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526A -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526A
KR20060105526A KR1020060028507A KR20060028507A KR20060105526A KR 20060105526 A KR20060105526 A KR 20060105526A KR 1020060028507 A KR1020060028507 A KR 1020060028507A KR 20060028507 A KR20060028507 A KR 20060028507A KR 20060105526 A KR20060105526 A KR 2006010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liquid crystal
wiring board
b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675B1 (ko
Inventor
요시토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2Branch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 기판 등의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이 커지더라도, 그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표시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3)과, 그 액정 패널(3)을 지지하는 케이스(2)와, 액정 패널(3)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FPC 기판(5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이다. FPC 기판(51)은 액정 패널(3)과 FPC 기판(51)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51a', 51a")에서 케이스(2)의 측면(2c)에 FPC 기판(51)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러진다(J1, J2).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FPC 기판(51) 상에서의 회로 형성부(5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FPC 기판(51)을 제 1 액정 패널(3)에 실장하여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MOUNTING WIRING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등가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등가 회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배선 기판의 일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a)의 G-G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제 1 FPC 기판의 실장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도,
도 10은 배선 기판의 다른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배선 기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배선 기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배선 기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 1 FPC 기판의 상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전자 기기가 닫힌 상태, (b)는 전자 기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1, 101, 121, 151, 171, 20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2, 72, 102, 122, 152, 172, 202 : 케이스
2a, 72a : 케이스의 제 1 면
2b, 72b, 152b, 202b : 케이스의 제 2 면
2c, 72c, 102c, 122c, 152c, 172c, 202c : 케이스의 측면
3, 73, 103, 153, 173, 203 : 제 1 액정 패널(제 1 전기 광학 패널)
4, 74, 104, 154, 174, 204 : 제 2 액정 패널(제 2 전기 광학 패널)
5 : 제 1 조명 장치
6, 76, 106, 156 : 제 2 조명 장치 7 : 제 1 LED
8 : 제 2 LED 12 : 제 1 도광체
12a, 16a : 광 입사면 12b, 16b : 광 출사면
13a, 13b : 광 반사층 14a, 14b : 광 확산층
15 : LED 기판 15a : 제 1 실장 영역
15b : 제 2 실장 영역 15c : LED 기판의 단자
16 : 제 2 도광체 19a, 19b : 점착 시트
21, 31 : 제 1 투광성 기판 22, 32 : 제 2 투광성 기판
23a, 23b, 33a, 33b : 편광판 24, 34 : 연장부
26, 36 : 구동용 IC 35a, 35b : 전자 부품
51, 81, 111, 161, 181, 211 : 제 1 FPC 기판(배선 기판)
51a, 81a, 111a, 161a, 181a, 211a : 회로 형성부
51a', 111a', 181a' : 제 1 회로 형성부
51a", 111a", 161a", 181a", 211a" : 제 2 회로 형성부
51b, 111b, 161b, 181b, 211b : 굴곡부
51c, 111c, 161c, 181c, 211c : 입력용 단자
51d, 111d, 161d, 181d, 211d : 출력용 단자
51e, 111e, 161e, 181e, 211e : LED 기판용 단자
52, 82, 112, 162, 182, 212 : 제 2 FPC 기판
52a : 입력용 단자 54 : 베이스 필름
55 : 도체 56 : 보호막
57, 177 : 개구부 61 : 제 1 수용 공간
62, 92, 122, 192 : 제 2 수용 공간
93a : 개방부 93b : 바닥면
63, 66, 113, 126, 166, 183, 186, 216 : 굴곡 부분
64, 67, 124, 127 : 절결
68, 98, 128, 168, 188, 218 : 접착 부재
69 : 보호막 미형성부 93, 123 : 프레임 형상부
110a, 110b : 돌출부 130 : 제어 회로
13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132a : 제 1 액정 패널(제 1 전기 광학 패널)
132b : 제 2 액정 패널(제 2 전기 광학 패널)
133 : 구동 회로
140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157, 207 : FPC 기판 개방부
184, 187, 217 : 슬릿 172d, 202d : 평면 영역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에 포함되는 전기 광학 패널에 배선 기판을 실장하는 실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 EL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전기 광학 물질로서 액정을 이용한 장치, 즉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기 광학 물질인 액정을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하여, 이에 따라, 패널 구조체인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이 형성된다. 이 액정 패널에는, 일반적으로, 액정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배선 기판, 예컨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이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한 FPC 기판에는,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이 회로는 통상, 베이스 기판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선을 형성하고, 또한 IC, 콘덴서, 코일, 저항 등의 전자 부품을 베이스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실장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FPC 기판에는 입력용 단자가 형성되고, 이 입력용 단자에 외부 전원이나 여러 외부 기기가 접속된다. 그리고, 액정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나 전력이, FPC 기판을 통해서 외부 기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87144 호 공보(제4 페이지, 도 4)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배선 기판으로서의 FPC 기판은 한 장의 평판 형상의 기판으로서 배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 FPC 기판 상에 형성하는 회로가 큰 경우에는, 그 FPC 기판을 접속하여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가 커지고 있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를 작게 하고자 하면, FPC 기판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FPC 기판 등의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 상에 형성하 는 회로가 커지더라도, 그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는, 표시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기 광학 패널과, 해당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을 갖고,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당해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은 전기적인 입력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광학적인 출력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패널 구조체이다. 또한, 전기 광학 패널은 액정 등의 전기 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로서, 그 전기 광학 물질의 전기 광학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전기 광학 패널은,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전기 광학 물질을 배치하거나,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을 봉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전기 광학 물질로서, 예컨대 액정을 이용하면,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배선 기판은 그 배선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그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진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를 소 형화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배선 기판 상에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그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배선 기판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배선 기판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면을 향해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선 기판을 표시면측에서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의 전기 광학 패널의 영역에 겹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를 보다 더욱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케이스는, 예컨대,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이며, 전기 광학 패널을 수용함으로써 그 전기 광학 패널의 평면 방향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패널은 항상 케이스 내의 일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연(外緣)은 그 외의 구성요소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재이며, 전기 광학 장치의 외형 크기는 케이스의 외형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그 때문에, 케이스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부리면, 그 배선 기판이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것에 의해서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 중 구부려져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면은 당해 지지 부재의 측면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구부려진 배선 기판이, 그 배선 기판이 갖는 탄성에 의해 본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착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거나,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을 더 갖고, 상기 배선 기판 중의 구부려져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선 기판의 탄성에 의해 그 배선 기판 중의 구부려져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지지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기판 중의 구부려져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 부재의 측면으로 눌리어지기 때문에,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에 접착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하면, 배선 기판은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벗기는 일없이 지지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해서는, 예컨대, 조립 시에 불량 등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그 전기 광학 장치의 분해 작업 및 재차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배선과 당해 배선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갖고, 해당 보호막은 상기 배선 기판을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러질 때의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구부러지는 부분에서 배선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또는, 그 구부러지는 부분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배선 기판을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굴곡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이란 공간, 특히 가늘고 긴 공간인 것이다. 배선 기판의 굴곡 부분에 슬릿을 형성하면, 굴곡 부분에서 배선 기판을 보다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굴곡 부분의 단부에는 절결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선 기판을 구부릴 때에 굴곡 부분의 위치 결정을 정확히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기 광학 장치는,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해당 제 1 전기 광학 패널의 뒤쪽에 마련된 제 2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측으로 구부려지는 가요성을 가진 제 1 배선 기판과,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제 2 배선 기판을 갖고, 상기 제 1 배선 기판 또는 상기 제 2 배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일부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1) 제 1 배선 기판의 일부를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리고, (2) 제 2 배선 기판의 일부를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리며, (3) 제 1 배선 기판 및 제 2 배선 기판의 각각의 일부를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린다는 것이 생각된다.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배선 기판 또는 제 2 배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작게 형성하더라도, 배선 기판 상에 있어서의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배선 기판 또는 제 2 배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들의 배선 기판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제 2 전기 광학 패널을 마련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제 2 전기 광학 패널측으로 구부려진 제 1 배선 기판은 제 2 전기 광학 패널의 표시가 방해받지 않도록 그 제 2 전기 광학 패널의 주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 2 전기 광학 패널 주위에 배선 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그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반하여, 상기한 제 2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제 1 배선 기판은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당해 제 1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화하 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배선 기판 상에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제 1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배선 기판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배선 기판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은, 표시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기 광학 패널에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 기판 접속 공정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 부재에 수용하는 전기 광학 패널 수용 공정과, 상기 배선 기판을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면으로 향해 구부리는 제 1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과, 상기 배선 기판 중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당해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리는 제 2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에 따르면, 제 1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에서 전기 광학 패널의 배면으로 향해 구부려진 배선 기판은, 또한, 제 2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에서 전기 광학 패널과 그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려진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배선 기판 상에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배선 기판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배선 기판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상에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그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지지 부재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배선 기판 상에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그 전체 형상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 및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의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그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제까지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특징으로 되는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실제의 치수 비율과 다른 치수 비율로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것이 있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인 액정 표시 장치(1)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는, 지지 부재로서의 케이스(2)와, 그 케이스(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제 1 액정 패널(3)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제 2 액정 패널(4)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은 주된 표시를 하는 표시 요소이며, 제 2 액정 패널(4)은 부차적인 표시를 하는 표시 요소이다.
