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제 2실텐션자(4)는 바늘봉 요동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므로 바늘 봉의 상하운동에 대해 늘 일정한 타이밍으로 개방하게 된다. 한편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에서는 1사이클에서의 실의 소비량이 다르므로 결절의 타이밍이 다르지만 제 2실텐션자(4)가 일정한 타이밍으로 실을 개방하므로 각각의 공정에 최적인 타이밍으로 제 2실텐션자(4)를 개방시킬 수 없고 그 결과 완성된 봉제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결절의 최적인 타이밍은 실의 종류나 보턴의 종류·크기 등의 봉제조건에 의해 바뀌지만 종래의 타이밍으로는 대응할 수 없었다.
또 실장력도 봉제조건에 맞추어 보턴마무리용 실텐션자(3) 및 보턴달기 위한 제 1실텐션자(2)의 실장력의 조정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지만 그 때마다 2종류의 실텐션자의 장력조정너트를 감아 실장력의 설정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설정이 번거롭고 또 설정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정의 재현이 어려우며 설정미스나 설정잊음의 가능성도 있었다. 또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의 실장력의 설정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실텐션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구성이 복잡하였다.
또한 실풀어내는 부재(5)에 의한 실 풀어내는 양을 봉제조건에 맞추어 변경할 경우 실장력 설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2종류의 풀어내는 양의 설정을 그 때마다 행해야 하므로 설정이 번거롭고, 또 설정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설정치의 재현이 어려우며, 설정미스나 설정잊음의 가능성도 있었다. 또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의 실풀어내는 양의 설정에 대응하기 위한 실 풀어내는 부재(5)의 구성이 복잡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턴을 다는 공정·보턴마무리 공정 또는 봉제조건에 대응하여 최적인 타이밍이나 크기로 실 장력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실풀어내는 양도 적절하게 콘트롤 할 수 있는 보턴마무리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들면 도 1, 도 7, 도 12와 같이,
보턴을 피봉제물에 꿰매어 다는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다는 공정에 의해 단 보턴과 피봉제물 사이의 봉제실을 보강하는 보턴마무리공정을 행하는 보턴마무리 재봉틀(재봉틀 (10))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류량에 의해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경가능한 실텐션 장치(20, 솔레노이드, 보이스코일 모터)와,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있어서, 실텐션 장치가 부여하는 장력을 각각 따로 설정하도록 실텐션 장치로의 전류량을 제어가능한 장력제어수단(마이크로 컴퓨터(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력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보턴을 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대해 장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천에 재봉틀 바늘을 지나게 하는 보턴다는 공정은 강하게, 천에 바늘을 통과하지 않는 보턴마무리 공정에서 약 하게 하는 것과 같이 간단한 설정으로 공정마다 최적인 장력을 걸 수 있다.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서의 상기 장력을 봉제패턴별로 기억하는 장력하는 장력기억수단(EEPROM(56))과,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패턴선택수단(입력장치(53))을 구비하고,
장력제어수단은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한 봉제패턴을 기초로 장력을 설정하도록 전류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봉제시마다 설정하지 않아도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보턴다는 공정·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대해 결정된 패턴을 기초로 적절한 장력으로 봉제할 수 있어 간단한 조작으로 재현성이 있는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봉제패턴 마다는 예를들면 보턴의 종류나 봉제물의 종류마다 한 바늘 마다의 장력값을 모두 설정한 데이터로서 미리 기억되고 있는 것이라도 좋고 작업자가 독자로 작성한 봉제데이터를 기억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보턴을 피봉제물에 다는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다는 공정에 의해 달게 된 보턴과 피봉제물 사이의 봉제실을 보강하는 보턴마무리 공정을 행하는 보턴마무리 재봉틀(재봉틀(10))에 있어서,
재봉틀바늘의 상하이동위치를 검출하는 바늘위치검출수단(위상검지장치(54))과,
통전되는 전류량에 의해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경가능한 실텐션 장치(20, 솔레노이드, 보이스코일 모터)와,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장력의 변경시기를 각각 따로 제어하는 시기제어수단(마이크로 컴퓨터(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기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보턴다는 공정 및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있어서 재봉틀 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따라 장력이 변경되므로 보턴다는 공정, 보턴마무리 공정 각각에서 바늘위치에 대한 장력을 변경하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매 바늘마다 바늘위치에 대해 일정한 타이밍으로 실텐션을 개폐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보턴다는 공정,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서 실제로 루프가 결절하는 최적인 타이밍으로 장력을 개방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완성된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또 최초의 첫땀은 강한 실장력을 계속 걸도록 제어하면 종래와 같이 봉제시작의 바늘의 상승에 의해 실이 바늘로부터 빠지게 되고, 역으로 잔실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경우도 없어 이 점에 있어서도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장력의 변경시기를 봉제패턴별로 기억하는 변경시기 기억수단(EEPROM(56))과,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패턴선택수단(입력장치(53))을 구비하고,
상기 시기제어수단은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한 봉제패턴을 기초로 장력의 변경시기를 설정한다.
