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90B1 -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90B1
KR101681990B1 KR1020150061387A KR20150061387A KR101681990B1 KR 101681990 B1 KR101681990 B1 KR 101681990B1 KR 1020150061387 A KR1020150061387 A KR 1020150061387A KR 20150061387 A KR20150061387 A KR 20150061387A KR 101681990 B1 KR101681990 B1 KR 10168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device
user
rim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355A (ko
Inventor
민정상
홍기범
이정엄
주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90B1/ko
Priority to US14/950,611 priority patent/US9665269B2/en
Priority to DE102015223450.9A priority patent/DE102015223450A1/de
Priority to CN201510896628.9A priority patent/CN106095150B/zh
Publication of KR2016012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60K2360/126
    • B60K2360/1438
    • B60K2360/1446
    • B60K2360/146
    • B60K2360/1468

Abstract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장치는 장착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과, 상승면의 정상에 마련되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면을 포함하고,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장치의 다변화이다.
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조작키, 다이얼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 이외에 터치를 이용하여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터치 입력장치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 역시도 은행, 관공서, 관광 및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 또는 의료 관련 제품과 차량에 터치 입력장치를 적용하려는 노력들을 계속되고 있다. 특히 터치패널은 터치스크린과 함께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를 이용하여 포인트(Point)를 이동시키는 기능 이외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의 경우 제스처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7-0016096호에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용 작동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터치패드와 터치패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다이얼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이얼을 포함하는 경우 작동 부재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미려한 디자인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문헌 제2007-001609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쉽게 롤링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미려한 외관을 구비하는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이얼을 삭제하여 터치 입력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미려하고 통일적인 디자인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 또는 스크린 등을 주시한 채로 의도에 부합하는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에러 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조작감 또는 터치감이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착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과, 상기 상승면의 정상에 마련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면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시작점과 상기 포인터가 상기 테두리부에서 떨어지는 종료점을 연결하는 궤적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면을 연장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부를 더 포함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면은 상기 장착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바닥면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면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내측면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되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부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내측면부와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터치부와 상기 중앙 터치부를 둘러싸는 외곽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터치부와 상기 외곽 터치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터치부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중앙 터치부가 마련되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외곽 터치부가 마련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닥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면과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하강면은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장착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장착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둥 형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를 포함하여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등성이부로부터 하측으로 연결되는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제스처를 입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지지하는 동작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기어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착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의 정상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터치함으로써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이얼을 삭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테두리부는 다양한 직관적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어 다이얼의 기능 보다 다양하고 발전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돌출부가 그 주위의 장착면 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부에 시선을 두지 않는 상태,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바라보거나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터치 영역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신속하고 안전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제스처 터치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내비게이션 또는 오디오 장치 등을 조작하는 때에 전방 시선을 유지하면서 정확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를 바라보지 않는 상태에서도 손가락에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에 의해 손가락이 터치 입력부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의도에 부합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입력하는 때에 조작감 및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의 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목이나 손등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부 주위에 스와이핑 입력부를 마련하여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다이얼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와이핑 입력부는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어 다이얼의 기능 보다 다양하고 발전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와이핑 입력부에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스와이핑 하는 각도(또는 거리)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와이핑의 각도(또는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하여 보다 조작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부와 스와이핑 입력부의 경사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터치에 의해 직관적으로 제스처 입력부와 스와이핑 입력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부가 여러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제공하고, 터치 입력부가 눌러지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명령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누름 입력 모습을, 도 5는 스와이핑 입력 모습을, 도 6은 문자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에서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에서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B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건강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장착면(140)에 설치되되,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0)와, 돌출부(120) 내측에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요입부(130)와, 요입부(13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터치부(110)를 포함한다. 돌출부(120)와 요입부(130)와 터치부(11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면(140)은 터치 입력장치(1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장치(10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면(140)은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되는 기준면으로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면(140)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표면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착면(140)에는 터치 입력장치(100)를 둘러싸는 키 버튼 또는 터치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0)를 통해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장치(100) 주위의 장착면(140)에 마련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돌출부(120)는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120)는 원통형 또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1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돌출부(120)는 장착면(140)과 연결되는 외측면부(121)와 외측면부(121)와 연결되는 등성이부(122)를 포함한다. 일 예로, 도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외측면부(121)와 링 형상의 등성이부(122)가 도시된다.
요입부(130)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로부터 돌출부(120)의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요입부(130)는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요입부(130)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에서 원형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되는 형상일 수 있다.