상기한 제 1 액정 패널(3)과 케이스(2) 사이에는 제 1 조명 장치(5)가 마련된다. 이 제 1 조명 장치(5)는 광원, 구체적으로는 점 형상 광원으로서의 제 1 LED(Light Emitting Diode)(7)와, 제 1 LED(7)로부터 출사하는 점 형상의 광을 면 형상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제 1 도광체(12)를 갖는다. 제 1 도광체(12)는, 예컨대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LED(7)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3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제 1 LED(7)는, 예컨대, 가요성의 기판인 LED 기판(15)의 제 1 실장 영역(15a) 상에 실장되어 있다. 이 LED 기판(15)은 단자(15c)를 갖고, 이 단자(15c)를 통해서 각 제 1 LED(7)로 전력이 공급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 1 LED(7)의 발광면(7a)은 제 1 도광체(12)의 하나의 측면인 광 입사면(12a)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각 제 1 LED(7)로부터 나간 광은 광 입사면(12a)으로부터 제 1 도광체(12)의 내부로 도입되어, 그 제 1 도광체(12)의 광 출사면(12b)으로부터 면 형상의 광으로서 출사하여 제 1 액정 패널(3)로 공급된다.
화살표 A측에서 보아 제 1 도광체(12)의 배면에는 광 반사층(13a)이 마련된다. 또한, 제 1 도광체(12)의 광 출사면(12b)에는 광 확산층(14a)이 마련된다. 제 1 조명 장치(5)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아 제 1 액정 패널(3)의 뒤측에 배치되어 있고, 백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또, 제 1 도광체(12)의 광 출사면(12b) 위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 확산층(14a) 이외의 다른 광학 특성을 구비한 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은 제 1 LED(7) 이외의 점 형상 광원이나, 냉음극관 등의 선 형상 광원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제 2 액정 패널(4)과 케이스(2) 사이에는 제 2 조명 장치(6)가 마련된다. 이 제 2 조명 장치(6)는 제 2 LED(8)와, 제 2 LED(8)로부터 출사하는 점 형상의 광을 면 형상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제 2 도광체(16)를 갖는다. 제 2 도광체(16)는, 예컨대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LED(8)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3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3개의 LED(8)는 LED 기판(15)의 제 2 실장 영역(15b) 상에 실장되어 있고, 단자(15c)를 통해서 각 제 2 LED(8)로 전력이 공급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 2 LED(8)의 발광면(8a)은 제 2 도광체(16)의 하나의 측면인 광 입사면(16a)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각 제 2 LED(8)로부터 나간 광은 광 입사면(16a)으로부터 제 2 도광체(16)의 내부로 도입되어, 그 제 2 도광체(16)의 광 출사면(16b)으로부터 면 형상의 광으로서 출사되어 제 2 액정 패널(4)로 공급된다.
화살표 B측에서 보아 제 2 도광체(16)의 배면에는 광 반사층(13b)이 마련된다. 또한, 제 2 도광체(16)의 광 출사면(16b)에는 광 확산층(14b)이 마련된다. 제 2 조명 장치(6)는 화살표 B에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아 제 2 액정 패널(4)의 뒤측에 배치되어 있고, 백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또, 제 2 도광체(16)의 광 출사면(16b) 위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 확산층(14b) 이외의 다른 광학 특성을 구비한 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조명 장치(5)와 제 1 액정 패널(3) 사이에는 점착 시트(19a)가 마련된다. 도 1에 있어서, 이 점착 시트(19a)는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 V1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 시트(19a)는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2)와 제 1 액정 패널(3)은 이 점착 시트(19a)에 의해 점착된다. 여기서 점착이란, 사람의 손에 의해 용이하게 벗길 수 있을 정도의 접착의 의미이다. 이렇게 해서 제 1 조명 장치(5) 및 제 1 액정 패널(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내측에 수용된다.
도 1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4)과 케이스(2) 사이에는 점착 시트(19b)가 마련된다. 이 점착 시트(19b)는 제 2 액정 패널(4)의 표시 영역 V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 시트(19b)는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2)와 제 2 액정 패널(4)은 이 점착 시트(19b)에 의해 점착된다. 이렇게 해서 제 2 조명 장치(6) 및 제 2 액정 패널(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내측에 수용된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액정 패널(3)은 제 1 투광성 기판(21)과, 제 2 투광성 기판(22)과, 제 1 투광성 기판(21)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23a)과, 제 2 투광성 기판(22)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23b)을 갖는다. 편광판(23a)의 편광축과 편광판(23b)의 편광축은 적당히 비키어 놓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편광판(23a, 23b)에 부가하여 다른 광학 요소, 예컨대 위상차판 등을 마련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투광성 기판(21)은 제 2 투광성 기판(22)의 한쪽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를 갖는다. 이 연장부(24) 상에는 구동용 IC(26)가, 예컨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방성 도전막)을 이용하여 COG(Chip On Glass) 기술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제 2 액정 패널(4)은 제 1 투광성 기판(31)과, 제 2 투광성 기판(32)과, 제 1 투광성 기판(31)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33a)과, 제 2 투광성 기판(32)의 외측 표면에 점착된 편광판(33b)을 갖는다. 편광판(33a)의 편광축과 편광판(33b)의 편광축은 적당히 비키어 놓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 편광판(33a, 33b)에 부가하여 다른 광학 요소, 예컨대 위상차판 등을 마련하여도 된다. 도 2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기판(31)은 제 2 투광성 기판(3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를 갖는다. 이 연장부(34) 상에는 구동용 IC(36)가, 예컨대, ACF를 이용하여 COG 기술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액정 패널(3)을 구성하는 제 1 투광성 기판(21) 및 제 2 투광성 기판(2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표면에는 전극이 마련되고, 또한, 그들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4)을 구성하는 제 1 투광성 기판(31) 및 제 2 투광성 기판(3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표면에도 전극이 마련되고, 또한, 그들 기판 사이에도 액정이 봉입된다. 제 1 조명 장치(5)로부터 제 1 액정 패널(3)로 면 형상의 광이 공급될 때, 및 제 2 조명 장치(6)로부터 제 2 액정 패널(4)로 면 형상의 광이 공급될 때, 각 액정 패널(3, 4)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써, 액정을 통과하는 광을 화소마다 변조한다.
