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12Y1 -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 Google Patents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12Y1
KR200441012Y1 KR2020070007641U KR20070007641U KR200441012Y1 KR 200441012 Y1 KR200441012 Y1 KR 200441012Y1 KR 2020070007641 U KR2020070007641 U KR 2020070007641U KR 20070007641 U KR20070007641 U KR 20070007641U KR 200441012 Y1 KR200441012 Y1 KR 200441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pressure
auxiliary
high press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수
Original Assignee
양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철수 filed Critical 양철수
Priority to KR2020070007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는 기존 프롯트(11)에 하방으로 추가하중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소정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24)를 부가하여 이동가이드(12)에 이물질이 침착되더라도 프롯트(11)가 이동가이드(12)상을 원할하게 이동하여 정확한 수위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롯트(24)의 내부에 공기 또는 가스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25)를 부가하여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 프롯트(24)의 두께를 얇게 제조하여도 외부의 압력 작용시 내부의 압력과 동일 유사한 압력을 유지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저장탱크, 수위측정, 프롯트, 레벨 트랜스미터, 수위제어, 압력용기

Description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Support float of tank for high pressure and polluted water}
도 1은 종래의 프롯트 타입 레벨 트랜스미터가 설치된 저장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내부 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2지 배력발생기가 저장탱크에 설치된 프롯트의 상측 및 하측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3지 배력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3지 배력발생기를 설치하는 다른 사용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삽입식 배력발생기에 프롯트가 삽입 고정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저장탱크 2 : 액체
3 : 이동가이드 삽입공
10 : 레벨 트랜스미터 11 : 프롯트(float)
12 : 이동가이드
20 : 배력발생기 21a, 22b : 상·하부 지지구
22 : 통공 23 : 연결구
24 : 보조 프롯트 25 : 압력조절밸브
30 : 삽입식 배력발생기 31 : 삽입공
32 : 지지편 33 : 고정나사
본 고안은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프롯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가이드에 침착된 이물질에 의해 프롯트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아 수위측정이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추가 하중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소정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를 설치한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의 저장량은 저장탱크의 바닥면과 액체의 상부 수평면 사이의 거리(액체의 높이)와 저장탱크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수의 수위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낮은 정확도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근접스위치 또는 포텐시오메터(Potentiometer)를 이용하여 액체의 수평면 위치를 측정하였고, 높은 정확도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레벨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였다.
즉, 대규모 저장탱크를 사용하여 고가의 액체를 저장 관리하는 주유소나 화 학공장 등에 있어서는 저장탱크내의 액체 저장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재고를 경제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전류변화를 측정하는 플로트 타입의 레벨 트랜스미터를 사용하여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판단하였다.
상기 플로트 타입의 레벨 트랜스미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의 일측에 레벨 트랜스미터를 삽입하고, 이동가이드(12)를 따라 프롯트(float)(11)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류변화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달받고, 상기 전류변화에 따라 정확한 수위가 측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탱크에 사용되는 수위측정장치(레벨 트랜스미터 등)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12)에 침착된 이물질(예를 들면 물때, 오염물질)에 의해 프롯트(11)의 이동이 방해되어 정확한 수위측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프롯트에 하방으로 추가 하중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소정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를 부가 설치하여, 이물질이 침착되더라도 프롯트가 이동가이드상을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는 프롯트의 상측 및 하측에 밀착한 상태로 이동가이드가 관통하도록 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에 각각의 보조 프롯트를 결합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2지 배력발생기가 저장탱크에 설치된 프롯트의 상측 및 하측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로서, 3지 배력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3지 배력발생기를 설치하는 다른 사용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삽입식 배력발생기에 프롯트가 삽입 고정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는 일 실시례로 도 2에 도시된 2지 배력발생기(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2지 배력발생기(20)는 중앙에 이동가이드(12)가 삽입되는 통공(22)을 구비하며, 프롯트(float)(11)의 상측 및 하측에 밀착하는 상·하부 지지구(21a)(21b)와; 상기 상·하부 지지구(21a)(21b)에서 외측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2개의 연결구(23)와; 상기 연결구(23)의 끝단에 결합되며,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발포금속 또는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support float)(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프롯트(24)는 녹이 슬지 않는 비철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인 경우 부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구(21a)는 수위가 하강할 경우 보조 프롯트(24)의 자체 하중에 의해 프롯트(11)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동가이드(12)에 이물질이 침착된 상태에서도 프롯트(11)가 원할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구(21b)는 수위가 상승할 경우 보조 프롯트(24)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프롯트(11)를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동가이드(12)에 이물질이 침착된 상태에서도 프롯트(11)가 원할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프롯트(24)는 충분한 부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력을 가지는 공기 또는 가스가 충진(봉입)되어 있으므로, 저장탱크의 압력이 높더라도 강도를 높이기 보조 프롯트(24)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롯트(24)를 물 보다 비중이 가벼운 발포금속 또는 우레탄 폼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내부가 비어있지 않으므로 보다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롯트(24)에 공기 또는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일측에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밸브(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밸브(25)는 종래의 타이어 등에서 공기압을 유입,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다른 실시례로서 연결구(23)가 3개 형성된 3지 배력발생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환경(이동가이드의 이물질 침착정도 등)에 따라 제작단계에서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3지 배력발생기(20)는 도 2에 도시된 2지 배력발생기와 동일한 구성에 단지 연결구(23)의 갯수만 증가된 형태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3지 배력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롯트(11)의 외측면에 3개의 보조 프롯트(24)를 접착제 또는 스팟(spot)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반복사용에 의해 프롯트(11)와 보조 프롯트(24)의 접착부위가 파손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프롯트(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마주 보는 보조 프롯트(24)들이 연결구(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구(23)는 프롯트(11)의 중앙에 형성된 이동가이드삽입공(3)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또 다른 실시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지, 3지 배력발생기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삽입력 배력발생기(30)를 제안한다.
상기 삽입력 배력발생기(30)는 내측에 공기를 저장하여 외부의 압력에 견디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프롯트(11)가 삽입되며, 이동가이드(1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통공(도면미표시)이 형성된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31)의 양측에 고정나사(33)에 의해 돌출 고정되어 상기 프롯트(11)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식 배력발생기(30)의 삽입공(31)에 프롯트(11)를 삽입하고, 이동가이드(12)를 상기 프롯트(11) 및 삽입식 배력발생기(30)에 관통하여 설치하면, 수위가 하강할 경우 삽입식 배력발생기(30)의 자체 하중에 의해 프롯트(11)가 원할하게 하강하고, 수위가 상승할 경우 삽입식 배력발생기(30)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프롯트(11)가 원할하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는 기존 프롯트(11)에 하방으로 추가 하중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24)를 부가하여 이동가이드(12)에 이물질이 침착되더라도 프롯트(11)가 이동가이드(12)상을 원할하게 이동하여 정확한 수위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 프롯트(24)에 공기 또는 가스를 충진하는 경우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25)를 부가하여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 프롯트(24)의 두께를 얇게 제조하여도 외부의 압력 작용시 내부의 압력과 동일 유사한 압력을 유지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앙에 이동가이드(12)가 삽입되는 통공(22)을 구비하며, 프롯트(float)(11)의 상측 및 하측에 밀착하는 상·하부 지지구(21a)(21b)와;
    상기 상·하부 지지구(21a)(21b)에서 외측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23)와;
    상기 연결구(23)의 끝단에 결합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발포금속 또는 우레탄 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프롯트(support float)(2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롯트(24)는 내부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된 공기 또는 가스가 충진되고 일측에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밸브(25)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3. 프롯트(11)의 외측면에 120°간격으로 3개의 보조 프롯트(24)를 접착제 또는 스팟(spot)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하되,
    프롯트(11)에서 보조 프롯트(2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롯트(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마주 보는 보조 프롯트(24)들이 연결구(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4. 내측에 공기를 저장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프롯트(11)가 삽입되며, 이동가이드(1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통공(도면미표시)이 형성된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31)의 양측에 고정나사(33)에 의해 돌출 고정되어 상기 프롯트(11)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편(3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2020070007641U 2007-05-09 2007-05-09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200441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41U KR200441012Y1 (ko) 2007-05-09 2007-05-09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41U KR200441012Y1 (ko) 2007-05-09 2007-05-09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012Y1 true KR200441012Y1 (ko) 2008-07-17

