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261A -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261A
KR20070118261A KR1020077023583A KR20077023583A KR20070118261A KR 20070118261 A KR20070118261 A KR 20070118261A KR 1020077023583 A KR1020077023583 A KR 1020077023583A KR 20077023583 A KR20077023583 A KR 20077023583A KR 20070118261 A KR20070118261 A KR 2007011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guide
elastic
shee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125B1 (ko
Inventor
슈헤이 아오노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1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6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filaments in space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9Elastic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34Means bringing articles into association with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통로에 탄성부재를 통과시키는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피부착 시트(20A, 20B)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라인과, 탄성부재(26, 28)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탄성부재(26, 28)를, 반송라인상의 피부착 소재(20A, 20B)에 있어서의 부착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32)를 구비한, 탄성부재의 부착장치에 있어서, 가이드(32)는, 상측 부분(32A)과, 이 상측 부분(32A)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된 하측 부분(32B)을 가지며, 이들 상측 부분(32A)과 하측 부분(32B) 사이에, 주위가 닫혀진 가이드 통로(32X)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통로(32X)를 통하여 탄성부재(26, 28)가 부착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일회용 종이 기저귀, 탄성부재, 가이드, 피부착 시트, 흡수체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DEVICE FOR INSTALLING ELASTIC MEMBER IN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시에, 실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시트 등의 피부착 소재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안내해서 부착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에서는, 체액의 흡수를 도모하는 흡수체를 신체에 장착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흡수체를 보유하는 시트 등에 대하여 탄성신축부재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신체에의 피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 톱 시트(50)와,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51)와, 이들 양 시트(50, 51)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52)를 가지며, 웨이스트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웨이스트부 탄성신축부재(48, 48…)를 배치함과 아울러, 양 레그 개구부에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다리부 탄성부재(53, 53…)를 배치하고, 또한 허리 둘레에 허리부 탄성신축부재(49, 49…)를 배치하여, 신체에 피트시키도록 한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웨이스트 개구부, 레그 개구부, 허리 둘레부의 3개의 부분에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신축부재를 배치한 경우에는, 필요한 최소한의 피트는 얻어지지만, 반드시 사용자의 만족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몸통부 개더(gather) 중, 복부측 혹은 등측 또는 양방의 개더로서, 적어도, 가랑이부 방향으로 부풀도록 만곡해서 형성된 하방 만곡 개더(54)를 가지며, 또한 상기 하방 만곡 개더(54)의 최하부가 레그 개구부의 최상단보다도 하측에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와 외장부재로 이루어지며, 외장부재의 앞길(front body portion) 및 뒷길(back body portion)에는 각각 복수개의 신축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신축탄성부재(55, 55…) 및 제2신축탄성부재(56, 56…)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신축탄성부재(55…, 56…)는, 각각 앞뒷길의 한쪽의 측면 가장자리부(side edge part)에서 가랑이 하부를 거쳐 다른쪽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의 적어도 일부분이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배치되고, 또한 가랑이 하부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보다 한층의 흘러내림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서,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톱 시트와 백 시트와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배측부와 등측부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접합 고정해서 웨이스트 개구부 및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웨이스트 개구부 및 레그 개구부에는,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 둘레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한 개더를 형성하는 웨이스트 탄성부재(57) 및 레그 탄성부재(58)는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허리둘레 탄성부재의 배측 및/또는 등측에 복수개의 허리둘레 탄성부재(59, 59…)가 배치되고, 이 허리둘레 탄성부재(59, 59…)는, 가랑이 하부측으로 변위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둘레 탄성부재(59, 59…)의 변위량은 배측부의 중앙부에서 최대로 한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또한,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팬티의 앞길 및 뒷길 전역에,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탄성체 라인(elastic body lines; 60, 60…)을, 각각 비교차형상으로 다수개 배치한 개더 구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앞길 및 뒷길의 탄성체 라인(60, 60…)은, 좌우의 실라인(seal line)에서는 전후에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며, 각 탄성체 라인(60, 60…)은 각각 중간부로 감에 따라 가랑이 하부를 향하여 팽출(膨出) 만곡 형상으로 튀어나와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참조).
한편, 이러한 팬티형 종이 기저귀의 제조시에, 몸통 둘레 또는 허리 둘레 방향을 따라 탄성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피부착 소재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라인에 대하여, 탄성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이 탄성부재를, 반송라인상에 배치된 가이드를 통해서 피부착 소재에 있어서의 부착위치로 안내하여,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특허문헌 7 참조).
