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052A -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052A
KR20080010052A KR1020060070025A KR20060070025A KR20080010052A KR 20080010052 A KR20080010052 A KR 20080010052A KR 1020060070025 A KR1020060070025 A KR 1020060070025A KR 20060070025 A KR20060070025 A KR 20060070025A KR 20080010052 A KR20080010052 A KR 20080010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unit
folding
image form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234B1 (ko
Inventor
유호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234B1/ko
Priority to US11/775,942 priority patent/US7959366B2/en
Priority to CNA2007101307888A priority patent/CN101112828A/zh
Publication of KR2008001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produced by the application of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1Portabl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어 개방되는 개방위치 간을 소정 회동축을 중심으로 폴딩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미디어가 이송되는 폴딩이송로를 갖는 폴딩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폴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콤팩트한 외관을 가지며 휴대가 간편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화상형성장치{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폴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폴딩부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a또는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결합상태와 개방상태시 화상형성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
110 : 케이싱 120 : 입력부
113 : 결합부 130 : 미디어적재부
131 : 픽업롤러 140 : 개폐감지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200 : 폴딩부 210 : 폴딩부케이싱
220 : 화상형성부 221 : TPH
230 : 이송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호스트에 연결되어 호스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디어에 화상데이타를 가시화하는 장치이다. 이런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과 기능에 따라 잉크젯방식, 전자사진방식, 염료승화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호스트장치와 결합되어 직접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휴대가 간편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의 포토 화상데이타 촬영기술이 발전하고 그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한 포토 화상데이타를 사용자가 직접 화상형성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에 따라 포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 중 염료승화방식(Dye Sublimation Type)은 습기 및 물성에 따른 화상 변질이 적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전체 크기가 휴대하기에는 커서 사용자가 이동시 휴대하면서 즉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데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내부에 미디어를 적재하는 미디어적재부가 없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미디어를 급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화상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연속출력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며 자동으로 미디어를 급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어 개방되는 개방위치 간을 소정 회동축을 중심으로 폴딩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미디어가 이송되는 폴딩이송로를 갖는 폴딩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폴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미디어가 이송되는 본체이송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본체이송로와 상기 폴딩이송로는 상호 소통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미디어가 적재되는 미디어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폴딩부에 마련되며, 상기 폴딩부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미디어적재부로부터 상기 폴딩이송로로 이송 안내된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미디어적재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적재된 미디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폴딩이송로로 급지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딩부의 일측에는 미디어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폴딩이송로에는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상기 미디어를 상기 개구로 이송안내하는 이송유닛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딩부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급지되어 상기 폴딩이송로로 유입된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상기 본체이송로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는, 상기 폴딩부의 개폐여부를 검출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되는 상기 미디어의 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폴딩부가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신호 인가시 상기 폴딩이송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가 상기 본체이송로를 통해 배지되도록 상기 미디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는 미디어가 적재되는 미디어적재부와, 미디어적재부의 미디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폴딩부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적재부에 적재된 미디어가 상기 폴딩부로 자동급지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미디어에 열을 가하는 TPH(thermal print head)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TPH가 상기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상기 TPH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는 호스트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열에 반응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발현하는 다수의 잉크층을 갖는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감열방식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위치(도1참조)와, 본체(100)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도2참조) 간을 폴딩가능하게 마련되는 폴딩부(200)를 포함한다. 본 체(100)와 폴딩부(200)는 결합상태에서 소정의 형상을 완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100)와 폴딩부(200)가 결합하여 직육면체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폴딩부(200)의 두께(d2)와 폴딩부(200)와 결합하는 본체 일측의 두께(d1)의 합이 전체 본체(100)의 두께(d)가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를 가지나, 이 뿐만 아니라 여타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미디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한 쌍의 개구(111a, 111b)를 포함하는 본체이송로(115)가 형성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폴딩부(2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13)와, 케이싱(110) 외측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120)와, 케이싱(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다수의 미디어가 적재되는 미디어적재부(130)와, 폴딩부(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140)와, 호스트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 통신부(150)와, 개폐감지부(14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의 구성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케이싱(110)은 적절한 내구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미디어가 이송안내될 수 있는 본체이송로(115)가 마련된다. 본체이송로(115)의 양단에는 미디어가 인입 및 인출되는 한 쌍의 개구(111a, 111b)가 마련되며 개구(111a)로 인입된 미디어를 타개 구(111b)로 이송안내하는 본체이송로(115)는 본체(100) 내부의 프레임과 구성부품들의 배치에 따라 적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이송로(115) 상에는 인입된 미디어를 타개구(111a, 111b)로 이송안내하는 이송롤러(미도시)를 마련하여 안정적으로 미디어를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10)의 크기는 적재되는 미디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싱(110)의 길이(L)은 미디어의 길이에 해당하도록 마련하고, 케이싱(110)의 폭은 미디어의 폭에 해당하도록 마련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케이싱(11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가 명함사이즈인 경우 본체(100)의 크기를 명함크기에 대응되도록 초소형화할 수 있다.
