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963A - 중간 전사 매체 - Google Patents

중간 전사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963A
KR20140009963A KR1020137002487A KR20137002487A KR20140009963A KR 20140009963 A KR20140009963 A KR 20140009963A KR 1020137002487 A KR1020137002487 A KR 1020137002487A KR 20137002487 A KR20137002487 A KR 20137002487A KR 20140009963 A KR20140009963 A KR 2014000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layer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medium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299B1 (ko
Inventor
신야 요다
타다히로 이시다
미츠히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508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69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5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33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19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49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723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3836B1/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5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n intermediate recep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9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orine- or silico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0Post-imaging transfer of imaged layer; transfer of the whole imag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 안정성과 내가소제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 내구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중간 전사 매체,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전사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적층 구조의 보호층 중, 하나의 보호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고, 다른 하나의 보호층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고, 수용층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중간 전사 매체{INTERMEDIATE TRANSFER MEDIUM}
본 발명은 중간 전사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간편한 인쇄 방법으로서 열전사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전사 방법의 하나인 용융 전사 방식은, 안료 등의 색재와, 열용융성의 왁스나 수지 등의 바인더를 함유하는 열용융 잉크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를, 종이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열전사 수상(受像) 시트와 중첩하고, 열전사 시트의 배면 측으로부터 서멀 헤드(thermal head)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화상 정보에 응한 에너지를 인가해서,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색재를 바인더와 함께 전사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용융 전사 방식에 의한 화상은, 고농도로 선명성이 우수하여, 문자 등의 2치 화상의 기록에 적합하다.
열전사 방법의 하나인 승화 전사 방식은, 승화에 의해 열 이행하는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염료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를, 기재 시트 상에 염료 수용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열전사 수상 시트와 중첩하고, 열전사 시트의 배면 측에서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화상정보에 응한 에너지를 인가하고,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승화성 염료를 전사 이행시키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이 승화 전사 방식은, 인가되는 에너지량에 따라서 염료의 이행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서멀 헤드의 도트마다 화상농도를 제어한 계조 화상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색재가 염료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화상에는 투명성이 있고, 다른 색의 염료를 겹쳤을 경우의 중간색의 재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옐로, 마젠타, 사이안, 블랙 등의 다른 색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해서,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각 색염료를 겹쳐서 전사할 때에도, 중간색의 재현성이 우수한 고화질의 사진조 풀 컬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의해, 이 열전사 방법은, 컴퓨터 그래픽스, 위성통신에 의한 정지 화상 그리고 CD-ROM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화상 및 비디오 등의 아날로그 화상의 풀 컬러 하드 카피 시스템으로서, 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 열전사 방법에 의한 열전사 수상 시트의 구체적인 용도는 다방면에 걸쳐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인쇄의 교정 인쇄, 화상의 출력, CAD/CAM 등의 설계 및 디자인 등의 출력, CT 스캔이나 내시경 카메라 등의 각종 의료용 분석 기기, 측정 기기의 출력 용도, 그리고 즉석 사진의 대체로서, 또 신분 증명서나 ID 카드, 크레디트 카드, 기타 카드류에의 얼굴 사진 등의 출력, 또한 유원지, 게임 센터, 박물관, 수족관 등의 오락 시설에 있어서의 합성 사진, 기념 사진으로서의 용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전사 수상 시트의 용도의 다양화에 따라서, 임의의 대상물로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대상물로서, 기재 상에 수용층을 형성한 전용의 열전사 수상 시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기재 등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 특허문헌 1에는, 수용층이 기재 상에 박리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매체에 따르면, 염료층의 염료를 수용층에 전사해서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에 중간 전사 매체를 가열함으로써, 염료가 전사된 수용층을 임의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수 있어, 피전사체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열전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열전사 화상은, 최표면에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이 위치하므로 내후성, 내마찰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상에, 박리층, 보호층, 수용층겸 접착층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매체에 따르면, 열전사 화상의 표면에 보호층이 형성되므로, 열전사 화상에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보호층의 가소제에 대한 내성(이하, "내가소제성"이라 칭함)이 약할 경우에는, 피전사체에 전사 후의 보호층과, 가소제 혼입 수지,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접촉시켰을 경우에, 가소제 성분이 보호층을 투과해서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으로 이행하여, 화상의 번짐이나, 화상이 소멸해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상황 하, 특허문헌 3에는, 내가소제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한 보호층 전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아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보호층은, 해당 아크릴계 수지를 적절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도포·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JPS62-238791 A JP 2004-351656 A JPH7-156567 A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용 도공액은 도막 안정성이 나쁘고, 보호층용 도공액을 도포·건조 시, 도막에 균열이 생기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보호층도 균열이 생겨버린다고 한 문제가 있다. 특히, 중간 전사 매체는, 보호층 상에 수용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보호층의 균열은, 결과적으로 수용층에 형성되는 화상 품질의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보호층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도 더욱 높은 내가소제성이 요구되고 있어, 보호층의 내가소제성에 대해서는, 더욱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는 중간 전사 매체의 보호층의 내구성은, 신분증명서나 ID 카드, 크레디트 카드 등, 매우 높은 내구성이 필요로 되는 분야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다. 그래서, 이러한 분야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상 펫 패치라 불리는 펫 필름을 형성 화상 상에 붙임으로써 내구성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별도의 프린터가 필요하게 되어 공정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는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은, 피전사체에의 밀착성(이하, "접착성"이라 할 경우도 있음)을 고려해서, 밀착성이 우수한 수지, 예를 들어, 연화점이 100℃ 이상인 스타이렌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밀착성이 높은 수지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는 수용층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밀착성을 높게 한 만큼,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수용층의 이형성이 나쁘고, 열전사 시트를 이용해서 수용층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 수용층과 열전사 시트, 즉, 수용층과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이 열융착을 일으켜, 수용층의 성분이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 측에 취해지는 불량이 생기는 것으로 된다.