이 경우에 있어서의 가이드는, 종래, 훅(hook)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으 나, 훅에서 탄성부재가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는 것이나, 복수의 탄성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최근에 와서는, 주위가 닫혀진 가이드 통로를 통해서 탄성부재를 안내하는 설비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탄성부재의 절단시나, 보급시 등, 새로이 탄성부재를 가이드 통로에 통과시킬 필요가 발생했을 때, 미끄러짐이 나쁜 탄성부재를 좁은 통로에 한쪽측에서 끼워 통하게 하게 되어, 작업이 현저히 번잡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7-26535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7-29909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610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1-25893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2001-20476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평4-28363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32913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가이드 통로에 탄성부재를 통과시키는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에 기재하는 바와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피부착 소재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라인과, 탄성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탄성부재를, 반송라인상의 피부착 소재에 있어서의 부착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탄성부재의 부착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는, 제1의 부분과, 이 제1의 부분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된 제2의 부분을 가지며, 이들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 사이에, 주위가 닫혀진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부착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제1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2의 부분과의 대향면, 및 제2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1의 부분과의 대향면에, 둘레 가장자리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관통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홈이 합쳐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통로가 CD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CD방향으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가이드 통로 내면에 노출하는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과의 이음매가, 가이드 통로 내면에 있어서의 CD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통로가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 사이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1의 부분에 대하여 제2의 부분이 떼어내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통로로서는, 제1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2의 부분과의 대향면, 및 제2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1의 부분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홈이 합쳐짐으로써 형성되는 형태가 간소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2의 부분이 떼어지면, 가이드 통로의 둘레면의 일부가 통로 전 길이에 걸쳐 개방된다. 따라서, 가이드 통로에 탄성부재를 통과시키는 경우, 제2의 부분을 떼어냄으로써, 가이드 통로 내에 대하여 측방의 개방부분으로부터 탄성부재를 넣을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가이드 통로의 한쪽에서 탄성부재를 끼워 통하게 하는 것과 비교해서, 현저히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말할 것도 없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2의 부분의 떼어냄에 의한 작업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통로가 복수 병설되는 것이나, 가이드를 요동시켜서 곡선형상으로 탄성부재를 안내하는 것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특히 탄성부재의 끼움 작업이 번잡해지기 쉽고, 또한 후자의 경우에 탄성부재의 절단을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에, 이들의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를 요동시켜서 곡선형상으로 탄성부재를 안내하는 경우, 가이드 통로 내면에 노출하는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과의 이음매가, 가이드 통로 내면에 있어서의 CD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가이드의 요동에 의해 탄성부재가 이음매 부분에 스쳐서, 끊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음매는 CD방향 양측에 위치하지 않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1)의 제품상태 외관도이다.
도 2는 전개상태에서의 조립도이다.
도 3은 외장 시트(20)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외장 시트(2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5는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흡수성 본체(10)의 전개상태에서의 반횡단면도, 도 6B는 그 제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외장 시트(20)의 조립 요령을 나타내며, 도 7A는 모식도, 도 7B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이드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그 1)를 나타내며, 도 16A는 전개도, 도 16B는 제품상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그 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그 3)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그 4)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그 5)를 나타내며, 도 20A는 정면도, 도 20B는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종이 기저귀 10: 흡수성 본체
11: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12: 누설방지 시트
13: 흡수체 14: 크레이프지
15: 개더 부직포 16: 실형상 탄성신축부재
20: 외장 시트 21, 22: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
24: 웨이스트부 탄성부재 25: 허리둘레 탄성부재
26: 등측 만곡 탄성부재 28: 배측 만곡 탄성부재
29: 다리둘레 커트라인 32: 가이드
32X: 가이드 통로 F: 앞길
B: 뒷길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의 적용예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양측부의 테이프에 의해 고정하는 테이프식 일회용 종이 기저귀나, 각종 생리용 냅킨 등, 다른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1)의 제품상태 외관도이고, 도 2는 전개상태에서의 조립도이다. 이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1)(이하, 간단히 종이 기저귀라고도 말한다.)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와,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누설방지 시트(12) 사이에, 면형상 펄프 등의 흡수체(13)를 개재시킨 흡수성 본체(10)와, 이 흡수성 본체(10)의 외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장 시트(2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조시에는, 외장 시트(20)의 상면측에 흡수성 본체(10)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일체화된 후에, 흡수성 본체(10) 및 외장 시트(20)가 전후방향으로 접어 포개지고, 그 양측부가 상호 열용착 또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웨이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가 된다.
