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308A -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308A
KR20070055308A KR1020060031279A KR20060031279A KR20070055308A KR 20070055308 A KR20070055308 A KR 20070055308A KR 1020060031279 A KR1020060031279 A KR 1020060031279A KR 20060031279 A KR20060031279 A KR 20060031279A KR 20070055308 A KR20070055308 A KR 2007005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ller
discharge nozzle
cleaning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811B1 (ko
Inventor
마사노리 고다
다카시 구로키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Abstract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을, 많은 세정액을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한 설비로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토출 노즐(20) 선단의 슬릿 모양의 토출구(21)로부터 토출(吐出)되는 도포액(22)을 보유하는 회전 롤러(11)를 토출 노즐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2)를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세정액(14)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를 블레이드보다도 회전 롤러의 회전방향 하류쪽에 설치하고, 블레이드에 의해 도포액을 회전 롤러에서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회전 롤러에 세정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적어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세정액을 공급하고 있는 단계에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켰다.

Description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DISCHARGE NOZZLE WAS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도포 작업후의 토출 노즐을 회전 롤러의 위쪽으로 인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의 설명도.
도 2는,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는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해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의 설명도.
도 3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토출된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해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블레이드에 의해 회전 롤러로부터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의 설명도.
도 4는,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토출 노즐을 상승시켜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서 격리시키는 한편, 세정조를 승강장치에 의하여 상승시켜서 회전 롤러의 하부를 세정조에 수용된 세정액에 침적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의 설명도.
도 5는,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회전 롤 러의 외주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의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회전 롤러 12: 블레이드
13: 구동장치 14: 세정액
15: 세정조 16: 승강장치
17: 회수조 18: 세정액 분사노즐
본 발명은, 유리, 수지 필름, 금속박 등의 여러 가지 피도포체에 여러 가지 도포액을 도포(塗布)하는 도포장치에 설치된 토출 노즐을 세정하는데 사용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설치된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에 도포액을 공급하여 도포를 행한 후, 다음 도포를 행할 때까지의 사이에, 토출구가 설치된 토출 노즐의 선단부를 세정하도록 되어있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有機)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제조함에 있어서, 도포장치에 의해, 유리, 수지 필름, 금속박 등의 여러 가지 피도포체에 각각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포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설치된 슬릿 모양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피도포체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로부터 다수의 피도포체에 도포액을 차례로 공급하여 도포를 행할 경우, 도포작업과 도포작업과의 사이의 대기시간에, 상기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이 건조하여 그 농도가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토출 노즐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의 농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다음 도포작업을 행하면, 고농도화한 도포액에 의하여 피도포체에 줄무늬 모양의 도포 얼룩이 생기거나, 막의 끊어짐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1-310147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조 안에 수용된 세정액 중에 회전 롤러의 일부를 침지시켜, 다음 도포작업을 행하기 전에, 세정액으로부터 돌출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슬릿 모양의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토출 노즐을 근접시켜, 이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토출시켜서, 토출 노즐의 선단부의 고농도화한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하고, 고농도화한 도포액을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서 제거하는 동시에, 도포액이 공급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샤워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분출시켜서, 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거된 도포액과 세정액을 상 기 세정조 안에 수용시켜, 이 세정조 안에 수용된 도포액과 세정액을 포함한 액체를 순환시켜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분사시키도록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액이 공급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샤워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분출시켜서, 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샤워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새로운 세정액이 대량으로 필요하게 되어서 러닝 코스트가 대단히 높아지는 동시에, 세정 후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처리가 문제가 되었다. 