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774A -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774A
KR20060123774A KR1020067018972A KR20067018972A KR20060123774A KR 20060123774 A KR20060123774 A KR 20060123774A KR 1020067018972 A KR1020067018972 A KR 1020067018972A KR 20067018972 A KR20067018972 A KR 20067018972A KR 20060123774 A KR20060123774 A KR 2006012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organic
organic compound
ink
ink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548B1 (ko
Inventor
겐지 신조
고로모 시로따
유따까 구라바야시
미나꼬 가와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96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1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72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1261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인쇄물의 컬을 충분히 억제하며, 토출 안정성을 만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물, 착색제,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인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착색제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가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해서 10 질량% 이상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 및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Y(%)가 하기 수학식 I 및 II의 관계를 충족한다.
<수학식 I>
0<Y/X≤0.9
<수학식 II>
X+Y≥15 질량%
잉크젯용 잉크, 수용성 유기 화합물, 컬, 토출 안정성

Description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INK-JET INK AND METHOD FOR INKJET RECORDING}
본 발명은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방법은 여러 가지 작동 원리로부터 잉크의 미소 액적을 비상시켜 기록 매체(종이 등)에 부착시키고, 화상이나 문자 등의 기록을 행하는 방법이며, 고속, 저소음, 다색화의 용이함, 기록 패턴의 높은 융통성, 현상 및 정착의 불필요 등의 특징이 있어, 여러 가지 용도에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풀컬러의 잉크젯 기록 방식 기술이 발달하여, 제판 방식에 의한 다색 인쇄나, 컬러 사진 방식에 의한 인화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다색 화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조 부수가 적은 경우에는 통상의 다색 인쇄나 인화보다도 염가에 인쇄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배경하에 기록의 고속화, 고정밀화, 풀컬러화 등의 기록 특성 향상의 요구에 따라, 잉크젯 인쇄 장치 및 기록 방법의 개량이 행해지고 있다. 잉크젯 기록 방식을 응용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여러 가지 사용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기록 안정성도 중요해지고, 화상의 내구성의 향상도 잉크의 특성으로서 요구되고 있다.
잉크젯 기록 방법에 사용하는 기록 매체는 보통지, 코팅지, 광택지, OHP 시트, 백 프린트 필름(back print film) 등 여러 가지가 시판되고 있지만, 일반 사무실에서의 비즈니스 용도로는 가격이 저렴한 보통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록 매체로서 보통지를 사용한 경우, 상술한 특성을 만족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에 많은 잉크가 부여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컬 현상(종이가 휘고, 둥글게 됨)을 완화, 억제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컬 현상에는 수분의 부여가 크게 기인하고 있다. 즉, 수분이 부여되는 면적이 넓은 경우, 또는 부여량이 큰 경우에 현저히 컬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통지에 잉크젯 기록을 행한 경우, 인자 중의 컬뿐만 아니라 인자 후에 수분이 건조, 증발하여 발생하는 컬(인자 후 컬)의 완화, 억제가 중요하게 되고 있다.
잉크젯으로 인자한 인자물(인쇄물)은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되지만, 컬된 종이는 평탄성을 유지할 수 없어, 중첩하거나, 파일링했을 때에 둥글게 말리는 등 여러 가지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슬라이드, OHP 등의 발표용 원고의 시험 인쇄를 가격이 저렴한 보통지를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때에 그림이나 사진, 또는 배경 등을 2차색(청색 등)으로 인자하면, 종이가 휘어져 취급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컬을 완화,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몇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분자 구조 중에 수산기를 4개 이상 갖고, 물 또는 수성 유기 용매에 용해 가능한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4-332775호 공보 참조). 또한, 컬 방지제로서 당류, 당알코올류, 특정한 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잉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1579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401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653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9-176538호 공보 참조). 또한, 특정한 다가 알코올과 글리세린을 조합하여 함유한 잉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130550호 공보 참조). 또한, 용매, 고분자 결합제, 매염제, 수용성 컬 방지 화합물, 풀기 제거용 수용성 화합물, 내광성 화합물, 소포제 등을 포함하는 잉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9826호 공보 참조).
종래의 컬을 방지하는 화합물을 잉크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컬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젯 기록에서는 더욱 고속화가 진전되고 있고, 고속 인쇄할 때의 토출 안정성이나 신뢰성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잉크 자체의 안정성, 침투성, 점도 등의 여러 물성을 얻은 후에, 또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로서의 기본 특성, 특히 잉크젯 토출 안정성, 더욱 구체적으로는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노즐)의 내폐색성이나 스타트업성(잉크 토출을 일시적으로 서스펜션(정지 또는 중지)한 노즐로부터의 잉크의 재토출성) 등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컬을 완화, 억제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잉크젯용 잉크에서 요구되는 헤드 방치 후의 토출 안정성이나, 인자 개시시에 인자 개시 부분의 흐트러짐, 비백(飛白)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토출 안정성(스타트업성)을 확보하면서, 컬을 완화, 억제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 잉크젯 기록 방법,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을 충분히 완화, 억제하여, 특히 보통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인쇄물을 용이하게 취급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적어도 물, 착색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가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 및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Y(%)가 하기 수학식 I 및 수학식 II의 관계를 충족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인, 보수성(保水性)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착색제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잉크이다.
0<Y/X≤0.9
X+Y≥15 질량%
특히,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함유량 Y(%)가 Y<15 질량%이고, 상기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의 별도의 실시 양태는 적어도 물,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이고,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X1(%),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X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Y1(%)이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관계를 충족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000의 범위에 있는 수용성의 다가 알코올 또는 수용성의 아미드 화합물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50의 범위에 있고, 추가로 -OH기를 주쇄 양쪽 말단에 갖는 수용성의 알칸디올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은 착색제, 수용성 유기 용제 1-1, 및 수용성 유기 용제 1-2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잉크이다.
0.1≤(X2+Y1)/X1≤2.5
X1+X2≥10 질량%
X2+Y1≥3 질량%
특히,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 Y1(%)이 Y1<15 질량%이며, 상기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방법은 상기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부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젯용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상기 잉크젯용 잉크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보통지에의 잉크젯 기록 방법에 관해서, 컬을 충분히 억제하고, 특히 보통지의 인쇄물을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기록에서, 잉크의 토출 안정성이 얻어지는 잉크 및 이를 사용한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양호한 화상 특성이 얻어지는 잉크 및 이를 사용한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각종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수분 유지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2개의 특정한 두 환경하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잉크젯 인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기록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액체 토출 헤드를 구비한 잉크젯 카트리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컬이 발생하는 메카니즘]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잉크젯용 잉크(이하, "잉크"라 함)를 기록 매체에 부여한 후의 기록 매체의 컬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기록 매체에 인자한 후에 컬이 발생하는 메카니즘은 이하와 같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초지기(抄紙機)에 의해, 종이가 흐르는 방향으로 배열하도록(이를테면 강제적으로 배향된 상태가 되어) 초지된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서의 수분에 의한 팽창의 정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종이의 가로측과 세로측에서 수분이 부여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종이의 크기 변화가 다르다. 이 때문에 종이에 수분이 부여되는 경우, 종이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가로 방향이 팽윤하고, 종이가 초지되었을 때의 기계의 유동 방향(종이의 세로측인 경우가 많음)과 직교 방향(종이의 가로측인 경우가 많음)의 종이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인자 시 잉크 부여량, 즉 수분 부여량이 많으면, 수분이 부여된 면의 반대측에 컬, 즉 마이너스컬을 일으킨다. 그러나, 한번 셀룰로오스 섬유에 흡수된 수분이 점차 증발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가 재수축하기 시작해, 종이는 다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종이는 수분이 부여되기 이전의 길이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종이는 수분이 부여된 면으로 점차 컬하는, 즉 플러스컬을 일으킨다. 이는, 인자에 의해서 부여된 수분이 섬유와 섬유 사이의 수소 결합 사이에 일부분 흡수되고, 증발 등에 의해서 수분이 이동함에 따라, 초기에 가해진 장력이 완화되기 때문에, 인자 부분이 수축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이 플러스컬이 보통지 등의 기록 매체에 잉크젯 기록을 행한 경우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자들은, 잉크젯 기록 방법에 의해 인자를 행한 경우에 발생하는 플러스컬 현상을 상세히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잉크젯용 잉크를 종이에 부여한 경우는, 단순히 수분을 종이에 부여한 경우와 달리 플러스컬 현상이 장기간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잉크젯용 잉크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세린이나 우레아 등의 유기 화합물은 잉크젯용 잉크로서의 신뢰성, 특히 토출 안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 반면, 이들 유기 화합물이 플러스컬 현상을 계속적으로 진행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물을 포함하는 액 매체를 종이에 도포한 후의 컬은 종이에 부여된 수분의 증발과 어떠한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잉크젯용 잉크에 통상 자주 사용되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수분 유지력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상세한 검토를 행하였다.