또한, 작업자가 봉제시마다 설정하지 않아도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보턴다는 공정·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대해 적절한 타 이밍으로 장력을 변경하면서 봉제를 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재현성이 있는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봉제패턴별로는 예를들면 보턴의 종류나 봉제물의 종류마다 한 바늘 마다의 장력의 변경타이밍을 모두 설정한 데이터를 미리 기억시킨 것이라도 좋고 작업자가 독자로 작성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텐션 접시(21)에 의해 봉제실(T)을 끼우고 실텐션졉시를 압착함으로써 봉제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재봉틀(10)의 실텐션 장치(20)에 있어서,
실텐션 접시의 근방에 실을 되접는 되접는 부재(실안내(22))를 배치하고, 봉제실이 되접는 부재로 되접혀져 대략 평행하게 2열로 된 상태에서 실텐션 접시에 협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되접는 부재로 되접혀 대략 평행하게 2열로 된 상태에서 실이 실텐션 접시에 협지되므로 실을 일 열로 협지하는 종래와 비교하면 1/2의 힘이면 된다. 따라서 큰 장력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비교적 출력이 작은 소형의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 있어 구동수단의 응답성이 높아지거나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보턴을 피봉제물에 다는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다는 공정에 의해 달게 된 보턴과 피봉제물 사이의 봉제실을 보강하는 보턴마무리 공정을 행함과 동시에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최후에 실절단을 행하는 보턴마무리 재봉틀(재봉틀(10))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류량에 의해 풀어내는 실의 풀어내는 양을 변경가능한 실풀어내는 수단(실풀어내는 장치(30))과,
실전단 후 다음 공정에 따른 풀어내는 양으로 설정하도록 실풀어내는 수단으로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실풀어내는 양 제어수단(마이크로 컴퓨터(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풀어내는 양 제어수단에 의해 실절단 후 실 풀어내는 양이 다음 공정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절단은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최후에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턴이 4개 구멍인 경우일 때 보턴을 다는 중간에 실을 잘라도 좋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턴마무리 재봉틀에 있어서,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마무리 공정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실풀어내는 양을 봉제패턴마다 기억하는 실풀어내는 양 기억수단(EEPROM(56))과,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패턴선택수단(입력장치(53))을 구비하고,
풀어내는 양 제어수단은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선택한 봉제패턴을 기초로, 풀어내는 양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봉제시마다 설정하지 않아도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실 절단후에 적절한 길이로 실이 풀려지고 간단한 조작으로 재현성이 있는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봉제패턴별로는 예를들면 보턴의 종류나 봉제물의 종류마다 적절한 실 풀어내는 양을 설정한 데이터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작업자가 독자로 작성한 봉제데이터를 기억한 것이라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풀어내는 양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실절단 후의 다음의 공정에 따라 실풀어내는 양이 설정되므로 다음의 공정에 대해 적절한 길이로 실이 풀려나오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봉제시마다 설정하지 않아도 패턴선택수단에 의해 봉제패턴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실절단후 적절한 길이로 실이 풀려나오게 된다. 또 간단한 조작으로 재현성이 높은 봉제가 가능한 데다가 설정의 확인이 쉬워 설정미스나 설정잊음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재봉틀(10)은 의류(피봉제물)에 보턴을 다는 보턴다는 공정과, 보턴다는 공정에서 꿰매어진 보턴과 의류 사이의 봉제실을 묶도록 실을 감는 보턴마무리 공정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는 보턴마무리 재봉틀이다.
재봉틀(10)은 재봉틀 모터(43)(도 7)를 구동하는 것으로 바늘봉(11a) 및 바늘봉(11a) 선단에 고정된 바늘(11)을 상하이동시킴과 동시에 바늘(11)과 동기하여 피봉제물 아래쪽에 배치된 루퍼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키고 바늘과 루퍼와의 협동에 의해 솔기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바늘과 루퍼에 의한 솔기형성의 동작은 도 14,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지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천 칭(15)은 상기 바늘봉에 고정되고, 아울러 상하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재봉틀(10) 암(10a)의 윗면에는 실텐션 장치(20) 및 실풀어내는 장치(30)가 배치된다. 실텐션 장치(20) 및 실풀어내는 장치(30) 전체는 커버(60) 및 재봉틀 암(10a)의 윗면에 고정된 부착판(61)에 의해 거의 피복되고 있고 작업자에 의해 실(T)이 지나가는 부재만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실텐션 장치(20)는 실텐션 모터(41), 실텐션 접시(21), 실안내(22)(23)(24) 등으로 구성된다.
전기적인 구동수단인 실텐션 모터(41)는 보이스코일 모터로 이루어지고 구동전류량에 따라 그 모터축(41a)(도 3)이 소정량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텐션 접시(21)는 도 3과 같이 지지판(25), 앞판(26), 넛트(27)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판(25)은 부착판(61)의 앞면부 외측에 공간(25d)을 통해 나사(25e)에 의해 지지된다. 또 부착판(61)의 앞면부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모터(41)가 지지되고, 모터축(41a)은 부착판(61)의 축구멍(61a)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4, 도 5, 도 6 및 도 12에 있어서는 부착판(61)은 내부구조의 기재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 지지판(25)에는 모터축(41a)이 삽통가능한 축구멍(25b)과 지지핀(25a)(25c)이 배치되고 앞판(26)에는 모터축(41a)이 삽통가능한 축구멍(26b)과 지지핀(25a)(25c)을 끼워넣을 수 있는 U자모양의 절개홈(26a)(26a)이 배치된다. 그리고 돌출핀(25a)(25c)을 절개홈(26a)(26a)에 끼워넣은 상태로 축구멍(25b)(26b)에 부착판(61)을 관통한 상태의 모터축(41a)을 지나고 모터축(41a)의 선단부에 넛트(27)를 감아넣는다. 지지판(25)과 앞판(26)사이에 실(T)을 끼우 고 모터축(41a)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량에 따라 지지판(25)과 앞판(26)에 의해 협지되는 실(T)에 장력이 걸리게 된다.
