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440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440A
KR20070042440A KR1020060057998A KR20060057998A KR20070042440A KR 20070042440 A KR20070042440 A KR 20070042440A KR 1020060057998 A KR1020060057998 A KR 1020060057998A KR 20060057998 A KR20060057998 A KR 20060057998A KR 20070042440 A KR20070042440 A KR 2007004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back frame
seat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토 가와시마
도루 다케시마
Original Assignee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탑승자 두부(頭部)와 머리 받침(headrest) 사이의 간극(間隙)은 확보해 두고,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즈음하여,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을 요동(搖動)시킴으로써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탑승자의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동시에,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요동 기구의 오작동(誤作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돌 후, 머리 받침을 원래의 위치에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트 쿠션 프레임(seat cushion frame)(2)에 부착된 1쌍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6)과, 그 사이드 프레임(6)에 회전 힌지(hinge)를 통해서 부착된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8)과, 상기 시트 백 프레임(8)을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8)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부재(20)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AUTOMOBILE SEAT}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트 백 프레임에 설치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와 요동 방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와 요동 방지 부재의 사시도이며, 특히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해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와 요동 방지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며, 특히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6은 시트 백 프레임의 측면도이며, (a)는 일반적인 착석 시(時)의 상태를, (b)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때의 상태를, (c)는 (b)의 상태 후에 머리 받침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7은 요동 방지 부재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차량의 충돌 후에 요동 방지 부재가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시트 쿠션 프레임
4: 리클라이닝 어저스터(reclining adjuster)
6: 사이드 프레임
8: 시트 백 프레임
10: 머리 받침
12: 가이드 구멍
14: 융기부
16: 오목부
18: 회전 힌지 삽입 구멍
20: 요동 방지 부재
22: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
24: 핀
26: 후방 돌출부
28: 안쪽 방향 돌출부
30: 오목부
32: 바깥쪽 돌출부
34: 베이스(base)
36: 관성부
38: 안쪽 방향 돌출부
40: 와권(渦捲) 스프링
42: 후방 절곡부
44: 제1볼트
46: 제2볼트
48: S자 스프링
50: 수압판(受壓板)
52: 탄성 부재
54, 56: 너트
58: 돌기(突起)
F: 시트 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 후방으로부터 충돌되었을 경우에 탑승자의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일반적으로 시트 백의 위쪽에 머리 받침이 설치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두부(頭部)와 머리 받침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있지만, 차량 후방으로부터 충돌되었을 경우, 신체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두부는 후방에 남아서, 경부(頸部)에 부하가 걸려 편타성 손상(whiplash injury)이 되는 일이 있다.
그래서, 두부와 머리 받침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해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도 두부가 머리 받침에 항상 접촉하거나, 두부를 조금 움직임으로써 머리 받침과 간섭해 불쾌하게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압부(受壓部)에 연결된 머리 받침을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항상 후방에 힘을 가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즈음하여, 수압부에 입력된 하중(荷重)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가세력(加勢力)에 저항해서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충돌 후, 두부에 맞닿은 머리 받침이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역시 경부에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래서,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시,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하는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혹은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1-3919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1-16309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2002-274240호 공보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는,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시, 전방으로 이동한 머리 받침을 그 위치에 유지하는 기구로서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를 채용하고 있지만, 충돌 후, 전방으로 이동한 머리 받침을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킬 수 없었다. 또한, 충돌 후, 머리 받침이 전방에 유지됨으로써, 두부의 충격은 어느 정도 경감되지만, 아직 불충분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래칫 기구를 채용하고 있지만, 충돌 후, 전방으로 이동한 머리 받침을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는 해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충돌 후, 머리 받침은 역시 전방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기구도 복잡해서 비용 상승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트 백을 뒤로 젖혔을 때, 시트 백 프레임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면, 뜻에 반해서 요동 기구(목 충격 방지 기구)가 작동해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보통은 탑승자 두부와 머리 받침 사이의 간극은 확보해 두고,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즈음하여, 시트 백 프레임을 요동시킴으로써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탑승자의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통의 상태에서는 요동 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돌 