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808A - 데이터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808A
KR20080012808A KR1020070078315A KR20070078315A KR20080012808A KR 20080012808 A KR20080012808 A KR 20080012808A KR 1020070078315 A KR1020070078315 A KR 1020070078315A KR 20070078315 A KR20070078315 A KR 20070078315A KR 20080012808 A KR20080012808 A KR 20080012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input key
characte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370B1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ublication of KR2008001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입력키와; 상기 각 입력키로의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에 중복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래 입력키의 입력방식을 개선하여 1개의 입력키에서 1단입력 및 2단입력이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며, 추가로 조합입력, 순차입력, 이벤트입력 등을 활용함으로써, 한정된 수의 입력키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입력키의 입력방식을 개선하여 1개의 입력키에서 1단입력 및 2단입력이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며, 추가로 조합입력, 순차입력, 이벤트입력 등을 활용함으로써, 한정된 수의 입력키에서 입력용량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PDA등 각종 정보기기가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문자 등의 입력을 통한 정보저장 및 통신의 중요성 또한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보기기에서의 각종 문자나 명령어 등의 입력장치는 전술한 정보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문자 등의 입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필요한 문자들을 최소한의 조작횟 수를 거쳐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입력장치는 입력하고자 하는 각 문자마다 별도의 입력키가 설정되는 것인바, 이는 실제적으로 한글음소 24개, 영문음소 26개, 숫자 10개 및 각종 기호를 포함하여 100개 이상의 입력키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같은 소형 정보기기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입력키의 숫자를 늘리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다. 즉, 4 ×3 배열의 12개의 입력키가 마련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한글 24음소 혹은 영문 26음소를 12개의 입력키에 모두 배열하다보니 1개의 입력키에 2개 또는 3개씩의 문자가 중복하여 할당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2 ~ 3번씩 반복하여 입력키를 조작해야 하므로, 입력시간이 길고, 복잡한 입력과정에서 오타 및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입력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에 한글문자의 자모음을 배열하고, 초기 터치에 의해 자음을 입력한 후에 터치스크린 상에서 드래그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모음배열을 생략함으로써 화면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드래그에 의해 모음이 입력되는 바, 입력자에 따라 드래그 경로가 일정하지 않아 인식률이 저하되어 입력 정확성이 낮고, 드래그에 따른 입력경 로가 상대적으로 길고 복잡해 입력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 자음 및 모음을 모두 배열하는 경우에는, 한정된 배열공간에 필요한 음소를 모두 배열하다보니 각 음소에 할당된 공간이 너무 작아 손가락으로는 빠른 입력을 하면서도 다른 자판과의 간섭없이 원하는 자판 1개 씩만을 정확히 터치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도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서도 빠른 문자입력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의 경우, 터치스크린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지 않은 휴대폰, 컴퓨터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 및 문자인식모듈의 설치에 따른 별도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키에 중복할당된 문자를 하나의 입력키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1단입력 및 1단입력을 통하여 최소한의 입력키 조작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입력시간의 단축 및 입력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자음과 모음을 1동작 1음소의 입력이 가능한 채로 최소 갯수의 입력키에 배치하여(또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에서 구현할 경우 터치와 함께 누름도 감지가능하게 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2문자를 각각 입력가능케 함)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키패드와 같은 통상적인 입력키에서는 물론, 키패드 이미지가 구현된 터치스크린 등에서도 별도의 도구 없이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데이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된 동작을 통해 최단 경로를 통하여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을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어 입력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편리하면서도 안정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하는 입력키가 함께 입력되는 “간섭”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에서도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입력이 필요하지 않고 스침입력이 가능하여 한 번의 연결동작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을 위한 이동 범위가 좁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입력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입력키와; 상기 각 입력키로의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에 중복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1단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로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2단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가 상하로 이동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누름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구분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입력키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누름스위치 또는 상기 입력키로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누름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2단의 누름입력에는 클릭수단이 마련되어 1단의 누름입력과 구분될 수 있다.
입력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4 x3 배열 방식에 한 개의 키를 더 추가하여 총 13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2이상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배열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에는 소정의 자음문자 및 모음문자가 동시에 할당되고, 상기 각 입력키와 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모음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하기 위한 전환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입력부는 상기 입력키들의 배열 내부 또는 외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소정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영역의 양측에 2 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은 2이상의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며 수행되는 스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에는 한글문자, 영어문자가 각 입력키에 1개 또는 2이상이 중복하여 배치되되, 문자입력시 자주 사용되는 연자음 또는 연모음은 인접한 상기 입력키에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자음문자가 할당된 자음입력키세트와, 모음문자가 입력된 모음입력키세트로 분할되며, 상기 자음입력키세트 및 모음입력키세트는 상기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자음,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의 순서로 상기 각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자음문자가 할당된 자음입력키세트와, 모음문자가 입력된 모음입력키세트로 분할되며, 상기 자음입력키세트 및 모음입력키세트는 상기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자음, 자음, 모음 또는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로 상기 각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를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입력키에 원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각 제1입력키 및 제2입력키의 조합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각 제1입력키 및 제2입력키 마다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의 감지신호 중에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키, 제2입력키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전환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키 및 전환입력부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순차입력에 의하여 제4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 전환입력부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되되,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입력이 수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전환입력부, 입력키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되되,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입력이 수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원주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선택된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만을 유효하게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에의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에의 반경방향 터치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각 입력키에는 할당된 제4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순차입력의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 전환입력부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고 각 입력키에는 제5문자가 중복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5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입력은 상기 스침입력 수행 중 소정 입력키에서 손을 떼어 터치감지신호가 해제되거나, 소정 입력키에의 터치감지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누름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측면을 눌러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각 입력키로의 터치 또는 원주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에의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문자를,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이벤트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5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된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를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입력키에 원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키는 소정의 방사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입력키의 방사상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입력키의 이동이 감지된 해당 방사방향에 할당된 제6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제2입력키로의 상기 각 방사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을 감지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입력키에 수행된 터치이동의 방향에 따라 해당 방사방향에 할당된 제6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8개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고,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 및 제2입력키감지부에서 소정 시간이내에 동시에 감지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3문자는 모음문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누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7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 제2문자 또는 제7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최초의 입력신호, 소정시간 유지되는 입력신호 또는 해제되는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해당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또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제2입력키감지부에서 소정시간 내에 동시에 감지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제3문자를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1입력키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최초의 입력신호, 소정시간 유지되는 입력신호 또는 해제되는 입력신호 중 어느 하 나의 방법으로 해당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입력키는 8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입력키는 4개의 입력위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8개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원의 중심에 마련되는 내부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내부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내부입력키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에 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키, 제2입력키 또는 내부입력키 중 하나 이상은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하나의 입력키에서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입력용량을 2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입력키에 중복할당된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횟수를 절반이하로 불일 수 있어 입력시간이 감소되며,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각 입력키를 모음입력키세트와 자음입력키세트로 나누고, 모음입력키세트를 자음입력키세트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문자입력시 연속된 동작을 통해 최 단 경로를 통하여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을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속도를 최소화하는 한편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의 동시 동작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하여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입력키과 제 2 입력키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해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이벤트입력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여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각 실시예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입력키(10)와; 상기 각 입력키(10)로의 1단입력 및 제2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20)와; 상기 감지부(2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10)에 중복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소정의 입력영역(P)과, 표시부(130)가 설치된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키(10)는 케이스(110)에 마련된 입력영역(P) 내에 배치되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입력키(10)에 의해 입력된 문자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영역(P)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표시부(1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식은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입력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에서 수행되고,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의 하부에 누름감지부를 더 마련함으로써 누름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이하 모든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다각통 또는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마련되어 케이스(110)에 마련된 관통부(14)를 통해 입력키(10)의 일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입력키(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되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지만, 입력키(10) 전체가 일체로 마련되어 각 입력키(1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누름에 의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키(10)는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4에 도시된 구성은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한 것임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1단입력은 각 입력키(10)로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2단입력은 각 입력키(10)가 상하로 이동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은 입력키(10)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구분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되며 각각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입력키(11)와; 제1입력키(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누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7문자를 입력하기 위 한 제2입력키(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4에는 터치입력을 1단입력으로 하고, 누름입력을 2단입력으로 하는 입력키(1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터치입력이란 각 입력키(10)로의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하여 입력키(10)에 할당된 제1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터치입력은 터치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되는 바, 터치감지부(30)는 각 입력키(10)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사람의 손가락이 입력키(10)에 접촉 또는 입력키(10)와에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했을 때 이를 감지한다.
터치감지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센서, 초음파센서와 같이 비접촉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정전용량센서(31) 등과 같이 접촉/비접촉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정전용량센서(3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에 접촉된 도전성 접촉부재(32)와, 접촉부재(32)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계측소자(33)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재(32)는 입력키(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되면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데, 계측소자(33)에서는 접촉부재(32)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에는 유효신호로 판단하여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는, 손가락으로 접촉하거나 누를 때는 정전용량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단입력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32)가 직접 입력키(10)의 상부면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촉부재(32)와 입력키(10)의 상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체(3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는 도 3의 (a)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접촉부재(32)가 입력키(10)의 상단에 마련되고, 계측소자(33)가 PCB 기판(140)에 마련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접촉부재(32)와 계측소자(33) 사이에는 접촉부재(32)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을 계측소자(33)로 전달하는 연결선(3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입력키(10)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와 PCB 기판(140) 사이에 마련되어 접촉부재(32)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을 계측소자(33)에 전달하는 전도성 탄성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탄성부재(36)는 입력키(10)와 PCB 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물론, 누름입력 수행시 입력키(10)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부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터치감지부(30)는 입력영역(P) 상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입력키(10)에 대응하여 1개씩 마련될 수도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영역(P) 전체에 걸쳐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영역 상에 X축과 Y축의 격자무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감지부(30)는 각 입력키(10)에 2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누름입력은 각 입력키(1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입력키(10)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각 입력키(10)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누름에 의한 입력키(1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40)가 마련된다.
누름감지부(40)는 입력키(10) 전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고, 일부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입력키(10)의 중앙에 탄성소재를 마련하고 상기 탄성소재의 하부에 상기 입력키(10)의 누름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마련할 수도 있다.