요컨대, 중간 전사 매체의 분야에 있어서는, 수용층이,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밀착성의 쌍방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형성과 밀착성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어, 현 상황에서는, 이형성과 밀착성을 양립시킨 수용층을 구비하는 중간 전사 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적어도 이하의 (i) 내지 (iii) 중 어느 하나의 중간 전사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i) 도막 안정성과 내가소제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를 제공하는 것. (ii) 내구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단히 얻을 수 있는 중간 전사 매체를 제공하는 것. (iii)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밀착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를 제공하는 것.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 중, 하나의 보호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내구성층이고, 다른 하나의 보호층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내가소제성 층이며, 상기 수용층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이, 상기 기재 측으로부터, 상기 내가소제성 층과 상기 내구성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와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 사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이며, 상기 보호층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및 폴리비닐아세탈의 비누화도가 30 내지 100%이어도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보호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수용층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더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 도막 안정성과 내가소제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 (ii) 내구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중간 전사 매체, (iii)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밀착성이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 중 어느 것인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의 층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의 층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의 층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제1발명)
이하에, 본원의 제1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는, 기재(1)와, 해당 기재(1)의 한쪽 면(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보호층(4) 및 수용층(5)으로 구성된다. 또, 보호층(4)과 수용층(5)을 포함하는 전사층(2)은 열전사 시 피전사체에 전사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은 이 요건을 구비하면, 다른 요건에 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박리층(3), 이형층,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보호층(4)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1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
기재(1)는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으로, 보호층(4)을 보유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기재(1)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 셀룰로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2종 이상 적층한 복합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기재(1)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은 1 내지 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전사층)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 상에는, 열전사 시 기재(1)로부터 박리가능하게 형성된 전사층(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사층(2)은, 적어도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인 보호층(4)과 수용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사층(2)은 열전사 시 기재(1)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체에 전사된다.
(박리층)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로부터의 전사층(2)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의의 박리층(3)을 기재(1)와 보호층(4)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이 박리층(3)은, 전사층(2)의 임의의 구성으로, 열전사 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층이다.
박리층(3)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에틸 셀룰로스, 나이트로셀룰로스, 아세트산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에틸, 폴리아크릴산뷰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뷰티랄 등의 비닐 공중합체의 열가소성 수지나,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등의 열경화형의 수지,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수지, 불소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층(3)에는 박이형성(箔切れ性)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마이크로 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필러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층(3)은,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된다. 또 박리층(3)은, 상기에 예시한 수지에 부가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촉매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박리층(3)은, 상기 수지를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도공액을,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바 코트 등의 공지의 코팅 방법으로, 기재(1) 상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3)의 두께로서는, 통상은 0.1㎛ 내지 5㎛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정도이다.
(제1발명의 보호층)
보호층(4)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2)을 전사함으로써 형성되는 인화물에, 내가소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기능을 거두기 위한 보호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하의 점을 고려해서, 해당 보호층(4)에 함유되는 물질로서, [1] 가소제 성분을 튕겨내는 물질, [2]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물질을 선정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정되는 [1]의 물질에 따르면, 보호층(4)이 가소제 성분을 튕겨냄으로써 보호층(4)에 내가소제성이 부여되므로, 또한, (2)의 물질에 따르면,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결과적으로 보호층(4)에 내가소제성이 부여된다.
요컨대, 상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을 지니는 물질을 이용해서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전체로서 보호층(4)에, 내가소제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우선 처음에, 상기 [1] 가소제를 튕겨내는 물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의 가소제를 튕겨내는 물질로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규정되어 있다.
상기 [1]의 물질을 함유하는 보호층(4)에 따르면, 보호층(4)에 함유되는 [1]의 가소제를 튕겨내는 물질의 존재에 의해, 보호층(4)에 내가소제성이 부여되어, 보호층(4)의 내가소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층(4)이, 가소제성의 수지,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접촉했을 경우더라도, 가소제 성분이 수용층에 형성된 화상으로 이행하는 일은 없다.
[1]의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킴으로써, 보호층(4)의 내가소제성이 향상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다. 현시점에 있어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은 구조 중에 수산기를 지니고, 이 수산기가 가소제 성분을 튕겨냄으로써 내가소제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복소환에 존재하는 산소기가, 수산기와 동등하게 가소제 성분을 튕겨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산소기와, 산소기 가까이 존재하는 수소기와 결합해서 수산기적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내가소제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및 폴리비닐아세탈은, 비누화도가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이 범위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을 보호층(4)에 함유시킴으로써, 내가소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누화도란, 폴리머 중의 비닐 알코올 구조의 몰수를, 폴리머 중의 전체 모노머의 몰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또, 상기 [1]의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은, 이들의 1종의 질량(2종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혼합물의 질량)이 보호층(4)의 총질량에 대해서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2]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물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2]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물질로서, 양이온성 수지가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수지는, 양이온성을 지니는 수지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의 우레탄 에멀전 등을 사용 가능하다.
[1]의 물질과 마찬가지로, [2]의 물질인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가소제 성분이 화상에 도달하기 어려운 보호층(4)으로 되는 구체적인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다. 현시점에 있어서는, 양이온성 수지의 양이온 부분과 가소제 성분의 공역전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인력이 발생하여, 양이온성 수지와 가소제 성분이 전기적으로 서로 끌어 당김으로써, 가소제 성분이 수용층에 형성된 화상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거나, 혹은, 가소제 성분의 공유결합이나 공역결합의 전자와 양이온성 수지의 양이온이 반응하여, 보호층(4)이 가소제 성분과 결합해서, 보호층 표면에 가소제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어떠한 구조 변화가 생겨, 가소제 성분이 수용층에 형성된 화상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추측된다.
