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468A -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468A
KR20060136468A KR1020067022002A KR20067022002A KR20060136468A KR 20060136468 A KR20060136468 A KR 20060136468A KR 1020067022002 A KR1020067022002 A KR 1020067022002A KR 20067022002 A KR20067022002 A KR 20067022002A KR 20060136468 A KR20060136468 A KR 2006013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pickling
matt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498A (ko
KR101042872B1 (ko
Inventor
아르노 드시스
앙리 지로
카롤린느 동트
Original Assignee
위진느 에 알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403106A external-priority patent/FR2867991B1/fr
Application filed by 위진느 에 알즈 프랑스 filed Critical 위진느 에 알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700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498A/ko
Publication of KR2006013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7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노점이 -15℃를 초과하는 플러싱 가스가 내부에서 순환하는 광휘 소둔로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그 후의 적절한 산세액을 사용하여 스트립을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택 표면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연속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오스테나이트, 표면, 산세

Description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MAT-SURFAC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RAPS}
본 발명은 소둔/산세 처리된 무광택 표면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에 대한 최종 열처리의 종류에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은, 스트립이 의도되는 목적에 따라서 광택 표면 또는 무광택 표면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광택 표면"라는 용어는 40 초과의 밝기 (brightness) 및 0.08 ㎛ 미만의 산술 평균 조도 (roughness)(Ra) 를 가지는 표면을 의미하며, "무광택 표면"라는 용어는 30 미만의 밝기 및 0.12 ㎛ 초과의 산술 평균 조도 (Ra) 를 가지는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밝기는 표면 반사도에 해당하며, 60°의 각에서 측정된다.
광택 표면을 얻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은 환원성 분위기인 광휘 소둔로에서 열처리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트립은 비활성 또는 환원성 가스가 순환하는 3개의 구역, 즉 제 1 가열 구역, 제 2 온도 흡수 (temprature soak) 구역 및 제 3 냉각 구역으로 구성된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인클로저 (enclosure) 로 구성된 노를 통과한다. 이 가스는 예컨대 아르곤, 수소, 질소 또는 수소/질소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65℃ ~ -45℃ 사이의 노점 (dew point) 을 갖는다. 냉각 압연된 후에, 스트립은 로의 제 1 구역에서 1050 ~ 1150℃ 사이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 후, 스트립은 강의 재결정화가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로의 제 2 구역에서 이 온도로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스트립이 로 인클로저를 나갈 때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스트립이 재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립은 로의 제 3 구역에서 200℃ 근처의 온도까지 냉각된다.
소둔/산세 처리된 표면, 즉 무광택 표면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을 얻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미리 냉간 압연된 스트립이 산화성 분위기의 로에서 1100℃ 근처의 온도로, 약 1분간 연속 소둔 된다. 그 후, 소둔된 스트립은 공냉 및/또는 로의 외부에 물을 분무하여 강제 냉각된다. 최종적으로, 소둔 공정 동안 스트립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층을 제거할 수 있는 용액을 포함하는 수개의 산세 탱크에서 산세된다.
