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963B1 -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963B1
KR101721963B1 KR1020150109857A KR20150109857A KR101721963B1 KR 101721963 B1 KR101721963 B1 KR 101721963B1 KR 1020150109857 A KR1020150109857 A KR 1020150109857A KR 20150109857 A KR20150109857 A KR 20150109857A KR 101721963 B1 KR101721963 B1 KR 10172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input
gestur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587A (ko
Inventor
이정엄
민정상
홍기범
주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963B1/ko
Priority to US14/936,933 priority patent/US9811200B2/en
Publication of KR2017001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3Multidirectional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60K2360/135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8Touch gesture
    • B60K2360/1476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입력장치는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돌출부는 돌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외측면부는 돌출부의 장착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 및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CONTROLLING APPARATUS USING TOUCH INPU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사용자가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장치의 다변화이다.
터치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터치 입력장치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 역시도 은행, 관공서, 관광 및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 또는 의료 관련 제품과 차량에도 터치 입력장치를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돌출된 형상을 갖는 터치 입력장치에서 터치 입력장치가 돌출된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과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돌출부는 돌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외측면부는 돌출부의 장착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 및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돌출부는 원통형, 원기둥, 및 원뿔대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는 외측면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기기에 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온시키고,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줌인시키고,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줌아웃시킬 수 있다.
외측면부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
터치 입력장치는 외측면부에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멀티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기기에 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면부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돌출부는 돌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외측면부는 돌출부의 장착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 및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턴온되고,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화면을 줌인하고,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화면을 줌아웃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은 돌출방향으로의 제스처 입력 또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면부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외측면부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시선을 두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입력장치가 돌출된 방향으로의 입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의 입력을 통해 단시간에 다양한 장치의 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운전 중에 내비게이션 또는 오디오 장치 등을 조작하는 때에 전방 시선을 유지하면서 터치 입력장치의 돌출된 형상을 인지하여, 터치 입력장치가 돌출된 방향으로의 입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의 입력을 이용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다양한 장치의 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누름 입력 모습을, 도 5는 스와이핑 입력 모습을, 도 6은 문자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외측면부에서의 터치 입력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모습을, 도 8은 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모습을, 도 9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외측면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B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는 장착면(140)에 설치되되,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0)와, 돌출부(120) 내측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함몰부(130)와, 함몰부(13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터치부(110)를 포함한다. 돌출부(120)와 함몰부(130)와 터치부(11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면(140)은 터치 입력장치(1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장치(10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면(140)은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되는 기준면으로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면(140)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표면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착면(140)에는 터치 입력장치(100)를 둘러싸는 키 버튼 또는 터치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0)를 통해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장치(100) 주위의 장착면(140)에 마련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돌출부(120)는 장착면(14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부(120)는 원통형, 원뿔대 또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1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돌출부(120)는 장착면(140)과 연결되는 외측면부(121)와 외측면부(121)와 연결되는 등성이부(122; ridge)를 포함한다. 일 예로, 도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외측면부(121)와 링 형상의 등성이부(122)가 도시된다.
함몰부(130)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로부터 돌출부(12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함몰된 형상은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30)는 수평 단면이 원형 형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함몰부(130)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에서 원형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130)는 등성이부(122)와 연결되는 내측면부(131)와 터치부(110)가 마련되는 바닥부(132)를 포함한다. 일 예로, 도면에는 원기둥 내측 형상의 내측면부(131)와 원형 평면 형상의 바닥부(132)가 도시된다.
또한, 함몰부(130)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33)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의 곡률이란 함몰부(130)의 외축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곡률을 의미한다.
