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49B1 -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49B1
KR100836749B1 KR1020080024284A KR20080024284A KR100836749B1 KR 100836749 B1 KR100836749 B1 KR 100836749B1 KR 1020080024284 A KR1020080024284 A KR 1020080024284A KR 20080024284 A KR20080024284 A KR 20080024284A KR 100836749 B1 KR100836749 B1 KR 10083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ouch sensor
capacitive touch
electronic devic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호
박인식
김병섭
Original Assignee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08002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49B1/ko
Priority to PCT/KR2009/001323 priority patent/WO200911677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키 패드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키 패드가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이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구조 내에서, 정전용량 센싱패드의 추가배치 필요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이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Light emitting type capacitive touch sensor}
본 발명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키 패드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키 패드가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이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구조 내에서, 정전용량 센싱패드의 추가배치 필요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제품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이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예컨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전자기기들에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1), 정전용량 센싱패드(4), 전기발광 시트(6), 인쇄회로기판(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정전용량 센싱패드(4)에 구비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3)들은 전기연결 라인(5)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7)의 컨트롤 서킷(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패드(1)에 구비된 키 유닛(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7)의 컨트롤 서킷(7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여기서, 앞의 전기발광 시트(6), 예를 들어, 이엘 시트(EL sheet: Electro Luminescence sheet)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드(1)의 백 라이트(Back-light)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유닛(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 량 터치센서(20)는, 키 패드(22), 정전용량 센싱패드(24), 인쇄회로기판(27) 등의 구조물들을 앞의 유형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전기발광 시트를 도광필름(26)으로 교체시키는 일련의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도광필름(26)은 광원(28: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패드(21)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앞의 전기발광 시트(6)가 배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유닛(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정전용량 센싱패드(24)에 구비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23)들은 인쇄회로기판(27)의 컨트롤 서킷(2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패드(21)에 구비된 키 유닛(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27)의 컨트롤 서킷(27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20)가 자신에게 주어진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 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가 구조물 내에, 키 패드(1,21), 전기발광 시트(6), 도광필름(26), 인쇄회로기판(7,27)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정전용량 센싱패턴(3,23)들의 형성을 위한 정전용량 센싱패드(4,24)를 필수적으로 추가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취해지지 않는 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20)의 전체적인 규모(예, 사이즈, 중량 등), 단가, 나아가, 공정효율성 등은 정전용량 센싱패드(4,24)의 추가 배치에 비례하여, 매우 커지거나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되며, 그에 비례하여,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규모, 단가 역시 필요이상으로 커지거나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20)의 규모 및 단가, 나아가, 공정효율성 등의 악화 상황 하에서,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에서는, 기기의 슬림화, 가격의 저렴화 등을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피해를 고스란히 입을 수밖에 없게 되며, 사용자 측 역시, 전체적인 기기의 이용 품질이 크게 낮아지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키 패드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키 패드가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이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구조 내에서, 정전용량 센싱패드의 추가배치 필요성을 안정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이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와, 상기 전기발광 시트 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와,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에 따라, 면 발광하여,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도광필름과, 상기 도광필름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 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개시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에 따라, 면 발광하여,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도광필름과, 상기 도광필름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키 패드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키 패드가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이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본격적인 실시환경 하에서,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 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센서(100)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키 패드(110), 전기발광 시트(130), 인쇄회로기판(15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전기발광 시트(130),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드(110)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드 측 키 유닛(111)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 패드(110)는, 종래의 경우와 그 구조를 완전히 달리하여, 자신의 일면, 예컨대, 키 유닛(111)이 설치된 반대면에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을 추가 형성시키는 변화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키 패드(110)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일련의 절연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 턴(112)들이 추가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별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키 패드(110)에 형성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전기연결 라인(11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11)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1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전용량 센싱패드가 아닌, 키 패드(110)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키 패드(110)가,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0)의 규모 및 단가 감소 상황 하에서,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에서는, 기기의 슬림화, 가격의 저렴화 등을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측 역시, 전체적인 기기의 이용 품질이 크게 높아지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키 패드(110)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예컨대, 마스크 인쇄방식, 스크린 인쇄방식 등과 같은 일련의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황에 따라, 식각액을 활용한 일련의 식각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만약,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을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할 경우, 생산자 측에서는 식각방식을 통해,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을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폐기물(예컨대, 왕수, DI 워터 등)에 의한 폐해를 미리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이 형성된 키 패드(110)의 일면에는, 상황에 따라,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 전기연결 라인(113)들 등을 커버하는 일련의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14)이 추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14)은 예를 들어, 불소계 잉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계 잉크, 우레탄계 잉크, 또는, 실리콘계 잉크 중의 어느 하 나로 이루어지면서, 일련의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물론, 이러한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14)의 추가형성 상황 하에서,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 전기연결 라인(113)들 등은 외부(전자기기의 외부 또는 터치센서의 외부)로부터 습기(수분), 정전기 등이 가혹하게 가해진다 하더라도,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14)의 기능수행에 의해, 그들로부터 안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결국, 자신에게 주어진 센싱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에서도, 정전용량 터치센서(101)는 키 패드(110), 전기발광 시트(130), 인쇄회로기판(15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면서, 해당 구조물들(110,130,150)을 적절히 활용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전기발광 시트(130),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드(110)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드 측 키 유닛(111)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에서, 상술한 전기발광 시트(130)는, 종래의 경우와 그 구조를 완전히 달리하여, 자신의 일면, 예 컨대, 키 패드(110) 측 접합면 쪽에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을 추가 형성시키는 변화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전기발광 시트(130)는, 도전성 투명전극층(134), 발광층(135:또는, 형광층), 절연층(136:또는, 유전층), 배면전극층(137), 보호층(138) 등이 일체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상기 도전성 투명전극층(134)의 상부에는, 투명절연층(133)이 추가 형성된다.
