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799B1 -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799B1
KR102617799B1 KR1020230014969A KR20230014969A KR102617799B1 KR 102617799 B1 KR102617799 B1 KR 102617799B1 KR 1020230014969 A KR1020230014969 A KR 1020230014969A KR 20230014969 A KR20230014969 A KR 20230014969A KR 102617799 B1 KR102617799 B1 KR 10261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wiring
module
conduit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순
박상호
Original Assignee
박건순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순, 박상호 filed Critical 박건순
Priority to KR102023001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전기배선관과 배선박스를 탈부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로 제공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모듈화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기배선 시공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의 시방서 또는 설계도에 따른 전선관 배선도를 분석하는 설계도 분석 단계(S10)와 상기 설계도 분석단계(S10)에서 분석된 전선관 배선도를 기초로 하여 시공장소의 전기배선 작업에 이용될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설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설계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고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과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전기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에 배포하는 현장배포단계(S40) 및 현장배포단계(S40)에서 배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설치단계(S50)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ED OUN-TOUCH WIRING PIPE MODULE}
본 발명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전기배선관과 배선박스를 탈부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로 제공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모듈화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선 시공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배선박스 또는 분기박스와 전기배선을 결선하고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설치 완성도가 달라지게 되며, 설치를 위한 공사 방법 및 절차가 매우 복잡하여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기배선 공사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41144호(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2008년 05월 09일 공개)는 배선박스(11)의 박스 본체(B) 전면측에는 고정부(17)가 마련되고, 고정부(17)는 장착좌면(14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박스 본체(B)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하고, 고정부(17)의 후면에는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걸림면(17a)이 마련되고, 연결부(16)는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와 연결되며, 연결부(16)는 고정부(17)를 박스 본체(B)로부터 용이하게 분단하기 위해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 본체(B)의 전면측 단부면(13a)이 조영재(10)의 전면(10c)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선박스(11)를 조영재(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부(17)가, 조영재(10)의 전면(10c)에 설치되는 벽재(Wa)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112호(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이하 '선행기술 2'라 함, 2012년 03월 19일 등록)는 거푸집 상면에 설치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 천장에 매설되는 배선박스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를 통해 내부로 전선이 인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부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체결편 및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협곡부와, 상기 몸통 상부에 상기 몸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 및 상기 협곡부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은 상기 거푸집을 탈거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거푸집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걸림턱 또는 상기 협곡부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박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 내지 2는 전기배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배선박스의 설치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배선박스와 전선을 별도로 체결하는 작업이 더 시행되어야 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설치 신뢰도의 문제와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781호(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2016년 08월 10일 등록)을 제안하여 전기배선 시공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외부 노출형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보다 더 작업이 용이한 전기배선 작업용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41144호(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2008년 05월 0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112호(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2012년 03월 1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781호(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2016년 08월 10일 등록)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작업 신뢰도가 우수한 전기배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 및 시공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이 우수한 전기배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은 원터치 배선박스(1)와 상기 원터치 배선박스(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배선관(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전기배선을 인입하여 전기배선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일개의 모듈에 또다른 일개의 모듈을 결합하는 형태로 또다른 모듈을 연속결합하여 전기배선을 결선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은 전기배선 시공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의 시방서 또는 설계도에 따른 전선관 배선도를 분석하는 설계도 분석 단계(S10);와 상기 설계도 분석단계(S10)에서 분석된 전선관 배선도를 기초로 하여 시공장소의 전기배선 작업에 이용될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설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설계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고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와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단계(S20)의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전기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에 