또, 양이온성 수지는 보호층(4)의 총질량에 대해서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의 물질과, 상기 [2]의 물질을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과, 양이온성 수지를 보호층(4)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가소제 성분을 튕겨내는 물질과, 가소제 성분과 결합하는 물질을 조합시켜서 이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내가소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1]의 물질의 총량과 [2]의 물질의 총질량이 보호층(4)의 총질량에 대해서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의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상기 [2]의 물질인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4)은, 조막성(造膜性)이 우수하고, 형성된 막이 강인하므로 해당 보호층(4)을 형성했을 때의 도막 안정성도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의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상기 [2]의 물질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박리층(3) 상에 도포·건조시켜, 보호층의 도막을 형성했을 때, 도막에 균열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도막 안정성이 높은 보호층(4)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보호층(4)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윤활제, 가소제, 충전제, 대전 방지제, 항블로킹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형광증백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보호층(4)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혹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는 박리층(3) 상에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종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4)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건조 후의 두께로 0.1 내지 50㎛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정도이다. 또한, 보호층용 도공액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수계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켜 이루어진 수계 도공액으로 함으로써, 다른 층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수용층)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층(4) 상에는 전사층(2)을 구성하는 수용층(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층 상에는, 열전사에 의해, 색재층을 지니는 열전사 시트로 열전사법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2)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고, 그 결과, 인화물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수용층(5)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승화성 염료 또는 열용융성 잉크 등의 열이행성의 색재를 수용하기 쉬운 종래 공지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혹은 폴리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폴리머와의 공중합체계 수지, 아이오노머 혹은 셀룰로스 다이아스타제(diastase)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그 이외에도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를 구성하는 수용층(50)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수용층(50)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수용층(5)이 접착층을 개재해서 피전사체에 전사될 경우에는, 수용층(5) 자체의 접착성은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수용층(5)이 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피전사체에 전사될 경우에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접착성을 지니는 수지 재료를 이용해서 수용층(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층(5)은, 전술한 재료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복수의 재료 및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 등을 가하고,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1㎛ 내지 10㎛ 정도이다.
(피전사체)
피전사체 상에는, 전술한 중간 전사 매체의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전사층(2)이 전사되고, 그 결과, 각종 내구성이 우수한 열전사 화상을 지니는 인화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가 적용되는 피전사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천연 섬유지, 코트지, 트레이싱 페이퍼,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제2발명)
다음에, 본원의 제2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원 제2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0)는, 상기 제1발명과 마찬가지 구성, 즉, 기재(1)와, 해당 기재(1)의 한쪽 면(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보호층(40) 및 수용층(5)으로 구성된다. 보호층(40)과 수용층(5)을 필수적인 구성으로 하는 전사층(2)은 열전사 시 피전사체에 전사된다.
여기서, 제2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0)는, 상기 제1발명에서 설명한 보호층(4) 대신에, (i) 수 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ii) 폴리카보네이트 및 (iii)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보호층(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의 제2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수평균 분자량(Mn)이란,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이다.
(제2발명의 보호층)
전사층(2)을 구성하는 보호층(40)은,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한다. 이것에 의해 보호층(40)에 극히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미만, 혹은, Tg가 60℃ 미만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 우레탄이란, 폴리에스터와 폴리우레탄의 공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는, 전사 시의 테일링(尾引き)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테일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분야에 있어서는, 보호층(40)의 주체로서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함유시킬 경우에는, 이들의 총질량에 대해서,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가 50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지 내구성에만 착안하는 것이라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 우레탄 중 어느 것을 이용했을 경우더라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보호층(40)에 함유되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은, 주체로서 함유되어 있으면 되고, 해당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함유량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보호층(40)의 총질량에 대해서 50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40)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보호층(40)의 두께가 2㎛ 미만일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되고, 한편, 보호층(40)의 두께가 15㎛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보호층(40)의 박이형성이 저하하여, 전사층을 피전사체에 열전사할 때 테일링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보호층(40)의 두께는 2㎛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재료)
또, 보호층(4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주체로 되는 성분 외에, 형광증백제,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UV 흡수제 등의 그 밖의 재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층(40)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혹은 필요에 따라서 기재(1) 상에 형성된 박리층(3) 상에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종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
기재(1)로부터의 전사층(2)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발명과 마찬가지로, 기재(1)와 보호층(40) 사이에 박리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는 기재(1)와의 밀착성이 높으므로, 보호층(40)의 주체로서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기재(1)와 보호층(40) 사이에 박리층(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는, 기재(1)와의 이형성이 우수하므로, 보호층(40)의 주체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박리층(3)을 지니고 있지 않더라도 전사층(2)을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임의의 박리층(3)은, 상기 제1발명에서 설명한 박리층(3)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기재(1), 수용층(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1발명에서 설명한 기재(1), 수용층(5)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층(5) 대신에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를 구성하는 수용층(50)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수용층(50)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제3발명)
다음에, 본원의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원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200)는, 상기 제1 및 제2발명과 마찬가지 구성, 즉, 기재(1)와, 해당 기재(1)의 한쪽 면(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보호층(4), (40) 및 수용층(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3발명은, 수용층(50)에,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수용층(50)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3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사층)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 상에는, 열전사 시 기재(1)로부터 박리가능하게 설치된 전사층(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사층(2)은, 적어도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2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인 보호층(4), (40) 혹은 종래 공지의 보호층과, 수용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박리층(3), 보호층(4), 수용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사층(2)은 열전사 시 기재(1)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체에 전사된다.
(박리층)
상기 제1발명 및 제2발명과 마찬가지로, 기재(1)로부터의 전사층(2)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1)와 보호층 사이에 박리층(3)을 형성해도 된다. 박리층(3)은, 상기 제1발명에서 설명한 박리층(3)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기재(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보호층(4)은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보호층(4)으로서는, 상기 제1발명에서 설명한 보호층(4), 즉,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4)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또, 이 보호층(4) 대신에, 상기 제2발명에서 설명한 보호층(40), 즉,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보호층(40)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혹은, 이들 보호층(4), (40) 대신에, 종래 공지의 보호층을 사용해도 된다.
종래 공지의 보호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수지, 아크릴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이들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전리 방사선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은, 내가소제성이나 내찰과성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보호층의 바인더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디컬 중합성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를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교, 경화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전자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중합 가교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층은, 인화물에 내광성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우수하다.
자외선 흡수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를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에 반응, 결합시켜서 얻어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치환 아크릴로나이트릴계, 니켈킬레이트계, 힌더드 아민계와 같은 종래 공지의 비반응성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부가 중합성 이중 결합(예를 들어, 비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 같은 반응성 기를 도입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윤활제, 가소제, 충전제, 대전 방지제, 항블로킹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보호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제1발명에 있어서의 보호층(4), 상기 제2발명에 있어서의 보호층(40)에서 설명한 방법, 혹은 상기에 예시되는 수지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한 용제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필요에 따라서 기재(1) 상에 형성된 박리층(3) 상에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종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건조 후의 두께로 0.1 내지 50㎛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정도이다.