이때, 도전성 투명전극층(134)을 이루는 물질로는, 투명한 전도성 고분자 재료, 인튬틴옥사이드(ITO) 등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고, 발광층(135)을 이루는 물질로는, 무기발광재료, 유기발광재료 등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층(135)은 예컨대, 형광체와 결합제가 혼합된 구성을 취하면서,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자체 발광을 이루어, 발광체로써의 역할을 융통성 있게 수행하게 되며, 절연층(136)은 도전성 투명전극층(134) 및 배면전극층(137)에 전원이 인가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절연파괴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자신의 상부에 배치된 발광층(135)을 보호하는 보호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보호층(138)은 앞의 각 층들을 습기나 오염으로부터 차단/보호하는 차단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투명절연층(133)은 전기발광 시트(130)의 최상층을 이루면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과 같은 일련의 절연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상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이 추가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별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 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발광 시트(130)에 형성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은 전기연결 라인(132)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패드(110)의 키 유닛(111)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31)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발광 시트(130)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시켜, 전기발광 시트(130)가,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1)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1)의 규모 및 단가 감소 상황 하에서,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에서는, 기기의 슬림화, 가격의 저렴화 등을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측 역시, 전체적인 기기의 이용 품질이 크게 높아지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전기발광 시트(130)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은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예컨대, 페돗 패턴)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예컨대, 마스크 인쇄방식, 스크린 인쇄방식 등과 같은 일련의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황에 따라, 식각액을 활용한 일련의 식각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앞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이 형성된 전기발광 시트(130)의 일면에는, 예를 들어, 불소계 잉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계 잉크, 우레탄계 잉크, 또는, 실리콘계 잉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면서,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 전기연결 라인(132)들 등을 커버하여, 이들을 외부의 가혹한 환경(외부습기(수분), 외부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일련의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41)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의 실시예를 구현하면서, <전기발광 시트(130) 내에 배치된 도전성 투명전극층(134) 상에, 상술한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직접 형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본 발명의 변형된 구성으로 상정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기발광 시트(130)가 본격적으로 구동할 때, 일련의 고 전압 및 이 고전압에 기인한 노이즈가 가혹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노이즈가 도전성 투명전극층(134) 상에 무방비로 노출된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해당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형된 구성을 앞의 실시예에서 탄력적으로 배제하였다.