우선, 여러 가지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20 질량% 수용액을 제조하고, 유리 샤알레에 각 10 g씩 정칭하여 넣고,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 방치하였다. 또한, 동시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물도 마찬가지로 방치하였다. 수분 증발에 따라 샤알레 중의 용액량은 감소하고, 결국 질량은 일정해진다. 동시에 방치한 순수한 물만의 샤알레는, 이 시점에서는 순수한 물은 전부 증발하였기 때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샤알레 중에 잔존하고 있는 것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과, 그 물질이 유지한 수분인 것으로 생각하고, 이하의 수학식 4에 의해 각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수분 유지력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1
이어서 상기한 샤알레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으로 이동시키고, 마찬가지로 평형에 이르는 것을 기다려서, 그 환경하에서의 수분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샤알레를 재차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으로 이동시키고, 수분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추가로 이 두 환경하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를 도 2에 도시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환경하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와 보통지의 컬 발생에 어떠한 상관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상기에 검토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보통지에 도포하고, 컬의 발생을 조사한 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인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이 컬을 현저히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추가로 색재와 첨가제와 이들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여 잉크젯 기록을 행하여, 컬의 발생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인자 후, 상온에서 며칠이 경과한 후에도 컬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 수분 유지력이 5 % 이상인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다.
그러나, 수용성 유기 화합물 1만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로 구성된 잉크를, 노즐로부터 액적을 토출시키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 장착한 상태에서 이 헤드를 잉크젯 인쇄 장치에 탑재하고, 장기간 방치한 경우, 노즐 폐색 등에 의해 토출 안정성이 열화하거나, 저온, 저습 환경하에서 인쇄 개시시의 인자 개시 부분이 흐트러진다는 새로운 과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컬을 일정 이상 억제하면서, 종래의 잉크젯용 잉크와 동일한 수준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한층 더 검토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잉크젯용 잉크에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에 더해,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보다 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이하의 수학식 I 및 수학식 II의 조건을 충족하는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 었다.
<수학식 I>
0<Y/X≤0.9
<수학식 II>
X+Y≥15 질량%
(X: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Y: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함유량(%))
또한, 본 발명의 검토에 의하면, 잉크의 부여량이 많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3.0 g/㎡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한 조건 이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를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으로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은 아미드 결합을 갖는 다가 알코올, 또는 술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잉크에서 통상 사용하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에 해당한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수분 유지력의 차가 크고, 수분이 부여된 기록 매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분을 방출하기 쉬우며,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축을 증진시킨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분자량이 100 이하로 작은 것이 많고, 기록 매체 중에서 수분과 함께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에 머무르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기록 매체 중에서 서서히 이동하여 컬을 진행시킨다. 따라서, 잉크젯용 잉크에서 통상 사용하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포함하는 잉크를 보통지에 다량으로 부여한 경우의 컬은 꽤 커진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잉크젯용 잉크가 컬을 진행시키는 성질을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함유하고 있어도, 추가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을 함유하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과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함유량의 비율 Y/X를 수학식 I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0<Y/X≤0.9로 함으로써, 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토출 안정성도 더욱 양호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과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합계 함유량 X+Y(%)가 X+Y≥15 질량%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종이에 잉크를 부여한 경우, 특히 단기적인 수분의 증발, 이동에 따른 종이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해서, 잉크젯용 잉크 중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을 늘림으로써, 상대적으로 수분량을 줄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에 부여한 잉크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즉 수용성 유기 화합물 1과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총량이 15 질량% 이상 필요하다고 추찰하고 있다.
또한, 상기 X+Y는 X+Y≥20 질량%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X+Y≥25 질량%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합계 함유량 X+Y(%)를 크게 한 잉크를 제조하여 컬의 상태를 관찰한 바, 상기 X+Y가 커지면, 인자 후 단기간에 발생하는 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상기 X+Y가 X+Y≥25 질 량%인 경우, 인자 후 단시간에 발생하는 컬을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시켰다.
또한, 물의 함유량은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77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함유량 Y(%)는 Y<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컬을 진행시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잉크 중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컬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잉크젯용 잉크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도, 수용성 유기 화합물 2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을 이동시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컬 억제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기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의해서도 기록 매체, 특히 보통지에서의 인자 후 컬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후에 양호한 토출 안정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사용하여 더욱 검토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중에서도 특정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각각 1종 이상 잉크젯용 잉크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 량에 대한 함유량 X1(%), X2(%) 및 Y1(%)이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수학식 1>
0.1≤(X2+Y1)/X1≤2.5
<수학식 2>
10 질량%≤X1+X2
<수학식 3>
3 질량%≤X2+Y1
(X1: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의 함유량(%), X2: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함유량(%), Y1: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
본 실시 양태에서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작용에 대해서 후술한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000의 범위에 있는, 수용성의 다가 알코올 또는 수용성의 아미드 화합물이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은 분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 사이 에 들어가기 어려워, 인자 후의 비교적 단시간에 발생하는 컬에는 효과가 작지만, 일단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 들어가면, 이동을 일으키기 어렵다. 이는, 적절한 수분 유지력이 있고, 필요 이상으로 수분을 저장하기 어려우며, 복수 개소,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수소 결합하기 쉬운 부위를 분자 중에 가져, 셀룰로오스 섬유와 친화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트리올류와 같이 3개 이상의 -OH기를, 당류와 같이 2개 이상의 -OH기와 카르보닐기를,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와 같이 2개 이상의 -OH기와 아미드 결합을,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과 같이 2개 이상의 -OH기와 술폰기를, 테트라에틸렌글리콜과 같이 2개 이상의 -OH기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에테르 결합기를 가지고 있다. 추가로 분자 크기가 크고, 물과 함께 이동하기 어려운 것 등의 복수개의 요인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100 이상이고, 분자 양쪽 말단에 -OH기를 2개, 분자 내에 에테르 결합을 1개 가지고 있지만, 컬 억제 효과는 작다. 이는 필시 에테르 결합 1개만으로는 -OH기 1개에 비해 친수성(수소 결합성)이 낮은 것, 및 수용액 중에서는 에테르 결합과 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분자는 절곡된 상태가 되어, 분자 크기가 작아진 것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분자 내에 에테르 결합을 갖는 디올로 컬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에테르 결합이 3개 이상 필요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50의 범위에 있고, -OH기를 주쇄 양쪽 말단에 갖는 수용성의 알칸디올이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작용은 인자 후의 비교적 단시간(인자 후 수 시간)에 발생하는 컬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는 인자 후에 비교적 단시간에 발생하는 컬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만, 그것보다도 긴 시간 영역(5, 6 시간 내지 수주간)에서 발생하는 컬에 대해서는 효과가 작다. 