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049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049A
KR20060060049A KR1020067006348A KR20067006348A KR20060060049A KR 20060060049 A KR20060060049 A KR 20060060049A KR 1020067006348 A KR1020067006348 A KR 1020067006348A KR 20067006348 A KR20067006348 A KR 20067006348A KR 20060060049 A KR20060060049 A KR 2006006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reactor
case
or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791B1 (ko
Inventor
나오히로 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발열 부품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발열 부품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한다. 송풍기(27)가 배설(配設)되어 있는 송풍기실(S1)과 송풍기실(S1) 이외의 기계실(S2)로 칸막이되고, 발열 부품(52)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 유닛(2)에 있어서, 케이스(60)와, 차수판(遮水板, 91, 물을 막는 판)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60)는, 송풍기실(S1) 내에 배설되고, 개구(開口, 71b)가 설치되며, 내부에 발열 부품(52)을 수납한다. 차수판(91)은, 케이스(60)에 있어서 개구(71b)가 설치된 위치와 발열 부품(52)이 수납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에 배설되고,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구성을 채용한다.
공기 조화 장치, 실외기, 송풍기실, 기계실, 차수판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특히, 송풍기가 배설(配設)되어 있는 송풍기실과 송풍기실 이외의 기계실로 칸막이되고, 발열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일반적으로,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가, 정면에서 볼 때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판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기계실로 분할되어 있다. 송풍기실에는, 열교환기, 송풍 팬 등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에는, 압축기나 리액터(reactor)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에는, 파워트랜지스터나 콘덴서 등의 각종 전장(電裝) 부품을 내장하는 전장 부품 유닛이 배설되어 있다. 이 전장 부품 유닛 내의 제어 회로에 의하여 송풍 팬, 압축기 등으로 구동 전력이 공급되는 것과 함께, 그들의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전장 부품 유닛 내의 전장 부품은, 통상, 프린트 배선 기판에 실장(實裝, 전자 부품을 배치하여 접속함)되어 있다.
그런데, 근년(近年), 압축기의 운전을 주파수 제어 (바꾸어 말하면, 인버터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운전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컨트롤하는 기술이 다용(多用)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인버터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발열 부품인 리액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많고, 이것에 따라 이 발열 부품을 냉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판에 개구(開口)를 설치하여 송풍기실 내의 공간과 접하도록 하고 리액터를 배설하여, 리액터의 냉각을 행하고 있다. 즉, 실외 유닛의 송풍 팬이 회전하면, 실외 유닛의 외부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하여 실외 유닛의 송풍기실 내로 공기가 흘러들고, 발열 부품인 리액터 근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생기게 한다. 이 공기의 흐름은, 리액터 근방에서 체류하고 있는 열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액터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92142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실외 유닛에서는, 리액터 전체 중 송풍기실 내의 공간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일부이며, 송풍 팬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도 리액터 전체를 충분히 냉각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리액터의 온도가 상승하여 버려 사용 조건에 제약이 걸리는 원인으로 되는 등에 의하여 리액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내열성이 높은 리액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리액터를 충분히 냉각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있는 케이싱으로 리액터를 덮어, 리액터의 전체를 송풍기실 내에 배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외 유닛은 옥외에 배치되는 것인 점으로부터, 송풍기실 내부로 빗물 등이 진입하여 리액터에까지 도달하여 버린다고 하는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액터가 수분을 포함하여 버리면 단락(短絡)을 초래하여 버릴 우려가 있고, 내수성이 높은 리액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 역시 코스트 업으로 연결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발열 부품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발열 부품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송풍기가 배설되어 있는 송풍기실과 송풍기실 이외의 기계실로 칸막이되고, 발열 부품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스와 차수판(遮水板, 물을 막는 판)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는, 송풍기실 내에 배설되고, 개구가 설치되며, 내부에 발열 부품을 수납한다. 차수판은, 케이스에 있어서 개구가 설치된 위치와 발열 부품이 수납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에 배설되고,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에서의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차수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펀지상의 미세한 구멍이 다수 설치된 것과 같은 판이나, 케이스의 개구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의 유로에 있어서 상방(上方)을 향하는 부분을 가지는 구조의 판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의 미세한 구멍이 다수 설치된 것에서는, 물방울의 크기에 기초하여 어느 정도의 크기의 물방울을 잡을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차수판을 이용하여, 물을 잡으면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와 물을 분리한다. 또한, 공기의 유로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는 부분을 가지는 구조의 것에서는, 물과 공기의 비중에 기초하여, 즉, 공기보다도 비중이 큰 물이 상방으로 올라가기 어렵다고 하는 성질에 의하여 공기와 물을 분리한다.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 전체 중의 일부분 밖에 냉각이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열 부품의 냉각을 충분히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열 부품을 송풍기실 내에 배설하여 충분한 냉각을 행하는 경우에서도, 실외 유닛의 송풍기실 내부로 빗물 등이 진입하여 리액터에 수분을 가해 버려 단락을 초래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에는, 송풍기가 배설되어 있는 송풍기실 내에 배설되고,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가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부에 걸쳐 공기의 흐름이 생기고,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는 발열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키는 것에 의한 열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는 실외 유닛의 송풍기실 내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옥외의 빗물 등이 케이스에까지 달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케이스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발열 부품이 수납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에서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차수판을 배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개구로부터 공기에 섞여 수분이 혼입(混入)하는 경우에서도, 발열 부품의 배설 장소에까지 도달하는 수분을, 차수판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발열 부품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발열 부품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 개구와 발열 부품의 사이에 차수판을 배설한다고 하는 실외 유닛도 포함된다. 나아가, 케이스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발열 부품이 수납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에, 복수매의 차수판이 배설되어 있다고 하는 실외 유닛도 포함된다. 또한, 차수판은, 케이스의 개구와 발열 부품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케이스와 차수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외 유닛도 포함된다.