요입부(130)는 등성이부(122)와 연결되는 내측면부(131)와 터치부(110)가 마련되는 바닥부(132)를 포함한다. 일 예로, 도면에는 원기둥 내측 형상의 내측면부(131)와 원형 평면 형상의 바닥부(132)가 도시된다.
또한, 요입부(130)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33)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의 곡률이란 요입부(130)의 외축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곡률을 의미한다.
바닥부(132)는 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장착면(140)은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목 지지부(141)는 터치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손목 지지부(141)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110)에 제스처를 입력할 때, 손목이 위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입력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120)와, 돌출부(120)에서 요입되는 요입부(130)로 구성됨을 설명하였다. 이 때, 터치부(110)는 요입부(130)의 일 구성인 바닥면(132)에 마련됨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터치 입력장치(100)의 구성을 다른 시각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장착면(140)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과, 상승면의 정상에 마련되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면과, 하강면을 연결하는 바닥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승면은, 돌출부(120)의 외측면부에, 테두리부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에, 하강면은 요입부(130)의 내측면부에, 바닥면은 요입부(130)의 바닥부(132)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승면과, 테두리부와, 하강면과, 바닥면의 도면부호는 이들로 대신하도록 한다.
상승면은 장착면(140)으로부터 상승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테두리부는 상승면의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상승면은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면을 둘러싸는 폐곡면을, 테두리부는 터치 입력장치(100)의 정상을 연결하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지만, 상승면의 어느 일 면에 개구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원통 형상의 상승면과, 원형의 테두리부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일 측이 개구되어 테두리부의 형상이 알파벳“C”와 비슷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테두리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테두리부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한다. 일 예로, 테두리부는 측면에서 보아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테두리부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테두리부의 상측을 접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가 위로 이동하거나, 포인터가 테두리부의 좌측을 접촉하는 경우 이전 메뉴로 복귀 하는 등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시작점과 포인터가 상기 테두리부에서 떨어지는 종료점을 연결하는 궤적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원형 형상의 테두리부가 마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아이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가 접촉하는 시작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고, 포인터가 이동하면, 선택된 아이콘이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포인터가 떨어지는 종료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상에 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문자들이 나열되고, 사용자는 테두리부 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켜 원하는 문자가 선택되었을 때, 포인터의 접촉을 해제하여 선택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테두리부에서 포인터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 또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테두리부를 짧게(예를 들어, 90도 이하의 각도로) 시계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 다음 메뉴로 이동시키고, 포인터가 테두리부를 길게(예를 들어, 90도 초과의 각도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 이전 페이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는 터치부(110)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양한 기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신호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는 탭(Tab) 신호와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제스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의 구분된 영역을 접촉하는 경우 탭 신호로 인식하여 구분된 영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터치부(110)는 중앙부와 외곽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중앙부는 내측에 위치하는 작은 원으로 마련되고, 외곽부는 중앙부를 제외한 큰 원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영역을 보다 세분하여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부(110)의 외곽부는 상부/하부/좌측부/우측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의 영역을 90도의 각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영역을 보다 작은 각도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원형의 터치부(110)는 내부의 작은 원형으로 마련되는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를 포함하고, 외곽부(U, D, L, R)는 원주를 따라 90도의 각도로 4등분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포인터가 중앙부(C)를 두드리는 경우 커서가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하라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포인터가 외곽부의 상부(U)/하부(D)/좌측부(L)/우측부(R)를 두드리는 경우 화면 상의 커서를 상측/하측/좌측/우측으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의 외곽부(U, D, L, R)는 화살표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부의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터치부의 중앙부(C) 또는 외곽부(U, D, L, R) 중 어느 하나에 LED 등을 설치하여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터치부(110)의 중앙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중앙부(C)를 터치한 것으로 입식하고, 사용자가 터치부(110)의 상부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외곽부의 상부(U)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촉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터치부(110)의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의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하거나 온도를 다르게 하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스처 신호로 인식하고, 포인터의 이동을 추적하여 제스처의 모양을 알아내고, 제스처의 모양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 상에서 이동하는 궤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Cursor) 또는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커서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예비 선택된 메뉴를 상부 메뉴에서 하부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인터가 이동하는 궤적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에 대응시키고, 대응되는 제스처에 정의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스처는 포인터가 플리킹(Flicking) 또는 스와이핑(Swiping), 롤링(Rolling), 서클링(Circling) 또는 스핀(Spin), 또는 탭(Tap) 동작을 하는 경우, 이들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은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롤링은 터치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서클링 또는 스핀은 터치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탭은 터치부(110)를 두드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탭은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멀티 탭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은 두 개의 포인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 터치부(110)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싱글 포인터 입력 방식에 더하여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숫자, 또는 약속된 기호 등을 그려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한글의 자음/모음,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또는 사칙연산 기호 등을 그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터치부(1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터치부(110)는 돌출부(120)와 요입부(13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의 장착 위치가 다양해질수록 사용자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된다.
