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234A -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 Google Patents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234A
KR20060120234A KR1020067015362A KR20067015362A KR20060120234A KR 20060120234 A KR20060120234 A KR 20060120234A KR 1020067015362 A KR1020067015362 A KR 1020067015362A KR 20067015362 A KR20067015362 A KR 20067015362A KR 20060120234 A KR20060120234 A KR 20060120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top coating
peel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니찌로 스기따
Original Assignee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64Overprinting of thermal transfer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는, 기재 (1) 상에 박리층 (2)와 피전사재에의 접착성을 갖는 톱코팅층 (3)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서 박리층 (2) 및 톱코팅층 (3)을 냉각 박리하고, 피전사재 표면에 전사하는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이다. 박리층 (2)는,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와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혼합 상태에서 함유한다.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2 수지가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또한,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가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이다. 박리층에서는, 제1 수지 중에 제2 수지가 입자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박리시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기재와 박리층과의 융착을 억제한다.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창 부재

Description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THERMAL TRANSFER PROTECTIVE SHEET, PRINTED SHEET, AND PRINTED SHEET WITH WINDOW MEMBER}
본 발명은 기재 상에 박리층과 톱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열 전사 보호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인화물에 관한 것이다.
면허증이나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에 화상을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기재 상에 잉크층 등의 착색층이 형성된 열 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한 열 전사 기록 방식이 폭넓게 채용되고 있다. 열 전사 기록 방식은,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 및 승화형 열 전사 기록 방식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사용되는 열 전사 기록 매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포함하는 기재 상에, 융점 또는 연화점의 비교적 낮은 왁스를 주체로 한 잉크층을 형성한 구조가 주류이고, 프린터 내에 설치된 서멀 헤드의 열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잉크층이 용융·연화되고, 라벨, 종이, 태그 등의 피전사재에 전사되어 인자(印字)가 행해진다.
또한, 승화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사용되는 열 전사 기록 매체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포함하는 기재 상에, 승화성 또는 열 이행성 염료를 열 전사 가능하게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층을 갖는 것이 있고, 서멀 헤드의 열을 이용하여 잉크층의 승화성 또는 열 이행성 염료가 피전사재에 전사되어 인자가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 형성된 화상은 내후성, 내찰과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 형성된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보호층은 기재 상에 톱코팅층(보호층)이 형성된 열 전사 보호 시트와, 화상이 형성된 피전사재를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로부터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톱코팅층이나 잉크층을 용융 또는 연화시킨 후, 냉각·고화하고, 톱코팅층을 피전사재측에 전사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반적인 열 전사 보호 시트에서는, 톱코팅층의 피전사재에 대한 전사성 및 기재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와 톱코팅층 사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27558호 공보 등을 참조). 박리층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자 후의 내구성과 기재에 대한 적절한 박리성을 겸비하는 재료로서, 아크릴계 수지, 그 중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은 가열된 열 전사 보호 시트가 피전사재로부터 박리되는 시점에 따라, 가열 박리와 냉각 박리로 나눌 수 있다.
냉각 박리의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을 비교적 장시간으로 함으로써, 톱코팅층 및 박리층을 충분히 냉각한다는 수법이 채용된다.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은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의 프린터 구조, 즉 열 전사 보호 시트에 열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와, 열 전사 보호 시트와 피전사재와의 박리 동작을 행하는 박리 부재와의 거리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때, 통상의 적절한 인자 에너지에서는, 박리층에 아크릴 수지 등의 기재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면,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에 톱코팅층 및 박리층이 충분히 냉각되기 때문에, 박리가 용이하게 행해져, 양질의 인화물이 얻어진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
그러나, 연속 인자를 행함으로써 서멀 헤드가 축열했을 때에나, 높은 인가 에너지 인자를 행했을 때 등에는, 열 전사 보호 시트가 통상에 비해 고온이 되기 때문에, 서멀 헤드로부터 박리 부재에 이르는 사이의 냉각이 불충분해진다.
이 때, 박리층에 아크릴 수지 등의 유리 전이점이 높은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함유시킨 경우에는, 여열에 의해서 박리층이 기재에 대해서 융착을 일으킨다. 따라서, 박리가 무거워지고,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재가 절단되는 등의 소위 스티킹이 발생하고, 프린터 동작이 정지하거나 인자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문제는, 박리층에 예를 들면 PMMA 수지의 분자량이 큰 것을 사용한 경우 등에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
박리성을 개선하는 대책으로는, 예를 들면 기재와 박리층 사이에 실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한 이형층 등의 새로운 층을 추가하는 수법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경우,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층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인자 후의 박리층의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기재와 박리층과의 융착을 억제할 수 있는 열 전사 보호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인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박리층과, 상기 박리층 상에 배치된 톱코팅층을 갖고, 상기 톱코팅층의 상기 박리층과는 반대측면을 피전사재에 가압하고 가열하면, 상기 톱코팅층이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하고, 상기 톱코팅층이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를 상기 피전사재로부터 박리하면, 적어도 상기 톱코팅층의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된 부분이 상기 피전사재 상에 남도록 구성된 열 전사 보호 시트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이다.
본 발명은 열 전사 보호 시트이며, 상기 박리층의 두께는 1.0 ㎛ 이상 3.0 ㎛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이다.
본 발명은 열 전사 보호 시트이며, 상기 박리층의 두께와, 상기 톱코팅층의 두께의 비율이 1:2 이상 10:1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이다.
본 발명은 열 전사 보호 시트이며, 상기 박리층과 상기 톱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갖고, 상기 중간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열 전사 보호 시트이다.
