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745A -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745A
KR20080112745A KR1020070061533A KR20070061533A KR20080112745A KR 20080112745 A KR20080112745 A KR 20080112745A KR 1020070061533 A KR1020070061533 A KR 1020070061533A KR 20070061533 A KR20070061533 A KR 20070061533A KR 20080112745 A KR20080112745 A KR 2008011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image forming
casing
print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749B1 (ko
Inventor
김신애
이용덕
유호근
한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749B1/ko
Priority to US11/945,487 priority patent/US8371763B2/en
Publication of KR200801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55Continuous web, i.e. rol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1Portable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인쇄매체가 감겨있는 인쇄매체롤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송안내된 상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화상형성장치{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a 및 도1b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케이싱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케이싱
111 : 본체케이싱 113 : 커버
120 : 지지프레임 121 : 안내면
123 : 인쇄매체수용부 130 : 인쇄매체공급코더
140 : 인쇄매체이송수단 150 : 화상형성부
160 : 인쇄매체지지프레임 161 : 인쇄매체지지리브
170 : 절단기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호스트에 연결되어 호스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데이타를 가시화하는 장치이다. 이런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과 기능에 따라 잉크젯방식, 전자사진방식, 염료승화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호스트장치와 결합되어 직접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휴대가 간편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의 포토 화상데이타 촬영기술이 발전하고 그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한 포토 화상데이타를 사용자가 직접 화상형성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에 따라 포토 화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 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 중 염료승화방식(Dye Sublimation Type)은 습기 및 물성에 따른 화상 변질이 적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전체 크기가 휴대하기에는 커서 사용자가 이동시 휴대하면서 즉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데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종래 포토 화상데이타 전용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내부에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인쇄매체적재부가 없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쇄매체를 급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화상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연속출력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휴대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 표면이 오염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며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케이싱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인쇄매체가 감겨있는 인쇄매체롤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송안내된 상기 인쇄매 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는 상기 케이싱의 단면형상의 중심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에서 공급되는 인쇄매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인쇄매체수용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단면형상이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수용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인쇄매체롤을 교체가능하게 하는 케이싱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의 후단을 지지하는 인쇄매체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는 복수의 인쇄매체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감열프린트헤드와, 상기 감열프린트헤드에 대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플래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감열프린트헤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잉크리본을 공급하는 잉크리본공급코어와, 상기 잉크리본을 환수하는 잉크리본환수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공급롤의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로 이송하는 배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 및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인쇄매체코어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시 역이송된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인쇄매체역이송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역이송로는 상기 인쇄매체수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가 역이송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매체역이송로로 안내하는 방향절환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내구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에 마련되어 인쇄매체롤(MR)에 감긴 인쇄매체를 화상형성부(150) 측으로 안내하는 지지프레임(120)과,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50)와,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수용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지지프레임(120) 내에 마련되어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코어(130)와, 화상형성부(150)와 인쇄매체수용부(160)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인쇄매체이송수단(140)과, 인쇄매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17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M)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10)은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케이싱(110)의 높이는 인쇄매체(M)의 폭과 구동부(미도시)의 부피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지지프레임(120)과 화상형성부(150)를 수 용하는 본체케이싱(111)과, 본체케이싱(111)의 상측에 마련되어 본체케이싱(111)을 커버하는 커버(117)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11)은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개구(113)와, 개구(113)를 커버하는 도어(115)를 포함한다. 개구(113)는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수용된 인쇄매체수용부(160)의 적어도 일영역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구(113) 및 도어(115)는 도1a 및 도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11)의 일영역에 인쇄매체(M)의 선단(a)만 드러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상형성이 완료되면 도어(115)를 개방하여 인쇄매체의 선단(a)을 외부로 이탈시켜 인쇄매체를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도어(115)의 높이(h)는 인쇄매체(M)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쇄매체를 배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113) 및 도어(115)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일영역(114)이 다른 영역(11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개구(113)가 인쇄매체수용부 전체를 외부로 노출하도록 개방된다. 이 때, 도어는 케이싱(110)에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케이싱(110)의 일영역(114)이 도어가 된다. 이 경우 도2a에 도시된 케이싱(110)과 비교하였을 때 인쇄매체수용부(160)에 복수의 인쇄매체(M)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한꺼번에 인쇄매체(M)를 배출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개구(113) 및 도어(115)는 케이싱(110)의 크기와 인쇄매체(M)의 크기, 인쇄매체(M)의 인쇄용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7)는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11)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커버(117)는 인쇄매체롤(MR)에 감겨있는 인쇄매체(M)가 소진된 경우 인쇄매체롤(MR)을 교환하기 위해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인쇄경로상에 인쇄매체(M)의 걸림이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본체케이싱(111)에 개구(113)가 없는 경우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커버(117)와 본체케이싱(111)의 착탈구조는 공지된 결합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프레임(120)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 내에서 인쇄매체롤(MR)을 지지하고 인쇄매체롤(MR)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M)를 화상형성부(150) 측으로 안내한다. 지지프레임(120)은 인쇄매체롤(MR)을 감싸도록 나선형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프레임(120)은 인쇄매체롤(MR)을 지지하는 인쇄매체수용부(160)와, 인쇄매체(M)를 안내하는 안내면(121)을 포함한다.
