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527A - 이형용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이형용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527A
KR20070034527A KR1020067027458A KR20067027458A KR20070034527A KR 20070034527 A KR20070034527 A KR 20070034527A KR 1020067027458 A KR1020067027458 A KR 1020067027458A KR 20067027458 A KR20067027458 A KR 20067027458A KR 20070034527 A KR20070034527 A KR 2007003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lease
laminated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니시오
쥰 니시오카
시게키 니시무라
오사무 가키시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80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14598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Fluoropolymer, e.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8Polyalkene or polyolefin, e.g.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불소 수지의 표면 특성을 가지면서,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려우며, 작업성, 경제성도 우수하고, 또한 다시 프레스 성형할 때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접착성 불소 수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층간 박리, 작업성, 이형용 적층 필름.

Description

이형용 적층 필름{Mold releasing laminated film}
본 발명은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표면에 갖는 이형용(離型用)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층 기판의 프레스 성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이형용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형 필름이란 당해 필름 위에 각종 점착재, 도료 등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당해 필름 위에 도포막을 형성하며, 그리고 이러한 도포막을 박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름을 말한다.
종래, 이들 이형 필름으로서는 테프론(등록상표)(PTFE) 등의 불소 수지 필름이나 폴리(4-메틸펜텐-1) 필름, 또한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표층에 실리콘계 재료를 도포한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표층에 불소 수지를 사용하는 필름은 대단히 점착성이 낮으며, 이형성이 우수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불소계 수지 필름을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표층을 불소계 수지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적층시킨 필름을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형 필름은 인쇄용 기판이나 세라믹 전자부품, 열경화성 수지 제품,
화장판 등을 제조할 때, 공정중에 금속판끼리나 수지끼리 접착되지 않도록, 금속판 사이 또는 수지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인쇄용 기판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유리섬유 직물에 함침한 프리프레그를 적절하게 몇장 중첩한 다음, 구리박 등의 금속박을 적재하며, 프레스 가공기로 가열,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와 같이 프레스 가공할 때에 프레스 가공기의 프레스 판과 인쇄용 기판 사이나, 당해 기판끼리의 사이에 이형 필름을 개재시켜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인쇄용 기판의 고밀도화에 따라 표면 실장(實裝)의 구성도 변화되고 있으며, 칩 등의 표면 실장부품을 적재하기 위해 계단상의 요철을 갖는 다층 기판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형상의 다층 기판을 적층 성형하는 경우, 통상적인 성형방법에서는 피성형물에 균일하게 압력을 거는 것이 곤란하므로, 계단상의 부분에 당해 형상에 맞추어 실리콘 고무 등을 매몰하여,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 진공 다단 적층 장치에 의한 성형도 제안되고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기판의 층 사이에 삽입된 프리프레그 수지가 용융되어 캐비티 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허 문헌 3에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하 2층은 불소 수지 등의 내열성 수지, 코어층은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적층 프레스용 다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프레스할 때에 중간층이 용융 가압상태로 되어, 프리프레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86141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08782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96765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서는 불소 수지 필름이 비싸므로 이형 필름으로서 실용화하는 데는 비용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비용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얇은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한다면, 필름의 탄력성이 없어져서 핸들링성이 떨어지거나, 인쇄용 기판 제조시, 스테인레스 강판과의 열밀착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특허 문헌 2와 동일하게 표층을 불소 수지로 하는 적층체에서는, 불소 수지의 점착성이 낮으므로, 비불소계의 열가소성 수지 등과의 접착력이 약하며, 층간 박리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다층 필름은 상하 2층의 불소계 수지층과, 코어층인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접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불소 수지층과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접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드라이 라미네이트의 수법이 채용된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의 수법을 취하는 경우, 기포 등을 개재시키지 않고 접착하는 데는 붙이는 양쪽층에 소정 이상의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것은 비용이 높은 불소계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과 연결되며, 다층 필름 원료의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층을 따로따로 작성하여, 이들을 붙이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자체가 노력이 드는 작업이며, 제조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되고 있다. 또한, 각 층이 소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므로,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필름이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잘 추종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불소 수지의 표면 특성을 가지면서,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렵고, 작업성, 경제성도 우수하며, 또한 다시 프레스 성형할 때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안에 쓰는 것으로 부기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의 본 발명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A)이다.
제1의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의 두께는 1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C)이다.
제2의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a, 10b)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의 두께는 1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두께는 0.5 내지 10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본 발명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E)이다.
제3의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a, 4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본 발명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의 두께는 1 내지 15㎛,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의 두께는 0.5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의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G)이다.
제4의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a, 10b),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a, 4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의 본 발명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의 두께는 1 내지 15㎛,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의 두께는 0.5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10)는 0.5 내지 10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의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을 형성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및 제4의 본 발명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의 본 발명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이다.
제5의 본 발명에서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의 본 발명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는 1 내지 15㎛,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는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의 본 발명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의 본 발명에서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내열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은 접착제를 개재시켜 복수장의 기판을 중첩하여 이루어진 적층체를 가열하에 적층 프레스 성형할 때에 프레스 판과 이러한 적층체 사이에 배치된 적층 필름으로서, 코어층(50a) 및 이러한 코어층의 양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갖는 적층 필름이며, 코어층(50a)이, 접착성 불소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J)이다.