본 발명은 피전사재와, 상기 피전사재 표면에 형성된 잉크층과, 적어도 상기 잉크층 표면에 배치된 접착성의 톱코팅층과, 상기 톱코팅층 상에 배치된 박리층을 갖는 인화물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인화물이다.
본 발명은 도트상의 상기 잉크층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잉크층의 집합체로 화상이 구성된 인화물이며, 상기 톱코팅층은 상기 각 잉크층 표면과, 상기 잉크층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전사재의 표면에 배치된 인화물이다.
본 발명은 피전사재와, 상기 피전사재 표면에 형성된 잉크층과, 적어도 상기 잉크층 표면에 배치된 접착성의 톱코팅층과, 상기 톱코팅층 상에 배치된 박리층과, 상기 박리층의 표면에 밀착 배치된 창 부재를 갖는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다.
본 발명은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며, 상기 창 부재에는 가소제가 첨가되고, 상기 톱코팅층과 상기 박리층 사이에는 상기 가소제에 불용성인 중간층이 배치된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다.
본 발명은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며, 상기 창 부재는 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창 부재에는 프탈산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에폭시, 인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가소제가 첨가된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다.
본 발명은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며, 상기 중간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열 전사 보호 시트는 기재 상에 박리층과 피전사재에의 접착성을 갖는 톱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되며,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서 상기 박리층 및 상기 톱코팅층이 냉각 박리되고, 피전사재 표면에 전사되는 열 전사 보호 시트이며, 상기 박리층이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혼합 상태로 함유하고, 상기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며, 상기 제2 수지가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가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비상용성인 2종의 수지를 혼합하면, 배합 비율에 의해서 여러 가지 도메인 구조를 형성하지만, 어느 하나의 수지(주성분)가 다른쪽 수지(첨가 성분)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주성분의 상에 첨가 성분이 마이크로인 입자상으로 분산하여 존재하는, 소위 해도(海島)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는, 박리층이 주성분인 제1 수지와, 이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혼합 상태에서 함유하기 때문에, 제1 수지 중에 제2 수지가 입자상으로 분산하여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연속 인자에 의해 서멀 헤드 등이 축열한 경우나 잘못된 설정 등에 의한 지나친 인자 에너지로 인자가 행해진 경우, 또는 가열 박리를 행하는 경우 등의 박리시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기재와 박리층의 융착을 억제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톱코팅층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박리층이 가열되면 박리층 중 마이크로 도메인 구조가 용융하고, 용융 상태에서 2상의 혼합이 개시하지만, 이들 혼합에 지나친 에너지의 일부가 소비되고, 서멀 헤드 등으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2) 박리하는 순간 냉각이 불충분하여도, 입자상이고 유리 전이점이 낮은 제2 수지가 박리층의 응집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화물은 기재 상에 박리층 및 피전사재에의 접착성을 갖는 톱코팅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상기 박리층 및 상기 톱코팅층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서 냉각 박리되고, 피전사재 상에 전사된 인화물이며, 상기 박리층이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혼합 상태에서 함유하고, 상기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며, 상기 제2 수지가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가 중량비로 80:20 내지 99: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인화물은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혼합 상태에서 함유하는 박리층을 구비한 열 전사 보호 시트로부터 톱코팅이 전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박리시에 박리층의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기재와 박리층의 융착을 억제하고, 박리층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상에 보호층(톱코팅층)이 형성된 인화물을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에 따르면, 폭넓은 인자 에너지 영역에서 기재와 박리층의 박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주름의 발생, 기재의 절단 등의 스티킹을 억제하고, 프린터 동작 정지 등이 없는 양호한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와 박리층의 박리를 용이하게 함에 있어서 새로운 층을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층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킹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인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톱코팅층이 전사된 인화물을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일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인화물의 일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의 일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각 도면 중, 부호 1은 기재, 부호 2는 박리층, 부호 3은 톱코팅층(접착층), 부호 4는 백코팅, 부호 5는 중간층, 부호 10, 16은 열 전사 보호 시트, 부호 15, 25는 인화물, 부호 20은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열 전사 보호 시트 및 인화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는, 예를 들면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이나 승화형 열 전사 기록 방식 등 임의의 기록 방식으로 화상이 형성된 후의 피전사재 등의 표면에 용융 열 전사 방식으로 보호층을 전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을 적용한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은, 필름상의 기재 (1)의 일주면 상에 톱코팅층 (3)의 전사성을 조절하는 박리층 (2)와, 접착층으로서 기능하여 피전사재측에 전사되는 톱코팅층 (3)을 면순차적으로 구비하고, 또한 기재 (1)의 다른 주요면 상에 열 전사 보호 시 트 (10)의 내열 윤활성을 향상시킨 백코팅층(내열 윤활성층) (4)를 구비한다.
박리층 (2)는 기재 (1)의 바로 위에 설치되고, 열 전사시에는 열 에너지에 의해 용융하여 기재 (1)로부터 박리되며, 톱코팅층 (3)의 전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평상시(비열 전사시)에는 기재 (1) 및 톱코팅층 (3)에 대해서 양호하게 접착하는 역할이 있다. 박리층 (2)는 인자할 때에는 톱코팅층 (3)과 함께 상대측인 피전사재 표면에 전사된다.
본 발명에서는, 박리층 (2)에서 특정 종류의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즉, 박리층 (2)는 열가소성 수지인 제1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첨가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비상용성인 다른 종류의 수지를 혼합하면, 배합 비율에 의해서 여러 가지 도메인 구조를 형성하지만, 박리층 (2)에서는 주성분인 제1 수지 중에 제2 수지가 입자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수지의 비상용성성은 단일 수지 용액끼리 혼합한 경우에 포그 발생의 여부로 분별하는 방법이나, 단일 수지 용액끼리 혼합한 혼합액을 투명한 기재 상에 도포·건조하고, 현미경으로 상분리를 확인함으로써 분별하는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수지의 비상용성성을 확인하는 수법으로서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1) 주성분인 제1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과, 첨가 성분인 제2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각각 제조한다.
