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957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957A
KR20070062957A KR1020070050115A KR20070050115A KR20070062957A KR 20070062957 A KR20070062957 A KR 20070062957A KR 1020070050115 A KR1020070050115 A KR 1020070050115A KR 20070050115 A KR20070050115 A KR 20070050115A KR 20070062957 A KR20070062957 A KR 2007006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film
semiconductor device
source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262B1 (ko
Inventor
츠요시 세라타
슈지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4Alloying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with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sidewall spacers, e.g. double spacers, particular spacer material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1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01L21/823443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silicided or salicided gat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켜서 그 상면에 제 1 절연층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의 측벽 및 제 1 절연층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반도체 기판 (1) 상에 제 2 절연층을 형성한다. 제 2 절연층을 에칭백하여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함과 함께, 소자 영역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제 1 절연층을 게이트 전극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한다.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막을 형성하고, 그 후 어닐하여,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표면을 실리사이드화하여 실리사이드화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낮아져도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단락 방지를 꾀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게이트 전극, 소스ㆍ드레인 영역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e)∼(h)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i)∼(k)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4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l)∼(m)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5 는 실시예 2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6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e)∼(h)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7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i)∼(l)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8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m)∼(o) 공정 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9 는 실시예 3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0 은 실시예 4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a)∼(b)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1 은 실시예 5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2 는 실시예 5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e)∼(g)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3 은 실시예 6 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4 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5 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의 순서 (e)∼(h)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6 은 다른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7 은 다른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의 순서 (e)∼(h)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8 은 또 다른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의 순서 (a)∼(d) 공정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도체 기판 2: 소자 분리 영역
3: 게이트 절연층 4: 폴리규소층
5: 제 1 절연층 6: 레지스트 패턴
7: 제 2 절연층 8: 고융점 금속막
9: 실리사이드화층 10: 게이트 전극
11: 사이드월 스페이서 13: 제 1 층간 절연막
14: 메탈 배선 15: 컨택트홀
16: 제 2 층간 절연막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게이트 전극의 박막화가 가능해지고, 소자 구조의 미세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를 가능케 하도록 개량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회로 소자의 고속화를 위해 소자 영역을 실리사이드화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저감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종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a) 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소자 영역을 다른 소자 영역으로부터 구획하는 소자 분리 영역 (2) 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 (3), 폴리규소층 (4) 을 퇴적한다.
도 14(b) 를 참조하여, 폴리규소층 (4) 상에 있어서 게이트 배선을 형성하는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 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 (6) 을 형성한다. 도 14(b) 와 (c) 를 참조하여, 레지스트 패턴 (6) 을 마스크로 해서 폴리규소층 (4), 게이트 절연막 (3) 을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 (10) 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레지스트 패턴 (6) 을 제거한다.
또, 도 14(d) 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10) 을 덮도록 절연층 (7) 으로서 규소산화막을 퇴적한다.
도 14(d) 와 도 15(e) 를 참조하여, 절연층 (7) 을 에칭백하여 게이트 전극 (10) 의 측벽에 실리사이드화 방지용인 규소산화막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남긴다.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1) 의 표면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10) 의 양측에 한 쌍의 소스ㆍ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도 15(f) 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의 전체면에 고융점 금속의 Ti (티탄), Co (코발트), Ni (니켈) 등을 스퍼터법에 의해 퇴적하여 고융점 금속막 (8) 을 형성한다. 도 15(g) 를 참조하여, 적당한 열처리에 의해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1) 과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응시켜, 실리사 이드화층 (9) 을 형성한다. 도 15(g) 와 도 6(h) 를 참조하여, 선택 에칭에 의해 고융점 금속막 (8) 내의 미반응의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하면, 실리사이드화 영역과 비실리사이드화 영역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계속해서, 반도체 기판 (1)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 중에 실리사이드화층 (9) 에 도달하는 컨택트홀을 형성하고, 배선을 형성하면 반도체 장치가 완성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도 15(g) 를 참조하여,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있어서 소스ㆍ드레인 영역에서의 규소의 확산이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상의 고융점 금속막 (8) 중에 일어나더라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 상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거리가 충분한 경우에는,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사이에 있어서 실리사이드화층에 의한 단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게이트 배선의 미세화에 동반하여 게이트 전극의 막두께는 얇아지고 있다. 게이트 전극의 막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종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한 경우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 16(a)∼(d) 및 도 17(e)∼(h) 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4(a)∼(d) 및 도 15(e)∼(h)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되풀이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경우, 도 16(a) 를 참조하여, 게이트 전극의 베이스가 되는 폴리규소층 (4) 이 상기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얇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7(g) 를 참조하여, 게이트 전극 (10) 이 박막화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 (10) 의 측면부에서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이 좁아지고,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 상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 거리가 짧아진다. 그 때문에,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있어서, 소스ㆍ드레인 영역으로부터의 규소의 확산이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상의 고융점 금속막 (8) 중에서 일어나면,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 상에 있어서 얇은 실리사이드화층이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단락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표면에서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041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74043호).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4(a)∼(d) 및 도 15(e)∼(h)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되풀이하지 않는다.
