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144A -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144A
KR20080041144A KR1020077025717A KR20077025717A KR20080041144A KR 20080041144 A KR20080041144 A KR 20080041144A KR 1020077025717 A KR1020077025717 A KR 1020077025717A KR 20077025717 A KR20077025717 A KR 20077025717A KR 20080041144 A KR20080041144 A KR 20080041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body
protrusion
wall
wir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하치 스미주
요시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means for mounting on a single wall stu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배선박스(11)의 박스 본체(B) 전면측에는 고정부(17)가 마련된다. 고정부(17)는 장착좌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한다. 고정부(17)의 후면에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17a)이 마련된다. 연결부(16)는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와 연결한다. 연결부(16)는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분단하기 위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이 조영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조영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가, 조영재(10)의 전면(10c)에 설치되는 벽재(Wa)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WIRING BOX AND METHOD OF MOUNTING WIRING BOX}
본 발명은 건축물의 경량형강재 등과 같은 조영재(造營材)에 장착되는 배선박스, 및 조영재에 배선박스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에 배선기구를 설치할 경우, 상기 벽 내에는 전면에 개구를 갖는 사각상자 형태의 배선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선박스는 벽 내에 세워설치된 조영재(building material)(나무기둥이나 경량형강재)에 장착된다.
상기 벽은 상기 조영재의 전후 각 면에 접하도록 세워설치된 한 쌍의 벽재를 갖는다. 이 때문에, 배선 박스는 상기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end face)이 상기 조영재의 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지 않게 조영재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배선박스는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이 상기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조영재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을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선박스를 조영재에 장착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배선박스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선박스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은 하우징과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배선박스의 전면측이 되는 단부면을 갖는다. 이 단부면에는 위치결정부인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이 조영재인 나무기둥의 전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기판의 단부면은 나무기둥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오도록 위치결정된다. 기판에는 상기 기판을 나무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선박스를 나무기둥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기판의 장착공을 통해, 나무기둥에 고정나사를 고정함으로써, 기판을 나무기둥의 측면에 고정한다. 이 때, 걸림편을 나무기둥의 전면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고정나사를 나무기둥에 고정할 때, 기판이 나무기둥에 대해 이동하거나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판의 단부면이 나무기둥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기판에 하우징이 장착되고, 기판의 단부면에 맞춰 하우징의 개구측 단부면이 위치조정된다.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이 나무기둥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배선박스는 나무기둥에 장착된다.
나무기둥에 배선박스를 장착한 후, 나무기둥의 앞쪽에는 벽재의 후면이 접하게 된다. 이 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걸림편은 나무기둥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나무기둥의 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걸림편은 벽재의 설치시 커다란 장해가 되게 된다. 그 결과, 벽재의 후면이 걸림편의 전면과 접하기 때문에, 벽재는 걸림편의 두께만큼 나무기둥의 전면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는 위치결정부(걸림편)이 벽재 설치의 장해가 되는 것을 피하면서,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을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조영재에 장착이 가능한 배선박스를 제안한다. 즉,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위치결정부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위치결정부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선박스는 바닥이 있는 사각상자형의 박스 본체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의 전면은 개구를 갖는다. 박스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중, 한쪽 측벽에는 장공(長孔)형의 나사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은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을 가지며, 이 단부면에는 한 쌍의 결합돌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편은 특허문헌 1의 걸림편에 해당하는 것이다. 결합돌편은 조영재인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에만 결합가능하도록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선박스는, 경량형강재에 장착할 때에는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 즉 둥근 부분에 한 쌍의 결합돌편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은 경량형강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상기 나사관통홀을 통해 경량형강재에 고정나사를 고정함으로써, 배선박스가 경량형강재에 장착되게 된다.
배선박스가 경량형강재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결합돌편은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에만 결합되어 있고 경량형강재의 전면과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경량형강재의 전면으로부터 앞쪽으로는 결합돌편이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벽재를 설치할 때, 결합돌편이 장해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결합돌편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걸림편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어,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에만 결합가능하다. 이 때문에, 나사관통홀을 통해 고정나사를 경량형강재에 고정할 때에, 결합돌출편이 모서리부로부 터 결합해제되어, 배선박스가 경량형강재에 대해 이동하기 쉽다. 즉, 배선박스의 전면측 단부면을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를 조영재에 장착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경량간 칸막이벽은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된 복수의 경량형강재와, 이들 경량형강재를 사이에 끼고 세워설치되는 한 쌍의 벽재를 갖는다. 경량간 칸막이벽을 구축할 때에는 먼저, 단면이 채널 형태인 한 쌍의 길다란 러너를 천장과 바닥 각각에 배치한다. 양측 러너의 개구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하 양측 러너의 개구에 각 경량형강재의 상하 양단부를 각각 끼워넣는다. 그 후, 설치예정인 벽재에 대응하도록, 경량형강재를 러너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위치조정한다. 이어, 벽재를 경량형강재 및 러너에 고정함으로써, 경량간 칸막이벽이 구축된다.
상기의 경량간 칸막이벽에 배선기구를 설치할 때는 벽재의 설치 전에 상기 경량형강재에 배선박스를 장착해 둔다. 경량간 칸막이벽의 구축 후에, 경량간 칸막이벽의 바깥쪽에서부터 상기 벽재에 천공을 형성하고, 배선박스를 경량간 칸막이벽의 바깥쪽으로 노출시킨다. 또한, 천공을 통해 상기 배선박스에 배선기구를 수용한다. 상기 배선박스의 전면에 구획된 개구는 천공을 통해 경량간 칸막이벽의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배선기구를 배선박스 내에 수용하기 쉽도록, 배선박스의 개구는 벽재의 안쪽면 바로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배선박스의 개구면이 벽재의 안쪽면에 면한 경량형강재의 벽부의 외벽면, 즉 전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는 경량형강재에 장착된다.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할 때에는, 배선박스의 측벽을 경량형강재의 벽부에 접촉시키고, 또한 배선박스의 측벽을 관통시킨 나사를 경량형강재에 강제적으로 삽입시킨다. 특허문헌 2는 배선박스의 개구면을 경량형강재의 전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 배선박스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배선박스는 경량형강재에 접하는 측벽에 마련된 접촉부를 갖는다. 이 접촉부의 단부면에는 한 쌍의 결합돌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를 경량형강재의 벽부에 접촉시킬 때에, 결합돌편은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와 결합한다. 이로써, 배선박스의 개구면은 경량형강재의 전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결합돌편을 이용하여, 배선박스의 개구면을 경량형강재의 전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특허문헌 2의 결합돌편은 배선박스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모서리부에만 결합가능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경량형강재에 대한 결합돌편의 결합이 불안정하였다. 또한, 배선박스가 결합돌편을 구비하더라도, 경량형강재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배선박스는 경량형강재에 대해 미끄러지기 쉽다. 이 때문에,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할 때, 배선박스가 쉽게 위치이탈하게 된다. 즉, 배선박스의 개구면을 경량형강재의 전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작업은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경량간 칸막이벽의 시공상, 경량형강재는 벽재에 고정될 때까지는 러너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때문에, 나사를 경량형강재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나사를 경량형강재에 밀어붙일 때, 경량형강재가 러너를 따라 이동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배선박스의 개구면을 경량형강재의 전면 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작업은 수행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6-73118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2757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이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를 조영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조영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벽재에 대한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재의 뒤쪽에 세워설치되는 조영재에 장착가능한 배선박스가 제공된다. 배선박스는 적어도 전면(前面)에 개구를 갖는 박스 본체를 구비한다. 이 박스 본체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제 1 측벽에는 장착좌면이 마련된다. 박스 본체를 조영재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좌면은 상기 조영재의 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제 1 측벽측의 상기 박스 본체의 전면측에는 고정부가 마련된다. 이 고정부는 장착좌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한다. 상기 고정부의 후면은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면을, 상기 조영재의 측면과 직교하는 조영재의 전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을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조영재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상기 고정부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를 박스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분단하기 위한 분단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경량간 칸막이벽의 복수의 경량형강재 중 하나에 장착되는 배선박스가 제공된다. 복수의 경량형강재는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된다. 경량간 칸막이벽은 이들 경량형강재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벽재를 갖는다. 배선박스는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전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은 개구면을 규정한다. 박스 본체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상기 제 1 측벽에는 접촉부가 마련된다. 경량형강재는 제 1 벽부, 및 이 제 1 벽부와 인접하며 직교하는 제 2 벽부를 갖는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벽부에 접촉된다. 상기 제 1 측벽에서 상기 개구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박스 본체의 바깥쪽으로 뻗는다. 돌출부는 표면, 및 상기 표면과 서로 마주보는 이면을 갖는다. 상기 이면은 상기 개구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면은 접촉부가 제 1 벽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벽부와 마주본다.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가압부가 마련된다.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 벽부와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의 이면이 상기 제 2 벽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이면을 상기 제 2 벽부에 밀어 접촉시키도록, 상기 가압부는 손에 의해 가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배선박스를 건축물의 벽재 뒤쪽에 세워설치된 조영재에 장착하기 위한 배선박스의 장착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착방법은 적어도 전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본체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박스 본체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에 마련되는 장착좌면과,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박스 본체의 전면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박스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좌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한다. 상기 고정부의 후면은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조는 분단부를 갖는다. 상기 장착방법은 상기 장착좌면을 상기 조영재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것과; 상기 측면과 직교하는 조영재의 전면에 상기 걸림면을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본체의 전면측 단부면을 조영재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조영재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방법은 상기 고정 상태에서, 상기 배선박스를 장착나사에 의해 상기 조영재에 장착하는 것과, 상기 분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박스 본체로부터 분단하는 것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경량간 칸막이벽의 복수의 경량형강재 중 하나에 대한 배선박스의 장착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경량형강재는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된다. 경량간 칸막이벽은 이들 경량형강재를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벽재를 갖는다. 상기 경량형강재는 제 1 벽부, 및 이 제 1 벽부와 인접하며 직교하는 제 2 벽부를 갖는다. 상기 장착방법은 전면(前面) 및 후면 중 적어도 전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본체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은 개구면을 규정한다. 상기 박스 본체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에서 상기 개구측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바깥쪽으로 뻗는다. 상기 돌출부의 이면은 상기 개구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장착방법은 상기 제 1 측벽을 상기 제 1 벽부와 접촉시키는 것과; 상기 돌출부의 이면을 상기 제 2 벽부와 접촉시키는 것과; 상기 돌출부를 손과 경량형강재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손으로 상기 경량형강재를 쥠으로써, 상기 배선박스를 상기 경량형강재에 지지하는 것과;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벽부에 고정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선박스를 상기 경량형강재에 장착하는 것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배선박스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배선 배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다른 예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경량간 칸막이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의 (a)부분은 도 10의 경량형강재에 도 11의 배선박스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부분은 (a)부분에 나타낸 배선박스의 걸림돌부가 경량형강재의 모서리부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경량형강재에 도 13의 배선박스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돌출부를 드라이버의 경사운동에 의해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돌출부를 펜치로 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배선박스를 경량형강재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장착대좌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배선박스의 단면도.