이하, 흡수성 본체(10), 외장 시트(20)의 순으로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의 구조)
흡수성 본체(1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와,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누설방지 시트(12) 사이에, 면형상 펄프 등의 흡수체(13)를 개재시킨 구조로 되며, 체액을 흡수 보유하는 것이다.
흡수체(13)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을 덮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로서는,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플러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펀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한 점에서 우수하다.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에 다수의 투공(透孔)을 형성한 경우에는, 오줌 등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되어, 드라이 터치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는, 흡수체(13)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말려들게 하여 흡수체(13)의 이면측까지 연재(延在)하고 있다.
흡수체(13)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을 덮는 누설방지 시트(12)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짓무름 방지의 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차수(遮水)·투습성 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를 용융 혼합 반죽해서 시트를 형성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이며, 가령 시트 두께가 동일하면 무공 시트보다도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유연성의 점에서 우수한 것이 된다.
흡수체(13)는, 플랩형상 펄프와 흡수 폴리머를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매 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예를 들면 입자형상 분말로서 혼입할 수 있다. 펄프로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을 기능 및 가격의 면에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이외의 공지의 흡수체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13)는, 형상 유지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를 투과한 체액의 확산성 향상을 위해서 등, 필요에 따라 크레이프지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14)에 의해 둘러쌀 수 있다. 흡수체(13)의 형상은, 도시 형태와 같이 등측 및 배측에 대하여 고간부(股間部)의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거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본체(10)의 양측부에는 다리둘레에 피트하는 입체 개더(BS)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입체 개더(BS)는 개더 부직포(15)에 의해 형성된다. 개더 부직포로서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되접어 꺾기에 의해 이중 시트로 한 부직포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며,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에 의해 말려들어간 흡수체(13)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또한 그 상측으로부터 말려들게 하여 흡수체(13)의 이면측까지 연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더 부직포(15)는, 종이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서는, 입체 개더(BS) 형성부분을 남기고, 폭방향 중간부로부터 흡수체(13)의 이면측에 이르는 범위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며, 또한 길이방향 전후 단부에서는, 폭방향 중간부로부터 한쪽측 단(端) 가장자리까지의 구간이 흡수체(13)의 이면측에 이르는 범위에서 접착됨과 아울러, 입체 개더(BS)를 형성하는 부분을 흡수체(13)의 상면부에서 접어 포개도록 하면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고 있다.
이중 시트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개더 부직포(15)의 내부에는, 기립 선단측 부분에 복수개의 실형상 탄성신축부재(16, 16…)가 배치되어 있다. 실형상 탄성신축부재(16, 16…)는, 제품상태에 있어서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탄성 신축력에 의해 흡수체 측면 가장자리부보다 돌출하는 부직포 부분을 기립시켜서 입체 개더(BS)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누설방지 시트(12)는, 이중 시트형상의 개더 부직포(15)의 내부까지 진입하여,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입체 개더(BS)의 하단측에 있어서 누설방지벽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누설방지 시트(12)로서는, 배변이나 오줌 등의 갈색이 나지 않도록 불투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화로서는, 플라스틱 중에, 탄산칼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화이트 카본, 클레이(clay), 탤크, 황산바륨 등의 안료나 충전재를 내첨(內添)해서 필름화한 것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형상 탄성신축부재(16)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스티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측에서 보이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굵기는 925dtex 이하, 텐션은 150∼350%, 간격은 7.0mm 이하로 해서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실형상 탄성신축부재를 대신해서, 어느 정도의 폭을 갖는 테이프형상 탄성신축부재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개더 부직포(15)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도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1)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플러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방법으로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는 짓무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개더 부직포(15)에 대해서는, 오줌 등의 투과를 방지함과 아울러, 피부병을 방지하면서 또한 피부에의 감촉성(드라이감)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계, 파라핀 금속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시트(20)의 구조)
외장 시트(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층 부직포(20A) 및 하층 부직포(20B)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로 되며, 상층 부직포(20A)와 하층 부직포(20B) 사이에 각종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평면형상은, 중간 양측부에 각각 다리부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오목형상의 다리둘레 커트라인(29)에 의해, 전체로서 유사 모래시계형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도시 형태의 외장 시트(20)에 있어서는, 탄성부재로서, 도 3에 나타나는 전개형상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부 둘레(23)에 배치된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24…)와, 앞길(F) 및 뒷길(B)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을 가짐과 아울러, 앞길(F) 및 뒷 길(B)의 각각에 있어서,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과는 별도로, 앞길(F)과 뒷길(B)을 접합하는 한쪽측 접합 가장자리로부터 가랑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가랑이 하측을 우회해서 앞길과 뒷길과의 다른쪽측 접합 가장자리에 도달함과 아울러,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만곡 탄성부재군(26…, 2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외장 시트(20)에서는, 다리둘레 커트라인(29)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소위 다리둘레 탄성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하, 각종 탄성부재마다 상세히 서술한다.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24…)는, 앞길(F)과 뒷길(B)이 접합된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의 범위 중, 웨이스트 개구 가장자리 근방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라인의 실고무형상 탄성부재이며, 신체의 웨이스트부 둘레를 조이도록 신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종이 기저귀를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는, 도시예에서는 실고무를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면 테이프형상의 신축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은,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 중, 대략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범위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실고무형상의 탄성부재이며, 앞길(F) 및 뒷길(B)의 허리둘레 부분에 각각 수평방향의 신축력을 부여하여, 종이 기저귀를 신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24…)와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과의 경계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앞길(F) 및 뒷길(B)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탄성부재 중, 수는 특정할 수 없어도, 상부측의 몇 갠가가 웨이스트부 탄성부재로서 기능하고, 나머지 탄성부재가 허리둘레 탄성부재로서 기능하고 있으면 된다.