그리고, 제 1 액정 패널(3)에 있어서는, 변조광을 편광판(23b)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그 편광판(23b)의 광 출사측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이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를 관찰하는 방향이며, 편광판(23b)이 마련된 면이 표시면 C이다. 한편, 제 2 액정 패널(4)에 있어서는, 상기한 변조광을 편광판(33b)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그 편광판(33b)의 광 출사측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이 제 2 액정 패널의 표시를 관찰하는 방향이며, 편광판(33b)이 마련된 면이 표시면 E이다.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에는 동일한 표시 모드의 액정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임의의 표시 모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구동 방식으로 말하면, 단순 매트릭스 방식 및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액정 모드의 종별로 말하면,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부(負)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즉, 수직 배향용 액정), 그 외 임의의 액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채광 방식으로 말하면, 반사형, 투과형 또는 투과 및 반사 겸용의 반투과 반사형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반사형이란, 태양광, 실내광 등의 외부광을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의 내부에서 반사시켜 표시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투과형이란,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을 투과하는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반투과 반사형이란, 반사형 표시와 투과형 표시의 양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조명 장치(5) 및 제 2 조명 장치(6)가 백라이트로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채광 방식으로서는 투과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이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이란, 각 화소에 능동 소자를 갖지 않고, 주사 전극과 데이터 전극의 교차부가 화소 또는 도트에 대응하여, 구동 신호가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 대한 액정 모드로서는 TN, STN, 수직 배향 모드가 이용된다. 다음에,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란, 화소 또는 도트마다 능동 소자가 마련되어, 기입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N 상태로 되어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고, 다른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FF 상태로 되어 전압이 유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사용하는 능동 소자에는 3 단자형과 2 단자형이 있다. 3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이 있다. 또한, 2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D(Thin Film Diode)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에 있어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기판 중 한쪽에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컬러 필터는 특정한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복수의 필터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3원색인 B(청색), G(녹색), R(적색)의 1색씩을 기판 상의 각 화소에 대응시켜 소정의 배열, 예컨대 스트라이프 배열, 델타 배열, 모자이크 배열로 나열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로서, TFD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그 전기적인 등가 회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3에 있어서, 복수개의 주사선(41)이 행 방향 X로 연장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복수개의 데이터선(42)이 열 방향 Y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사선(41)은 도 2의 제 1 투광성 기판(21, 31) 또는 제 2 투광성 기판(22, 32) 중 TFD 소자가 마련되지 않은 쪽의 기판 상에 띠 형상 전극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도 3의 데이터선(42)은 도 2의 제 1 투광성 기판(21, 31) 또는 제 2 투광성 기판(22, 32) 중 TFD 소자가 마련되는 쪽의 기판 상에 라인 배선으로서 형성된다.
도 3에 있어서, 표시의 최소 단위인 서브 화소 D는 주사선(41)과 데이터선(42)의 각 교차 부분에 형성된다. 각 서브 화소 D에서는, 액정층(43)과 TFD 소자(4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서브 화소 D에 청색(B), 녹색(G), 적색(R)의 각 컬러 필터 중 1색을 대응시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3색의 서브 화소 D가 모여 하나의 화소가 형성된다. 한편, 흑백 등에 의해 모노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서브 화소 D의 하나가 하나의 화소를 형성한다.
도 3에서는, 액정층(43)이 주사선(41)측에 접속되고, TFD 소자(44)가 데이터선(42)측에 접속되어 있지만, 접속 관계를 그 반대로 하여도 된다. 각 주사선(41)은 주사선 구동 회로(27)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각 데이터선(42)은 데이터선 구동 회로(28)에 의해 구동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7)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8)는 도 2의 구동용 IC(26 및 36)에 의해서 구성된다. 구동용 IC(26, 36)은 공통의 IC에 의해 도 3의 양 구동 회로(27 및28)를 조달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양 구동 회로(27 및 28)를 개별의 IC에 할당하여도 된다.
한편,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로서, TFT 소자를 이용한 액 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그 전기적인 등가 회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4에 있어서, 복수개의 주사선(41)이 행 방향 X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데이터선(42)이 열 방향 Y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사선(41)은 도 2의 제 1 투광성 기판(21, 31) 또는 제 2 투광성 기판(22, 32)의 한쪽에 형성된 TFT 소자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선으로서 형성되고, 도 4의 데이터선(42)은 TFT 소자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선으로서 형성된다. 도 2의 제 1 투광성 기판(21, 31) 또는 제 2 투광성 기판(22, 32) 중의 TFT 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기판 상에는 면 형상의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도 4에 있어서, 서브 화소 D는 주사선(41)과 데이터선(42)의 각 교차 부분에 형성된다. 각 서브 화소 D에서는, TFT 소자(45)와 화소 전극(46)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주사선(41)은 주사선 구동 회로(27)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각 데이터선(42)은 데이터선 구동 회로(28)에 의해 구동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7)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8)는 도 2의 구동용 IC(26 및 36)에 의해 구성된다.
주사 신호는 도 4의 TFT 소자(45)의 게이트로 보내어지고, 데이터 신호는 TFT 소자(45)의 소스로 보내어진다. TFT 소자(45)가 ON 상태로 되면, 대응하는 화소 전극(46)으로의 통전이 이루어져 대응하는 서브 화소 D 내의 액정으로의 기입이 행하여진다. 또한, 연속하여 TFT 소자(45)가 OFF 상태로 되면, 기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일련의 기입 동작 및 유지 동작에 의해 액정 분자가 제어된다.
도 1로 되돌아가, 제 1 액정 패널(3)의 제 1 투광성 기판(21)의 연장부(24)의 변 단부에는,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으로서의 제 1 FPC 기판(51)이, 예컨대 ACF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FPC 기판(51)은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할 때, 화살표 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1변을 말아서넣도록 굽어져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면 C의 반대측의 케이스(2)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4)의 제 1 투광성 기판(31)의 연장부(34)의 변 단부에는,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으로서의 제 2 FPC 기판(52)이, 예컨대 ACF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 1 FPC 기판(51) 및 제 2 FPC 기판(52)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케이스(2)는 제 1 수용 공간(61)과 제 2 수용 공간(62)을 갖는다. 제 1 수용 공간(61)은,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A가 그려진 측인 케이스(2)의 제 1 면(2a)측에 마련된다. 이 제 1 수용 공간(61)은 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1 조명 장치(5)가 수용된다. 또한, 제 2 수용 공간(62)은 화살표 B가 그려진 측인 케이스(2)의 제 2 면(2b)측에 마련된다. 이 제 2 수용 공간(62)은 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제 2 액정 패널(4) 및 제 2 조명 장치(6)가 수용된다.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할 때는, 먼저, 제 1 조명 장치(5), 제 1 액정 패널(3), 제 2 조명 장치(6), 및 제 2 액정 패널(4)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에 장착한다. 그 장착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제 1 조명 장치(5)를 제 1 수용 공간(61)에 수용한 후에, 점착 시트(19a)에 의해 제 1 조명 장치(5)와 케이스(2)에 제 1 액정 패널(3)을 점착한다. 이 때, 제 1 액정 패널(3)과 제 1 조명 장치(5)는 제 1 수용 공간(61)에 의해 도 2의 좌우 방향 및 지면 수직 방향의 위치로 규제되어, 이에 따라, 항상 케이스(2) 내의 일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제 2 조명 장치(6)를 제 2 수용 공간(62)에 수용한 후에, 점착 시트(19b)에 의해 제 2 조명 장치(6)와 케이스(2)에 제 2 액정 패널(4)을 점착한다. 이 때, 제 2 액정 패널(4)과 제 2 조명 장치(6)는 제 2 수용 공간(62)에 의해 도 2의 좌우 방향 및 지면 수직 방향의 위치로 규제되어, 이에 따라, 항상 케이스(2) 내의 일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51)이 화살표 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단부 변을 말아서 넣도록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1 FPC 기판(51)은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면 C의 반대측, 즉 케이스(2)의 제 2 면(2b)의 표면 상으로 옮겨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배선 기판으로서의 FPC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1의 제 1 FPC 기판(51)을 화살표 A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b)는 도 5(a)의 G-G선에 따른 제 1 FPC 기판(51)의 단면도이다.
