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63B1 - 면실장 인덕터 - Google Patents

면실장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63B1
KR100615963B1 KR1020040049047A KR20040049047A KR100615963B1 KR 100615963 B1 KR100615963 B1 KR 100615963B1 KR 1020040049047 A KR1020040049047 A KR 1020040049047A KR 20040049047 A KR20040049047 A KR 20040049047A KR 100615963 B1 KR100615963 B1 KR 10061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drum
case body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024A (ko
Inventor
와타나베요시토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스미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스미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0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딩 단자가 꺽이지 않고, 또한 바인딩 단자의 에지에 의한 코일 단말이 단선되지 않는, 저배화(低背化)가 가능한 면실장(面室裝)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드럼형 코어(2)와, 이 드럼형 코어(2)의 권축부(卷軸部)(21)에 감겨지는 코일(3)과, 이 코일(3)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도전성 부재의 케이스체(4)와, 이 케이스체(4)에 고정되는 동시에, 케이스체(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일(3)의 단말이 동여매지는 바인딩 단자(13), 및 기판에 면실장될 때의 기판과의 접촉부가 되는 평면 단자(11)를 가지는 금속 단자 부재(5)를 구비하고, 케이스체(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드럼형 코어(2)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바인딩 단자(13)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바인딩 단자(13)보다 넓은 폭 또는 대략 동등한 폭을 가지는 연장부(6)가 형성되고, 단말이, 바인딩 단자(13)와 연장부(6) 양쪽의 외주측으로부터 감겨져 있다.
면실장, 인덕터, 바인딩 단자, 금속 단자 부재, 연장부