인쇄매체수용부(160)는 케이싱(110)의 내벽면을 따라 소정 공간을 두고 인쇄매체롤(MR)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인쇄매체수용부(160)는 인쇄매체롤(MR)의 최대 두께를 고려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안내면(121)은 인쇄매체수용부(160)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소정의 곡면을 형성한다. 안내면(121)은 인쇄매체(M)가 인쇄매체롤(MR)로부터 나선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형성된 곡면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쇄매체(M)는 직선으로 나아가려 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안내면(121)은 인쇄매체(M)의 선단(a)이 픽업롤러(141)에 진입할 때까지 인쇄매체(M)와 접촉하면서 인쇄매체(M)를 안내한다.
한편 지지프레임(120)은 케이싱(110)과 소정 간격(d) 이격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20)과 케이싱(110) 사이의 이격간격(d)은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수용부(160)를 형성한다. 인쇄매체수용부(160)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인쇄매체공급코어(130)는 인쇄매체(M)가 감겨있는 인쇄매체롤(MR)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인쇄매체(M)를 화상형성부(150)로 공급하도록 한다. 인쇄매체공급코어(130)는 인쇄매체롤(MR)의 중심영역을 지지하여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동한다.
화상형성부(150)는 인쇄매체공급코어(130)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부(150)는 감열방식에 의해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감열방식 화상형성부(150)는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감열프린트헤드(151)와, 감열프린트헤드(151)에 대해 인쇄매체(M)를 지지하는 플래튼(153)을 포함한다.
이 때, 인쇄매체(M)는 감열프린트헤드(151)의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색상이 선택되어 칼라 화상을 제공하는 매체로서, 통상적인 인쇄매체로 이용되는 종이와는 다르다. 즉, 인쇄매체(M)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기판(1)을 구비하고, 이 기판(1) 상부에 제1화상형성층(2), 스페이서(3), 제2화상형성층(4) 및 상부 보호층(5)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 하부에는 제3화상형성층(6), 반사층(7) 및 하부보호층(8)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화상형성층(2)(4)(6)은 서로 다른 칼라를 구현하는 층으로, 그 각각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류코 염료(leuco dye)와 현상재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3)는 상기 제1화상형성층(2)과 제2화상형성층(4)을 구분하기 위한 층으로, 상부 보호층(5) 상에서, 제1 및 제3화상형성층(2)(6)에 형성된 칼라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화상형성층(2)(4)(6)은 서로 다른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에 의해 감응하여 칼라를 표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M)는 상술한 잉크층을 갖는 구조로 인쇄매체롤(MR)에 감겨 있는 상태로 인쇄매체공급코어(130)에 결합한다.
감열프린트헤드(151)는 미세한 크기의 다수의 발열소자가 인쇄매체(M)의 폭에 대응하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소자의 개수는 화상형성장치(1)의 해상도를 좌후하게 되므로 적절한 개수로 설계할 수 있다. 각 발열소자는 화상형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열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각 발열소자는 인쇄매체의 각 색상의 잉크층(2,4,6)이 감열하여 화상을 나타내는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온도를 낼 수 있도록 제어된다.