다른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2)의 구성 하에서, 상술한 전기발광 시트(130)의 일면, 예를 들어, 투명절연층(133)의 상부에는, 예컨대, 5㎛~15㎛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그라운드 층(139) 및 15㎛~25㎛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절연층(140)이 순차적으로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층(139)을 이루는 물질로는, 카본, 금, 은, 동 등을 비롯하여, 실리콘계 수지, ITO, 전도성 폴리머 등이 다채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 층(139)은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의 저부에 배치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150)>, <전자기기의 케이스> 등의 외부 구조물들을 활용하여, 일련의 전기적인 접지 구조를 취하면서, 전기발광 시트(130)의 본격적인 동작 국면에서, 전기발광 시트(130) 측으로부터 정전용량 센싱패턴(131) 측으로 전기적인 신호, 고 전압 및 이들에 기인한 노이즈가 유출되는 경우, 해당 전기적인 신호, 고 전압, 및 이들에 기인한 노이즈를 접지 시키는 역할을 수행으로써, 절연층(140)의 상부에 형성된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이 전기발광 시트(130)가 활발하게 동작하는 가혹한 주변여건 하에서도, 불필요한 전기적 충격(또는, 전기적인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절연층(140)은 그라운드 층(139) 및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의 계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층(139) 및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과 같은 일련의 절연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상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이 추가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별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도, 전기발광 시트(130)는,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2)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 하에서도, 앞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이 형성된 전기발광 시트(130)의 일면에는, 예를 들어, 불소계 잉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계 잉크, 우레탄계 잉크, 또는, 실리콘계 잉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면서, 정전용량 센싱패턴(131)들, 전기연결 라인(132)들 등을 커버하여, 이들을 외부의 가혹한 환경(외부습기(수분), 외부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일련의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41)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 른 정전용량 터치센서(103)는 키 패드(110), 인쇄회로기판(150) 등의 구조물들을 앞의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전기발광 시트(130)를 도광필름(170)으로 교체시키는 일련의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도광필름(170)은 광원(190: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패드(111)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앞의 전기발광 시트(130)가 배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유닛(111)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도광필름(170)의 입광면 또는 출광면에는 광원(19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선의 휘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도트 패턴들(도시 안됨)이 추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트 패턴들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선형, 톱니바퀴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음각/양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광원(19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트 패턴들을 조밀하게 하거나, 도트 패턴들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조치를 취하게 되면, 좀더 균일한 면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110)는, 종래의 경우와 그 구조를 완전히 달리하여, 자신의 일면, 예컨대, 키 유닛(111)이 설치된 반대면에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을 추가 형성시키는 변화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10)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일련의 절연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이 추가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별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도, 키 패드(110)는, 기존,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키 패드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예컨대, 페돗 패턴)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정전용량 센싱패턴(112)들은, 예컨대, 마스크 인쇄방식, 스크린 인쇄방식 등과 같은 일련의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황에 따라, 식각액을 활용한 일련의 식각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에 대한 설명은 앞의 실시예 참조).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도광필름(170)은, 종래의 경우와 그 구조를 완전히 달리하여, 자신의 일면, 예컨대, 키 패드(110) 측 접합면 쪽에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을 추가 형성 시키는 변화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도광필름(170)의 본체(171)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일련의 절연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이 추가 형성되더라도, 그에 따른 별도의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때, 도광필름(170)에 형성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은 전기연결 라인(17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11)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1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150)의 컨트롤 서킷(15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도광필름(170)은 자신의 일부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을 새롭게 추가 배치하여, 기존,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4)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 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도광필름(170)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은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예컨대, 페돗 패턴)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은, 예컨대, 마스크 인쇄방식, 스크린 인쇄방식 등과 같은 일련의 인쇄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황에 따라, 식각액을 활용한 일련의 식각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상황에서도, 앞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이 형성된 도광필름(170)의 일면에는, 예를 들어, 불소계 잉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계 잉크, 우레탄계 잉크, 또는, 실리콘계 잉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면서, 정전용량 센싱패턴(172)들, 전기연결 라인(173)들 등을 커버하여, 이들을 외부의 가혹한 환경(외부습기(수분), 외부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일련의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177)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도광필름(17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의 통상적인 재질을 탈피하여, ITO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물론, 이 경우에도, 도광필름(170)의 일면에는,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이 추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의 실시예를 참조할 것).
물론, 이처럼, 도광필름(170)이 ITO 재질을 가지게 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자 측에서는, 정전용량 센싱패턴(175)들, 전기연결라인(176)들 등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추가공정을 진행시키지 않고서, 단순히, 도광필름 본체(174)를 자체적으로 패터닝 하여, 그 일부(174a)를 제거하는 지극히 간단한 공정만으로도, 도광필름(170)의 일부면에 정전용량 센싱패턴(175)들 및 이의 전기연결을 위한 전기연결 라인(176)들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각종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도, 도광필름(170)은, 기존,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정전용량 센싱패드는 그 추가배치 필요성이 안정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5)의 전체적인 규모(사이즈, 중량 등), 단가 등은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슬림화/저렴화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전기 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제 1 기술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제 2 기술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정전용량 터치패턴들의 제조공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10)

