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020A -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020A
KR20180071020A KR1020160173724A KR20160173724A KR20180071020A KR 20180071020 A KR20180071020 A KR 20180071020A KR 1020160173724 A KR1020160173724 A KR 1020160173724A KR 20160173724 A KR20160173724 A KR 20160173724A KR 20180071020 A KR20180071020 A KR 2018007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rotation
gesture
user
inpu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1020A/ko
Priority to US15/635,647 priority patent/US10514784B2/en
Publication of KR2018007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hap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60K2350/1024
    • B60K2350/1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60K2360/1468Touch ges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입력수단; 제스처 입력수단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제스처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스처 입력수단은 오목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중앙부에 마련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가 마련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INPUT APPARATUS AND VEHICLE}
물리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장치의 다변화이다.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해준다.
입력장치는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분야 역시도 은행, 관공서, 관광 및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 또는 의료 관련 제품과 차량에도 입력장치를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와 별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손가락 슬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회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입력수단; 제스처 입력수단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제스처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스처 입력수단은 오목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중앙부에 마련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가 마련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마련된다.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리브를 상향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리브를 하향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이 변경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킬 수 있다.
경사부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와 경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물리적 회전이 가능하다.
제스처 입력수단은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수단은 중앙부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좌우 네 방향 이상으로 기울어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동작 및 기울어짐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입력수단; 제스처 입력수단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제스처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스처 입력수단은 오목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중앙부에 마련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리브를 상향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리브를 하향시킬 수 있다.
차량은 화면 상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회전 감지수단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값에 따라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이 변경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킬 수 있다.
경사부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와 경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물리적 회전이 가능하다.
제스처 입력수단은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수단은 중앙부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좌우 네 방향 이상으로 기울어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동작 및 기울어짐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의 표면이 미끄러운 상황에서도 리브로 인한 손가락의 이탈 방지에 의해 손가락 슬립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력장치의 물리적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포인터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플리킹 제스처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곡면부의 우측을 탭하는 탭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경사부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손가락 슬립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부(210, 220)와,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터치부(210, 22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 입력수단으로서 구현된다. 터치부(210, 220)는 중앙부에 위치하고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곡면부(210)와, 곡면부(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20)는 곡면부(210)와 일체로 하여, 또는 곡면부(210)와 독립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물리적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경사부(2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경사부(220)는 테두리부(230) 및 손목 지지수단(24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경사부(210)의 표면은 사용자가 경사부(220)의 일 지점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 마찰력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면부(210)와 독립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경사부(2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부(210, 220)에는 이러한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의 정도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고, 회전 감지부는 터치부(210, 220)의 내부 또는 하부 등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어느 위치에든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220) 표면에는 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222)가 마련될 수 있고, 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감지 센서(s)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222)는 사용자가 경사부(220)를 손가락의 미끄러짐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리브(222)가 경사부(220)의 표면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경사부(220)를 물리적으로 회전 시키는 경우 손가락의 리브(222)에의 걸림에 의해 손가락의 미끄러짐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센서(s)는 경사부(220)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경사부(220)에 직접 포인터(즉, 손가락)를 접촉하지 않더라도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근접 터치"와, 포인터를 직접 접촉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접촉 터치"를 포함한다.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경사부(220)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경사부(220)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 감지 센서(s)는 복수개 마련되어 경사부(220)의 각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 센서(s)는 경사부(220) 후면에 마련되는 것뿐만 아니라, 곡면부(210) 후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터치부(210, 220)에 사용되는 터치 감지 센서(s)는 광학 방식을 사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 후면에 적외선 엘이디(IR LED) 및 포토다이오드 층(Photodiode array)을 배치할 수 있다. 적외선 엘이디와 포토다이오드가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이미지를 확보하고, 제어부는 확보된 이미지에서 터치점을 추출하게 된다.
테두리부(230)는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210, 22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240)은 제스처 입력수단, 즉 터치부(210, 22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목 지지수단(24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 서 손가락으로 터치부(210, 220)에 제스처를 입력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터치부(210, 220)는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210, 220)의 터치면이 터치부(210, 220)와 테두리부(23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곡면부(210)를 포함한다.