결합부(113)는 케이싱(10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폴딩부(2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부(113)는 폴딩부(200)와 회동축을 공유하도록 마련되어 폴딩부(200)가 본체(10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부(113)는 적어도 일부영역에 미디어적재부(130)의 미디어를 폴딩부(200)로 급지하는 픽업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롤러(131)는 외부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미디어적재부(130)의 미디어를 폴딩부(200) 내부로 이송한다. 픽업롤러(131)의 두께는 폴딩부(200)가 본체(100)에 회동결합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지적재부(130)의 용지를 픽업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로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입력부(12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 가받는다. 입력부(120)는 다수의 입력패널 형태로 마련되거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적재부(130)는 케이싱(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다수의 미디어가 적재된다. 미디어적재부(130)는 케이싱(110) 외부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케이싱(110) 내부에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픽업롤러(131)와 접하는 영역은 외부로 개방되어 픽업롤러(131)가 내부에 적재된 미디어와 접촉하며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디어적재부(130)의 두께는 본체(1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마련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 2매 이상이 적재될 수 있는 두께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감지부(140)는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폴딩부(200)가 본체(100)와 결합상태인지 개방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알려준다. 개폐감지부(140)는 폴딩부(200)가 결합상태일 때 본체(100)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감지부(140)는 압력센서 또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한 공지된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의 경우 폴딩부(200)가 결합시 본체(100)에 가하는 압력을 통해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통신부(150)는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되어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호스트(H)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다. 통신부(140)는 호스트(H)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이거나,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일수 있다. 커넥터는 USB(universial serial bus) 포트로 마련되어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컴퓨터 등과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 선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거나 RFID(Radio freqency Identification)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개폐감지부(140)의 감지결과에 따라 미디어이송 방향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개폐감지부(140)의 감지결과 폴딩부(200)가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폴딩부(200)의 폴딩이송로(215)를 통해 외부로부터 미디어를 수동으로 급지받아 화상을 형성하고 본체(100)의 본체이송로(115)를 통해 배지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개폐감지부(140)의 감지결과 폴딩부(20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폴딩부(200)가 미디어적재부(130)로부터 미디어를 자동으로 급지받아 화상을 형성하고 폴딩이송로(215)를 통해 외부로 배지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픽업롤러(1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미디어적재부(130)의 미디어를 픽업롤러(131)가 폴딩이송로(215)로 급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출력신호가 인가되면 폴딩부(200)의 화상형성부(220)의 TPH(221)가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하여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100)에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받은 화상데이타가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본체(100) 내에 마련되는 내장형이거나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폴딩부(200)는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본체(100)로부터 회동되어 이격되는 개방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마련한다. 폴딩부(200)는 결합위치에서는 외부로부터 수동 급지된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고, 개방위치에서는 미디어적재부(130)로부터 자동급지된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폴딩부(200)의 개폐여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결정하거나 스위치 등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폴딩부(200)는 미디어가 급지되는 급지개구(211a)와, 외부로 미디어가 배지되는 배지개구(211b)를 포함하여 미디어가 이송안내되는 폴딩이송로(215)가 형성된 폴딩부케이싱(210)과, 급지개구(211a)로부터 이송된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220)와, 화상형성부(220)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외부 또는 본체이송로(115)로 이송안내하는 이송유닛(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폴딩이송로(215)는 결합상태에서 본체(100)의 본체이송로(115)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용지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바람직하다.
