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655A -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655A
KR20080011655A KR1020077024322A KR20077024322A KR20080011655A KR 20080011655 A KR20080011655 A KR 20080011655A KR 1020077024322 A KR1020077024322 A KR 1020077024322A KR 20077024322 A KR20077024322 A KR 20077024322A KR 20080011655 A KR20080011655 A KR 2008001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anine
serine
general formul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코 카미누마
마사루 스에츠구
마키 카네코
토시이 이이다
신지 이노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8001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등의 기능을 갖고, 감각 자극 등의 안전성상의 문제가 없는, 안정성이 높은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를 제공하는 것, 또한 상기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또한, 상기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인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부전각화 억제제

Description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PARAKERATOSIS INHIBITOR, PORE-SHRINKING AGENT OR AGENT FOR PREVENTING/AMELIORATING ROUGH SKIN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본 발명은 피지가 원인인 부전각화를 억제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주위의 피지중의 자극 성분에 의한 부전각화를 억제하고, 모공 주위의 피부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모공의 막자사발상 구조의 두드러짐을 억제하는 모공 축소제,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및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의 기능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히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해서, 모공의 두드러짐에 대한 고민은 커지고 있어, 이것을 개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이 필요로 되어 왔다. 그러나 모공이 두드러지는 메커니즘은 명백하지는 않고, 수렴 화장수나 각질전의 제거에 의한 대응이 일반적이다. 혹은 파운데이션으로 외관의 개선을 꾀하는 일도 많다. 그러나, 예를 들면 수렴 화장수는 피부를 조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알코올에 의해 일시적으로 피부 표면 온도를 낮추거나, 유기산 등에 의해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작용에 의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피부를 조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의 부하 가 크고, 또한 모공의 두드러짐의 근본적인 해결이 되어 있지 않아 그 효과도 충분하지는 않았다.
한편, 글리콜산이나 아스코르빈산 유도체에 모공 축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지(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 참조.)만, 그 작용 메커니즘이나 효과의 정도 등, 불분명한 점도 많다.
또한, 각질전 제거는 모공에 가득찬 각질전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며, 예를 들면 염생성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한 각질전 제거제(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수불용성 시클로덱스트린 폴리머를 함유한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점도가 5~80mPa·s/25℃인 유분을 50질량%이상 함유한 각질전 제거용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등에 의한 제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질전을 제거하는 방법에서는 물리적인 힘이 피부에 대미지가 되는 일도 있어 피부에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는 일이 있었다. 또한 그 효과도 일시적이여서 각질전이 곧 재생되어 버리는 일이나, 각질전을 제거하면 반대로 모공이 커져 버리는 일도 있어 반드시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모공의 두드러짐을 개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모공이 두드러지는 메커니즘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행하여,
(1) 모공부 주위의 막자사발상으로 움푹 패인 부분이 모공으로서 인식되고, 이 부분이 넓으면 두드러지는 것,
(2) 또한 이 막자사발상 부분의 각층이 부전각화 상태(본래 소실되어 있는 핵이 잔존하고 있다)인 것,
(3) 모공이 두드러지는 사람은 피지량, 특히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것,
(4) 이 불포화 지방산은 부전각화의 요인이 되는 것,
(5) 모공의 두드러짐은 피지중의 불포화 지방산이 요인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 등을 발견하여, 제 102 회 일본 피부 과학회 총회에서 발표했다(비특허문헌2 참조.).
이상으로부터, 모공이 두드러지는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피지가 원인으로 일어나는 부전각화가 한가지 원인으로 되어 있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부전각화를 개선함으로써, 모공의 두드러짐이 개선되는 것도 밝혀냈다.
또한, 상기 부전각화 억제 효과, 모공 축소 효과를 갖는 약제의 탐색을 행한 결과, 흥분성 세포 수용체인 안타고니스트 또는 억제성 세포 수용체인 아고니스트가 이들의 기능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특허문헌4 참조.), 이들의 대표예로서, 전자 안타고니스트로서는 D-글루타민산이나 TNP-ATP를 들 수 있다. 또한 후자 아고니스트로서는 글리신, β-알라닌, GABA, 세린, 타우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합물은 부전각화 억제 효과, 모공 축소 효과,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효과 등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감각 자극을 갖고, 피부외용 조성물에의 응용에 있어서 배합이 제한되는 등, 모두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로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더욱 우수한 화합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5-97627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평5-105619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 공개 2002-241260호 공보
특허문헌4: 특허 출원 2002-153457
비특허문헌1: 야자와 등, 프래그랜스 저널, 2002년, 30권, 2호, p54~58
비특허문헌2: 이이다 등, 제 102 회 일본 피부 과학회 총회 프로그램·초록, 2003년, 103, p846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등의 기능을 갖고, 감각 자극 등의 안전성상의 문제가 없는 안정성이 높은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를 제공하는 것, 또한 상기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한 피부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지견에 기초해서 불포화 지방산에 의한 부전각화 억제 작용을 갖는 화합물의 탐색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이 상기 작용을 갖고, 감각 자극도 없고 안전성이 높아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이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1
(일반식(1) 중, R1은 수소 원자, CH3기 또는 CH2OH기를 나타낸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2 및 R3이 동시에 수소 원자인 일은 없다. 또한, R1이 수소 원자인 경우, R2 및 R3의 한쪽은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2
(일반식(2) 중,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탄소수 1~4의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불소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n,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k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3
(일반식(3) 중, X1, X2, X3, k, n, m, p는 일반식(2)과 동일함.)
상기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2 및 R3의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카르보벤질옥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2 및 R3의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시클로헥실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2 및 R3의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벤젠술포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R2 및 R3의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는 피부외용 조성물로 조제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성이 높고, 피지가 원인인 부전각화를 억제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주위의 피지중의 자극 성분에 의한 부전각화를 억제하고, 모공 주위의 피부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여, 모공의 막대사발상 구조의 두드러짐을 억제하는 모공 축소제,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가 얻어진다. 또한,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의 기능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4
(일반식(1) 중, R1은 수소 원자, CH3기 또는 CH2OH기를 나타낸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2 및 R3이 동시에 수소 원자인 일은 없다. 또한, R1이 수소 원자인 경우, R2 및 R3의 한쪽은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5
(일반식(2) 중,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탄소수 1~4의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불소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n,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k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6
(일반식(3) 중, X1, X2, X3, k, n, m, p는 일반식(2)과 동일함.)
이하,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식(1) 중, R1은 수소 원자, CH3기 또는 CH2OH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R1이 수소 원자인 경우, 상당하는 글리신 유도체가 되고, R1이 CH3기인 경우, 상당하는 알라닌 유도체가 되고, R1이 CH2OH기인 경우, 상당하는 세린 유도체가 된다. 알라닌 유도체에 대해서는 효과가 모두 양호하다는 점에서 D체, L체, DL체(DL 혼합물) 중 어느 것이여도 좋고, 또한 DL체(DL 혼합물)에 대해서 그 혼합비도 상관없다. 세린 유도체에 대해서도 효과가 모두 양호하다는 점에서 D체, L체, DL체(DL 혼합물) 중 어느 것이여도 좋고, 또한 DL체(DL 혼합물)에 대해서 그 혼합비도 상관없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2 및 R3은 동시에 수소 원자인 일은 없다. 또한, R2 및 R3은 R1이 수소 원자(글리신 유도체)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 범위이면 어느 조합이나 취할 수 있다. R1이 수소 원자(글리신 유도체)인 경우, R2 및 R3의 한쪽은 상기 일반식(2) 또는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또한 그 경우, 한쪽이 이 기이면, 한쪽(다른쪽)은 본 발명의 범위이면 어는 것이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R2 및 R3의 한쪽이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가 더욱 양호하다는 점에서 수소 원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3의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에 있어서는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2 및 R3의 한쪽이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다른쪽)은 본 발명의 범위(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면,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어느 경우나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이면 가장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R1이 수소 원자(글리신 유도체)인 일은 없다.
