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57B1 - 캔 뚜껑 - Google Patents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57B1
KR102164757B1 KR1020197008001A KR20197008001A KR102164757B1 KR 102164757 B1 KR102164757 B1 KR 102164757B1 KR 1020197008001 A KR1020197008001 A KR 1020197008001A KR 20197008001 A KR20197008001 A KR 20197008001A KR 102164757 B1 KR102164757 B1 KR 10216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tab
lid
lid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042A (ko
Inventor
아츠시 코미나미
마사오 타무라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having non-detacha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쉽게 탭을 일으켜 세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탭(200)은, 스코어(11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개구 예정 영역(O) 내에 위치하는 선단부(220)와, 뚜껑체(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선단부(220)와는 반대 측에 위치한 후단부(230)를 가짐과 더불어,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일부가 들어간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300)로서,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됨으로써 후단부(230)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삽입부(310)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캔 뚜껑
본 발명은 음료나 음식이 수용되는 캔에 구비되는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음료나 음식이 수용되는 캔(can)에 구비되는 캔 뚜껑에는, 뚜껑체에 새겨진 스코어(score, 라인)를 따라 개구시키기 위해 탭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탭은 리벳부에 의해 뚜껑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캔 뚜껑에 있어서는, 뚜껑체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탭의 단부 측에 손가락을 걸어 탭을 일으켜 세우는 조작이 필요로 되고 있다. 그렇지만, 뚜껑체와 탭 사이에 간극이 없거나, 또는 약간의 간극밖에 없는 경우 탭을 쉽게 일으켜 세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1-315776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실개평 5-40133 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개 2015-42562 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탭을 일으켜 세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새겨진 스코어를 갖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대해 고정된 탭을 구비하는 캔 뚜껑으로서,
상기 탭은,
상기 스코어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개구 예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뚜껑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단부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뚜껑체와 탭 사이의 간극 내에 일부가 들어간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로서,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후단부를 상기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삽입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탭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탭의 후단부가 뚜껑체 표면에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약간의 간극밖에 없는 경우에 비해, 탭을 쉽게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뚜껑체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가 돌출부와 슬라이드 접속함으로써 탭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뚜껑체에는 상기 탭에 대향하는 영역 내에 상기 탭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면 좋다.
이에 따라, 탭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에, 탭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체 또는 탭과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에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탭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에서의 상기 뚜껑체 측 단면으로부터 탭 측 단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삽입부 중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을 비교하면, 선단 측의 쪽이 짧으면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탭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볼록부, 오목부, 구멍 및 미끄럼 방지 구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조작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은 가능한 한 조합시켜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탭을 일으켜 세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뚜껑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뚜껑체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탭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탭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캔 뚜껑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캔 뚜껑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례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례 2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2는 변형례 3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3은 변형례 4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변형례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 및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음료나 음식이 수용되는 캔(캔)에 구비된다. 음료 캔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경우에는 뚜껑체의 일부만 개방하는 부분 개방형의 캔 뚜껑이 일반적이며, 식품 캔에 구비되는 캔 뚜껑의 경우에는 뚜껑체의 대략 전역이 개구하는 완전 개방형의 캔 뚜껑이 일반적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음료 캔에 구비되는 부분 개방형의 뚜껑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캔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뚜껑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뚜껑체의 모식적 단면도로, 도 2 중의 A2-A2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탭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탭의 모식적 단면도로, 도 4 중의 A3-A3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캔 뚜껑의 모식적 단면도로, 도 1 중의 A1-A1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캔 뚜껑의 모식적 단면도로, 도 8 중의 A4-A4 단면도이다.