또한 돌출핀(25a)(25c)은 앞판(26)의 회전방지와 실(T)이 실텐션 접시(2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안내(22)(23)(24)(28)는 실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 중 실안내(22)(23)(24)는 부착판(61)의 앞면에 고정되고 실안내(28)는 후술하는 실풀어내는 판(2)에 고정된다.
실풀어내는 장치(30)는 실절단 후 다음의 봉제개시를 위한 소정량 실을 풀어내 두는 것이다. 펄스모터(42)와, 회동팔(31)과, 실풀어내는 판(32)과, 스토퍼부재(33)로 이루어진다.
전기적인 구동수단인 펄스모터(42)는 마이크로 컴퓨터(50)에 의해 펄스제어되고 그 모터축(42a)이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펄스모터(42)는 프레임(10b)의 내측단면에 고정되고 모터축(42a)은 프레임(10b)을 관통하여 앞단부는 부착판(6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도 2).
회동팔(31)은 프레임(10b)과 부착판(61) 사이에 배치되고, 기단부에 상기 모터축(42a)이 관통하여 고정되며 선단부에 앞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핀(31a)이 고정된다.
실풀어내는 판(32)은 그 기단부(32b)에 돌출핀(31a)이 결합하는 결합구멍(32a)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단부(32b)로부터 왼쪽으로 뻗어나오는 연출부(32c)에는 장공(32d)이 형성된다. 또 상술과 같이 연출부(32c)에 실안내(28)가 배치된다.
스토퍼부재(33)는 지점축(33b)에 있어 프레임(10b)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부착되는 부착부(33a)와 실을 밀어부치는 스토퍼편(33c)으로 이루어지며 정면에서 보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부착부(33a)의 앞면에는 실풀어내는 판(32)의 장공(32d)에 끼워지는 앞 핀(34)이 배치된다. 또 도 5와 같이 부착부(33a)의 뒷면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뒤 핀(35)이 배치되고 이 뒤 핀(35)에 스프링(36)의 일단부가 걸려있다. 한편 스프링(36)의 타단부는 재봉틀 본체에 고정된 스프링훅(12)에 걸려있다. 스토퍼부재(33)는 스프링(36)에 의해 도 4에서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부세되지만 대기상태에서는 펄스모터(42)측의 토오크와 스프링(36)의 탄성력의 균형에 의해 실풀어내는 판(32) 및 앞 핀(34)을 통해 도 4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실공급원으로부터 인출된 실(T)을 도 1, 도 4 등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실안내(23)를 거친 후 모터축(41a)과 오른쪽의 돌출핀(25a)사이에 있어 앞판(26)과 지지판(25)에 끼워지도록 지나가며 그리고 나서 아래쪽의 실안내(22)를 통해 되접고, 모터축(41a)과 왼쪽의 돌출핀(25c)사이에 있어 앞판(26)과 지지판(25)에 끼워지도록 지나간다. 이어서 이 실(T)을 실안내(23), 실풀어내는 판(32)의 실안내(28), 실안내(24)를 거친 후 암(10a) 좌단부의 실통과부(13), 암(10a)측부의 실통과부(14), 천칭(15) 순으로 통과하고 다시 소정의 루트를 거쳐 바늘(11)의 바늘 구멍을 지난다. 이와같이 실(T)은 실안내(22)로 되접히는 것으로 대략 평행하게 2열로 된 상태로 장력을 걸도록 되어있다. 즉 실안내(22)가 본 발명에서의 되접는 부재이다.
실풀어내는 장치(30)에서는 도 4의 대기상태로부터 모터축(42a)이 반시계방향(A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회동팔(31)을 통해 실풀어내는 판(32)이 C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스토퍼부재(33)는 앞 핀(34)의 이동이 실풀어내는 판(32)에 의해 저지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B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안내(24)를 밀어 실안내(24) 사이에서 실(T)을 끼워넣는 것으로 실을 멈추게 한다. 또한 펄스모터(42)는 A방향으로 회전하고 실풀어내는 판(32)에 고정된 실안내(28)에 의해 실(T)이 인장된다. 이 때 실텐션 접시(21)는 장력을 걸지 않고 실(T)은 실공급원으로부터 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다 풀어낸 후 펄스모터(42)는 A'방향으로 회전하고, 회동팔(31), 돌출핀(31a)을 통해 실풀어내는 판(32)은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이와 함께 스토퍼부재(33)는 실안내(24)로부터 멀어지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의 상태로 복귀하며, 실의 풀어내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 풀어내는 동작에 의해 실텐션 접시(21)보다도 바늘측에 실의 느슨함이 발생한다.