누름감지부(4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누름에 의한 입력키(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누름스위치 또는 입력키(1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감지부(40)가 누름스위치 또는 누름접촉센서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입력이 수행된 입력키(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를 더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입력키(10)와 누름감지부(40) 사이에 마련되어 입력키(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누름감지부(40)에 접촉 및 이격되는 누름판(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누름입력은 입력키(10)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누름거리에 따라 누름다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입력키(10)의 이동경로 상에 2이상의 누름감지부(40)를 순차적으로 이격시켜 입력키(10)의 이동 정도 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입력이 2단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입력키(10)에서 1단의 터치입력, 1단의 누름입력 및 2단의 누름입력 총 3개의 문자를 1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입력키(10)의 입력용량이 3개로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누름입력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1단의 누름입력, 2단의 누름입력 및 3단의 누름입력으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입력이 2단이상의 다단입력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다단의 누름입력 중 어느 하나에 클릭감을 주는 클릭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다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단입력은, 입력키(10)가 제1입력키(11), 제2입력키(12) 또는 제3입력키(13)로 분할되어 마련되는 경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입력키(10) 이외에도 전환입력부(55), 내부입력부 등에도 예외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동일한 입력키(10)에서 수행되는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을 선택적으로 판단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모든 신호에 대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에는 누름입력을 수행할 때 반드시 터치입력이 수행되는 구조이므로, 제어부는 복수의 감지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의 의도대로 입력이 수행되도록 각 신호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입력키(10)에서 누름입력만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1개의 입력키(10)에 대응하는 터치감지부(30) 및 누 름감지부(40)에서 터치 및 누름이 동시에 감지되더라도 상기 감지간격이 소정의 시간간격이내라면, 누름감지부(4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명령을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반대로 터치입력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제어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터치 및 누름입력에 의한 입력명령을 추출하여 실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입력 후 소정의 지연시간(접촉유지시간)을 주고 터치입력을 해제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입력키(10)에 터치입력에 할당된 문자와, 누름입력에 할당된 문자를 모두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한글자음를 입력할 때,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이 소정의 입력시간 내에 연이 두번 감지될 경우에는 쌍자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소정의 지연시간 이상 감지가 계속되는 경우에 쌍자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키(10)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입력키(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배열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입력키(10)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 x 3 행렬의 12개로 배열될 수도 있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x 2 행렬의 8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키를 추가하여 총 13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키(10)가 13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영문자 26개가 각 입력키(10)에 2개씩 각각 중복되게 배치되어, 어느 하나는 터치입력(또는 1단의 누름입력)에 의해서, 다른 하나는 누름입력(또는 2단의 누름입력)에 의해서 입력이 수행된다.
한글문자입력의 경우에는, 12개의 입력키(20)에 한글 음소 24개를 중복하여 배치하고, 예를 들어, 'ㅔ, ㅐ'의 음소가 중복할당된 다른 하나의 입력키(2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입력키(10)와의 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모음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입력부(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전환입력부(55)는 예를 들어, 각 입력키(10)에 소정의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가 동시에 할당되는 경우, 입력키(10)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를 또는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조합입력(동시 또는 소정시간 내에 접촉, 도 7의 (가)참조)되는 경우에는 모음문자로 전환되어 입력된다.
전환입력부(55)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들의 배열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들의 배열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키(1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키(10)들은 각각 단독으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분리되며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각 입력키(10)들이 분리되어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 입력키(10)는 4 방사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고, 8 방사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키(10)는 5 , 6, 7 방사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키(10)가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의 2열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는 모두 동일한 갯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 중 어느 하나는 4개로 다른 하나는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입력키(10)가 일체 또는 분리형의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입력키(10) 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크롤, 모드변경, 각종 기능명령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키(1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이상의 동심원상에 분할배치될 수도 있으며, 1개의 원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입력키(10)들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입력부(55)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입력키(10)들은 입력영역(P)의 양측에 2벌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도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스침입력'이란, 복수의 입력키(10)를 연속하여 터치하거나 누르면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한글의 경우, 초성, 중성, 종성에 해당하는 글자를 상호 독립된 입력동작(즉,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컴퓨터 키보드 상에서 개별적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닌, 입력키(10) 상에서 주어진 경로에 따라 각 입력키(10)를 스치면서(또는 누르면서)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어부는 3개 이상의 입력키(10)에서 순차적으로 터치 또는 누름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 중에서 유효한 일부신호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입력 및 최종입력에 대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입력명령을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딜레이 시간(감지유지시간)이나 변위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유효신호로 판단하거나, 다중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스침입력이 직선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꺽어지는 경우 꺾임지점에서 발생된 입력신호만을 유효하게 처리하는 경우 또는, 각 단자를 전도성 물질로 모두 연결하고 신호가 발생되는 지점과 신호가 끊기는 지점의 데이터 값을 입력하는 방법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침입력은 2 이상의 입력키(20)에서 터치입력 만으로,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이 혼합되어, 또는 누름입력만으로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각 입력키(10)에는 제1문자 및 제2문자가 중복하여 할당되는데, 제1문자란 터치입력(또는 누름입력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1단의 누름입력)에 의해 입력되도록 할당된 문자를 말하고, 제2문자란 누름입력(또는 2단의 누름입력)에 의해 입력되도록 할당된 문자를 말한다.
여기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는 제한 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글 또는 영문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언어 문자일 수도 있고, 동일한 언어 문자 내에서 자음 또는 모음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의 경우, 모음은 'A,E,I,O,U, W,X,Y'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키(10)에 할당되는 문자는 전술한 한글, 영문 이외에도 숫자, 기호 등 다양한 문자들이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입력키(10)에는 한글문자, 영어문자가 각 입력키(10)에 1 또는 2이상이 중복하여 배치될 수 있는 바, 스침입력이 수행가능한 경우에는, 자주 사용되는 연자음 또는 연모음은 인접한 입력키(10)에 연이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자음 또는 연모음 또는 연자모를 포함하는 연음소란,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붙어 배열되는 것을 말하며, 한글의 경우 합용병서, 알파벳의 경우 'ch', 'ng'등과 같이 단어에서 두음소가 붙어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연자음은 한글의 경우,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ㅎ, ㄱㅅ, ㄴㅈ, ㄴㅎ, ㅂㅅ....', 영문의 경우, ' ch, ng, ing, gh, ght....' 등이고,
연모음은 한글의 경우, 'ㅒ, ㅖ, ㅞ, ㅐ, ㅔ, ㅢ....' , 영문의 경우, 'ae, ea, au, yu, yo, ou, ex...' 등이 있으며, 자음과 모음이 혼합된 연자모 형태로서는, 한글의 경우, ' ㄷ ㅏ, ㄴ l, ㅇ ㅏ..., ' , 영문의 경우, ' ed, er, on, ion...'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ght' , 'ion'등의 경우는 세 개의 문자는 입접한 입력키(10)에 연이어 할당하고, 3 개의 입력키(10)를 모두 스쳐 한 번의 스침 입력에 세 개의 음소를 모두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침입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3 개 이상의 입력신호는 제어부에서 모두 유효하게 판단되어 입력된다.
도 6은 전술한 입력키(10)의 연음소 문자배열 및 입력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화살표는 터치입력만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스침입력예이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화살표는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이 혼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ㄼ'을 입력하고자 하면 'ㄹ'을 터치한 후 바로 'ㅂ'을 터치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게 되며, 'ㅀ'을 입력하고자 하면 'ㄹ'을 터치한 후 바로 'ㅎ'을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복수의 입력키(10)는 자음문자가 할당된 자음입력키세트(C)와, 모음문자가 할당된 모음입력키세트(V)로 구분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자음입력키세트(C, Consonant)' 및 '모음입력키세트(V, Vowel)'는 각각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가 할당된 복수의 입력키(10)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일한 입력키세트는 할당된 문자 및 배열에 있어서 동일성 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각 입력키세트는 한글문자, 영어문자, 일본어문자등을 입력할 때 할당된 문자의 성격에 따라 편의상 분류되는 것일 뿐, 기호나 숫자등을 배치하거나 입력할 때에도 별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입력키(10)가 자음입력키세트(C)와 모음입력키세트(V)로 구분되는 경우에, 자음입력키세트(C) 및 모음입력키세트(V)는 상기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자음, 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의 순서로 각 입력키(10)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자음입력키세트(C) 및 모음입력키세트(V)는 스침입력시 자음, 자음, 모음 또는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로 각 입력키(10)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구체적인 입력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4 ×3 배열의 입력키(10)에서 자음입력키세트(C)는 1열의 제1자음입력키세트(C1)와, 3열의 제2자음입력키세트(C2)로 분할되어 있으며, 모음입력키세트(V)는 제2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자음입력키세트(C) 및 모음입력키세트(V)에 포함된 각 입력키(10)에는 2개의 문자가 중복하여 할당되어 있어서, 각 입력키(10)의 상부에 위치한 문자는 터치입력에 의해서, 하부에 위치한 문자(검게 표시된 부분)는 누름입력에 의해서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경로(①)를 통해 터치입력만으로 스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 ㄱ -> ㅓ -> ㅈ'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겆'이 입력되며, 동일 경로 상에서 제1자음입력키세트(C1)에서 누름입력을 수행하고 나머지는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멎'이 입력된다.