화상형성부(220)는 열을 가하면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발현하는 잉크층을 갖는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220)는 미디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TPH(thermal print head, 221)와, TPH(221)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화상형성시 TPH(221)에 대하여 미디어를 가압지지하는 플레이튼(223)을 포함한다.
TPH(221)는 미세한 크기의 다수의 발열소자가 미디어의 폭에 대응하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소자의 개수는 화상형성장치(1)의 해상도를 좌후하게 되므로 적절한 개수로 설계할 수 있다. 각 발열소자는 화상형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열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각 발열소자는 미디어의 각 색상의 잉크층(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이 감열하여 화상을 나타내는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온도를 낼 수 있도록 제어된다.
한편, TPH(221)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인쇄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부(160)에 의해 기준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각 색상의 잉크층 중 가장 낮은 온도에 감열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층에 대응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PH(221)는 기준온도로 예열한 상태로 대기하고 미디어가 진입하면 즉시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송유닛(230)은 화상형성부(220)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배지한다. 여기서, 폴딩부(200)가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이송유닛(23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본체(100)의 본체이송로(115)로 이송안내하여 외부로 배지되도록 한다. 반면, 폴딩부(20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이송유닛(230)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직접 외부로 배지되도록 이송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형성과정을 도 1 내지 도5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출력신호를 인가하면(S110), 제어부(160)는 화상형성부(220)의 TPH(221)가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TPH(221)의 각 발열소자는 기준온도로 예열된 상태로 대기한다(S120).
이 때 본체(100)의 통신부(150)는 호스트(H)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호스트(H)가 휴대폰이고 통신부(150)가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면, 통신부(150)는 휴대폰과 무선통신을 통해 출력할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다. 수신받은 화상데이타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다(S130).
개폐감지부(140)는 화상데이타의 수신이 완료되면 폴딩부(200)의 개방여부를 감지한다(S140). 폴딩부(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경우, 개폐감지부(140)는 제어부(160)로 폴딩부(200)가 결합상태임을 알려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사용자는 폴딩부(200)의 급지개구(211a)를 통해 미디어를 수동으로 급지한다. 이 때 사용자는 급지되는 미디어가 이송유닛(230) 사이에 물려 폴딩부(200) 내부로 진입할 때까지 수동으로 미디어를 급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60).
화상형성부(220)의 TPH(221)는 수동으로 급지된 미디어의 잉크층 중 가장 낮은 온도에 반응하는 잉크 순서대로 온도를 변화시키며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한다(S161).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는 이송유닛(230)를 통해 본체(100)의 본체이송로(115)로 이송안내되고(S162) 외부로 배지된다(S163).
한편, 폴딩부(200)가 개방된 경우, 제어부(160)는 픽업롤러(131)를 회전시켜 미디어적재부(130)의 미디어를 급지개구(211a)로 급지한다(S150). 화상형성부(220)는 폴딩이송로(215)를 따라 이송된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한다(S152). 그리고, 이송유닛(230)은 화상형성부(220)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외부로 배지한다(153).
이 때, 다수의 화상데이타를 출력할 경우 픽업롤러(131)는 연속적으로 미디어를 폴딩부(200)로 공급하고 화상형성부(220)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이 완 료되면 사용자는 폴딩부(200)를 폴딩하여 본체(100)에 결합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적재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동으로 용지를 급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상태와 본체에 개방시키는 상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급지와 수동급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자동급지의 경우 연속적인 화상출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켰다.
