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11B1 -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11B1
KR101305511B1 KR1020060070026A KR20060070026A KR101305511B1 KR 101305511 B1 KR101305511 B1 KR 101305511B1 KR 1020060070026 A KR1020060070026 A KR 1020060070026A KR 20060070026 A KR20060070026 A KR 20060070026A KR 101305511 B1 KR101305511 B1 KR 10130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aper
unit
main body
pap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053A (ko
Inventor
김신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11B1/ko
Priority to US11/746,878 priority patent/US7973816B2/en
Priority to CN2007101282043A priority patent/CN101112826B/zh
Publication of KR2008001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마련되며, 용지를 적재하고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대해 급지부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급지부를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화상형성장치{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기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투영사시도, 단면도,
도 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동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투영사시도, 단면도,
도 3a 내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단면도,
도 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
110 : 화상형성부 120 : 급지롤러부
130 : 배지롤러부 140 : 본체케이싱
200 : 급지부 210 : 급지카세트
220 : 녹업플레이트 230 : 탄성부재
300 : 회동결합부 310 : 회동축
320 : 이동부 330 : 급지부결합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호스트에 연결되어 호스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디어에 화상데이타를 가시화하는 장치이다. 이런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과 기능에 따라 잉크젯방식, 전자사진방식, 염료승화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화상형성장치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가 간편한 호스트장치와 결합되어 직접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휴대가 간편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의 포토 화상데이타 촬영기술이 발전하고 그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한 포토 화상데이타를 사용자가 직접 화상형성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에 따라 포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 중 염료승화방식(Dye Sublimation Type)은 습기 및 물성에 따른 화상 변질이 적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전체 크기가 휴대하기에는 커서 사용자가 이동시 휴대하면서 즉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에 무리가 있었 다.
또한,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내부에 미디어를 적재하는 미디어적재부가 없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미디어적재부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력을 희망하는 경우 휴대한 미디어적재부를 화상형성장치에 결합시켜 미디어를 급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자동으로 미디어를 급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용지를 적재하고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급지부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상기 급지부를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직교하게 마련되는 대기위치와,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인쇄위치 간을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급지부가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인쇄위치 간을 회동 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지부는 상기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인쇄위치로 회동 된 상기 급지부의 용지선단이 상기 픽업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급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부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에 상기 화상형성부와 직교한 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케이싱은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된 상기 급지부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단부와 일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슬릿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부의 상대회동을 감지하는 회동감지부와; 상기 회동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급지부가 상대회동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가 소정의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급지부의 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급지부를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상대회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 상기 급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지부의 회동축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급지부의 연속적인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대기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110)를 갖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단부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급지부(200)와, 본체(100)와 급지부(200)를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미디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와, 급지부(200)의 미디어를 화상형성부(110)로 급지하는 급지롤러부(120)와,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롤러부(130)와, 이들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부(110)는 감열발색층을 갖는 미디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염료승화방식이다. 화상형성부(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가하는 TPH(thermal print head, 111)와 미디어를 TPH(111)에 대해 가압하는 플레튼롤러(113)를 포함한다.
TPH(111)는 미세한 크기의 다수의 발열소자가 미디어의 폭에 대응하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소자의 개수는 화상형성장치(1)의 해상도를 좌우하게 되므로 적절한 개수로 설계할 수 있다. 각 발열소자는 화상형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열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각 발열소자는 미디어의 각 색상 의 잉크층(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이 감열하여 화상을 나타내는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온도를 낼 수 있도록 제어된다.