돌출부(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을 통해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0)는 장착면(1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회전하지는 않지만,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포인터의 일 예)이 외측면부(121)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은 다이얼(Dial)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이얼(Dail)은 노브 등에 장착되고 물리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볼륨 등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을 함으로써 다이얼을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등성이부(122)를 접촉한 상태에서 등성이부(122)를 따라 원을 그리면서 롤링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요입부(130)의 내측면부(131) 또는 연결부(133)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누름 입력 모습을, 도 5는 스와이핑 입력 모습을, 도 6은 문자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앞에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일 영역을 두드리는 탭 동작을 함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터치부(110)는 눌림 동작 또는 기울어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는 경우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 만이 눌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부(110)의 중심 부분(d5)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110)가 평행 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터치부(110)가 마련되는 바닥부(132)는 내측면부(131)와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닥부(132)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기울어짐 또는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부(11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132)는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눌러지거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일 부분을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중심 부분(d5)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메뉴 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상부(d1)를 누름으로써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10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 내부에는 터치부(110)가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d1 내지 d5)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터치 입력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력, 터치부(110)에서 인식되는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장치(100)에 마련되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타 장치의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부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영역을 문지르는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동작을 함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좌측을 접촉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메뉴를 다음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숫자, 문자, 또는 약속된 제스처를 그림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알파벳 “A”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입력란에 “A”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문자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문자표에서 해당 문자를 선택하는 것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제스처는 터치부(110)의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질 때 인식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비슷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스처를 입력한다면 서로 다른 명령으로 인식될 위험이 존재한다. 문제는 사용자가 터치 영역에 시선을 두지 않은 채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전방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외부 상황에 집중하는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 촉감에 의해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 및 경계를 인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터치부(110)의 외곽에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부(110)의 영역 및 경계를 시각이 아닌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손을 더듬는 동작에 의해 돌출부(120)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는 폐곡선(일 예로 원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터치부(110)의 중앙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선을 다른 데 둔 상태에서도 돌출부(120)의 양 측부를 인지함으로써 중앙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등성이부(122, 또는 테두리부)를 터치함으로써 터치 제스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등성이부(122)의 어느 위치를 접촉함으로써 그 위치에 따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등성이부(122)를 짧게 혹은 길게 문지름으로써 무지르는 방향 또는 길이(각도)에 따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등성이부(122)를 터치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롤링 제스처 입력이 용이하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0)에서 가장 높은 부분인 등성이부(122)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등성이부(122)가 폐곡선(일 예로,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등성이부(122)를 접촉한 상태로 한 바퀴 이상 돌리는 롤링 제스처를 입력하기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확연하게 구분되는 등성이부(122)와 바닥부(132)를 통해 각각의 영역에 마련되는 터치영역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터치 영역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에 의한 오명령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롤링 동작이 도시되어 있지만, 서클링 또는 스핀 동작을 포함한다. 롤링은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서클링 또는 스핀은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등성이부(122)를 터치하여 롤링, 서클링 또는 스핀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롤링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등성이부(122)를 터치하여 롤링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롤링하는 방향,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위치, 또는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길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등성이부(122)를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와 반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에 각각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인터를 등성이부(122)의 좌측을 탭하는 경우와 우측을 탭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등성이부(122)의 일 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등성이부(12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의 터치가 종료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의 요입부(130-1)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3-1)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의 곡률이란 요입부(130-1)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곡률을 의미한다.
