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540B1 -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540B1
KR102452540B1 KR1020160169584A KR20160169584A KR102452540B1 KR 102452540 B1 KR102452540 B1 KR 102452540B1 KR 1020160169584 A KR1020160169584 A KR 1020160169584A KR 20160169584 A KR20160169584 A KR 20160169584A KR 102452540 B1 KR102452540 B1 KR 10245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
touch
distance
movement
edi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033A (ko
Inventor
양현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5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60K2350/1024
    • B60K2350/3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조작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며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는 처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조작계의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네비게이션, 오디오, 비디오 및 블루투스 핸즈프리 등의 다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통합조작계가 장착된다. 이러한 통합조작계는 다이얼과 이러한 다이얼 주변에 설치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홈 화면의 메뉴 배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계의 다이얼을 길게 눌러 편집모드로 진입한 후, 다이얼을 회전시켜 화면 상의 선택된 항목을 이동시킨다. 이어서, 화면 내 별도 버튼을 선택하여 편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화면 상의 메뉴 배치를 편집하기 위해 단계별로 조작계를 여러 번 조작해야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한다.
KR 100960233 B1
본 발명은 조작계의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조작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며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기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기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으로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기는, 상기 편집 모드 종료 시 상기 선택된 객체의 변경된 위치를 최종 위치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터치 패드 상의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며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편집모드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으로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집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위치를 상기 선택된 객체의 최종 위치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계의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배치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화면의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및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차량 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조작계(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 오디오 출력기(140) 및 처리기(150)를 포함한다.
조작계(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조작계(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knob) 형태로 제작된다. 조작계(110)는 다이얼 회전 또는 조이스틱 방식을 통한 메뉴 이동, 메뉴 선택 또는 커서 이동 등을 제어한다. 조작계(110)의 주변에는 특정 기능이 정의된 기능키(FK)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는 메뉴키, 홈키, 통화키 및 목적지 설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touch pad)(111)는 조작계(110)의 상부(top)에 배치된다. 터치 패드(11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터치 필름 또는 터치 시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111)은 터치 패드(111) 상의 일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터치 패드(111)은 터치 지점의 위치(좌표)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드(111)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들)를 터치 제어기로 출력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패드(111)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들)를 처리하여 터치 지점의 좌표 데이터(좌표값)을 처리기(160)로 전송한다. 따라서, 처리기(160)는 터치 패드(111)의 어느 지점이 터치 되었지를 알 수 있다.
메모리(120)는 처리기(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지도 데이터(정밀 지도), 안내 음성메시지 및 경고음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차량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차량 단말기의 조작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지도, 도로 정보, 유교 정보 또는 경고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화면 상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위젯, 아이콘, 아이템 또는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및 HUD(Head Up Display)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기(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기(140)는 길안내 음성메시지, 경고 음성메시지 및/또는 경고음 등을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기(140)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및/또는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기(150)는 터치 패드(111) 상의 제1지점(제1터치 지점)과 제2지점(제2터치 지점)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지점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1터치 입력이라고 하고, 제2지점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2터치 입력이라고 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연산한다. 처리기(150)는 이러한 연산을 통해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지를 확인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정해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객체의 배치(위치)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패드(111) 상에 터치된 두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gesture)을 취한 후 2초 이상 유지하면, 처리기(150)는 편집모드로 진입한다. 처리부(150)는 편집모드 진입 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예컨대,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객체들 중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한다.
처리기(150)는 편집모드로 진입한 후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한다. 이때,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는 유지되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킨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가 해제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편집모드를 해제한다. 처리기(150)는 선택된 객체의 이동에 따른 객체들의 위치 변경을 확정하고,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기(150)는 터치 패드(111) 상에 발생한 제1터치 입력과 제2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10). 처리기(150)는 제1터치 입력이 감지된 제1터치 지점의 좌표 데이터와 제2터치 입력이 감지된 제2터치 지점의 좌표 데이터를 터치 패드(111)로부터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111)를 터치하면 터치 패드(111)는 두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두 지점의 좌표값을 처리기(150)로 전송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지를 확인한다(S120). 처리기(150)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111)의 표면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을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예: 2초)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한다(S130). 다시 말해서, 처리기(150)는 사용자가 터치 패드(111) 상에 두 손가락을 오므린 상태로 정해진 시간 이상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편집모드로 진입한다(S140). 이때, 처리기(15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한다.
처리기(150)는 편집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한다(S150). 이때,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는 유지되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인다.
처리기(150)는 감지된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160).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S1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벌리며 터치 패드(111)로부터 떼면, 처리기(150)는 터치 패드(111)를 통해 이를 감지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가 감지되면 편집모드를 종료한다(S180). 처리기(150)는 선택된 객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이 서로 멀어지며 터치가 해제되면,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처리기(150)는 편집모드 종료 시 이동한 객체의 위치를 객체의 최종 위치로 확정한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화면의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처리기(150)는 조작계(110)의 주변에 배치된 기능키들 중 홈 키가 입력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한다. 처리기(150)는 홈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포커스(F)를 표시한다. 이때, 포커스(F)는 기설정된 아이콘에 표시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아이콘에 표시된다.
처리기(150)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조작계(110)의 터치 패드(111)에 제1터치 입력과 제2터치 입력를 감지하면, 제1터치 입력이 감지된 제1터치 지점(T1)과 제2터치 입력가 입력된 제2터치 지점(T2)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그리고,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T1)과 제2터치 지점(T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며 정해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T1)과 제2터치 지점(T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며 정해진 시간 이상 유지되면 편집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터치 패드(111)에 접촉한 상태로 오므리고 2초 이상 유지하면, 처리기(150)는 편집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처리기(150)는 편집모드로 진입 시 포커스(F)가 위치하는 지점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아이콘에 선택 박스(S)를 표시한다.
처리기(150)는 제1터치 지점(T1)과 제2터치 지점(T2)이 도 4c에서와 같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택 박스(S)를 이동 마크(M)로 변경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아이콘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처리기(150)는 선택된 아이콘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터치 지점(T1)과 제2터치 지점(T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터치가 해제되면 이동으로 변경된 아이콘의 위치를 확정하며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벌리면서 터치를 해제하면 처리기(150)는 터치 패드(111)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처리기(150)는 편집모드가 종료되면 대기상태의 홈 화면으로 복귀하여 도 4e에서와 같이 이동시킨 아이콘에 포커스(F)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110: 조작계
111: 터치 패드
120: 메모리
130: 디스플레이
140: 오디오 출력기
150: 처리기