광휘 소둔 및 소둔/산세 설비의 특수성 때문에, 무광택 외관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에 항상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광휘 소둔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생산의 설비 과잉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휘 소둔로에서 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에 소둔/산세 처리된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 냉간 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을 -15℃ 초과의 노점을 갖는 불활성 또는 환원성 가스로 된 플러싱 가스가 내부에서 순환하는 광휘 소둔로에서 열처리 하는 단계로서, 산화물층으로 코팅된 스트립을 얻기 위해 상기 플러싱 가스는 1 부피% 미만의 산소 또는 1 부피% 미만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는 가열 속도 (V1) 의 가열 단계, 온도 (T) 에서 흡수 시간 (M) 동안의 흡수 단계 및, 이에 이은 냉각 속도 (V2) 의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 열처리된 상기 스트립을 그 두께 및 그 성질에 따라 상기 산화물층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적합한 산세액을 사용하여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둔/산세 처리된 무광택 표면을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달성하기 전에, 본 발명자들은 스트립에 소둔/산세 처리된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광휘 소둔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을 산세하는 생각을 해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방법을 진행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표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건만을 적용하여, 즉 스트립의 표면에 산화물층을 형성하기 위해 광휘 소둔로의 인클로저에서, -15℃ 이상의 노점에서의 흡수에 이어, 적절한 산세액에서의 산세를 적용하여, 스트립에 소둔/산세 처리된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 플러싱 가스의 노점은 -10 ~ 30℃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5 ~ 10℃ 사이이다;
- 플러싱 가스는 아르곤, 수소, 질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 스트립의 열처리는 10℃/s 초과의 속도 (V1) 로, 1050 ~ 1150℃ 사이의 흡수 온도 (T) 에서 1초 ~ 120초 사이의 흡수시간 (M) 동안 실행되며, 상기 스트립은 10℃/s 초과의 속도 (V2) 로 200℃ 이하까지 냉각된다.
- 열처리는 저항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 산세액은 질산, 불산 및/또는 황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불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그리고 불산 및 3가 철이온 (Fe3+) 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다;
- 산세액은 10 ~ 8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50 g/ℓ의 불산 및 60 ~ 140 g/ℓ, 바람직하게는 80 ~ 120 g/ℓ의 질산을 포함한다;
- 산세액은 5 ~ 10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80 g/ℓ의 불산 및 1 ~ 15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50 g/ℓ의 3가 철이온을 포함한다;
- 스트립은 산세액이 분사되거나, 상기 산세액을 포함하는 욕 (bath) 에 침지된다;
- 산세액의 온도는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80℃ 이다; 그리고
- 스트립이 산세액과 접촉되는 시간은 10초 ~ 2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설비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한다.
이 설비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이 통과하는 기밀성 (gas tight) 인클로저 (2), 플러싱 가스를 기밀성 인클로저 내부로 주입하는 수단 (4), 및 플러싱 가스의 노점 조절 수단 (5) 을 포함하는 광휘 소둔로 (1) 를 포함한다. 광휘 소둔로 (1) 다음에, 산세액을 담는 1개 이상의 내산성 산세 탱크 (7) 를 포함하는 산세 유닛 (6) 을 포함하는 설비가 있다.
기밀성 인클로저 (2) 는, 화살표 (F) 로 지시된 스트립 (3) 의 이동방향으로, 3개의 연속 구역, 즉 제 1 가열 구역, 제 2 온도 흡수 구역, 및 제 3 냉각 구역을 포함한다. 제 1 가열 구역에는 가열 속도 (V1) 로 온도 (T1) 까지 스트림 (3) 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강력한 가열 수단 (미도시) 이 구비된다. 스트립 (3) 은 제 2 구역에서 이 온도 (T1) 로 흡수 시간 (M) 동안 유지된 후에, 제 3 구역에서 속도 (V2) 로 온도 (T2) 까지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에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산화물층으로 도포된 스트립 (3) 을 얻기 위해 -15℃ 이상의 노점을 갖는 플러싱 가스가 내부에서 순환하는 노 (1) 의 인클로저 (2) 에서 스트립 (3) 에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산세액을 사용하여 열처리된 스트립 (3) 을 산세할 필요가 있다. 산세액은 산화물층의 두께 및 성질에 따라 상기 산화물층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산세액의 pH는 0 ~ 4 가 될 것이다.
