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895A -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895A
KR20080071895A KR1020077030719A KR20077030719A KR20080071895A KR 20080071895 A KR20080071895 A KR 20080071895A KR 1020077030719 A KR1020077030719 A KR 1020077030719A KR 20077030719 A KR20077030719 A KR 20077030719A KR 20080071895 A KR20080071895 A KR 2008007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corative film
concave
product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유키 요네시마
미츠시 소가베
츠요시 다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나자와 핫꼬오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나자와 핫꼬오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나자와 핫꼬오샤
Publication of KR2008007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33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은, 감광성 수지 필름(21)으로부터 노광, 세정, 건조를 포함하는 인쇄판의 제조 방법으로 표면에 요철 모양을 형성한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요철 모양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해 불필요부를 제거함으로써 요철을 완만하게 하고, 및/또는 요철 모양의 볼록부(22)의 높이나 오목부(24)의 깊이에 변화를 주는 공정을 갖는다. 또, 감광성 수지 필름(21)을 노광하기 전에,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미리 수지 필름(3)이 안쪽에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PRODUCT WITH CONCAVE-CONVEX PATTERN ON ITS SURFACE AND METHOD OF FORMING THE CONCAVE-CONVEX PATTERN}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상기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요철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식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대쉬 보드 등의 내장품은, 경량, 양산성의 점으로부터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급감, 중후감, 따뜻함을 얻기 위해서, 표면에 칠공예, 가죽 주름 등의 미세한 요철 모양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 수지 제품은, 금형의 표면에 에칭 등에 의해서 제품의 요철 모양과,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대의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시험 제작(試作) 단계에서는, 금형을 만드는 것은 코스트, 시간의 문제로부터 어렵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험 제작 단계에서는, 시험 제작 제품 표면에의 요철 모양은, 요철 모양을 형성한 시트를 붙여 형성하고 있다. 이 시트가 두꺼우면, 양산한 제품의 표면과는 질감이나 이미지가 다르다. 또, 시트를 금형으로 제작하면, 요철 모양이 복잡한 경우, 코스트가 늘어난다.
그래서, 출원인은 이전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 모양을 형성한 얇은 장식 필름을 제안했다(특허 문헌 1). 이것은, 감광성의 수지 필름에, 노광, 세정, 건조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으로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위로부터 도장을 실시하고 있다. 이 장식 필름을 시험 제작 제품의 표면에 붙임으로써, 시험 제작 제품을 보고, 양산하는 최종 제품을 이미지할 수 있고, 의장을 결정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2001-150891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장식 필름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22)(22) 사이의 오목부(24)는, 볼록부(22)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급격하게 패여 있어, 요철 모양면이 거친 감이 있다. 또 볼록부(22)의 높이도 오목부(24)의 깊이도 똑같아지기 때문에, 원하는 칠공예, 가죽 주름 등의 미세한 모양과 조금 이미지가 다르다고 느끼는 일이 있었다.
또, 자동차의 대쉬 보드를 금형으로 양산하는 경우, 금형으로부터 입체 제품을 빼낼 필요상, 대쉬 보드의 표면의 요철 모양을, 금형면의 전면에 동일한 높이의 볼록부와 동일한 깊이의 오목부로 구성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를 갖는 최종 제품(1)인 대쉬 보드를 상정한다. 대쉬 보드를 성형하는 금형은, 상하로 이형한다.
이 경우, 평탄부(A)에 위치하는 볼록부(22)와, 경사부 하단부(B)에 위치하는 볼록부(22)의 높이가 같으면, 경사부(B)에 위치하는 볼록부(22)가 방해가 되어 이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경사부 하단부(B)에 위치하는 볼록부(22)는, 평탄부(A)에 위치하는 볼록부(22)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시험 제작 제품에 대해서도 양산했을 때의 표면 요철 모양과 같아지도록, 볼록부(22)의 높이를 부위에 따라서 달리하도록 엄격한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 필름의 요철 모양에 완만함을 부여하고, 볼록부의 높이나 오목부의 깊이에 변화를 갖게 하는 기술을 염가의 코스트로 실현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은, 감광성 수지 필름(21)으로부터 노광, 세정, 건조를 포함하는 인쇄판의 제조 방법으로 표면에 요철 모양을 형성한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요철 모양면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여 불필요부를 제거함으로써 요철을 완만하게 하고, 및/또는 요철 모양의 볼록부(22)의 높이나 오목부(24)의 깊이에 변화를 주어 원하는 요철면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는 장식 필름(2)을 제품(1)의 표면에 접착하여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인쇄판의 수법과 레이저 조사를 병용하는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요철 모양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요철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완성한다. 이 때문에, 레이저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조사하는 등에 의해, 인쇄판의 제조 방법만으로는 불가능했던 다단계의 고저차이가 있는 복잡한 요철면, 요철의 높이나 오목부만의 깊이를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었다. 여기서 「서서히 변화시킨다」란, 일정량의 높이/깊이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정해지지 않은 양의 높이/깊이를 조금씩 변화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또, 이들 복합 모양 등, 복잡한 요철 모양의 형성도 가능해졌다.
