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945A - 캔 리드 및 이를 갖는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리드 및 이를 갖는 캔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4945A KR20070104945A KR1020077021680A KR20077021680A KR20070104945A KR 20070104945 A KR20070104945 A KR 20070104945A KR 1020077021680 A KR1020077021680 A KR 1020077021680A KR 20077021680 A KR20077021680 A KR 20077021680A KR 20070104945 A KR20070104945 A KR 200701049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
- lead
- tab
- center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9—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beneath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탭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적절히 탭을 끌어올리는 캔 리드와, 이러한 캔 리드가 장착된 캔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캔 리드 (1) 는 개봉시에 개구되는 개구부 (5) 를 갖는 캔 리드 본체 (3), 및 이 캔 리드 본체 (3) 에 고정되는 탭 (9)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탭 (9) 은 개봉자가 개봉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업 부분 (9a) 를 포함하고, 상기 캔 리드 본체 (3) 는 상기 풀업 부분 (9a) 의 중앙에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하는 가이드부 (lOa)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캔 리드, 및 캔 리드가 장착된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 리드의 개구부가 탭이라고 하는 것을 끌어 올림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유형의 캔 리드, 및 이러한 캔 리드가 장착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청량 음료, 알콜 음료, 나아가 식품 등을 수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캔 용기는, 저부를 갖는 실린더형 캔 본체와, 캔 본체의 개구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원반상의 캔 리드를 포함한다. 최근, 이러한 캔 용기에 사용되는 캔 리드로서 개봉 후에도 탭과 캔 리드를 부분적으로 연결하게 하는, 특정 유형의 탭, 즉 소위 스테이온 (stay-on) 식 탭이 많이 채용되어 있다. 이 스테이온식 탭은 캔 리드 본체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리벳을 통하여 캔 리드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리벳에 의한 탭의 고정에 있어서, 리벳의 고정력이 불량한 경우, 탭이 리벳을 중심으로서 캔 리드 본체와 평행, 즉 실질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쉽게 회전해 버린다. 이것은, 이른바 "탭 회전"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탭 회전은, 제조 공정 및/또는 포장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개봉자가 탭의 리프트업 부분의 중앙부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탭을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탭 회전이 생기면, 개구부 (티어-스트립) 와 탭 첨단부 (탭 노우즈) 의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탭 노우즈는 개봉시에 개구부에 대해서 힘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위치 관계에서의 임의의 변화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탭 회전이 발생하면, 탭 노우즈가 개구부로부터 빗나갈 수 있어, 개구가 곤란해져 개구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탭 회전을 방지하는 여러 가지 수단이 이용되어 있다. 하나의 예로서는, 비원형 모양의 리벳을 이용해 탭 회전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리벳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탭을 회전시킬 수 있는 큰 힘이 탭에 가해져도, 탭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리벳 형상 이외의 다른 양태에 대해 종래의 설계를 이용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탭 딤플로 불리는 돌기부를 캔 리드에 마련한 한 유형의 캔 리드, 및 리벳의 유리하게 변경된 가압량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른 유형의 캔 리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도 6 은 탭 (59) 의 풀업 부분 (59a) 에 인접한 캔 리드 본체의 영역에 손가락 삽입 오목부 (58) 를 형성한 종래 기술을 나타낸다. 손가락 삽입 오목부 (58) 는 개봉자가 탭 (59) 의 풀업 부분 (59a) 에 용이하게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062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96349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일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리벳의 단면 형상을 비원형 모양으로 형성하려면, 상기 리벳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다이를 특수한 형상으로 변경해야 한다. 더욱이, 탭이 설계상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회전 위치에 리벳으로 고정되었을 경우, 개봉자가 실제 탭 회전을 알 수 있어도, 탭 회전을 더 이상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탭 딤플로 불리는 돌기를 캔 리드 본체에 형성했다고 해도, 탭을 조금만 끌어 올리면 탭은 돌기로부터 멀어져 버려, 이 상태로 탭에 회전력이 더해져 탭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리벳의 가압량을 유리하게 변경하였다고 해도, 리벳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한은, 탭 회전은 완전하게 제거될 수 없다.
