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048B1 - 종이기저귀 - Google Patents

종이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48B1
KR101454048B1 KR1020097019405A KR20097019405A KR101454048B1 KR 101454048 B1 KR101454048 B1 KR 101454048B1 KR 1020097019405 A KR1020097019405 A KR 1020097019405A KR 20097019405 A KR20097019405 A KR 20097019405A KR 101454048 B1 KR101454048 B1 KR 10145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ide
elastic stretchable
main body
stretchable mem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344A (ko
Inventor
아키노리 후카에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381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540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50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4246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12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Abstract

등측외장시트의 둔부 커버부에서의 불룩해짐이나 말림을 방지한다. 배측외장시트(12F)와 등측외장시트(12B)가 사타구니측에서 연속하지 않고, 등측외장시트(12F)는 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본체부(13)와, 이 본체부(13)의 하측에 길게 나온 등쪽 연장부(14)로 되어 있고, 배측외장시트(12F)는 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되어 있고, 등쪽 연장부(14)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14M)와, 그 양측에 길게 나온 둔부 커버부(14C)를 갖고, 본체부(13)에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를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고정하고, 또한 둔부 커버부(14C)에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를 소정의 신장률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고정함과 동시에, 배측외장시트(12F)의 하단부에 강한 수축력을 발휘하는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를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고정하고, 접합부(12A)의 하단부에서의 배측·등측 사이의 수축력을 균형잡히게 한다.
등측외장시트, 배측외장시트, 흡수성 본체, 둔부 커버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팬티형 종이 기저귀

Description

종이기저귀{PAPER DIAPER}
본 발명은, 외장시트가 배쪽 및 등쪽의 2개로 분할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팬티형 종이 기저귀는, 전신(前身)의 양측부와 후신(後身)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허리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된 외장시트와, 그 내면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서 배쪽에서 사타구니를 따라 등쪽까지의 범위에 고정된 흡수성 본체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장착자의 양 다리를 허리 개구부를 통해 다리 개구부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적인 외장시트를 사용하는 종류에 대해, 최근, 외장시트를 배쪽 및 등쪽 두개로 분할한 2분할 타입이라고도 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2분할 타입은, 제조 시 다리 개구부의 구멍을 뚫을 때 트림(trim;여분의 폐기 부분)이 적다거나, 배측외장시트 및 등측외장시트의 각 소재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2분할 타입에서는 트림(trim)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엉덩이 부분(둔부)의 양측을 덮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외관 및 장착감이 악화 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등측외장시트에 대해서는,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의 하측에,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에 길게 나온 둔부 커버부를 갖는 등쪽 연장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등쪽 연장부에 있어서의 둔부 커버부는, 그대로는 불룩해지거나 말리거나 하여, 모양이 나빠지기 때문에, 둔부 커버부에, 실 고무 등의 세장(細長)형 탄성신축부재를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에 따라서 신장(伸張)한 상태로, 고정한 기저귀를 개발하였다.
특허 문헌1: 특개 2005-027839호 공보
그러나, 둔부 커버부의 불룩해지거나 말림(이하, 간단히 피트성이라고 한다)은, 단순히 둔부 커버부에 실 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를 신장(伸張)하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는,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둔부 커버부의 피트성을 향상하는 것에 있다.
상기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쪽을 덮는 배측외장시트와, 등쪽을 덮는 등측외장시트로 되어 있고,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와 등측 외장시트의 폭방향의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어 형성된 통모양의 허리둘레부와,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후단부(後端部)가 상기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며, 또한, 등쪽에서 사타구니부를 따라 배쪽까지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와 등측외장시트가 사타구니측에서 연속하지 않고, 이간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등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와 이 등쪽 본체부의 하측에 연장하는 등쪽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이 등쪽 연장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연장한 둔부 커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하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 중에서,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중간부 및 하단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설치되고, 또한 상기 등쪽 연장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만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오는 부분으로서, 탄성신축부재를 가지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된 것이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배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하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 중에서,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중간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설치되고, 또한 하단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4 세장형 탄성신축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에 있어서의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소재의 종류, 및 상하방향 배치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발명자들은, 둔부 커버부의 피트성에 대해 깊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知見)을 얻었다. 즉, 종래의 기저귀에서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시에 등측외장시트 (12B) 및 배측외장시트 (12F)의 접합부 (12A)가 하단 측으로 갈 수록 등쪽으로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엇갈림의 원인으로, 둔부 커버부에서의 불룩해짐이나 말림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더욱 연구한 결과, 이러한 현상은, 기저귀 각부에서의 신축 특성이 밀접하게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고, 그 주요인은, 둔부 커버부에 설치한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접합부를 경계로 한 배쪽·등쪽 사이의 수축력 밸런스가 무너져, 접합부의 하단 측으로 갈 수록 등쪽으로의 수축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제1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된 것으로,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가 되도록,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있어서의 갯수, 굵기, 신장율, 간격, 소재의 종류, 및 상하 방향 배치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2분할 타입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둔부 커버부에 있어서 말려올라감이나 불룩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합부 경사 시험은 다음과 같이 접합부의 경사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우선, 도 12(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종이 기저귀로부터 흡수성 본체를 없앤 허리둘레부(12) 만을 공시체(供試)로 제작하고, 이 공시체 (12)를, 배측외장시트(12F)의 제품 폭방향의 중앙선 및 등측외장시트 (12B)의 제품 폭방향의 중앙선을 절선(折線)으로 해서, 각각 내면끼리 겹치도록 접어, 양쪽 접합부 (12A)의 기단선(基端線)(L1)(접합부 12A의 폭방향 중앙 측의 끝 테두리)을 겹치도록 한다. 다음에, 이 접은 상태의 공시체 (12)를, 한 쪽의 절선으로부터 접합부 측에 10mm의 범위를 제품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 시험기의 한 쪽 지퍼 (C1)에 끼우고, 다른 쪽의 절선으로부터 접합부 측에 10mm의 범위를 제품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 시험기의 다른 쪽 지퍼 (C2)에 끼워, 화살표로 나타낸 제품 전후방향에 따라 인장 시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공시체 (12)를 끌어당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축시킨 상태에서의 지퍼 간 거리(자연 수축시 길이)를 A로 하고,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이 없는 상태까지 끌어 당겼을 때의 지퍼간 거리(최대 신장시 거리)를 B로 했을 때의,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퍼간 거리가 (A+B) / 2가 되도록 끌어 당겼을 때의, 제품 상하 방향에 대한 접합부 기단선(L1)의 상하단을 잇는 가상선(L2)의 경사각도(θ)를 분도기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이것을 접합부 경사 각도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의 수축력은,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축부재의 한 개당 수축력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하고,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 수축력은,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 수축력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강한 청구항 1 기재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은,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20도 이하로 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항 기재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수축력이 허리둘레 방향에서의 균형을 잡아, 접합부 하측 부분 등쪽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상기 외장시트의 각 부분의 일정 폭당의 수축력이, 배쪽 본체부의 하단부 ≥ 등쪽 본체부의 중간부 > 배쪽 본체부의 중간부 ≥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 및 등쪽 연장부, 의 관계를 갖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은,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20도 이하로 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외장 시트의 상하 방향 전체에서의 수축력의 밸런스가 맞기 때문에, 한층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배쪽 본체부만으로 된 것이고,
상기 등측외장시트 및 배측외장시트는, 평량이 10~30g/㎡인 부직포를 2매 접합시켜서 된 것이며,
상기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의 하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30~100mm로 동일하고,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의 길이가 80~160mm이며, 상기 둔부 커버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30~80mm이며,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중 상기 하단부에 배치된 것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2~15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200~350%, 간격은 1~15mm로 되어 있고,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고, 또한 그 개수는 1~8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50%, 간격은 1~30mm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2~1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5~40mm로 되어 있는, 청구항 1 ~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은,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20도 이하로 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항 기재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수축력이 허리둘레 방향에 대한 균형을 잡아, 접합부 하측 부분의 등쪽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상기 등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15~80mm로 같고,
상기 등쪽 본체부 중간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중간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30~100mm로 같으며,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3~22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400%, 간격은 4~12mm로 되어있고,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중 상기 중간부에 배치된 것 및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부터 되는 실 고무이며, 또한 개수는 3 ~15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1~15mm로 되어 있는, 청구항 4 기재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특히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접합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서의 수축력 밸런스가 뛰어나기 때문에, 한층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가, 사타구니 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흡수성 본체 측에 가까워지도록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해 상기 둔부 커버부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상기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약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둔부를 보기 좋게 덮는 것을 고려하면,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가, 사타구니 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흡수성 본체 측에 가까워지도록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해 상기 둔부 커버부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상하 방향에 일률적으로 설정된 것에서는, 둔부 커버의 상단측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축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하단측이 과도하게 수축하기 쉬워지게 되고, 반대로 하단 측의 수축이 적절히 되도록 수축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단측이 말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접합부의 등쪽으로의 엇갈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항 기재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의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아래쪽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청구항 1 ~ 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 기재와 같이, 등측외장시트에서의 접합부 하단 부근의 특정 범위 내에, 제1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범위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에 불룩해지거나 말림을 일으키도록 작용하지 않게 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굵기, 간격 및 소재가 모두 같고,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1~30%/mm의 저하폭(低下幅)으로, 신장율이 낮아지고 있거나, 또는 신장율, 간격 및 소재가 모두 같고,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5~150dtex/mm의 저하폭으로 굵기가 가늘지고 있는 청구항 7 기재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둔부 커버부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워 짐에 따라 약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수축력 저하폭이 너무 작으면 효과가 부족해질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역효과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항 기재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쪽을 덮는 배측외장시트와 등쪽을 덮는 등측외장시트로 되고,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와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어 형성된 통 형상의 허리둘레부와, 전단부가 상기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됨과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고, 또한 등쪽에서 사타구니부를 따라 배쪽까지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와 등측 외장시트가 사타구니측으로 연속하지 않고, 이간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등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와 이 등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온 등쪽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이 등쪽 연장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길게 나온 둔부 커버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등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및 이것보다도 하측의 하측부분 중, 상단부에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가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하측부분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만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그 배쪽 본체부 하측에 길게 나온 부분으로서, 탄성신축부재를 가지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된 것이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배쪽 본체부에서의 상하방향의 상단부 및 이것보다도 하측의 하측 부분 중에,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하측부분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아래쪽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본 발명자들은, 깊이 연구한 결과, 둔부 커버부에서의 피트성은 둔부 커버부와 그 근방에서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배치와 각각의 장력조절에 의해 좀 더 개량할 수 있다는 지견도 얻었다. 즉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거나. 하측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거나 하면, 이러한 범위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범위내의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를 개재하여, 둔부 커버부에 불룩해지거나 말림을 일으키도록 작용한 것이 원인이었다.