후, 머리 받침을 원래의 위치에 용이하 게 복귀시킬 수 있는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시트 쿠션과, 그 시트 쿠션에 대하여 경도(傾倒)가 자유롭게 부착된 시트 백과, 그 시트 백의 상부에 부착된 머리 받침을 갖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부착된 1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그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힌지를 통해서 부착된 시트 백 프레임과, 그 시트 백 프레임을 상기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를 갖춘 회전 운동이 자유로운 베이스(base)와, 그 베이스의 회전 운동 중심에서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는 관성부(慣性部)를 갖추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관성부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회전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상기 제1의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에 대한 상기 요동 방지 부재의 상기 스토퍼의 대향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대향면의 곡률 중심을 상기 요동 방지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으로부터 편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요동 방지 부재는,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한 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아래 가장자리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설정하여,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기 전의 위치에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이 복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을 일반적인 착석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을, 양단에 돌기를 갖는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인체의 이동에 의해 요부(腰部)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부를 후방으로 압압(押壓)함으로써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을 상기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켜서 상기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용 시트는, 차체 플로어(floor)에 부착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에 대하여 경도가 자유롭게 부착된 시트 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용 시트의 프레임(F)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시트 프레임은, 시트 쿠션 프레임(2)과, 시트 쿠션 프레임(2)의 후방부에 리클라이닝 어저스터(4)를 통해서 전후 방향에 경도가 자유롭게 부착된 좌우 1쌍의 사이드 프레임(6)과, 사이드 프레임(6)에 소정의 각도 범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시트 백 프레임(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8)의 상부에는 머리 받침(10)이 승강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시트 쿠션 프레임(2)은, 시트를 차체 전후 방향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한 좌우 1쌍의 슬라이드 장치(S)를 구성하는 상부 레일(S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레일(S1)을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하부 레일(S2)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다.
도 3은 사이드 프레임(6)과 시트 백 프레임(8)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 시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리클라이닝 어저스터(4)에는, 사이드 프레임(6)의 하단부가 부착되어 있으 며, 사이드 프레임(6)에는, 시트 백 프레임(8)의 양(兩) 측부(側部)의 하단부 근방에 부착된 볼트(후술)가 여유롭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12)의 후단부를 제외하는 양측(兩側)에는, 가이드 구멍(12)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동시에 바깥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인 융기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융기부(14)의 중간부에는, 탄성 부재(후술)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탄성체 유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6)의 상부에는 회전 힌지 삽입 구멍(18)이 뚫려 설치되어 있으며, 상술(上述)한 가이드 구멍(12)은, 회전 힌지 삽입 구멍(1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12) 아래쪽의 사이드 프레임(6)에는, 시트 백 프레임(8)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 방지 부재(20)와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가 핀(24)으로 부착되어 있다.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는, 사이드 프레임(6)의 후방 가장자리를 절곡해서 형성한 후방 절곡부(42)를 향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26)와,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을 향해서(사이드 프레임(6) 하단부의 반대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쪽 방향 돌출부(28)를 갖추고, 핀(24)의 삽입 구멍의 주위에는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요동 방지 부재(20)는,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의 오목부(30)에 끼워 넣는 바깥쪽 돌출부(32)가 형성된 베이스(34)와, 상기 베이스(3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34)의 회전 운동 중심(핀(24))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는 관성부(관성부)(36)를 갖추고, 베이스(34)의 전방부에는 시트 백 프레임(8)의 양 측부의 하단부에 맞닿아서 시트 백 프레임(8) 의 요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의 안쪽 방향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방지 부재(20)와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와의 사이에는 와권 스프링(탄성 부재)(40)이 장치되고, 와권 스프링(40)의 일단(一端)이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에 걸려지는 한편, 와권 스프링(40)의 타단(他端)이 요동 방지 부재(20)의 베이스(34)에 걸려짐으로써 요동 방지 부재(20)는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의 방향에 항상 힘이 가해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방지 부재(20)는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에 핀(24)을 통해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의 후방 돌출부(26)를 사이드 프레임(6)에 용접 고정하면, 와권 스프링(40)에 의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요동 방지 부재(20)의 상부 가장자리가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의 안쪽 방향 돌출부(28)에 맞닿는다. 또한, 요동 방지 부재(20)의 안쪽 방향 돌출부(38)의 전면(前面)은 시트 백 프레임(8)의 양 측부의 하단부와는 근소하게(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통해서) 격리되어 있다.