뒷길(B)에 있어서,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과는 별도로 배치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은, 한쪽측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2)로부터 거의 다리둘레 커트라인(29)을 따르도록 가랑이 하부로 연장되며, 가랑이 하부를 우회해서 반대측의 다리둘레 커트라인(29)을 거의 따르면서 다른쪽측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2)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복수개, 도시예에서는 9개의 실고무형상 탄성부재이고, 이들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은 종래의 다리둘레 탄성부재와는 배치형태가 다른 것이다. 즉, 2, 3개 정도의 탄성신축부재를 간격을 촘촘하게 해서 실질적으로 한 다발로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신축 존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7개 이상 배치된다.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의 시종단은, 앞길(F)과 뒷길(B)과의 접합 가장자리의 거의 상부에서 하부의 범위에 이르러 소정의 간격으로 접속되며, 흡수성 본체(10)의 측면 가장자리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과 흡수성 본체(10) 측면 가장자리와의 예각측 교차각(α)은 35°이상,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상이 되는 배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도시예에서는, 교차각(α)이 47°전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차각(α)은 수평방향 분력과 연직방향 분력의 밸런스에서, 크더라도 6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길(F)과 뒷길(B)과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에 있어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 중, 가장 웨이스트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6i)는,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24…)의 최하측 탄성부재(24O)로부터의 거리(SB)가 20mm 이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장착시에 착용자가 웨이스트부의 옆구리를 잡아서 상방으로 끌어올렸을 때, 만곡 탄성부재(26, 26…)의 탄성력에 의해 종이 기저귀의 뒷길(B)측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쉬워지며, 입기 용이함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은, 가랑이 하부의 우회부에 있어서, 호상(弧狀) 곡선형상으로 방향 전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에서는 접선방향으로 신축력이 작용하는 바,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곡선형상으로 반전시킴으로써, 흡수체(13)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가랑이 하부에서의 흡수체(13)의 오그라듬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시 형태의 종이 기저귀(1)에서는, 뒷길(B)에 있어서, 엉덩이부의 부풀음형상에 대응하여 외장 시트(20)를 피트시키기 위해서, 엉덩이부의 부풀음에 대하여 힘을 다해 따르는 방향으로 신축력을 작용시키도록,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각도로 탄성부재군(26, 26…)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며, 예를 들면 교차각(α)=47°로 신축부재(26, 26…)가 배치되어 있다고 하면, 부여한 신축력의 73%를 수평방향 분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게 되어, 엉덩이부를 감싸도록 외장 시트(20)를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흡수성 본체(10)를 중앙측으로 오그라들게 하는 일이 없어짐과 아울러, 확실하게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누설 방지효과가 높아 지게 된다.