제2 발명은 이러한 지견을 근거로 한 것으로,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하측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등측외장시트에서의 접합부 하단 근방의 특정 범위 내에,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범위 밖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에 불룩해지거나 말림을 일으키도록 작용하지 않게 된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배쪽 본체부 만으로 되는 것이고,
상기 등측외장시트 및 배측외장시트는, 평량이 10~30g/㎡인 부직포를 2매 접합시켜서 되는 것이고,
상기 등쪽 본체부 하측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하측 부분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35~220 mm로 같고,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 길이가 80~160mm이며, 상기 둔부 커버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30~80mm이며,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5~3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200~350%, 간격은 1~15mm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2~10개, 굵기는 155~1880 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5~40 mm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4~3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3~8mm로 되어 있고,
상기 등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15~80mm로 같고,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3~22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400%, 간격은 4~12mm로 되어 있는 청구항 9 기재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효과)
제2 발명은, 본 항 기재와 같은 각 부의 치수 및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둔부 커버부에서의 피트성이 향상하는 등의 이점을 가져오게 된다.
[도1] 제1 실시형태의 내면을 나타내는 전개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2] 도 1의 2-2 단면도이다.
[도3]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4] 제1 실시형태의 제품상태의 정면도이다.
[도5] 제1 실시형태의 제품상태의 배면도이다.
[도6]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 제1 실시형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9] 비교 예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0] 실시 예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구성, 장착상태에서의 접합부의 위치, 및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11] 비교 예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구성, 장착상태에서의 접합부의 위치, 및 접합부 경사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12] 접합부 경사 시험의 시험요령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3] 제2 실시형태의 내면을 나타내는 전개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14] 도 13의 4-4 단면도이다.
[도15] 제2 실시형태의 제품상태의 정면도이다.
[도16] 제2 실시형태의 제품상태의 배면도이다.。
[도17] 제2 실시형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8] 비교 예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흡수성 본체,
12…외장시트,
12F…배측 외장시트,
12B…등측 외장시트,
13…등쪽 본체부,
14…등쪽 연장부,
15…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16…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따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く제1 실시형태>
도 1 ~ 도 5는, 제1 발명에 관한 팬티형 종이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부호에서, 「전후방향」이란, 배쪽과 등쪽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 방향」이란 허리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꿔 말하면 허리 개구부(WO)측과 사타구니부측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팬티형 종이 기저귀(10)는,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측을 덮는 배측외장시트 (12F)와 등쪽을 덮는 등측외장시트(12B)를 가지고 있고, 배측외장시트(12F)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12A)와 등측외장시트(12B)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12A)가, 히트 실(heat seal)이나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된 통 형상의 허리둘레부(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圖示) 형태와 같이, 등측외장시 트(12B)가 접합부 (12A)보다도 하측으로 길게 나와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까지를 포함한 상하 방향 범위에 일체적으로 히트 실 등의 가공을 한 연장 용착부을 설치할 수 있다. 연장 용착부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등쪽 연장부(14)의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협부(脇部)의 찢기 쉬움을 고려하여, 접합부(12A)는 작은 용착부의 집합으로 되고, 접합부(12A)에서의 용착면적의 비율이 낮은 접합 패턴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장 용착부에서는 찢기 쉬움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착패턴은 접합부(12A)보다도 용착면적의 비율을 높게함으로써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확실히 용착 고정되도록 해도 좋다.
또, 연장 용착부는 둔부 커버부(14C)의 가장자리부를 구부린 라인으로 용착해서, 둔부 커버부(14C)의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인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허리둘레부(12)에서의 배측외장시트(12F)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가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등측외장시트(12B)의 폭 방향 중앙부 내면에 흡수성 본체(20)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배측외장시트(12F)와 등측외장시트(12B)가 사타구니측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간되어 있다. 이 이간 거리(Y)는 150~250mm정도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리둘레부(12)의 상부 개구는, 장착자의 몸통을 지나는 허리 개구부(WO)가 되고,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허리둘레부(12)의 아래 테두리 및 흡수성 본체(20)의 측 테두리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부분이 다리가 지나는 다리 개구부(LO)가 된다. 각 접합부(12A)를 벗겨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상을 이룬다.
흡수성 본체(20)는 등쪽에서 사타구니부를 지나 배쪽까지 덮도록 늘어서 있는 것으로, 배설물을 받아 들여 액분을 흡수해 보유하는 부분이며, 허리둘레부(12)는 흡수성 본체(20)를 장착자에 대해서 지지하는 부분이다.
(외장시트)
배측외장시트(12F) 및 등측외장시트(12B)는,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시트(Sl, S2)를 2매 접합하고, 허리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두 시트(Sl, S2) 사이에 실 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18, 19T, 19U)가 소정의 신장율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그 평량은 10~30g/㎡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가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두 종류 이상이 사용된 혼합섬유, 복합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게다가 부직포는, 어떤 가공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통기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18, 19T, 19U)로서는, 합성고무를 사용해도 좋고, 천연고무를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특징적으로는 외장시트(12)의 배쪽·등쪽 사이의 접합부를 경계로 한 폭방향의 수축력의 밸런스가 갖추어져,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가 20이하, 특히 바람직한 것은 10도 이하, 더욱 바람직한 것은 5도 이하가 되도록,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소재의 종류 및 배치가 정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측외장시트(12B)는, 접합부(12A)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13)와 이 등쪽 본체부(13)의 하측으로 길게 나와있는 등쪽 연장부 (14)를 가지고 있다. 등쪽 연장부(14)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 방향 중앙부(14M)와 그 양측에 연장한 둔부 커버부(14C)를 가지고 있다.