"-15℃ 이상의 노점을 갖는 가스" 라는 표현은 수분 함량이 물 2000 ppm 초과인 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플러싱 가스는, 예컨대 아르곤, 수소, 질소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불활성 또는 환원성 가스로부터 선택되고, 추가로 1 부피% 미만의 산소 또는 1 부피% 미만의 공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트립 (3) 은 10 ℃/s 초과의 가열 속도 (V1), 1050 ~ 1150℃ 의 흡수 온도 (T1), 및 1s ~ 120s 의 흡수 시간으로 실시되는 재결정 소둔 작업 이후에, 10 ℃/s 초과의 속도 (V2) 로, 200℃ 미만의 온도 (T2) 까지 강제 냉각시키는 열처리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건 하에서 스트립 (3) 을 처리함으로써, 즉 -15℃ 초과의 노점으로, 인클로저 (2) 를 순환하는 플러싱 가스는 스트립 (3) 의 표면에 얇은 산화물층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산화한다. 인클로저 (2) 의 분위기에 따라 성질 및 두께가 변하는 이 얇은 산화물층은 pH가 0 ~ 4 인 산세액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플러싱 가스의 산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플러싱 가스 중의 물의 양이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두꺼운 산화물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노점이 -10℃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산화물층의 두께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30℃ 이하가 되어야 한다. 산화물층의 두께를 제한함으로써, 산화에 의해 소요된 금속의 양이 제한되지만, 스트립 (3) 의 표면을 정확하게 산세하는데 필요한 산성 용액의 양도 제한되므로, 잉여 유출물의 재처리가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노점은 -5 ~ 10℃ 이다.
플러싱 가스 안으로 1 부피% 이상의 산소 또는 공기를 첨가하는 것으로도 플러싱 가스의 산화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1 부피% 이상의 경우, 플러싱 가스의 산화력이 너무 커져서 스트립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진다. 게다가, 이러한 수치 이상의 경우, 인클로저 (2) 내에서의 폭발의 위험을 유의해야 한다.
스트립 (3) 의 재결정 소둔은 저항 가열 장치 또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이는 스트립 (3) 의 유도 가열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첫째로, 스트립 (3) 의 처리 시간이 저항 가열을 사용할 때에 비하여 매우 짧아진다. 둘째로, 유도 가열에 의해 스트립을 처리하는 처리로의 인클로저 (2) 는 저항 가열용 처리로의 인클로저 (2) 에 비해 훨씬 부피가 작으며, 이로 인해 공업적 요구에 따라 이 인클로저 (2) 내의 분위기를 훨씬 더 짧은 시간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트립 (3) 의 강제 냉각은 온도가 주변 온도 내지 40℃ 인 가스를 주입시켜 실시된다. 냉각 수단 (미도시) 에 의해 냉각된 가스는 노 (1) 의 인클로저 (2) 내에 포함되어 있다가, 인클로저 (2) 의 냉각 구역으로 재주입된다.
광휘 소둔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스트립 (3) 에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스트립 (3) 은 그 스트립 (3) 에 형성된 산화물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적합한 산세액으로 산세된다. 산세액은 열처리 동안 형성된 산화물의 성질 및 두께에 따라 알맞게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산세액의 pH는 0 ~ 4 이다.
산세액은 질산, 불산 및/또는 황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산세액으로는 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불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및 불산 및 3가 철이온 (Fe3 +) 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있다.
산세액은 5 ~ 10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80 g/ℓ의 불산 및 1 ~ 15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50 g/ℓ의 3가 철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될 수 있다.
5 g/ℓ미만의 불산 및 1 g/ℓ미만의 3가 철이온이 포함된 경우, 산세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액에 의한 강 표면상의 입계의 에칭이 충분하지 않아서, 무광택 표면이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불산 농도가 100 g/ℓ를 초과하고, 3가 철이온의 농도가 150 g/ℓ를 초과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스트립 (3) 의 표면으로부터 강의 과도한 제거를 수반하는 산세가 너무 많아져서, 사용된 다량의 용액이 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산세액으로서, 10 ~ 80 g/ℓ, 바람직하게는 30 ~ 50 g/ℓ의 불산 및 60 ~ 140 g/ℓ, 바람직하게는 80 ~ 120 g/ℓ의 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때 최상을 결과가 달성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10 g/ℓ미만의 불산 및 60 g/ℓ미만의 질산이 포함된 경우, 산세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액에 의한 강 표면상의 입계의 에칭이 충분하지 않아서, 무광택 표면이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불산 농도가 80 g/ℓ를 초과하고, 질산의 농도가 140 g/ℓ를 초과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스트립 (3) 의 표면으로부터 강의 과도한 제거를 수반하는 산세가 너무 많아져서, 사용된 다량의 용액이 재처리되어야 한다.