배포하는 현장배포단계(S40); 및 현장배포단계(S40)에서 배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설치단계(S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계도 분석 단계(S10)에는 분석작업이 완료된 후 분석결과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가상 배치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가상 배치도를 설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과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 및 원터치 배선박스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 과정에서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원터치 배선관 박스에 따라 배선관 갯수 및 규격을 선정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내용을 근거로 적용될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선택 과정, 선택되어 준비되는 원터치 배선박스의 모델에 따라 적용될 배선관의 종류 선택 및 적용 과정 및 앞선 과정에서 선택된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과 이에 적용될 배선관을 결합하여 일체형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는 원터치 배선박스에 적용할 적합한 배선관 모델이 없을 경우 원터치 배선박스에 적용할 적합한 형태의 배선관을 직접 제작하는 배선관 모델 제작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제작과정 시 특별한 현장시공이 필요한 모듈에는 표식수단인 라벨을 인쇄 또는 부착할 수 있는 라벨링 표식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배포단계(S4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설계에 따라 시공장소별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은 설계에 따라 단일형모듈 또는 복수형모듈을 시공작업에 필요한 갯수별로 구분하여 그룹화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현장배포단계(S40)에는 특별 시공구간에 표식수단이 부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별도로 공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상기 설치단계(S50)는 배포된 수량에 따라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배선관을 현장에 기 설치되어 있는 설치수단에 거치하는 배선관 거치과정 및 상기와 같이 배선관 거치과정 후 또다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기 설치되어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에 결합하고 내부전선을 결선하는 원터치 연속체결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작업 신뢰도가 우수한 전기배선 시공이 가능하고, 구조 및 시공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원터치 배선박스(1)의 뚜껑(12)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원터치 배선박스(1)의 하부 구조를 도시하기위한 전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은 원터치 배선박스(1)와 상기 원터치 배선박스(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배선관(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전기배선을 인입하여 전기배선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일개의 모듈에 또다른 모듈을 결합하는 형태로 또다른 모듈을 연속결합하여 전기배선을 결선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은 전기배선 시공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의 시방서 또는 설계도에 따른 전선관 배선도를 분석하는 설계도 분석 단계(S10)와 상기 설계도 분석단계(S10)에서 분석된 전선관 배선도를 기초로 하여 시공장소의 전기배선 작업에 이용될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설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설계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고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과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전기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에 배포하는 현장배포단계(S40) 및 현장배포단계(S40)에서 배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설치단계(S50)로 구성된다.
1. 설계도 분석단계(S10)
상기 설계도 분석 단계(S10)는 전기배선 작업이 시공될 설치 장소의 시방서 또는 설계도에 전기배선 상세내역이 포함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전선관 배선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시방서 및 설계도에 반영되는 전기공사 세부내역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 조명기구의 설치시 요구되는 조도 및 광조사범위에 따른 전선관 배선선로 등을 더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공장소에 요구되는 조명의 광용량, 광조사각도, 광원의 종류에 따른 조명장치의 간격 및 조명장치의 크기 등을 반영하게 되는 것으로, 봉형상의 조명 또는 링형상의 조명, 전구형의 조명과 같은 조명장치의 종류 및 광량에 따른 와트(W) 및 조명간의 간격인 거리(m 또는 mm)와 같은 정보를 분석하여 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석작업이 완료된 후 분석결과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가상 배치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가상 배치도를 설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가상 배치도에는 앞선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상세 정보를 반영하여 배치도를 설계하게 된다.
2.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는 설계도 분석 단계(S10)에서 분석된 상세정보와 이를 반영하여 설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 가상배치도를 이용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설계하게 된다.
이때,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과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 및 원터치 배선박스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 과정에서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원터치 배선관 박스에 따라 배선관 갯수 및 규격을 선정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은 전기배선 시공시 사용될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종류를 선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일 라인으로 연속하여 전기배선작업이 진행될 경우 1개의 모듈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을 혼합한 라인형태의 복수모듈을 선택하는 것이고, 타측으로 분기될 경우 1개의 모듈 중 배선 라인이 직각형태로 꺾이는 형태의 모듈을 선별하여 복수개의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망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멸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기배선망을 구성한 후 이에 적용될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설계 반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는 과정은 직진형태 또는 방향을 변경하여 분기되는 형태에 적용될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개의 라인으로 직진하는 형태로 전기배선이 구성될 경우 2개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 한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배선박스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고, 전기배선이 방향을 바꾸어 분기될 경우 한쌍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가 서로 직각상태를 이루고 있는 형태의 배선박스를 선택하게 되며, 4방향으로 모두 분기될 경우 4개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가 바디케이스(11)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하는 4방향 분기형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원터치 배선관 박스에 따라 배선관 갯수 및 규격 선정 과정을 더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배선관 갯수 및 규격 선정 과정은 전기배선망의 형태에 따라 원터치 배선박스에 결합되는 배선관의 수와 배선관의 길이 및 내부에 인입되는 전기배선의 수에 따라 배선관의 두께와 같은 규격을 선정하여 설계에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3.