도 7에는 재봉틀(1)의 제어회로(40)를 도시했다. 입력장치(53)는 보턴이나 스위치, 또한 표시패널을 구비하고 실장력값이나 실장력을 바늘의 위상을 기초로 변경하는 시기, 그 외 보턴다는 공정이나 보턴마무리 공정에 관한 봉제조건을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기억되는 봉제패턴(후술함)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입력장치(53)는 본 발명의 패턴선택수단이다.
위상검지장치(바늘위치 검출수단)(54)는 예를들면 바늘봉을 구동하는 상축(재봉틀 주축)의 회전위상 1도마다의 회전을 검출하여 검지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 축의 회전위상을 검출하는 것이다. 회전위상은 바늘(11)의 상하이동에 대응하고 바늘(11)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 회전위상을 0도, 하사점에 위치할 때 위상을 180도, 다시 상사점으로 복귀했을 때의 위상을 360도(0도)로 한다.
기동장치(55)는 예를들면 페달로서 봉제개시의 지시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 ROM(Read Only Memory)(51)는 봉제에 관한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52)는 검출데이터나 연산처리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56)는 각종 설정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EEPROM(56)에는 보턴의 종류 등에 따른 봉제패턴마다 실장력의 값과 그 변경시기 또한 실을 풀어내는 타이밍이나 실의 풀어내는 양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고 상기 입력장치(53)를 통해 그 패턴을 RAM(52)상으로 불러낼 수 있게 된다. 즉 EEPROM(56)이 본 발명에서의 장력기억수단, 변경시기 기억수단, 풀어내는 양 기억수단이다.
또한 봉제마다 EEPROM(56)으로부터 불러낸 봉제패턴의 일부를 변경하거나 또는 기억되는 패턴과는 무관계로 실장력의 값과 그 변경시기나 실의 풀어내는 타이밍이나 실의 풀어내는 양 등을 설정할 수도 있고 그 경우 변경데이터나 설정데이터를 RAM(52)에 기억하고 나서 다시 새로운 봉제패턴으로서 EEPROM(56)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50)는 본 발명의 장력제어수단, 시기제어수단, 풀어내는 양 제어수단을 겸하는 것으로 ROM(51)에 격납되는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를 기 초로 RAM(17)을 작업영역으로 하면서 기동장치(55)로부터의 기동신호를 받아들이면 재봉틀모터 구동회로(45), 실텐션 구동회로(46), 펄스모터 구동회로(46), 실절단 구동회로(48)를 통해 봉제에 관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면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위상검지장치(54)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감시하면서 설정조건대로 소정의 위상타이밍으로 소정의 실장력이 되도록 실텐션 모터(41)를 구동하거나 소정의 실길이가 풀리도록 펄스모터(42)를 구동하게 된다.
재봉틀모터 구동회로(45)는 마이크로 컴퓨터(50)로부터의 지시신호를 기초로 재봉틀모터(43)를 제어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실텐션 구동회로(46), 펄스모터 구동회로(47)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텐션 모터(41), 펄스모터(42)를 제어구동하는 드라이버이다. 또 재봉틀(10)에서는 봉제후 또는 봉제중간에 자동적으로 보턴에 이어지는 실을 끊도록 되어있고 마이크로 컴퓨터(40)의 제어하에서 실절단 구동회로(48)를 드라이버로서 실절단을 행하는 실절단 솔레노이드(44)를 구동하게 된다.
도 8에는 보턴다는 공정 및 보턴마무리 공정을 연속하여 행할 경우 실장력값이나 실텐션제어 위상치를 입력장치(53)를 통해 설정할 때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냈다. 여기서 설정하는 보턴다는 공정은 4개구멍 보턴에 있어 최초에 2개구멍, 예를들면 도 14(a)의 솔기(b1)를 오른쪽 구멍으로서 봉제하고 실절단을 동작하고나서 나머지 2개 구멍, 예를들면 도 14(a)의 솔기(b2)를 왼쪽구멍으로서 봉제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입력장치(53)의 조건설정을 개시하는 스위치 등을 조 작하여 상기한 보턴구멍의 수(예를들면 4개구멍), 걸치는 실의 유무(예를들면 없음), 보턴구멍 사이의 핏치 등의 각 봉제조건을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 S2에서 보턴다는 공정에 대해 실장력을 상축의 회전위상에 따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장력의 값은 0~100의 범위에서 상대적인 값으로서 설정가능하며 예를들면 100은 250g에 상당한다. (1) 첫땀, (2) 두번째 땀, (3) 세번째 땀 이후, (4) 최종바늘에 대해 설정하고 예를들면 첫땀에 대해서는 위상 0~359도까지 장력 100, 두번째 땀에 대해 위상 0~289도까지 장력 100, 290도~359도까지 장력 20과 같이 설정해 둔다. 최종바늘에 대해서는 최후의 위상 340~360도 사이의 장력 50상태로 실절단되게 된다. 설정항목의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 도 12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어서 스텝 S3에 있어서 보턴달기 위한 실풀어내는 양으로서 「50」을 설정한다. 이는 오른쪽구멍 봉제후 왼쪽구멍의 재봉시작을 위해 또는 보턴마무리 공정 후에 다음 오른쪽구멍의 보턴을 달기시작하기 위한 실의 풀어내는 양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풀어내는 양의 값은 0~100 범위로 실풀어내는 판(32)의 이동길이를 상대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100은 40mm에 상당한다.
