흔들림 보정 렌즈는 촬영 광학계의 일부를 구성하고, 촬영 광축에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시프트 이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서는 릴리즈 버튼을 완전히 눌러 실시되는 촬영 동작 전에도,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보정 렌즈를 그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시켜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러져 촬영이 개시되는 시점에서, 보정 렌즈가 그 가동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정 렌즈가 가동 범위의 구석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릴리즈된 경우, 그 이상 보정 렌즈를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흔들림 보정의 효과가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서는 릴리즈 버튼을 완전히 눌러 실시하는 촬영 동작시에는, 일단 보정 렌즈를 그 가동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에 센터링하고, 그 센터링된 거의 중앙 위치로부터,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보정 렌즈를 구동 제어, 즉 흔들림 보정을 개시하고 그 후 촬영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를 거의 중앙 위치에 센터링함으로써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또한, 촬영 동작시에 센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촬영시의 흔들림 보정 가능한 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하여 보다 큰 흔들림에 대해서도 흔들림 보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촬영 동작을 개시하기 직전에서 보정 렌즈를 센터링하는 경우, 그 센터링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촬영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에 지연이 발생하여, 릴리즈 타임래그가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릴리즈 타임래그를 짧 게 하는 것과, 릴리즈 타임래그를 희생해도 보정 렌즈를 촬영전에 센터링하여 광학 성능을 충분히 끌어 냄과 동시에 보다 큰 손의 흔들림에 대응하는 것은 양립시키기 곤란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시스템은,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像面)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에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종료 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 개시전에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 개시전에,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범위 설정부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촬영 종료 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에서 순차 촬상되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 하여 순차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센터링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이 종료된 후에, 표시 화상의 순차 표시가 개시되기 전에 센터링을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은,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에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 영 개시 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여부를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은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 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 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은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 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 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은,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 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에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 촬영 처리 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 요부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변경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 처리 개시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과,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제 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제 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은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서의,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으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 요부의 설정 상태, (b) 흔들림 보정부의 이동량과 촬상면상의 상 이동량의 관계인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 (c) 촬상면이 피사체광에 노광되는 시간인 촬영 초시(秒時), (d) 설정되어 있는 포커스 모드의 종류, (e) 설정되어 있는 섬광 촬영 모드의 종류, (f)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오프 상태, (g) 촬영을 복수회 연속하여 실시하는 연사 촬영 모드의 온오프 상태 및 (h) 상기 흔들림 보정의 온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은,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에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에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에서 촬영 처리 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는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변경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변경량 제어 수단은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panning) 모드인 경우에 가동 허용 범위를 제 1 크기로 설정하고,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가 아닌 경우에 가동 허용 범위를 상기 제 1 크기와 다른 제 2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제 1 크기가 제 2 크기보다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바디는,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종료 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바디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범위 설정부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촬영 종료 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바디는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에서 순차 촬상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서 순차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센터링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종료 후 표시 화상의 순차 표시가 개시되기 전에 센터링을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카메라 바디는,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 개시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를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바디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은,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 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바디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은,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의 개시전에서의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 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오프 상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카메라 바디는,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의 후 촬영 처리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 요부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변경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바디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는 촬영 처리의 개시전에 흔들림 보정부가 가동 허용 범위의 거의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과,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 중 어느 것을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제 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제 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경 수단에 의한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태양의 카메라 바디는,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상면에서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 출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검출부에서 검출한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목표 위치와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시에서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에서 촬영 처리 전에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는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변경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인 경우에 가동 허용 범위를 제 1 크기로 설정하고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가 아닌 경우에 가동 허용 범위를 제 1 크기와 다른 제 2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변경량 제어 수단은 제 1 크기가 제 2 크기보다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1-1. 전체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흔들림 보정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구체적인 예로 했다. 카메라(1)는 주밍 렌즈(3), 보정 렌즈(4), 포커싱 렌즈(5), 섬광부(6), 광학 파인더(7), 셔터(8), 촬상 소자(9), 제어부(10), 섬광 회로부(11), 주밍 렌즈 구동부(12),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 흔들림 보정 회로부(14), 포커싱 렌즈 구동부(15),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 셔터 구동부(17), 조작부(18), 외부 액정 모니터(19), 집음부(30), 불휘발성 기억 매체(31), 및 조작음 발생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본 카메라(1)의 전체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0)는 기능 상으로 주제어부(10a)와 흔들림 제어부(10b)로 나뉘어져 있지만, 실태는 하나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제어부(10a)를 추가로 몇 개의 제어 블럭으로 하는 것이나, 복수의 원터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흔들림 제어부(10b)를 독립시킨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하고, 각각의 제어 블럭을 시리얼 통신 등으로 통신하고, 동일한 동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경통(1b) 내에 설치된 주밍 렌즈(3), 흔들림 보정을 위한 보정 렌즈(4) 및 포커싱 렌즈(5)는 촬영 광학계를 구성한다. 촬상 광학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카메라 바디(1a)에 설치된 촬상 소자(9)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9)를 제어하는 주제어부(10a)는 촬상 소자(9)로부터의 신호를 화상 처리하고, 촬상 결과 등을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한다. 또한, 주제어부(10a)는 필요에 따라서 촬영 화상을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기억 매체(31)에 기억시키고, 또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1)로부터 기억된 촬영 화상의 판독을 실시한다.
주밍 렌즈 구동부(12)는 주밍 렌즈(3)를 촬영 광축(2)의 방향으로 구동한다.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는 주밍 렌즈(3)의 위치를 검출한다. 주제어부(10a)는 검출된 주밍 렌즈(3)의 위치에 기초하여 주밍 렌즈(3)를 촬영 광축(2)의 방향으로 구동하고, 촬영 광학계의 촬영 초점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포커싱 렌즈 구동부(15)는 포커싱 렌즈(5)를 촬영 광축(2)의 방향으로 구동한다.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는 포커싱 렌즈(5)의 위치를 검출한다. 주제어부(10a)는 검출된 포커싱 렌즈(5)의 위치에 기초하여 포커싱 렌즈(5)를 촬영 광축(2)의 방향으로 구동하고, 촬상 소자(9)의 촬상면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핀트 상태를 조정한다. 주제어부(10a)는 촬상 소자(9)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핀트 검출을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예를 들어, 촬상 소자(9)로부터 얻어진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량을 검출하고, 콘트라스트량이 극치가 되는 포커싱 렌즈(5)의 위치를 핀트 위치라고 판단한다.
주제어부(10a)는 셔터 구동부(17)를 사용하여 셔터(8)를 제어하고, 필요한 타이밍으로 셔터(8)의 개폐를 실시한다. 플래시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 주제어부(10a)는 섬광 회로부(11)를 통하여 크세논관 등을 사용한 섬광부(6)를 필요한 타이밍으로 발광시킨다. 또한, 주제어부(10a)에 접속된 조작부(18)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촬영 모드 등의 정보의 입력 및 설정이 가능하다. 설정한 촬영 모드 등의 정보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주제어부(10a)는 집음부(30)로부터 얻어진 본 카메라(1)의 주위음을 집음하여 불휘발성 기억 매체(31)로 기억시키거나, 또는 집음된 데이터를 불휘발성 기억 매체(31)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주제어부(10a)는 음압 부저, 또는 스피커, 및 그 구동회로 등을 사용한 조작음 발생부(32)에 의해 본 카메라(1)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기동했을 때나 조작부(18)를 조작한 경우, 셀프 타이머 촬영시나 촬영시에 각각에 맞는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1-2. 보정 렌즈 구동 기구
다음에, 보정 렌즈(4)의 구동 기구 및 위치 검출 기구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구동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동 기구는 가동부(21)에 유지된 보정 렌즈(4)를 촬영 광축(2)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서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다. 카메라(1)의 경통부(1b)의 부재에 고정된 고정부(20)와 가동부(21) 사이에는 슬라이딩볼(22)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21)가 부세 스프링(23)에 의해 고정부(20) 방향으로 부세됨으로써, 고정부(20)와 가동부(21) 사이에 슬라이딩볼(22)이 파지(把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볼(22)과 부세 스프링(23)이 각각 3쌍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볼(22)이 고정부(20)와 가동부(21) 사이를 굴러가는, 또는 슬라이딩함으로써, 보정 렌즈(4)는 촬영 광축(2)(도 1 참조)과 거의 수직인 평면 내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21)에는 슬라이딩볼(22)을 둘러싸도록 가동부 돌기(21a, 21b)가 설치되고, 고정부(20)에는 고정부 돌기(20a, 20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돌기에 의해 슬라이딩볼(22)이 원하는 위치 범위 내에 멈추고 또한 가동부(21)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가 제한된다.
도 3은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정 렌즈(4)는 가동부 돌기(21a, 21b) 및 고정부 돌기(20a, 20b)에 의해 한변의 길이를 2×LR range로 하는 정방형상의 가동 범위(400) 내로 이동이 한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400)의 형상을 정방형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방형틀이거나 또는 거의 정8각형틀 등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 4를 사용하여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 기구 및 보정 렌즈(4)의 촬영 광축(2)에 대해서 수직 평면으로 구동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보정 렌즈(4)의 구동 기구와 위치 검출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가동부(21)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마그네트(43)와 고정부(20)에 설치된 홀소자(44)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홀소자(44)의 감도축 방향의 자속이 보정 렌즈(4)의 이동에 거의 비례하여 변화되도록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홀소자는 자속이 제로일 때 거의 출력이 제로가 되고, 자속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 출력 전압이 변화된다. 따라서, 홀 소자(44)의 출력을 확인함으로써, 보정 렌즈(4)의 위치가 검출 가능해진다.
가동부(21)에 구동용 마그네트(41)를, 고정부(20)에 코일(40)을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고정부(20)의 코일(40)과는 반대면에 요크(42)를 배치한다. 코일(40)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가동부(21)에 전자력이 발생하여 보정렌즈(4)를 구동한다. 상기 구성의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 기구 및 구동 기구는 직교하는 2축(한쪽을 X축, 다른쪽을 Y축으로 함) 방향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그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촬영 광축(2)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가동 범위(400) 내의 임의의 위치로 구동하고 또한 보정 렌즈(4)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 조작부(18)
도 5는 본 카메라(1)의 배면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본 발명에 관한 조작부(18)의 각 부재, 및 각종 모드의 설정에 필요한 외부 액정 모니터(19)의 배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주제어부(10a)를 포함하는 제어부(10)와 조작부(18)의 접속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8)를 구성하는 각종 버튼은 각각이 도 6의 각 스위치에 연동하여 각 버튼이 조작되면 그 해당하는 스위치가 온한다.
도 6에 도시한 각 스위치는 주제어부(10a)와 동일한 전원 VDD에 저항으로 풀업되고, 또한 주제어부(10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종 버튼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해당하는 스위치는 오프이고, 주제어부(10a)에 고(High) 레벨을 출력한다. 또한, 각종 버튼이 조작되면, 그 해당하는 스위치가 온이 되고, 주제어부(10a)에 저(Low) 레벨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주제어부(10a)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 레벨에 의해, 그 스위치에 해당하는 버튼의 조작이 인식 가능해진다.
릴리즈 버튼(20)은 그 압입 스트로크의 중간 정도까지 압입됨으로써 반누름 스위치(120a)가 온하고, 그곳으로부터 더 깊이 압입함으로써 완전 누름 스위치(120b)가 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릴리즈 버튼(20)을 압입함으로써, 후술하는 촬영 동작을 개시하는 등의 동작이 실시된다. 제어부(10)는 완전 압입 스위치(120b)가 온이 되면, 조작자가 촬영 지시의 조작을 실시했다고 판단한다. 동일하게, 메인 버튼(21)은 메인 스위치(121)에, 메뉴 버튼(23)은 메뉴 스위치(123)에 연동하고 있다. 줌 레버(22)는 좌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줌 다운 스위치(122a)가 온하고, 우측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줌 업 스위치(122b)가 온한다. 또한, 메인 버 튼(21)을 누름으로써, 후술한 바와 같이 본 카메라(1)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된다.
메뉴 버튼(23)을 누르면, 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설정 메뉴가 표시되고, 멀티 셀렉터(24)에 의해 각종 모드 등의 설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줌 레버(22)를 좌측으로 쓰러드리면, 주밍 렌즈(3)가 구동되어 촬영 초점 거리가 와이드측으로 되고, 반대로 줌 레버(22)를 우측으로 쓰러뜨리면 촬영 초점 거리가 동일 텔레(Tele)측으로 된다. 멀티셀렉터(24)는 복수의 버튼과 그에 연동하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앙의 멀티 셀렉터 버튼(24a)이 멀티 선택(중앙)SW(124a)에, 우측의 멀티 셀렉터 버튼(24b)이 멀티 선택(우측)SW(124b)에, 상측의 멀티 셀렉터 버튼(24c)이 멀티 선택(상)SW(124c)에, 좌측의 멀티 셀렉터 버튼(24d)이 멀티 선택(좌측) 스위치(124d)에, 하측의 멀티 셀렉터 버튼(24e)이 멀티 선택(하측) 스위치(124e)에 연동하고 있다.
2. 각종 모드의 설정
다음에, 상술한 각종 버튼을 조작하여 설정되는 각종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영 모드를 비롯한 본 발명에 관한 각종 모드, 각종 촬영 조건, 그 밖의 설정, 및 변경은 메뉴 버튼(23), 멀티 셀렉터(24), 및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실시된다. 사용자는 우선 메뉴 버튼(23)을 누르고,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도 7은 설정 메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멀티 셀렉터(24)의 멀티 셀렉터 버튼(24c) 및 멀티 셀렉터 버 튼(24e)을 조작함으로써,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되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부분(도 7의 예에서는 굵은 선의 직사각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부분이고, "흔들림 보정 기능"이 선택되어 있음)을 이동시키고 변경, 설정하고 싶은 항목을 선택한다. 그리고, 멀티 셀렉터(24)의 멀티 셀렉터 버튼(24b) 또는 멀티 셀렉터 버튼(24d)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되어 있는 항목(도 7의 예에서는 "흔들림 보정 기능")의 설정을 변경, 설정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현재는 직사각형 테두리로 둘러싸인 설정으로 되어 있고, 멀티 셀렉터 버튼(24b), 멀티 셀렉터 버튼(24d)을 압입함으로써, "온" "오프"의 설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주제어부(10a)는 메뉴 버튼(23) 및 멀티 셀렉터(24)의 사용자 조작을 그에 연동한 각 스위치의 온/오프로 인식하고, 그 결과를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시키며 각종 모드, 각종 촬영 조건, 그 밖의 설정 및 변경을 실시한다.
3. 흔들림 제어부(10b) 및 흔들림 보정 회로(14)의 설명
3-1. 흔들림 검출
다음에, 흔들림 제어부(10b) 및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진동 자이로(200a, 200b)는 그 각속도의 검출 방향이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 방향의 X축 방향, Y축 방향이 되도록 카메라(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진동 자이로(200a, 200b)는 카메라(1)의 진동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를 통하여 흔들림 제어부(10b)에 출력한다. 흔들림 제어부(10b)는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그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흔 들림 제어부(10b)는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로부터의 출력을 A/D 변환기에서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1)에 발생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흔들림 각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구체적 회로 형태 및 검출 방법으로서는 공지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44340』에 의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흔들림 각속도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80512』등의 공지 기술에 의해, 각속도의 디멘션을 적분하고, 위치의 디멘션으로 변환함으로써, 카메라(1)에 발생한 흔들림을 적정하게 보정하기 위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이하, 단지 목표 위치(Lc)라고 함)를 산출한다.
3-2. 보정 렌즈 위치 검출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은 X축용 홀소자(44a) 및 Y축용 홀소자(44b)의 출력을 각각 홀소자 처리 회로부(202a, 202b)에 의해 처리하고, 흔들림 제어부(10b)에 출력함으로써 실시된다. 흔들림 제어부(10b)는 홀소자 처리부(202a, 202b)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그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흔들림 보정 제어부(10b)는 홀소자 처리부(202a, 202b)로부터의 출력을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보정 렌즈(4)의 위치(이하, 보정 렌즈 위치(Lr)(X) 및 보정 렌즈 위치(Lr)(Y)라고 기재함)를 검출한다. 또는, 흔들림 보정 제어부(10b)는 후술하는 하드웨어 제어부(206a, 206b)의 A/D 변환부(251a)에 의한 홀소자 처리부(202a, 202b)의 출력의 A/D 변환값을 판독하여 보정 렌즈 위치(Lr)(X) 및 보정 렌즈 위치 Lr(Y)를 얻는다.