이것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 닌, N-에틸-D-알라닌, N-n-프로필-L-알라닌, N-n-프로필-DL-알라닌, N-n-프로필-D-알라닌, N-iso-프로필-L-알라닌, N-iso-프로필-DL-알라닌, N-iso-프로필-D-알라닌,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n-프로필-L-세린, N-n-프로필-DL-세린, N-n-프로필-D-세린, N-iso-프로필-L-세린, N-iso-프로필-DL-세린, N-iso-프로필-D-세린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이다.
R2 및 R3의 한쪽이 알릴기인 경우, 한쪽(다른쪽)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면,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어느 경우나 바람직하다.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이면 효과가 더욱 양호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R1이 수소 원자(글리신 유도체)인 일은 없다.
이것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알릴-L-알라닌, N-알릴-DL-알라닌, N-알릴-D-알라닌, N-알릴-L-세린, N-알릴-DL-세린, N-알릴-D-세린을 들 수 있다.
R2 및 R3의 한쪽이 카르보벤질옥시기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한쪽(다른쪽)이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 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가 더욱 양호하다는 점에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R1이 수소 원자(글리신 유도체)인 일은 없다.
이것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메틸-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N-에틸-D-세린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이다.
상기 일반식(2) 중,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탄소수 1~4의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불소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 1-메틸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필옥시기, iso-프로필옥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2-메틸프로필옥시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4의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로서는 N-메틸아미노기, N-에틸아미노기, N-n-프로필아미노기, 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아미노기, N-iso-부틸아미노기, N-tert-부틸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N-디메틸아미노기, N-에틸-N-메틸아미노기, N-메틸-N-n-프로필아미노기, N-메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메틸아미노기, N-iso-부틸-N-메틸아미노기, N-tert-부틸-N-메틸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N-메틸아미노기, N-에틸-N-메틸아미노기, N,N-디에틸아미노기, N-에틸-N-n-프로필아미노기, N-에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에틸아미노기, N-iso-부틸-N-에틸아미노기, N-tert-부틸-N-에틸아미노기, N-에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메틸-N-n-프로필아미노기, N-에틸-N-n-프로필아미노기, N,N-디(n-프로필)아미노기, N-n-프로필-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iso-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tert-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N-n-프로필아미노기,
N-메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에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iso-프로필-N-n-프로필아미노기, N,N-디(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iso-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tert-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메틸아미노기, N-n-부틸-N-에틸아 미노기, N-n-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N-디(n-부틸아미노)기, N-n-부틸-N-iso-부틸아미노기, N-n-부틸-N-tert-부틸아미노기, N-n-부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iso-부틸-N-메틸아미노기, N-iso-부틸-N-에틸아미노기, N-iso-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N-디(iso-부틸아미노)기, N-iso-부틸-N-tert-부틸아미노기,
N-iso-부틸-N-tert-부틸아미노기, N-iso-부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tert-부틸-N-메틸아미노기, N-tert-부틸-N-에틸아미노기, N-tert-부틸-N-n-프로필아미노기, N-tert-부틸-N-iso-프로필아미노기, N,N-디(tert-부틸아미노)기, N-tert-부틸-N-iso-부틸아미노기, N-n-부틸-N-tert-부틸아미노기, N-tert-부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메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에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N-n-프로필아미노기, N-(1-메틸프로필)-N-iso-프로필아미노기, N-n-부틸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iso-부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tert-부틸-N-(1-메틸프로필)아미노기, N,N-디(1-메틸프로필)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X1~X3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수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2)에 있어서, n,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은 X1~X3의 치환수를 나타내고, 치환 위치는 각각 임의이다. n, m 및 p는 본 발 명의 효과 및 용해성으로부터 n+m+p<4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n=m=p=0이다.
일반식(2)에 있어서, k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q 가 0인 경우, 일반식(2)의 환상 알킬부는 X1~X3, n, m 및 p에 상당하는 시클로펜틸부가 되고, q가 1인 경우, 상당하는 시클로헥실부가 되고, q가 2인 경우 상당하는 시클로헵틸부가 된다. 일반식(2)에 있어서, k는 X1~X3, n, m 및 p에 상당하는 환상 알킬부와 결합 부위까지의 메틸렌기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에 있어서는,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일반식(2)은 시클로헥실부를 갖고 있는 것(q=1)이 바람직하다. 즉 X1~X3, n, m 및 p에 상당하는 시클로헥실기, 이것에 상당하는 시클로헥실메틸기, 이것에 상당하는 2-시클로헥실에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성이 양호하며,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시클로헥실기(n=m=p=k=0, q=1), 시클로헥실메틸기(n=m=p=0, k=1, q=1), 2-시클로헥실에틸기(n=m=p=0, k=2, q=1)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시클로헥실기(n=m=p=k=0, q=1)이다.
일반식(1)에 있어서 R2 및 R3의 한쪽이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다른쪽)은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중 어느 하나이면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효과가 더욱 양호하다는 점에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메틸-글리신, N-시클로헥실메틸-L-알라닌, N-시클로헥실메틸-DL-알라닌, N-시클로헥실메틸-D-알라닌, N-시클로헥실메틸-L-세린, N-시클로헥실메틸-DL-세린, N-시클로헥실메틸-D-세린, N-2-시클로헥실에틸-글리신, N-2-시클로헥실에틸-L-알라닌, N-2-시클로헥실에틸-DL-알라닌, N-2-시클로헥실에틸-D-알라닌, N-2-시클로헥실에틸-L-세린, N-2-시클로헥실에틸-DL-세린, N-2-시클로헥실에틸-D-세린, 및 이들의 메틸화체, 에틸화체를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이다.
상기 일반식(3) 중, X1~X3, k, n, m 및 p는 일반식(2)과 동일하다. k가 0인 경우, 일반식(3)은 X1~X3, n, m 및 p에 상당한 벤젠술포닐기가 되고, k가 1인 경우 이들에 상당한 벤질술포닐기가 되고, k가 2인 경우 이들에 상당한 페닐에틸술포닐기가 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용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X1~X3은 수산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필옥시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메톡시기이다.
n, m 및 p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n+m+p<4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용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n+m+p<2이며, 가장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n=m=p=0다. k는 본 발명의 합성의 용이함으로부터 0 혹은 1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k가 0이다.