더욱이, 손가락 삽입 오목부를 형성했다고 해도, 손가락 삽입 오목부는 소정 폭을 가지고 있어, 개봉자의 손가락이 탭의 풀업 부분의 중앙에 유도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탭 회전을 완전하게 막을 수 없다.
본건 발명은 종래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은 리벳의 단면 형상 등의 독창적인 변경을 실시하지 않고서도, 탭을 그 적절한 위치에서 끌어올리면, 탭 회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봉시에 개봉되는 개구부를 갖는 캔 리드 본체와, 이 캔 리드 본체에 고정되는 탭으로 이루어지는 캔 리드에 있어서, 상기 탭은 개봉자가 개봉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업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캔 리드 본체는 상기 풀업 부분의 중앙에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 대신 또는 그 가이드부와 조합하여, 캔 리드 본체에 풀업 부분의 중앙에 개봉자의 손가락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캔 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캔 용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자의 손가락이 탭의 풀업 부분의 중앙에 적절히 유도되므로, 탭 회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익하게는, 시력이 나쁜 개봉자가 취급하는 경우에도, 개봉자의 손가락이 적절히 유도되기 때문에, 개봉자는 탭을 적절히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탭 회전이 생긴 상태에서 탭이 고정되는 경우에도, 리벳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기 때문에 개봉자가 스스로 탭 회전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벳의 단면이 비원형의 경우는 수정 불가능).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캔 리드를 나타내며, 도 1 의 (A) 는 평면도이며, 도 1 의 (B) 는 도 1 의 (A) 의 Xl-Xl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캔 리드를 나타내며, 도 2 의 (A) 는 평면도이며, 도 2 의 (B) 는 도 2 의 (A) 의 X2-X2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캔 리드를 나타내며, 도 3 의 (A) 은 평면도이며, 도 3 의 (B) 는 도 3 의 (A) 의 X3-X3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캔 리드의 부분 평면도로서, 도 4 의 (A) 는 제 2 실시예, 도 4 의 (B) 는 제 3 실시예, 도 4 의 (C)는 제 4 실시예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캔 리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캔 리드를 나타내며, 도 6 의 (A) 은 평면도이며, 도 6 의 (B) 은 도 6 의 (A) 의 X4-X4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캔 리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캔 리드 3, 13, 23 캔 리드 본체
5, 15, 25 개구부 7, 17, 27 리벳
9, 19, 29 탭 9a, 19a, 29a 풀업 부분
10, 20 가이드부 10b 가이드면
10c 사선 10d 가이드벽
30 위치 결정부
[제 1 실시형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캔 리드이며, 도 1 의 (A) 는 평면도, 도 1 의 (B) 는 도 1 의 (A) 의 Xl-Xl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도시된 캔 리드는 일례로서 음료용의 캔 용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의 (B)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캔 리드의 각 부분의 두께를 과장해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알루미늄이나 스틸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얇은 부재이다.
[전체 개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리드 (1) 는 개봉시에 탭을 형성하도록 개구되는 개구부 (5) 를 포함하는 원형의 캔 리드 본체 (3) 와 캔 리드 본체 (3) 에 리벳 (7) 으로 고정된 탭 (9) 을 갖는다. 탭의 후단(도 1 의 (A) 에서는 탭의 우단) 은 개봉자가 손가락을 걸어 끌어올리는 풀업 부분 (9a) 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캔 리드 본체 (3) 에 있어서의 풀업 부분 (9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적절하게 설계된 가이드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술한다.