연결부(133-1)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133-1)를 접촉하거나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연결부(133-1)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가 연결되는 영역을 터치하거나 문지름으로써 약속된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방을 주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등 터치 입력장치(101)에 시선을 두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부(133-1)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연결부(133-1)의 형상이 경사지거나 곡면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부(133-1)의 외측에 내측면부(131)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부(133-1)를 바라보지 않고도 의도하는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터치부(110-1)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중앙 터치부(111)와 연결부(133-1)에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와 외곽 터치부(112)에 마련되는 터치패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외곽 터치부(112)에 마련되는 터치패드는 내측면부(131)에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133-1)를 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측면부(131)를 터치하여 약속된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33-1)와 내측면부(131)가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연결부(133-1)를 터치하는 경우와 내측면부(131)를 터치하는 경우에 각각 다른 실행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롤링은 터치부(1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서클링 또는 스핀은 터치부(1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도면에는 롤링 동작이 도시되어 있지만, 서클링 또는 스핀 동작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외곽 터치부(112)를 터치하여 롤링, 서클링 또는 스핀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롤링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를 터치하여 롤링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롤링하는 방향,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위치, 또는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길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외곽 터치부(112)를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와 반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에 각각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인터를 외곽 터치부(112)의 좌측을 탭하는 경우와 우측을 탭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외곽 터치부(112)의 일 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외곽 터치부(11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의 터치가 종료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33)(또는 외곽 터치부(112))는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은 양각 또는 음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연결부(133)를 문지르는 경우 사용자는 눈금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에 느껴지는 감각을 통하여 몇 개의 눈금을 지나고 있는 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5 눈금의 거리만큼 연결부(133)에 시계방향으로 롤링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커서는 5 칸 오른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롤링, 서클링 또는 스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의 일 점을 접촉하는 탭 동작을 터치신호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의 상측을 접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커서가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2)에서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도 12는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2)의 요입부(130-2)의 바닥부(132)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오목한 형상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부(132)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바닥부(132)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된다. 한편, 바닥부(132)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2)는 바닥부(132)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터치부(110-2)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2)의 영역은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오목한 형상 부분과 일치할 수 있다.
터치부(110-2)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곡면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면 터치부(110-2)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터치부(110-2)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목 등에 가해지는 피로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부(110-2)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때에 손가락을 제외한 관절을 움직이거나 꺾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움직임만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이는 때에 과도하게 손목을 비틀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과 손목의 자연스러운 움직임만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110-2)의 형상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장시간의 사용에도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이 적고, 손목이나 다른 관절에 발생할 수 있는 골격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2)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2)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10-2)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110-2)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서클링 등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2)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110-2)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110-2)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터치부(110-2)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110-2)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곡면으로 마련되는 터치부(110-2)에 사용되는 터치패드는 광학 방식을 사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곡면의 터치부(110-2) 후면에 적외선 엘이디(IR LED) 및 포토다이오드 층(Photodiode array)을 배치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와 포토다이오드가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이미지를 확보하고, 제어부는 확보된 이미지에서 터치점을 추출하게 된다.
한편, 터치부(110-2)의 직경과 깊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2)의 직경은 50mm 내지 80mm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성인의 평균적인 손가락 길이를 고려할 때, 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한 번에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80mm 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직경이 80mm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서 원을 그리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필요 이상으로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터치부(110-2)의 직경이 50mm 보다 작아지는 경우 터치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양성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좁은 영역에서 제스처가 그려지게 되어 제스처의 입력 오류가 증가한다.