한편, 상부에 머리 받침(10)이 부착된 시트 백 프레임(8)은,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6)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2)에 대향하는 시트 백 프레임(8)에는, 가이드 구멍(12)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볼트(44)가 부착되어 있고, 사이드 프레임(6)에 형성된 회전 힌지 삽입 구멍(18)에 대향하는 시트 백 프레임(8)에는, 회전 힌지 삽입 구멍(18)을 향해서 돌출하는 회전 힌지로서의 제2볼트(4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8)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S자 스프링(48)의 양단이 고 정되어 있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2개의 S자 스프링(48) 사이에는 착석자의 요부에 대향하는 수압판(50)이 설치되어, 그 양단은 S자 스프링(48)과 마찬가지로, 시트 백 프레임(8)의 양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 백 프레임(8)을 사이드 프레임(6)에 부착하는 것에 즈음하여, 제1볼트(44)가 사이드 프레임(6)의 가이드 구멍(12)과 대략 타원형 혹은 능형(菱形) 형상의 탄성 부재(판 스프링)(52)의 중심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제2볼트(46)가 사이드 프레임(6)의 회전 힌지 삽입 구멍(18)에 삽입 통과된 후, 제1 및 제2볼트(44, 46)에는 너트(54, 56)가 나사로 체결된다.
또한, 탄성 부재(52)의 양단에는 사이드 프레임(6)을 향해서 볼록 형상의 돌기(58)가, 사이드 프레임(6)에 형성된 융기부(14)의 오목부(16)와 상보(相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볼트(44)와 너트(54)를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에 즈음하여, 돌기(58)가 융기부(14)의 오목부(16)에 끼워진다. 이 때, 시트 백 프레임(8)은, 제1볼트(44)가 가이드 구멍(12)의 앞 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 방지 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베이스(34)의 전방부에 형성된 안쪽 방향 돌출부(38)의 전면(前面)이 시트 백 프레임(8)의 하단부와 근소하게 격리되어 있으며, 관성부(36)는 베이스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도 4 참조).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용 시트는, 도 6(a)에 나타나는 보통의 착석 시에는, 탄성 부재(52)의 돌기(58)가 사이드 프레임(6)에 형성된 융기부(14) 의 오목부(16)에 끼워 넣어서 유지되어, 시트 백 프레임(8)의 요동을 방지하고 있으므로(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속하고 있음), 시트 백 프레임(8)은 사이드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탑승자 상체의 하중을 시트 백 프레임(8)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8)의 상부에 부착된 머리 받침(10)은, 탑승자의 두부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격리되어 있다.
즉, 융기부(14), 탄성 부재(52) 등은, 시트 백 프레임(8)을 보통 착석 위치(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예를 들면 차량 후방으로부터 충돌(추돌)되어,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 차체와 함께 시트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요동 방지 부재(20)의 관성부(36)는 그 관성력에 의해 그 자리에 머물려고 하므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방지 부재(20)는 와권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화살표 A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 방지 부재(20)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은 해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방지 부재(20)의 안쪽 방향 돌출부(38)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백 프레임 하단부와의 대향면의 곡률 중심(O1)은 요동 방지 부재(20)의 회전 운동 중심(O2)보다 아래쪽으로 소정의 거리 L만큼 편심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방지 부재(20)가 화살표 A의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 백 프레임 하단부에 대한 요동 방지 부재(20)의 최단 격리 거리는 서서히 커지므로, 요동 방지 부재(20)의 회 전은 원활하게 실행된다.