스트립 (3) 을 산세하기 위해, 산세액이 스트립 (3) 과 접촉하는 시간이 10초 ~ 2분이 되도록 주의하면서, 산세액을 포함하는 산세 욕에 스트립 (3) 을 침지시키거나, 스트립 (3) 에 산세액을 분사시킨다.
산세액이 스트립 (3) 과 접촉하는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불충분한 입계의 에칭으로 무광택 외관이 얻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산세액이 스트립 (3) 과 접촉하는 시간이 2분을 초과하는 경우, 산세가 너무 과해져서 강 스트립 (3) 이 과도하게 용해되는 위험이 있다.
산세액의 온도는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80℃ 이다. 이는 산세액의 온도가 20℃ 미만인 경우에, 스트립 (3) 의 처리 시간이 공업적 요구에 따르지 않는, 즉 약 2분을 초과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 즉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의 증발이 가속화되어, 안전성의 문제가 또한 유발된다.
스트립 (3) 을 효과적으로 산세하기 위해, 스트립 (3) 을 질산 또는 황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담은 전해질 산세 욕에 침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의 경우, 제공된 전류 밀도는 5 A/d㎡를 초과하여야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30 A/d㎡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전류 밀도가 5 A/d㎡ 미만인 경우, 용액에 의한 강 표면의 산세가 불충분하여, 무광택 표면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류 밀도가 30 A/d㎡ 초과인 경우, 산세의 실시는 비경제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방법으로 주어진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광휘 소둔 작업을 수행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표면 사진이다.
도 3 은 종래의 소둔/산세 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표면 사진이다.
도 4 및 도 5 는 -5℃의 노점에서 각각 질산/불산 수용액 (욕 A) 또는 불산/3가 철이온 수용액 (욕 B) 으로 연속 산세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가 실시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 표면 사진이다.
모든 실험은 AISI 304 등급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0.5mm 두께의 스트립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1- 종래의 광휘 소둔에 의해 얻어진 표면 및 종래의 소둔 / 산세된 표면의 비교
첫째로, 종래의 광휘 소둔된 표면을 갖는 이들 스트립 중 하나와 종래의 소둔/산세 처리된 표면, 즉 무광택 표면을 갖는 이들 스트립 중 또 다른 하나가 특정 되어 표면이 비교 (reference)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종래의 광휘 소둔된 표면을 얻기 위해, 미리 냉간 압연된 해당 스트립이 25 부피%의 질소 및 -50℃의 노점을 갖는 75 부피%의 수소의 혼합물이 내부에서 순환하는 광휘 소둔로의 인클로저에서 열처리된다. 스트립은 10℃/s의 가열 속도로 1100℃ 까지 가열되어, 20℃/s의 냉각 속도로 주변 온도까지 냉각되기 전까지 이 온도에서 약 6초간 유지된다.
소둔/산세 처리를 하여 무광택 표면을 얻기 위해, 미리 냉간 압연된 스트립이 외부 환경과 단절되지 않은 노에서 1100℃ 까지 10℃의 가열 속도로 가열된다. 스트립은 이 온도에서 약 5초간 유지된 다음, 공냉과 후속 수냉에 의해 20℃/s의 속도로 주변 온도까지 냉각된다. 최종적으로, 스트립은 수개의 전해질 산세 욕에 침치된 다음, 불산계 욕에 침지되어 산세된다.