그리고,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본체를 마련하므로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감열방식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잉크가 코팅된 잉크리본을 용지에 가열가압하여 잉크를 코팅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부(200)의 화상형성부(220)은 잉크리본을 공급하는 잉크리본공급롤러(미도시)와 화상형성에 사용된 잉크리본을 회수하는 잉크리본회수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부를 본체에 결합하거나 개방하여 미디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하는 경우 화상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가 본체에 대해 폴딩이 가능하므로 전체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되어 개방되는 개방위치 간을 소정 회동축을 중심으로 폴딩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미디어가 이송되는 폴딩이송로를 갖는 폴딩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폴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미디어가 이송되는 본체이송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본체이송로와 상기 폴딩이송로는 상호 소통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미디어가 적재되는 미디어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폴딩부에 마련되며,
    상기 폴딩부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미디어적재부로부터 상기 폴딩이송로로 이송 안내된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미디어적재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적재된 미디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폴딩이송로로 급지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일측에는 미디어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폴딩이송로에는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상기 미디어를 상기 개구로 이송안내하는 이송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개구로 부터 수동으로 급지되어 상기 폴딩이송로로 유입된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상기 본체이송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폴딩부의 개폐여부를 검출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되는 상기 미디어의 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폴딩부가 결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신호 인가시 상기 폴딩이송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가 상기 본체이송로를 통해 배지되도록 상기 미디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미디어가 적재되는 미디어적재부와, 미디어적재부의 미디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폴딩부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적재부에 적재된 미디어가 상기 폴딩부로 자동급지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미디어에 열을 가하는 TPH(thermal print head)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TPH가 상기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상기 TPH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호스트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70025A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10131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25A KR101314234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11/775,942 US7959366B2 (en) 2006-07-25 2007-07-11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7101307888A CN101112828A (zh) 2006-07-25 2007-07-25 移动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25A KR101314234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52A true KR20080010052A (ko) 2008-01-30
KR101314234B1 KR101314234B1 (ko) 2013-10-04

Family

ID=3898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025A KR101314234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59366B2 (ko)
KR (1) KR101314234B1 (ko)
CN (1) CN101112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561B2 (ja) * 2009-06-0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03937B2 (en) * 2010-08-05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speaker port
RU2484238C1 (ru) * 2012-02-16 2013-06-10 ООО "РН-УфаНИПИнефть"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ложения не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лей
JP6036158B2 (ja) * 2012-10-19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4118221A (zh) * 2013-11-01 2014-10-29 哈尔滨讯通恒达科技开发有限公司 便携式打印机
CN106965567A (zh) * 2017-05-05 2017-07-21 安徽庆恒信息科技有限公司 可携带式打印机
CN109849529B (zh) * 2019-01-23 2023-08-22 肇庆学院 一种新型智能打印机器及其智能打印方法
CN109605948B (zh) * 2019-01-29 2024-04-12 谢东 一种便携式打印机及打印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4066B2 (ja) * 1991-01-29 1999-11-29 富士通アイソ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用自動給紙装置
JP2737516B2 (ja) * 1992-03-11 1998-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あるいは印字装置
JPH06286266A (ja) 1992-11-12 1994-10-11 Seikosha Co Ltd プリンタ
JP3486030B2 (ja) 1995-10-26 2004-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携帯用印字装置
JPH09156182A (ja) * 1995-12-01 1997-06-17 Oki Data:Kk プリンタ
JP3666770B2 (ja) * 1996-11-26 2005-06-2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携帯用プリンタ・ファクシミリ複合装置
JPH10287011A (ja) 1997-04-15 1998-10-27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の用紙ガイド機構
JP2000127556A (ja) 1998-10-30 2000-05-09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2002120430A (ja) 2000-10-16 2002-04-23 Canon Inc 記録装置
US6752554B1 (en) * 2002-04-12 2004-06-22 Milord C. Brittingham Mobile document hand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9366B2 (en) 2011-06-14
CN101112828A (zh) 2008-01-30
KR101314234B1 (ko) 2013-10-04
US20080025755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234B1 (ko)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101305511B1 (ko)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6762780B2 (en) Printing apparatus
JP2010000616A (ja) 印刷装置
US11778111B1 (en) Mobile device with slide-out office equipment
CN107797427B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JP6031763B2 (ja) プリンタ
KR100806877B1 (ko) 화상형성장치
JP5258401B2 (ja) プリンタ
KR101391749B1 (ko)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JP6164328B2 (ja) プリンタ、及び印刷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印刷処理方法
JP2003034319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11595542B2 (en)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1039280A1 (ja) 熱転写印画装置
JP699601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0318261A (ja) 印刷装置
JP2022038094A (ja) 転写装置及び記録装置
JP3657212B2 (ja) 画像形成方法
KR20210041075A (ko) 열전사 인화 장치, 열전사 인화 시스템 및 반전 유닛
JP2002355999A (ja) 印刷装置
KR100677111B1 (ko) 휴대용통신기기
JP2020138370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45482A (ja) プリンタ
JP2002355998A (ja) 印刷装置
JP200229291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