[캔 리드 본체]
상기된 바와 같이, 캔 리드 본체 (3) 는 평면 형상이 원형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부를 갖는 원통형의 캔 본체의 개방부를 밀봉하게 되어 있다. 캔 리드 (1) 의 주위는 캔 본체와 접합하기 위한 접힘 (turn-back) 부분 (3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반환 부분 (3a) 의 내측에는 소정의 홈 (3b) 이 형성되어 있 다. 단, 이 홈 (3b) 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홈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부로 제공되며, 그 평면부의 내측에 배치된 캔 리드 (3) 의 중앙 영역은, 단차부 (3d) 를 통하여 평면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 캔 리드 (3) 의 상기 중앙 영역에는, 개봉시에 탭을 형성하도록 개구되는 개구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5) 는 첨단부 (도 1 의 (A) 에서는 좌단) 로부터 캔 리드 (3) 의 중앙 영역을 향해 신장하는 부분 타원 외곽을 취하는 스코어 (3c) (표시) 를 따라 절단 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코어 (3c) 는 개구부 (5) 의 주위 전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 (5) 는 개봉 후에도 캔 리드 본체 (3) 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탭]
다음으로, 캔 리드 본체 (3) 에 고정되고 있는 탭 (9) 이 설명된다. 탭 (9) 은 전단 (도 1 의 (A) 에서는 좌단) 이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고, 후단 (도 1 의 (A) 에서는 우단) 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탭의 전단은 개구부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탭의 풀업 동작에 의해 개구부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한편, 탭 (9) 의 후단은 풀업 부분 (9a) 을 형성하여, 개봉자가 개봉 시에 손가락을 걸어 끌어올리는 부분이 된다. 탭 (9) 은 고정부 (9b) 를 통하여 후술하는 리벳 (7) 에 의해 캔 리드 본체 (3) 에 고정되어 있다. 리벳 (7) 의 주위로 탭 (9) 의 풀업 부분 (9a) 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반원형의 슬릿 (9c)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탭 (9) 에는 풀업 부분 (9a) 에 인접한 위치에서 손가락 걸림 슬롯 (9d)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다음으로 가이드부 (10) 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부 (10) 는 풀업 부분 (9a) 에 인접한 캔 리드 본체 (3) 의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에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는 주위의 부분보다 오목한 부분이다. 이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는 가이드부 (10) 가 부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이드부 (10) 에는, 풀업 부분 (9a) 의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된 정점 (lOa) 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경사 가이드면 (lOb) 과, 이 가이드면의 각 사선 (10c) 에 연결되는 가이드벽 (10d) 이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며,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의 후단 (도 1 의 (A) 에서는 우단) 이 가장 깊은 함몰부이며, 이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의 후단으로부터 풀업 부분 (9a) 의 중심으로 향해 서서히 함몰이 얕아져 간다. 그리고, 풀업 부분 (9a) 의 근방에서 함몰이 가장 얕아진다 (도 1 의 (B) 참조). 이러한 구성과 관련하여, 각 사선 (10c) 에 연결되는 각 가이드벽 (10d) 은 개봉자의 손가락을 풀업 부분 (9a) 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정점 (lOa) 으로 향해 서서히 그 상호간 거리가 좁아진다.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면 (lOb) 는 정점 (lOa) 으로 향해 함몰이 얕아지도록,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정점으로 향해 함몰이 점점 깊어지는 경사 가이드면과, 이 가이드면에 연결되는 가이드벽이 가이드부 (10) 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 (10) 는 캔 리드 본체 (3) 와 동시에 다이 등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캔 리드 본체 (3) 의 성형 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리벳]
다음으로, 리벳 (7) 에 대해 설명한다. 리벳 (7) 은 탭 (9) 을 캔 리드 본체 (3) 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리벳 (7) 은 캔 리드 본체 (3) 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탭 (3) 을 고정하기 전의 리벳 (7) 은 캔 리드 본체 (3) 의 중앙 부분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는 원주 형상이다. 그리고, 이 원주 형상의 리벳에 탭을 넣고, 리벳을 눌러, 도 1 에 나타내는 것 같은 리벳 (7) 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벳 (7) 의 단면은 원형 형상이므로, 제조 공정에서 탭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개봉자가 스스로 탭 회전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리벳의 단면 형상을 타원 형상으로 하는 종래 기술과는 크게 상이한 점이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리드 (3) 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서는 캔 리드 (3) 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래는 캔 본체 (도시 생략) 와 결합되어 캔 용기가 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캔 본체가 이미 결합된 캔 리드를 설명한다.