또, 레이저 조사만으로 필름에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레이저 가공에 의한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하여, 생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감광성 수지 필름, 네거티브 필름 및 부착용 수지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감광성 수지 필름을 노광하는 설명도.
도 3은, 반완성 장식 필름의 단면도.
도 4는, 완성한 장식 필름의 단면도.
도 5는, 장식 필름을 제품에 접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수법으로 제작한 장식 필름의 단면도.
도 7은, 볼록부의 높이가 동일한 제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품 2 : 장식 필름
3 : 극박(極博) 수지 필름 4 : 네거티브 필름
21 : 감광성 수지 필름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감광성 수지 필름(21)으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표면에 볼록 모양을 형성한 요철 모양 부착의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완성 장식 필름의 요철 모양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여 불필요부(22a)를 제거하고, 원하는 요철면으로 완성한다. 상기 요철면에 인쇄에 의한 잉크층(23)을 형성하여 장식 필름(2)을 완성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 제작 제품(1)의 표면에 접착제층(32)을 통해 상기 장식 필름(2)을 접착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품(1)의 표면에 볼록 모양을 형성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Ⅰ). 인쇄판의 수법과 레이저 조사의 병용에 의한 장식 필름의 제조
(공정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극박 수지 필름(3)을 붙인다. 후술하는 제품(1)에의 접착의 용이함, 금형에서의 양산품과의 이미지가 매우 가까운 것으로부터 감광성 수지 필름(21)의 두께는, 100~300㎛가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장식 필름(2)의 두께는 150㎛로 했다.
부착용의 극박 수지 필름(3)은, 양면의 전면에 접착제층(31)(32)을 갖는 양면 접착 필름으로서, 외측의 접착제층(32)에는 박리지(33)가 덮여 있다. 극박 수지 필름(3) 자체의 두께는 15~30㎛이다.
(공정 2)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네거티브 필름(4)을 씌우고, 광원(5)으로부터의 광으로 노광한다. 네거티브 필름(4)은,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볼록부(22)에 대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 투광부(42)이며, 다른 부분이 차광부(41)이다. 노광 부분은 경화한다.
(공정 3)
네거티브 필름(4)을 떼어내고, 미노광부(21b)를 물로 세정하고, 노광부(21a)를 남기고 건조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모양 부착의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얻는다.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미리 극박 수지 필름(3)이 안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22)(22) 사이의 감광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0이 되는 요철 모양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즉, 감광성 수지 필름(21)의 전두께를, 볼록부(22)의 높이로 할 수 있다.
(공정 4)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요철 모양면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여 불필요부(22a)를 제거함으로써, 요철을 완만하게 한다. 또는, 요철 모양의 볼록부(22)의 높이나 오목부(24)의 깊이에 변화를 줌으로써, 원하는 요철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반완성품 장식 시트(20)의 거친 느낌의 요철 모양을 완만한 느낌으로 하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모양의 볼록부(22)의 측면을 계단 형상으로 한다. 이것에는, 레이저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불필요부(22a)를 제거하면 된다.
반완성 장식 필름(20)에는 극박의 필름(3)이 안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름(3)이 베이스의 역할을 하여,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이저의 입사각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부착용 수지 필름(3)은 양면 접착 필름으로 박리지(33)가 덮여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로서의 효과는 한층 크다.
(공정 5)
요철 모양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서 원하는 요철면으로 가공한 장식 필름(2)에 인쇄를 실시하고, 요철면에 잉크층(23)을 형성한다. 이것은 장식 필름(2)은 상기한 노광의 필요성으로부터 투명체인 것, 및 레이저 조사면의 표면의 거침을 감추는 의미가 있다.
예를 들면, 요철면이 나뭇결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인쇄도 실제의 나뭇결에 가까운 색조로 함으로써, 볼록 모양과 색조가 조화를 이루어 사실감이 살아있는 나뭇결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인쇄 방법은, 잉크젯 인쇄, 스크린 인쇄, 볼록판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공정 3에서 공정 4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한층 더 노광을 실시하여 모양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공정 2 내지 공정 3은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의해서 인쇄판을 제조하는 공 정과 같다. 따라서, 노광 시간 등은, 감광성 수지 필름(21)의 종류, 두께 등에 의해서 최적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 감광성 수지 필름(21)에의 수지 필름(3)의 부착과, 노광의 순서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네거티브 필름(4)을 씌워 노광한 후에,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에 극박 수지 필름(3)을 붙이고, 공정 3으로 옮길 수도 있다.