또, 세정조 안에 수용된 도포액과 세정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순환시켜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분사시킬 경우에는,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을 충분히 제거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도포액과 세정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정화시켜서 순환시킬 경우에는, 정화장치 등의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4-167476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액이 공급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순환시킨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순환액 샤워 노즐이나,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새로운 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신액(新液) 샤워 노즐이나,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시켜서 부착되어 있는 도포액을 긁어서 떨어뜨리는 블레이드나 브러시 롤러 등을 설치하도록 하는 세정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나타내는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된 도포액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코스트가 높 아지는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공보에 나타내는 세정장치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신액 샤워 노즐로부터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새로운 세정액을 항상 분사시키기 위하여, 많은 세정액이 필요하게 되어서 러닝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세정 후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처리가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에 도포액을 차례로 공급하여 도포를 행하는 도포장치에 있어서, 다음 도포작업을 행하기 전에, 상기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하고,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고농도의 도포액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된 도포액을, 많은 세정액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설비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줄무늬 모양의 얼룩이 생기는 일도 없고,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도포액의 제거가 항상 적절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포액을 피도포체에 공급하는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토출 노즐의 선단부를 세정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을 외주면에 보유하는 회전 롤러를 상기 토출 노즐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띄어서 설치하고, 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는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를 상기 블레이드보다도 회전 롤러의 회전방향 하류쪽에 설치하고,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는 도포액을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고 있는 단계에서는, 상기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고, 적어도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단계에 있어서도,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따라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를 첨부 도면에 근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는 아래 실시형태로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해서 블레이드(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블레이드(12)를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블레이드(12)를 실린더나 모터 등의 구동장치(13)에 의해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2)보다도 회전 롤러(11)의 회전방향 하류쪽 위치에, 세정액 공급장치로서 세정액(14)을 수용하는 세정조(15)를 설치하고, 이 세정조(15)를 실린더 등의 승강장치(16)에 의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승강장치(16)에 의하여 세정조(1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하부가 세정조(15)에 수용된 세정액(14)에 침지(浸漬)하게 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를 이용해서 토출 노즐(20)의 선단부를 세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21)로부터 피도포체(도시하지 않음)에 도포액(22)을 공급하여 도포를 행한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토출 노즐(20)을 회전 롤러(11)의 위쪽에 인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에는 도포액(22)이 남아 있는 상태에 있으며, 이 도포액(22)이 건조하여 농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다음 도포작업을 행하면, 고농도화한 도포액(22)에 의해 피도포체에 줄무늬 모양의 도포 얼룩이 생기거나, 막의 끊어짐 이 발생하거나 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출 노즐(20)을 하강시켜서, 이 토출 노즐(20)의 선단부를 상기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근접시켜,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와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이 소요의 간격, 통상은 30μm∼500μm 범위의 간격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롤러(11)를 회전장치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동시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2)를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구동장치(13)에 의해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세정액(14)을 수용하는 상기 세정조(15)를 상기 승강장치(16)에 의하여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회전 롤러(11)의 하부가 세정조(15)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14)에 침지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상태에서,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21)로부터 도포액(22)을 예비 토출시켜서, 이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에 남아 있는 도포액(22)을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22)을 회전 롤러(11)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2)의 위치로 인도하고,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있는 블레이드(12)에 의하여, 상기 도포액(22)을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제거하여 회수조(17)에 회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22)의 일부가 건조하여 점도가 높은 덩어리 모양으로 되고, 이것이 블레이드(12)의 위치에 있어서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블레이드(12)가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22)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적절하게 박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22)이 통상의 도포액(22)과 함께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이탈하여 회수조(17)에 회수되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에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얼룩이 발생하는 일도 없어진다.
그 다음에, 이와 같이 토출 노즐(20)로부터 예비 토출된 도포액(22)을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제거하여 회수조(17)에 회수시킨 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근접된 상태에 있는 상기 토출 노즐(20)을 상승시켜, 이 토출 노즐(20)을 피도포체에 인도하여 다음 도포작업을 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세정조(15)를 승강장치(16)에 의해 상승시켜서, 회전 롤러(11)의 하부를 세정조(15)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14)에 침지시킨다.