처리된 각 스트립에 대하여, 길이 방향 (BrL), 및 가로 방향 (BrT) 의 밝기가 측정되었다. 밝기는 60°의 각에서의 표면 반사도 및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 총 조도 (Rt): 최고 피크와 최저 골 (trough) 과의 높이 차;
- 조도 (Rp): 조도 프로파일의 최대 돌출 (prejecting) 높이; 및
- 산술 평균 조도 (Ra): 베이스 (base) 길이 내의 평균선에 대한 조도 프로파일의 총 편차의 평균.
광휘 소둔된 스트립 및 소둔/산세된 스트립의 밝기 및 조도 측정치 결과가 아래의 표 1 에 나타나 있다.
광휘 소둔 소둔/산세
BrL 59 14.6
BrT 56 12.6
조도 (㎛) Rt 1.22 1.78
Rp 0.26 0.43
Ra 0.07 0.15
2- 종래의 광휘 소둔이 수행된 스트립의 화학적 산세
둘째로, 광휘 소둔된 스트립의 산세가 소망하는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휘 소둔된 강 스트립으로부터 취한 시편을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산세 욕 중 하나에 침지시켰다.
- 욕 A: 40 g/ℓ의 불산 및 100 g/ℓ의 질산을 포함하는 pH 1 인 수용액;
-욕 A': 40 g/ℓ의 불산 및 150 g/ℓ의 질산을 포함하는 pH 0.7 인 수용액;
-욕 B: 40 g/ℓ의 불산 및 30 g/ℓ의 3가 철이온을 포함하는 pH 3.4 인 수용액.
모든 욕의 온도는 65℃로 일정하다.
모든 시편을 산세한 후에,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각 시편 표면의 밝기가 측정되어 아래의 표 2 에 그 결과가 제공되었다.
표 2: 노점이 -45℃ 일 때의 밝기
욕 A 욕 A' 욕 B
교차 밝기 BrT 53.5 53 58
표면 관찰 광택 외관 광택 외관 광택 외관
이 표는 실험된 산세액 중 어느 것도 광휘 소둔로에서 종래의 소둔 작업이 수행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산세 하지 못하여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가 수행된 스트립의 화학적 산세
셋째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가 수행된 AISI 340 등급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으로부터 취한 시편이 산세되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련의 시편이 75 부피%의 수소 및 25 부피%의 질소 혼합물이 내부에서 순환하는 광휘 소둔로의 인클로저에서 열처리 되었고, 그 처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가열 속도 (V1): 10℃/s;
- 흡수 온도 (T): 1100℃;
- 흡수 시간 (M): 6초;
- 주변 온도까지의 냉각 속도: 20℃/s, 그리고
이 혼합물의 노점은 -20℃, -10℃, -5℃, 및 +4℃ 였다.
다음으로, 일련의 시편들 각각은 산세 욕 A에 16초간 또는 산세 욕 B에 90초간 침지시켜 산세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들 2개의 산세 욕의 온도는 65℃로 일정하다.
시편들은 산세 된 후에, 세정되고 건조되었으며, 처리된 시편 각각의 길이 방향의 밝기, 가로 방향의 밝기, 총 조도, 조도 (Rp) 및 산술 평균 조도가 측정되었다. 다음의 표에는 처리되는 동안 노의 인클로저를 플러싱하는 가스의 노점의 함수로서 측정된 모든 측정치가 나타나 있다.
