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68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689A
KR20140116689A KR1020130031576A KR20130031576A KR20140116689A KR 20140116689 A KR20140116689 A KR 20140116689A KR 1020130031576 A KR1020130031576 A KR 1020130031576A KR 20130031576 A KR20130031576 A KR 20130031576A KR 20140116689 A KR20140116689 A KR 2014011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electric element
panel assembl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78B1 (ko
Inventor
김윤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78B1/ko
Priority to US13/960,572 priority patent/US9148951B2/en
Publication of KR2014011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 어셈블리와, 연성소재로 이루어져서 일면에 전기 소자가 배치된 것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된 결합부와, 패널 어셈블리의 하측에 대향 되도록 배치된 베이스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지게 배치되어 결합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전기 소자는 연결부에서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 상에 실장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며,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와, 메인 보드를 포함하고, 패널 어셈블리와 메인 보드는 연성인쇄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연성인쇄회로에는 구동을 위한 전기 소자가 실장 된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포함된 휴대 기기의 두께를 줄이고자 휴대 기기의 내부의 프레임에 홀을 형성하고, 전기 소자가 홀에 수용되게 한다. 그리고 정전기와 같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고압에 취약한 전기 소자를 보호하고자, 전기 소자의 외면에 금속쉴드(Shield-can)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쉴드가 차지하는 두께만큼 휴대 기기의 두께를 감소시키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휴대 기기의 슬림화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다양한 구조의 휴대 기기에 맞는 금속쉴드를 제조하여야 하고, 이러한 금속쉴드의 제조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금형을 제작해야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기 어렵다. 또한, 휴대 기기의 프레임에 전기 소자가 수용되는 홀을 형성하면, 프레임의 강성이 저하되어, 휴대 기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림화를 구현하면서 금속쉴드를 배치하지 않고도 인쇄회로기판 상의 전기 소자들이 보호될 수 있게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 어셈블리, 연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하측에 대향 되도록 배치된 베이스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 상기 연성인쇄회로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 상에 실장된 전기 소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연결부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기 소자에 인접한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일면이 상기 전기 소자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전기 소자가 실장된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 소자가 연성인쇄회로의 휘어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연성인쇄회로가 전기 소자를 감싸면서 보호하게 하여 슬림화를 구현하면서 전기 소자에 별도의 금속쉴드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정전기로부터 전기 소자가 보호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금속쉴드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연성인쇄회로의 바닥면에 전기 소자가 형성되고, 미도시된 프레임에 전기 소자가 수용되는 홀을 형성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전기 소자가 연성인쇄회로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프레임에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프레임의 저항성을 향상시켜서 외력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호부에 의해 전기 소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성인쇄회로에서 그라운드 단자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그라운드 단자가 형성된 연성인쇄회로의 하면을 도시한 저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제1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널 어셈블리(110)와, 연성인쇄회로(120)와, 전기 소자(121)를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110)에는 영상이 출력된다. 패널 어셈블리(110)는 미도시된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는 패널 어셈블리(110) 내에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10)에는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어셈블리(110)에는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 전극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120)는 연성소재로 이루어진다. 연성인쇄회로(120)의 일례로 에프씨씨엘(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회로일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120)는 패널 어셈블리(11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성인쇄회로(120)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필름에 금속 박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120)는 결합부(122)와, 베이스부(123)와, 연결부(124)를 포함한다. 결합부(122)는 적어도 일부분이 패널 어셈블리(110)에 결합된다. 결합부(122)는 칩온필름(COF: Chip on flim)방식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1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베이스부(123)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측에 대향 되도록 배치된다. 연결부(124)는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지게 배치되어 결합부(122)와 베이스부(123)를 연결한다. 결합부(122), 베이스부(123) 및 연결부(1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소자(121)는 전자 회로에서 구성요소가 되는 낱낱의 부품이 될 수 있다. 전기 소자(121)의 일례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기 소자(12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소자(121)는 연성인쇄회로의 연결부(124)에서 결합부(122)와 마주하는 면 상에 실장 된다. 