청구항 2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스는 송풍기실의 상방에 배설된다.
실외 유닛이 옥외의 지면이나 마루 등의 장소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옥외의 비 등에 의하여 실외 유닛이 침수하여 버리는 상태가 되면, 발열 부품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도 수몰(水沒)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발열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는, 실외 유닛의 송풍기실의 상방에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닛이 일시적으로 침수하여 버리는 상태에서도, 발열 부품까지도 수몰하여 버린다고 하는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전장 부품 유닛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전장 부품 유닛은, 기계실 내에 있어서, 발열 부품 이외의 다른 전장 부품을 배설한다.
다른 전장 부품이 발열 부품에 인접하여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열 부품으로부터의 열이 다른 전장 부품의 근방에 체류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다른 전장 부품이 열에 의한 악영향을 받기 쉬운 부품인 경우에는, 다른 전장 부품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에까지 충분히 발열 부품을 냉각해 줄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은 충분한 냉각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점은, 실외 유닛의 컴팩트화에 따라 발열 부품과 다른 전장 부품의 배설 거리가 짧아져 오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는, 발열 부품으로부터의 열이 다른 전장 부품의 근방에 의하여 체류하기 쉽기 때문에, 한층 중요한 문제로 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전장 부품 유닛에 배설되는 다른 전장 부품을 기계실 내에 배설하기 때문에, 송풍기실 내의 케이스에 수납된 발열 부품과는 다른 방에 배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열 부품으로부터 방열되는 열이 다른 전장 부품에 대하여 주는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발열 부품뿐만 아니라 다른 전장 부품도 발열성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도, 발열 부품과 발열성을 가지는 다른 전장 부품을 각각 다른 방에 배설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발열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스는, 송풍기실의 내부 중, 기계실 측과는 반대 측에 배설된다.
여기에서는, 케이스는, 기계실 측과는 반대 측에 배설된다. 이 때문에, 발열 부품과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전장 부품과의 사이의 거리를 길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발열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다른 전장 부품에까지 새어 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발열 부품이 다른 전장 부품에 대하여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송풍기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송풍기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기는 송풍기실에 배설된다. 그리고 케이스는, 이 송풍기대에 대하여 장착된다.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하는 발열 부품의 냉각을 행하기 위하여, 실외기의 송풍기실에 배설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실에 케이스를 배설하는 경우에는, 통상, 케이스를 배설하기 위한 지주 등을 송풍기실 내에 있어서 새롭게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케이스가, 송풍기를 장착하기 위한 송풍기대에 대하여 장착된다. 이 때문에, 송풍기대를, 송풍기를 배설하기 위한 대로서뿐만이 아니라, 케이스를 배설하기 위한 대로서도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를 배설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재의 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를 송풍기실에 배설하는 경우에서도, 송풍실의 송풍을 방해하는 부재의 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송풍 효율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차수판은, 발열 부품을 수납하는 부분으로부터 케이스의 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출한 팽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팽출부는, 팽출부의 하단(下端) 부분에 있어서, 발열 부품의 근방의 공간과 케이스의 개구의 근방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連通)시키는 차수(遮水, 물을 막음) 구멍을 가진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통상, 옥외에 배설되기 때문에, 송풍기실 내부에 빗물 등의 수분이 유입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발열 부품을 냉각하기 위하여 받아들이고 있는 공기에 섞여 수분까지도 받아들여져 버리면, 발열 부품이 단락하여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케이스의 개구를 통과한 공기가 차수판의 차수 구멍을 통과하는 것으로, 발열 부품의 근방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공기의 유로에 있어서 차수 구멍 부분에서는, 상방을 향하는 부분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보다도 비중이 큰 물을 공기보다도 상방을 향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분을 차단할 수 있어, 발열 부품을 수분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케이스의 개구는, 케이스의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받아들이는 도입구이다. 또한, 케이스는, 케이스의 차수 구멍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를 더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입구뿐만 아니라 방출구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기실 내의 송풍기가 회전 구동한 경우에,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의 도입구로부터 방출구로의 공기의 흐름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발열 부품의 근방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발열 부품의 냉각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8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발열 부품은, 케이스의 저면(底面)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설된다.