도 20은 배선박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배선박스의 단면도.
도 22는 또 다른 예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또 다른 예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또 다른 예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또 다른 예의 배선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Y1의 방향을 배선박스(11)의 상하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Y2의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며, 화살표 Y3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다.
먼저, 배선박스(11)가 장착되는 조영재로서의 형강재인 경량형강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형강재(10)는 금속판에 의해 가늘고 긴 사각통 형태로 형성된다. 경량형강재(10)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 립(rip)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양 립부(10a)에 의해 경량형강재(10)의 우측면이 구성되어 있다. 양 립부(10a) 사이에는 경량형강재(10)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간극(間隙)(SP)이 구획되어 있다.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은 상기 양 립부(10a)로 이루어진 측면에 대해 직교한다. 제 1 립부(10a)는 제 2 립부(10a)보다도 전면(10c)측에 위치한다. 전면(10c)은 경량형강재(10)의 측판부의 외벽면에 포함된다. 또한,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은 상기 전면(10a)과 마주본다. 후면(10e)은 경량형강재(10)의 배면판부의 외벽면을 구성한다. 경량형강재(10)의 측면(10f)은 립부(10a)와 마주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 내에 세워설치된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측에는 벽재인 벽판(Wa)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벽판(Wa)의 후면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한다. 또한, 후면(10e)과 접하도록, 별도의 벽판(미도시)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경량형강재(10)와 이들 한 쌍의 벽판(Wa)에 의해, 건축물의 벽인 경량형 칸막이벽이 구축된다.
이어, 배선박스(11)에 대해 설명한다. 배선박스(11)는 내부에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미도시)가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배선박스(11)는 상기 벽판(Wa)의 뒤쪽에 세워설치된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는 사각상자 형태의 박스 본체(B)를 구비하고 있다. 박스 본체(B)는 직사각형 판 형태의 저벽(12)과, 그 저벽(12)의 네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세워설치된 네개의 측벽(12a∼12d)을 갖는다. 박스 본체(B)의 전면은 개구(Sa)를 갖는다. 박스 본체(B)의 개구(Sa)를 전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측벽(12a)과 하측벽(12b)은 상하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이다. 또한, 박스 본체(B)의 개구(Sa)를 전면으로 한 상태에서, 좌측벽(12c)과 우측벽(12d)은 좌우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이다.
상기 좌측벽(12c)에 있어서, 박스 본체(B)의 전면측 즉 개구(Sa)측에는 연장형성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형성편(13)은 좌측벽(12c)의 외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좌측벽(12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뻗는다.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은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은 상측벽(12a)의 전면측 단부면, 하측벽(12b)의 전면측 단부면, 및 우측벽(12d)의 전면측 단부면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벽(12c)의 외면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3개의 접촉부(14)가 연장형성편(13)으로부터 연속되게 돌출되어 있다. 장착좌부인 접촉부(14)에는 장착좌면인 접촉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14a)은 좌측벽(12c)의 외면에 대해 평행을 이룬다. 배선박스(11)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때, 접촉면(14a)은 경량형 강재(10)의 측면을 구성하는 립부(10a)와 접하게 된다.
또한, 각 접촉부(14)에는 접촉부(14)(좌측벽(12c))를 관통하는 단공(短孔) 형태, 구체적으로는 둥근 구멍 형태의 제 1 및 제 2 장착공(14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착공(14b)은 제 2 장착공(14b)보다도 전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때에는 고정공인 장착공(14b)에 고정부재인 장착나사(19)(도 4 참조)(14b)가 삽입 관통된다.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서 전면측 장착공(제 1 장착공)(14b)까지의 치수는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서 제 1 립부(10a)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치수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켰을 때, 박스 본체(B)의 전면측 장착공(14b)은 전면(10c)측의 립부(10a)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접촉부(14)를 관통하는 방향과 관련하여, 각 장착공(14b)의 치수는 접촉부(14)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장착공(14b)의 상기 관통방향에 따른 치수는 장착공(14b)의 내면과 접한 장착나사(19)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형성편(13)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걸림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걸림돌부(15)의 전면은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걸림돌부(15)의 후면에는 걸림돌부(15)의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원호형태로 구부러진 만곡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 면(15a)의 곡률반경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립부(10a)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0d)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만곡면(15a)의 곡률반경은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어도 좋다.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 개의 장착나사(19)를 사용하여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했을 때, 각 걸림돌부(15)의 만곡면(15a)은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를 따라 고정된다. 걸림돌부(15)의 전면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보다도 전방으로는 돌출하지 않으며,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걸림돌부(15)는 상기 한 개의 장착나사(19)를 회동중심으로 한 박스 본체(B)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서, 상기 연장형성편(13)의 길이방향(도 1에서는 상하방향)의 양단에는 연결부(16)를 통해 고정부(17)가 앞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7)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박스 본체(B)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시킨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6) 및 고정부(17)의 2세트는 상기 3개의 접촉부(14)(장착공(14b))보다도 연장형성편(13)의 길이방향(도 2에서는 상하방향)의 외측에 배설되어 있다. 즉, 제 1 세트(도 1에서는 위쪽)의 연결부(16) 및 고정부(17)는 최상부의 접촉부(14)(장착공(14b))보다도 외측(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세트(도 1에서는 아래쪽)의 연결부(16) 및 고정부(17)는 최하부의 접촉 부(14)(장착공(14b))보다도 외측(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세트의 연결부(16) 및 고정부(17)는 연장형성편(13)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접촉부(14)를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고정부(17)는 연결구조인 연결부(16)를 통해, 박스 본체(B)의 연장형성편(13)에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부(16)는 고정부(17) 및 박스 본체(B)(연장형성편(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부(16)는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과 직교하도록 박스 본체(B)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연결부(16)의 길이방향(도 2에서는 좌우방향(Y2))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7)가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하는 방향(도 2에서는 전후방향(Y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2에서는 상하방향(Y1))을 연결부(16)의 두께방향으로 한다. 연결부(16)의 두께는 고정부(17)로부터 박스 본체(B)(연장형성편(13))를 향할수록 얇게 되어 있다(얇은 형태). 연결부(16)의 두께는 연결부(16)의 길이방향(Y2)과 관련하여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부(16)는 박스 본체(B)(연장형성편(13))측인 기단에서,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분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16)의 일부는 고정부(17)보다도 얇게 형성된 분단부로 되어 있다. 분단부는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 측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서, 연결부(16)의 주위에는 요입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13b)는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도 1 및 도 2에서는 전후방향(B)) 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13b)의 깊이는 배선박스(11)(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에 따른 연결부(16)의 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연결부(16)는 요입부(13b)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전면측을 향해 돌출하여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인 요입부(13b)의 개구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의 치수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6)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17)는 접촉면(14a)과 직교하며 또한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에서는 좌측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14a)과 직교하며 또한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고정부(17)의 길이방향(Y2)으로 한다. 고정부(17)의 상기 길이방향(Y2)과 직교하는 방향(상하방향(Y1))을 고정부(17)의 두께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고정부(17)의 길이는 길이방향(Y2)에 따른 걸림돌부(15)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고정부(17)의 선단은 걸림돌부(15)의 선단보다도 박스 본체(B)로부터 먼 곳에 있다.