(2) 상기 용액끼리 고형분비가 중량비로 제1 수지/제2 수지=90/10이 되도록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관찰용 도공액을 제조한다.
(3) 상기 관찰용 도공액을 투명 유리판 상에 1.0 ㎛ 이상 2.0 ㎛ 이하의 건조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다.
(4) 유리판 상에 도포·건조한 샘플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700배의 배율로 관찰한다. 이 때, 단일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 샘플이나, 상용하는 수지로 제조한 도포 샘플에서는, 균일한 상이 확인될 뿐이지만, 비상용성 수지끼리 혼합한 경우에는,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용액의 조정용 용매로는, 예를 들면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n-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에테르류, 에틸셀로솔브, n-부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톨루엔, 크실렌, 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수지와 제2 수지를 모두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MEK/톨루엔=80/20(중량비)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박리층 (2)의 주성분인 제1 수지로는, 기재 (1)에 대한 적절한 박리성과, 전사 후의 인화물의 내구성을 겸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 후의 인화물에서의 내찰과성을 얻는 관점에서는, 제1 수지는 유리 전이점이 50 ℃를 초과하는 것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메틸아크릴레 이트,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아크릴 수지 중 1종의 아크릴 수지로 제1 수지를 구성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로 제1 수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박리층 (2)의 첨가 성분인 제2 수지로는, 제1 수지에 비해 유리 전이점이 낮은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EVA), 폴리카프로락톤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50 ℃를 초과하면, 박리층 (2)의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 박리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박리층 (2)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공지된 왁스나, 무기 충전재·유기 충전재 등의 충전재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피전사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화상은, 예를 들면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서 피전사재 상에 형성된다.
열 전사 기록 방식에는 일반적으로 가열 수단으로서 서멀 헤드가 사용되고 있고, 한쪽면에 잉크층이 배치된 기재의, 잉크층과는 반대측면에 서멀 헤드의 가열면을 가압하고, 잉크층을 가열하면서 잉크층 표면을 피전사재에 접촉시킨다.
잉크층이 염료 잉크로 구성된 경우는, 가열된 부분의 염료 잉크가 승화하여 피전사재에 증착하고, 염료 잉크의 잉크층이 형성된다. 잉크층이 안료 잉크로 구성된 경우에는, 가열된 부분의 안료 잉크가 용융하여 피전사재에 접착되고, 기재를 피전사재로부터 박리하면, 접착된 안료 잉크가 다른 부분에서 파단되어 피전사재 표면에 남고, 안료 잉크의 잉크층이 형성된다.
서멀 헤드는 복수개의 발열 소자를 갖고 있으며, 발열 소자를 선택하여 전기를 통하고, 가열면의 원하는 위치를 승온시켜서 피전사재 표면에 잉크층을 형성하면, 피전사재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도트상으로 잉크층이 형성되고, 그 도트상의 잉크층의 집합체로 문자나 도형 등의 화상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은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해 피전사재의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한다.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열 수단을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톱코팅층 (3)이 배치된 측의 면과는 반대측면에 가압하고,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톱코팅층 (3)이 배치된 측의 면을 피전사재의 화상이 형성된 측의 면에 접촉시킨다.
가열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열 전사 보호 시트 (10)에 적당한 인자 에너지를 부여하여 가열하면, 박리층과 톱코팅층의 가열된 부분(피가열 부분)은 연화 또는 용융한다. 톱코팅층 (3)은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서 접착성을 발현하는 접착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톱코팅층 (3)을 피전사재에 접촉시킨 상태로 가열하면, 톱코팅층 (3)이 가열된 부분이 피전사재에 접착된다.
서멀 헤드와 같은 가열 수단은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원하는 영역만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화상 상에 위치하 는 영역 상만을 가열하면, 톱코팅층 (3)은 화상을 구성하는 각 잉크층의 표면과, 피전사재의 잉크층과 잉크층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의 표면에 접착하지만, 화상보다도 외측의 영역에서 노출되는 피전사재의 표면에는 접착하지 않는다.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을 종료하고, 박리층 (2)와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이 냉각 고화했을 때에도,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은 화상을 구성하는 각 잉크층의 표면과, 피전사재의 잉크층과 잉크층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고, 그 접착력은 톱코팅층 (3)을 파단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보다도 강하다.
따라서, 냉각 후에 기재 (1)을 피전사재 (11)로부터 박리하면,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은 다른 부분에서 파단되어 피전사재에 접착된 상태로 남고(전사), 톱코팅층 (3)의 다른 부분은 기재 (1)과 함께 피전사재로부터 박리된다.
박리층 (2)와 톱코팅층 (3) 사이의 접착력은 기재 (1)과 박리층 (2) 사이의 접착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이 전사되면, 박리층 (2)의 피가열 부분은 기재 (1)로부터 박리한다.