만일, '농'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경로(②)를 따라 터치, 터치, 누름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하면 되고, 동일 경로상에서 누름, 터치, 터치입력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경우 '몰'이 입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각 입력키(10)를 모음입력키세트(V)와 자음입력키세트(C)로 나누고, 모음입력키세트(V)를 자음입력키세트(C)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문자입력시 연속된 동작을 통해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속하여 자주 사용하는 자음과 모음, 예를 들어, ' ㄷ,ㅏ ' 또는 ' ㄴ, ㅣ' 등을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최단 경로를 통해 글자를 입력할 수 있어 입력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한글 입력시 자주 사용되는 연자음인 'ㄹㅁ' 이나, 'ㄹㅂ'의 경우에는, 도 7의 (a)의 제5경로(⑤)를 다라 터치,터치를 수행하여 입력할 수 있고, 제6경로(⑥)를 따라 터치,누름을 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모음입력키세트(V)와 자음입력키세트(C)의 효율적인 배열은 물론, 각 입력키세트(V,C) 내에서도 연자음 및 연모음을 상호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문자입력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의 (a)에서, 스침입력을 수행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제3경로(③) 또는 제4경로(④)와 같이, 동일한 입력키세트(C, V) 내에서 2 이상의 터치 또는 누름이 연속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각 감지결과 중 일부에 대해서만 유효하게 판단하여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결과 중 최초감지신호 또는 최종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유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제3경로(③)의 경우, 모음입력키세트(V)에서 최초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하는 경우 'ㅓ'의 입력이 무시되므로, 모두 터치만으로 스침입력이 수행되면 '잔'이 입력되게 된다. 반대로, 최종감지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하는 경우에는 '전'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제4경로(④)에 있어서도, 최초감지신호를 선택하고 터치입력만으로 스침입력이 수행되면 '조'가 입력되며, 최종감지신호를 선택한다면 '코'가 입력된다.
여기서, 최종감지신호를 판단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수의 감지신호가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 어느 한 시점이라도 신호발생이 끊기는 경우 이를 최종감지신호로 판단하거나, 2이상의 스침입력이 각각 소정의 시간간격 내에 연속적으로 감지되다가 소정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 이상 다음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이를 최종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는 전술한 예 이외에도, 동일 입력키세트(C, V) 내의 스침입력 중, 최초 및 최종입력을 동시에 또는 꺾임지점(예를 들어, 제4경로(④)에 있어서, 'ㅋ'이 할당된 입력키(10)) 등의 입력키(10)에서 수행된 터치 또는 누름입력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는 동일 입력키세트(C, V) 내에서 입력된 복수의 감지결과 중 소정의 입력시간 이상 유지되는 신호에 대해서만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제4경로(④) 상에서 '초'를 입력하기 위해 'ㅊ'이 할당된 입력키(10)에서 설정시간(예를 들어, 1초)이상 머무르는 경우에는 'ㅈ'이나 'ㅋ'은 무시되고 '초'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상, 소정의 입력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유지되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입력을 시작할 때(손가락이 맨처음 닿는 위치), 입력이 종료될 때(손가락을 떼는 위치) 또는 입력상태를 유지할 때(손가락이 입력시간이상 머무는 위치)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다른 학습이나 숙달없이 자연스럽게 입력하고자하는 문자들을 연속하여 지시하는 동작을 통하여서도 원하는 문자들만을 어렵지 않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시간의 차이는 매우 미묘하지만 시간 설정을 통하여 이 차이를 구분하여 입력유효와 무효를 구분할 수 있으며, 시중의 많은 전자제품이나 터치패드의 스크롤 기능 등에서도 전술한 입력시간 설정을 통한 입력처리(이른바, 딜레이 타임 설정)는 사용되고 있다.
한편, 터치감지부(30)가 정전용량센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접촉의 정도(면적이나 세기)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이 설정된 값 이상일 대에만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쌍자음 입력에 관하여는, 해당 자음이 할당된 입력키(10) 상에서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이 소정의 입력시간 내에 연이어 두번 수행하거나, 소정의 지연시간 이상 수행하는 경우, 또는 별도의 기능키(미도시)를 수행한 채로 터치 또는 누름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도 7의 (a)와 마찬가지로 4 ×3 배열의 입력키(10)에서 자음입력키세트(C)는 1열의 제1자음입력키세트(C1)와 3열의 제2자음입력키세트(C2)로 분할되어 있으며, 모음입력키세트(V)는 제2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열의 좌측 및 상기 제3열의 우측에는 상기 각 입력키(1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전환입력부(55)가 마련된다.
전환입력부(55)는 자음입력키세트(C)에 포함된 입력키(10)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입력키(10)에 할당된 신호와는 다른 입력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한글자음문자의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경우, 각 입력키(10)의 윗쪽에 배치된 자음문자('ㄱ' 또는 'B')는 (가)와 같이, 전환입력부(55)와 입력키(10)를 동시에 터치함으로써 입력하고, 각 입력키(10)의 아랫쪽에 배치된 자음문자('ㅁ' 또는 'L')는 (나)와 같이, 입력키(10)를 단독으로 터치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모음입력키세트(V)의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입력에 의해서는 윗쪽에 배치된 문자를, 누름입력에 의해서는 아랫쪽에 배치된 문자(검게 칠한 부분)을 입력한다.
제1경로(①)를 통해 영문'BUS'를 입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B'를 입력하기 위해 (가)와 같이, 전환입력부(55)와 입력키(10)를 동시에 터치한다. 다음, 'U'가 할당된 입력키(10)로 이동하여 누름입력을 수행한다.
이후, 'S'가 할당된 입력키(1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전환입력부(55)가 선택되지 않도록 입력키(10) 만을 터치한다.
여기서, 모음입력키세트(V) 내의 복수 감지신호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신호만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예를 적용한 것으로 한다.
제2경로(②)는 영문 'GET'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G' 입력시에는 전환입력부(55)와 동시에 입력키(10)를 터치해야하지만, 'T'의 입력시에는 입력키(10)만을 단독으로 터치해야한다.
한편, 모음입력키세트(V)는 제1열 및 제3열에 배치된 자음입력키세트(C)와 달리 5개의 입력키(10)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된 입력키(10')에는 한글문자의 경우, 'ㅐ' 또는 'ㅔ'가 배치될 수 있다. 영어문자의 경우에는, 26개 문자가 13개의 입력키(10)에 2개씩 중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b)의 제3경로(③)를 따라 터치 스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애'가 입력되며, 터치 및 누름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에'가 입력된다.
여기서, 전환입력부(5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전성 단자로 구성된 터치방식일 수도 있고, 환형의 누름버튼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전환입력부(55)는 문자입력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에서는 자음전환이 아닌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입력부(55)를 따라 터치상태를 유지한 채로 좌우로 이동하여 볼률조절 또는 스크롤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감지부(30)는 입력영역(P) 전체 또는 각 입력키(10)에 다수 개로 배치되어, 스침입력 수행시 각 입력키(10)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감지부(30) 중 설정된 갯수 이상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어부에서 입력키(10)의 선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1)는 스침입력을 수행할 때, 입력할 2 이상의 입력키(10)를 최단경로를 따라 스치면서 이동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입력키(10)가 터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서, 사용자가 '고'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ㄱ'이 할당된 입력키(10)를 먼저 터치한 후 스치면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ㅗ'가 할당된 입력키(10)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손가락이 이동되면서 터치되는 면적을 점선으로 나타내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각 입력키(10)에 할당된 터치감지부(3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모두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글자, 즉 '거' 또는 '너'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할 문자가 할당된 입력키(10, 즉, 'ㄱ'와 'ㅗ')를 제외한 다른 입력키(10, 즉, 'ㄴ' 또는 'ㅓ')는 단순히 최단 경로상에 걸쳐있을 뿐이어서 선택된 입력키(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터치면적이 적다.
따라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감지부(30)를 입력영역(P) 전체 또는 입력키(10) 상에 다수 개 배치(점선으로 된 원)하여 이중 터치가 감지된 터치감지부(21, 검게 색칠된 점선원)의 개수가 설정된 갯수, 예를 들어 10개 이상인 경우에만 감지결과를 유효하게 판단함으로써, 스침입력시 입력키(10)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가 정확히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좁은 입력영역(P)에 다수의 입력키(10)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경우에 2이상의 입력키(10)가 동시에 선택되는 간섭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대로 정확한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2이상의 입력키(10)에서 동시에 감지되더라도 어떤 입력키(10)에 더 가까운지(또는 어느 입력키(10)에 더 많이 접촉되었는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감지부(20)가 다수개 이므로 어떤 입력키(10)에 대응하는 감지부(20)가 더 많이 감지되었는지 또는 접촉면적의 정중앙위치가 어느 입력키(10)에 포함되었는지 등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감지부(20)를 이용한 간섭방지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입력키(10) 예를 들어, 제1입력키(11), 제2입력키(12), 제3입력키(13), 전환입력부(55), 내부입력키(15)등의 간섭방지에 예외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감지부(20)의 종류에도 제한이 없다.
또는, 터치감지부(30)는 각 입력키(10)에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2 이상으로 마련되며, 제어부는 2 이상의 터치감지부(30)에서 모두 터치를 감지하는 경 우에만 입력키(10)의 선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8의 (b)를 참조하면, 터치감지부(30)는 예를 들어, 각 입력키(10) 상에 상하 또는 좌우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2 개(21a, 21b)로 마련되며, 제어부는 각 입력키(10) 상에 마련된 터치감지부(30) 모두에서 터치가 감지될 경우에만 입력키(10)의 선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터치하여 스침입력을 수행하면, 'ㅏ'는 2개의 터치감지부(30)가 모두 감지할 수 없으므로 유효한 신호가 되지 못하게 되어 '겁'이 입력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1)는, 자음입력키세트(C)와 모음입력키세트(V)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의 동심원 상에 원형으로 배치된 것이다.
여기서, 각 입력키세트(C, V) 내에 포함된 입력키(10)들은 각각 상호 균일한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모음입력키세트(V)는 내부열에, 자음입력키세트(C)는 외부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음입력키세트(C)가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자음입력키세트(C)에 포함된 각 입력키(10)가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이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입력만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경우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입력키세트(C)의 외부에 전환입력부(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모음입력키세트(V)는 터치입력만이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이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9의 (b) 및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입력키세트(V)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모음입력키세트(V)는 문자입력모드가 이외의 모드에서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기능과 같은 방향지시기능, 모드선택기능, 확인/취소 등의 기능이나, 볼률조절 또는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입력키세트(V)의 내부에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 중 하나 이상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입력키(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내부입력키(15)에는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배치될 수도 있고, 문자전환, 입력모드전환, 확인/취소 등의 명령어가 할당될 수도 있고, 통화모드시에는 통화/종료 등의 기능이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내부입력키(15)의 누름입력은 누름의 세기에 따라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으로 구분되어 입력되어질 수 있다.