그 이유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가 분자량 100 내지 150 이하이고 -OH기를 주쇄 양쪽 말단에 갖는 알칸디올이기 때문에, 에테르 결합 등의 친수 결합을 분자 내에 갖지 않고, 분자가 절곡되지 않아 비교적 분자 크기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자 내부의 구조는 친유성이며, 분자 말단은 친수성이라는 구조로부터 계면활성적인 성질을 가지므로,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빨리 누설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절한 분자 크기이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 사이에 들어가기 쉬워, 단시간에 발생하는 컬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섬유와 친화성을 갖는 -OH기가 적기 때문에, 장시간에는 이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들 수용성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함유시키는 것보다도, 컬을 인자 후의 단시간에서 장시간까지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혼화성이 양호하여,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와 함께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이 효과적으로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인자 후의 단시간에서 장기간까지 컬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합계 함유량이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25 질량%보다 적은 경우, 또는 물의 함유량이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71 질량%보다 많은 경우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단시간에 컬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상기 조건에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가 함유되어 있는 잉크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잉크에서는, 인자 후 비교적 단시간에 일어나는 컬 현상의 차가 현저히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함유하는 잉크젯용 잉크는 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젯용 잉크로서의 토출 안정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은 착색제, 수용성 유기 용제 1-1 및 수용성 유기 용제 1-2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 능력의 차가 36 %보다 큰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찰된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적인 성질을 가지며, 착색제와의 혼화성이 낮기 때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가 다른 성분보다 높은 농도로 잉크젯 노즐 부근에 존재한다. 이 때문 에 노즐 부근에서의 수분 증발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착색제와의 혼화성이 양호하고, 수분 유지력이 더욱 높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노즐 내부의 점도 상승이 억제되고, 토출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잉크젯용 잉크가 컬을 진행시키는 성질을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함유하고 있어도, 추가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함유하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의 비율 (X2+Y1)/X1을 수학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1≤(X2+Y1)/X1≤2.5로 함으로써, 인자 후 단시간에서 장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컬을 억제할 수 있고, 토출 안정성도 더욱 양호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검토에 의하면, 잉크의 부여량이 많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3.0 g/㎡보다 많은 경우에 컬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조건 이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과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합계 함유량 X1+X2(%)가 X1+X2≥10 질량%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토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조건 이외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와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합계 함유량 X2+Y1가 X2+Y1≥3 질량%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물의 함유량은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77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 Y1(%)은 Y1<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은 컬을 진행시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잉크 중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컬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잉크젯용 잉크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도,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이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를 이동시키고,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컬 억제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수학식 1 내지 3에 추가로 이하의 (A) 내지 (F)의 조건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2≤(X2+Y1)/X1≤2.0, X1+X2≥13 질량% 및 X1+X2+Y1≥15 질량%
(B)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2≤(X2+Y1)/X1≤1.5
(C)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2≤(X2+Y1)/X1≤1.5, 0 질량%<Y1≤11 질량% 및 X1+X2+Y1≥20 질량%
(D)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2≤(X2+Y1)/X1≤1.5 및 X1+X2+Y1≥25 질량%
(E)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2≤(X2+Y1)/X1≤1.0, X1+X2≥13 질량% 및 X1+X2+Y1≥20 질량%
(F) X1, X2 및 Y1이 추가로 이하의 수학식을 충족한다.
0<Y1/(X1+X2)≤0.9
[잉크젯용 잉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잉크를 구성하는 성분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이하에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수용성 유기 화합물 2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구체예
에틸렌옥시드 변성 글리세린트리아크릴산에스테르(에틸렌옥시드 부가수 6 내지 30),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에틸렌옥시드 변성 아크릴산에스테르(에틸렌옥시드 부가수 8 내지 40) 등 폴리에틸렌글리콜 골격을 갖고 -OH기 이외의 친수성의 결합기를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의 구체예
평균 분자량 200(주성분 테트라에틸렌글리콜), 300(주성분 헥사에틸렌글리콜), 400(주성분 노나에틸렌글리콜), 600(주성분 트리데카에틸렌글리콜), 1000(주성분 도코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 글루코스, 소르비톨,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 테트라-(2-히드록시에틸)-페닐디아미드 등의 카르보닐기, 술폰기, 아미드기 등 수소 결합성을 갖는 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화합물. 그 중에서도 특히 평균 분자량 2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구체예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디올 등,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탄소 주쇄 양쪽 말단에 -OH기를 갖는 알칸디올. 그 중에서도 특히 1,6-헥산디올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유기 화합물 2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구체예
우레아, 에틸렌글리콜, 2-피롤리돈, 에틸렌 우레아,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탄소수가 적은 친수성의 기를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그 중에서도 특히 우레아, 2-피롤리돈, 에틸렌 우레아,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중 1종 이상이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는 분자의 회합을 방지하는 성능을 갖기 때문에, 다른 수용성 유기 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이 필수인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회합을 방지한다. 특히, 잉크젯 기록 방법에 사용하는 잉크의 경우, 폐색 방지, 염료 용해성이라는 성능을 보다 도출하기 쉬워, 컬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토출 안정성, 신뢰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로서, N,N'-비스-(2-히드록시에틸)-우레아 또는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소수 5 이상의 디올 또는 트리올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5 이상의 디올 또는 트리올 중에서도 특히 1,6-헥산디올, 1,2,6-헥산트리올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상술한 분자의 회합을 방지하는 성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특히 우수한 컬 억제 효과 및 토출 안정성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로 분류되는 것은 잉크 중에 첨가하면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고, 첨가량을 늘리면 컬은 개선되지만, 특히 토출 안정성 중 스타트업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또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중 1종 이상이 분자 내에 술폰 결합을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비스히드록시에틸술폰은 다른 성분과 병용되는 경우, 이들 다른 성분과 물의 용매화를 일으키기 어렵고, 점 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특히 잉크젯 기록 방법에 사용하는 잉크의 경우, 토출 안정성 중 스타트업성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우레아, 에틸렌 우레아 등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은 분자량이 작고, 첨가량을 많이 하여도 점도가 높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우레아, 에틸렌 우레아 등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은 수용성 유기 용제 또는 염료 등의 수용성을 나타내는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의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의 에틸렌 우레아의 수분 유지력의 측정 결과(환경에 의한 차)는 염료와 함께 사용하여 측정을 행했을 때의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아미드 결합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분자량 분포를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분자량은 하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한 평균 분자량으로 하였다.
(1) JIS 핸드북 화학 분석 K0118, K0123에 준하여, 질량 스펙트럼 측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GC-MS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LC-MS법)을 행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2)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JIS 핸드북 화학 분석 K0124에 준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으로부터 평균 분자량을 구하여 분자량으로 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외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여 분자량으로 하였다.
(3) NMR법, 적외선 분석법, 원소 분석법 등으로부터 수용성 유기 화합물의 구조를 특정하여 분자량을 구하였다.