한편, TPH(111)는 사용자가 급지부(200)를 상대회동시키고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인쇄신호를 인가하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준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각 색상의 잉크층 중 가장 낮은 온도에 감열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층에 대응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PH(111)는 기준온도로 예열한 상태로 대기하고 미디어가 진입하면 즉시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여 화상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부(110)는 케이싱(140)의 길이방향(도1의 L1방향)으로 마련된다. 이는 화상형성부(110)가 케이싱(140)의 폭방향(도1의 L2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우 화상형성부(110)를 구동시키는 캠과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소정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TPH(111)의 화상형성폭이 급지부(200)에 적재된 미디어의 폭 보다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상형성부(110)는 케이싱(140)의 길이방향으로 급지부(200)에 적재된 미디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부(110)는 미디어에 잉크가 코팅된 잉크리본을 가열가압하여 잉크리본의 잉크를 용지로 전사하는 열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110)는 미디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TPH(111)와, TPH(111)에 미디어를 가압하는 플레튼롤러(113)와, 잉크가 코팅된 잉크리본(미도시)을 공급하는 잉크리본공급롤러(미도시)와, 미디어에 잉크를 전사한 잉크리본을 회수하는 잉크리본회수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전사방식의 경우 잉크리본공급롤러(미도시)와 잉크리본회수롤러(미도시)가 포함되므로 본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염료승화방식에 비해 커진다. 따라서 본체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는 염료승화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급지롤러부(120)는 급지부(200)에 적재된 미디어를 화상형성부(110)로 급지한다. 급지롤러부(120)는 급지부(200)에 적재된 미디어를 본체(100)로 픽업하는 픽업롤러(121)와, 픽업롤러(121)에서 픽업된 미디어를 화상형성부(110)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23)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21)는 본체(100)에 대해 상대회동된 급지부(200)에 적재된 미디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본체(100)로 픽업한다. 픽업롤러(121)는 급지부(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상대회전한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픽업롤러(121)는 미디어의 종류와 두께, 저항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과 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123)는 픽업롤러(121)를 통해 급지부(200)로부터 픽업된 미디어를 픽업롤러(121)와 연동하여 화상형성부(110)로 안내한다. 일반적으로 픽업롤러(121)를 통해 픽업된 미디어는 픽업롤러(121)의 접선방향으로 직진하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본체케이싱(140)의 벽면에 부딪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123)는 픽업롤러(121)와 접하게 마련되어 픽업롤러(121)에서 픽업된 용지를 화상형성부(110)로 안내한다.
여기서, 가이드롤러(123)는 미디어가 본체케이싱(140)의 내벽면에 부딪치지 않고 화상형성부(110)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곳이나 내벽면 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이드롤러(123)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123)가 위치하는 내벽면에는 미디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25)를 마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는 가이드롤러(123)와 내벽면 사이의 간격을 좁혀 미디어의 이동공간을 좁힌다. 또한, 가이드부재(125)는 미디어가 이송할 이송경로에 대응하도록 곡면이 형성되어 가이드롤러(125)를 통과한 미디어를 화상형성부(110) 측으로 안내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급지롤러부(120)는 가이드롤러(125)와 화상형성부(110) 사이에 마련되어 미디어를 화상형성부(110)로 안내하는 이송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미도시)는 한 쌍의 롤러로 마련되며 본체(100)의 크기와 미디어의 사이즈에 따라 포함여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배지롤러부(130)는 도3b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부(110)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외부로 안내한다. 배지롤러부(130)는 회전하는 이송롤러(131)와, 이송롤러(131)와 맞물려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를 압착하는 프레싱롤러(131)를 포함한다. 프레싱롤러(131)는 미디어를 압착하여 미디어가 외부로 안전하게 배지되도록 한다. 배지롤러부(130)는 화상형성부(110)와 배지슬릿(141, 도1a 참조)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급지롤러부(120)와 배지롤러부(130)는 픽업롤러(121)에서 픽업된 미디어가 화상형성부(110)에서 화상이 형성되어 외부로 배지될 때까지 미디어의 일단 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리본을 갖는 화상형성부(110)를 채용하는 경우 각 색상의 잉크리본(Y, M, C, K)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미디어가 화상형성부(110)를 사이에 두고 왕복이송하게 되므로 각 이송롤러(130)들은 정, 역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케이싱(140)은 상술한 화상형성부(110), 급지롤러부(120) 그리고 배지롤러부(130)를 수용하며, 급지부(200)와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본체케이싱(140)의 일측에는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가 외부로 배지되는 배지슬릿(141)이 마련되며, 본체케이싱(140)의 바닥면에는 회동결합부(300)의 회동축(310)이 삽입되는 회동축수용공(미도시)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케이싱(140)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미도시)와, 호스트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 통신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배지슬릿(14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40)의 일측에 마련된다. 배지슬릿(141)은 화상형성부(110)에서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배지슬릿(141)은 미디어의 두께와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배지슬릿(141)의 두께는 감열발색층을 갖는 미디어의 경우 일반 미디어에 비해 소정 두께를 가지므로 화상형성부(110)의 화상형성방식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지슬릿(141)의 길이는 미디어의 폭에 비해 소정 길이 여유를 갖고 마련되는 것이 미디어의 배출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는 잉크리본을 사용하는 화상형성방식의 경우 미디어가 왕복이동해야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입력부(미도시)는 본체케이싱(140)의 외부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다. 입력부(미도시)는 다수의 입력패널 형태로 마련되거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본체케이싱(140)의 외측에 마련되어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호스트(미도시)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받는다. 통신부(미도시)는 호스트(미도시)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이거나,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일수 있다. 커넥터는 USB(universial serial bus) 포트로 마련되어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컴퓨터 등과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거나 RFID(Radio freqency Identification)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부(200)는 도 1a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급지부(2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대기위치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수직하게 상대회동하여 본체(100)로 미디어를 공급하는 인쇄위치 간을 상대회동한다.
