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606A -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606A
KR20080071606A KR1020087015302A KR20087015302A KR20080071606A KR 20080071606 A KR20080071606 A KR 20080071606A KR 1020087015302 A KR1020087015302 A KR 1020087015302A KR 20087015302 A KR20087015302 A KR 20087015302A KR 20080071606 A KR20080071606 A KR 2008007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 taste
taste improving
composition
sweeten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드라 프라카쉬
그란트 이. 두보이스
프라샨티 젤라
조지 에이. 킹
라파엘 아이. 산미구엘
켈리 에이치. 셉킥
딥티 케이. 위라싱헤
뉴튼 알.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7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6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7Halogenated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1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 A23L27/32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containing dipeptide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7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공 감미료 및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의 맛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당에 더 유사한 맛 또는 특성을 부여하여 인공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은 단맛 개시 및 단맛의 잔류를 비롯한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삼투미를 비롯한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 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SYNTHETIC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본 발명은 인공 감미료와 이것으로 감미된 조성물의 맛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 유사한 맛이나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인공 감미료의 맛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과 방법은 단맛의 개시 및 단맛의 잔류 (sweetness linger)를 비롯한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temporal profile) 및/또는 삼투미(渗透味)를 비롯한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 (flavor frofile)을 제공한다.
수크로스, 프룩토스 및 글루코스와 같은 천연 칼로리 당은 이들의 양호한 맛으로 인하여 음료, 식품, 약제 및 구강 청결제/화장품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크로스는 소비자에게 양호한 맛을 부여한다. 수크로스는 우수한 단맛 특성을 제공하지만 칼로리가 있다. 칼로리는 몸의 적정한 기능을 위하여 필요하지만, 정주성(定住性) 생활 방식의 소비자 또는 칼로리에 민감한 소비자를 위하여 당과 맛이 유사한 제로 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를 시장에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로 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는 지연된 단맛의 개 시; 단 뒷맛의 잔류; 쓴맛; 금속미; 수렴성맛; 차가운 맛; 감초와 유사한 맛 및/또는 이와 유사한 맛 등 소비자에게 불쾌한 맛과 관련된다.
인공 감미료 등 제로 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는 일반적으로 시간 특성, 최대 반응, 향미 특성, 구감 및/또는 적응 행동 등이 당과 상이한 단맛을 낸다. 예컨대, 인공 감미료의 단맛은 당에 의한 단맛에 비하여 개시가 늦고 더 오래 지속되어서, 식품 조성물의 맛의 균형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 당과 같은 벌크 감미료를 대신하여 인공 감미료를 사용하는 것은 균형 잡히지 않은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의 원인이 된다. 시간 특성에서의 차이 이외에, 인공 감미료는 일반적으로 (i) 당보다 더 낮은 최대 반응, (ii) 쓴맛, 금속미, 차가운 맛, 수렴성맛, 감초와 유사한 맛 등을 비롯한 불쾌한 맛 (off tastes) 및/또는 (iii) 맛의 반복으로 단맛이 떨어지는 것을 보인다. 조성물 중의 감미료를 바꾸는 것이 향미 및 기타 맛 성분 (예컨대, 산과 같은 신맛)의 재균형을 요한다는 것은 식품/음료 제형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만약 인공 감미료의 맛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특정의 소망하는 맛 특성을 부여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면, 그 감미료로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의 유형과 변형이 상당히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인공 감미료의 맛 특성을 선택적으로 개질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음료, 식품, 약제, 건강 식품, 담배 및 구강 청결제/화장품의 맛 특성을 개질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 및/또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왔다.
그러나,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글루코스의 단맛과 더 유사한 만족을 소비 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 감미료의 단맛 및 당과 유사한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시간 특성, 향미 특성 또는 두 가지가 모두 개선된 인공 감미료 조성물,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 및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필요성이 충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의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함으로써 인공 감미료에 당에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가지는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은 음료, 식품, 약제, 건강 식품, 담배, 구강 청결제/화장품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하여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감미료 감미된 조성물은 음료, 식품, 약제, 담배, 구강 청결제/화장품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우수한 점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거나, 또는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하여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 및 약어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것과 비슷하거나 균등한 방법 및 조성물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절한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그러한 방법 및 조성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I. 개요
이제 현재 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본 발명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한 가지 실시 상태의 일부로서 기재되거나 설명되어 있는 특성들은 추가의 실시 상태를 제공하는 또 다른 실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되어 있는 청구 범위 및 이들의 등 가물의 범위 내에서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괄하려는 것이다.
위에서 요약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 조성물,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 및 인공 감미료 감미된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부여함으로써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킨다.
A. 당과 유사한 맛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당과 유사한 특성," "당과 유사한 맛," "당과 유사하게 단," "당의" 및 "당과 유사한"이란 용어들은 동의어이다. 당과 유사한 특성은 수크로스의 특성과 유사한 임의의 특성을 포함하고,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시간 특성, 적응 행동, 구감, 농도/반응 기능, 미각 자극 물질/및 향미/단맛 상호 작용, 공간 패턴 선택성, 및 온도 효과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특성은 수크로스의 맛이 인공 감미료의 맛과는 상이하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 향미 특성 및 시간 특성은 특히 중요하다. 단맛이 나는 식품 또는 음료의 단일한 맛을 내는 데 있어서, 수크로스와 인공 감미료에 관하여 관찰된 것 간의 (1) 감미료의 향미 특성을 이루는 속성 및 (2) 감미료의 시간 특성을 이루는, 단맛의 개시 및 소실(消失) 속도에 있어서의 차이가 주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는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이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조성물보다 당에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당에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들 두 가지를 모두 나타낸다.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지 아닌지는 전문 관능 평가단에 의하여 측정되는데, 이들은 단맛 개선 조성물과 함께 및 단맛 개선 조성물 없이 당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맛보고, 단맛 개선 조성물과 함께 및 단맛 개선 조성물 없이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특성과 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특성의 유사점에 관한 그들의 느낌을 제공한다. 조성물이 당과 더 유사한 맛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평가단에게 단맛 잔류의 감소를 측정하도록 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평가단 (일반적으로, 8 내지 12명의 개인)을 훈련시켜 시료를 최초로 입에 넣은 때로부터 그것을 내뱉은 후 3분이 될 때까지의 몇 개의 시점에서 단맛 인지의 지각(知覺)을 평가하고 단맛을 측정하도록 훈련한다. 통계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첨가제를 함유하는 시료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시료간에 비교한다. 상기 시료가 입을 세척한 후에 측정된 시점에 대한 점수의 감소는 단맛 지각에 있어서 감소가 있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평가단을 훈련시킬 수 있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스펙트럼™ 데스크립티브 분석법 (Spectrum™ Descriptive Analysis Method (Meilgaard et.al,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 3rd edition, chapter 11))을 사용하여 상기 평가단을 훈련시킬 수 있다. 좋기로는, 훈련의 초점은 기본적인 맛, 특히 단맛의 인식 및 측정이어야 한다. 결과의 정확도 및 재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평가자는 시료마다 약 3 내지 5회 단맛 잔류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을 반복하는데, 각 반복 사이에 적어도 5분의 휴식 시간을 두고 입을 세척하기 위하여며, 물로 잘 헹구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맛 측정법은, 입에 10 ㎖ 시료를 넣어 그 시료를 5초간 입 안에 유지하고, 시료를 입 안에서 부드럽게 교반시켜 5초에 지각된 단맛 강도에 등급을 매기고, 상기 시료를 내뱉고 (삼키는 일 없이 시료를 내뱉은 다음), 한 모금의 물로 헹구고 (예컨대, 입안을 세척하는 것처럼 물을 입 안에서 격렬하게 이동시킴) 및 헹군 물을 내뱉고, 헹군 물을 내뱉은 후에 즉시 지각되는 단맛의 강도를 평가하여 등급을 매기고, 45초 기다리고, 이 45초간 기다리는 중에 지각된 단맛 강도가 최대치인 시간을 확인하고 그 시간에서의 단맛 강도를 평가하여 등급을 매기고 (입을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필요에 따라 삼킴), 다시 10초 후에 단맛 강도를 평가하여 등급 매기고, 다시 60초 후 단맛 강도를 등급 매기고 (헹굼 후부터 누적 120초), 다시 60초 후에 단맛 강도를 평가하여 등급 매기는 것 (헹굼 후부터 누적 180초)을 포함한다. 시료 사이에 5분의 휴식을 취하고 입을 물로 잘 헹구어 입을 세척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의 본질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당 및 인공 감미료 간의 향미 및 시간 특성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추가로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추가 설명은 다음과 같다.
B. 향미 특성
감미료의 향미 특성은 나타나는 모든 맛 속성의 상대적인 강도에 대한 정량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종종 히스토그램 또는 레이더 그래프로 설명된다. 수크로스는 본래 단맛만을 내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고, 사실상 일반적으로 순수한 단맛 성질의 표준으로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인공 감미료는 단맛 이외에 기타 맛의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컨대, 인공 감미료인 사카린은 쓴맛 및 금속성의 불쾌한 맛을 모두 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하나의 예로서, 사이클라메이트는 쓰고 짠 불쾌한 맛을 낸다. 예컨대, 천연의 고효능 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 및 헤르난둘신 역시 쓰고 불쾌한 맛을 가진다. 인공 감미료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기타의 맛 속성은 차갑고 감초와 유사하면서 때때로 수렴성맛을 포함한다.
그러나, 수크로스가 단맛 이외의 맛 속성 또는 심지어 맛 속성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쓴맛, 신맛, 짠맛 및 감칠맛 (umami) 속성은 그것을 묘사하는 게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맛은 맛을 본 최초 수초간 단맛만을 내는 인공 감미료 (예컨대, 아스파탐)의 맛과 쉽게 구별된다. 따라서, 수크로스의 맛은 감미료들 중, 심지어는 전술한 "불쾌한" 맛을 내지 않는 것들 중에서 독특한 것이다.
문헌에서는 수크로스의 이 독특한 맛의 특징을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하여 왔다. "구감" 및 "입체감" 등의 용어가 점도 또는 기타 촉감을 암시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구감"은 또한 조성물을 맛볼 경우, 인간 소비자가 입 안에서 탐지하는 질감, 입체감, 물리적 느낌 및 전반적인 느낌을 가르킬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당과 유사한 구감은 당과 유사한 질감, 입체감, 물리적 느낌 및 전반적인 느낌을 가르키는 것이다. 그러나, 인공 감미료와 비교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촉감이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기타 탄수화물 감미료뿐만 아니라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은 고삼투성 용액이 미뢰 (tast bud) 세포 부피를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미뢰 세포 수축에 동반하는 특정 효과들은 NaCl에 대한 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로부터의 강화된 신호와 심지어 산이 없는 경우에도 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로부터의 강화된 신호이다. 단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에서의 효과가 평가되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수크로스 및 일반적인 탄수화물 감미료들이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으로 매개되는 것 이외의 경로로 미각 반응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부가적인 경로는 당 용액의 고삼투성 특성에 의하여 유도되는 미뢰 세포 수축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 같다. 따라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이들 두 가지 신호 경로의 중첩으로부터 유도되는 것 같다. 수크로스는 신맛 또는 짠맛, 또는 그 문제에 있어서는 쓴맛 또는 감칠맛도 감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통상 별개의 방식 (예컨대, 단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강한 신호, 신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약한 신호, 짠맛에 민감한 세포로부터의 약한 신호 등)인 미뢰 세포에 의하여 뇌로 전달되는 신호로부터 유도되는 것 같다. 이러한 양상의 활성은 일정 부분 수크로서의 독특한 맛으로 인한 것으로 믿어진다. 요약하면, 수크로스는 순수한 단맛 자극만이 아니라 제2 맛 속성을 나타내고, 이들 두 가지 속성의 겹침이 "수크로스 맛"을 구성하는 것 같다. 수크로스의 이 제2 맛 속성이 그 삼투압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여, 이것은 "삼투미"로서 지칭된다.
위에서 전개한 일련의 이유들과 일관되게, 수크로스의 삼투미은 수크로스 단맛이 없는 경우에도 관찰될 수 있었다. 락티솔 (Lactisole)은 공지의 단맛 억제제이고, 락티솔 0.2% (w/v)와 함께 수크로스 10% (w/v)를 맛본다면, 수크로스의 삼투미 특성은 강한 단맛에 의하여 복잡하게 얽히지 않은 채 관찰될 수 있다. 수크로스/락티솔 제형의 맛은 "두께감" 또는 "입체감"뿐만 아니라 엷은 단맛, 엷은 신맛을 나타낸다. 인공 감미료는 삼투미을 내지 않기 때문에, 불쾌한 맛 없이 표적이 되는 수크로스 용액의 오스몰 농도 (osmolarity)를 재형성하는 첨가제들이 포함되지 않는 한, 수크로스의 향미 특성을 재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원칙적으로, 보통의 침의 오스몰 농도 수준보다 더 높은 오스몰 농도 수준이 구강 내의 삼투미의 적어도 일부에서 나타난다. 침의 거의 모든 오스몰 농도의 원인이 되는 침 중의 무기 이온의 평균 농도는 아래의 표 1에 설명된 바와 같다. 제시된 자료로부터, 침의 오스몰 농도는 통상 70 mOsM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10% 수크로스는 4배 더 높은 292 mOsM이어서, 미뢰 세포 부피 및 중추 신경계(CNS)로의 신호의 유의적인 수축의 원인이 될 것이다.