먼저, 개봉자는 손으로 캔 본체을 잡아 캔 용기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개봉자는 탭 (9) 의 풀업 부분 (9a) 에 손가락을 거는 시도를 한다. 이때, 풀업 부분 (9a) 의 근방에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 (8)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봉자의 손가락은 풀업 부분 (9a) 의 근방으로 유도된다. 더욱이, 손가락 삽입 오목 부 (8) 에는 가이드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봉자가 손가락을 풀업 부분 (9a) 에 근접시키려고 하면, 가이드부 (10) 의 경사에 의해 손가락이 가이드부 첨단 (lOa) 부근으로 유도된다. 가이드 첨단 (lOa) 은 풀업 부분 (9a) 의 중앙 부근에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개봉자의 손가락 끝은 당연하게 풀업 부분 (9a) 의 중앙 부근으로 이끌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봉자는 풀업 부분 (9a) 에 손가락을 걸어 탭 (9) 을 끌어올린다. 탭 (9) 에는, 상기한 것처럼 반원형의 슬릿 (9c)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업 부분 (9a) 의 풀업 동작에 따라, 탭 (9) 가 리벳 (7) 부근을 중심으로서 회전운동해 끌어 올려진다. 그 결과, 탭 (9) 의 첨단부가 개구부 (5) 를 이래로 누를 수 있게 된다. 개구부 (5) 를 아래로 누르면, 개구부 (5) 는 스코어를 따라 파단되어 탭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캔 리드 (1) 에서는, 개봉자의 손가락이 가이드부 (10) 에 의해 가이드 풀업 부분 (9a) 의 중앙에 유도되기 때문에, 탭 (9) 을 적절히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탭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 유익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부 (10) 가 탭 (9) 의 풀업 부분 (9a) 의 중앙에 정점이 근접하는 삼각형상의 경사 가이드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풀업 부분 (9a) 의 후단이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면의 정점과 풀업 부분 사이의 위치 관계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어, 탭 회전이 발생해도 즉시 알아낼 수가 있다. 이러한 양태는 도 7 에 도시된 것 같은, 탭 (69) 의 풀업 부분 (69a) 이 원형 모양인 캔 리드 (61) 의 경우와 비교해 큰 특징이다. 또한, 탭 (9) 의 풀업 부분 (9a) 의 중앙에 홈 등의 표시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더욱 탭 (9) 의 위치 관계 (탭 회전) 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 에 기초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캔 리드 (11)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캔 리드 (11) 에서는, 가이드부 (20) 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 (20) 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 (18) 에 형성된 두 개의 단차면을 제공하는데, 이 단차면 사이의 거리는 풀업 부분 (19a) 의 중앙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 (18) 의 후단 (도 2 (B) 에서 우측단) 으로부터 풀업 부분 (19a) 에 인접한 영역을 향해 신장하는 두 개의 단차면이 사다리꼴을 형성되도록 신장되어 있다. 제 1 의 실시형태와는 다르게 가이드부 (20) 의 함몰의 깊이는, 풀업 부분 (19a) 에 인접한 영역에 가까워져도 변화하지 않는다. 여기서, 단차면이란, 수직면뿐만 아니라, 경사면도 포함하는 단차면을 말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 (20) 가 사다리꼴 상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자가 손가락 삽입 오목부 (18) 에 손가락을 넣어 풀업 부분 (19a) 에 근접시키면, 손가락은 단차면에 의해 유도되어 풀업 부분 (19a) 의 중앙에 걸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풀업 부분 (19a) 을 끌어올리면, 탭 회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가이드부는 사다리꼴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삼각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탭 (19) 의 풀업 부분 (19a) 의 중앙에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에 기초하여 제 3 실시형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캔 리드 (21)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캔 리드 (21) 의 주요한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제 1 실시예로는 제 1 실시형태의 가이드부 (10) 대신 위치 결정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 (30) 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 (28) 에 형성된 부가의 오목부이고, 풀업 부분 (29a) 의 중앙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 (30) 는 타원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그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원하면, 위치 결정부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 (28) 보다 조금 더 파여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 (30) 가 오목부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개봉자가 손가락 삽입 오목부 (28) 에 손가락을 넣어 풀업 부분 (29a) 에 근접시키면, 위치 결정부 (30) 가 풀업 부분 (19a) 의 중앙에 손가락을 거는 것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상태로 풀업 부분 (29a) 을 끌어올리면, 탭 회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 의 (A) 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부 (30a) 는 탭 (29) 의 풀업 부분의 중앙 근방에만 형성된 두 개의 단차면을 제공한다. 이 단차면은 그 사이의 거리가 풀업 부분 근방을 향해 서서히 좁아지고, 두 면이 풀업 부분의 근방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 삼각형의 정점 처럼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이들 각 단차면에 의해 개봉자의 손가락 끝이 풀업 부분의 중앙에 위치 결정 된다.