홀소자 처리부(202a, 202b)를 구체적인 회로도를 사용하여 더 설명한다. 도 9는 X축 방향의 검출용 홀소자(44a)에 관한 홀소자 처리부(202a)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Y축 방향의 홀소자 처리부(202b)도 동일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자(44a)는 등가적으로 저항(Rh1, Rh2, Rh3, Rh4)의 브리지 회로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홀소자는 자계가 제로일 때 저항(Rh1, Rh2, Rh3, Rh4)이 일정한 밸런스 상태에 있고, 출력 Vhout-와 Vhout+ 간의 전위차는 거의 제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자계를 가하면, 저항(Rh1, Rh2, Rh3, Rh4)의 비율이 변화되고, 출력 Vhout-와 Vhout+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출력 Vhout-와 Vhout+ 사이의 전위차는 자계의 크기에 비례하고 또한 홀소자에 흐르는 전류, 구체적으로는 입력 Vhin+로부터 Vhin-에 흐르는 전류에도 비례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소자(44a)는 연산 증폭기(OP301a), D/A 변환기(305a), 트랜지스터(Tr304a) 및 저항(R311a)에 의해 구성되는 정전류 회로에 의해 정전류 구동된다. 저항(R311a)의 저항값을 "r311a", D/A 변환기(305a)의 출력(Vhi) 전압의 값을 vh_i로 하면, D/A 변환기(305a)의 출력(Vhi) 전압에 비례한 일정 전류(ih)로 홀소자(44a)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류(ih)는 수학식 1과 같이 표시된다. 이것으로부터 제조상의 개개에 다른 감도 특성을 갖고, 또한 온도에 의해 변화되는 홀소자(44a)의 감도 편차를, D/A 변환기(305a)의 출력 전압(Vhi)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감도로 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1
도 9의 기준 전원(Vhref) 및 연산 증폭기(OP302a)로 구성되는 회로는 홀소자(44a)의 한쪽의 출력(Vhout-) 전압을 기준 전압(vhref)으로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기준 전원(Vhref)의 기준 전압(vhref)은 예를 들어 삼단자 레귤레이터 등에 의해 생성된다. 연산 증폭기(OP303a), D/A 변환기(306a), 저항(R312a, R313a, R314a) 및 콘덴서(C315a)로 구성되는 회로는 홀소자(44a)의 출력(Vhout-과 Vhout+) 사이의 전위차를 작동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고, 또한 OP302a에 의해 기준 전압(vhref)으로 유지된 출력(Vhout-)를 기준으로, D/A 변환기(306a)의 출력(Vhoffset) 전압을 반전 가산 증폭하여 출력한다.
저항(R312a, R313a, R314a)의 저항값을 각각 "r312a", "r313a", "r314a"로 하고, 기준 전압(vhref)을 기준으로 하는 홀소자(44a)의 출력(Vhout+) 전압 및 D/A 변환기(306a)의 출력(Vhoffset) 전압을 "vhout", "vhoffset"로 하면,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Vhout(X))의 전압(vhout(X))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 또한, G0=r314a/r312a, G1=r314a/r313a이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2
이상의 점에서, D/A 변환기(306a)를 조작하고, 그 출력(Vhoffset) 전압(vhoffset)을 가변시킴으로써,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Vhout(X))의 오프셋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적인 홀소자의 출력 전압은 자계가 제로인 경우에 제로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홀소자(44a)를 구성하는 저항(Rh1, Rh2, Rh3, Rh4)에 제조상의 불균형이 발생하거나 사용 온도가 변화됨으로써, 출력(Vhout-와 Vhout+) 사이의 전위차는 제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연산 증폭기(303a)의 입력 오프셋 전압도 발생한다. 또한,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 기구의 크기 편차에 의해,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 중앙에서 홀소자(44a)의 감도축 방향의 자계가 반드시 제로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Vhout)은 반드시 원하는 전압이 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한 경우, D/A 변환기(306a)를 조작하여 출력(Vhoffset) 전압(vhoffset)을 가변시킴으로써,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Vhout(X))를 원하는 전압으로 오프셋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D/A 변환기(305a, 306a)는 모두 흔들림 제어부(10b)에 접속되어 있고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의해, 홀소자 구동 전류(ih)를 조정하고 또한 홀소자(44a)의 감도 편차, 온도 변동에 의한 감도 변화 및 홀소자(44a)의 오프셋 전압을 비롯한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Vhout(X))에 포함되는 오프셋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이들 조정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흔들림 제어부(10b)는 D/A 변환기(305a)를 조작하여 출력(Vhi)의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 전압(vhout)의 보정 렌즈 위치(Lr)에 대한 변화량(도 10의 그래프의 기울기에 상당)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흔들림 제어부(10b)는 D/A 변환기(306a)를 조작 하여 출력(Vhoffset)의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 전압(vhout)을 시프트시킬 수 있다. 이들의 조정에 의해, 홀소자 처리부(202a)로부터 원하는 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서는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보정 렌즈 위치(Lr)±LRrange의 범위)에서, 홀소자 처리부의 출력은 Vadj-부터 Vadj+까지의 원하는 출력 범위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저항(R312a)의 저항값(r312a)이 너무 작아지면, 홀소자(44a)의 출력(Vhout+)부터 저항(R312a)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고, 이것이 오차가 되어 홀소자 출력의 검출 리니어리티에 영향을 주므로, 적절한 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컨덴서(C315a)는 보정 렌즈(4)의 위치 검출에 불필요한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적절한 용량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3-3. 보정 렌즈(4)의 구동
보정 렌즈 위치가 검출되어 목표 위치(Lc)가 산출되면, 그에 기초하여 카메라(1)에 발생한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이 산출된다. 보정 렌즈(4)의 구동량에 대해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제어용 구동량(Ds(X))과 하드웨어 제어용의 구동량(Dh(X))이 산출된다. 구동량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도 8로 되돌아가 보정 렌즈(4)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이 산출되면, 실제로 보정 렌즈(4)를 움직이기 위해 산출된 구동량에 기초하여 코일(40a, 40b)이 통전된다. 또한, 보정 렌즈(4)의 구동은 X축과 Y축의 2축에 대해서 구동 제어가 실시되지만,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X축에 관해서만 기재한다.
산출된 구동량(Ds(X)) 및 구동량(Dh(X))는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의 전환부(205a)로 보내어진다. 전환부(205a)는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의 전환 신호(a)에 의해 구동량(Ds(X)) 및 구동량(Dh(X))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구동량을 PWM 변환부(204a)에 출력한다. 또한, 전환 신호(a)에 의해, 구동량(Ds)(x)과 구동량(Dh(X))을 어떠한 조건에서 전환하는지에 대해서 후술한다.
PWM 변환부(204a)는 전환부(205a)에서 전환된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을 공지의 기술에 의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PWM 파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한 구동부(203a)에 의해 코일(X)(40a)을 통전한다. 구동부(203a)에는 일반적으로 H-BRIDGE형이 흔히 사용되고, 코일(40a)은 PWM파형에 의해 효율 좋게 구동된다. 또한, 구동부(203a)에는 파워계의 전원(VP)이 공급되고 있고, 상기 전원(VP)에 의해 코일(40a)이 통전된다.
4. 구동량 연산의 설명
다음에,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의 산출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 렌즈(4)의 구동량으로서, 2종류의 구동량 즉 소프트웨어 제어용의 구동량(Ds(X))과 하드웨어 제어용의 구동량(Dh(X))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들을 소정의 조건으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우선, 소프트웨어 제어 및 하드웨어 제어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4-1. 소프트웨어 제어
소프트웨어 제어의 경우에는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구동량(Dh)을 산출하고, 그 구동량(Dh)에 기초하여 보정 렌즈(4)를 구동한다. 이 경우, 흔들림 검출부의 출력을 기초로 산출되는 목표 위치(Lc)는 카메라(1)에 발생한 손의 흔들림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화되고, 또한 보정 렌즈(4)의 위치(Lr)도 변화된다. 따라서, 보정 렌즈(4)를 리얼타임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고, 후술하는 구동량의 산출도 리얼타임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 제어부(10b)에서 실시되는 구동량의 연산은 충분히 짧은 간격인 소정 시간 간격(이를 제어 샘플링 간격(ts)이라고 함)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흔들림 제어부(10b)에서 실시되는 구동량(Ds(X))의 산출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X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Y축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와 보정 렌즈 위치(Lr(X))의 차(△L(X))를 산출한다. △L은 목표 위치에 대한 보정 렌즈(4)의 실제의 위치와의 차이므로, 제어 오차에 상당한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3
다음에, 흔들림 제어부(10b)는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오차(△L(X))에 기초하여 비례항 구동량(Dprop), 적분항 구동량(Dinte) 및 미분항 구동량(Ddiff)를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흔들림 제어부(10b)는 수학식 7과 같이 그들을 가산함으로써, 보정 렌즈(4)의 구동량(Ds(X))을 산출한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4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5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6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7
여기에서, 본 연산은 제어 샘플링 간격(ts) 마다 실시되므로, 수학식 5에서의 Σ△L(X)는 제어 오차(△L)를 소정 간격(ts)으로 적산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거의 적분으로 간주된다. 동일하게 수학식 6에서의 전회의 △L(X)라는 것은 제어 샘플링 간격(ts)에 관해 하나 전의 △L(X)를 의미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학식 6의 「이번 회의 △L(X) - 전회의 △L(X)」는 소정 간격(ts)간의 제어 오차(△L)의 변화량을 의미하고, 이는 거의 미분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7에서 구동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구동량으로 보정 렌즈(4)를 제어하는 것을 PID(비례-적분-미분) 제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Σ△L(X)의 초기값은 보정 렌즈 제어를 개시하기 직전에서 제로로 한다. 또한, 전회의 △L(X)의 초기값은 보정 렌즈 제어를 개시하기 직전에서의 보정 렌즈 위치(Lr(X))로 한다.
도 12는 흔들림 제어부(10b)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동량 연산 타이밍의 구체예를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우선, 타이밍(t91)에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의 산출 및 값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타이밍(t92)에서는 보정 렌즈 위 치(Lr(X))의 산출 및 값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표 위치(Lc(X))와 보정 렌즈 위치(Lr(X))에 기초하여 타이밍(t93)으로부터 보정 렌즈(4)의 구동량(Ds(X))의 산출이 개시되고, 타이밍(t94)에서 그 산출이 완료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이 제어 샘플링 간격(ts)마다 반복되어 실시된다. 도 12의 타이밍(t91’, t92’, t93’, t94’)은 다음 타이밍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낸다.
4-2. 하드웨어 제어
하드웨어에 의한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X축용 하드웨어 제어부(206a) 및 Y축용 하드웨어 제어부(206b)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하, X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Y축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하드웨어 제어부(206a)는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클럭(φs)의 공급을 받고, 그 클럭(φs)을 기초로 하여 타이밍/매개 변수 제어부(253a)에 의해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의 연산을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소정 간격을 제어 샘플링 간격(th)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럭(φs)을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했지만, 공지의 기술, 예를 들어 수정 발진자 또는 세라믹 발진자 등을 사용하여 발진시켜 생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타이밍/매개 변수 제어부(253a)는 이와 같은 타이밍의 제어와, 후술하는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의 매개 변수의 설정 등의 동작도 실시한다.
A/D 변환부(251a)는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을 A/D 변환한다. 여기에서, A/D 변환부(251a)에서 변환된 디지털값은 보정 렌즈 위치(Lr)에 상당한다. 한편,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는 디지털값의 목표 위치(Lc(X))가 목표 위치 설정 간격(thc)으로 주기적으로 설정된다. 감산기(254a)는 수학식 3과 동일한 연산을 실시하여 제어 오차(△L(X))를 산출한다. 또한, 목표 위치 설정 간격(thc)은 구동량 연산시의 제어 샘플링 간격(th)과 달라도 상관없다. 제어 오차(△L(X))는 구동량 연산부(252a)에 보내어지고, 구동량 연산부(252a)에서 제어 오차(△L(X))로부터 보정 렌즈(4)의 구동량(Dh(X))이 연산된다.
다음에, 구동량 연산부(252a)의 구체예를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구동량 연산부(252a)의 구체예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 오차(△L(X))는 구동량 게인부(500a)에 의해 Gh배로 증폭된 후, 디지털 필터부(501a)에 보내어진다. 상기 Gh는 하드웨어 제어 게인값으로,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설정된다. 디지털 필터부(501a)는 입력된 디지털값에, 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되는 특성을 갖는 공지의 기술로 구성되는 디지털 필터를 설치하고, 그것을 보정 렌즈(4)의 구동량(Dh(X))으로서 출력한다.
도 13에서 도시되는 하드웨어 제어 게인값(Gh)과 디지털 필터에서의 게인 및 위상의 주파수 특성은 도 2 및 도 4 등에서 도시되는 보정 렌즈(4)의 구동 메커니즘의 특성에 맞추어 변경되고, 타이밍/매개 변수 제어부(253a)를 통하여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도시되는 보정 렌즈 구동 메커니즘에서는 고주파에 대해서 응답성이 나쁘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게인이 감소하여 위상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중역 주파수로부터 게인을 상승시키고 또한 위상을 나아가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4를 사용하여 구동량(Dh(X))이 산출되는 타이밍에 관해서 설명 한다. 도 14는 보정 렌즈 구동량(Dh(X))의 연산 타이밍의 구체예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보정 렌즈 구동량(Dh(X))의 연산은 하드웨어 제어부(206a)의 타이밍/매개 변수 제어부(253a)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샘플링 간격(th)마다 반복된다.
타이밍(t1)에서는 A/D 변환기(251a)에 의해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이 A/D 변환되어 보정 렌즈 위치(Lr(X))가 산출된다. 타이밍(t1a)에서는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다른 타이밍으로 설정되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와, 타이밍(t1)에서 얻어진 보정 렌즈 위치(Lr(X))로부터 보정 렌즈(4)의 구동량(Dh(X))이 구동량 연산부(252a)의 동작에 의해 보다 빠르게 연산된다. 이상의 타이밍(t1~t2)에서 일련의 동작이 소정의 제어 샘플링 간격(th) 마다 반복된다.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설정되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는 간격(thc)으로 설정된다. 도 14에 도시한 예에서는 간격(thc)은 구동량(Dh(X))의 산출 간격인 제어 샘플링 간격(th)보다도 길지만 일치시켜도 상관없다.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 설명하면, 흔들림 제어부(10b)로부터 설정하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의 설정 간격(thc)은 1ms 정도이어도 좋을 것이다. 인간이 카메라를 손에 들고 촬영하는 경우의 손의 흔들림의 지배적인 주파수의 상한은 10~20㎐ 정도이고, 이에 대해서 1ms 간격이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에 의해 산출되는 구동량(Dh(X))은 대부분 순식간에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 샘플링 간격(th)은 예를 들어 0.1ms나 0.05ms, 또는 그 이하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계로서 고주파까지 제어 특성을 연장시킬 수 있고,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에 대해서,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한 소프트웨어 제어에서는 연산 속도는 흔들림 제어부(10b)의 처리 능력에 의해 지배되고, 보정 렌즈(4)의 구동량(Ds)(X)을 산출하는 간격(ts)이 생각처럼 높아지지 않는다. 구체적인 수치를 들면,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의 경우, 제어 샘플링 간격(ts)은 1ms 정도이고,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우선해도 빨라도 0.5ms 정도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흔들림 제어 이외의 처리도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어 샘플링 간격(ts)을 짧게 하는 것은 더욱 곤란한 상황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드웨어 제어부(206a)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함으로써 제어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한 목표 위치(Lc(X))의 설정을 손 흔들림의 지배적 주파수 상한에 맞추어 느린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흔들림 제어부(10b)의 부하도 감소시킬 수 있다.
4-3. 하드웨어 제어의 다른 실시 형태
이상, 하드웨어 제어부(206a)를 설명했지만, 하드웨어 제어부(206a), 특히 구동량 연산부(252a)는 반드시 로직 연산일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는 하드웨어 제어부(206a)를 아날로그 회로에서 실현한 것을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는 도 8에서의 하드웨어 제어부(206a)를 주로 아날로그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한 것이다.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해 일정 주기(thc)마다 설정한다. 목표 위치(Lc(X))는 D/A 변환기(401a)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D/A 변환기(401a)의 출력과 홀소자 처리부(202a)의 출력은 공지 기술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Vrdref)를 기준으 로 연산 증폭기(OP403), 저항(R411, R412, R413)에 의해 반전 가산 증폭된다.
이와 같이,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연산 증폭기(OP403), 저항(R411, R412, R413)에 의한 반전 가산 증폭기를 사용하고 있는 데에 비해, 상술한 하드웨어 제어에서는 도 8의 감산기(254a)를 사용하여 보정 렌즈 위치(Lr(x))와 목표 위치(Lc(X))를 감산하여 제어 오차(△L(X))를 산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정 렌즈 위치(Lr(X))와 목표 위치(Lc(X))의 감산값이 산출되도록 하기 위해, 흔들림 제어부(10b)는 D/A 변환기(401a)에 설정하는 목표 위치(Lc(X))를, 부호를 반전하여 설정하도록 했다. 또는 연산증폭기(OP403), 저항(R411, R412, R413)에 의한 반전 가산 증폭기를 감산 증폭기로 바꾸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어 오차(△L(X))에 상당하는 연산 증폭기(OP403)의 출력에 대해서, 저항(R414, R415) 및 컨덴서(C421)로 구성되는 회로는, 도 13에서의 디지털 필터(501a)과 동등한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역 주파로부터 게인을 상승시키고 또한 위상을 진행시켜, 다음 단계의 입력인 연산 증폭기(404)의 +입력으로 입력한다. 연산 증폭기(OP404), 저항(R416, R417) 및 컨덴서(C422)로 구성되는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를 구성하고, 연산 증폭기(OP404)의 +입력에 입력된 신호를, 비반전 증폭하고 또한 저항(R417)과 컨덴서(C422)의 정수로 정해지는 불필요한 고주파를 커트한다. 그리고, 연산 증폭기(OP404)의 출력은 A/D 변환기(402a)에서 A/D 변환되고, 구동량(Dh(X))으로 된다.