바닥부(132)는 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장착면(140)은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목 지지부(141)는 터치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손목 지지부(141)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110)에 제스처를 입력할 때, 손목이 위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는 터치부(110)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양한 기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신호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의 일정 위치에 접촉하는 탭(Tab) 신호와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즉, 드래깅)하는 제스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의 구분된 영역을 접촉하는 경우 탭 신호로 인식하여 구분된 영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부(110)는 중앙부와 외곽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중앙부는 내측에 위치하는 작은 원으로 마련되고, 외곽부는 중앙부를 제외한 큰 원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영역을 보다 세분하여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부(110)의 외곽부는 상부/하부/좌측부/우측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의 영역을 90도의 각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터치부(110)의 영역을 보다 작은 각도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형의 터치부(110)는 내부의 작은 원형으로 마련되는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를 포함하고, 외곽부(U, D, L, R)는 원주를 따라 90도의 각도로 4등분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포인터가 중앙부(C)를 두드리는 경우 커서가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하라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포인터가 외곽부의 상부(U)/하부(D)/좌측부(L)/우측부(R)를 두드리는 경우 화면 상의 커서를 상측/하측/좌측/우측으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입력장치(100) 및 터치 입력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터치 입력장치(10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입력장치(100)가 차량에 마련된 경우, 제어부는 터치 입력장치 외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장치 뿐만 아니라 차량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의 외곽부(U, D, L, R)는 화살표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부의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터치부의 중앙부(C) 또는 외곽부(U, D, L, R) 중 어느 하나에 LED 등을 설치하여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터치부(110)의 중앙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중앙부(C)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터치부(110)의 상부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외곽부의 상부(U)를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10)의 터치영역 구분은 촉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터치부(110)의 중앙부(C)와 외곽부(U, D, L, R)의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하거나 온도를 다르게 하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스처 신호로 인식하고, 포인터의 이동을 추적하여 제스처의 모양을 알아내고, 제스처의 모양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포인터가 터치부(110) 상에서 이동하는 궤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커서(Cursor) 또는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나는 커서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예비 선택된 메뉴를 상부 메뉴에서 하부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인터가 이동하는 궤적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에 대응시키고, 대응되는 제스처에 정의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스처는 포인터가 플리킹(Flicking) 또는 스와이핑(Swiping), 롤링(Rolling), 서클링(Circling) 또는 스핀(Spin), 또는 탭(Tap) 동작을 하는 경우, 이들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은 포인터가 터치부(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롤링은 터치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서클링 또는 스핀은 터치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탭은 터치부(110)를 두드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탭은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멀티 탭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은 두 개의 포인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 터치부(110)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싱글 포인터 입력 방식에 더하여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숫자, 또는 약속된 기호 등을 그려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한글의 자음/모음,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또는 사칙연산 기호 등을 그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터치부(1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터치부(110)는 돌출부(120)와 함몰부(13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의 장착 위치가 다양해질수록 사용자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터치부(110)가 돌출부(120)에 마련된 경우 터치 입력장치(100)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돌출부(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 또는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 또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함으로써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0)는 장착면(1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이지는 않지만,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포인터의 일 예)이 외측면부(121)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은 다이얼(Dial)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이얼(Dial)은 노브 등에 장착되고 물리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볼륨 등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을 함으로써 다이얼을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으로 포인터를 쓸어 올리거나(즉, 상향 드래깅)하거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포인터를 쓸어 내림(즉, 하향 드래깅)함으로써 다이얼을 조작할 수도 있다.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 또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는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외측면부(121)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외측면부(121)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의 곡률이란 외측면부(121)의 외축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곡률을 의미한다.