등쪽 연장부(14)의 형상은 적당히 정할 수 있지만. 도시 예에서는, 등쪽 연장부 (14)의 상단부는 등쪽 본체부(13)와 같은 폭으로 등쪽 본체부(13)의 하측에 길게 나와 있고, 그 하측은 사타구니측에 가까워 짐에 따라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등쪽 본체부(13)와 같은 폭의 부분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가, 사타구니 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흡수성 본체(20) 쪽에 가까워지는 듯한 직선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게 되어, 둔부를 가리기 쉬운 형상이 된다. 등쪽 연장부(14)의 치수는 적당히 정할 수 있지만, 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길이(14x)(둔부 커버부(14C)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14e)와 흡수성 본체(20)의 측면 테두리와의 폭 방향의 최대 이간 거리)가 80~160mm이고, 둔부 커버부(14C)의 상하 방향의 길이(14y)(연장 길이)가 30~80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등쪽 연장부(14)의 폭 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 와 상하 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에 의해 정해지는 사각형의 면적을 S라고 하면, 등쪽 연장부(14)의 면적은 S에 대해서 20~80%, 특히 40~60% 정도이면, 둔부의 외관 및 장착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등쪽 본체부(1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념적으로 상단부(허리부)(W)와, 하단부(U)와, 이들 사이의 중간부(M)로 나눌 수 있고, 그 범위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단부(W)의 상하 방향 길이는 15~80mm, 하단부(U)의 상하 방향 길이는 30~100mm, 중간부(M)의 상하 방향 길이는 30~100mm로 할 수 있다. 한편 상단부(W)와 중간부(M)와의 사이에, 또는 중간부(M)와 하단부(U)와의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정해지지 않는(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굵기. 신장율, 간격, 소재의 종류 및 상하방향 또는 폭방향의 배치형태 등에 의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는)경우에는, 하단부(Z)는 상측부분(W)과 같은 상하 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측부분(W)은 상단으로부터 30mm의 범위로 한다.
등쪽 본체부(13)의 상단부(허리부)(W)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복수의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 중, 등쪽 본체부(13)의 중간부(M)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열 설치되는 한개 또는 복수 개에 대해서는, 흡수체(20)와 겹쳐 있어도 좋다. 이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정도)의 실 고무를 4~12mm의 간격으로 3~22개 정도, 각각의 신장율 150~400%, 특히 220~32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는, 그 전부가 똑같은 굵기와 신장율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허리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신축부재의 굵기와 신장율을 달리하여도 좋다
또, 등쪽 본체부(13)의 중간부(M) 및 하단부(U)에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의 상하방향 배열설치의 범위는, 등쪽 본체부(13)의 일부로 해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 dtex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 05~1. 5㎟, 특히 0. 1~1.0㎟ 정도)의 실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15)는, 중간부(M)에서는 신장율 150~300%, 특히 220~280% 정도로, 1~15㎜의 간격으로 3~15개 정도, 하단부(U)에서는 신장율 200~350%, 특히 240~300% 정도로, 1~15㎜의 간격으로 2~15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연장부(14)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적어도 둔부 커버부(14C)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 어 있다.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상하방향 배열설치 범위는 배쪽 연장부(14)의 일부로 해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 고무를, 5~40㎜, 특히 5~20㎜의 간격으로 2~10개 정도, 신장율 150~300%, 특히 180~260%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특히, 제2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16)는, 한 개당의 수축력으로 비교하였을 때, 제1 세장형 탄성신축 부재(15)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한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굵기를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해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신장율을 제 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보다도 낮게 하거나, 반대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신장율을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해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굵기를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보다도 가늘게 하든가 할 수 있다. 또 이 밖에도, 개수, 간격, 소재의 종류 또는 상하방향 배치의 차이에 따라, 수축력에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
특히, 각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의한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14 C)의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약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 중, 둔부 커버부(14C)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신장율을 저하시킨다, 굵기를 가늘게 한다, 간격을 넓힌다, 신축력이 약한 소재를 사용한다, 또는 이들의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굵기, 간격 및 소재를 모두 동일하게 해서 신장율을 저하시키는 경우, 그 저하 폭(상하방향으로 위치가 1㎜ 엇갈릴 때마다 저하하는 폭)은, 예를 들면 1~30%/㎜ 정도, 바람직한 것은 1~10%/㎜ 정도로 할 수 있다. 신장율, 간격 및 소재를 모두 동일하게 하여 굵기를 저하시키는 경우, 그 저하폭(상하방향의 위치가 1㎜ 엇갈릴 때마다 저하하는 폭)은, 예를 들면 5~150dtex/㎜ 정도, 바람직한 것은 5~50dtex/㎜ 정도로 할 수 있다.
한편, 배측외장시트(12F)와 등측외장시트(12B)의 등쪽 본체부(13)와 기본적으로 같은 형태의 배쪽 본체부(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측외장시트(12F)는, 허리둘레 방향을 따라 늘어선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등측외장시트(12B)와 같은 등쪽 연장부(14)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방향의 상단부(W), 중간부(M) 및 하단부(U)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상단부(W), 중간부(M) 및 하단부(U)의 상하방향 길이는 등측외장시트(12B)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수축력 밸런스가 발휘되는 범위 내라면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배측외장시트(12F)에 있어서도, 하측 부분(U)을 구성하는 중간부(M)와 하단부(Z)의 명확한 경계가 정해지지 않는(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굵기, 신장율, 간격, 소재의 종류, 및 상하 방향 또는 폭방향의 배치 형태 등에 의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단부(Z)는 상측 부분(W)과 같은 상하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측부분(W)은 상단으로부터 30㎜의 범위로 한다.
즉, 배측외장시트(배쪽 본체부)(12F)의 상단부(허리부)(W)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배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8)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배측외장시트(12F)에서의 배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8)는, 등측외장시트(12B)에서의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에 대해서,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까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수축력 밸런스가 발휘되는 범위 내라면 어느 정도까지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개수의 차이는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 굵기의 차이는 1880dtex이하, 바람직하게는 470dtex이하, 신장율의 차이는 100%이하, 바람직한 것은 40%이하, 간격의 차이는 10㎜이하, 바람직하게는 5㎜이하이다.
또, 배측외장시트(배쪽 본체부)(12F)의 중간부(M)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T)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T)의 상하방향 배열설치 범위는, 중간부(M)의 일부로 해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T)로서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중 중간부(M)에 배치된 것과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 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수축력 밸런스가 발휘되는 범위 내라면 어느 정도까지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수의 차이는 10개 이하, 바람직한 것은 5개 이하, 굵기의 차이는 1880dtex 이하, 바람직한 것은 470dtex이하, 신장율의 차이는100% 이하, 바람직한 것은 40% 이하, 간격의 차이는 10㎜이하, 바람직한 것은 5㎜이하이다.
또한 배측외장시트(12F)(배쪽 본체부)의 하단부(U)에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 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의 상하 방향 배열설치 범위는, 하단부(U)의 일부로 하여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로서는, 개수, 간격, 및 상하 방향 배치에 대해서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중 하단부(U)에 배치된 것에 대해서 가능한 한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수축력 밸런스가 발휘되는 범위 내라면 어느 정도까지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수의 차이는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 간격의 차이는 10㎜이하, 바람직하게는 5㎜이하이다.