제 1 FPC 기판(51)은, 예컨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로서 형성되는 굴곡성이 우수한 기판이다. 이 제 1 FPC 기판(51)은 도 1의 화살표 F와 같이 구부려졌을 때에, 케이스(2)에 대면하는 표면 S1과 그 반대면인 표면 S2를 갖는다. S1은 구부려져 내측으로 되는 면이며, S2는 구부려져 외측으로 되는 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51)은,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54)의 표면 상에 도체(55)를 형성하고, 또한 도체(55) 위에는, 예컨대 커버레이나 레지스트 등의 보호막(56)을 형성하여 이루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도체(55)와 보호막(56)은 베이스 필름(54)의 양측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 1 FPC 기판(51)은 그 단면이 2층의 배선 구조를 갖는 FPC 기판이다. 따라서, 도체(55)는 표면 S1 및 표면 S2의 각각에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스루홀에 의해 그들 도체(55)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은 회로 형성부(51a)와, 굴곡부(51b)와, 입력용 단자(51c)와, 출력용 단자(51d)와, LED 기판용 단자(51e)를 갖는다. 회로 형성부(51a)는 도 5(a)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며, 전자 회로 및 그것에 부수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 회로 형성부(51a)는, 제 1 FPC 기판(51)을 도 1의 화살표 F와 같이 구부려졌을 때,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제 2 수용 공간(62) 주위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회로 형성부(51a)는, 도 5(a)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개구부(57)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7)의 폭 t1은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양측면 사이의 폭 t2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조금 큰 폭으로 형성된다. 이 이후의 설명에서, 이 개구부(57)를 사이에 두고 한쪽의 회로 형성부를 제 1 회로 형성부(51a')라고 부르고, 다른쪽의 회로 형성부를 제 2 회로 형성부(51a")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5(a)에 있어서, 제 1 회로 형성부(51a')는 굴곡 부분(63)을 갖고, 이 굴곡 부분(63)의 부분에서 구부려질 수 있다. 그리고, 구부러지는 부분(63)의 개구부(57)측의 단부에는 절결(6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 1 회로 형성부(51a')는 도 6(b)에 화살표 J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측면(2c)을 따르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1 회로 형성부(51a')의 면은,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68)를 이용하여 케이스(2)의 측면(2c)에 접착된다. 제 1 회로 형성부(51a')의 구부려지는 부분(63)의 단면을 도시한 도 5(b)에 있어서, 보호막(56)이 사선을 실시되지 않는 상태로 그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보호막(56)은 굴곡 부분(63)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64)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보호막(56)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회로 형성부(51a')의 굴곡 부분(63)에 있어서의 개구부(57)측의 단부에 절결(64)을 형성함으로써, 그 굴곡 부분(63)의 위치를 정확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굴곡 부분(63) 상에 보호막(56)을 형성하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굴곡 부분(63)에 있어서의 기판의 두께를 얇고, 또한 당해 부분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어, 그 때문에, 제 1 회로 형성부(51a')를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있어서,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굴곡 부분(66)을 갖고, 이 굴곡 부분(66)의 부분에서 구부릴 수 있다. 그리고, 굴곡 부분(66)의 개구부(57)측의 단부에는 절결(6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도 6(b)에 화살표 J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측면(2c)을 따르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2 회로 형성부(51a")의 면은,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68)를 이용하여 케이스(2)의 측면(2c)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도 5(a)에 있어서, 제 2 회로 형성부(51a")의 굴곡 부분(66)에 있어서의 개구부(57)측의 단부에 절결(67)을 마련한 것에 의해, 그 굴곡 부분(66)의 위치를 정확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부분(66)에 대해서도 제 1 회로 형성부(51a')측의 굴곡 부분(63)과 마찬가지로 보호막(56)을 형성하지 않도록 했다. 이렇게 하면, 굴곡 부분(66)에 있어서의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부분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회로 형성부(51a")를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회로 형성부(51a)는 전자 회로나 배선을 형성하는 부분이지만, 그 일부인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주로, 회로 형성부(51a)의 입력용 단자(51c)측의 회로 형성 부분과 출력용 단자(51d)측의 회로 형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 상에는, 입력용 단자(51c)측과 출력용 단자(51d)측을 연결하는 배선만을 마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 상에는, 배선에 부가하여 IC 등의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입력용 단자(51c)가 마련된 측의 회로 형성부(51a)의 표면(구부려졌 을 때에 외측으로 되는 면) S2 상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35a)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굴곡부(51b)의 표면(구부려졌을 때에 내측으로 되는 면) S1 상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35b)이 실장되어 있다. 이들 전자 부품(35a, 35b)은 도 1의 제 1 액정 패널(3) 및/또는 제 2 액정 패널(4)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저항, 코일, 콘덴서, 전원 IC 등이 생각된다. 또한, 입력용 단자(51c)가 마련된 측의 회로 형성부(51a)의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 상에는 LED 기판용 단자(51e)가 마련되어 있다. 이 LED 기판용 단자(51e)에는, 도 1의 LED 기판(15)이, 예컨대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또한, 도 5(a)의 회로 형성부(51a)의 표리(表裏) 양측의 표면 상에는, 각 전자 부품(35a, 35b)이나 단자를 접속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이 패터닝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굴곡부(51b)는 제 1 FPC 기판(51)을 도 1의 화살표 F와 같이 굽혔을 때에 구부려지는 부분이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굴곡부(51b)의 내측으로 되는 표면 S1측에는 보호막(56)을 형성하지 않은 보호막 미(未)형성부(69)를 마련하고 있다. 이 보호막 미형성부(69)는 도 5(b)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직진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굴곡부(51b)의 두께를 얇게 하여 구부리기 쉽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막 미형성부(69)는 1개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보호막 미형성부(69)는 복수 개소에 마련하더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막 미형성부(69)는 구부려져 내측으로 되는 표면 S1측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을 구부려져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측에 마련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5(a)에 있어서, 입력용 단자(51c)는 회로 형성부(51a)의 굴곡 부(51b)와 반대측의 단부 변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입력용 단자(51c)에는, 외부의 입력용 기기(예컨대,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제어 회로)나 외부 전원 등이 접속된다. 또한, 출력용 단자(51d)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의 연장부(24) 상에, 예컨대 ACF를 이용하여 접속된다. 출력용 단자(51d)로 전송된 신호는 제 1 액정 패널(3)의 외부 접속용 단자를 통해서 구동용 IC(26)로 전송된다.
또한, 도 5(a)에 있어서, 회로 형성부(51a)의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 위이면서 입력용 단자(51c) 근방에는 커넥터(5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넥터(58)에는 도 1의 제 2 FPC 기판(52)의 후술하는 입력용 단자(52a)가 접속된다. 또, 제 1 FPC 기판(51)에는, 커넥터(58) 대신에 단자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그 단자와 제 2 FPC 기판(52)의 입력용 단자(52a)를, 예컨대 납땜함으로써 양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4)의 제 1 투광성 기판(31)의 연장부(34)의 변 단부에는,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으로서의 제 2 FPC 기판(52)이, 예컨대 ACF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FPC 기판(52)은, 제 1 FPC 기판(51)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로 하여 형성된다.
이 제 2 FPC 기판(52)에는, 입력용 단자(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력용 단자(52a)는 제 1 FPC 기판(51)에 마련된 커넥터(58)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1 FPC 기판(51)과 제 2 FPC 기판(52)을 거쳐서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 널(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2 액정 패널(4)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나 전력이, 제 2 FPC 기판(52) 및 제 1 FPC 기판(51)을 통해서 입력용 기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FPC 기판(51)을 화살표 F와 같이 구부렸을 때에, 그 제 1 FPC 기판(51)을 제 2 액정 패널(4)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액정 표시 장치를 소형화하고자 하면,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케이스(2)의 영역 내에 FPC 기판을 배치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 때문에, FPC 기판을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시켜 설치하는 것을 얻지 못해, 그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것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부분(63)에서 제 1 회로 형성부(51a')를,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화살표 J1의 방향으로 구부렸다. 또한 마찬가지로, 굴곡 부분(66)에서 제 2 회로 형성부(51a")를,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화살표 J2의 방향으로 구부렸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의 일부를 케이스(2)의 측면(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5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5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의 제 1 액정 패널(3)에 배선 기판인 제 1 FPC 기판(51)을 실장하고, 또한 그들을 케이스(2)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공정 P1에 있어서, 도 1의 제 1 액정 패널(3)에 제 1 FPC 기판(51)을 접속한다. 이 때, 도 5(a)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51)의 출력용 단자(51d)는 도 1의 제 1 액정 패널(3)의 연장부(24)에 형성된 외부 접속용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ACF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도 7의 공정 P2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3) 및 제 1 조명 장치(5)를 케이스(2)의 제 1 수용 공간(61) 내에 수용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2 액정 패널(4) 및 제 2 조명 장치(6)를 케이스(2)의 제 2 수용 공간(62) 내에 수용한다. 다음에, 도 7의 공정 P3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한 제 1 FPC 기판(51)의 1차 굴곡 공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제 1 FPC 기판(51)을 굴곡부(51b)에서, 화살표 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부린다. 이 때, 제 1 FPC 기판(51)은 케이스(2)의 1변을 말아넣도록 구부려 제 1 액정 패널(3)의 표시면 C의 반대측인 케이스(2)의 제 2 면(2b) 상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 7의 공정 P4에 있어서, 케이스(2)를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의 그 케이스(2)의 영역 내에 제 1 FPC 기판(51)을 수용하기 위한 2차 굴곡 공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나타내는 제 1 회로 형성부(51a')를, 굴곡 부분(63)을 따라서 도 5(a)의 깊이측으로 구부린다. 이 때, 제 1 회로 형성부(51a') 는, 도 6(b)에 있어서 화살표 J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5(a)에 나타내는 제 2 회로 형성부(51a")를, 굴곡 부분(66)을 따라서 도 5(a)의 깊이측으로 구부린다. 이 때,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도 6(b)에 있어서 화살표 J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한다.