터치부(210, 220)가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스처는 터치부(210, 220)의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질 때 인식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비슷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스처를 입력한다면 서로 다른 명령으로 인식될 위험이 존재한다. 문제는 사용자가 터치 영역에 시선을 두지 않은 채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면서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외부 상황에 집중하는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 촉감에 의해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 및 경계를 인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된다.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한 형상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의 곡면부(210)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한편, 터치부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제공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곡면부(210)의 곡면 형상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면 터치부와 비교하여 실시예와 같이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터치부(210, 220)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목 등에 가해지는 피로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부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210, 220)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스핀 동작을 입력할 수 있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물리적 회전이 용이하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210, 220)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210, 22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210, 22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부(210, 220)의 직경과 깊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은 50mm 내지 80mm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성인의 평균적인 손가락 길이를 고려할 때, 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한 번에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80mm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80mm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경사부(220)에서 원을 그리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필요 이상으로 손목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터치부(210, 220)의 직경이 50mm 보다 작아지는 경우 터치영역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의 다양성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좁은 영역에서 제스처가 그려지게 되어 제스처의 입력 오류가 증가한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구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은 0.04 내지 0.1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값은 터치부(210, 220)의 곡면이 굽은 정도를 의미한다. 즉, 같은 직경의 터치부(210, 220)에서 깊이/직경의 값이 클수록 더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되고, 반대로 깊이/직경의 값이 작을수록 더 평편한 형상을 갖게 된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 값이 0.1 보다 커지는 경우, 오목한 형상의 곡률이 커지게 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터치감이 불편해진다. 터치부(210, 220)의 오목한 형상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에서 손가락 끝이 그리는 곡선의 곡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깊이/직경 값이 0.1을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 곡면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였을 때 손가락에 필요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인위적인 조작감이 느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무의식 적으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는 곡면과 손가락 끝 사이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의 터치가 끊어지게 되어 인식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터치부(210, 220)의 깊이가 너무 낮으면 사용자가 평면부와 비교하여 곡면부가 가지는 이점을 느끼기 어렵다. 터치부(210, 220)의 깊이/직경값이 0.04 보다 작아지면 사용자가 평면 터치부에서 제스처를 그리는 것과 비교하여 조작감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곡면부(210)의 외곽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곡면부(210)는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고, 경사부(220)는 곡면부(210)의 원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220)는 눈금(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221)들은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눈금(221)들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눈금(22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와이핑 동작 도중에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스와이핑 제스처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와이프(Swype)는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 없이 터치패드에서 포인터를 떼지 않은 상태로 제스처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220)의 경사도는 경사부(220)와 곡면부(210)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곡면부(210)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곡면부(210)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경사부(220)의 경사도가 곡면부(210) 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곡면부(210)의 터치 영역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곡면부(210)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경사부(220)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곡면부(2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경사부(220)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곡면부(210)의 제스처 입력과 경사부(220)의 스와이핑 제스처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곡면부(210)와 경사부(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 센서(s)는 곡면부(210)와 경사부(220)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s)로 마련될 수 있다. 곡면부(210)와 경사부(220)에 하나의 터치 감지 센서(s)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가 곡면부(210) 터치영역과 경사부(220) 터치영역을 구분함으로써 곡면부(210)의 터치 입력과, 경사부(220)의 터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을 인식하고, 터치부(210, 220)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물리적 회전과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다양한 기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Cursor) 또는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경사부(220)가 시계방향으로 물리적 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물리적 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인터가 곡면부(210) 상에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Cursor) 또는 메뉴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포인터가 곡면부(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커서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예비 선택된 메뉴를 상부 메뉴에서 하부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인터가 이동하는 궤적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에 대응시키고, 대응되는 제스처에 정의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스처는 포인터가 플리킹(Flicking), 롤링(Rolling), 스핀(Spin), 또는 탭(Tap) 동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리킹은 포인터가 곡면부(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 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롤링은 곡면부(2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스핀은 곡면부(2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탭은 곡면부(210)를 두드리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는 경사부(220)에서의 터치 입력의 인식 여부와 터치부(210, 220)의 물리적 회전의 감지 여부에 따라 리브(2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경사부(220)에서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으나, 경사부(220)가 물리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즉, 정지한 상태인 경우), 리브(222)의 높이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220)에서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 리브(222)의 높이를 하향 조절하여 리브(222)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리브(222)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기 위한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는 입력장치(200)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은 두 개의 포인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 곡면부(210)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멀티 포인터 