또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는, 굵기는 155~1880dtex, 특히, 470 ~ 1240dtex 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특히 0.1~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장율은 150~350%, 특히 220~3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는, 한 개당의 수축력으로 비교하였을 때,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T)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강한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4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19U)의 굵기를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8)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굵게 하고,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의 신장율을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8)보다도 높게 하거나, 반대로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의 신장율을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8)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높게 하고,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U)의 굵기를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8)보다도 굵게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이 밖에도, 개수, 간격, 소재의 종류 또는 상하 방향 배치의 차이에 의해, 수축력에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분할 타입에서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또 둔부 커버부(14C)에서의 말려올라감이나 불룩해짐을 억제하면서도, 배측외장시트(12F)의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력과 등측외장시트(12B)의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접합부(12A)를 경계로 하여 균형을 이루고, 접합부 경사 각도(θ1)가 20도 이하가 되는, 즉, 사용 시에 있어서, 접합부(12A)가 하단 측으로 갈 수록 등쪽으로 엇갈리는 현상(도 9 참조)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 결과, 둔부 커버부(14C)에서의 말려올라감이나, 불룩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정 폭당의 수축력으로 비교하였을 때, 외장시트(12)의 각 부분의 수축력은 배측 본체부의 하단부 ≥ 등측 본체부의 중간부 > 배측 본체부의 중간부 ≥ 등측 본체부의 하단부 및 등측 연장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장시트(12)의 각 부의 수축력은 제1, 제2, 제3 및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16, 19T, 19U)의 굵기, 신장율, 개수, 간격, 소재의 종류 또는 상하 방향 배치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쪽 본체부 중간부의 수축력이,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 및 등쪽 연장부의 수축력보다도 강하다는 것은 그 양쪽보다도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단순히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 및 등쪽 연장부의 수축력의 평균보다 강하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정폭 당의 수축력이란 시트를 제품 폭 방향으로 끌어당겼을 때 시트의 일정폭(상하 방향 폭)에 걸리는 응력(단위 상하 방향 폭 당의 수축력)이며,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즉 우선, 외장시트(12)에서 측정하고 싶은 영역을 잘라내서 공시체로 하고, 이 공시체의 제품 폭방향의 한 쪽의 단부(端部)를 인장시험기의 한쪽의 지퍼(C1)에 끼우고, 다른 쪽의 단부를 다른 쪽 지퍼(C2)에 끼워, 제품 폭방향을 따라서 인장시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공시체를 끌어 당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축시킨 상태에서의 지퍼간 거리(자연 수축시 길이)를 A로 하고, 탄성신축부재에 의한 수축이 없는 상태까지 끌어당겼을 때의 지퍼간 거리(최대 신장시 길이)를 B로 했을 때, 지퍼간 거리가 (A+B)/2가 되도록 끌어당겼을 때의 지퍼 사이에 걸리는 응력을 계측하고, 이것을 공시체의 상하 방향폭으로 나눈 것을 수축력(N/10 mm)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등쪽 연장부(14)의 수축력이란, 등쪽 연장부(14) 전체를 공시체로 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 계측한 응력을 등쪽 연장부(14)의 상하 방향폭으로 나눈 것이지만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를 갖는 부분이 배측 연장부(14)의 일부인 경우라도, 배쪽 연장부(14)의 수축력은 상기와 같이 구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및 16)가,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폭방향 양측에만 탄성신축부재가 존재하는 형태 이외에, 흡수성 본체(2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한쪽 편에서 다른 편까지 탄성신축부재가 존재하고 있지만,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탄성신축부재가 절단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실질적으로는, 탄성신축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과 같다) 구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배쪽 본체부(13) 및 배쪽 연장부(14)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신축력이 작용하도록,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16)를, 흡수성 본체(20)를 가로질러 그 폭방향 한쪽 편에서 다른 편까지 설치할 수도 있다.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와 같이 측테두리의 접합부(12A)에 의해 시트에 용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특히 본원과 같이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보다도 신장율을 높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인입 방지 조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접합부(12A)로부터 길게 나오는 연장 용착부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한 수단의 하나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와 시트(Sl, S2)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접착제를 직접 도포하는 것으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접착제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신축부의 촉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낸 용착에 의한 고정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절단 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 중앙부에서의 단부(端部)에도, 마찬가지의 인입 방지 조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단부를 용착하는 경우에는,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2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16)를 종단하도록 배치되는 거의 직선 형상의 용착선에 의해,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와 부직포(Sl, S2)를 용착 고정하면 좋다. 또, 이들 인입 방지 조치는 서로 조합시켜도 좋다.
(용착에 의한 탄성신축부재의 고정 방법)
도 6은、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배측외장시트(12F) 및 / 또는 등측외장시트(12B)를 구성하는 시트(S1, S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용착됨으로써,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시트(S1, S2)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 부호 M은 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N은 비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기성이나 부드러움이 확보된 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 다.
용착은,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나 시트(Sl, S2) 주변부에 주는 열 및 압력의 영향이 열용착보다도 초음파용착쪽이 적기 때문에, 초음파용착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또, 도 7은,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양단부와, 시트(Sl, S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용착 되는 것에 의해,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시트(Sl, S2)와의 마찰력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단부의 접착력에 의해서 시트(Sl, S2)에 고정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부호 M은 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N은 비용착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시트(Sl, S2)와의 마찰력에 더해져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단부의 접착력에 의해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접착은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단부(端部)만을 위한 것으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열화나 절단의 우려는 없다.
또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시트(Sl, S2)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는 구조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폭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내측 층과 외측 층을 간헐적으로 용착해,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를 시트(Sl, S2)에 고정하는 것으로, 그 후에 부하(負荷)를 없애면,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단면 외경이 커져, 시트(Sl, S2)와의 용착부분에 의해 제2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16)의 폭방향을 양측부로부터 끼우도록 압압력(押壓力)이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를 접착제로 고정하지 않고, 시트(Sl, S2)와의 마찰력만으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고정되는 것이다.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20)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나, 도시(圖示)의 형태에서는 장방형이다. 흡수성 본체(20)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사용면 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액을 투과시키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된 탑시트(30)와 흡수요소(50)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경우 흡수요소(50)의 이면 측에는 플라스틱 등으로 된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 시트(70)가 설치된다.
이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이면 측에는 흡수성 본체(20)의 이면 전체를 덮도록, 또는 배측외장시트(12F)와 등측외장시트(12B)와의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 전체를 덮도록,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로는 배측외장시트(12F) 및 등측외장시트(12B)와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탑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요소(50)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탑시트(30)와 흡수요소(50)와의 사이에 중간시트(세컨드시트)(4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흡수부(20)의 양 옆으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부(20)의 양측에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barrier cuffs)(60、60)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흡수성 본체(20)의 각 구성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베타, 비드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에 의해 서로 고정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메커니컬 패스너(Mechanical Fastener)나 점착재를 사용하여 외장시트(20)에 대해 탈착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탑시트)
탑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탑시트(30)의 소재는 이 액투과성을 발현하는 것이라면 충분하며, 예를 들어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부직포나 다공성(多孔性)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 가운데 부직포는 그 원료섬유가 무엇인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두 종류 이상이 사용된 혼합섬유, 복합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라도 좋다. 가공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통기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주름장식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스판본드법, 스판레이스법이,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통기법, 포인드본드법, 서멀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방법이 된다.
또, 탑시트(30)는 한 장의 시트로 된 것이라도, 두 장 이상의 시트를 붙여서 얻은 적층시트로 된 것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탑시트(30)는 평면방향에 관해서는 한 장의 시트로 된 것이라도, 두 장 이상의 시트로 된 것이라도 좋다.
(중간시트)
탑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탑시트(30)보다 액의 투과속도가 빠른, 통상「세컨드시트」라고 불리는 중간시트(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중간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되돌아옴」현상을 방지하고, 탑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중간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시트(40)로서는 탑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판레이스, 펄프부직포, 펄프와 레이온과의 혼합시트, 포인트본드 또는 크레이프(crape)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통기성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도시의 형태의 중간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다. 중간시트(40)의 긴 방향 길이는 흡수체(56)의 길이와 동일해도 좋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이어도 좋다.
중간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의 투과성이 우수한 부직포이다.
(액불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70)는 단순히 흡수체(56)의 이면 측에 배치된 시트를 의미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탑시트(30)와의 사이에 흡수체(56)를 개재시킨 시트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액불투과성 시트는 그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필름과 부직포로 액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된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최근 물기가 많아 흐물흐물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즐겨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이면서 또한 투습성을 갖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과 함께 투습성을 가진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충전제를 혼련(混練)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일축(一軸) 또는 이축(二軸)방향으로 길게 늘려 얻어진 미세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데니어(Micro denier)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한 방루성(防漏性) 강화, 고흡수성수지 또는 소수성(疎水性)수지와 발수제의 도공(塗工)이라고 하는 방법에 의해 방수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액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불투과성시트(7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70)는, 말하자면 액면 감기 형태로 사용면에 늘어서게함(도시하지 않음)으로써 액의 횡누출을 방지할 수 있지만, 실시의 형태에서는 횡누출에 대해서는,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이중의 배리어 커프스(64) 사이에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킴으로써 방지하고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까지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가 늘어서 있기 때문에, 탑시트(30)를 통해서 옆으로 확산한 액이나 배리어 커프스(60、60) 사이의 묽은 대변의 횡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액불투과성 시트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인쇄나 착색에 의한 디자인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외측에 사타구니부 외장시트와는 별개의 부 재(部材)의 인쇄 또는 착색을 실시한 디자인 시트를 붙여도 좋다. 또한, 액불투과성 시트의 내측에 배뇨를 시각적 변화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추어도 좋다.
(배리어 커프스(barrier cuffs))
제품의 양측에 설치된 배리어 커프스 60, 60)는 탑시트(30) 위를 통해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이나 묽은 대변을 저지하고 횡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지만, 부가적인 요소이다.
도시하는 배리어 커프스(60)는 발수성부직포 시트를 이중으로 한 것으로, 흡수체(56)의 이면 측에서 탑시트(30)의 아래쪽으로의 접어 넣는 부분을 덮어, 표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탑시트(30) 위를 통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을 저지하기 위해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이중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키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중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측부를 삽입해 표면 측에 돌출하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도중까지 늘어서게 하여도 좋다.