표 3: 노점이 -20℃ 일 때의 밝기 및 조도
욕 A 욕 B
BrL BrT 3.3 2.7 12 9
Rt (㎛) Rp (㎛) Ra (㎛) 3.01 1.21 0.33 2.01 0.65 0.24
관찰 기대했던 것과 유사한 표면, 하지만 상당량의 산화물 잔존 불충분한 산세
표 4: 노점이 -10℃ 일 때의 밝기 및 조도
욕 A 욕 B
BrL BrT 2.7 2.4 13 12
Rt (㎛) Rp (㎛) Ra (㎛) 2.76 1.53 0.29 1.73 0.63 0.15
관찰 만족스러운 결과: 전체적으로 양호한 무광택 외관 전체적으로 양호한 무광택 외관
표 5: 노점이 -5℃ 일 때의 밝기 및 조도
욕 A 욕 B
BrL BrT 2.2 1.8 12.2 9.7
Rt (㎛) Rp (㎛) Ra (㎛) 2.54 1.19 0.33 1.92 0.63 0.23
관찰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 산세된 표면 및 무광택 외관 전체적으로 양호한 무광택 외관
표 6: 노점이 +4℃ 일 때의 밝기 및 조도
욕 A 욕 B
BrL BrT 2.4 2.1 9.0 7.6
Rt (㎛) Rp (㎛) Ra (㎛) 2.08 0.62 0.16 1.91 0.70 0.18
관찰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 산세된 표면 및 무광택 외관 전체적으로 양호한 무광택 외관
포인트 (point) 2 및 3 에 포함된 결과로부터, 산세액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을 산세하는 것은 표준 조건의 광휘 소둔로에서 열처리된 스트립에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 명백하게 분명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건, 즉 -15℃ 이상의 노점을 갖는 광휘 소둔로의 인클로저에서의 흡수, 후속의 pH가 0 ~ 4 인 산세 욕액에 산세의 조건에서만 스트립에 소둔/산세된 무광택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laims (18)

  1. 밝기가 30 미만이고 산술 평균 조도가 0.12 ㎛를 초과하는 무광택 표면을 갖는 소둔/산세 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으로서,
    - 냉간 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을 -15℃ 초과의 노점을 갖는 불활성 또는 환원성 가스로 된 플러싱 가스가 내부에서 순환하는 광휘 소둔로 (1) 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산화물층으로 코팅된 스트립 (3) 을 얻기 위해 상기 플러싱 가스는 1 부피% 미만의 산소 또는 1 부피% 미만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는 가열 속도 (V1) 의 가열 단계, 흡수 온도 (T) 에서 흡수 시간 (M) 동안의 흡수 단계 및, 이에 이은 냉각 속도 (V2) 의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 열처리된 상기 스트립 (3) 을 그 두께 및 성질에 따라 상기 산화물층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적합한 산세액을 사용하여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제조 연속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가스의 노점은 -10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점은 -5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 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가스는 아르곤, 수소, 질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3) 의 열처리는 10℃/s 초과의 속도 (V1) 로, 1050 ~ 1150℃의 흡수 온도 (T) 에서, 1초 ~ 120초의 흡수시간 (M) 동안 실시되며, 상기 스트립 (3) 은 10℃/s 초과의 속도 (V2) 로 200℃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3) 의 열처리는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3) 의 열처리는 저항 가열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질산, 불산 및 또는 황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불산 및 질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및 불산 및 3가철 이온 (Fe3 +) 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불산 10 ~ 80 g/ℓ 및 질산 60 ~ 140 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불산 30 ~ 50 g/ℓ 및 질산 80 ~ 120 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불산 5 ~ 100 g/ℓ 및 3가 철이온 1 ~ 150 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은 불산 30 ~ 80 g/ℓ 및 3가 철이온 30 ~ 50 g/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을 산세하기 위해, 상기 스트립 (3) 에 산세액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을 산세하기 위해, 상기 스트립 (3) 은 상기 산세액을 포함하는 산세 욕에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의 온도는 20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액의 온도는 50 ~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산세액과 접촉하는 동안의 시간은 10초 ~ 2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3) 의 연속 제조 방법.