제6의 본 발명에서 코어층(50a)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와 코어층(50a) 사이에 추가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60a, 60b)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변성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는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또다른 외측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 산 변성 ETFE(EFE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70a, 70b)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본 발명에서 필름 전체의 두께는 100 내지 1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6의 본 발명에서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공압출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불소 수지가 우수한 이형성을 갖는 동시에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렵고, 작업성, 경제성도 우수하며, 또한 다시 프레스 성형할 때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A)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란 융점이 150℃ 내지 250℃이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하나인 렉스펄 RA3150(니혼폴리에틸렌사제)와 불소 수지를 4×105 내지 5×105Pa의 시료압으로, 240℃에서, 10분 동안 프레스하여, 적층 시트를 제작하며, 폭 2.5cm, 길이 25cm로 절단하여 채취한 샘플을 JIS Z0237에 준한 방법으로 박리 속도 5mm/min, 온도 23℃에서, 180도 박리 강도의 측정을 실시할 때에 180도 박리 강도가 4N/cm 이상인 불소 수지의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의 IR 스펙트럼은 1780cm-1 내지 1880cm-1 사이에 흡수 피크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불소 수지」의 IR 스펙트럼은 1790cm-1 내지 1800cm-1 사이 및 1845cm-1 내지 1855cm-1 사이에 무수 말레산기 등의 무수물에 기인하는 흡수 피크를 가지거나, 1800cm-1 내지 1815cm-1 사이에 말단 카보네이트기에 기인하는 흡수 피크를 가지거나, 1790cm-1 내지 1800cm-1 사이 1845cm-1 내지 1855cm-1 사이 및 1800cm-1 내지 1815cm-1 사이에 무수 말레산기 등의 무수물 및 말단 카보네이트기의 혼합물에 기인하는 흡수 피크를 갖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불소 수지」의 IR 스펙트럼은 1790cm-1 내지 1800cm-1 사이 및 1845cm-1 내지 1855cm-1 사이에 무수 말레산기 등의 무수물에 기인하는 흡수 피크를 가지거나, 1800cm-1 내지 1815cm-1 사이에 말단 카보네이트기에 기인하는 흡수 피크를 갖고 있다.
또한, 주쇄의 CH2기에 기인하는 2881cm-1 부근에서 흡수 피크의 높이에 대한, 무수 말레산기 등의 무수물에 기인하는 1790cm-1 내지 1800cm-1 사이의 흡수 피크의 높이의 비는 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이다.
또한, 주쇄의 CH2기에 기인하는 2881cm-1 부근에서의 흡수 피크의 높이에 대한, 말단 카보네이트기에 기인하는 1800cm-1 내지 1815cm-1 사이의 흡수 피크의 높이의 비는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이다.
이러한 접착 강도를 갖는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를 갖는 단일중합체나 공중합체이며, 말단 또는 측쇄에 카보네이트기, 카복실산할라이드기,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융점과 접착 강도를 발현하는 것이면, 복수의 수지를 혼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 상기와 같은 접착 강도를 갖는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플론 EFEP(다이킨고교사제), 플루온 LM-ETFE AH2000(아사히가라스사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란 베이스로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임의의 방법으로 무기산,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등의 산을 그래프트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지를 말한다. 베이스로 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된다. 불포화 카복실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보론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또한 이들의 산 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금속염 등이 사용된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에틸렌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렉스펄 RA3150(니혼폴리에틸렌사제), 본드파스트 E(스미토모가가쿠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A)는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위에 필요에 따라 추가로 몇개의 층(90)을 적층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적층되어 있는 구성(100B)가 양면에서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에서도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형용 적층 필름(100A, 100B)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는 1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가 얇아도,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에 적절한 두께와 강성을 갖게 하므로, 탄력성이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A, 100B)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접착성 불소 수지는 필요 최소량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도 우수하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100C)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 프레스시의 쿠숀성, 밀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층 필름(100A, 100B)에서는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층(10)만으로 두께를 갖게 하거나, 적층 필름(100C)에서는 보다 염가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에 의해서도 두께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경제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C)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을 설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C)에서도, 필요에 따라 다시 몇개의 층(90)을 적층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a, 10b)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D)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면에서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이형용 적층 필름(100C, 100D)과 같이 구성한 경우,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는 1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10a, 10b)는 0.5 내지 10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가 얇아도,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에 적절한 두께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탄력성이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C, 100D)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접착성 불소 수지는 필요 최소량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도 우수하다.