고정부(17)의 길이, 두께, 및 연결부(16)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그립공구인 펜치(50)에 의해, 두께방향(Y1)로부터 용이하게 쥘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17) 그 자체가, 펜치(50)를 사용하여 박스 본체(B)로부터 고정부(17)를 분단할 때에 펜치(50)를 고정부(17)에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부를 구성한다. 즉, 고정부(17)는 펜치(50)에 의해 쥘 수 있는 그립편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부(17)는 연결부(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박스 본체(B)의 뒤쪽에 임한 고정부(17)의 후면에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 면(13a))과 동일한 평면상의 걸림면(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측 립부(제 1 립부)(10a)에,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접촉시킨다. 동시에,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각 고정부(17)의 걸림면(17a)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한 쌍의 걸림돌부(15)의 만곡면(15a)을 각각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에 고정시킨다.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장착공(14b)까지의 치수는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으로부터 상기 전면(10c)측 립부(제 1 립부)(10a)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치수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장착공(14b)은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으로 뻗는 장공(長孔) 형태가 아니라, 단공(短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박스 본체(B)의 개구(Sa)로부터 중앙의 접촉부(14)의 장착공(14b)을 삽입 관통하여 장착나사(19)를 삽입했을 때, 장착 나사(19)는 전면(10c)측 립부(제 1 립부)(10a)에 직접 삽입된다. 이 때, 장착나사(19)는 박스 본체(B)의 개구(Sa)로부터 저벽(12)을 향해 삽입된다. 그 때문에, 배선박스(11)에는 저벽(12)측을 향하는 가압력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경량형강재(10)에는 고정부(17)의 걸림면(17a)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선박스(11)가, 상기 배선박스(11)로부터 저벽(12)을 향하는 가압력에 의해 경량형강재(10)의 뒤쪽으로 이동하거나 기울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부(17)는 걸림돌부(15)에 비해, 박스 본체(B)로부터 더 많이 뻗어나와 있으며, 경량형강재(10)에 대한 고정면적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7)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즉 평면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걸림돌부(15)는 원호형태를 한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부(15)가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되는 것만으로는 배선박스(11)로부터 저벽(12)쪽으로 향하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의 뒤쪽으로 이동하거나 기울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배선박스(11)는 고정부(17)를 갖기 때문에, 상기 이동하거나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연결부(16)의 길이방향과 관련하여, 연결부(16)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부(16)는 고정부(17)가 경량형강재(10)에 걸려 고정되는 방향(Y3)과 관련해서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저벽(12)측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인해 연결부(16)가 쉽게 손상되는 것은 방지된다.
장착나사(19)에 의해,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1)에 장착된다.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동일면이 된다.
이어, 고정부(17)를 두께방향(Y1)으로부터 펜치(50)(도 1 참조)에 의해 쥔 상태에서, 고정부(17)를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경사운동시킨다. 연결부(16)의 두께는 고정부(17)로부터 박스 본체(B)에 향할수록 얇아진다. 즉, 고정부(17)보다도 얇게 형성된 연결부(16)는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구부려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16)에 의해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에 연결하는 것이 해제되어, 고정부(17)는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된다. 또 하나의 고정부(17)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고정부(17)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한다.
고정부(17)의 제거 후, 배선박스(11)로의 배선 기구의 장착이나 케이블의 삽입 등에 의해, 배선박스(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배선박스(11)에 작용한다. 배선박스(11)는 한 개의 장착나사(19)에 의해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되어 있는데, 한 쌍의 걸림돌부(15)가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힘이 배선박스(11)에 작용하더라도, 배선박스(11)가 장착나사(19)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용이하게 회동하는 것은 억제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벽판(Wa)이 설치된다.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는 고정부(17)가 없다. 이 때문에, 벽판(Wa)의 후면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벽판(Wa)은 설치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고정부(17)를 설치하고 있다. 고정부(17)의 후면(걸림면(17a))은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측면(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배선박스(11)의 걸림면(17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키면,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이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상 태가 유지된다. 즉,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는 분단부를 구비한 연결구조(연결부(16))를 통해,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연결되어 있다. 분단부는 연결부(16)의 일부를 고정부(17)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분단부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부(16)로부터 고정부(17)를 용이하게 분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고정부(17)는 연결부(16)를 통해 박스 본체(B)에 연결됨으로써, 배선박스(11)로부터의 제거를 의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정부(17)는 예를 들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절곡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는 구성과는 다르다. 이 때문에, 고정부(17)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시키면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후에는 고정부(17)를 배선박스(1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후에, 벽재(벽판(Wa))를 경량형강재(10)에 설치할 때에, 배선박스(11)의 고정부(17)가 벽판(Wa) 설치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고정부(17)에 의해 벽판(Wa)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으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된다. 즉, 들뜸으로 인해 벽판(Wa)끼리의 이음매가 벌어지거나 경량간 칸막이벽(W)이 볼품없게 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고정부(17)는 접촉면(14a)과 직교하며 또한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 는 방향(길이방향(Y2))으로 가늘고 긴 형태로 뻗는다. 고정부(17)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두께 방향(Y1))과 관련해서는 박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7)의 길이(Y2 방향), 두께(Y1 방향), 및 연결부(16)로부터의 돌출 높이(Y3 방향)는 고정부(17)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펜치(50)로 용이하게 쥘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펜치(50)로 고정부(17)를 쥐면서 실시하는, 고정부(17)의 배선박스(11)로부터의 분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연결부(16)의 두께는 고정부(17)로부터 박스 본체(B)(연장형성편(13))를 향할수록 얇게 되어 있다. 즉, 연결부(16)는 고정부(17)를 쥔 펜치(50)에 의해 고정부(17)를 반복적으로 경사운동시키는 방향(Y1 방향)으로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역으로, 연결부(16)는 펜치(50)로 고정부(17)를 경사운동시키는 일이 없는 방향(Y2 방향)과 관련하여 치수가 일정하다. 이 때문에, 펜치(50)를 경사운동시킴으로써, 고정부(17)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하는 관점에서는 연결부(16)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4) 연결부(16)의 주위에는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을 따라 요입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정부(17)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한 후, 요입부(13b)의 내측 저면에 버(burr)가 발생하여도, 버는 요입부(13b)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즉,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으로부터 버가 박스 본체(B)의 앞쪽으로 돌출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가 벽판(Wa) 설치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장착공(제 1 장착공)(14b)까지의 치수는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으로부터 상기 전면(10c)측의 립부(제 1 립부)(10a)의 후단 가장자리까지의 치수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장착공(14b)은 단공(短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17)의 걸림면(17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로 했을 때, 박스 본체(B)의 전면측 장착공(14b)은 전면(10c)측 립부(10a)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공(14b)에 장착나사(19)를 비틀어 삽입한 후, 장착나사(19)의 선단부에는 립부(10a)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장착나사(19)의 삽입 작업시에, 장착공(14b)을 립부(10a)에 맞춰 위치조정하도록 배선박스(11)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6) 접촉부(14)의 장착공(14b)은 단공(短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착공(14b)이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으로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장착나사(19)를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비틀어 삽입할 때, 장착나사(19)가 립부(10a)의 외면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즉, 장착나사(19)는 장공을 따라 박스 본체(B)의 깊숙한 곳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시에, 장착나사(19)가 장착공(14b) 내를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면서 장착나사(19)를 립부(10a)에 비틀어 삽입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7) 박스 본체(B)(연장형성편(13))에는 한 쌍의 걸림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걸림돌부(15)가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된다. 이 때문에, 고정부(17)가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배선박스(1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배선박스(11)가 장착나사(19)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는 요입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그 요입부(13b)의 내부에 연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16)의 선단은 요입부(13b)의 개구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17)가 연결부(16)를 통해 박스 본체(B)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6)에 분단부(연결부(16)를 얇게 형성하는 것)를 마련한 구성이더라도, 걸림면(17a)을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 상태, 및 고정부(17)의 걸림면(17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면(10c)을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9) 한 쌍의 고정부(17)는 3개의 접촉부(14)(장착공(14b))보다도 연장형성편(13)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의 외측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고정부(17)는 장착공(14b)으로부터 립부(10a)에 삽입된 장착나사(19)를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1)가 장착나사(19)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서,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는 고정부재(30)가 조립부착되어 있다. 고정부재(30)는 접촉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한다. 고정부재(30)의 후면은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부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31a)을 갖는다.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서, 3개의 접촉부(14) 중 양단의 접촉부(14)보다도 외측에는 2개의 연결공(12f)(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는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본체(31)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본체(31)의 제 1(도 5 및 도 6에서는 오른쪽)의 측가장자리부에는 한 쌍의 연결편(3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편(32)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31)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플레이트 본체(31)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각 연결편(32)의 선단에는 각 연결편(32)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플레이트 본체(31)측으로 돌출하는 연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플레이트 본체(31)는 걸림돌부(15)가 노출되도록 양 연결편(32) 사이에 창(窓)을 갖는다.