박리층 (2)는 그 내부에 상술한 해도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그 응집력이 작아지고 있고, 박리층 (2)의 피가열 부분이 기재 (1)로부터 박리될 때, 그 피가열 부분은 박리층 (2)의 다른 부분에서 파단되고,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과 함께 피전사재 상에 전사되며, 피전사재 상에 톱코팅층 (3)의 피가열 부분과, 박리층 (2)의 피가열 부분을 갖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도 3의 부호 (15)는 피전사재 (11) 상에 보호층 (7)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인 화물을 나타내고 있고, 이 보호층 (7)의 톱코팅층 (3)은 각 잉크층 (14)의 표면과, 피전사재 (11)의 잉크층 (14)와 잉크층 (14)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밀착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 박리의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을 비교적 장시간으로 함으로써,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를 충분히 냉각한다는 수법이 채용된다.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은, 예를 들면 용융형 열 전사 기록 방식의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 열 전사 보호 시트 (10)에 열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와, 열 전사 보호 시트 (10)과 피전사재와의 박리 동작을 행하는 박리 부재와의 거리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때, 통상 적절한 인자 에너지에서는 박리층 (2)의 제1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등의 본래 기재 (1)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면, 서멀 헤드에 의한 가열부터 박리까지의 시간에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가 충분히 냉각되기 때문에, 박리가 용이하게 행해지고, 양질의 인화물이 얻어진다.
그러나, 연속 인자를 행함으로써 서멀 헤드가 축열한 경우나, 의도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부여하여 인자를 행한 경우, 잘못된 설정에 의해 지나친 인자 에너지를 부여한 경우 등에는,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이 통상에 비해 고온이 되기 때문에, 서멀 헤드로부터 박리 부재에 이르는 사이의 냉각이 불충분해지고,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가 여열을 가진 상태에서 박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박리시에 박리층 (2)의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0)에서는, 박리층 (2)에 특정한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층 (2)의 기재 (1)에의 융착을 억제하고, 기재 (1)로부터 박리층 (2) 및 톱코팅층 (3)을 용이하게 박리하여 피전사재측에 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주름의 발생, 기재의 절단 등의 스티킹이 억제되어 양호한 인자를 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린터 동작의 정지 등의 결점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전사를 행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있다.
(1) 박리층 (2)를 가열하면, 박리층 (2) 중 마이크로 도메인 구조가 용융하고, 용융 상태에서 2상의 혼합이 개시하지만, 이들 혼합에 지나친 에너지의 일부가 소비된다. 이 때문에, 단일한 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서멀 헤드로부터의 열 에너지가 감소한다.
(2) 박리하는 순간 냉각이 불충분하여도, 입자상의 제2 수지가 박리층 (2)의 응집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박리층 (2)가 기재 (1)에 융착하였다해도, 박리층 (2)에서 응집 파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응집 파괴에 의해서 기재 (1)과 박리층 (2)의 박리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은 박리시에 냉각이 불충분하여도 박리층 (2)와 기재 (1)의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자 에너지가 통상의 경우, 즉 적정한 냉각 박리가 행해진 경우에도 박리층 (2)와 기재 (1)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주성분인 제1 수지와 첨가 성분인 제2 수지와의 배합 비율을 특정한 수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인 제1 수지와 첨가 성분인 제2 수지와의 배합비가 중 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임에 따라, 통상의 인자 에너지부터 높은 인자 에너지까지 광범위에 걸쳐, 기재 (1)로부터의 박리층 (2)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확실하게 양호한 전사를 행할 수 있다.
첨가 성분인 제2 수지의 배합비가 과잉이면, 입자상의 마이크로 도메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냉각 박리를 무겁게 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제2 수지의 배합비가 지나치게 적으면, 박리층 (2)의 냉각이 불충분한 경우 박리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은 기재 (1)과 박리층 (2) 사이에 박리성을 향상하기 위한 층을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박리층 (2)의 두께로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과, 박(箔) 절단성이나 전사 감도라는 인자 품질의 관점에서, 1.0 ㎛ 이상 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층 (2)의 두께가 1.0 ㎛ 미만이면,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공시나 인화시에 상층이 혼합되어 기재측으로 돌출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박리층 (2)가 3.0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에는, 열의 전달이 나빠져 인화 감도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박 절단성이 나빠지고, 버(burr)나 면 탈락 등의 문제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박 절단성"이란, 박리층 (2)의 피가열 부분을 박리층 (2)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파단할 때의 파단성이고, "면 탈락"이란 박리층 (2)가 기재 (1)로부터 탈락하는 것이다.
기재 (1)로는, 종래의 열 전사 기록 매체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콘덴서지나 황산지와 같은 종이를 포함하는 기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기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톱코팅층 (3)에는 피전사재와, 피전사재의 표면에 인쇄된 잉크에의 접착력을 갖는 접착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된 잉크로 피전사재의 표면상에 잉크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톱코팅층 (3)은 그 잉크층 표면에 접착하고, 인쇄된 잉크가 피전사재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에 흡수된 경우에는, 톱코팅층 (3)은 피전사재의 잉크가 흡수된 부분의 표면에 접착된다.
톱코팅층 (3)에 이러한 접착력을 부여하는 접착성 재료에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톱코팅층 (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실제 사용을 고려하면 0.3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층 (2)의 막 두께는 1.0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박리층의 두께와, 톱코팅층 (3)의 두께와의 바람직한 비율은 1:2 이상 10:1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2 예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6)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층 (2)와 톱코팅층 (3) 사이에 후술하는 가소제에 용해되지 않는 배리어층인 중간층 (5)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예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6)도, 도 1에 도시한 열 전사 보호 시트 (10) 과 동일한 공정으로 톱코팅층 (3)과 박리층 (2)를 피전사재에 전사하고, 인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예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6)을 사용한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부호 (20)은 본 발명의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20)은 제1, 제2 창 부재 (21, 22)와 인화물 (25)를 갖고 있다.