또한, 이 때 인체는 상대적으로 시트 백을 꽉 누르게 되고, 인체의 후방에의 이동에 의해 요부가 수압판(50)을 후방으로 밀게 되므로, 탄성 부재(52)가 변형하고, 탄성 부재(52)의 돌기(58)는 융기부(14)의 오목부(16)로부터 이탈하여, 제1볼트(44)와 함께 가이드 구멍(12)을 따라 가이드 구멍(12)의 후단부를 향해서 이동한다. 따라서, 시트 백 프레임(8)은 제2볼트(46)를 회전 힌지로 해서 도 6(c)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요동하고, 머리 받침(10)은 탑승자의 두부를 향해서 이동하여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c)는 이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추돌 시험에 의해, 인체로부터의 하중은 최초에 요부가 높고, 그 후 흉부나 두부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부의 하중이 높아진 시점에서 시트 백 프레임(8)의 요동 기구가 동작하여, 일단 머리 받침(10)이 전방으로 이동해 두부를 지지한다. 그 후, 흉부나 두부의 하중이 높아졌을 때에는, 두부나 흉부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성 부재(52)가 원래의 유지 위치에 복귀한다(리바운드(rebound)).
또한, 추돌에 의해 탄성 부재(52)의 돌기(58)가 융기부(14)의 오목부(16)로부터 일단 이탈하고, 그 후의 리바운드에 의해 탄성 부재(52)가 원래의 유지 위치에 복귀하지 않았다고 해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방지 부재(20)는 와권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안쪽 방향 돌출부(38)의 일부가 시트 백 프레임(8)의 아래 가장자리부에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 백의 하부를 전방으로 누르든가, 혹은 시트 백의 상부를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시트 백 프레임(8)이 사이드 프레임(6)에 대하여 제2볼트(46)를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B의 역방향으로 요동하여 작동 전(추돌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프레임(8)의 아래 가장자리부(8a)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 백 프레임(8)이 제2볼트(46)를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B의 역방향으로 요동함에 따라, 요동 방지 부재(20)는 안쪽 방향 돌출부(38)의 일부가 시트 백 프레임(8)의 아래 가장자리부(8a)에 미끄러져 접하면서 베이스(34)의 위 가장자리가 요동 방지 부재 가이드(22)의 안쪽 방향 돌출부(28)에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와권 스프링(40)은, 추돌 때의 소정의 값 이상의 충격에 의해 요동 방지 부재(20)를 작동시키는 한편, 보통 착석 시의 진동 등에서는 요동 방지 부재(20)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그 탄성력이 선정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8)을 크게 뒤로 젖힌 상태에서, 하단부에 사용자의 체중 등의 큰 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이 작용하기 전에 요동 방지 부재(20)의 스토퍼(안쪽 방향 돌출부(38))가 시트 백 프레임(8)의 하단부에 맞닿으므로, 시트 백 프레임(8)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구멍(12)의 양측에 융기부(14)를 형성하고, 이 융기부(14)에 탄성 부재(52)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16)를 형성하였지만, 융기부(14)를 형성하는 일 없이, 오목부(16)를 사이드 프레임(6)에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백 프레임을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였으므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관성부의 관성력에 의해 요동 방지 부재가 회전해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보통 착석 시는 시트 백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한편,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부재의 관성력을 이용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충돌 후, 머리 받침을 원래의 위치에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추가해서,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요동 방지 부재가 회전하고, 보통의 진동 등에서는 요동 방지 부재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선정하였으므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에 대한 요동 방지 부재의 스토퍼의 대향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대향면의 곡률 중심을 요동 방지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켰으므로,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요동 방지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시트 백 프레임 하단부에 대한 요동 방지 부재의 최단 격리 거리를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어, 요동 방지 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요동 방지 부재는 회전 후, 원래의 위치에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보통 착석 시에는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에 의해 시트 백 프레임을 사이드 프레임에 유지하는 한편,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여 시트 백 프레임을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켜서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탑승자의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용 시트는, 보통 때에는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해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속하는 한편,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탑승자의 경부(頸部) 장애증을 방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시트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시트 쿠션(seat cushion)과,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경도(傾倒)가 자유롭게 부착된 시트 백(seat back)과, 상기 시트 백의 상부에 부착된 머리 받침을 갖춘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부착된 1쌍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힌지(hinge)를 통해서 부착된 시트 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을 상기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키는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와 맞닿아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가진 회전 운동이 자유로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회전 운동 중심에서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한 관성부를 