또, 배리어 커프스(60) 자체의 형상은 적당히 설계 가능하지만 도시의 예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부의 선단부 및 중간부에 탄성신축부재, 예를 들면 실 고무(62)가 신장 하(下)에서 고정되어, 사용 상태에 있어서 그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부의 실 고무(62)가 선단부의 실고무(62, 62)보다도 중앙 측에 위치하여 탑시트(30)의 전후단부에 고정되는 관계로, 도 2와 같이 배리어 커프스(60)의 바닥측은 중앙 측을 향해 비스듬이 기립하 여, 중간부보다 선단부는 외측에 비스듬이 기립하는 형태가 된다.
(흡수요소)
흡수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적어도 이면 및 측면을 감싸는 포피(包被)시트(58)를 갖는다. 포피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 형태에서는 흡수체(56)와 포피시트(58)의 이면측 부위(하측의 부분)와의 사이에 보유시트(8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보유시트(8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면 형태의 펄프 등의 섬유를 적층한 것 외에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로 된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는 토우(tow)(섬유 다발)를 풀어 얻을 수 있다. 토우의 구성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스, 셀룰로스에스테르, 키친、키토산 등)、합성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폴리락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셀룰로스에스테르 및 셀룰로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스로는 면, 린터(linter), 목재펄프 등 식물체에서 나오는 셀룰로스나 박테리아 셀룰로스 등을 사용 할 수 있고 ,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스라도 좋고, 재생 셀룰로스는 방사된 섬유라도 좋다.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는 셀룰로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부틸레이트,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에스테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 트푸탈레이트, 질산초산셀룰로스 등의 혼산(混酸)에스테르; 및 폴리카브로락톤그래프트화셀룰로스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스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셀룰로스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두 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가능하다.
셀룰로스에스테르의 점도 평균중합도는 예를 들면 50~900,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이다. 셀룰로스에스테르의 평균치환도는 예를 들어 1.5~3.0(예를 들어 2~3) 정도이다.
셀룰로스에스테르의 평균중합도는, 예를 들면 10~1000, 바람직하게는 5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로 할 수 있고, 셀룰로스에스테르의 평균치환도는 예를 들면 1~3정도, 바람직하게는 1~2.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0 정도로 할 수 있다. 셀룰로스에스테르의 평균치환도는 생분해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스에스테르로서는 유기산에스테르(예를 들어 탄소수 2~4 정도의 유기산인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스아세테이트가 적합하다.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의 초화도(酢化度)는 43~62% 정도인 경우가 많지만, 특히 30~50% 정도이면 생분해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스에스테르는 셀룰로스디아세테이트이다.
토우 구성섬유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열안정화제, 착색제, 유제, 수율향상제, 백색도 개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마 구성섬유의 섬도는 예를 들어 1~16 데니어, 바람직한 수치는 1~10 데니어, 더욱 바람직한 것은 1~6 데니어가 바람직하다. 토우 구성섬유는 비권축섬유(非 捲縮維)이어도 상관없지만, 권축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어 1인치 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부피가 크고 경량인 흡수체를 제조 가능함과 동시에 섬유사이의 뒤엉킴에 의해 일체성이 높은 토우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토우 구성섬유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이형(예를 들어 Y자형、X자형、I자형、R자형 등)이나 중공(中空)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토우 구성섬유는 예를 들어 1,000 ~ 1,000,000개,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0개 정도의 단섬유를 묶음으로써 형성된 토우(섬유 다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 다발은 1,000 ~ 1,000, 000개 정도의 연속섬유를 집속(集束)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스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세라니즈 회사나 다이셀 화학공업 등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셀룰로스 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밀도는 약0.5g/㎤이며, 총중량은 400~600kg이다. 이 베일에서 토우를 벗겨내어 원하는 사이즈, 부피가 되도록 넓은 띠형태로 푼다. 토우의 푸는 폭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폭 50~2,000mm,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흡수체의 폭을 50~300mm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토우의 푸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의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4, 54…)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적어도 액 흡수영역에서 필라멘트(52, 52 …)의 집합체에 대해 고흡수성 폴리머입자(SAP입자)가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도 2의 중요한 부재의 확대도에서 개념적으로 나타냈다.
흡수체(56)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에 SAP입자가 없거나, 혹은 있더라도 극히 소량인 경우에는「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는 것은, 필라멘트의 집합체에 대해, 두께 방향 전체에「균일하게」분산되어 있는 상태 외에 상부, 하부 및/또는 중간부에「편재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부, 하부 및 중간부의 각 부분에 분산하고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 일부의 SAP입자가 필라멘트(52, 52…) 집합체 중에 침입하지 않고 그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형태나, 일부의 SAP입자가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를 빠져 나가 포피시트(58) 위에 있는 형태나 보유시트(80) 위에 있는 형태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4)는「입자」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경은,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00μm 이하, 특히 150~4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4)의 재료로서는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스계나 합성폴리머계 등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겔화물,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스의 가교물(架橋物)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형상으로는, 통상 사용되는 분입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폴리머 입자(54)로서는, 흡수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가 버리는 소위 되돌아옴이 발생하기 쉽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겔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에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입자(54)의 눈어림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당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눈어림량이 50g/㎡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입자(54)의 과잉에 의해 까칠까칠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필요하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서 산포밀도 또는 산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산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하는 경우, 남자용은 앞 쪽의 산포밀도(양)를 높이고, 여성용은 중앙부의 산포밀도(양)을 높일 수 있다. 또,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서 국소적(예를 들어 스폿 형상)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입경분포가 다른 것을 복수로 준비해 두께방향으로 순차 공급하여 흡수체(56)내의 하측(下側)에 입경분포가 작은 것을, 상측에 입경분포가 큰 것을 분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와 연속섬유와의 비율은 흡수특성을 좌우한다. 흡수체(56)에서의 액을 직접 받는 영역에서의 5cm×5cm의 평면 면적 내에서의 중량비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 연속섬유중량이 1~14, 특히 2~19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피시트)
포피시트(58)를 사용하는 경우, 그 소재로는 티슈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부직포, 소공(小孔)이 있는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입자가 빠져나가지 않는 시트가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로 바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의 SMMS(스판본드/메탈브론/메탈브론/스판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고,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눈어림은 5~40g/㎡, 특히 10~30g/㎡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피시트(58)는 도 2와 같이, 연속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 전체를 감싼 형태 이외에, 그 층의 이면 및 측면만을 포피하는 것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수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下面)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시트로 덮는 형태 등이라도 괜찮다.(이들의 각 소재가 포피시트 의 구성요소가 된다)
필요하다면, 연속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을 상하 두층의 시트로 끼운 형태나, 하면(下面)에만 배치하는 형태라도 좋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보유시트)
보유시트(80)를 설치하는 경우, 보유 시트(80)와 흡수체(56)와의 사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그 산포(散布) 등에 의해 개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연속섬유(52)의 집합체로 공급 할 때 또는 그 후의 공정, 또는 소비자가 사용할 때까지의 유통과정에서, 연속섬유(52)의 집합체를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다. 연속섬유의 집합체를 빠져나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군의 요철은, 소비자가 사용 시 손으로 만졌을 때 까칠까칠한 위화감을 준다. 그래서 흡수체(56)와 포피시트(58)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54)의 보유성능을 가진 보유시트(80)를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보유시트(80)는, 티슈종이(크레이프지) 등의 포피시트(58)만으로는 부족한 탄력성을 보강해서, 소비자가 사용 시 손으로 만졌을 때의 위화감을 경감 또는 방지한다.
보유시트(80)의 소재는 특히 한정하지 않으며, 고흡수성 폴리마(54)의 보유성능을 가진 것이라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 권축펄프, 저흡수성 코튼섬유(예를 들면, 미 탈지 코튼섬유, 탈지된 코튼섬유, 레이온섬유를 발수 제나 소수화(疏水化)제로 처리한 것 등), 폴리에틸렌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단, 면, 삼,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유시트(80)를 부직포로 하는 경우, 그 보유시트(80)는 KES 시험에 근거한 압축에너지가 0.01~10.00gfcm/㎠, 바람직하게는 0.01~1. 00gfcm/㎠ 로, 또한 압축 레질리언스(resilience)가 10~100%, 바람직하게는, 70~100%의 부직포이면 좋다.