<캔 뚜껑의 구성>
특히,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은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뚜껑체(100)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300)로 구성된다. 또한, 캔 뚜껑(10)을 구성하는 뚜껑체(100), 탭(200) 및 슬라이드 부재(300)는 모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체(100)는 새겨진 스코어(110)와, 탭(20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리벳부(120)와, 한 쌍의 돌출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과 도 2 중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코어(11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영역이 개구 예정 영역(O)이다. 또, 도 2 중, ××선으로 나타낸 영역이 개구 시작 영역(OS)이다. 이 개구 시작 영역(OS)은 제1 리벳부(120)의 근방에 존재하고 있다. 또, 한 쌍의 돌출부(130)는 대략 원뿔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탭(200)에 대향하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더욱이, 뚜껑체(100)에는 슬라이드 부재(300)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제2 리벳부(140)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리벳부(140)는 뚜껑체(100)에 리벳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 이외에도 제2 리벳부(140)로 되는 부재를 접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탭(200)은 제1 리벳부(12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관통 구멍(210)과, 관통 구멍(210)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의 선단부(220)와, 그 반대 측의 후단부(230)를 가지고 있다. 또, 탭(200)에는 탭(200)을 일으켜 세울 때 탭(200)이 변형하기 쉽도록, U자 모양 구멍(240)도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탭(200)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손가락 걸림 링(250)도 설치되어 있다. 탭(200)이 뚜껑체(10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탭(200)의 선단부(220)는 뚜껑체(100)에서의 개구 예정 영역(O) 내에 위치한다. 또, 탭(200)의 후단부(230)는 탭(200)이 뚜껑체(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제1 리벳부(120)가 설치된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선단부(220)와는 반대 측에 위치한다. 개구 예정 영역(O)을 개구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후단부(230) 또는 손가락 걸림 링(250)에 손가락을 걸어 탭(200)을 일으켜 세운다.
슬라이드 부재(300)는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삽입부(310)와, 뚜껑체(100)에 설치된 제2 리벳부(140)에 축 지지되기 위한 관통 구멍(320)을 갖추고 있다. 삽입부(310)는 탭 측의 끝 가장자리의 두께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에 삽입 가능한 두께로 되어 있고, 또 뚜껑체(100)에 장착된 슬라이드 부재(300)는 제2 리벳부(14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중, 슬라이드 부재(3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슬라이드 부재(300)의 일부(삽입부(310))가 들어간 상태로 슬라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드(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특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슬라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따른 탭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슬라이드 부재(300)를 도 1에 나타낸 초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또, 도 9는 도 8에서의 A4-A4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삽입부(310)는 들어가 있지 않다(도 1 참조).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300)를 회전(슬라이드)시킴으로써,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삽입부(310)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00)가 회전(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삽입부(310)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간 후에, 삽입부(310)는 돌출부(130)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 위에 올라 앉은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한 쌍의 돌출부(130) 중, 도면 중 왼쪽의 돌출부(130) 위에 삽입부(310)가 올라 앉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310)가 돌출부(130)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함으로써,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도 9 참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의 뛰어난 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300)를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쉽게 탭(200)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130)에 슬라이드 부재(300)를 올라 앉게 함으로써, 탭(200)의 후단부를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300)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돌출부(130))가 뚜껑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가 탭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탭(200)에 뚜껑체(100) 측으로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설치해도 좋다. 즉, 슬라이드 부재(300)가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삽입부(310)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간 후에, 삽입부(310)가 탭(200)에 설치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와 뚜껑체(100) 사이에 들어가도록 당해 돌출부를 설치하면 좋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에, 당해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뚜껑체 또는 탭과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300)의 삽입부(310)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10X)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돌출부(310X)는 삽입부(310)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슬라이드 부재(300)가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삽입부(310)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가, 돌출부(310X)가 뚜껑체(100) 또는 탭(200)과 슬라이드 접속하게 된다. 삽입부(310)의 양면에 돌출부(310X)를 설치한 경우에는, 각 돌출부(310X)가 뚜껑체(100)와 탭(200) 양자에 각각과 슬라이드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30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초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300)의 삽입부(310)는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가 있지 않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300)가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삽입부(310)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감으로써,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탭(200)의 후단부(230)와 뚜껑체(100)의 표면 사이에 형성시키는 간극을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해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돌출부는 상기와 같이 뚜껑체(100)와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의 어느 하나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돌출부는 뚜껑체(100)와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의 어느 하나에 설치하면 좋지만, 두 개 이상에 대해 설치해도 좋다. 또, 탭(200)에 손가락 걸림 링(250)을 형성하지 않고 파지면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를 돌출부로 하거나, 또는 그 일부에 뚜껑체(100) 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슬라이드 부재의 장착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리벳(140)에 의한 것 외에 접착 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의 변형례>
이하,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에 적용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의 변형례에 대해 몇 가지 설명한다.