또는 돌출부(120)의 등성이부(122)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등성이부(122)를 접촉한 상태에서 등성이부(122)를 따라 원을 그리면서 롤링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함몰부(130)의 내측면부(131) 또는 연결부(133)가 터치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누름 입력 모습을, 도 5는 스와이핑 입력 모습을, 도 6은 문자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앞에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일 영역을 두드리는 탭 동작을 함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터치부(110)는 눌림 동작 또는 기울어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는 경우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 만이 눌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부(110)의 중심 부분(d5)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110)가 평행 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터치부(110)가 마련되는 바닥부(132)는 내측면부(131)와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닥부(132)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기울어짐 또는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부(11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바닥부(132)는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눌러지거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일 부분을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중심 부분(d5)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메뉴 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상부(d1)를 누름으로써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터치부(110)의 누름 구조는 터치부(110) 아래에 설치되는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클릭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부(110)를 터치함으로써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동시에 터치부(110)를 누름으로써 클릭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버튼은 터치부(110) 아래에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중앙을 클릭하여 클릭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부(110)의 중앙/상/하/좌/우를 탭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버튼은 터치부(110)의 아래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상/하/좌/우에 각각 마련되어 총 5개의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중앙/상/하/좌/우를 클릭하여 서로 다른 클릭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부(110)의 중앙/상/하/좌/우를 탭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10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 내부에는 터치부(110)가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d1 내지 d5)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터치 입력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력, 터치부(110)에서 인식되는 제스처, 또는 터치 입력장치(100)에 마련되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타 장치의 제어부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영역을 문지르는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동작을 함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의 좌측을 접촉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문지르는 동작을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나는 메뉴를 다음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숫자, 문자, 또는 약속된 제스처를 그림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알파벳 "A"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란에 "A"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0)에 문자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열된 문자표에서 해당 문자를 선택하는 것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외측면부에서의 터치 입력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모습을, 도 8은 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의 터치 입력 모습을, 도 9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외측면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의 외관도이다.
여기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입력은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100)의 돌출부(120)가 장착면(140)에서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입력을 의미하고, 돌출부(120)의 돌출방향(P2)으로의 입력은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100)의 돌출부(120)가 장착면(140)에서 돌출된 방향으로의 입력을 의미한다.
즉,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는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 또는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입력과 돌출방향으로의 입력을 각각 다른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부(121)는 복수의 포인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즉, 멀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고, 각 포인터는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 또는 돌출방향(P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의 입력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 방향을 판단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포인터 중 절반 초과의 포인터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터치 입력장치(10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의도가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드래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복수의 포인터 중 절반 초과의 포인터가 돌출방향(P2)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입력장치(10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의도가 돌출방향(P2)으로의 드래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외측면부(121)가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입력은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며 손가락을 펴는 동작에 대응하고, 돌출방향(P2)으로의 입력은 경사면을 따라 위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며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0)의 제어부는 전술한 외측면부(121)에서의 터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터치 입력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터치 입력장치(100)와 연결된 다른 장치는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턴오프된 상태(이하, "대기 모드"라 함; 501)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턴온시키거나(즉, 웨이크 업; Wake-up) 미리 설정된 화면(503)을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숨겨진 메뉴 호출).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턴온된 상태(503)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P2)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시 대기 모드(505)로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턴오프된 상태(이하, "대기 모드"라 함; 501)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P2)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턴온시키거나(즉, 웨이크 업) 미리 설정된 화면(503)을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숨겨진 메뉴 호출).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턴온된 상태(503)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시 대기 모드(505)로 진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507)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줌인(zoom-in; 509)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509)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P2)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줌아웃(zoom-out; 511)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507)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P2)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줌인(zoom-in; 509)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509)에서, 터치 입력장치(100)의 외측면부(121)가 돌출부(12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 제스처를 입력 받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줌아웃(zoom-out; 511)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스처를 입력 받는 터치 입력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돌출된 형상의 터치 입력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의 함몰부(130-1)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3)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의 곡률이란 함몰부(130-1)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곡률을 의미한다.