도 18(a) 를 참조하여, 게이트 절연막 (3), 게이트 전극 (10), PSG 막패턴 (51) 으로 이루어지는 볼록형상 패턴의 측면에 규소질화막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형성한다. 그 후, 도 18(b) 를 참조하여, PSG 막패턴 (51) 을 제거하고, 게이트 전극 (10) 의 높이보다도 높게 돌출된 형상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남긴다. 도 18(c) 를 참조하여, 티탄막 (8) 을 퇴적하고, 450∼550℃ 의 온도에서 5∼10 분간 가열로에 의한 가열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미반응 티탄막을 제거하면, 도 18(d) 을 참조하여, 게이트 전극 (10) 의 표면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표면에 실리사이드화층 (9) 이 형성된 반도체 장치가 얻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 (10) 의 높이보다도 높게 돌출된 형상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형성함으로써,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실리사이드화 공정에서 소스ㆍ드레인 영역과 게이트 전극 (10) 과의 사이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8 에 나타내는 종래 방법과 같이, 게이트 전극 (10) 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형상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갖는 경우, 게이트 전극 (10) 상에서 PSG 막 (51) 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실리사이드화 형성까지의 사이의 세정 공정에서 받는 물리적 데미지 등에 의해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상부의 돌기에 결락이 생겨 파티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파티클의 발생에 의한 제조 장치의 오염, 반도체 기판에 대한 파티클의 부착에 수반되는 수율의 대폭적인 저하를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낮아져도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단락 방지를 꾀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클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단락 방지를 꾀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소자 영역을 다른 소자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켜서 그 상면에 제 1 절연층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및 상기 제 1 절연층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절연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절연층을 에칭백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소자 영역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하여 상기 소자 영역의 표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한 쌍의 소스ㆍ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층을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상기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막을 형성하고, 그 후 어닐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상기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표면을 실리사이드화하여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한다. 미반응의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절연층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베이스가 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낮아져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표면에서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절연층을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습식 에칭 처리에 의해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절연층의 에칭시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의 상면을 과도하게 제거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의 제거시에 있어서 사이드월을 과도하게 제거하는 일이 없다.
상기 제 1 절연층은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은, 하층이 규소산화막이고, 상층이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인 적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제 1 절연층의 막두께는 7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절연층을 상기 적층 구조로 하는 경우, 하층인 규소산화막의 막두께는 5∼50㎚ 이고, 상층인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막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절연층은 규소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층의 막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절연층은, 하층이 규소산화막이고, 상층은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인 2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절연층에 있어서, 하층인 규소산화막의 막두께는 5∼25㎚ 이고, 상층인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막 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접하는 부근의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폭을 W,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높이를 h, 상기 게이트 전극의 높이를 T 로 하면, h=5W, T≥h, W≥20㎚ 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낮아져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표면에서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리사이드막은, Ti (티탄), Co (코발트) 또는 Ni (니켈) 의 실리사이드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을 단층 또는 2 층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소자 영역을 다른 소자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소자 분리 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키고, 그 상면에 제 1 절연층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및 상기 제 1 절연층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절연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절연층을 에칭백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소자 영역을 노출시킨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하여 상기 소자 영역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한 쌍의 소스ㆍ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소스ㆍ드레인 영 역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제 1 고융점 금속막을 형성하고, 열처리하여 그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제 1 실리사이드화층을 형성하고, 그 후 미반응의 제 1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상기 제 1 절연층이 형성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의 표면을 연마하여 평탄화함과 함께, 상기 제 1 절연층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상기 제 1 절연막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을 피복하도록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제 2 고융점 금속막을 형성하고, 열처리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에 제 2 실리사이드화층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 중에 컨택트홀을 형성하고, 메탈 배선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월 스페이서 상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여 게이트 전극 표면의 실리사이드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 표면과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쇼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은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절연층은 하층이 규소산화막이고, 상층이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인 적층 구조여도 된다.