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내용을 근거로 적용될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선택 과정, 선택되어 준비되는 원터치 배선박스의 모델에 따라 적용될 배선관의 종류 선택 및 적용 과정, 앞선 과정에서 선택된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과 이에 적용될 배선관을 결합하여 일체형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선택 과정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내용을 근거로 하여 배선관 모듈에 적용될 배선박스의 모델을 선택하여 준비하는 것으로 배선박스의 크기, 모양, 재질, 두께와 같은 세부 사항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델 중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선관의 종류 선택 및 적용과정은 앞선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모델에 적합한 배선관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것으로, 배선관의 굵기, 길이, 두께, 배선관에 추가로 형성된 인출홀(22) 등의 세부 사항에 따라 배선박스에 적용될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최적의 배선관 모델이 없을 때는 원터치 배선박스에 적용할 적합한 형태의 배선관을 직접 제작하는 배선관 모델 제작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제작과정은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의 선택과 배선관의 종류 선택 및 적용과정에서 배선관이 선택되면 이를 이용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는 것으로 원터치 배선박스(1)에 배선관(2)을 원터치로 결합하여 일체형의 모듈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모듈은 설계에 따라 1개의 단일형모듈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을 결합한 복수형모듈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단일형모듈에 또다른 1개의 단일형모듈을 결합하여 2개의 모듈이 결합된 복수형모듈을 제작하거나, 동일한 방법으로 3개 또는 4개의 단일형모듈을 결합한 복수형모듈을 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제작과정 시 특별한 현장시공이 필요한 모듈에는 표식수단인 라벨을 인쇄 또는 부착할 수 있는 라벨링 표식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기배선 시공시 특별한 등기구 또는 특별한 기구 등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이를 일반 원터치 배선관 모듈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라벨링 표식과정은 1개의 단일형모듈 중 특별한 구간에 적용되는 단일형모듈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특정 공정에 필요한 모든 단일형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현장배포단계(S40)
상기 현장배포단계(S4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설계에 따라 시공장소별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은 설계에 따라 단일형모듈 또는 복수형모듈을 시공작업에 필요한 갯수별로 구분하여 그룹화하게 된다.
이는 현장에 배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작업시 개별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구분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현장배포단계(S40)에는 특별 시공구간에 표식수단이 부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별도로 공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일반 원터치 배선관 모듈과의 혼용 및 작업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5. 설치단계(S50)
상기 설치단계(S50)는 배포된 수량에 따라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배선관을 현장에 기 설치되어 있는 설치수단에 거치하는 배선관 거치과정 및 상기와 같이 배선관 거치과정 후 또다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기 설치되어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에 결합하고 내부전선을 결선하는 원터치 연속체결과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배선관 거치과정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배선관을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봉과 같은 설치시설물에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거치하여 결속하는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종래의 배선관 설치 시, 배선박스와 배선관을 각각 설치시설물에 고정하고 결속하는 작업을 최소화 하기위한 것으로 원터치 배선박스와 배선관을 일체형 모듈화로 제작하여 배선관에 의해 배선박스 또한 지지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작업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선관 거치과정 후 기 설치된 1개의 모듈에 또다른 1개의 모듈을 결합하고 내부전선을 결선하는 원터치 체결방법을 연속으로 하는 원터치 연속체결과정을 거쳐 여러개의 모듈을 결합하여 전기배선망 시공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에 대하여 이하에서 참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원터치 배선박스(1)의 뚜껑(12)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원터치 배선박스(1)의 하부 구조를 도시하기위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은 원터치 배선박스(1)와 상기 원터치 배선박스(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배선관(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전기배선을 인입하여 전기배선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박스(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케이스(11)와,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용이한 힌지형 뚜껑(12)과 상기 바디케이스(11)의 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 및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단면에 위치하는 원터치결합클립(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단부에는 전등(3)과 같은 기구로 분기하는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전선인출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출홀(15)과 인접한 바디케이스(11)의 저면부에 원터치결합클립(14)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7)를 결합할 수 있는 볼트홀(16)이 형성되어, 결합클립(14)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17)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디케이스(11)의 내측 저면부 일측에는 접지선(18)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선은 바디케이스(11)의 저면부에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는데, 금속재질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접지선(18)은 원터치 배선박스(1)에 체결되는 배선관(2)과 원터치 배선박스(1)의 바디케이스(11)를 통하여 배선관(2)을 통하여 접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는 바디케이스(11)의 내측에 일부분이 내삽되고,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에 내삽된 부분의 상측면에 원터치로 배선관(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선관 