상기 각 경우에 있어서, 각 입력키세트(C, V) 내의 복수 감지시의 유효 신호 판별 및 각 입력키(10) 사이의 간섭방지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1)에서의 구체적인 입력예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1경로(①)를 통하여 터치, 터치, 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잔'을, 누름,터치,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경로(②)를 살펴보면, 누름, 터치(최초신호 선택시), 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윱'이 입력될 수도 있고, 누름, 터치(최종신호 선택시), 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욥'이 입력될 수 있으며, 터치, 터치(소정시간 이상 유지), 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웁'이 입력될 수 있다.
제3경로(③)의 경우에는 터치, 터치(최초신호 선택시), 누름을 연속하여 입력함으로써 '잗'을 입력할 수 있고, 내부입력키(15)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터치,누름(내부입력키(15) 누름)을 통해서 '재'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모음입력키세트(V)에서 누름입력이 발생하면 그 이전이나 이후의 모음입력키세트(V) 내에서의 터치입력은 무시하도록 하여 최초신호나 최종신호를 선택하는 효과를 줄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b)의 제1경로(①)를 살펴보면, 터치(ㅈ), 누름(ㅏ, 최초신호 선택시), 누름(ㅂ)을 통하여 '잡'을, 터치, 누름(최종신호 선택시), 누름을 통하여 '줍'을 입력할 수 있다. 제2경로(②)에 대해서는, 터치(ㅊ), 누름(ㅓ), 누름(ㄴ)을 통하여 '천'을 입력하게 된다.
한편, 도 9의 (c)를 참조하면, 자음입력키세트(C)의 외부에 전환입력부(40)가 마련되어 있어서, 입력키(10)의 단독 터치의 경우((나) 참조)에는 내부에 배열 된 문자(검게 색칠된 부분)가,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40)가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가)참조)에는 외부에 배열된 문자가 입력된다.
즉, 제1경로(①)의 경우, 동시터치(ㅈ), 누름(ㅏ), 누름(ㅅ)에 의해서 '잣'이 입력되며, 제2경로(②)의 경우, 동시터치(ㅊ), 누름(ㅓ, 최종신호선택시), 단독터치(ㄹ)에 의해서는 '첫'이, 단독터치(ㄴ), 누름(ㅗ, 최종신호 선택시), 단독터치(ㄹ)에 의해서 '놀'이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하면, 자음입력키세트(C)와 모음입력키세트(V)를 서로 다른 동심원상에 원형으로 배열함으로써 최단 경로를 통하여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을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속도가 최소화하는 한편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며, 원형배열에 의해 입력장치의 외관이 향상된다.
여기서, 각 입력키세트(C, V)에 포함되는 입력키(10) 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8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9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7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자음입력키세트(C)와 모음입력키세트(V)가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입력키세트에는 각국의 문자의 갯수 및 종류에 따라 다른 성격의 문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글문자를 자음입력키세트(C) 및 모음입력키세트(V)에 배열하는 경우, 한글의 자음은 14개, 모음은 10로 구성되므로 모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는 모음입력키세트(C)에 포함된 4개의 입력키(10)에 배치하고, 'ㅡ, ㅣ'는 자음입력키세트(V)에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한 입력키의 배치는 모음입력키세트가 자음입력키세트의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에만 제한을 받을 뿐, 각 입력키세트 내에 포함된 각 입력키의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의 배치는 제한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한편, 케이스(110)에는 전술한 입력키(10)이외에 각종 기능키들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입력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터치감지부(30)의 작동 및 정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기능선택키(12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입력키(10)를 통한 문자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문자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전환키(123)를 더 포함하며, 터치감지부(30)는 모드전환키(123)가 선택된 경우에 작동되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터치기능선택키(121) 및 모드전환키(123)는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다른 일반기능을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은 입력키 접촉에 의한 터치입력 수행을 방지한다.
즉, 전화통화시에는 사용자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을 지지한 채로 통화를 하거나, 케이스(110)의 입력영역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터치입력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숫자입력은 누름입력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터치입력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뿐만 아니라 모드 전환, 메뉴 선택, 볼륨 조절, 커서 이동, 방향 지시 또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기능은 마우스에 구비되는 기능으로 연속적으로 신호가 이어지는 것을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입력키(10)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경우, 입력키(10)의 원호방향을 따른 신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34에는 본 실시예의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링형상으로 배열된 제1입력키(11)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입력키(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입력키(11)의 내부에는 내부입력키(15)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입력키(11)는 터치에 의한 1단입력, 누름에 의한 2단입력이 수행되며, 제2입력키(12)는 터치 또는 누름에 의하여 1단입력이 수행된다.
해당 구성에서 영문'BUS'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B'가 할당된 제1입력키(11)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내부입력키(15)를 거쳐 제2입력키(12)까지 진행하면서 'U'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스침을 연속으로 수행하여 'S'가 위치한 제1입력키(11)까지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침입력시 유효신호 선택은 도 33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 이렇게 지나칠 때 해제나 유지되지 않은 신호들은 모두 무시된다. 그래서, 떼지 않고도 원하는 문자들만 입력할 수 있어 빠른 스침입력이 가능하다.
이상,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입력키(10)에서의 1단 및 2단입력구성,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 감지방법, 제어부의 제어방법, 스침입력, 2벌 등에 대한 모든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하 각 실시예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에도 공통하여 적용됨을 밝혀둔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입력키(10)가 제1입력키(11)와, 제1입력키(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12)로 마련되어,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가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가 해당 입력키(10)에 본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10)는 제1입력키(11)와 제1입력키(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제2입력키(12)를 포함한다.
제1입력키(11)는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원형 및 직사각형 배열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배열을 구성하는 제1입력키(11)의 갯수도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입력키(1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경우, 제2입력키(12)는 제1입력키(11)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제1입력키(11)의 외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에도 다양한 배열방법이 가능한 바, 예를 들어, 각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에는 자음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조합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는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각각 일정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입력키(11)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바, 1단입력과 2단입력은 각각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키(10)에서 수행되는 제1문자, 제2문자 및 이하, 조합입력이나 순차입력등으로 수행되는 제3문자 내지 제7문자들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문자 및 제2문자는 자음문자로 마련되고, 제3문자 내지 제7문자는 모음문자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경우에 있어서, 누름입력은 2단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터치입력의 경우, 터치감지부(30)은 광센서, 초음파센서, 비접촉식 정전용량센서와 같이 비접촉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접촉식 정전용량 센서 등과 같 은 접촉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의 하부에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에서 사용되는 감지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누름입력의 경우, 누름감지부(40)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누름스위치 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누름입력이 수행된 후 상기 제1입력키(11)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각 제1입력키(11)가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으로 구성되는 경우, 누름입력이 발생할 때 마다 터치입력이 감지되므로,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이 소정시간 이내에 함께 감지되면 상기 터치입력에 의한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누름입력에 의한 신호만 처리할 수 있다.
각 제1입력키(11)가 다단의 누름입력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다단의 누름입력은 제1입력키(11)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 바, 이 때, 상기 1단 누름입력과 2단 누름입력과의 차이를 주기위하여 메탈톰 등의 클릭수단을 더 마련할 수 있다.
또한, 1단의 누름입력과 2단의 누름입력 사이의 유효한 신호선택에 관하여는 전술한 터치입력과 누름입력 사이의 신호선택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제1입력키(11)의 1단입력 또는 2단입력과, 제2입력키(12)가 조합되는 경우 제3문자가 입력된다.
여기서,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이란, 예를 들어, 제1입 력키(11) 및 제2입력키(12)가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가 이를 새로운 입력신호로 간주하여 제1입력키(11)에 본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문자배열을 나타낸 개념도로 도 11의 (a)는 한글문자 입력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의 (b)는 숫자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밑줄 표시가 있는 문자는 1단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를, 그렇지 않은 문자는 2단 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2문자를 나타내며, 원 안에 기재된 문자는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를 뜻한다.
또는, 제2입력키(12)도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각 문자가 할당될 수 있는 바, 이 때에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문자 및 제2문자는 제1입력키(11)에, 제2입력키(12)에 할당된 문자는 별도로 제2입력키(12)에 표시하고, 제3문자는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경계부(경계선)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입력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데이터가 한글인 경우, 상기 제1문자 및 제2문자문자 또는 제2입력키(12)의 단독입력에 의한 문자에는 자음문자를 할당하고, 제3문자에는 모음문자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입력키(10)의 입력용량에 따라서 몇개의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가 다른 입력키(10)로 교차되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11은 배열문자가 3열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입력키(11)를 통해 입력되는 제1문자 및 제2문자는 자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는 모음문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쌍자음의 입력은 별도의 쌍자음입력키(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쌍자음입력키와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를 조합하여 입력 할 수 있다.
또는, 제1입력키(11)의 입력이 연이어 두 번 수행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정확한 입력을 위해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20)를 각 입력키(10)마다 다수개로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제1입력키(11)의 단독입력과,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을 구별하여 입력하게 되므로, 제2입력키(12)로의 선택이 예민하게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1입력키(11)의 단독입력시 입력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2입력키(12)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20)를 다수개의 감지라인으로 구성하여 특정 개수 이상의 감지라인에서 감지되는 경우만 유효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제1입력키감지부(21), 제2입력키감지부(22), 및 제3입력키감지부는 각각 다수개의 감지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a)는 제1입력키감지부(21), 제2입력키감지부(22), 및 제3입력키감 지부가 각각 2개의 감지라인으로 구성된 예이고, 도 14의 (b)는 제1입력키감지부(21), 제2입력키감지부(22), 및 제3입력키감지부가 각각 3개의 감지라인으로 구성된 예이다.
상기 감지라인의 개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입력을 설명한 개념도로서, 도 15의 (a)는 제1입력키(11)의 신호처리를, 도 15의 (b)는 제2입력키(12)의 신호처리를, 도 15의 (c)는 제3입력키의 신호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 15의 (a)를 참조하여 제1입력키(11)의 신호처리를 설명하면, 제1입력키(11)의 신호를 제1입력키감지부(21)가 단독으로 감지(e1 참조)하면 제1입력키(11)에 단독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된다.