인화물 (25)는 피전사재 (11)과 피전사재 (11)의 표면에 배치된 잉크층 (14)를 갖고 있다. 잉크층 (1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인화물 (15)와 마찬가지로 도트상으로 형성되고, 잉크층 (14)와 잉크층 (14) 사이에는 피전사재 (11)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잉크층 (14)의 표면과, 잉크층 (14)와 잉크층 (14) 사이에 노출되는 피전사재 (11)의 표면에는 톱코팅층 (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층 (14)와, 피전사재 (11)의 잉크층 (14)와 잉크층 (14) 사이의 부분이 배치된 영역, 즉 화상 (12)가 형성된 영역은 톱코팅층 (3)으로 덮힌 상태가 되어 있다.
톱코팅층 (3) 상에는 중간층 (5)가 배치되어 있고, 중간층 (5) 상에는 박리층 (2)가 배치되어 있으며, 보호층 (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호층 (27)은, 도 2에 도시한 제2 예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6)의 톱코팅층 (3)이 상기 화상 (12)가 형성된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열된 후, 기재 (1)이 박리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기재 (1)이 박리될 때에는, 박리층 (2)와 기재 (1) 사이의 계면 박리, 또는 박리층 (2) 내에서의 응집 파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보호층 (27)에서는, 중간층 (5)는 톱코팅층 (3)을 덮고 있고, 박리층 (2)는 적어도 중간층 (5)의 일부 표면 상에 위치한다.
제1, 제2 창 부재 (21, 22)는, 일부를 제외하고 그 테두리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케이스 (23)이 구성되어 있고, 인화물 (25)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테두리 부분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23)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제2 창 부재 (21, 22)는 투명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제2 창 부재 (21, 22)를 개재시켜 화상 (12)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제1, 제2 창 부재 (21, 22)에는,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고, 시간의 경과나 온도 변화에 따라 이 가소제가 제1, 제2 창 부재 (21, 22)의 표면에 삼출한다.
인화물 (25)가 케이스 (23)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박리층 (2)의 표면은 창 부재(여기서는 제1 창 부재 (21))에 밀착되어 있고, 인화물 (25)를 장시간 케이스 (23) 내부에 배치하면, 박리층 (2)는 제1, 제2 창 부재 (21, 22)로부터 삼출하는 가소제에 용해되어 버린다. 특히, 박리층 (2)의 막 두께가 3 ㎛ 이하로 얇은 경우에는, 그 용해가 단시간에 진행되어 버리지만, 중간층 (5)는 가소제에 불용성 또는 난용해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가소제가 박리층 (2)를 용해하였다해도 중간층 (5)는 가소제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가소제는 중간층 (5)에 침투되지 않아, 톱코팅층 (3)측에 도달하지 않는다.
가소제가 잉크층 (14)에 도달하면, 가소제에 의해서 잉크층 (14)에 변색, 용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한다. 특히, 잉크층 (14)가 염료 잉크와 같은 가소제에 용 해되기 쉬운 잉크로 구성된 경우에는, 잉크층 (14)의 용해가 격심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소제는 중간층 (5)에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층 (14)까지 도달하지 않으며, 잉크층 (14)에 변색이나 용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20)은, 인화물 (25)가 케이스 (23) 내에 장시간 배치되어도 잉크층 (14)가 변색,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12)의 삼출이나 화상의 소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제2 창 부재 (21, 22)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는 구성 재료의 주성분에 따라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주성분이 염화비닐 수지인 경우에는, 프탈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프탈산디옥틸이나 프탈산디부틸), 지방산 에스테르, 에폭시(예를 들면 에폭시화대두유나 옥틸에폭시스테아레이트), 인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창 부재 (21, 22)의 구성 재료에 착색제나, 난연제, 안정제 등의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에는 창 부재에 가소제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중간층 (5)에 사용하는 재료는, 가소제에 대해서 불용성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가소제는 극성 용매에 용해되기 쉬운 수지에는 비교적 흡수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PVA(폴리비닐알코올), PVB(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 등의 극성 용매에 용해되기 쉬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수지 중, 어느 1종의 수지를 단독으로 중간층에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중간층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은 창 부재 (21, 22)에서 인화물 (25)의 양면을 덮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창 부재를 인화물 (25)의 화상 (12)가 형성된 면만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창 부재를 화상 (12) 상만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창 부재의 배치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창 부재를 박리층 표면에 열 압착법 등으로 접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화물 (15, 25)는 피전사재 (11)의 화상 (12) 상에 상술한 보호층 (7, 27)이 형성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면허증, 크레디트 카드, ID 카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은, 통상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즉, 기재 (1) 상에 박리층 (2)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 등에 의해서 형성하고, 추가로 그 위에 톱코팅층 (3)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박리층 (2)와 톱코팅층 (3) 사이에 중간층 (5)를 구비하는 열 전사 보호 시트 (16)을 제조할 때에는, 박리층 (2)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중간층 (5)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톱코팅층 (3)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재료 등에 따라서 적당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 (2)와 톱코팅층 (3)을 갖는 적층막, 또는 박리층 (2)와 중간층 (5)와 톱코팅층 (3)을 갖는 적층막은 단독으로 기재 (1) 상에 형성할 수도 있고, 염료 잉크층이나 안료 잉크층 등의 잉크층과 함께 기재 (1)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적층막과 잉크층이 동일한 기재 (1) 상에 형성된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사용하여 인화물을 형성하는 공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면, 열 전사 보호 시트를 프린터에 장착하고, 그 프린터의 서멀 헤드로 피전사재에 잉크층을 전사한 후, 잉크층의 전사에 계속해서, 동일한 서멀 헤드로 적층막의 전사를 행하면, 잉크층의 전사와 보호층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열 전사 보호 시트 (10, 16)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피전사재 상에 톱코팅층 (3)과 박리층 (2)를 갖는 보호층, 또는 톱코팅층 (3)과 중간층 (5)와 박리층 (2)를 갖는 보호층이 형성된 인화물 (15)를 얻을 수 있다.