원터치체결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원터치체결부는 내주면에 너트가 형성되는 돌출너트부(13a)와 상기 돌출너트부(13a)에 체결되는 압박볼트(13b), 상기 압박볼트(13b)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압박탄성체(13c) 및 상기 압박탄성체(13c)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체결구(13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박탄성체(13c)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코일스프링형태의 탄성체가 적용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체결구(13d)는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압박탄성체(13c)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되어 체결구(13d)의 일부분이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배선관(2)의 일측에 형성되는데는 체결홀(21a)에 체결구(13d)의 일부분이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13d)에 탄성력에 의한 압박탄성체(13c)의 압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압박볼트(13b)의 체결깊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는 바디케이스(11)의 내측 인입부의 길이보다 외측돌출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배선관(2)과 결합시 배선관(2)의 하중에 의해 처짐으로써 결합부위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의 내주면 일측단부에는 실링홈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실링홈에는 일반 금속관으로 형성되는 배선관(2)과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의 접촉단부에 가해지는 외부진동을 방지하고, 배선관(2)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및 낙수와 같은 수분이 배선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링(19)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구조의 바디케이스(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1개 내지 4개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개의 측면에 1개의 원터치배선관커넥터(13)가 구비되되, 각각의 측면에 1개씩 구비되거나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1방향 또는 4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디케이스(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원터치결합클립(14)은 측면양측에 각각 체결절곡면(14a)이 더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절곡면(14a)을 이용하여 전등(3)과 같은 기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체결절곡면(14a)은 하방절곡 후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전등(3)과 같은 기구를 체결할 때,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한쌍의 체결절곡면(14a)의 사이 간격을 줄인 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절곡면(14a)은 원터치결합클립(14)의 저면보다 이격되는 절곡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결합클립(14)의 체결절곡면(14a)에 전등(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홈에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등(3)과 같은 기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체결클립과 같은 체결부재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결합클립(14)에는 전등(3)과 같은 기구의 크기 및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의 클립(14)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배선관(2)은 스틸관(21)이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스틸관(21)의 일측단부 상측에는 체결홀(21a)이 더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1a)은 원터치 배선박스(1)의 원터치배선커넥터(13)의 원터치체결부의 체결구(13d)의 일부가 내삽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압박볼트(13b) 체결깊이에 따라 체결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압박볼트(13b)를 잠가 압박강도를 높이면 압박탄성체(13c)가 체결구(13d)를 강하게 압박하여 원터치배선커넥터(13)에 내삽되는 배선관(2)의 스틸관(21)이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선관(2)의 스틸관(21)의 일부를 내삽할 경우 체결구(13d)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배선관(2)의 체결홀(21a)에 체결구(13d)의 일부분이 내삽되어 체결된 후 압박탄성체(13c)의 압박력에 의해 배선관(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배선관(2)을 이탈시킬 시 압박볼트(13b)를 풀어 압박탄성력을 줄여 원터치 배선박스(1)에서 배선관(2)을 이탈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원터치 배선박스(1)와 배선관(2)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모듈로 제공하고, 전기 배선관 시공시 일개의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배선관(2)을 또다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원터치 배선박스(1)의 원터치배선커넥터(13)에 일부분을 내삽시켜 전기배선관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배선을 원터치 배선박스(1)의 내부에서 결선하여 전기배선 시공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박스(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원터치결합클립(14)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등(3)을 원터치로 체결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원터치결합클립(14)에 체결되는 전등(3) 또한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배선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선관(2)의 하단부 일측에 분기배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홀(22)을 더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출홀(22)은 추가적인 전등 또는 안내등, 주차감지센서 등 다양한 전기부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은 설치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봉형상의 체결부재 또는 클립 등 다양한 설치부재에 배선관(2)을 설치하여 지지한 후 원터치 배선박스(1)를 이용하여 배선관(2)을 상호 결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전기배선 시공시 배선박스를 설치하여 체결한 후 배선박스의 체결력으로 배선관을 지지하는 구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배선박스와 배선관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배선박스로부터 배선관이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전기배선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S10 : 설계도 분석 단계
S20 :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
S30 :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
S40 : 현장배포단계
S50 : 설치단계

Claims (10)

  1.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은 원터치 배선박스(1)와 상기 원터치 배선박스(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배선관(2)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전기배선을 인입하여 전기배선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일개의 모듈에 또다른 일개의 모듈을 결합하는 형태로 또다른 모듈을 연속결합하여 전기배선을 결선하여 시공하되,
    전기배선 시공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의 시방서 또는 설계도에 따른 전선관 배선도를 분석하는 설계도 분석 단계(S10);와
