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900A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900A
KR20080000900A KR1020060058779A KR20060058779A KR20080000900A KR 20080000900 A KR20080000900 A KR 20080000900A KR 1020060058779 A KR1020060058779 A KR 1020060058779A KR 20060058779 A KR20060058779 A KR 20060058779A KR 20080000900 A KR20080000900 A KR 2008000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gate
layer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054B1 (ko
Inventor
정철모
조휘원
김정근
명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5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054B1/ko
Priority to US11/646,777 priority patent/US7521319B2/en
Priority to CN2007100077319A priority patent/CN101097859B/zh
Publication of KR2008000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하고 게이트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막의 측벽에 스페이서 형태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상부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질화막을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콘택홀의 측벽에 베리어 메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콘택홀에 텅스텐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게이트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플래쉬 메모리, 게이트, SAC, 콘택홀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a gate in the flash memory device}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2 : 터널산화막
103 : 제 1 폴리실리콘막 104 : 유전체막
105 : 제 2 폴리실리콘막 106 : 제 1 질화막
107 : 하드 마스크막 108 : SiON 막
109 : 포토 레지스트 110 : 산화막
111 : 제 2 질화막 112 : 층간 절연막
113 : 베리어 메탈막 114 : 텅스텐막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금속배선 형성방법이 종래의 RIE 방법 대신에 다마신(damascene)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는 60nm이하의 메모리 소자에서 텅스텐 게이트의 폭이 60nm 이하로 좁아지면서 종래의 RIE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패터닝 하기가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다. 텅스텐 실리사이드(WSi) 게이트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게이트 라인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저항 확보를 위하여 타겟을 증가하는 경우에 내부 용량(intra-capacitance)의 증가를 초래한다. 게이트 식각 시에도 하드 마스크막,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폴리실리콘막 및 산화막을 동시에 식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RIE 방식으로 텅스텐 게이트를 적용할 경우에는 텅스텐 산화에 의한 스페이서 형성에 어려움이 있고, 열적 버짓(thermal budget)에 의한 게이트 신뢰성이 낮아지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텅스텐 싱글 다마신(W single damascene)을 적용할 경우에는 제 1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ISO 레벨에서 형성해야 하며,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한 커플링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게이트 패터닝 마진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게이트 간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하고 게이트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막의 측벽에 스페이서 형태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상부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질화막을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콘택홀의 측벽에 베리어 메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콘택홀에 텅스텐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셀 영역과 선택라인 영역으로 나누어진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터널산화막(102),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막(103), 유전체막(104), 콘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막(105), 제 1 질화막(106), 하드 마스크막(107), SiON 막(108) 및 포토 레지스트(109)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포토 레 지스트(109)를 패터닝(patterning) 한다. 제 1 질화막(106)의 두께는 500 내지 2000Å으로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막(107)은 α-카본(α-carbon)을 사용하고, 두께는 500 내지 2000Å으로 형성한다. SiON 막(108)의 두께는 100 내지 1000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터닝 된 포토 레지스트(109)로 하드 마스크막(107)을 식각하여 하드 마스크막 패턴(107a)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막 패턴(107a)을 마스크로 하여 제 1 질화막(106), 제 2 폴리실리콘막(105), 유전체막(104), 제 1 폴리실리콘막(103) 및 터널산화막(102)을 순차적으로 식각한 후 하드 마스크막 패턴(107a)을 제거한다. 그로 인하여 게이트 패턴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과물에 클리닝 공정 및 이온 주입공정을 실시한 후,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110)을 형성한다. 그로 인하여 게이트 간에 산화막(스페이서)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식각 공정을 통해 산화막(110)을 일정 두께로 식각한다. 제 1 질화막(106)과 산화막(110) 간의 높이가 200 내지 500Å이 되도록 산화막(110)을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결과물 전면에 제 2 질화막(111)을 형성한다. 제 2 질화막(111)은 300 내지 1000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질화막(111)을 식각하면, 선택라인 영역의 산화막(110) 측벽에 자기 정렬 콘택(self aligned contact; SAC)용 제 2 질화막(111)이 스페이서 형태로 잔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택라인 영역의 산화막(110) 측벽에 잔류하는 SAC용 제 2 질화막(111)이 게이트 패턴의 제 1 질화막(106)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면, 후속 식각공정시 제 2 질화막(111)이 드러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제 2 질화막(111)을 제 1 질화막(106)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식각한다. 잔류하는 제 2 질화막(111) 상부와 제 1 질화막(106) 상부와의 높이(A)는 200 내지 500Å가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결과물 전면에 층간 절연막(ILD; inter-layer dielectric; 112)으로 산화막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12) 형성 후에 결과물 상부를 CMP 연마한다. 이때, 제 1 질화막(106)을 식각 멈춤막으로 하여 제 1 질화막(106)이 노출될 때까지 연마공정을 실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질화막(106)을 습식식각으로 제거(dip-out) 한다. 습식식각은 인산용액을 사용하여 제 1 질화막(106)만을 제거한다. 제 1 질화막(106)을 모두 제거하여 콘택홀(contact hall; CH)이 형성되면, 콘택홀 내부를 그대로 두거나 또는 콘택홀(CH) 측벽에 스페이서(Ox)로 산화막이나 질화막을 형성하여 임계치수(critical dimension; CD)를 조절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Ox) 형태를 형성할 시에 두께는 0 내지 300Å으로 한다. 여기서 두께가 0Å 인 경우는 스페이서(Ox)를 형성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콘택홀(CH)의 측벽에 베리어 메탈막(113)을 형성하고 결과물 전체 상부에 텅스텐을 매립한다. CMP 공정을 통하여 베리어 메탈막(113)이 노 출될 때까지 텅스텐을 연마하여 텅스텐막(114)을 형성한다. 베리어 메탈막(113) 물질로 Ti 및 TiN, Ta 및 TaN, W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텅스텐막(114) 대신에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사용할 수도 있다. 후속 캐핑(capping) 막을 형성하여 배선공정을 완료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2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텅스텐막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패터닝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 계면의 커플링 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텅스텐막 형성하기 전에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후속 열적 버짓(thermal budget)을 줄일 수 있다.