[표 1]
무기 이온 침의 농도 ( mM )
Na+ 10
K+ 10~25
Ca2 + 1.7~3
Mg2 + 0.5~1
Cl- 15~29
H2PO4 - 4~5
HCO3 - 5~7
위에서는,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은 미뢰 세포 신호의 두 가지 경로의 결과라는 것이 제시되어 있는데, 제1 경로는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에 직접 작용하여 단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하여만 진행하고, 제2 경로는 수크로스 자극의 삼투성의 증가로 인한 세포 수축에 의하여 매개되는 메카니즘에 의하여 다수의 미뢰 세포 아류형 (예컨대, 단맛, 신맛 및 짠맛에 민감한 미뢰 세포)을 활성화하는 것에 의하여 진행한다. 이것이 그러한 경우엔 것으로 믿어지는 한, 수크로스의 독특한 맛에 대한 완벽한 설명은 여전히 다소 복잡한 것일 수 있다. 감미료 수용체 T1R2/T1R3은 각각 일반적으로 비너스 플라이트랩 도메인 (Venus Flytrap Domain) (VFD)이라고 하는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서로 결합된 2개의 단백질로 구성된 헤테로다이머 (heterodimeric) 수용체이다. 수크로스가 수용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VFD 2개에 모두 결합한다는 증거가 제공되었다. 동시에, 고효능 감미료가 상이하게 결합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따라서, 아스파탐 및 네오탐은 T1R2의 VFD에만 결합하고, 사이클라메이트는 VFD 도메인에는 결합하지 않지만, T1R3의 막통과 도메인에 결합한다. VFD 2개에 모두 결합하여 수크로스 자극으로부터 잇따르는 활성 T1R2/T1R3 수용체는 인공 감미료의 상이한 결합으로부터 유래하는 활성 수용체와 모양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공 감미료에 의한 수크로스 맛의 완벽한 재현은 T1R2/T1R3의 2개 VFD 모두에 감미료가 동시에 결합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C. 시간 특성
1. 단맛의 개시 및 잔류
수크로스는 최대 반응이 신속하게 감지되고 감지된 단맛이 음식이나 음료를 삼킬 때 비교적 신속하게 사라지는 단맛을 낸다. 반대로, 본질적으로 모든 인공 감미료의 단맛은 수크로스보다 이들의 최대 반응에 다소 더 느리게 도달하고 그 강도가 더 느리게 감소한다. 이 단맛의 감소는 종종 "단맛의 잔류 (sweetness linger)"라고 부르며 인공 감미료의 주요 한계이다. 단맛의 늦은 개시도 역시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맛의 잔류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는 단맛의 잔류에 있어서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시간 특성"은 인간이 조성물의 맛을 볼 때 시간 경과에 따라 감지되는 단맛의 강도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타 탄수화물 및 폴리올 감미료뿐만 아니라 당의 단맛은 단맛이 신속히 개시되고 이어서 신속히 감소되는 반면, 인공 감미료는 전형적으로 당보다 단맛의 개시가 늦고 당보다 더 길게 단맛이 잔류한다.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인공 감미료는 구강을 통하여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들은 세포의 말단부에 붙어 세포막으로 분산되어, 대부분 미뢰 세포가 아닌 세포 속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것이 단맛 개시의 지연을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최대 수용체 점유의 달성은 비특이적 결합 부위의 거대한 농도 이상의 인공 감미료의 분산에 이어 발생할 것이고, 최대 단맛 개시의 지연은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감미료의 성향에 비례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수용체로부터 방출되는 감미료 분자들은 수용체 바로 옆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수용체 뒤로 분산하고 그것을 계속 자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과정은 감미료 수용체로부터 감미료를 없애는 데에 필요한 시간 (즉, 단맛 감지를 소실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것이다. 따라서, 인공 감미료의 비정형적인 시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으로 (i) 미뢰 및 상피 세포에 의하여 인공 감미료의 비특이적 결합의 억제 및 (ii)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 인공 감미료의 배출 속도 억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와 특정의 단맛 개선 첨가제의 조합은 구강에 있는 세포막에 인공 감미료가 비특이적 결합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특히, 특정 단맛 개선 조성물 중의 어떤 것은 고삼투압 자극원이고, 상피 및 미뢰 세포막의 수축을 일으켜 인공 감미료의 비특이적 흡수 작용을 하는 막의 능력을 지연시킨다. 특히 양호한 단맛 개선 첨가제는 불쾌한 맛을 과도하게 도입하지 않고 오스몰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 밖에, 특히 양호한 단맛 개선 첨가제들은 세포막으로부터 비특이적으로 흡수된 인공 감미료의 방출 속도를 늦춰 단맛의 잔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세포 표면에 결합하는 중합체들은 이 방법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의 단맛의 잔류는 맛이 오래가는 특성을 내는 기타 성분들의 존재에 의하여 차폐된다. 예를 들어, 인공 감미료들은 미네랄산 (예컨대, H3PO4),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잔류하는 관능 기록 (sensory note)을 도입하는 기타의 화합물의 신맛에 대하여 잔류하는 신맛을 나타내는 식용산 (예컨대,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등의 산성 물질)과 배합될 수 있다. 이들 실시 상태들은 신맛과 기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맛을 균형있게 하는 기타의 잔류 특성에 의하여 불쾌한 단맛 잔류를 압도시킨다.
2. 미뢰 및 상피 세포에 의한 인공 감미료의 비특이적 결합의 억제
다시 이론에 의하여 구애되는 일이 없이,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은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을 당과 더 유사하게 개선시킨다. 통상 인공 감미료들은 단맛 개시와 단맛의 잔류이 느리다. 수크로스 및 기타 탄수화물 또는 폴리올 감미료 용액의 높은 오스몰 농도 특성은 단맛 감각에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i)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은 미뢰 세포의 현저한 수축을 일으키고, (ii) 미뢰 세포들은 화학 구조가 다양한 고효능 감미료를 흡수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높은 오스몰 농도의 용액이 구강 속 미뢰 세포뿐만 아니라 상피 세포에 있는 막 지질 분자들을 단단히 쌓아서 이러한 세포들의 인공 감미료 흡수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가설을 세운다. 그러므로, 미뢰 및 상피 세포막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임의의 화합물들은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켜, 인공 감미료가 시간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단맛을 내도록 하게 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증가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되게 것이다.
3.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인공 감미료의 방출 속도 억제
인공 감미료들의 시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또 다른 경로는 흡수된 감미료들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단맛 개선 조성물들은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을 당과 더 유사하게 개선시킨다. 흡수된 감미료들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조성물의 예로서는, 단맛 개선 계면 활성 첨가제, 단맛 개선 양이온 중합 첨가제, 단맛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성 첨가제 및 기타 단맛 개선 중합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흡수된 감미료의 미뢰 및 상피 세포와 이들의 막으로부터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적절한 조성물로서는, 폴리리신류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티닌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에틸렌이민 및 키토산 등의 양이온 중합제뿐만 아니라, 수크로스 에스테르, 소르브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소르비탄 에스테르, 음이온성 세정제, 폴리소르브산염,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에스테르, 에스테르 착물 (예컨대, 젖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양이온 세정제, 검 아카시아 세네갈 (gum acacia senegal), 검 아카시아 세얄 (gum acacia seyal), 음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레시틴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면 활성 조성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제는 세포 표면에 결합하고, 결합 접촉의 복합 지점에 관계하며,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킨다고 가정한다.
Ⅱ. 인공 감미료 및 감미된 조성물
당과 더 유사한 맛을 부여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의 배합물이 발견되기에 이르렀다. 양호한 실시 상태로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조성물과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로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비롯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로 감미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맛을 낼 수 있는 적절한 조성물은 감미료로 단맛을 내기에 적절한 임의의 물질일 수 있고, 좋기로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입으로 넣은 다음에 뒤이어 입에서 내뱉는 물질과 마시거나, 먹거나, 삼키거나 또는 소화되는 물질을 비롯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입과 접촉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시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는 데에 안전한 물질을 의미한다.
A. 경구 섭취 가능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로 사용시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는 데에 안전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의하여 포함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이들 조성물로는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화장품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품의 예로는, 콜라, 진저 에일, 루트 비어, 사이다, 과일향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레몬 라임 또는 오렌지 등의 감귤류 향의 소프트 드링크), 분말로 된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콜라, 주스, 차, 물, 커피)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비탄산 음료 및 탄산 음료; 과일 또는 야채 유래의 과일 주스, 즙을 짠 주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과일 주스, 과일 입자를 함유한 과일 주스, 과일 음료, 과일 주스 음료, 과일 주스를 함유한 음료, 과일맛 음료, 야채 주스, 야채를 함유한 주스 및 과일과 야채를 함유한 배합 주스;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물에 가까운 드링크 및 이와 유사한 것 (예컨대, 천연 또는 인공 향미제가 있는 물); 커피, 코코아, 홍차, 녹차, 우롱차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차 유형 또는 좋아하는 유형의 음료; 우유 음료, 우유 성분이 함유된 커피, 카페오레, 밀크티, 과일 밀크 음료, 마실수 있는 요거트, 젖산 박테리아 음료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우유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유제품; 베이커리 제품; 요거트, 젤리, 마실수 있는 젤리, 푸딩, 바바리안 크림, 블라망쥬, 케이트, 브라우니, 무스 및 티타임 또는 식사 후에 먹는 맛이 단 기타 식품 등의 디저트류; 냉동 식품; 예컨대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락토 아이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다양한 종류의 원료 및 감미료가 우유 제품에 첨가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혼합물이 섞인 채 얼려진 식품) 등의 아이스크림 유형 및 샤베트, 디저트 아이스 및 이와 유사한 것 (기타 다양한 종류의 원료가 당질액에 첨가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혼합물이 섞인 채 얼려진 식품) 등의 아이스 당과 등의 차가운 당과; 아이스크림; 케이크, 크래커, 비스킷, 땅콩잼이 있는 번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구운 당과 또는 수증기를 쐰 당과 등의 일반적인 당과; 떡 및 스낵; 테이블탑 제품; 츄잉검 (예컨대, 예투롱, 구타카이 고무 또는 먹을 수 있는 천연 합성 수지 또는 왁스를 비롯한 치클 또는 이들의 대체물 등의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저작(詛嚼) 가능한 검 기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 캔디, 소프트 캔디, 민트, 누가 캔디, 젤리빈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일반적인 당 당과; 과일향 소스, 초콜릿 소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소스; 먹을수 있는 겔; 버터 크림, 밀가루 페이스트, 휘핑 크림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크림; 딸기잼, 마말레이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잼; 스위트 브레드 및 이와 유사한 것 또는 기타 전분 제품을 비롯한 브레드; 양념; 구운 고기, 구운 가금류, 바베큐 고기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되는 양념 간장 소스, 토마토 케첩, 소스, 누들 수프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비롯한 일반적인 양념; 가공 농산품, 축산품 또는 해산물; 소시지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가공 육류; 레토르트 식품, 피클, 간장 소스에서 끓인 보존 식품, 델리케시 (delicacies), 사이드 디쉬; 감자칩, 쿠키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스낵; 시리얼; 경구 투여되거나 구강 내에 사용되는 약물 또는 의약외품 (예컨대, 비타민, 기침 시럽, 기침 점적제, 저작 가능한 의약 정제, 아미노산, 쓴맛이 나는 제제, 신맛이 나는 제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 여기서 상기 약물은 환약제, 정제, 분무제, 캡슐제, 시럽제, 점적제, 트로키제, 분말제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고형, 액상, 겔, 또는 가스 제형일 수 있다; 입안을 청결하게 하는 제품, 가글제, 입헹굼제, 치약, 치아 광택제, 치약 (dentrifice), 구강 분사제, 치아 미백제 및 이와 유사한 것 등 구강에 사용되는 기타 구상 조성물 등 개인 위생 제품; 음식 보충제; 스너프, 담배, 파이프 및 시가 담배 등 연기가 있는 담배와 연기가 없는 담배, 및 조각 필터, 잎, 줄기, 대, 균질화된 잎, 종이, 펠렛 또는 기타 형태의 분말, 미분 또는 에테르원으로부터 재조합된 담배 및 재조합 결합제를 비롯한 담배 제품, 비담배 물질, 담그거나 저작하는 담배로부터 제형된 담배 대체물; 동물 사료; 질병 (예컨대, 심장 혈관 질환 및 고콜레스테롤, 당뇨병, 골다공증, 염증 또는 자가 면역 장애)의 치료 및 예방을 비롯한 의약 또는 건강상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식품의 일부를 포함하는 건강 식품, 건강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는 마늘, 콩, 항산화제, 섬유소,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 등의 천연 영양소가 풍부하거나 활성 약물 식품과 이들의 에스테르, 글루코사민, 황산 콘드로이틴, 스테놀, 스타놀, 인삼, 징코, 에크나세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또는 동물 (연어 및 기타 산물 물고기 또는 조류(藻類))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ALA,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카로테노이드, 음식 섬유소,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DHA 또는 EPA 등의 지방산, 플라보노이드, 페놀, 폴리올, 폴리페놀 (예컨대,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프로시아니딘, 안토시아닌, 케르세틴,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 커큐민, 푸니칼라진, 엘라지타닌, 헤스페리딘 및 나린진 등의 신맛이 나는 플라보노이드 및 클로로젠산 등), 프리바이오틱/프로바이오틱, 피토에스트로겐, 황화물/티올, 폴리코사놀, 사포닌, 루비스코 펩티드, 식욕 억제제, 수화제, 자가면역제, C 반응성 단백질 환원제 또는 항염증제; 또는 당뇨병, 골다공증, 염증 또는 혈액 내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등의 특정 질환이나 증상의 치료에 유리한 기타 기능 성분들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은 경구 섭취 가능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음료는 수용성 음료 조성물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의 경구 섭취 가능한 음료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식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식품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활성인 조성물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 밖에, 별법으로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약제는 약학적으로 활성인 조성물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및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복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담배 제품은 담배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건강 식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건강식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구강 청결제는 경구 섭취 가능한 구상 청결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화장품은 경구 섭취 가능한 화장용 조성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한 인공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B. 인공 감미료
본 명세서에서 "인공 감미료"라는 용어는 자연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클루코스보다 단맛 잠재성이 더 크고 칼로리는 더 적은 임의의 조성물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적절한 인공 감미료의 예로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그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세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틸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들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양호한 칼로리 함량을 얻기 위하여 특별 주문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저칼로리 또는 제로 칼로리 인공 감미료는 칼로리 감미료 및/또는 기타 칼로리 첨가제와 배합되어 칼로리 함량이 양호한 감미료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C. 단맛 개선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단맛 개성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인공 감미료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부여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가리킨다. 단맛 개선 조성물의 예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하는 기타 단맛 개선 맛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된 일반식이 (CH20)n (식 중에서, n은 3~30이다)인 알데히드 또는 케톤과 이들의 올리고머 및 중합체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수화물은 1개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되거나 탈산(脫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미변형(unmodified) 탄수화물, 탄수화물 유도체, 치환된 탄수화물 및 변형(modified)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수화물 유도체", "치환 탄수화물" 및 "변형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동의어이다. 변형 탄수화물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임의의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탄수화물 치환체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사카라이드류 및 다당류가 포함된다. 상기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대응하는 C 위치에서 탈산되거나, 수소, 할로겐,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메르캅토, 이미노, 술포닐, 술페닐, 술피닐, 술파모일, 카르보알콕시, 카르복스아미노,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옥시미노, 히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또는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에 인공 감미료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기타 기 등의 1개 이상의 부분 (moiety)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탄수화물의 예로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비롯한),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소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글루코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루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코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beet)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등),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등),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등의 이성화 액상 당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coupling sugar),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글루코스 시럽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D형 또는 L형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포화 직쇄, 분지쇄, 고리 , 1차, 2차 또는 3차 탄화수소, 전형적으로 C1 내지 C18을 지칭하고, 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시클로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이소헥실,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3-메틸펜틸, 2,2-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및 3,3-디메틸부틸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알킬기는 히드록실기, 카르복시기, 카르복사미도기, 카르보알콕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술포기, 술파토기, 포스포기, 포스파토기 또는 포스포나토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직쇄, 분지쇄 또는 이중 결합이 1개 이상인 C2 내지 C10 고리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알케닐기는 알킬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삼중 결합이 1개 이상인 C2 내지 C10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알키닐기는 알킬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페닐, 바이페닐 또는 나프틸을 가리키고, 좋기로는 페닐을 가리킨다. 