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361A -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361A
KR20070051361A KR1020077008248A KR20077008248A KR20070051361A KR 20070051361 A KR20070051361 A KR 20070051361A KR 1020077008248 A KR1020077008248 A KR 1020077008248A KR 20077008248 A KR20077008248 A KR 20077008248A KR 20070051361 A KR20070051361 A KR 2007005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pole
connector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506B1 (ko
Inventor
미츠히로 마츠모토
히로타카 후쿠시마
다카시 츠카모토
겐지로 시바
도모유키 와타나베
다카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 (주)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 지도샤 (주),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두 개의 모터를 접속하는 인버터(기기)나 접속 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3상 교류용 두 개의 보조 기기와 하나의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6개의 독립된 버스 바(21∼26)를 구비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로서, 기기에 접속하는 3상 교류의 U극의 단자부(11, 12)를 2개, V극의 단자부(13, 14)를 2개, W극의 단자부(15, 16)를 2개 각각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각 단자부(11∼16)를 각 버스 바(21∼26)의 일단측에 설치하고, 각 버스 바의 타단측에 두 개의 보조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U극과 V극과 W극의 각 하나의 단자부(31∼33, 34∼36)를 각각 이간한 상태에서 2세트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였다. 버스 바(22, 25)는 타단측의 상기 2세트의 단자부(31∼33, 34∼36) 사이에서 연장된 연장부(22c, 25c)를 갖는다. 버스 바(21∼26)를 절연 수지부에 몰드 성형하였다.
몰드 성형, 버스 바, 커넥터, 직접 장착식, 절연 수지, 인버터, 보조 기기, 단자부, 연장부, 굴곡부, 전류 센서

Description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APPARATUS DIRECT MOUNTING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두 개의 3상 교류 모터(보조 기기)와 인버터(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버스 바를 구비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도 12는 종래의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61)는 전기 자동차용 3상 교류 모터(62, 63)(도 13)를 접속하는 인버터(기기)(64)의 케이스(부호 64로 대용)에 설치된 것으로서, 기기 측의 UVW의 3극의 회로(65∼67)(도 14)에 대응하는 3개의 버스 바 단자(68∼70)와, 각 버스 바 단자(68∼70)를 볼트(71)로 접속하는 단자 있는 전선(73)과, 각단자(72)를 수용하는 절연 수지제의 하우징(74)과, 하우징(74)의 외측을 덮는 도전 금속제의 실드 쉘(75)을 구비하고 있다.
기기 내의 3극의 회로(65∼67)(도 14)는 볼트 조임으로 각 버스 바 단자(68∼70)에 접속된다. 단자 있는 전선(73)은 방수 고무 마개(76)로 실링되고, 하우징(74)의 상부는 실드 쉘의 캡(77)으로 봉지된다. 하우징(74)의 상부에는 캡(77)을 열면 전원이 차단되는 안전 회로의 단자(78)가 설치되어 있다. 실드 쉘(75)은 볼트에 의해 기기(64)의 도전 금속제의 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13은 상기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61)와 전기 자동차용 3상 교류 모터(62, 63)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두 개의 모터(예를 들어 우륜 구동용과 좌륜 구동용)(62, 63)는 각 3개의 전선(79)을 통하여 기기(인버터 즉 직류-교류 변환기)(64)에 커넥터 접속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일측의 모터(62)가 도 11의 직접 장착식 커넥터(61)를 통하여 기기(64)에 접속되고, 타측의 모터(63)는 각 전선마다 작은 커넥터(61')를 통하여 기기(6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직접 붙임 커넥터(61, 61')는 기기 케이스의 서로 다른 벽부에 설치되어 있다. 두 모터(62, 63)를 도 11의 두 개의 직접 붙임 커넥터(61)를 통하여 기기(64)에 접속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기기(64)는 직류 배터리(도시 생략)에 2개의 전선(80)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서 부호 64a는 기기 메인바디부를 나타낸다.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류는 기기(인버터)(64)에서 교류로 변환되어 각 모터(62, 63)를 구동하고, 각 모터(62, 63)의 회생 브레이크 작용에 의해 각 모터가 발전기로서 작용하고, 각 모터(62, 63)에서 발생한 교류 전류가 기기(64)에서 직류로 변환되어 배터리에 충전된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2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스 바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버스 바 구조체(110)는 예를 들어 발전소 내의 변압기와 배전용 부속 기기를 접속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상자(도시 생략)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버스 바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각 버스 바(112∼114)의 일단부(115∼117)에 접속 도체(도시 생략)를 통하여 소켓 내의 접속 단자(도시 생략)가 접속되고, 각 버스 바(112∼114)의 타단부(118∼120)에 접속판(도시 생략)을 통하여 케이블(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각 버스 바(112∼114)의 일단부(115∼117)는 판 폭 방향으로 두 장 접합되어 오른쪽부터 UVW의 극상 순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각 버스 바(112∼114)의 중간부는 판 두께 방향으로 두 장 포개진 상태에서 소정 형상으로 굴곡되고, 각 버스 바(112∼114)의 타단부(118∼120)는 상하로 분리되어 왼쪽부터 UVW의 극상 순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버스 바(112∼114)의 양단부에는 각각 이음판(도시 생략)을 통하여 볼트 조임으로 접속 도체나 접속판이 접속 고정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11-126661호 공보(2∼3페이지, 도 1, 도 4)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 8-126182호 공보(3∼4페이지, 도 1)
그러나, 상기 종래(도 11∼도 12)의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와 그것을 이용한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64)의 케이스 내에서 기기 메인바디부(변환기)(64a)와 각 커넥터(61, 61')의 각 극(UVW)을 접속하는 버스 바 등의 회로(65∼67)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기기(64)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로(65∼67)가 복잡하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번거로워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며, 접속 미스를 일으킬 우려도 있었다.