도 2에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별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E)로 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에 사용되는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THV)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ETFE가 이형성, 가공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ETFE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플론 COP(아사히가라스사제), Tcfzel(듀폰사제), 네오플론 ETFE(다이킨고교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용 적층 필름(100E)에서는, 최외층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이 있으므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이 최외층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특히 고온(200℃ 이상)에서의 프레스 성형에 사용하는 경우의 이형성이 우수하다. 이것은 접착성 불소 수지는 이의 융점 이상으로 되면 접착 성능이 발현되며, 이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통상적인 불소 수지는 고온에서의 접착성이 작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E)는 이러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위에 필요에 따라 추가로 몇개의 층(90)을 적층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a, 4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F)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필름(100F)에서는 양면에서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이형용 적층 필름(100E 또는 100F)와 같이 구성된 경우,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 40a, 40b)는 1 내지 15㎛,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는 0.5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 40a, 40b)가 얇아도,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에 적절한 두께와 강성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탄력성이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E, 100F)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불소 수지는, 필요 최소량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도 우수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이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G)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형용 적층 필름(100E, 100F)에서는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만으로 두께를 갖게 하거나, 이형용 적층 필름(100G)에서는 보다 염가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에 의해서도 두께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경제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100G)로 할 수 있다.
이형용 적층 필름(100E)와 동일하게 이형용 적층 필름(100G)에서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몇개의 층(90)을 적층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도 2(d)에 도시된 이형용 적층 필름(100H)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a, 10b),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a, 40b)가 이러한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면에서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형용 적층 필름(100G) 또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H)와 같이 구성한 경우,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 40a, 40b)는 1 내지 15㎛,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 20a, 20b)는 0.5 내지 15㎛,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10, 10a, 10b)는 0.5 내지 10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40, 40a, 40b)가 얇아도,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30)에 적절한 두께를 갖게 하므로, 탄력성이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불소 수지는, 필요 최소량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도 우수하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발명은 특히, 고온도 환경하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형 적층 필름이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된 면이란 반대측의 면에, 필요에 따라, 다시 몇개의 층을 적층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양면에서 이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는 1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는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얇아도,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에 적절한 두께와 강성을 갖게 하므로, 탄력성이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형용 적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불소 수지는 필요 최소량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성도 우수하다.
제2의 실시 형태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란 제1 실시 형태에서 정의를 기재한 접착성 불소 수지의 것이다.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내열성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알로이, 폴리에테르이미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계 알로이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이들 수지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염가로 내열성이 우수한 이형성 적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는 공압출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ET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경우와 같이 층 사이에서 이물질의 포함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온(예: 180℃ 이상)에서는 상기한 내열성 수지의 탄성율이 저하되지만, 이형용 적층 필름의 말단부를 초음파 웰더로써 용단(溶斷) 밀봉 등을 함으로써, 후에 도시되는 도 3(a)와 같이 말단부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접착하여, 상기한 수지의 연화, 용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은, 칼날에 의해 필름을 절단한다고 해도,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층 사이의 가밀착성을 갖는다. 또한, 이형용 적층 필름에 테이프를 장착시켜 인장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인장부를 가져서 이형용 적층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시켜 각 층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은 사용후에 각 층을 박리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분별 폐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3 실시 형태>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형용 적층 필름(100J)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적층 필름(100J)는 3층 구조를 구비하며, 코어층(50a)의 양측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코어층(50a)를 구성하는 수지는 접착성 불소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수지인 것이 필수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시의 가온에 의해 코어층(50a)를 구성하는 수지만을 용융할 수 있게 되며,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적층 필름(100J)의 말단부에서, 도 3(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의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는 직접 접착되어, 코어층(50a)를 밀봉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층 필름(100J)는 이의 표면적과 비교하여 충분하게 얇으며, 또한 통상적으로 적층 필름(100J)의 크기는 금형에 접하는 면보다 크므로, 상기 밀봉 구조는 필수가 아니다.
코어층(50a)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입수할 수 있는 접착성 불소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구비한다는 관점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접착성 불소 수지」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J)에서는 층 구성중에 코어층(50a)를 끼우도록 2층의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층(50a)와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사이를 접착하는 데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J)를 제작할 때에 종래와 같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공정을 경유하는 것을 요하지 않으며,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100J)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압출에 의한 필름 제작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원료로서 비싼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얇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J)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5 내지 2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강도의 점에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를 이보다 두껍게 하면,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여,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100J)를 제작하는 장점을 잃게 된다. 