입력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싱글 포인터 입력 방식과 제스처를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명령이나 지시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곡면부(210)에 글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그려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한글의 자음/모음,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또는 사칙연산기호 등을 그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 또는 숫자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누름 동작 또는 기울어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부(210, 220)에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210, 220)의 일 부분을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그에 따른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동작은 터치부(210, 220)가 평행하게 눌려지는 경우와 기울어지게 눌려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는 경우 일부분만이 눌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부(210, 22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부(210, 220)의 중심 부분(d5)을 누르는 경우 터치부(210, 220)가 평행 상태로 눌러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200)를 가압하여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중심부분(d5)을 누르는 경우 메뉴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부(210, 220)의 상부(d1)를 누르는 경우 커서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브(222)는 경사부(220) 상면에 마련되어 상향 조절된 경우 손가락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222)가 경사부(220)의 상향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경사부(220)를 물리적으로 회전 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리브(222)에 걸림으로써 손가락의 미끄러짐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조작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포인터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플리킹 제스처 입력 모습을, 도 5는 곡면부의 우측을 탭하는 탭 입력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곡면부(210)에 플리킹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플리킹 제스처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곡면부(210) 후면에 마련된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플리킹 제스처는 포인터를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 시키는 다양한 일 방향 제스처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곡면부(210)의 일지점을 터치함으로써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장치(20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입력장치(200) 내부에는 터치부(210, 220)가 전술한 다섯 가지 방향(d1 내지 d5)으로 눌러지거나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와 터치부(210, 220)가 물리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와 리브(222)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2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입력장치(200)에 가해지는 외력, 터치부(210, 220)의 물리적 회전, 또는 터치부(210, 220)에서 인식되는 제스처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타 장치의 제어부나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자가 경사부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손가락 슬립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경사부(220)의 일 지점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 마찰력을 이용하여 경사부(220)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어느 한 터치 감지 센서(s1)로부터 다른 터치 감지 센서(s2)로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 또한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경사부(220)의 일 지점을 눌렀으나, 마찰력이 충분하지 않아 경사부(220)의 회전 없이 손가락이 다른 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어느 한 터치 감지 센서(s1)로부터 다른 터치 감지 센서(s2)로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나, 회전 감지부는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할 수 없다(즉, 스와이핑 제스처의 입력).
이를 위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제어부는 경사부(220) 후면에 마련된 어느 한 터치 감지 센서(s1)로부터 다른 터치 감지 센서(s2)로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나, 회전 감지부가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즉, 스와이핑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리브(222)의 높이를 상향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s)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아니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 리브(222)의 높이를 하향 조절하여 리브(222)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경사부(220)의 외곽에 마련되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s)에 의해 경사부(220)에서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경사부(220)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키거나,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키는 것은 발광부가 조사하는 조명의 색상이나 밝기 등을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설치된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2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와, 기어박스(300), 센터페시아(22) 및 스티어링휠(23)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24)(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시계(312), 오디오장치(313) 및 AVN 장치(31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장치(310)는 차량(2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2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장치(31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2)에는 공조장치(310)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22)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장치(3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12)는 공조장치(31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장치(313)는 오디오장치(31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차량(20)의 센터페시아(22) 내부에 매립되거나 대시보드(24)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14)는 AVN 장치(31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N 장치(314)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오디오장치(313)가 생략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23)은 차량(2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321) 및 차량(2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32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322)에는 차량(2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4)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에게 차량속도, 주행거리,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온도, 각종 경고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 등을 알려주는 계기판(324)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325)(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어박스(300)는 일반적으로 차량(20)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20)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어박스(300)에는 차량(20)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301)와, 차량(2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2)와, 차량(20)의 각종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30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기어박스(30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속레버(30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입력장치(200)는 센터페시아(22)에 설치되거나, 조수석에 설치되거나, 후석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입력장치(200)는 차량(20)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차량(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오디오장치(313), AVN 장치(314), 또는 계기판(324)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2)가 기어박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200)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경사부(220)의 어느 한 터치 감지 센서(s1)로부터 경사부(220)의 다른 한 터치 감지 센서(s2)로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1110의 "예"), 회전 감지부를 통해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 여부를 감지한다(1120).
경사부(220)가 물리적으로 회전한 경우(1120의 "예"), 제어부는 경사부(220)의 물리적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하고, 회전값만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킨다(1150). 그러나, 경사부(220)가 물리적으로 회전하지 않은 경우(1120의 "아니오"), 제어부는 리브(222)를 상향 조정한다(1130).