여기에서는, 케이스의 개구 부분을 통과하여 물이 케이스 내부로 깊숙이 들어간 경우에서도, 발열 부품은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열 부품은,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뜬 상태로 배설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깊숙이 들어갔다고 하여도, 그 깊숙이 들어간 수분을 케이스의 저면에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케이스 내부에 수분이 깊숙이 들어갔다고 하여도, 발열 부품에 대하여 수분이 직접 접촉하는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발열 부품은, 공조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에서 이용되는 리액터이다.
여기에서는, 발열 부품이 인버터 회로에서 이용되는 리액터에서도, 리액터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리액터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발열 부품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실외 유닛이 침수하여 버리는 상태에서도, 발열 부품까지도가 수몰하여 버린다고 하는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으로부터 방열되는 열이 다른 전장 부품에 대하여 주는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다른 전장 부품에까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하여, 발열 부품이 다른 전장 부품에 대하여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케이스를 송풍기실에 배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풍실의 송풍을 방해하는 부재의 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송풍 효율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공기보다도 비중이 큰 물을 공기보다도 상방을 향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분을 차단할 수 있어, 발열 부품을 수분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의 근방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발열 부품의 냉각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8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외부로부터 케이스 내부에 수분이 깊숙이 들어갔다고 하여도, 발열 부품에 대하여 수분이 직접 닿는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발열 부품이 인버터 회로에서 이용되는 리액터에서도, 리액터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리액터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 3은 실외기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실외기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리액터 박스의 조립도.
도 6은 리액터 박스의 정면 단면도.
도 7은 리액터 박스의 상면 단면도.
도 8은 리액터 박스의 우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외 유닛 (실외기)
27 : 송풍기 (프로펠러 팬)
28a : 송풍기대 (팬 모터대)
40 : 전장 부품 유닛
42 : 다른 전장 부품 (전장 부품)
52 : 발열 부품 (리액터)
60 : 케이스 (본체 케이싱)
71b : 개구 (차수 구멍)
79 : 저면
91 : 차수판 (차수 왼쪽 슬릿)
91a : 팽출부
91b : 차수 구멍
O4 : 방출구
S1 : 송풍기실 (송풍실)
S2 : 기계실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100)에 있어서 이용되는 실외기(2)이다. 이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내기(1)는, 1개의 실외기(2)에 대하여 접속되어, 실내의 천장 등에 복수 장착되는 실내기(1a ~ 1d)와 같은 형태의 것이다. 실외기(2)와 실내기(1a ~ 1d)는, 냉매 배관이나 전송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3, 접속부(3a ~ 3d))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4대의 실내기(1a ~ 1d)는, 예를 들어, 가정 내나 빌딩 내, 점포 내에서, 각각 다른 방에 배치된다.
<냉매 회로의 구성>
이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냉매 회로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냉매 회로는, 1대의 실외기(2)와, 실외기(2)에 병렬로 접속된 4대의 실내기(1a ~ 1d)와, 냉매 배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2)는, 압축기(20), 사방 전환 밸브(21), 실외 열교환기(22), 어큐뮬레이터(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0)의 토출 측에는, 압축기(20)의 토출 측의 토출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토출관 서미스터(2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2)에는, 외기(外氣)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외기 서미스터(25)와, 실외 열교환기(22)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외 열교 서미스터(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2)로 공기를 보내기 위하여 프로펠러 팬(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펠러 팬(27)은, 팬 모터(28)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각 실내기(1a ~ 1d)는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실내기(1a ~ 1d)에 대하여, 실내기(1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내기(1a)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실내 열교환기(30a) 및 전동 밸브(팽창 밸브, 3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내기(1a)는, 실내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온 서미스터(31a)와, 실내 열교환기(30a)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실내 열교 서미스터(3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30a)와 전동 밸브(33a)의 사이의 배관에는, 실내 열교환기(30a)와 전동 밸브(33a)의 사이의 액관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액관 서미스터(34a)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30a)의 가스관 측에는,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온도를 검지하는 가스관 서미스터(35a)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내기(1b, 1c, 1d)에 대해서도 실내기(1a)와 같은 구성이며, 도 2에서 실내 열교환기, 전동 밸브, 각종 서미스터에 대하여 동등한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외기의 상세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실외기(2)의 상세 구성을, 실외기(2)의 단면 사시도인 도 3 및 실외기(2)의 개략 구성도인 도 4에서 도시한다. 덧붙여, 도 3에서 화살표 D1으로 도시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D1)으로 하고, 화살표 D2로 도시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D2)으로 하며, 화살표 D3로 도시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D3)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의 내부는, 칸막이 판(29)에 의하여, 프로펠러 팬(27)이 배설되어 있는 송풍실(S1)과, 압축기(20) 등의 각종 기계가 배설되어 있는 기계실(S2)로 구획되어 있다. 이 칸막이 판(29)은, 상하 방향(D1)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후 방향(D3)의 후방(後方)으로 연장된 후에 오른쪽 후방을 향하여 접힌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압축기(20) 등의 각종 기계를 덮도록 하여 설치되고, 실외기(2)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고 있다.