감열프린트헤드(151)는 인쇄매체(M)가 공급되기 전에는 플래튼(153)으로부터 이격되어 대기하고, 인쇄매체(M)가 공급하면 플래튼(153)으로 접근하여 인쇄매체(M)에 열과 압력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감열프린트헤드(151)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감열프린트헤드(151)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매체이송수단(140)은 안내면(121)에 의해 이송안내된 인쇄매체(M)를 화상형성부(150)로 이송하고, 화상형성부(150)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를 인 쇄매체수용부(160)로 이송한다. 인쇄매체이송수단(140)은 인쇄매체공급코어(130) 측에 마련되어 인쇄매체(M)의 안내면(121)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M)의 선단을 픽업하는 픽업롤러(141)와, 픽업롤러(141)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M)를 화상형성부(150)로 이송하는 이송롤러(143)와, 화상형성부(15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인쇄매체수용부(160)로 이송하는 배출롤러(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쇄매체이송수단(140)은 이송롤러(143)와 화상형성부(150) 사이, 화상형성부(150)와 인쇄매체수용부(160)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인쇄매체(M)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4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픽업롤러(141), 이송롤러(143), 배출롤러(145) 및 가이드부재(147)는 화상형성부(150)를 포함하여 인쇄매체롤(MR)을 중심으로 원호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쇄매체(M)의 화상형성경로도 인쇄매체롤(MR)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전체적으로 나선형상으로 진행된다.
가이드부재(147)는 인쇄매체(M)가 나선형의 화상형성경로를 유지하며 진행할 수 있도록 인쇄매체(M)를 안내한다.
인쇄매체수용부(160)는 화상형성부(15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가 수용된다. 인쇄매체수용부(160)는 케이싱(110)과 지지프레임(1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마련된다. 인쇄매체수용부(160)의 인쇄매체 수용량은 케이싱(110)의 내벽면과 지지프레임(120) 사이의 이격간격(d)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격간격(d)을 크게 할 경우 케이싱(110)의 전체 체적과 크기가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간격(d)은 휴대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 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매체수용부(160)의 길이는 인쇄매체(M)의 길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매체수용부(160)의 길이가 인쇄매체(M)의 길이보다 길 경우 인쇄매체(M)가 인쇄매체수용부(160) 내에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인쇄매체(M) 표면의 화상이 내벽면에 접촉되며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인쇄매체수용부(160)의 길이는 인쇄매체(M)가 유동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쇄매체수용부(160)는 케이싱(110)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인쇄매체수용부(160)에 수용된 인쇄매체(M)의 유동을 저지하도록 인쇄매체(M)의 후단(b)을 지지하는 인쇄매체지지리브(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매체지지리브(161)는 배출롤러(145)의 일측에 케이싱(110)의 내벽면으로 돌출형성되어 배출롤러(145)를 경유하여 인쇄매체수용부(160)로 진입한 인쇄매체(M)의 후단(b)을 지지한다. 인쇄매체지지리브(161)의 일면은 인쇄매체(M)가 배출롤러(145)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면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쇄매체롤(MR)이 말려있는 롤 형태인 경우 픽업롤러(141)와 이송롤러(143) 사이에는 인쇄매체(M)를 소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170)가 마련될 수 있다. 절단기(170)는 인쇄매체롤(MR)을 정해진 기준길이로 절단하거나, 화상데이타의 크기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변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절단기(170)는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M)를 절단한다.
인쇄매체롤(MR)이 말려있는 롤 형태가 아니거나,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절단 가능하도록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절단기(170)가 없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싱(110)의 바닥면에는 인쇄매체이송수단(140)과 화상형성부(150)를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바닥면에는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가 장착되는 메모리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과정을 도1a 내지 도5e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7)를 개방하고 인쇄매체공급코어(130)에 인쇄매체롤(MR)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커버(117)를 본체케이싱(111)에 결합시킨다.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인쇄매체공급코어(130)는 회전하고 인쇄매체(M)는 픽업롤러(141) 측으로 이동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인쇄매체(M)의 선단(a)은 안내면(121)을 따라 이동하여 픽업롤러(141)에 맞물린다. 픽업롤러(141)에 맞물린 인쇄매체(M)의 선단(a)은 이송롤러(143)를 경유하여 화상형성부(150)로 안내된다.