(착색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사용되는 착색제로는 수용성 염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염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료로는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상을 갖는 음이온성의 수용성 염료를 들 수 있다. 음이온성의 수용성 염료는 컬러 인덱스(COLOUR INDEX)에 기재되어 있는 산성 염료, 직접 염료, 반응성 염료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컬러 인덱스에 기재되지 않은 염료라도, 음이온성기, 예를 들면 술폰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 염료는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질량%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이외의 염료도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용화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염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H에 대하여 용해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염료가 바람직하다. 이들 염료는 잉크 중에 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질량%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염료를 컬러 인덱스(C.I.) 번호로써 나타내면,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하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I. 다이렉트 옐로우: 8, 11, 12, 27, 28, 33, 39, 44, 50, 58, 85, 86, 87, 88, 98, 100, 110
C.I. 다이렉트 레드: 2, 4, 9, 11, 20, 23, 24, 31, 39, 46, 62, 75, 79, 80, 83, 89, 95, 197, 201, 218, 220, 224, 225, 226, 227, 228, 230
C.I. 다이렉트 블루: 1, 15, 22, 25, 41, 76, 77, 80, 86, 90, 98, 106, 108, 120, 158, 163, 168, 199, 226
C.I. 애시드 옐로우: 1, 3, 7, 11, 17, 23, 25, 29, 36, 38, 40, 42, 44, 76, 98, 99
C.I. 애시드 레드: 6, 8, 9, 13, 14, 18, 26, 27, 32, 35, 42, 51, 52, 80, 83, 87, 89, 92, 94, 106, 114, 115, 133, 134, 145, 158, 198, 249, 265, 289
C.I. 애시드 블루: 1, 7, 9, 15, 22, 23, 25, 29, 40, 43, 59, 62, 74, 78, 80, 90, 100, 102, 104, 117, 127, 138, 158, 161
C.I. 다이렉트 블랙: 17, 19, 22, 31, 32, 51, 62, 71, 74, 112, 113, 154, 168
C.I. 애시드 블랙: 2, 48, 51, 52, 110, 115, 156
C.I. 리액티브 블랙: 1, 8, 12, 13
C.I. 푸드 블랙: 1, 2
(안료)
이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이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는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질량%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카본 블랙
카본 블랙의 구체예는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램프 블랙(lamp black),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channel black) 등의 카본 블랙 안료로, 예를 들면 레이븐(Raven) 7000, 레이븐 5750, 레이븐 5250, 레이븐 5000, 레이븐 3500, 레이븐 2000, 레이븐 1500, 레이븐 1250, 레이븐 1200, 레이븐 1190 울트라-II, 레이븐 1170, 레이븐 1255(이상, 콜롬비아사 제조), 블랙 펄스(Black Pearls) L, 리걸(Regal) 400R, 리걸 330R, 리걸 660R, 모굴 (Mogul) L, 모나크(Monarch) 700, 모나크 800, 모나크 880, 모나크 900, 모나크 1000, 모나크 1100, 모나크 1300, 모나크 1400, 발칸(Valcan) XC-72R(이상, 캐보트사 제조), 컬러 블랙(Color Black) FW1, 컬러 블랙 FW2, 컬러 블랙 FW2V, 컬러 블랙 FW18, 컬러 블랙 FW200, 컬러 블랙 S150, 컬러 블랙 S160, 컬러 블랙 S170, 프린텍스(Printex) 35, 프린텍스 U, 프린텍스 V, 프린텍스 140U, 프린텍스 140V, 스페셜 블랙(Special Black) 6, 스페셜 블랙 5, 스페셜 블랙 4A, 스페셜 블랙 4(이상, 데구사사 제조), No. 25, No. 33, No. 40, No. 47, No. 52, No. 900, No. 2300, MCF-88, MA600, MA7, MA8, MA100(이상, 미쯔비시 가가꾸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그네타이트,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 미립자나 티탄 블랙 등을 흑색 안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안료
유기 안료의 구체예는, 톨루이딘 레드, 톨루이딘 머룬(Toluidine Maroon), 한사 옐로우(Hansa Yellow), 벤지딘 옐로우, 피라졸론 레드 등의 불용성 아조 안료, 리톨 레드, 헬리오 보르도(Helio Bordeaux), 피그먼트 스칼렛, 퍼머넌트 레드 2B 등의 가용성 아조 안료, 알리자린, 인단트론, 티오인디고 머룬 등의 건염 염료 로부터의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퀴나크리돈 마젠타 등의 퀴나크리돈계 안료, 페릴렌 레드, 페릴렌 스칼렛 등의 페릴렌계 안료,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이소인돌리논 오렌지 등의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벤즈이미다졸론 옐로우, 벤즈이미다졸론 오렌지, 벤즈이미다졸론 레드 등의 이미다졸론계 안료, 피란트론 레드, 피란트론 오렌지 등의 피란트론계 안료, 티오인디고계 안료, 축합 아조계 안료, 프라반트론 옐로우(Flavanthrone Yellow), 아실아미드 옐로우, 퀴노프타론 옐로우, 니켈아조 옐로우, 구리 아조메틴 옐로우, 페리논 오렌지, 안트론 오렌지, 디안트라퀴노닐 레드, 디옥사딘 바이올렛 등의 그 밖의 안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안료를 컬러 인덱스(C.I.) 번호로써 나타내면,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하기 이외에도 종래 공지된 유기 안료가 사용 가능하다.
C.I. 피그먼트 옐로우: 12, 13, 14, 17, 20, 24, 74, 83, 86, 93, 109, 110, 117, 120, 125, 128, 137, 138, 147, 148, 151, 153, 154, 166, 168
C.I. 피그먼트 오렌지: 16, 36, 43, 51, 55, 59, 61
C.I. 피그먼트 레드: 9, 48, 49, 52, 53, 57, 97, 122, 123, 149, 168, 175, 176, 177, 180, 192, 215,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38, 240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23, 29, 30, 37, 40, 50
C.I. 피그먼트 블루: 15, 15:1, 15:3, 15:4, 15:6, 22, 60, 64
C.I. 피그먼트 그린: 7, 36
C.I. 피그먼트 브라운: 23, 25, 26
·분산제
상기한 카본 블랙이나 유기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산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음이온성기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한 안료를 수성 매체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산제의 구체예에는,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하프에스테르(half-ester) 공중합체, 비닐나프탈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나프탈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말레산 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 분산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00 내지 15,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분산형 안료
색재로서, 안료 표면에 이온성기(음이온성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분산제없이 도 수성 매체에 분산시킬 수 있는 안료, 소위 자기 분산형 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안료로는, 예를 들면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을 들 수 있다.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은, 예를 들면 음이온성기가 카본 블랙 표면에 결합한 음이온성 카본 블랙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카본 블랙
음이온성 카본 블랙은 카본 블랙의 표면에, 예를 들면 -COOM, -SO3M, -PO3HM, -PO3M2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음이온성기를 결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 특히 -COOM이나 -SO3M을 카본 블랙 표면에 결합하여 음이온성으로 대전시킨 카본 블랙은 잉크 중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친수성기 중 "M"으로 나타낸 것 중, 알칼리 금속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Li, Na, K, Rb 및 Cs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기 암모늄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에틸암모늄, 디에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메탄올암모늄, 디메탄올암모늄, 트리메탄올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M을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으로 한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잉크는 기록 화상의 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이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잉크가 기록 매체 상에 부여되면, 암모늄이 분해되고, 암모니아가 증발하는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M을 암모늄으로 한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은, 예를 들면 M이 알칼리 금속인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을 이온 교환법을 이용하여 M을 암모늄으로 치환하는 방법이나, 산을 첨가하여 H형으로 한 후에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M을 암모늄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카본 블랙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을 차아염소산소다로 산화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이 방법에 의해서 카본 블랙 표면에 -COONa기를 화학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친수성기를 카본 블랙의 표면에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원자단을 카본 블랙 표면과 상기 친수성기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친수성기를 카본 블랙 표면에 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원자단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미치환된 페닐렌기, 치환 또는 미치환된 나프틸렌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페닐렌기 및 나프틸렌기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원자단과 친수성기의 조합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C2H4COOM, -Ph-SO3M, -Ph-COOM 등(단, Ph는 페닐렌기를 나타냄)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한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 중에서 2종 또는 그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잉크의 색재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잉크 중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의 첨가량은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0.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특히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은 잉크 중에서 충분한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의 색조의 조정 등을 목적하여, 자기 분산형 카본 블랙에 추가로 염료를 색재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착색 미립자/마이크로 캡슐화 안료
색재로서 상기한 것 이외에 중합체 등으로 마이크로 캡슐화한 안료나 수지 입자의 주위를 색재로 피복한 착색 미립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래 마이크로 캡슐은 수성 매체에 대한 분산성을 갖지만, 분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제를 추가로 잉크 중에 공존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착색 미립자를 색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음이온계 분산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매체)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첨가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물,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제의 혼합 용매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유기 용제의 구체예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 또는 케토알코올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티오디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기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글리콜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또는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의 저급알킬에테르류;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 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수용성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은 탈이온수(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잉크에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보습제를 첨가하는 것은 물론, 원하는 물성값을 갖기 위해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방부제, 방미제(防黴劑),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물성)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잉크의 물성으로서 바람직한 범위는 25 ℃ 부근에서, pH는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표면 장력은 10 내지 60 dyn/c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dyn/cm이고, 점도는 1 내지 30 cps,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cps이다.