넷째, 하드 마스크로 α-카본을 사용하므로 턴스텐막의 저항을 일정하게 유 지할 수 있다.
다섯째, SAC 질화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SAC 질화막의 오픈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콘택홀 내부 측벽에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형성하여 게이트간 임계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곱째, 제 2 폴리실리콘막과 텅스텐막의 높이를 줄여 게이트간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덟째, 게이트의 높이 감소로 콘택 홀 형성시 식각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1)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의 측벽에 스페이서 형태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상부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질화막을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의 측벽에 베리어 메탈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에 텅스텐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터널산화막, 제 1 폴리실리콘막, 유전체막, 제 2 폴리실리콘막, 제 2 질화막, 하드 마스크막, SiON 막 및 포토 레지스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포토 레지스트를 패터닝 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 제 2 질화막, 제 2 폴리실리콘막, 유전체막, 제 1 폴리실리콘막, 터널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화막의 두께는 500 내지 2000Å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의 물질은 α-카본을 사용하고, 두께는 500 내지 2000Å으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iON 막의 두께는 100 내지 1000Å으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식각후 상기 제 2 질화막과 상기 산화막 간의 높이는 200 내지 500Å이 되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질화막의 두께는 300 내지 1000Å으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8.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 상부와 제 2 질화막 상부와의 높이는 200 내지 500Å가 되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화막은 인산용액으로 습식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메탈막의 형성 물질은 W, Ti 및 TiN, Ta 및 TaN, W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메탈막 형성전에 상기 콘택홀의 측벽에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20060058779A 2006-06-28 2006-06-28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84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79A KR100843054B1 (ko) 2006-06-28 2006-06-28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US11/646,777 US7521319B2 (en) 2006-06-28 2006-12-28 Method of forming gate of flash memory device
CN2007100077319A CN101097859B (zh) 2006-06-28 2007-01-29 闪速存储器件的栅极的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79A KR100843054B1 (ko) 2006-06-28 2006-06-28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00A true KR20080000900A (ko) 2008-01-03
KR100843054B1 KR100843054B1 (ko) 2008-07-01

Family

ID=3887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779A KR100843054B1 (ko) 2006-06-28 2006-06-28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21319B2 (ko)
KR (1) KR100843054B1 (ko)
CN (1) CN1010978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65B1 (ko) * 2008-03-10 2010-0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6588B2 (en) * 2007-01-12 2009-01-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NAND cell units with string gates of various widths
CN106601749A (zh) * 2016-12-15 2017-04-26 武汉新芯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一种闪存单元结构及分立栅快闪存储器
US10522557B2 (en) 2017-10-30 2019-12-3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urface topography by forming spacer-like components
CN108560030B (zh) * 2018-06-01 2019-11-19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金属钨的沉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05C (zh) * 1998-06-24 2003-01-22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快闪存储单元的制造方法
JP3530104B2 (ja) * 2000-04-19 2004-05-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368321B1 (ko) * 2000-12-29 2003-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07075B1 (ko) * 2001-12-29 2008-02-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01464B1 (ko) * 2003-02-04 2005-07-18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KR20040098106A (ko) * 2003-05-13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052972B2 (en) * 2003-12-19 2006-05-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sublithographic features during the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resulting in-process apparatus
US7262093B2 (en) * 2004-07-15 2007-08-28 Promos Technologies, Inc. Structur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609578B1 (ko) * 2004-12-28 2006-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플로팅 게이트전극 형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65B1 (ko) * 2008-03-10 2010-0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851290B2 (en) 2008-03-10 2010-12-14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03754A1 (en) 2008-01-03
KR100843054B1 (ko) 2008-07-01
CN101097859B (zh) 2010-05-19
US7521319B2 (en) 2009-04-21
CN101097859A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93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419896B2 (en) Method for forming landing plug contact in semiconductor device
CN100492605C (zh) 制造具有钨栅电极的半导体器件的方法
KR10084305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US20080176374A1 (en)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lf-aligned metal shunts
KR10058011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패턴 형성방법
KR100632653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US7323377B1 (en) Increasing self-aligned contact areas in integrated circuits using a disposable spacer
KR20100008942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77881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24771B1 (ko) 매립 워드라인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4695547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JPH09293689A (ja) 接続孔の形成方法
JP200623708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36290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32393B1 (ko) 다층의 절연막을 동시에 식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KR100559996B1 (ko)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KR100519645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43181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76938A (ko) 반도체 장치의 자기 정렬형 콘택 패드 형성 방법
KR100313534B1 (ko)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KR20060117804A (ko) 반도체소자의 리세스게이트 형성방법
KR2007006864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09392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135291A (ko) 반도체소자의 스토리지노드콘택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