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239B1 -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239B1
KR101133239B1 KR1020110004588A KR20110004588A KR101133239B1 KR 101133239 B1 KR101133239 B1 KR 101133239B1 KR 1020110004588 A KR1020110004588 A KR 1020110004588A KR 20110004588 A KR20110004588 A KR 20110004588A KR 101133239 B1 KR101133239 B1 KR 10113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pole bus
terminal portion
p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옥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1000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B60L9/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induction motors
    • B60L9/18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induction motors fed from dc supply lines
    • B60L9/2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induction motors fed from dc supply lines polyphase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4Special orientation of electrical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3상 교류용 2개의 보조기기를 주기기에 접속하기 위해 6개의 독립된 버스바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로서, 버스바를 하나씩의 U극버스바와 V극버스바와 W극버스바로 이루어진 단위단자부로 나누고, 각각 U극버스바와 V극버스바와 W극버스바를 주기기에서 이격되게 배치하며, U극버스바와 V극버스바와 W극버스바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동일한 순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복수개의 버스바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흔들림시 접촉에 따른 쇼트(short)발생을 방지하고, 버스바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인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WIRE CONNECT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버스바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흔들림시 접촉에 따른 쇼트(short)발생을 방지하고, 버스바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인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효율적으로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는 전기 자동차용 3상 교류모터를 접속하는 인버터에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커넥터는 3극(U극, V극 및 W극)의 회로에 대응하는 3개의 버스바 단자, 각 버스바 단자를 볼트로 접속하는 단자 있는 전선, 각 단자를 수용하는 절연 수지체의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외측을 덮는 도전 금속제의 실드 쉘을 구비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커넥터는 각 극(U,V,W)을 접속하는 버스바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해 서로 접하여 쇼트(short)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버스바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유격되게 배치하고, 버스바를 고정하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흔들림시 접촉에 따른 쇼트(short)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스바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고장나거나 오류 발생한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면 됨에 따라 인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는: 3상 교류용 2개의 보조기기를 주기기에 접속하기 위해 6개의 독립된 버스바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를, 하나씩의 U극버스바와 V극버스바와 W극버스바로 이루어진 단위단자부로 구비하고, 상기 단위단자부를, 각각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상기 주기기에서 이격되게 배치하며, 한 쌍의 상기 단위단자부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동일한 순서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극버스바는, 상기 주기기에 접속되는 U주단자부 및 상기 보조기기에 접속되는 U보조단자부를 연결하는 U연결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U연결단자부는, 상기 U주단자부를 인접한 상기 V극버스바와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상기 U주단자부에서 상기 V극버스바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되는 U유격설정단자부, 및 상기 U유격설정단자부의 단부에서 상기 U보조단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U보조단자부에 연결되는 U연장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W극버스바는, 상기 주기기에 접속되는 W주단자부 및 상기 보조기기에 접속되는 W보조단자부를 연결하는 W연결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W연결단자부는, 상기 W주단자부를 인접한 상기 V극버스바와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상기 W주단자부에서 상기 V극버스바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되는 W유격설정단자부, 및 상기 W유격설정단자부의 단부에서 상기 W보조단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W보조단자부에 연결되는 W연장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기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어 고정되는 동일한 일측의 삽입 정도를 한정하기 위해 걸림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기기는 상기 단위단자부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단위단자부를 일대일로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기기는 상기 보조기기와 접속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의 동일한 타측을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하기 위해 캡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복수개의 버스바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유격되게 배치하고, 버스바를 고정하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흔들림시 접촉에 따른 쇼트(short)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스바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고장나거나 오류 발생한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면 됨에 따라 인버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배열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버스바와 홀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배열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의 버스바와 홀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는 3상 교류용 2개의 보조기기(10)를 주기기(20)에 접속하기 위해 6개의 독립된 버스바(30)를 포함한다. 이때, 보조기기(10)는 다상(多狀) 교류용으로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3상 교류용으로 2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버스바(30)는 하나씩의 U극버스바(42,52), V극버스바(44,54) 및 W극버스바(46,56)로 이루어진 단위단자부(40,50)로 나뉘어진다. 즉, 단위단자부(40,50)는 각각 하나씩의 U극버스바(42,52), V극버스바(44,54) 및 W극버스바(46,56)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조기기(10)가 2개이기 때문에, 단위단자부(40,50)는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다시 말해서, 단위단자부(40,50)는 제 1단위단자부(40)와 제 2단위단자부(50)로 나뉘어진다. 물론, 단위단자부(40,5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보조기기(10)는 2개의 모터 즉, 알터네이터와 스타트모터로 한다. 아울러, 주기기(20)는 인버터로 한다.
