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120A - 인덕터 - Google Patents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120A
KR20070030120A KR1020060078839A KR20060078839A KR20070030120A KR 20070030120 A KR20070030120 A KR 20070030120A KR 1020060078839 A KR1020060078839 A KR 1020060078839A KR 20060078839 A KR20060078839 A KR 20060078839A KR 20070030120 A KR20070030120 A KR 2007003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ductor
terminal member
coi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 사노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3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터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일(30)과, 코일(30)이 권회되는 드럼형 코어(20)을 가지고, 기판(52)에 실장되는 인덕터(10)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20)의 외주부에 도전성을 가지는 단자 부재(40)가 배치되고, 코일(30)의 말단(30a)이 단자 부재(40)에서의 드럼형 코어(20)의 하단면(23a)보다 높은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 인덕터, 드럼형 코어, 인덕터의 높이, 소형화, 박형화, 기판

Description

인덕터{INDU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인덕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덕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인덕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인덕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2에서 X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단자 부재를 원호형으로 만곡시킨 경우의 인덕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상 플랜지부에 인출홈을 설치한 경우의 인덕터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인덕터 20: 드럼형 코어(코어)
30: 코일 23a: 하단면(저면)
30a: 말단 40: 단자 부재
52: 기판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0-22137호 공보(도 1~도 3)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PC, 텔레비전 등의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PC 등의 각종 전기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전자 기기 등의 전자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면 실장형 인덕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부터, 면 실장형의 인덕터로서는, 일반적으로 인덕터의 실장되는 저면에 접착제 등으로 단자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단자에 코일을 묶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덕터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터에서는, 코일이 묶여있는 단자가, 드럼형 코어의 하부 콜러부의 저면에 접착제로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자의 두께 분 만큼, 인덕터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지고, 인덕터가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방향의 치수가 작은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일과 코일이 권취되는 코어를 가지고, 기판에 실장되는 인덕터에 있어서, 코어의 외주부에 도전성을 가지는 단자 부재가 배치되고, 코일의 말단이 단자 부재에서의 코어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코어의 외주부에 도전성을 가지는 단자 부재가 배치되면서, 코일의 말단이 상기 단자 부재에서의 코어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접속되므로, 코어의 저면에 단자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자 부재의 두께분만큼 인덕터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단자 부재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코일의 말단이 상기 단자 부재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인덕터가 기판에 면 실장된 상태에서는, 코일과 기판은 도전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단자 부재는, 그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ㄷ'자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연장부의 존재에 의해 단자 부재를 코어에 대해서 고정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단자 부재는, 금속 부재이므로, 도전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덕터가 기판에 면 실장된 상태에서는, 코일과 기판은 확실하게 도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발명에 더하여, 단자 부재의 'ㄷ'자 형상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에 코일의 말단이 수납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전술한 각각의 발명에 더하여, 단자 부재의 상단은 코어의 상단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면서, 단자 부재의 하단은 코어의 하단면과 동일 평면 또는 그보다 하방에 약간 돌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단자 부재가 코어의 상단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 부재의 두께에 의해 인덕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부재의 하단은, 코어의 하단면과 동일 평면 또는 그보다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위치하므로, 단자 부재가 기판면과 확실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인덕터를 기판에 대해서 확실하게 도전 가능하도록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각각의 발명에서의 단자 부재를, 코어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에 접착되어 고정된 인덕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의 형상을 원호형으로하고, 외주 에지부와 접착하는 상기 단자 부재의 접착면을, 외주 에지부의 원호형과 겹쳐지도록, 원호형의 인덕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접착 면적을 크게 하고, 접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각 발명에 있어서, 코어를 니켈계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된 인덕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터(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인덕터(1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상측(상단측)은, 후술하는 상 플랜지부(22)가 존재하는 측을 가리키고, 하측(하단측)은, 후술하는 하 플랜지부(23)가 존재하는 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코일(3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인덕터(10)는, 면실장 타입의 인덕터이며, 드럼형 코어(20)와, 드럼형 코어(20)에 권취되는 코일(30)과, 드럼형 코어(20)의 외주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단자 부재(40)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드럼형 코어(20)는, 니켈계의 페라이트 등의 자성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20)는, 원기둥 형상의 권축(21)과. 권축(21)의 상하 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권축(21)보다 대경의 원반형의 상 플랜지부(플랜지부의 하나)(22)와, 하 플랜지부(플랜지부의 하나)(23)를 가지고 있다. 상 플랜지부(22)와 하 플랜지(23)의 외경의 직경은 동일하다. 그러나, 상 플랜지부(22)의 외경과 하 플랜지부(23)의 외경의 크기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권축(21)의 외주에는, 그 외측이 피막에 덮인 동(Cu) 코일(30)이 권취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30)의 재질은 동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일 수도 있다.