[잉크젯 인쇄 장치]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잉크젯 기록을 행할 때에 컬을 완화, 억제하고, 토출 안정성이 우수한 기록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상기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잉크 수용부와, 상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록 유닛, 및 상기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잉크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젯 인쇄 장치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데에 바람직한 인쇄 장치는 잉크가 수용되는 잉크 수용부를 갖는 기록 헤드 내부의 잉크에 기록 신호에 대응한 열적 또는 역학적 에너지를 제공하고, 상기 에너지에 의해 잉크 액적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3에, 이 헤드를 조립한 잉크젯 인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서, 61은 와이핑 부재로서의 블레이드이고, 그 일부분은 블레이드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되어, 고정단이 되어 캔틸레버의 형태를 이룬다. 블레이드 (61)은 기록 헤드에 의한 기록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한 예의 경우는, 기록 헤드의 이동 경로 중에 돌출된 형태로 유지된다. 62는 캡이고, 블레이드 (61)에 인접하는 홈(home) 위치에 배치되며, 기록 헤드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면과 접촉하여 헤드의 캡핑을 행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도 3 중 63은 블레이드 (6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잉크 흡수체이고, 블레이드 (61)과 마찬가지로 기록 헤드의 이동 경로 중에 돌출된 형태로 유지된다.
상기 블레이드 (61), 캡 (62), 흡수체 (63)에 의해서 토출 회복부 (64)가 구성되고, 블레이드 (61) 및 흡수체 (63)에 의해서 잉크 토출구면의 수분, 쓰레기나 먼지 등의 제거가 행해진다. 65는 토출 에너지 발생 수단을 갖고, 토출구를 배치한 토출구면에 대향하는 피기록재에 잉크를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기록 헤드이고, 66은 기록 헤드 (65)를 탑재하여 기록 헤드 (65)의 이동을 행하기 위한 캐리지이다. 캐리지 (66)은 가이드축 (67)과 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캐리지 (66)의 일부는 모터 (68)에 의해서 구동되는 벨트 (69)와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리 지 (66)은 가이드축 (67)에 따른 이동이 가능해지고, 기록 헤드 (65)에 의해 기록 영역 및 그 인접한 영역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51은 피기록재를 삽입하기 위한 급지부, 52는 도시되지 않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종이 이송 롤러이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기록 헤드의 토출구면과 대향하는 위치로 피기록재가 급지되고, 기록이 진행됨에 따라서, 배지 롤러 (53)을 배치한 종이 배출부로 배지된다.
상기 구성에서, 기록 헤드 (65)가 기록 종료 등으로 홈 위치로 되돌아갈 때, 헤드 회복부 (64)의 캡 (62)는 기록 헤드 (65)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고 있지만, 블레이드 (61)은 이동 경로 중에 돌출되어 있다. 그 결과, 기록 헤드 (65)의 토출구면이 와이핑된다. 또한, 캡 (62)가 기록 헤드 (65)의 토출면에 접촉하여 캡핑을 행하는 경우, 캡 (62)는 기록 헤드의 이동 경로 중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한다.
기록 헤드 (65)가 홈 위치에서 기록 개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캡 (62) 및 블레이드 (61)은 상기한 와이핑시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결과, 이 이동에서도, 기록 헤드 (65)의 토출구면은 와이핑된다. 상기한 기록 헤드의 홈 위치에의 이동은 기록 종료시나 토출 회복시 뿐만 아니라, 기록 헤드가 기록을 위해 기록 영역을 이동하는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기록 영역에 인접한 홈 위치로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핑이 행해진다.
도 4는 헤드에 잉크 공급 부재, 예를 들면 튜브를 개재시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 (45)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40은 공급용 잉크를 수납한 잉크 수용부, 예를 들면 잉크 주머니이고, 그 앞에는 고무제의 마개 (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개 (42)에 바늘(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함으로써, 잉크 주머니 (40) 중의 잉크를 헤드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44는 폐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흡수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젯 인쇄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헤드와 잉크 카트리지가 분리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이 일체로 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5에서 70은 기록 유닛이며, 이 중에는 잉크를 수용한 잉크 수용부, 예를 들면 잉크 흡수체가 수납되어 있고, 이러한 잉크 흡수체 중의 잉크가 복수개의 오리피스를 갖는 헤드부 (71)에서 잉크 방울로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72는 기록 유닛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대기 연통구이다. 이 기록 유닛 (7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기록 헤드 (65) 대신에 사용되는 것이며, 캐리지 (66)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6에, 상술한 잉크젯 인쇄 장치에 탑재 가능한 잉크젯 카트리지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본 예에서의 카트리지 (1012)는 직렬 형태이고, 잉크젯 기록 헤드 (100)과, 잉크 등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탱크 (1001)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 (100)에는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토출구 (832)가 형성되어 있고, 잉크 등의 액체는 액체 탱크 (1001)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액체 공급통로를 거쳐 액체 토출 헤드 (100)의 공통 액실로 유도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카트리지 (1012)는 잉크젯 기록 헤드 (100)과 액체 탱크 (1001)을 일체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서 액체 탱크 (1001) 내에 액체를 보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이 액체 토출 헤드 (100)에 대하여, 액체 탱크 (1001)을 교환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어서지 않는 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어떤식으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 "부",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10, 비교예 1 내지 4, 참고예 1]
(잉크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라서 각 성분을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세공 크기 0.2 ㎛의 막 필터로 가압 여과하여 잉크 1 내지 10, 비교 잉크 1 내지 4, 참고 잉크 1을 제조하였다. 또한, 참고 잉크 1은 수용성 유기 화합물 1만을 함유한 잉크이다. 또한, 하기 표 2에 X 및 Y, 및 X+Y, Y/X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2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3
(컬의 평가)
기록 신호에 따른 열 에너지를 잉크에 부여함으로써 잉크를 토출시키는 온디맨드형(on-demand) 멀티 기록 헤드를 갖는 잉크젯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잉크를 기록 매체에 부여하였다. 또한, 사용한 잉크젯 인쇄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것이고, 1 도트당 토출량이 2.8 pL, 2400×1200 dpi의 기록 밀도를 가지며, 구동 조건은 구동 주파수 10 kHz의 장치를 사용하여, 인자능(printing duty)이 100 %가 되도록 인자하였다. 또한, 인자는 인자 영역을 2회의 주사로 행하는 2패스 인자(2-pass printing)를 행하였다. 기록 매체는 A4 크기의 PPC 용지(캐논제)를 사용하였다. 이들 기록 조건은 실시예 및 비교예, 참고예 모두 동일하다.
·컬 평가 방법
인자물을 온도 24 ℃, 습도 50 %의 환경에서, 1 시간, 1일, 4일, 7일간 방치한 후, 컬량을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다. 인자물인 종이가 오목한 방향으로 컬된 경우를 +(플러스컬), 볼록한 방향으로 컬된 경우를 -(마이너스컬)라 하고, 컬된 종이의 선단에서 종이의 접지면까지의 거리를 정규로 측정하였다. 컬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컬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AA: ± 10 mm 이내
A: ± 10 mm보다 크고, ± 25 mm 이내
B: ± 25 mm보다 크고, ± 40 mm 이내
C: 종이의 선단이 지면(紙面)내측으로 뒤틀린 상태
D: 종이의 선단이 지면내측으로 둥글게 된 상태
(토출 안정성의 평가)
기록 신호에 따른 열 에너지를 잉크에 부여함으로써 잉크를 토출시키는 온디맨드형 멀티 기록 헤드를 갖는 잉크젯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잉크를 기록 매체에 부여하였다. 또한, 사용한 잉크젯 인쇄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것이고, 1 도트당 토출량이 2.8 pL, 2400×1200 dpi의 기록 밀도를 갖고, 구동 조건은 구동 주파수 10 kHz의 장치를 사용하며, 인자능이 100 %가 되도록 인자하였다. 또한, 인자는 인자 영역을 2회의 주사로 행하는 2패스 인자를 행하였다. 기록 매체는 A4 크기의 PPC 용지(캐논제)를 사용하였다. 이들 기록 조건은 실시예 및 비교예, 참고예 모두 동일하다.