또, 장식 필름(2)의 요철 모양면에 대한 인쇄를 도장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Ⅱ). 제품(1)의 전처리
수지제의 시험 제작 제품(1)의 전처리로서, 용제, 알코올 등으로 제품(1) 표면의 오염, 유분을 제거하여, 제품(1)과, 장식 필름(2)의 접착제층(32)과의 접착성을 높인다.
(Ⅲ).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1)의 제작
상기 장식 필름(2) 상의 박리지(33)를 벗기고, (Ⅱ)의 전처리를 행한 시험 제작 제품(1)에 상기 장식 필름(2)을 붙인다. 이로 인해,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장식 필름(2)에의 인쇄 또는 도장은, 장식 필름을 제품(1)에 접착한 뒤에 행해도 된다. 제품(1)에 요철이 있는 경우의 인쇄는, 수압 전사 인쇄가 가능하다.
상기한 장식 필름(2)의 제조 방법에서는,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인쇄판의 수법으로 표면에 요철 모양을 형성한 반완성 장식 필름(2)을 형성하고, 상기 반완 성 장식 필름(2)의 요철 모양면에 레이저 조사하여, 요철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완성한다. 이 때문에, 레이저 출력을 단계적으로 바꾸는 등에 의해, 인쇄판의 수법만으로는 불가능했던 다단계의 고저차이가 있는 복잡한 요철면의 형성도 가능해졌다.
장식 필름(2)은 극박의 수지 필름(3)이 안쪽에 부착되어 강도가 높아졌다. 또, 요철 모양, 즉, 볼록부(22)(22) 사이는 오목부(24)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 필름(2)은 끌어당겨도 찢어지는 일은 적고, 또는 다소 늘어난다. 이 때문에, 제품(1)의 입체 형상에 따라서 붙이기 쉽다.
부착 필름(3)은 매우 얇기 때문에, 장식 필름(2)을 제품(1)의 요철에 따르도록 접착해도, 부착 필름(3)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부착용 극박 수지 필름(3)은 양면 접착 필름이기 때문에, 장식 필름(2)이나 제품(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접착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제품 표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32)의 두께가 균일하므로, 접착제의 접착불균형이 생기는 일없이 깨끗이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제품(1)의 입체의 요철에 따라서는, 장식 필름(2)에 주름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제품(1) 표면에 붙이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장식 필름(2)의 여분의 부분을 잘라내고, 제품(1)에 주름이 생기지 않게 붙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장식 필름(2)을 붙이는 제품(1)은, 합성 수지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목제, 금속제 등, 장식 필름(2)의 접착이 가능하면 재질은 상관없다. 또한, 제품(1)은 시험 제작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동일한 두께의 합성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레이저 조사만에 의해서 원하는 요철 모양을 형성한다. 합성 수지 필름에 대해서는, 연질이며 레이저 조사에 의한 요철 가공이 가능한 것이면 종류는 상관없다.
필름에는, 미리 극박 수지 필름을 부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극박 수지 필름은 양면 접착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했다.

Claims (7)

  1. 감광성 수지 필름(21)으로부터 노광, 세정, 건조를 포함하는 인쇄판의 수법으로 표면에 요철 모양을 형성한 반완성 장식 필름(20)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완성 장식 필름(20)의 요철 모양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여 불필요부를 제거함으로써 요철을 완만하게 하고, 및/또는 요철 모양의 볼록부(22)의 높이나 오목부(24)의 깊이에 변화를 주는 공정을 갖는,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 필름(21)을 노광하기 전에, 상기 감광성 수지 필름(21)에 미리 수지 필름(3)이 안쪽에 부착된,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지 필름(3)은 양면에 접착제층(31)(32)을 갖는 양면 접착 필름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두께의 필름의 한쪽 면에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여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의 조사 출력을 복수 단계로 제어하여 레이저 조사를 행하는,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품의 표면에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장식 필름을 제품의 표면에 접착하여 제품 표면에 볼록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7. 청구항 6의 방법에 따라 제작한 표면에 볼록 모양을 갖는 제품.