이것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기, 2-메톡시벤젠술포닐기, 3-메톡시벤젠술포닐기, 4-메톡시벤젠술포닐기, 4-에톡시벤젠술포닐기, 3-에톡시벤젠술포닐기, 2-에톡시벤젠술포닐기, 4-프로폭시벤젠술포닐기, 3-프로폭시벤젠술포닐기, 2-프로폭시벤젠술포닐기, 2,4-디메톡시벤젠술포닐기, 3,4-디메톡시벤젠술포닐기, 3,4,5-트리메톡시벤젠술포닐기, 2-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3-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4-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2,4-디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3,4-디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3,4,5-트리히드록시벤젠술포닐기, 2-히드록시-4-메톡시벤젠술포닐기, 3-히드록시-4-메톡시벤젠술포닐기, 4-히드록시-3-메톡시벤젠술포닐기, 2-메틸벤젠술포닐기, 3-벤젠술포닐기, 4-메틸벤젠술포닐기, 2-에틸벤젠술포닐기, 3-에틸벤젠술포닐기, 4-에틸벤젠술포닐기, 2-프로필벤젠술포닐기, 3-프로필벤젠술포닐기, 4-프로필벤젠술포닐기,
벤질술포닐기, 2-메톡시벤질술포닐기, 3-메톡시벤질술포닐기, 4-메톡시벤질술포닐기, 4-에톡시벤질술포닐기, 3-에톡시벤질술포닐기, 2-에톡시벤질술포닐기, 4-프로폭시벤질술포닐기, 3-프로폭시벤질술포닐기, 2-프로폭시벤질술포닐기, 2,4-디메톡시벤질술포닐기, 3,4-디메톡시벤질술포닐기, 3,4,5-트리메톡시벤질술포닐기, 2-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3-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4-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2,4-디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3,4-디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3,4,5-트리히드록시벤질술포닐기, 2-히드록시-4-메톡시벤질술포닐기, 3-히드록시-4-메톡시벤질술포닐기, 4-히드록시-3-메톡시벤질술포닐기, 2-메틸벤질술포닐기, 3-메틸벤질술포닐기, 4-메틸벤질술포닐기, 2-에틸벤질술포닐기, 3-에틸벤질술포닐기, 4-에틸벤질술포닐기, 2-프로필벤질술포닐기, 3-프로필벤질술포닐기, 4-프로필벤질술포닐기,
페닐에틸술포닐기, 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4-에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3-에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2-에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4-프로폭시페닐에틸술포닐기, 3-프로폭시페닐에틸술포닐기, 2-프로폭시페닐에틸술포닐기, 2,4-디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3,4-디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3,4,5-트리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2-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3-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4-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2,4-디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3,4-디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3,4,5-트리히드록시페닐에틸술포닐기, 2-히드록시-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3-히드록시-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기, 2-메틸페닐에틸술포닐기, 3-메틸페닐에틸술포닐기, 4-메틸페닐에틸술포닐기, 2-에틸페닐에틸술포닐기, 3-에틸페닐에틸술포닐기, 4-에틸페닐에틸술포닐기, 2-프로필페닐에틸술포닐기, 3-프로필페닐에틸술포닐기, 4-프로필페닐에틸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일반식(3)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기로서는 벤젠술포닐기, 4-메톡시벤젠술포닐기, 3-메톡시벤젠술포닐기, 2-메톡시벤젠술포닐기이다. 가장 바람직 한 일반식(3)으로서 나타내어지는 기로서는 벤젠술포닐기이다.
일반식(1)에 있어서 R2 및 R3의 한쪽이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다른쪽)은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중 어느 하나이면 효과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효과가 더욱 양호하다는 점에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것에 상당하는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N-벤젠술포닐글리신, N-4'-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3'-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2'-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질술포닐글리신, N-4'-메톡시벤질술포닐글리신, N-3'-메톡시벤질술포닐글리신, N-2'-메톡시벤질술포닐글리신, N-페닐에틸술포닐글리신,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글리신,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글리신,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D-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벤질술포닐-D-알라닌, N-4'-메톡시벤질술포닐-D-알라닌, N-3'-메톡시벤질술포닐-D-알라닌, N-2'-메톡시벤질술포닐-D-알라닌, N-페닐에틸술포닐-D-알라닌,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알라닌,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알라닌,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질술포닐-DL-알라닌, N-4'-메톡시벤질술포닐-DL-알라닌, N-3'-메톡시벤질술포닐-DL-알라닌, N-2'-메톡시벤질술포닐-DL-알라닌, N-페닐에틸술포닐-DL-알라닌,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알라닌,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알라닌,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질술포닐-L-알라닌, N-4'-메톡시벤질술포닐-L-알라닌, N-3'-메톡시벤질술포닐-L-알라닌, N-2'-메톡시벤질술포닐-L-알라닌, N-페닐에틸술포닐-L-알라닌,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알라닌,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알라닌,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벤질술포닐-D-세린, N-4'-메톡시벤질술포닐-D-세린, N-3'-메톡시벤질술포닐-D-세린, N-2'-메톡시벤질술포닐-D-세린, N-페닐에틸술포닐-D-세린,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세린,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세린,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벤질술포닐-DL-세린, N-4'-메톡시벤질술포닐-DL-세린, N-3'-메톡시벤질술포닐-DL-세린, N-2'-메톡시벤질술포닐-DL-세린, N-페닐에틸술포닐-DL-세린,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세린,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세린,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L-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L-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 닐-L-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L-세린, N-벤질술포닐-L-세린, N-4'-메톡시벤질술포닐-L-세린, N-3'-메톡시벤질술포닐-L-세린, N-2'-메톡시벤질술포닐-L-세린, N-페닐에틸술포닐-L-세린, N-4'-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세린, N-3'-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세린, N-2'-메톡시페닐에틸술포닐-L-세린 등에, 이들의 N-메틸화체, N-에틸화체 등을 더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N-벤젠술포닐글리신, N-4'-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3'-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2'-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D-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D-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 N-4'-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3'-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2'-메톡시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L-세린, N-4'-메톡시벤젠술포닐-L-세린, N-3'-메톡시벤젠술포닐-L-세린, N-2'-메톡시벤젠술포닐-L-세린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유도체로서는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D-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L-세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는 모두 염이여도 상관없고, 염이 되는 조합도 어느 것이여도 상관없다. 염이 되는 조합은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아연,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메틸아민, 피리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이온,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메틸황산이나 p-톨루엔술폰산 등의 알킬황산, 초산, 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옥살산, 숙신산, 주석산, 구연산 등의 산, 베타인, 글리신, 알라닌, 세린, 타우린 등의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및 N-벤젠술포닐-L-알라닌,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였던 경우에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효과가 가장 양호하며, 제제에의 용해성도 양호하고, 감각 자극 등의 안전성의 문제도 없고, 안전성 이 높아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는 점에서 가장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이 부전각화 억제 작용, 모공 축소 작용,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작용을 갖는 것은 신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경우, 모두 상당하는 α-아미노산 혹은 상당하는 유사체에 각각 상당하는 N-알킬기, N-알릴기, N-카르보벤질옥시기의 도입 등에 의해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를 갖는 경우, 상당하는 α-아미노산 혹은 유사체에 각각 상당하는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의 도입 등에 의해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호된 상당하는 일반식(2)의 도입후의 탈보호화, 일반식(2)에 상당하는 기의 도입후에 일반식(2)에 도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를 갖는 경우, 모두 상당하는 α-아미노산 혹은 유사체에 상당하는 일반식(3)의 도입 등에 의해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평9-50430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호된 상당하는 일반식(3)뒤의 탈보호화, 상당하는 일반식(3)의 도입후에 프리델크래프츠 등에 의한 방향족에의 알킬기 도입 등과 같이 일반식(3)에 도입하는 방법 등, 용이한 방법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는 상당하는 α-아미노산 유연체와 상당하는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얻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61-16124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수 있다. 또한, R2 및 R3의 한쪽이 수소 원자인 경우, 아미노기의 한쪽이 보호된 상당하는 α-아미노산 유연체에 한쪽(다른쪽)에 상당하는 기를 도입한 후에 탈보호를 행해도 좋다. 