즉,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톱코팅층 (3)측과 임의의 피전사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용융형 열 전사 프린터의 서멀 헤드 등에 의해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원하는 영역에 열 에너지를 부여한다. 그리고, 박리층 (2) 및 톱코팅층 (3)을 냉각·고화시킨 후, 용융형 열 전사 프린터의 박리 부재 등에 의해서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을 피전사재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열 전사 보호 시트 (10)의 기재 (1)과 박리층 (2)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고, 피전사재의 원하는 영역에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를 포함하는 보호층이 전사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인화물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의 부호 15는 인화물을 나타내고 있고, 인화물 (15)는 피전사재 (11)의 표면에 임의의 화상 (12)가 형성되며, 이 화상 (12) 상에 열 전사 보호 시트 (10)으로부터 전사된 톱코팅층 (3)과 박리층 (2)가 기재한 순서대로 적층되고, 보호층 (7)이 형성되어 있다.
피전사재 (11) 표면의 화상 (12) 상에 보호층 (7)을 배치함으로써, 내찰과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인화물의 피전사재 (11)로는 여러 가지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보통지, 고급지 등의 종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피전사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피전사재 (11) 상에 형성되는 화상 (12)에 대해서도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융형 열 전사 방식이나 승화형 열 전사 기록 방식에 의한 화상, 전자 사진 화상, 잉크젯 화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에서는, 피전사재 (11)의 화상 (12)가 형성된 영역에만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가 전사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의 전사 영역은 임의이며, 화상 (12)와 그 주위의 부분, 화상 (12)를 포함하는 피전사재 (11)의 전체면에 톱코팅층 (3) 및 박리층 (2)가 전사될 수도 있다.
이상은 톱코팅층 (3)을 잉크층 (14) 표면과 피전사재 (11) 표면의 양쪽에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톱코팅층 (3)을 잉크층 (14) 표면으로만 배치할 수도 있으며, 피전사재 (11) 표면으로만 배 치할 수도 있다.
또한, 잉크가 피전사재 (11)의 표면에서 내부에 침투하고 있는 경우에는, 톱코팅층 (3)을 피전사재 (11)의 잉크가 흡수된 부분(흡수 부분)의 표면으로만 배치할 수도 있고, 피전사재 (11)의 흡수 부분의 표면과, 피전사재 (11)의 흡수 부분과 흡수 부분 사이의 표면의 양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톱코팅층 (3)이 잉크층 (14)의 표면으로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박리층 (2)나 중간층 (5)도 잉크층 (14) 상으로만 배치되고, 톱코팅층 (3)이 잉크층 (14)의 표면과 피전사재 (11)의 표면의 양쪽에 배치될 때에는, 박리층 (2)나 중간층 (5)도 잉크층 (14) 상과 피전사재 (11) 상의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톱코팅층 (3)이 상기 흡수 부분의 표면으로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박리층 (2)나 중간층 (5)도 흡수 부분의 위에만 배치되고, 톱코팅층 (3)이 흡수 부분의 표면과 피전사재 (11)의 표면의 양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박리층 (2)나 중간층 (5)도 흡수 부분 상과 피전사재 (11) 상의 양쪽에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 전사 보호 시트의 제조〕
<샘플 1>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에리텔 UE3230")를 사용하고, 이들 제 1, 제2 수지를 중량비로 95/5가 되도록 용매(MEK/톨루엔=80/20(중량비)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서 고형분 20 중량%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정하였다.
이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이면에 내열 윤활성층이 도포 형성된 기재 표면에 #5의 코일바를 사용하여 도포·건조하고, 건조시 두께가 1.0 ㎛인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내열 윤활성층은 아세트산셀룰로오스(다이셀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L-70") 9 중량부와, 실리콘 오일(도레이 다우코닝·실리콘사 제조, 상품명 "SF8410") 1 중량부의 혼합물을, 기재의 박리층이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면에 코일바로 1.0 ㎛의 건조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에리텔 UE3380")를 용매인 MEK에 용해시켜 제조한 톱코팅층 형성용 도공액을 박리층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건조시 두께가 1.5 ㎛인 접착층(톱코팅층)을 형성하고, 샘플 1의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의 박리층에 사용한 2종의 수지에 대해서, 단일 수지 용액끼리 혼합한 혼합액을 투명한 기재 상에 도포·건조하고, 현미경으로 상분리를 확인함으로써 상용성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2>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에리텔 UE3215")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9/1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3>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후지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TPAE-12")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4>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EVA 수지(스미또모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스미테이트 RB-11")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5>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6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 보세끼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 65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6>
폴리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MMA/EMA)(후지꾸라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아크리베이스 MH-145"),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 보세끼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 GK33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7>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세끼스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에스렉 P-595"),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 보세끼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 55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8>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105")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9>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를 사용하고, 제2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샘플 10>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에리텔 UE323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 70/3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1>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에리텔 UE338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5/5가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2>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 보세끼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 200")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5/5가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를 포함하는 상 중에 입자상의 제2 수지의 상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비상용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3>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에폭시계 수지(도또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YDF2004")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와 제2 수지와의 마이크로 상분리가 나타나지 않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상용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4>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폴리카프로락톤계 수지(다이셀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EA1443")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와 제2 수지와의 마이크로 상분리가 나타나지 않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상용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5>
박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쯔비시레이온사 제조, 상품명 "다이야날 BR80"), 제2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후지쿠라카세이사 제조, 상품명 "FK2P-0102")를 사용하고, 이들을 중량비로 90/10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샘플 1과 동일한 수법으로 박리층의 수지의 상용성을 관찰하였더니 제1 수지와 제2 수지와의 마이크로 상분리가 나타나지 않고, 제2 수지는 제1 수지에 대해서 상용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샘플 16>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단, 박리층의 두께를 0.5 ㎛로 하였다.