(수용층)
보호층 상에는 전사층(2)을 구성하는 수용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층(50) 상에는, 색재층을 지니는 열전사 시트로 열전사법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2)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고, 그 결과, 인화물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수용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피전사체와의 밀착성(이하, "접착성"이라고 할 경우가 있음)이 높고, 또한 승화성 염료 또는 열용융성 잉크 등의 열이행성 염료를 수용하기 쉬운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용층(50)이 함유하는 수지 재료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폴리머,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에스터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체계 수지, 아이오노머, 셀룰로스 다이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수용층(50)은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을 함유한다.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은 이형제로서의 역할을 하여, 우수한 이형성을 지닌다. 따라서, 수용층이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 시 색재층을 지니는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50)과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이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동일 온도에 있어서의 피전사체와 수용층의 밀착성은 저하되어간다.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사 시의 온도를 올릴 필요가 있지만, 전사 시의 온도가 오름에 따라서 피전사체의 변형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수용층(50)에 함유되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은, 수용층(50)의 총질량, 즉, 수지 재료의 총질량과 이형제의 총질량과의 합계 질량에 대해서 0.5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우수한 이형성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에 따르면, 수용층(50)에 함유되는 이형제의 함유량을, 종래에 비해서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피전사체가 변형되는 등의 일이 없는 온도, 예를 들어, 155℃ 정도의 온도에서, 피전사체에 수용층(50)을 포함하는 전사층(2)을 전사할 수 있다.
또,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5질량%을 초과해도, 그 이상의 열전사 시트와의 이형성의 향상 효과는 인정되지 않는 한편, 피전사체와의 밀착성은 서서히 저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용층(50)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수용층(50)의 총질량에 대해서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은 이형성이 우수하지만, 수용층(50)의 이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에 착안하면, 수용층(50)에는, 이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이 더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은, 밀착성에 관해서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에 뒤떨어지지만,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에 비해서, 매우 우수한 이형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형성도 우수하고, 밀착성도 대단히 양호한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과, 이형성이 매우 양호한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조합시켜서 이용함으로써, 이형성, 밀착성 모두 매우 우수한 중간 전사 매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은,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0.5질량% 미만일 경우에는,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이형성의 향상 효과가 저감하고, 또한,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5질량% 이상일 경우에는, 그만큼 이형제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밀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수용층(50)에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과,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함유시킬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함유량의 범위 내이며, 또한, 그 총합, 즉,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과,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과의 합계 질량이 수용층(50)의 총질량에 대해서 1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과,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을 수용층(50)에 함유시킴으로써, 수용층(50)에, 특히 우수한 이형성과,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과의 질량비가 9:1 내지 1:9의 범위 외일 경우, 즉,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점유하는 비율이 많을 경우,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이 점유하는 비율이 많을 경우에, 전자의 경우에는, 더 한층의 이형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피전사체와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과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의 질량비는 9:1 내지 1:9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는, 수용층(50)에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필수적인 구성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이 더욱 함유되는 구성을 취하지만, 이것은,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이외의 이형제가 함유되는 것을 금지하는 취지는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이외의 이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물질을 수용층(50)에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층(50)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재에서 예시된 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복수의 수지 재료, 및 상기에서 설명한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필요에 따라서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또는 다른 이형제를 첨가하고,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50)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건조 상태로 1 내지 10㎛ 정도이다.
또, 수용층(50)이 접착층을 개재해서 피전사체에 전사될 경우에는, 수용층(50) 자체의 접착성은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수용층(50)이 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피전사체에 전사될 경우에는,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접착성을 지니는 수지 재료를 이용해서 수용층(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성을 지니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프라이머(primer)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층(50)은, 전술한 재료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복수의 재료 및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 등을 가하고,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어 판을 이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라이머층)
또, 보호층과 수용층(5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층과 수용층(50) 사이에 프라이머층(도시 생략)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산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혹은 아크릴산 등과의 공중합체,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수지, 폴리뷰타다이엔계 수지, 고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소 또는 질소를 지니는 것, 혹은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와 반응성인 것,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마이드 수지, 에폭시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고무계 수지 등의 종래의 접착제로서 기지인 것이다. 또한, 프라이머층에는 마이크로 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필러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라이머층은, 상기 제1발명 및 제2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보호층과 수용층 사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전사체)
피전사체 상에는, 전술한 중간 전사 매체의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전사층(2)이 전사되고, 그 결과, 각종 내구성이 우수한 열전사 화상을 지니는 인화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가 적용되는 피전사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천연 섬유지, 코트지, 트레이싱 페이퍼,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특히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는, 155℃ 정도의 온도에서, 이들 피전사체에 전사층을 전사 가능하므로, 155℃ 이하의 온도에서 변형되는 일이 없는 재료로 이루어진 피전사체와 특히 적절하게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제4발명)
다음에, 본원의 제4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300)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300)는, 기재(1)와,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과, 수용층(5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 중, 하나의 보호층(304B)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내구성층이고, 다른 하나의 보호층(304A)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내가소제성 층이며, 수용층(50)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
중간 전사 매체(300)를 구성하는 기재(1)는, 상기 제1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층)
제4발명에서는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을 지니고 있고, 일 실시형태에서는, 해당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하나의 보호층(304B)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내구성층이며, 다른 하나의 보호층(304A)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소제성 층으로 되어 있다.