또한, 한쪽이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당하는 알데히드체를 이용해서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호된 상당하는 α-아미노산 유사체에 R2 및 R3 혹은 이것에 상당하는 기를 도입한 후, 탈보호를 행함으로써 얻는 것도 가능하며, 단계적으로 R2 및 R3 혹은 이것에 상당하는 기를 도입해서 얻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메틸-DL-알라닌인 경우, 본 화합물은 공지 물질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그마사로부터 용이하게 시판품을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메틸-L-알라닌, N-메틸-L-세린인 경우, 본 화합물은 공지 물질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Quitt 등의 방법(Helv.Chem.Acta, 327~333, 1963)에 의해 얻어지는 것은 공지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펜틸글리신, N-시클로헵틸글리신,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펜틸-L-알라닌, N-시클로헵틸-L-알라닌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이들은 공지 물질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N-시클로헥실글리신은 일본 특허 공개 소57-26656호 공보 및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소61-16124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은 공지이다. 또한, N-시클로펜틸글리신, N-시클로헵틸글리신,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펜틸-L-알라닌 및 N-시클로헵틸-L-알라닌은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소57-2665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은 공지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이들 화합물은 모두 공지 물질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쿄카세이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시판품을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벤젠술포닐-L-세린 또는 N-벤젠술포닐-L-알라닌인 경우, 이들 화합물은 모두 공지 물질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평9-50430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은 공지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α-아미노산 유도체의 대표적인 합성예를 열거하지만, 이들에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N-벤젠술포닐글리신
글리신 10g, 1N 수산화 나트륨 용액 120mL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 17.4g을 적하했다. 2N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첨가해서 pH9.2로 조정하고, 6시간 교반했다. 초산 에틸 50mL로 세정한 후, 염산을 추가해서 pH2이하로 조정했다. 초산 에틸 500mL로 추출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여과 제거한 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에탄올수로 재결정해서 목적물 15.0g을 얻었다.
(2) N-4'-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합성예(1)의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4-메톡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로 바꿔서 합성함으로써 목적물을 얻었다.
(3) N-3'-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합성예(1)의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3-메톡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로 바꿔서 합성함으로써 목적물을 얻었다.
(4) N-2'-메톡시벤젠술포닐글리신
합성예(1)의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2-메톡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로 바꿔서 합성함으로써 목적물을 얻었다.
(5) N-시클로헥실-DL-알라닌
2-브로모프로피온산에틸 10g, 시클로헥실아민 16g을 에탄올 50mL에 첨가해서 가열 환류 2시간 했다. 공냉 후, 감압 농축하여 초산 에틸 200mL로 추출하고, 정제 수로 세정한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감압 증류하여 9.8g의 N-시클로헥실-DL-알라닌에틸에스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N-시클로헥실-DL-알라닌에틸에스테르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수산화 나트륨 1.68g/정제수 100mL)에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THF를 첨가했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앰버라이트 IR120B[H+]로 중화하고,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재결정하여 목적물 7.2g을 얻었다.
(6) N-시클로헥실-N-메틸글리신
2-브로모초산에틸 20g, N-시클로헥실-N-메틸아민 15g을 에탄올 40mL에 첨가하고, 가열 환류 2시간 했다. 공냉 후, 감압 농축하여 초산 에틸 200mL로 추출하고, 정제수로 세정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감압 증류하여 10.5g의 N-시클로헥실-DL-알라닌에틸에스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N-시클로헥실-N-메틸글리신에틸에스테르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수산화 나트륨 2.4g/정제수 100mL)에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THF를 첨가했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앰버라이트 IR120B[H+]로 중화하고, 감압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재결정하여 목적물 5.1g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모두 나중에 증명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부전각화를 억제하는 기능, 모공 축소 기능,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은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되고,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로서 유용하다. 이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외용되는 형태로 응용되고, 예를 들면, 얼굴용으로서 코, 볼 등의 모공의 두드러짐을 개선하여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고, 또한 바디용으로서 다리 등의 탈모 처리후에 있어서의 모공의 두드러짐을 개선하여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한다.
상기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및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는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상기 신규 기능의 발견에 기초한 신규이며 유용한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및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는 안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매우 응용 범위가 넓어 여러가지의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상기 분야로서는 예를 들면, 의약부외품을 함유하는 화장료, 의약품, 식품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인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감각 자극을 갖지 않고, 모두 피부외용 조성물에 배합되어, 부전각화 억제 기능, 모공 축소 기능,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로 조제된다.
이 본 발명에 따른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인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은 신규이며, 안전성이 높아 부전각화 억제 효과, 모공 축소 효과,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 조성물은 모공 축소제를 비롯해서, 코, 볼 등의 모공의 두드러짐을 개선하는 얼굴용 화장료,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는 특히 얼굴용 화장료, 다리 등의 탈모 처리후에 있어서의 모공의 두드러짐을 개선하는 바디용 피부외용제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이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에 유효한 양이 함유되지만, 그 함유량은 각각 상기 조성물 전체량 중, 0.001~20.0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0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이 혼합되어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총함유량의 상한을 20.0질량%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질량%이하이며, 특히 5.0질량%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유분, 계면활성제, 분말, 색재, 물, 알코올류, 증점제, 킬레이트제, 실리콘류, 산화 방지제(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향료, 각 종 약효 성분, 방부제, 중화제, pH 조정제 등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임의 배합 성분 중, 유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데미아 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살구씨유, 소맥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면실유, 월견초유, 들기름, 콩기름, 낙화생유, 차유, 비자나무유, 미강유, 오동유, 일본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유,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목랍핵유, 경화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고형 유지, 밀랍, 칸델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라놀린, 초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왁스, 경질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한다.)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의 왁스류,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의 탄화수소,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유산 세틸, 유산미리스틸, 초산 라놀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렌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 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오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핀산-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등의 에스테르유,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운데실렌산, 라놀린 지방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등의 고급 지방산,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등의 직쇄, 분기 고급 알코올,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퍼플루오로헥산, 트리퍼플루오로-n-부틸아민 등의 퍼플루오로카본 내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누용 소지, 라우린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의 고급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POE 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에스테르염,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POE 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염, 리니아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리니아도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 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술폰산염, 2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키롤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카세인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포늄염, POE 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말산염 등의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POE·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OE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 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POE 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모노디올레에이트 등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라우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POE 콜레스타놀에스테르 등의 POE 알킬에테르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에테르류,