아릴기는 필요에 따라, 히드록실, 아실, 아미노, 할로, 카르복시, 카르복사미도, 카르보알콕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파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이라는 용어는 방향족 고리 안에 1개 이상의 황, 산소, 질소 또는 인을 포함하는 방향족 또는 비치환 고리 부분을 가리킨다. 예로는 푸릴, 피리딜, 피리미딜, 티에닐, 이소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지닐,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벤조티에닐, 이소벤조푸릴, 피라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지미다졸릴, 푸리닐, 카바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롤릴, 퀴나졸리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크산티닐, 히폭산티닐 및 프테리디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헤테로 또는 헤테로방향족기는 히드록실, 아실, 아미노, 할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파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고리"라는 용어는 치환될 수 있는 포화된 비방향족 고리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고리 안에는 산소, 황, 질소 또는 인 등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가 있다. 필요에 따라 헤테로고리기는 헤테로 아릴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랄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전술한 알킬기에 의하여 분자에 결합된 전술한 아릴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알카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전술한 아릴기에 의하여 분자에 결합된 전술한 알킬기를 가리킨다. 필요에 따라, 아랄킬 또는 알카릴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시, 카르복사미도, 카르보알콕시, 아실, 아미노, 할로, 알킬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술파토, 포스포, 포스파토 또는 포스파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클로로, 브로코, 요도 및 플루오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콕시"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O-알킬 구조 로 된 부분을 가리키는데, 여기서 알킬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아실"이라는 용어는 구조식이 C(O)R'인 기를 가리키는데, 여기서 R'는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기이거나, 치환된 알킬, 아릴, 아랄킬 또는 알카릴이고, 이들 기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이라는 용어는 1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분자를 말한다. 폴리올은 각각 2개, 3개 및 4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디올, 트리올, 테트라올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은 각각 5개, 6개 또는 7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펜타올, 헥사올, 헵타올 등과 같이 4개를 초과하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카르보닐기 (알데히드 또는 케톤, 환원당)은 1차 또는 2차 히드록실기로 환원된 것인, 탄수화물의 환원형인 당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폴리올의 예로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 말토스 시럽, 환원 글루코스 시럽 및 당 알코올 또는 환원 가능한 임의의 기타 탄수화물로서 인공 감미료 또는 상기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맛 개선 첨가제"라는 용어는 인공 감미료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또는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부여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유용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로는 아미노산과 이들의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염, 펩티드,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와 이들의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과 유기 염기를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산염 (예콘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와 착향 성분,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천연 고효능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예로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및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산염 등의 이들의 염형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상기 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의 아미노산 및 이들에 상응하는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상기 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역시 변형될 수도 있다. 변형 아미노산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임의의 아미노산 (예컨대, n-알킬 아미노산, n-아실 아미노산 또는 n-메틸 아미노산)을 말한다. 변형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트리메틸 글리신, N-메틸-글리신 및 N-메틸-알라닌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변형 및 비변형 아미노산의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펩티드와 글루타티온 및 L-알라닐-L-글루타민 등의 폴리펩티드 (예컨대,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테트라펩티드 및 펜타펩티드)를 역시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산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기타의 아미노산의 중합체형 및 이들의 염형 (예컨대, 마그네슘염, 칼슘염, 칼륨염 또는 L-글루탐산일나트륨염 등의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역시 D형 또는 L형일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의 폴리아미노산 또는 이들에 상응하는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역시 상이한 아미노산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예컨대, N-알킬 폴리아미노산 또는 N-아실 폴리아미노산)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노산은 변형 및 미변형 폴리아미노산의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변형 폴리아미노산으로서는 분자량 (MW)이 1,500인, MW가 6,000인, MW가 25,200인, MW가 63,000인, MW가 83,000인 또는 MW가 300,000인 폴리-L-α리신 등의 다양한 MW의 폴리아미노산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로서는,, 알돈산, 우론산, 알다르산, 알진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과 이들의 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로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와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이들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관련 첨가제, 예컨대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 염기들 (예컨대, 시토신, 아데닌, 티민 및 우라실)을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COOH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C2~C30 카르복시산, 치환된 C2~C30 카르복시산, 벤조산, 치환된 벤조산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신남산, 히드록시산, 치환된 히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시클로헥실 카르복시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클루콘산, 글루코헵톤산, 지방산, 히드록시시트르산, 말산, 프루이타르산 (말산, 푸마르산 및 타르타르산의 혼합물),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크레아틴, 글루코노 델타 락톤, 카페인산, 담즙산(膽汁酸), 아세트산, 어스코르빈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과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상기 유기산 첨가제는 D형 또는 L형 중의 어느 하나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로서는, 모든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예컨대 시트르산염, 말산염, 타르타르산염, 푸마르산염, 락트산염 (예컨대, 락트산나트륨), 알긴산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염 (예컨대,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벤조산염 (예컨대, 벤조산나트륨 또는 벤조산칼륨) 및 지방산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필요에 따라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술포, 티올, 이민, 술포닐, 술페닐, 술피닐, 술파밀, 카르복스알콕시, 카르복스아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무수물, 옥시미노, 히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및 상기 치환된 유기산염 첨가제에 상기 인공 감미료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성능을 제공하는 기타 가변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 이수소 나트륨 및 이들의 대응하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이노시톨 헥사포스페이트 Mg/Ca)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쓴맛이 나는 화합물 첨가제로서는, 카페인, 퀴닌, 우레아, 광귤 오일, 나린진, 쿠아시아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향미제 및 착향 성분으로서는,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계피, 감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올, 아몬드, 멘톨 (박하가 없는 멘톨을 포함한다), 포도 껍질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제"와 "착향 성분"은 동의어이며,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향미제는 향을 가하는 임의의 기타 물질도 역시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에게 안전한 천연 또는 비천연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 향미제의 예로서는, 돌러™ (Dohler™ Natural Flavoring Sweetness Enhancer K14323 (Dohler™ Darmstadt, 독일)), 심리스™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감미료 161453 및 164126 (Symrise, Holzminden™ 독일)), 내츄럴 어드벤티지™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및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뉴저지주, 미국)) 및 수크라마스크™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캘리포니아주, 미국))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로서는,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유론산, 폴리칼락투론산, 전분,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조질의 추출물 (예컨대, 검 (gum) 아카시아 세네갈 (Fibergum™), 검 아카시아 세얄, 카라기난 (carageenan)),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이민,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긴산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SHMP)와 그의 염 및 기타의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 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 등의 이들의 분획 또는 농축물을 포함한다), 용해성 쌀 단백질, 대두 단백질, 단백질 단리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반응 생성물, 당단백질 및/또는 아미노산 함유 프로테오글리칸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히드록시프롤린 등), 콜라겐 (예컨대, 젤라틴), 부분 가수 분해된 콜라겐 (예컨대, 가수 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 분해물 (예컨대, 돼지의 콜라겐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로서는, 폴리소르빈산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소르빈산염 80), 폴리소르빈산염 20, 폴리소르빈산염 60),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신산염 또는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헥사데실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소듐 콜레이트 (sodium cholate), 카르바모일, 염화콜린, 글리코콜산나트륨,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 라우릭 알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및 기타의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반-3-올, 이소플라본 또는 안토시아니딘으로 분류된다.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의 예로서는, 카테킨 (예컨대, 폴리페논™ (폴리phenon™) 60, 폴리페논™ 30 및 폴리페논™ 25 (미추이 노린(Mitsui Norin)사, 일본), 폴리페놀, 루틴 (예컨대, 효소 변형 루틴 산멜린™ 에이오 (San멜리n™ AO) (산에이 겐 에프에프아이사 (San-fi Gen F.F.I., Inc., 오사카, 일본))) 등의 녹차 추출물),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성맛이 나는제 화합물 첨가제로서는, 탄닌산,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명반(明礬) 및 폴리페놀 (예컨대, 티 폴리페놀)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비타민으로서는, 니코틴아미드 (비타민 B3) 및 염산피리독살 (비타민 B6)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천연 고효능 감미료 첨가제로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시드 A, 둘코시드 B, 루부소시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시드, 모그로시드 Ⅳ, 모그로시드 Ⅴ, 루오 한 구오 (Luo Han Guo) 감미료, 시아메노시드, 모나틴과 그 염 (모나틴 SS, RR, RS, SR), 쿠르쿨린, 글리시르히지산과 그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필로리드진, 트릴로바틴, 바이유노시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시드 A, 프테로카리오시드 A, 프테로카리오시드 B, 무쿠로지오시드, 플로미소시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시드 A 및 시클로카리오시드 I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천연 고효능 감미료" 또는 "NHPA"라는 용어는 원료, 추출, 정제 또는 기타 형태로, 단일 또는 조합으로 있을 수 있는 천연에서 발견되고,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글루코스보다 단맛 잠재성이 더 크고 칼로리는 더 낮은 특성이 있는 임의의 감미료를 의미한다. NHPS는 더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변형 NHPS는 천연 또는 인공적일 수 있는 NHPS를 포함한다. 예컨대, 변형 NHPS는 발효되거나 효소와 접촉하거나 유도된 NHPS, 또는 1개 이상의 원자가 NHPS에 첨가되거나 NHPS로부터 제거되거나 치환된 임의의 과정을 거친 생성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 추출물은 임의의 순도 백분률에 사용될 수 있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NHPS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NHPS의 순도는 예컨대 약 25 내지 약 100% 범위일 수 있다. 또 한 가지 예로서, NHPS의 순도는 약 70 내지 약 100%; 약 80 내지 약 9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6 내지 약 99%; 약 97 내지 약 98%; 약 98 내지 약 99% 및 약 99 내지 약 100% 범위일 수 있다. 단맛 개선 조성물과의 배합물 중의 NHPS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 두보이스 등의 2005년 11월 23일에 제출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과 이들의 제형 방법 및 용도"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제60/739,302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염"이라는 용어는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목적하는 화학적 활성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인간 또는 동물이 섭취하기에 안전한 복합체를 말한다. 알칼리 금속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염류도 역시 제조될 수 있다. 염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의 배합물도 역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염의 예로서는, (a) 무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산부가염 및 유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염, (b) 칼슘, 비스무스,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양이온에 의하여 또는 암모니아,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D-글루코사민, 테트라에틸암모늄 또는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양이온과 함께 형성된 염기 부가염, 또는 (c) (a) 및 (b)의 배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임의의 염 형태는 상기 단맛 개선 첨가제의 염이 인공 감미료 또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상기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염 형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에 이들의 산 또는 염기 형태와 동일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단맛 개선 무기염의 적절한 예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인산마그네슘, 시트르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나트륨, 이황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적절한 유기염으로서는 염화콜린, 알긴산 나트륨염, 글루코헵톤산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 글루콘산칼륨, 구아니딘 HCl, 글루코사민 HCl, 아밀로리드 HCl, 글루타민산일나트륨 (MSG),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글루콘산마그네슘, 주석산칼륨 (일수화물) 및 주석산나트륨 (이수화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실시 상태는 인공 감미료의 맛에 더 분명하고 명확한 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실시 상태는 저칼로리 또는 제로칼로리의 감미료 조성물에 당과 더 유사한 특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공 감미료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D. 시간 특성 조절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상태에 따르면, 인공 감미료 조성물은 그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상기 인공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mOsmoles/ℓ이상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인공 감미료는 이 수용액에 10 중량%의 수크로스 수용액과 동등한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mOsmoles/ℓ"는 1 ℓ당 밀리오스몰을 말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상기 인공 감미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그 인공 감미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인공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s/ℓ, 좋기로는 25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100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200 내지 500 mOsmoles/ℓ, 더 좋기로는 300 내지 500 mOsmoles/ℓ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NHPS는 상기 수용액 중에 10 중량%의 수크로스 수용액과 동등한 최대 감미료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다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인공 감미료와 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부여된 오스몰 농도는 상기 다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총배합물의 오스몰 농도이다.