도 3은 인덕터(10)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인덕터(10)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단자 부재(40)는, 드럼 코어(20)의 외주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자 부재(4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부(40a)를 가지고, 상기 평판부(40a)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서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각각 평판부(40a)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부재(40)는, 저항값이 낮은 Cu계의 금속을 재질로 하는 부재이다. 상측 연장부(4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40a)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41a)와 상기 상측 연장부(41a)의 선단으로부터 평판부(40a)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41b)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하측 연장부(4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40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42a)와 상기 하방 연장부(42a)의 선단으로부터 평판부(40a)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42b)를 가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연장부(41b, 42b)는, 평판부(40a)에 대해서 서로 동일한 방향(드럼형 코어(20)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 연장부(41a, 41a) 및 하방 연장부(42a, 42a) 사이에는, 각각 상측 홈부(41c) 및 하측 홈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연장부(41b) 및 수직 연장부(42b)의 내측에는, 상 플랜지부(22) 또는 하 플랜지부(23)의 외경을 따라 절결된 절결부(41d) 및 절결부(4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40a)의 대략 중앙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의 연장 방 향으로 패인, 오목한 보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부재(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40a)에 있어서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가 연장되어 있는 측의 면이 되는 내측 평면(40b)이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드럼 코어(20)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평면(40b)이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의 외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연장부(41b, 42b)에서 절결부(41d, 42d)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 사이에는 간극(46)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연장부(41b)의 상단면(41e)은, 상 플랜지부(22)의 상단면(22a)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수직 연장부(42b)의 하단면(42e)도 하 플랜지부(23)의 하단면(23a)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자 부재(40)가 드럼 코어(2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코일(30)의 말단(30a)은, 보디부(45)에 수납되도록 배치된다(도 1 및 도 4 참조). 또한, 단자 부재(40)와 드럼 코어(20)는, 간극(46) 등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접착되어 고정된다.
도 5는, 인덕터(10)를 기판(52)에 실장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의 X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인덕터(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30)의 말단(30a)이 보디부(45)에 배치된 상태에서 땜납(50)을 사용하여 기판(52)에 도전 가능하게 실장된다. 그러나, 땜납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인덕터(10)를 기판(52) 에 실장할 수도 있다. 인덕터(10)에서는, 그 측면에 배치되는 단자 부재(40)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인덕터(10)의 저면에 단자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자 부재의 두께분 만큼, 상기 인덕터(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인덕터(10)의 저면에 단자 부재가 없기 때문에, 땜납(50)에 의해 인덕터(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 부재(40)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고, 코일(30)의 말단(30a)이 상기 단자 부재(4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인덕터(10)가 기판(52)에 실장된 상태에서는, 코일(30)과 기판(52)은 도전 가능해진다.
또한, 인덕터(10)에서는, 단자 부재(4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를 가진다. 따라서,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와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 사이에 간극(46)이 형성되어, 단자 부재(40)를 드럼 코어(20)에 대해서 접착시켜서 고정하기 용이하다. 또한, 단자 부재(40)는,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도전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인덕터(10)가 기판(52)에 실장된 상태에서는, 코일(30)과 기판(52)은 확실하게 도전 가능해진다.