제1입력키감지부(21)와 제2입력키감지부(22)의 감지라인 일부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e2 참조)에는, 제어부는 더욱 정확하게 감지된 제1입력키감지부(21)의 신호만 유효하에 판단하여 제1입력키감지부(21)가 단독으로 감지되는 때와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입력오류를 방지하는 다른 방법으로,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와의 감지신호 발생시간이 소정 시간간격 이내인 경우만을 유효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제2입력키(12)가 스쳐 지나가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제2입력키(12)의 신호를 무시하여 소정 시간 내에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신호가 감지되었다 하더라도 스침에 의한 오입력을 방지할 수도 있어 상기 입력키(10)에서 손을 떼지 않고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문자의 스침입력시 이동경로가 꺽어지는 지점에서는 감지부위를 직선방향으로 스쳐지나갈 때보다 자연적으로 더 오랜 시간 손가락이 머물게 되어, 해당지점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길어지므로 소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판단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입력을 시작할 때의 위치(손가락이 맨 처음 닿게 되는 위치) 및 입력이 종료될 때의 위치와(손가락을 마지막으로 떼는 위치), 입력상태를 유지할때의 경우는, 스쳐지나가는 입력과의 신호유지 시간의 차이가 발생되며, 이 시간의 차이는 매우 미묘하지만 시간설정을 통하여 유효한 신호와 무시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다른 학습이나 숙달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자연스럽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을 스침입력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입력시간의 설정을 통한 입력처리(이른바, 딜레이 타임 설정)를 통해 시중의 많은 전자제품이나 터치패드의 스크롤 기능이 수행되고 있으며 터치감지부(20)로 정전용량센서가 구비되어 변위량 차이를 이용하는 것 역시 입력시간의 차이를 이용한 것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키(12)를 반구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제2입력키(12)의 가장자리가 제1입력키(11)와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입력키(12)가 의도적인 수행에 경우에만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는 감지부(20)를 통해 감지된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감지신호 중에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구비된 사용예로 점차 얇아지고 소형화되며 빠른 데이터를 입력해야하는 휴대폰에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휴대폰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입력해야하는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키(11)와, 제1입력키(1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입력키(12) 및 제2입력키(1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3입력키(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의 (a)는 제1입력키(1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입력키(12) 및 제3입력키(13)가 순차적으로 제1입력키(11)의 외측에 링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입력키(11)를 포함한 각 입력키는 복수의 입력키가 분할되며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의 (b)는 도 1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단면도로 제1입력키(11), 제2입력키(12) 및 제3입력키(13)의 경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지 않고도 각각의 입력키들을 구별하여 위치파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각 입력 키(10)에 본래 할당된 제1문자 및 제2문자가 입력되고,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에 의해서 제3문자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입력키(11)는 8개로 마련되어 내부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입력키(12)는 제1입력키(11)의 외측에 8개로 마련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에는 할당된 자음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에 걸쳐 표시된 모음문자는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1입력키(11)로부터 제2입력키(12)로의 스침입력으로 자음, 모음, 자음을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 즉, ①의 경로를 따라 스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ㅊ'(제1입력키 단독입력), 'ㅏ'(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조합입력), 'ㄴ'(제2입력키(12) 단독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찬'이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이 간편할 뿐 아니라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입력키(10)들을 유선형으로 터치하는 1회의 스침입력으로 2 이상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제1입력키감지부(21), 및 제2입력키감지부(22)는 각각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감지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키(11)의 내부에 내부입력키(15)가 더 마련되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각종 기능이 할당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부입력키(15) 또는 제2입력키(12)가 제1입력키(11)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내부입력키(15) 또는 제2입력키(12)는 할당된 문자, 숫자, 기호등의 데이터입력, 모드변경, 엔터, 스페이스, 취소 등의 각종 기능입력 또는 제1입력키(11)와의 조합입력등 중앙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중앙입력기능은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20)는 전술한 감지라인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 각각에 5개의 감지라인이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3세트의 감지라인이 형성되어 하나의 입력부에 각각 15개의 감지라인이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감지라인의 배열 및 개수는 입력키(10) 및 감지라인이 형성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감지부(20)가 원주방향은 물론 반경방향으로도 다수개 구비된 경우에는, 감지 개수에 따라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사이의 유효신호 판단은 물론 동일한 제1입력키(11)들 사이에서도 유효신호 판단이 가능해진다.
즉, 1개의 제2입력키감지부(22) 내부에서만 감지된 경우(e1)와, 2개의 제2입력키감지부(22)에 걸쳐 감지되었으나 감지면적이 어느 일측에 치우친 경우에는 모두 소정 제2입력키(12)로의 입력만을 유효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10) 영역을 다수개의 감지라인이 구비되도록 하고 2개 이상의 입력키(10)이 감지된다 하더라도 감지되는 영역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빠른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협소한 면적에 다수개의 입력키(10)가 조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키(10)들 간의 '간섭'에 의한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3에는 본 실시예의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외부에는 8개의 제1입력키(10)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4개의 제2입력키(12)가 마련되어 있다.
원호 밖에 표시된 문자는 터치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이고, 원호 안에 표시된 문자는 누름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내며,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의 사이에 있는 네모안의 문자는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낸다.
이에, 영문 'BUS'를 입력할 때에는 제1입력키(11)의 해당위치에서 출발('S'입력)하여 조합입력에 의해 'U'를 입력하고 다시 제1입력키(11)로 복귀하여 'S'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정의 순차조합시에만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제1입력키(11) 사이에서도 최초발생신호와 최초신호가 발생한 뒤 신호가 해제(최종)되거나 유지되는 부분에서만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면, 각각의 문자마다 별도의 입력동작을 취하지 않고 이와 같이 이어서 한번의 유선형 스침동작으로 매우 빠르게 한단어씩 입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입력키(12)는 터치나 누름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터치입력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도 33의 (a)는 제2입력키(12)가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실시예이고, 도 33의 (b)는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전술한 도 34에 있어서도, 최초발생신호와 최초신호가 발생한 뒤 신호가 해제(최종)되거나 유지되는 부분에서만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면, 각각의 문자마다 별도의 입력동작을 취하지 않고 이와 같이 이어서 한번의 유선형 스침동작으로 매우 빠르게 한단어씩 입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조합입력에 의한 제3문자가 할당된 입력키(10)들을 추가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일한 입력용량에서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입력영역의 좌우 또는 상하에 2벌로 마련함으로써, 입력용량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복수의 입력키(10)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전환입력부(55)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가 입력키(10) 및 전환입력부(55)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순차입력에 의하여 제4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각 입력키(10)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자음문자가 입력되고, 입력키(10), 전환입력부(55)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어떠한 입력도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전환입력부(55), 입력키(10)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 모음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어떠한 입력도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입력키(10)는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바, 제어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입력키(10)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원주입력이 수행되는 겨우 마지막으로 선택된 입력키(10)에 할당된 문자만을 유효하게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입력키(10)들의 내부에 대응하는 원의 중심에 마련된 전환입력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입력키(11) 및 전환입력부(55)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내부 순차입력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선택되는 외부 순차입력이 수행되 면, 제4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각 경우에 있어서, 입력키(10) 또는 전환입력부(55) 중 어느 하나에는 할당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상기 순차입력의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키(10) 또는 전환입력부(55)는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입력키(10)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은, 터치입력과 누름입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단의 누름입력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각 경우에 있어서, 누름입력을 2단(또는 3단)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입력키(10)는 8개로 마련되어 입력영역(P)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입력키(10)는 스침입력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10)와 동일한 높이 또는 거의 유사한 높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입력키(10)는 개별적인 구성품이 아닌 일체형인 링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력키(10)가 일체형의 링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8개의 입력키와 같이 방사 상의 8개 방향으로 상기 8개의 입력키와 같이 방향누름 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링타입은 원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각 입력키(10)에는 2 이상의 제1문자가 중복할당될 수 있다. 이는, 일본어문자와 같이 다수개의 음소를 가진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즉, 입력키(10)를 8개로 마련하는 경우, 입력키(10)의 1단입력과 2단입력에 각각 16개의 제1문자가 할당되고,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순차입력에 의해 8개의 제4문자가 할당되므로 총 24개의 문자할당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글의 경우에는 입력키(10)의 갯수나 다단입력을 추가하지 않고도 모든 음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알파벳이나 일본어 또는 한문과 같이 음소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입력키(10)의 추가, 다단입력의 추가 또는 2벌구성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문자입력의 경우에 제1문자에는 자음이 할당되고, 제4문자에는 모음이 할당될 수 있다.
이는, 각국 문자에 있어서, 모음의 경우 자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마련되므로 입력용량을 비교적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입력키(10)에 자음문자를 배치하고, 순차입력에는 모음문자를 배치하는 것이다.
전환입력부(55)는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원판형 또는 링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의 (a)는 전환입력부(55)가 입력키(10)의 내측에 원판형으로 마련된 일 실시예이고, 도 18의 (b)는 전환입력부(55)가 입력키(10)의 외부에 일체형의 링타입으로 마련된 일 실시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키(10)가 직사각형 배열로 마련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키(10)들은 각각 4개의 입력키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전환입력부(55)는 (a)와 같이 입력키(10)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고, (b)와 같이 상기 입력키(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9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는 일 실시예로서 입력키(10)의 수와 배열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환입력부(55)는 터치입력, 누름입력, 터치/누름입력과 같은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개별적으로 별도의 입력 또는 모드 변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휴대폰의 통화/종료기능이나 확인/종료의 입력키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입력키(10)와 같이 모드 전환, 메뉴 선택, 볼륨 조절, 커서 이동, 방향 지시 또는 스크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10)는 제1입력키(11)와 제3입력키(13)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입력키(13)는 제1입력키(11) 또는 전환입력부(55)와의 조합된 동작으로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예가 아니더라도 휴대폰의 통화/종료키와 같이 별도의 개별적인 키가 제1입력키(11) 또는 전환입력부(55)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입력키(11)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제1문자가 입력되고, 제1입력키(11)과 전환입력부(55)의 순차입력에 의해 제4문자가 입력되며, 제1입력키(11)과 제3입력키(13)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환입력부(55)는 입력키(10)와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하여 문자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3입력키(13)가 더 구비될 경우, 제3입력키(13)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문자, 기호, 숫자 등을 모드 변환 없이 직접 입력이 가능하므로 더욱 빠른 입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제3입력키(13)는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이 근접하게 위치하여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동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는 형태라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이외의 다양한 형태에 구비되어진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입력키(10)에 배치되는 제1문자는 2 이상이 중복하여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문자에는 자음문자가 배치되고, 제4문자에는 모음문자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 자음과 모음의 위치가 상술한 바와 반대로 배열될 수 있으나 자음과 모음 중에 그 개수가 더 많고 사용빈도가 높은 것이 입력키(10)을 통하여 입력되고 아닌 것이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과의 순차적인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다른 여러 형태로 문자가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문자뿐 만 아니라 다양한 숫자, 기호, 명령어 등이 배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입력키(10)의 배열문자로 전체 문자의 배열이 어려울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입력부(55)의 터치 또는 누름입력을 통해서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문자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한글, 알파벳, 숫자의 구체적인 배치형태이다.