5. 카메라의 모드와 보정 렌즈 제어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에서는 흔들림 보정시의 보정 렌즈(4)의 구동 제어 방 법으로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의 2종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의 설정 조건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서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전환하도록 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의 설정 조건이나 촬영 조건에 맞는 제어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은 소프트웨어 제어 및 하드웨어 제어의 이점 및 결점을 정리한 것이다.
항목 소프트웨어 제어 하드웨어 제어
보정 렌즈 제어성 잘하기 곤란 좋음
보정 렌즈 제어음, 제어 진동 작음
흔들림 제어부의 처리 작음
설계의 용이함 용이 어려움
설계 변경의 용이함 용이 변경하기 어려움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10)의 흔들림 제어부(10b)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시한다.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4)의 구동량(Ds(X), Ds(Y))의 연산은 소정 시간(ts)마다 실시된다. 그런데, 제어부(10)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흔들림 제어부(1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4)의 제어 이외에 흔들림 검출, 보정 렌즈 위치 검출, 그 밖에 흔들림 보정에 따른 여러 가지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주제어부(10a)에 관해서는 카메라(1)의 흔들림 보정 이외의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10)에 대한 이와 같은 처리 부하의 영향에 의해, 제어 샘플링 간격(ts)을 짧게 하는 것은 매우 곤란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샘플링 간격(ts)은 1ms보다 짧아서 0.5ms 정도가 한계가 된다. 제어 샘플링 간격(ts)을 짧게 하면 제어 대역이 올라가고,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향상되지만, 상술한 이유에 의해 제어 샘플링 간격(ts)을 짧게 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하드웨어 제어에서는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의 연산을 하드웨어(로직 회로, 또는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실현하고 있으므로, 연산 시간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 샘플링 간격(ts)을 짧게 함으로써, 제어 대역을 높이고 제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 렌즈(4)의 구동량의 연산을 하드웨어 제어에서 실시하는 분량 만큼, 흔들림 제어부(10b)의 처리 부하는 감소된다.
단,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면 제어 대역이 높아지고, 고주파 대역까지 보정 렌즈(4)를 제어 구동하기 위해, 고주파인 진동이나 제어음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가동부(21) 및 고정부(20)의 슬라이딩면이나 슬라이딩볼(22)면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딩음이나 진동, 또는 부세 스프링(23)의 울림 등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소프트웨어 제어쪽이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변경이나, 문제점의 대응이 쉽다. 하드웨어 제어에서는 전술한 회로를 디스크리트 부품으로 편성하면 오히려 설계 변경은 쉽지만 부품수가 증가하므로, IC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C화된 경우, 설계 도중에서의 변경이 곤란해진다. 또한, 조금씩 사양이 다른 복수의 제품에 대한 대응에 대해서도 임기 응변의 대응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프트웨어 제어 및 하드웨어 제어 쌍방의 이점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또한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지금까지 없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얻으면서, 또한 제어음이나 진동의 감소를 도모하도록 했다. 또한, 흔들림 제어부(10b)의 처리 부하 감소를 도모하고, 설계 도중에서의 변경이나 기종에 따른 사양의 차이에 임기 응변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5-1. 카메라 시스템과 보정 렌즈 제어 방법
우선, 복수의 조금씩 사양이 다른 제품에 대한 대응을 설명한다. 표 2는 다른 카메라 시스템과 다른 카메라 시퀀스마다,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하거나 하드웨어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조건 촬영 준비중 촬영중
정지 화상 동화상
제어부의 능력이 높은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제어부의 능력이 낮은 시스템에서는 하드 제어 하드 제어 하드 제어
촬영중의 처리가 무거운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제어 하드 제어 하드 제어
촬영중의 처리가 가벼운 시스템에서는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제어음이 큰 구동 유닛에서는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소프트 제어
제어음이 중간 정도인 구동 유닛에서는 소프트 제어 하드 제어 소프트 제어
제어음이 작은 구동 유닛에서는 하드 제어 하드 제어 하드 제어
여기에서는 촬영 시퀀스로서 촬영 준비중, 촬영중(정지 화상), 촬영중(동화상)으로 대표되는 3개로 나누어 생각한다.
촬영 준비중이라는 것은 본 카메라(1)의 전원이 투입되고, 릴리즈 버튼(20)을 온하기 직전까지를 나타낸다. 촬영중이라는 것은 릴리즈 버튼(20)을 온하여 실제 촬영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으로 하다. 그리고, 이를 정지 화상의 촬영과 동화상의 촬영으로 크게 나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와 같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정지 화상의 촬영에는 가장 높은 흔들림 보정 성능 레벨이 요구되고, 보정 렌즈 제어성도 높아지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해서, 촬영 준비 중에는 후술하는 촬영 소자(9)의 촬영 결과를 리얼타임으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한다. 상기 모니터 화상 표시에서는 실제의 동화상 촬영과 같이 불휘발성 기억 매체(31)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지 않는다. 이는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과 동일하게,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되는 것은 리얼타임으로 촬영되고 있는 동화상(모니터 화상)이다. 이와 같은 경우와 실제의 동화상 촬영도 포함하여,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는 흔들림 보정 성능에 대해서 그다지 높은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고 사용자의 눈에 피사체가 위화감없이 보이면 좋다. 따라서, 보정 렌즈(4)의 제어성도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상의 것을 토대로, 우선 흔들림 제어부(10b)를 포함하는 처리부(10)의 능력에 의해 제어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제어부(10)의 처리 능력이 높은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보정 렌즈(4)의 구동량 연산의 제어 샘플링 간격을 짧게 할 수 있고, 충분한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촬영 준비중, 촬영중(정지 화상), 촬영중(동화상) 모두 보정 렌즈(4)의 제어를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실시한다. 반대로, 흔들림 제어부(10b)를 포함하는 제어부(10)의 처리 능력이 낮은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보정 렌즈(4)의 구동량 연산의 제어 샘플링 간격을 짧게 할 수 없으므로, 충분한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촬영 준비중, 정지 화상 촬영중 및 동화상 촬영중 중 어느 경우에도, 보정 렌즈(4)의 제어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실시한다.
다음에, 촬영 중의 처리 부하의 경중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흔들림 제어부(10b)를 포함하는 처리부(10)의 촬영 중의 처리 부하가 무거운 시스템에서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모니터 화상이 표시되는 촬영 준비중에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고, 정지 화상 촬영중 및 실제의 동화상이 촬영되고 있을 때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흔들림 제어부(10b)를 포함하는 처리부(10)의 촬영중에서의 처리 부하가 가벼운 시스템에서는 촬영 준비중, 정지 화상 촬영 중 및 동화상 촬영중 중 어느 것에서도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보정 렌즈(4)의 구동 제어 유닛 메카의 제어음, 제어 진동 등에 관해서는 그들이 보정 렌즈(4)를 구동 제어하는 경우에 큰지의 여부에 따라 제어를 전환한다. 제어음, 제어 진동 등이 큰 경우에는 촬영 준비중, 정지 화상 촬영중 및 동화상 촬영중 중 어느 것에서도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음, 제어 진동 등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작동 시간이 짧으므로 소리나 진동이 두드러지기 어려운 정지 화상 촬영 중에서만, 제어성이 좋은 하드웨어 제어로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작동 시간이 길어서 소리나 진동이 두드러지기 쉬운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중에서는 소프트웨어 제어로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음, 제어 진동 등이 작아서 두드러지지 않은 구동 제어 유닛의 경우에는 촬영 준비중, 정지 화상 촬영중 및 동화상 촬영중 중 어느 것에서도 하드웨어 제어로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5-2. 카메라의 촬영장면과 보정 렌즈 제어 방법
다음에, 카메라(1)의 촬영 조건이나 각종 모드 설정에 따라서, 최적인 보정 렌즈(4)의 제어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3, 표 4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그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보정 렌즈(4)의 구동 제어 메카 기구의 제어음은 중간 정도의 구동 유닛을 사용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제어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이나 제어 진동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하드웨어 제어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지만, 제어음이나 제어 진동은 약간 귀에 거슬리게 된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8
Figure 112008011414777-PAT00009
(1) 촬영 초점 거리
촬상 소자(9)의 촬상면 상에서의 상의 흔들림량은 촬상 초점 거리에 비례하여 커진다. 그 때문에, 촬영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흔들림 보정 성능, 특히 보정 렌즈(4)의 제어성에 관해서 보다 고성능인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촬영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보정 렌즈(4)를 하드웨어 제어로 했다. 또한, 동화상 촬영시에는 집음부(30)에 의해 카메라 주위의 소리를 동시에 녹음하는 등의 경우를 생각하여 소프트웨어 제어로 했다. 또한, 표 3에서는 구체적으로 나타난 촬영 초점 거리는 135 환산으로, 수치는 하나의 예이다. 또한, 촬영 초점 거리는 도 1에서의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의해 주밍 렌즈(3)의 위치를 검출하여 실시한다.
(2) 디지털 줌
디지털 줌이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9)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의 일부를 잘라 내어 디지털 보완하여 확대 촬영하는, 또한 디지털 줌 작동시의 촬영 준비 중에,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촬영 화상을 동화상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확대 촬영된 화상이 표시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더욱 높은 흔들림 보정 성능이 요구되므로,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하여 모든 경우에서 보정 렌즈(4)를 하드웨어 제어로 한다.
(3) 촬영 배율 및 피사체 거리
촬영 배율이 커지면, 또는 피사체 거리가 가까워지면, 이하와 같은 이유에서 흔들림 보정 효과가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흔들림 보정 기구를 갖는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발생한 흔들림 각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흔들림을 보정하는 것이지만, 각도의 흔들림이 아닌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흔들림은 검출할 수 없고 보정할 수 없다. 또한, 광축 방향(핀트 방향)의 흔들림도 동일하다. 그 경우, 흔들림 보정 성능은 크게 열화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배율이 커진 경우 및 피사체 거리가 접근한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보다도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실시하기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촬영장면에서는 곤충 등의 생물에 접근하여 촬영하는 장면도 생각되고, 그 경우에도 소프트웨어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정음화(靜音化)를 도모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 거리는 예를 들어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 의해 얻어진 포커싱 렌즈(5)의 위치에 의해 일의적으로 구해도 좋다. 또한, 포커싱 렌즈(5)의 위치와 피사체 거리의 관계가 주밍 렌즈(3)의 위치에 의해 변화되는 광학계의 경우에는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 의해 얻어진 포커싱 렌즈(5)의 위치와,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의해 얻어진 주밍 렌즈(3)의 위치에 의해 산출한다. 한편, 촬영 배율은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 의해 얻어진 포커싱 렌즈(5)의 위치와,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의해 얻어진 주밍 렌즈(3)의 위치에 의해 산출한다.
(4)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
보정 레지스트량 촬상면 배율은 보정 렌즈(4)의 단위 이동량 당의 촬상면 광축 이동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정 렌즈(4)가 단위량 이동했을 때의 촬영 광축(2)의 변화에 의해, 촬상 소자(9)면상의 촬상이 어느 만큼 시프트할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매의 단(單)렌즈로 보정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광학계가 구성되는 것으로 한 경우,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은 1이고, 보정 렌즈(4)의 이동량과 촬상 소자면상의 상의 이동량이 일치한다. 그러나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은 촬영 광학계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주밍 렌즈(3)의 위치인 촬영 초점 거리나, 포커싱 렌즈(5)의 위치인 피사체 거리에 따라 변화된다.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큰 경우,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가 촬상면에 미치는 영향도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2.0이면,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는 촬상 소자(9) 면상에서 2.0배가 된다. 따라서,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커서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가 클수록, 보정 렌즈의 제어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보다 요구되므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정음화를 우선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와, 정지 화상 촬영시에서는 그 보정 렌즈(4)의 제어성에 요구되는 레벨이 다른 것이나, 동화상의 촬영시에는 카메라 주위의 소리를 동시에 녹음하는 등이 생각되는 점에서, 소프트웨어 제어/하드웨어 제어의 전환 포인트를 바꾸기로 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은 촬영 광학계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제어부(10a)는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서 검출되는 포커싱 렌즈(5)의 위치와,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서 검출되는 주밍 렌즈(3)의 위치에 기초하여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을 얻는다.
(5) 촬영 초시(秒時)
주제어부(10a)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촬상 소자(9)에 의해 얻어진 촬상 결과로부터 피사체의 밝기를 특정하고, 촬영에 적합한 촬영 초시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정된 촬영 초시가 소정값 이상의 고속 초시인 경우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고, 소정값 이하의 저속 초시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도록 전환한다. 즉, 결정된 촬영 초시에 따라서 보정 렌즈(4)의 제어를, 하드웨어 제어 및 소프트웨어 제어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한다.
이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은 제어하는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들리기 어려운 점에서, 고속 초시의 경우에는 그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보정 렌즈(4)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제어한다. 한편, 저속 초시에서는 보정 렌즈(4)를 제어하고 있는 시간이 길어져 제어음이 사용자에게 들리기 쉬워진다. 또한,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는 고주파 성분이 지배적이지만, 촬영 초시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상기 고주파 성분의 제어 오차는 적분되어 영향이 작아지는 점에서, 저속 초시에서는 그다지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도 없어진다. 그러한 관점에서 저속 초시에서는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동화상 촬영시와 정지 화상 촬영시를 비교하면, 보정 렌즈(4)의 제어성에 요구되는 레벨이 다른 것이나, 동화상 촬영시에는 카메라 주위의 소리를 동시에 녹음하는 등이 생각되는 점에서, 동화상 촬영시와 정지 화상 촬영시에서는 소프트웨어 제어/하드웨어 제어의 전환 포인트를 바꾸는 것으로 했다.
(6) 포커스 모드
포커스 모드에 관해서는 조건으로서 마크로 AF, 통상의 모드, 원거리 AF 및 무한원(無限遠)의 모드를 생각할 수 있다. 마크로 AF라는 것은 주로 촬영 피사체가 카메라(1)에 극히 가까운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로, 포커싱 렌즈(5)를 보다 이동시켜 매우 가까운 피사체에까지 핀트를 맞출 수 있는 모드이다. 이 경우, 당연히 포커싱 렌즈(5)의 이동량이 커지고, 촬상 소자(9)면의 핀트를 맞추는 시간은 길어진다. 반대로, 원거리 AF는 촬상 소자(9)면의 핀트가 맞는 피사체 거리 범위를 한정하고, 원거리 근변에서 핀트를 맞출 수 있는 모드이다. 당연히, 포커싱 렌즈(5)가 이동하는 범위는 한정되고, 촬상 소자(9)면의 핀트를 맞추는 시간은 단축된다. 통상의 모드에서의 포커싱 렌즈(5)의 이동량은 마크로 AF와 원거리 AF의 중간적인 것이고, 포커싱 렌즈(5)의 이동 범위를 마크로 AF와 원거리 AF의 중간적인 범위로 제한하고, 핀트를 맞추는 시간도 중간적인 올라운드의 모드이다. 무한원의 모드는 강제적으로 포커싱 렌즈(5)를 무한 피사체에 핀트가 맞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크로 AF에 설정된 경우에는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제어한다. 촬영 배율 및 피사체 거리와 보정 렌즈(4)의 제어 방법의 전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사체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흔들림 조정 성능은 열화된다. 따라서, 피사체 거리가 가까운 촬영을 전제로 한 마크로 AF의 경우, 곤충 등의 생물을 근접 촬영하는 장면이 생각되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을 우선시하여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반대로, 원거리 AF 또는 무한원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풍경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풍경 피사체에는 가는 피사체가 많이 포함되므로 공간 주파수에 매우 고주파인 성분이 많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풍경 피사체를 해상도 좋게 촬영하는 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원거리 AF 또는 무한원의 모드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고,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통상의 모드인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마크로 AF와 원거리 AF, 및 무한원 모드의 중간으로 하고,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한편,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정음화를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7) 플래시 촬영 모드
플래시 촬영 모드에서의 조건으로서는 발광 금지, 슬로우 싱크로, 오토, 적목(赤目) 감소 및 강제 발광을 생각할 수 있다. 강제 발광의 모드는 촬영시에 항상 섬광부(6)를 빛나게 하여, 플래시 촬영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반대로, 발광 금지 모드는 피사체의 밝기 등에 관계없이 항상 섬광부(6)를 빛나게 하지 않고 촬영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오토 모드는 공지 기술에 의해 촬상 소자(9)로부터 얻어진 촬상 결과로부터 피사체의 휘도를 얻는 등 하여,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에는 섬광부(6)를 빛나게 하여 플래시 촬영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적목 감소 모드는 플래시 촬영시에 발생하는 인물의 눈이 빨갛게 찍히는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는 모드이고, 공지 기술에 의해 촬영 직전에서 섬광부(6)를 수회 미량인 발광을 실시하는 등에 의해 적목 현상을 감소시킨다. 슬로우 싱크로 모드는 야경을 배경으로 한 인물 촬영 등을 생각하여 오토 모드의 촬영 초시를 저속 초시로 설정한 것이다.