보유시트(80)를 설치한 이유는 앞에서도 접한 것처럼, 예를 들어 흡수체(56)로부터 아래쪽으로 누락(빠져 나온)한 고흡수성 폴리머(54)를 보유 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빠져 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에 대해서, 포피시트(58) 및 보유시트(80)를 개입시켜 사용자에 접촉하므로, 사용자에게 까끌까끌한 위화감이 전해질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의 축에너지 및 압축 레질리언스인 부직포라면,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 빠져나온 고흡수성 폴리머(54)는, 보유시트(80)에 의해서 보유되어, 포피시트(58) 위를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 능력의 편재가 생길 우려도 없다. 특히, 보유시트(80) 위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점착성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보유시트(80) 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 보유시트(80)의 상면(사용면 측에 향하는 면)을 거친 면으로 함으로써, 보유시트 (80) 상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를 위한 조면화 또는 보풀을 일으키는 수단으로서는, 부직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네트면이 아닌 비 네트면으로 하는, 마블(marble) 가공을 행하고, 니들 펀치에 의해 가공하는, 브러싱(brushing)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보유시트(8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수체(56)의 아래쪽에만 설치해도,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수체(56)의 측면을 통해 흡수체(56)의 윗면까지 감아 올려 늘어서게 하여도 좋다. 또한 보유시트(80)를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는 흡수체(56)와 포피시트(58)의 이면측 부위와의 사이에 보유시트(80)를 설치하는 예이지만, 보유시트는 포피시트보다 이면 측에 있어도 좋고(그 형태는 도시하지 않음), 요컨대 흡수체(56)에 대해서 이면 측에 보유시트를 설치하면, 제품의 이면으로부터 만지는 경우에 까칠까칠한 위화감을 경감시키거나, 혹은 생기지 않게 된다.
(사타구니부 외장시트)
흡수성 본체(20)의 이면 측에는, 제품외면에 노출하는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의 소재로서는, 배측외장시트 (12F) 및 등측외장시트(12B)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고강도의 소재나 소취제(消臭劑)를 포함하는 것 등, 배측외장시트(12F) 및 등측외장시트(12B)와는 다른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P, PP/ PE, PP/ PET 등의 섬유로 된 스판본드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통기성 부직포, 에어포인트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혹은 여기에 소취제 등을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에는 앉은 자세시 높은 체압이 걸린다. 따라서 마찰 견뢰도(堅牢度)가 높은(보풀이 일지 않는다) 특성을 가지는 소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이하의 마찰 견뢰도 시험에서 「◎」또는「○」의 평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견고도 시험)
마찰 견고도는, JISL 0849에 준거해서,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즉 250mm
×25mm의 마찰 견고도 측정용 시트 조각을 만들고, 측정용 시트 조각의 외면 측(흡수성 본체의 외면 측)의 마찰 견고도를 측정한다. 마찰 견고도의 측정에는, 예를 들어 COLOR FASTNESS RUBBING TESTER(TESTA 산업주식회사 제품, 형식 :AB-301)를 사용할 수 있다. 측정은 마찰 시험기Ⅱ형을 사용해서, 50회의 진동을 가해서 실시한다. 시험의 결과가 얻어지는 측정용 시트조각을 목시(目視)로 한도 견본과 비교해, {◎ : 구김 및 보풀 안 일어남, ○ : 구김, 보풀 일어남, △ : 구김 있음, 보풀 일어남, × : 부식포가 파단(破斷)}의 4단계로 평가한다.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는, 인쇄나 착색을 실시하고, 디자인 요소를 갖춘 시트로 해도 좋다. 상술한 디자인 시트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디자인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로서 신축부직포를 사용하고, 흡수성 본체(20)의 긴 방향으로 신장해서 붙이면, 사타구니부의 피트성이 향상됨으로 바람직하다.
흡수체(56)가 섬유 눈어림 100g/㎡ 이하로, 고흡수 폴리머 눈어림이 100g/㎡ 이상의 초박형 흡수체인 경우, 흡수체(56)의 탄력성이 없기 때문에, 흐름의 용이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사타구니부의 탄력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복부 및 등 부분은 탄력성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는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에 강도(탄력성)가 높은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클락법( JISL 1096C 법)에 의해 측정되는 강연도(剛軟)의, 시트의 MD방향과 CD방향과의 합이 100 mm 이상, 바람직한 것은 150mm 이상의 시트를 사용하면 좋다.
도시 예에서는, 배측 및 등측외장시트(12F, 12B)와 흡수성 본체(20)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는 흡수성 본체(20)와 배측 및 등측외장시트(12F, 12B)와의 사이에 끼워져있지만, 배측 및 등측외장시트(12F, 12B)의 외측에 붙일 수도 있다. 사타구니부 외장시트(12M)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흡수성 본체(20)의 이면, 및 배측 및 등측외장시트(12F, 12B)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붙일 수 있다.
(그 외)
상기 실시형태의 배측외장시트(12F)는, 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된 것으로 했지만, 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으로 길게 나온 부분에는, 탄성신축부재를 가지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배측외장시트(12F)의 다리주위형상을 서혜부(샅)를 따라서 맞추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쪽 연장부의 면적은 등쪽 연장부의 면적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배쪽 연장부가 과도하게 크면, 오히려 피트성을 잃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에 있어서의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18, 19T, 19U)의 구성,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접합부(12A)의 위치, 및 접합부 경사 시험에 있어서의 접합 경사 각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비교 예에 있어서의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구성,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접합부(12A)의 위치 및 접합부 경사 시험에 있어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접합부(12A)의 궤적은 그림 중에 환인(둥근 표시)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탄성신축부재는 모두 같은 소재의 합성고무로 하였다. 등측외장시트(12B) 및 배측외장시트(12F)는, 각각, 평량 20g/㎡의 부직포를 2매 사용하고 부직포 사이의 소정 위치에 각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를 사이에 끼워서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시킨 것으로 형성하였다. 양쪽 그림의 대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시에 있어서, 등측외장시트 및 배측외장시트의 접합부가 하단 측으로 갈 수록 등쪽으로 엇갈림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형태>
도 13~도 16은, 제2 발명에 관한 팬티형 종이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10)에서는, 등쪽 본체부(13)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개념적으로 상단부(허리부)(W)와 이것보다도 아래 쪽의 하측부분(Z)(제1 실시형태에서의 하단부(U) 및 중간부(M)에 해당하는 부분이다)으로 나눠서 생각한다. 하측부분(Z)의 범위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하측부분(Z)의 상하방향 길이는 35~220m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쪽 본체부(13)의 상단부(허리부)(W)에서는、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 중, 등쪽 본체부(13)의 하측부분(Z)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열설치되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에 대해서는 흡수체(20)와 겹쳐도 좋고,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을 제외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해도 좋다. 이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 고무를 4~12mm의 간격으로, 3~22개 정도, 각각의 신장율 150~400%, 특히 220~32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는, 그 모두가 동일한 굵기와 신장율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등쪽 허리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신축부재의 굵기와 신장율이 다르도록 해도 좋다. 이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는, 제1 및 제2 신장형 탄성신축부재(15,16)에 대해서 굵기나 신장율의 대소 관계없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또, 등쪽 본체부(13)의 하측부분(Z)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 05~1.5㎟, 특히 0.1~1.0㎟ 정도)의 실 고무를 1~15mm, 특히 3~8mm의 간격으로 5~30개 정도, 각각 신장율 200~350%、특히 240~30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등쪽 연장부(14)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적어도 둔부 커버부(14C)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로서는, 굵기 155~1880dtex, 특히 470~1240dtex 정도 (합성고무의 경우. 천연고무의 경우에는 단면적 0. 05~1. 5㎟, 특히 0.1~1.0㎟ 정도)의 실 고무를 5~40mm, 특히 5~20mm 의 간격으로, 2~10개 정도, 각각 신장율 150~300%, 특히 180~26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적으로는, 접합부(12A)의 하단과 같은 상하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5mm 이내의 범위(P1)에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하측으로 10mm 이내의 범위(P2)에는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 어 있지 않다. 이 범위(P1, P2) 외에서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의 상하방향 배열설치 범위는 적당히 정할 수 있어, 각 범위(P1, P2)의 일부에만 설치해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의한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14C)의 하단에 가까워질수록 약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 중, 둔부 커버부(14C)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신장율을 저하시킨다, 굵기를 가늘게 한다, 간격을 넓힌다, 신축력이 약한 소재를 사용한다, 또는 이것들을 복수로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굵기, 간격 및 소재를 모두 동일하게 해서 신장율을 저하시키는 경우, 그 저하 폭(상하방향으로 위치가 1㎜ 어긋날 때마다 저하하는 폭)은, 예를 들면 1~30%/㎜ 정도, 바람직한 것은 1~10%/㎜ 정도로 할 수 있다. 신장율, 간격 및 소재를 모두 동일하게 하여, 굵기를 저하시키는 경우, 그 저하폭(상하방향으로 위치가 1㎜ 어긋날 때마다 저하하는 폭)은, 예를 들면 5~150dtex/㎜ 정도, 바람직한 것은 5~50dtex/㎜ 정도로 할 수 있다.