오스몰 농도는 용액 1 ℓ당 용질의 몰삼투압의 측정 값을 말하는데, 여기서 오스몰은 이상(理想) 용액 중의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입자의 몰수와 동등한 반면에 (예컨대, 글루코스의 1 몰은 1 오스몰이다), 염화나트륨 1 몰은 2 오스몰이다 (1 몰의 나트륨과 1 몰의 염소). 따라서, 상기 인공 감미료 조성물의 맛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또는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화합물은 상기 제제에 대한 현저한 맛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 또는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의 시간 특성이 더 당과 유사하도록 개선시키는 적절한 단맛 개선 조성물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예컨대,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염 및/또는 유기염기염을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프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천연 고효능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더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적절한 화합물의 예로는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유기염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맛이 쓴 첨가제, 단맛 개선 수렴성맛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적절한 화합물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타가토스,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인산 (이들에 상응하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을 포함),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아디프산, 글루코사민과 글루코사민염, 콜린염, 구아니딘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테아닌, 카페인, 퀴닌, 우레아, 나린긴, 탄닌산, AlNa(SO4), AlK(SO4)2 및 기타 명반 형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좋기로는 분자량이 50 내지 500이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탄수화물로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타가토스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탄수화물은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 명세서에서, ppm이라는 용어는 백만분의 1 중량 또는 부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500 ppm은 1 리터 중의 500 ㎎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탄수화물은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 중에 약 2,50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폴리올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좋기로는 76 내지 500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폴리올로는,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 특히 조성물의 약 10,000 내지 약 3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폴리올은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 중에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은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625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250 이하의 분자량을 나태내고, 좋기로는 75 내지 250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분자량이 250 이하인 적절한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아미노산으로는, 고농도에서 단맛을 내지만, 좋기로는 그들의 단맛 감지 임계점 이하의 양에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존재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그들의 단맛 감지 한계점 이하의 양에서 단맛 개선 아미노산의 혼합물이 더 양호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아미노산은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 특히 약 1,000 내지 약 10,000 ppm의 양 및 더 특히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아미노산은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 중에 약 250 내지 약 7,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10,000 ppm의 양, 특히 약 1,000 내지 약 7,500 ppm의 양 및 더 특히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의 염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및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인산, HCl, H2SO4 및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임의의 기타 무기산 첨가제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36 내지 약 98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로서는, 무기산의 염, 예컨대 인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과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기타의 무기산 첨가제의 임의의 기타 알킬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8 내지 약 120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에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로서는, 크레아틴,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히드록시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지방산 및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기타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약 60 내지 약 208의 분자량 범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로서는,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지방산, 히드록시시트르산 및 숙신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과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기타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약 140 내지 약 208의 분자량 범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염기염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 염기염 첨가제로서는, 글루코사민염, 콜린염 및 구아니딘염 등의 유기 염기의 무기 및 유기산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성맛이 나는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2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성맛이 나는 첨가제로는, 탄닌산, 티 폴리페놀, 카테킨, 황산알루미늄, AlNa(SO4)2, AlK(SO4)2 및 기타의 명반형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로서는,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및 폴리-L-아르기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로서는, 키토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및 이의 염, 펙틴, 검 아카시아 세네갈 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1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로서는, 폴리소르베이트, 염화콜린,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및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약 0.1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 약 10 mOsmoles/ℓ내지 약 500 mOsmoles/ℓ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로서는, 나린진, 카테킨, 루틴, 네오헤스페리딘 및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향미 특성 조절
위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향미 특성은 인공 감미료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에 당과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특히, 당과 더 유사한 삼투미를 부여하는 임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 또는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의 삼투미를 비롯한 향미 프로파일을 더 당과 유사하도록 개선시키는 적절한 단맛 개선 조성물로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기타 단맛 개성 첨가제 (예컨대, 폴리아미노산, 펩티드, 당산과 이들의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과 유기염기염을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와 착향 성분,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천연 고효능 감미료)를 들 수 있다.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과 더 유사하도록 촉진하는 단맛 개선 조성물의 예로서는,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 및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더 당과 유사하도록 개선시키는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는 분자량이 250 이하인 아미노산 첨가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알라닌, 세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 등 저분자량의 아미노산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50 내지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수크로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리보스, 람노스, 트레할로스 및 타가토스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리트리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기타의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로서는, 당(糖)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예로서는, 에탄올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의 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로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의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예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및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KH2PO4 및 NaH2PO4를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삼투미를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는 약 58 내지 약 120 분자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인공 감미료의 삼투미를 당에 더 유사하도록 개선시키기에 적절한 단맛 개선 쓴맛 첨가제로서는, 카페인, 퀴닌, 우레아, 쿠아시아, 탄닌산 및 나린진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시간 특성 (예컨대, 단맛 개시 또는 단맛 잔류),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예컨대 삼투미), 적응 행동 및 향미 특성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수크로스와 유사하게 인공 감미료를 개선시킨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맛 조성물은 인공 감미료가 시간 특성,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적응 행동 및 향미 특성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수크로스와 유사해지도록 개선시키고, 필요에 따라, 인공 감미료의 불쾌한 맛을 억제,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차폐 효과를 부여하고/부여하거나 인공 감미료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F. 인공 감미료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이 시간 특성 및/또는 삼투미를 비롯한 향미 특성이 당과 더 유사해지도록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교시에 의하여, 인공 감미료와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모든 가능한 배합물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공 감미료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2.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3.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4.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5.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6.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7.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8.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9.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0.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1.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2.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3.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4.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5.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상기 인공 감미료 또는 이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전체적인 맛을 개선시키기 위한 이들 15종의 주요 배합물들은 추가의 배합물로 분류될 수 있다.
1. 인공 감미료 배합물
단일 인공 감미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거나, 복수의 인공 감미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맛 개선 조성물은 전술한 폴리올, 탄수화물,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인공 감미료는 배합 효과가 단맛 개선 조성물과의 배합물 중 인공 감미료의 맛, 또는 인공 감미료를 포함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공 감미료는 배합물 중의 개별 인공 감미료의 불쾌한 맛에 배합될 수 있다.
2.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올, 탄수화물, 아미노산,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유용한 기타의 단맛 개선 첨가제들은 위에 기재되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단일의 인공 감미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단일의 인공 감미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배합된 형태로 사용되는 다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대한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i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iv.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v.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v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i.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 혼합물과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혼합물;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에리트리톨;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티톨;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니톨;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비톨;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티톨;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리톨;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트 (isomalt);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리세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말토스 시럽;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글루코스 시럽;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말토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타가토스;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스;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시클로덱스트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덱스트린;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란;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수크로스;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스;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룩토스;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오스;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아라비노스;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스;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라이소스;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로스;
1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트로스;
1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만노스;
2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도스;
2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탈로스;
2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토스;
2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스;
2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전화당;
2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2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트레할로스;
2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네오트레할로스;
2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팔라티노스;
2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스;
3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3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3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스;
3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트리오스;
3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파노스;
3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3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트리오스;
3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비오스;
3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3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비오스;
4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트리오스;
4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젠티오테트라오스;
4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소르보스;
4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4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4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푸코스;
4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4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케스토스;
4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스토스;
4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올;
5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올;
5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5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오스;
5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오스;
5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펜타오스;
5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헥사오스;
5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헵타오스;
5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툴로스;
5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멜리비오스;
5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라피노스;
6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6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리보스;
6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성화 액상 당;
6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고 프룩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6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커플링 당;
6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6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스 시럽;
67. 1종 이상의 폴리올, 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69.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1.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2. 1종 이상의 폴리올, 시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β-시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4.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수크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7.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룩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9.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아라비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1.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라이소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알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4. 1종 이상의 폴리올, 알트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이도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7. 1종 이상의 폴리올,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0. 1종 이상의 폴리올,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2.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4. 1종 이상의 폴리올,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5.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8.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99.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8. 1종 이상의 폴리올,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09. 1종 이상의 폴리올,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0. 1종 이상의 폴리올,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1. 1종 이상의 폴리올,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2.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3. 1종 이상의 폴리올,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4. 1종 이상의 폴리올, 니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5.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6.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7.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8.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19.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0.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펜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1.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헥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2.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헵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3.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4. 1종 이상의 폴리올, 멜리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5. 1종 이상의 폴리올, 라피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6.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7. 1종 이상의 폴리올, 리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8.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성화 액상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29. 1종 이상의 폴리올, 고프룩토스 작물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0. 1종 이상의 폴리올, 커플링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1. 1종 이상의 폴리올,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2.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에리트리톨;
1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말티톨;
1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만니톨;
1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소르비톨;
1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락티톨;
1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자일리톨;
1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이소말트;
1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
1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글리세롤;
1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팔라티노스;
1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말토스 시럽;
1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글루코스 시럽;
1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5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6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16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말토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및
16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른 기타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로서는, 다음의 배합물을 들 수 있다.