연결부(133)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133)를 접촉하거나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연결부(133)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측면부(131)와 바닥부(132)가 연결되는 영역을 터치하거나 문지름으로써 약속된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방을 주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등 터치 입력장치(101)에 시선을 두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부(133)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연결부(133)의 형상이 경사지거나 곡면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부(133)의 외측에 내측면부(131)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부(133)를 바라보지 않고도 의도하는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터치부(110-1)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중앙 터치부(111)와 연결부(133)에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와 외곽 터치부(112)에 마련되는 터치패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외곽 터치부(112)에 마련되는 터치패드는 내측면부(131)에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133)를 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측면부(131)를 터치하여 약속된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33)와 내측면부(131)가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연결부(133)를 터치하는 경우와 내측면부(131)를 터치하는 경우에 각각 다른 실행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롤링은 터치부(1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방식을, 서클링 또는 스핀은 터치부(1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도면에는 롤링 동작이 도시되어 있지만, 서클링 또는 스핀동작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외곽 터치부(112)를 터치하여 롤링, 서클링 또는 스핀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롤링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를 터치하여 롤링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롤링하는 방향,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위치, 또는 롤링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길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터가 외곽 터치부(112)를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와 반 시계 방향으로 문지르는 경우에 각각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포인터를 외곽 터치부(112)의 좌측을 탭하는 경우와 우측을 탭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외곽 터치부(112)의 일 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외곽 터치부(11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의 터치가 종료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33)(또는 외곽 터치부(112))는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은 양각 또는 음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을 포인터로 사용하여 연결부(133)를 문지르는 경우 사용자는 눈금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에 느껴지는 감각을 통하여 몇 개의 눈금을 지나고 있는 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5 눈금의 거리만큼 연결부(133)에 시계방향으로 롤링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커서는 5 칸 오른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롤링, 서클링 또는 스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의 일 점을 접촉하는 탭 동작을 터치 신호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곽 터치부(112)의 상측을 접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커서가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2)의 함몰부(130-2)의 바닥부(132)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 바닥부(132)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바닥부(132)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된다. 한편, 바닥부(132)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2)는 바닥부(132)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터치부(110-2)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2)의 영역은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오목한 형상 부분과 일치할 수 있다.
도 16은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때의 손가락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부(110-2)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곡면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면 터치부(110-2)와 비교하여 제 3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터치부(110-2)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목 등에 가해지는 피로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부(110-2)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때에 손가락을 제외한 관절을 움직이거나 꺾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움직임만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이는 때에 과도하게 손목을 비틀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과 손목의 자연스러운 움직임만으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110-2)의 형상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장시간의 사용에도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이 적고, 손목이나 다른 관절에 발생할 수 있는 골격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2)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2)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10-2)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110-2)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서클링 등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2)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110-2)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110-2)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터치부(110-2)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110-2)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110-2)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곡면으로 마련되는 터치부(110-2)에 사용되는 터치패드는 광학 방식을 사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곡면의 터치부(110-2) 후면에 적외선 엘이디(IR LED) 및 포토다이오드 층(Photodiode array)을 배치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와 포토다이오드가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이미지를 확보하고, 제어부는 확보된 이미지에서 터치점을 추출하게 된다.
한편, 터치부(110-2)의 직경과 깊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110-2)의 직경은 50mm 내지 80mm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성인의 평균적인 손가락 길이를 고려할 때, 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한 번에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80mm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직경이 80mm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서 원을 그리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필요 이상으로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터치부(110-2)의 직경이 50mm 보다 작아지는 경우 터치 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양성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좁은 영역에서 제스처가 그려지게 되어 제스처의 입력 오류가 증가한다.
또한, 터치부(110-2)가 구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은 0.04 내지 0.1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110-2)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은 터치부(110-2)의 곡면이 굽은 정도를 의미한다. 즉, 같은 직경의 터치부(110-2)에서 깊이/직경의 값이 클수록 더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되고, 반대로 깊이/직경의 값이 작을수록 더 평편한 형상을 갖게 된다.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 값이 0.1 보다 커지는 경우, 오목한 형상의 곡률이 커지게 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터치감이 불편해진다. 터치부(110-2)의 오목한 형상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에서 손가락 끝이 그리는 곡선의 곡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깊이/직경 값이 0.1을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터치부(110-2) 곡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였을 때 손가락에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인위적인 조작감이 느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무의식 적으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곡면과 손가락 끝 사이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의 터치가 끊어지게 되어 인식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터치부(110-2)의 깊이가 너무 낮으면 사용자가 평면부와 비교하여 곡면부가 가지는 이점을 느끼기 어렵다. 터치부(110-2)의 깊이/직경 값이 0.04 보다 작아지면 사용자가 평면 터치부(110-2)에서 제스처를 그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감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게 된다.