Claims (11)

  1.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조작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며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 해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는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기는,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 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스가 표시된 지점의 객체를 선택하며 선택된 객체에 표시되는 포커스를 선택 박스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 박스를 이동 마크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으로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편집 모드 종료 시 상기 선택된 객체의 변경된 위치를 최종 위치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5. 터치 패드 상의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며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편집모드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증가하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편집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 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스가 표시된 지점의 객체를 선택하며 선택된 객체에 표시되는 포커스를 선택 박스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 박스를 이동 마크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감소한 상태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포커싱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 간의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터치 지점과 상기 제2터치 지점의 이동 방향으로 선택된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위치를 상기 선택된 객체의 최종 위치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60169584A 2016-12-13 2016-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452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84A KR10245254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84A KR10245254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33A KR20180068033A (ko) 2018-06-21
KR102452540B1 true KR102452540B1 (ko) 2022-10-07

Family

ID=6280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84A KR10245254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552B (zh) * 2019-10-11 2021-08-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多窗口操作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233B1 (ko) 2007-11-27 2010-06-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시스템
KR101576292B1 (ko) * 2009-05-21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DE102009058145A1 (de) * 2009-12-12 2011-06-16 Volkswagen Ag Bedienverfahren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s
KR20120124518A (ko) * 2011-05-04 2012-1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제어장치의 조작 장치 및 조작 방법
KR101488307B1 (ko) * 2013-04-29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101667452B1 (ko) * 2014-08-14 2016-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81990B1 (ko) * 2015-04-30 2016-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33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366602B2 (en) Interactive multi-touch remote control
US201503016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CN108733303B (zh) 便携式终端的触摸输入方法和设备
US20110148774A1 (en) Handling Tactile Inputs
KR10242948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00068393A (ko)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39241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09128148A1 (ja) 遠隔操作装置
KR20100000514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097979A (zh) 用于传感器使能的用户界面的自动化控制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US20200050348A1 (en) Touch-type input device and operation detection method
JPWO2019021418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452540B1 (ko) 차량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US10416848B2 (e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23780B2 (en) Touch operation detection apparatus
CN105302244A (zh) 显示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6085218A (ja) タッチパネル操作装置
US10101905B1 (en) Proximity-based input device
JP6001463B2 (ja) タッチ式入力装置
KR102090443B1 (ko)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2116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장치의 스크롤 방법
KR101169760B1 (ko) 화면 상에 가상 입력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48116B1 (ko)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