(내가소제성 층)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하나의 층인 내가소제성 층(304A)은, 상기 제1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에 있어서 설명한 보호층(4)을 내가소제성 층으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발명에서는,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내가소제성 층(304A)의 존재에 의해, 해당 보호층(304)이 전사된 인화물에 우수한 내가소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내구성층)
또,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층과는 다른 하나의 층인 내구성층(304B)은, 상기 제2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100)에 있어서 설명한 보호층(40)을 내구성층으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발명에서는,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내구성층(304B)의 존재에 의해, 해당 보호층(304)이 전사된 인화물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호층(304)은, 내가소제성 층(304A)과 내구성층(304B)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2층 구조이어도 되고, 내가소제성 층(304A), 내구성층(304B)에 부가해서, 다른 임의의 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구조이더라도 된다.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취하는 보호층(304)일 경우에, 내가소제성 층(304A)과 내구성층(304B)은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임의의 층을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하나의 층은, 내가소제성 층(304A)이어도 되고, 내구성층(304B)이어도 되며, 임의의 보호층이어도 된다. 임의의 보호층으로서는, 상기 제3발명에 있어서 설명한 종래 공지의 보호층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가소제성 층(304A)과 내구성층(304B)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 측으로부터 내가소제성 층(304A), 내구성층(304B)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구성이어도 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 측으로부터 내구성층(304B), 내가소제성 층(304A)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구성이어도 된다. 어느 구성을 취할 경우더라도, 해당 적층 구조의 보호층(304)이 전사된 인화물에, 우수한 내가소제성과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기재(1) 상에 임의의 박리층(3)을 형성하고, 이 박리층(3) 상에 내가소제성 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내가소제성 층을, 수계 도공액을 이용해서 형성함으로써, 내가소제성 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박리층(3)을 침투하여 기재(1)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계 도공액을 이용해서 형성되는 내가소제성 층에 따르면, 기재(1)와 내가소제성 층 사이에 박리층(3)을 형성한 경우의 박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가소제성 층은, 내용제성도 우수하므로, 내가소제성 층 상에, 내구성층을 형성했을 경우더라도, 내구성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침투를 내가소제성 층에 의해 억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재(1) 상에, 임의의 박리층(3), 수계 도공액에 의해 형성되는 내가소제성 층, 내구성층을 이 순서로 적층해서 이루어진 구성을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로서 들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와 보호층(304) 사이에, 열전사 시 보호층(304)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박리층(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3)으로서는, 상기 제1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에서 설명한 박리층(3)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폴리카보네이트는, 기재(1)와의 이형성이 우수하므로, 보호층(304)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에 가장 가까운 층이 내구성층(304B)이며, 해당 내구성층이 주체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박리층(3)을 형성하는 일 없이, 기재(1)로부터 보호층(304)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더욱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박리층(3)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수용층)
중간 전사 매체(300)를 구성하는 보호층(50)은, 상기 제3발명의 중간 전사 매체(200)에 있어서 설명한 수용층(50)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4발명에서는, 수용층(50)의 존재에 의해, 중간 전사 매체(300)에,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우수한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우수한 밀착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원 제4발명에 따르면, 내가소제성 및 내구성이 높은 인화물을 간단히 얻을 수 있고, 또한 열전사 시트로부터의 이형성과 피전사체에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또는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이용해서,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바 코터법으로, 하기 조성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 후 0.8㎛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박리층 상에, 바 코터법으로,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건조 후 1.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보호층 상에, 바 코터법으로,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을, 건조 후 2.5㎛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용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
· 아크릴수지
100부
(BR-87(미쓰비시레이온(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
·폴리비닐알코올
10부
(PVA-210 비누화도: 88.0% (주) 쿠라레 제품)
·물
45부
·IPA
45부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5부
(솔바인(등록상표) CNL 닛신화학공업(日信化學工業)(주) 제품)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5부
(KP-1800U 신에츠화학공업(信越化學工業)(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2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2>
·폴리비닐뷰티랄
10부
(BM-5비누화도: 34.0% 세키스이화학공업(積水化學工業)(주) 제품)
·MEK
45부
·톨루엔
45부
(실시예 3)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3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3>
·폴리비닐아세탈
50부
(KX-1 비누화도: 70.0 내지 90.0% 세키스이화학공업(주) 제품)
·물
25부
·IPA
25부
(실시예 4)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4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4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4>
·폴리비닐피롤리돈
10부
(K-90 ISP·재팬(주) 제품)
·물
45부
·에탄올
45부
(실시예 5)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5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5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5>
·폴리비닐아세탈
25부
(KX-1 비누화도: 70.0 내지 90.0% 세키스이화학공업(주) 제품)
·폴리비닐피롤리돈
5부
(K-90 ISP·재팬(주) 제품)
·물
30부
·IPA
20부
·에탄올
20부
(실시예 6)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6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
·폴리비닐알코올
10부
(PVA-103 비누화도: 98.5% (주) 쿠라레 제품)
·물
45부
·IPA
45부
(실시예 7)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7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7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7>
·폴리비닐알코올
10부
(PVA-403 비누화도 80.0% (주) 쿠라레 제품)
·물
45부
·IPA
45부
(실시예 8)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8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8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8>
·양이온성 우레탄 에멀전
10부
(SF-600 다이이치공업제약(第一工業製藥)(주) 제품)
·물
45부
·IPA
45부
(실시예 9)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9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
·양이온성 우레탄 에멀전
10부
(SF-650 다이이치공업제약(주) 제품)
·물
45부
·IPA
45부
(비교예 1)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0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1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0>
·음이온성 우레탄 에멀전
50부
(SF-170 다이이치공업제약(주) 제품)
·물
15부
·IPA
35부
(비교예 2)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1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2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1>
·아크릴수지
10부
(BR-87 미쓰비시레이온(주) 제품)
·MEK
45부
·톨루엔
45부
(화상의 형성)
HDP-600(HID사 제품) 프린터와, 해당 프린터용 전용 잉크 리본을 이용해서,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2의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흑색 전체 화상을 인화하여, 수용층에 화상이 인화된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2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화상형성 조건)
수용층에의 화상을 인화 후, 이어서, HDP-600(HID사) 프린터에 의해, 염화비닐 카드(DNP사 제품) 상에, 화상이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2의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을 전사시켜,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2의 인화물을 얻었다.