한편, 배측 외장시트(12F)는 등측외장시트(12B)의 등쪽 본체부(13)와 기본적으로 같은 배쪽 본체부(접합부(12A)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측외장시트(12F)는, 허리둘레 방향에 따라서 늘어선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등측외장시트(12B)와 같은 등쪽 연장부(14)를 가지지 않은 것이다.
물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측외장시트(12F)는, 접합부(12A)와 같 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으로서 탄성신축부재를 가지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의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
즉, 배측외장시트(배쪽 본체부)(12F)의 상단부(허리부)(W) 및 하측 부분(Z) 중, 상단부(W)에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배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8)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배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8)는 배측 허리부 탄성신축부재(17)에 대해서,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도 할 수 있고, 다르게 하는 경우, 갯수의 차이는 10개 이하, 바람직한 것은 5개 이하, 굵기의 차이는 1880dtex 이하, 바람직한 것은 470dtex 이하, 신장율의 차이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이는 10mm이하,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이다.
또, 배측외장시트(12F)(배쪽 본체부)의 아래 쪽 부분(Z)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도록, 복수의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의 상하방향 배열설치의 범위는, 아래 쪽 부분의 일부로 해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9)로서는,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와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 방향 배치를 가능한 한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하는 경우, 개수의 차이는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개 이하, 굵기의 차이는 1880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470 dtex 이하, 신장율의 차이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이는 1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이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측외장시트(12B)에 대해 제1 및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5, 16)에 의한 수축력이, 접합부(12A)의 하단에 대해서 대부분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둔부 커버부(14C)에 불룩해짐이나 말림을 일으키도록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사용 시에, 둔부 커버부(14C)에 불룩해짐이나 말림(도 18 참조)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6)에 의한 수축력이, 둔부 커버부 (14C)의 하단에 가까워 짐에 따라 약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둔부 커버부 (14C)의 상단측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하단측의 과도한 수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감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전에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쪽을 덮는 배측외장시트와, 등쪽을 덮는 등측외장시트로 되어 있고,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와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어 형성된 통 형상의 허리둘레부와,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후단부(後端部)가 상기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며, 또한 등쪽으로부터 사타구니부를 지나 배쪽까지를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와 등측외장시트가 사타구니측에서 연속하지 않고 이간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등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와, 이 등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온 등쪽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이 등쪽 연장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길게 나온 둔부 커버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하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 중,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중간부 및 하단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또한 상기 등쪽 연장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만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온 부분으로 탄성신축부재를 갖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되는 것이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배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하단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 중,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중간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또한 하단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 경사 시험에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에 있어서의 개수, 굵기, 신장율, 간 격, 소재의 종류, 및 상하방향 배치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의 수축력은,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의 수축력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하고,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의 수축력은,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한 개당의 수축력과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강한 팬티형 종이 기저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시트의 각 부의 일정 폭 당의 수축력이, 배쪽 본체부의 하단부 ≥ 등쪽 본체부의 중간부 > 배쪽 본체부의 중간부 ≥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 및 등쪽 연장부의 관계를 갖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배쪽 본체부만으로 된 것이고,
    상기 등측외장시트 및 배측외장시트는, 평량이 10~30g/㎡의 부직포를 2매 접합시켜서 된 것이고,
    상기 등쪽 본체부의 하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의 하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30~100mm로 같고,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의 길이가 80~160mm이고, 상기 둔부 커버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30~80mm이며,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중 상기 하단부에 배치된 것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고, 또한 그 개수는 2~15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200~350%, 간격은 1~15mm로 되어있고,
    상기 제4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고, 또한 그 개수는 1~8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50%, 간격은 1~30mm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2~1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5~40mm로 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15~80mm로 같고,
    상기 등쪽 본체부 중간부의 상하 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중간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30~100mm로 같고,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고, 또한 그 개수는 3~22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400%, 간격은 4~12mm로 되어있고,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중 상기 중간부에 배치된 것 및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개수는 3~15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1~15mm로 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가, 사타구니 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흡수성 본체 측에 가까워지도록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에 의해 상기 둔부 커버부에 작용하는 수축력이, 상기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약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아래쪽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팬티형 종이 기저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굵기, 간격 및 소재가 모두 같고,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1~30%/mm의 저하폭(低下幅)으로, 신장율이 낮아지고 있거나, 또는 신장율, 간격 및 소재가 모두 같고, 둔부 커버부의 하단에 가까운 것일수록 5~150dtex/mm의 저하폭으로 굵기가 가늘지고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9. 장착자의 허리둘레 중, 배쪽을 덮는 배측외장시트와 등쪽을 덮는 등측외장시트로 되어 있고,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와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의 접합부가 접합되어 형성된 통 형상의 허리둘레부와,
    전단부가 상기 배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후단부가 상기 등측외장시트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 연결되고, 또한 등쪽에서 사타구니부를 지나 배쪽까지를 덮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와 등측외장시트가 사타구니측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간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등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쪽 본체부와, 이 등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온 등쪽 연장부를 가지고 있고,
    이 등쪽 연장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폭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길게 나온 둔부 커버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등쪽 본체부에서의 상하 방향의 상단부 및 이것보다도 하측의 하측부분 중, 상단부에 등쪽 허리부 탄성신축부재가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하측부분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 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만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접합부와 같은 상하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쪽 본체부와, 이 배쪽 본체부의 하측에 길게 나온 부분으로서, 탄성신축부재를 갖지 않는 배쪽 연장부로 된 것이고,
    상기 배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배쪽 본체부에서의 상하방향의 상단부 및 이것보다도 하측의 하측 부분 중, 상단부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하측부에서의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소정의 신장율로 폭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측외장시트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하단과 같은 상하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5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아래쪽으로 10mm 이내의 범위에 상기 제2 세장형 탄성 신축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외장시트는 상기 배쪽 본체부 만으로 되는 것이고,
    상기 등측외장시트 및 배측외장시트는, 평량이 10~30g/㎡의 부직포를 2매 접합시켜서 되는 것이고,
    상기 등쪽 본체부 하측 부분의 상하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하측 부분의 상하방향 길이는 각각 35~220 mm로 같고,
    상기 둔부 커버부의 폭방향의 길이가 80~160mm이며, 상기 둔부 커버부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30~80mm이며,
    상기 제1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5~3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200~350%, 간격은 1~15mm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2~10개, 굵기는 155~1880 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5~40 mm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세장형 탄성신축부재는,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4~30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300%, 간격은 3~8mm로 되어 있고,
    상기 등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방향 길이 및 상기 배쪽 본체부 상단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각각 15~80mm로 같고,
    상기 등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부재 및 배쪽 허리부 세장형 탄성신축 부재의 각각은, 합성고무로 된 실 고무이며, 또한 그 개수는 3~22개, 굵기는 155~1880dtex, 신장율은 150~400%, 간격은 4~12mm로 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KR1020097019405A 2007-02-28 2008-02-28 종이기저귀 KR101454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0824 2007-02-28
JP2007050823A JP4914246B2 (ja) 2007-02-28 2007-02-28 紙おむつ
JPJP-P-2007-050823 2007-02-28
JPJP-P-2007-050824 2007-02-28
PCT/JP2008/053520 WO2008108270A1 (ja) 2007-02-28 2008-02-28 紙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344A KR20090121344A (ko) 2009-11-25
KR101454048B1 true KR101454048B1 (ko) 2014-10-27

Family

ID=3973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405A KR101454048B1 (ko) 2007-02-28 2008-02-28 종이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08706B2 (ko)
EP (1) EP2123241B1 (ko)
KR (1) KR101454048B1 (ko)
RU (1) RU2442554C2 (ko)
WO (1) WO20081082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415A1 (en) * 2017-12-19 2019-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visually different chassis and waistban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617B2 (en) * 2006-12-28 2012-10-09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494458B2 (ja) * 2007-12-28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328204B2 (ja) *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US20090312737A1 (en) * 2008-06-17 2009-12-17 Gary Dean Lavo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arrier Attachment Zone