따라서, 제 1단위단자부(40)는 2개 중 어느 하나의 보조기기(10)와 접속되는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2단위단자부(50)는 다른 하나의 보조기기(10)와 접속되는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로 이루어진다.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동일한 일측을 보조기기(10)에 접속하고, 동일한 타측을 주기기(20)에 접속한다.
따라서,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주기기(20)의 부피와 한 쌍의 보조기기(10)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간격을 줄이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능한 범위'란 정해진 주기기(20)의 부피 내부에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를 배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주기기(20) 내부에서 평면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겹쳐지지 않게 한다. 이는, 외부 충격 전달시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 중 일부가 서로 면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1단위단자부(4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 순서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단위단자부(50)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 순서로 배치된다.
이때, 제 1단위단자부(40)와 제 2단위단자부(50)가 이웃하게 배치되고, W1극버스바(46)와 U2극버스바(52)가 이웃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극을 띄는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 1단위단자부(40)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동일 극을 띄는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는 서로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쇼트(short)의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제 1단위단자부(40)의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는 상호간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유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상호간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유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는 U주단자부(62), U보조단자부(64) 및 U연결단자부(66)를 포함한다.
U주단자부(62)는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동일한 일측으로서, 주기기(2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하고, U보조단자부(64)는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동일한 타측으로서, 보조기기(1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U주단자부(62)와 U보조단자부(64)는 대응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에 접속되기 위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U주단자부(62)와 U보조단자부(64)는 대응되게 접속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의 배치에 따라 U연결단자부(66)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거나 U연결단자부(66)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U연결단자부(66)는 U주단자부(62)와 U보조단자부(6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U주단자부(62), U연결단자부(66) 및 U보조단자부(64)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통전성(通電性)을 갖는다.
특히, U연결단자부(66)는 U유격설정단자부(65) 및 U연장단자부(67)를 포함한다.
U유격설정단자부(65)는 U주단자부(62)를 인접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후술할, V주단자부(72)와 평면상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U주단자부(62)에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다.
U유격설정단자부(65)가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후술할, V연결단자부(76)와 설정거리만큼 유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U주단자부(62)는 인접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와 충분히 유격되게 배치된다. 물론, U유격설정단자부(6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U연장단자부(67)는 U유격설정단자부(65)의 단부에서 U보조단자부(64) 방향으로 절곡되어 U보조단자부(64)에 연결된다. 물론, U연장단자부(67)는 직선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U연결단자부(66)는 평면상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는 V주단자부(72), V보조단자부(74) 및 V연결단자부(76)를 포함한다.
V주단자부(72)는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동일한 일측으로서, 주기기(2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하고, V보조단자부(74)는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동일한 타측으로서, 보조기기(1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V주단자부(72)와 V보조단자부(74)는 대응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에 접속되기 위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V주단자부(72)와 V보조단자부(74)는 대응되게 접속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의 배치에 따라 V연결단자부(76)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거나 V연결단자부(76)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V연결단자부(76)는 V주단자부(72)와 V보조단자부(7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V주단자부(72), V연결단자부(76) 및 V보조단자부(74)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통전성(通電性)을 갖는다.
한편,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는 W주단자부(82), W보조단자부(84) 및 W연결단자부(86)를 포함한다.
W주단자부(82)는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동일한 일측으로서, 주기기(2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하고, W보조단자부(84)는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동일한 타측으로서, 보조기기(10)에 접속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W주단자부(82)와 W보조단자부(84)는 대응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에 접속되기 위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W주단자부(82)와 W보조단자부(84)는 대응되게 접속되는 주기기(20)나 보조기기(10)의 배치에 따라 W연결단자부(86)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거나 W연결단자부(86)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W연결단자부(86)는 W주단자부(82)와 W보조단자부(8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W주단자부(82), W연결단자부(86) 및 W보조단자부(84)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통전성(通電性)을 갖는다.
특히, W연결단자부(86)는 W유격설정단자부(85) 및 W연장단자부(87)를 포함한다.
W유격설정단자부(85)는 W주단자부(82)를 인접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와 평면상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W주단자부(82)에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다.