<<도막 안정성 평가>>
얻어진 인화물을, 40℃ 90% RH 환경에 48시간 보존하고, 보존 후의 인화물에 균열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도막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 균열이 전혀 없음
△: 미세한 균열이 조금 있음
×: 미세한 큰 균열이 있음
<<내가소제성 평가>>
염화비닐시트 알토론(등록상표) #430(미쓰비시수지(三菱樹脂)(주))을 5㎝×5㎝로 잘라,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2의 인화물에 포개고, 1750g의 하중을 가해서 82℃의 환경에 32시간 또는 64시간 보존하고, 보존 후, 염화비닐 시트를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2의 인화물로부터 벗겨내어 인화물 화상이 염화비닐 시트로 이행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내가소제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 염화비닐 시트로 전혀 이행되어 있지 않음
△: 염화비닐 시트로는 얇게 이행되어 있지만, 인화물 화상은 퇴색되지 않고 있음
×: 염화비닐 시트로 상당히 이행되어 있고, 인화물 화상도 퇴색되어 있음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보호층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7, 및 보호층에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실시예 8, 9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2와 비교해서, 우수한 내가소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9는 모두에 있어서 도막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기재로서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레이주식회사 제품, 루미라)을 이용해서, 해당 기재 상에 상기 조성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 상태에서 1.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건조 상태에서 10.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해당 보호층 상에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을, 건조 상태에서 2.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수용층을 형성해서 실시예 10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또,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은, 모두 그라비어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
·폴리에스터 수지
20부
(바이론 270, 토요보(東洋紡)(주) 제품, 수 평균 분자량 23000, Tg=67℃)
·톨루엔
40부
·MEK
40부
(실시예 11)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3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1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3>
·폴리에스터 수지
20부
(UE-9200, 유니티카(주) 제품, 수 평균 분자량 15000, Tg=65℃)
·톨루엔
40부
·MEK
40부
(실시예 12)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2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부
(FPC-2136, 미쓰비시가스화학(三菱瓦斯化學)(주) 제품)
·톨루엔
40부
·MEK
40부
(실시예 13)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5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3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5>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60.6부
(UR-1350 33% 용액 토요보(주) 제품)
·톨루엔
19.7부
·MEK
19.7부
(실시예 14)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6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4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6>
·폴리에스터 수지
10부
(바이론 270, 토요보(주) 제품, 수 평균 분자량 23000, Tg=67℃)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부
(FPC-2136 미쓰비시가스화학(주) 제품)
·톨루엔
40부
·MEK
40부
(실시예 15)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7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5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7>
·폴리에스터 수지
10부
(바이론 270, 토요보(주) 제품, 수 평균 분자량 23000, Tg=67℃)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30.3부
(UR-1350, 33% 용액, 토요보(주) 제품)
·톨루엔
29.9부
·MEK
29.8부
(실시예 16)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건조 상태에서 5.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6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17)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를 건조 상태에서 2.5㎛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17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18)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레이 주식회사 제품, 루미라) 상에, 박리층 겸 보호층으로서,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를 건조 상태에서 2.5㎛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고, 더욱 해당 박리층 겸 보호층 상에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을, 건조 상태로 2.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수용층을 형성해서 실시예 18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또, 박리층 겸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은, 모두 그라비어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비교예 3)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8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3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8>
·아크릴수지
20부
(BR-80 미쓰비시레이온(주) 제품)
·톨루엔
40부
·MEK
40부
(비교예 4)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9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4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9>
·폴리에스터 수지
20부
(GK-780 토요보(주) 제품, 수 평균 분자량 11000, Tg=38℃)
·톨루엔
40부
·MEK
40부
<<내구성 시험(Taber 시험)>>
HDP-600 프린터(HID사 제품)를 이용해서, 염화비닐 카드(DNP사 제품) 상에, 실시예 10 내지 18, 비교예 3, 4의 중간 전사 매체를 포개고 전사층(박리층, 보호층, 수용층)을 전사시켜 실시예 10 내지 18, 비교예 3, 4의 인화물을 형성하였다. 이 인화물에 마모 휠 CS-10F를 이용해서, 하중 500gf에서 250회마다 마모 휠을 연마하여, 합계 1500회 연마하였다. 연마 후에 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인화물(화상)이 전혀 깎이고 있지 않음.
○···인화물(화상)이 거의 깎이고 있지 않음.
×···인화물(화상)이 상당히 깎여 있음.
<<테일링(박이형성) 시험>>
실시예 10 내지 18, 비교예 3, 4의 인화물의 테일링(박이형성)의 확인을 육안으로 행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테일링이 생기지 않음(1㎜ 이하)
○···테일링이 거의 생기지 않음(2㎜ 이하)
△···테일링이 다소 생김(5㎜ 정도)
×···테일링이 상당히 생김(10㎜ 이상)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보호층에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실시예 10 내지 18의 중간 전사 매체는, 모두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아크릴수지를 이용한 비교예 3,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미만, Tg가 60℃ 미만의 폴리에스터를 이용한 비교예 4는,모두, 내구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보호층에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를 함유하는 실시예는, 테일링의 발생이 전혀 생기지 않거나, 또는 거의 생기고 있지 않고, 특히, 양호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
기재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이용해서,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그라비어 코트법으로, 상기 조성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 후 1.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박리층 상에, 그라비어 코트법으로,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20을, 건조 후 2.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보호층 상에, 그라비어 코트법으로,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 후 1.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프라이머층 상에, 그라비어 코트법으로,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건조 후 2.5㎛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용층을 형성해서 실시예 19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20>
·스타이렌-아크릴계 수지
150부
(뮤티쿨 PP320P 미츠이화학(주) 제품)
·폴리비닐알코올
100부
(C-318 (주)DNP 화인케미칼 제품)
·물/에탄올(질량비 1/2)
70부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공액>
·폴리에스터 수지
33부
(바이런(Byron) 200, 토요보(주) 제품)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7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아이소사이아네이트경화제
15부
(XEL경화제, 더 잉크 테크니컬(주) 제품)
·톨루엔
50부
·MEK
50부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2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0)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0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3>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5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5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1)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4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1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4>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1.5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0.5부
(KP-1800U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2)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5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2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5>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0.5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1.5부
(KP-1800U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3)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3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1.5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0.5부
(X-22-3000T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4)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7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4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7>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0.5부
(KF-4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1.5부
(X-22-3000T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실시예 25)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8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5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8>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1.5부
(X-24-510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0.5부
(X-22-3000T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비교예 5)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5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9>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0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비교예 6)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0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6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0>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2부
(KP-1800U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비교예 7)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1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7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폴리에터 변성 실리콘 오일
2부
(KF-352A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비교예 8)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2를 하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2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8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2>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8부
(CNL 닛신화학공업(주) 제품)
·아미노·폴리에터 변성 실리콘 오일
2부
(X-22-3939A 신에츠화학공업(주) 제품)
·톨루엔
200부
·MEK
200부
HDP-5000(HID사) 프린터와, 해당 프린터용의 순정 염료 리본을 이용해서 20℃ 50% 환경하에서, 염료 이형성 평가 및 카드에의 재전사성 평가를 행하였다. 또, 이용한 카드는 하기 조성의 염화비닐제 카드(DNP사 제품)이다.