급지부(2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210)와, 급지카세트(2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면에 미디어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0)와, 녹업플레이트(220)를 픽업롤러(121)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210)는 다수의 미디어가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급지카세트(210)의 두께는 미디어의 두께와 출력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되 너무 두꺼우면 화상형성장치(1)의 전체 두께가 커지므로 적절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지카세트(210)의 상면에는 본체(100)와 접하는 본체접촉면(211, 도2b 참조)이 마련된다. 본체접촉면(211)은 급지부(200)가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본체(100)에 대하여 회동할 때 본체케이싱(140)의 바닥면과 면접촉하며 급지부(200)의 회동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접촉면(211)은 인쇄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유입을 차폐한다. 이에 의해 미디어가 깨끗한 상태로 보존될 수 있다.
한편, 본체접촉면(211)은 급지부(200)가 본체(100)에 대해 상대회동할 때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축(310)이 삽입되는 회동축삽입공(미도시)이 마련된다. 회동축삽입공(미도시)은 회동축(310)의 직경보다 소정길이 크도록 마련되는 것이 원활한 급지부(200)의 회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접촉면(211)은 급지카세트(210)의 상부면 중 일부 영역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즉, 본체접촉면(21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위치에서 픽업롤러(121)와 녹업플레이트(220)에 적재된 미디어의 선단이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은 커버하지 않는다.
한편, 본체접촉면(211)의 일측에는 급지부(200)의 회동을 감지하는 회동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회동감지부(미도시)는 접촉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본체접촉면(211)의 본체케이싱(140)에 대해 접촉하며 회동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급 지부(20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다. 회동감지부(미도시)는 급지부(200)의 회동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로 알려준다. 여기서, 회동감지부(미도시)는 두 개의 부재의 상대회동을 감지하는 공지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녹업플레이트(220)는 상면에 용지가 적재되며 탄성부재(230)에 의해 가압된다. 녹업플레이트(220)는 급지부(200)가 인쇄위치로 회동된 경우 상면에 적재된 미디어가 픽업롤러(121)와 접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결합부(300)는 급지부(200)를 본체(100)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회동결합부(300)는 상대회동된 급지부(200)가 인쇄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회동결합부(300)는 본체(100)와 급지부(200)를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축(310)과, 본체(100) 측에 마련되어 회동축(310)을 수용하며 상대회동된 급지부(200)를 인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20)와, 급지부(200) 측에 마련되어 회동축(310)과 급지부(200)를 결합시키는 급지부결합부(330)를 포함한다.
회동축(310)은 본체케이싱(140)의 회동축수용공(미도시)과, 급지카세트(210)의 본체접촉면(211)의 회동축삽입공(미도시)을 상호 관통하여 본체케이싱(140)과 급지카세트(210)가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급지카세트(200)와 본체(100) 중 어느 하나를 상대회동시킬 수 있다. 회동축(310)은 소정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동부(321)와 급지부결합부(330)에 결합된다.