또한, 2층의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상기 범위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코어층(50a)의 수지가 용융될 때의 적층 필름(100J)의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적층 프레스시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하여,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기판의 층 사이에 삽입된 프리프레그 수지가 용융하여 캐비티 부분에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J)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는 프레스 성형의 가열에 의해 변형될 때에 다층 기판의 층 사이에 될 수 있는 한, 간극없이 충전되는 두께의 범위이면 양호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100 내지 120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와 코어층(50b) 사이에 다시 변성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60a, 60b)를 갖고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K)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코어층(50b)를 구성하는 수지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인 것이 필수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시의 가온에 의해 코어층(50b)를 구성하는 수지만이 용융할 수 있게 되며,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적층 필름(100K)의 말단부에서, 도 3(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60a, 60b)는 직접 접착되어, 코어층(50)을 밀봉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층 필름(100K)는 이의 표면적과 비교하여 충분하게 얇으며, 또한 통상적으로 적층 필름(100K)의 크기는 금형에 접하는 면보다 크므로, 상기 밀봉 구조는 필수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중간층(60a, 60b)를 구성하는 수지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구성하는 수지와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중간층(60a, 60b)를 구성하는 수지는 변성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100K)에서, 코어층(50b)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중간층(60a, 60b)를 구성하는 수지 사이에서 양호한 접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60a, 60b)로서, 상기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코어층(50b)와 중간층(60a, 60b)와의 접착은 코어층(50b)와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접착하는 경우보다 용이하다. 또한, 입수할 수 있는 접착성 불소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구비한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K)에서는 층 구성중에 코어층(50b)를 끼우도록 2층의 중간층(60a, 60b)가 배치되며, 또한 이러한 중간층(60a, 60b)의 외측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가 배치되어 있다. 즉, 코어층(50b)와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사이에 중간층(60a, 60b)를 배치하여, 양쪽층의 접착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양쪽층 사이에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K)를 제작할 때에 종래와 같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공정을 경유하는 것을 요하지 않으며, 공압출에 의해 5층 구조의 적층 필름(100K)를 단번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압출에 의한 필름 제작을 할 수 있으므로, 원료로서 비싼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K)에서는 중간층(60a, 60b)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와의 접착을 맡기며, 코어층(50b)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를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다는 관점만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층(50b)를 구성하는 수지의 선택의 폭을 넓게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재료 비용을 절감하며, 새로운 기능을 적층 필름(100K)에 부여하는 것이 용이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K)에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5 내지 2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강도의 점에서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를 이보다 두껍게 하면,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여,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100K)를 제작하는 장점이 상실된다. 또한, 2층의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100K)에서, 중간층(60a, 60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1 내지 2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60a, 60b)의 두께를 이보다 얇게 공압출로 제작하는 것은 제조에 곤란이 따른다. 반대로, 두께를 이보다 두껍게 하면,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여,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100K)를 제작하는 장점이 상실된다. 또한, 2층의 중간층(60a, 60b)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및 중간층(60a, 60b)를 상기한 바와 같이 얇게 형성함으로써, 코어층(50b)의 수지가 용융될 때에 적층 필름(100K)의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적층 프레스시에 다층 기판의 계단상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하여, 프레스 성형시에 다층 기판의 층 사이에 삽입된 프리프레그 수지가 용융되어 캐비티 부분에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층 필름(100K)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는 프레스 성형의 가열에 의해 변형될 때에 다층 기판의 층 사이에 가능한 한 간극없이 충전되는 두께의 범위이면 양호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100 내지 120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에서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또다른 외측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 산 변성 ETFE(EFE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70a, 70b)를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란 ETFE 중에서도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이며, 예를 들면,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720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시에 이러한 적층 필름(100L)의 금형 및 다층 기판에 대한 박리성, 가스 차단성 및 적층 필름(100L)에서 다층 기판측으로의 불순물의 비전사성이 보다 향상된다.
외층으로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70a, 70b)를 설치하는 경우, 외층(70a, 70b)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이의 두께는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강도의 점에서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한 외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여,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100L)을 제작하는 장점이 상실된다.
<이형용 적층 필름(100)의 제조방법>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형용 적층 필름(100)의 적층방법으로서는 열융착 프레스나, 공압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다층 공압출에 의해 목적하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을 단번에 제작하는 방법이 생산성,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공압출 및 프레스를 조합하여, 필름 사이의 접착성을 높인 적층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이형용 적층 필름(100)의 용도>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당해 필름 위에 각종 점착재, 도료 등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당해 필름 위에 도포막을 형성하며, 그리고 이러한 도포막을 박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형용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중간층(10)의 양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또는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적층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B, 100D, 100F, 100H, 100J, 100K, 100L)은 하기에 설명하는 다층 기판용 적층체의 프레스 성형에서 사용되는 이형용 필름(100)으로서도 사용된다.
이하, 다층 기판의 적층 프레스 성형에 관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형용 적층 필름(100)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복수장의 기판을 중첩하여 적층 프레스할 때에 접착제 수지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도 4(a)와 같이 적층 프레스 성형장치(200) 내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적층 프레스 성형장치(200)은 유압 실린더(210a, 210b)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하에 마주 보도록 배치된 프레스용 열판(220a, 220b)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는 프레스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며, 하측의 프레스용 열판(220b) 위에 복수의 기판(230, 230, ‥)이 적재되어 있다. 각 기판(230, 230, ‥)의 사이에는 프리프레그가 중간에 삽입되어 있다. 프리프레그는 유리섬유 등의 심재에 수지를 함침시킨 것이다.
프리프레그용의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BT 레진,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디알릴 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변성물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내열 신뢰성의 점에서 에폭시 수지 및 BT 레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활석, 점토, 실리카, 탄산칼슘 등의 무기입자 충전재나, 유리섬유, 석면섬유, 세라믹 섬유 등의 섬유질 충전재를 함유시킬 수 있다. 프리프레그용 수지는 소정의 용매에 용해하고, 심재에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로 된다. 프리프레그의 심재로서는 유리섬유가 일반적이지만, 이외로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트상의 유리,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리프레그의 수지량은 통상적으로 프리프레그 전체에 대하여 30 내지 80중량%이다.