(염화비닐제 카드 재료 조성)
·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중합도 800)
100부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약 10% 함유)
·백색 안료(산화 티타늄)
10부
·가소제(DOP)
0.5부
<<염료 이형성 평가>>
실시예 19 내지 25, 비교예 5 내지 8의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흑색 전면을 인화한 후의 염료 리본을 확인하여, 수용층이 염료층 측으로 옮겨가 화상불량으로 되어 있지 않은지의 평가를 하기 기준으로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전혀 염료층에 손상이 없고, 인화물에 불량 없음.
○···약간 수용층에 손상이 보이지만, 인화물에 불량 없음.
△···염료층에 상당히 손상이 보이고, 인화물에도 약간 불량이 발생.
×···염료층에 상당히 크게 손상이 보이고, 인화물에도 상당히 불량이 발생.
<<재전사성 평가>>
실시예 19 내지 25, 비교예 5 내지 8의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흰 전면을 인화한 후, 상기 염화비닐 카드에 재전사조건 155℃에서 재전사를 행하고, 하기 기준으로 화상의 재전사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밀착 불량 전혀 없음.
○···밀착 불량이 거의 없음.
△···밀착 불량이 상당히 발생.
×···밀착 불량이 상당히 크게 발생.
Figure pct00003
(실시예 26)
기재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이용해서,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바 코터법으로, 상기 조성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 후 0.8㎛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박리층 상에, 바 코터법으로,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건조 후 1.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1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제1보호층 상에, 바 코터법으로,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건조 후 10.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2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제2보호층 상에, 바 코터법으로,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을, 건조 후 2.5㎛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용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26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27)
상기 제1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7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28)
상기 제1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하고, 상기 제2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8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29)
상기 제1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하고, 상기 제2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6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9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실시예 30)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레이 주식회사 제품, 루미라) 상에, 박리층 겸 보호층으로서,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를 건조 상태에서 2.5㎛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박리층 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박리층 겸 보호층 위에,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를, 건조 상태에서 1.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보호층 상에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을, 건조 상태에서 2.0㎛의 두께로 되도록 도공하여 수용층을 형성해서 실시예 30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또한, 박리층 겸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4,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은, 모두 그라비어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실시예 31)
상기 제1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로 변경하고, 상기 제2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9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31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비교예 9)
상기 제1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1로 변경하고, 상기 제2보호층의 형성 시,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2를, 상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18로 변경하고,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6을 상기 조성의 수용층 형성용 도공액 11로 변경한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6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9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화상의 형성)
HDP-600(HID사 제품) 프린터와, 해당 프린터용 전용 잉크 리본을 이용하고, 실시예 26 내지 31, 및 비교예 9의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흑색 전면 화상을 인화하여, 수용층에 화상이 인화된 실시예 26 내지 31 및 비교예 9의 중간 전사 매체를 얻었다.
<화상 형성 조건>
수용층에의 화상을 인화 후, 이어서, HDP-600(HID사) 프린터에 의해, 염화비닐 카드(DNP사 제품) 상에, 화상이 형성된 실시예 26 내지 31 및 비교예 9의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보호층, 수용층)을 전사하여, 실시예 26 내지 31 및 비교예 9의 인화물을 얻었다.
상기 수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26 내지 31 및 비교예 9의 인화물에 대해서, 각각, 도막 안정성 평가, 내가소제성 평가, 내구성 시험, 테일링 시험, 염료 이형성 평가, 재전사성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또, 각 평가 및 시험은, 전술한 방법으로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고, 또한, 전술한 평가 기준에 의거해서 행하였다.
Figure pct00004
1: 기재 2: 전사층
3: 박리층 4, 40: 보호층
304: 적층 구조의 보호층 304A: 내가소제성 층
304B: 내구성층 5, 50: 수용층
10, 100, 200, 300: 중간 전사 매체

Claims (8)

  1. 기재,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보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 중, 하나의 보호층이,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내구성층이고, 다른 하나의 보호층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내가소제성 층이며,
    상기 수용층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은, 상기 기재 측으로부터, 상기 내가소제성 층과 상기 내구성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적층 구조의 보호층 사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4.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 또는, 양이온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뷰티랄 및 폴리비닐아세탈의 비누화도가 3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6.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보호층은, 수평균 분자량(Mn)이 12000 이상, Tg가 60℃ 이상인 고중합도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우레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체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7. 기재와, 해당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보호층 및 수용층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중간 전사 매체로서,
    상기 수용층에는, 측쇄형 아르알킬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측쇄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이 상기 수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더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전사 매체.