고정부재(3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31)의 상기 제 1 측가장자리부 와 서로 마주보는 제 2 (도 5 및 도 6에서는 왼쪽)의 측가장자리부에는 걸림편(3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4)은 플레이트 본체(31)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상기 연결편(32)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연결편(32)과 걸림편(34)간의 치수(Y2 방향)는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의 폭(Y2 방향)에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의 두께를 더한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32) 및 걸림편(34)측의 플레이트 본체(31)의 면, 즉 플레이트 본체(31)의 후면에는 걸림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편(32)의 연결돌기(33)를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의 연결공(12f)에 결합시킨다. 또한, 연결편(32)을 좌측벽(12c)의 내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재(30)는 박스 본체(B)에 연결된다. 즉, 연결편(32)의 연결돌기(33)와, 박스 본체(B)의 연결공(12f)과의 사이에는 요철의 결합관계로 이루어진 연결구조가 구성된다. 이 연결구조를 통해, 고정부재(30)가 박스 본체(B)에 연결된다. 고정부재(30)는 박스 본체의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형강재(10)의 제 1 립부(전면(10c)측의 립부)(10a)에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접촉시킨다. 동시에,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플레이트 본체(31)의 걸림면(31a)을 고정시킨다. 또한, 걸림편(34)을, 립부(10a)와 마주보는 경량형강재(10)의 측면(10f)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돌기(15)의 만곡면(15a) 각각을 경량형강재(10)의 모서리부(10d)에 고정시킨다.
장착나사(19)에 의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다.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여 동일면이 된다. 그 후, 고정부재(30)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돌기(33)를 연결공(12f)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연결돌기(33)와 연결공(12f)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한다. 즉, 고정부재(30)와 박스 본체(B)간의 연결구조를 해제함으로써, 고정부재(30)(고정부)가 박스 본체(B)로부터 분리(분단)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30)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전체가 앞쪽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제 2 실시형태는 이하에 나타낸 이점을 갖는다.
(10) 고정부재(30)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30)의 후면인 걸림면(31a)은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측면(립부(10a))에 접촉시키고, 고정부재(30)의 걸림면(31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킨다. 그렇게 하면,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을 박스 본체(B)의 전면(10c)과 용이하게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연결돌기(33)와 연결공(12f)과의 요철 결합관계로 이루어진 연결구조를 통해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계를 해제함으로써, 고정부재(30)는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분단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고정부재(30)는 박스 본체(B)로부터의 제거를 의도한 구성으로 되어 있 다. 이 때문에, 고정부재(30)의 걸림면(31a)을 배선박스(11)의 전면(10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후에는 고정부재(30)를 배선박스(1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후에, 경량형강재(10) 및 배선박스(11)의 전면측에 벽판(Wa)을 설치할 때에, 배선박스(11)의 고정부재(30)가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선박스(11)의 고정부재(30)에 의해, 예를 들어 벽판(Wa)이 들뜨거나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서,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의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고정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40)는 박스 본체(B)의 저벽(12)측인 고정부(40)의 후면에 설치된 연결부(41)를 통해, 박스 본체(B)의 전면(13a)에 연결(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조인 연결부(41)는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41)는 좌측벽(12c)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분단부를 포함한다. 분단부는 고정부(40)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서, 연결부(41)의 주위에는 요입부(42)가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접촉면(14a)과 직교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40)의 전면 중앙부에는 그립공구인 펜치(50)에 의해 쥘 수 있는 그립편(4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편(43)은 상기 펜치(50)를 이용하여 박스 본체(B)로부터 고정부(40)를 분단하는 작업 시에, 펜치(5)를 고정부(40)에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40)의 후면에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고정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배선박스(11)의 걸림면(40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11)는 장착 나사(19)에 의해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장착된다.
제 3 실시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1) 고정부(40)에는 그립편(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립편(43)을 펜치(50)에 의해 용이하게 쥘 수 있다. 즉, 펜치(50)에 의해 그립편(43)을 쥠으로써, 고정부(40)의 분단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고정부(40)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4 실시형태를 도 10∼도 16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경량간 칸막이벽(W)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간 칸막이벽(W)은 천장(미도시)과 바닥(미도시)에 고정되는 상하 한쌍의 러너(R)와, 양 러너(R) 사이에 세워설치된 복수의 경량형강재(10)와, 상기 경량형강재(10) 및 상기 러너(R)에 고정됨으로써 세워설치되는 벽판(Wa)을 포함한다. 상기 벽 판(Wa)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석고 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너(R)는 길다란 형태이다. 또한, 러너(R)는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채널 형태를 갖는다. 러너(R)는 길이방향으로 뻗는 간극(SP)을 갖는다. 러너(R)가 천장 또는 바닥 각각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양 러너(R)의 간극(SP)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량형강재(10)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경량형강재(10)는 C형 강이다. 즉, 설치방향(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경량형강재(10)의 평단면은 대략 C자 형태이다.
경량간 칸막이벽(W)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된 하측 러너(R)의 내측에 경량형강재(10)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천장에 고정된 상측 러너(R)의 내측에 경량형강재(10)의 상단부를 삽입한다. 이 때, 경량형강재(10)는 러너(R)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이 러너(R)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경량형강재(10)의 간극(SP)은 공통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각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어, 벽판(Wa)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에 각각 경량형강재(10)가 위치하도록, 각 경량형강재(10)를 러너(R)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 후, 벽판(Wa)을 나사(미도시)에 의해 러너(R)에 고정한다. 또한, 벽판(Wa)을 경량형강재(10)에 나사(미도시)에 의해 고정하면, 경량간 칸막이벽(W)이 구축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배선박스(11)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B)는 개구(Sa)를 전면에 가지고 있다. 도 11 및 도 14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에 있어서, 저벽(12)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개구(Sa)가 존재하는 상기 전면을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으로 한다. 모든 측벽(12a)∼(12d)의 개구(Sa)측 단부면은 모두 개구면(S)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벽(12a)으로부터 하측벽(12b)를 향하는 방향을 좌측벽(12c)의 길이방향이라 한다. 연장형성편(13)의 개구(Sa)측의 면은 개구면(S)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연장형성편(13)은 좌측벽(12c)의 개구(Sa)측 단부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벽(12c)에는 복수(3개)의 접촉부(1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접촉부(14) 중 중앙의 접촉부(14)는 좌측벽(12c)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면(14a)은 좌측벽(12c)의 벽면에 대해 평행한 상기 연장형성편(13)의 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 접촉부(14)의 제 1 장착공(14b)은 개구(Sa)측에 위치하며, 제 2 장착공(14b)은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때, 접촉부(14)(접촉면(14a))는 간극(SP)측의 립부(제 1 립부)(10a)와 접한다. 이와 같은 접촉상태에서, 제 1 장착공(14b)에 장착나사(19)가 삽입 관통되어 경량형강재(10)의 제 1 립부(10a)에 삽입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의 접촉부(14)(접촉면(14a))를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11)의 각 걸림돌부(15)는 립부(10a)와 전면(10c) 사이의 모서리부(10d)에 결합가능하다.
도 11∼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돌부(15) 사이에는 돌출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3)는 좌측벽(12c)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즉, 돌출부(23)는 연장형성편(13)이 형성된 좌측벽(12c)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짐과 아울러, 성인남성의 손,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에 의해 가압가능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의 표면(23A) 및 이면(23B)은 좌측벽(12c)의 벽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박스 본체(B)의 바깥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의 표면(23A)은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되었을 때에 경량간 칸막이벽(W)의 바깥쪽을 향한다. 돌출부(23)의 이면(23B)은 상기 표면(23A)과 서로 마주본다. 돌출부(23)의 이면(23B)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23)의 표면(23A)에는 복수의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23A)으로부터는 아무것도 돌출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돌출부(23)의 표면(23A)은 손가락으로 가압하기에 불편하지 않으며, 또한 손가락으로 누르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23)는 손가락보다 너무 작지도 않고 또한 너무 크지도 않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의 표면(23A)은 손가락으로 가압하기에 적합한 가압부를 구성하고 있다.