다층 기판용 적층체의 적층 프레스 성형은 통상적으로 160 내지 280℃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층(50a, 50b)는 용융 상태로 되며, 한편 코어층(50a, 50b)를 끼우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는 연화 상태로 된다. 여기에 코어층(50a, 50b)의 「용융 상태」란 액체 상태 이외에 프레스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을 일으키며 피성형물의 요철 형상부분을 실질적으로 간극없이 매몰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게 연화한 상태도 포함한다. 또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연화」란 프레스 성형시에 코어층(50a, 50b)의 용융 수지의 내압에 의해 피성형물의 요철에 따른 형상이 용이하게 부여되는 정도로 연화된 상태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하의 프레스용 열판(220a, 220b)로 가압할 때, 코어층(50a, 50b)의 용융 수지는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에 의해 포위된 공간에 폐쇄되고 가압상태로 되며,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는 코어층(50a, 50b)의 용융 수지의 내압에 의해 피성형물의 요철에 따른 형상이 부여된다[도 4(b)]. 이 결과, 계단상의 캐비티 부분과 프레스용 열판(220a, 220b)로 형성되는 공간은 가압상태의 코어층(50a, 50b)의 용융 수지에 의해 매몰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용융 수지의 압력이 기판 사이에서 유출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압력과 동등하거나 이것을 상회하므로, 피성형물인 다층 기판간의 프리프레그 수지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수지의 압력은 캐비티 부분의 용적과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의 두께와의 관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즉, 코어층(50a, 50b)의 용융 수지의 체적과, 계단상의 캐비티 부분의 용적의 대소 관계에 의해 용융 수지의 압력이 결정된다. 이러한 압력이 높을수록, 프리프레그 수지의 유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커진다.
<이형용 적층 필름의 제작(1)>
(실시예 1)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28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2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80㎛
제3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실시예 2)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2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10㎛
제3층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켐사제 노바텍 HD HJ580) 60㎛
제4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10㎛
제5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실시예 3)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28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고, 5×10-3Pa(5kgf/cm2)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240℃에서 프레스 처리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제2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5㎛
제3층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켐사제 노바텍HD HJ580) 60㎛
제4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5㎛
제5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실시예 4)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5)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6)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제1층 및 제3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다이니온사제 THV220G)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1층 및 제3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다이킨사제 네오플론 FEP)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제1층 및 제3층을 플루오르화비닐리덴(크레하사제 KF 중합체 T#850)으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7)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28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제2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3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40㎛
제4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5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실시예 8)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28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며, 5×10-3Pa(5kgf/cm2)의 압력으로 10분 동안 240℃에서 프레스 처리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제2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제3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80㎛
제4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제5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실시예 9)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제2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3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10㎛
제4층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켐사제 노바텍HD HJ580) 70㎛
제5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10㎛
제6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10㎛
제7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실시예 10)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제2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제3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5㎛
제4층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켐사제 노바텍HD HJ580) 70㎛
제5층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니혼폴리에틸렌사제 렉스펄 RA3150) 5㎛
제6층 접착성 불소 수지(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EP-5000) 5㎛
제7층 불소 수지(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5㎛
(실시예 11)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12)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13)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14)
접착성 불소 수지로서, 아사히가라스사제의 플루온 LM-ETFE AH2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4)
실시예 7의 제2층 및 제4층을 폴리에틸렌 수지(니혼폴리켐사제 노바텍 HD HJ58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5)
실시예 7의 제2층 및 제4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다이니온사제 THV220G)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6)
실시예 7의 제2층 및 제4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다이킨사제 네오플론 FEP)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7)
실시예 7의 제2층 및 제4층을 플루오르화비닐리덴(크레하사제 KF 중합체 T#850)으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용 적층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8)
두께 50㎛의 ETFE(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필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기판의 적층 프레스 성형(1)>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작한 필름을 인쇄용 기판 성형에서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한다. 필름은 인쇄용 기판 성형용의 프레스 가공기에 하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쿠숀재/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이형 필름/적층 성형재료(외장용 동장(銅張) 적층판, 내장용 동장 상층판, 에폭시 수지 함침 유리 직물 투입 프리프레그)/이형 필름/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쿠숀재]로 되도록 고정하고, 가압 프레스는 프레스압 3.6MPa, 가압온도 180℃, 가열시간 77분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평가방법(1)>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작한 필름 및 적층 프레스 성형에서 사용하는 필름에 관해 하기의 평가 항목에 의해 평가한다. 평가결과를 정리하여 표 1 및 표 2에 기재한다.
(압출 가공성)
0: 공압출(경우에 따라서는 공압출+프레스)에 의해 안정적으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 공압출할 때에 층 사이에서 박리되고 안정적으로 권취되지 않는다.
(층간 접착성)
0: 층간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
×: 권취시 등에 층간 박리가 생긴다.
(밀봉성)
에폭시 수지가 인쇄용 기판의 스루 호울로부터 나오지 않는가를 육안으로 체크한다.
0: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지 않는다.
△: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는 것이 0.5mm 이내이다.
×: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는 것이 0.5mm 이상이다.