화상형성부(150)의 감열프린트헤드(151)는 인쇄매체(M)에 열을 가하고 각 색상의 잉크층이 감열하여 컬러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의 선단(a)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롤러(145)를 경유하여 인쇄매체수용부(160)로 진입한다. 이 때, 인쇄매체롤(MR)에서는 인쇄매체(M)를 계속공급하고, 인쇄매체(M)의 길이가 기준길이로 감지되었을 때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170)가 인쇄매체(M)를 절단한다.
절단된 인쇄매체(M)의 후단(b)은 화상형성부(150)를 경유하여 인쇄매체수용 부(160)로 진입하고, 인쇄매체지지리브(161)에 의해 지지된다. 즉,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는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수용부(160)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인쇄매체(M)의 선단(a)은 도어(115)에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고 인쇄매체(M)의 후단(b)은 인쇄매체지지리브(16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연속하여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인쇄매체롤(MR)에 감겨 있는 인쇄매체(M)가 다시 화상형성부(150)로 공급되고,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는 인쇄매체수용부(160)에 먼저 수용된 인쇄매체와 함께 수용된다.
사용자는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를 인쇄매체수용부(160)에 수용한 채 화상형성장치(100)를 휴대하거나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5)를 개방하여 인쇄매체(M)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을 밝힌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50′)가 열전사방식을 사용한다. 화상형성부(150′)는 잉크리본(R)를 인쇄매체(M)에 가열가압하여 잉크리본(R)에 코팅된 잉크를 인쇄매체(M)로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잉크리본(R)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세 가지 색상별로 분리되어 화상이 형성되므로 인쇄매체(M)는 화상형성부(150′)를 적어도 세 번 왕복이송된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부(150′)는 잉크리본(R)을 화상형성부(150′)로 공급하는 잉크리본공급코어(155)와, 사용된 잉크리본(R)을 회수하는 잉크리본환수코 어(157)를 포함한다.
한편, 인쇄매체(M)의 왕복이송을 위해 이송롤러(143) 및 배출롤러(145)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20)에는 역이송된 인쇄매체(M)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역이송로(125)가 형성된다. 인쇄매체역이송로(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수용부(160)와 연결되게 마련될 경우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픽업롤러(141)와 이송롤러(143) 사이에는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를 변경하는 방향전환레버(149)가 마련된다. 방향전환레버(149)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롤(MR)로부터 인쇄매체(M)가 공급될 경우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로 회전하여 인쇄매체(M)가 이송롤러(143)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방향전환레버(149)는 절단기(170)에 의해 인쇄매체(M)가 절단되고 나면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전하여 인쇄매체(M)의 후단을 인쇄매체역이송로(125)로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면 인쇄매체(M)가 화상형성부(150)로 공급되면 감열프린트헤드(151)는 잉크리본(R)을 인쇄매체(M)에 가열가압하여 옐로우 색상의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송롤러(143)와 배출롤러(145)는 역회전하여 인쇄매체(M)를 역이송한다. 이 때, 방향전환레버(149)는 아래로 회전하고 옐로우의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는 인쇄매체역이송로(125)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롤러(143)는 다시 인쇄매체(M)의 선단을 화상형성부(150)로 공급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인쇄매체의 이송과 역이송을 반복하여 인쇄매체에 화상형성이 완료되 면 인쇄매체(M)는 인쇄매체수용부(160)에 수용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100′)는 케이싱(110)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싱(110)이 사각형으로 마련된다. 이 외에도 케이싱(110)은 여타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가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도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인쇄매체가 케이싱 내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인쇄매체에 연속출력이 가능하다.