제 3 실시예에서 터치부(110-2)는 바닥부(132)에 마련되는 중앙 터치부(111)와 연결부(133)에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터치부(111)와 외곽 터치부(112)에 마련되는 터치패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곽 터치부(112)의 상세한 설명은 제 1 및 2 실시예에서 한 바 있으며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33)의 경사도는 연결부(133)와 바닥부(132)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바닥부(132) 곡면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닥부(132)의 곡면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연결부(133)의 경사도가 바닥부(132)의 곡면 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경사부의 터치 영역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중앙 터치부(111)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외곽 경사부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중앙 터치부(111)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외곽 터치부(112)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중앙 터치부(111)의 제스처 입력과 외곽 터치부(112)의 롤링 동작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3)의 터치부(110-3)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 1 중앙 터치부(111a)와, 제 1 중앙 터치부(111a)의 주위를 둘러싸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 2 중앙 터치부(111b)와, 제 2 중앙 터치부(111b)를 둘러싸며 경사면으로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고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 1 바닥부(132a)와 제 1 바닥부(132a)를 둘러싸고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 2 바닥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a)는 제 1 바닥부(132a)에 마련되고, 제 2 중앙 터치부(111b)는 제 2 바닥부(132b)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2)는 함몰부(130-3)의 연결부(133)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a)와 제 2 중앙 터치부(111b)와 외곽 터치부(112)는 독립적으로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중앙 터치부(111a)는 제스처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제 2 중앙 터치부(111b)는 방향 터치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2)는 롤링 또는 서클링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a)와 제 2 중앙 터치부(111b)와 외곽 터치부(112)의 터치패드는 일체로 마련되거나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터치패드들이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소프트웨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 1 중앙 터치부(111a)와 제 2 중앙 터치부(111b)와 외곽 터치부(112)는 각각의 터치부(110-3)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조합하여 새로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제 1 중앙 터치부(111a)에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서브 메뉴 안에서 아이콘이 쉬프트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 2 중앙 터치부(111b)를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중앙 터치부(111a)에 플리킹 또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메인 메뉴의 아이콘이 쉬프트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서브 메뉴에서 메인 메뉴로 이동한 후에 메인 메뉴의 아이콘을 변경하여야 하는 동작을 단순화하여 서브 메뉴 안에서 바로 메인 메뉴의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음악의 재생 메뉴에서 바로 내비게이션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B-B 단면도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4)의 터치부(110-4)는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1 중앙 터치부(111c)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 2 중앙 터치부(111d)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를 둘러싸며 경사면으로 마련되는 외곽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바닥부(132c)와 제 1 바닥부(132c)를 둘러싸는 제 2 바닥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닥부(132c)와 제 2 바닥부(132d)는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바닥부(132c)는 제 2 바닥부(132d)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그 반대로 제 2 바닥부(132d)가 제 1 바닥부(132c)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포함한다.
제 1 중앙 터치부(111c)는 제 1 바닥부(132c)에 마련되고, 제 2 중앙터치부(111d)는 제 2 바닥부(132d)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2)는 함몰부(130-3)의 연결부(133)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중앙 터치부(111c)의 터치패드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의 터치패드는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는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중앙 터치부(111c)는 눌림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제 2 중앙 터치부(111d)는 상하좌우, 4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2 중앙 터치부(111d)에 압력을 가하여 틸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중앙 터치부(111c)에 압력을 가하여 클림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서가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는 서로 다른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중앙 터치부(111c)가 틸팅 가능한 구조를 채용하고, 제 2 중앙 터치부(111d)가 눌림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는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 모두 움직이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지,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터치패드들로 마련되는 것에 불과하다.