회동축(310)의 일측에는 대기위치의 급지카세트(210)가 상대회동할 때 상대 회동되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대기위치의 급지부(200)를 사용자가 가압하여 회동시킬 때 본체(100)로부터 수직한 위치로 회동된 경우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회동축(310)의 판면에서 돌출형성되어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미도시)는 인쇄위치로 회동된 급지부(200)가 인쇄 중 외부의 충격에 의해 회동각도가 틀어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축(310)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급지부(200)가 상대회동하도록 마련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상태에서 상대회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급지부(200)의 회동축에 모터를 결합시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100)를 상대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회동각도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스테핑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310)은 본체(100)와 급지카세트(210)에 대해 고정결합되어 본체(100)와 급지카세트(210) 중 어느 하나가 상대회동하도록 마련되지만, 경우에 따라 회동축(310)이 본체케이싱(140)의 바닥면을 따라 선회하여 급지카세트(200)가 소정의 인쇄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동부(320)는 본체(100)에 대해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상대회동한 급지카세트(210)를 인쇄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싱(140)과 급지카세트(2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길이(L1)와 세로길이(L2)가 서로 다른 직사각형의 형태이므로 급지카세트(210)를 본체(100)에 대하여 수직하게 회동한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l)의 급지카세트(210)가 돌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지카세트(210)에 적재된 미디어선단과 본체(100)의 픽업롤러(121)가 서로 접촉하지 못하므로 올바른 미디어급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이동부(320)는 상대회동된 급지부(200)를 이동시켜 픽업롤러(121)와 미디어의 선단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320)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축(325)과, 회동축(310)을 수용하며 가이드축(325)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케이싱(321)를 포함한다. 가이드축(325)은 이동케이싱(321)에 삽입되며 이동케이싱(321)에 삽입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l)가 상대회동된 급지부(200)가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l)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축(325)은 본체케이싱(140) 바닥면에 결합부재(327, 도3b 참조)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한편, 가이드축(325)의 양단부에는 이동케이싱(321)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325a)를 마련할 수 있다.
이동케이싱(321)는 소정 형상을 갖는 케이싱형태로 마련된다. 이동케이싱(321)은 회동축(310)을 수용하여 급지부(200)가 상대회동하도록 하며, 가이드축(325)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축(325)을 수용한다. 여기서, 이동케이싱(321)은 가이드축(325)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축(325)의 직경보다 소정크기 크게 형성된 가이드축수용공(미도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지부결합부(330)는 급지카세트(210)의 본체접촉면(211)에 결합되어 급지부(200)가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급지부결합부(3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310)의 직경에 비해 소정면적 넓게 마련되어 본체접촉면(211)과 결합된다. 여기서, 급지부결합부(330)는 본체접촉면(211)과 접착 또는 나사결합 등의 종래 공지된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회동축(310)은 회동축(310) 직경보다 소정 길이 크게 마련된 회동축지지부(311)가 급지부결합부(3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급지부(200)와 본체(100)를 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0)와 급지부(200)의 상대회동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회동감지부(미도시)에 의해 본체(100) 또는 급지부(200)가 상대회동된 것을 인식하면 화상형성부(110), 급지롤러부(120), 배지롤러부(130)를 구동하여 미디어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화상형성부(110)의 TPH(111)를 예열시켜 미디어의 급지시 즉시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1a 내지 도3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의 화상형성장치(1)를 사용자가 가압하여 급지부(200)를 본체(100)에 대해 상대회동시킨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회동된 급지부(200)는 본체(100) 외측으로 소정길이(l) 만큼 돌출된다.
사용자는 급지부(200)가 본체(100)의 일단부와 일치하도록 급지부(200)를 가압한다. 이 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케이싱(321)은 가이드축(325)를 따라 이동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급지부(200)의 일측에 마련된 회동감지부(미도시)는 급지부(200)의 회동을 제어부(미도시)로 알린다. 이에 제어부(미도시)는 화상형성부(110)를 기준온도로 예열시키고, 픽업롤러(211)을 구동시킨다.
픽업롤러(211)의 구동에 의해 녹업플레이트(220)에 적재된 미디어는 본체(100)로 급지된다. 급지된 미디어는 실선으로 표시한 방향과 같이 이송롤러(123)과 가이드부재(125)에 의해 화상형성부(110)로 안내된다. 화상형성부(100)는 미디어에 포함된 각 색상의 감열발색층에 대응하는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이 형성된 미디어는 이송롤러(130)에 의해 이송되고, 미디어는 배지슬릿(141)을 통해 외부로 배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급지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급지카세트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하며 필요에 의해 언제든 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용지를 적재하고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급지부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바닥면에 상기 급지부를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해 직교하게 마련되는 대기위치와, 상기 급지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와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로 용지를 급지하는 인쇄위치 간을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급지부가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인쇄위치 간을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인쇄위치로 회동된 상기 급지부의 용지선단이 상기 픽업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급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에 상기 화상형성부와 직교한 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케이싱는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된 상기 급지부의 일단부 가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단부와 일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슬릿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지부의 상대회동을 감지하는 회동감지부와;