<샘플 17>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여 열 전사 보호 시트를 얻었다. 단, 박리층의 두께를 3.5 ㎛로 하였다.
샘플 1 내지 샘플 17의 박리층에 사용한 제1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유리 전이점 Tg을 하기 표 1에, 제2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에 관해서는 수 평균 분자량 Mn) 및 유리 전이점 Tg을 하기 표 2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샘플 1 내지 샘플 7의 박리층의 조성 및 수지의 상용성, 박리층 및 접착층의 두께에 대해서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4634316-PCT00001
Figure 112006054634316-PCT00002
Figure 112006054634316-PCT00003
〔인자 평가〕
이상과 같이 제조한 샘플 1 내지 샘플 17의 열 전사 보호 시트에 대해서 인자 테스트를 행하였다. 톱코팅층 및 박리층을 전사하는 피전사재로는 두께가 0.75 mm인 폴리염화비닐제 가드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프린터는 데이타카드(Datacard)사 제조의 상품명 "데이타카드 셀렉트(Datacard Select) 2 AIT"(헤드 저항 1789Ω)이고, 서멀 헤드에 의한 용융 전사를 행한다. 인자 에너지 조건을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4634316-PCT00004
이상의 조건으로 인자를 행하고, 결과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평가 기준〕
<표준 조건(통상 강도) 인자>
○: 박리 얼룩이나 줄무늬 등이 없고, 양호한 인화물을 얻은 것.
△: 약간 박리에 얼룩이 있지만, 전사 가능한 것.
×: 리본 절단(기재 (1)의 절단)이나 피전사물에의 융착으로 프린터의 동작 불량이 된 것.
<고강도 인자>
고강도 조건 1: 통상의 연속 인자의 축열 상태나, 설정을 잘못하여 고강도가 가해진 상태를 상정.
고강도 조건 2: 조건 1보다도 엄격한 조건. 설정 실패 등에 의해, 고강도로 연속 인자를 행해 버린 경우 등을 상정.
○: 리본 절단이나 융착이 없고, 양호한 인화물이 얻어진 것.
△: 인화물에 약간의 열 주름이나 박리 얼룩이 나타난 것.
×: 리본 절단이나 피전사물에의 융착으로 프린터의 동작 불량이 된 것.
<판정(통상 강도 상태에서 고강도 상태에 걸친 인자 품질 안정성)>
◎: 통상 강도부터 매우 고강도인 영역까지 양호하게 인화 가능.
○: 매우 높은 강도가 된 경우에는, 약간 열 주름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에너지 영역이므로 문제없이 인자 가능.
○△: 약간의 고강도 상태나 축열 등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는 인자가 얻어진다.
△: 약간의 강도 상승이나 축열로 인자 품질이 떨어지지만, 프린터 동작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인자 파워의 상승이나 축열로 파단이나 융착이 염려된다. 또는 통상의 강도로도 인자가 불가능하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54634316-PCT00005
또한, 상기 표 5 중 "-"는 미측정을 나타낸다.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샘플 내지 샘플 8의 열 전사 보호 시트는 표준 조건 및 고강도 조건 1 중 어디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특히 샘플 1, 2, 4, 6에서는, 고강도 조건 2의 경우에도 리본 절단이나 피전사재에의 접착 등의 문제점이 없고,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해서, 아크릴계 수지만을 사용한 샘플 9는 표준 조건으로는 인자 가능하지만, 고강도 조건으로 인자를 행하면 박리 불량을 야기하였다. 또한, 제2 수지의 제1 수지와의 마이크로 상분리가 관찰되지 않는 샘플 13 내지 샘플 5에서도 고강도 조건으로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또한, 샘플 10은 첨가 성분인 제2 수지의 배합량을 지나치게 늘렸기 때문에, 마이크로 도메인 구조가 입자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냉각 박리가 무거워지며, 통상 조건하에서의 인자 불량을 야기하였다.
또한, 샘플 11 및 샘플 12는, 제2 수지로서 유리 전이점이 각각 60 ℃ 및 67 ℃인 수지를 사용한 예이다. 이들 경우는 통상 조건에서는 인자 가능하였지만, 고강도 조건으로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는 불충분하였다. 또한, 샘플 16은 박리층의 두께가 얇은 예이지만, 이 경우에는 박리 얼룩이나 박리 불량이 관찰되었다. 한편, 박리층의 두께가 두꺼운 샘플 17에서는, 박 절단 불량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 전사 보호 시트에서는 박리층의 조성이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인 제2 수지를 함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실하게 얻는다는 관점에서, 제1 수지와 제2 수지와의 배합 비율을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 박리층의 두께를 1.0 ㎛ 이상 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 성분인 제2 수지로서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명하였다.

Claims (10)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박리층과 상기 박리층 상에 배치된 톱코팅층을 갖고,
    상기 톱코팅층의 상기 박리층과는 반대측면을 피전사재에 가압하고 가열하면, 상기 톱코팅층이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하며,
    상기 톱코팅층이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를 상기 피전사재로부터 박리하면, 적어도 상기 톱코팅층의 상기 피전사재에 접착된 부분이 상기 피전사재 상에 남도록 구성된 열 전사 보호 시트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의 두께는 1.0 ㎛ 이상 3.0 ㎛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의 두께와 상기 톱코팅층의 두께의 비율이 1:2 이상 10:1 이하인 열 전사 보호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과 상기 톱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갖고,
    상기 중간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열 전사 보호 시트.