제 1 중앙 터치부(111c)와 제 2 중앙 터치부(111d)와 외곽 터치부(112)는 독립적으로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중앙 터치부(111c)는 제스처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 2 중앙 터치부(111d)는 방향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외곽 터치부(112)는 롤링 또는 서클링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5)의 터치부(110-5)는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 1 중앙 터치부(111e)와, 제 1 중앙 터치부(111e)의 주위를 둘러싸며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 2 중앙 터치부(111f)와, 제 2 중앙 터치부(111f)를 둘러싸며 경사면으로 마련되는 외곽 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32)는 중앙에 위치하고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되는 제 1 바닥부(132e)와 제 1 바닥부(132e)를 둘러싸고 평면으로 마련되는 제 2 바닥부(13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e)는 제 1 바닥부(132e)에 마련되고, 제 2 중앙터치부(111f)는 제 2 바닥부(132f)에 마련되고, 외곽 터치부(112)는 함몰부(130-3)의 연결부(133)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중앙 터치부(111e)와 제 2 중앙 터치부(111f)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중앙 터치부(111e)의 터치패드와 제 2 중앙 터치부(111f)의 터치패드는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도 22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6)는 기울어짐 또는 틸팅(Tiling)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돌출부(120)와 함몰부(130)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장착면(14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6)는 눌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돌출부(120)와 함몰부(130)를 포함하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를 지지하는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2)는 몸체부(151)의 하부를 지지하며, 장착면(140)에 대하여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울어짐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입력장치(106)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6)의 중심 부분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110)가 평행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를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약속된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의 중심부분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메뉴 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입력장치(106)의 상부를 누름으로써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 2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 102, 103, 104, 105, 106)의 돌출부(12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즉, 터치부(110)가 돌출부(120)에 마련될 수 있음). 일 예로, 사용자는 돌출부(120)의 외측면부(121)를 쥔 상태에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 또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상향 또는 하향 드래깅을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는 장착면(1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포인터의 일 예)이 외측면부(121)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한 돌출부(120)의 돌출방향 또는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제스처 입력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에 관하여 전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입력장치(106)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6) 내부에는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a 및 도 25b는 터치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차량(20) 및 기어박스(300)에 설치된 것으로서 설명하나, 터치 입력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 2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1, 102, 103, 104, 105, 10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차량(2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와, 기어박스(300), 센터페시아(22) 및 스티어링휠(23)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24)(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시계(312), 오디오장치(313) 및 AVN 장치(31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장치(310)는 차량(2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2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장치(31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22)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12)는 공조장치(3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장치(313)는 오디오장치(31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차량(20)의 센터페시아(22) 내부에 매립되거나 대시보드(24)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14)는 AVN 장치(31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1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N 장치(314)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오디오장치(313)가 생략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23)은 차량(2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321) 및 차량(2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32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322)에는 차량(2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4)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주행거리,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온도, 각종 경고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등을 알려주는 계기판(324)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325)(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어박스(300)는 일반적으로 차량(20)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20)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기어박스(300)에는 차량(20)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301)와, 차량(2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02)와, 차량(20)의 각종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30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5a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100)는 기어박스(30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레버(3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장치(10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거나, 조수석에 설치되거나, 후석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량 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다양한 장치의 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변속레버(301)와 일체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변속레버(301)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 입력장치는 외측면부(121-1, 121-2)가 변속레버(301)의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터치 신호 또는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레버(301)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 입력장치는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1, 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1)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제스처를 수신하고, 우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2) 또한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제스처를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의도가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1)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우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2) 또한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의도가 돌출방향(P2)으로의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1)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우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2)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아무런 터치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1)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우측면에 형성된 외측면부(121-2)가 사용자로부터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터치 