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혼합물;
1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5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6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6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7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7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8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8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8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9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9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표면 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타가토스;
1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갈락토스;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린;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시클로덱스트린;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β-시클로덱스트린;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덱스트린;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란;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수크로스;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스;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룩토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오스;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아라비노스;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스;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라이소스;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로스;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트로스;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노스;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도스;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탈로스;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토스;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스;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전화당;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트레할로스;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네오트레할로스;
1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갈락토스;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스;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트리오스;
13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파노스;
13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트리오스;
14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비오스;
14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14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비오스;
14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트리오스;
14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젠티오테트라오스;
14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보스;
14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14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14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푸코스;
15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15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케스토스;
15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스토스;
15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올;
15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올;
15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15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오스;
15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오스;
15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펜타오스;
15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헥사오스;
16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헵타오스;
16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툴로스;
16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멜리비오스;
16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라피노스;
16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6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리보스;
16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성화 액상 당;
16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고프룩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16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커플링 당;
16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17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스 시럽;
17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시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β-시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7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수크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룩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아라비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라이소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트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8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도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19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갈락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게로-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펜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헥사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헵타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멜리비오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라피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리보스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성화 액상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고프룩토스 옥수수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커플링 당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2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및
2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은 양호하지 않은 맛을 억제, 감소 또는 제거하고, 인공 감미료에 당과 유사한 특성을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양호하지 않은 맛"이라는 표현은 글루코스, 수크로스, 프룩토스, 또는 유사한 사카라이드와 같은 당에 의하여 부여되지 않는 임의의 맛 성질을 포함한다. 양호하지 않은 맛의 비제한적 예로는 단맛의 개시가 지연되는 것, 단 뒷맛의 잔류, 금속미, 쓴맛, 차가운 감각 맛 또는 멘톨과 유사한 맛, 감초와 유사한 맛,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를 복수의 단맛 개선 첨가제, 좋기로는 3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더욱 좋기로는 4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와 배합시키는데, 여기서 각각의 단맛 개선 첨가제는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인공 감미료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좋지 않은 맛을 부여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의 단맛 개선 첨가제의 양은 균형을 이루어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인공 감미료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좋지 않은 맛을 부여하지 않는다. 좋기로는, 복수의 단맛 개선 첨가제 각각은 감미된 조성물에 10 내지 100 mOsmoles/L 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는 양으로 인공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존재하지만, 단맛을 개선시키는 첨가제의 배합은 감미된 조성물에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glycerine),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아미노산의 기타 중합체 형태,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알돈산, 유론산, 알다르산, 알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C2-C30 카르복실산, 치환 하이드록실 C1-C30 카르복실산, 벤조산, 치환 벤조산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산), 치환 신남산, 히드록시산, 치환 히드록시벤조산, 치환 시클로헥실 카르복실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크레아틴, 글루코헵톤산, 아디프산, 히드록시시트르산, 말산, 푸루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카페인산, 담즙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 또는 이들의 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 이수소 나트륨,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카페인, 퀴닌, 우레아, 광귤 오일, 나린진, 콰시아,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 화합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시나몬, 시트러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롤, 아몬드, 멘톨, 포도 껍질 추출물, 또는 포도 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는 Doehler™ Natural Flavor Sweetness Enhancer K14323 (Doehler™, Darmstadt, Germany),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s 161453 또는 164126 (Symrise™, Holzminden, Germany),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또는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또는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California, U.S.A.) 중에서 선택되는 감미료 상품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유론산, 폴리갈락투론산, 전분,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생 추출물 (예컨대, 세네갈 아카시아 고무, 세얄 아카시아 고무, 카라기난),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 이민,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긴산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또는 이들의 염, 또는 기타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이의 분획물 또는 농축물, 예컨대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분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을 포함함), 가용성 쌀 단백질, 콩 단백질, 단백질 분리물, 단백질 가수 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의 반응 생성물,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히드록시프롤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당단백질, 및/또는 프로테오글리칸, 콜라겐 (예컨대, 젤라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콜라겐 (예컨대, 가수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 분해물 (예컨대, 돼지 콜라겐 가수 분해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폴리소르베이트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듐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세틸피리디늄 염화물,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물, 소듐 콜레이트, 카르바모일, 염화콜린, 소듐 글리코콜레이트, 소듐 타우로데옥시콜레이트,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레시틴, 수크로스 올레에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카테킨, 폴리페놀,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에탄올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탄닌산, 유로피움 염화물 (EuCl3), 가돌리늄 염화물 (GdCl3), 테르비움 염화물 (TbCl3), 명반, 탄닌산, 및 폴리페놀 (예컨대, 티 폴리페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수렴성 화합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시드 A, 둘코시드 B, 루부소시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시드, 모그로시드 Ⅳ, 모그로시드 Ⅴ, 루오한구오 감미료, 시아메노시드, 모나틴과 그 염 (모나틴 SS, RR, RS, SR), 쿠르쿨린, 글리시르히지산과 그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드진, 트릴로바틴, 바이유노시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시드 A, 또는 시클로카리오시드 I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기타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시트르산 칼륨, 유로피움 염화물 (EuCl3), 가돌리늄 염화물 (GdCl3), 테르비움 염화물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이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칼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IMP"),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GMP"),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AMP"), 시토신 모노포스페이트 (CMP), 우라실 모노포스페이트 (UMP),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시토신 디포스페이트, 우라실 디포스페이트,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시토신 트리포스페이트, 우라실 트리포스페이트,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며;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레이톨, 갈락티톨, 팔라티노스, 환원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환원된 말토스 시럽, 또는 환원된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시트르산 칼륨, 유로피움 염화물 (EuCl3), 가돌리늄 염화물 (GdCl3), 테르비움 염화물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나트륨, 이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시트르산 칼륨, 유로피움 염화물 (EuCl3), 가돌리늄 염화물 (GdCl3), 테르비움 염화물 (TbCl3), 인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이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스, 람노스, 시클로덱스트린 (예컨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예컨대 파이버솔-2™을 포함함), 덱스트란, 수크로스, 글루코스, 리불로스, 프룩토스,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라이조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이도스, 락토스, 말토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트로스, 데옥시리보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자일룰로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이소말토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자일로-올리고사카라이드 (자일로트리오스, 자일로비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젠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리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소르보스, 니제로-올리고사카라이드, 팔라티노스 올리고사카라이드, 푸코스,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케스토스, 니스토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사카라이드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헥사오스, 말토헵타오스 및 이와 유사한 것), 락툴로스, 멜리비오스, 라피노스, 람노스, 리보스, 이성화된 액상 당 예컨대 고 프룩토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컨대,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당, 콩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글루코스 시럽 중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트레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및 감마-이성질체), 글루타민, 히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며;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시트르산 칼륨, 유로피움 염화물 (EuCl3), 가돌리늄 염화물 (GdCl3), 테르비움 염화물 (TbCl3), 인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 또는 칼륨염 (예컨대, 무기 인산염), 염산염 (예컨대, 무기 염화물), 탄산 나트륨, 이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ppm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리신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리신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포함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단백질의 가수분해 반응 생성물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포함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단백질의 가수분해 반응 생성물이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의 실시 상태에서, 조성물은 수크랄로스와 D-프룩토스를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프로필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등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은 에리트리톨을 함유한다. 조성물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는 총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총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타가토스, 프룩토스 또는 수크로스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NaCl, KCl, NaHSO4.H2O, NaH2PO4MgSO4, KAl(SO4)2 (명반), 인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KCl 및 KH2PO4, 또는 기타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특히 양호한 실시 상태는 수크랄로스와,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예컨대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및 칼슘의 염화물, 인산 및 황산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및 인산나트륨; 인산칼슘 및 황산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인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황산칼슘, 및 황산칼륨)의 혼합물과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시트르산 완충액 중의 염화콜린, D-글루콘산 나트륨염, 구아니딘 HCl, D-글루코사민 HCl, 아밀로리드 HCl,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탄닌산, 라우르산 아르기네이트, 또는 이들의 배합물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L-알라닌, L-세린, L-트레오닌, β-알라닌,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L-리신, 글리신 및 L-알라닌 혼합물, 염 유도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세틸피리디늄 염화물,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수크로스 올레에이트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양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예컨대 세얄 아카시아 고무,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명반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염화나트륨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 및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명반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나트륨의 배합물; 수크랄로스와,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 및 수크랄로스와,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이 나는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우레아 및 염화나트륨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폴리-L-α-리신의 배합물; 및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폴리-L-ε-리신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글리신 및 소듐 글루코네이트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L-알라닌 및 프룩토스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에리트리톨, 글리신, KCl, KH2PO4, 및 염화콜린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L-알라닌, 프룩토스, 및 에리트리톨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에리트리톨, 글리신, KCl, 및 KH2PO4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와,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크랄로스와, 염화나트륨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리신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리신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네오탐 및 D-프룩토스를 함유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프로필렌글리콜, 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타가토스, 프룩토스 또는 수크로스 및 에리트리톨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NaCl, KCl, NaHSO4.H2O, NaH2PO4, MgSO4, KAI(SO4)2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KCl 및 KH2PO4 또는 이들의 기타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시트르산 완충액 중의 염화콜린, D-글루콘산 나트륨염, 구아니딘 HCl, D-글루코사민 HCl, 아밀로리드 HCl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탄닌산, 라우릭 알기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1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글리신, L-알라닌, L-세린, L-트레오닌, β-알라닌,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L-FLTLS, 글리신 및 L-알라닌 혼합물, 이들의 유도체 염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 활성제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디옥틸 술포숙신산 나트륨, 염화세틸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올레산 수크로스,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폴리에틸렌이민, 폴리-L-오르니틴, 폴리-L-리신 (예컨대,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컨대,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ε-오르니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 양이온성 중합체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검 아카시아 세얄 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에리트리톨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첨가제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소 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글리신 및 명반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글리신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글리신 및 염화나트륨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글리신,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 및 네오탐과 글리신,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명반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및 염화나트륨과의 배합물; 네오탐과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코스,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 및 네오탐과 프룩토스, 수크로스 또는 글루토스,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이 나는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우레아 및 염화나트륨과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글리신 및 폴리-L-리신과의 배합물; 및 네오탐과, 글리신 및 폴리-L-ε-리신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글리신 및 글루코네이트와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우레아 및 염화나트륨과의 배합물이 있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L-알라닌 및 프룩토스와의 배합물이 있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글리신, KCl, KH2PO4 및 염화콜린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L-알라닌, 프룩토스 및 에리트리톨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별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글리신, KCl 및 KH2PO4와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과,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와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네오탐과 염화나트륨의 배합물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복수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 특히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1,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본 명세서의 감미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더 함유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은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2 내지 약 20 ppm의 양으로, 더욱 좋기로는 약 10 내지 약 15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0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양호한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복수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약 500 내지 약 2,5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복수의 유기산 첨가제는 락트산 약 40 내지 약 250 ppm의 양, 시트르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 말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 및 타르타르산 약 150 내지 약 460 ppm의 양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을 함유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조성물은 에리트리톨 34,000 ppm, 락트산 80 ppm, 시트르산 310 ppm, 말산 310 ppm, 타르타르산 310 ppm, 및 네오탐 15 ppm을 함유한다. 조성물은 임의로 풍미제 예컨대 카라멜, 바닐라,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은 기타 풍미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그러한 조성물은, 비록 기타의 음료도 예상될 수 있지만,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소프트 드링크, 예컨대 콜라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탄산 가스로 포화시킨 음료 중의 단맛 개선 유기산의 양이 약 2.3 내지 약 3.5의 pH를 얻을 수 있도록 개질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또한 약 2.3 내지 약 3.5의 pH를 얻기 위하여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예컨대 인산, 벤조산, 및 소르브산은 개별적으로 또는 탄산 가스로 포화시킨 음료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를 함유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산, 벤조산, 소르브산, 및 이들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를 함유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더욱 좋기로는 약 50 내지 약 250 ppm의 양으로, 가장 좋기로는 약 15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더욱 좋기로는 약 50 내지 약 350 ppm의 양으로, 가장 좋기로는 약 148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마그네슘,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시트르산 칼륨 또는 시트르산 나트륨,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또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염화나트륨 및 시트르산 나트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네오탐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를 함유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더욱 좋기로는 약 50 내지 약 250 ppm의 양으로, 가장 좋기로는 약 15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더욱 좋기로는 약 50 내지 약 350 ppm의 양으로, 가장 좋기로는 약 148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인산,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마그네슘,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인산, 시트르산 칼륨 또는 시트르산 나트륨, 및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 또는 네오탐과, 에리트리톨, 인산, 염화나트륨 및 시트르산 나트륨,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배합물이 있다.