여기서, 이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하부를, 세정조(15)에 수용된 세정액(14)에 침지시키면, 이 세정조(15)에 수용된 세정액(14)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공급되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조금 남아 있는 도포액(22)이 상기 세정액(14)에 의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제거되기 쉽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공급된 세정액(14)이 회전 롤러(1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12)의 위치에 인도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있는 블레이드(12)에 의하여, 이 세정액(14)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조 금 남아 있는 도포액(22)과 함께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제거되어 회수조(17)에 회수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22)의 일부가 건조하여 덩어리 모양으로 되고, 이것이 블레이드(12)의 위치에서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블레이드(12)가 회전 롤러(1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22)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적절하게 박리되어, 이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22)이 세정액(14)과 같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어 회수조(17)에 회수하게 된다. 그 결과,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에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얼룩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이 균일한 상태가 되고, 다음에 토출 노즐(20)의 선단부를 세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이 균일한 상태로 유지되어, 토출 노즐(20)의 선단부의 세정이 적절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세정액(14)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로서, 세정액(14)을 수용하는 세정조(15)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세정액(14)을 공급하는 세정액 분사 노즐(18)을 세정조(15) 안에 설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 노즐(20)로부터 예비 토출시킨 도포액(22)을 블레이드(12)에 의해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서 제거한 후에, 이 세정액 분사 노즐(18)로부터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세정액(14)을 분사시켜서 공급하고, 회전 롤러(11)의 외주면에 보유되지 않았던 세정액(14)을 세정조(15)에 회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히 유념해야 한다.
그럼으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토출함에 있어서, 회전 롤러를 토출 노즐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띄어서 설치하였기 때문에,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토출시킬 때에,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건조한 도포액 가루가 남아 있어도, 이 도포액 가루가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토출시킴으로써,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존재하고 있는 농도가 높아진 도포액이 적절하게 제거되는 동시에,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새롭게 토출된 도포액이 토출 노즐의 선단부에 적절하게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이 블레이드보다도 회전 롤러의 회전방향 하류쪽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회전 롤러에 공급하는 세정액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이 세정액에 섞이는 것이 억제되어,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공급하는 세정액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세정액의 소비량이 감소하고, 러닝 코스트가 저감하게 되는 동시에, 종래와 같이 세정액을 정화시키는 정화장치 등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설비비용이 저감되는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한 다음,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깨끗한 세정액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한 단계에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해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도포액이 남아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세정액에 의하여 도포액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서 제거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이 건조되어 점도가 높은 덩어리 모양으로 되어 있더라도, 이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서 박리되기 쉽게 되어, 이 덩어리 모양으로 된 도포액이 세정액과 함께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서 적절하게 제거되도록 된다. 그 결과, 회전 롤러의 외주면 에 둘레방향에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얼룩이 생기는 일도 없고, 다음에 토출 노즐의 선단부를 세정하는 경우에도, 토출 노즐의 선단부의 세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토출하는 단계에 있어서도,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이 이 블레이드에 의해 균일하게 제거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에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얼룩이 생기는 것이 한층 더 방지하게 된다.

Claims (3)

  1. 도포액을 피도포체에 공급하는 슬릿 모양으로 된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토출 노즐의 선단부를 세정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로서,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을 외주면에 보유하는 회전 롤러가 상기 토출 노즐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띄어서 설치되고,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제거하는 블레이드가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가 상기 블레이드보다도 회전 롤러의 회전방향의 하류쪽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고 있는 단계에서는 상기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적어도 세정액 공급장치로부터 회전 롤러에 세정액을 공급하고 있는 단계에서,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블레이드가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회전 롤러의 외주면에 보유되어 있는 도포액을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고 있는 단계에 있어서도,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 롤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장치는, 세정액을 수용하고 있는 세정조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KR1020060031279A 2005-11-24 2006-04-06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KR100756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7940 2005-11-24