KR1020137002487A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KR101809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5083 2010-08-31
JP2010195080A JP5056925B2 (ja) 2010-08-31 2010-08-31 中間転写媒体
JP2010195083A JP5083391B2 (ja) 2010-08-31 2010-08-31 中間転写媒体
JPJP-P-2010-195080 2010-08-31
JPJP-P-2010-219781 2010-09-29
JP2010219781A JP5104930B2 (ja) 2010-09-29 2010-09-29 中間転写媒体
JP2011172334A JP5003836B1 (ja) 2011-08-05 2011-08-05 中間転写媒体
JPJP-P-2011-172334 2011-08-05
PCT/JP2011/068938 WO2012029590A1 (ja) 2010-08-31 2011-08-23 中間転写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845A Division KR101793883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KR1020177012846A Division KR101793884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963A true KR20140009963A (ko) 2014-01-23
KR101809299B1 KR101809299B1 (ko) 2017-12-14

Family

ID=457726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487A KR101809299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KR1020177012846A KR101793884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KR1020177012845A KR101793883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846A KR101793884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KR1020177012845A KR101793883B1 (ko) 2010-08-31 2011-08-23 중간 전사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62112B2 (ko)
EP (3) EP2612762B1 (ko)
KR (3) KR101809299B1 (ko)
CN (3) CN103079832B (ko)
AU (1) AU2011297246B2 (ko)
WO (1) WO2012029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4879B2 (en) * 2012-06-01 2015-03-10 Fuji Xerox Co., Ltd. Image transfer sheet and image recording material
EP2902213B1 (en) * 2012-09-26 2020-05-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EP2979890B1 (en) 2013-03-29 2019-05-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layer transfer sheet an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JP6349198B2 (ja) * 2014-08-08 2018-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CN107249898B (zh) * 2015-03-31 2019-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
WO2016190426A1 (ja) * 2015-05-28 2016-1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箔
JP6315162B2 (ja) 2016-02-25 2018-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昇華型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EP3741577B1 (en) * 2016-03-08 2023-02-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CN108602371B (zh) 2016-03-18 2020-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中间转印介质、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以及印刷物的形成方法
US10556457B2 (en) 2016-03-31 2020-02-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WO2018061741A1 (ja) * 2016-09-28 2019-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6743669B2 (ja) * 2016-12-06 2020-08-19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83819B (zh) * 2018-03-16 2022-03-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印相物的制造方法以及装饰物
JP6579457B1 (ja) * 2018-06-29 2019-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中間転写媒体
WO2020067272A1 (ja) * 2018-09-28 2020-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DE102019127734A1 (de) * 2019-10-15 2021-04-15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Bauteil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220133269A (ko) * 2020-02-05 2022-10-0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부재 일체형 화상 형성용 시트, 가식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US20240075764A1 (en) * 2022-09-01 2024-03-07 Entrust Corporation Personalized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5538B2 (ja) 1986-04-11 1997-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物品の装飾方法
JPH04259596A (ja) * 1991-02-13 1992-09-16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7156567A (ja) 1993-12-10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フィルム及び印画物
US5634731A (en) * 1994-03-04 1997-06-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JP2000177282A (ja) 1998-12-14 2000-06-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013466A3 (en) * 1998-12-22 2001-05-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mediate ink-receiver sheet for transfer printing
JP2000238439A (ja) * 1999-02-19 2000-09-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1105747A (ja) * 1999-10-14 2001-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染料受像シート及び受容層転写シート
JP2002036795A (ja) * 2000-07-28 2002-02-06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絵付方法
EP1188570B1 (en) * 2000-09-14 2007-05-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image formation
JP3665572B2 (ja) * 2001-01-26 2005-06-29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磁気記録媒体
TWI221127B (en) * 2001-06-18 2004-09-21 Toshiba Corp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JP3923793B2 (ja) * 2001-11-30 2007-06-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物
JP2004351656A (ja) 2003-05-27 2004-12-16 Fujicopian Co Ltd 溶融熱転写画像記録用の中間転写シート
JP2005074821A (ja) 2003-09-01 2005-03-2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記録方法及び複合熱転写シート
JP4334991B2 (ja) * 2003-12-17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中間転写記録媒体
EP1702766B1 (en) * 2003-12-24 2016-10-12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179518B2 (en) * 2004-05-10 2007-02-20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layer transfer film, intermediate recording medium and printed matter
US7470649B2 (en) * 2004-05-11 2008-12-3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DE602006012812D1 (de) * 2005-03-18 2010-04-22 Dainippon Printing Co Ltd Thermotransferbildempfangspapier
CN101155695A (zh) * 2005-04-11 2008-04-02 王子制纸株式会社 热转印接收片
US7413783B2 (en) * 2005-08-08 2008-08-19 Fujicopian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sheet
KR20090128551A (ko) * 2007-05-10 2009-12-15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JP5365244B2 (ja) 2008-03-10 2013-12-11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5272577B2 (ja) * 2008-08-21 2013-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9590A1 (ja) 2012-03-08
US9597911B2 (en) 2017-03-21
AU2011297246B2 (en) 2015-05-28
EP2612762A1 (en) 2013-07-10
CN103079832B (zh) 2015-09-02
KR101793883B1 (ko) 2017-11-03
EP3409496A1 (en) 2018-12-05
EP2612762A4 (en) 2018-01-10
EP3409496B1 (en) 2020-03-11
US20130164463A1 (en) 2013-06-27
US8962112B2 (en) 2015-02-24
AU2011297246A1 (en) 2013-03-28
CN104802559B (zh) 2018-05-08
KR20170057873A (ko) 2017-05-25
CN104859330B (zh) 2017-09-22
EP2612762B1 (en) 2020-03-11
US20150118420A1 (en) 2015-04-30
CN104859330A (zh) 2015-08-26
KR101793884B1 (ko) 2017-11-03
EP3409497A1 (en) 2018-12-05
CN104802559A (zh) 2015-07-29
KR20170057874A (ko) 2017-05-25
CN103079832A (zh) 2013-05-01
KR101809299B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963A (ko) 중간 전사 매체
US9381765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combination of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thermal transfer sheet
JP5104930B2 (ja) 中間転写媒体
JP5003836B1 (ja) 中間転写媒体
JP5625633B2 (ja) 中間転写媒体
JP5056925B2 (ja) 中間転写媒体
GB2562015A (en) Combination of thermal transfer sheet an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method for forming printed matter
WO2013129415A1 (ja) 中間転写媒体
JP2012051214A (ja) 中間転写媒体
AU2018271238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JP5370516B2 (ja) 中間転写媒体
JP2012101370A (ja) 熱転写シート
JP5370518B2 (ja) 中間転写媒体
JP2015098171A (ja) 熱転写シート
JP2020142386A (ja) 中間転写媒体、印画物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