스텝 S4로 이행하여 보턴마무리를 위한 실 풀어내는 양으로서 「30」을 설정한다. 이는 왼쪽구멍의 보턴을 단 후 보턴마무리 고정을 시작하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의 풀어내는 양이 스텝 S3의 풀어내는 양보다도 짧은 것은 보턴을 다는 것보다도 보턴마무리 쪽이 한 바늘에서 소비되는 실의 양이 적은 것과, 또한 보턴을 다는 경우는 봉제시작한 실 남은 길이가 다소 길어도 그 후에 이어지 는 보턴마무리 봉제에 의해 숨겨지지만 보턴마무리의 경우는 실절단이 길면 보턴의 솔기로부터 늘어지게 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이유에 따른다.
스텝 S4 후 스텝 S5에서 보턴마무리 공정에 대해 상축의 회전위상에 따른 장력의 값을 한 바늘 마다 설정해 간다. 설정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스텝 S2~S5의 설정작업 중 입력장치(53)의 표시패널에는 설정된 내용이 수시 표시된다.
필요사항의 설정이 종료하면 스텝 S6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50)의 제어하에서 메모리(RAM(52))에 기억한다.
또 도 8에서는 실텐션 장치(20)에 관한 설정만 도시했지만 그 외 봉제조건에 대해서도 설정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도 8의 플로우와 같이 한 바늘마다 장력 등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EEPROM(56)내에 기억되는 상기 봉제패턴을 불러내는 것으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들 설정치는 입력장치(53)를 조작하면 입력장치(53)의 조작패널에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설정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8의 설정내용을 기초로 마이크로 컴퓨터(50)의 제어하에서 행해지는 봉제처리에 대해 도 9 ~ 도 11의 플로우챠트 및 도 12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의 타이밍챠트는 위는 보턴을 달고(오른쪽구멍 봉제, 왼쪽구멍 봉제 공통) 밑은 보턴마무리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보턴다는 봉제, 보턴마무리 봉제는 각각 전부 10바늘로 한다.
봉제처리는 보턴다는 공정에서 시작한다. 도 14와 같이 보터다는 봉제 중 보턴은 도시하지 않은 보턴고정팔에 의해 재봉틀 바늘의 구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우선 스텝 S20에 있어서 기동장치(55)로부터 기동신호가 입력 되었는 지를 판정한다. 입력할 때 까지 이 판정을 반복하고 기동신호가 입력하면 스텝 S21로 이행하고 여기서 도 8에서 설정한 각 바늘 마다의 실장력이나 그것을 변경하는 위상의 타이밍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스텝 S22에 있어서 재봉틀 모터(43) 등을 구동하여 재봉틀을 기동한다. 또 이 때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위상검지장치(54)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스텝 S23이후 오른쪽구멍의 봉제를 개시하고, 이 이후 마이크로 컴퓨터(50)는 도 8에서 설정한 소정의 위상(바늘 높이)에 있어 소정이 장력으로 변환하도록 실텐션 모터(41)를 구동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펄스모터(42)를 구동하여 소정량 실을 풀어낸다.
스텝 S24에 있어서 도 8의 스텝 S2의 데이터(1)를 기초로 첫땀이 봉제된다. 첫땀은 도 12와 같이 장력값은 최대치 100인 상태이다. 이는 재봉시작 바늘(11)의 상하이동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실공급원으로부터 실이 풀려 옷감에서 나오는 실단까지의 길이가 소정치보다도 길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스텝 S25에 있어서 도 8의 스텝 S2의 데이터(2)를 기초로 두번째 땀이 봉제된다. 두번째 땀은 도 12와 같이 상축의 위상 0~290도는 장력 100, 위상 290~359도는 장력 20이 된다. 위상이 약 290도까지는 루퍼에 엉킨 실(도 15(a)의 t1 참조)을 결절하기 위한 천칭(15)이 끌어올려지고 이 때 실이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고의 장력으로 실을 고정한다. 그리고 거의 루퍼가 결절하는 위상 290도에 있어서 실을 풀어내기 위한 장력을 20까지 내린다(도 15(b)참조). 또 한 세번째 땀 이후에서는 결절시에 장력을 30으로 내리지만 두번째 땀에서는 최고의 결절로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세번째 땀이후보다도 낮은 값으로 하고 또 빠른 단계로 실을 풀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스텝 S26에 있어서 도 8의 스텝 S2의 데이터(3)를 기초로 세번째 땀이 봉제된다. 세번째 땀은 도 12와 같이 위상 0~20도는 두번때 땀에 계속하여 장력 20으로 위상 20~320도에서는 루퍼를 지나는 실을 끌어올리기 위해 장력 100으로 한다. 다시 루퍼가 결절하는 위상 320도에서 장력 30로 내린다. 세번째 땀 이후는 솔기가 안정되므로 루퍼가 결절시에 장력값은 30으로 내리게 된다.