POE·폴리옥시프로필렌(이하, POP라고 한다.)모노부틸에테르, POE·POP 세틸 에테르, POE·POP 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의 POE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트밀랍 등의 POE 밀랍· 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 지방산 아미드, POE 알킬아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카, 탤크, 카올린, 세리사이트(견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무수 규산(실리카), 규산 알루미늄, 규산 바륨,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규산 스트론튬, 산화알류미늄, 황산바륨,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코발트, 군청, 감청, 산화티탄, 산화아연, 운모 티탄(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어린박, 옥시염화비스무트, 질화 붕소, 적색 228호, 적색 226호, 청색 404호,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알루미늄 파우더, 카퍼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코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갈락탄, 캐럽 고무, 구아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전분(옥수수, 밀, 감자, 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콜라겐, 카세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POE계 고분자, POE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킬레이트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라말산, 아갈산, 글리세린산, 시키미산, 히노키티올, 갈산, 탄닌산, 커피산, 에틸렌디아민4초산, 에틸렌글리콜디아민4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5초산, 피틴산, 폴리인산, 메타인산 및 이들의 유사체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및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 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옥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신남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옥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 에틸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PEG라고 한다.),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오스, D-만니트, 포도당, 과당,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유산 나트륨, 글루코사민,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A유,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인산 마그네슘, 비타민D2, dl-α-토코페롤,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아줄렌, 글리시르리진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등의 미백제, 에스트라디올 등의 호르몬류; 산화아연, 타닌산 등의 수렴제; L-멘톨, 캠퍼 등의 청량제; 기타 염화 리소자임, 염산피리독신, 유황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약효를 나타내는 각종 추출물을 더 배합할 수 있다. 즉 삼백초 엑스, 황벽 엑스, 감초 엑스, 작약 엑스, 목단피 엑스, 수세미외 엑스, 범의귀 엑스, 유칼리 엑스, 정향나무 엑스, 마로니에 엑스, 수레국화 엑스, 해조 엑스, 타임 엑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 살리실산,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소르빈산,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등의 중화제; 유산, 구연산, 글리콜산, 숙신산, 주석산, 말산,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의 pH조정제; 아스코르빈산, α-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등의 항산화제를 본 발명의 제제에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예시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성분은 원하는 형태에 따른 처방에 따라 적당히 조합해서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조성물은 의약품, 의약부외품(연고제, 치약제 등) 및 화장품[세안료, 유액, 크림, 겔, 에센스(미용액), 팩·마스크 등의 기초 화장품;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구강 화장품, 방향 화장품, 모발 화장품, 바디 화장품 등]의 형태로 널리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들 형태에 본 발명의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조성물이 취할 수 있는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형으로서는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연고계, 에어로솔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 등, 폭 넓은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부전각화를 억제해서 피부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개선하고, 또한 모공을 축소함으로써 모공의 두드러짐을 억제한 젊어 보이고, 윤기있고 탱탱한 피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합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이다.
「실시예1」부전각화 억제 효과 시험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의 평가 시료로서, 주로 3질량% 수용액(30질량% 에탄올을 함유한다.)을 조제했다. 또한 pH는 7.0~7.5로 되도록,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정했다. 또한, 시료의 용해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 용액을 조제했다.
헤아레스마우스(HR-1;호시노 실험 동물)의 등부에 10질량% 올레인산(용매: 에탄올)을 100μl 도포했다. 이 후, 시료 용액(α-아미노산 유도체 등)을 100μl 씩 도포했다. 이것을 3일간 계속했다. 그 다음날, 등부의 피부 상태를 CCD 카메라로 관찰해서 피부의 거칠어짐 상태(각층 박리 및 홍반)를 평가했다. 컨트롤(대조 수용액) 도포의 피부 상태를 2.0, 전혀 피부의 거칠어짐이 없는 상태를 0.0으로 하고, 피부 상태에 따라 0.25점 간격으로 시감 판정했다. 또한 동시에 헤아레스마우스 등부의 각층을 테이프로 박리하고, 헤마톡실린으로 핵을 염색해서 부전각화의 정도를 관찰하고, 1.0~3.0의 범위(0.25마다)의 부전각화값으로 평가했다. 또한, 값이 클수록 유핵 각층 세포수가 많은 즉 부전각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7
표 1로부터 분명하듯이,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에 각층 박리 및 홍반에 기초한 피부의 거칠어짐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여졌다. 또한, 부전각화값을 저하시켰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화합물에는 부전각화의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동일한 α-아미노산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닌 유도체인 N-아세틸글리신, 말뇨산 및 포스포노메틸글리신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실시예2」인간 모공 축소 효과
건상인 남성의 볼부를 사용해서 1개월간 1일 2회 시료를 도포하는 실험을 각 군 5명으로 행했다.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의 각 3질량% 수용액(15질량% 에탄올을 함유한다)을 주로 해서 조제했다. 또한 pH는 7.0~7.5로 되도록,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정했다. 또한, 용해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 용액을 조제했다. 대조는 15질량%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해서 상기 시료 수용액과 상기 대조 수용액을 반면씩 도포했다.
도포 연용전과 연용후에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동일 부위의 모공의 형상 변화를 3차원 레이저 스캔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모공의 크기는 시감 판정에 의해 1~13의 13단계(숫자가 클수록 모공은 크다.)로 평가하고, 도포 전후의 평점의 차(도포후-도포전)를 산출해서 이것을 레플리카 판정값으로 해서 각 시료의 유효성을 검토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8
표 2로부터 분명하듯이,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및 N-벤젠술포닐-L-알라닌에 모공 축소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3」 올레인산 도포에 의한 피부의 거칠어짐에 대한 억제 효과.
올레인산 도포에 의한 피부의 거칠어짐에 대한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도포전과 도포후의 수분 증산량(TEWL값)을 측정하고, 그 차의 값을 컨트롤(대조 수용액)과 비교해서 효과를 조사했다. 시료의 조제 및 도포 방법은 실시예1에 따랐다. 또한, TEWL은 TEWA meter TM210(Courage+Khazaka사)을 이용해서 측정했다.
헤아레스마우스(HR-1, 각 군 4마리)의 등부에 10질량% 올레인산(용매: 에탄올)을 100μl 도포했다. 이 후 시료 용액(α-아미노산 유도체 등)을 100μl씩 도포했다. 이것을 3일간 계속했다. 그 다음날, 등부의 TEWL값을 측정해서 4마리의 값을 평균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TEWL값이 클수록 피부의 거칠어짐이 악화된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09
표 3으로부터 분명하듯이,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인,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및 N-벤젠술포닐-L-알라닌을 도포함으로써, △TEWL값이 대조 수용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동일한 α-아미노산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닌 유도체인 N-아세틸 글리신, 마뇨산 및 포스포노메틸글리신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실시예4」감각 자극 시험.
여성 패널 20명에게 각각 실시예1에서 조제한 대조 수용액과 시료 수용액 각 1mL를 각각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볼부에 면봉을 이용해서 도포하고, 도포 직후로부터 10분 후까지 30초마다 자극감을 평가하고, 최종적인 평가를 신고하게 했다. 자극감의 평가는 이하의 4단계의 평가점 기준에 기초해서 평가를 행하고, 평가점의 평균을 산출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분류했다.
(평가점 기준)
3: 통증을 느낌, 달아오르는 느낌, 뾰족한 것으로 찌르는 느낌, 가려운 느낌 등의 자극이 매우 강하여 계속 불가능.
2: 통증을 느낌, 달아오르는 느낌, 뾰족한 것으로 찌르는 느낌, 가려운 느낌 등의 자극이 강하여 허용 불가.
1: 통증을 느낌, 달아오르는 느낌, 뾰족한 것으로 찌르는 느낌, 가려운 느낌 등의 자극을 약간 느끼지만, 허용 가능.