    상기 회동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급지부가 상대회동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가 소정의 기준온도로 예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급지부가 상대회동한 경우 상기 픽업롤러가 구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의 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급지부를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상대회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 상기 급지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의 회동축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급지부의 연속적인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70026A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10130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26A KR101305511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11/746,878 US7973816B2 (en) 2006-07-25 2007-05-10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7101282043A CN101112826B (zh) 2006-07-25 2007-07-04 移动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026A KR101305511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053A KR20080010053A (ko) 2008-01-30
KR101305511B1 true KR101305511B1 (ko) 2013-09-05

Family

ID=3898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026A KR101305511B1 (ko) 2006-07-25 2006-07-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73816B2 (ko)
KR (1) KR101305511B1 (ko)
CN (1) CN101112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484A (ja) * 2008-12-26 2010-07-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物、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549409B2 (ja) * 2010-06-17 2014-07-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CN101928663B (zh) * 2010-07-23 2013-04-17 浙江大学 用于数字核酸扩增的集成流路芯片装置及应用
CN104118221A (zh) * 2013-11-01 2014-10-29 哈尔滨讯通恒达科技开发有限公司 便携式打印机
KR101950181B1 (ko) * 2016-07-21 2019-02-22 디에스글로벌(주) 포토 프린터
USD838411S1 (en) * 2016-10-14 2019-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rvice station for a cosmetic device
JP2018107695A (ja) * 2016-12-27 2018-07-05 フォーブ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推定プログラム
JP7044539B2 (ja) * 2017-12-22 2022-03-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記録紙カセット
EP3587126A1 (en) * 2018-06-25 2020-01-01 COLOP Digital GmbH Method of controlling a hand-operated printer
CN110014757A (zh) * 2019-04-26 2019-07-16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纸盒插入式一体化打印机
CN112389102B (zh) * 2020-11-27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599A (ja) * 1992-11-02 1994-05-24 Seiko Epson Corp ページプリンタ
KR940015718A (ko) * 1992-12-24 1994-07-21 우석형 급지트레이의 용지방향 전환장치 및 그 제어회로
JP2002137493A (ja) * 2000-10-31 2002-05-14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KR20060063204A (ko) * 2004-12-07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용지가이드부가 마련된용지급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711A (en) * 1988-05-11 1989-08-01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printer with adjustable sheet storage cassette
JPH10157862A (ja) 1996-11-29 1998-06-16 Puritetsuku:Kk 印刷装置
JP2001260467A (ja) 2000-03-14 2001-09-25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タ装置
KR20030035515A (ko)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
JP4133181B2 (ja) * 2002-09-30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タを備えたハンディターミナル
KR200335515Y1 (ko) 2003-09-20 2003-12-11 주식회사 하츠 레인지후드 프론트도어 자동개폐장치
JP2005169701A (ja) * 2003-12-09 2005-06-30 Daisey Machinery Co Ltd ラインサーマルヘッド印字装置
CN100348425C (zh) * 2004-01-20 2007-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打印设备的介质盒
JP4537230B2 (ja) 2004-03-23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182534B2 (en) * 2004-09-22 2007-02-27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dye sublimation photo printer paper tr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599A (ja) * 1992-11-02 1994-05-24 Seiko Epson Corp ページプリンタ
KR940015718A (ko) * 1992-12-24 1994-07-21 우석형 급지트레이의 용지방향 전환장치 및 그 제어회로
JP2002137493A (ja) * 2000-10-31 2002-05-14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KR20060063204A (ko) * 2004-12-07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용지가이드부가 마련된용지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4576A1 (en) 2008-01-31
KR20080010053A (ko) 2008-01-30
US7973816B2 (en) 2011-07-05
CN101112826A (zh) 2008-01-30
CN101112826B (zh)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511B1 (ko)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100775452B1 (ko) 프린터
EP087970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458012B2 (ja) 画像記録装置
KR101314234B1 (ko)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200700403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aper feeding cassette installing device
US6762780B2 (en) Printing apparatus
EP1550559B1 (en) An image forming device
US95073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KR20070120394A (ko) 화상형성장치의 감열프린트헤드 어셈블리
KR10122459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급지방법
JP4823091B2 (ja) 画像形成装置
EP1564016B1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8511806B2 (en) Solid ink loader with pull-out drawer for insertion access
KR100806877B1 (ko) 화상형성장치
US75597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guide member to guide paper
JP6153784B2 (ja) プリンタ
KR100667752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230202783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KR20080112745A (ko)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JP5803717B2 (ja) プリンターの印刷ページ反り返り矯正方法およびプリンター
KR20060005759A (ko) 프린터
KR20060008816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KR20050062021A (ko) 감열방식 인쇄기
JP2002355999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