또한 기기 내의 회로(65∼67)는 전류값을 관리받고 있는데, 그를 위한 전류 센서를 기기 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해서도 기기(64)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도 15)의 버스 바 구조체(110)는 이음판을 통하여 접속 도체나 접속판을 체결 접속시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이 버스 바 구조체(110)를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응용한 경우에는(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121)의 케이스 내에 버스 바(113)의 일단부(116)를 배치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22) 내에 버스 바(113)의 중간부를 굴곡시키면서 배치함과 동시에, 버스 바(113)의 타단부(119)를 수평 방향으로 상하 평행하게 돌출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123)를 버스 바(113)의 타단부(119)의 돌출 방향(수평 방향)으로부터 접속시키기 때문에 커넥터 접속 구조가 버스 바 돌출 방향으로 비대해진다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도 17과 같이 2개의 버스 바(124)를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25) 내에서 상향으로 굴곡시키고 상대측 커넥터(126)를 하향으로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각 버스 바(124)의 타단부(127)가 전후 2열로 배치되기 때문에 접속 구조 즉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25)가 버스 바 타단부(127)의 배열 방향(수평 방향)으로 비대해질 우려가 있었다. 이들 문제는 도 16∼도 17의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22, 125)를 90° 반전시켜 배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기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기기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 구조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기 직접 붙임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3상 교류용 두 개의 보조 기기와 하나의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6개의 독립된 버스 바를 구비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로서, 이 기기에 접속하는 3상 교류의 U극의 단자부가 2개, V극의 단자부가 2개, W극의 단자부가 2개 각각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 단자부가 상기 각 버스 바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각 버스 바의 타단측에 상기 2개의 보조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U극과 V극과 W극의 각 하나의 단자부가 각각 이간된 상태에서 2세트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 등의 두 개의 보조 기기로부터의 각 3개의 회로가 6개의 독립된 버스 바의 타단측의 U극과 V극과 W극의 각 3개의 2세트의 단자부에 각각 별도로 접속된다. 6개의 버스 바의 일단측의 UU와 VV와 WW의 각 2개의 단자부는 서로 정렬되어 그리고 각각 독립적으로 기기 측의 회로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타단측의 단자부의 극상이 배열 순으로 U1W1V1과 V2U2W2의 2세트로 설정되고, 일단측의 단자부의 극상이 배열 순으로 U1U2와 V1V2와 W1W2로 설정되도록,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 사이에서 각 버스 바 중 일부(6개 중 2개)가 서로 혼재하여 배선된다. 이에 따라,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가 인접하는 두 개의 병렬의 커넥터 접속부를 구성하고, 보조 기기측의 회로의 커넥터가 두 개의 커넥터 접속부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작업성 양호하게 끼움 접속된다. 그리고, 일단측의 극마다 정렬된 단자부에 의해 기기측의 접속 회로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접속 작업도 효율화된다. 또한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가 독립적으로 각 모터측의 회로에 접속됨으로써 모터마다의 전압(전류) 제어 등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가 타단측의 상기 2세트의 단자부 사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청구항 1에서의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 사이에서 각 버스 바 중 일부(6개 중 2개)를 서로 혼재하여 배선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확실해진다. 그리고, 어느 버스 바를 연장시키는지에 따라 UVW의 극의 배열을 선택적으로 자유로이 설정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와 타단측의 단자부가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를 통하여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가 굴곡부를 베이스단으로 하여 타단측의 단자부보다 깊숙한 안쪽 측으로부터 돌출하므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부의 안길이가 증가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부에서 일단측의 단자를 따라 배치되는 부품이 깊숙한 안쪽까지 수용되고, 그에 따라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가 일단측의 단자의 돌출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또한 コ자형의 굴곡부에 의해 버스 바의 강성이 높아지고, 타단측의 단자부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단자부의 구부러짐 변형 등이 방지된다.
청구항 4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의 버스 바의 타단측의 단자가 단차부를 통하여 상기 연장부로 이어지고, 이 연장부가 타측의 버스 바의 연장부와 동일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일측의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가 단차부 측을 베이스단으로 하여 타단측의 단자부보다 깊숙한 안쪽 측으로부터 돌출하므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부의 안길이가 증가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부에서 일단측의 단자를 따라 배치되는 부품이 깊숙한 안쪽까지 수용되고, 그에 따라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가 일단측의 단자의 돌출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또한 직교하는 단차부에 의해 버스 바의 강성이 높아지고, 타단측의 단자부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단자부의 구부러짐 변형 등이 방지된다.
청구항 5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가 절연 수지부에 몰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각 버스 바가 절연 수지부에서 서로 절연되고 고정되어 버스 바 조립체가 구성된다. 버스 바 조립체의 상태에서 커넥터의 케이스나 실드 쉘 내에 용이하게 조립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상기 버스 바의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 및/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단차부가 상기 절연 수지부에 몰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버스 바의 고정 강도가 증가하고, 타단측의 단자부의 강성이 향상되며,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시 등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단자부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 이외에, 청구항 3, 4에 기재된 작용 효과가 훨씬 조장된다.
청구항 7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수지부의 내측에 상기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에 관통되어 전류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절연 수지부의 내측 공간에 있어서 일단측의 단자부가 깊숙한 안쪽으로부터(절연 수지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공간의 안길이가 증가하고, 전류 센서가 안쪽 깊숙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을 일단측의 단자부의 돌출 방향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기 내에 전류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기기의 컴팩트화가 촉진된다. 전류 센서는 6개의 버스 바 중 4개에 설치하면 되므로(각 회로의 전류값의 검출이 가능해지므로), 직접 장차식 커넥터의 비대화도 최대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버스 바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모터(보조 기기)와 인버터(기기)의 접속 구조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 시도이다.