상기 제 1 절연층 중의 상기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막두께는 100∼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절연층이 적층 구조인 경우, 하층인 규소산화막의 막두께는 5∼50㎚ 이고, 상층인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막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제 2 절연층은 규소산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절연층의 규소산화막의 막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절연층은 하층이 규소산화막이고, 상층이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2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절연층의 하층인 규소산화막의 막두께는 5∼25㎚ 이고, 상층인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의 막두께는 70∼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간 절연막 표면의 연마량을 상기 제 1 절연막도 그 막두께의 5∼80% 가 연마되는 양으로 하면,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상부의 돌기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켜서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형성된 1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월 스페이서,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접하는 부근의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폭을 W,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높이를 h, 상기 게이트 전극의 높이를 T 로 하면, h=5W, T≥h, W≥20㎚ 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켜서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형성된 1쌍의 소스/드레인 영역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월 스페이서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의 막두께는,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의 막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접촉하는 규소산화막으로 형성된 하층과, 그 하층을 개재시켜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형성된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으로 형성된 상층을 포함하는 2층 구조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리사이드 영역과 비실리사이드 영역을 동시에 형성할 때에, 게이트 전극의 측면부에서 일정 이상의 폭이 확보된 사이드월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 고융점 금속 중에 소스ㆍ드레인 영역으로부터의 규소의 확산이 일어나도 충분한 사이드월 폭이 있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사이가 실리사이드화층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의 박막화가 가능해지고, 소자 구조의 미세화에 대응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인다.
(실시예 1)
실시예 1 은, 게이트 전극 표면의 실리사이드화와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실리사이드화를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이다.
도 1(a) 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기판 (1) 인 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소자 분리 영역 (2) 을 형성함으로써 구획된 복수의 소자 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반도체 기판 (1) 상에 게이트 절연막 (3), 폴리규소층 (4) 을 퇴적한다.
도 1(b) 를 참조하여, 폴리규소층 (4) 상에 제 1 절연층 (5) 을 퇴적한다. 제 1 절연층 (5) 으로는 규소질화막을 사용한다. 제 1 절연층 (5) 의 막두께는 1400Å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리규소층 (4), 게이트 절연막 (3) 을 에칭할 때에 제 1 절연층 (5) 전부가 에칭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제 2 절연층 (7) (도 2(g)) 을 에칭할 때에도 제 1 절연층 (5) 전부가 에칭되지 않는다. 또한,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에서의 고융점 금속막 중에 소스ㆍ드레인 영역으로부터의 규소의 확산이 일어나더라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을 단락시키는 실리사이드화층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이 확보된다.
도 1(c) 와 (d) 를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표면 부분에, 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 (6)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레지스트 패턴 (6) 을 마스크로 하여, 제 1 절연층 (5) 을, 일례로서 마그네트론 RIE (Reactive Ion Etching) 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제 1 절연층 (5) 을 이방성 에칭한다.
압력: 50mTorr
고주파 전력: 500W
CH2F2/Ar/O2=40/30/15sccm
도 1(d) 와 도 2(e) 를 참조해서, 애싱 장치를 사용하여 레지스트 패턴 (6) 을 제거한다.
도 2(e) 와 (f) 를 참조하여,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그 이외의 부분의 폴리규소층 (4) 과 게이트 절연막 (3) 을 에칭하고, 게이트 전극 (10)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LDD 영역 (1a) 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을 실시한다.
도 2(g) 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10) 과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덮도록 제 2 절연층 (7) 으로서 규소산화막을 퇴적한다. 도 2(g) 와 (h) 를 참조하여, 제 2 절연층 (7) 을 에칭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10) 의 측벽에 규소산화막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남긴다. 에칭백하여 얻어지는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가공된 게이트 절연막 (3) 에 접하는 부근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은, 제 2 절연층 (7) 에 규소산화막만을 사용한 경우 17∼20㎚ 정도가 된다.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높이는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의 5배 정도이고, 게이트 전극 (10) (제 1 절연층 (5) 의 막두께를 포함한다) 의 높이와는 대략 동일하다.