스텝 S26 후 스텝 S27에 있어서 최종의 열번째 땀 인가를 판정하여 열번째 땀이 아니면 즉 네번째 땀에서 아홉번째 땀까지는 스텝 S26으로 되돌아가 세번째 땀과 마찬가지의 장력·타이밍으로 봉제를 계속한다.
스텝 S27에서 열번째 땀이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28에 있어 걸치는 실을 형성할 지를 판정한다. 도 8의 설정예에서는 걸치는 실은 없기 때문에 그 경우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에서는 도 8의 스텝 S2의 데이터(4)를 기초로 열번째 땀이 봉제된다. 열번째 땀은 도 12와 같이 위상 0~30도는 아홉번째 땀에 계속하여 장력 30이며, 위상 30~340도에서는 루퍼를 지나는 실을 끌어올리기 위한 장력을 100으로 한다. 충분히 결절하는 위상 340도 이후 다음의 스텝 S31의 실절단 동작이 종료할 때 까지 실을 어느 정도 잡아당겨 안정된 상태에서 실을 절단하도록 장력을 50으로 한다.
스텝 S31의 실절단 후 스텝 S32에 있어 실을 풀어내는 기구가 있는 지를 판 정한다. 이는 재봉틀의 기종에 따라 실풀어내는 장치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재봉틀(1)은 실풀어내는 장치(30)를 갖기 때문에 스텝 S33으로 이행하여, 도 8의 스텝 S3에서 설정한 데이터(5)의 풀어내는 양으로 실을 풀어내고, 스텝 S34에 있어서 오른쪽구멍 봉제를 종료한다. 또한 실풀어내는 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재봉틀이면 스텝 S32 후 스텝 S33을 지나지 않고 스텝 S34로 이행한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스텝 S35에서 왼쪽구멍의 봉제를 개시한다. 스텝 S36에서는 첫땀을 상기 스텝 S24와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스텝 S37에서는 두번째 땀을 상기 스텝 S25와 마찬가지로, 스텝 S38에서는 세번째 땀을 상기 스텝 S26과 마찬가지로 도 8에서 설정한 데이터의 장력값으로 봉제한다.
다음 스텝 S39에서 상기 스텝 S27과 마찬가지로 최종의 열번째 땀인지를 판정하여 최종바늘이 아닌 경우 즉 네번째 땀에서 아홉번째 땀까지는 스텝 S38로 되돌아가 세번째 땀과 마찬가지로 봉제한다. 스텝 S39에서 최종바늘이라고 판정하면 스텝 S40으로 이행하여 여기서 상기 스텝 S30과 마찬가지로 도 8의 데이터(4)를 기초로 봉제하고, 최후의 장력 50 상태로 스텝 S41로 이행하여 실을 끊는다.
스텝 S42에서 실풀어내는 장치의 유무를 판정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실풀어내는 장치(30)를 갖기 때문에 스텝 S43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도 8의 스텝 S4에서 설정한 데이터(6)를 기초로 실을 풀어내어 왼쪽구멍의 봉제가 종료한다(스텝 S44). 이상으로써 보턴다는 봉제는 종료하고 도 11의 스텝 S49로 이행한다.
또한 도 9의 스텝 S28에서 걸치는 실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즉 오른쪽구멍 봉제에서 실을 끊지 않고 왼쪽구멍 봉제를 행하는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스텝 S28에서 스텝 S29로 이행하여, 최후의 열번째 땀을 스텝 S26의 세번째 땀과 같이 데이터를 기초로 장력을 제어하고 오른쪽구멍 봉제를 종료한다(스텝 S45).
이어서 스텝 S46에서 왼쪽구멍 봉제를 개시하고, 스텝 S47에서 첫땀을, 스텝 S48에서 두번째 땀을 봉제한다. 이 경우 오른쪽구멍에서 봉제실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장력제어는 도 8의 스텝 S2의 데이터(3)를 기초로 행한다. 스텝 S48의 후는 스텝 S38로 이행한다.
도 11의 스텝 S49에서는 보턴을 고정하는 상기 보턴고정팔을 90도 회전시키고, 도 14(c)(d)와 같이 바늘(11)의 구동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보턴(B)의 방향을 바꾼다.
이어서 스텝 S50이후 보턴마무리 공정을 개시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도 8의 스텝 S5의 데이터(7)의 설정값에 따라 첫땀을 봉제한다. 이 첫땀은 도 12와 같이 장력은 최대치 100으로 유지된다. 이는 보턴을 달기 시작할 때(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따른다.
이어서 스텝 S52로 이행하여, 도 8의 스텝 S5에 설정한 데이터(8)를 기초로 두번째 땀이 봉제된다. 상축의 회전위상 310까지 장력은 100상태로 루퍼에 엉킨 실(도 15(c)의 t2부분 참조)을 천칭(15)으로 끌어올린다. 결절이 거의 종료하는 위상 310도(도 15(d) 참조)에서 장력을 20으로 내린다.
또한 스텝 S25의 보턴을 다는 것에서는 위상 290도로 장력을 변환했지만 보턴마무리 공정은 보턴을 다는 것 보다도 한 바늘당 실의 소비량이 적기 때문에 결 절의 타이밍이 더욱 늦어져 최고장력구간을 보턴을 다는 것보다 길게할 수 있어 실의 끌어올리는 양을 많게 하고 있다.