다음에, 도 4 의 (B) 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예 따른 위치 결정부 (30b) 는 또한, 탭 (29) 의 풀업 부분의 중앙 근방에만 형성된 두 개의 단차면을 제공한다. 이들의 단차면은 그 사이의 거리가 풀업 부분을 향해 서서히 좁아지지만, 풀업 부분 근방에서, 소정의 간격만으로 서로 떨어져, 사다리꼴 처럼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각 단차면에 풀업 부분의 중앙에서 개봉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걸림 동작이 촉진될 수 있다.
더욱, 도 4(C) 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치 결정부 (30c) 는, 손가락 삽입 오목부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탭 (29) 의 풀업 부분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손가락 삽입 오목부의 폭이 좁아지고 있어, 이 폭의 좁은 위치 결정부에 개봉자의 손가락 끝을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10) 를 대신해 위치 결정부 (30) 를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가이드부 (10) 와 조합하여 위치 결정부 (30) 가 부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 (10) 와 위치 결정부 (30) 의 조합에 의해 캔 리드를 구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탭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 (40) 를 형성하는 단차면과 위치 결정부 (30d) 를 형성하는 단차면을 조합하여 캔 리드를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상기한 각 캔 리드 (1, 11, 또는 21) 를 이용한 캔 용기이다. 상기한 것처럼, 캔 리드는 저부를 갖는 원통형의 캔 본체와 결합되어 캔 용기를 형성한다. 캔 리드를 캔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캔 본체의 개방단에 캔 리드가 배치되고, 캔 리드의 주위는 캔 본체의 개방단과 함께 반환된다.
본 발명은 음료용의 캔 용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식료품이나 조미료의 캔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식료품의 캔 용기는, 캔 리드의 거의 전면이 캔 용기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탭을 끌어올려 개봉하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풀업 부분의 중앙 근방에 가이드부 및/또는 위치 결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나 식료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캔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 개봉시에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 캔 리드 본체, 및 이 캔 리드 본체에 고정되는 탭을 포함하는 캔 리드에 있어서,상기 탭은 개봉자가 개봉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업 부분를 포함하며,상기 캔 리드 본체는 상기 풀업 부분의 중앙으로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에 근접하여 위치된 정점을 갖는 삼각형상을 형성하는 경사 가이드면, 및 이 가이드면의 각 사선에 연결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을 향해 두 개의 단차면 간의 거리가 서서히 좁아지도록 신장하는 두 개의 단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개봉시에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 캔 리드 본체, 및 이 캔 리드 본체에 고정되는 탭을 포함하는 캔 리드에 있어서,상기 탭은 개봉자가 개봉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업 부분를 포함하며,상기 캔 리드 본체는 상기 풀업 부분의 중앙에 개봉자의 손가락을 위치 결정 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리드 본체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으로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에 근접하여 위치된 정점을 갖는 삼각형상을 형성하는 경사 가이드면, 및 상기 가이드면의 각 사선에 연결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리드 본체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으로 개봉자의 손가락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풀업 부분의 상기 중앙을 향해 두 개의 단차면 간의 거리가 서서히 좁아지도록 신장하는 두 개의 단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부분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리드.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캔 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047305 | 2005-02-23 | ||