도 2(h) 와 도 3(i) 를 참조하여,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을 형성하는 고농도의 N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비소 등의 이온을 주입하고, 주입된 비소 이온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한다.
도 3(j) 를 참조하여, 고융점 금속인 Ti (티탄), Co (코발트), Ni (니켈) 등을 스퍼터법, 도금법, CVD 법에 의해 퇴적함으로써,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도체 기판 (1) 의 전체면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k) 를 참조하여, 적당하게 열처리함으로써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를 실시하여, 게이트 전극 (10) 의 표면 및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의 표면 및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응시켜서 실리사이드화층 (9) 을 형성한다.
도 3(k) 와 도 4(l) 을 참조하여, 선택 에칭에 의해 고융점 금속막 (8) 내의 미반응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실리사이드화 영역과 비실리사이드화 영역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m) 을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 (13) 및 제 2 층간 절연막 (16) 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막 (13, 16) 중에 실리사이드화층 (9) 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트홀 (15) 을 형성하고,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장치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k) 공정의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있어서,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 상의 고융점 금속막 중에 소스ㆍ드레인 영역으로부터의 규소의 확산이 일어나더라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이 충분하게 있 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 (10) 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의 사이가 실리사이드화층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게이트 전극 표면의 실리사이드화와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실리사이드화를 다른 공정에서 실시하는 경우이다.
도 5(a) 를 참조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기판 (1) 의 표면에 소자 분리 영역 (2) 을 형성함으로써 구획된 복수의 소자 영역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 (1) 상에 게이트 절연막 (3), 폴리규소층 (4) 을 퇴적한다.
다음으로 도 5(b) 를 참조하여, 폴리규소층 (4) 상에 제 1 절연층 (5) 을 퇴적한다. 제 1 절연층 (5) 으로는 규소산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을 사용한다. 제 1 절연층 (5) 은, 또한, 폴리규소층 (4) 상에 규소산화막을 5∼50㎚ 정도 성장시키고, 그 위에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을 70∼190㎚ 성장시킨 적층 구조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c) 와 (d) 를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위의, 게이트 전극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 (6)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일례로서 마그네트론 RIE (Reactive Ion Etching)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절연층 (5) 을 레지스트 패턴 (6) 을 마스크로 하여 이방성 에칭한다.
그 후, 도 5(d) 와 도 6(e) 를 참조하여, 애싱 장치와 세정 장치를 사용하여 레지스트 패턴 (6) 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6(e) 와 (f) 를 참조하여,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에칭 마스크로 해서 그 이외의 부분의 폴리규소층 (4) 과 게이트 절연막 (3) 을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 (10)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LDD 영역 (1a) 를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을 실시한다.
또, 도 6(g) 을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게이트 전극 (10) 및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덮도록 제 2 절연층 (7) 으로서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을 퇴적한다.
도 6(g) 와 (h) 를 참조하여, 제 2 절연층 (7) 을 에칭백하여 게이트 전극 (10) 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형성한다. 제 2 절연층 (7) 은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을 포함하기 때문에, 에칭백하더라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가공된 게이트 절연막 (3) 에 접하는 부근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도, 제 2 절연층 (7) 에 규소산화막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의 고농도 N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비소 등의 이온을 주입하고, 주입된 비소 이온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한다.
이 다음, 도 7(i)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인 Ti (티탄), Co (코발트), Ni (니켈) 등을 사용하여, 스퍼터법, 도금법, CVD 법에 의해 10∼100㎚ 정도의 고융점 금속막 (8) 을 전체면에 퇴적한다. 다음으로 450∼650℃ 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 1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1) 과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응시켜서, 트랜지스터의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에 실리 사이드화층 (9) 을 형성한다. 그 후, 선택 에칭에 의해 고융점 금속막 (8) 내의 미반응의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7(j)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 을 반도체 기판 (1) 상에 300∼800㎚ 정도 형성한다. 도 7(k)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을 연마하여 평탄화 처리를 실시한다. 연마된 스토퍼막으로서, 소자 형성 영역에서는 게이트 전극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절연층 (5) 이 그 효과를 발휘한다. 스토퍼막은 제 1 절연층 (5) 과 동일한 재료로, 반도체 기판 (1) 의 주변부나 소자 분리 영역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제 1 절연층 (5) 의 연마량은 그 막두께의 2∼20% 정도로 컨트롤된다.