돌출부(23)의 연장형성편(13)측(기단측)에는 돌출부(2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투공(透孔)(23a)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전체가 평판 형태인 돌출부(23)는 투공(23a)을 구획하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는 2군데에서 연장형성편(13)에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돌출부(23)는 연장형성편(13)에 대해 2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양 연결부의 선단이 서로 연결됨으로 인해 양 연결부 사이에 투공(23a)을 구획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투 공(23a)에는 그립공구인 펜치(50)의 제 1 그립편(50a)의 선단이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투공(23a)에 펜치(50)의 제 1 그립편(50a)을 삽입함으로써, 제 1 그립편(50a)과 제 2 그립편(50b)에 의해 돌출부(23)를 쥘 수 있다. 즉, 투공(23a)과 나란히 형성된 돌출부(23) 부분은 펜치(50)에 의해 쥘 수 있는 피(被)그립부(23b)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그립부(23b)는 돌출부(23)의 U자형 바닥부로 이루어진다.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상기 돌출부(23)가 자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돌출부(23)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는 연장형성편(13)에 대해 2군데에서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돌출부(23)는 경량형강재(10)의 설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군데에서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돌출부(23)가 1개의 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돌출부(23)가 자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상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돌출부(23)가 자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재(10)(배선박스(11)의 깊이방향)로 향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또한 경량형강재(10)의 후방을 향하려고 하는 돌출부(23)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돌출부(23)의 크기는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23)를 엄지손가락(손)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의 사이에 끼 워 지지함으로써,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3)의 이면(23B)에는 삽입부인 삽입요홈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요홈부(23c)는 바깥쪽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23)의 이면(23B)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촉한 상태에서, 돌출부(23)의 이면(23B)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삽입요홈부(23c)에는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요홈부(23c)에 드라이버(D)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드라이버(D)가 경사운동되면, 드라이버(D)의 선단이 삽입요홈부(23c)의 내면과 결합한다. 즉, 삽입요홈부(23c)의 내면은 드라이버(D)와 결합가능한 피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형성편(13)의 돌출부(23)과의 연결부위 근방에는 가는 홈 형태를 한 복수의 삽입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홈(24)에는 상기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 상기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러너(R)에 복수의 경량형강재(10)가 세워설치된 상태에서, 도 13의 (a)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벽부인 제 1 립부(10a)와 접촉시킨다. 또한,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촉시킨다. 그러면, 도 13의 (b)부분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돌부(15)가 립부(10a)와 전면(10c) 사이의 모서리부(10d)와 결합한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3)의 이면(23B)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거의 동일한 평면이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경우를 포함하며, 또한,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보다도 약간 후퇴한 경우도 포함한다. 돌출부(23)의 이면(23B)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돌출부(23)는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의 폭방향 중심선보다도 립부(10a)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량형강재(10)를 후면(10c)측으로부터 손으로 쥐었을 때, 손가락(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장소에 돌출부(23)가 배설되어 있다. 즉, 경량형강재(10) 및 돌출부(23)를 함께 손으로 쥐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에 의해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가압하면, 돌출부(23)의 이면(23B)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23)는 엄지손가락과 전면(10c)과의 사이에 끼여 지지된다. 그러면,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에 지지된다. 이 지지상태에서, 개구면(S)측의 장착공(제 1 장착 공)(14b)은 립부(10a)와 마주본다.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지지시킨 상태인 채, 장착공(14b)에 고정부재인 장착나사(19)를 관통시킨다. 또한, 장착나사(19)를 립부(10a)에 강제적으로 비틀어 삽입한다. 장착나사(19)는 좌측벽(12c)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2개의 장착공(14b) 중, 개구(Sa)측의 장착공(제 1 장착공)(14b)에 삽입된다. 장착공(14b)은 대략 원형의 구멍형태를 한다.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장착나사(19)를 비틀어 삽입함으로써, 경량형강재(10)에는 러너(R)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커다란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경량형강재(10)는 손에 쥐어져 있기 때문에, 경량형강재(10)의 불필요한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장착나사(19)의 나사식 삽입작업이 이루어질 때, 배선박스(11)는 돌출부(23)에 의해 경량형강재(10)의 소정 위치에 지지된다. 또한, 경량형강재(10)의 이동도 없기 때문에, 배선박스(11)를 경량간 칸막이벽(W)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착나사(19)가 립부(10a)에 삽입되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후에는 돌출부(23)가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된다.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돌출부(23)의 이면(23B) 사이에는 삽입요홈부(23c)가 옆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요홈부(23c) 내에 삽입하고, 이 드라이버(D)의 선단을 돌출부(23)의 이면(삽입요홈부(23c)의 내면)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드라이버(D)를 경사운동시킨다. 그러면, 도 15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 와 같이, 돌출부(23)가 기단측에서 절곡된다. 이 드라이버(D)의 경사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돌출부(23)가 기단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분리되고,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된다. 돌출부(23)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고정부로서 기능하며, 돌출부(23)의 이면(23B)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걸림면으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치(50)의 제 1 그립편(50a)을 투공(23a)에 삽입하고, 제 1 그립편(50a) 및 제 2 그립편(50b)에 의해 피그립부(23b)를 쥔다. 그 후, 피그립부(23b)를 쥔 펜치(50b)에 의해,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되며, 또한, 돌출부(23)가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된 후, 러너(R)에 벽판(Wa)이 고정되고 경량형강재(10)에 벽판(Wa)이 고정됨으로써, 경량간 칸막이벽(W)이 구축된다.
상기 제 4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21) 박스 본체(B)의 접촉부(14)(좌측벽(12c))를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벽부)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다른 벽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외벽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경량형강재(10)를 손으로 쥐었을 때에, 돌출부(23) 및 경량형강재(10)의 양쪽 모두를 손으로 쥘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표면(23A)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돌출부(23)는 배치된다. 돌출부(23)를 엄지손가락(손)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함으로써,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 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장착나사(19)를 립부(10a)에 삽입했을 때에, 배선박스(11)나 경량형강재(10)에 커다란 힘이 작용하더라도, 손에 쥐어진 경량형강재(10)는 러너(R)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에 대해 위치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선박스(110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22) 돌출부(23)는 전체적으로 평판형태를 이루며, 표면(23A)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아무것도 돌출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돌출부(23)의 평면사이즈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가압하기 쉬운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량형강재(10)를 손으로 쥐었을 때, 돌출부(23)의 표면(23A)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기 쉽다. 따라서,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지지하는 작업을 저항없이 수행할 수 있다.
(23)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후에는, 돌출부(23)는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후, 돌출부(23)가 제거되지 않고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상에 돌출부(23)가 존재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돌출부(23)의 두께에 의해 벽판(Wa)의 설치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4) 돌출부(23)에는 삽입요홈부(23c)가 마련되어 있다.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접촉한 상태에서,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요홈부(23)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드라이버(D)의 선단을 돌출부(23)의 이면(23B)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D)를 경사운동시킴으로써,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어, 돌출부(23)의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25) 돌출부(23)에는 투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투공(23a)에 펜치(50)의 제 1 그립편(50a)의 선단을 삽입할 수 있으며, 돌출부(23)의 피그립부(23b)를 펜치(50)로 쥘 수 있다. 따라서, 펜치(50)를 이용하여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어, 돌출부(23)의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26) 각 접촉부(14)에는 장착공(14b)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또한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개구(Sa)측의 장착공(14b)은 립부(10a)와 마주본다. 이 때문에, 장착공(14b)에 장착나사(19)를 삽입함으로써, 장착나사(19)를 립부(10a)로 안내하고, 그대로 장착나사(19)를 립부(10a)에 비틀어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7) 3개의 접촉부(14) 중, 중앙 접촉부(14)의 장착공(14b)을 통해 장착나사(19)를 립부(10a)에 비틀어 삽입한 경우, 이 장착나사(19)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 서, 2개의 걸림돌부(15)가 모서리부(10d)와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1개의 장착나사(19)에 의해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한 상태이더라도, 2개의 걸림돌부(15)의 결합에 의해, 배선박스(11)가 장착나사(19)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장착나사(19)만으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착나사(19)를 2개, 3개 사용할 경우에 비해,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28) 연장형성편(13)에는 걸림돌부(15)가 형성된다. 접촉부(14)를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걸림돌부(15)는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된다. 이 때문에, 돌출부(23) 및 걸림돌부(15)의 양쪽에 의해, 배선박스(11)를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29) 접촉부(14)는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는 접촉부(14)가 형성된 좌측벽(12c)(연장형성편(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박스 본체(B)에 접촉부(13)를 별도로 형성할 경우에 비해,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1)에 장착하는 작업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30) 돌출부(23)는 전체적으로 평판형태를 이루며, 정면에서 볼 때 U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를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예를 들어 돌출부(23)가 1개의 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는 달리, 돌출부(23)가 자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상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23)는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행해 가압했을 때, 경량형강재(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부(23)가 자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또한 돌출부(23)가 경량형강재(10)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23)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23)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에, 박스 본체(B)가 경량형강재(10)의 간극(SP)의 내측으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3)는 투공(23a)을 가지며, 연장형성편(13)에 2군데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돌출부(23)의 기단 전체가 연장형성편(13)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박스 본체(B)로부터 돌출부(23)를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5 실시형태를 도 17∼도 19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3)를 배선박스(11)에 장착되는 장착대좌(70)에 형성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의 좌측벽(12c)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고정공(27)이 박스 본체(B)의 전후방향(깊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5개의 고정공(27) 중, 3개의 고정공(27)은 저벽(12)측으로 개구하며, 2개의 고정공(27)은 개구(Sa)측으로 개구한다. 또한, 좌측벽(12c)의 연장형성편(13)에 있어서, 개구(Sa)측으로 개구하는 상기 2개의 고정공(27) 주위에는 2개의 요입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의 배선 본체(B)에서는 제 4 실시형태의 걸림돌부(15)가 제거되어 있다.