다음에, 도 7의 공정 P5에 있어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의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를 케이스(2)의 측면(2c)에, 예컨대 접착 부재(68) 등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다음에, 도 7의 공정 P6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FPC 기판(52)의 입력용 단자(52a)를 제 1 FPC 기판(51)의 커넥터(58)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제 1 액정 패널(3)과 제 2 액정 패널(4)이 제 1 FPC 기판(51)과 제 2 FPC 기판(52)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에 포함되는 제 1 액정 패널(3)에 제 1 FPC 기판(51)이 실장되어, 액정 표시 장치(1)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에 있어서는, 도 7의 공정 P4에 있어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부분(63)에서 제 1 회로 형성부(51a')를,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화살표 J1의 방향으로 구부렸다. 또한 마찬가지로, 굴곡 부분(66)에서 제 2 회로 형성부(51a")를,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화살표 J2의 방향으로 구부렸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의 일부분을 케이스(2)의 측 면(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5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5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71)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은 점이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수용 공간(62)은 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며, 화살표 B가 그려진 측인 케이스(2)의 제 2 면(즉, 제 2 액정 패널(74)이 장착되는 쪽의 면)(2b)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72)의 화살표 B가 그려진 쪽의 면, 즉 제 2 면(72b)에 그 제 2 면(72b)으로부터 돌출한 프레임 형상부(93)를 형성하여, 그 프레임 형상부(93)의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92)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71)를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71)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81)은 도 5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5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제 2 FPC 기판(82), 제 1 액정 패널(73), 제 2 액정 패널(74) 및 제 2 조명 장치(76)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제 2 FPC 기판(52), 제 1 액정 패널(3), 제 2 액정 패널(4) 및 제 2 조명 장치(6)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요소와 도 8에 나타내는 요소가 동일한 것인 경우는 그들을 동일한 부호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있어서, 제 2 수용 공간(92) 내에는 제 2 액정 패널(74) 및 제 2 조명 장치(76)가 수용된다. 이 제 2 수용 공간(92)은 제 2 액정 패널(74)의 두께와 제 2 조명 장치(76)의 두께를 합친 총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용 공간(92)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부(93) 중의 서로 대향하는 것끼리 사이의 거리 t4는 케이스(72)의 양측면 사이의 폭 t3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프레임 형상부(93) 중, 제 2 FPC 기판(82)이 마련되는 측의 1변에는, 잔여의 돌출부보다도 낮고, 그러나 제 2 면(72b)보다도 높거나, 혹은 제 2 면(72b)과 동일한 높이의 면인 개방부(9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93a)는 제 2 수용 공간(92)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상부(93)의 1변을 절취하여 개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방부(93a)는 제 2 FPC 기판(82)을 외부로 연장시키기 위해서, 제 2 FPC 기판(82)의 폭 이상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93a)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액정 패널(74) 및 제 2 조명 장치(76)를 제 2 수용 공간(92)에 수용했을 때, 개방부(93a)의 바닥면(93b)이 제 2 FPC 기판(82)에 접촉하지 않은 높이로 형성 된다. 이에 따라, 제 2 FPC 기판(82)은, 제 2 액정 패널(74) 및 제 2 조명 장치(76)를 제 2 수용 공간(92)에 수용했을 때, 개방부(93a)를 통해 제 2 수용 공간(92) 밖으로 직진하여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FPC 기판(81)의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굴곡 부분(66)에서 케이스(72)의 측면(2c)에, 그 표면이 대향하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68)를 이용하여 케이스(72)의 측면(2c)에 접착된다. 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1 FPC 기판(81)의 다른쪽의 제 1 회로 형성부(51a')도, 마찬가지로 굴곡 부분(63)에서 케이스(7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져 접착된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 부분(63, 66)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81)의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가, 그 표면을 케이스(7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81)의 회로 형성부(51a)의 일부분을 케이스(72)의 측면(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7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7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81)의 회로 형성부(5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8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7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8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81)의 회로 형성부(5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10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제 1 FPC 기판(111)을 화살표 B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또, 굴곡부(111b)는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5(a)에 상당하는 도면이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111)은 도 5(a)의 제 1 FPC 기판(51)을 180°만큼 면내(面內) 회전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10을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에 정합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실시예 2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72)의 제 2 면(72b)에 그 제 2 면(72b)으로부터 돌출한 프레임 형상부(93)를 형성하여, 그 프레임 형상부(93) 중의 서로 대향하는 것끼리 사이의 거리 t4는 케이스(72)의 폭 t3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부(123) 중의 서로 대향하는 것끼리 사이의 거리 t6과, 케이스(102)의 폭 t5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101)를 도 8의 액정 표시 장치(7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의 액정 표시 장치(101)에 있어서, 제 2 FPC 기판(112), 제 1 액정 패널(103), 제 2 액정 패널(104) 및 제 2 조명 장치(106)는 각각 도 8에 나타내는 제 2 FPC 기판(82), 제 1 액정 패널(73), 제 2 액정 패널(74) 및 제 2 조명 장치(76) 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의 케이스(102)는, 프레임 형상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8의 케이스(72)와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FPC 기판(111)은 회로 형성부의 형상, 특히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8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81),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51)과 동일한 구조로 한다. 또,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부호(111b)는 제 1 FPC 기판(111)의 굴곡부를 나타내고, 부호(111c)는 입력용 단자를 나타내고, 부호(111d)는 출력용 단자를 나타내며, 부호(69)는 보호막 미형성부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9에 있어서, 프레임 형상부(123) 중의 서로 대향하는 것끼리 사이의 거리 t6은 케이스(102)의 양측면 사이의 폭 t5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케이스(102)의 측면(102c)은 프레임 형상부(123)의 측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형상부(123)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케이스(102)의 측면(102c)의 높이 t8은 그 이외의 영역에서의 케이스(102)의 측면(102c)의 높이 t7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FPC 기판(111)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 형성부(111a')를 개구부(117)의 내측으로 돌출시킨 형상의 돌출부(110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110a)를 포함한 제 1 회로 형성부(111a')의 폭 t9는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02)의 측면(102c)이 대응하는 부분의 높이 t8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조금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개구부(117)를 사이에 두고 제 1 회로 형성부(111a')에 대향하는 제 2 회로 형성부(111a")에는, 개구부(117)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110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110b)를 포함한 제 2 회로 형성부(111a")의 폭 t10은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02)의 측면(102c)이 대응하는 부분의 높이 t8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조금 작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제 1 FPC 기판(111)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1) 내에 마련되는 제 1 액정 패널(103)에 접속된다. 이 때, 제 1 FPC 기판(111)의 제 2 회로 형성부(111a")는 굴곡 부분(126)에서 케이스(102)의 측면(102c)을 따르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또한, 제 2 회로 형성부(111a")의 돌출부(110b)는 제 2 회로 형성부(111a")의 전체가 구부려진 상태일 때에 위쪽으로 연장된 상태로 프레임 형상부(123)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회로 형성부(111a")는,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28)를 이용하여 케이스(102)의 측면(102c)에 접착된다. 또, 도 10의 제 1 회로 형성부(111a') 및 그 돌출부(110a)는 도 9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들 제 1 회로 형성부(111a') 및 그 돌출부(110a)에 대해서도, 제 2 회로 형성부(111a")와 마찬가지로 측면(102c)을 따르도록 구부려져 접착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FPC 기판(111)의 회로 형성부(111a)의 일부분인 제 1 회로 형성부(11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11a")가 케이스(102)의 측면(102c)에 대향하도록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111)의 회로 형성부(111a)의 일부분을 케이스(102)의 측면(102c) 상에 배치하 면, 액정 표시 장치(10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10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111)의 회로 형성부(11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11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0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11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111)의 회로 형성부(11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2)에 관해서는, 프레임 형상부(123) 중의 서로 대향하는 것끼리 사이의 거리 t6과, 케이스(102)의 폭 t5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2)의 측면(102c)은 프레임 형상부(123)의 측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측면(102c)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102)의 양측의 측면(102c) 상에는, 도 10의 돌출부(110a)를 마련한 제 1 회로 형성부(111a')와, 돌출부(110b)를 마련한 제 2 회로 형성부(111a")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것들의 제 1 회로 형성부(11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11a")는 각각 돌출부(110a) 및 돌출부(110b)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회로를 형성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 치(15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제 1 FPC 기판(161)을 화살표 B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굴곡부(161b)는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도 5(a)에 상당하는 도면이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161)은 도 5(a)의 제 1 FPC 기판(51)을 180°만큼 면내 회전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12를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 정합시키기 위해서이다.