도 4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인버터(기기)와 직접 장착식 커넥터와의 회로 접속 상태의 일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버스 바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버스 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버스 바 구조를 적용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종래의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모터(보조 기기)와 인버터(기기)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인버터(기기)와 직접 장착식 커넥터와의 회로 접속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버스 바 구조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버스 바 구조를 적용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제1 응용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마찬가지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제2 응용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0 :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2 : 인버터(기기)
5 : 하우징
6, 108 : 절연 수지부
7 : 전류 센서
11, 12, 82, 83 : U극의 단자부
13, 14, 84, 85 : V극의 단자부
15, 16, 86, 87 : W극의 단자부
21∼26, 88∼93 : 버스 바
22c, 25c, 22c', 25c', 89c, 92c : 연장부
31∼33, 34∼36, 94∼96, 97∼99 : U극 V극 W극의 각 하나의 암단자(2세트의 암단자)
41, 42 : 모터(보조 기기)
89f : 단차부
107 :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 도 2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의 버스 바의 배선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는, 기기(인버터)(2)의 케이스(3)를 관통하는 6개의 단자부(11∼16)(도 2)를 일단측에 갖는 6개의 버스 바(21∼26)와, 각 버스 바(21∼26)의 타단측에 볼트(19)로 접속 고정되는 암단자(단자부)(31∼36)(도 2)와, 암단자(31∼36)를 수용하는 절연 수지제의 하우징(5)과, 각 버스 바(21∼26)를 인서트 성형으로 절연 고정시킨 절연 수지부(케이스)(6)와, 절연 수지부(6) 내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7)와, 절연 수지부(6) 및 하우징(5)을 덮는 도전 금속제의 실드 쉘(8)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6개의 버스 바(21∼26)의 각 단자부(11∼16)는 UUVVWW의 극순으로 배열되고, 두 개의 모터(보조 기기)(41, 42)(도 3)로부터 도출된 각 3개의 전선(39)에 접속되는 각 3개의 암단자(31∼33, 34∼36)에 대하여 각 단자부(11∼16)가 혼재하여 배치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도 1과 같이, 각 버스 바(21∼26)는 실드 쉘(8) 내에서 몰드 성형에 의해 절연 고정되고, 버스 바(21∼26)와 암단자(31∼36)가 연결되고, 6개의 암단자(31∼36)가 두 개의 하우징(5) 내에 분할되어 삽입되고, 이어서 전류 센서(7)가 장착된다. 절연 수지부(6)에는 미리 전류 센서 장착용 오목부(9)가 형성된다. 이들 구성은 직접 장착식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로서 유효하다. 한편, 버스 바(21∼26)의 몰드 성형을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한 후, 그 버스 바 조립품을 실드 쉘(8) 내에 장착하여도 좋다. 암단자(31∼36)는 6개의 버스 바(21∼26)에 대응하여 총 6개 설치된다.
전류 센서(7)에는 절연 수지제의 장형의 블록(10)이 접합되고, 버스 바(21∼26)는 전류 센서(7)와 절연 블록(10)과의 구멍부를 관통하여(전류 센서(7)를 관통하지 않는 것도 있음), 그 단자부(11∼16)가 기기(2)의 케이스(3) 내로 돌출한다. 전류 센서(7)는 예를 들어 대략 코일형의 도전성의 코어와 홀 소자(도시 생략)로 구성된 기존의 것이다(전류 센서(7)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2-257866호 공보의 도 3의 종래예 참조). 전류 센서(7)는 절연 블록(10) 상으로부터 실리콘 등의 유동성의 수지재를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유연한 수지재(17)가 됨으로써) 방수된다. 절연 블록(10)은 기기(2)의 케이스(3)의 장형의 구멍에 삽입되고 그 삽입부가 패킹(18)으로 방수된다. 실드 쉘(8)과 케이스 외면의 도전 금속부(4)가 접하여 접지된다.
버스 바(21∼26)와 암단자(31∼36)와의 구멍에 볼트(19)가 삽입 통과되고, 너트(20)에 나사 결합되어 양자가 고정된다. 너트(20)는 버스 바(21∼26) 또는 암단자(31∼36)에 용접 고정되거나, 혹은 하우징(5) 내에 미리 유지 내지 고정된다. 도 1의 형태에서는 하우징(5) 내에 너트(20)가 유지되고, 하우징(5)의 돌기부(27)와 절연 수지부의 오목부가 결합하여 양자가 위치 결정되고, 하우징(5) 측의 각 너트(20)에 버스 바(21∼26)가 고정됨으로써 절연 수지부(6)와 하우징(5)이 서로 고정된다. 볼트(19)나 너트(20)의 배치 등은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5) 내의 암단자(31∼36)는 일측에 탄성 접속부를 내장한 사각 통형상 의 전기 접촉부, 타측에 버스 바 연결부(32a)(도 1)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암단자(31∼36)가 수단자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하우징(5) 내에서 절연되므로, 직접 장착식 커넥터(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28)의 끼움 접속 시에 감전 등의 우려가 없다.
직접 장착식 커넥터(1)에는 상대측의 커넥터(28)가 상방으로부터 수직으로 끼움 접속된다. 상대측 커넥터(28)는 전선 있는 수단자(29)와, 수단자(29)를 돌출시키는 커넥터 끼움실(30)을 갖는 절연 수지제의 하우징(37)과, 하우징(37)의 베이스부 외측에 장착된 도전 금속제의 실드 쉘(38)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전선(39)은 두 개의 모터(보조 기기)(41, 42)(도 3)로부터 UVW의 극상으로 3개씩 총 6개 도출되어 있다.
두 커넥터(1, 28)의 실드 쉘(8, 38)은 그들의 플랜지부를 볼트(40)로 조임 접속 및 고정된다. 수단자(29)는 그 어깨부가 하우징(37)의 가요성의 랜스(43)에 의해 걸린다. 전선(39)은 방수 고무 마개(44)에 의해 실링되고, 방수 고무 마개(44)는 리어 홀더(45)에 의해 눌린다. 각 수단자(29)는 각 전선(39)에 압착 접속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두 개의 모터(41, 42)로부터 도출된 각 3개의 전선(39)은 두 개의 상대측 커넥터(28)를 통하여 하나의 직접 장착식 커넥터(1)에 접속된다. 직접 장착식 커넥터(1)는 좌우 두 개의 커넥터 끼움부(하우징(5))를 가지고 있다. 기기(2)의 하나의 벽부(본 형태에서는 수직한 일 측벽)에 직접 장착식 커넥터(1)가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 직접 장착식 커넥터(1) 내의 버스 바(21∼26)의 배선 구조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6개의 버스 바(21∼26)의 단자부(11∼16)는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극상이 U1, U2, V1, V2, W1, W2의 순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괄호 안에 극상을 나타내었다. 우단의 U1극의 수평한 단자부(11)는 수지 블록(10)과 전류 센서(7)를 관통하는 수평 부분(21a)을 거쳐 상향의 짧은 수직 부분(21b)에 연속하고, 수직 부분(21b)은 수평한 짧은 판부(21f)를 통하여 상향으로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암단자 연결부(21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1e)로 이어지는 우단의 암단자(31)는 U1극이다.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U2극의 수평한 단자부(12)는 절연 블록(10)과 전류 센서(7)를 관통하는 수평 부분을 거쳐 하향으로 짧게 수직으로 굴곡되고, 그 수직 부분(22b)은 좌측으로 대략 크랭크 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그 연장부(22c)의 좌단이 상향의 수직부(22d)로 이어지고, 수직부(22d)가 수평한 짧은 판부(22f)를 통하여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왼쪽에서 두 번째의 수직한 암단자 연결부 (22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2e)로 이어지는 왼쪽에서 두 번째의 암단자는 U2극이다.