발광 금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본모드는 예를 들어, 플래시 촬영이 금지되어 있는 미술관이나, 플래시 촬영이 금지되고 정숙성을 중요시한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 이용된다. 본모드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을 극히 억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슬로우 싱크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촬영 초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의 영향이 작아지는 점에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강제 발광 모드는 주간의 실외 등의 얼굴에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에 플래시 촬영함으로써 얼굴을 적정하게 촬영하는 등에 사용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촬영 초시는 고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보정 렌즈(4)를 하드웨어에 의해 제어한다.
오토와 적목 감소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촬영 초시의 범위가 고속부터 비교적 저속까지 포함되지만, 슬로우 싱크로의 경우만큼 저속 초시에는 이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이들의 모드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은 슬로우 싱크로와 강제 발광의 경우의 중간적인 올라운드인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 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그만큼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8) 기록 화소수 모드
여기에서는 기록 화소수 모드(1)와 기록 화소수 모드(2)의 2개로 나누어 생각한다. 기록 화소수 모드(1)에서는 촬영된 화상의 기록 화소수를 설정한다. 조건으로서는 기록 화소수가 가장 작은 스몰, 기록 화소수가 가장 큰 라지, 스몰과 라지의 중간 레벨인 미들로 분류한다. 한편, 기록 화소수 모드(2)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할 때의 화각(畵角) 형상을 설정하고 또한 각 화각 형상에 대한 기록 화소수도 설정한다. 표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설정 조건으로서 L판/엽서 사이즈, 와이드, 통상의 3가지 설정을 갖고, L판/엽서 사이즈 설정에서는 화각 형상은 L판/엽서 형상으로, 와이드 설정에서는 화각 형상은 16:9의 세로가로 애스펙트비로, 통상 설정에서는 화각 형상은 4:3의 세로가로 애스펙트비로 설정된다. 또한, 기록 화소수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L판/엽서 사이즈에서는 L판 프린트되는 것을 생각하여 기록 화소수를 작게 설정한다. 통상 설정에서는 기록 화소수를 가장 큰 설정으로 하고, 와이드 설정에서는 그 중간의 기록 화소수로 한다.
따라서, 라지 및 통상의 설정에서는 기록 화소수가 큰 것이 전제이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를 최대한 작게 억제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스몰 및 L판/엽서 사이즈로 설정된 경우에는 라지나 통상 설정의 경우 만큼의 제어성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정음화를 중요시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미들 및 와이드의 설정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이들의 중간적인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고,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그다지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9) 기록 화상 압축률 모드
기록 화상 압축률 모드는 유한한 기록 용량을 갖는 불휘발성 기억 매체(31)에 화상을 기록할 때의 화상 압축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데이터량은 크므로 데이터량을 압축하여 기록한다. 노멀이 가장 압축률이 높고, 따라서 화상 압축에 의해 화상의 세부 정보가 손실되고 화질은 저하된다. 수퍼 파인은 가장 압축률이 낮고, 화상의 세부 정보가 유지되므로 화질이 가장 좋다. 파인은 노멀과 수퍼파인의 중간적인 압출률이 된다.
따라서, 저압축에 의해 화상 세부 정보가 유지되어 고화질인 수퍼파인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를 최대한 작게 억제할 필요가 있고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고압축에 의해 화상 세부 정보가 손실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노멀에서는 수퍼 파인 만큼의 제어성은 필요 하지 않고, 정음화를 중요시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파인의 설정에서는 그들의 중간 레벨의 압축률 및 화질이고, 이들의 중간적인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정지 화상 촬영시만큼의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0) ISO 감도 모드
ISO 감도는 일반적으로 고감도로 설정할수록 어두운 피사체에 노출이 맞아, 촬영 초시가 고속이 되는 한편, 화질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입자가 거칠어진다. 반대로 저감도로 설정할수록, 노이즈가 작고 고화질이 얻어진다. 따라서, ISO 감도를 고화질인 화상이 얻어지는 저감도, 예를 들어 표 3의 ISO 100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를 최대한 작게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입자가 거칠고, 그다지 고화질이 얻어지지 않는 고감도, 예를 들어 표 3의 ISO 800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그만큼의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은 필요없고 정음화를 중요시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그 중간 레벨의 화질이 얻어지는 중감도, 예를 들어 표 3의 ISO 200~400으로 설정한 경우, 이들의 중간적인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피사체의 휘도 등에 기초하여 공지 기술에 의해 자동적으로 ISO 감도를 설정하는 오토의 경우에도 동일한 제어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 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그다지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1) 화이트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 처리는 촬영 피사체를 비추고 있는 광원에 맞추어 촬영된 화질의 색미가 눈에 비친 모습에 가까운 색으로 촬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공지 기술에 의해, 광원의 종류를 카메라 자체가 자동적으로 특정하는 오토와, 사용자가 매뉴얼로 설정하는 모드를 갖는다. 자동 설정 및 매뉴얼 설정에서의 광원의 종류는 태양광, 흐림, 형광등 및 전구이다. 제어부(10)는 광원의 종류마다 정해져 있는 화이트 밸런스의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 회로에 화이트 밸런스 처리를 실행시킨다. 생각되는 피사체의 밝기는 상기 광원의 순서로 어두워지고, 촬영 초시도 이 순서로 저속 초시가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동 설정 또는 매뉴얼 설정된 광원의 종류가 전구인 경우에는 촬영 초시가 저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고, 보정 렌즈(4)의 제어 오차의 영향이 작아진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설정된 광원의 종류가 태양광 또는 흐림인 경우에는 촬영 초시는 고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보정 렌즈(4)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제어한다. 설정된 광원의 종류가 형광등인 경우에는, 촬영 초시가 전구인 경우의 저속 초시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전구와 태양광 또는 흐림인 경우와의 중간적인 올라운드인 제어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고,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 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그다지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2) 외부 액정 모니터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의 온/오프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1)는 촬영 준비중에 사용자가 광학 파인더(7)를 사용하여 구도를 결정할 수도 있고,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 촬상 소자(9)의 촬영 화상을 사용하여 구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의 표시는 온/오프할 수 있고, 오프된 경우에는 광학 파인더(7)를 사용하여 구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1)에 얼굴을 근접시켜 촬영을 실시하게 되어,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이 귀에 거슬리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는 정음성을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를 온으로 한 경우에,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을 보기 위해, 사용자는 카메라(1)로부터 비교적 얼굴을 멀리 하여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이 그다지 귀에 거슬리지 않으므로, 정음성보다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정지 화상 촬영시 및 촬영 준비중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동화상의 촬영시에는 그렇게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는 점이나, 카메라 주위의 소리를 동시에 기록하는 등이 생각되는 점에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3) 조작음의 온/오프
카메라(1)는 예를 들어 음압 부저나 스피커 등을 사용한 조작음 발생부(32)에 의해 메인 버튼(21)을 조작하여 카메라(1)를 기동시키는 카메라 기동시, 조작부(18)의 각종 버튼, 레버, 셀렉터류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 조작시, 셀프 타이머 촬영시 및 릴리즈 버튼(20)을 조작하여 촬영 동작이 실시되었을 때, 각각에 맞는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조작음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이들의 카메라 기동시의 음, 조작 부재 조작시, 촬영시 셔터의 각 조작음이 오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작동음에 대해서 정음화를 원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생각되어,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한편, 각 조작음을 온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작동음에 대해서 그다지 정음화를 원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고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정지 화상 촬영시 및 촬영 준비중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동화상 촬영시에는 그만큼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는 점이나, 카메라 주위의 소리를 동시에 기록하는 등이 생각되는 점에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4) 셀프 타이머 모드
셀프 타이머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본 카메라(1)는 삼각대 사용 등 고정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는 손의 흔들림이 없는 고화질 촬영을 기대한다. 따라서, 셀프 타이머 모드가 온되고, 셀프 타이머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한편, 셀프 타이머 모드가 오프되고, 통상의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음화를 우선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5) 연사 모드
연사라는 것은 완전 누름 스위치(120b)가 온인 동안에, 복수회의 촬영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연사를 실시하는 경우, 셔터(8)가 촬영 프레임 마다 개폐되고, 그 구동음이 발생한다. 또한, 촬영 프레임마다 포커싱 렌즈(5)를 구동하여 핀트를 재조정하는 경우에는 포커싱 렌즈(5)의 구동음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연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은 그 소리에 지워지고, 제어음이 귀에 거슬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연사 모드가 연사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한편, 통상, 즉 단사(單寫) 촬영의 경우에는 정음화를 우선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6) 손 흔들림 보정 모드
카메라(1)는 손 흔들림 보정 모드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손 흔들림 보정 모드 온으로서는 촬영시만 보정 모드, 상시 보정 모드, 패닝 모드의 3개의 모드가 존재한다.
촬영시에만 보정 모드는 촬영 준비중에는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시에 보정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상시 보정 모드는 촬영 준비중도 촬영시도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촬영시만 보정 모드와 상시 보정 모드는 사용자가 조작부(18)를 조작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어부(10)에 의해 설정된다.
패닝 모드는 패닝에 의해 카메라가 흔들리는 방향인 패닝 방향에 대해서는 흔들림 보정은 실시하지 않고 패닝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패닝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2가지이다.
첫번째는 사용자가 조작부(18)를 조작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어부(10)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이다.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패닝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부(10)는 수평 방향을 패닝 방향으로 하여 설정한다.
두번째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촬영시만 보정 모드나 상시 보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제어부(10)가 카메라(1)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패닝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이다. 패닝의 자동 검출에 의해 패닝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부(10)는 카메라(1)의 이동 방향을 패닝 방향으로서 설정한다.
패닝의 자동 검출은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가 진동 자이로(200a, 200b)의 출력에 기초하여 카메라(1)가 일정한 방향으로 흔들리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패닝 모드를 설정하고 또한 진동 자이로(200a, 200b)의 출력에 기초하여 카메라(1)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패닝 방향으로서 설정한다.
손 흔들림 보정 모드가 오프된 경우, 손 흔들림 보정은 실시되지 않고, 보정 렌즈(4)는 광학 성능이 보다 얻어지는 그 가동 범위의 거의 중앙의 소정 위치로 제어된다. 손 흔들림 보정 모드가 온인 경우에는 검출된 손 흔들림에 따라서 보정 렌즈(4)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손 흔들림 보정 모드가 오프인 경우에는 보정 렌즈(4)는 소정 위치로 계속 제어되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은 손 흔들림을 보정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작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즉(4)를 제어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중요시하면서 정음화를 유지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중에서는 손 흔들림시의 화상 변화를 매끄럽게 할 목적에서 소프트웨어 제어로 해도 좋다.
손 흔들림 보정 모드가 온되어 상시 보정 모드인 경우,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는 정지화상 촬영시만큼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화를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성보다도 정음화가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서도 소프트웨어 제어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촬영시만 손 흔들림 보정이 실시되는 촬영시만 보정 모드인 경우, 촬영 준비 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의 거의 중앙으로 제어되고,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은 작다. 그 때문에, 촬영 준비중은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여, 제어성을 중요시하면서 정음화를 유지한다.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동화상 촬영시에는 정지 화상 촬영시만큼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화를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패닝 모드인 경우에는 패닝 방향은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의 거의 중앙으로 제어되고, 흔들림 보정의 제어음은 작다. 그 때문에, 항상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고, 제어성을 중요시하면서 정음화를 유지한다. 한편, 패닝 방향과 수직인 방향(비패닝 방향)은 정지 화상 촬영시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고,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서의 패닝 방향은 정지 화상 촬영시만큼 제어성을 중요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음화를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7)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라는 것은 동화상 촬영시의 1초간에 촬영하는 프레임수의 설정이다.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가 높을수록 매끄러운 동작 촬영을 실시할 수 있지만, 기록되는 데이터수가 커진다. 반대로,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가 낮을수록 움직임이 거친 촬영 결과가 되지만, 기록되는 데이터수는 작아진다. 따라서,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가 높은 경우에는 매끄럽고 손 흔들림 보정 효과가 높은 촬영을 실시하기 위해, 제어성을 중요시한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반대로, 동화상 촬영시 프레임 레이트가 낮은 경우에는 움직임이 거친 촬영 결과밖에 얻어지지 않으므로, 그만큼 높은 손 흔들림 보정의 효과를 얻을 필요가 없고, 정음화를 중요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18) 동화상 촬영시 녹음의 유무
다음에, 동화상 촬영시 녹음을 할지의 여부와 보정 렌즈(4)의 제어 방법 전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화상 촬영과 동시에 녹음을 실시하는 경우,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이 녹음되어 귀에 거슬리게 되므로, 정음화를 우선시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동화상 촬영과 동시에 녹음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성을 중요시하여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조건이나 각종 모드 설정에 관해서, 보정 렌즈(4)의 제어 방법을 하드웨어 제어로 할지 소프트웨어 제어로 할지의 선택예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러나, 표 3, 표 4로 표시되는 촬영 조건이나 각종 모드 설정 등은 동시에 조합시킬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표 3에 의하면 촬영 초점 거리가 150㎜ 이상인 경우의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한편, 촬영 배율이 1/1배 이상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그러나, 촬영 초점 거리가 150㎜ 이상이고, 또한 촬영 배율이 1/1배 이상인 경우에, 하드웨어 제어 및 소프트웨어 제어 중 어느 쪽으로 보정 렌즈(4)를 제어할지에 대해서는 카메라(1)의 제품으로서의 성질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 대응할 필요가 있다.
6. 시퀀스 구체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1)의 작동 시퀀스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6-1. 촬영 준비중
사용자가 본 카메라(1)의 메인 버튼(21)을 눌렀을 때의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메인 버튼(21)을 누르고, 그에 연동한 메인 스위치(121)가 온 했을 때의 주로 제어부(10)에 의해 실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보정 렌즈(4)의 제어에 관한 부분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 2개가 존재하지만, 동일한 동작이므로 도 16에서는 Y축만 기재했다.
도 16 중의 2중선으로 표시되는 제어 범위 상한과 제어 범위 하한은 흔들림 보정시에 흔들림 제어부(10b)가 산출하는 목표 위치(Lc(Y))의 취득 범위(제어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흔들림 제어부(10b)는 진동 자이로(200a, 200b)가 검출한 값이 아무리 큰 값이었다고 해도 제어 범위를 초과한 목표 위치(Lc(Y))를 설정하는 경우는 없다. 상기 제어 범위는 후술하는 카메라의 설정 상태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해 설정된다. 그 때문에, 구동부(203a, 203b) 및 코일(40a, 40b)에 의해 구동되는 보정 렌즈(4)의 위치는 설정된 제어 범위 내로 제한된다.
도 3을 사용하여 제어 범위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선으로 도시되는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의 제어 범위(800)는 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에서의 제어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파선으로 도시되는 정지 화상 촬영시의 제어 범위(801)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서의 제어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흔들림 제어부(10b)는 제어 범위(촬영 준비중 및 동화상 촬영시의 제어 범위(800), 정지 화상 촬영시의 제어 범위(801))를 가동 범위(400)의 내측의 범위로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의 중앙과 제어 범위의 중앙이 일치하고 있다.
타이밍(t10)에서 메인 스위치(121)가 온하면, 주제어부(10a)는 타이밍(t11)에서, 본 카메라(1)의 구동부(203a, 203b)의 전원(VP) 및 적어도 흔들림 보정 회로부(14)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포함하는 각종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투입하고, 카메라(1)가 후술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다음에,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11)에서 투입된 전원이 적어도 안정되고, 진동 자이로(200a, 200b) 및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의 출력이 안정되는 타이밍(t12)부터, 카메라(1)에 발생한 흔들림의 검출을 개시한다. 흔들림의 검출은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의 출력에 기초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타이밍(t13)에서는 주제어부(10a)는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의해 주밍 렌즈(3)의 위치를 모니터하고, 주밍 렌즈 구동부(12)에 의해 주밍 렌즈(3)를 현재의 소정의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와이드단 위치에 구동시킨다. 타이밍(t14)에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카메라의 모드 설정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서 전환 신호(a, b)를 조작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를 소프트웨어 제어로 할지 하드웨어 제어로 할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전환부(205a, 205b)가 작동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h(X), Dh(Y))이나 하드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s(X), Ds(Y))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타이밍(t15)에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현재의 보정 렌즈(4)의 위치를 초기값으로 하여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를 소정의 기울기(VcO)로 그 제어 범위 중앙을 향하여 변화시킨다. 흔들림 제어부(10b)의 전환 신호(a, b)에서 소프트웨어 제어로 전환된 경우에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동량(Ds(X), Ds(Y))의 산출을 소정의 제어 샘플링 간격(ts)마다 실시한다. 구동량(Ds(X), Ds(Y))의 산출은 소프트웨어 제어의 항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와, 홀소자 처리부(202a, 202b)로부터 얻어진 보정 렌즈 위치(Lr(X), Lr(Y))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산출된 구동량(Ds(X), Ds(Y))은 전환부(205a, 205b)에 출력된다. 그리고, 그 구동량(Ds(X), D(Y))에 기초하여, PWM 변환부(204a, 204b) 및 구동부(203a, 203b)를 통하여 코일(40a, 40b)이 구동된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제어가 실시된다.