단맛 개선 조성물 (들)에 대한 인공 감미료의 양호한 중량비는 특정 인공 감미료, 및 단맛 및 최종 생성물 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타 특성에 따를 것이다. 인공 감미료는 그 효능이 중량 기준으로 수크로스보다 30배 더 강력한 정도 내지 수크로스 보다 약 8,000 배 강력한 정도의 범위 내에서 크게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인공 감미료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대한 중량 비율은 예컨대 10,000:1 내지 약 1:10,000의 범위일 수 있고; 또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는 약 9,000:1 내지 약 1:9,000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8,000:1 내지 약 1:8,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7,000:1 내지 약 1:7,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6,000:1 내지 약 1:6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5,000:1 내지 약 1:5,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4,000:1 내지 약 1:4,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3,000:1 내지 약 1:3,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2,000:1 내지 약 1:2,0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1,500:1 내지 약 1:1,5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1,000:1 내지 약 1:1,0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900:1 내지 약 1:9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800:1 내지 약 1:8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700:1 내지 약 1:7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600:1 내지 약 1:6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500:1 내지 약 1:5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400:1 내지 약 1:4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300:1 내지 약 1:30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200:1 내지 약 1:2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150:1 내지 약 1:15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100:1 내지 약 1:10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90:1 내지 약 1:9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80:1 내지 약 1:8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70:1 내지 약 1:7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60:1 내지 약 1:6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50:1 내지 약 1:5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40:1 내지 약 1:40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30:1 내지 약 1:3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20:1 내지 약 1:2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15:1 내지 약 1:15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10:1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9:1 내지 약 1:9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8:1 내지 약 1:8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7:1 내지 약 1:7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6:1 내지 약 1:6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5:1 내지 약 1:5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4:1 내지 약 1:4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는 약 3:1 내지 약 1:3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는 약 2:1 내지 약 1:2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및 또 하나의 예는 약 1:1일 수 있으며; 특정 인공 감미료에 따라 선택된다.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은 인공 감미료 또는 인공 감미료를 함유하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실질적으로 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떠한 pH 범위 내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pH 범위의 비한정 예는 약 2 내지 약 8일 수 있다. 추가의 예에는 약 2 내지 약 5의 pH 범위가 포함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실질적으로 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인공 감미료를 단맛 개선 조성물 전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인공 감미료를 단맛 개선 조성물 후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인공 감미료를 단맛 개선 조성물과 동시에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인공 감미료를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하기 전에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인공 감미료는 액체 (예컨대, 용액), 고체 (예컨대, 분말, 큰 덩어리, 펠릿, 그레인, 블록, 결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서스펜션, 기체 상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순수하고, 희석되며, 또는 농축된 형태로서 액체 (예컨대, 용액), 고체 (예컨대, 분말, 큰 덩어리, 펠릿, 그레인, 블록, 결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서스펜션, 기체 상태,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순수하고, 희석되고, 또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는 단맛 개선 조성물과, 양자가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과 접촉되기 전에, 접촉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또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있을 때, 인공 감미료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각 성분은 동시에, 임의 선택적 패턴으로, 임의의 패턴으로, 또는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기타의 어떠한 패턴으로도 첨가될 수 있다.
3. 경구 섭취 가능한 감미된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상태에 따라 감미된 조성물은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다. 다수의 적절한 감미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인공 감미료는 감미된 조성물의 특정 타입 및 그 소망하는 단맛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감미된 조성물 내에 넣는 감미료의 적정량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특정 실시 상태에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감미된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5,000 ppm 범위 내의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감미된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0,000 ppm 범위 내의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을 위한 인공 감미료의 적절한 양은 알리탐 약 1 내지 60 ppm; 아스파탐 약 10 내지 약 600 ppm; 네오탐 약 1 내지 약 20 ppm; 아세술팜칼륨 약 10 내지 약 500 ppm; 시클라메이트 약 약 50 내지 약 5,000 ppm; 사카린 약 10 내지 약 500 ppm; 수크랄로스 약 5 내지 약 250 ppm;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약 1 내지 약 20 ppm;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약 1 내지 약 20 ppm; 및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약 1 내지 약 20 ppm이다.
하나의 특정 실시 상태에서, 경구 섭취 가능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음료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르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시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들의 염, 당산 및 이들의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 풍미제, 수렴성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이들의 배합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각 실시예에 의하여 더 설명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한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반면에, 본 명세서의 설명을 읽은 후에, 본 발명의 정신 및/또는 첨부되어 있는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타의 실시 상태, 변형물 및 이들의 등가물에 대한 수단을 취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는 중량%이다.
A. 실시예 A 세트
모범적인 감각 평가 방법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로 제공된다. 이 시험 프로토콜에서, 어떤 시료도 삼켜지지 않았다. 모든 시료를 뱉고 맛을 본 후 물로 입을 헹구었다. 1단계에서, 10% 수크로스 대조군 시료를 구강을 통하여 신속하게 시료 ca. 10 ㎖를 나누어 맛을 보면서 최대 "단맛 강도"를 측정하 였다. 이 강도는 0을 단맛이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하고, 15를 15% 수크로스의 단맛으로 하는 0 내지 15 스케일 중 10으로 정의된다. 맛의 "전반적인 품질"을 수크로스 대조군에서 측정하고, 1 내지 9 스케일 중 6으로 정의하였다. 최대 단맛을 감지하자 마자, 시료를 뱉고 물로 입을 헹군 후, 물로 헹군 후 2 내지 3분의 단맛에 주의를 집중하여 단맛의 소실 속도 ("단맛의 잔류") 및 "단맛의 개시"를 측정하였다. 단맛의 잔류를 식품 및 음료의 감각을 평가하는 전문 평가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스케일 즉, 0 = 단맛의 잔류이 없는 것, 1 = 매우 약간 단맛 잔류, 2 = 약간 단맛 잔류, 3 = 보통의 단맛 잔류, 4 = 제법 긴 단맛 잔류, 5 = 긴 단맛 잔류으로 등급을 매겼다. 단맛 개시를 전문 평가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스케일 즉, 1 = 신속한 개시, 2 = 보통의 개시, 3 = 느린 개시로 등급을 매겼다. 시료 맛보기가 끝난 후, 짠 굴 크래커를 삼키고 물로 헹구고, 5분 이상 지난 후 다음 시료를 맛보았다.
이 프로토콜에서 관찰된 수크로스의 "단맛 잔류" 평가를 0으로 정의하고, "단맛 개시"를 1로 정의하였다. 네오탐 대조군의 단맛 개시 및 단맛 잔류를 각각 3과 5로 정의하였다.
수크로스 및 네오탐 대조군으로 측정 후, 감각계의 재평형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료간 충분한 시간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프로토콜에 의하여 시험 시료를 맛 보았다. 시험 과정 중 대조 시료의 재맛보기를 허용하고 장려하였다.
개시 및/또는 단맛 잔류에서 단맛 개선 첨가제의 첨가와 대조군 사이에서 맛보기 비교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 시료
pH 2.5에서 네오탐을 주성분으로 한 용액의 제형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네오탐 12 ㎎을 탄소 처리된 물 1 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3으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5로 측정되었다.
당 10 g을 탄소로 처리된 물 100 ㎖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에 도달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범위가 제공된 실시예 A1~A7에서, 대응하는 단맛 개선 조성물의 1:1 희석액을 사용하여, 음료 시료를 범위의 최상부부터 최하부까지 5~7로 만들었다. 기록된 단맛 잔류 평가는 모든 시료 중 (즉, 가장 짧은 단맛 잔류) 단맛 잔류에서 가장 당과 유사하였다 (가장 낮은 수치).
실시예 A1
네오탐 17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15,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2
네오탐 17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7,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3
네오탐 17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3,750 내지 5,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4
네오탐 17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5,000 ppm 및 L-알라닌 2,5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5
네오탐 12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7,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6
네오탐 12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3,750 내지 5,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 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A7
네오탐 12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글리신 5,000 ppm 및 L-알라닌 2,5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B. 실시예 B 세트
실시예 B1
네오탐 10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NaCl 25,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1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B2
네오탐 10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NaCl 1,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2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4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B3
네오탐 10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NaCl 10,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2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B4
네오탐 10 ㎎을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NaCl 5,000 ppm을 이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단맛 개시는 1로 측정되고 단맛 잔류는 3으로 측정되었다. 이 제형의 특성은 당과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C. 실시예 C 세트
실시예 C1
글루탐산의 나트륨염 1 내지 10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수크랄로스를 함유하는 콜라 음료 300 ㎖를 첨가하였다. 단맛 잔류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C2
글루탐산의 나트륨염 1 내지 130 ppm 또는 글루탐산의 나트륨염 50 ppm 및 뉴클레오티드 IMP 및 GMP의 혼합물 10 ppm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수크랄로스를 함유하는 콜라 음료 300 ㎖를 첨가하였다. 단맛 잔류이 감소하였다.
D. 실시예 D 세트
실시예 D1 내지 D100에서, 단일 인공 감미료 또는 인공 감미료들의 조합은 다음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특정 범위 내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알리탐 1 내지 60 ppm; 아스파탐 10 내지 600 ppm; 네오탐 1 내지 20 ppm; 아세술팜 칼륨 10 내지 500 ppm; 사이클라메이트 50 내지 5000 ppm; 사카린 10 내지 500 ppm; 수크랄로스 5 내지 250 ppm;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1 내지 20 ppm;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1 내지 20 ppm 및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 르 1 내지 20 ppm.
실시예 D1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검 아카시아 세얄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
5% 수크로스 및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
5% 수크로스 및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D-타가토스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
5% 수크로스 및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
3.3% 수크로스 및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
3.3% 수크로스 및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 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및 D-타가토스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글리신,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글리신,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프룩토스,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0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프룩토스,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1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및 검 아카시아 세얄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2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검 아카시아 세얄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3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글리신, 알라닌,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4
인공 감미료를 다이어트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글리신, 알라닌,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D-글루콘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D-글루콘산, 칼륨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트레오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세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알라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β-알라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폴리-L-α-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폴리-L-ε-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아디프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α-리신 (분자량 약 63,000)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α-리신 (분자량 약 6,000)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α-리신 (분자량 약 83,000)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α-리신 (분자량 약 1,300,000)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2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프루타르산 (Fruitaric acid)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타르타르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이황산나트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라우르 알기네이트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염산구아니딘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 (약 0.43 ㎖)가 첨가된 레몬 라임 음료에 상당하는 시트르산/시트르산칼륨 조성물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우레아 및 염화나트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우레아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염화콜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D-염산글루코사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3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ε-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황산알루미늄 (명반)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염화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글루콘산나트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에틸렌이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키토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폴리-L-오르니틴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염화마그네슘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유청 단백질 (농도 34%)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4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푸마르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트레할로스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55%)를 이 용액 에 혼합한다.
실시예 D5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아카시아 세네갈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β-시클로덱스트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피베르솔-2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세롤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콜라겐 (향미가 없는 젤라틴)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D-프룩토스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5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염화칼륨 및 인산 이수소 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루콘산나트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소듐 타르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루코헵톤산, 나트륨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소듐 락테이트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벤조산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말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히드록시시트르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살리실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6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카페인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숙신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디히드록시벤조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시트르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크레아틴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테아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염산글루코사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타우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α-아미노부티르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4-히드록시-L-프롤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7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글루타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알라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가용성 쌀 단백질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알라닐-L-글루타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폴리 L-α-리신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염화칼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글리신 및 염화나트륨을 이 용액에 혼합한 다.
실시예 D8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에리트리톨, 글리신, 염화칼륨, 인산 이수소 칼륨 및 염화콜린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8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L-알라닌, 프룩토스 및 에리트리톨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효소 변형 루틴 Sanmelin™ AO (San-Ei Gen F.F.I., Inc., Osaka, Japan)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1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나린진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2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퀴닌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3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비리디플로롤 (Viridiflorol)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4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포도 껍질 추출물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5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s, 164126 (Symrise™, Holzminden, Germany)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6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 9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7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 2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8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 1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99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을 이 용액에 혼합한다.
실시예 D100
인공 감미료를 탄소 처리된 물 1ℓ에 용해시키고, pH가 2.4 내지 2.5가 될 때까지 인산 (75%)을 첨가한다. 이어서, AMP를 이 용액에 혼합한다.