갖추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관성부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회전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1의 방향에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요동 방지 부재가 상기 제1의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단부에 대한 상기 요동 방지 부재의 상기 스토퍼의 대향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대향면의 곡률 중심을 상기 요동 방지 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으로부터 편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는,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한 후,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아래 가장자리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설정하고,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기 전의 위치에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이 복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을 보통 착석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유지 수단을, 양단에 돌기(突起)를 갖는 탄성 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후방으로부터 소정의 값 이상의 가속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요동 방지 부재에 의한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요동 기구의 구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인체의 이동에 의해 요부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하부를 후방으로 압압(押壓)함으로써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을 상기 회전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시켜서 상기 머리 받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060057998A 2005-10-18 2006-06-27 차량용 시트 KR20070042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3156A JP4850476B2 (ja) 2005-10-18 2005-10-18 車両用シート
JPJP-P-2005-00303156 2005-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440A true KR20070042440A (ko) 2007-04-23

Family

ID=3769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998A KR20070042440A (ko) 2005-10-18 2006-06-27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8035B2 (ko)
EP (1) EP1777101B1 (ko)
JP (1) JP4850476B2 (ko)
KR (1) KR20070042440A (ko)
CN (1) CN100469615C (ko)
DE (1) DE602006017023D1 (ko)
TW (1) TWI294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3480B2 (ja) * 2006-03-23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US7445284B2 (en) * 2007-04-05 2008-11-04 Gerfast Sten R In-expensive head and upper torso restraint with u-shaped air bag
JP5328116B2 (ja) * 2007-07-19 2013-10-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5113458B2 (ja) * 2007-08-31 2013-01-09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車両用シートの骨組み構造体
DE102008023992A1 (de) 2008-05-16 2009-11-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m Blockieren der Bewegung eines ersten Bauteils gegenüber einem zweiten Bauteil
JP5190692B2 (ja) * 2008-09-10 2013-04-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クラッチ機構
JP5190693B2 (ja) * 2008-09-10 2013-04-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クラッチ機構
US7857381B2 (en) * 2008-09-15 2010-12-28 Lear Corporatio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s
JP5394036B2 (ja) * 2008-10-15 2014-01-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132862B2 (en) * 2009-01-29 2012-03-1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back frame for vehicle
US7959224B2 (en) 2009-03-17 2011-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head restraint having multiple horizontal pivot points
JP5521493B2 (ja) * 2009-11-04 2014-06-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5802368B2 (ja) * 2010-07-21 2015-10-2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EP2603398B1 (en) * 2010-08-10 2016-04-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JP5544247B2 (ja) * 2010-08-20 2014-07-09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ル型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シェルユニット及び車両用シェル型シート
CN101920675B (zh) * 2010-09-06 2012-05-23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骨架
US9174557B2 (en) * 2011-03-01 2015-11-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CN102346812B (zh) * 2011-08-11 2014-07-09 上海理工大学 汽车座椅的复杂冲击加速度能量评估方法
CN103917408B (zh) * 2011-09-26 2016-11-23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具有挠曲接头运动控制件的车辆椅背
JP6170139B2 (ja) 2013-04-08 2017-07-2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シートフレーム
JP5915603B2 (ja) * 2013-08-29 2016-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JP6294772B2 (ja) * 2014-06-24 2018-03-1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P3347273B1 (en) 2015-09-11 2022-02-16 Safran Seats USA LLC Consolidated seat back breakover mechanism
US9914421B2 (en) * 2016-01-15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flexible slip plane joint for side air bag deployment