또한, 앞길(F)과 뒷길(B)과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에 있어서의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의 배치 간격, 즉 옆구리부 측면 가장자리(21, 22)의 탄성부재 배치 구간(BL)에 있어서의 배치 간격은, 가랑이 하부의 탄성부재 배치 구간(MB)에 있어서의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의 배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며, 또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 중, 가장 가랑이 하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6O)는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 접음 라인(CL)으로부터의 거리(BH)가 ±50mm 이내, 바람직하게는 35mm 이내가 되는 곡선형상을 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의 배치 간격을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와 가랑이 하부에서 균등 배치로 함으로써, 탄성력이 집중하지 않고 균등 밸런스로 외장 시트(20) 전체를 신체에 밀착시키게 됨과 아울러,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이 그리는 라인이 가랑이 하부 근방 영역을 우회하는 대파(大波)의 곡선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외장 시트(20)를 신체에 대하여 꼭 밀착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뒷길(B)측에 배치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은,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 접음 라인(CL)을 기준으로 앞길(F)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을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 접음 라인(CL)을 기준으로 앞길(F)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엉덩이부측에서 발생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없앰과 아울러, 외장 시트(20)의 헐거워짐을 없애서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
한편, 외장 시트(20)의 앞길에 있어서,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과는 별도로 배치된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도, 한쪽측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로부터 가랑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가랑이 하측을 우회해서 다른쪽측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에 도달함과 아울러,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도시예에서는 9개의 실형상 탄성부재이며, 이들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도, 종래의 다리둘레 탄성부재와는 배치형태가 다른 것이다. 즉, 2, 3개 정도의 탄성신축부재를 간격을 촘촘하게 해서 실질적으로 한 다발로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신축 존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7개 이상 배치된다.
이 배측 탄성부재군(28, 28…)의 시종단도, 앞길(F)과 뒷길(B)과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1)의 거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범위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접속되며, 흡수성 본체(10)의 측면 가장자리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과 흡수성 본체(10) 측면 가장자리와의 예각측 교차각(θ)이 30°이하, 바람직하게는 28°이하가 되는 배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도시예에서는 교차각(θ)이 26°전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차각(θ)은 수평방향 분력과 연직방향 분력의 밸런스에서, 적어도 2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에 대해서도, 흡수체(13)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극소화하고, 상기 가랑이 하부에서의 흡수체(13)의 오그라듬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랑이 하부의 우회부에 있어서, 거의 호상 곡선형상으로 방향 전환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1)에 있어서는, 신체의 앞쪽 부분에는 신체의 뒤쪽 엉덩이부와 같은 걸리는 곳이 되는 부푼 곳이 없기 때문에, 종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은 주로 앞길(F)측에서 현저하게 발생하는 경향에 있다고 하는 지견(知見)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꼭 끼는 경사각도로 탄성부재군(28, 28…)을 배치하도록 한 것이며, 도시예와 같이, 교차각(θ)=26°로 신축부재(28, 28…)가 배치되어 있다고 하면, 부여한 신축력의 90%를 상방향 분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어, 종이 기저귀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길(F)과 뒷길(B)과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에 있어서,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 중, 가장 웨이스트 개구부 근방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8i)는, 웨이스트부 탄성부재의 최하측 탄성부재(24O)로부터의 거리(SF)가 20mm 이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장착시에 착용자가 웨이스트부의 옆구리를 잡아서 상방으로 끌어올렸을 때,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의 탄성력에 의해 종이 기저귀의 앞길(F)측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쉬워지며, 입기 용이함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앞길(F)과 뒷길(B)과의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에 있어서의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의 배치 간격, 즉 옆구리부 측면 가장자리(21, 22)의 탄성부재 배치 구간(FL)에 있어서의 배치 간격은, 가랑이 하부의 탄성부재 배치 구간(MF)에 있어서의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의 배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며, 또한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 중, 가장 가랑이 하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8O)는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 접음 라인(CL)으로부터의 거리(FH)가 ± 50mm 이내, 바람직하게는 35mm 이내가 되는 곡선형상을 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의 배치 간격을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와 가랑이 하부에서 균등 배치로 함으로써, 탄성력이 집중하지 않고 균등 밸런스로 외장 시트(20)를 신체에 밀착시키게 됨과 아울러,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이 그리는 라인이 가랑이 하부 근방 영역을 우회하는 대파의 곡선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외장 시트(20)를 신체에 대하여 꼭 밀착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의 일부와,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의 일부는,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교차시킬 수도 있으나, 배측 만곡 탄성부재군(28, 28…) 중의 가장 가랑이 하측 탄성부재(28O)와, 뒷길(B)측에 배치된 등측 만곡 탄성부재군(26, 26…) 중의 가장 가랑이 하측 탄성부재(26O)가,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지 않고 근접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근접폭(FH-BH)은 10∼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만곡 탄성부재군(28…, 26…)에 의해 흡수성 본체(10)를 균등한 압력으로 신체측에 밀어붙여서 밀착시키기 때문에, 신체와의 틈새가 봉쇄되며, 높은 누설 방지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형태예에서는, 앞길(F) 및 뒷길(B)에 배치된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 및 만곡 탄성부재(26…, 28…)는, 흡수성 본체(10)상에 있어서도 연속시켜서 배치하도록 하였으나,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를 가로지르는 탄성부재를 절단하여, 불연속으로 해도 좋다. 탄성부재를 흡수성 본체상에서 불연속으로 함으로써, 흡수체(13)의 오그라듬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상에서 탄성부재가 절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허리둘레 탄성부재군(25, 25…) 및 만곡 탄성부재(26…, 28…)가 절단 전의 상태에서 상기 배치로 되어 있는 한, 상기의 작용효과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외장 시트(2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닙 롤러부(30)의 상측에 상층 부직포(20A)가 공급됨과 아울러, 하측에 하층 부직포(20B)가 공급되고, 또한 이들 상층 부직포(20A)와 하층 부직포(20B) 사이에, 각종 탄성부재(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허리둘레 탄성부재(25), 등측 만곡 탄성부재(26), 배측 탄성부재(28))가 공급되어, 외장 시트(20)가 연속적으로 조립된다.