Description

면실장 인덕터{SURFACE MOUNT INDU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면실장 인덕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면실장 인덕터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코일 단말의 바인딩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액정 화면의 백라이트 구동용 등에 적합한 박형(薄型) 인덕터(indu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드럼형 코어의 권축에 코일을 감아, 드럼형 코어의 한쪽 콜러부에 평면형의 단자를 장착한 구성을 가지는 면실장 타입의 인덕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10(1998)-22137(도 2 등). 예를 들면, 상기 일본국 특개평 10-22137(도 2 등)의 인덕터에 의하면, 평면형 단자의 외주단을 평면의 단자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바인딩 단자를 형성하고, 이 바인딩 단자에 코일의 단말을 동여매고 있다.
종래부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덕터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의 특성 상, 장치의 박형화, 및 낙하 강도가 요구된다. 그 요구에 부응하고자, 높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드럼형 코어를 채용하고, 또한 기판에 대하여 면실장되는 인덕터가, 휴대 단말기용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럼형 코어를 사용한 인덕터에 있어서, 제조시 또는 낙하 등에 기인하는 충격을 받았을 때 등에, 코일 단말을 동여매는 바인딩 단자가 꺽이거나 구부러지거나 하여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즉, 종래, 면실장 타입의 인덕터에서는, 높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억제하기 위해, 바인딩 단자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조립 작업 시 등에, 바인딩 단자에 지그나 손이 부딪쳐 버려, 바인딩 단자가 꺾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술한 일본국 특개평 10(1998)-22137에서는, 바인딩 단자를 절곡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에 잘못하여 바인딩 단자가 꺾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쉽게 생기기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일본국 특개평 10(1998)-22137에서는, 바인딩 단자를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低背化)가 곤란해지는 동시에, 외주 방향으로 연장시킨 것과 비교하여, 코일을 동여매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또한, 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타입의 인덕터에 있어서는, 코일이 극세(구체적으로는, 0.35mm정도) 타입의 것이 채용된다. 그러므로, 코일의 단말을 바인딩 단자에 동여맬 때에, 바인딩 단자의 에지에 강하게 코일을 접촉시키거나, 코일이 에지에 부딪치거나 하면, 코일의 단말이 쉽게 단선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인딩 단자가 쉽게 꺽이지 않고, 또한 바인딩 단자의 에지에 의한 코일 단말이 쉽게 단선되지 않는, 저배화가 가능한 면실장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면실장 인덕터는,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의 권축부에 감겨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도전성 부재의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케이스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의 단말이 동여매지는 바인딩 단자, 및 기판에 면실장될 때의 기판과의 접촉부가 되는 평면 단자를 가지는 금속 단자 부재를 구비하고, 케이스체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바인딩 단자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바인딩 단자보다 넓은 폭 또는 대략 동등한 폭을 가지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단말이, 바인딩 단자와 연장부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감겨져 있다.
전술한 발명에 의하면,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바인딩 단자와 겹치는 위치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코일의 단말이 바인딩 단자와 연장부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감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코일의 단말이 바인딩 단자에 대하여 예각(銳角)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코일의 단말에 큰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고, 단선 등의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또, 전술한 발명에 의하면, 바인딩 단자가 케이스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의 증대는 생기지 않는다.
또, 다른 발명은, 전술한 면실장 인덕터에 있어서, 연장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코일 단말의 이탈 방지용의 키(key)형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장부 및 바인딩 단자에 동여맨 코일의 단말이 이탈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다른 발명은, 전술한 각 면실장 인덕터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케이스체의 금속 단자 부재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드럼형 코어의 플랜지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닿아, 드럼형 코어를 접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발명에 의하면, 높이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체를 드럼형 코어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가 드럼형 코어의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접착 고정하기 때문에, 드럼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이 양호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면실장 인덕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면실장 인덕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면실장 인덕터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코일 단말 동여매진 바인딩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실장 인덕터(1)는, 페라이트 등 으로 형성된 드럼형 코어(2)와, 구리제의 코일(3)(도 3 참조)과, 비도전성 부재의 케이스체(4)와, 금속 단자 부재(5, 5)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2)는, 케이스체(4)의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형 코어(2)는, 권축(21)과, 권축(21)의 상하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 플랜지부(22) 및 하 플랜지부(23)를 가지고 있다. 상 플랜지부(22)의 외경은, 하 플랜지부(23)의 외경보다 약간 큰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 플랜지부(23)의 하면(23a)의 외주 둘레에는, 주위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 스텝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권축(21)의 외주에는, 코일(3)이 감겨진다. 코일(3)은, 그 단면의 직경이 약 0.35mm의 극세선이 사용된다.