장착대좌(70)는 돌출부(2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대좌(70)를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 장착함으로써, 돌출부(23)는 배선박스(1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대좌(70)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판 형태의 대좌 본체(71)와, 이 대좌 본체(71)에 돌출형성되며 또한 제 4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의 돌출부(23)를 일체로 구비하여 된다. 돌출부(23)는 대좌 본체(71)의 일측의 긴 측변으로부터 제 1 면(75)에 대해 멀어지도록 뻗는다. 제 1 면(75)의 중앙부에는 장착돌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돌부(76)의 선단에는 결합돌기(7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75)의 돌출부(23)측의 긴 측변에는 돌출부(23) 중 2개의 연결부에 대응하도록 2개의 걸림편(7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돌부(76)는 배선박스(11)의 저벽(12)측으로 개구하는 고정공(27)에 삽입되면, 고정공(27)의 내면과 결합한다. 이 때, 대좌 본체(71)의 걸림편(77)은 배선박스(11)의 요입부(14c)에 걸려 고정된다. 그 결과, 장착대좌(70)가 배선박스(11)에 장착된다. 대좌 본체(71)의 걸림편(77)이 배선박스(11)의 요입부(14c)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는 걸림편(77)이 존재하는 대좌 본체(71)의 긴 측변측의 단부면(71a)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좌 본체(71)의 상기 제 1 면(75)과 서로 마주보는 제 2 면은 접촉면(73)을 구성하고 있다. 장착대좌(70)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할 때에, 접촉면(73)은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와 접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4개의 고정용 장착공(74)은 대좌 본체(7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대좌 본체(71)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하기 위해, 각 고정용 장착공(74)에는 장착나사(19)가 삽입관통된다. 대좌 본체(71)의 관통방향으로의 각 고정용 장착공(74)의 치수는 대좌 본체(71)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고정용 장착공(74)에 삽입관통된 장착나사(19)가 상기 고정용 장착공(74)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장착나사(19)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고정용 장착공(74)의 관통방향에 따른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23)는 대좌 본체(71)의 단부면(71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의 이면(23B)은 대좌 본체(71)의 접촉면(73)과 연속적이며, 단부면(71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 상기 장착대좌(70)를 이용하여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장착대좌(70)의 장착돌부(76)를, 배선박스(11)의 고정공(27)에 삽입한 후에, 배선박스(11)에 장착한다. 또한, 장착대좌(70)의 걸림편(77)을 배선박스(11)의 요입부(14c)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배선박스(11)에는 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장착대좌(70)의 접촉면(73)은 접촉부를 구성한다.
이어,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좌 본체(71)의 접촉면(73)을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와 접촉시킨다. 그리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킨다.
이 때, 돌출부(23)의 이면(23B)은 돌출부(23)가 존재하는 대좌 본체(71)의 단부면(71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접촉한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은 박스 본체(B)의 개구면(S)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경량형강재(10)를 후면(10e)측으로부터 손으로 쥐고, 경량형강재(10) 및 돌출부(23)의 양쪽 모두를 손으로 쥔다. 엄지손가락에 의해, 돌출부(23)의 표면(23A)(가압부)을 가압함으로써,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밀어 접촉시켜, 장착대좌(70)를 경량형강재(10)에 지지한다. 즉, 장착대좌(70)를 경량형강재(10)에 지지함으로써, 이 장착대좌(70)에 장착된 배선박스(11)도 경량형강재(10)에 지지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지지상태에서는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측의 고정공(27)과, 대좌 본체(71)의 돌출부(23)측의 고정용 장착공(74)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측 립부(10a)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돌출부(23)는 전체적으로 평판형태를 함과 아울러, 정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이 돌출부(23)가 자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돌출부(23)는 전체적으로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는 대좌 본체(71)에 대해 경량형강재(10)의 설치방향으로 간격을 둔 2군데에서 연결되고,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대해, 마찬가지로 간격을 둔 2군데에서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돌출부(23)가 1개의 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는 다르다. 즉,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 돌출부(23)가 자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경량형강 재(10)의 전면(10c)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의 표면(23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을 향해 가압했을 때에, 대좌 본체(71)의 두께 방향을 향해, 돌출부(23)가 자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23)의 크기는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돌출부(23)를 가압하고, 돌출부(23)를 엄지손가락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사이에 끼워 지지했을 때, 대좌 본체(71)가 두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대좌 본체(71)가 경량형강재(10)의 간극(SP)의 내측으로 파고드는 것은 방지된다.
이어, 고정공(27)으로부터 고정용 장착공(74)에 장착나사(19)를 삽입하고,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장착나사(19)를 비틀어 삽입한다. 그러면, 장착대좌(70)가 경량형강재(10)에 고정된다. 즉,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다. 그 후, 돌출부(23)를 대좌 본체(71)로부터 제거한다.
따라서, 제 5 실시형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21)∼(26), (29) 및 (30)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장착대좌(70)에 배선박스(11)를 장착함으로써, 돌출부(23)를 배선박스(11)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의 제 3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0)를 박스 본체(B)의 내측, 즉 저벽(12) 위에까지 연장형성한다. 저벽(12) 상의 고정부(40) 부분의 전면에, 공구인 드라이버(D)의 선단을 결합가능하게 하는 결합요입부(4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결합요입부(40b)는 드라이버(D)를 이용하여 박스 본체(B)로부터 고정부(40)를 분단하는 작업시, 드라이버(D)를 고정부(40)에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부를 구성하고 있다.
결합요입부(40b)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결합시켜, 드라이버(D)의 조작에 의해 연결부(41)를 중심으로 고정부(40)를 경사운동시킴으로써, 연결부(41)를 반복적으로 절곡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부(40)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요입부(40b)에 의해, 고정부(40)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D)를 사용한 고정부(40)의 분단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부(40)를 배선박스(11)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B)에 접촉편(60)을 돌출형성할 수도 있다. 접촉편(60)은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접촉부(14)를 저벽(12)측으로 연장한 형상을 갖는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제 1 립부(전면(10)측의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또한 배선박스(11)의 걸림면(17a)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켰을 때에, 접촉편(60)은 제 2 립부(후면(10e)측의 립부)(10a)와 접한다. 접촉편(60)이 립부(10a)와 접하면, 배선박스(11)가 양 립부(10a) 사이의 간극(SP)으로 파고드는 것이 방지된다. 즉, 배선박스(11)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60)에는 복수의 홈 형태의 절곡분리부(60a)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곡분리부(60a)는 제 2 립부(10a)에 접하는 접촉편(60)의 부분을 남기도록 배치된다. 즉, 절곡분리부(60a)는 간극(SP)의 치수 및 제 2 립부(10a)의 위치에 대응시 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절곡분리부(60a)로부터 접촉편(60)을 절곡하여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의 제 2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배선박스(11)의 상측벽(12a) 및 하측벽(12b)으로부터 플랜지부를 바깥쪽으로 연장형성할 수도 있다. 이 플랜지부에 고정부재(30)의 연결돌기(33)를 걸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배선박스(11)가 장착되는 조영재는 경량형강재(10)이었다. 그러나, 조영재인 나무기둥에 배선박스(11)를 장착할 수도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 걸림돌부(15)를 3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고, 걸림돌부(15)를 삭제할 수도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 장착공(14b)을 박스 본체(B)의 깊이 방향으로 뻗는 장공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좌측벽(12c)에 연결돌기(33)를 형성하고, 고정부재(30)의 연결편(32)에 연결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연결돌기와 연결공과의 요철 결합관계를 제 2 실시형태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17)에, 펜치(50)로 쥘 수 있는 그립편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스 본체는 전후 양면에 개구(Sa)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입부(13b)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하고, 이 드라이버(D)로 연결부(16)를 눌러 고정부(17)를 절곡함으로써,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구부려 분리 제거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단부로서 연결부(41)의 일부를 얇게 형성하는 대신에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고정부(40)를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연장형성편(13)의 전면(13a))에 복수의 가는 판 형태를 한 연결부(41)에 의해 연결하고, 연결부(41)를 분단부로 할 수도 있다.