즉, 전기 소자(121)는 연성인쇄회로(1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기 소자(121)가 연성인쇄회로(120)의 휘어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연성인쇄회로(120)가 전기 소자(121)를 감싸면서 보호하게 하여 슬림화를 구현하면서 전기 소자(121)에 별도의 금속쉴드(Shield-can)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정전기로부터 전기 소자(121)가 보호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금속쉴드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연성인쇄회로의 바닥면에 전기 소자(121)가 형성되고, 미도시된 프레임에 전기 소자(121)가 수용되는 홀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전기 소자(121)가 연성인쇄회로(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프레임에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프레임의 저항성을 향상시켜서 외력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연성인쇄회로(120)에 포함된 전기 소자(121)는 연결부(124)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성인쇄회로(120) 하측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미도시된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24)의 일부분은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프레임에 의해 평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기 소자(121)는 이와 같이 평평하게 배치된 연결부(124)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기 소자(121)가 연결부(124) 상에 실장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성인쇄회로(120)는 보호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125)는 결합부(122)의 일측면 또는 연결부(124)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전기 소자(121)에 인접한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된다. 보호부(125)는 절연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호부(125)는 연성인쇄회로(120)의 결합부(122) 또는 연결부(124)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25)의 일면이 전기 소자(121)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보호부(125)는 전기 소자(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와 같은 순간적인 고전압이 외부에서 발생하더라도, 절연성이 우수한 보호부(125)에 의해 전기 소자(121)가 고전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보호부(125)는 결합부(122) 또는 연결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호부(125)가 연결부(124)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보호부(125)와 연결부(124)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보호부(125)와 연결부(124)를 각각 제조한 다음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보다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25)와 연결부(124)의 경계 부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25)에는 커버레이(120e, coverlay)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레이(120e)는 연성인쇄회로(120)의 노출면을 보호하고 절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레이(120e)는 연성인쇄회로(120)의 소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연성플라스틱보다 강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 보호부(125)에는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레이(120e)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보호부(125)가 전기 소자(121)와 인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히게 하는데 있어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연성인쇄회로(120)는 그라운드 단자(1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126)는 연결부(124)에서 전기 소자(121)가 실장된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성인쇄회로에서 그라운드 단자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그라운드 단자(126)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120)의 세부적인 구조의 일례로, 연성인쇄회로(120)가 2층으로 적층된 구조인 경우, 베이스 필름(120a)을 기준으로, 그 외면에 구리층(120b)이 형성되고, 구리층(120b)의 외면에 구리박막층(120c)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리박막층(120c)의 외면에 접착층(120d)과 커버레이(120e)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전기 소자(121)는 솔더링(127)에 의하여 구리박막층(120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126)는 연성인쇄회로(120)의 하측의 구리층(120b)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126)를 연성인쇄회로(120)의 하측의 구리층(120b)에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로, 접착층(120d)과 커버레이(120e)의 일부분을 식각방법에 의해 제거한 다음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는 연성인쇄회로(120)가 2층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연성인쇄회로(120)가 3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적층된 구조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그라운드 단자(126)는 정전기(ESD)가 빠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전기 소자(121)가 정전기로부터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상세한 구조의 일례로, 편광판(130)과, 윈도우(150)와, 접착층(140)과, 양면 테이프(160)와, 메인 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130, Polarizer)은 패널 어셈블리(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130)은 통과하는 빛의 방향을 정렬하며,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두 가지 편광 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흡수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윈도우(150)는 편광판(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50)는 투과성이 우수한 글래스(glass) 또는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150)는 유기발광소자에 의해 출력된 영상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접착층(140)은 편광판(130)과 윈도우(150) 사이에 형성된다. 접착층(140)의 일례로,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메인 보드(170)는 패널 어셈블리(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인 보드(170)는 전술한 연성인쇄회로(120)에 의해 패널 어셈블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170)는 패널 어셈블리(1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양면 테이프(160)는 패널 어셈블리(110)와 메인 보드(170) 사이에 개재된다. 양면 테이프(160)는 패널 어셈블리(110)와 메인 보드(170)를 서로 접착시킨다. 또는, 양면 테이프(160)는 외부로부터 메인 보드(170)에 전달된 충격이 패널 어셈블리(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패널 어셈블리
120: 연성인쇄회로 120a: 베이스 필름
120b: 구리층 120c: 구리박막층
120d: 접착층 120e: 커버레이
121: 전기 소자 122: 결합부
123: 베이스부 124: 연결부
125: 보호부 126: 그라운드 단자
130: 편광판 140: 접착층
150: 윈도우 160: 양면 테이프
170: 메인보드

Claims (8)

  1. 영상이 출력되는 패널 어셈블리,
    연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하측에 대향 되도록 배치된 베이스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 상에 실장된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연결부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기 소자에 인접한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일면이 상기 전기 소자를 향하도록 위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는,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전기 소자가 실장된 부분과 대응되는 하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KR1020130031576A 2013-03-25 2013-03-2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76A KR102042678B1 (ko) 2013-03-25 2013-03-25 디스플레이 장치