    상기 설계도 분석단계(S10)에서 분석된 전선관 배선도를 기초로 하여 시공장소의 전기배선 작업에 이용될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설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와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설계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고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과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단계(S20)의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전기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시공장소에 배포하는 현장배포단계(S40); 및
    현장배포단계(S40)에서 배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배선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설치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도 분석 단계(S10)에는 분석작업이 완료된 후 분석결과에 따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가상 배치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가상 배치도를 설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과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선별 및 구성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 및 원터치 배선박스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 과정에서 선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원터치 배선관 박스에 따라 배선관 갯수 및 규격을 선정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을 더 거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내용을 근거로 적용될 원터치 배선박스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선택 과정, 선택되어 준비되는 원터치 배선박스의 모델에 따라 적용될 배선관의 종류 선택 및 적용 과정 및 앞선 과정에서 선택된 원터치 배선박스 모델과 이에 적용될 배선관을 결합하여 일체형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는 원터치 배선박스에 적용할 적합한 배선관 모델이 없을 경우 원터치 배선박스에 적용할 적합한 형태의 배선관을 직접 제작하는 배선관 모델 제작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제작과정 시 특별한 현장시공이 필요한 모듈에는 표식수단인 라벨을 인쇄 또는 부착할 수 있는 라벨링 표식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배포단계(S40)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 준비단계(S30)에서 제작되고 준비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원터치 배선관 모듈 설계 단계(S20)에서 설계된 설계에 따라 시공장소별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그룹화하는 과정은 설계에 따라 단일형모듈 또는 복수형모듈을 시공작업에 필요한 갯수별로 구분하여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배포단계(S40)에는 특별 시공구간에 표식수단이 부여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별도로 공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계(S50)는 배포된 수량에 따라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의 배선관을 현장에 기 설치되어 있는 설치수단에 거치하는 배선관 거치과정 및 상기 배선관 거치과정 후 또다른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기 설치되어 있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에 결합하고 내부전선을 결선하는 원터치 연속체결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KR1020230014969A 2023-02-03 2023-02-03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KR10261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969A KR102617799B1 (ko) 2023-02-03 2023-02-03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969A KR102617799B1 (ko) 2023-02-03 2023-02-03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799B1 true KR102617799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969A KR102617799B1 (ko) 2023-02-03 2023-02-03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7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02A (ko) * 2005-04-06 2006-10-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KR20080041144A (ko) 2005-09-01 2008-05-09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KR20090005909U (ko) * 2007-12-12 2009-06-17 (주)대교에이스 배선박스
KR101130112B1 (ko) 2008-08-22 2012-03-28 (주)대교에이스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19941B1 (ko) * 2015-05-11 2016-05-23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48781B1 (ko) 2016-01-13 2016-08-17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02A (ko) * 2005-04-06 2006-10-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KR20080041144A (ko) 2005-09-01 2008-05-09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배선박스 및 배선박스의 장착방법
KR20090005909U (ko) * 2007-12-12 2009-06-17 (주)대교에이스 배선박스
KR101130112B1 (ko) 2008-08-22 2012-03-28 (주)대교에이스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19941B1 (ko) * 2015-05-11 2016-05-23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
KR101648781B1 (ko) 2016-01-13 2016-08-17 티에스케이블(주)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7978B (zh) 一种水平多管道支架及其基于bim的预制施工方法
US7635009B1 (en) Unified conduit array
US8455772B2 (en) Open back junction box and method for pre-fab wiring
US20060060369A1 (en) Penetration fire stop device
KR102617799B1 (ko)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CN109155171A (zh) 用于安装建筑物墙壁结构的电气设备的设备、系统和方法
CN107605090B (zh) 一种高大曲面钢结构下的组合式吊顶悬挂装置及安装方法
US20060272242A1 (en) Multi-Passage Guide System
JPH10160099A (ja) メータボックス内の配管工法及び配管構造
JP2006241756A (ja) スリーブ保持具
CN205428400U (zh) 一种弧形led屏
CN111101670B (zh) 一种可调式线管固定龙骨连接结构
FI80925C (fi) Anordning foer installering av vatten- och vaermeledningsroer i en byggnad.
DE60044097D1 (de) Durchgangsöffnung für eine Rohrleitung in einem Gebäudeelement, wie z.B. einer Wand, und Verfahren hierfür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CN214885181U (zh) 一种多种组装方式的墙脚线
CN209545066U (zh) 一种导线管及建筑设施
JPH08109701A (ja) 壁パネル構造
CN207654087U (zh) 卫浴支架基座
CN2684669Y (zh) 一种走线槽屏风
CN205560504U (zh) 便于安装的集成灯盘系统
CN205847799U (zh) 一种无外露螺钉的数据中心走线槽
JPH0953291A (ja) 配管を予め定着した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基板、該基板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方法とその構築物
JP3160117B2 (ja) 配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方法
KR101498795B1 (ko)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