실시예 1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는 개구부(57)를 갖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57)를 사이에 두고 도면의 좌우의 양측에는 입력용 단자(51c)측의 회로 형성부와 출력용 단자(51d)측의 회로 형성부가 마련되고, 도면의 상하의 양단에는 그들을 연결하는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성부(51a")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의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각각 구부려져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161)의 회로 형성부(161a)는 FPC 기판 개방부(157)를 둘러싸는 형상인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コ자 형상 중 개방된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 2 회로 형성부(16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 2 회로 형성부(161a")는, 도 11에 있어서, 케이스(152)의 하나의 측면(152c)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져 있다. 이하,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151)를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액정 표시 장치(151)에 있어서, 제 2 FPC 기판(162), 제 1 액정 패 널(153), 제 2 액정 패널(154) 및 제 2 조명 장치(156)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제 2 FPC 기판(52), 제 1 액정 패널(3), 제 2 액정 패널(4) 및 제 2 조명 장치(6)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2의 제 1 FPC 기판(161)은 회로 형성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51)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12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61)은 회로 형성부(161a)와, 굴곡부(161b)와, 입력용 단자(161c)와, 출력용 단자(161d)와, LED 기판용 단자(161e)를 갖는다. 회로 형성부(161a)는 도 12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다. 제 1 FPC 기판(16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측에 배치된 제 1 액정 패널(15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FPC 기판(161)은 굴곡부(161b)에서 케이스(152)의 단부 변을 말아넣도록 구부려져 화살표 B측, 즉 케이스(152)의 제 2 면(152b)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61)의 회로 형성부(161a)는 평면적으로 보아 FPC 기판 개방부(157)를 둘러싸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형성부(161a) 중 FPC 기판 개방부(157)에 의해 개방된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제 2 회로 형성부(161a")이다. 이 제 2 회로 형성부(161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부분(166)에서 케이스(152)의 하나의 측면(152c)에, 그 표면이 대향하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2 회로 형성부(161a")는,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68)를 이용하여 케이스(152)의 측 면(152c)에 접착된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 부분(166)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61)의 회로 형성부(161a)의 일부인 제 2 회로 형성부(161a")가, 그 표면을 케이스(152)의 하나의 측면(152c)에 대향하도록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제 2 회로 형성부(161a")를 케이스(152)의 측면(15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15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15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161)의 회로 형성부(16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16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5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16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161)의 회로 형성부(16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17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는 도 13의 제 1 FPC 기판(181)을 화살표 B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또, 굴곡부(181b)는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서는, 제 1 회로 형성부(51a') 및 제 2 회로 형 성부(51a")의 내측 표면 S1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 1 FPC 기판(51)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172c) 상에 부가하여,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 위이면서, 또한 제 2 액정 패널(174)과 측면(172c) 사이의 평면 영역(172d)(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 상에도 제 1 회로 형성부(18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81a")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이하, 도 13의 액정 표시 장치(171)를 도 6의 액정 표시 장치(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의 액정 표시 장치(171)에 있어서, 케이스(172), 제 2 FPC 기판(182), 제 1 액정 패널(173), 제 2 액정 패널(174) 및 제 2 조명 장치(176)는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케이스(2), 제 2 FPC 기판(52), 제 1 액정 패널(3), 제 2 액정 패널(4) 및 제 2 조명 장치(6)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4의 제 1 FPC 기판(181)은 회로 형성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5의 제 1 FPC 기판(51)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14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181)은 회로 형성부(181a)와, 굴곡부(181b)와, 입력용 단자(181c)와, 출력용 단자(181d)와, LED 기판용 단자(181e)를 갖는다. 회로 형성부(181a)는 도 14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다. 제 1 FPC 기판(181)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측에 배치된 제 1 액정 패널(17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FPC 기판(181)은 굴곡부(181b)에서 케이스(172)의 단부 변을 말아넣도록 구부려져 화살표 B측, 즉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의 표면 상 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FPC 기판(181)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개구부(177)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FPC 기판(181)에 있어서는, 개구부(177)를 사이에 두고 한쪽의 회로 형성부가 제 1 회로 형성부(181a')이며, 다른쪽의 회로 형성부가 제 2 회로 형성부(181a") 이다.
제 1 회로 형성부(181a')는 그 대략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 X0을 따라 마련된 직선 형상의 영역인 굴곡 부분(183)을 갖고, 이 굴곡 부분(183)의 부분에서 제 1 회로 형성부(181a')를 구부릴 수 있다. 이 굴곡 부분(183)의 양단부는 도 5의 보호막(56)이 없고 베이스 필름(54)만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얇은 부분이며, 그들의 얇은 두께 부분 사이에는 내측으로 되는 표면 S1로부터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에 걸어 관통하는 가늘고 긴 공간, 소위 슬릿(184)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곡 부분(183)에 슬릿(184)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굴곡 부분(183)에서 제 1 FPC 기판(181)을 보다 더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 부분(183)을 따라 하나의 슬릿(184)을 마련하고 있지만, 슬릿(184)은 굴곡 부분(183) 상에 필요한 배선을 마련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어 있으면, 굴곡 부분(183)을 따라 2개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슬릿(184)은 제 1 FPC 기판(181)이 굴곡 부분(183)에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으면,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제 2 회로 형성부(181a")는 굴곡 부분(184)과 동일한 구성의 굴곡 부분(186)을 갖고, 이 굴곡 부분(186)에서 구부릴 수 있다. 이 굴곡 부분(186)에도, 내측 표면 S1로부터 외측 표면 S2에 걸쳐 관통하는 슬릿(187)이 마련되어 있기 때 문에, 이 굴곡 부분(186)에서 제 1 FPC 기판(181)을 보다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 부분(186)을 따라 하나의 슬릿(187)을 마련하고 있지만, 슬릿(187)은 굴곡 부분(186) 상에 필요한 배선을 마련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어 있으면, 굴곡 부분(186)을 따라 2개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슬릿(187)은 제 1 FPC 기판(181)이 굴곡 부분(186)에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으면,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제 1 FPC 기판(181)에 있어서, 제 1 회로 형성부(181a')의 굴곡 부분(183)과 제 2 회로 형성부(181a")의 굴곡 부분(186)의 간격 t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케이스(172)의 양측면 사이의 폭 t11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177)의 폭 t13은 도 13에 나타내는 케이스(172)의 제 2 수용 공간(192)의 폭 t12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조금 큰 폭으로 형성된다.
도 13에 있어서, 제 2 회로 형성부(181a") 중의 굴곡 부분(186)과 개구부(177) 사이의 부분은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 위이면서, 또한 제 2 액정 패널(174)과 측면(172c) 사이의 평면 영역(즉,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172d) 상에 배치된다. 이 평면 영역(172d)은 케이스(172) 중의 제 2 액정 패널(174)이 장착되는 쪽의 면에서 제 2 액정 패널(174)을 장착하는 영역에 인접하는 사이드(side)의 영역이다. 또한, 제 2 회로 형성부(181a") 중의 굴곡 부분(186)보다도 외측의 부분은 케이스(172)의 측면(172c)을 따르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2 회로 형성부(181a")의 면은,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 재(188)를 이용하여 케이스(172)의 측면(172c)에 접착된다.
한편, 제 1 회로 형성부(181a') 중의 굴곡 부분(183)과 개구부(177) 사이의 부분은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 위이면서, 또한 제 2 액정 패널(174)과 측면(172c) 사이의 평면 영역(172d)(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 상에 배치된다. 또, 도 14의 제 1 회로 형성부(181a') 중의 굴곡 부분(183)보다도 외측의 부분에 관해서는, 도 13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회로 형성부(181a")와 마찬가지로 측면(172c)을 따르도록 구부려져 접착된다.