  5. 피전사재와, 상기 피전사재 표면에 형성된 잉크층과, 적어도 상기 잉크층 표면에 배치된 접착성의 톱코팅층과, 상기 톱코팅층 상에 배치된 박리층을 갖는 인화물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인화물.
  6. 도트상의 상기 잉크층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잉크층의 집합체로 화상이 구성된 제5항에 기재된 인화물이며,
    상기 톱코팅층은 상기 각 잉크층 표면과 상기 잉크층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전사재의 표면에 배치된 인화물.
  7. 피전사재와, 상기 피전사재 표면에 형성된 잉크층과, 적어도 상기 잉크층 표면에 배치된 접착성의 톱코팅층과, 상기 톱코팅층 상에 배치된 박리층과, 상기 박리층의 표면에 밀착 배치된 창 부재를 갖는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이고,
    상기 박리층은 서로 혼합된 제1, 제2의 수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의 아크릴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는 상기 제1 수지에 비상용성이며, 유리 전이점이 50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상기 박리층 중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80:20 이상 99:1 이하인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창 부재에는 가소제가 첨가되고,
    상기 톱코팅층과 상기 박리층 사이에는 상기 가소제에 불용성인 중간층이 배치된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창 부재는 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창 부재에는 프탈산에스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에폭시, 인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가 소제가 첨가된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KR1020067015362A 2004-01-29 2005-01-24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KR20060120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1911 2004-01-29
JP2004021911 2004-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234A true KR20060120234A (ko) 2006-11-24

Family

ID=3482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62A KR20060120234A (ko) 2004-01-29 2005-01-24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11315B2 (ko)
EP (1) EP1710089A4 (ko)
JP (1) JP4597052B2 (ko)
KR (1) KR20060120234A (ko)
WO (1) WO20050729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89B1 (ko) * 2013-06-27 2014-11-21 (주)이루모 윈도우 패널의 전사층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3327B2 (ja) * 2009-12-24 2014-05-07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熱溶融転写画像形成方法
US20130189387A1 (en) * 2012-01-08 2013-07-25 David J. Bravet Textured release liner containing an organic particulate phase
JP6019620B2 (ja) * 2012-03-01 2016-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JP6269490B2 (ja) * 2012-09-11 2018-01-31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JP6268925B2 (ja) * 2013-10-29 2018-01-31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層付き熱転写シート
JP2016175195A (ja) * 2015-03-18 2016-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被転写シートおよび意匠シート
JP6503838B2 (ja) * 2015-03-31 2019-04-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画方法
JP2017185723A (ja) * 2016-04-07 2017-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KR20190112077A (ko) 2017-04-05 2019-10-02 에이치피 인디고 비.브이. 열 전사 인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0327T3 (es) * 1989-07-14 1995-06-01 Dainippon Printing Co Ltd Pelicula de recubrimiento por termotransferencia.
JP2925699B2 (ja) * 1990-10-04 1999-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カバーフイルム
JP3004104B2 (ja) * 1991-11-01 2000-01-31 コニカ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4034856B2 (ja) * 1997-10-07 2008-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および印画物
JP4341146B2 (ja) * 2000-06-19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転写型画像保護フィルム
US6733611B2 (en) * 2000-08-07 2004-05-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forming method
DE60233278D1 (de) * 2001-03-09 2009-09-17 Dainippon Printing Co Ltd Bildempfangsblatt für die thermische Übertragung
JP2003080844A (ja) * 2001-09-12 2003-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熱転写シート
JP3949930B2 (ja) * 2001-10-26 2007-07-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熱転写シートおよび印画物
JP3967125B2 (ja) * 2001-12-17 2007-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物
JP2003211841A (ja) * 2002-01-17 2003-07-3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及び保護層形成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2004205827A (ja) * 2002-12-25 2004-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89B1 (ko) * 2013-06-27 2014-11-21 (주)이루모 윈도우 패널의 전사층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0089A1 (en) 2006-10-11
US20060216482A1 (en) 2006-09-28
EP1710089A4 (en) 2008-01-23
JPWO2005072976A1 (ja) 2007-09-06
JP4597052B2 (ja) 2010-12-15
US7211315B2 (en) 2007-05-01
WO2005072976A1 (ja)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0234A (ko) 열 전사 보호 시트, 인화물 및 창 부재가 부착된 인화물
CN107249898B (zh) 热转印片
KR20140009963A (ko) 중간 전사 매체
JP2011073383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JP2019025754A (ja) レーザ発色性シート、および、カード
JP3967125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物
JP4166700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3118194B2 (ja) 熱転写インキリボン
JP4330044B2 (ja) 被熱転写シート
CN1833877B (zh) 热转移记录介质、其制造方法、和热转移记录方法
JP4822529B2 (ja) 熱転写記録方法
JP3837747B2 (ja) 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2018089899A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2360A (ja) 溶融型熱転写インクリボン、印刷物、印刷装置
JP2003025733A (ja) 熱転写記録媒体
JP3345675B2 (ja) 熱転写シート
JPH0665517B2 (ja) 熱印字媒体
JP2011051300A (ja) 熱転写記録媒体
JP4179856B2 (ja) 印刷用擬似接着シート
JP4540028B2 (ja) 溶融型転写記録用ラベル及び溶融型転写記録方法
JP2001138646A (ja) 熱転写記録媒体
JP6326950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及び感熱転写印画物
JP2010131928A (ja) 昇華型熱転写記録媒体
JP2004175035A (ja) 転写型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3218602B2 (ja) 熱転写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