본 발명은 이들의 특정의 실시 상태와 관련하여 자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전술한 기재 내용들을 이해하는 즉시, 이들 실시 상태의 별법, 변형 및 등가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어 있는 청구 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99)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을 함유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이 이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상기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보다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보다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이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상기 감미료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네오탐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올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은 에리트리톨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은 자일리톨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은 글리신, 알라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아미노산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은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α-리신, 폴리-L-ε-리신, 폴리-L-α-오르니틴, 폴리-L-ε-오르니틴, 폴리-L-알기닌,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무기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무기 인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무기 인산염은 인산나트륨염, 인산칼륨염, 인산칼슘염 또는 인산마그네슘염을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무기 염화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무기 염화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또는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은 수크로스, 고 프룩토스 옥수수 시럽,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은 조성물의 약 10,0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당산 또는 이들의 염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무기산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쓴맛이 나는 화합물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유화제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알코올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상이한 인공 감미료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리신, 폴리오르티닌, 폴리에틸렌이민, 키토산, 수크로스 에스테르, 소르브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소르비탄 에스테르, 음이온 세정제, 폴리소르브산염,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글리세롤모노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에스테르, 에스테르 착물, 양이온 세정제, 검 아카시아 세네갈 (gum acacia senegal), 검 아카시아 세얄 (gum acacia seyal), 음이온성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레시틴 및 인산이노시톨, 사포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쓴맛이 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며, 상기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상기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 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상기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상기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4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상기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하고, 상기 1종 이상의 제4 단맛 개선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기산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글루탐산,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을 함유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글루탐산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인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글루탐산,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및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글루탐산 및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글루탐산 및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및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감미료 조성물.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를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 감미료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부여하는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 중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이 배합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상기 인공 감미료에 첨가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 중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보다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 중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 조성물보다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 중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이 이 배합 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네오탐인 것인 방법.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 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7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3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을 함유하는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배합물 중의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이 배합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된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보다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된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보다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81항에 있어서, 배합물 중의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이 이 배합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네오탐인 것인 감미된 조 성물.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은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은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미된 조성물.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 감미료가 감미된 조성물에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성,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부여하는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 중의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이 배합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과 배합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된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보다 당과 더 유사한 향미 특성을 부여하는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감미된 조성물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없는 인공 감미료보다 당과 더 유사한 시간 특 성을 부여하는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과,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와,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제1 단맛 개선 조성물과 상이하고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당산과 이들의 상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이 나는 화합물, 향미제, 수렴성맛이 나는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 분해물, 계면 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천연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 중의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 1종 이상의 제1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제2 단맛 개선 조성물은, 상기 배합물이 이 배합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L의 오스몰 농도를 부여하기에 효율적인 양으로 감미된 조성물과 배합되고,
상기 인공 감미료는 수크로스 수용액 10 중량%에 상당하는 최대 단맛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네오탐인 것인 방법.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은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술팜칼륨, 아스파탐,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찰콘, 사이클라메이트, 네오탐,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N-[3-(3-메톡시-4-히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인공 감미료는 네오탐인 것인 방법.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맛을 낼 수 있는 조성물은 식품, 음료, 약제, 담배, 건강 식품, 구강 청결제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087015302A 2005-11-23 2006-11-16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KR20080071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912405P 2005-11-23 2005-11-23
US60/739,124 2005-11-23
US80520906P 2006-06-19 2006-06-19
US60/805,209 2006-06-19
US55614206A 2006-11-02 2006-11-02
US11/556,142 200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606A true KR20080071606A (ko) 2008-08-04

Family

ID=3825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02A KR20080071606A (ko) 2005-11-23 2006-11-16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70275147A1 (ko)
EP (1) EP1965667A2 (ko)
JP (1) JP2009517037A (ko)
KR (1) KR20080071606A (ko)
AP (1) AP2008004494A0 (ko)
AR (1) AR056180A1 (ko)
AU (1) AU2006335251A1 (ko)
BR (1) BRPI0619068A2 (ko)
CA (1) CA2629556A1 (ko)
MX (1) MX2008006587A (ko)
TW (1) TW200738169A (ko)
WO (1) WO20070814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18B1 (ko) * 2010-01-08 2014-06-25 기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고향미 오르니틴 함유 무알코올 맥아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69678A (en) 2005-07-14 2010-11-30 Innova Sa Sweetener compositions
US8081592B2 (en) 2005-10-26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medium access control (MAC) for ad hoc deployed wireless networks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20080014331A1 (en) * 2006-07-17 2008-01-17 Constantin Badalov Super sweet sugar crystals and syrups for health and method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EP2090180A4 (en) 2006-11-10 2013-08-21 Matsutani Kagaku Kogyo Kk SWEETENER CONTAINING D-PSICOSE AND FOODS AND BEVERAGES OBTAINED USING THE SAME
US8277862B2 (en) 2007-03-14 2012-10-02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having steviol glycosides and at least one acid
US8029846B2 (en) 2007-03-14 2011-10-04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US8277861B2 (en) 2007-03-14 2012-10-02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having steviol glycosides and at least one acid
US9314048B2 (en) 2007-03-14 2016-04-19 The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with non-nutritive sweetener and bitterant
US20080226788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Lhg compositions for reducing lingering bitter taste of steviol glycosides
US20080226789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Beverage products with non-nutritive sweetener and bitterant
US9877500B2 (en) 2007-03-14 2018-01-30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atural beverage products
CA2686930A1 (en) * 2007-05-14 2008-11-20 Cadbury Adams Usa Llc Taste potentiator compositions in oral delivery systems
US20080292765A1 (en) 2007-05-22 2008-11-27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RU2514407C2 (ru) * 2008-05-15 2014-04-27 Дзе Кока-Кола Компани Натуральные и/или синтетические составы подсластителей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актив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с улучшенными временными и/или вкусовыми качествам,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DE102008051787A1 (de) * 2008-10-17 2010-04-22 Nordzucker Ag Wässrige Süßungsmittelzusammensetzung
US20110027444A1 (en) * 2009-07-28 2011-02-03 Heartland Sweeteners, LLC No-calorie sweetener compositions
US20110027445A1 (en) * 2009-07-28 2011-02-03 Heartland Sweeteners, LLC No-calorie sweetener compositions
US20110027446A1 (en) * 2009-07-28 2011-02-03 Heartland Sweeteners, LLC No-calorie sweetener compositions
JP2011030483A (ja) * 2009-07-31 2011-02-17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甘味料組成物
WO2011019654A1 (en) * 2009-08-10 2011-02-17 Stokely-Van Camp, Inc. Method for suspending a flavonoid in a beverage
US20110189360A1 (en) * 2010-02-04 2011-08-04 Pepsico, Inc. Method to Increase Solubility Limit of Rebaudioside D in an Aqueous Solution
JP5859191B2 (ja) 2010-09-29 2016-02-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に対する呈味改良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KR20130132496A (ko) 2010-12-09 2013-12-04 마루이시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아세트아미노펜의 안정화제
AR087157A1 (es) 2011-06-20 2014-02-26 Gen Biscuit Galletita saludable
WO2013143822A1 (en) * 2012-03-26 2013-10-03 Imax Discovery Gmbh Adenosine as sweetness enhancer for certain sugars
GB201315558D0 (en) *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GB201315559D0 (en) *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US20160242439A1 (en) 2014-04-04 2016-08-25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US10231476B2 (en) 2014-04-04 2019-03-19 Douxmatok Ltd Sweetener compositions and foods, beverages, and consumable products made thereof
US10207004B2 (en) 2014-04-04 2019-02-19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RU2017120822A (ru) 2015-01-13 2019-02-14 Хромоселл Корпорейшн Соед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модулирования сладкого вкуса
CA2977617C (en) * 2015-02-24 2021-05-04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Allulose syrups
AU2017239889B2 (en) * 2016-03-31 2019-10-10 Suntory Holdings Limited Beverage containing tea-polymerized polyphenol and RebD and/or RebM
CA3035784A1 (en) 2016-09-16 2018-03-22 Pepsic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aste of non-nutritive sweeteners
EP3434114A1 (en) * 2017-07-27 2019-01-30 Interquim, S.A. Sweetening and taste-masking compositions
MX2020010927A (es) * 2018-04-16 2021-03-02 Almendra Pte Ltd Composicion moduladora del sabor, bebida y composicion saborizante de esta.
JP2022550553A (ja) * 2019-09-30 2022-12-02 アルメンドラ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改善された味質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BR102019021864A8 (pt) * 2019-10-17 2022-11-08 Tecbio Invert Servicos E Ind De Acucar E Amido Modificados S A Composição, processo de produção e uso de adoçantes nutritivos e blendas

Family Cites Families (1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0074A (en) * 1964-12-01 1967-05-16 Afico Sa Process for producing of low-calorie sweetening composition
US3656973A (en) * 1968-07-18 1972-04-18 Allied Chem Non-nutritive functional sugar substitute
CH515685A (de) * 1968-12-10 1971-11-30 Isenberg Helmut Kristallzuckerartiges Süssmit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3625711A (en) * 1969-11-05 1971-12-07 Cumberland Packing Corp Cyclamate-free artificial sweetener
US3717477A (en) * 1970-01-16 1973-02-20 Ajinomoto Kk Sweetening agent containing tryptophane and saccharin
US4007288A (en) * 1970-07-16 1977-02-08 General Foods Corporation Low calorie sweete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725453A (en) * 1970-10-16 1973-04-03 American Home Prod L-4{40 -cyano-3-(2,2,2-trihaloacetamido) succinanilic acids
JPS51142570A (en) * 1975-06-04 1976-12-08 Morita Kagaku Kogyo Method of imparting sweetness to food or pharmaceutical agent
US4256641A (en) * 1976-06-22 1981-03-17 Hoffmann-La Roche Inc. Novel syntheses of tryptophans
US4316847A (en) * 1979-07-30 1982-02-23 Hoffmann-La Roche Inc. Pyrroles and pyrrolidines
US4804782A (en) * 1980-01-21 1989-02-14 Pfizer, Inc. Branched amides of L-aspartyl-D-amino acid dipeptides
US4797298A (en) * 1980-01-21 1989-01-10 Pfizer, Inc. Branched amides of L-aspartyl-D-amino acid dipeptides
US4440855A (en) * 1982-06-30 1984-04-03 Nabisco Brands, Inc. Process for preparing L-glucosone
US4492755A (en) * 1982-06-30 1985-01-08 Nabisco Brands, Inc. Process for isomerizing L-mannose to L-fructose
CA1206370A (en) * 1982-08-17 1986-06-24 Ajinomoto Co., Inc. Stabilized aspartame compositions
US4738854A (en) * 1984-12-04 1988-04-19 Nabisco Brands, Inc. Comestible containing moisture and shelf storage stabilized L-aspartic acid derivative
US4619833A (en) * 1984-12-13 1986-10-28 General Foods Inc. Process for producing a rapidly water-soluble, free-flowing, sugar-free dry beverage mix
US4638071A (en) * 1984-12-27 1987-01-20 General Foods Corporation Cycloalkyl ethers and thioethers of dipeptides
US4652457A (en) * 1985-05-06 1987-03-24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aminoalkenoic acid ester amides
US4654439A (en) * 1985-05-24 1987-03-31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odicarboxylic acid amides of alkoxyalkylamines
US4826824A (en) * 1985-10-25 1989-05-02 Duke University Method of enhancing the taste perception of sweetness of aspartame and derivatives thereof
US4731246A (en) * 1985-10-31 1988-03-15 Product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quid bran drink
US4814172A (en) * 1985-10-31 1989-03-21 Product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quid bran drink
US4737375A (en) * 1985-12-26 1988-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s and beverage concentrates nutritionally supplemented with calcium
US5087460A (en) * 1986-12-10 1992-02-11 Warner-Lambert Company Reduced-calorie confectionery coated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5387431A (en) * 1991-10-25 1995-02-07 Fuisz Technologies Ltd. Saccharide-based matrix
US5739409A (en) * 1987-06-19 1998-04-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ndogenously sweetened transgenic plant products
US4898464A (en) * 1987-08-31 1990-02-06 Bee L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FR2624699B1 (fr) * 1987-12-18 1990-04-13 Bernard Lyon I Universite Clau Derives heterocycliques de n-carbamoyl-, n-thiocarbamoyl- ou n-amidino-glycine ou beta-alanine utiles comme agents edulcorants
JPH03251160A (ja) * 1990-02-28 1991-11-08 Otsuka Pharmaceut Co Ltd 低カロリー飲料組成物
US5080910A (en) * 1990-05-15 1992-01-14 Werner-Lambert Company Stabilized chlorodeoxysugar sweetening agents in powder form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4990354A (en) * 1990-07-05 1991-02-05 Cumberland Packing Corp.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sweetness intensity and masking the aftertaste of intense and artificial sweeteners
US5108763A (en) * 1991-04-03 1992-04-28 Warner-Lambert Company Microencapsulated high intensity sweetening agents having prolonged sweetness release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5484593A (en) * 1991-05-28 1996-01-16 Iwasaki; Kazuo Diet composition comprising gymnema inodrum and a method for suppressing the absorption of saccharides
DE69331839T2 (de) * 1992-01-29 2002-12-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chnellösliche Tablette und ihre Herstellung
JPH05316960A (ja) * 1992-05-21 1993-12-03 Takasago Internatl Corp 飲食品の香味を改善する方法
FR2697844B1 (fr) * 1992-11-12 1995-01-27 Claude Nofre Nouveaux composés dérivés de dipeptides ou d'analogues dipeptidiques utiles comme agents édulcorant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US5298272A (en) * 1992-12-02 1994-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ridged carboxylic ortho ester sweetener
US5527555A (en) * 1993-02-16 1996-06-1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razzein sweetener
BE1007425A3 (nl) * 1993-08-30 1995-06-13 Holland Sweetener Co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terugwinning van grondstoffen in het aspartaambereidingsproces.