케이스체(4)는, 코일(3)의 외주측 및 하 플랜지부(23)의 외주를 덮도록, 드럼형 코어(3)의 외측에 배치된다. 케이스체(4)는, 중앙에 드럼형 코어(3)을 배치하기 위한 원형의 구멍(41)을 가지고 있다. 드럼형 코어(3)는, 구멍(41) 내에 끼워넣어진다.
구멍(41)의 한쪽의 단부(도 3에 있어서의 하단)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콜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콜러부(42)에는, 드럼형 코어(3)의 하 플랜지부(23)의 단부(23b)가 탑재된다. 이것에 의해, 드럼형 코어(3)는, 도 3에 있어서의 하방향에 있어서, 케이스체(4)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단부(23b)의 높이는, 콜러부(42)의 두께와 대략 같고, 콜러부(42)의 하면과 드럼형 코어(2)의 하 플랜지부(23)의 하면은, 대략 수평면상에 배치된다.
또, 케이스체(4)의 콜러부(42)가 형성된 측의 단부(도 3에 있어서의 하단)에 는, 금속 단자 부재(5)가 결합 고정된다. 금속 단자 부재(5)는, 판상(板狀)의 금속 부재를 프레스에 의해 천공(穿孔)하여 형성되는 부품이다.
금속 단자 부재(5)는, 케이스체(4)의 콜러부(42)에 접착 고정되는 접착면을 배면으로 하는 평면 단자(11)를 가지고 있다. 이 평면 단자(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면실장 인덕터(1)의 하면 측에 배치되고, 해당 면실장 인덕터(1)가 기판(도시 생략)에 면실장될 때의, 기판의 랜드와의 접촉부가 된다. 평면 단자(11)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기판의 랜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 단자(11)는, 드럼형 코어(3)의 하 플랜지부(23)의 외주 둘레에 따라 내주측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평면 단자(11)의 외주측에는,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3개의 고정용 클릭부(12, 12, 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3개의 고정용 클릭부(12, 12, 12)는, 케이스체(4)의 외벽을 덮도록 끼워넣어진다. 또한, 절곡 부위는, 직각이 아니고, 약간 라운드(R형상)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3개의 고정용 클릭부(12, 12, 1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약 45도씩의 각도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용 클릭부(12, 12, 12)의 사이에는, 프레스 가공상, 필요한 눈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3개의 고정용 클릭부(12) 중, 중앙의 클릭(12)의 선단 부분은, 다시 대략 90도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된 선단 부위는, 평면 단자(11)와 평행이 되고, 케이스체(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 부위에는, 코일(3)의 단말 부분을 동여맬 수 있다. 즉, 이 돌출 부위는, 바인딩 단자(13)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인딩 단자(13)를 케이스체(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바인딩 단자(13)에 대한 코일(3)의 동여매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높이 방향으로의 치수의 증대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체(4)에 대한 드럼형 코어(2)의 고정 강도를 높이기 위해, 고정용 클릭부(12)를 3개 형성했지만, 고정 강도에 문제가 없으면, 고정용 클릭부(12)를 중앙의 하나만으로 해도 된다.
한편, 케이스체(4)의 도 3에 있어서의 상단측의 면(이하, 상면부(43)라고 함)에는, 상 플랜지부(22)의 하면 외측 에지부가 탑재된다. 또한 케이스체(4)의 상면부(43)에는, 해당 상면부(43)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코어 고정면(44)을 가지는 돌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 고정면(44)의 내주단은, 드럼형 코어(2)의 상 플랜지부(2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의 면으로 구성된다. 코어 고정면(44)의 내주단은, 상 플랜지부(22)와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이 간격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드럼형 코어(2)의 상 플랜지부(22)는, 코어 고정면(44)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 상태로 접착 고정된다.
또, 케이스체(4)의 외주에는, 해당 케이스체(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선단에 키형부(7)를 구비한 L자형 연장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6)는, 드럼형 코어(2)의 높이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금속 단자 부재(5)가 바인딩 단자(13)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6)는, 바인딩 단자(13)보다 큰 폭으로 되어 있다. 즉, 연장부(6)는, 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바인딩 단자(13)의 같은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6)의 하면은, 바인딩 단자(13)의 표면에 있어서, 약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간격은, 비도전성 부재, 구체적으로는 수지로 성형되는 케이스체(4)의 치수 정밀도의 격차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간격을 없애고, 연장부(6)를 바인딩 단자(13)에 밀착시킨 구조로 해도 된다.
드럼형 코어(2)의 권축(21)에 감겨진 코일(3)의 단말(9)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배치된 연장부(6) 및 바인딩 단자(13)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감겨진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코일의 단말이, 바인딩 단자에만 감겨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극세선으로 구성된 코일의 단말이, 바인딩 단자의 에지 부분에 접촉되어, 강한 스트레스를 받아 단선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3)의 단말(9)이, 연장부(6) 및 바인딩 단자(13)의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감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단말(9)은, 바인딩 단자(13)의 에지 부분 E에 있어서 둔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단말(9)의 에지 부분 E와의 접촉 부위에 강한 압력이 걸리지 않고, 텐션도 낮아져, 강한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면실장 인덕터(1)에 있어서는, 에지 부분 E에의 코일(3)의 단말(9)의 접촉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면실장 인덕터에 의하면, 바인딩 단자가 꺽이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또한 바인딩 단자의 에지에 의한 코일 단말의 단선이 생기지 않는다.