오른쪽에서 세 번째의 V1극의 수평한 단자부(13)는 절연 블록(10)만을 관통하여(단자부(13)에 전류 센서(7)는 없음), 그 수평 부분이 상향의 짧은 수직 부분(23b)으로 이어지고, 수직 부분(23b)이 수평한 짧은 판부(23f)를 통하여 대략 L 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오른쪽에서 세 번째의 수직한 암단자 연결부(23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3e)로 이어지는 오른쪽에서 세 번째의 암단자(33)는 V1극이다.
오른쪽에서 네 번째의 V2극의 수평한 단자부(14)는 마찬가지로 절연 블록(10)만을 관통하여 그 수평 부분(24a)이 상향의 짧은 수직 부분(24b)으로 이어지고, 수직 부분(24b)이 수평한 짧은 판부(24f)를 통하여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오른쪽에서 네 번째의 수직한 암단자 연결부(24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4e)로 이어지는 오른쪽에서 네 번째의 암단자는 V2극이다. 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의 버스 바(23, 24)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의 W1극의 수평한 단자부(15)는 절연 블록(10)과 전류 센서(7)를 관통하는 수평 부분을 거쳐 하향으로 다소 길게 수직으로 굴곡되고, 그 수직 부분(25b)은 우측으로 대략 크랭크 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그 연장부(25c)의 우단이 상향의 수직부(25d)로 이어지고, 수직부(25d)가 수평한 짧은 판부(25f)를 통하여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수직한 암단자 연결부(25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5e)로 이어지는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암단자(32)는 W1극이다.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단자부(32)를 갖는 버스 바(25)와 왼쪽에서 두 번째의 단자부(35)를 갖는 버스 바(22)는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22)의 연장부(22c)의 하측에 근접하여 버스 바(25)의 연장부(25c)가 위치해 있다.
오른쪽에서 여섯 번째(좌단)의 W2극의 수평한 단자부(16)는 절연 블록(10)과 전류 센서(7)를 관통하는 수평 부분을 거쳐 상향의 짧은 수직 부분(26b)에 연속되고, 수직 부분(26b)은 수평한 짧은 판부(26f)를 통하여 상향으로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암단자 연결부(26e)로 이어져 있다. 연결부(26e)로 이어지는 좌단의 암단자(36)는 W2극이다. 우단의 단자부(31)를 갖는 버스 바(21)와 좌단의 단자부(36)를 갖는 버스 바(26)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기기(2)(도 1)와의 접속용 단자부(11∼16)가 오른쪽부터 U1U2V1V2W1W2의 순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 모터(41, 42)로부터 도출된 각 전선(39) 측의 상대 커넥터(28)에 대한 접속용 암단자(31∼36)가 오른쪽부터 U1W1V1V2U2W2의 순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각 버스 바(21∼26)와 몰드 성형용 절연 수지부(6)(도 1)로 버스 바 조립체(51)가 구성된다(도 2에서는 수지부(6)의 도시를 생략하였음).
그리고 도 4와 같이, 좌반부(도 2에서 우반부)의 U1U2V1의 세 개의 단자부(11∼13)는 하나의 가로로 긴 절연 블록(10)으로 고정되고, 우반부(도 2에서 좌반부)의 V2W1W2의 세 개의 단자부(14∼16)는 하나의 가로로 긴 절연 블록(10)으로 고정되고, 두 개의 절연 블록(10)은 하나의 가로로 긴 실드 쉘(8) 내에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도 2에서 우반부의 U1W1V1의 세 개의 암단자(31∼33)는 일측의 하우징(37)(도 1)의 커넥터 끼움실(30) 내에 배치되고, 도 2에서 좌반부의 V2U2W2의 세 개의 암단자(34∼36)는 타측의 하우징(37)의 커넥터 끼움실(30) 내에 배치되고, 각 하우징(37)은 각 실드 쉘(38) 내에 배치된다.
직접 장착식 커넥터(1)의 실드 쉘(8)은 볼트(46)에 의해 기기(2)(도 3)에 고정된다. 상대측의 두 개의 커넥터(28)의 각 3개의 수단자(29)(도 1)의 극상은 암단자(31∼36)의 극상과 동일한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형태에서 상대측 커넥터(28)의 6개의 전선(39)은 한 덩어리로 결속되어 각 모터측의 커넥터47(도 3)로 이어져 있다.