계속해서, 도 7(k) 와 (l) 을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을 제거한다. 이 결과, 게이트 전극 (10)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가 남겨진 반도체 장치가 형성된다. 또, 제 1 절연층 (5) 을 규소산화막 단독으로 형성하면, 게이트 전극 (10) 보다 높이가 낮은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가 형성된다. 그 후 게이트 전극 (10) 에 고농도의 N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비소 등의 이온을 주입하고, 주입된 비소 이온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8(m)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인 Ti (티탄), Co (코발트), Ni(니켈) 등을 스퍼터법, 도금법, CVD 법에 의해 퇴적하면, 고융점 금속막 (8) 이 반도체 기판 (1) 위 전체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450∼650℃ 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10) 의 폴리규소층과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응시키면, 게이트 전극 (10) 의 표면에 실리사이 드화층 (9) 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선택 에칭에 의해 고융점 금속막 (8) 내의 미반응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표면의 실리사이드화는 종래에는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실리사이드화와 동시에 실시되고 있어,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깊이를 얕게 하기 때문에, 실리사이드화를 충분히 실시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게이트 전극의 폴리규소의 저항을 낮추는 것이 불충분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독으로 고융점 금속막의 막두께를 선택하고, 또한 열처리 온도를 높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금후의 미세화에 수반되는 폴리규소 게이트 전극의 저저항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실리사이드 처리는, 사이드월 스페이서 표면 상의 고융점 금속막 내에, 열처리시에 소스ㆍ드레인으로부터 규소가 확산 이동하여 실리사이드화층을 생성하고, 나아가서는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표면 상을 전류 경로로 하여 게이트 전극 표면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사이의 쇼트의 발생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 2 의 방법에 의하면,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표면 상을 제 1 층간 절연막 (13) 으로 덮고, 게이트 전극 상면의 실리사이드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 전극 표면과 소스ㆍ드레인 영역의 쇼트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n) 을 참조하여, 제 2 층간 절연막 (16) 을 반도체 기판 (1) 상에 50∼250㎚ 의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8(o)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 과 제 2 층간 절연 막 (16) 중에 컨택트홀 (15) 을 형성한 후,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이후 추가로 층간 절연막을 형성해도 되고, 또는 표면 보호막을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를 완성시켜도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은 실시예 2 의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 에서는 층간 절연막에 2층 구조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층 구조여도 된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는, 도 8(m) 공정에 있어서, 미반응의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 후, 직접, 제 1 층간 절연막 (13) 에 컨택트홀 (15) 을 형성하고,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 는, 실시예 2 의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5(a)∼(d) 공정, 도 6(e)∼(h) 공정, 도 7(i)∼(j) 공정까지는 동일한 공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도 7(j) 와 도 10(a) 를 참조해서, 제 1 절연층 (5) 이 그 두께의 20∼80% 가 연마되도록 제 1 층간 절연막 (13) 을 연마하여, 평탄화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층간 절연막 (13) 의 평탄화 처리시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상부의 돌기부가 제거되고, 나아가서는 제 1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상부의 표면에 잔존한 도전성을 갖는 고융점 금속막 (8) 의 조각이나 실리사이드 입자가 제거된다. 나아가서는, 이들이 원인이 되는, 게이트 전극의 표면부의 실리사이드화층 (9) 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과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도 7(l), 도 8(m) (n) 과 동일한 공정을 거친다. 도 10(b) 를 참조하여, 제 2 층간 절연막 (16) 을 반도체 기판 (1) 상에 50∼250㎚ 의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층간 절연막 (13) 과 제 2 층간 절연막 (16) 중에 컨택트홀 (15) 을 형성한 후,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실시예 2 의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2층 구조로 한 것이다. 우선, 도 5(a)∼(d) 공정, 도 6(e)∼(f) 공정까지는 동일한 공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도 11(a) 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 (1) 상에, 게이트 전극 (10) 과 잔존하고 있는 제 1 절연층 (5) 을 덮도록 규소산화막 (7a) 를 형성하고, 또 그 위에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7b) 을 퇴적한다. 하층인 규소산화막 (7a) 의 막두께는 5∼25㎚ 이고, 상층인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7b) 의 막두께는 70∼190㎚ 이다.