한편, 전환 신호(a, b)에서 하드웨어 제어로 전환된 경우에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소정의 간격(thc)마다, 상기 소정의 기울기(Vc0)로 변환시킨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하드웨어 제어부(206a, 206b)로 설정한다. 하드웨어 제어부(206a, 206b)는 보다 고속인 제어 샘플링 간격(th)마다 구동량(Dh(X), Dh(Y))를 산출한다. 산출된 구동량(Dh(X), Dh(Y))는 전환부(205a, 205b)에 출력된다. 그리고, 산출된 구동량(Dh(X), Dh(Y))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제어부(206a, 206b)는 PWM 변환부(204a, 204b) 및 구동부(203a, 203b)를 통하여 코일(40a, 40b)을 구동한다. 그 결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제어가 실시된다. 상술한, 타이밍(t15)으로부터의 동작에 의해, 보정 렌즈(4)는 서서히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되어 간다.
센터링이라는 것은 보정 렌즈(4)를 그 제어 범위의 거의 중앙부에 이동하는 처리를 말한다. 제어 범위의 중앙부라는 것은 도 3의 원점에 상당하는 위치이다. 또한, 센터링은 보정 렌즈(4)를 엄밀하게 제어 범위의 중앙부에 이동하는 것은 아니어도 좋고, 장치의 기계적인 오차나 제어 오차에 의한 다소의 오차는 허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 범위의 중앙과 가동 범위의 중앙과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는 것이면, 보정 렌즈(4)를 그 가동 범위의 거의 중앙부에 이동함으로써 센터링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되면,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17)으로부터는 카메라(1)에 발생한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목표 위치(Lc(X), Lc(Y))를 설정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자이로 처리부(201a, 201b)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설정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에, 이미 타이밍(t14)에서 설정되어 있는 전환 신호(a, b)에 따라서, 보정 렌즈(4)가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웨어 제어된다. 그 결과, 촬상 소자(9)의 흔들림이 보정된다. 단,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는 모두 도 16의 2중선으로 그려져 있는 제어 범위 상한부터 제어 범위 하한의 범위 내로 제한되고, 그 범위 내로 보정 렌즈(4)가 제어된다.
그 후, 흔들림 제어부(10b) 및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제어가 적어도 안정된 타이밍(t18)에서, 주제어부(10a)는 촬상 소자(9)에 의해 순차 촬상된 화상의 외부 액정 모니터(19)로의 순차적인 표시를 개시한다. 상기 촬상 화상의 외부 액정 모니터(19)로의 순차적인 화상 표시를, 이후 "모니터 화상 표시"라고 부르기로 한다. 모니터 화상 표시에서 촬상 소자(9)에 의해 순차 촬상된 화상이 리얼타임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카메라(1)는 촬상 소자(9)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나타낸다. 한편, 보정 렌즈(4)는 타이밍(t15)의 시점에서 그 자중(自重)을 위해 중력 방향의 가동 범위단에 낙하한 상태에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 표시"가 개시될 때까지 보정 렌즈(4)를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하고, 그 후 흔들림 보정을 개시하여 "모니터 화상 표시"를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타이밍(t19)으로부터는 촬상 소자(9)에 의한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주제어부(10a)는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 의해 검출된 포커싱 렌즈(5)의 위치를 모니터한다. 또한, 주제어부(10a)는 포커싱 렌즈 구동부(15)에 의해 포커싱 렌즈(5)를 구동시켜, 촬상 소자(9)면 상에서의 피사체상의 핀트 조정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핀트 조정의 개시를 흔들림 보정이 개시된 적어도 이후의 타이밍(t19)으로 하고 있는 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촬상 소자(9)에 의한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핀트 위치를 발견하여 핀트 조정을 실시하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카메라에서는 흔들림 조정에 의해 촬상 소자(9)면의 흔들림이 보정됨으로써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어 핀트 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줌 레버(22)가 조작되고, 줌 다운 스위치(122a), 또는 줌업 스위치(122b)가 온하면, 그에 따라서 주제어부(10a)는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의해 주밍 렌즈(3)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주 제어부(10a)는 주밍 렌즈 구동부(12)에 의해 주밍 렌즈(3)를 구동하여 촬영 초점 거리를 변경한다. 이는 도 16의 타이밍(t20)에 상당한다.
6-2. 촬영 시의 동작
계속해서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여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6-2-1. 각종 모드와 촬영 시의 동작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 촬영 시의 보정 렌즈의 제어 범위를 확대할지 여부 및 촬영 직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를 촬영 장면, 촬영 조건, 각종 모드 등의 조건으로 전환한다.
(1) 촬영 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
우선,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하는 경우 및 센터링하지 않는 경우의 이점 및 결점을 하기 표 5에 일람으로서 나타냈다.
항목 촬상전 센터링함 촬상전 센터링하지 않음
광학 성능 열화되기 어려움 열화되기 쉬움
대응 가능 흔들림량 큰 흔들림에 대응 가능 큰 흔들림에 대응 곤란
릴리즈 타임래그 짧음
촬영전의 구도와 촬영 결과 구도의 변화 변화됨 변화되기 어려움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카메라의 광학 설계는 본래 보정 렌즈(4)를 흔들림 보정 시에 크게 시프트시킨 경우에도 광학 성능의 열화가 작아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제조 비용을 우선시하거나 공간을 우선시하기 위해 보정 렌즈(4)를 크게 시프트할 때, 촬상 소자(9)면 주변에서의 해상, 상 만곡 등의 광학 성능 열화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광학 성능면에서 생각하면, 흔들림 보정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너무 크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하는 경우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보정 렌즈(4)를 촬영 전에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고 나서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촬영 시에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 근변에서 흔들림 보정될 확률이 높고, 광학 성능의 열화에 대해 유리하다. 또한, 촬영 시에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 근변으로부터 흔들림 보정이 개시되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흔들림까지 보정이 가능해지는 점이다. 그러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에 필요한 시간만큼 릴리즈 타임래그가 길어진다. 또한,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기 위해 촬영 전에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 촬상 화상의 구도에 대해 실제로 촬영된 화상의 구도가 변화된다.
한편, 촬상 전에 보정 렌즈(4)를 센터링하지 않는 경우의 이점은 상기 보정 렌즈(4)를 센터링하는 경우의 역이 되고, 센터링하지 않은만큼 릴리즈 타임래그가 짧아지거나, 또 촬영 전의 구도와 촬영된 화상의 구도의 오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 촬영 시의 보정 렌즈의 제어 범위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서는 촬영 장면, 촬영 조건 및 각종 모드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촬상시에 변화시킬지 여부를 전환한다. 그러나, 제어 범위를 변화시킬지 여부에 따라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결점, 이점이 있다.
항목 촬상시의 제어 범위 일정 촬상시의 제어 범위 확대
광학 성능 열화되기 어려움 큰 흔들림에서는 열화됨
대응 가능 흔들림량 큰 흔들림에 대응 곤란 큰 흔들림에 대응 가능
광학 성능은 촬상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열화되기 어렵지만, 큰 흔들림에는 대응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촬상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한 경우 큰 흔들림에는 대응 가능하게 되지만, 큰 흔들림이 발생하여 보정 렌즈(4)를 크게 시프트시키면 광학 성능 열화가 커진다.
도 17은 촬영 준비중과 촬영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예에서는 정지 화상의 촬영 시에 촬영 준비중에 비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2 배 정도 확대하고 있다. 여기서는 동화상 촬영 시의 제어 범위를 촬영 준비중과 동일하게 했지만, 정지 화상의 촬영 시와 동일하게 해도 관계없고, 또한 이들 3 개를 각각 최적의 범위로 설정해도 관계없다. 또한, 도 17의 예에서는 촬영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은 촬영 초점 거리가 길수록 촬상면상에서의 상의 흔들림량이 크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도 확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참고로서 본 카메라(1)의 촬영 초점 거리가 가장 긴(텔레단) 경우의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와 제어 범위와의 관계를 도 3에 도시한다.
(3) 촬영 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
계속해서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하는 경우, 및 센터링하지 않는 경우의 이점 및 결점을 하기 표 7에 일람하여 나타냈다.
항목 촬상후 센터링함 촬상후 센터링하지 않음
촬영결과와 촬영후의 구도의 변화 변화됨 변화되기 어려움
연사 속도 불리 유리
촬영후의 모니터 화상이 안정 안정됨 불리
보정 렌즈(4)를 촬영 후에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한 경우,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한만큼 촬상면상에서 피사체상이 시프트된다. 그 결과, 촬영된 촬상 화상의 구도와, 그 후 실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 촬상 화상의 모니터 화상의 구도와의 사이에 변화가 생기는 결점이 있다. 한편,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고, 그곳에서 흔들림 보정이 재개되므로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된다. 이 때문에 흔들림 보정 효과에 의해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이 안정된다.
반대로 보정 렌즈(4)를 촬영 후에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지 않은 경우, 촬영된 촬상 화상의 구도와, 그 후 실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된 촬상 화상의 모니터 화상의 구도와의 사이에 거의 구도차는 없어진다. 또한,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시간만큼 연사 속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촬영 후, 흔들림 보정을 재개하는 타이밍에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단 근변에 있으면 비교적 작은 흔들림이 인가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단에 도달하여 흔들림 보정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다.
(4) 촬영 장면과 촬상 전후의 센터링, 촬상중의 제어 범위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 촬영 시의 보정 렌즈의 제어 범위를 확대할지 여부 및 촬영 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에 따라 각각의 경우의 이점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또한 결점을 보충함으로써 현재까지 없는 흔들림 보정 성능 및 카메라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각종 모드와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 촬영 시의 보정 렌즈의 제어 범위를 확대할지 여부, 및 촬영 직후에 보정 렌즈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센터링할지 여부의 구체예를 하기 표 8, 표 9에 나타냈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10
Figure 112008011414777-PAT00011
《릴리즈 우선 모드와 촬상 전후의 센터링》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 예를 들면 동물 사진, 곤충 사진이나 또한 표현이 풍부한 어린이의 사진을 찍으려고 할 때, 릴리즈 타임래그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피사체의 일순간의 셔텨 찬스를 포착하여 이 때를 놓치지 않고 촬영하기 위해서는 릴리즈 버튼(20)을 조작하여 실제로 셔터가 끊어져 촬영이 실시되기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정확하게는 촬상 소자(9)의 촬상 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릴리즈 우선 모드는 이와 같은 촬영 장면을 위해 설치된 모드이다.
릴리즈 우선 모드의 경우에는 촬영 직전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릴리즈 타임래그를 단축한다. 또한, 이와 같은 움직임이 있는 촬영 장면에서는 흔들림이 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촬영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한다. 또한, 이와 같은 촬영 장면에서는 촬영 후에 한장 더 촬영하는 경우가 자주 있고, 자신의 아이의 귀여운행동을 한장 한장 계속해서 찍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여 다음 촬영에 대비하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더 빨리 안정시킨다.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센터링시키기 위해 센터링된 그 위치에서 흔들림 보정이 재개되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된다. 그 결과,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는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비(非) 릴리즈 우선 모드의 경우에는 촬영 직전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더 큰 손 흔들림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시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여 제어 범위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흔들림까지 보정이 가능해진다. 촬영 후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되는 촬영 결과의 화각(畵角)과 모니터 화상의 화각의 오차에 의한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도록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또한, 비 릴리즈 우선 모드의 경우의 변형예로서 촬영 시의 제어 범위를 변경하지 않는 설정이라도 좋다. 이 경우, 촬영 전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 이동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흔들림이 그다지 커지지 않으면 촬영 시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아도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
《화질 우선 모드와 촬상 전후의 센터링》
본 카메라(1)는 촬영 화질을 우선시하여 촬영하는 모드와, 손 흔들림의 보정 효과를 우선시하여 촬영하는 모드를 갖는다. 화질 우선 모드는 손이 흔들리지 않는 조건에서의 촬영 장면을 상정한 모드이다. 손이 흔들리지 않는 조건이라는 것은 카메라를 꽉 잡고 있는 경우나, 밝은 옥외에서의 촬영이라든가 삼각다리에 고정하여 촬영하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손 흔들림이 작고, 보정 렌즈(4)는 촬영이 개시되기 직전에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 근변에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광학계의 성능은 충분히 얻어진다고 하여 촬영 직전에서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릴리즈 타임래그가 단축되고, 또한 촬영 준비중의 촬영 화각과 촬영 결과의 화각도 변화되지 않게 된다.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에 대해서는 확대하지 않고, 필요최소한의 범위로 하여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의 오차를 방지하여, 촬영 전후의 사용자에게로의 위화감이 최대한 억제된다.
한편, 손 흔들림 우선 모드시에는 손 흔들림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고, 손 흔들림 실패 사진의 발생 확률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손 흔들림이 크므로 보정 렌즈(4)는 촬영이 개시되기 직전에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 근변에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릴리즈 타임래그나 상기 구도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보다도 더 큰 손 흔들림에 대응해야한다고 생각하며,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손 흔들림에 대응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큰 손 흔들림에 맞춰 크게 보정 렌즈(4)를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광학 성능의 열화는 희생한다.
또한, 촬영 후에는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한다. 이에 의해 큰 손 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흔들림 보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재개된 모니터 화상과 사이의 화각의 오차는 희생하지 않을 수 없다.
《촬영 초점 거리》
일반적으로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촬상 소자(9)의 촬상면상의 상의 흔들림량은 커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카메라(1)에 일정한 흔들림각(θv)이 인가된 경우, 촬상면상에서 생기는 상의 흔들림량(Lv)은 촬영 초점 거리를 "fmm"으로 하면 하기 수학식 8로 부여된다. 따라서 동일한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촬영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보정 렌즈(4)의 가동 범위는 유한이고, 너무 큰 가동 범위를 설치하면 본 카메라(1)의 경통(1b)이 커지고, 비용 상승이나 광학 성능 열화에 연결된다.
Figure 112008011414777-PAT000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긴 경우, 예를 들면 150mm 이상의 경우에는 촬영이 개시되기 직전에 보정 렌즈(4)를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고, 더 큰 손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촬영 시에 보정 렌즈의 위치가 제어 범위 중앙 근변에서 흔들림 보정이 실시되고, 광학성의 열화도 억제된다. 또한, 디지털 줌이 작동되는 경우, 촬상 소자(9)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의 일부를 잘라내고, 디지털 보완하여 확대하여 촬영한다. 촬영 준비중에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촬영 화상을 동화상 표시시킬 경우에는 촬상 소자(9)의 촬영 화상이 크게 확대된다. 이와 같은 경우, 광학성의 열화가 더 현저히 나타나기 쉬우므로 촬영 전에 보정 렌즈(4)를 센터링한다.
한편,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에는 촬영이 개시되기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즉, 촬영 전과 촬영된 사진의 구도가 변화되지 않는 것을 우선시한다. 초점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보정 렌즈(4)는 적은 이동량으로 충분히 큰 흔들림량까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념 사진 등의 촬영에서는 촬영 초점 거리가 짧은 경우가 많고, 촬영 전과 촬영된 사진의 구도가 변화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보정 렌즈(4)를 촬영 전에 센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릴리즈 타임래그를 짧게 할 수도 있다.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크기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보정 렌즈(4)를 더 이동할 필요가 있으므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한다. 반대로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에는 적은 이동량으로 충분히 큰 흔들림량까지 대응할 수 있으므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고 광학 성능을 우선시한다. 디지털 줌이 작동하는 경우에는 촬영 화상이 크게 확대되므로 광학성의 열화가 더 현저히 나타나기 쉽다. 이 때문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고 광학 성능을 우선시한다.
또한,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을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큰 손 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흔들림 보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촬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의 모니터 화상의 화각 사이의 오차는 희생된다.
반대로 초점 거리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고, 촬영 후에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촬영 결 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모터 화상과의 사이의 화각의 오차가 거의 없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디지털 줌이 작동하는 경우에는 촬영 화상이 크게 확대되므로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모니터 화상사이의 화각의 오차가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므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촬영 배율, 피사체 거리》
상기와 같이, 촬영 배율이 커지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가까워지면 흔들림 보정 효과가 없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배율이 커진 경우 및 피사체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벌레 등의 생물등의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많이 상정되고,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을 우선시한다. 또한, 가까운 피사체를 확대, 클로즈업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촬영 전과 촬영 화상의 화각 변화를 최대한 억제하기로 했다. 따라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커지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가까워진 경우에는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도록 했다. 표 8의 예에서는 촬영 배율의 소정값은 1/1이고, 피사체 거리의 소정값은 0.3m이다.
반대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먼 경우에는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 경우, 풍경 사진 등, 공간 주파수가 높은, 즉 미세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많아지므로 흔들림 보정 성능 및 광학성을 우선시하고,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기로 한다.
또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커지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벌레 등의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고 상정된다. 그 경우, 피사체에 맞춰 본 카메라(1)를 움직이는 등 하여 큰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큰 흔들림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반대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작아지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먼 경우에는 풍경 사진 등의 공간 주파수가 높은, 즉 미세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광학성을 우선시하여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는다.
또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커지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길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동물 사진, 곤충 사진이나, 또 표현이 풍부한 어린이의 사진 등이 상정된다. 이와 같은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에 실패하는 등 1 회의 촬영으로는 만족할 수 없고, 또 촬영 후에도 한장 더 촬영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따라서,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고, 다음 촬영에 대비하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더 빨리 안정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센터링시키기 위해 센터링된 그 위치에서 흔들림 보정이 재개되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된다. 그 결과,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가 발휘된다.