송풍실(S1) 내에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 팬(27), 팬 모터(28), 팬 모터대(28a), 후방으로부터 좌방에 걸쳐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실외 열교환기(22), 리액터(52)를 수납하는 리액터 박스(50) 등이 배치된다. 실외기(2)의 송풍실(S1)에 있어서는, 프로펠러 팬(27)이 팬 모터(28)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22)에서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공기가 받아들여진다. 또한,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 팬(27)이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류(F)가 생긴다. 이와 같이, 송풍실(S1)은, 전후 방향(D3)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前方)을 향하여 외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로 되어 있다. 팬 모터대(28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22)의 중앙 부근에서 상하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방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덧붙여, 팬 모터대(28a)는, 상방 부분 중 후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22)의 상단(上端) 중앙 근방에 계지된다.
기계실(S2) 내에는, 압축기(20), 사방 전환 밸브(21), 전동 밸브(33), 전장 부품 유닛(40) 등의 부품이 배치된다. 또한, 이 기계실(S2)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밀폐된 케이싱으로 덮여 있고, 외기로부터 어느 정도 격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2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실(S2)의 내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사방 전환 밸브(21)나 전동 밸브(33)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두 압축기(20)의 측방(側方)에 배치된다. 전장 부품 유닛(40)은, 기계실(S2)의 내부의 상방 공간에 배설되고, 내부에 프린트 배선 기판(41)을 수납하고 있다. 또한, 전장 부품 유닛(4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41)의 우단(右端) 부분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41')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41) 및 프린트 배선 기판(41')은, 각각 하면(下面), 우측면이 실장면(實裝面)으로 되어 있고, 발열성의 파워 트랜지스터(45)나 콘덴서, 다이오드 브릿지, 실외기(2)의 각 기계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용의 IC나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格納)하는 메모리 등, 많은 전장 부품(42)이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 부품 유닛(40)의 케이싱에 설치된 개구를 통하여, 기계실(S2)의 전장 부품 유닛(40)의 하방에 배설되어 있는 압축기(20), 사방 전환 밸브(21), 전동 밸브(33), 팬 모터(28) 등이,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를 통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41, 41')에 실장된 복수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나아가, 기계실(S2) 내에는, 각종 서미스터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서미스터도 프린트 배선 기판(41, 41')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한편, 송풍실(S1)에 배치되는 팬 모터(28)도, 와이어 하네스를 통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41, 41')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제어된다. 덧붙여, 프린트 배선 기판(41, 41')의 회로와 리액터(52)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는 인버터 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이 인버터 회로에 의하여 압축기(20)의 회전수를 가변속 제어한다. 또한, 전장 부품 유닛(40)에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41')에 실장되어 있는 발열성의 전장 부품(42)인 파워 트랜지스터(4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확산하기 위하여, 기계실(S2)로부터 송풍실(S1)을 향하도록 하여 방열 핀(43)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파워 트랜지스터(45)로부터 발생하는 열도, 송풍실(S1)의 프로펠러 팬(27)에 의하여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리액터 박스의 상세 구성]
리액터 박스(5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의 송풍실(S1)의 상방 공간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2)와 팬 모터대(28a)에 가설(架設)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액터 박스(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실(S1)의 내부 중, 전장 부품 유닛(40)에 설치되어 있는 방열 핀(43)과는 반대 측인 좌측에 배설되어 있다. 이 리액터 박스(50)는, 내부에 발열성의 리액터(52)를 수납한다.
리액터 박스(5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과 상부 케이싱(8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케이싱(60)과, 본체 케이싱(60)의 내부에 배설되는 차수 케이싱(9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은, 도 5의 조립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61, 63, 64, 65)에 의하여 서로 나사 감합(嵌合)되는 것에 의하여 리액터 박스(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리액터 박스(50)는, 리액터 박스의 우측면을 도시하는 도 8이나 도 5,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68)에 의하여, 후술하는 팬 모터대(28a)의 대응 부분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28b)에 대하여 나사 감합된다.