US10059234B2 (en) * 2016-06-10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back
US10166887B2 (en) * 2017-03-02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6552A (en) 1947-11-04 1953-04-28 Hardman Tool & Engineering Co Chair back
DE2206329C2 (de) 1972-02-10 1984-06-14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US4358155A (en) * 1980-08-22 1982-11-09 Keiper U.S.A., Inc. Limited spring and inertia latch system
WO1987003256A1 (fr) 1985-11-22 1987-06-04 Maurice Boulay Siege dynamique dont l'inclinaison du dossier et de l'appui-tete varie en fonction des accelerations et des decelerations du vehicule
US5145233A (en) 1991-10-22 1992-09-08 Tachi S Co., Ltd. Arrangement of headrest in seat
CA2064490C (en) * 1992-03-31 1996-01-23 Daniel Hughes Spring biased inertial latch for vehicle seat assemblies
DE4312732C1 (de) * 1993-04-20 1994-12-01 Keiper Recaro Gmbh Co Drehgelenk für Rückenlehnen einer Sitzbank im Kraftfahrzeugfond
US5378043A (en) 1993-06-01 1995-0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pivotal headrest
SE9402877L (sv) 1994-08-30 1996-05-15 Autosafe Automobile I Stockhol Anordning för att motverka pisksnärtskador
US5490706A (en) * 1995-03-22 1996-02-13 Totani; Hideo Safety system for occupant of an automotive vehicle
DE29603467U1 (de) * 1996-02-26 1996-06-20 Trw Repa Gmbh Fahrzeugsitz
DE29614238U1 (de) * 1996-08-16 1996-12-12 Trw Repa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GB2318045B (en) 1996-10-09 2000-08-09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seat and headrest arrangement
DE19652665C1 (de) * 1996-12-18 1998-05-07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Rastein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r neigungsverstell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JP3767174B2 (ja) * 1998-06-17 2006-04-1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US6109690A (en) * 1998-12-18 2000-08-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ivoting seat back
US6523892B1 (en) * 1999-05-20 2003-02-25 Mazda Motor Corporation Seat structure for vehicle
JP2001039194A (ja) 1999-07-30 2001-02-13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1163097A (ja) 1999-12-07 2001-06-1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車両用シート
JP2001163101A (ja) * 1999-12-10 2001-06-19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DE10013325B4 (de) * 2000-03-10 2012-06-21 Volkswagen Ag Fahrzeugsitz mit einer Kopfstütze
GB2367744A (en) * 2000-10-12 2002-04-17 Atl Engineering Lockable pivot mechanism
DE10064474B4 (de) * 2000-12-22 2004-04-08 Keiper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Einsteller
JP3673480B2 (ja) 2001-03-15 2005-07-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DE10148375A1 (de) * 2001-09-29 2003-04-24 Keiper Gmbh & Co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JP4348255B2 (ja) * 2003-10-08 2009-10-2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2664959Y (zh) * 2003-11-03 2004-12-22 王万华 汽车安全座椅
JP2005303156A (ja) 2004-04-15 2005-10-27 Sony Corp 磁気メモ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12204A (ja) 2007-05-10
DE602006017023D1 (de) 2010-11-04
US20070085390A1 (en) 2007-04-19
CN1951720A (zh) 2007-04-25
CN100469615C (zh) 2009-03-18
JP4850476B2 (ja) 2012-01-11
EP1777101A3 (en) 2009-02-25
EP1777101B1 (en) 2010-09-22
TWI294841B (en) 2008-03-21
TW200716405A (en) 2007-05-01
EP1777101A2 (en) 2007-04-25
US7488035B2 (en) 200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2440A (ko) 차량용 시트
JP4348255B2 (ja) 車両用シート
US7758114B2 (en) Seat back structure of vehicle seat
US7540562B2 (en) Seat back structure of vehicle seat
JP5049790B2 (ja) シートの背もたれ支持機構
KR101252201B1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JP2002137670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WO2006085658A1 (ja) 車両シート
JP2009023516A (ja) 車両用シート
US7740311B2 (en) Car seat
JP200603596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442743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1163097A (ja) 車両用シート
JP2008265378A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83451A (ja) 乗物用シート
JP5252936B2 (ja) 車両用シート
JP41418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82320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101946305B1 (ko) 밀림 방지 헤드레스트
JP5343601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JP3195878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車両用シート
KR20038866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연결장치
KR200141707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KR100494505B1 (ko) 차량의 시트 등받이 구조
JP2009179270A (ja) 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18

Effective date: 200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