(변형례 1)
도 10을 참조하여 변형례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은 변형례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6에 있어서 돌출부(310X)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도면의 B-B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례 1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있어서는, 삽입부(310)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도면 중 오른쪽에 비해 왼쪽이 높아지도록, 선단 측으로 향해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면 중 H1 < H2 참조).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과정에서,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삽입부(310)를 진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탭(200)의 후단부(230)를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삽입부(310)의 바깥쪽 가장자리(선단 측)에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끝이 가늘어지게 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삽입부(310)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의 두께 자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끝이 가늘어지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변형례에서는, 도 10 중, 위쪽에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삽입부(310)에서의 뚜껑체 측 단면으로부터 탭 측 단면까지의 거리가 서서히 변화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계단 모양의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삽입부에서의 뚜껑체 측 단면으로부터 탭 측 단면까지의 거리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를 채용하면,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돌출부(130) 등)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와 돌출부를 병용해도 좋음은 말할 것도 없다.
(변형례 2)
도 11을 참조하여 변형례 2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례 2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또한, 도 11 중, 왼쪽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오른쪽에는 평면도에 있어서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를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A)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A)를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330)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330)에 손가락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0A)를 쉽게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례 3)
도 12를 참조하여 변형례 3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변형례 3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이다. 또한, 도 12 중, 왼쪽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오른쪽에는 평면도에 있어서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를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B)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B)를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오목부(3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340)를 설치함으로써, 오목부(340)에 손가락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0B)를 쉽게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례 4)
도 13을 참조하여 변형례 4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변형례 4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평면도)이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C)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C)를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구멍(3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멍(350)을 설치함으로써, 구멍(350)에 손가락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0C)를 쉽게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례 5)
도 14를 참조하여 변형례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변형례 5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평면도)이다.
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D)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D)를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미끄럼 방지 구조부(360)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구조부(360)에 있어서는, 손가락을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 마찰 저항이 커지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 구조부(360)를 설치함으로써,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300D)를 용이하게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 구조부(360)의 일례로서, 금속제의 슬라이드 부재(300D)의 표면에 분사(blast)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미세한 요철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조작부의 구체적인 예로서, 돌출부(변형례 2), 오목부(변형례 3), 구멍(변형례 4), 미끄럼 방지 구조부(변형례 5)를 각각 나타냈다. 그렇지만, 조작부에 대해서는, 볼록부, 오목부, 구멍 및 미끄럼 방지 구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조작부에 대해서는, 적절히 이들을 두 가지 이상을 조합시켜 구성해도 좋다.
이하, 실시형태 2∼8에,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 밖의 뚜껑체 및 탭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5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E)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뚜껑체(100)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300E)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E)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에 설치된 제2 리벳부(140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다만, 제2 리벳부(140E)의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는 다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E)의 경우에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E)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일단 측이 제2 리벳부(140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타단 측에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록부(330E) 근방의 부위가 삽입부(310E)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E)를 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부(310E)가 뚜껑체(100)에 형성된 돌출부(130E)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E)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E)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뚜껑체(100)가 아니라 탭(20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삽입부(310E)의 구성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 1과 같이 삽입부(310E)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에서 다르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E)를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작부에 대해서는 상기 변형례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300E)는, 탭(200)에서의 손가락 걸림 링(250)의 바깥쪽이고 또한 도면 중 오른쪽에서, 제2 리벳부(140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경우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슬라이드 부재(300E)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시키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손가락 걸림 링(250) 내에 배치해도 좋고, 손가락 걸림 링(250)의 바깥쪽이고 또한 도면 중 위쪽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300E)를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회전)시키는 방향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3)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6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F)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뚜껑체(100)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300F)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F)는 탭(20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리벳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리벳부(120)는 탭(200)을 고정하는 역할과 슬라이드 부재(300F)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F)의 경우에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에는 들어가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F)는 대략 부채꼴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의 선단 측에는 삽입부(310F)가 설치되고, 후단 측에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F)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F)를 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부(310F)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들어간 후에 돌출부(130F)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F)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F)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뚜껑체(100)가 아니라 탭(200) 또는 슬라이드 부재(300F)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삽입부(310F)의 구성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 1과 같이 삽입부(310F)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에서 다르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F)를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작부에 대해서는 상기 변형례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또한, 평면도의 왼쪽에 슬라이드 부재 부근의 단면도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7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G)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G)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G)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방향(도면 중 화살표 S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단부에 절곡 가공부(371G, 372G)가 설치되어 있다. 