또한, 리액터(52)는, 압축기(20)의 회전수 등의 제어를 행하는 인버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리액터 박스의 정면도인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52)는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리액터(52)는, 팬 모터대(28a)의 후측을 따라 칸막이 판(29)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리액터용의 와이어 하네스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장 부품 유닛(40) 내의 프린트 배선 기판(41)의 하면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리액터(52)는, 프린트 배선 기판(41)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와 함께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압축기(20)의 회전수 제어를 행한다. 이 리액터(52)에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시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하여 발열을 수반한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이하, 리액터 박스(50)를 구성하는, 차수 케이싱(90)과, 본체 케이싱(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수 케이싱)
차수 케이싱(9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왼쪽 슬릿(91)과, 차수 후방 슬릿(91')과, 앞면(93)과, 접촉판(95)과, 우측면(97)과, 상면(上面, 99)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수 왼쪽 슬릿(91)은, 정면도인 도 6 및 상면도인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좌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차수 왼쪽 슬릿(9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팽출부(9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팽출부(91a)에는, 각각 하단 부분에 차수 구멍(91b)이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91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좌측면으로부터 한층 더 좌측으로 팽출하고 있고, 아래를 향함에 따라 팽출 정도가 증가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차수 구멍(91b)은, 팽출부(91a)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개구이며, 정면에서 볼 때 약간 오른쪽 하방향으로 기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수 구멍(91b)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왼쪽 슬릿(91)에 대하여 좌우 방향(D2)의 우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이중 차수 공간(S5)과, 차수 왼쪽 슬릿(91)에 대하여 좌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좌측 차수 공간(S7)을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약간 오른쪽으로 기운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차수 후방 슬릿(91')은, 우측면도인 도 8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왼쪽 슬릿(91)과 같은 형상으로, 차수 케이싱(90)의 후측의 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차수 후방 슬릿(91')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후측으로 팽출한 3개의 팽출부(91'a)와, 각각의 팽출부(91'a)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차수 구멍(91'b)을 가지고 있다. 팽출부(91'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후방면(後方面)으로부터 한층 더 전후 방향(D3)의 후방으로 팽출하고 있고, 아래를 향함에 따라 팽출 정도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차수 구멍(91'b)은, 팽출부(91'a)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개구이며, 우측면에서 볼 때 약간 왼쪽 하방향으로 기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수 구멍(91'b)은, 도 8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후방 슬릿(91')에 대하여 전후 방향(D3)의 전측(前側)의 공간을 구성하는 이중 차수 공간(S5)과, 차수 후방 슬릿(91')에 대하여 후방의 공간을 구성하는 후방 차수 공간(S8)을, 우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기운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상면(99)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상방의 면을 구성하고 있고, 2개의 리액터 나사 구멍(92)과, 리액터 장착 오목부(98)를 가지고 있다. 리액터 나사 구멍(92)은, 상면(99)의 2개소에서 상하 방향(D1)으로 관통하도록 뚫어 설치되어 있다. 리액터 장착 오목부(98)는, 상면(99)의 우측에 있어서 전측과 후측에 2개 설치되어 있고, 약간 아래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의 패임 부분은, 좌우 방향(D2)의 좌측으로부터 전후 방향(D3)의 후방에 걸쳐 열린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후측의 패임 부분은, 좌우 방향(D2)의 좌측으로부터 전후 방향(D3)의 전방에 걸쳐 열린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앞면(9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전측의 면을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D3)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93a)을 가지고 있다. 접촉판(95)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왼쪽 슬릿(91)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D2)의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측면(9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우측의 면을 구성하고 있고, 좌우 방향(D2)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97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측면(97)에는, 나아가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97a)의 상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D3)으로 길게 좌우 방향(D2)으로 관통하고 있는 방열 개구(97b)를 가지고 있다.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60)은, 하부 케이싱(70)과, 상부 케이싱(80)이 상하 방향(D1)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
하부 케이싱(7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왼쪽 슬릿(71)과, 우측면(73)과, 전방 고정부(74)와, 후방 고정부(75)와, 배수 구멍(76)과, L자 형상판(77)과, 경사면(78)과, 저면(79)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왼쪽 슬릿(71)은, 정면도인 도 6 및 상면도인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부분은 상하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방 부분이 우방향으로 접혀 오른쪽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케이싱(70)의 좌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하부 왼쪽 슬릿(71)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팽출부(7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3개의 팽출부(71a)에는, 각각의 하단 부분에 차수 구멍(7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71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의 좌측면으로부터 한층 더 좌측으로 팽출하고 있고, 아래를 향함에 따라 팽출 정도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차수 구멍(71b)은, 팽출부(71a)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개구이며, 정면에서 볼 때 약간 오른쪽 하방향으로 기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수 구멍(71b)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왼쪽 슬릿(71)에 대하여 좌우 방향(D2)의 우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과, 하부 왼쪽 슬릿(71)에 대하여 우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좌측 차수 공간(S7)을,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약간 오른쪽으로 기운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저면(79)은,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왼쪽 슬릿(71)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D2)의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케이싱(70)의 저면을 구성하고 있다. 