제 1∼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개의 장착나사(19)에 의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량형강재(10)의 간극(SP) 내로 파고들어 립부(10a)의 끝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를, 배선박스(11)의 좌측벽(12c)에 형성할 수도 있다. 좌측벽(12c)에는 접촉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는, 1개의 장착나사(19)에 의해 배선박스(11)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를 좌측벽(12c)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걸림돌부에 의해, 1개의 장착나사(19)를 회동중심으로 한 박스 본체(B)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규제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60)는 측벽(61∼64)으로 이루어진 사각 프레임 형태의 박스 본체(65)를 구비하며, 전후 양면에 각각 개구(Sa)가 존재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배선박스(160)의 저벽은 삭제되어 있다. 이 배선박스(160)의 깊이는 경량형강재(10)의 폭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14)의 접촉면(14a)을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켰을 때, 박스 본체(65)의 전방 개구면(S)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후방의 개구면(S)은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이와 같은 프레임 형태를 하는 배선박스(160)에서는 양 개구(Sa) 중 어느 한 쪽을 통해서든 배선박스(160) 내에 배선기구를 수용하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배선박스(11)를 변경하여,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이를 크게 하다.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박스 본체(B)의 저벽(12)의 외면이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는 깊이방향으로의 치수가 제 4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짧은 타입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14)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제 1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켰을 때, 배선박스(11)의 좌측벽(12c)은 제 2 립부(10a)와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깊이가 작게 형성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때, 돌출부(23)를 손의 엄지손가락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한다. 그 결과, 좌측벽(12c)의 저벽(12)측 부분을 경량형강재(10)의 간극(SP) 내로 파고들게 하지 않고,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배선박스(11)가 간극(SP)으로 파고들기 쉬운 상태이더라도, 이 파고들기로 인해 배선박스(11)가 기우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박스(11)의 경량형강재(10)로의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측면(10f)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착나사(19)는 배선박스(11)의 길이방향 중앙부, 또한 배선박스(11)의 깊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장착공(제 2 장착공)(14b)을 통해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에 삽입된다. 그러면, 장착나사(19)는 경량형강재(10)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장착나사(19)가 예를 들어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에 비해, 안정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를 박스 본체(B)의 좌측벽(12c)으로부터 연장형성할 수도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시키고, 돌출부(23)의 이면(23B)을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40)는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에 걸려 고정된다. 배선박스(11)의 좌측벽(12c)에, 연결돌기(141)(도 24의 점선으로 표시)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부재(140)는 좌측벽(12c)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재(140)는 경량형강재(10)의 후면(10e)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140a)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140)가 박스 본체(B)에 조립부착되어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이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고정부재(140)의 이면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접한다. 즉, 박스 본체(B)의 개구면(S)은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경량형강재(10)를 손으로 쥐고, 고정부재(140) 및 돌출부(23)를 손과 경량형강재(10)의 전면(10c) 사이에 끼워 지지함으로써,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에 지지된다. 때문에, 고정부재(140)(고정부(140a))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박스(11)는 2개의 돌출부(23, 14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부(140a)와 접촉부(14) 사이에 경량형강재(10)가 끼이기 때문에, 배선박스(11)는 경량형강재(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고로,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할 때에는 경량형강재(10)의 설치방향에 관한 배선박스(11)의 이동만을 방지하도록, 돌출부(23) 및 고정부재(140)를 쥐면 된다. 즉, 고정부재(140)를 마련함으로써, 배선박스(11)를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0)의 연결돌기(141)를 좌측벽(12c)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고정부재(140)을 좌측벽(12c)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3) 및 고정부재(140)를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 돌출부(23)는 삭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40)가 돌출부를 구성한다.
제 4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43)를 돌출부(23)로부터 연장형성할 수도 있다. 배선박스(11)의 접촉면(14a)을 경량형강재(10)의 립부(10a)에 접촉시켰을 때, 고정부(143)는 립부(10a)와 마주보는 경량형강재(10)의 측면(10f)에 걸려 고정된다.
제 4 실시형태를 변경하여, 돌출부(23)의 투공(23a)이나 삽입요홈부(23c)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작업으로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하거나, 절단공구(예를 들어, 나이프나 톱 등)로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하면 된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돌부(15)는 삭제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형성편(13)에 형성된 삽입홈(24) 또는 돌출부(23)의 오목부(23d)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하다. 삽입홈(24) 또는 오목부(23d) 내에서 드라이버(D)를 비집어 틀어 돌출부(23)를 절곡함으로써, 돌출부(23)를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량형강재(10)는 C형 강이 아니라 다각형 강이어도 좋다.

Claims (32)

  1. 건축물의 벽재(Wa) 뒷쪽에 세워설치된 조영재(10)에 장착가능한 배선박스(11)로서,
    상기 배선박스(11)는
    적어도 전면에 개구(Sa)를 갖는 것으로, 제 1 측벽(12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a∼12d)을 갖는 박스 본체(B)와,
    상기 제 1 측벽(12c)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스 본체(B)를 상기 조영재(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조영재(10)의 측면(10a)과 접하는 장착좌면(14a)과,
    상기 제 1 측벽(12c)측에서 상기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좌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하며, 후면은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17a)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면(17a)을 상기 조영재(10)의 측면과 직교하는 조영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을 조영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박스 본체(B)를 상기 조영재(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부(17)와,
    상기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7)를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기 위한 분단부를 갖는 연결구조(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16)는, 상기 고정부(17)와 박스 본체(B)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7)에는, 공구(50, D)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16)로부터 고정부(17)와 박스 본체(B)를 분단할 때에, 상기 공구(50, D)를 상기 고정부(17)에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부(17)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연결부(16)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고정부(17)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50)는 그립공구(50)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부(17, 43)는 상기 그립공구(50)에 의해 쥘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그립편(17,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D)는 드라이버(D)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부(17)는 상기 드라이버(D)의 선단이 결합가능한 결합요입부(4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6. 제 2 항∼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41)의 주위에는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을 따라 요입부(13b, 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박스 본체(B)에 대해 별개의 몸체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조는 고정부(30)와 박스 본체(B)간의 결합관계(12f, 33)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분단부는 상기 결합관계(12f, 33)를 해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8. 제 1 항∼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좌면(14a)을 상기 조영재(10)의 측면(10a)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걸림면(17a)을 상기 조영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3) 및 상기 조영재(10)를 함께 손에 의해 쥐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23)는 형성되며,
    상기 조영재(10) 및 상기 고정부(23)를 함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걸림 면(23B)을 조영재(10)의 전면(10c)에 밀어 접촉할 수 있게 하는 가압부(23A)가, 상기 고정부(23)의 표면(23A)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9. 제 1 항∼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재(10)는 형강재(10)이며, 형강재(10)의 측면에는 전면(10c)측의 제 1 립부(10a)와 후면(10e)측의 제 2 립부(10a)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 본체(B)는 상기 제 1 립부(10a)에 상기 장착좌면(14a)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형강재(1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측벽(12c)에는 상기 걸림면(17a)을 상기 조영재(10)의 전면(10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립부(10a)에 대응하는 장착공(1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B)는 상기 장착공(14b)을 삽입관통하는 1개의 장착나사(19)를 상기 립부(10a)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형강재(10)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측벽(12c)에는 회동규제부(15)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규제부(15)가 상기 형강재(1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착나사(19)를 회동중심으로 한 박스 본체(B)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재(10)는 상기 제 1 립부(10a)와 상기 조영재(10)의 전면(10c)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서리부(10d)를 가지며,
    상기 회동규제부(15)는 상기 모서리부(10d)에 고정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B)는 상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으로부터 상기 박스 본체(B)의 깊이방향으로 뻗는 요입부(13b)를 가지며,
    상기 연결구조(16)는 상기 고정부(17)와 상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요입부(13b)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에 이르기까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3. 경량간 칸막이벽(W)의 복수의 경량형강재(10) 중 하나에 장착되는 배선박스(11)로서,
    복수의 경량형강재(10)는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되며, 경량간 칸막이벽(W)은 이들 경량형강재(10)를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벽재(Wa)를 가지며,
    상기 배선박스(11)는,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전면에 개구(Sa)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전면은 개구면(S)을 규정하며, 제 1 측벽(12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a∼12d)을 갖 는 박스 본체(B)와,
    상기 제 1 측벽(12c)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량형강재(10)는 제 1 벽부(10a)와, 상기 제 1 벽부(10a)에 인접하며 직교하는 제 2 벽부(10c)를 가지며, 상기 제 1 벽부(10a)에 접촉되는 접촉부(14)와,