알파벳의 경우,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10)가 8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1단입력과 2단입력에 의해서 16개를 배치하고, 전환입력부(55)와의 순차입력에 의해 8개를 배치하며, 나머지 2개는 전환입력부(55)에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는, 전환입력부(55)를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 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하는 경우에는 연이어 2번 입력하면 문자가 변환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내외 측에 별도의 입력키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전환입력부(55) 상의 좌우 2방향 또는 상하 2방향에 터치 또는 누름입력 또는 기울임 기능을 마련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한글의 경우에는 상기 별도의 입력키에 “ㅔ”, “ㅐ”를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경우, 전환입력부(55)의 본래 기능인 입력키(10)와의 순차조합으로 제4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감지기능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은 별도로 구별되는 신호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중앙의 구별되는 신호는 터치를 두 번 연속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입력 및 누름입력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전환입력부(55)는 상기와 같은 입력동작으로 모드전환, 확인, 취소, 전화 모드 시에는 통화/종료 등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전환입력부(55)의 방향입력기능을 통해서도 모드전환, 확인, 취소, 전화 모드 시에는 통화/종료 등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전환입력부(55)는 방향이동 또는 방향누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마우스나 게임시 조이스틱으로의 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차입력은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순차적인 선택동작에 의하여 제4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순차입력은 입력키(10)와 전환입력부(55)의 선후관계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고, 동일한 1개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순차입력은 2종류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입력키(10), 전환입력부(55) 순으로의 순차입력(도 22의 (a))만을 유효하게 판단하고, 그 반대의 순차입력(도 22의 (b))에 의해서는 어떠한 데이터도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에서도, 스침입력이 가능한 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침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ㄹㅁ”과 같이 연자음을 입력할 경우에, 2이상의 입력키(10)를 연속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복수의 감지신호들 중에서 최초감지된 신호와 최종 감지된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감지신호를 판단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수의 감지신호가 연달아 발생할 때 어느 한 시점이라도 최소한 어느 한 신호에서라도의 신호감지가 끊김이 없이 연이어 지속적으로 발생되다가 신호가 끊기면 이를 최종감지신호로 판단하거나, 또는 2이상의 스침입력이 각각 소정의 시간간격 내에 연속적으로 감지되다가 소정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소정시간 이상 다음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이를 최종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입력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4의 (a)는 한글배열의 예로서, 8개의 입력키(10)가 2열로 배치되며, “ㅔ, ㅐ”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 키(10a)가 하나 더 배치되어 있다.
각 입력키(10)의 맨위에 배치된 문자는 터치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이고, 가운데에 배치된 문자는 누름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를 나타내며, 맨 아래에 배치된 문자는 순차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4문자를 나타낸다.
도 24의 (a)의 나타낸 선은 한글“눕”을 입력하기 손의 움직임을 가리키는 선으로 제1문자에 속하는 “ㄴ”에 해당되는 입력키(10)을 터치입력하고, 전환입력부(55) 및 입력키(10)의 순차입력을 통해 “ㅜ”을 입력한 후에, 스침입력을 통해 “ㅂ”을 터치하여 입력한다.
이 때, 순차입력은 전환입력부(55)에서 입력키(10c)로의 순차적 터치에 의해서만 입력되며, 입력키(10b)에서 전환입력부(55)로의 순차적 터치에 의해서는 입력 이 무시된다.
한편, 입력키 10c 에서 10d로의 스침입력에는 최종신호만을 유효하게 판단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있다.
도 24의 (b)에는 반대방향의 순차입력을 이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한글“넣”을 입력할 경우 상기 제1문자 “ㄴ”이 배치된 입력키(10e)를 터치한 후에, 제3문자 'ㅓ'가 배치된 입력키(10f)를 터치하고 연이어 전환입력부(55)를 터치입력하여 "ㅓ”를 입력한다. 그 후 제1문자 “ㅎ”이 배치된 입력키(10g)를 누름입력하면 “넣”의 입력이 완료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환입력부(55)에서 입력키(10)로의 순차입력은 무시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원형배열 형태에서의 입력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25의 (a)는 “섬”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움직임의 경로로 입력키(10j)에서의 제1문자에 속하는 “ㅅ”을 터치입력하고, 전환입력부(55)와 입력키(10i)와의 순차입력으로 “ㅓ”를 입력가능하며, 입력키(10h)에서의 제1문자 “ㅁ”을 누름입력함으로서 ‘섬’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키(10j)에서 전환입력부(55)으로의 순차입력은 무시되며, 전환입력부(55)에서 입력키(10i)으로의 순차입력에서는 입력키(10i)의 단독입력이 무시된다.
한편, 도 25의 (b)는 한글 '귿'을 입력하기 위한 움직임의 경로로서, 입력 키(10h)에서 제1문자에 속하는 'ㄱ'을 터치입력하고, 입력키(10j)에서 전환입력부(55)로 순차입력을 수행하여 'ㅡ'를 입력한 후에, 입력키(10i)를 터치하여 'ㄷ'을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키(10)에 포함된 각 입력키들 사이의 입력에서는 상기 입력키들이 2 개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어질 때에는 최초입력신호와 최종입력신호만이 입력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5의 (c) 및 (d)에는 알파벳 입력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5의 (c)를 참조하면, ①은 영문 'RASER'를 입력하기 위한 스침입력 경로이고, ②는 'THE'를 입력하기 위한 스침입력 경로이며, 도 25 (d)의 ③은
최종입력신호의 판단방법은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스침입력(스침)을 행하다 최종 입력 시 손가락을 입력키에서 그냥 떼면 터치입력 시의 문자가 입력되고, 누름입력을 한 후에 떼면 누름입력 시의 문자가 입력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함과 동시에(별도의 개별적인 입력동작 없이) 상기 입력키 내에서의 또 다른 문자를 스침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어, 각각의 입력키들을 별개의 동작으로 터치하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유선형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모-자의 입력 시 먼저 입력키(10)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을 터치입력이나 누름입력을 통하여 선택하고, 두 번째로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상기 전환입력부(55)을 지나(터치입력) 입력키(10)을 터치함으로써 선택하고, 세번째로 입력키(10) 상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을 터치입력이나 누름입력 통하 여 선택하게 된다.
이 때, 상기의 세 번째 자음입력 시에는 두 번째의 모음입력 후 개별적인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침입력을 통하여 두 번째 모음 입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이어 입력하여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입력방법은 자-모 또는 자-모-자의 입력 시 각각 개별적인 동작을 통한 입력이 아니라 한 번의 유선형 스침 동작으로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대다수의 언어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대 다수의 단어들은 자-모 또는 자-모-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고 1개의 단어는 평균 4.7개의 음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입력방법을 취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1번의 유선형 스침 동작으로 1글자~1단어씩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자-모와 자-모-자의 형태만이 아닌 자-자-모, 모-모-자, 모-자-모, 모-자-자 등의 형태도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입력부(55) 또는 입력키(10) 중 어느 하나에는 순차입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의 표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복수의 입력키(10)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각 입력키(10)에는 제5문자가 중복할당되어, 이벤트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상기 제5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이벤트입력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스침입력의 수행 중 소정 입력키(10)에서 손을 떼어 터치감지신호를 해제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입력키(10)에서의 신호해제에 의한 것으로, 들어, 감지시간의 차이, 감지되는 전류값의 차이 또는 감지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신호 해제 방법을 이용한 이벤트입력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키(10)의 일부분(A1)을 터치하면 해당 입력키(10)에 할당된 제1문자가 입력되고, 원호방향을 따라 복수의 입력키(10)들을 스치면서 입력을 지속한 뒤, 소정 위치(A3)에서 손을 떼어 신호를 해제하면 이를 이벤트입력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대신 제5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감지시간의 차이에 따른 이벤트입력은, A1 위치에서 제1문자를 입력한 후, A2를 거쳐 스침입력을 수행한 뒤, A3 위치에서 설정 시간 이상 감지 신호가 지속되면, 제어부는 이를 이벤트입력으로 판단하여 A3위치에 할당된 제5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물론, A2 위치에서 감지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라면, 제5문자 대신에 A2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가 입력된다.
전술한 감지시간의 차이에 따른 이벤트입력은 스침입력의 중간단계에서도 수행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A1 위치에서 A3 위치까지 스침입력을 하는 동안 A2위치에서 설정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에는 A2위치에 할당된 제5문자가 입력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A1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A2위치에 할당된 제5문자 및 A3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가 차례로 입력되는 것이다.
이벤트입력은 신호의 유지 또는 해제 이외에도 압력값이나 정전용량값등 여러가지 신호의 변화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이벤트입력은 입력키(10)의 누름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측면을 눌러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이벤트입력은 각 입력키(10)로 행해지는 스침의 방향을 달리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각 입력키(10)의 터치나 원주방향으로의 스침의 경우에는 단독입력으로 하고,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에 의해서는 이벤트입력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감지부(30)는 각 입력키(10)로의 터치 또는 원주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부(30a) 및 각 입력키(10)에의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30b)로 마련된다.