여기에서,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24…) 및 허리둘레 탄성부재(25, 25…)는 라인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도입되는 데 비해서, 만곡 탄성부재(26…, 28…)는, 가이드(32)에 의해 곡선형상으로 구불구불 나아가면서 닙 롤러부(30)에 도입된다. 이 가이드(32)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즉, 가이드(32)는, 도 8∼도 1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분에 탄성신축부재(26…, 28…)의 가이드 통로(32X, 32X…)를 가지며,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CD방향(라인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 경우 연속 웨브(web)(시트(20A, 20B))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요동(왕복동)됨으로써, 탄성신축부재(26…, 28…)를 소정의 만곡형상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통로(32X, 32X…)는, CD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병설되어 있으며, 만곡 탄성부재(26…, 28…)의 하나 하나는 각 가이드 통로(32X, 32X…)를 통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만곡 탄성부재(26, 28)의 배치 간격은, 전체에 걸쳐, 즉 옆구리부 접합 가장자리(21, 22)여도 가랑이 하부여도 균등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32)의 선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에 부착된 상측 부분(32A)과, 이 상측 부분(32A)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된 하측 부분(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32A)에 있어서의 CD방향 양단부에는, 하측 부분(32B)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32S, 32S)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 부분(32B)의 일단부는 한쪽의 지지부(32S)에 대하여 링크축(32L)을 통해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하측 부분(32B)의 타단부는 다른쪽의 지지부(32S)에 대하여 착탈(着脫)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수단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부분(32B) 및 상측 부분(32A)에 의해 가이드 통로(32X)를 형성한 상태에서, 적어도 다른쪽의 지지부(32S)로부터 하측 부분(32B)의 타단부 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핀 끼움구멍(32h)과, 이 핀 끼움구멍(32h)에 꽂고 빼기 자유롭게 삽입되는 고정핀(32p)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핀(32p)이 지지부(32S)를 관통해서 하측 부분(32B)의 타단부 내에 삽입됨으로써, 하측 부분(32B)이 부착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떼어낼 때에는, 고정핀(32p)을 빼내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부분(32B)을 링크축(32L)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상측 부분(32A)과의 연결을 유지한 채 하측 부분(32B)을 상측 부분(32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러한 링크 구조를 대신해서, 상측 부분(32A)과 하측 부분(32B)을 나사 고정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고정하는 간소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32A) 및 하측 부분(32B)의 각 대향면에는, MD(라인 흐름방향)를 따라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관통하는 홈(32d, 32d…)이 CD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예에서는 9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부분(32A)의 홈(32d, 32d…)과 하측 부분(32B)의 홈(32d, 32d…)은, CD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32A)에 하측 부분(32B)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양자의 홈(32d, 32d…)이 합쳐져서 주위가 닫혀진 하나의 가이드 통로(32X, 32X…)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측 부분(32A) 및 하측 부분(32B)의 한쪽측, 예를 들면 상측 부분(32A)에만 홈을 형성하고, 다른쪽측은 단순한 뚜껑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 통로(32X)와 탄성부재(26, 28)와의 마찰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통로(32X)는 입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출구의 가장자리에 걸쳐 중간부가 팽출하는 원만한 곡면형상(32C)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곡면형상(32C)과 함께 또는 이것과는 별도로, 가이드 통로(32X) 내면에 불소 처리나 카나크(kanuc) 처리 등과 같이 마찰을 경감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32)의 요동에 의해, 가이드 통로(32X) 내면에 노출하는 상측 부분(32A)과 하측 부분(32B)과의 이음매(32J)에 탄성부재(26, 28)가 접촉하면, 탄성부재(26, 28)가 스쳐서 절단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32J)는 CD방향 양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통로(32X) 내의 CD방향 양측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도 15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가이드 통로(32X)가 MD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원구멍인 경우, 통로의 중심 둘레의 각도 범위가 CD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면 ±45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범위 내에 이음매(32J)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측 부분(32B)의 홈을 깊게 함과 아울러 상측 부분(32A)의 홈을 얕게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가이드(32)에서는, 탄성부재(26, 28)의 절단 등에 의해, 탄성부재(26, 28)를 새로이 가이드(32)에 통과시킬 때에, 하측 부분(32B)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떼어내고, 가이드 통로(32X)의 둘레면의 일부를 통로 전 길이에 걸쳐 개방한 상태에서, 이 개방부분으로부터 탄성부재(26, 28)를 가로방향으로 넣을 수 있다. 이러한 통로 길이방향을 따르는 면으로 분할할 수 있는 가이드(32)는 만곡 탄성부재(26…, 28…)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적으로 도입되는 탄성부재(24…, 25…)에 대해서도, 다시 말하면 가이드(32)를 요동시키지 않고 고정 배치로 해 두는 형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부 탄성부재(24) 및 허리둘레 탄성부재(25)의 시트에의 고착은, 둘레면 도포장치(31)에 의해 탄성부재(24…, 25…)의 둘레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고, 닙 롤러부(30)에 공급됨으로써 달성된다.