신호를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아무런 터치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부가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P1)으로의 터치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차량(20)의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를 작동시킬 수 있고, 변속레버(301)의 돌출방향(P2)으로의 터치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차량(20)의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돌출된 형상의 터치 입력장치는 전술한 변속레버(301)에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다시 도 24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장치(100)는 차량(20)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차량(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오디오장치(313), AVN 장치(314), 또는 계기판(324)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2)가 기어박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터치 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100)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차량(20)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7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입력장치 110: 터치부
111: 중앙 터치부 112: 외곽 터치부
120: 돌출부 121: 외측면부
122: 등성이부 130: 함몰부
131: 내측면부 132: 바닥부
133: 연결부 140: 장착면
141: 손목 지지부 151: 몸체부
152: 지지부

Claims (22)

  1.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부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장착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 및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원기둥, 및 원뿔대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마련된 터치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기기에 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오프시키는 터치 입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줌인시키고,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줌아웃시키는 터치 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에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기기에 명령을 내리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0. 삭제
  11.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부는 경사면 또는 음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장착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 및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턴온되고,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턴오프되는 차량.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차량.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차량.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화면을 줌인하고, 상기 돌출방향으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화면을 줌아웃하는 차량.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향으로의 제스처 입력 또는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멀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차량.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출방향 및 상기 외측면부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는 동작에 대응하고,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 및 상기 외측면부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출방향 및 상기 외측면부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는 동작에 대응하고,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돌출방향과 반대방향 및 상기 외측면부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드래깅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차량.
KR1020150109857A 2015-08-04 2015-08-04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57A KR101721963B1 (ko) 2015-08-04 2015-08-04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4/936,933 US9811200B2 (en) 2015-08-04 2015-11-10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57A KR101721963B1 (ko) 2015-08-04 2015-08-04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587A KR20170016587A (ko) 2017-02-14
KR101721963B1 true KR101721963B1 (ko) 2017-03-31

Family

ID=5805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57A KR101721963B1 (ko) 2015-08-04 2015-08-04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1200B2 (ko)
KR (1) KR101721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9629A1 (ja) * 2013-06-14 2014-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GB2547032B (en) * 2016-02-05 2020-05-20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human interface assembly
US11485341B2 (en) 2016-09-24 2022-11-0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11161484B2 (en) 2016-09-24 2021-11-0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KR20180071020A (ko) * 2016-12-19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E102017211525B4 (de) * 2017-07-06 2023-12-07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mithilfe der Bedienvorrichtung,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KR102403195B1 (ko) * 2017-09-29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40291B1 (ko) * 2017-11-15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어방법
JP6872085B6 (ja) * 2018-10-04 2021-06-2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CN112947833B (zh) * 2019-11-26 2024-03-0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的确定方法、装置、移动终端及车辆
KR20220055947A (ko) * 2020-10-27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 독립조향 차량의 제자리 회전모드 제어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0732A (ja) * 2006-01-27 2007-08-09 Alpine Electronics Inc 信号入力装置
US20130113726A1 (en) * 2009-11-27 2013-05-09 Audi Electronics Venture Gmbh Operator control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872A (ja) 1998-01-06 1999-07-21 Poseidon Technical Systems:Kk 接触操作型入力装置およびその電子部品
GB9928682D0 (en) 1999-12-06 2000-02-02 Electrotextiles Comp Ltd Input apparatus and a method of generating control signals
JP4847029B2 (ja) 2005-03-02 2011-12-28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KR101292719B1 (ko) * 2008-09-03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측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100315349A1 (en) * 2009-06-12 2010-12-16 Dave Choi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system and method
US8581718B2 (en) * 2011-07-14 2013-11-12 Volkswagen Ag Motor vehicle
KR20140138361A (ko)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0732A (ja) * 2006-01-27 2007-08-09 Alpine Electronics Inc 信号入力装置
US20130113726A1 (en) * 2009-11-27 2013-05-09 Audi Electronics Venture Gmbh Operator control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587A (ko) 2017-02-14
US20170038891A1 (en) 2017-02-09
US9811200B2 (en)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96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1990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01014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1987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5607770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CN105607772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CN107844205B (zh) 触摸输入设备以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运载工具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514784B2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66729B1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제어방법
KR101722538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