도 11(a) 와 (b) 를 참조해서,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7b) 및 규소산화막 (7a) 을 에칭백하여 게이트 전극 (10) 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를 형성한다.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는 규소산질화막 (또는 규소질화막) 을 포함하기 때문에, 에칭백하더라도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가공된 게이트 절연막 (3) 에 접하는 부근의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폭) 을, 도 6(g) 에 나타낸 제 2 절연층 (7) 에 규소산화막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의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의 고농도 N 영역을 형성하기 위 해 비소 등의 이온을 주입하고, 주입된 비소 이온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한다.
이 다음, 도 1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인 Ti (티탄), Co (코발트), Ni (니켈) 등을 사용하여, 스퍼터법, 도금법, CVD 법에 의해 10∼100㎚ 정도의 고융점 금속막 (8) 을 전체면에 퇴적한다. 다음으로 450∼650℃ 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 1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1) 과 고융점 금속막 (8) 을 반응시켜, 트랜지스터의 소스ㆍ드레인 영역 (1b) 에 실리사이드화층 (9) 을 형성한다. 그 후, 선택 에칭에 의해 고융점 금속막 (8) 내의 미반응 고융점 금속막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11(d)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 을 반도체 기판 (1) 상에 300∼800㎚ 정도 형성한다. 도 12(e)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 을 연마하여 평탄화 처리를 실시한다. 연마된 스토퍼막으로서, 소자 형성 영역에서는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절연층 (5) 이 그 효과를 발휘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스토퍼막은 제 1 절연층 (5) 과 동일한 재료로, 반도체 기판 (1) 의 주변부나 소자 분리 영역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제 1 절연층 (5) 의 연마량은 그 막두께의 2∼20% 정도로 컨트롤된다.
계속해서, 도 12(e) 와 (f) 를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을 제거한다. 이 결과, 게이트 전극 (10) 보다 높이가 높은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가 남겨진 반도체 장치가 형성된다. 그 후 도 7(l), 도 8(m) 및 도 8(n) 과 같은 공정을 거쳐 실리사이드화층 (9) 을 게이트 전극 (10) 상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2(g) 를 참조하여, 제 1 층간 절연막 (13) 과 제 2 층간 절연막 (16) 중에 컨택트 홀 (15) 을 형성한 후,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실시예 5 의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도 13(a) 는, 도 11(d)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a) 와 (b) 를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이 그 두께의 20∼80% 가 연마되도록 제 1 층간 절연막 (13) 을 연마하여, 평탄화 처리한다. 그 후, 도 13(b) 와 (c) 를 참조하여, 제 1 절연층 (5) 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층간 절연막 (13) 의 평탄화 처리시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상부의 돌기부가 제거되고, 나아가서는 제 1 실리사이드화 어닐 처리시에 사이드월 스페이서 (11) 의 상부에 잔존하는 도전성을 갖는 고융점 금속막 (8) 의 조각이나 실리사이드 입자가 제거된다. 나아가서는, 이들이 원인이 되는, 게이트 전극 표면부의 실리사이드화층 (9) 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과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도 7(l), 도 8(m) 및 도 8(n) 과 동일한 공정을 거쳐 실리사이드화층 (9) 을 형성한다. 도 13(d) 를 참조하여, 제 2 층간 절연막 (16) 을 반도체 기판 (1) 상에 50∼250㎚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층간 절연막 (13) 과 제 2 층간 절연막 (16) 중에 컨택트홀 (15) 을 형성한 후, 메탈 배선 (14) 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게이트 전극의 박막화가 가능해지고, 소자 구조의 미세화에 대응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 있어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생각되 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게이트 전극의 높이가 낮아져도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단락 방지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티클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게이트 전극과 소스ㆍ드레인 영역 간의 단락 방지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시켜서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월 스페이서,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을 완전히 피복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실리사이드층과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이 단락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접하는 부근의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폭을 W,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높이를 h, 상기 게이트 전극의 높이를 T 로 하면,
    h=5W, T≥h, W≥20㎚ 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의 막두께는,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화층의 막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접촉하는 규소산화막으로 형성된 하층과, 상기 하층을 개재시켜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에 형성된 규소질화막 또는 규소산질화막으로 형성된 상층을 포함하는 2 층 구조인, 반도체 장치.