앞길의 허리둘레 탄성신축부재(25, 25…)와 뒷길 허리둘레 탄성신축부재(25, 25…) 사이의 중간 존(M)에 대해서는, 상층 부직포(20A), 하층 부직포(20B) 중의 적어도 한쪽측, 도시예에서는 하층측 부직포(20B)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라인의 열을 이루도록 코터(33)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 가 비드 도포되며, 만곡 탄성신축부재(26, 28…)는 중간 존(M)에 있어서, 하층 부직포(20B)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착된다.
만곡 탄성부재(26…, 28…)를 흡수성 본체(10)상에서 절단하여 불연속화하기 위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2-3502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178428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2-273808호 공보에 기재되는 절단방법이 매우 적합하게 채용된다. 동 공보에 기재되는 탄성신축부재의 절단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20)가 되는 적층 시트(20')를 제조한 후, 표면에 볼록부를 복수개 배열한 엠보스 히트롤(34)과, 이 엠보스 히트롤(34)과 대향하는 대향롤(35) 사이에 적층 시트(20')를 통과시키고, 이 적층 시트(20')의 만곡 탄성부재(26…, 28…)를 엠보스 히트롤(34)의 볼록부 및 대향롤(35) 사이에서의 가압 및 가열 중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절단하는 것이다. 또한, 도 7B 중의 X영역이 절단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Claims (4)

  1. 피부착 소재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탄성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탄성부재를, 반송라인상의 피부착 소재에 있어서의 부착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탄성부재의 부착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는, 제1의 부분과, 이 제1의 부분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된 제2의 부분을 가지며, 이들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 사이에, 주위가 닫혀진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부착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2의 부분과의 대향면, 및 제2의 부분에 있어서의 제1의 부분과의 대향면에, 둘레 가장자리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관통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홈이 합쳐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통로가 CD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CD방향으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통로 내면에 노출하는 제1의 부분과 제2의 부분과의 이음매가, 가이드 통로 내면에 있어서의 CD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KR1020077023583A 2005-03-31 2006-03-28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KR101253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3884A JP4397847B2 (ja) 2005-03-31 2005-03-31 吸収性物品における弾性部材の取付装置
JPJP-P-2005-00103884 2005-03-31
PCT/JP2006/306364 WO2006106696A1 (ja) 2005-03-31 2006-03-28 吸収性物品における弾性部材の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261A true KR20070118261A (ko) 2007-12-14
KR101253125B1 KR101253125B1 (ko) 2013-04-10

Family

ID=3707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583A KR101253125B1 (ko) 2005-03-31 2006-03-28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1802B2 (ko)
EP (1) EP1867311B1 (ko)
JP (1) JP4397847B2 (ko)
KR (1) KR101253125B1 (ko)
CN (1) CN101155565B (ko)
WO (1) WO2006106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3978A1 (ja) * 2006-03-31 2007-10-11 Daio Paper Corporation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カバー
KR101454048B1 (ko) 2007-02-28 2014-10-27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종이기저귀
DE102007063209A1 (de) 2007-12-20 2009-06-25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Inkontinenzartikeln in Höschenform
KR101918034B1 (ko) * 2010-09-16 2019-01-29 디에스지 테크놀러지 홀딩스 리미티드 탄성 분포를 갖는 물품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US9566193B2 (en) * 2011-02-25 2017-02-14 Curt G. Jo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disposable products at high speeds with small machine footprint
JP5946121B2 (ja) * 2011-12-27 2016-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DE102012208394A1 (de)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US9265672B2 (en) 2012-11-27 2016-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s in patterns to an advancing substrate
US9248054B2 (en) 2012-11-27 2016-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elastic laminates
US9295590B2 (en) * 2012-11-27 2016-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aterial to a moving substrate in a curved path
CN104814832B (zh) * 2015-04-20 2017-10-31 福建溢泰科技有限公司 S型橡筋摆机构