Family

ID=4164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641U KR200441012Y1 (ko) 2007-05-09 2007-05-09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11B1 (ko) * 2005-11-24 2007-09-10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KR20190096155A (ko) * 2018-02-08 2019-08-19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20190096153A (ko) * 2018-02-08 2019-08-19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11B1 (ko) * 2005-11-24 2007-09-10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토출 노즐의 세정장치
KR20190096155A (ko) * 2018-02-08 2019-08-19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20190096153A (ko) * 2018-02-08 2019-08-19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102011288B1 (ko) * 2018-02-08 2019-08-21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102011284B1 (ko) * 2018-02-08 2019-08-21 (주)에스엠테크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649B1 (ko) 해상 발전플랫폼의 부유시스템
EP2594474B1 (en) Device for reducing sloshing impact of cargo hold for liquid cargo and method for reducing same
KR200441012Y1 (ko)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CN103592000A (zh) 一种液位测量装置
US10961111B2 (en) Device for removing fuel from tank cartridges for fuel cells
KR102011288B1 (ko)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KR102011284B1 (ko) 고압 및 오수용 배력발생기
JP3139198U (ja) 液面レベル同位計及び液面レベル同位計付きタンク
CN202442756U (zh) 耐高压磁浮子液位计
KR20190063004A (ko) 모듈형 레독스 흐름 전지
JP2018205269A (ja) 水位計、仮設トイレシステム、及び汚物搬送方法
KR20110133284A (ko) 고압용기의 액체레벨 검출장치
CN207467419U (zh) 一种埋地双层内衬罐
CN201955129U (zh) 单磁浮子传感器
JP6308402B2 (ja) 液面計
KR20150066233A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CN217006004U (zh) 一种多液位测量计
JP5392482B2 (ja) 浮き沈みする貯留槽
KR20190063959A (ko) 모듈형 레독스 흐름 전지
CN203177932U (zh) 一种配重式浮球液位计
CN101532738B (zh) 一种太阳能热水器水温水位探头的浮子
CN206613529U (zh) 悬浮式试剂架
CN105547417A (zh) 液位传感器
KR200251325Y1 (ko) 고압탱크용 플로우트
JP4895626B2 (ja) 液面揺動抑制装置および液面揺動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