또는, 이벤트입력은 모음부터 입력한 후에 원주방향으로 이동터치하다가 이벤트입력이 발생되면 반대로 자음이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벤트입력시, 소정의 입력키(10)에 중복할당되어 있는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입력키(10)에의 터치가 소정시간 유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키(10)에 터치에 의한 제1문자로 'ㅈ'이 할당되고, 이벤트입력에 의한 제5문자로 'ㅏ'가 할당된 경우, '자'를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동일한 입 력키(10) 상에서 스침입력 등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최초 해당 입력키(10)를 터치함으로써 'ㅈ'이 입력되고, 터치된 상태로 소정시간동안 유지할 경우 'ㅏ'가 추가로 입력되어 '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키(10)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된 제1입력키(11)와, 제1입력키(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12)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6에는, 일체형의 링형상을 갖는 제1입력키(11)의 내부에 제2입력키(12)가 구비된 것이다.
제1입력키(11)는 하측에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이 마련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7에는 복수의 제1입력키(11)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원형으로 배치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입력키(11)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일체형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클릭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입력키(11)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6 및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입력키(11)들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마우스 스크롤 또는 볼륨조절과 같은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다.
제2입력키(12)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키(11) 내측에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제1입력키(11)의 외측에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배치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는 제1입력키(11)와 제2입력키(12)를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입력키(10)에 원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에 링형상의 제1입력키(11)가 마련되고, 제1입력키(11)의 내부에는 원판형상의 제2입력키(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입력키(11)의 하부에는 누름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21)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입력키(11)로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부(3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1단입력 및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며, 1단은 터치입력으로 하고 2단은 누름입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1단 및 2단이 모두 누름입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입력키(12)가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키(11) 내측에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2입력키(12)의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2가지의 신호가 구별되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입력키(12)는 방사방향(바람직하게는 4 또는 8방향)으로 터치입력/누름입력 또는 1단 누름입력/2단 누름입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입력키(11)의 크기 및 이용되는 환경에 따라 동서남북 4방향 외에도 상기 터치입력/누름입력 또는 1단 누름입력/2단 누름입력기능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제2입력키(12)에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방사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드나 수평이동기능을 통해 마우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자리의 입력에 의해서는 마우스의 좌ㆍ우 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입력키(12)를 통하여 필기체 등의 문자인식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기능은 본 실시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도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입력키(12)가 제1입력키(11) 외측에 링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1단입력 및 2단입력이 각각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에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각종 기능명령이 할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글입력의 경우, “ㅡ, ㅣ”가 할당될 수 있다.
제2입력키(12)는 이외에도, 모드변경, 문자입력시 커서이동기능이 수행될 수 도 있다.
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키(12)의 방향 이동에 의해 마우스 포인터 움직이거나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거나 각종 모드로의 변경 또는 엔터 스페이스 취소 커서이동 등 각종 명령키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입력키(12)의 방사상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2입력키(12)의 이동이 감지된 해당 방사방향에 할당된 제6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2입력키는 이동되지 않지만, 제2입력키(12)에서 수행되는 터치이동의 방향에 따라 이에 할당된 제6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감지부(30)는 터치의 이동방향을 감지가능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한글, 영문, 숫자의 배열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 31의 (a)의 한글인 경우, 그 개수가 많고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제1문자)이 제1입력키(11)에 중복할당되며, 이벤트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모음(제5문자)가 원안에 표시되어 있다.
제1입력키(11)에 중복할당된 문자는 1단입력 및 2단입력에 의해 각각 구분되어 입력된다.
한편, 제2입력키(12)에는 한글모음 'ㅡ,l'가 배치된다.
예를들어, 1단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이고, 2단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1문자는 “ㅈ, ㅊ, ㅋ, ㅌ, ㅍ, ㅎ”이며, 이벤트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이다.
배열되는 개수가 적은 숫자의 경우에는 도 31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키(11)에만 중복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제1입력키(11) 또는 제2입력키(12)에 1개씩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입력키(11) 및 제2입력키(12)의 배열과, 문자등의 배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1단입력이 터치입력(중앙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문자)이고, 2단입력이 누름입력(중앙에서 상대적으로 먼 문자)인 경우, "특허청”의 입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ㅌ”이 해당되는 위치의 제1입력키(11) 부분을 누름입력하고, 제2입력키(12)를 터치입력하여 "ㅡ”를 입력한 후에, “ㄱ”에 해당되는 위치의 제1입력키(11) 부분을 터치입력하여 '특'을 입력한다.
다음, “ㅎ”에 해당되는 제1입력키(11)의 특정 부분을 누름입력한 뒤, 제1입력키(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스치면서 신호를 유지하고, “ㅓ”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신호를 끊어 이벤트입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ㅊ”에 해당되는 제1입력키(11)의 특정부분을 누름입력하고, 제1입력키(1)의 원호방향을 따라 스치면서 신호를 유지한 다음, “ㅓ” 위치에서 신호를 끊어 이벤트입력을 수행하고, “ㅇ”에 해당되는 제1입력키(11)의 부분을 터치입력함으로써 “특허청”의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 뿐 아니라, 데이터를 입력해야하는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환 신호의 감지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어 반복입력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줄일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하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110) 양측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침입력을 통하여 연음소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침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4,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에서 제1입력키 및 전환입력부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키 및 제2입력키의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2벌로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키 11 : 제1입력키
12 : 제2입력키 13 : 제3입력키
14 : 관통부 15 : 내부입력키
16 : 돌출부 20 : 감지부
21 : 제1입력키감지부 22 : 제2입력키감지부
23 : 제3입력키감지부 30 : 터치감지부
31 : 정전용량센서 32 : 도전성 접촉부재
33 : 계측소자 34 : 접촉체
35 : 연결선 36 : 전도성 탄성부재
30a : 제1터치감지부 30b : 제2터치감지부
40 : 누름감지부 41 : 누름감지부
42 : 돌기 51 : 이동감지부
55 : 전환입력부 100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케이스 130 : 표시부
140 : PCB 기판

Claims (43)

  1.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 및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입력키와;
    상기 각 입력키로의 1단입력 및 2단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에 중복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로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마련되고, 상기 2단입력은 상기 각 입력키가 상하로 이동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누름입력을 감지하는 누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입력 및 2단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구분되는 누름입력으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입력키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누름스위치 또는 상기 입력키로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상하 이동거리 또는 누름압력의 세기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단의 누름입력에는 클릭수단이 마련되어 1단의 누름입력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4 x3 배열 방식에 한 개의 키를 더 추가하여 총 13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2이상의 행과 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배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에는 소정의 자음문자 및 모음문자가 동시에 할당되고,
    상기 각 입력키와 조합입력에 의해 상기 모음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하기 위한 전환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환입력부는 상기 입력키들의 배열 내부 또는 외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소정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1. 제1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는 입력영역의 양측에 2 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은 2이상의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며 수행되는 스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에는 한글문자, 영어문자가 각 입력키에 1개 또는 2이상이 중복하여 배치되되, 문자입력시 자주 사용되는 연자음 또는 연모음은 인접한 상기 입력키에 연이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자음문자가 할당된 자음입력키세트와, 모음문자가 입력된 모음입력키세트로 분할되며, 상기 자음입력키세트 및 모음입력키세트는 상기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자음,모음 또는 자음, 모음, 자음의 순서로 상기 각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자음문자가 할당된 자음입력키세트와, 모음문자가 입력된 모음입력키세트로 분할되며, 상기 자음입력키세트 및 모음입력키세트는 상기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자음, 자음, 모음 또는 모음, 자음, 자음의 순서로 상기 각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를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입력키에 원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입력키 및 제2입력키의 조합입력에 의해서는 모음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각 제1입력키 및 제2입력키 마다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의 감지신호 중에서 소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키, 제2입력키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1.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전환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키 및 전환입력부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순차입력에 의하여 제4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 전환입력부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되되,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입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의 단독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전환입력부, 입력키의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되되, 반대 순서에 의한 순차입력에 의해서는 입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입력키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원주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선택된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만을 유효하게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입력키에의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터치입력 또는 누름입력에 의해서는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키에의 반경방향 터치에 의해서는 제4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6.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키에는 할당된 제4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순차입력의 방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 전환입력부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되고 각 입력키에는 제5문자가 중복할당되며,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5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입력은 상기 스침입력 수행 중 소정 입력키에서 손을 떼어 터치감지신호가 해제되거나, 소정 입력키에의 터치감지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0. 제9항, 제10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입력은 상기 입력키의 누름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측면을 눌러서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1. 제9항, 제10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각 입력키로의 터치 또는 원주방향으로의 스침을 감 지하는 제1터치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에의 반경방향으로의 스침을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문자를,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이벤트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5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원형으로 배치된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입력키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키와 제2입력키를 소정 시간 내에 동시에 선택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입력키에 원래 할당된 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4. 제9항, 제10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키는 소정의 방사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입력키의 방사상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입력키의 이동이 감지된 해당 방사방향에 할당된 제6 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5. 제9항, 제10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제2입력키로의 상기 각 방사방향으로의 터치이동을 감지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입력키에 수행된 터치이동의 방향에 따라 해당 방사방향에 할당된 제6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키 및 감지부는 상기 입력영역에 2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7.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8개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에 할당된 제1 문자 또는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고,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 및 제2입력키감지부에서 소정 시간이내에 동시에 감지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3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문자는 모음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9.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터치 또는 누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7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 제2문자 또는 제7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최초의 입력신호, 소정시간 유지되는 입력신호 또는 해제되는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해당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1.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터치에 의해 제1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단입력과, 누름에 의해 제2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2단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1단입력 또는 2단입력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1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제1입력키 또는 제2입력키에 할당된 제1문자,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며, 또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제2입력키감지부에서 소정시간 내에 동시에 감지되는 조합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제3문자를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1입력키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스침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최초의 입력신호, 소정시간 유지되는 입력신호 또는 해제되는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해당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키는 8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입력키는 4개의 입력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3. 입력영역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8개의 제1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키와;