(표면 이형성)
프레스 가공한 후에 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 및 적층 성형재료와의 사이에서 이형성이 있는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0: 이형성이 있으며 약간 박리한다.
×: 이형성이 없으며 사용 불가.
(작업성)
도포할 때나 프레스할 때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취급 용이성을 평가한다.
0: 필름에 탄력성이 있고 고정하기 쉬우며 주름이 엉키지 않는다.
×: 필름에 탄력성이 없고 고정하기 어려우며 주름이 엉키기 쉽다.
압출 가공성 층간 접착성 밀봉성 표면 이형성 작업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 -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실시예 1 내지 6)은 필름의 층간 접착성이 양호하고, 이형 필름으로서 밀봉성, 표면 이형성, 작업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의 적층 필름은 층간 접착성이 나쁘며, 각 층이 박리하여, 이형 필름으로서의 평가를 할 수 없다.
압출 가공성 층간 접착성 밀봉성 표면 이형성 경제성 작업성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4 × ×
비교예 5
비교예 6 × × ×
비교예 7 × ×
비교예 8 - - × ×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실시예 7 내지 14)는 층간 접착성, 이형성 등의 전체면에서 우수한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4 내지 7의 필름은 이형성, 밀봉성, 경제성은 우수하지만, 다른 어느 하나의 항목에서 떨어진다. 또한, ETFE 필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비교예 8)은 이형성은 우수하지만, 경제성, 작업성이 떨어진다.
<이형용 적층 필름의 제작(2)>
(실시예 15)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30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미쓰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제 테프젤 290) 5㎛
제2층 내열성 수지(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사제 유피론 S-2000) 100㎛
제3층 불소 수지(미쓰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제 테프젤 290) 5㎛
(실시예 16)
불소 수지로서, 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RP-5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17)
내열성 수지로서, 니혼 GE 플라스틱 울템 1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18)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30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수득한다.
제1층 불소 수지(미쓰이듀폰플루오로케미칼사제 테프젤 290) 5㎛
제2층 내열성 수지(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사제 유피론 S-2000) 100㎛
제3층 불소 수지(미쓰이듀폰플루오로케미칼사제 테프젤 290) 5㎛
(실시예 19)
불소 수지로서, 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EFEP RP-5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0)
내열성 수지로서, 니혼 GE 플라스틱사제 울템 10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1)
내열성 수지로서, 우베고산사제 UBE 나일론6 1015B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2)
내열성 수지로서, 일본고세이가가쿠고교사제 소아놀 A4412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3)
불소 수지로서, 스미토모스리엠사제 THV22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4)
불소 수지로서, 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FEP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9)
두께 50㎛의 ETFE(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필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실시예 25)
불소 수지로서, 스미토모스리엠사제 THV22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실시예 26)
불소 수지로서, 다이킨고교사제 네오플론 FEP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형 필름을 수득한다.
(비교예 10)
두께 50㎛의 ETFE(아사히가라스사제 플루온 ETFE C-88AXP) 필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참고예 1)
실시예 1의 필름을 사용한다.
<기판의 적층 프레스 성형(2)>
상기한 실시예 15 내지 26, 비교예 9 내지 10 및 참고예 1에서 제작한 필름을 인쇄용 기판 성형에서의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성능 평가한다. 필름은 인쇄용 기판 성형용의 프레스 가공기에 하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쿠숀재/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이형 필름/적층 성형재료(외장용 동장 적층판, 내장용 동장 적층판, 에폭시 수지 함침 유리 직물 투입 프리프레그)/이형 필름/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쿠숀재]로 되도록 고정하고, 가압 프레스는 프레스압 3.6MPa, 가압온도 180℃, 가열시간 77분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평가방법(2)>
상기한 실시예 15 내지 26, 비교예 9 내지 10 및 참고예 1에서 제작한 필름 및 적층 프레스 성형에서 사용하는 필름을 하기의 평가항목에 의해 평가한다. 평가결과를 정리하여 표 3에 기재한다.
(압출 가공성)
0: 공압출에 의해 안정적으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 공압출은 할 수 있지만, 권취할 때에 박리가 보인다.
×: 공압출시에 층 사이에서 박리하고 안정적으로 권취되지 않는다.
(층간 접착성)
0: 칼날로 절단하여, 절단 부분을 한번 손가락으로 절곡할 때에 층간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
△: 칼날로 절단하여, 절단 부분을 한번 손가락으로 절곡할 때에 층간 박리가 생긴다.
×: 칼날로 절단할 때에 층간 박리가 생긴다.
(밀봉성)
에폭시 수지가 인쇄용 기판의 스루 호울로부터 나오지 않는지를 육안으로 체크한다.
0: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지 않는다.
△: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는 것이 0.5mm 이내이다.
×: 스루 호울로부터 수지가 불거져 나오는 것이 0.5mm 이상이다.
(고온 밀봉성)
적층 프레스 성형에서 가열온도를 180℃에서 200℃로 변화시킨 이외에는 상기한 「밀봉성」과 동일하게 평가한다.
(표면 이형성)
프레스 가공한 후에 스테인레스강(SUS) 화장판 및 적층 성형재료와의 사이에서 이형성이 있는지 육안으로 평가한다.