0: 특별히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평가 기준)
A: 평가점 평균 0.2미만
B: 평가점 평균 0.2~1.0미만
C: 평가점 평균 1.0~2.0미만
D: 평가점 평균 2.0이상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10
표 4로부터 분명하듯이,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및 N-벤젠술포닐-L-알라닌은 감각 자극의 문제가 없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종래 효과물질로서 개시되어 있는 β-알라닌은 3%에서는 감각 자극이 강하여 자극 시험의 계속이 불가능한 여성 패널도 다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제예로서 피부외용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또한, 어느 조성물이나 부전각화 억제, 모공 축소,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등이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었다.
제제예1 화장수
성분 배합량(질량%)
(1) 1,3-부틸렌글리콜 6.0
(2) 글리세린 4.0
(3) 올레일알코올 0.1
(4) POE(20)소르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0.5
(5) POE(15)라우릴알코올에스테르 0.5
(6) 에탄올 10.0
(7) N-벤젠술포닐글리신 3.0
(8) 정제수 잔여
(제법)
(8) 정제수에 (1) 및 (2)를 실온에서 용해해서 수상으로 했다. (6) 에탄올에 (3), (4) 및 (5)를 용해하고, 앞의 수상에 혼합 가용화했다. 이어서 (7) N-벤젠술포닐글리신을 첨가했다. 그 후 여과, 충전해서 화장수를 얻었다.
제제예2~31 화장수
제제예2~31의 화장수를 제제예1의 성분중의 N-벤젠술포닐글리신 3.0질량%로 바꾸고, 이하의 배합량의 성분을 배합해서 제제예1과 마찬가지로 해서 조제했다. 또한, 정제수의 배합량을 조정해서 어느 제제예나 합계 배합량이 100질량%로 되도록 했다. N-메틸-L-세린 3.0질량%(제제예2), N-메틸-DL-세린 3.0질량%(제제예3), N-메틸-D-세린 3.0질량%(제제예4), N-에틸-L-세린 3.0질량%(제제예5), N-에틸-DL-세린 3.0질량%(제제예6), N-에틸-D-세린 3.0질량%(제제예7), N-메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8), N-메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9), N-메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10), N-에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11), N-에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12), N-에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13),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3.0질량%(제제예14),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3.0질량%(제제예15),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3.0질량%(제제예16),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3.0질량%(제제예17),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3.0질량%(제제예18),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3.0질량%(제제예19), N-시클로헥실글리신 3.0질량%(제제예20), N-시클로헥실-DL-세린 3.0질량%(제제예21), N-시클로헥실-L-세린 3.0질량%(제제예22), N-시클로헥실-D-세린 3.0질량%(제제예23), N-시클로헥실-알라닌 3.0질량%(제제예24), N-시클로헥실-DL-알라닌 3.0질량%(제제예25), N-시클로헥실-D-알라닌 3.0질량%(제제예26), N-벤젠술포닐-L-세린 3.0질량%(제제예27), N-벤젠술포닐-DL-세린 3.0질량%(제제예28), N-벤젠술포닐-D-세린 3.0질량%(제제예29),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30), N-벤젠술포닐-DL-알라닌 3.0질량%(제제예31),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32).
제제예33 화장수
성분 배합량(질량%)
(알코올상)
(1) 에탄올 10.0
(2) 올레일알코올 0.1
(3) POE(20)소르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0.5
(4) POE(15)라우릴에테르 0.5
(5) 방부제 적당량
(6) 향료 적당량
(수상)
(7) N-시클로헥실글리신 3.0
(8) 글리실글리신 1.0
(9) 1,3-부틸렌글리콜 6.0
(10) 글리세린 4.0
(11)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수상, 알코올상을 각각 조제한 후 혼합했다.
제제예34~65 화장수
제제예34~65의 화장수를 제제예33의 성분중의 N-시클로헥실글리신 3.0질량%로 바꾸고, 이하의 배합량의 성분을 배합해서 제제예33과 마찬가지로 해서 조제했다. 또한, 이온 교환수의 배합량을 조정해서 어느 제제예나 합계 배합량이 100질량%로 되도록 했다. N-메틸-L-세린 3.0질량%(제제예34), N-메틸-DL-세린 3.0질량%(제제예35), N-메틸-D-세린 3.0질량%(제제예36), N-에틸-L-세린 3.0질량%(제제예37), N-에틸-DL-세린 3.0질량%(제제예38), N-에틸-D-세린 3.0질량%(제제예39), N-메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40), N-메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41), N-메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42), N-에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43), N-에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44), N-에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45),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3.0질량%(제제예46),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3.0질량%(제제예47),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3.0질량%(제제예48),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3.0질량%(제제예49),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3.0질량%(제제예50),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3.0질량%(제제예51), N-시클로헥실-DL-세린 3.0질량%(제제예52), N-시클로헥실-L-세린 3.0질량%(제제예53), N-시클로헥실-D-세린 3.0질량%(제제예54), N-시클로헥실-L-알라닌 3.0질량%(제제예55), N-시클로헥실-DL-알라닌 3.0질량%(제제예56), N-시클로헥실-D-알라닌 3.0질량%(제제예57), N-벤젠술포닐글리신 3.0질량%(제제예58), N-벤젠술포닐-L-세린 3.0질량%(제제예59), N-벤젠술포닐-DL-세린 3.0질량%(제제예60), N-벤젠술포닐-D-세린 3.0질량%(제제예61),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62), N-벤젠술포닐-DL-알라닌 3.0질량%(제제예63),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64), N-시클로헥실글리신 1.0질량% 및 카르보벤질옥시-L-세린 1.0질량%(제제예65).
제제예66 크림
성분 배합량(질량%)
(1) 스테아릴알코올 6.0
(2) 스테아린산 2.0
(3) 수소 첨가 라놀린 4.0
(4) 스쿠알란 9.0
(5) 옥틸도데카놀 10.0
(6) 1,3-부틸렌글리콜 6.0
(7) PEG1500 4.0
(8) POE(25)세틸알코올에스테르 3.0
(9)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10) N-시클로헥실-DL-알라닌 3.0
(11) ACES 1.0
(12) 토코페롤 0.1
(13) 정제수 잔여
(제법)
(13) 정제수에 (6), (7)을 첨가해서 70℃로 가열 조정했다. (1)~(5)를 가열 용해한 후, (8)~(9), (12)를 첨가해서 70℃로 조정했다. 여기에 (10) 및 (11)을 첨가했다. 이것을 앞의 수상에 첨가해서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하고, 탈기·여과·냉각해서 크림을 얻었다.