KR1020067022002A 2004-03-25 2005-03-09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KR10104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3106A FR2867991B1 (fr) 2004-03-25 2004-03-25 Bandes en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d'aspect de surface mat
FR0403106 2004-03-25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498A KR20070000498A (ko) 2007-01-02
KR20060136468A true KR20060136468A (ko) 2007-01-02
KR101042872B1 KR101042872B1 (ko) 2011-06-20

Family

ID=3494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002A KR101042872B1 (ko) 2004-03-25 2005-03-09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914630B2 (ko)
EP (1) EP1735116B1 (ko)
JP (1) JP4607951B2 (ko)
KR (1) KR101042872B1 (ko)
CN (1) CN100409957C (ko)
AT (1) ATE389470T1 (ko)
BR (1) BRPI0509222A (ko)
DE (1) DE602005005462T2 (ko)
ES (1) ES2306136T3 (ko)
FR (1) FR2867991B1 (ko)
PL (1) PL1735116T3 (ko)
SI (1) SI1735116T1 (ko)
WO (1) WO2005102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9013B3 (de) * 2007-08-17 2008-08-14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berflächenentkohlten Warmbands
DE102009052779A1 (de) 2009-11-11 2011-05-12 Sms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lzen und Glühen von Edelstahlband
CN102242248A (zh) * 2011-06-27 2011-11-16 中冶南方(武汉)威仕工业炉有限公司 一种冷轧不锈钢卷的立式连续光亮退火工艺
KR101356877B1 (ko) * 2011-11-21 2014-01-28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423815B1 (ko) * 2011-11-21 2014-07-25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03305745B (zh) * 2012-03-09 2016-04-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质量硅钢常化基板的生产方法
JP6081224B2 (ja) * 2013-02-27 2017-02-15 東洋鋼鈑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EP2878708A1 (en) * 2013-11-28 2015-06-03 Lind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the surface structure of a metal body
JP6137089B2 (ja) * 2014-09-02 2017-05-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冷延鋼板の製造設備
KR101639162B1 (ko) * 2015-06-26 2016-07-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융도금강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778453B1 (ko) * 2016-07-14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설비 및 스테인리스 강판의 압연 방법
TWI668331B (zh) * 2016-10-19 2019-08-11 美商Ak鋼鐵資產公司 不銹鋼之表面改質
CN107385166A (zh) * 2017-06-27 2017-11-24 湖南大学 一种改善奥氏体不锈钢冷轧板的强塑性及耐蚀性的方法
IT201900006234A1 (it) * 2019-04-23 2020-10-23 Danieli Off Mecc Impianto e processo di decapaggio
CN110170526B (zh) * 2019-04-26 2020-09-18 无锡华生精密材料股份有限公司 汽缸垫不锈钢带的生产方法
FR3104178B1 (fr) * 2019-12-09 2022-12-02 Fives Stein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thermique des aciers comprenant un refroidissement humide
KR20230155517A (ko) * 2021-03-26 2023-11-1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WO2022201686A1 (ja) * 2021-03-26 2022-09-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鈍酸洗鋼板の製造方法
CN113492153B (zh) * 2021-07-16 2023-01-31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的轧制方法和电子元件用奥氏体不锈钢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5062A (en) * 1952-02-27 1960-10-04 Midland Ross Corp Method for carburizing in a continuous furnace
DE1458965A1 (de) * 1964-04-27 1969-04-30 Yawata Iron & Steel Co Verfahren zum Herstellen nichtalternder,kaltgewalzter Stahlbleche mit besonders guten Tiefzieheigenschaften
JPS5834180A (ja) * 1981-08-24 1983-02-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テンレス帯鋼の連続焼鈍酸洗方法及び装置
JPS59140390A (ja) * 1983-01-31 1984-08-11 Nippon Steel Corp ステンレス薄板の製造法
US4744837A (en) * 1987-01-13 1988-05-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right annealing of stainless steels
JP2640565B2 (ja) * 1990-11-27 1997-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テンレス鋼板の連続製造装置
JP3021164B2 (ja) * 1992-02-14 2000-03-15 川崎製鉄株式会社 表面光沢の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H0649539A (ja) * 1992-08-05 1994-02-22 Kawasaki Steel Corp 防眩性を備えた建材用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6212283A (ja) * 1993-01-19 1994-08-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テンレス鋼板の焼鈍方法