CA2154662A1 (en) * 1993-12-07 1995-06-29 Joseph Tsau Stable particulate sweetener compositions
US5498702A (en) * 1993-12-16 1996-03-12 California Natural Products Treated pectinic acid process and product
DE69525839T2 (de) * 1995-06-30 2002-10-31 Holland Sweetener Co Kristallisierung von alpha-L-aspartyl-L-phenylalaninmethylester aus wässerigen Lösungen
US6822070B2 (en) * 1996-03-11 2004-11-23 David Baltimore Truncated CRAF1 inhibits CD40 signaling
CA2261096C (fr) * 1996-07-19 2003-09-23 Pancosma Societe Anonyme Pour L'industrie Des Produits Biochimiques Sucrant en poudre pour alimentation animale
JPH10271928A (ja) * 1997-01-30 1998-10-13 Morita Kagaku Kogyo Kk ステビア・レバウディアナ・ベルトニーに属する新植物
US6682766B2 (en) * 1997-12-01 2004-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flavanols as sweetness cutting composition
JPH11346708A (ja) * 1998-06-04 1999-12-21 Nikken Chem Co Ltd エリスリトール含有液状甘味料組成物
WO1999065336A1 (en) * 1998-06-18 1999-12-23 Kellogg Company An edible composition containing agglomerated fortificant p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and an edible agglomerated granule
JP4221078B2 (ja) * 1998-07-09 2009-02-12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トレハロース2含水結晶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6214402B1 (en) * 1998-09-17 2001-04-10 The Nutrasweet Company Co-crystallization of sugar and n-[n-(3,3-dimethylbutyl)-l α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 ester
US8236352B2 (en) * 1998-10-01 2012-08-07 Alkermes Pharma Ireland Limited Glipizide compositions
EP1210880B8 (en) * 1998-10-28 2009-06-03 San-Ei Gen F.F.I., Inc.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and application thereof
ES2337322T3 (es) * 1998-12-23 2010-04-22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ew York University Inhibidores de la respuesta al sabor amargo.
US6048999A (en) * 1999-01-25 2000-04-11 The Nutrasweet Company N-[N-(3,3-dimethylbutyl)-L-α-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 ester synergistic sweetener blends
US6180157B1 (en) * 1999-02-18 2001-01-30 The Nutrasweet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n N-[N-(3,3-dimethylbutyl)-L-α-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 ester agglomerate
JP3436706B2 (ja) * 1999-03-26 2003-08-18 雪印乳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苦味低減又は除去剤
AU4028300A (en) * 1999-03-26 2000-10-16 Nutrasweet Company, The Particles of n-(n-(3,3-dimethylbutyl)-l-alpha-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ester
AU5127800A (en) * 1999-05-13 2000-12-05 Nutrasweet Company, The Use of additives to modify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n-neohexyl-alpha-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US6506434B1 (en) * 1999-08-06 2003-01-14 The Nutrasweet Company Process for coating N-[N-(3,3-dimethylbutyl)-L-α-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 ester onto a carrier
JP2001112433A (ja) * 1999-10-14 2001-04-24 Kohjin Co Ltd 甘味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AU1088901A (en) * 1999-10-15 2001-04-30 Identical Double, Llc Sugar substitutes
US20050042271A1 (en) * 1999-11-19 2005-02-24 Xel Herbaceuticals, Inc .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alkaloids of aconitum species
BR0108043A (pt) * 2000-02-01 2003-04-01 Stevia Aps Substância para uso em complementação de dieta ou para preparaçã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diabetes melito não-dependente de insulina, hipertensão e/ou sìndrome metabólica
EP1125507A1 (en) * 2000-02-15 2001-08-22 Tiense Suikerraffinaderij N.V. (Raffinerie Tirlemontoise S.A.) Inulin products with improved nutritional properties
US20020001652A1 (en) * 2000-02-16 2002-01-03 Aditi Dron Process for making granulated N-[N- (3, 3-dimethylbutyl) -L-alpha -aspartyl] -L- phenylalanine 1-methyl ester
US20030008047A1 (en) * 2000-03-17 2003-01-09 Schroeder Steve A. Stability enhancement of sweeteners using salts containing divalent or trivalent cations
US20020150662A1 (en) * 2000-04-19 2002-10-17 Dewis Mark Lawrence Ethyl 3-mercaptobutyrate as a flavoring or fragrance agent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same
US6534107B1 (en) * 2000-05-12 2003-03-18 The Coca-Cola Company Quality fruit juice beverages having extended quality shelf-lif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1301091A2 (en) * 2000-07-18 2003-04-16 The NutraSweet Company Drying of neotame with co-agents
JO2654B1 (en) * 2000-09-04 2012-06-17 شركة جانسين فارماسوتيكا ان. في Multiple aryl caroxa amides are useful as lipid - lowering agents
WO2002041705A2 (en) * 2000-11-17 2002-05-30 Mcneil-Ppc, Inc. Meltable form of sucralose
US7048952B2 (en) * 2002-05-21 2006-05-23 Morinda, Inc. Formulation for inhibiting fungal and microbial growth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puree juice
US20030035875A1 (en) * 2001-04-03 2003-02-20 Dulebohn Joel I.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taste and sweetness profile of beverages having intense sweeteners
WO2002080850A2 (en) * 2001-04-09 2002-10-17 Danisco Usa, Inc. Bulking agents as satiety agents
US7815956B2 (en) * 2001-04-27 2010-10-19 Pepsico Use of erythritol and D-tagatose in diet or reduced-calorie beverages and food products
US20020192350A1 (en) * 2001-04-30 2002-12-19 Hynes Michael P. Food products
BRPI0209447E2 (pt) * 2001-05-01 2020-11-10 Pepsico Inc bebida, adoçante, xarope ou concentrado de reduzida caloria
US20030049352A1 (en) * 2001-05-31 2003-03-13 Haile Mehansho Fortified drinking water
JP2002360216A (ja) * 2001-06-05 2002-12-17 Sanei Gen Ffi Inc 甘味料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可食性製品並びに甘味増強方法。
DE10130504B4 (de) * 2001-06-25 2005-02-03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Xanthin- und Phenazon-Acesulfam-H-Komplexe mit verbessertem Geschmack,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030021874A1 (en) * 2001-07-02 2003-01-30 The Procter & Gamble Co. Stabilized compositions and processes of their preparation
JP3378577B1 (ja) * 2001-09-28 2003-02-17 花王株式会社 飲 料
JP4991091B2 (ja) * 2001-11-30 2012-08-01 味の素株式会社 モナティンの非天然型立体異性体塩の結晶及びその使用
JP3803065B2 (ja) * 2002-01-17 2006-08-02 アサヒ飲料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含有飲料のあと味改善方法
US6998480B2 (en) * 2002-03-08 2006-02-14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Process for improving sucralose purity and yield
US20040170735A2 (en) * 2002-04-05 2004-09-02 Mcneil-Ppc,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ltering the sweetness delivery profile of sucralose
US6855359B2 (en) * 2002-11-15 2005-02-15 Cargill, Incorporated Soluble isoflavone compositions
AU2003901230A0 (en) * 2003-03-18 2003-04-03 Wharton, Geoffrey Mr New generation of electrical plugs and socket systems
US6984732B2 (en) * 2003-03-31 2006-01-10 Mcneil-Ppc, Inc. High-intensity sweetener composition and delivery of same
US7390518B2 (en) * 2003-07-11 2008-06-24 Cadbury Adams Usa, Llc Stain removing chewing gum composition
DE10348723A1 (de) * 2003-10-16 2005-05-12 Nutrinova Gmbh Süßstoffkombination zur Süßung von Obstkonserven
ES2235642B2 (es) * 2003-12-18 2006-03-01 Gat Formulation Gmbh Proceso de multi-microencapsulacion continuo para la mejora de la estabilidad y almacenamiento de ingredientes biologicamente activos.
US20050146255A1 (en) * 2004-01-06 2005-07-07 Irving Sabo Outdoor storage container having hinged and removable lids
DE102005024183A1 (de) * 2004-05-27 2005-12-15 Dr. Otto Suwelack Nachf. Gmbh & Co. Kg Süßstoffzusammensetzung
US20060013842A1 (en) * 2004-07-15 2006-01-19 Matkin John R Natural mixture of long-chain fatty alcohols and long-chain fatty acids, its obtension from animal and vegetable waxes and its nutraceutical uses
US7641892B2 (en) * 2004-07-29 2010-01-05 Cadburry Adams USA, LLC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and delivery systems therefor
US20060024245A1 (en) * 2004-07-29 2006-02-02 Cadbury Adams, Llc.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and delivery systems therefor
EP1623630A1 (fr) * 2004-08-03 2006-02-08 Pancosma S.A. Sucrant en poudre pour alimentation humaine
MX2007001611A (es) * 2004-08-11 2007-04-10 Cadbury Adams Usa Llc Composiciones calidas y sistemas de liberacion de las mismas.
US20060063737A1 (en) * 2004-08-18 2006-03-23 Holmdahl Lisa K Liquid paroxetine compositions
MX2007002336A (es) * 2004-08-25 2008-03-10 Cadbury Adams Usa Llc Composicion de goma de mascar con relleno liquido.
US7641926B2 (en) * 2004-08-25 2010-01-05 Cadbury Adams Usa, Llc Liquid-filled chewing gum composition
US20060062872A1 (en) * 2004-09-23 2006-03-23 Cadbury Adams Usa Llc Pressurized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dispensing method
US7910755B2 (en) * 2004-09-29 2011-03-22 Harbor Biosciences, Inc. Stem cell expansion and uses
US20060188628A1 (en) * 2005-02-04 2006-08-24 Coffield Joseph M Blended sugar sweetener
US20090004354A1 (en) * 2005-02-04 2009-01-01 Coffield Joseph M Artificial sweetener with high intensity sweetness
JP4344334B2 (ja) * 2005-03-04 2009-10-14 佐藤製薬株式会社 ステビア由来甘味物質を含有する甘味料
US20070082905A1 (en) * 2005-05-27 2007-04-12 De Vries Michiel H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n-triazolymethyl-piperaz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06133349A2 (en) * 2005-06-08 2006-12-14 Alpharma, Inc. Orally disintegrable sleep aid formulations
WO2007033277A2 (en) * 2005-09-13 2007-03-22 Quantum Food Design, Llc. Polysaccharide sweetener compounds, process for manufacture, and method of selecting components for polysaccharide sweetener compounds based on user specific sweetener applications
US20070059421A1 (en) * 2005-09-13 2007-03-15 Catani Steven J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foods
CN101631476B (zh) * 2005-10-05 2012-07-04 Fmc生物聚合物联合股份有限公司 胶凝组合物和方法
EP2559424A1 (en) * 2005-10-05 2013-02-20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ooling composition comprising trimethyl isopropyl butanamide
US7807206B2 (en) * 2005-10-11 2010-10-05 Purecircle Sdn Bhd Sweetner and use
US7862845B2 (en) * 2005-10-11 2011-01-04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WO2007041830A1 (en) * 2005-10-12 2007-04-19 Cadbury Adams Canada Inc. High milk solid chocolat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18B1 (ko) * 2010-01-08 2014-06-25 기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고향미 오르니틴 함유 무알코올 맥아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56180A1 (es) 2007-09-19
BRPI0619068A2 (pt) 2011-09-20
EP1965667A2 (en) 2008-09-10
US20070275147A1 (en) 2007-11-29
TW200738169A (en) 2007-10-16
WO2007081442A3 (en) 2008-05-08
AU2006335251A1 (en) 2007-07-19
WO2007081442A8 (en) 2009-02-26
AP2008004494A0 (en) 2008-06-30
CA2629556A1 (en) 2007-07-19
MX2008006587A (es) 2009-03-04
WO2007081442A2 (en) 2007-07-19
JP2009517037A (ja)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606A (ko)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이 개선된 인공 감미료조성물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용도
EP2526778B1 (en)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EP1962616B1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glucosamine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JP6559938B2 (ja) ミネラルを含む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AU2007317459C1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AU2006318790B2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fatty acid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AU2007317459B2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TWI402040B (zh) 含維生素之高效能甜味劑組成物及經其增甜之組成物
CA2630031A1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calcium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MX2008006588A (es) Composiciones de edulcorante de alta potencia con antioxidante y composiciones edulcoradas con la misma
CA2724108A1 (en) Natural and/or synthetic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JP2009517033A (ja) 骨粗鬆症を治療及び/又は予防する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TW200738176A (en)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an anti-inflammatory agent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