제제예67~98 크림
제제예67~98의 크림을 제제예66의 성분중의 N-시클로헥실-DL-알라닌 3.0질량%로 바꾸고, 이하의 배합량의 성분을 배합해서 제제예66과 마찬가지로 해서 조제했다. 또한, 정제수의 배합량을 조정해서 어느 제제예나 합계 배합량이 100질량%로 되도록 했다. N-메틸-L-세린 3.0질량%(제제예67), N-메틸-DL-세린 3.0질량%(제제예68), N-메틸-D-세린 3.0질량%(제제예69), N-에틸-L-세린 3.0질량%(제제예70), N-에틸-DL-세린 3.0질량%(제제예71), N-에틸-D-세린 3.0질량%(제제예72), N-메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73), N-메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74), N-메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75), N-에틸-L-알라닌 3.0질량%(제제예76), N-에틸-DL-알라닌 3.0질량%(제제예77), N-에틸-D-알라닌 3.0질량%(제제예78),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3.0질량%(제제예79),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3.0질량%(제제예80),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3.0질량%(제제예81),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3.0질량%(제제예82),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3.0질량%(제제예83),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3.0질량%(제제예84), N-시클로헥실-DL-세린 3.0질량%(제제예85), N-시클로헥실-L-세린 3.0질량%(제제예86), N-시클로헥실-D-세린 3.0질량%(제제예87), N-시클로헥실-L-알라닌 3.0질량%(제제예88), N-시클로헥실-D-알라닌 3.0질량%(제제예89), N-시클로헥실글리신 3.0질량%(제제예90), N-벤젠술포닐글리신 3.0질량%(제제예91), N-벤젠술포닐-L-세린 3.0질량%(제제예92), N-벤젠술포닐-DL-세린 3.0질량%(제제예93), N-벤젠술포닐-D-세린 3.0질량%(제제예94),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95), N-벤젠술포닐-DL-알라닌 3.0질량%(제제예96),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질량%(제제예97), N-시클로헥실글리신 1.0질량% 및 벤젠술포닐-L-세린 1.0질량%(제제예98).
제제예99 크림
성분 배합량(질량%)
(1) 스테아린산 5.0
(2) 스테아릴알코올 4.0
(3)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8.0
(4)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3.0
(5) 프로필렌글리콜 10.0
(6) N-벤조일β-알라닌 1.0
(7) N-시클로헥실-L-세린 2.0
(8) 글리실글리신 1.0
(9) 수산화칼륨 0.2
(10)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11) 방부제 적당량
(12) 향료 적당량
(13)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 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 N-벤조일-β-알라닌, N-시클로헥실-L-세린, 글리실글리신 및 수산화칼륨을 첨가해서 용해하고, 가열해서 70℃로 유지했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가열 융해해서 70℃로 유지했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첨가해서 예비 유화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혼합하면서 30℃까지 냉각했다.
제제예100 미용액
성분 배합량(질량%)
(A상)
(1) 에틸알코올(95%) 10.0
(2) POE(20)옥틸도데카놀 1.0
(3)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1
(4) ASDA·4Na 1.5
(5) 메틸파라벤 0.15
(6) 에탄올 10.0
(B상)
(7) 수산화칼륨 0.1
(C상)
(8) 글리세린 5.0
(9)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10)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2.0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2) 정제수 잔여
(제법)
A상, C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하고, C상에 A상을 첨가해서 가용화했다. 이어서 B상을 첨가해서 혼합했다.
제제예101 유액
성분 배합량(질량%)
(1) 스테아린산 2.5
(2) 세틸알코올 1.5
(3) 바셀린 5.0
(4) 유동 파라핀 10.0
(5) POE(10)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2.0
(6) PEG1500 3.0
(7) 트리에탄올아민 1.0
(8) N-벤젠술포닐-DL-세린 0.5
(9)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10) 에틸파라벤 0.3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12) 향료 적당량
(13)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소량의 이온 교환수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용해했다(A상). 이온 교환수의 잔부에 PEG1500, N-벤젠술포닐-DL-세린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해서 70℃로 유지했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가열 융해해서 70℃로 유지했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해서 예비 유화를 행하고, A상을 첨가해서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혼합하면서 30℃까지 냉각했다.
제제예102 겔
성분 배합량(질량%)
(1) 95% 에탄올 10.0
(2)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3) POE(15)올레일알코올에테르 2.0
(4) N-메틸-DL-세린 1.0
(5)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6)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폴941」) 1.0
(7) 가성 칼리 0.15
(8) L-아르기닌 0.1
(9) 향료 적당량
(10) 방부제 적당량
(11) 정제수 잔여
(제법)
(11) 정제수에 (4) 및 (6)을 균일하게 용해했다(수상). 한편, (1)에 (2), (3) 및 (5), (9), (10)을 용해하고, 이것을 수상에 첨가했다. 이어서 (7), (8)로 중화시켜 증점해서 겔을 얻었다.
제제예103 팩
성분 배합량(질량%)
(A상)
디프로필렌글리콜 5.0
POE(60) 경화 피마자유 5.0
(B상)
올리브유 5.0
초산토코페롤 0.2
에틸파라벤 0.2
향료 0.2
(C상)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1.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폴리비닐알코올
(비누화도 90, 중합도 2000) 13.0
에탄올 7.0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A상, B상, C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하고, A상에 B상을 첨가해서 가용화했다. 이어서 이것을 C상에 첨가해서 혼합했다.
제제예104 필오프형 팩
성분 배합량(질량%)
(알코올상)
95% 에탄올 10.0
POE(15)올레일알코올에테르 2.0
방부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수상)
N-에틸-L-세린 3.0
글루타티온 3.0
알부틴 3.0
폴리비닐알코올 12.0
PEG1500 1.0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80℃에서 수상을 조제하고, 50℃로 냉각했다. 이어서, 실온에서 조제한 알코올상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방냉했다.
제제예105 분말이 들어간 팩
성분 배합량(질량%)
(알코올상)
95% 에탄올 2.0
방부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색제 적당량
(수상)
N-벤젠술포닐-L-알라닌 3.0
프로필렌글리콜 7.0
아연화 25.0
카올린 20.0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실온에서 수상을 균일하게 조제했다. 이어서, 실온에서 조제한 알코올상을 첨가해서 균일하게 혼합했다.