US13/960,572 US9148951B2 (en) 2013-03-25 2013-08-06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576A KR102042678B1 (ko) 2013-03-25 2013-03-2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89A true KR20140116689A (ko) 2014-10-06
KR102042678B1 KR102042678B1 (ko) 2019-11-11

Family

ID=5156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76A KR102042678B1 (ko) 2013-03-25 2013-03-2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8951B2 (ko)
KR (1) KR102042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786B2 (en) 2015-03-10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t circuit board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75513U (zh) * 2013-12-30 2014-08-13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
JP6396707B2 (ja) * 2014-07-22 2018-09-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静電サージ防止構造
CN204884440U (zh) * 2015-08-27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US10001683B2 (en) * 2015-11-06 2018-06-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w-profile microdisplay module
CN106530991A (zh) * 2016-12-28 2017-03-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
JP2020052210A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133888A (ko) * 2019-05-20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910773B (zh) * 2019-07-26 2022-05-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526A (ko) * 2005-03-30 2006-10-11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766933B1 (ko) * 2006-12-13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20080011802A (ko) *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연성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54859A (ko) * 2010-11-22 2012-05-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소켓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13251640A (ja) * 2012-05-30 2013-12-12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647A (ko) 2003-01-20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JP4543772B2 (ja) * 2003-09-19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48715B1 (ko) 2004-04-29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1375645B (zh) * 2006-01-26 2010-09-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基板结构及电子设备
US7384301B2 (en) * 2006-10-03 2008-06-10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Anti-wear flexible flat cable
JP4561729B2 (ja) * 2006-11-06 2010-10-1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80067845A (ko)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472203B2 (en) * 2007-09-04 2013-06-25 Apple Inc. Assembly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932981B1 (ko) 2008-04-11 2009-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모듈
JP5584086B2 (ja) * 2010-10-14 2014-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5740477B2 (ja) * 2011-09-15 2015-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70195B1 (ko) * 2012-07-18 2020-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0982B1 (ko) * 2013-02-28 2019-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1650B1 (ko) * 2013-04-10 2020-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526A (ko) * 2005-03-30 2006-10-11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배선 기판의 실장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080011802A (ko) *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연성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766933B1 (ko) * 2006-12-13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20120054859A (ko) * 2010-11-22 2012-05-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소켓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13251640A (ja) * 2012-05-30 2013-12-12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786B2 (en) 2015-03-10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t circuit board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0540032B2 (en) 2015-03-10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durable circuit board
US11455049B2 (en) 2015-03-10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mpensat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78B1 (ko) 2019-11-11
US20140285982A1 (en) 2014-09-25
US9148951B2 (en) 201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66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01302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76810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with buffer
KR10193555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8262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23424B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826351B (zh) 显示组件
KR2020007308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7965367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ith particular differential signal lines connection
KR102376442B1 (ko) 회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618688B2 (en) Display device
US9733673B2 (en) Display module
KR102622729B1 (ko) 표시 장치
US9510473B2 (en) Display device
KR20160044163A (ko) 표시 장치
KR1024177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12413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백 라이트 유닛 및 가요성 인쇄회로
CN116419958A (zh) 包括防水结构的电子装置
JP2009122318A (ja) 表示装置
CN219349823U (zh) 一种压敏泡棉以及电子设备
CN113031818B (zh) 触控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102445771B1 (ko) 표시 장치
US20130342548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00105614A (ko) 음향 발생 장치를 갖는 회로보드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2014893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