·토출 안정성 1(헤드 방치 후의 토출 안정성) 평가 방법
잉크의 토출 안정성의 평가로서, 노즐 폐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상기한 잉크를 헤드에 셋팅하여 1개월간 방치한 후에 인자하여 화상의 흐트러짐, 비백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를 확인하였다. 토출 안정성 1(헤드 방치 후의 토출 안정성)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비백이 없음
B: 약간 비백이 있지만, 실질상 문제가 없는 수준
C: 비백이 있고, 화상에 문제가 있는 수준
D: 토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토출 안정성 2(스타트업 특성) 평가 방법
잉크의 토출 안정성의 평가로서, 인자 개시시에 인자 개시 부분의 흐트러짐, 비백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를, 환경 1: 상온 및 상습, 및 환경 2: 온도 15 ℃, 습도 10 %에서 확인하였다. 토출 안정성 2(스타트업 특성)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비백이 없음
B: 비백이 없고, 약간 화상이 흐트러져 있지만, 실질상 문제가 없는 수준
C: 인자 개시 부분에 비백, 화상에 문제가 있는 수준
D: 인자 개시 부분에 크게 비백이 있음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4
[실시예 11 내지 19, 비교예 5 및 6]
(잉크의 제조)
하기 표 4에 따라서 각 성분을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세공 크기 0.2 ㎛의 막 필터로 가압 여과하여 잉크 11 내지 19, 비교 잉크 5 및 6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5에 X1, X2, Y1, 및 X1+X2, X2+Y1, X1+X2+Y1, Y1/X, (X2+Y1)/X1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5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6
(컬의 평가)
컬 평가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토출 안정성의 평가)
토출 안정성 1(헤드 방치 후의 토출 안정성)의 평가 방법, 및 토출 안정성 2(스타트업 특성)의 평가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66732161-PCT00007
이 출원은 2004년 3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4-075391호, 2004년 3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4-075392호, 2004년 10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4-289652호 및 2005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5-072040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적어도 물, 착색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가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10 질량% 이상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의 함유량 X(%) 및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Y(%)가 하기 수학식 I 및 수학식 II의 관계를 충족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인, 보수성이 있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는 착색제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잉크.
    <수학식 I>
    0<Y/X≤0.9
    <수학식 II>
    X+Y≥15 질량%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이 아미드 결합을 갖는 다가 알코올인 잉크젯용 잉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이 술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인 잉크젯용 잉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 및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의 합계 X+Y가 X+Y≥20 질량%인 잉크젯용 잉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X+Y가 X+Y≥25 질량%인 잉크젯용 잉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이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77 질량% 이하인 잉크젯용 잉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유량(%)이 71 질량% 이하인 잉크젯용 잉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의 함유량 Y(%)가 Y<15 질량%이고, 상기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잉크젯용 잉크.
  9. 적어도 물, 착색제를 포함하고, 추가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X1(%),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X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 Y1(%)이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관계를 충족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은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000의 범위에 있는 수용성의 다가 알코올 또는 수용성의 아미드 화합물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는 온도 23 ℃, 습도 45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과 온도 30 ℃, 습도 80 %의 환경에서의 수분 유지력의 차가 36 % 이하이며, 분자량 Mw가 100≤Mw≤150의 범위에 있고, 추가로 -OH기를 주쇄 양쪽 말단에 갖는 수용성의 알칸디올이며,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은 착색제,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이외의 수용성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잉크.
    <수학식 1>
    0.1≤(X2+Y1)/X1≤2.5
    <수학식 2>
    X1+X2≥10 질량%
    <수학식 3>
    X2+Y1≥3 질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이 아미드 결합을 갖는 다가 알코올인 잉크젯용 잉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이 술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인 잉크젯용 잉크.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 및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의 합계 X1+X2+Y1이 X1+X2+Y1≥20 질량%인 잉크젯용 잉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X1+X2+Y1이 X1+X2+Y1≥25 질량%인 잉크젯용 잉크.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1의 함유량 X1(%),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1-2의 함유량 X2(%) 및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 Y1(%)이 추가로 하기 수학식 4의 관계를 충족하는 잉크젯용 잉크.
    <수학식 4>
    0<Y1/(X1+X2)≤0.9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이 잉크젯용 잉크 전체량에 대하여 77 질량% 이하인 잉크젯용 잉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유량(%)이 71 질량% 이하인 잉크젯용 잉크.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화합물 2-1의 함유량 Y1(%)이 Y1<15 질량%이고, 상기 수분 유지력의 차가 40 % 이상인 잉크젯용 잉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부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가 탑재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
KR1020067018972A 2004-03-16 2005-03-16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KR100864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5392 2004-03-16
JPJP-P-2004-00075391 2004-03-16
JP2004075391 2004-03-16
JP2004075392 2004-03-16
JPJP-P-2004-00289652 2004-10-01
JP2004289652A JP4681844B2 (ja) 2004-10-01 2004-10-01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タンク、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JP-P-2005-00072040 2005-03-14
JP2005072040A JP4981261B2 (ja) 2004-03-16 2005-03-14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774A true KR20060123774A (ko) 2006-12-04
KR100864548B1 KR100864548B1 (ko) 2008-10-20

Family

ID=3497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972A KR100864548B1 (ko) 2004-03-16 2005-03-16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97194B2 (ko)
EP (1) EP1728836B1 (ko)
KR (1) KR100864548B1 (ko)
CN (1) CN1930253B (ko)
BR (1) BRPI0507723A (ko)
WO (1) WO2005087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4461C (zh) 2004-03-26 2009-12-02 佳能株式会社 活性能量射线固化型水性油墨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喷墨记录方法、墨盒、记录单元和喷墨记录装置
WO2005092993A1 (ja) 2004-03-26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水性インク、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05097923A1 (ja) * 2004-04-08 2005-10-20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05097922A1 (ja) * 2004-04-08 2005-10-20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031369B2 (ja) 2004-09-08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覆微粒子、分散微粒子、被覆微粒子の製造方法、インク、記録方法及び記録画像
EP1792960A1 (en) * 2004-09-08 2007-06-06 Canon Kabushiki Kaisha Pigment, method for producing pigment, pigment dispersion, method for producing pigment dispersion, recording ink,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image
JPWO2006028285A1 (ja) * 2004-09-08 2008-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顔料結晶製造段階における中間化学物質、それを用いた顔料結晶製造方法、顔料結晶体
EP1967558B2 (en) 2005-11-16 2015-05-06 Seiko Epson Corporation Magenta ink composition, ink cartridge, and recording system and recorded matter using the same
CN101341221B (zh) * 2006-03-09 2011-07-27 佳能株式会社 颜料墨、成套墨、喷墨记录法、墨盒、记录单元、喷墨记录设备和图像形成方法
WO2007102620A1 (ja) * 2006-03-09 2007-09-13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254502A (ja) * 2006-03-20 2007-10-04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013051B2 (en) 2007-02-09 2011-09-0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mage forming method,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918928B2 (en) 2007-02-09 2011-04-05 Canon Kabushiki Kaisha Pigment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8124791B2 (en) 2007-03-29 2012-02-28 Canon Kabushiki Kaisha Active energy ray curable liquid composition and liquid cartridge
WO2008123478A1 (en) * 2007-03-29 2008-10-16 Canon Kabushiki Kaisha Active energy ray curable liquid composition and liquid cartridge
US7618484B2 (en) * 2007-05-01 2009-11-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5459573B2 (ja) * 2007-05-14 2014-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
JP5383238B2 (ja) * 2008-03-19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68696B2 (ja) * 2008-03-19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596776B2 (en) * 2008-04-28 2013-12-03 Kao Corporation Aqueous ink for inkjet recording
JP2009299050A (ja) * 2008-05-14 2009-12-2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セ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5995396B2 (ja) 2008-08-08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517515B2 (ja) 2008-08-08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328922B2 (en) * 2008-12-29 2012-12-11 Pitney Bowes Inc. Postal blue ink with high reliability
JP5375107B2 (ja) 2009-01-09 2013-12-2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物
JP5387037B2 (ja) 2009-02-23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10248477A (ja) * 2009-03-25 2010-11-04 Seiko Epson Corp インク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記録物
US8282725B2 (en) * 2009-04-22 2012-10-09 Canon Kabushiki Kaisha Self-dispersion pigment, production process of self-dispersion pigment, ink set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5451556B2 (ja) * 2009-09-18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色素化合物
JP2011116876A (ja) 2009-12-04 2011-06-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セ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8602544B2 (en) * 2009-12-11 2013-12-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ink cartridge,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CN102234454A (zh) * 2010-04-21 2011-11-09 株式会社东芝 水性颜料油墨
JP2011241384A (ja) 2010-04-22 2011-12-01 Canon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8845085B2 (en) 2011-12-02 2014-09-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method, and set of ink jet ink and liquid composition