W유격설정단자부(85)가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연결단자부(76)와 설정거리만큼 유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W주단자부(82)는 인접한 V1극버스바(44)나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와 충분히 유격되게 배치된다. 물론, W유격설정단자부(8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W연장단자부(87)는 W유격설정단자부(85)의 단부에서 W보조단자부(84) 방향으로 절곡되어 W보조단자부(84)에 연결된다. 물론, W연장단자부(87)는 직선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W연결단자부(86)는 평면상 절곡되게 형성된다.
편의상, 제 1단위단자부(40)의 U연결단자부(66)와 W연결단자부(86)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 2단위단자부(50)의 U연결단자부(66)와 W연결단자부(86)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제 1단위단자부(40)의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주기기(20) 내부에서 동일한 일측이 서로 이격된 채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주기기(20)는 내부에 홀더(90)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도 4에서처럼, 홀더(90)는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W1극버스바(46),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의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홀더(90)는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U주단자부(6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V주단자부(7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W주단자부(8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홀더(9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된 하나일 수도 있고, 분리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편의상, 홀더(90)는 2개로 나뉘어져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의 동일한 일측을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도시한다.
한편, 도 5에서처럼,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일측을 홀더(90)에 삽입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턱(92)을 형성한다. 걸림턱(92)이 홀더(90)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홀더(90)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턱(92)은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U연결단자부(66)에 형성되고,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V연결단자부(76)에 형성되며,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W연결단자부(86)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도 5에는 W1극버스바(46) 또는 U2극버스바(52)의 걸림턱(92)이 홀더(90)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다.
특히,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U연결단자부(66)가 U주단자부(62)의 하측에 위치하고,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V연결단자부(76)가 V주단자부(72)의 하측에 위치하며,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W연결단자부(86)가 W주단자부(82)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걸림턱(92)은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기기(20)는 단위단자부(40,50) 개수만큼 구비되어 단위단자부(40,50)를 일대일로 장착한다.
즉, 제 1단위단자부(40)는 제 1주기기(20a)에 접속되고, 제 2단위단자부(50)는 제 2주기기(20b)에 접속된다. 더욱 상세히,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는 제 1주기기(20a)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제 2주기기(20b)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주기기(20)가 제 1단위단자부(40)를 접속하는 제 1주기기(20a)와 제 2단위단자부(50)를 접속하는 제 2주기기(20b)로 나뉘어짐에 따라, 제 1주기기(20a) 또는 제 2주기기(20b)가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여, 주기기(20)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제 1단위단자부(40)의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는 주기기(2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동일한 타측이 서로 이격된 채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주기기(20)는 캡(94)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다.
캡(94)은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W1극버스바(46),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의 타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캡(94)은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U보조단자부(6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V보조단자부(7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W보조단자부(8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캡(94)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된 하나일 수도 있고, 분리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편의상, 캡(94)은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U1극버스바(42), V1극버스바(44) 및 W1극버스바(46)와, 제 2단위단자부(50)의 U2극버스바(52), V2극버스바(54) 및 W2극버스바(56)의 동일한 타측을 이격된 채 고정할 수 있도록 도시한다.
특히, 캡(94)은 2개로 나뉘어지는 제 1주기기(20a)와 제 2주기기(20b)를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 1주기기(20a)와 제 2주기기(20b)의 임의적 이탈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캡(9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캡(94)은 U1극버스바(42)의 U보조단자부(64), V1극버스바(44)의 V보조단자부(74), W1극버스바(46)의 W보조단자부(84)를 삽입하여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제 1연결부재(96)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캡(94)은 U2극버스바(52)의 U보조단자부(64), V2극버스바(54)의 V보조단자부(74), W2극버스바(56)의 W보조단자부(84)를 삽입하여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제 2연결부재(98)를 구비한다.