다음에 스텝 S53에서 도 8의 스텝 S5에서 설정한 데이터(9)를 기초로 세번째 땀이 봉제된다. 도 12와 같이 위상 0 ~ 20도사이는 두번째 땀에 계속하여 장력 20이고, 위상 20~330도는 장력은 최대치 100으로 하며, 위상 330도 이후는 장력을 10으로 한다. 상기 스텝 S26보다도 장력을 개방하는 타이밍이 늦은 것은 스텝 S52와 같은 이유에 따른다. 또 개방시의 실 장력이 10으로 보턴을 다는 것 보다도 낮은 것은 보턴마무리 공정은 옷감에 재봉틀 바늘이 꽂히지 않는 것으로 저항이 작아 그 만큼 장력을 내리고 있다.
스텝 S53후 스텝 S54에 있어서 최종의 열번째 땀인지를 판정하여 최종바늘이 아닌 경우 즉 네번째 땀 ~ 아홉번째 땀이면 스텝 S53으로 되돌아가 세번째 땀과 마찬가지로 봉제한다. 스텝 S54에서 최종바늘이라고 판정하면 스텝 S55로 이행한다. 스텝 S55에서는 도 8의 스텝 S5의 데이터(10)를 기초로 최종의 열번째 땀이 봉제된다. 열번째 땀에서는 도 12와 같이 위상 30도까지는 아홉번째 땀에 계속하여 장력 10이며, 위상 30~ 340도 사이는 결절을 위해 최대장력 100으로 하고, 그 이후는 장력을 50으로 한다. 여기서 장력 50으로 하는 것은 스텝 S30과 같은 이유에 따른다.
장력 50상태로 스텝 S56에서 실절단을 행한다. 이어서 스텝 S57에서 실풀어내는 기구의 유무를 확인하고, 실풀어내는 장치(30)가 있는 것으로 스텝 S58로 이행하며, 여기서 도 8의 스텝 S3에서 설정한 데이터(5)의 설정량으로 실을 풀어내고 봉제를 종료한다. 스텝 S57에서 실풀어내는 장치가 없다고 판정하면 그 대로 봉제를 종료한다.
이상의 재봉틀(10)에 의하면 실텐션 장치(20)의 구동원으로서 실텐션 모터(41)를 이용하여, 바늘봉의 기계적인 상하이동에 연동시키는 것이 아닌 마이크로 컴퓨터(50)로 구동제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봉제의 상황에 따른 여러가지 타이밍으로 실장력값을 원하는 값으로 바꿀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보턴다는 공정의 세번째 땀 ~ 아홉번째 땀에 있어서 루프의 결절시에 맞추어 위상 320도의 타이밍으로 실장력을 최대치의 100에서 30으로 내리고 있지만 보턴마무리 공정에서는 루프의 결절이 늦기 때문에 위상 330도에서 10에서 20으로 내리고 있다. 또 그 값도 천에 바늘(11)을 통과하도록 하여 저항이 큰 보턴다는 공정에서는 약간 높은 30으로 하고, 천에 바늘(11)을 지나지 않는 보턴마무리 공정에서는 20으로 낮게 제어한다.
또 보턴다는 공정·보턴마무리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첫땀, 두번째 땀, 세번째 땀 ~ 아홉번째 땀, 열번째 땀의 각각에서 장력값, 변경의 유무, 변경의 타이밍에 대해 적절하게 제어하고 있다.
즉 재봉틀(10)에서는 1 바늘의 왕복동작중에서 임의의 타이밍으로 원하는 값으로 장력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턴다는 공정 및 보턴마무리 공정 각각에 적합한 타이밍으로 또는 1바늘마다의 봉제상황 또한 보턴의 종류 등의 봉제조건 등에 따라 최적인 타이밍으로 원하는 실장력으로 제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질적으로 높은 봉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봉제시작 시에 첫땀 및 두번째 땀의 루프가 결절할 때 까지 최대장력 100을 걸고 있기 때문에 재봉시작의 잔실길이는 그 전의 실을 풀어내는 것으로 풀어 둔 실길이에 따른 길이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봉제시작단계에서 장력이 개방되어 버려 실공급원으로부터 풀려나와 잔실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봉제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이 점에 있어서도 완성된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또 종래와 같이 다수의 실텐션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실텐션 모터(41)만으로 실장력을 바꾸므로 빈틈없는 제어가 가능한 것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봉제패턴을 여러조 기억할 수 있고 이를 입력장치(53)에 의해 불러내는 것으로 작업자가 봉제마다 설정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정해진 봉제패턴으로 봉제할 수 있다.