JPJP-P-2005-00337940 200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08A true KR20070055308A (ko) 2007-05-30
KR100756811B1 KR100756811B1 (ko) 2007-09-10

Family

ID=3811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279A KR100756811B1 (ko) 2005-11-24 2006-04-06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81407B2 (ko)
KR (1) KR100756811B1 (ko)
CN (1) CN100431714C (ko)
TW (1) TWI2969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28B1 (ko) * 2007-04-13 2008-06-23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 코터용 예비토출장치
KR100933640B1 (ko) * 2007-12-27 2009-12-2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접착제 도포장치용 접착제 압착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31B1 (ko) * 2007-11-30 2014-10-14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코터용 예비토출장치
JP5121778B2 (ja) * 2009-06-26 2013-01-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イミング処理方法及びプライミング処理装置
JP5562315B2 (ja) * 2011-10-27 2014-07-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イミング処理方法及びプライミング処理装置
CN107486424A (zh) * 2017-08-25 2017-12-19 安徽信息工程学院 超白光伏玻璃压延机的洗刷辊装置
JP7018323B2 (ja) * 2018-01-22 2022-02-10 Towa株式会社 加工装置、及び製品の製造方法
CN108856113A (zh) * 2018-05-29 2018-11-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涂布喷嘴清洗装置
CN109047075A (zh) * 2018-08-30 2018-12-21 浙江工业大学 一种法兰焊缝自动清洁机
CN109046849B (zh) * 2018-10-27 2020-10-13 临泉县荣兴木业有限公司 一种自清洗涂胶机用胶辊
DE102019103273A1 (de) * 2019-02-11 2020-08-13 Brillux Gmbh & Co. Kg Verfahren zur Vermeidung des mikrobiellen Befalls einer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 Dosier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812B2 (ja) * 1996-08-30 2002-01-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05683A (ja) * 1998-06-22 2000-01-11 Toppan Printing Co Ltd スロット型塗布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3033021B2 (ja) * 1998-07-07 2000-04-17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用清掃装置
JP2001310147A (ja) * 2000-05-02 2001-11-06 Tokyo Ohka Kogyo Co Ltd スリットコータの予備吐出装置および予備吐出方法
FI20002826A (fi) * 2000-12-22 2002-06-23 Coefa Company Ltd Oy Menetelmä ja laitteisto telan pesemiseksi
DE10157054A1 (de) * 2001-11-21 2003-06-05 Hauni Maschinenbau Ag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 Leimauftragsorgan
JP2004121980A (ja) * 2002-10-02 2004-04-22 Toppan Printing Co Ltd 予備吐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4141744A (ja) * 2002-10-23 2004-05-20 Toppan Printing Co Ltd 塗布液供給装置及び方法
JP3877719B2 (ja) * 2002-11-07 2007-02-0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コータの予備吐出装置
JP4455102B2 (ja) * 2004-03-10 2010-04-2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4526288B2 (ja) * 2004-03-25 2010-08-1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ノズル先端の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KR200441012Y1 (ko) * 2007-05-09 2008-07-17 양철수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28B1 (ko) * 2007-04-13 2008-06-23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릿 코터용 예비토출장치
KR100933640B1 (ko) * 2007-12-27 2009-12-2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접착제 도포장치용 접착제 압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0166A (zh) 2007-05-30
TW200719978A (en) 2007-06-01
KR100756811B1 (ko) 2007-09-10
CN100431714C (zh) 2008-11-12
JP2007167837A (ja) 2007-07-05
TWI296943B (en) 2008-05-21
JP4381407B2 (ja)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5308A (ko)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KR100908361B1 (ko)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EP2979874B1 (en) Printhead cleaning assembly
JP4986490B2 (ja) 予備吐出装置
KR20080019165A (ko) 예비 토출장치
JP2014156086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グラビア塗工装置
KR101621566B1 (ko) 프라이밍 처리 방법 및 프라이밍 처리 장치
KR20150099421A (ko) 그라비어 인쇄기
KR20130047625A (ko) 노즐 유지 보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도포 처리 장치
CN111801170B (zh) 涂布用喷嘴的清扫装置
CN108568372B (zh) 喷嘴清洁装置以及喷嘴清洁方法
KR100976529B1 (ko) 약액 예비토출장치
US20160067973A1 (en) Method of cleaning ink residues off an inkjet head
JP5562315B2 (ja) プライミング処理方法及びプライミング処理装置
KR20130036401A (ko) 기판 코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KR20140032842A (ko) 처리액 도포 장치
JP4163791B2 (ja) 塗布装置
JP2002166529A (ja) 印刷機シリンダ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07504A (ko) 기판 세정 장치
KR20100057265A (ko) 약액 예비토출장치
KR20160123618A (ko) 기판 처리 장치
KR200195101Y1 (ko) 감광제 공급 시스템
KR100837694B1 (ko) 접촉식 세정 유닛의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액 공급장치 및 노즐장치
KR20110058571A (ko)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KR20070119902A (ko) 슬릿 노즐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