  1.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와;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2.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와;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광 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전기발광 시트 측으로부터 유출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접지 시켜,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전기적으로 보호하는 그라운드 층과;
    상기 그라운드 층 및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의 계면에 배치되며, 상기 그라운드 층 및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4.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에 따라, 면 발광하여,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도광필름과;
    상기 도광필름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5. 전자기기에 구비된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에 있어서,
    키 패드와;
    상기 키 패드의 저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에 따라, 면 발광하여, 상기 키 패드의 백 라이트로 작용하는 도광필름과;
    상기 도광필름의 저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키 패드를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또는, ITO 필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은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8.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은 인쇄공정 또는 식각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이 형성된 키 패드, 전기발광 시트, 또는, 도광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커버하면서, 해당 정전용량 센싱패턴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싱패턴 보호막은 불소계 잉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계 잉크, 우레탄계 잉크, 또는, 실리콘계 잉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20080024284A 2008-03-17 2008-03-17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083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84A KR100836749B1 (ko) 2008-03-17 2008-03-17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PCT/KR2009/001323 WO2009116778A2 (ko) 2008-03-17 2009-03-17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84A KR100836749B1 (ko) 2008-03-17 2008-03-17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49B1 true KR100836749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284A KR100836749B1 (ko) 2008-03-17 2008-03-17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6749B1 (ko)
WO (1) WO2009116778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725B1 (ko) * 2008-12-11 2010-12-07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1029845B1 (ko) 2009-10-09 2011-04-1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양면 터치 스위치
KR101054358B1 (ko) 2009-03-26 2011-08-05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용 도광체
KR101077370B1 (ko) 2010-07-09 2011-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피드백을 제공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KR101140920B1 (ko) 2010-04-21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WO2016028074A1 (ko) * 2014-08-22 2016-02-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1780854B1 (ko) * 2014-11-27 2017-09-22 희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KR20190035585A (ko) * 2017-09-26 2019-04-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 및 변색형 듀얼모드 멀티 터치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3157A1 (en) * 2021-05-20 2022-11-24 Signify Holding B.V. A light source module functioning as a user control interfa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9072A1 (en) * 2000-10-19 2002-04-25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4275B1 (ko) 2005-12-3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70032924A (ko) * 2005-09-20 2007-03-23 해럴드 필립 용량성 터치센서
US20070105604A1 (en) * 2005-08-30 2007-05-10 Zhi-Min Choo Mobile terminal with back-lighted directional keys
KR20080007877A (ko) * 2006-07-1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80012808A (ko) * 2006-08-04 2008-02-12 오의진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14284A (ko) * 2006-08-10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키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9072A1 (en) * 2000-10-19 2002-04-25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05604A1 (en) * 2005-08-30 2007-05-10 Zhi-Min Choo Mobile terminal with back-lighted directional keys
KR20070032924A (ko) * 2005-09-20 2007-03-23 해럴드 필립 용량성 터치센서
KR100664275B1 (ko) 2005-12-3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07877A (ko) * 2006-07-1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80012808A (ko) * 2006-08-04 2008-02-12 오의진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14284A (ko) * 2006-08-10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키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725B1 (ko) * 2008-12-11 2010-12-07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1054358B1 (ko) 2009-03-26 2011-08-05 한울정보기술(주)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및 터치센서용 도광체
KR101029845B1 (ko) 2009-10-09 2011-04-1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양면 터치 스위치
KR101140920B1 (ko) 2010-04-21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8564556B2 (en) 2010-04-21 2013-10-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capacitive touch screen
KR101077370B1 (ko) 2010-07-09 2011-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피드백을 제공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WO2016028074A1 (ko) * 2014-08-22 2016-02-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TWI653151B (zh) 2014-08-22 2019-03-11 南韓商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製造觸控感應器之方法
KR101780854B1 (ko) * 2014-11-27 2017-09-22 희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KR20190035585A (ko) * 2017-09-26 2019-04-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 및 변색형 듀얼모드 멀티 터치 센서
KR102173827B1 (ko) 2017-09-26 2020-11-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광 및 변색형 듀얼모드 멀티 터치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6778A2 (ko) 2009-09-24
WO2009116778A3 (ko)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749B1 (ko)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CN104866126B (zh) 触控式面板
CN102737582B (zh) 一种集成NFC天线的TP On/In Cell型有机电致发光显示器
KR102401080B1 (ko) 표시 장치
CN109074186B (zh) 压力传感器、含其的触摸输入装置及用其的压力检测方法
CN101813844A (zh) 触摸面板及具备该触摸面板的显示装置
KR20170135602A (ko)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7621901B (zh) 显示装置以及包括其的便携式终端
KR101958323B1 (ko)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CN108885506B (zh) 压力传感器、含其的触摸输入装置及用其的压力检测方法
KR102607494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090226A (ko)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N106406627A (zh) 一种柔性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202433856U (zh) 触摸位置感测面板和触摸感测装置
US9323399B2 (en) Capacitive touch pad with adjacent touch pad electric field suppression
CN106339132A (zh) 触控面板
KR101865303B1 (ko) 터치 입력 장치
CN104699290A (zh) 触控面板
KR100974291B1 (ko)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KR101880434B1 (ko) 터치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의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KR101852413B1 (ko) 복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70061758A (ko) 표시 장치
JP2012003768A (ja) タッチ式透明キーボード
CN104461149B (zh)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JP5818741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