도 5는 종래 예의 도 10에 대응하는 기기(2)와 직접 장착식 커넥터(1)와의 회로 접속의 대략적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버스 바 구조에 의해 직접 장착식 커넥터(1)의 인접하는 2개의 버스 바 단자부끼리(11∼16)(U1과 U2, V1과 V2, W1과 W2)를 짧은 조인트 회로(버스 바 등)(48)로 접속시킴으로써 케이스 내의 기기 주체부(변환기)(2a)와 직접 장착식 커넥터(1)를 접속하는 버스 바(49)가 3개이면 되어 종래에 비하여 케이스 내의 버스 바 구조가 대폭으로 간소화, 경량화, 저비용화, 공간 절감화되고, 기기(2)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변환기(2a)는 배터리 측의 2개의 직류 회로(50)로 이어져 있다. 도 4와 같이 상대 커넥터(28)의 접속도 인접하는 위치에서 두 개 동시에 혹은 하나씩 순서대로 작업성 양호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두 개의 모터를 서로 다른 전압(전류)으로 구동하는 경우(차량의 차동 기구 를 없애고 급한 커브 등으로 두 개의 모터를 서로 다른 회전 수로 구동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각 버스 바 단자부(11∼16)를 각각 별도로 기기 주체부(2a)에 접속하게 되는데, 그 경우에도 버스 바(49)는 6개 병렬로 배치되어 구조가 간소화, 공간 절감화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직접 장착식 커넥터(1) 내에 전류 센서(7)를 배치함으로써 기기 안이 훨씬 공간 절감화되어 기기(2)의 컴팩트화가 촉진된다. 전류 센서(7)는 도 2와 같이, U1U2W1W2처럼 두 극의 단자부(11, 12, 15, 16)에 배치하면 되므로(전류값의 검출이 가능하므로) 직접 장착식 커넥터(1)도 그다지 비대화되지 않는다. 또한 기기(2)의 외부에서 전류 센서(7)의 냉각성이 양호하고, 또한 실드 쉘(8)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어 있으므로 오작동의 우려가 없다. 방수도 패킹(18)(도 1)과 실리콘 충전재(17)의 2중 구조로 완벽해진다.
도 6은 도 2의 버스 바 구조와 유사한 버스 바 조립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절연 수지부(6)는 도시를 생략하였음).
이 버스 바 구조는 도 6에서 오른쪽에서 두 번째의 단자부(15)를 갖는 버스 바(25)와 왼쪽에서 두 번째의 단자부(12)를 갖는 버스 바(22)와의 각 연장 부분(22c', 25c')을 도 2와 같은 수직(세로 놓기)이 아니라 수평(가로 놓기)으로 하여 버스 바 조립체(51')의 높이 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한 것이다.
수평한 각 연장 부분(22c', 25c')은 판 두께 방향의 요철 없이 곧게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2개의 버스 바(22, 25)의 연장 부분(22c, 25c)을 판 두께 방향의 요철 없이 곧게 하여 암단자 연결부(22e, 25e)로 이어지는 수직 부분(22d, 25d)으로부터 수평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도 6의 버스 바 형태를 얻는다. 그 이외의 부분은 도 2와 대략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우단과 좌단의 각 버스 바(21, 26)는 좌우 대칭이고, 오른쪽에서 두 번째와 왼쪽에서 두 번째의 단자부(12, 15)를 갖는 각 버스 바(22, 25)는 좌우 대략 대칭이고, 버스 바(25)의 연장부(25c')가 버스 바(22)의 연장부(22c')의 하측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왼쪽에서 세 번째의 단자부(13, 14)를 갖는 각 버스 바(23, 24)는 좌우 대칭이어서, 버스 바(21∼26)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화되어 있다.
단자부(11∼16)는 도 6에서 왼쪽으로부터 U1U2V1V2W1W2의 순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암단자(31∼36)는 도 6에서 왼쪽으로부터 U1W1V1V2U2W2의 순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좌반부와 우반부의 각 암단자(31∼33, 34∼36)의 피치는 동일하고 좌우의 각 세 번째의 암단자(33, 34)가 크게 이간되고, 인접하는 각 2개의 단자부(11과 12, 13과 14, 15와 16)의 피치는 동일하고 U1U2와 V1V2와 W1W2의 각 2개의 단자부(11, 12와 13, 14와 15, 16)의 사이는 크게 이간되어 있다. 각 버스 바(21∼26)의 수직한 암단자 연결부(21e∼26e)는 수평한 짧은 판부(21f∼26f)를 통하여 대략 L자형으로 계단식으로 굴곡되어 각 버스 바(21∼26)의 중간의 수직 부분(21b∼26b)으로 이어져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의 직접 장착식 커넥터(1)는 전류 센서(7)를 구비한 것 인데, 기기(2) 측에 전류 센서(7)를 설치할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커넥터(1) 측에 전류 센서(7)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버스 바 구조에서의 극상의 배열 순서를 예를 들어 U1U2W1W2V1V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한 극상의 2개의 단자부(11∼16)가 인접해 있으면 좋다. 그에 따라 암단자(31∼36)의 극상도 UWV에서 예컨대 UVW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감전의 우려가 없는 부위에서는 암단자(31∼36)와 수단자(29)(도 1)의 배치를 상하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스 바(21∼26)에 수단자가 볼트로 연결된다. 혹은 버스 바(21∼26)에 일체로 수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버스 바(21∼26)와 단자(31∼36)의 연결도 볼트(19)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이나 납땜 등이 가능하다. 버스 바(21∼26)에 암단자(31∼3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각 버스 바(21∼26)의 형상이 서로 달라 암단자의 형성에 품이 들기 때문에 암단자(31∼36)를 별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모터(41, 42) 등의 보조 기기가 네 개 있는 경우에는 총 두 개의 버스 바를 이용하여 도 2 또는 도 6의 버스 바 조립체(51, 51')를 2세트 형성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6개의 버스 바(21∼26)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극의 버스 바 단자부(11과 12, 13과 14, 15와 16)를 좌우 병렬이 아니라 상하 병렬로 배치하도록 각 버스 바(21∼26)를 굴곡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6개의 암단자(31∼36)를 하나의 하우징(37)에 수용하거나, 모터 측의 전선(39)으로 이어지는 두 개의 커넥터(28)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도 10은 버스 바 구조의 또 다른 실시 형태와 그것을 이용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이 버스 바 구조(버스 바 조립체(81))는 오른쪽 및 왼쪽에서 두 번째의 수직한 탭형 단자부(95, 98)를 갖는 각 버스 바(90, 91)의 중간부를 내향으로 계단형으로 굴곡시키고, 그 단차부(굴곡부)(90a, 91a)에 오른쪽 및 왼쪽에서 세 번째의 수평한 각 단자부(84, 85)를 연속시킴과 동시에, 오른쪽 및 왼쪽에서 세 번째의 수직한 탭형 단자부(96, 97)를 갖는 각 버스 바(89, 92)의 중간부를 내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그 연장부(89c, 92c)에 오른쪽 및 왼쪽에서 두 번째의 수평한 각 단자부(83, 86)를 연속시킨 것이다.