또, 탭(200)에는 손가락 걸림 링(250)을 매개로 양측의 직선 모양 부분(251, 252)에 컬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300G)는, 상기의 절곡 가공부(371G, 372G)가 탭(200)에서의 컬 가공이 실시된 직선 모양 부분(251, 252)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각 실시형태의 경우와는 달리,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기 위한 리벳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G)는, 그 중앙에 볼록부(330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300G)는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된다. 이 때, 탭(200)의 이면 측(뚜껑체(100) 측)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향해 볼록부(330G)가 손가락 걸림 링(250)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 이 볼록부(330G)의 양측 근방의 부위가 각각 삽입부(310G)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G)를 도면 중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한 쌍의 삽입부(310G)가 뚜껑체(10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130G)에 각각 접촉하고, 그 후 이들 돌출부(130G)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G)에서의 볼록부(330)의 양단이 탭(200)에 설치된 손가락 걸림 링(250)의 양 측면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300G)의 슬라이드 방향이 안내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G)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뚜껑체(100)가 아니라 탭(20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삽입부(310G)의 구성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 1과 같이 삽입부(310G)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에서 다르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G)를 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G)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300G)에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를 뚜껑체(100) 또는 탭(200)에 설치하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G)를 초기 위치로부터 도면 중 아래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냈지만, 슬라이드 부재(300G)를 초기 위치로부터 도면 중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물론, 이 경우에는, 돌출부를 슬라이드 부재(300G)에 대해 도면 중 위쪽에 설치할 필요가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형태 5)
도 18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8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H)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H)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H)에는, 조작부로서의 한 쌍의 볼록부(330H)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볼록부(330H)는 탭(200)의 양측 부근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뚜껑체(100)에는 슬라이드 부재(300H)의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볼록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리벳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H)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 부근에 각각 상기의 볼록부(330H)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300H)는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300H)의 양단이 한 쌍의 가이드 볼록부(150)에 끼워진 상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또, 슬라이드 부재(300H) 중, 초기 상태에 있어서,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에 끼워지는 부위가 삽입부(310H)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삽입부(310H)는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H)를 도면 중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한 쌍의 삽입부(310H)가 뚜껑체(10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130H)에 접촉하고, 그 후 이들 돌출부(130H)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H)의 양단이 뚜껑체(100)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볼록부(150)로 가이드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300H)의 슬라이드 방향이 안내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H)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뚜껑체(100)가 아니라 탭(20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삽입부(310H)의 구성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 1과 같이 삽입부(310H)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에서 다르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조작부로서의 볼록부(330H)를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작부에 대해서는 상기 변형례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H)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에 배치되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했다. 그렇지만,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H)를 탭(200)의 바깥쪽(도면 중 위쪽)에 배치시키고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300H)를 슬라이드시키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부재(300H)가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의 간극 내로 진입하도록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6)
도 19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또한, 평면도의 오른쪽에 슬라이드 부재 부근의 단면도와 측면도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9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I)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I)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 4 및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리벳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I)는, 탭(200)에 대해, 손가락 걸림 링(250)을 매개로 양측의 직선 모양 부분 중 한쪽의 직선 모양 부분(251)을 덮어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00I)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당해 판 형상 부재에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선 모양 부분(251)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 형상 부재의 양단의 선단끼리가 접촉하도록 절곡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선단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I)가 탭(200)의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 측(뚜껑체(100) 측)으로 향해 절곡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면 측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향해 절곡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0I)를 직선 모양 부분(251)에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I) 중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에 끼워지는 부위가 삽입부(310I)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I)를 도면 중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부(310I)가 뚜껑체(100)에 설치된 돌출부(130I)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I)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I)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I)의 이동 가능 범위가 좁기 때문에, 돌출부(130I)로의 올라 앉음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오른쪽 아래에 나타낸 측면도와 같이 돌출부(130I)로 향해 신장하는 판형상부(380I)를 설치하면 알맞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I)가 장착되는 부분은 직선 모양으로 신장하는 직선 모양 부분(251)의 경우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탭에 따라서는, 손가락 걸림 링의 양측이 곡선 모양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서도, 곡선 모양으로 신장하는 부분의 폭이 일정하면,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슬라이드 부재를 적용해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도 20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또한, 평면도의 오른쪽에 슬라이드 부재 부근의 단면도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0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J)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J)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 4∼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리벳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J)는, 탭(200)에 대해, 탭(200) 양측의 직선 모양 부분(251, 252)의 양자를 덮어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00J)는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당해 판 형상 부재에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탭(200)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 형상 부재의 양단의 선단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절곡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선단끼리를 접촉시켜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J)가 탭(200)의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 측(뚜껑체(100) 측)으로 향해 절곡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면 측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향해 절곡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00J)를 탭(200)에 따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J) 중 뚜껑체(100)와 탭(200) 사이에 끼워지는 부위가 삽입부(310J)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부재(300J)를 도면 중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부(310J)가 뚜껑체(100)에 설치된 돌출부(130J)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J)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130J)로서, 탭(20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로서의 돌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30J)로의 올라 앉음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130J)로 향해 신장하는 판형상부를 설치해도 좋다.