또 실을 풀어내는 것에 대해서도 펄스모터(42)를 배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0)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보턴을 달기 위한 실의 풀어내는 양, 보턴마무리를 위한 실 풀어내는 양의 각각을 설정한 것과 같이 공정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풀어내는 양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강한 실장력을 필요로 할 때 그에 따른 큰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큰 모터를 사용하면 그 만큼 모터의 기계적 시정수가 늘어나 정해진 시간내에 모터의 동작이 완료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실텐션 접시(21)의 지지판(25)과 앞판(26)사이에서 실(T)을 실안내(22)로 되접어 대략 평행하게 2열이 된 상태에서 끼우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같은 장력을 얻는 데 모터의 출력은 종래의 1/2이면 된다. 따라서 큰 장력을 얻는 경우에도 비교적 소형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따라 모터의 응답성도 빨라진다. 덧붙여 가령 실안내(22)로 되접지 않고 실텐션 접시(21)의 한쪽에만 실(T)을 통과시킨 경우 예를들면 돌출핀(25a)과 모터축(41a)사이에만 실(T)을 협지시켰다고 하면 지지판(25)과 앞판(26)과의 간격은 모터축(41a)과 돌출핀(25a)사이와, 모터축(41a)과 돌출핀(25)사이에서는 실(T)의 굵기만큼의 차가 발생한다. 이 때 강한 장력을 걸면 앞판(26)과 지지판(25) 사이가 경사져 평행하지 않게 되고 실(T)에 대해 외측으로 놓치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축(41a)의 양쪽을 지나는 것으로 강한 장력을 걸어도 실에 외측으로 놓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보턴을 다는 것이나 보턴마무리 공정에서의 실텐션 장치나 실풀어내는 장치의 동작타이밍이나 장력의 크기, 바늘 수 등의 구체적인 숫자는 도 12에 도시하는 타이밍챠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텐션 장치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로서는 상기 실시예 이외의 각종 모터나 하기에 설명하는 추력이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특정스트로크구간을 갖는 솔레노이드(70)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6에 있어서 솔레노이드(70)는 기틀(71), 코일용 프레임(72), 코일(73), 플랜져(74) 및 자성부재(75) 등으로 구성된다. 플랜져(74)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회전불가능하도록 베어링(71a)(71b)에 지지된다. 플랜져(74)에 고착된 자성부재(75)는 원통형상으로 그 일부에 축심으로부터의 지름을 바꾸는 단부(7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형상에 의해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플랜져(74)의 추력이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특정스트로크구간이 얻어진다.
이 솔레노이드(70)는 구동전류가 일정할 때 스트로크추력으로 도 17의 히스테리시스 커브에 도시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추력이 플랜져(74)의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특정스트로크구간(W)이 얻어진다. 이 구간이면 플랜져(74)의 스트로크를 Sp, 플랜져(74)의 추력을 Fp, 솔레노이드(70)에 인가되는 전류를 Cs, 스트로크와 추력의 미소변화량을 △Sp, △Fp로 한 경우 Cs = 일정할 때 △Fp/△Sp≒0이다.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으로 통전량이 일정해도 가동부의 스트로크에 의해 추력이 변화하므로 이와같은 솔레노이드를 실텐션에 이용하면 실의 굵기에 의해 실장력이 변화하여 안정된 실장력을 얻을 수 없지만 추력이 스트로크에 의하지 않는 특정의 스트로크구간을 갖는 상기 솔레노이드(70)를 이용하여 이 결점을 해소한 실텐션 장치의 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실텐션 장치(80)는 솔레노이드(70), 실텐션축(81), 가동접시(82a)와 고정접시(82b)로 이루어지는 텐션접시(82), 베이스판(83), 베이스판(83)을 솔레노이드(70)에 고정하는 부착나사(88) 및 (89), 실텐션축 넛트(84), 좌금(85)(87)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텐션스프링(86)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 실텐션 장치(8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특정스트로크구간(W)만을 이용하여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텐션접시(82)에 작용할 수 있는 상태 의 플랜져(74)의 스트로크구간이 상기 특정스트로크구간(W)에 포함되도록 넛트(84)의 체결위치가 설정된다. 여기서 플랜져(84)가 텐션접시(82)에 작용하는 상태라 함은 가동접시(82a)와 고정접시(82b)가 실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히 접촉한 상태로부터 실이 가동접시(22a)와 고정접시(22b)사이에 끼워진 상태까지를 말한다.
또 솔레노이드(70)에 출력되는 구동전류가 커짐에 따라 추력이 커진다. 솔레노이드(70)는 코일(72)에 통전하는 것으로 실텐션축(81)을 끌어넣는(실에 장력을 부여한다)방향으로 부착되고, 구동전류의 증대에 따라 실텐션축(81)에 의해 부여되는 실장력이 커진다. 즉 실텐션 장치(80)에서는 구동전류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만 실장력이 바뀌도록 되어있고 제어회로(40)로부터의 전류지령신호에 의해 실텐션 구동회로(46)를 통해 전류치는 제어된다.
이상구성의 실텐션 장치(80)는 가동접시(82a)와 고정날(82b)사이에 실을 끼운 상태에서 제어된 구동전류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70)의 추력에 의해 실텐션축(81)을 구동하고, 실텐션축(81)과 베이스판(83)에 의해 가동접시(82a)와 고정접시(82b)사이의 실을 끼우는 힘을 변화시켜 실장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텐션 장치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솔레노이드를 대신하여 일본특허공개공보 평 9-22039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보이스코일 모터를 이용한 실텐션 장치로 하고, 보이스코일 모터의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장력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의 장력기억수단, 변경시기 기억수단, 풀어내는 양 기억수단은 재봉틀 내장의 기억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기억매체 등이라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