반대로 촬영 배율이 소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피사체 거리가 소정값보다 먼 경우에는 풍경 사진 등이 상정된다. 따라서 촬영 결과와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과의 사이의 화각의 오차가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보정 렌즈(4)의 이동량에 대해 촬상면상의 상의 이동량이 크고, 촬영 전의 구도와 촬영 결과의 구도 사이의 변화가 크다. 이 때문에 보정 렌즈(4)의 촬영 직전에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반대로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는 촬영 전의 구도와 촬영 결과의 구도와의 사이의 변화가 비교적 작고, 또 광학 성능을 우선시하게 한다. 따라서, 보정 렌즈(4)의 촬영 직전에 센터링을 실시한다.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소정의 크기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데에 필요한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게 해결된다. 이 때문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는 확대하지 않고, 광학 성능을 우선시한다.
반대로,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충분히 큰 흔들림에 대응시킨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을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한다. 그 결과, 큰 손 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 록 한다.
보정 렌즈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고, 촬영 후에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중앙부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과의 사이의 화각의 오차가 거의 없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촬영 초시》
촬영 초시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 촬영이 순간적으로 실시되므로 촬영중인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다. 따라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 변화가 없는 것 및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을 우선시한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광학 열화를 방지한다. 반대로 촬영 초시가 소정값보다 긴 경우, 촬영 중에 보정 렌즈(4)가 장시간 이동하고, 촬영중에 이동하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커진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거나, 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흔들림까지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기 쉬워진다.
또한, 촬영 초시가 소정값보다 긴 경우, 그 긴 촬영 초시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한다. 이에 의 해 큰 손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다.
반대로 촬영 초시가 소정값보다 짧은 경우, 촬영이 순간적으로 실시되므로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고, 촬영 후에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중앙부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 사이의 오차가 거의 없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포커스 모드》
마크로AF는 카메라(1)에 촬영 피사체가 매우 가까운 경우에 많이 이용하는 모드이고, 상기와 같이 피사체 거리가 가까워지면 흔들림 보정 효과가 없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벌레 등의 생물 등의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을 우선시하고, 또한 가까운 피사체의 확대 촬영 및 클로즈 업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촬영 전과 촬영 화상의 화각 변화를 최대한 억제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통상 모드, 원거리 AF 모드 및 무한원 모드 시에는 피사체가 멀고, 또한 공간 주파수에 고주파인 성분이 많고,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피사체가 많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피사체를 해상도가 좋게 촬영하는 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광학 성능을 우선시하고,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1)에 촬영 피사체가 매우 가까운 경우에 많이 이용하는 마크로AF시에는 곤충 등의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다. 이 경우에는 피사체에 맞춰 본 카메라(1)를 움직여 큰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큰 흔들림에도 흔들림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반대로 통상 모드, 원거리 AF 모드 및 무한원 모드시에는 풍경 사진 등의 공간 주파수가 높아 미세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광학성을 우선시하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는다.
또한, 마크로AF시에는 예를 들면 동물 사진, 곤충 사진이나, 또한 표현이 풍부한 어린이의 사진 등이 상정된다. 이와 같은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에 실패하는 등 1 회의 촬영으로는 만족할 수 없고, 또한 촬영 후에 한장 더 한장 더 촬영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따라서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센터링하고, 다음 촬영에 대비하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더 빨리 안정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촬영 후에 보정 렌즈(4)를 센터링시키기 위해 센터링된 그 위치에서 흔들림 보정이 재개되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된다. 그 결과,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가 발휘된다.
통상 모드, 원거리 AF 모드, 무한원 모드 시에는 풍경 사진 등을 고려하여 촬영 결과와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 의 오차가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 때문에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되지 않는다.
《플래시 촬영 모드》
발광 금지 모드는 미술관 등과 같이 플래시 촬영이 금지된 장소에서의 촬영에 이용되는 것이 많고, 발광 금지의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저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슬로우 싱크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야경을 배경으로 한 인물 촬영 등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촬영 초시가 저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발광 금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및 슬로우 싱크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촬영 중에 보정 렌즈(4)가 장시간 이동하고, 촬영중에 이동하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게 하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흔들림에까지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기 쉽게 한다.
강제 발광 모드는 야간의 옥외 등의 얼굴에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에 플래시 촬영하여 얼굴을 적정히 촬영하는 것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초시는 고속 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고, 촬영이 순간적으로 실시되므로 촬영중의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다. 따라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하지 않고,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 변화가 없는 것 및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을 우선시한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아 불필요한 광학 열화를 방지한다.
오토와 적목 저감의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촬영 초시의 범위가 고속에서 비교적 저속까지 포함하지만, 슬로우 싱크로의 경우만큼 저속 초시에는 이르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이들 모드에서는 슬로우 싱크로와 강제 발광인 경우의 중간적인 올라운드가 된다.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시켜 비교적 큰 흔들림까지는 대응시킴과 동시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고, 불필요한 광학 열화는 피한다.
또한, 촬영 초시가 길어지는 것이 상정되는 발광 금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및 슬로우 싱크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그 긴 촬영 초시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큰 손 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오토와 적목 저감과 강제 발광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발광 금지 모드 및 슬로우 싱크로 모드로 설정된 경우만큼에는 저속 초시에는 이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촬영중에 이동하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고, 촬영 후에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중앙부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과의 사이의 화각의 오차가 거의 없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기록 화소수 모드 및 기록 화상 압축률 모드》
표 8의 스몰 또는 L판/엽서 사이즈와 같이 기록 화소수 모드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및 표 8의 노멀과 같이 기록 압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연사 속도 및 촬영 전, 촬영 결과 및 촬영 후의 구도의 변화가 적은 것을 우선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촬영 직전 및 촬영 후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는다.
기록 화소수 모드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및 기록 압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촬영 화상이 대충 기록되거나, 고압축에 의해 화상의 세부 정보가 손실되므로 그다지 광학 성능을 발휘시킬 필요는 없다. 반대로 어느 경우에나 촬영 결과의 데이터 파일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촬영 결과의 비휘발성 기억매체(31)로의 입력 시간이 짧아진다. 이 때문에 촬영이 종료되고 나서 촬영 결과의 비휘발성 기억 매체(31)로의 입력이 종료되고, 다음 촬영이 실시되기까지의 시간이 일반적으로 짧게 해결된다.
기록 화소수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및 기록 압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촬영 직전 및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다음 촬영이 실시되기까지의 시간이 더 짧게 해결되고, 연사 속도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연사시의 촬영 전, 촬영 결과 및 촬영후의 구도가 거의 변화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반대로 기록 화소수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및 기록 압축률이 낮은 경우에는 보다 높은 광학 성능 및 보다 큰 흔들림에 대응하기 위해 보정 렌즈(4)의 촬영 직 전 및 촬영 후에 센터링을 실시하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한다. 표 8의 예에서는 미들, 라지 또는 와이드, 통상의 모드가 기록 화소수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대응하고, 파인 및 수퍼 파인의 모드가 기록 압축률이 낮은 경우에 대응한다.
《ISO 감도 모드》
ISO 감도는 일반적으로 고감도로 설정하는 만큼 어두운 피사체에 노출이 합쳐져 촬영 초시가 고속이 되는 한편, 화질에 노이즈가 생겨 입자가 거칠어진다. 따라서, ISO 감도가 소정값 이상의 높은 경우(표 8에서는 ISO800 이상)에는 촬영 화상에 노이즈가 생기고, 입자가 거칠어진다. 이 때문에 그다지 광학 성능을 발휘시킬 필요는 없고, 촬영 초시도 고속이 되어, 촬영 시의 보정 렌즈의 이동량도 작게 해결된다. 따라서, 연사 속도 및 촬영 전, 촬영 결과 및 촬영 후의 구도의 변화가 적은 것을 우선시하기로 하고, 보정 렌즈(4)의 촬영 직전 및 촬영 후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는다.
반대로 ISO 감도가 소정값 이하의 낮은 경우(표 8에서는 ISO400 이하) 및 ISO 감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소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가 있는 오토에서는 노이즈가 작고 고화질이 얻어진다. 또한, 보다 촬영 초시가 저초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보다 높은 광학 성능 및 보다 큰 흔들림에 대응하기 위해 보정 렌즈(4)의 촬영 직전 및 촬영 후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한다.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10)는 광원의 종류 또는 광원의 종류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센터링을 실시할지 여부와 촬영 시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 설정 또는 매뉴얼 설정되는 광원의 종류는 태양광, 흐림, 형광등 및 전구이고, 상정되는 피사체의 밝기는 이 순서로 어두워진다. 따라서 촬영 초시도 이 순서로 저속 초시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자동 설정 또는 매뉴얼 설정된 광원의 종류가 태양광 또는 흐림인 경우에는 촬영 초시가 고속인 경우가 많고, 촬영이 순간적으로 실시되므로 촬영중인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다. 따라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하지 않고,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 변화가 없는 것 및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을 우선시한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고, 불필요한 광학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촬영이 순간적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고, 촬영 후에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중앙부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기로 한다. 그 결과,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과의 사이의 오차가 거의 없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반대로, 자동 설정 또는 매뉴얼 설정된 광원의 종류가 전구 또는 형광등인 경우에는 촬영 초시가 길어지는 것이 상정되고, 촬영중에 보정 렌즈(4)가 장시간 이동하여 촬영중인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시키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흔들림까지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기 쉽게 한다.
또한, 그 긴 촬영 초시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그 결과,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하여 큰 손 흔들림이 생긴 경우에도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해 모니터되는 모니터 화상에 대해 더 빨리 흔들림 보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액정 모니터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촬영 화상 모니터의 모니터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충분한 흔들림 보정 효과를 확인하고 나서 릴리즈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결과는 충분한 흔들림 보정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한편,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를 오프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광학 파인더(7)을 이용하여 구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흔들림 보정 효과를 알기 어렵고, 사용자가 외부 액정 모니터(19)를 모니터 하면서 본 카메라(1)에 가해지는 손 흔들림을 작게 억제하여 촬영할 수 없으므로, 본 카메라(1)에 비교적 큰 손 흔들림이 인가된 상태에서 촬영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구도를 변경한 직후 등에 있어서는 보정 렌즈(4)는 그 제어 범위단 근변에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 를 오프로 설정한 경우에는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시키고, 또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흔들림까지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기 쉽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광학 파인더(7)에 의해 구도를 모니터하고 있으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시켜도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의 차이는 깨닫기 어렵다.
또한, 촬영 후, 비교적 큰 손 흔들림이 인가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 빨리 다음 촬영 시에도 큰 손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영 화상 모니터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촬영 화상 모니터에 의해 충분한 흔들림 보정 효과를 확인하고, 본 카메라(1)에 가해지는 손흔들림을 비교적 작게 억제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구도를 변경한 직후 등,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단 근변에 있고, 충분히 흔들림 보정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보정 렌즈(4)가 대략 중앙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잠시 기다리고, 흔들림 보정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나서 릴리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촬영 직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는 확대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충분히 광학 성능과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고 나서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의 차이가 거의 없 는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 후, 비교적 본 카메라(1)에 인가되는 손흔들림을 억제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는 크게는 이동하지 않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중앙부 근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과의 사이의 오차가 거의 없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셀프 타이머 모드》
셀프 타이머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에는, 본 카메라(1)는 삼각다리 등에 고정되는 경우가 많고, 본 카메라(1)에 인가되는 손흔들림은 작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는 그 제어 범위 중앙부 근변에 있을 가능성이 높고, 또 사용자는 촬영 전에 결정한 구도와 촬영 결과의 구도가 동일한 것 및 고화질의 촬영을 기대한다. 따라서, 셀프 타이머 모드가 온되어 셀프 타미어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는 촬영 전과 촬영 결과의 구도의 변화가 없는 것 및 광학 성능을 우선시하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는 확대하지 않는다.
또한, 셀프 타이머 모드에서는 본 카메라(1)는 삼각다리에 고정되어, 본 카메라(1)에 인가되는 손흔들림은 매우 작다. 이 때문에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는 거의 이동하지 않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중 앙부 근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촬영 결과의 화각과 촬영 후에 재개되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 사이의 오차가 거의 없고,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해결된다.
한편, 셀프 타이머 모드가 오프되어 통상의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는 본 카메라에 손흔들림이 인가되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고,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게 한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큰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의 촬영 시도 큰 손흔들림에도 더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연사 모드》
연사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고속 초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보다 고속인 프레임 속도로 몇장이나 사용자가 의도하는 구도로 촬영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연사 모드 시에는 릴리즈 타임래그 및 구도의 변화가 없도록 하고, 또한 프레임 속도를 우선시한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 및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또한, 비교적 고속 초시로 사용되는 것이 많으므로 촬영 시에 이동하는 보정 렌즈(4)의 이동량은 작게 해결된다. 따라서, 촬 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촬영 시의 광학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모드, 즉 연사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와 반대이고, 사용자는 1 회의 촬영으로 좋은 사진을 얻고자 생각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성공 사진의 확률을 보다 높이기 위해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시하고, 보다 큰 흔들림까지 대응하기 위해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를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가 확대되고, 더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촬영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 촬영 시에 큰 손흔들림에도 더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손흔들림 보정 모드》
촬영 준비중에는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 시에만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는 모드로 설정된 경우, 촬영 준비중에는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는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있다. 따라서,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릴리즈 타임래그를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촬영 준비중에 외부 액정 모니터(19)로 손흔들림 효과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본 카메라(1)에 인가되는 손흔들림은 비교적 크다. 따라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큰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후에는 보정 렌즈(4)를 센터링한다. 이 때문에 촬영 준비중에 외부 액정 모니터(19)로 손흔들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는 본 경우에도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음 촬영 시에도 큰 손흔들림에 보다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준비중을 포함하는 상시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는 모드에서는 비교적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하기 위해,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비교적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는 변경하지 않고 불필요한 광학성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 촬영 시에도 큰 손흔들림에 의해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닝 모드시의 패닝 방향은 촬영 직전에 흔들림 보정이 실시되지 않으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는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고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도 확보한다. 촬영 시에 보정 렌즈(4)는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고, 촬영 후에도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 촬영 시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패닝 모드시의 비 패닝 방향에서는 패닝시에 손흔들림이 매우 커지는 것을 고려한다. 그리고, 성공 사진의 확률을 보다 높이기 위해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시하고, 보다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하기 위해 촬영 직전에서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시킨다. 이에 의해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한다. 또한, 비 패닝 방향에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큰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패닝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폭은 통상의 정지 화상 촬영의 확대폭 보다 큰 값이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패닝과 같이 큰 손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는 손흔들림 보정 성능을 중요시한 촬영이 실시된다.
그리고, 보정 렌즈(4)의 위치가 중심에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광학 성능은 열화된다. 통상의 정지 화상 촬영에서는 패닝만큼 큰 손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추정되므로, 본 카메라(1)에서는 손흔들림 보정의 성능보다도 광학 성능을 중요시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폭을 패닝의 경우보다 작은 값으로 하기로 했다.
또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의 촬영 시에도 큰 손흔들림에 의해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흔들림 보정 모드가 오프인 경우, 손흔들림이 매우 작아지는 촬영 조건에서의 사용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삼각다리에 고정된 조건으로 촬영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촬영 전, 촬영 결과 및 촬영 후의 구도의 변화를 최대한 억제하고, 또한 릴리즈 타임래그의 단축, 촬영 광학 성능을 우선시한다. 손흔들림 보정 모드가 오프이므로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는 그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는다. 촬영 시에 보정 렌즈(4)는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 있고, 촬영 후에도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 촬영 시에 대응하도록 한다.
《동화상/정지화상 촬영 설정》
본 카메라(1)는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여 실시되는 촬영을 정지 화상과 동화상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동화상 촬영 시에는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여 개시되는 동화상 촬영과, 그 전의 촬영 준비중에 실시되고 있는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과의 구도에 변화가 없도록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도 하지 않고, 촬영 후도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동화상 촬영이 개시되면 원활하게 동화상 촬영으로 이행하고, 릴리즈 전, 동화상 촬영 중 및 동화상 촬영 후의 촬영 화상이 동일한 감촉이 되어, 위화감이 없다. 또한, 동화상 촬영에서 큰 흔들림에 대응하기 위해 제어 범위를 확대하고, 다음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의 촬영 시에 큰 손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촬영 후 센터링을 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정지 화상 촬영 시는 그 반대이고, 성공 사진의 확률을 보다 높이기 위해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시한다. 또한 큰 흔들림까지 대응하기 위해 촬영 직전에서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하여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범위를 억제하면서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의 촬영 시도 큰 손흔들림에 보다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구도 우선 모드》
본 카메라(1)는 카메라(1)를 삼각 다리로 고정하여 풍경 사진을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을 허가받은 영화 등을 구도를 정확히 정해 촬영하는 경우 등을 위해 구도 우선 모드를 갖는다. 구도 우선 모드로 설정되면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고, 촬영 후에도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릴리즈 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 촬영 결과 및 촬영 후의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모니터 화상의 화각의 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구도 우선 모드에서는 반대로 성공 사진의 확률을 보다 높이기 위해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시한다. 또한, 큰 흔들림까지 대응하기 위해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대략 중앙부에서 촬영 시의 흔들림 보정을 실시시킨다. 그 결과, 촬영 광학계의 광학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큰 흔들림에까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여 더 큰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 동안에 보정 렌즈(4)가 크게 이동하고,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주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촬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상한에서 하한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음 촬영 시에도 큰 손흔들림에 보다 빨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촬영 조건이나 각종 모드 설정에 의해 촬영 전후의 센터링, 촬상중인 제어 범위에 관해 매우 자세히 설명했지만, 표 8, 표 9에 나타낸 촬영 조건이나 각종 모드 설정 등은 동시에 조합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표 8에 의하면 촬영 초점 거리가 150mm 이상인 경우에는 촬영 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만, 한편 촬영 배율이 1/1배 이상인 경우에는 촬영 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촬영 초점 거리가 150mm 이상이고, 또한 촬영 배율이 1/1배 이상의 경우에는 촬영 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본 카메라(1)의 제품으로서의 성질에 따라서 케이스별로 대응하기로 한다.