또한, 인덕터(10)에서는, 수직 연장부(41b)의 상단면(41e)은, 상 플랜지부(22)의 상단면(22a)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수직 연장부(42b)의 하단면(42e)도 하 플랜지부(23)의 하단면(23a)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 그러므로, 단자 부재(40)가 드럼 코어(20)의 상단면(22a) 및 하단면(23a)보다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 부재(40)의 두께에 의해 인덕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부재(40)에는 보디부(4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디부(45)가 코일(30)의 말단(30a)을 수용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땜납(50)에 의해 인덕터(10)를 용이하게 기판(52)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30)의 말단(30a)은 보디부(4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말단(30a)은 단자 부재(40)와 확실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인덕터(10)를 기판(52)에 실장한 상태에서는, 코일(30)과 기판(52) 사이에서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부재(40)에 상측 연장부(41) 및 하측 연장부(42)가 형성되어 있지만,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부재(40)를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의 외형을 따르는 것 같은 원호형으로 만곡시키면,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와, 단자 부재(40)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단자 부재(40)를 드럼 코어(20)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직 연장부(41b, 42b)에서 절결부(41d, 42d)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 사이에 간극(46)을 형성하지 않고 , 양쪽이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부재(40)에 보디부(45)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디부(45)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코어(20)의 상 플랜지부(22)에 코일(30)의 말단(30a)(도 7에서 도시하지 않음)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홈(60)을 설치하면, 말단(30a)을 드럼 코어(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 플랜지부(23) 및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의 양쪽에, 인출 홈(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의 평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하거나, 타원형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직 연장부(41b)의 상단면(41e) 및 수직 연장부(42b)의 하단면(42e)은, 상 플랜지부(22)의 상단면(22a) 및 하 플랜지부(23)의 하단면(23a)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수직 연장부(41b)의 상단면(41e)을 상 플랜지부(22)의 상단면(22a)보다 하방에 형성해도 되고, 수직 연장부(42b)의 하단면(41e)를 하 플랜지부(23)의 하단면(23a)보다 약간 하방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어를 드럼형 코어(20)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T코어, LP코어 또는 POT 코어 등 다른 종류의 코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부재(40)의 재질로서 저항값아 낮은 Cu계의 금속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 또는 스테인레스 등 다른 종류의 금속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자 부재(40)로서 비도전성 부재의 외측에 도전성의 피막이 형성된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 드럼형 코어(20)를 니켈계의 페라이트 코어로 하고 있지만, 코어의 재질을, 규소 강판, 파마로이, 더스트·코어, 망간계 페라이트 코어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인덕터는, 휴대 전화기, PC, 텔레비전 등의 각종 전기 기기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터의 높이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코어를 가지고, 기판에 실장되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외주부에 도전성을 가지는 단자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말단이 상기 단자 부재에서의 상기 코어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는, 그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ㄷ'자 형의 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의 'ㄷ'자 형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의 상단은 상기 코어의 상단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단자 부재의 하단은 상기 코어의 하단면과 동일 평면 또는 그보다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코어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 에지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주 에지부와 접착되는 상기 단자 부재의 접착면은, 상기 외주 에지부의 원호형과 중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니켈(Ni)계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KR1020060078839A 2005-09-12 2006-08-21 인덕터 KR20070030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3503 2005-09-12
JP2005263503A JP4810167B2 (ja) 2005-09-12 2005-09-12 インダ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45A Division KR100960587B1 (ko) 2005-09-12 2008-02-22 인덕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120A true KR20070030120A (ko) 2007-03-15

Family

ID=37074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39A KR20070030120A (ko) 2005-09-12 2006-08-21 인덕터
KR1020080016245A KR100960587B1 (ko) 2005-09-12 2008-02-22 인덕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45A KR100960587B1 (ko) 2005-09-12 2008-02-22 인덕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57758A1 (ko)
EP (1) EP1763044B1 (ko)
JP (1) JP4810167B2 (ko)
KR (2) KR20070030120A (ko)
CN (1) CN1933051B (ko)
AT (1) ATE419633T1 (ko)
DE (1) DE602006004518D1 (ko)
TW (1) TW2007133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48B1 (ko) * 2007-03-16 2008-01-28 주식회사 코일마스터 전류특성이 개선된 인덕터