JP2005047305A JP4490847B2 (ja) | 2005-02-23 | 2005-02-23 | 缶蓋及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
PCT/JP2005/023506 WO2006090525A1 (ja) | 2005-02-23 | 2005-12-21 | 缶蓋及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4945A true KR20070104945A (ko) | 2007-10-29 |
KR101172337B1 KR101172337B1 (ko) | 2012-08-14 |
Family
ID=3692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1680A KR101172337B1 (ko) | 2005-02-23 | 2005-12-21 | 캔 리드 및 이를 갖는 캔 용기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9010561B2 (ko) |
EP (2) | EP2186739B1 (ko) |
JP (1) | JP4490847B2 (ko) |
KR (1) | KR101172337B1 (ko) |
CN (1) | CN101128361B (ko) |
AT (1) | ATE521543T1 (ko) |
AU (1) | AU2005328082B2 (ko) |
ES (2) | ES2423293T3 (ko) |
HK (1) | HK1111966A1 (ko) |
TW (1) | TW200630274A (ko) |
WO (1) | WO20060905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79802B2 (ja) * | 2007-03-30 | 2012-02-22 |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 缶蓋及び缶蓋の製造方法 |
JP4979128B2 (ja) * | 2007-09-11 | 2012-07-18 | 大和製罐株式会社 | 開口容易缶蓋 |
USD637489S1 (en) | 2010-12-10 | 2011-05-10 | Pactiv Corporation | Pull grip feature of a container lid |
USD638704S1 (en) | 2010-12-10 | 2011-05-31 | Pactiv Corporation | Container lid |
JP6009910B2 (ja) * | 2012-11-07 | 2016-10-19 |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 缶蓋および飲料缶 |
CN105228911B (zh) * | 2013-03-14 | 2018-08-28 | 皇冠包装技术公司 | 具有抗张力刻痕的排出型饮料罐端部 |
ES2810864T3 (es) * | 2017-04-05 | 2021-03-09 | Gregor Anton Piech | Tapa de lata metálica |
US10894630B2 (en) * | 2017-08-30 | 2021-01-19 |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 Pressure can end compatible with standard can seamer |
JP7472785B2 (ja) * | 2018-04-03 | 2024-04-23 | 東洋製罐株式会社 | 缶蓋 |
JP7242193B2 (ja) * | 2018-04-27 | 2023-03-20 | 大和製罐株式会社 | タブ、缶蓋及び缶蓋の製造方法 |
CN108995949B (zh) * | 2018-07-05 | 2023-11-10 | 厦门保沣集团有限公司 | 一种易拉罐盖以及一种易拉罐盖的拉环的加工方法 |
US20230130506A1 (en) * | 2021-10-26 | 2023-04-27 | HEX20, Inc. | Beverage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37227A (en) * | 1968-02-21 | 1969-04-08 | Continental Can Co | Easy opening container |
US3744666A (en) * | 1971-12-27 | 1973-07-10 | Aluminum Co Of America | Easy opening device in a container wall |
US3900128A (en) * | 1973-03-30 | 1975-08-19 | Fraze Ermal C | Easy open can end resistant to pressure |
GB1540229A (en) * | 1974-12-04 | 1979-02-07 | Reynolds Metals Co | Easy-open container wall |
AU1467476A (en) * | 1975-07-16 | 1977-12-15 | Crown Cork & Seal Co | Easy-opening can end |
US3989161A (en) | 1976-03-03 | 1976-11-02 | American Can Company | Container end closure |
JPS5652978A (en) | 1979-10-08 | 1981-05-12 | Hitachi Ltd | Skew generating position detection circuit |
JPS56104763A (en) | 1980-01-21 | 1981-08-2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anufacture of inorganic hardened body |
US4367996A (en) * | 1981-02-11 | 1983-01-11 | National Steel Corporation | Tab opener end closure assembly method |