CA3000031C (en) 2015-10-13 2023-09-19 Curt G. Joa, Inc. Disposable produc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FI127034B (fi) * 2015-11-13 2017-10-13 Akaan Työvälinepalvelu Oy Menetelmä työkalun tai vastaavan esineen valmistamiseksi
WO2018213276A1 (en) 2017-05-17 2018-11-22 Berry Global, Inc. Elastic non-woven l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RU2734204C1 (ru) 2017-10-31 2020-10-13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Эластичные сло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с изогнутыми резинками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684522B2 (en) 2017-10-31 2023-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laminates with curved elastic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N108083019A (zh) * 2017-11-30 2018-05-29 四川泛华航空仪表电器有限公司 一种民用飞机燃油测量线束扭绞工装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51A (en) * 1887-11-15 Harness-board for jacquard looms
JPS5969358A (ja) * 1982-10-13 1984-04-19 Toray Ind Inc 糸道規制ガイド
JPS61206564U (ko) * 1985-06-17 1986-12-26
JP3007380B2 (ja) 1990-05-23 2000-02-07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紙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JPH06311999A (ja) * 1993-04-30 1994-11-08 Toyo Eizai Kk 弾性体の接着方法および接着装置
JP3581398B2 (ja) 1994-03-10 2004-10-27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おむつまたは使い捨てパンツ
JP3121205B2 (ja) 1994-06-06 2000-12-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H10211230A (ja) * 1997-01-29 1998-08-11 Toyo Eizai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装置
JPH1136103A (ja) 1997-07-17 1999-02-09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H11332913A (ja) 1998-05-28 1999-12-07 Daio Paper Corp パンツ型おむつにおける弾性部材取付方法および装置
US6287409B1 (en) * 1999-12-23 2001-09-11 Kimbere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aterial in a curvilinear pattern on a continuously moving substrate
JP2001181943A (ja) * 1999-12-24 2001-07-03 Yoshiyuki Asami 手織機
JP2001204762A (ja) 2000-01-28 2001-07-31 Crecia Corp 完全パンツタイプ紙おむつ
US6375769B1 (en) * 2000-08-15 2002-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applying curved leg elastics using pucks with curved surfaces
US6569275B1 (en) * 2000-08-15 2003-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optimizing tension in applying leg elastics
JP3705741B2 (ja) 2001-02-06 2005-10-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2003038565A (ja) 2001-05-23 2003-02-12 Zuiko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4205400B2 (ja) * 2002-11-12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生産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に弾性部材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7311A1 (en) 2007-12-19
KR101253125B1 (ko) 2013-04-10
US8261802B2 (en) 2012-09-11
JP4397847B2 (ja) 2010-01-13
EP1867311A4 (en) 2010-05-26
CN101155565A (zh) 2008-04-02
US20100230056A1 (en) 2010-09-16
WO2006106696A1 (ja) 2006-10-12
CN101155565B (zh) 2011-05-04
JP2006280581A (ja) 2006-10-19
EP1867311B1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125B1 (ko)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부착장치
KR101189435B1 (ko)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JP4594053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06004002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022107B2 (ja) パンツ型の紙おむつ
JP502491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49296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808504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7993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938986B2 (ja) トランクス型おむつ
WO2007037390A1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4731894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6198353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9405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5180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92236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55180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7229091A (ja) テープ式使い捨て紙おむつ
JP612020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16702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20230248587A1 (en) Under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4169492A1 (en) Boxer-shorts-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6204698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21112270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4028066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