이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리브(222)를 상향 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광부(224)의 조명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1130).
그러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s)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경사부(220)의 회전도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1140의 "예"), 리브(222)를 하향 조정하여 다시 원 위치로 이동시킨다(116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리브(222)를 하향 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광부(224)의 조명을 원상태로 다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어부는 터치 감지 센서(s)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회전 감지부에 의해 경사부(220)의 회전이 감지되는 상태에서는 경사부(220)의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하고, 회전값만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1150).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200: 입력장치,
210: 곡면부, 220: 경사부,
221: 눈금, 222: 리브, 223: 터치 감지 센서
230: 테두리부,
240: 손목 지지부

Claims (20)

  1.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입력수단;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오목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중앙부에 마련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마련되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를 상향시키는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를 하향시키는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하는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이 변경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키는 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눈금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곡면부와 상기 경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중앙부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좌우 네 방향 이상으로 기울어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동작 및 기울어짐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
  11.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입력수단;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오목하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중앙부에 마련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마련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를 상향시키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를 하향시키는 차량.
  14. 제 11 항에 있어서,
    화면 상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회전에 대응하는 회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값에 따라 상기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차량.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차량.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이 변경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와이핑 제스처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부의 조명을 변경시키는 차량.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눈금을 포함하는 차량.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곡면부와 상기 경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물리적 회전이 가능한 차량.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수단은 중앙부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좌우 네 방향 이상으로 기울어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누름 동작 및 기울어짐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차량.
KR1020160173724A 2016-12-19 2016-12-19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71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24A KR20180071020A (ko) 2016-12-19 2016-12-19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5/635,647 US10514784B2 (en) 2016-12-19 2017-06-28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24A KR20180071020A (ko) 2016-12-19 2016-12-19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20A true KR20180071020A (ko) 2018-06-27

Family

ID=6255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24A KR20180071020A (ko) 2016-12-19 2016-12-19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14784B2 (ko)
KR (1) KR201800710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9461B2 (en) * 2019-01-31 2020-09-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 vehicle input apparatuses with rotatable dials for vehicle systems control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11995253B1 (en) 2022-06-27 2024-05-28 Apple Inc. Systems with deployable controllers and user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1753B1 (en) * 2000-10-25 2002-08-27 Motorola, Inc.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NO20015872L (no) 2001-11-30 2003-06-02 Ziad Badarneh Manöverinnretning
KR100811160B1 (ko) * 2005-06-02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명령을 3차원적으로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US20070057922A1 (en) * 2005-09-13 2007-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having concentric touch pads
CN101460915A (zh) * 2006-06-02 2009-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输入装置及输入方法
KR101061819B1 (ko) 2006-07-14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입력부의 감도 조정방법
GB2446702A (en) * 2007-02-13 2008-08-20 Qrg Ltd Touch Control Panel with Pressure Sensor
DE102007037707A1 (de) * 2007-08-09 2009-02-19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Gangwahlelement und zusätzlicher Parksperrenbetätigung
US9454256B2 (en) *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US20100060568A1 (en) * 2008-09-05 2010-03-11 Apple Inc. Curved surface input device with normalized capacitive sensing
US8982062B2 (en) * 2011-05-09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ulti-modal user input device
JP2013089117A (ja) 2011-10-20 2013-05-13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US20150121274A1 (en) * 2012-05-29 2015-04-30 Honda Motor Co., Ltd. Vehicle-use display apparatus
JP5798160B2 (ja) * 2013-08-09 2015-10-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US9768746B2 (en) * 2013-09-10 2017-09-19 Bose Corporation User interface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JP6080265B2 (ja) * 2013-12-26 2017-0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JP6364808B2 (ja) * 2014-02-21 2018-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遠隔操作装置
CN105607772B (zh) * 2014-11-13 2020-11-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KR101866740B1 (ko) 2014-11-1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60085189A (ko) 2015-04-24 2016-07-15 (주)하운 터치 스크롤 디바이스 어셈블리
KR101681987B1 (ko) * 2015-04-30 2016-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1963B1 (ko) * 2015-08-04 2017-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255280A1 (en) * 2016-03-03 2017-09-07 Methode Electronics, Inc. SmartKno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4784B2 (en) 2019-12-24
US20180170182A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196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60378200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1990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5607770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US10126938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802701B2 (en)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N105607772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7844205B (zh) 触摸输入设备以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运载工具
KR2018007102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011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722538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