JPS5812144U (ja) * | 1981-07-16 | 1983-01-26 | 東洋製罐株式会社 | 開口容易な缶蓋 |
US4417668A (en) * | 1981-09-03 | 1983-11-29 | Stol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 Easy open can end with pull tab having retained tear strip with stress relief means |
US4397403A (en) * | 1981-09-18 | 1983-08-09 | Guimarin Container Co., Incorporated | Container opening apparatus with captured tab |
US4524879A (en) * | 1984-06-18 | 1985-06-25 | Van Dorn Company | Can end pour spout and pull tab construction |
JPH02502814A (ja) * | 1987-01-23 | 1990-09-06 | ウイアトン・スチール・コーポレーシヨン | 酷使に耐え、安全な縁を有し、制御された開口の、便利な特徴を有する閉鎖体 |
US5038956A (en) * | 1988-01-22 | 1991-08-13 | Weirton Steel Corporation | Abuse resistant, safety-edge, controlled-opening convenience-feature end closures |
JPH035982A (ja) | 1989-06-02 | 1991-01-11 | Nec Corp | 磁気ヘッド保護具 |
JPH0754623Y2 (ja) * | 1989-06-02 | 1995-12-18 |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 プランジャポンプ |
JPH0314455A (ja) * | 1989-06-06 | 1991-01-23 | Kazuo Ariyoshi | 飲用缶の栓抜き用凹み |
JPH0352786A (ja) | 1989-07-18 | 1991-03-06 | Sumitomo Metal Ind Ltd | 管内面肉盛溶接方法 |
JPH0352786U (ko) * | 1989-09-29 | 1991-05-22 | ||
JPH0380678U (ko) * | 1989-11-30 | 1991-08-19 | ||
US5062542A (en) * | 1989-12-13 | 1991-11-05 | City Of Hope | Easy-open and reclosable container |
JPH0829781B2 (ja) * | 1990-11-28 | 1996-03-27 | 東洋製罐株式会社 | 耐衝撃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5129541A (en) * | 1991-06-04 | 1992-07-14 | Buhrke Industries, Inc. | Easy open ecology end for cans |
JPH0589231A (ja) | 1991-09-30 | 1993-04-09 | Toshiba Corp | 画像読取装置 |
JPH0589231U (ja) * | 1992-05-19 | 1993-12-07 | 北海製罐株式会社 |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
US5224618A (en) * | 1992-06-22 | 1993-07-06 | Garbiso Michael J | Easy opening tab for container |
JPH0829781A (ja) | 1994-07-15 | 1996-02-02 | Toshiba Corp | 液晶表示装置 |
JPH08169445A (ja) * | 1994-12-19 | 1996-07-02 | Hirofumi Tsumeta | プルタブ缶 |
JPH0986538A (ja) * | 1995-09-21 | 1997-03-31 | Satoru Yamaguchi | 開口容易形缶蓋 |
US6050440A (en) * | 1996-01-05 | 2000-04-18 | Aluminum Company Of America | Easy open container end, method of manufacture, and tooling |
JPH11105870A (ja) * | 1997-10-02 | 1999-04-20 | Akira Ishida | 飲料缶の開口装置 |
JPH11321862A (ja) * | 1998-05-18 | 1999-11-24 | Kyo Meifu | ステイオンタブらくらく蓋開けの構造 |
JP2000043864A (ja) * | 1998-07-30 | 2000-02-15 | Kenji Yanagimachi | 上面部のタブ付近を深くくぼませた缶 |
US6202881B1 (en) * | 1998-10-22 | 2001-03-20 | Charles N. Chiang | Beverage container with easy cleaning upper panel |
US6138856A (en) * | 1999-04-29 | 2000-10-31 | Ghim; Yongjae | Container end closure |
JP2001130560A (ja) * | 1999-11-10 | 2001-05-15 | Masahito Kitami | プルトップ付き缶 |
JP2002059928A (ja) * | 2000-08-16 | 2002-02-26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缶 蓋 |
JP2002179062A (ja) | 2000-12-08 | 2002-06-26 | Asahi Beer Eng:Kk | タブの取付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缶蓋 |
JP4828693B2 (ja) * | 2000-12-15 | 2011-11-30 | 俊介 細川 | 極短パルス高電圧加電式ガス浄化方法 |
US6443323B1 (en) * | 2001-01-11 | 2002-09-03 | Mark V. Derose | Protective seal for cans |