이때, 제 1연결부재(96)와 제 2연결부재(98)는 대응되는 보조기기(10)에 연결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커넥팅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1연결부재(96)와 제 2연결부재(98)는 캡(94)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캡(94)에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U1극버스바(42)와 U2극버스바(52)의 U보조단자부(64), V1극버스바(44)와 V2극버스바(54)의 V보조단자부(74) 및 W1극버스바(46)와 W2극버스바(56)의 W보조단자부(84) 형상이 정해진다. 여기서, 제 1단위단자부(40)를 구성하는 U1극버스바(42)의 U보조단자부(64), V1극버스바(44)의 V보조단자부(74) 및 W1극버스바(46)의 W보조단자부(84)는 모두 캡(94)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절곡된다. 또한, 제 2단위단자부(50)를 구성하는 U2극버스바(52)의 U보조단자부(64), V2극버스바(54)의 V보조단자부(74) 및 W2극버스바(56)의 W보조단자부(84)는 모두 캡(94)의 길이방향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절곡된다. 이는, 제 1연결부재(96)를 통해 어느 하나의 모터(10)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제 1단위단자부(40)에 접속할 때 제 2연결부재(98)를 통해 제 2단위단자부(50)에 접속되는 다른 하나의 모터(10)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어느 하나의 모터(10)의 커넥터가 캡(94)의 동일측에서 다른 하나의 모터(10)의 커넥터와 최대한 떨어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보조기기 20: 주기기
30: 버스바 40,50: 제 1,2단위단자부
42,52: U1,U2극버스바 44,54: V1,V2극버스바
46,56: W1,W2극버스바 62,72,82: U,V,W주단자부
64,74,84: U,V,W보조단자부 66,76,86: U,V,W연결단자부
65,85: U,W유격설정단자부 67,87: U,W연장단자부
90: 홀더 92: 걸림턱
94: 캡 96,98: 제 1,2연결부재

Claims (7)

  1. 3상 교류용 2개의 보조기기를 주기기에 접속하기 위해 6개의 독립된 버스바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하나씩의 U극버스바와 V극버스바와 W극버스바로 이루어진 단위단자부로 나뉘어지고;
    상기 단위단자부는, 각각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상기 주기기에서 이격되게 배치하며;
    한 쌍의 상기 단위단자부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동일한 순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극버스바는, 상기 주기기에 접속되는 U주단자부 및 상기 보조기기에 접속되는 U보조단자부를 연결하는 U연결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U연결단자부는, 상기 U주단자부를 인접한 상기 V극버스바와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상기 U주단자부에서 상기 V극버스바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되는 U유격설정단자부; 및
    상기 U유격설정단자부의 단부에서 상기 U보조단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U보조단자부에 연결되는 U연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W극버스바는, 상기 주기기에 접속되는 W주단자부 및 상기 보조기기에 접속되는 W보조단자부를 연결하는 W연결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W연결단자부는, 상기 W주단자부를 인접한 상기 V극버스바와 설정거리만큼 유격시키기 위해 상기 W주단자부에서 상기 V극버스바 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되는 W유격설정단자부; 및
    상기 W유격설정단자부의 단부에서 상기 W보조단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W보조단자부에 연결되는 W연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를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어 고정되는 동일한 일측의 삽입 정도를 한정하기 위해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는 상기 단위단자부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단위단자부를 일대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는 상기 보조기기와 접속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U극버스바와 상기 V극버스바와 상기 W극버스바의 동일한 타측을 서로 이격된 채 고정하기 위해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KR1020110004588A 2011-01-17 2011-01-17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KR10113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8A KR101133239B1 (ko) 2011-01-17 2011-01-17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88A KR101133239B1 (ko) 2011-01-17 2011-01-17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239B1 true KR101133239B1 (ko) 2012-04-05

Family

ID=4614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88A KR101133239B1 (ko) 2011-01-17 2011-01-17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068B1 (ko) * 2017-09-22 2019-02-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182A (ja) * 1994-10-24 1996-05-1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2005093166A (ja) 2003-09-16 2005-04-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インバータ用コネクタ装置
KR20070051361A (ko) * 2004-09-13 2007-05-1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182A (ja) * 1994-10-24 1996-05-1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ブスバー相変換部構造
JP2005093166A (ja) 2003-09-16 2005-04-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インバータ用コネクタ装置
KR20070051361A (ko) * 2004-09-13 2007-05-17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직접 장착식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068B1 (ko) * 2017-09-22 2019-02-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95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US10636556B2 (en) Bus b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06010B2 (en) Connector
EP2696456B1 (en) High-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162369B2 (ja) 電源装置
JP5650253B2 (ja) パワー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6158500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構造体
JP2006081373A (ja) 機器直付けコネクタ
JP5692003B2 (ja) インバータとモータ内蔵ドライブトレインとの電気的接続構造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JP2016006722A (ja) 樹脂プレート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CN107925307B (zh) 旋转电机的端子台
KR1011332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JP4976185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5672216B2 (ja) 接続コネクタ
JP2014035996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100061175A (ko) 배터리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정션박스
JP2022136729A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210101517A (ko) 커넥터
CN114628965B (zh) 电动装置
CN112397361B (zh) 熔断器搭载块
CN211237964U (zh) 一种适用于10kV小型化开关柜的电流互感器
JP6591382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13323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JP2022096394A (ja) 端子台を備え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