배수 구멍(76)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왼쪽 슬릿(71)의 하단 부분과 저면(79)의 좌단(左端) 부분에 있어서,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과, 좌측 차수 공간(S7)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개구이다. 또한, 이 차수 구멍(76)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과 후측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7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79)의 우단 부분으로부터 오른쪽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부 케이싱(70)의 오른쪽 아래의 면을 구성하고 있다. 우측면(73)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78)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하 방향(D1)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우측면(73)은, 좌우 방향(D2)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3a)을 가지고 있다. L자 형상판(77)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면(73)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좌우 방향(D2)의 우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하 방향(D1)의 상방으로 접힌 L자 형상의 면을 구성하고 있다. 전방 고정부(74)는,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의 전면의 상단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면 측으로 연장된 면이며, 이 면의 중앙 근방에서 상하 방향(D1)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4a)을 가지고 있다. 후방 고정부(75)는, 전방 고정부(74)와 같고,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의 후측의 면의 상단 중앙 부분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면이며, 이 면의 중앙 근방에서 상하 방향(D1)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5a)을 가지고 있다.
(상부 케이싱)
상부 케이싱(8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후방 슬릿(81)과, 앞면(83)과, 전방 피고정부(84)와, 후방 피고정부(85)와, 도풍판(導風板, 87)과, 리액터 박스 설치판(88)과, 상면(8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후방 슬릿(81)은, 도 8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후방 슬릿(91')과 같은 형상이며, 상부 후방 슬릿(81)의 후측의 면(81)을 구성하고 있고, 3개의 팽출부(81a)와, 각각의 팽출부(81a)에 형성된 차수 구멍(81b)을 가지고 있다. 팽출부(81a)는, 도 8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후측의 면으로부터 한층 더 후측으로 팽출하고 있고, 아래를 향함에 따라 팽출 정도가 증가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차수 구멍(81b)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출부(81a)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개구이며, 우측면에서 볼 때 약간 왼쪽 하방향으로 기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수 구멍(81b)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후방 슬릿(91')에 대하여 후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후방 차수 공간(S8)과, 상부 후방 슬릿(81)에 대하여 후측에 면한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을, 우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기운 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상면(89)은, 상부 케이싱(80)의 상방의 면을 구성하고 있고, 오목부(82)와, 협지부(挾持部, 86)와, 계지부(89a)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82)는, 도 6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2개소에 있어서, 후술하는 리액터(52)의 고정에 이용되는 나사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서, 상방으로 움푹 패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86)는,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좌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협지부(86)는,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좌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D1)의 하측으로 연장된 외측 협지부(86a)와, 외측 협지부(86a)보다도 우측의 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내측 협지부(86b)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내측 협지부(86b)의 상면 단면으로부터 좌측 부분은, 상하 방향(D1)으로 관통하고 있다. 계지부(89a)는,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 중의 우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팬 모터대(28a)에 대하여 접촉하기 위하여, 약간 상방으로 불룩하게 올라와 형성되어 있다.
도풍판(8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일부를 구성하는 계지부(89a)의 좌단 부분으로부터 상하 방향(D1)의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면을 구성하고 있다. 리액터 박스 설치판(88)은,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우측의 후측의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한층 더 우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리액터 박스 설치판(88)에는, 우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D3)으로 연통하도록 나사 구멍(88a)이 설치되어 있다. 앞면(83)은, 상부 케이싱(80)의 전면 측을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D3)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3a)을 가지고 있다.
전방 피고정부(84)는,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전면의 하단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면 측으로 연장된 면이며, 이 면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D1)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4a)을 가지고 있다. 후방 피고정부(85)는, 전방 피고정부(84)와 같고,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의 후측의 면의 하단 중앙 부분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면이며, 이 면의 중앙 근방에서 상하 방향(D1)으로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5a)을 가지고 있다.
[리액터 박스의 고정]
리액터 박스(50)는, 본체 케이싱(60)과 차수 케이싱(90)이 조합되어 구성되고, 내부에 리액터(52)가 수납되어, 실외기(2)의 송풍실(S1)의 내부에 고정된다.