Claims (19)

  1. 모바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인쇄매체가 감겨있는 인쇄매체롤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안내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이송안내된 상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가 수용되는 인쇄매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코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는 상기 케이싱의 단면형상의 중심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와 상기 화상형성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공급코어에서 공급되는 인쇄매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바일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인쇄매체수용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외부로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수용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인쇄매체롤을 교체가능하게 하는 케이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단면형상이 다각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의 후단을 지지하는 인쇄매체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는 복수의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는 감열프린트헤드와, 상기 감열프린트헤드에 대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플래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 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감열프린트헤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잉크리본을 공급하는 잉크리본공급코어와, 상기 잉크리본을 환수하는 잉크리본환수코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롤의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매체수용부로 이송하는 배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 및 상기 화상형성부는 상기 인쇄매체코어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배출롤러가 역회전시 역이송된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인쇄매체역이송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역이송로는 상기 인쇄매체수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가 역이송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매체역이송로로 안내하는 방향절환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61533A 2007-06-22 2007-06-22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KR10139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33A KR101391749B1 (ko) 2007-06-22 2007-06-22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US11/945,487 US8371763B2 (en) 2007-06-22 2007-11-27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33A KR101391749B1 (ko) 2007-06-22 2007-06-22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45A true KR20080112745A (ko) 2008-12-26
KR101391749B1 KR101391749B1 (ko) 2014-05-07

Family

ID=4013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33A KR101391749B1 (ko) 2007-06-22 2007-06-22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71763B2 (ko)
KR (1) KR101391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202B2 (en) * 2008-03-14 2011-10-04 Citizen Holdings Co., Ltd. Printer with recording paper leading edge storage unit
JP5937934B2 (ja) * 2012-09-20 2016-06-2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および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557A (ja) * 1993-04-28 1994-11-08 Nec Home Electron Ltd プリンタ
JPH08300758A (ja) * 1995-04-28 1996-11-19 Ricoh Co Ltd 記録装置
JP3494783B2 (ja) * 1995-12-07 2004-02-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及び装置
AUPP702798A0 (en) *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0)
JP2000168194A (ja) * 1998-12-08 2000-06-20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プリンタ
JP2001080130A (ja) * 1999-09-17 2001-03-27 Osaka Gas Co Ltd 携帯型印字装置
JP2001130057A (ja) * 1999-11-02 2001-05-15 Canon Inc 携帯型電子機器
JP3541156B2 (ja) * 2000-02-23 2004-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包装体用プリンタ
JP2002011908A (ja) * 2000-06-29 2002-01-15 Canon Inc 携帯型記録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US6457523B1 (en) * 2000-07-07 2002-10-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elayed thixotropic c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US6848850B2 (en) * 2001-10-24 200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JP2004216732A (ja) * 2003-01-15 2004-08-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プリンタ
US7287850B2 (en) * 2004-01-22 2007-10-30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7108221B2 (en) * 2004-03-15 2006-09-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per roll holder for a printer convertible between snap-in loading and drop-in loading of the paper roll
JP2006007662A (ja) * 2004-06-28 2006-01-12 Funai Electric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ATE540819T1 (de) * 2005-05-20 2012-01-15 Prinics Co Ltd Ein thermoband und ein transfermedium vereinigende druckerkassette und diese einsetzender thermotransferdrucker
EP1881901B1 (en) * 2005-05-20 2012-01-11 Prinics Co., Ltd. Printer cartridge unifying thermal ribbon and transfer medium and thermal transfer printer employing the same
JP2007062283A (ja) * 2005-09-01 2007-03-15 Noritsu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749B1 (ko) 2014-05-07
US20080317496A1 (en) 2008-12-25
US8371763B2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3779B2 (ja) 熱転写リボン及び記録媒体一体型カートリッジとこれを採用する熱転写プリンタ
US8827440B2 (en) Printer
JP2008062474A (ja) プリンタ
KR101391749B1 (ko) 모바일 화상형성장치
JP4677329B2 (ja) 記録装置、および、カセット
EP1881901B1 (en) Printer cartridge unifying thermal ribbon and transfer medium and thermal transfer printer employing the same
US20120092425A1 (en) Solid Ink Loader with Pull-Out Drawer for Insertion Access
KR100806877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5335292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KR101451027B1 (ko) 미디어 이송 장치를 갖는 프린터
JP2008302563A (ja) 印画装置及び印画方法
JP2005074720A (ja) 熱転写式記録装置
KR100520578B1 (ko) 열전사리본 및 기록매체 일체형 카트리지를 구비하는열전사 프린터
JP4121254B2 (ja) プリンタ
JP2002320176A (ja) プリンタ付き電子スチルカメラ
JP5178312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4512568B2 (ja) プリンタ
JP2005074705A (ja) 記録装置
KR101486326B1 (ko) 미디어의 정밀 이송이 가능한 프린터
JP2006124089A (ja) 記録装置
JP4432668B2 (ja) プリンタ
JP2002225365A (ja) 記録装置
JP2005074728A (ja) 熱転写式記録装置
JP460900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8426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