KR200460154Y1 (ko) * 2011-01-10 2012-05-04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인덕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9649B2 (ja) * 2007-11-14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部品の製造方法
JP5161136B2 (ja) * 2009-02-27 2013-03-1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N102903492B (zh) * 2011-07-25 2015-08-26 胜美达集团株式会社 磁性元件
JP5935309B2 (ja) 2011-12-15 2016-06-1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490842B2 (ja) * 2012-03-30 2014-05-14 東光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
CN203366924U (zh) * 2013-07-05 2013-12-2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机及其滤波器
JP6450943B2 (ja) * 2014-03-14 2019-0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69796B2 (ja) * 2017-04-27 2021-05-12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7075185B2 (ja) 2017-04-27 2022-05-25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US11424070B2 (en) * 2018-06-19 2022-08-23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US20210035730A1 (en) * 2019-07-31 2021-02-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I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4124U (ko) * 1980-04-15 1981-11-18
JPS6223054Y2 (ko) * 1981-04-24 1987-06-12
JPS587315U (ja) * 1981-07-07 1983-0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コイル
JPS58147221U (ja) * 1982-03-29 1983-10-03 東光株式会社 固定インダクタ
JPS58180607U (ja) * 1982-05-27 198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小型コイル
JPS5942012U (ja) * 1982-09-10 1984-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ツプインダクタ
JPS60193308A (ja) * 1984-03-15 1985-10-01 Tdk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60110A (ja) * 1984-06-07 1985-1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コイル
JPH01281712A (ja) * 1988-05-09 1989-11-13 Fujitsu Ltd トランス
JPH07201596A (ja) * 1993-12-28 1995-08-04 Taiyo Yuden Co Ltd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843760B2 (ja) * 1994-05-26 1999-01-06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H08306559A (ja) * 1995-05-01 1996-11-22 Taiyo Yuden Co Ltd コイル部品
JP3201958B2 (ja) 1996-06-28 2001-08-27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
JP3554209B2 (ja) * 1997-12-17 2004-08-18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部品
US6392523B1 (en) * 1999-01-25 2002-05-21 Taiyo Yuden Co., Ltd. Surface-mounting-type coil component
JP2000311816A (ja) * 1999-04-27 2000-11-07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409778B2 (ja) * 1999-09-14 2003-05-26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ターミナル
US7015783B2 (en) * 2001-02-27 2006-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109824A (ja) * 2001-10-01 2003-04-11 Toko Inc 薄型インダクタ
CN1623251A (zh) * 2002-03-05 2005-06-01 日商·胜美达股份有限公司 天线线圈
JP2004006609A (ja) 2002-03-27 2004-01-08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インダクタ
JP3872420B2 (ja) * 2002-04-08 2007-01-24 Tdk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9917A (ja) 2002-08-21 2004-03-11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閉磁路型インダクタ
JP4317394B2 (ja) * 2003-07-01 2009-08-1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
KR200338233Y1 (ko) 2003-10-28 2004-01-13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초박형 인덕터
US7551053B2 (en) * 2003-11-05 2009-06-23 Tdk Corporation Coil device
TWI276122B (en) * 2003-11-05 2007-03-11 Tdk Corp Coi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48B1 (ko) * 2007-03-16 2008-01-28 주식회사 코일마스터 전류특성이 개선된 인덕터
KR200460154Y1 (ko) * 2011-01-10 2012-05-04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7758A1 (en) 2007-03-15
TWI318414B (ko) 2009-12-11
JP2007080922A (ja) 2007-03-29
KR20080027308A (ko) 2008-03-26
EP1763044B1 (en) 2008-12-31
CN1933051B (zh) 2010-05-19
KR100960587B1 (ko) 2010-06-03
EP1763044A1 (en) 2007-03-14
JP4810167B2 (ja) 2011-11-09
ATE419633T1 (de) 2009-01-15
DE602006004518D1 (de) 2009-02-12
TW200713348A (en) 2007-04-01
CN1933051A (zh)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587B1 (ko) 인덕터
JP4791270B2 (ja) 磁性素子
JP2007080922A5 (ko)
JP5673585B2 (ja) コイル部品
US20150287520A1 (en) Coil component
JP2007027461A (ja) コアおよびコアを備えたインダクタ
JP2007250864A (ja) インダクタ
JP2010153476A (ja) 縦型コイル部品
JP2015050373A (ja) コイル部品
JP2005101521A (ja) チップコイルおよびその実装基板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KR100615963B1 (ko) 면실장 인덕터
JP2009111314A (ja) コイル部品
JP2009117627A (ja)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6832832B2 (ja) コイル部品及びそれを備える車載用電子機器
JP2004207371A (ja) 表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US20030201860A1 (en) Ferrite sleeve base with drum core for SMT inductors
JP2019192841A (ja) インダクタ
JP2007081120A (ja) インダクタ
JP2002190411A (ja) チップインダクタ
TWI781590B (zh) 導線平行嵌入式無線充電天線
JP5375928B2 (ja) インダクタ
JP2008108944A (ja) 磁性素子
JP7326704B2 (ja) 電子部品
JP2009176954A (ja) 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123

Effective date: 200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