도 13의 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부분(186)에서 제 2 회로 형성부(181a")는 그 표면이 케이스(172)의 측면(172c)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져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굴곡 부분(183)에서 제 1 회로 형성부(181a')가, 그 표면을 케이스(172)의 측면(172c)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181)의 회로 형성부(181a)를 케이스(172)의 측면(17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17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17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171)의 회로 형성부(18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18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7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18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181)의 회로 형성부(18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 위이면서, 또한 제 2 액정 패널(174)과 측면(172c) 사이의 평면 영역(172d) 상에도 회로 형성부(181a)의 일부분인 제 1 회로 형성부(18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81a")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제 1 회로 형성부(18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81a")를 케이스(172)의 측면(172c) 상에만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로 형성부(181a)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보다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도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20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은 도 15의 제 1 FPC 기판(211)을 화살표 B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본 도면이다. 또, 굴곡부(211b)는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181)의 회로 형성부(181a)는 개구부(177)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177)를 사이에 두고 도면의 좌우의 양측에는, 입력용 단자(181c)측의 회로 형성부와 출력용 단자(181d)측의 회로 형성부가 있고, 도면의 상하의 양측에는 그들의 회로 형성부를 연결하는 제 1 회로 형성부(18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8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회로 형성부(181a') 및 제 2 회로 형성부(181a")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의 일부가 케이스(172)의 측면(172c)에 대향하고, 또한 그 표면의 다른 일부가 케이스(172)의 제 2 면(172b) 위이면서 제 2 액정 패 널(174)과 측면(172c) 사이의 평면 영역(172d)에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211)의 회로 형성부(211a)는 FPC 기판 개방부(207)를 둘러싸는 형상인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コ자 형상 중 개방된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 2 회로 형성부(21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 2 회로 형성부(211a")는, 도 15에 있어서, 케이스(202)의 측면(202c), 및 케이스(202)의 제 2 면(즉, 제 2 액정 패널(204)이 장착되는 쪽의 면)(202b) 위이면서 제 2 액정 패널(204)과 측면(202c) 사이의 평면 영역(202d)(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에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하, 도 15의 액정 표시 장치(201)를 도 13의 액정 표시 장치(17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의 액정 표시 장치(201)에 있어서, 케이스(202), 제 2 FPC 기판(212), 제 1 액정 패널(203), 제 2 액정 패널(204) 및 제 2 조명 장치(206)는 각각 도 13에 나타내는 케이스(172), 제 2 FPC 기판(182), 제 1 액정 패널(173), 제 2 액정 패널(174) 및 제 2 조명 장치(176)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6의 제 1 FPC 기판(211)은 회로 형성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181)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16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211)은 회로 형성부(211a)와, 굴곡부(211b)와, 입력용 단자(211c)와, 출력용 단자(211d)와, LED 기판용 단자(211e)를 갖는다. 회로 형성부(211a)는 도 16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다. 제 1 FPC 기판(211) 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측에 배치된 제 1 액정 패널(20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FPC 기판(211)은 굴곡부(211b)에서 케이스(202)의 단부 변을 말아넣도록 구부려져 화살표 B측, 즉 케이스(202)의 제 2 면(202b)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211)의 회로 형성부(211a)는 평면적으로 보아 FPC 기판 개방부(207)를 둘러싸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형성부(211a) 중 FPC 기판 개방부(207)에 의해 개방된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이 제 2 회로 형성부(211a")이다.
제 2 회로 형성부(211a")는 굴곡 부분(216)을 갖고, 이 굴곡 부분(216)에서 구부릴 수 있다. 이 굴곡 부분(216)에는, 내측으로 되는 표면 S1로부터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에 걸어 관통하는 가늘고 긴 공간, 소위 슬릿(217)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곡 부분(216)에 슬릿(217)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굴곡 부분(216)에서 제 1 FPC 기판(211)을 보다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 부분(216)을 따라 하나의 슬릿(217)을 마련하고 있지만, 슬릿(217)은 굴곡 부분(216) 상에 필요한 배선을 마련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어 있으면, 굴곡 부분(216)을 따라 2개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슬릿(217)은 제 1 FPC 기판(211)이 굴곡 부분(216)에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으면,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도 15에 있어서, 제 2 회로 형성부(211a") 중의 굴곡 부분(216)과 개구부(207) 사이의 부분은 케이스(202)의 제 2 면(202b) 위이면서 제 2 액정 패널(204)과 측면(202c) 사이의 평면 영역(202d)(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 상에 배치 된다. 또한, 제 2 회로 형성부(211a") 중의 굴곡 부분(216)보다도 외측의 부분은 케이스(202)의 측면(202c)을 따르도록 도면의 아래쪽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구부려진 제 2 회로 형성부(201a")의 면은,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218)를 이용하여 케이스(202)의 측면(202c)에 접착된다.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부분(216)에서 제 2 회로 형성부(211a")는 그 표면이 케이스(202)의 측면(202c)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FPC 기판(211)의 회로 형성부(211a)를 케이스(202)의 측면(202c) 상에 배치하면, 액정 표시 장치(20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20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211)의 회로 형성부(21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 때문에, 이 제 1 FPC 기판(21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20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 1 FPC 기판(211)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하여, 그 제 1 FPC 기판(211)의 회로 형성부(211a) 상에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2)의 제 2 면(202b) 위이면서 제 2 액정 패널(204)과 측면(202c) 사이의 평면 영역(202d) 상에도 회로 형성부(211a)의 일부분인 제 2 회로 형성부(211a")를 마련했기 때문에, 제 2 회로 형성부(211a")를 케이스(202)의 측면(202c) 상에만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로 형성부(211a)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보다 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 및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의 기타 실시예)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改變)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제 1 FPC 기판(51)에 회로 형성부(51a)를 마련하고, 그 회로 형성부(51a)의 일부분을,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구부리는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회로 형성부 이외의 영역을 구부리는 구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FPC 기판(52)을,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구부리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 FPC 기판(51) 및 제 2 FPC 기판(52)의 양쪽의 기판에 굴곡 부분을 마련하고, 그 굴곡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그들의 기판(51, 52)의 일부를,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구부리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주된 표시를 행하는 제 1 액정 패널(3)과, 부차적인 표시를 행하는 제 2 액정 패널(4)의 2개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1)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1개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를 케이스(2)의 측면(2c)에 접착 부재(68)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 대신에, 케이스(2)의 측면(2c)을 덮는 프레임을 마련하고, 그 프레임에 의해 제 1 FPC 기판(51)의 회로 형성부(51a)를 케이스(2)의 측면(2c)으로 누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케이스(2)의 제 1 면(2a)측에 제 1 프레임(85)을 마련하고, 케이스(2)의 제 2 면(2b)측에 케이스(2)의 측면(2c)을 덮는 프레임으로서의 제 2 프레임(86)을 마련한다. 그리고, 이들 제 1 프레임(85)과 제 2 프레임(86)을 결합시킴으로써, 회로 형성부(51a)를 케이스(2)의 측면(2c)으로 누를 수 있다. 또, 케이스(2)의 측면(2c)을 덮는 프레임으로서는 제 2 프레임(86) 대신에 제 1 프레임(85)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a)에 나타내는 제 1 FPC 기판(51)의 굴곡 부분(63, 66)에는, 내측으로 되는 표면 S1로부터 외측으로 되는 표면 S2에 걸쳐 관통하는 가늘고 긴 구멍, 소위 슬릿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굴곡 부분(63, 66)에서 제 1 FPC 기판(51)을 보다 더욱 구부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전기 광학 장치, 예컨대, 유기 EL 장치, 무기 EL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Plasma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Electrophoretic Display),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블럭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은 도 17의 블럭도에서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일례인 폴더형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131)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30)를 갖는다. 제어 회로(130)는 표시 정보 출력원(138), 표시 정보 처리 회로(135), 전원 회로(136) 및 타이밍 발생기(137)를 갖는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131)는 제 1 액정 패널(132a), 제 2 액정 패널(132b) 및 구동 회로(133)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138)은 ROM(Read O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나, 각종 디스크 등의 스토리지 유닛이나,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 등을 구비하며, 타이밍 발생기(137)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135)에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 정보 처리 회로(135)는, 증폭·반전 회로나, 회전 회로나, 감마 보정 회로나,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周知)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며,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화상 신호를 클럭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133)에 공급한다. 여기서, 구동 회로(133)는 주사선 구동 회로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함께, 검사 회로 등을 총칭한 것이다. 또한, 전원 회로(136)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에 소정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도 17의 블럭도에 나타낸 전자 기기는, 예컨대,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폴더형 휴대 전화기(140)로서 구성된다. 이 휴대 전화기(140)에서는, 제 1 액정 패널(132a) 및 제 2 액정 패널(132b)을 구비한 표시체(143)가 힌지부(145)를 거쳐서 조작 본체(144)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액정 패널(132a)은 표시체(143)를 연 때에 표시를 행하는 메인 표시부(146)로서, 표시체(143)의 내측에 마련된다. 한편, 제 2 액정 패널(132b)은 표시체(143)를 조작 본체(144)에 폴딩할 때에 표시를 행하는 서브 표시부(147)로서, 표시체(143)의 외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메인 표시부(146) 및 서브 표시부(147)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를 행하는지는 휴대 전화기(140)의 폴딩 조작으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 기기에는, 휴대 전화기(140)의 폴딩 조작을 검출하는 개폐 검출 회로(134)가 포함된다. 이 개폐 검출 회로(134)는 그 검출 결과를 액정 표시 장치(131)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17의 액정 표시 장치(131)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액정 패널(3)과 제 1 FPC 기판(51)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제 1 FPC 기판(51)의 일부분을, 그 표면이 케이스(2)의 측면(2c)에 대향하도록 구부린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케이스(2)를 작게 형성한 경우이더라도 제 1 FPC 기판(51) 상의 회로 형성부(51a)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케이스(2)를 작게 형성하면, 이 제 1 FPC 기판(51)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소형으로 할 수 있으면, 그 액정 표시 장치(1)를 이용한 도 18의 휴대 전화기(140)도 그 전체 형상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또, 전자 기기로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 전화기 등의 이외에도, 퍼스널 컴퓨터, 액정 텔레비전, 뷰 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기, POS 단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FPC 기판 등의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배선 기판 상에 형성하는 회로가 커지더라도, 그 전기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게 된다.