Claims (3)

  1.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의 권축부(卷軸部)에 감겨지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도전성 부재의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의 단말이 동여매지는 바인딩 단자와,
    기판에 면실장(面室裝)될 때의 상기 기판과의 접촉부가 되는 평면 단자를 가지는 금속 단자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단자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바인딩 단자보다 넓은 폭 또는 대략 동등한 폭을 가지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바인딩 단자와 상기 연장부의 양쪽의 외주측으로부터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코일 단말의 이탈 방지용의 키(key)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 인덕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금속 단자 부재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드럼형 코어의 플랜지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닿아, 상기 드럼형 코어를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 인덕터.
KR1020040049047A 2003-07-01 2004-06-28 면실장 인덕터 KR10061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0140 2003-07-01
JP2003270140A JP4317394B2 (ja) 2003-07-01 2003-07-01 面実装インダ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024A KR20050004024A (ko) 2005-01-12
KR100615963B1 true KR100615963B1 (ko) 2006-08-28

Family

ID=3354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047A KR100615963B1 (ko) 2003-07-01 2004-06-28 면실장 인덕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42324B2 (ko)
JP (1) JP4317394B2 (ko)
KR (1) KR100615963B1 (ko)
CN (1) CN100492480C (ko)
TW (1) TWI281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951B2 (en) * 2003-06-19 2011-02-15 Intel Corporation Processor to processor communication in a data driven architecture
US7551053B2 (en) * 2003-11-05 2009-06-23 Tdk Corporation Coil device
US8812749B2 (en) * 2003-12-31 2014-08-19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video processing and video storage architecture
JP4616580B2 (ja) * 2004-05-14 2011-01-1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JP2006041418A (ja) * 2004-07-30 2006-02-09 Toko Inc 面実装コイル部品
JP4810167B2 (ja) * 2005-09-12 2011-11-0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JP2007220788A (ja) * 2006-02-15 2007-08-30 Mitsumi Electric Co Ltd 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JP2007258194A (ja) * 2006-03-20 2007-10-04 Sumida Corporation インダクタ
US20070285200A1 (en) * 2006-06-13 2007-12-13 Tai-Tech Advanced Electronics Co., Ltd. Surface mount inductor
US20070294880A1 (en) * 2006-06-21 2007-12-27 Tai-Tech Advanced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 inductor
JP5309682B2 (ja) * 2007-05-25 2013-10-0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DE102010028325A1 (de) * 2010-04-28 2011-11-03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Induktionsbauteil
JP5786660B2 (ja) * 2011-11-08 2015-09-3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部品および磁性部品の製造方法
US8789262B2 (en) 2012-04-18 2014-07-29 Mag. Layers Scientific Technics Co., Ltd.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 inductor
JP6477671B2 (ja) * 2016-11-17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563Y1 (ko) * 1988-10-04 1992-03-05 미쯔비시전기주식회사 코일 장치
JPH09232153A (ja) * 1996-02-27 1997-09-05 Hitachi Ferrite Denshi Kk ボビン
JPH11176663A (ja) 1997-12-05 1999-07-02 Sumida Denki Kk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00021651A (ja) 1998-07-07 2000-01-21 Tdk Corp 巻線型面実装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370A (en) * 1986-08-26 1988-06-2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Electrical component with added connecting conducting paths
JPH058914U (ja) * 1991-07-16 1993-02-05 テイーデイーケイ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5212345A (en) * 1992-01-24 1993-05-18 Pulse Engineering, Inc. Self leaded surface mounted coplanar header
JP3497276B2 (ja) * 1994-07-20 2004-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3201958B2 (ja) 1996-06-28 2001-08-27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
US6570478B2 (en) * 2000-06-15 2003-05-27 Standex Electronics Surface mounted low profile indu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563Y1 (ko) * 1988-10-04 1992-03-05 미쯔비시전기주식회사 코일 장치
JPH09232153A (ja) * 1996-02-27 1997-09-05 Hitachi Ferrite Denshi Kk ボビン
JPH11176663A (ja) 1997-12-05 1999-07-02 Sumida Denki Kk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00021651A (ja) 1998-07-07 2000-01-21 Tdk Corp 巻線型面実装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1705A1 (en) 2005-01-06
TW200511334A (en) 2005-03-16
JP2005026605A (ja) 2005-01-27
CN1577467A (zh) 2005-02-09
US7042324B2 (en) 2006-05-09
TWI281170B (en) 2007-05-11
JP4317394B2 (ja) 2009-08-19
KR20050004024A (ko) 2005-01-12
CN100492480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63B1 (ko) 면실장 인덕터
US7940153B2 (en) Inductance element
JP478122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EP2003661B1 (en) Inductor
KR100960587B1 (ko) 인덕터
JP4532167B2 (ja) チップコイルおよびチップコイルを実装した基板
JP3168133U (ja) コイル部品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JP4490698B2 (ja) チップコイル
US76944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niature surface-mount electronic component
US7733283B2 (en) Antenna Device
JP4616580B2 (ja) インダクタ
KR100578708B1 (ko)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154960B2 (ja) 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7705B2 (ja) コイル装置
JP5604998B2 (ja) コイル部品
JP4307422B2 (ja) コイル部品
EP1906489A1 (en) Antenna device
JPH11176663A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H0778720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JPH11186067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677216U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