6-2-2. 촬영 시의 구체예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고, 완전 누름 스위치(120b)가 온된 경우의 본 카메라(1)의 구체적인 작동을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는 시점에서는 도 16의 타이밍(t17) 이후 실시되는 동작 상태인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쟈이로 처리부(201a, 201b)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설정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에 설정된 전환 신호(a, b)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웨어 제어되고, 촬상 소자(9)의 흔들림이 보정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30)에 있어서 완전 누름 스위치(120b)가 온된 것을 인식하면 타이밍(t31)에 있어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의한 촬상 소자(9)에 의한 화상의 모니터 표시를 정지하고, 타이밍(t32)에서 촬상 소자(9)의 동작을 일단 정지한다. 또한, 도 18에서 목표 위치(Lc(Y))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보정 렌즈 위치(Lr(Y))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타이밍(t32)에 계속되는 타이밍(t33)은 촬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경우의 센터링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촬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할지 여부는 전항 6-2-1, 각종 모드와 촬영 시의 동작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촬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경우, 타이 밍(t33)에 있어서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현재의 보정 렌즈(4)의 위치를 초기값으로 하고, 소정의 기울기(Vc0)로 그 제어 범위 중앙을 향해 변화시킨다. 또한, 도 18의 부호 "イ"로 나타내는 부분의 곡선이 촬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경우의 목표 위치(Lc(Y)) 및 보정 렌즈 위치(Lr(Y))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가 서서히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되어 간다.
반대로 촬상 직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8의 부호 "ロ"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후술하는 타이밍(t34)의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도 18에서는 센터링할지 여부를 동일한 도면에 기재했으므로, 타이밍(t33)에서 타이밍(t34)의 사이를 단지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지만, 그렇게 할 필요는 없고, 타이밍(t33)에서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직접 타이밍(t34)에서의 동작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보정 렌즈(4)가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되면,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4)에 있어서, 이제부터 실시되는 촬상 동작시에 보정 렌즈(4)의 제어를 하드웨어 제어할지 소프트웨어 제어할지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5-2. 카메라의 촬영 장면과 보정 렌즈 제어 방법에서 설명한 카메라의 설정 상태나 촬영 조건에 따라서 전환 신호(a, b)를 조작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를 소프트웨어 제어로 할지 하드웨어 제어로 할지를 전환한다.
이제부터 도 8의 전환부(205a, 205b)가 작동하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s(X), Ds(Y))이나 하드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h(X), Dh(Y))중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구동량에 기초하여 PWM 변환부(204a, 204b) 및 구동부(203a, 203b)을 통해서 코일(40a, 40b)이 구동된다. 그 결과, 설정한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웨어 제어중 어느 한쪽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제어가 실시된다.
계속해서 타이밍(t35)에 있어서, 흔들림 제어부(10b)는, 6-2-1. 각종 모드와 촬영 시의 동작에서 설명한 카메라의 설정 상태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확대한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한다. 도 18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하는 경우의 예를 2중선으로 나타내고, 제어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본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기 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2중 점선으로 나타낸다.
계속해서 타이밍(t36)에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설정하고, 본 카메라(1)에 생긴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보정 렌즈(4)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진동 쟈이로 처리부(201a, 201b)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설정한다. 그리고, 흔들림 제어부(10b)는 그 목표 위치(Lc(X), Lc(Y))에 보정 렌즈(4)를 제어하여 촬상면상에서 상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이 때,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35)에서 설정된 전환 신호(a, b)의 설정에 따라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웨어 제어한다.
타이밍(t7)에서, 주 제어부(10a)는 촬상 소자(9)에 의한 촬상 동작을 개시한다. 그 후, 필요한 촬상 초시가 종료되면, 타이밍(t38)에 있어서 셔터(8)를 닫기 시작하고, 타이밍(t40)에서 셔터(8)가 완전히 닫혀 촬상 동작이 종료된다. 이 셔터(8)가 닫히기까지의 타이밍(t38)에서 타이밍(t39) 사이에 섬광부(6)를 작동시켜 플래시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는, 주 제어부(10a)는 필요한 타이밍(도 18의 예에서는 타이밍(t39))에 섬광 회로부(11)를 작동시켜 섬광부(6)를 발광시킨다.
계속해서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40)에서 셔터(8)가 닫혀 촬상 동작이 종료되면, 타이밍(t41)에서 촬상 소자(9)의 촬상 동작을 종료하고, 타이밍(t42)에서 촬상 소자(9)의 촬상 화상의 판독을 개시한다. 한편, 흔들림 제어부(10b)는 적어도 주 제어부(10a)에 의해 셔터(8)가 완전히 닫혀 촬상이 종료된 후의 타이밍(t43)에 이제까지 실시된 흔들림 보정 동작을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현재 시점의 값으로 유지시키고, 그 위치에 보정 렌즈(4)를 제어한다.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42)에서 개시한 촬상 소자(9)의 촬상 화상 판독이 타이밍(t44)에서 종료되면, 그 촬상 결과를 타이밍(t45)에서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표시시킨다. 이하에서는 이 표시를 "촬영 화상 표시"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46)에서 닫혀 있는 셔터(8)를 열기 시작하고, 원 상태로 복귀되기 시작한다.
타이밍(t45)에서 시작된 "촬영 화상 표시"는 타이밍(t52)에 종료하고, 타이밍(t53)에 "모니터 화상 표시"로 복귀된다. "모니터 화상 표시"로 복귀되기 전에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47)에 있어서, 보정 렌즈(4)의 제어를 하드웨어 제어 또는 소프트웨어 제어로 전환한다. 즉,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제어를 릴리즈 버튼(20)의 완전 누름 전(도 18의 타이밍(t30) 이전)의 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전환 신호(a, b)를 조작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를 소프트웨어 제어로 할지 하드웨어 제어로 할지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도 8의 전환부(205a, 205b)가 작동하고,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s(X), Ds(Y))과 하드웨어 제어에 의한 구동량(Dh(X), Dh(Y))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구동량에 의해 PWM 변환부(204a, 204b) 및 구동부(203a, 203b)를 통해 코일(40a, 40b)이 구동되고, 설정한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웨어 제어중 어느 한쪽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제어가 실시된다.
계속해서, 전항 6-2-1. 각종 모드와 촬영 시의 동작에서 설명한 카메라의 설정 상태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촬상 직후에서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할 경우에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타이밍(t48)에 있어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현재의 보정 렌즈(4)의 위치를 초기값으로 하여 소정의 기울기(Vc0)로 그 제어 범위 중앙을 향해 변화시킨다. 이 동작은 도 18의 부호 "ト"로 나타내는 부분에 상당한다. 이에 의해 현재,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보정 렌즈(4)가 서서히 그 제어 범위 중앙에 센터링되어 간다.
반대로 촬상 직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흔들 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후술하는 타이밍(t49)의 동작을 실시한다. 이 동작은 도 18의 부호 "ヘ"로 나타내는 부분에 상당한다. 또한, 도 18에서는 센터링할지 여부를 동일한 도면에 기재했으므로 타이밍(t48)에서 타이밍(t49)의 사이를 단지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지만, 그렇게 할 필요는 없고 타이밍(t48)에서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고, 직접 타이밍(t49)에서의 동작을 실시해도 관계없다.
흔들림 제어부(10b)는 도 18의 부호 "ト"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한 경우, 제어 범위 중앙부로의 센터링을 적어도 완료된 타이밍(t49)에 있어서, 확대된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본 릴리즈 버튼(20)의 완전 누름되기 전(도 18의 타이밍(t30) 이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도 18의 부호 "ヘ"로 나타내는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 중앙부로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의 타이밍(t49)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본 릴리즈 버튼(20)의 완전 누름되기 전(도 18의 타이밍(t30))의 상태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타이밍(t50)에서는 흔들림 제어부(10b)는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설정하고, 본 카메라(1)에 생긴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보정 렌즈(4)의 제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쟈이로 처리부(201a, 201b)에 의해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보정 렌즈(4)의 목표 위치(Lc(X), Lc(Y))를 설정한다. 그리고, 흔들림 제어부(10b)는 그 목표 위치(Lc(X), Lc(Y))에 타이밍(t47)에서 설정된 전환 신호(a, b)의 설정에 따라 보정 렌즈(4)를 소프트웨어 제어 또는 하드 웨 어 제어하고, 촬상면상의 상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50)에서 흔들림 보정이 재개되면, 타이밍(t5)에서 촬상 소자(9)의 동작을 재개하고, 외부 액정 모니터에 의한 "촬영 화상 표시"를 종료한다. 그리고, 주 제어부(10a)는 타이밍(t53)에서 촬상 소자(9)의 촬상 화상의 "모니터 화상 표시"를 재개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릴리즈 버튼(20)이 완전 누름되어 실시되는 촬영 시에 촬영 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의 유무 전환, 촬영 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의 유무 전환, 촬영중인 보정 렌즈의 센터링의 유무 전환, 촬영중인 보정 렌즈 제어의 소프트웨어 제어/하드웨어 제어의 전환 및 촬영중인 보정 렌즈 제어 범위의 전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우선, 촬영 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의 유무 전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 중앙부로의 센터링을 실시한 경우, 촬상중인 흔들림 보정이 개시되는 타이밍(t36)에서 항상 보정 렌즈(4)가 제어 범위 중앙부에 있는 상태에서 흔들림 보정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보정 렌즈(4)의 시프트량이 커질수록 악화되는 광학 성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또 큰 흔들림에 대해 흔들림 보정이 가능해진다.
도 18의 예에서는 부호 "ロ"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렌즈(4)의 촬상 전에 센터링하지 않을 경우에는 촬상중인 보정 렌즈(4)의 이동 범위가 제어 범위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기울고, 광학 성능이 열화된다. 또한, 촬상 전에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부호 "ニ"(촬상중에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바꾸지 않은 경우), 또는 부호 "ホ"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 이상 흔들림 보정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보정 렌즈(4)의 촬상 전에 센터링하는 경우(부호 "イ"에 상당)는 부호 "ハ"(촬상중에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바꾸지 않는 경우)까지, 또는 도 18의 예에서는 촬상 기간중 전부 흔들림 보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반대로 촬영 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도 18의 "ロ"에 상당)에는 보정 렌즈(4)를 제어 범위 중앙부에 센터링하는 시간(도 18의 타이밍(t33)에서 타이밍(t34)까지의 시간(Tr1)이 필요없어진다. 그 결과, 릴리즈 버튼(20)을 완전 누름하고 나서 실제로 촬상되기까지의 시간(도 18의 타이밍(t30)에서 타이밍(t37)까지의 시간(Tr0)), 즉, 릴리즈 타임래그가 대폭 줄어들고, 셔텨 찬스를 놓치기 어렵게 된다.
계속해서 촬영 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의 유무 전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촬영 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을 실시한 경우(도 18의 "ト"에 상당)에는, 그 후(도 18의 타이밍(t50)부터)에 재개되는 흔들림 보정은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 중앙부의 위치에서 재개되므로 타이밍(t53)에서 재개되는 "모니터 화상 표시"를 보기에 좋다. 도 18의 예에서는 촬상 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도 18의 "ヘ"에 상당)는 보정 렌즈(4)의 위치가 상측으로 기울고, "チ"에 있어서, 그 제어 범위 상한을 초과하여 흔들림 보정을 그 이상 할 수 없어지고 있다. 한편, 촬영 후의 보정 렌즈의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도 18의 "ヘ"에 상당)에는 도 18의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 중앙부로의 센터링(타이밍(t48)에서 (t49)까지)이 필요해지고, 촬영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연사시에는 이 연사 속도(단위시간당 촬영 장수)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촬영중인 보정 렌즈 제어의 소프트웨어 제어/하드웨어 제어의 전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촬영중인 보정 렌즈(4)의 제어를 소프트웨어 제어로 실시한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하드웨어 제어로 실시한 경우에는 보정 렌즈(4)의 제어성이 향상되고, 흔들림 보정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5-2. 카메라의 촬영 장면과 보정 렌즈 제어 방법에 따라서 촬영중인 보정 렌즈 제어의 소프트웨어 제어/하드웨어 제어를 전환하여 더 많은 촬영 장면, 촬영 상황에 대응이 가능해진다.
촬영중인 보정 렌즈 제어 범위의 전환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전항 6-2-1. 각종 모드와 촬영 시의 동작에 기초하여 촬상중인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우선시하고,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를 확대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 범위를 확대하지 않는 경우에 더 이상은 흔들림 보정할 수 없는 경우(도 18에 나타내는 "ハ"의 경우)라도 흔들림 보정을 정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더 큰 흔들림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촬상중인 흔들림 보정 성능보다도 광학 성능을 우선시하고 싶은 촬영 장면에서는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의 확대를 실시하지 않도록 하고, 촬영 시의 광학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촬영 후에 보정 렌즈(4)의 제어 범위 중앙으로의 센터링을 실시할 때의 센터링에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촬영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연사시에는 다음 연사시의 촬영 전의 보정 렌즈(4)의 센터링(도 18의 타이밍(t33)에 상당)의 양이 작게 해결되고, 센터링에 걸리는 시간 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연사 속도(단위 시간당 촬영 장수)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카메라(1)는 각종 조건으로 그 최적인 것으로 이들 전환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다양한 촬영 조건에 대응할 수 있고, 촬영 장면이 크게 넓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흔들림 보정에 촬영 광학계의 흔들림 보정 렌즈(4)에 의해 촬영광축(2)의 방향을 바꿨지만, 예를 들면 가변 정각(頂角) 프리즘 등을 이용하여 촬영 광축(2)의 방향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촬상 결과를 본 카메라(1)의 외부에 표시시키는 수단으로서 외부 액정 모니터(19)를 이용했지만, 반드시 액정 모니터에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렉트로크로니즘(electrochronism) 표시 소자, 플라즈마 표시 소자, 그 외의 평면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파인더(7)의 교체에 액정 모니터 등을 조립한 파인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진동 쟈이로(200a, 200b)에 의해 본 카메라(1)에 생긴 손흔들림에 의한 각 속도를 검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 쟈이로의 교체에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카메라(1)에 생긴 가속도를 검출하고, 이를 2 회 적분하여 본 카메라(1)에 생긴 위치의 디멘션의 흔들림을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촬상 소자(9)에 의해 얻어진 촬상 결과에 의해 직접 촬상면에 생긴 흔들림을 검출하는 공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고, 이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촬상면 흔들림량을 상쇄하도록 보정 렌즈(4)를 구동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쟈이로(200a, 200b)에 의해 얻어진 흔들림에 따라 촬영 광학계의 일부로 구성되는 보정 렌즈(4)를 촬영 광축(2)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 방향으로 시프트 구동하여 촬상 소자(9)에 생긴 흔들림을 상쇄하도록 하고 있지만, 흔들림 보정 방법으로서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카메라에서는 흔들림에 의해 촬영광축(2)이 변화하여 생긴 상 흔들림량에 대해 촬상소자(9) 자체를 시프트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보정하도록 했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카메라(1)의 구성과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의 카메라(1)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카메라(1)에서는 촬영 렌즈의 일부의 보정 렌즈(4)를 촬영광축(2)에 직교하는 2 축 방향으로 흔들림 보정 회로부(14)를 이용하여 시프트 구동하는 구성을 취했다. 한편, 도 19에 도시한 카메라(1)에서는 렌즈(4)는 고정해두고, 그 대신에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에 의해 촬상 소자(9)를 촬영광축(2)과 직교하는 2 축 방향(도 19에서는 X축, Y축이라고 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구동하도록 했다. 촬상 소자(9)를 촬영광축(2)에 수직인 평면 내의 서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기구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기구를 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4의 보정 렌즈(4)의 교체에 촬상 소자(9)를 배치한다. 슬라이딩 볼(22)이 고정 부재(20) 및 고정 부재(21)의 면을 구르거나 또는 슬라이딩하여 촬영광축(2)과 대략 수직인 평면 내를 촬상 소자(9)를 소정의 가동 범위내에서 원활하게 시프트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40)의 전류를 흐르게 함 으로써 가동부(21)에 전자력이 발생하고, 촬상 소자(9)를 촬영광축(2)과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된다. 홀 소자(44)로부터는 촬상 소자(9)의 위치 변화에 따른 신호가 얻어지고, 이를 처리하여 촬상 소자(9)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한 회로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그 경우, 홀 소자(44a, 44b)로부터는 촬상 소자(9)의 위치에 따른 신호가 얻어지고, 홀 소자 처리 회로부(202a, 202b)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은 촬상 소자(9)의 위치가 된다. 이후, 상기 설명을 포함하여 도 2 내지 도 18 및 그 설명 내용의 보정 렌즈 위치(Lr)를 촬상 소자 위치와 바꿔 읽으면, 촬상 소자(9)를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시프트 구동하는 흔들림 보정 카메라에도 응용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작동이 실현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상기 디지털스틸 카메라, 특히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은염 필름 카메라에도 또는 일안(一眼) 레프카메라에도 응용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을 디지털 일안 레프 카메라 시스템에 응용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한 카메라(701)는 바디부(701a)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렌즈부(701b)로 이루어진다.