    상기 제 1 측벽(12c)에서 상기 개구(Sa)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스 본체(B)의 바깥쪽으로 뻗으며, 표면(23A), 및 상기 표면(23A)과 서로 마주보는 이면(23B)을 가지며, 상기 이면(23B)은 상기 개구면(S)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치하고, 상기 이면(23B)은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벽부(10a)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벽부(10c)와 마주보는 돌출부(23)와,
    상기 돌출부(23)의 표면(23A)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벽부(10a)과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을 상기 제 2 벽부(10c)에 밀어 접촉시키도록, 손에 의해 가압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부(2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강재(10)는 상기 제 1 벽부(10a)와 마주보는 제 3 벽부(10f)를 가지며,
    상기 박스 본체(B)는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벽부(10a)와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3 벽부(10f)에 고정가능한 고정부(140a, 1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에는 그립공구(50)에 의해 쥐어지는 피그립부(23b)가 마련되며, 상기 피그립부(23b)가 그립공구(50)에 의해 쥐어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벽부(10a)와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과 상기 제 2 벽부(10c)의 외벽면과의 사이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가능하게 하는 삽입부(23c)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23c)에 삽입된 드라이버(D)의 선단을 돌출부(23)의 이면(23B)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D)를 경사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23)가 절곡되고, 그 결과, 상기 돌출부(23)가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절곡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7. 제 13 항∼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12c)은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측벽(10a)과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벽부(10a)에 대응하는 고정공(14b)을 가지며, 상기 고정공(14b)에는 박스 본체(B)를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9)가 삽입관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부(10a)는, 상기 경량형강재(10)를 따라 뻗는 간극(SP)을 구획하는 제 1 및 제 2 립부(10a)를 포함하며, 제 1 립부(10a)는 제 2 립부(10a)에 비해 상기 경량간 칸막이벽(W)의 벽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부(14)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립부(10a)와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14b)은 상기 제 1 립부(10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19. 제 13 항∼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강재(10)는 상기 제 1 벽부(10a)와 상기 제 2 벽부(10c) 사이에 모서리부(10d)를 가지며,
    상기 제 1 측벽(12c)은 상기 접촉부(14)가 상기 제 1 벽부(10a)와 접하며 또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이 상기 제 2 벽부(10c)의 외벽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모서리부(10d)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12c)에는 장착대좌(70)가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14)는 상기 장착대좌(7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선박스(11)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장착대좌(70)는 상기 경량형강재(10)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장착대좌(7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
  21. 배선박스를, 건축물의 벽재 뒤쪽에 세워설치된 조영재(10)에 장착하기 위한 배선박스의 장착방법으로서,
    상기 장착방법은,
    적어도 전면에 개구(Sa)를 갖는 박스 본체(B)를 준비하는-여기서, 상기 박스 본체(B)는 제 1 측벽(12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a∼12d)과, 상기 제 1 측벽(12c)에 형성되는 장착좌면(14a)과, 상기 제 1 측벽(12c)측에서의 상기 박스 본체(B)의 전면측에 형성되는 고정부(17)와, 상기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에 연결하는 연결구조(16)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장착좌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하며, 상기 고정부(17)의 후면은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17a)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조(16)는 분단부를 갖는다-단계와,
    상기 장착좌면(14a)을 상기 조영재(10)의 측면(10a)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측면(10a)과 직교하는 조영재(10)의 전면(10c)에 상기 걸림면(17a)을 고정시킴으로써,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을 조영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7)에 의해 상기 박스 본체(B)를 상기 조영재(1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상태에서, 상기 배선박스(11)를 장착나사(19)에 의해 상기 조영재(10)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분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16)는 상기 고정부(17)와 박스 본체(B)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연결부(16)에 의해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7)에는 동작부(17)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동작부(17)에 공구(50, D)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17)는 그립편(17)을 포함하며, 상기 공구(50)는 그립공구(5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편(17)이 상기 그립공구(50)에 의해 쥐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17)는 결합요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D)는 드라이버(D)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요입부에 상기 드라이버(D)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7)는 박스 본체(B)에 대해 별개의 몸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조(16)는 상기 고정부(17)와 상기 박스 본체(B) 사이에 구성되는 결합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결합관계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7. 경량간 칸막이벽의 복수의 경량형강재(10) 중 하나에 대한 배선박스의 장착방법으로서,
    복수의 경량형강재(10)는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되며, 경량간 칸막이벽(W)은 이들 경량형강재(10)를 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벽재(Wa)를 가지고, 상기 경량형강재(10)는 제 1 벽부(10a), 및 상기 제 1 벽부(10a)와 인접하며 직교하는 제 2 벽부(10c)를 가지며,
    상기 장착방법은,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전면에 개구(Sa)를 갖는 박스 본체(B)를 준비하는-여기서, 상기 전면은 개구면(S)을 규정하며, 상기 박스 본체(B)는 제 1 측벽(12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a∼12d)과, 상기 제 1 측벽(12c)에서 상기 개구(Sa)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3)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박스 본체(B)의 바깥쪽으로 뻗으며,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은 상기 개구면(S)과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단계와,
    상기 제 1 측벽(12c)을 상기 제 1 벽부(10a)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을 상기 제 2 벽부(10c)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23)를 손과 경량형강재(10)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상기 손으로 상기 경량형강재(10)를 쥠으로써, 상기 배선박스(11)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측벽(12c)으로부터 상기 제 1 벽부(10a)에 고정부재(19)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선박스(11)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4)는 상기 제 1 측벽(12c)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제 1 측벽(1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선박스가 경량형강재(10)에 장착된 후,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를 그립공구(50)에 의해 쥔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를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분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의 이면(23B)과, 상기 이면(23B)이 접촉된 경량형강재(10)의 제 2 벽부(10c)의 외벽면과의 사이에, 드라이버(D)의 선단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드라이버(D)의 선단을 돌출부(23)의 이면(23B)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드라이버(D)를 경사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23)를 절곡하고, 그 결과,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박스 본체(B)로부터 절곡되어 분리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를, 상기 박스 본체(B)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12c)에 장착되는 장착대좌(70)에 의해 상기 접촉부(14)를 형성하는-여기서,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장착대좌(70)에 일체로 형성되는-단계와,
    상기 장착대좌(70)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선박스(11)를 상기 경량형강재(10)에 장착하는 단계와,
    그 후, 상기 돌출부(23)를 상기 장착대좌(7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KR1020077025717A 2005-09-01 2006-08-31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KR20080041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3943 2005-09-01
JP2005253943 2005-09-01
JPJP-P-2006-00122253 2006-04-26
JP2006122253 2006-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44A true KR20080041144A (ko) 2008-05-09

Family

ID=3780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717A KR20080041144A (ko) 2005-09-01 2006-08-31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80041144A (ko)
TW (1) TW200721625A (ko)
WO (1) WO20070268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799B1 (ko) 2023-02-03 2023-12-27 박건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6076B2 (ja) * 2008-03-05 2013-03-21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ボックス
JP5009198B2 (ja) * 2008-03-06 2012-08-22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ボックス用カバー及び配線ボックス装置
US8088998B2 (en) 2008-08-04 2012-01-03 Nelson James M Sectional electrical boxes
JP5166628B2 (ja) * 2012-07-25 2013-03-21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ボックス
JP6133815B2 (ja) * 2014-04-28 2017-05-24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3118U (ko) * 1979-11-09 1981-06-16
JP3472128B2 (ja) * 1998-03-18 2003-12-02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用ボ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799B1 (ko) 2023-02-03 2023-12-27 박건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6849A1 (ja) 2007-03-08
TW200721625A (en) 200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144A (ko)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JP4180958B2 (ja) 鼻部材を有する固定具打ち込み工具
EP0890751A1 (en) Article fixing member and method of removing the article fixing member
JP4224091B2 (ja) 配線用ボックス及び配線用ボックスの取付方法
JP4584891B2 (ja) 配設体、及び配設体の取り付け方法
JP4486140B2 (ja) 配線用ボックス及び配線用ボックスの取付方法
JP4138829B2 (ja) 配線ボックスの取付方法及び配線ボックス
JP4575341B2 (ja) 長尺物保持具及び長尺物保持具の軽量形鋼材への設置方法
JP5302241B2 (ja) 配設体固定具、及び配設体固定具の使用方法
JP5064822B2 (ja) 配設体の取付台座及び取付台座の設置方法
JP4584892B2 (ja) 配線ボックス
JP4627292B2 (ja) 配設体固定補助具、配設体固定装置及び配設体の取り付け方法
JP4627279B2 (ja) 配線ボックス
JP2017206833A (ja) 床材の固定構造
JPH11319336A (ja) カッターナイフ
JP2008136347A (ja) 配線用ボックス
JPH0913660A (ja) 足場板
JP5715512B2 (ja) 屋根材取り外し工具
JP4584863B2 (ja) 配線ボックスの取付方法及び配線ボックス
JP5009198B2 (ja) 配線ボックス用カバー及び配線ボックス装置
JP4265390B2 (ja) 部材結合装置
JPH0971082A (ja) バインダー金具
JP3119713U (ja) コンクリート型枠傾倒防止具
JP2004009297A (ja) 切断工具
JPS6021128Y2 (ja) 軽量溝形鋼用切断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