계단형의 단차부(90a, 91a)와 수평한 단자부(84, 85)는 수평면 상에서 직교해 있다. 이 단차부는 2단인데, 한 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른쪽에서 세 번째의 탭형 단자부(97)는 2단계의 단차부(굴곡부)(89f)를 통하여 연장부(89c)로 이어지고, 왼쪽에서 세 번째의 탭형 단자부(96)는 한 단의 수평한 짧은 판부(92f)를 통하여 연장부(92c)로 이어지고, 단차부(89f)로 이어지는 수직한 판부(89b)의 후방에 연장부(92c)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고, 각 연장부(89c, 92c)는 동일한 수직면 상에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단(오른쪽 및 왼쪽에서 첫 번째)의 탭형 단자부(94, 99)는 수평한 짧은 판부(88f, 93f)와, 판부(88f, 93f)로 이어지는 수직한 판부(88b, 93b)를 통하여 크랭크 형태로 수평한 단자부(82, 87)로 이어져 있다. 각 버스 바(88∼93)의 수직한 탭형 단자부(94∼99)는 앞의 예의 버스 바 구조와 달리 그 자체가 수단자로서 작용 한다. 수평한 각 단자부(82∼87)는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구멍부(101)를 가지고 기기 측의 버스 바 회로(도시 생략)에 체결된다.
수직한 탭형 단자부(타단측의 단자부)(94∼99)는 왼쪽부터 차례대로 UVW-UVW의 극상으로 배치되고, 수평한 단자부(일단측의 단자부)(82∼87)는 왼쪽부터 차례대로 UU-VV-WW의 극상으로 배치된다. 좌우단의 버스 바(88, 93)는 대칭으로 형성 배치되고, 오른쪽 및 왼쪽에서 두 번째의 탭형 단자부(95, 98)를 갖는 버스 바(90, 91)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 배치되고, 오른쪽 및 왼쪽에서 세 번째의 탭형 단자부(96, 97)로 이어지는 연장부(89c, 92c)를 갖는 버스 바(89, 92)는 좌우 거의 대칭으로 형성 배치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00)는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102)와 그 주위를 감싸는 실드 쉘(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케이스(102)의 상부에는 하우징(104)이 좌우로 세 개씩 병렬로 형성되고,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전류 센서(도 1의 예의 부호 7 참조)나 블록(도 1의 예의 부호 10 참조) 등을 수용하는 공간(개구)(105)이 마련되어 있다.
각 버스 바(88∼93)의 수직한 탭형 단자부(94∼99)는 각 하우징(104)의 커넥터 끼움실 내에 위치하고, 수평한 각 단자부(82∼87)는 케이스(102)의 공간(105) 또는 수지부(106)를 거쳐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각 하우징(104)과 각 단자부(94∼99)에 의해 작은 커넥터가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 8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센서를 설치할 공간(105)에 배선되는 버스 바(일례로서 93)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단면 대략 コ자형 으로 절곡되어 굴곡되고, 그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107)는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102)의 절연 수지부(벽부)(108)에 몰드 성형(인서트 성형)으로 고정되어, 상부의 하우징(104) 내의 수직한 단자부(일례로서 99)와 공간 내의 수평한 단자부(일례로서 87)로 이어져 있다.
버스 바(93)의 굴곡부(107)가 케이스(102)에 몰드 성형으로 강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화살표 B와 같이 하우징(104) 상방으로부터의 상대측 커넥터(도시 생략)의 끼움 시에 수직한 탭형 단자(99)가 케이스(10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대측 커넥터 내의 암단자와 확실하게 전기적 접촉을 행함과 동시에, 상대측 커넥터의 끼움 시의 누르는 힘(암단자와의 슬라이딩 저항)이 버스 바(93)의 수평한 단자부(87)로 전달되지 않아, 수평한 단자부(87)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등이 방지된다.
또한 수평한 단자부(87)가 케이스(102)의 수직한 벽부(108)의 내면(108a)으로부터 직접 돌출되어 있으므로 탭형 단자부(99)에서 수직한 벽부(108)까지의 수평 거리(L1)가 길어져, 즉 공간(105)의 안길이가 넓어져 전류 센서 등의 부품이 케이스(102)의 깊숙한 안쪽까지 들어가고, 그에 따라 케이스(102)의 수평 방향 길이가 L2와 같이 단축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00)의 소형화가 달성된다. 이 효과(케이스(102)의 수평 방향 길이가 단축되는 것)는 전류 센서를 배치하지 않는 케이스(102)의 내부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이들 케이스(102)에 대한 버스 바(93)의 굴곡부(107)의 몰드 성형의 효과는 상기 각 실시 형태(도 2, 도 6)의 버스 바 구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얻어지는 것 이다.