도 20에 도시된 디지털 일안 레프 카메라 시스템과 도 1에 도시된 상기 콤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카메라 1)와의 대응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701)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1)에, 이하 마찬가지로 바디부(701a)가 바디(1a)에, 렌즈부(701b)가 경통(1b)에, 촬영 광축(702)이 촬영 광축(2)에, 주밍 렌즈(702)가 주밍 렌즈(3)에, 보정 렌즈(704)가 보정 렌즈(4)에, 포커싱 렌즈(705)가 포커싱 렌즈(5)에, 섬광부(706)가 섬광부(6)에, 파인더(707)가 광학 파인더(7)에, 셔터(708)가 셔터(8)에, 촬상 소자(709)가 촬상 소자(9)에, 렌즈 제어부(710)와 바디 주 제어버(810)가 제어부(10)에, 렌즈 주 제어부(710a)와 바디 주 제어부(810)가 주 제어부(10a)에, 흔들림 제어부(710b)가 흔들림 제어부(10b)에, 섬광 회로부(711)가 섬광 회로부(11)에, 주밍 렌즈 구동부(712)가 주밍 렌즈 구동부(12)에,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713)가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13)에, 흔들림 보정 회로부(714)가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에, 포커싱 렌즈 구동부(715)가 포커싱 렌즈 구동부(15)에,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716)가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16)에, 셔터 구동부(717)가 셔터 구동부(17)에, 조작부(718)가 조작부(18)에, 외부 액정 모니터(719)가 외부 액정 모니터(19)에, 집음부(集音部)(730)가 집음부(30)에, 비휘발성 기억 매체(731)가 비휘발성 기억 매체(31)에, 조작음 발생부(732)가 조작음 발생부(32)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도 1의 카메라(1)의 제어부(10)는 도 20의 카메라(701)에서는 렌즈부(701b) 내의 기능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부(710)와, 바디부(701a) 내의 기능을 제어하는 바디 주 제어부(810)로 나뉘어져 있다. 렌즈 제어부(710) 및 바디 주 제어부(810)는 원칩 마이크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렌즈 제어부(710)와 바디 주 제어부(810)는 공지 기술, 예를 들면 시리얼 통신 등에 의해 쌍방의 데이터 등을 교환하고, 도 1의 제어부(10)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도 20의 본 카메라(701)에서는 파인더(707)는 바디 주 제어부(810)에 의해 파인더용 액정 모니터(707a)를 구동하여, 촬상 소자(709)로부터 얻어진 촬상 화상 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파인더용 액정 모니터(707a)에 표시된 촬상 화상 등을 파인더용 광학계(707b)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카메라(70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보정 렌즈(4)의 시프트 기구를 사용하고, 도 4의 보정 렌즈(4)의 구동, 위치 검출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도 2 이후 도 18까지의 도면 및 그 설명해 온 동작이 그대로 카메라(701)에 응용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검출된 흔들림에 따라서 촬상 소자(9)를 이동시켜 흔들림 보정시키는 구성을 도 20의 일안 레프 카메라에 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흔들림 보정을 위해 보정 렌즈(4)의 촬상 소자(9)를 구동할 때, 촬영 조건이나 카메라 설정 상태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어와 하드웨어 제어를 전환하여 이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촬영 조건이나 카메라 설정 상태에 따른 최적의 흔들림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제어에서는 구동량의 연산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용되고, 하드웨어 제어에서는 로직 하드웨어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가 이용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프트웨어 제어와 하드웨어 제어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것 대신에 구동량의 연산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2개 구비하고, 한쪽의 마이크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속도를 다른쪽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하고, 이들을 전환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프트웨어 제어와 하드웨어 제어를 전환하는 것 대신에 구동량의 연산을 실시하는 로직 하드웨어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를 2 개 구비하고, 한쪽을 다른쪽 보다도 고속으로 하고, 이들을 전환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흔들림 보정 장치를 탑재한 카메라의 블럭도,
도 2는 보정 렌즈 구동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보정 렌즈 가동 범위 및 제어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보정 렌즈 구동 메이커 기구, 보정 렌즈 위치 검출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카메라의 조작 부재 등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조작부(18)의 회로도,
도 7은 외부 액정 모니터(19)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흔들림 제어부(10b) 및 흔들림 보정 회로부(14)의 회로도,
도 9는 홀 소자(44a) 및 홀 소자 처리부(202a)의 회로도,
도 10은 보정 렌즈 위치와 홀 소자 처리부 출력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한 보정 렌즈(4)의 소프트웨어 제어의 블럭도,
도 12는 흔들림 제어부(10b)에 의한 보정 렌즈의 소프트웨어 제어의 보정 렌즈 구동량 연산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3은 구동량 연산부의 상세 블럭도,
도 14는 구동량 연산부의 보정 렌즈 구동량 연산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5는 하드웨어 제어부의 다른 실시 형태의 회로도,
도 16은 촬영 준비 중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7은 촬영 초점 거리와 보정 렌즈 제어 범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촬영시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0은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3: 주밍 렌즈
4: 보정 렌즈 5: 포커싱 렌즈
6: 섬광부 7: 광학 파인더
8: 셔터 9: 촬상 소자
10: 제어부 11: 섬광 회로부
12: 주밍 렌즈 구동부 13: 주밍 렌즈 위치 검출부
14: 흔들림 보정 회로부 15: 포커싱 렌즈 구동부
16: 포커싱 렌즈 위치 검출부 17: 셔터 구동부
18: 조작부 19: 외부 액정 모니터
30: 집음부 31: 불휘발성 기억 매체
32: 조작음 발생부

Claims (29)

  1.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종료 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센터링부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센터링부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설정부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촬영 종료 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를 결정하는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촬상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서 순차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 수단은 상기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이 종료된 후로서, 상기 표시 화상의 순차적인 표시가 개시되기 전에 상기 센터링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6.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계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개시 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를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는,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변수 설정 상태, (c) 셀프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는,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9.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로서 촬영 처리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의 요부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처리의 개시 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는,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가동부를 제어하는 센 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이동량과 촬상면상의 상이동량의 관계인 시프트량 촬상면 배율, (c) 촬상면이 피사체광에 노출되는 시간인 촬영 초시, (d) 설정되어 있는 포커스 모드의 종류, (e) 설정되어 있는 섬광 촬영 모드의 종류, (f)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g) 촬영을 복수회 연속해서 실시하는 연사 촬영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h) 상기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3. 광축을 가변으로 하는 흔들림 보정 광학계와 이동 가능한 촬상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로서 촬영 처리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변경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인 경우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제 1 크기로 설정하고,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상기 제 1 크기와 다른 제 2 크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크기가 상기 제 2 크기 보다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6.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종료 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설정부는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19. 제 16 항에 있어서,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촬영 종료 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0. 제 16 항에 있어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촬상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 화상으로서 순차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센터링 수단은 상기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종료 후로서, 상기 표시 화상의 순차적인 표시가 개시되기 전에 상기 센터링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1.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 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개시 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를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는,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는, (a)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의 개시 전의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의 요부의 설정 상태, (b)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매개변수 설정 상태, (c) 셀프 타이머 촬영이 실시되는 셀프 타이머 모드의 온 오프 상태 및 (d) 흔들림 보정의 온 오프 상태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4.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로서 촬영 처리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의 요부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6. 제 24 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에 기초한 촬영 처리의 개시 전에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대략 중앙 위치로 센터링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센터링 수단, 및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제 1 모드,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센터링 수단에 의한 센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7. 이동 가능한 촬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카메라의 흔들림에 의해 생기는 상면에서의 상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에 따라서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 위치 결정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흔들림 보정부의 위치를 가동 범위 내로 제한하는 가동 범위 제한부,
    상기 가동 범위의 내측으로서, 흔들림 보정 시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흔들림 보정부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인 가동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조작자에 의한 촬영 지시 조작 후로서 촬영 처리 전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 및 촬영 조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가동 허용 범위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변경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인 경우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제 1 크기로 설정하고, 카메라 시스템의 설정 상태가 패닝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가동 허용 범위를 상기 제 1 크기와 다른 제 2 크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량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크기가 상기 제 2 크기보다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바디.
KR1020080013843A 2007-02-16 2008-02-15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 KR101592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6062 2007-02-16
JP2007036062A JP5056050B2 (ja) 2007-02-16 2007-02-16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7036156A JP5228334B2 (ja) 2007-02-16 2007-02-16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JP-P-2007-00036156 2007-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27A true KR20080076827A (ko) 2008-08-20
KR101592563B1 KR101592563B1 (ko) 2016-02-05

Family

ID=3940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843A KR101592563B1 (ko) 2007-02-16 2008-02-15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090003813A1 (ko)
EP (1) EP1959677B1 (ko)
KR (1) KR1015925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63A (ko) * 2009-04-14 2010-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US8965191B2 (en) 2011-06-10 2015-02-24 Canon Kabushiki Kaisha Shake compensation apparatus, shake compensation control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9589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004035A1 (ko) * 2016-06-30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KR20180117325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지니틱스 Vcm 구동범위를 제한하는 폐루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637956B2 (en) 2015-03-19 2023-04-2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6397B2 (ja) * 2007-08-06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71282B2 (ja) * 2008-01-21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光学装置および像振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JP5419647B2 (ja) * 2009-11-16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像振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US9420179B2 (en) * 2010-11-02 2016-08-1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for performing image blur compensation
JP2012128202A (ja) * 2010-12-15 2012-07-05 Canon Inc 光学機器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光学機器の制御方法
KR101710631B1 (ko) * 2010-12-23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046931B2 (ja) * 2011-08-18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39197B2 (ja) * 2012-03-06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547164B (zh) * 2012-07-13 2016-08-21 三營超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抖動補償系統及方法
US9595083B1 (en) 2013-04-16 2017-03-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ducing with predictions of future positions
JP6494202B2 (ja) * 2013-08-07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6558891B2 (ja) * 2013-12-19 2019-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056774B2 (ja) * 2014-01-17 2017-01-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60247B2 (en) 2014-05-30 2017-01-31 Apple In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ompensations
CN104601897B (zh) * 2015-02-13 2017-11-03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机防抖装置及防抖方法
JP6535524B2 (ja) * 2015-06-30 2019-06-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6495126B2 (ja) * 2015-07-13 2019-04-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
KR102631961B1 (ko) 2015-11-02 2024-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E112017004624B4 (de) 2016-09-14 2020-11-12 Fujifilm Corporation Bildaufnahmevorrichtung und Bildaufnahmesteuerverfahren
KR2018006023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CN108124097B (zh) * 2016-11-28 2020-07-10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的致动器和驱动设备
JP6869049B2 (ja) * 2017-02-24 2021-05-12 ローム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ドライバ、撮像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7443005B2 (ja) * 2019-09-18 202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1445115B2 (en) * 2019-10-30 2022-09-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nd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image stabilization control by moving an imag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512A (ja) 1995-09-14 1997-03-28 Nikon Corp 像振れ補正装置
US5850575A (en) * 1935-09-14 1998-12-15 Nikon Corporation Image vibration reduction device
JPH0378734A (ja) 1989-08-22 1991-04-03 Canon Inc カメラ
JP3052250B2 (ja) * 1990-01-05 2000-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ぶれ補正装置
JPH04301822A (ja) 1991-03-29 1992-10-26 Canon Inc 防振機能付カメラ
US5845156A (en) * 1991-09-06 1998-1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ing device
US5598242A (en) * 1993-12-14 1997-01-28 Nikon Corporation Vibration compensation mode selection apparataus and associated visual display for a camera
US6064826A (en) * 1993-12-30 2000-05-16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used in image blur prevention apparatus
US5857122A (en) * 1994-01-31 1999-01-05 Nikon Corporation Vibration compensation device for a camera and an associated visual display
US5684640A (en) * 1994-04-27 1997-11-04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vibration compensation device having anti-vibration lens urging mechanism and feed screw mechanism
JP3461383B2 (ja) 1994-06-17 2003-10-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ぶれ補正装置
JP3414522B2 (ja) 1994-09-29 2003-06-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ぶれ補正装置
JPH08313953A (ja) 1995-05-23 1996-11-29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付きカメラ
JPH1020213A (ja) * 1996-07-03 1998-01-23 Nikon Corp 手振れ補正機構付き双眼鏡
JPH10133245A (ja) * 1996-10-31 1998-05-22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
JP3792845B2 (ja) 1997-07-24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US6097896A (en) * 1997-08-25 2000-08-01 Nikon Corporation Motion compensation system having motion detection signal correction
JP3948065B2 (ja) 1997-08-25 2007-07-25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装置、光学装置、及び、ブレ補正方法
US6982746B1 (en) * 1998-02-24 2006-01-0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shake by controlling sampling timing of shake signal
JP4258857B2 (ja) 1998-06-02 2009-04-30 株式会社ニコン 振動検出装置
US6263162B1 (en) * 1998-08-25 2001-07-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shake preventing apparatus
DE10017357A1 (de) * 1999-04-09 2000-11-16 Asahi Optical Co Ltd Einrichtung zur Korrektion des Zitterns eines fokussierten Bildes
JP4426681B2 (ja) 1999-11-30 2010-03-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4524830B2 (ja) 2000-01-26 2010-08-18 株式会社ニコン 振れ補正レンズ、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7113204B2 (en) * 2000-02-04 2006-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4271694A (ja) 2003-03-06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356341B2 (ja) 2003-03-28 2009-11-04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7400825B2 (en) 2003-10-20 2008-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497946B2 (ja) * 2004-02-03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227003A (ja) 2004-03-22 2004-08-12 Canon Inc 像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機器
JP4717382B2 (ja) 2004-06-15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6074652A (ja) 2004-09-06 2006-03-1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2006133265A (ja) 2004-11-02 2006-05-25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
JP4528138B2 (ja) 2005-01-13 2010-08-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06259568A (ja) 2005-03-18 2006-09-28 Fujinon Corp 像振れ補正装置
JP2006304259A (ja) * 2005-03-25 2006-11-02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07043584A (ja) 2005-08-04 2007-02-15 Ricoh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40064A (ja) 2005-11-17 2007-06-07 Canon Inc 像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機器
JP4752466B2 (ja) * 2005-11-28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24240B2 (ja) 2006-05-08 2008-07-23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機能付きカメラシステム
US7893598B2 (en) 2006-12-15 2011-02-22 Olympus Imaging Corp. Dri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63A (ko) * 2009-04-14 2010-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US8965191B2 (en) 2011-06-10 2015-02-24 Canon Kabushiki Kaisha Shake compensation apparatus, shake compensation control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7534B1 (ko) * 2011-06-10 2015-03-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흔들림 보정장치, 흔들림 보정제어 방법, 및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37956B2 (en) 2015-03-19 2023-04-2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139589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004035A1 (ko) * 2016-06-30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CN109154711A (zh) * 2016-06-30 2019-01-04 Lg 电子株式会社 相机模块和及其自动对焦的方法
CN109154711B (zh) * 2016-06-30 2021-03-09 Lg 电子株式会社 相机模块和及其自动对焦的方法
US11002939B2 (en) 2016-06-30 2021-05-11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 thereof
KR20180117325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지니틱스 Vcm 구동범위를 제한하는 폐루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563B1 (ko) 2016-02-05
US8768156B2 (en) 2014-07-01
EP1959677B1 (en) 2019-09-04
EP1959677A3 (en) 2010-11-17
US20100202765A1 (en) 2010-08-12
US8611733B2 (en) 2013-12-17
EP1959677A2 (en) 2008-08-20
US20100172639A1 (en) 2010-07-08
US20090003813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563B1 (ko) 카메라 시스템과 카메라 바디
JP5228334B2 (ja)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EP1874043B1 (en) Image pick up apparatus
JP5919543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974704B2 (ja) 撮像装置
JP5447555B2 (ja)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056050B2 (ja)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528138B2 (ja) 撮影装置
JP200621148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203930A (ja) 撮像装置
JP4752466B2 (ja) 撮像装置
JP2019128362A (ja) 撮像装置
JPH09197261A (ja) レンズ位置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914585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カメラ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JP2006074652A (ja) 撮像装置
JP471849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8203313A (ja) 振れ補正装置、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ボディおよび交換レンズ
JP4399668B2 (ja) 撮影装置
JP500101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7580056B2 (en) Digital still camera
JP2005184246A (ja) 撮像装置
JP2004007303A (ja) 撮像装置
JP2008151888A (ja) 手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091673A (ja) 撮像装置
JP2012247666A (ja) 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