JP3339735B2 (ja) * 1993-12-13 2002-10-28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帯の酸洗装置における酸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H07252534A (ja) * 1994-03-15 1995-10-03 Nippon Steel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熱処理方法
JPH07303902A (ja) * 1994-05-11 1995-11-21 Nippon Steel Corp 高光沢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DE4423664A1 (de) * 1994-07-07 1996-05-15 Bwg Bergwerk Walzwerk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altgewalzten Stahlbändern aus nichtrostendem Stahl und Metallbändern, insbesondere aus Titanlegierungen
JPH08269754A (ja) * 1995-03-29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帯の製造方法
FR2740061B1 (fr) * 1995-10-19 1997-11-28 Ugine Sa Procede d'elaboration, sur une ligne, en continu, d'une bande de tole laminee d'acier inoxydable presentant un etat de surface amelioree
FR2745301B1 (fr) * 1996-02-27 1998-04-03 Usinor Sacilor Procede de decapage d'une piece en acier et notamment d'une bande de tole en acier inoxydable
TW330214B (en) * 1996-03-22 1998-04-21 Kawasaki Steel Co Austenitic stainless stee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glossiness
DE69620649T2 (de) * 1996-06-28 2002-11-28 Corus Staal Bv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tiefziehstahlband aus stahlblech
US5702539A (en) * 1997-02-28 1997-12-30 Armco Inc. Method for producing silicon-chromium grain orieted electrical steel
JP3448454B2 (ja) * 1997-04-10 2003-09-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表面性状と成形性にすぐれた高強度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0273546A (ja) * 1999-03-25 2000-10-03 Nisshin Steel Co Ltd 表面微小欠陥の少な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法
JP2001047105A (ja) * 1999-08-12 2001-02-20 Nippon Steel Corp 指紋が目立ちにくい金属板
KR100515604B1 (ko) * 2001-12-21 2005-09-16 주식회사 포스코 크롬계 스테인리스강 열연 제품의 표면 품질 향상 방법
JP4132973B2 (ja) * 2002-05-22 2008-08-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表面の平滑な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ATA11942002A (de) * 2002-08-07 2003-10-15 Andritz 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izen von metallischen bändern
JP4309141B2 (ja) 2003-01-21 2009-08-0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強度低透磁率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ボルト締結用座金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72B1 (ko)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KR20060136468A (ko) 무광택 표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의제조 방법
PL179348B1 (pl) Sposób wyzarzania z jednoczesnym usuwaniem zgorzeliny z powierzchni stali nierdzewnej PL PL PL PL PL PL
US4415415A (en) Method of controlling oxide scale formation and descaling thereof from metal articles
KR101879067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소둔 및 산세 방법
EP0213810B1 (en) Continuous annealing and pick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l strips
KR100720278B1 (ko) Nb첨가 고 Cr 페라이트계 안정화 스테인리스강의 고속산세방법
KR20100073407A (ko)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US20180298503A1 (en) Method of producing cold rolled steel strip and production system for cold rolled steel strip
US2965521A (en) Metal pickling solutions and methods
JPH11279781A (ja) 表面に模様のな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737645B2 (ja) 高炭素クロム軸受鋼の脱炭抑制方法
EP01061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annealing of steel strips
KR102180707B1 (ko) 스테인리스강의 고속 산세 방법
KR101073262B1 (ko) 니오븀 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JPH01162786A (ja) 高強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酸洗方法
KR101073242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JPH0246673B2 (ko)
US1974571A (en) Descaling process
EP2687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rface porosity of metal materials
JPH1072686A (ja) 酸洗方法
CN115558935A (zh) 一种热轧奥氏体不锈钢带钢表面过烧后的退火酸洗方法
JPS63495A (ja) ステンレス鋼の耐食性改善方法
JPH0379795A (ja) ステンレス鋼帯の連続焼鈍・酸洗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52657A (ko) 산소농도 제어에 의한 이상 스테인레스 강의산세조건 형성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