RU2538524C2 (ru) * 2009-07-01 2015-01-1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Натягиваемое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385075B2 (ja) * 2009-09-30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4966355B2 (ja) * 2009-10-08 2012-07-04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695315B2 (ja) 2009-11-30 2015-04-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346276B2 (ja) * 2009-12-28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EP2561847A4 (en) * 2010-04-19 2014-02-19 Unicharm Corp VOIDABLE ARTICLE
JP5548538B2 (ja) * 2010-06-30 2014-07-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DE102010026643A1 (de) * 2010-07-09 2012-01-12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JP4966403B2 (ja) * 2010-10-05 2012-07-04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GB2474587B (en) * 2010-11-05 2011-10-05 Unicharm Corp Disposable diaper
CN103313685B (zh) * 2010-12-27 2015-02-18 花王株式会社 内裤型吸收性物品
WO2012090866A1 (ja) 2010-12-28 2012-07-0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46963B2 (ja) 2011-02-28 2016-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2785300A1 (en) 2011-11-30 2014-10-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mall-sized disposable pull-on diaper
US10064763B2 (en) * 2011-12-28 2018-09-04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members
JP5303689B1 (ja) * 2012-03-29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TWI573580B (zh) * 2012-03-29 2017-03-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Dispose of items with disposable dessert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WO2014150638A1 (en) 2013-03-22 2014-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9820894B2 (en) 2013-03-22 2017-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O2015171381A1 (en) *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p to 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WO2015171384A1 (en) *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 to 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3139885B1 (en) 2014-05-08 2021-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s of hip to waist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150320613A1 (en) 2014-05-08 2015-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ist-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US10487199B2 (en) 2014-06-26 2019-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ated films having low sound pressure levels
US10792194B2 (en) 2014-08-26 2020-10-06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US10842687B2 (en) 2014-08-27 2020-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 structure with efficiently manufactured and aesthetically pleasing rear leg edge profile
JP6008408B2 (ja) * 2014-09-30 2016-10-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US10034801B2 (en) 2014-10-03 2018-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comprising improved product lengths
WO2016057777A1 (en) 2014-10-09 2016-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to-side and hip-to-waist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US10864117B2 (en) 2014-10-09 2020-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ngth-to-waist and hip-to-side silhouettes of adul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WO2016093034A1 (ja) *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使い捨て衣類
JP6647015B2 (ja) * 2014-12-16 2020-02-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106357A (zh) 2014-12-25 2017-08-29 宝洁公司 具有弹性带的吸收制品
JP6364346B2 (ja) * 2014-12-25 2018-07-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17084865A (zh) 2015-01-16 2023-11-21 宝洁公司 包括具有通道的吸收芯的成人一次性吸收制品的系列
EP3307220B2 (en) 2015-04-29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 with treated inner surface
CN107787212B (zh) 2015-06-25 2020-11-24 宝洁公司 包括改善的容量特征图的成人一次性吸收制品和所述制品的系列
CN107708638A (zh) 2015-06-30 2018-02-16 宝洁公司 带有弹性化区域的吸收制品
JP2018519078A (ja) * 2015-06-30 2018-07-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用のシャーシの設計
WO2017003741A1 (en)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waist region
US20170056257A1 (en) * 2015-08-27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ed structure
US11000427B2 (en) 2015-09-09 2021-05-1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with a leg cuff
US10583054B2 (en) 2015-11-06 2020-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silhouettes and silhouette arrays
JP6351686B2 (ja) * 2016-10-21 2018-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EP3558189B1 (en) 2016-12-20 2021-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US11432973B2 (en) 2017-06-30 2022-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p-to-side silhouettes for boxer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3644928A1 (en) 2017-06-30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ength-to-side silhouettes for bikini/low rise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3644922B1 (en) 2017-06-30 2023-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p-to-side and waist-to-side silhouettes for bikini/ low rise brief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3644927A1 (en) 2017-06-30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ength-to-hip and length-to-waist silhouettes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EP3644925A1 (en) 2017-06-30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ength-to-side silhouettes for boxer brief/boyshort typ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arrays
WO2019019079A1 (en) * 2017-07-27 2019-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RTABLE TYPE OF CULOTTE TYPE
CN111050718B (zh) 2017-09-01 2021-12-14 宝洁公司 制备弹性体层合物的方法和设备
US11147718B2 (en) 2017-09-01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925537B2 (en) 2017-09-01 2024-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WO2019148156A1 (en) 2018-01-29 2019-08-0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US11925538B2 (en) 2019-01-07 2024-03-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11173072B2 (en) 2019-09-05 2021-11-16 Curt G. Joa, Inc.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JP1675979S (ko) * 2020-05-27 2021-01-04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839A (ja) 2003-07-11 2005-02-03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US20050177124A1 (en) 2004-02-10 2005-08-11 Masahiro Kondo Pant-type disposable garment
KR20060016096A (ko) * 2003-05-27 2006-02-2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그래픽 패치를 구비한 일회용 팬티형 의복
JP2006280581A (ja) 2005-03-31 2006-10-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における弾性部材の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234A (en) 1995-04-03 1996-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pant
JP4399071B2 (ja) * 1999-12-28 2010-01-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JP4198312B2 (ja) 2000-12-06 2008-12-17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US7727214B2 (en) 2000-11-29 2010-06-01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spaced elastic leg openings for improved appearance
AU2002359133A1 (en) 2001-12-28 2003-07-30 Sca Hygiene Products Ab Elasticised web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and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ised web
JP4037216B2 (ja) 2002-08-23 2008-01-23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おむつ
CN100333705C (zh) 2002-12-18 2007-08-29 株式会社瑞光 一次性穿着物的制造方法
JP4208625B2 (ja) * 2003-03-31 2009-01-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43085A1 (en) 2003-05-30 2004-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tegral waistband
WO2005025789A1 (ja) 2003-09-08 2005-03-24 Kao Corporation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569039B2 (en) * 2003-11-19 2009-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20050107763A1 (en) 2003-11-19 200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7250549B2 (en) 2003-12-30 2007-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garment having an absorbent insert secured with variable adhesive regions
AU2005271341A1 (en) 2004-08-05 2006-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096A (ko) * 2003-05-27 2006-02-2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그래픽 패치를 구비한 일회용 팬티형 의복
JP2005027839A (ja) 2003-07-11 2005-02-03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US20050177124A1 (en) 2004-02-10 2005-08-11 Masahiro Kondo Pant-type disposable garment
JP2006280581A (ja) 2005-03-31 2006-10-19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における弾性部材の取付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415A1 (en) * 2017-12-19 2019-06-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visually different chassis and waistbands
KR20200074270A (ko) * 2017-12-19 2020-06-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시각적으로 다른 섀시 및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RU2735227C1 (ru) * 2017-12-19 2020-10-29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Впитывающие изделия с визуально разными основой и поясными лентами
KR102226497B1 (ko) 2017-12-19 2021-03-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시각적으로 다른 섀시 및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US11020286B2 (en) 2017-12-19 2021-06-01 Kimberly-Clark Wor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visually different chassis and waistbands
US11786415B2 (en) 2017-12-19 2023-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visually different chassis and waist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3241A4 (en) 2012-10-24
US20100106123A1 (en) 2010-04-29
EP2123241A1 (en) 2009-11-25
RU2442554C2 (ru) 2012-02-20
KR20090121344A (ko) 2009-11-25
RU2009135782A (ru) 2011-04-10
US8308706B2 (en) 2012-11-13
EP2123241B1 (en) 2017-02-08
WO2008108270A1 (ja)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48B1 (ko) 종이기저귀
KR101436022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2388915B1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형성 방법, 및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JP4477622B2 (ja) パンツ型紙おむつ
TWI721175B (zh) 吸收性物品
JP5001756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5053832B2 (ja) 紙おむつ
CN107970089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2008161572A5 (ko)
JP4914246B2 (ja) 紙おむつ
JP590241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8136B2 (ja) 紙おむつ
JP2008212249A5 (ko)
KR20160064084A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그 신축 구조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의 형성 방법
JP2009247418A (ja) 使い捨て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70092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5941278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342819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4549354B2 (ja) パンツ型紙おむつ
JP596768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08188050A5 (ko)
JP2010131167A (ja) 吸収性物品
CN107970090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7315350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848084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