또한, 터치부(110-2)가 구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은 0.04 내지 0.1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은 터치부(110-2)의 곡면이 굽은 정도를 의미한다. 즉, 같은 직경의 터치부(110-2)에서 깊이/직경의 값이 클수록 더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되고, 반대로 깊이/직경의 값이 작을수록 더 평편한 형상을 갖게 된다.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 값이 0.1 보다 커지는 경우, 오목한 형상의 곡률이 커지게 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터치감이 불편해진다. 터치부(110-2)의 오목한 형상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에서 손가락 끝이 그리는 곡선의 곡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깊이/직경 값이 0.1을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터치부(110-2) 곡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였을 때 손가락에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인위적인 조작감이 느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무의식 적으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곡면과 손가락 끝 사이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의 터치가 끊어지게 되어 인식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터치부(110-2)의 깊이가 너무 낮으면 사용자가 평면부와 비교하여 곡면부가 가지는 이점을 느끼기 어렵다.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 값이 0.04 보다 작아지면 사용자가 평면 터치부(110-2)에서 제스처를 그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감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3)의 터치부(110-3)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중앙 터치부(111a)와, 중앙 터치부(111a)의 주위를 둘러싸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고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1 바닥부(132a)와 제1 바닥부(132a)를 둘러싸고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2 바닥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a)는 제1 바닥부(132a)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1b)는 제2 바닥부(132b)에 마련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a)와 외곽 터치부(111b)는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터치부(111a)는 제스처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1b)는 방향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a)와 외곽 터치부(111b)의 터치패드는 일체로 마련되거나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터치패드들이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중앙 터치부(111a)와 외곽 터치부(111b)는 각각의 터치부(110-3)에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중앙 터치부(111a)에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서브 메뉴 안에서 아이콘이 쉬프트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1b)를 접촉한 상태에서 중앙 터치부(111a)에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메인 메뉴의 아이콘이 쉬프트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서브 메뉴에서 메인 메뉴로 이동한 후에 메인 메뉴의 아이콘을 변경하여야 하는 동작을 단순화하여 서브 메뉴 안에서 바로 메인 메뉴의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음악의 재생 메뉴에서 바로 네이게이션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4)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4)의 터치부(110-4)는 중앙 터치부(111c)와, 중앙 터치부(111c)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곽 터치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132c)와 제1 바닥부(132c)를 둘러싸는 제2 바닥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부(132c)와 제2 바닥부(132d)는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닥부(132c)는 제2 바닥부(132d)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그 반대로 제2 바닥부(132d)가 제1 바닥부(132c)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포함한다.
중앙 터치부(111c)는 제1 바닥부(132c)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1d)는 제2 바닥부(132d)에 마련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터치부(111c)의 터치패드와 외곽 터치부(111d)의 터치패드는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는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터치부(111c)는 눌림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1d)는 상하좌우, 4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곽 터치부(111d)에 압력을 가하여 틸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터치부(111c)에 압력을 가하여 클림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커서가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는 서로 다른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터치부(111c)가 틸팅 가능한 구조를 채용하고, 외곽 터치부(111d)가 눌림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는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 모두 움직이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지,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터치패드들로 마련되는 것에 불과하다.
중앙 터치부(111c)와 외곽 터치부(111d)와 외곽 터치부(112)는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터치부(111c)는 제스처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1d)는 방향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2)는 롤링 또는 서클링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5)의 터치부(110-5)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중앙 터치부(111e)와, 중앙 터치부(111e)의 주위를 둘러싸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1f)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고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1 바닥부(132e)와 제1 바닥부(132e)를 둘러싸고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2 바닥부(132f)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e)는 제1 바닥부(132e)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1f)는 제2 바닥부(132f)에 마련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e)와 외곽 터치부(111f)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터치부(111e)의 터치패드와 외곽 터치부(111f)의 터치패드는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6)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6)는 기울어짐 또는 틸팅(Tiling)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돌출부(120)와 요입부(130)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장착면(14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6)는 눌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돌출부(120)와 요입부(130)를 포함하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를 지지하는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2)는 몸체부(151)의 하부를 지지하며, 장착면(140)에 대하여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울어짐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6)의 중심 부분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110)가 평행 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를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의 중심 부분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메뉴 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의 상부를 누름으로써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106)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 내부에는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건강기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건강기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기기(10)는 의료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기(10)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본체부(251)와, 디스플레이부(250)와, 본체부(251)와 디스플레이부925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33)(252)와, 터치 입력장치(100)와, 터치 입력장치(100)와 본체부(251)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33)(2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51)는 사용자의 체중을 포함하여 다양한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측정된 신체 정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0)를 보는 상태에서 터치 입력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차량(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20)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20)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 하는 자동차,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는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장치자전거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차량(2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와, 기어박스(300), 센터페시아(22) 및 스티어링휠(23)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24)(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시계(312), 오디오장치(313) 및 AVN 장치(31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장치(310)는 차량(2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2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장치(31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22)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12)는 공조장치(3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장치(313)는 오디오장치(31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차량(20)의 센터페시아(22) 내부에 매립되거나 대시보드(24)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14)는 AVN 장치(31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N 장치(314)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오디오장치(313)가 생략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23)은 차량(2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321) 및 차량(2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32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322)에는 차량(2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4)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주행거리,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온도, 각종 경고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등을 알려주는 계기판(324)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325)(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어박스(300)는 일반적으로 차량(20)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20)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어박스(300)에는 차량(20)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301)와, 차량(2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2)와, 차량(20)의 각종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30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기어박스(30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레버(3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장치(10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거나, 조수석에 설치되거나, 후석에 설치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는 차량(20)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차량(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오디오장치(313), AVN 장치(314), 또는 계기판(324)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2)가 기어박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터치 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 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0)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입력장치 110: 터치부
111: 중앙 터치부 112: 외곽 터치부
120: 돌출부 121: 외측면부
122: 등성이부 130: 요입부
131: 내측면부 132: 바닥부
133: 연결부 140: 장착면
141: 손목 지지부 151: 몸체부
152: 지지부

Claims (20)

  1. 장착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요입되어 마련되는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상승면과 상기 상승면의 정상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입부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하강면과 상기 하강면을 연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바닥면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강면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되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터치 입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포인터가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시작점과 상기 포인터가 상기 테두리부에서 떨어지는 종료점을 연결하는 궤적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면은 상기 장착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입력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바닥면은 원형으로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터치부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내측면과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터치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터치부와 상기 중앙 터치부를 둘러싸는 외곽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터치부와 상기 외곽 터치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터치부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중앙 터치부가 마련되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외곽 터치부가 마련되는 제2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부는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면과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하강면은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장착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17. 장착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기둥 형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를 포함하여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테두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결되는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터치부와 독립적으로 터치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부는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강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되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제스처를 입력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지지하는 동작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동작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차량.