KR1020070050115A 2005-04-14 2007-05-23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4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6618 2005-04-14
JP2005116618A JP2006295025A (ja) 2005-04-14 2005-04-14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688A Division KR100748906B1 (ko) 2005-04-14 2006-04-13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57A true KR20070062957A (ko) 2007-06-18
KR100754262B1 KR100754262B1 (ko) 2007-09-03

Family

ID=370778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688A KR100748906B1 (ko) 2005-04-14 2006-04-13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70050115A KR100754262B1 (ko) 2005-04-14 2007-05-23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688A KR100748906B1 (ko) 2005-04-14 2006-04-13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52196A1 (ko)
JP (1) JP2006295025A (ko)
KR (2) KR100748906B1 (ko)
CN (2) CN101425540A (ko)
TW (1) TW2007075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671B1 (ko) * 2006-07-14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두께의 니켈 합금 실리사이드층을 가진 반도체 소자및 그 제조 방법
JP5315779B2 (ja) * 2008-05-09 2013-10-16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080200B1 (ko) * 2009-04-14 2011-1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리프레쉬 제어 방법
KR102301249B1 (ko) * 2015-11-16 2021-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JP7034834B2 (ja) * 2018-05-30 2022-03-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2751B (en) * 1992-10-09 1994-10-21 Semiconductor Energy Re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3382743B2 (ja) * 1995-01-27 2003-03-04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060387A (en) * 1995-11-20 2000-05-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Transistor fabrication process in which a contact metallization is formed with different silicide thickness over gate interconnect material and transistor source/drain regions
US5731239A (en) * 1997-01-22 1998-03-24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te Ltd. Method of making self-aligned silicide narrow 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low sheet resistance
JPH11233770A (ja) * 1997-09-02 1999-08-27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06712B1 (en) * 1997-12-05 2001-10-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dewall process and method of implantation for improved CMOS with benefit of low CGD, improved doping profiles, and insensitivity to chemical processing
JP3168992B2 (ja) * 1998-09-08 2001-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10053572A1 (en) * 2000-02-23 2001-12-20 Yoshinari Ichihashi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pen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803318B1 (en) * 2000-09-14 2004-10-12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of forming self aligned contacts
US6376320B1 (en) * 2000-11-15 2002-04-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silicides of different thickness and of different materials for the source/drain and the gate
KR100396469B1 (ko) * 2001-06-29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JP3657915B2 (ja) * 2002-01-31 2005-06-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657244B1 (en) * 2002-06-28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to reduce silicon substrate consumption and improve gate sheet resistance during silicide formation
JP4057985B2 (ja) * 2003-09-19 2008-03-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7586A (en) 2007-02-16
KR100748906B1 (ko) 2007-08-13
KR20060108537A (ko) 2006-10-18
CN101425540A (zh) 2009-05-06
CN100501948C (zh) 2009-06-17
TWI308779B (ko) 2009-04-11
JP2006295025A (ja) 2006-10-26
CN1848392A (zh) 2006-10-18
KR100754262B1 (ko) 2007-09-03
US20060252196A1 (en)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2395B2 (ja) シリコン酸化膜形成法、容量素子の製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法
US20070222000A1 (en) Method of forming silicided gate structure
US7371646B2 (en) Manufacture of insulated gate type field effect transistor
JP200716555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54262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1096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0574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416968B2 (en) Methods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metal silicide gate electrodes
KR1005894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20098634A1 (en) Method for making an embedded memory MOS
KR2008000248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30036276A1 (en) Method for forming high resistance resistor with integrated high voltage device process
KR1004042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926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27255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46059B1 (ko) 반도체 제조 방법
JP2004327702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021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H09213957A (ja) 半導体装置の製法
JPH0914857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832067A (ja) Mis型半導体装置
JP200205712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3068A (ja) 半導体装置の製法
KR20040040527A (ko) 씨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JP200604956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