0: 이형성이 있으며 약간 박리한다.
△: 이형성은 있지만, 박리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 이형성이 없고, 사용할 수 없다.
(작업성)
도포할 때나 프레스할 때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취급 용이성을 평가한다.
0: 필름에 탄력성이 있으며, 고정하기 쉽고, 주름이 엉키지 않는다.
△: 필름의 탄력성이 약하고, 고정할 때에 주름이 엉키기 쉽다.
×: 필름에 탄력성이 없고, 고정하기 어렵고, 주름이 엉키기 쉽다.
압출 가공성 층간 접착성 밀봉성 고온 밀봉성 표면 이형성 작업성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비교예 9 - - ×
실시예 25
실시예 26
비교예 10 - - ×
참고예 1
<이형용 적층 필름의 제작 및 기판의 상층 프레스 성형(3)>
(실시예 27)
BGA(Ball Grid Array)용 다층 기판에 사용되는 적층체를 본 발명의 이형용 적층 필름(100)을 사용하여 제조한 기판은 유리 기재에 BT 레진[상품명: HL830(미쓰비시가스가가쿠사제)]를 함침시킨 것을 사용한다. 또한, 프리프레그에는 유리 심재에 BT 레진[상품명: HL830(미쓰비시가스가가쿠사제)]를 함침시킨 것을 사용한다. 수지량은 75%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이형용 적층 필름(100)은 도 3(c)에 도시된 (100L)의 형태의 필름이다. 적층 필름(100)은 240℃에서 멀티매니폴드 다이에서 공압출하는 것으로 수득한다. 적층 필름(100)의 각 층을 설명하면,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70a, 70b)는 ETFE(상품명: 플루온 LM720; 아사히가라스사제)를 두께 2.5㎛로 형성한다. 접착층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20a, 20b), 다이킨고교제의 네오플론 EFEP EP-5000을 두께 2.5㎛로 형성한다. 또한, 코어층(50a)는 변성 폴리에틸렌(상품명: 렉스펄 RA3150; 니혼폴리에틸렌사제)를 두께 500㎛로 형성한다. 또한, ETFE의 융점은 230℃, 접착성 불소 수지의 융점은 200℃이다.
적층 프레스 성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장치(300)의 상하에 마주 보고 배치되어 있는 금형(310a, 310b) 사이에 스테인레스 강판(320a, 320b), 쿠숀재(도시하지 않음), 기판용의 3장의 기재(330a, 330b, 330c), 프리프레그(340a, 340b) 및 이형용 적층 필름(100)을 배치한다. 즉, 이형용 적층 필름(100)에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예: 70a)이 스테인레스 강판(320a)의 하면측에 접하며,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예: 70b)이 기재(330a)의 상면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는 각각 핀 호울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핀 호울을 금형(310a, 310b) 사이에 설치된 위치 결정용 핀(350)에 삽입 통과시켜, 위치 결정한다.
스테인레스 강판(320a, 320b)는 SUS630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한다. 프레스 압력은 0.98MPa, 1.96MPa의 2단계 가압으로 한다. 성형온도는 200℃로 하며, 상온으로부터 승온중 110℃로 되는 시점에서 0.98MPa에서 1.96MPa로 압력을 변환한다. 200℃의 유지시간은 5분으로 한다. 이러한 성형조건으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며, 성형 완료후, 적층체를 인출한다. 수득된 적층체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프리프레그의 유출은 확인되지 않는다.
(비교예 11)
이형용 적층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기판용 적층체의 제조를 실시한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수득된 적층체의 요철 형상면에 프리프레그의 유출이 확인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이형용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프레스 성형에서 이형용 적층 필름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프레스 성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A 내지 100L: 이형용 적층 필름
10: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20: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3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40: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50: 코어층
60: 중간층
70: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200, 300: 적층 프레스 성형장치

Claims (27)

  1.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 내지 15㎛이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0 내지 100㎛인 이형용 적층 필름.
  4.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 내지 15㎛이고,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0.5 내지 100㎛이며,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0 내지 100㎛인 이형용 적층 필름.
  7.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 내지 15㎛이고,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0.5 내지 15㎛이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0 내지 100㎛인 이형용 적층 필름.
  10.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 내지 15㎛이고,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0.5 내지 15㎛이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0.5 내지 100㎛이고,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0 내지 100㎛인 이형용 적층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인 이형용 적층 필름.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인 이형용 적층 필름.
  15.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 및 이러한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양쪽 면에 불소 수지로 이루 어진 층이 적층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 내지 15㎛이고,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10 내지 150㎛인 이형용 적층 필름.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불소 수지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저융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이형용 적층 필름.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형성하는 내열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중의 어느 하나인 이형용 적층 필름.
  20. 접착제를 개재시켜 복수장의 기판을 중첩하여 이루어진 적층체를 가열하에 적층 프레스 성형할 때에 프레스 판과 적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필름으로서,
    코어층 및 당해 코어층의 양쪽 면에 적층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적층 필름이며,
    코어층이 접착성 불소 수지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이형용 적층 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코어층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층인 이형용 적층 필름.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과 코어층 사이에, 추가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변성 폴리에틸렌인 이형용 적층 필름.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가 5 내지 20㎛인 이형용 적층 필름.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성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의 또다른 외측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 산 변성 ETFE(EFE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로 이루 어진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이형용 적층 필름.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두께가 100 내지 1200㎛인 이형용 적층 필름.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이형용 적층 필름.