(실시형태 8)
도 2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또한, 평면도의 아래쪽에는 슬라이드 부재 부근의 측면도(평면도에 있어서 왼쪽으로부터 본 도면)도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있어서는, 뚜껑체와 탭에 대해서는 주요 구성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1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300K)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뚜껑체(100)와, 뚜껑체(100)에 고정되는 탭(200)과, 슬라이드 부재(300K)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K)는, 탭(2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300K)는, 탭(200)에 설치된 관통 구멍(260)에 삽입되는 축부(370K)와, 축부(370K)의 일단 측에 고정되는 삽입부(310K)와, 축부(370K)의 타단 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부(380K)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손잡이부(380K)를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삽입부(310K)를 회전(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캔 뚜껑(10)에 있어서도, 손잡이부(380K)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부(310K)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부(310K)가 뚜껑체(100)에 형성된 돌출부(130K)에 접촉하고, 그 후 돌출부(130K) 위에 올라 앉아 슬라이드 접속한다. 따라서, 제1 리벳부(120)를 지점으로 해서, 탭(200)의 후단부(230)가 뚜껑체(10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단부(230)와 뚜껑체(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뚜껑체(100)가 아니라 탭(20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삽입부(310K)의 구성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변형례 1과 같이 삽입부(310K)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에서 다르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기타)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음료 캔에 구비되는 부분적 개방형의 캔 뚜껑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식료 캔 등에 구비되는 완전 개방형의 캔 뚜껑에도 적용 가능하다.
10 캔 뚜껑
 100 뚜껑체
 110 스코어
 120 제1 리벳부
 130, 130E, 130F, 130G, 130H, 130I, 130J, 130K 돌출부
 140, 140E 제2 리벳부
 150 가이드 볼록부
 200 탭
 210 관통 구멍
 220 선단부
 230 후단부
 240 U자 모양 구멍
 250 손가락 걸림 링
 251, 252 직선 모양 부분
 260 관통 구멍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 300J, 300K 슬라이드 부재
 310, 310E, 310F, 310G, 310H, 310I, 310J, 310K 삽입부
 310X 돌출부
 320 관통 구멍
 330, 330E, 330F, 330G, 330H 볼록부
 340 오목부
 350 구멍
 360 미끄럼 방지 구조부
 371G, 372G 절곡 가공부
 370K 축부
 380I 판형상부
 380K 손잡이부
 O 개구 예정 영역
 OS 개구 시작 영역

Claims (7)

  1. 새겨진 스코어를 갖는 뚜껑체와,
    제1 리벳부에 의해 상기 뚜껑체에 고정된 탭을 구비하는 캔 뚜껑으로서,
    상기 탭은,
    상기 스코어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개구 예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뚜껑체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단부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뚜껑체와 탭 사이의 간극 내에 일부가 들어간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로서,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단부를 상기 뚜껑체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삽입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회동 방향 혹은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제1 리벳부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상기 뚜껑체 또는 상기 탭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상기 탭에 대향하는 영역 내에, 상기 탭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체 또는 탭과 슬라이드 접속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서의 상기 뚜껑체 측 단면으로부터 탭 측 단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삽입부 중 슬라이드 방향의 선단 측과 후단 측을 비교하면, 선단 측의 쪽이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볼록부, 오목부, 구멍 및 미끄럼 방지 구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KR1020197008001A 2016-08-22 2017-08-02 캔 뚜껑 KR102164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1975 2016-08-22
JP2016161975A JP6972520B2 (ja) 2016-08-22 2016-08-22 缶蓋
PCT/JP2017/028073 WO2018037865A1 (ja) 2016-08-22 2017-08-02 缶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042A KR20190040042A (ko) 2019-04-16