또한 도 10에 도 8의 C-C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2)의 절연 수지부(108) 내에 인서트 성형된 버스 바(89)는 2단계로 굴곡(89f)되어 그 연장부(89c)가 케이스(102)의 외면(108b) 근방에 배치되고, 다른 버스 바(92)의 연장부(92c)와 함께 케이스(102)의 외면 근방에서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해 있으므로, 도 9와 마찬가지로 전류 센서 등의 부품을 케이스(102)의 안쪽 깊숙이까지 삽입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라 케이스(102)의 수평 방향 길이가 단축되어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100)의 소형화가 달성된다. 이 효과(케이스(102)의 수평 방향 길이가 단축되는 것)는 전류 센서를 배치하지 않는 케이스(102)의 내부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버스 바의 일단측의 극마다 정렬된 단자부에 의해 기기 내의 접속 회로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기기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극마다 정렬된 단자부에 기기측의 회로를 작업성 양호하게 틀림없이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접속 작업성 및 접속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가 인접하는 두 개의 병렬의 커넥터 접속부를 구성하고, 보조 기기측의 회로의 커넥터를 두 개의 커넥터 접속부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작업성 양호하게 끼움 접속할 수 있어, 기기와 보조 기기와의 접속 작업성이 향상된다. 타단측의 2세트의 단자부는 독립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좌우 두 개의 모터에 서로 다른 전압(전류)을 공급하여 급한 커브 등으로 각 모터를 각각 별도로 구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생 브레이크 작동 시에 모터(발전기)마다 효율적으로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어느 버스 바를 연장시키는지에 따라 UVW의 극의 배열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기나 보조 기기의 회로의 극의 배열 형태에 따라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의 극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 및 범용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를 수용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의 스페이스가 깊이 방향으로 확대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가 일단측의 단자의 돌출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를 수용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의 스페이스가 깊이 방향으로 확대되고,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가 일단측의 단자의 돌출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버스 바 상호의 절연성이 향상되고,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버스 바를 버스 바 조립체로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내에 작업성 양호하게 조립해 붙일 수 있고, 커넥터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커넥터 내에서 각 버스 바를 절연 수지재로 인서트 성형하면 훨씬 더 커넥터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3, 4에 기재된 효과가 조장됨과 동시에, 타단측의 단자부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이 정밀하게 행해져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절연 수지부의 내측 공간의 안길이가 증가하고, 전류 센서가 안쪽 깊숙이 배치되므로 내부 공간을 일단측의 단자부의 돌출 방향으로 단축시킴으로써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가 소형화된다.

Claims (7)

  1. 3상 교류용 두 개의 보조 기기와 하나의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6개의 독립된 버스 바를 구비한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로서,
    이 기기에 접속하는 3상 교류의 U극의 단자부가 2개, V극의 단자부가 2개, W극의 단자부가 2개 각각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 단자부가 상기 각 버스 바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각 버스 바의 타단측에 상기 2개의 보조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U극과 V극과 W극의 각 하나의 단자부가 각각 이간된 상태에서 2세트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가 타단측의 상기 2세트의 단자부 사이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와 타단측의 단자부가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를 통하여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의 버스 바의 타단측의 단자가 단차부를 통하여 상기 연장부에 계속되고, 이 연장부가 타측의 버스 바의 연장부와 동일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가 절연 수지부에 몰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상기 버스 바의 대략 コ자형의 굴곡부 및/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단차부가 상기 절연 수지부에 몰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수지부의 내측에 상기 버스 바의 일단측의 단자부에 관통되어 전류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KR1020077008248A 2004-09-13 2005-09-12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KR100893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5538 2004-09-13
JP2004265538A JP4551166B2 (ja) 2004-09-13 2004-09-13 機器直付け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361A true KR20070051361A (ko) 2007-05-17
KR100893506B1 KR100893506B1 (ko) 2009-04-16

Family

ID=3605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248A KR100893506B1 (ko) 2004-09-13 2005-09-12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22372B2 (ko)
EP (1) EP1796221B1 (ko)
JP (1) JP4551166B2 (ko)
KR (1) KR100893506B1 (ko)
CN (1) CN100550528C (ko)
AU (1) AU2005283514B2 (ko)
TW (1) TW200623587A (ko)
WO (1) WO20060307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39B1 (ko) * 2011-01-17 2012-04-05 주식회사 경신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KR101219952B1 (ko) * 2011-06-24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KR20210126499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649A (ja) * 2006-04-03 2007-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接続部の補強カバー
JP2008245461A (ja) * 2007-03-28 2008-10-09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
DE102008018790A1 (de) * 2008-04-15 2009-10-22 Wobben, Aloys Windenergieanlage mit Stromschienen
DE102008034823A1 (de) * 2008-07-23 2010-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gangskastenstecker mit vergossenen Leitern und Herstellungsverfahren
JP4958925B2 (ja) * 2009-02-09 2012-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49089A (ja) 2009-08-28 2011-03-1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ターミナル部材
JP5199967B2 (ja) 2009-08-28 2013-05-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ターミナル部材
JP5399827B2 (ja) * 2009-09-07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直付けコネクタ端子及び直付けコネクタ
JP2011062023A (ja) * 2009-09-11 2011-03-24 Aisin Aw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5360985B2 (ja) * 2009-09-16 2013-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接続構造
JP5257310B2 (ja) * 2009-09-22 2013-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5698451B2 (ja) * 2009-10-05 2015-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台
JP5313863B2 (ja) * 2009-12-25 2013-10-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流センサ内蔵コネクタ
IT1397784B1 (it) * 2010-01-15 2013-01-24 Gate Srl Collettore per lo statore di un motore brushless in corrente continua a magneti permanenti
JP5540882B2 (ja) * 2010-05-19 2014-07-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
US8643380B1 (en) * 2010-07-15 2014-02-04 Edward Her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hock and arc-flash hazard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JP5632225B2 (ja) * 2010-07-30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JP5561030B2 (ja) * 2010-08-30 2014-07-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66242B2 (ja) * 2010-10-22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カバー及びシールド構造
KR101180560B1 (ko) 2011-02-21 2012-09-10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류 센서 내장형 브러시리스 모터
JP5756656B2 (ja) 2011-03-04 2015-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51875B2 (ja) * 2011-03-22 2015-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5743740B2 (ja) * 2011-06-23 2015-07-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8932B2 (ja) 2011-07-26 2013-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5344012B2 (ja) * 2011-09-02 2013-11-2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5831239B2 (ja) * 2012-01-16 2015-12-09 Tdk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電子機器
JP5377710B2 (ja) 2012-05-24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EP2856572A1 (en) * 2012-05-30 2015-04-0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vehicle devices and method of interconnection