KR1020067027458A 2004-05-27 2005-05-27 이형용 적층 필름 KR20070034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8052A JP2005014598A (ja) 2003-05-30 2004-05-27 離型用積層フィルム
JPJP-P-2004-00158052 2004-05-27
JP2004170306 2004-06-08
JPJP-P-2004-00170306 2004-06-08
PCT/JP2005/009805 WO2005115751A1 (ja) 2004-05-27 2005-05-27 離型用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527A true KR20070034527A (ko) 2007-03-28

Family

ID=3545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458A KR20070034527A (ko) 2004-05-27 2005-05-27 이형용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5115751A1 (ko)
KR (1) KR20070034527A (ko)
TW (1) TW200602182A (ko)
WO (1) WO20051157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34B1 (ko) * 2008-11-03 2011-07-15 (주)상아프론테크 반도체 패키지를 수지로 몰딩하는데 이용되는 이형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이형필름
WO2013154602A1 (en) * 2012-04-12 2013-10-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101370594B1 (ko) * 2013-04-16 2014-03-05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초지기에 사용되는 건조롤의 오염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2973B1 (en) * 2006-04-05 2011-05-1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old release film, mold release cushion material, process for manufacturing printed boar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mold release film
CN101506961B (zh) * 2006-08-18 2011-01-05 旭硝子株式会社 半导体树脂模塑用脱模膜
BRPI0822241A2 (pt) * 2007-12-21 2015-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gos multicamadas de fluoropolímero
JP5476680B2 (ja) * 2008-05-29 2014-04-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CN102815053B (zh) * 2011-06-07 2015-07-15 杜邦公司 对封装材料具有改进的粘结性的太阳能电池背板
JP6025694B2 (ja) 2013-11-22 2016-1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透明導電性フィルムならびにタッチパネル
CN111465639B (zh) * 2017-12-11 2023-09-05 三菱化学株式会社 层叠薄膜、脱模薄膜和层叠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37A (ja) * 1985-07-16 1987-01-24 三菱油化株式会社 多重積層体
JP3131599B2 (ja) * 1990-10-25 2001-02-05 三菱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H08281884A (ja) * 1995-04-19 1996-10-29 Mitsubishi Chem Corp 積層体
JPH1058618A (ja) * 1996-06-11 1998-03-03 Mitsubishi Chem Corp プラスチック製共押出多層積層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0015754A (ja) * 1998-07-07 2000-01-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樹脂積層体
JP2001138338A (ja) * 1999-08-31 2001-05-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離型用積層フィルム
JP3935314B2 (ja) * 2000-10-18 2007-06-20 三菱樹脂株式会社 転写用フッ素樹脂積層フィルム
JP4138334B2 (ja) * 2002-02-27 2008-08-27 三菱樹脂株式会社 フッ素系積層フィルム
JP3791458B2 (ja) * 2002-05-23 2006-06-28 旭硝子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4151370B2 (ja) * 2002-10-07 2008-09-17 東レ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2005014598A (ja) * 2003-05-30 2005-01-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離型用積層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34B1 (ko) * 2008-11-03 2011-07-15 (주)상아프론테크 반도체 패키지를 수지로 몰딩하는데 이용되는 이형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이형필름
WO2013154602A1 (en) * 2012-04-12 2013-10-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101370594B1 (ko) * 2013-04-16 2014-03-05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초지기에 사용되는 건조롤의 오염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115751A1 (ja) 2008-03-27
WO2005115751A1 (ja) 2005-12-08
TW200602182A (en)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4527A (ko) 이형용 적층 필름
JP5180826B2 (ja) フィルム及び離型フィルム
KR930000144B1 (ko) 적층체로된 박리필름
JP4826196B2 (ja) 離型フィルム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TWI305751B (en) Release film
KR20030010755A (ko) 고수분 차단필름
JPS60155428A (ja) 積層シ−トもしくは積層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6123510A (ja) プレス成形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65975B1 (ko) 이형 필름
KR20090089893A (ko) 다층 라미네이트 제조방법 및 다층 라미네이트
JP4541260B2 (ja) 回路板の製造方法
JP4500682B2 (ja) 耐熱性フレキシブル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5014598A (ja) 離型用積層フィルム
JP2005175116A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4548210B2 (ja)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9241388A (ja) 帯電防止性離型フィルム
JP3788193B2 (ja) 二層フィルムからなる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183738A (ja) 離型フィルム
JP3224207B2 (ja) 積層プレス成形用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プレス方法
TW202224941A (zh) 脫模薄膜及成型品之製造方法
KR100808889B1 (ko) 플랙시블 튜브
JPWO2021025025A5 (ko)
JP2006212954A (ja) 離型フィルム
JP2006278688A (ja) クッション材および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6129980A (ja) 離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