KR102164757B1 true KR102164757B1 (ko) 2020-10-13

Family

ID=6124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01A KR102164757B1 (ko) 2016-08-22 2017-08-02 캔 뚜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77034A1 (ko)
EP (1) EP3502001A4 (ko)
JP (1) JP6972520B2 (ko)
KR (1) KR102164757B1 (ko)
CN (1) CN109789946A (ko)
WO (1) WO2018037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102B1 (ko) * 2020-02-12 2020-12-24 서경배 식음료 용기의 덮개
WO2021162410A1 (ko) * 2020-02-12 2021-08-19 서경배 식음료 용기의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0425A (en) * 1964-02-17 1966-05-10 Continental Can Co Rotatable pull tab to break scored tear strip
US4887712A (en) * 1988-06-15 1989-12-19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US4872597A (en) * 1988-10-13 1989-10-10 Hisao Hanafusa Beverage container with dual dispensing tabs
US5248053A (en) * 1990-02-02 1993-09-28 Lundgren James F Operating lever for beverage container lever operated opener
JPH0540133A (ja) 1991-08-06 1993-02-19 Fujitsu Ltd 信号波形測定装置
JP2587404Y2 (ja) 1991-10-29 1998-12-16 北海製罐株式会社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US5224618A (en) * 1992-06-22 1993-07-06 Garbiso Michael J Easy opening tab for container
JPH08580U (ja) * 1993-08-16 1996-04-02 勝彦 小玉 缶蓋開口装置
JP3363261B2 (ja) * 1994-06-27 2003-01-08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JPH0826275A (ja) * 1994-07-11 1996-01-30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蓋とその製造方法
JP3027910U (ja) * 1996-02-13 1996-08-20 日本プライズ産業株式会社 飲料用缶及び飲料用容器
DE29812116U1 (de) * 1998-07-10 1998-11-19 Schley Alexander Wiederverschließbarer Getränkedosendeckel
JP2000185736A (ja) * 1998-10-14 2000-07-04 Kazunori Mototsu プルタブ付き缶容器
JP2001315776A (ja) * 2000-05-09 2001-11-13 Tetsuo Okuyama ステイオンタブ缶蓋及びそれに用いる開口部材
CN2454295Y (zh) * 2000-11-02 2001-10-17 翟宏国 旋撬拉开启式密封盖
KR20040008368A (ko) * 2002-07-18 2004-01-31 박창복 음료용 캔
KR200335552Y1 (ko) * 2003-07-08 2003-12-11 윤만석 음료 캔용 캔 따개 구조
JP4466944B2 (ja) * 2003-09-03 2010-05-26 大和製罐株式会社 開口容易缶蓋
US7631777B1 (en) * 2007-09-10 2009-12-15 Bukowski Bryan A Can and bottle covers
CN203143168U (zh) * 2013-04-11 2013-08-21 滁州学院 一种改进的易拉罐盖
JP2015042562A (ja) 2014-06-20 2015-03-05 光広 今村 飲料缶及び飲料缶の開封方法
CN105416765A (zh) * 2015-11-27 2016-03-23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易拉罐罐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2001A4 (en) 2020-04-29
KR20190040042A (ko) 2019-04-16
WO2018037865A1 (ja) 2018-03-01
CN109789946A (zh) 2019-05-21
EP3502001A1 (en) 2019-06-26
US20190177034A1 (en) 2019-06-13
JP2018030590A (ja) 2018-03-01
JP6972520B2 (ja)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416B2 (en) Comb-vibration preventing structure for hair cutter
JP4727547B2 (ja) 車両用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KR101172337B1 (ko) 캔 리드 및 이를 갖는 캔 용기
KR102164757B1 (ko) 캔 뚜껑
JP4804905B2 (ja) 書類等の綴じ具
JP2018519940A (ja) 脱着可能なハンドル
JP6483301B1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のためのスライド装置
US7467570B2 (en) Slider memb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s
CN107696741A (zh) 尾柄插入式长尾夹
US20050006546A1 (en) Box device
JP4626816B2 (ja) パチンコ機
JP6906475B2 (ja) スライド式蓋構造
JP6442936B2 (ja) カバー開閉構造
KR20210015935A (ko) 철구
JP3955868B2 (ja) 書類等の綴じ具
JP2006307430A (ja) ドアチェック装置
JP6823281B2 (ja) リングとじ具及びリングファイル
JP4597254B1 (ja) 回動体の回動構造
JP3644312B2 (ja) プレス成形型
JP4841626B2 (ja) 自動車車両内における後部棚板の構成
JP4880049B2 (ja) 書類等の綴じ具
JP2005349988A (ja) 車両用蓋開閉機構
JP6765332B2 (ja) 回転構造体
JP4765654B2 (ja) バックドアのダブテール構造
JP4509076B2 (ja) スライド蓋付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