    상기 원의 중심에 마련되는 내부입력키와;
    상기 제1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1입력키감지부와;
    상기 제2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제2입력키감지부와;
    상기 내부입력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내부입력키감지부와;
    상기 각 입력키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키에 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키, 제2입력키 또는 내부입력키 중 하나 이상은 다단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KR1020070078315A 2006-08-04 2007-08-03 데이터입력장치 KR101136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05 2006-08-04
KR20060073805 2006-08-04
KR20060074472 2006-08-08
KR1020060074472 2006-08-08
KR1020060102559 2006-10-20
KR20060102559 2006-10-20
KR20060102830 2006-10-23
KR1020060102830 2006-10-23
KR20060102732 2006-10-23
KR1020060102732 2006-10-23
KR20070016503 2007-02-16
KR1020070016482 2007-02-16
KR20070016482 2007-02-16
KR1020070016503 2007-02-16
KR20070062590 2007-06-26
KR1020070062590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808A true KR20080012808A (ko) 2008-02-12
KR101136370B1 KR101136370B1 (ko) 2012-04-23

Family

ID=3899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315A KR101136370B1 (ko) 2006-08-04 2007-08-03 데이터입력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195418A1 (ko)
EP (1) EP2054790A1 (ko)
JP (1) JP4940303B2 (ko)
KR (1) KR101136370B1 (ko)
CN (1) CN101517516B (ko)
AU (1) AU2007279515B2 (ko)
BR (1) BRPI0715171A2 (ko)
CA (1) CA2659954A1 (ko)
WO (1) WO200801628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49B1 (ko) * 2008-03-17 2008-06-10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0929431B1 (ko) * 2008-05-06 2009-12-03 노승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WO2009145593A2 (ko) * 2008-05-29 2009-12-03 Oh Eui Jin 데이터 입력장치
KR101438535B1 (ko) * 2013-06-28 2014-09-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창제 원리를 담은 천지인 윷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529A (ja) * 2007-02-13 2010-05-27 ユイ・ジン・オ 文字入力装置
KR101442542B1 (ko) * 2007-08-28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2093654A1 (en) * 2008-02-21 2009-08-26 Mobinnova Hong Kong Limited Input device for complex control signal
JP2009205344A (ja) * 2008-02-27 2009-09-10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情報入力装置
KR100935883B1 (ko) * 2008-07-14 2010-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US20110316811A1 (en) * 2009-03-17 2011-12-29 Takeharu Kitagawa Inpu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put device, and program
US20100321302A1 (en) *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on-roman text input
GB0922165D0 (en) * 2009-12-18 2010-02-03 Pelikon Ltd Human interface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632750B1 (ko) * 2010-01-13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650339B1 (ko) * 2010-03-12 2016-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WM392647U (en) * 2010-06-18 2010-11-21 Sentelic Corp Inpu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212674A1 (en) * 2010-06-25 2013-08-15 Passtouch, Llc System and method for signature pathway authentication and identification
US20170140169A1 (en) * 2013-04-01 2017-05-18 Passtouch, Llc System and method for signature pathway authentication and identification
US20120019448A1 (en) * 2010-07-22 2012-01-2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with Touch Pressure Level Sensing
KR20120016009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US9753544B2 (en) * 2010-12-10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120081422A (ko) * 2011-01-11 201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US8982069B2 (en) 2011-03-17 2015-03-17 Intellitact Llc Keyboard with integrated touch surface
WO2012170410A1 (en) * 2011-06-06 2012-12-13 Intellitact Llc Keyboard with integrated touch surface
US20130100030A1 (en) * 2011-10-19 2013-04-25 Oleg Los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EP2584432A1 (en) * 2011-10-19 2013-04-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US20150177851A1 (en) * 2012-07-03 2015-06-25 N Sringeri Omprakash User input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
CN103970278B (zh) * 2013-01-25 2017-02-08 胡竞韬 一种圆形触感键盘的输入方法及装置
CN103716672B (zh) * 2013-12-19 2016-06-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器、显示装置以及遥控显示系统
USD783035S1 (en) * 2014-05-01 2017-04-04 Beijing Qihoo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6008527A1 (de) * 2014-07-16 2016-01-21 Vega Grieshaber Kg Feldgerät mit einer eingabeeinheit
KR101866740B1 (ko) 2014-11-1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5607772B (zh) * 2014-11-13 2020-11-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CN105607770B (zh) * 2014-11-13 2021-05-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KR101681990B1 (ko) * 2015-04-30 2016-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01014A (ko) * 2015-06-25 2017-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D847148S1 (en) * 2016-12-16 2019-04-30 Asustek Compute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50926B1 (ko) * 2018-08-03 2020-09-02 주식회사 뷰웍스 피검자 인식이 가능한 맘모그래피 장치
USD914042S1 (en) * 2018-10-15 2021-03-23 Koninklijke Philips N.V.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4422881B (zh) * 2022-01-18 2023-08-25 宁波东海集团有限公司 一种低功率通讯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4575C2 (de) * 1978-10-13 1980-12-04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Eingabevorrichtung
JPH02119733A (ja) * 1988-10-31 1990-05-07 Ryobi Ltd 電動リール
JPH0377222A (ja) * 1989-08-17 1991-04-02 Sony Corp 入力装置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US5808567A (en) * 1993-05-17 1998-09-15 Dsi Datotech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three digits of a hand
US5483235A (en) * 1994-02-23 1996-01-09 At&T Corp. Stylus-based keyboard key arrangement
US6307942B1 (en) * 1995-09-02 2001-10-23 New Transducers Limited Panel-form microphones
JP3259619B2 (ja) * 1995-12-19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仮名入力装置
EP0782064B1 (en) * 1995-12-28 2003-04-02 King Jim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US5945928A (en) *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JP3191284B2 (ja) * 1998-06-23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
JP2000278374A (ja) 1999-03-24 2000-10-06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285312B1 (ko) * 1999-03-29 2001-03-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US6378234B1 (en) * 1999-04-09 2002-04-30 Ching-Hsing Luo Sequential stroke keyboard
US7286115B2 (en) * 2000-05-26 2007-10-23 Tegic Communications, Inc.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JP3257540B2 (ja) * 1999-06-10 2002-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ケール型簡易入力装置
WO2001055829A1 (en) * 2000-01-26 2001-08-02 D'agostini Organizzazione S.R.L. Character input device based on a two-dimensional movement sensor
US6593913B1 (en) * 2000-03-14 2003-07-15 Jelly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displayed character using an input device
JP2001331272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GB2367530B (en) * 2000-10-03 2003-07-23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device
JP2002116862A (ja) * 2000-10-05 2002-04-19 Koji Yanagisaw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US6756968B2 (en) * 2000-11-14 2004-06-29 Keybowl, Inc. Ergonomic human-computer input device
US7151525B2 (en) * 2000-11-14 2006-12-19 Keybow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JP4497734B2 (ja) * 2001-02-20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269011C (zh) * 2001-04-19 2006-08-09 旭化成电子材料元件株式会社 指向装置
JPWO2002091156A1 (ja) * 2001-05-07 2004-08-26 大司 松田 文字入力システム
JP4531293B2 (ja) 2001-06-01 2010-08-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機能選択方法
JP2002366277A (ja) * 2001-06-11 2002-12-20 Fujikura Ltd 文字入力スイッチ
JP2003050658A (ja) * 2001-08-07 2003-02-21 Seiichi Komatsu キー入力装置
US7075520B2 (en) * 2001-12-12 2006-07-11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ey press disambiguation using a keypad of multidirectional keys
KR20030073477A (ko) * 2002-03-11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JP2003316500A (ja) * 2002-04-24 2003-11-0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2004206206A (ja) * 2002-12-24 2004-07-22 Casio Comput Co Ltd 入力装置及び電子装置
JP2004220536A (ja) * 2003-01-09 2004-08-05 Beru Techno:Kk 情報処理装置の入力装置
CN1527568A (zh) * 2003-03-03 2004-09-08 刘二中 文字输入方便的手持电话机
JP2005316931A (ja) * 2003-06-12 2005-11-10 Alps Electric Co Ltd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JP2005055962A (ja) * 2003-08-05 2005-03-03 Seiko Epson Corp 入力処理方法、入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処理装置
JP2005202740A (ja) * 2004-01-16 2005-07-28 Seiko Epson Corp マトリクス式入力装置
KR200351906Y1 (ko) * 2004-03-03 2004-06-04 이성찬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
US7710403B2 (en) * 2005-04-26 2010-05-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lide pad membrane
US9182837B2 (en) * 2005-11-28 2015-11-10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modal changes in a device in response to proximity and force indications
CN1776573A (zh) * 2005-12-09 2006-05-24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微型键盘仿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49B1 (ko) * 2008-03-17 2008-06-10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0929431B1 (ko) * 2008-05-06 2009-12-03 노승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WO2009145593A2 (ko) * 2008-05-29 2009-12-03 Oh Eui Jin 데이터 입력장치
WO2009145593A3 (ko) * 2008-05-29 2010-03-25 Oh Eui Jin 데이터 입력장치
KR101438535B1 (ko) * 2013-06-28 2014-09-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한글 창제 원리를 담은 천지인 윷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79515A1 (en) 2008-02-07
JP2009545830A (ja) 2009-12-24
WO2008016286A1 (en) 2008-02-07
CA2659954A1 (en) 2008-02-07
CN101517516B (zh) 2011-08-17
JP4940303B2 (ja) 2012-05-30
US20090195418A1 (en) 2009-08-06
BRPI0715171A2 (pt) 2015-03-24
AU2007279515B2 (en) 2012-01-19
EP2054790A1 (en) 2009-05-06
KR101136370B1 (ko) 2012-04-23
CN101517516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70B1 (ko) 데이터입력장치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US8390583B2 (en)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20100259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WO20090482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59078A (ko) 문자입력장치
JP2011516948A (ja) データ入力装置
KR20080010266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06718A (ko)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입력장치
JP5124574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JP2010518530A (ja) 文字入力装置
WO2009038430A2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10003387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05021A (ko) 더블입력키 및 이를 포함한 데이터입력장치
RU24503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анных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0A (ko) 문자입력장치
WO2008140228A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37651A (ko)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