제제예106 고형 파우더리 파운데이션
성분 배합량(질량%)
(1) 탤크 15.0
(2) 세리사이트 10.0
(3) 구상 나일론 분말 10.0
(4) 다공성 무수 규산 분말 15.0
(5) 질화 붕소 5.0
(6) 2산화티탄 5.0
(7) 산화철 3.0
(8) 스테아린산아연 5.0
(9) N-시클로헥실-DL-알라닌 3.0
(10) 유동 파라핀 잔여
(11)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15.0
(12)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1.5
(13) 방부제 적당량
(14) 향료 적당량
(제법)
(1)~(8)의 각 성분을 혼합 분쇄한 것에 (9)~(14)의 각 성분을 혼합한 것을 첨가해서 교반 혼합하고, 용기에 성형해서 고형 파우더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제제예107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성분 배합량(질량%)
(1) 구상 나일론 10.0
(2) 다공성 무수규산 분말 8.0
(3) 운모티탄 2.0
(4) 실리콘 처리 세리사이트 2.0
(5) 실리콘 처리 마이카 12.0
(6)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탄 5.0
(7) 실리콘 처리 산화철 2.0
(8) 이온 교환수 잔여
(9) N-시클로헥실-N-메틸글리신 3.0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탄실록산 18.0
(11) 디메틸폴리실록산 5.0
(12) 스쿠알란 1.0
(13) POE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2.0
(14) 방부제 적당량
(15) 향료 적당량
(제법)
(9)~(15)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 것에 혼합 분쇄한 (1)~(7)을 첨가해서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에 (8)을 첨가해서 유화하고, 용기에 충전해서 유중 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우수한 부전각화를 억제하는 기능, 모공 축소 기능, 피부의 거칠어짐을 방지·개선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로서, 예를 들면 의약 부외품을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의 여러가지 분야에 응용된다. 또한,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은 특히, 피부외용 조성물에 배합되어 부전각화 억제 기능, 모공 축소 기능,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의약부외품을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응용된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Figure 112007075643185-PCT00011
    (일반식(1) 중, R1은 수소 원자, CH3기 또는 CH2OH기를 나타낸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알릴기, 카르보벤질옥시기,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단, R2 및 R3이 동시에 수소 원자인 일은 없다. 또한, R1이 수소 원자인 경우, R2 및 R3의 한쪽은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12
    (일반식(2) 중, X1, X2 및 X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 수 1~4의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탄소수 1~4의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 불소 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n,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k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75643185-PCT00013
    (일반식(3) 중, X1, X2, X3, k, n, m, p는 일반식(2)과 동일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카르보벤질옥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 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시클로헥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 중, R2 및 R3 중 어느 한쪽이 벤젠술포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α-아미노산 유도체가 N-메틸-L-세린, N-메틸-DL-세린, N-메틸-D-세린, N-에틸-L-세린, N-에틸-DL-세린, N-에틸-D-세린, N-메틸-L-알라닌, N-메틸-DL-알라닌, N-메틸-D-알라닌, N-에틸-L-알라닌, N-에틸-DL-알라닌, N-에틸-D-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L-세린, N-카르보벤질옥시-D-세린, N-카르보벤질옥시-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L-알라닌, N-카르보벤질옥시-D-알라닌, N-시클로헥실글리신, N-시클로헥실-DL-세린, N-시클로헥실-L-세린, N-시클로헥실-D-세린, N-시클로헥실-L-알라닌, N-시클로헥실-DL-알라닌, N-시클로헥실-D-알라닌, N-벤젠술포닐글리신, N-벤젠술포닐-L-세린, N-벤젠술포닐-DL-세린, N-벤젠술포닐-D-세린, N-벤젠 술포닐-L-알라닌, N-벤젠술포닐-DL-알라닌, N-벤젠술포닐-L-알라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 방지·개선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KR1020077024322A 2005-05-25 2006-05-09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KR20080011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1983 2005-05-25
JP2005151983A JP4838537B2 (ja) 2005-05-25 2005-05-25 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又は肌荒れ防止・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655A true KR20080011655A (ko) 2008-02-05

Family

ID=3745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322A KR20080011655A (ko) 2005-05-25 2006-05-09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15893A1 (ko)
EP (1) EP1884230A1 (ko)
JP (1) JP4838537B2 (ko)
KR (1) KR20080011655A (ko)
CN (1) CN101180029B (ko)
TW (1) TWI389703B (ko)
WO (1) WO2006126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5780A1 (en) * 2008-03-12 2010-12-01 Shiseido Company, Ltd. Parakeratosis inhibitor, pore shrinking agent or agen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ugh skin, an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containing the same
JP5558728B2 (ja) * 2008-03-12 2014-07-23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組成物
MX2011004006A (es) 2008-11-19 2011-05-19 Pola Chem Ind Inc Agentes antiarrugas.
WO2011040082A1 (ja) * 2009-09-30 2011-04-07 株式会社資生堂 ラミニン332産生促進組成物
WO2011040185A1 (ja) * 2009-09-30 2011-04-07 株式会社資生堂 肌あれ軽減経口組成物
JPWO2011040166A1 (ja) * 2009-09-30 2013-02-28 株式会社 資生堂 シワ形成軽減経口組成物
JP5689026B2 (ja) * 2010-06-17 2015-03-25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2012020989A (ja) * 2010-06-17 2012-02-02 Shiseido Co Ltd 肌改善皮膚化粧料
JP2012051872A (ja) * 2010-08-05 2012-03-15 Shiseido Co Ltd 皮膚化粧料
JP6009147B2 (ja) * 2011-03-15 2016-10-19 株式会社 資生堂 ブレオマイシン水解酵素産生促進剤
CN102794233A (zh) * 2012-08-24 2012-11-28 东北大学 一种铁矿石反浮选两性捕收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JP6541118B1 (ja) * 2018-04-27 2019-07-10 株式会社成和化成 化粧品基材および該化粧品基材を含有する毛髪用化粧品、美白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44502B (de) * 1956-10-05 1958-11-20 Bayer Ag Acaricide
CN1010944B (zh) * 1984-02-29 1990-12-26 宝酒造株式会社 制备乙醛酰亚精胺的新方法
GB9313330D0 (en) * 1993-06-28 1993-08-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New compound and its preparation
US5478839A (en) * 1993-09-21 1995-12-26 Eisai Co., Ltd. Cyclohexane derivatives
ES2188644T3 (es) * 1994-09-30 2003-07-01 Oreal Utilizacion de una sustancia agonista de un receptor asociado con un canal de cloro en el tratamiento de las arrugas.
JP3928746B2 (ja) * 1996-06-12 2007-06-13 花王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H11255632A (ja) * 1998-03-11 1999-09-21 Ajinomoto Co Inc 化粧料組成物
JP2000119154A (ja) * 1998-10-08 2000-04-25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1010924A (ja) * 1999-06-25 2001-01-16 Kose Corp 液状化粧料
JP4518367B2 (ja) * 2002-03-25 2010-08-04 株式会社資生堂 毛穴縮小剤
JP4473491B2 (ja) * 2002-05-28 2010-06-02 株式会社資生堂 毛穴縮小剤
EP2491980A2 (en) * 2003-11-27 2012-08-29 Shiseido Company Limited Parakeratosis inhibitor and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6385A1 (ja) 2006-11-30
JP2006327971A (ja) 2006-12-07
TWI389703B (zh) 2013-03-21
TW200716184A (en) 2007-05-01
CN101180029A (zh) 2008-05-14
JP4838537B2 (ja) 2011-12-14
EP1884230A1 (en) 2008-02-06
CN101180029B (zh) 2011-02-16
US20090215893A1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655A (ko)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의 거칠어짐방지·개선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EP1880711B1 (en) Parakeratosis inhibitor, pore-shrinking agent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JP5014592B2 (ja) 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肌荒れ防止・改善剤
US20120053243A1 (en) Parakeratosis inhibitor and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JP2007077066A (ja) 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
JP2012051873A (ja) 皮膚化粧料
JP5043467B2 (ja) 皮膚外用剤
JP5374058B2 (ja) グルタミン酸誘導体、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肌荒れ防止・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KR20100126409A (ko) 부전각화 억제제, 모공 축소제 또는 피부 거칠음 방지·개선제 및 이를 배합한 피부 외용 조성물
JP4575868B2 (ja) しわ改善剤、不全角化抑制剤、肌荒れ防止・改善剤および毛穴縮小剤
JP4887050B2 (ja) 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
JP4373318B2 (ja) 不全角化抑制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5241058B2 (ja) 不全角化抑制剤及び毛穴縮小剤
JP2005281197A (ja) 不全角化抑制剤、毛穴縮小剤及び皮膚外用剤
JP5352100B2 (ja) 皮膚外用組成物
EP2123251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JPWO2004009041A1 (ja) 皮膚化粧料組成物
JP2012001496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7302607A (ja) 抗しわ剤及び抗しわ用化粧料
JP2009242249A (ja) 不全角化抑制剤及び毛穴縮小剤
JP2002087927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