JP2004196349A (ja) | 2002-12-18 | 2004-07-15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缶蓋 |
JP2004210318A (ja) * | 2002-12-27 | 2004-07-29 | Jutaro Akita | プルトップ式缶 |
-
2005
- 2005-02-23 JP JP2005047305A patent/JP4490847B2/ja active Active
- 2005-12-21 ES ES10155030T patent/ES2423293T3/es active Active
- 2005-12-21 AT AT05820350T patent/ATE52154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2-21 AU AU2005328082A patent/AU2005328082B2/en not_active Ceased
- 2005-12-21 US US11/884,671 patent/US901056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1 KR KR1020077021680A patent/KR1011723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12-21 ES ES05820350T patent/ES2367579T3/es active Active
- 2005-12-21 EP EP10155030.9A patent/EP218673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12-21 WO PCT/JP2005/023506 patent/WO200609052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12-21 CN CN2005800486076A patent/CN101128361B/zh active Active
- 2005-12-21 EP EP05820350A patent/EP185472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
- 2006-01-03 TW TW095100178A patent/TW200630274A/zh unknown
-
2008
- 2008-06-24 HK HK08107007.8A patent/HK1111966A1/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111966A1 (en) | 2008-08-22 |
CN101128361A (zh) | 2008-02-20 |
EP1854729A1 (en) | 2007-11-14 |
US20100032433A1 (en) | 2010-02-11 |
EP1854729B1 (en) | 2011-08-24 |
ES2367579T3 (es) | 2011-11-04 |
JP2006232306A (ja) | 2006-09-07 |
TW200630274A (en) | 2006-09-01 |
EP2186739B1 (en) | 2013-07-17 |
ATE521543T1 (de) | 2011-09-15 |
JP4490847B2 (ja) | 2010-06-30 |
CN101128361B (zh) | 2011-01-26 |
EP1854729A4 (en) | 2009-05-13 |
ES2423293T3 (es) | 2013-09-19 |
US9010561B2 (en) | 2015-04-21 |
TWI374838B (ko) | 2012-10-21 |
AU2005328082A1 (en) | 2006-08-31 |
KR101172337B1 (ko) | 2012-08-14 |
WO2006090525A1 (ja) | 2006-08-31 |
AU2005328082B2 (en) | 2012-07-05 |
EP2186739A1 (en) | 2010-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2337B1 (ko) | 캔 리드 및 이를 갖는 캔 용기 | |
EP2611705B1 (en) | 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 |
DK3116798T3 (en) | DRINK BOXING WITH BREATHING | |
CA1051277A (en) | End panel for nested tab safety closure | |
JP5554903B2 (ja) | 缶容器用包装体 | |
KR20150030128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US3869063A (en) | Easy opening closure for containers | |
JP2002362553A (ja) | シーソー型プルタブの缶蓋 | |
EP2426058A1 (en) | Self-closing can for a food product | |
JP4975320B2 (ja) | 缶蓋及び缶 | |
KR102164757B1 (ko) | 캔 뚜껑 | |
JP3137912U (ja) | プルトップ式缶の開栓構造 | |
JP5246858B2 (ja) | 開口容易缶蓋 | |
WO2019091252A1 (zh) | 防伪盖 | |
US6793089B1 (en) | Can with improved opening structure | |
JP2001130560A (ja) | プルトップ付き缶 | |
JP2001206415A (ja) | キャップ | |
JPH0744595Y2 (ja) |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 |
KR200175468Y1 (ko) | 개방이 용이한 캔 | |
KR200352952Y1 (ko) | 오픈 기능성이 향상된 캔뚜껑의 구조 | |
JP6808327B2 (ja) | 缶蓋 | |
JP2539915Y2 (ja) | 缶 蓋 | |
JP2015137132A (ja) | 缶蓋と回転式タブ | |
JP2539914Y2 (ja) | 缶 蓋 | |
JP5542257B2 (ja) | 容器の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