(리액터 박스 및 리액터의 고정 동작)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 케이싱(90)과, 하부 케이싱(70)과 상부 케이싱(80)으로 구성되는 본체 케이싱(60)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액터 박스(50)에 대해서는, 내부에 리액터(52)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은 순서로 고정된다.
처음에, 리액터(52)가 차수 케이싱(90)에 대하여 고정된다. 우선, 리액터(52)의 오른쪽 상단 부분(52a)을, 도 6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상면(99)의 리액터 장착 오목부(98)의 내측에 설치된 개구에 대하여, 좌우 방향(D2)의 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리액터(52)가 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리액터(52)의 오른쪽 상단 부분(52a)이, 차수 케이싱(90)의 상면의 리액터 장착 오목부(98)에 대하여 계합된다. 또한, 리액터(52)의 좌측 부분(52b)에 대해서는, 도 6의 정면도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62)에 의하여, 차수 케이싱(90)의 상면에 뚫어 설치된 리액터 나사 구멍(92)과, 도시하지 않는 리액터(52)의 대응 부분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이 대략 상하 방향(D1)으로 연통되어 나사 감합된다. 이때, 나사(6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상면을 넘어 한층 더 상방으로 돌출하여 버리지만,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대응 부분의 오목부(82)에 의하여 공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 부분을 그 공간 내에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리액터(52)는, 차수 케이싱(90)에 대하여 고정된다. 덧붙여, 차수 케이싱(90)의 리액터 나사 구멍(92)이나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된 오목부(82)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2개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사이즈가 다른 리액터에서도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차수 케이싱(90)이, 본체 케이싱(60) 중의 하부 케이싱(70)에 대하여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우측면(97)을 좌측으로, 하부 케이싱(70)의 우측면(73)을 우측으로 하여, 좌우 방향(D2)으로부터 접합시킨다. 그리고 차수 케이싱(90)의 우측면(97)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97a)과, 하부 케이싱(70)의 우측면(73)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3a)이, 나사(61)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나사 감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차수 케이싱(90)과 하부 케이싱(70)이 고정된다.
나아가, 차수 케이싱(90)이, 본체 케이싱(60)의 상부 케이싱(80)에 대하여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앞면(93)을 후측으로, 상부 케이싱(80)의 앞면(83)을 전측으로 하여, 전후 방향(D3)으로부터 접합된다. 그리고 차수 케이싱(90)의 앞면(93)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93a)과, 상부 케이싱(80)의 앞면(83)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3a)이, 나사(63)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나사 감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차수 케이싱(90)과 상부 케이싱(80)이 고정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부 케이싱(80)과 하부 케이싱(70)이 고정되어, 리액터(52)를 수납한 본체 케이싱(60)이 완성한다. 여기에서는,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60)의 전측에 대해서는, 상부 케이싱(80)의 전방 피고정부(84)와, 하부 케이싱(70)의 전방 고정부(74)가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접합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80)의 전방 피고정부(84)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4a)과, 하부 케이싱(70)의 전방 고정부(74)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4a)이, 나사(64)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나사 감합된다. 또한, 본체 케이싱(60)의 후측은, 상부 케이싱(80)의 후방 피고정부(85)와, 하부 케이싱(70)의 후방 고정부(75)가 상하 방향(D1)으로부터 접합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80)의 후방 피고정부(85)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5a)과, 하부 케이싱(70)의 후방 고정부(75)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75a)이, 나사(65)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에 의하여 나사 감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케이싱(80)과 하부 케이싱(70)이 고정된다. 덧붙여,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 박스(50)가 조립되면,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된 도풍판(87)과 L자 형상판(77)의 사이에서 방출구(O4)가 형성된다.
덧붙여, 이와 같이 나사에 의하여 각각의 케이싱이 나사 감합되는 고정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멈춤쇠부와, 멈춤쇠부에 대하여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이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실외기에의 리액터 박스의 고정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내부에 리액터(52)를 수납한 리액터 박스(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의 송풍실(S1)에 고정된다.
우선, 리액터 박스(50)의 상부 케이싱(80)의 계지부(89a)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 모터대(28a) 중의 실외 열교환기(22)의 중앙 상단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D3)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씌우도록 하여 계지된다.
또한, 리액터 박스(50)의 상부 케이싱(80)의 상면(89)의 좌측에 설치된 협지부(86)는,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22)의 좌측면 부분을 협지(挾持, 사이에 둔 상태로 지지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열교환기(22)의 좌측면 부분을, 협지부(86) 중의 외측 협지부(86a)가 좌측으로부터, 내측 협지부(86b)가 우측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하여 협지한다.
그리고 도 3,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된 리액터 박스 설치판(88)과, 팬 모터대(28a)의 실외 열교환기(22)에 따라 배설되어 있는 부분이 전후 방향(D3)으로부터 접합된다. 나아가,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 박스 설치판(88)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88a)과, 팬 모터대(28a)의 대응 부분에 뚫어 설치된 나사 구멍(28b)이, 나사(68)에 의하여 서로 나사 감합되어, 리액터 박스(50)가 송풍실(S1)의 내부에 고정된다.