KR1020077030719A 2005-11-30 2006-11-21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방법 KR20080071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4828 2005-11-30
JP2005344828A JP4230485B2 (ja) 2005-11-30 2005-11-30 表面に凸模様を有する製品及び該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895A true KR20080071895A (ko) 2008-08-05

Family

ID=3809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719A KR20080071895A (ko) 2005-11-30 2006-11-21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5103B2 (ko)
EP (1) EP1955871A1 (ko)
JP (1) JP4230485B2 (ko)
KR (1) KR20080071895A (ko)
CN (1) CN101316726B (ko)
WO (1) WO2007063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1999B2 (en) * 2006-12-14 2013-10-22 Nok Corporation Sealing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09019802A1 (ja) * 2007-08-08 2009-02-12 Fujix Ltd. 糸を用いた絵画用カンバス
JP5588621B2 (ja) * 2009-04-13 2014-09-10 株式会社棚澤八光社 表面に凸模様を有するシート及びその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CN103407155B (zh) * 2013-08-28 2016-08-17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磨砂树脂制品及其制备方法
JP2016078030A (ja) * 2014-10-10 2016-05-16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加飾部品の製造方法
JP2017024295A (ja) * 2015-07-23 2017-02-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印刷版、印刷物及び印刷方法
CN109181562B (zh) * 2018-07-30 2021-04-02 佛山市顺德区宝丽马彩膜板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且环保的仿木装饰膜及其生产方法
IT202000006301A1 (it) * 2020-03-25 2021-09-25 Plast Srl Metodo per produrre un elemento lastriforme stratificato, apparato per produrre un elemento lastriforme stratificato, e detto elemento lastriforme stratificat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3299A (en) 1978-11-02 1980-05-13 Kamiji Kk Tablet of embossed pictorial symbol by means of block in resin and its preparation
DE3716848A1 (de) * 1987-05-20 1988-12-01 Hoechst Ag Verfahren zur bebilderung lichtempfindlichen materials
JPH0739234B2 (ja) 1988-02-17 1995-05-01 株式会社きもと 漆塗り材料に於ける写真像加飾法
JPH01233078A (ja) * 1988-03-12 1989-09-18 Shinko Kogyo Kk パターンならい式のレーザ彫刻方法
JPH01233077A (ja) 1988-03-12 1989-09-18 Shinko Kogyo Kk パターンならい式のレーザ彫刻方法
JPH01299100A (ja) 1988-05-27 1989-12-01 Kobe Sutanpu:Kk 文字、模様を突出表現したプレート
JPH0564992A (ja) 1991-09-10 1993-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視可能な印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29908A (en) * 1993-04-12 1995-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posure method for reducing distortion in models produced through solid imaging by forming a non-continuous image of a pattern which is then imaged to form a continuous hardened image of the pattern
US6150007A (en) * 1997-08-08 2000-11-21 Meiwa Gravure Co., Ltd. Fused decorative sheet
JP3401464B2 (ja) 1999-11-25 2003-04-28 株式会社棚澤八光社 製品表面に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2001322398A (ja) 2000-05-15 2001-11-20 Araco Corp 合成樹脂製品への模様付け方法
JP4810032B2 (ja) 2000-09-29 2011-11-09 セーレン株式会社 着色立体模様形成装置、着色立体模様形成方法、および着色立体模様形成物
JP4588231B2 (ja) 2001-02-27 2010-11-24 有限会社 中千家具製作所 装飾製品
JP2004314429A (ja) 2003-04-16 2004-11-11 Tsujikawa Kk エンボス画像物及びエンボス画像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6726B (zh) 2010-12-22
EP1955871A1 (en) 2008-08-13
JP4230485B2 (ja) 2009-02-25
US20090291265A1 (en) 2009-11-26
US7745103B2 (en) 2010-06-29
WO2007063739A1 (ja) 2007-06-07
CN101316726A (zh) 2008-12-03
JP2007144901A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895A (ko) 표면에 요철 모양을 갖는 제품 및 그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방법
EP1272318B1 (en) Engineered wood and methods therefor
CN110267790B (zh) 生产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的方法和具有经装饰表面的塑料成型件
JP3663304B2 (ja) 成形同時絵付シートと成形同時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H01195155A (ja) 装飾用部品とその製作法および細長い自動車部分を被覆するための装飾用部品
KR100996655B1 (ko)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의 제조방법
JPH0516594A (ja) 印写模様を有する装飾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4898A (ja) 表面に凸模様を有する製品及び該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CN114889535A (zh) 透光装饰板、透光装饰件及其加工工艺
JP4054841B2 (ja) 凹凸模様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3401464B2 (ja) 製品表面に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3401463B2 (ja) 製品表面に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2018167422A (ja) 立体成型加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21478A (ja) 車両用樹脂製金属調加飾部品の製造方法
JP5918567B2 (ja) 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TWI418464B (zh) Multi-curable decorative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3350528A (zh) 一种高仿真革用离型纸及其制备方法
JP2000301844A (ja) Frp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976419B1 (ko) 패턴 형성용 3차원 전주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3차원 전주 마스크
KR100996656B1 (ko)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
CN106604801A (zh) 加饰部件的制造方法
JP2010142953A (ja) 表面に凸模様を有するシート及びその凸模様を形成する方法
JP2005144712A (ja) 装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0369B2 (ja) 加飾部品及び加飾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