US8939570B2 (en) 2011-12-02 2015-01-2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ink, ink cartridge,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polymer particle
US8871013B2 (en) 2012-04-13 2014-10-28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6128944B2 (ja) 2012-06-15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161434B2 (ja) * 2012-08-09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10253200B2 (en) 2015-01-23 2019-04-09 Canon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9574099B2 (en) 2015-01-26 2017-02-21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10065412B2 (en) 2015-06-1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JP6702818B2 (ja) 2015-08-07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水性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6833475B2 (ja) * 2015-12-28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10870770B2 (en) * 2017-07-0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10654288B2 (en) 2017-10-17 2020-05-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411A (en) * 1986-02-17 1989-02-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liquid
US4864324A (en) * 1986-08-13 1989-09-05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method and ink used therefor
DE68909630T2 (de) * 1988-02-09 1994-05-05 Canon Kk Aufzeichnungs-Flüssigkeit und Tintenstrahlverfahren unter Verwendung dieser Flüssigkeit.
US5135571A (en) * 1988-06-07 1992-08-0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liquid
JPH02191683A (ja) 1988-10-25 1990-07-27 Canon Inc 記録液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663303B2 (ja) * 1989-02-02 1997-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及び記録方法
JPH0778191B2 (ja) * 1989-02-02 1995-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及び記録方法
US5216437A (en) * 1989-02-02 1993-06-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and recording method making use of same
US5231417A (en) * 1989-02-02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process, device, apparatus and cartridge employing ink
US5135570A (en) * 1989-02-09 1992-08-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and recording process making use of it
JP2622173B2 (ja) * 1989-06-26 1997-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材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2668442B2 (ja) * 1989-08-04 1997-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942319B2 (ja) * 1989-09-19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246774A (en) * 1989-12-29 1993-09-21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medium and ink-jet recording method making use of it
US5248991A (en) * 1990-03-06 1993-09-28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recording process recording unit,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employing ink
US5141558A (en) * 1990-03-06 1992-08-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recording process, and instrument using the ink
US5190581A (en) * 1990-03-06 1993-03-02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strument employing the ink
US5220347A (en) * 1990-03-06 1993-06-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ink
US5221333A (en) * 1990-03-07 1993-06-22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j-jet recording process, and instrument using the ink
JP3005059B2 (ja) * 1990-03-07 2000-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機器
JP3060319B2 (ja) * 1990-03-09 2000-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686670B2 (ja) 1990-04-02 1997-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材
US5137778A (en) * 1990-06-09 1992-08-11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method employing the same
JP2948286B2 (ja) 1990-08-24 1999-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5258066A (en) * 1990-11-29 1993-11-02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ing halogenated alkanol with 2 to 4 carbon atoms,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5427611A (en) * 1991-08-12 1995-06-27 Canon Kabushiki Kaisha Normally solid recording material and jet recording method using same
US5250121A (en) 1991-09-26 1993-10-05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textile printing ink and ink-jet textile printing process
US5621447A (en) * 1991-10-25 1997-04-15 Canon Kabushiki Kaisha Jet recording method
US5680165A (en) 1991-10-25 1997-10-21 Canon Kabushiki Kaisha Jet recording method
JP3323565B2 (ja) * 1992-07-17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53399B2 (ja) * 1992-07-30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マル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602404B2 (ja) 1992-09-08 1997-04-2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水性インク組成物
EP0587164B1 (en) * 1992-09-10 1998-12-2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jet recording
EP0588316B1 (en) * 1992-09-17 1999-02-03 Canon Kabushiki Kaisha Set of ink-jet ink containing penetrants and recording apparatus
JP3431933B2 (ja) 1992-10-21 2003-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かかるインクを備えた記録機器
JPH06239014A (ja) * 1993-02-16 1994-08-30 Canon Inc 記録媒体
US5696182A (en) 1993-03-15 1997-12-09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recording process making use of the ink, and apparatus using the ink
JP3376002B2 (ja) * 1993-03-23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捺染された布帛および布帛の加工品
ATE181948T1 (de) * 1993-03-31 1999-07-15 Canon Kk Tinte,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unter verwendung derselben
JPH06287493A (ja) * 1993-04-07 1994-10-11 Canon Inc イ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装置
US5500023A (en) * 1993-04-21 1996-03-19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printing process, ink set for use in such process, and processed article obtained thereby
JP3416192B2 (ja) 1993-05-12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吐出安定化方法、記録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515093A (en) * 1993-06-25 1996-05-0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ing method and print medium for use in the method
DE69432675T2 (de) * 1993-07-09 2004-04-15 Canon K.K. Druckverfahren, Druck und durch diesem hergestellte Artikel
TW382635B (en) * 1993-12-20 2000-02-21 Canon Kk Liquid composition and ink set, and image-forming proces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A2138734C (en) * 1993-12-28 2000-11-14 Mamoru Sakaki Recording medium and image-forming method employing the same
JP3391922B2 (ja) * 1994-02-08 2003-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の製造方法、布帛の処理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US5614007A (en) * 1994-03-29 1997-03-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ation employing the same
US5700314A (en) 1994-03-30 1997-12-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and ink set and ink-jet machinery used therein
JP3591867B2 (ja) * 1994-04-08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及び該インクを用いた記録装置
JP3376169B2 (ja) * 1994-06-17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
US5618338A (en) * 1994-07-08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nk set and image-form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employ the same
JPH0881611A (ja) * 1994-07-11 1996-03-26 Canon Inc 液体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と装置
US5549740A (en) * 1994-07-11 1996-08-2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nk set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composition and ink set
JP3683946B2 (ja) * 1994-07-13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顔料インクセット、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84094B2 (ja) 1994-10-25 2004-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捺染方法及び捺染物
US5781216A (en) 1994-10-28 1998-07-1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printing cloth, textile printing method of the same and print resulting therefrom
JP3761940B2 (ja) * 1994-10-28 2006-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転写捺染方法、捺染物、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加工品
JP3542425B2 (ja) * 1994-11-17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分散インク、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および記録装置
US5792249A (en) * 1995-01-25 1998-08-11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nk set, image-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8267902A (ja) 1995-01-31 1996-10-15 Canon Inc 液体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と装置
US5835116A (en) 1995-01-31 1998-1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employing ink-jet recording system
JP3513288B2 (ja) * 1995-09-29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これを用いる記録方法およびかかるインクを用いた機器
JP3466800B2 (ja) * 1995-11-30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機器
US5580373A (en) 1995-12-19 1996-1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ink compositions containing amide anti-curl agent
US5656071A (en) * 1995-12-26 1997-08-12 Lexmark International, Inc. Ink compositions
JPH1018184A (ja) * 1996-05-02 1998-01-2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及び捺染物
US6027210A (en) * 1996-08-02 2000-02-22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process using liquid formulation and ink in combination
US6084006A (en) 1996-09-30 2000-07-04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liquid crystal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nd ink for ink jet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JP3880151B2 (ja) * 1996-10-11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水溶性付加重合体、それを用いた水系インク、該水系インク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DE69805673T2 (de) * 1997-02-18 2003-01-23 Canon Kk Aufzeichnungsmaterial sowie Tintenstrahldruckverfahren unter Verwendung desselbe