KR200471707Y1 (ko) 2012-09-27 2014-03-13 에스엘 주식회사 배터리 전류 검출 장치
US8995133B2 (en) * 2012-10-31 2015-03-31 Deere &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6075784B2 (ja) 2012-12-28 2017-0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並びに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5650253B2 (ja) * 2013-01-15 2015-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6060009B2 (ja) * 2013-03-01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バスバーの接続構造
JP5973957B2 (ja) * 2013-06-07 2016-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接続ユニット
KR200475267Y1 (ko) 2013-12-12 2014-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US9306351B2 (en) * 2014-02-14 2016-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distribution connection apparatus
JP2014099424A (ja) * 2014-03-07 2014-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6262579B2 (ja) 2014-03-20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センサーと導電部材との組み付け構造
JP6121053B2 (ja) 2014-05-01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KR102311636B1 (ko) * 2014-11-10 2021-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전압 직체결 커넥터 및 그 연결구조
JP6140129B2 (ja) * 2014-11-14 2017-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台及び端子台ユニット
US9543672B2 (en) * 2015-01-13 2017-01-10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Terminal block device
CN106160430B (zh) * 2015-04-13 2020-04-03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动车辆的电源转换单元及其电源母线
US10249916B2 (en) 2015-04-13 2019-04-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nector barrel for a battery module
USD765030S1 (en) 2015-06-02 2016-08-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ow voltage connector barrel for lithium ion battery module
US9241428B1 (en) * 2015-08-31 2016-01-19 Faraday & Future Inc. Inverter assembly
USD920251S1 (en) 2015-09-10 2021-05-25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JP6605341B2 (ja) * 2016-01-28 2019-1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447860B1 (en) 2016-04-19 2022-0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ne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10543795B2 (en) 2016-09-02 2020-01-28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D867993S1 (en) 2016-09-02 2019-11-2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JP6591382B2 (ja) * 2016-10-26 2019-10-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1081814B2 (en) * 2016-10-31 2021-08-0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ing module
CN106788037B (zh) * 2017-01-10 2023-07-25 四川埃姆克伺服科技有限公司 一种伺服驱动电源输入接口结构及伺服驱动器
US10717401B2 (en) 2017-04-21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rminal block assembly for electrified vehicles
FR3073096B1 (fr) * 2017-10-26 2019-11-08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Barre d'isolation electrique, notamment pour un module electronique de puissance d'un onduleur
JP6661686B2 (ja) * 2018-03-16 2020-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7206624B2 (ja) * 2018-04-25 2023-01-18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装置
WO2019208220A1 (ja) * 2018-04-26 2019-10-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72561B1 (ja) * 2018-06-26 2019-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DE102018121358A1 (de) * 2018-08-31 2020-03-05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Busbarverbinder für eine 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omotor und einem Inverter
JP6835795B2 (ja) * 2018-11-12 2021-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押さえ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658819B1 (en) * 2019-02-07 2020-05-19 Hamilton Sunstrand Corporation Alternating current bussing connector
CN113661645B (zh) * 2019-04-09 2022-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背板及电动机驱动装置单元
JP7275853B2 (ja) * 2019-05-23 2023-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267366B2 (en) * 2019-09-16 2022-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raction inverter DC busbar
US11764641B2 (en) 2020-11-13 2023-09-19 Regal Beloit America, Inc. Terminal box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assembly
US11651910B2 (en) * 2020-12-10 2023-05-16 Teradyne, Inc. Inductance control system
JP7498656B2 (ja) 2020-12-18 2024-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5224514A (zh) * 2021-04-14 2022-10-2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端子和电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520B2 (ja) * 1992-02-24 2000-02-21 株式会社東芝 変圧器の口出し導体接続構造
JP3400876B2 (ja) * 1994-10-24 2003-04-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3292293B2 (ja) * 1997-10-21 2002-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装置
EP1018783B1 (en) * 1999-01-04 2003-06-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a bus bar
JP2000222999A (ja) * 1999-02-01 2000-08-11 Denso Corp 直流電源回路
US6302709B1 (en) * 2000-06-05 2001-10-16 Power-One, Inc. Multiple function high current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bus bar
JP3724345B2 (ja) * 2000-07-13 2005-12-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配線の接続部構造
JP2003097438A (ja) * 2001-09-19 2003-04-03 Toyota Industries Corp ハイブリッド圧縮機におけるモータ配線の取出し構造
JP3984579B2 (ja) * 2003-09-16 2007-10-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インバータ用コネクタ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239B1 (ko) * 2011-01-17 2012-04-05 주식회사 경신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KR101219952B1 (ko) * 2011-06-24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US8784131B2 (en) 2011-06-24 2014-07-22 Hyundai Motor Company Wire connect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KR20210126499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1166B2 (ja) 2010-09-22
AU2005283514B2 (en) 2008-11-20
EP1796221B1 (en) 2011-08-24
TWI321889B (ko) 2010-03-11
KR100893506B1 (ko) 2009-04-16
US20090023345A1 (en) 2009-01-22
AU2005283514A1 (en) 2006-03-23
CN100550528C (zh) 2009-10-14
WO2006030732A1 (ja) 2006-03-23
CN101019279A (zh) 2007-08-15
EP1796221A4 (en) 2010-06-16
TW200623587A (en) 2006-07-01
US7722372B2 (en) 2010-05-25
EP1796221A1 (en) 2007-06-13
JP2006081373A (ja)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506B1 (ko)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JP5429151B2 (ja) 電力変換装置
JP5338932B2 (ja) 電力変換装置
US7692356B2 (en) Electric machine with a circuit support
CN107117116B (zh) 线束
JP5650253B2 (ja) パワー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7841911B2 (en) Joint part and a wiring harness using the same
JP6158500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構造体
JP58450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コネクタ
JP4224005B2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構造
JP2015521352A (ja) 電気デバイスおよびワイヤを具備した相互接続アセンブリならびに相互接続方法
JP5696613B2 (ja) 電力変換装置
CN114628965B (zh) 电动装置
CN107567676B (zh) 用于电动机经济有效的控制的连接方法
CN211238604U (zh) 接线座及接线装置
JP2008512824A (ja) 篭状牽引バネ端子を有する給電モジュール
JP5851932B2 (ja) 部品接続体、部品接続モジュール及び電気接続箱
JP5859790B2 (ja) 電力変換装置
JPH10243601A (ja) 車両用主電動機の端子箱
US20230344320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1332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EP3694059A1 (en) Alternating current bussing connector
JPH10162718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JP2023019062A (ja) 電気接続構造
CN117693875A (zh) 电气设备的连接装置及电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