Claims (12)

  1. 표시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기 광학 패널과,
    해당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당해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면으로 향해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 중 구부려져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면은 당해 지지 부재의 측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을 덮는 프레임(frame)을 더 갖고,
    상기 배선 기판 중 구부려져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눌려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배선과 당해 배선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갖고,
    해당 보호막은 상기 배선 기판을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릴 때의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구부러지는 부분의 단부에는 절결(cutout)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해당 제 1 전기 광학 패널의 뒷쪽에 마련된 제 2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쪽으로 구부려지는 가요성을 가진 제 1 배선 기판과,
    상기 제 2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제 2 배선 기판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 기판 또는 상기 제 2 배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일부 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기판은, 상기 제 1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1. 표시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기 광학 패널에 가요성을 가진 배선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 기판 접속 공정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지지 부재에 수용하는 전기 광학 패널 수용 공정과,
    상기 배선 기판을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배면으로 향해 구부리는 제 1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과,
    상기 배선 기판 중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당해 배선 기판이 접속된 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당해 배선 기판의 평면 중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도록 구부리는 제 2 차 배선 기판 구부림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12. 청구항 1 또는 9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8507A 2005-03-30 2006-03-29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815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7195 2005-03-30
JP2005097195 2005-03-30
JP2005343290A JP4534972B2 (ja) 2005-03-30 2005-11-29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5-00343290 200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26A true KR20060105526A (ko) 2006-10-11
KR100815675B1 KR100815675B1 (ko) 2008-03-20

Family

ID=3706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507A KR100815675B1 (ko) 2005-03-30 2006-03-29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80103B2 (ko)
JP (1) JP4534972B2 (ko)
KR (1) KR100815675B1 (ko)
CN (1) CN100368875C (ko)
TW (1) TWI34806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89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231011A1 (ko) * 2018-05-30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29968A (en) * 2005-02-05 2006-08-16 Au Optronic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100989149B1 (ko) * 2006-01-27 2010-10-20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기판 처리 장치
KR101285273B1 (ko) 2007-06-15 2013-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
JP4906647B2 (ja) * 2007-09-07 2012-03-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
JP4906645B2 (ja) * 2007-09-07 2012-03-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
JP4906646B2 (ja) * 2007-09-07 2012-03-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
WO2009066403A1 (ja) * 2007-11-19 2009-05-2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TWI366059B (en) * 2008-01-21 2012-06-11 Prime View Int Co Ltd 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493626B (zh) * 2008-01-21 2011-12-0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软性电泳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5157602B2 (ja) * 2008-04-03 2013-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DE102008028300B4 (de) * 2008-06-13 2021-10-07 Tdk Electronics Ag Leiterplatte mit flexiblem Bereic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1345172B1 (ko) * 2008-07-18 201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CN102026475B (zh) * 2009-09-22 2012-03-2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软性印刷电路板及显示器制造方法
JPWO2011052359A1 (ja) * 2009-10-27 2013-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9964294B2 (en) * 2012-04-03 2018-05-08 Samsung Pay, Inc. Display screen assembly
KR101913258B1 (ko) * 2012-05-23 201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110320B2 (en) * 2012-08-14 2015-08-18 Apple Inc.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KR101947165B1 (ko) * 2012-10-16 2019-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및 회로 필름의 회전 장치
JP6518936B2 (ja) * 2014-11-14 2019-05-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2016130820A (ja) * 2015-01-15 2016-07-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CN204884440U (zh) * 2015-08-27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JP6930685B2 (ja) * 2016-12-27 2021-09-01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表示装置用回路基板、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8398818B (zh) * 2017-02-06 2021-04-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JP2020052210A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636688B (zh) * 2019-08-21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880U (ko) * 1990-02-13 1991-11-01
JPH0980406A (ja) * 1995-09-11 1997-03-28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501736B2 (ja) * 1999-07-12 2004-03-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085788A3 (en) * 1999-09-14 2003-01-02 Seiko Epson Corporation Composite flexible wiring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3911959B2 (ja) * 2000-05-12 2007-05-0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通信装置
JP3598994B2 (ja) * 2000-07-10 2004-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2141620A (ja) * 2000-10-31 2002-05-17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US6925313B2 (en) * 2001-02-07 2005-08-02 Hyundai Curitel Inc.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ouble-sided LCD
JP2002244577A (ja) * 2001-02-16 2002-08-30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046214A (ja) * 2001-07-27 2003-02-14 Canon Inc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と接続方法並びに該接続構造を有する平面型画像表示装置
JP3760900B2 (ja) * 2001-09-06 2006-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導光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177684A (ja) * 2001-09-21 2003-06-2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494586B (en) * 2001-09-26 2002-07-11 Windell Corp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JP4127759B2 (ja) * 2001-10-09 2008-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7034799B2 (en) * 2001-12-1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device fo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folder-type mobile phone therewith
JP3599022B2 (ja) * 2002-01-10 2004-1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027139B2 (ja) * 2002-03-29 2007-12-26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3302914A (ja) * 2002-04-09 2003-10-24 Sharp Corp 電子装置
JP3925486B2 (ja) * 2003-01-23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83575B2 (ja) * 2003-03-24 200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JP4349009B2 (ja) * 2003-06-24 2009-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298400B2 (ja) * 2003-06-27 2009-07-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0422796C (zh) * 2003-09-10 2008-10-01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液晶显示装置
JP4543772B2 (ja) * 2003-09-19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57180B2 (ja) * 2003-09-30 2009-04-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
TWI230827B (en) * 2004-02-12 2005-04-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4468061B2 (ja) * 2004-04-30 2010-05-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2006071694A (ja) * 2004-08-31 2006-03-16 Optrex Corp 表示装置
JP4017007B2 (ja) * 2005-03-29 2007-12-0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89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231011A1 (ko) * 2018-05-30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90141005A (ko) * 2018-05-30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9135A (ja) 2006-11-09
TWI348063B (en) 2011-09-01
CN1841138A (zh) 2006-10-04
JP4534972B2 (ja) 2010-09-01
TW200643581A (en) 2006-12-16
US20060221269A1 (en) 2006-10-05
KR100815675B1 (ko) 2008-03-20
CN100368875C (zh) 2008-02-13
US7580103B2 (en)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675B1 (ko)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JP4244942B2 (ja) 液晶装置、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39752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954184B2 (en)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210838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60405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8872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679773B1 (ko) 액정 장치, 전자 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80246910A1 (en) Display device
JP200628497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3664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97021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84383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0190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470793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3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7232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03161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76584A (ja)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の実装方法及び電子機器
JP4179313B2 (ja)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30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94099A (ja) 導光体、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導光体の製造方法
JP200729892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08015A (ko) 액정표시장치
JP2009128594A (ja) 平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