EP0858905B1 (en) 1997-02-18 2002-11-2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ink-jet recording therewith,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6238045B1 (en) * 1997-02-18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struments used in such methods
US6471757B1 (en) 1997-10-30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container, ink set,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jet printing method
JP3745130B2 (ja) * 1997-10-30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
US6342096B1 (en) * 1998-02-04 2002-01-29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method and method for improving tone property of image
US6474803B1 (en) 1998-03-03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set,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6398355B1 (en) * 1998-03-03 2002-06-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set,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6412936B1 (en) * 1998-03-03 2002-07-02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set,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mage recording proces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6203604B1 (en) * 1998-03-31 2001-03-20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lor filter, liquid crystal panel, and compu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or filter
US6248482B1 (en) * 1998-03-31 2001-06-19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lor filter, liquid crystal panel, and compu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or filter
JP4250249B2 (ja) * 1998-04-01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インクセット、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0079708A (ja) * 1998-06-30 2000-03-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45150B2 (ja) * 1999-02-2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画像形成方法及び印字物
US6783299B2 (en) * 1999-07-26 2004-08-31 Ovadia Meron Latch for detachably attaching and mounting a semiconductor wafer to a support ring
US6780901B1 (en) * 1999-09-30 2004-08-24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jet recording metho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coloring material
DE60035558T2 (de) * 1999-10-01 2008-03-20 Canon K.K. Druck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 Drucke sowie mit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Artikel
EP1090966B1 (en) 1999-10-05 2005-03-16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for ink-jet recording, ink-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unit,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bleeding reducing method
US6536890B1 (en) * 1999-11-12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as well as ink set,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leed allevi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6460989B1 (en) 1999-11-12 2002-10-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formation of colored area on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517199B1 (en) * 1999-11-12 2003-02-11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nk set, colored area formation on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783580B2 (en) * 2000-03-30 2004-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vironmentally friendly, reliable, fast drying ink for point-of-sale thermal ink jet application
DE60137098D1 (de) * 2000-03-30 2009-02-05 Hewlett Packard Co Tintenstrahltinte
DE60122428T2 (de) * 2000-06-21 2007-03-08 Canon K.K. Tintenstrahltinte, Tintenstrahldruckverfahren, Tintenstrahl-Druckvorrichtung,Tintenstrahldruckeinheit und Tintenpatrone
US6730155B2 (en) * 2000-06-30 2004-05-04 Ricoh Company, Ltd. Aqueous ink composition
JP3874336B2 (ja) * 2000-12-05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記録液、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用機器
US6730375B2 (en) * 2000-12-27 2004-05-0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medium
JP2002220545A (ja) * 2001-01-26 2002-08-09 Canon Inc 有機顔料粉体、水性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27851B2 (ja) * 2001-05-09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記録物の製造方法
JP3927850B2 (ja) 2001-05-09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物、記録物の製造方法
US6719420B2 (en) * 2001-05-10 2004-04-1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mposition, ink set, method for forming colored portion on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746114B2 (en) * 2001-05-10 2004-06-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process for forming colored por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EP1262529A1 (en) * 2001-05-29 2002-12-04 Ricoh Company, Ltd. Ink set for ink jet recording, method for ink jet recording
JP4167451B2 (ja) * 2001-05-29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TWI287035B (en) * 2001-08-02 2007-09-21 Benq Corp Ink composition with high capability of preventing bleeding
JP4100986B2 (ja) * 2001-08-22 2008-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吐出の安定化方法
JP4165862B2 (ja) * 2001-08-22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マル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055943B2 (en) * 2001-08-22 2006-06-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set for ink-jet recording, recording unit,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US7029109B2 (en) * 2001-08-22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unit and ink cartridge
JP4277490B2 (ja) * 2001-08-27 2009-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化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水性分散液、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03096343A (ja) * 2001-09-19 2003-04-03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インク
US20030199611A1 (en) * 2002-03-08 2003-10-23 Chandrasekaran Casey K. Inkjet ink for textiles
US6722765B2 (en) * 2002-03-11 2004-04-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n-reactive ink vehicle formulation
JP2004210906A (ja) * 2002-12-27 2004-07-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カール低減方法
JP2004209762A (ja) * 2002-12-27 2004-07-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カールの低減方法
JP3958325B2 (ja) * 2004-03-16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画像形成方法、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と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との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0564461C (zh) * 2004-03-26 2009-12-02 佳能株式会社 活性能量射线固化型水性油墨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喷墨记录方法、墨盒、记录单元和喷墨记录装置
WO2005097923A1 (ja) * 2004-04-08 2005-10-20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05097922A1 (ja) * 2004-04-08 2005-10-20 Canon Kabushiki Kaisha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56513B2 (en) * 2004-07-08 2007-0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artridge component
JP4574498B2 (ja) * 2004-08-31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P1792960A1 (en) * 2004-09-08 2007-06-06 Canon Kabushiki Kaisha Pigment, method for producing pigment, pigment dispersion, method for producing pigment dispersion, recording ink,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image
JP5031369B2 (ja) * 2004-09-08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覆微粒子、分散微粒子、被覆微粒子の製造方法、インク、記録方法及び記録画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84332A1 (en) 2005-12-29
KR100864548B1 (ko) 2008-10-20
EP1728836B1 (en) 2017-05-10
EP1728836A1 (en) 2006-12-06
US7297194B2 (en) 2007-11-20
CN1930253B (zh) 2013-04-10
CN1930253A (zh) 2007-03-14
EP1728836A4 (en) 2009-05-06
WO2005087879A1 (ja) 2005-09-22
BRPI0507723A (pt)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548B1 (ko) 잉크젯용 잉크 및 잉크젯 기록 방법
JP4981261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517073B2 (en) Liquid composition, set of liquid composition and ink,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EP1213332B1 (en) Recording liquid,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467001B1 (ko) 잉크 세트, 잉크젯 기록 방법, 기록 유닛, 잉크 카트리지,잉크젯 기록 장치, 번짐 완화 방법 및 블랙 화상의고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JP3958325B2 (ja) 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画像形成方法、プリント媒体用塗布液と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との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990383B1 (en)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7267717B2 (en) Aqueous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6383274B1 (en) Ink jet ink compositions and printing processes
EP2878642B1 (en) Ink jet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1400365A1 (en) Reaction solution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using the solution
EP1925646A1 (en) Pigment ink, ink set,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EP1992495B1 (en) Ink jet printing method
JPH11323235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JP428125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KR20020018983A (ko) 잉크 젯 기록 헤드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JP4681844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タンク、記録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0089380A (ja) 反応液とインクとのセット、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6160850A (ja) 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H0995637A (ja) 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5350612A (ja) 顔料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画像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8137365A (ja) 液体組成物、セット及び画像記録方法
JPH06329964A (ja) インク、係るインクを用いた記録方法、及び、機器
JP2005350561A (ja) 顔料インク、これを用いた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画像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