KR1020150061387A 2015-04-30 2015-04-30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87A KR101681990B1 (ko) 2015-04-30 2015-04-30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4/950,611 US9665269B2 (en) 2015-04-30 2015-11-24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E102015223450.9A DE102015223450A1 (de) 2015-04-30 2015-11-26 Berührungseingabeeinrichtung und Fahrzeug mit derselben
CN201510896628.9A CN106095150B (zh) 2015-04-30 2015-12-08 触摸输入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87A KR101681990B1 (ko) 2015-04-30 2015-04-30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55A KR20160129355A (ko) 2016-11-09
KR101681990B1 true KR101681990B1 (ko) 2016-12-02

Family

ID=5713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87A KR101681990B1 (ko) 2015-04-30 2015-04-30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5269B2 (ko)
KR (1) KR101681990B1 (ko)
CN (1) CN106095150B (ko)
DE (1) DE102015223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673A (ko) 2021-12-07 2023-06-14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032B (en) * 2016-02-05 2020-05-20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human interface assembly
KR102452540B1 (ko) * 2016-12-13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DE102016225232A1 (de) 2016-12-16 2018-06-21 Audi Ag Bedienvorrichtung mit einem Bedienknauf
WO2018135183A1 (ja) * 2017-01-17 2018-07-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KR20200113601A (ko) * 2019-03-26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전자 장치
DE102021201227A1 (de) * 2021-02-09 2022-08-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wagens sowie Kraftwag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1016B4 (de) 2003-09-03 2016-11-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Multimediasystem eines Kraftfahrzeugs
JP5198874B2 (ja) * 2005-01-30 2013-05-15 スウィフトポイント リミテッド コンピュータマウス周辺機器
KR100767686B1 (ko) 2006-03-30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휠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WO2007126801A2 (en) 2006-03-30 2007-11-08 Cirque Corporation Circular scrolling touchpad functionality determined by starting position of pointing object on touchpad surface
US20070291016A1 (en) 2006-06-20 2007-12-20 Harald Philipp Capacitive Position Sensor
KR101136370B1 (ko) * 2006-08-04 2012-04-23 오의진 데이터입력장치
US8319832B2 (en) * 2008-01-31 2012-11-27 Denso Corporation Input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20100315349A1 (en) 2009-06-12 2010-12-16 Dave Choi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system and method
WO2011146668A2 (en) * 2010-05-18 2011-11-24 Seektech, Inc. User interface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US9134817B2 (en) * 2010-11-08 2015-09-15 SeeScan, Inc. Slim profile magnetic user interface devices
JP2012247890A (ja) * 2011-05-26 2012-12-13 Nippon Seiki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操作装置
JP5798160B2 (ja) * 2013-08-09 2015-10-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KR20140138361A (ko) *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673A (ko) 2021-12-07 2023-06-14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0939A1 (en) 2016-11-03
DE102015223450A1 (de) 2016-11-03
CN106095150B (zh) 2021-01-26
US9665269B2 (en) 2017-05-30
CN106095150A (zh) 2016-11-09
KR20160129355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990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196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1987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147105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01014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5607770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CN105607772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7844205B (zh) 触摸输入设备以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运载工具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22538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