[리액터가 냉각될 때의 동작]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의 송풍실(S1)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 팬(27)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로펠러 팬(27)이 팬 모터(28)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송풍실(S1)에 도 4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공기류(F)가 형성된다. 이 공기류(F)에 대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외기(2)의 외부에 있는 공기는, 프로펠러 팬(27)의 회전 구동에 따라 공기류가 형성되는 것으로, 실외기(2)의 외부 후방으로부터 실외 열교환기(22)를 통하여 송풍실(S1)의 내부로 받아들여진다. 송풍실(S1)의 내부로 받아들여진 공기는, 도 6, 도 8 및 리액터 박스(50)의 상면도인 도 7에서 화살표 F1, F2, F3, F1', F2', F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왼쪽 슬릿(71)을 통하여 좌측 차수 공간(S7)으로 받아들여지고,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후방 슬릿(81)을 통하여 후방 차수 공간(S8)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이, 좌측 차수 공간(S7)과, 후방 차수 공간(S8)으로 받아들여진 공기는, 각각 차수 케이싱(90)에 설치되어 있는 차수 왼쪽 슬릿(91)과, 차수 후방 슬릿(91')을 통하여, 리액터(52)가 배설되어 있는 이중 차수 공간(S5)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이중 차수 공간(S5)에 수납되어 있는 리액터(52)의 근방에서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 지는 것에 의하여, 발열성의 리액터(52)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확산된다. 이와 같이 이중 차수 공간(S5)에 있어서, 리액터(52)의 근방을 통과한 공기는, 도 6에서 화살표 F4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수 케이싱(90)의 우측면(97)에 설치된 방열 개구(97b)를 통하고, 하부 케이싱(70)의 L자 형상판(77)의 상방을 통과하여,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된 도풍판(87)과 L자 형상판(77)의 사이의 공간인 방출구(O4)를 통하여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로 공기가 받아들여지는 공기류(F)가 형성되는 것은, 외기가, 송풍실(S1)의 프로펠러 팬(27)이 회전 구동한 경우에, 실외기(2)의 실외 열교환기(22)의 후측의 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송풍실(S1)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왼쪽 슬릿(71)과 상부 후방 슬릿(81)으로부터,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를 향하여 외기가 진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의 공기가, 상부 케이싱(80)에 설치된 도풍판(87)과 L자 형상판(77)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리액터 박스(50)의 외부로 방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의 이중 차수 공간(S5)으로부터 우측의 방출구(O4)를 통하여 외부의 송풍실(S1)로 공기가 방출되는 공기류(F4)가 형성되는 것은, 리액터 박스(50)의 우측에 있어서 프로펠러 팬(27)에 의한 강한 공기류가 전후 방향(D3)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있고, 리액터 박스(50)의 내부 중 공기가 방출되는 우측 근방에서는 리액터 박스(50)의 내부 중심 부근과 비교하여 압력이 낮은 상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 여,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의 공기는, 압력이 낮은 방열 개구(97b) 근방을 향하여 흐르고, 그대로 리액터 박스(50)의 방출구(O4)를 통하여,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로 방출되게 된다.
[리액터 박스의 차수 동작]
실외기(2)는, 통상, 옥외에 설치되어 빗물을 받을 우려가 있지만, 실외기(2)의 내부에 설치된 프로펠러 팬(27)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실(S1)의 내부에, 공기뿐만이 아니라 수분이 섞여 혼입하는 일이 있다. 여기에서는, 리액터(5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 박스(50)에 의하여, 외기를 받아들이는 측인 좌측과 후측이 각각 이중으로 덮여 있는 이중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52)를 수분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으로부터의 외기를 받아들이는 경로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 첫 번째 겹, 나아가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이 두 번째 겹으로 되는 것으로 이중으로 덮여 있다. 또한, 후측으로부터의 외기를 받아들이는 경로에 있어서는,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이 첫 번째 겹, 나아가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후방 슬릿(91')이 두 번째 겹으로 되는 것으로 이중으로 덮여 있다. 이하, 좌측으로부터의 경로와 후측으로부터의 경로가 거의 같기 때문에, 좌측의 이중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외기(2)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와 수분이 하나가 되어 송풍실(S1)로 깊숙이 들어가, 도 6,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류(F1, F1')에 의하여 리액터 박스(50)의 근방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류(F1, F1')에 의하여 리액터 박스(50)의 근방에까지 수분과 외기가 도달한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첫 번째 겹으로 되는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의 팽출부(71a)에 의하여, 수분의 대부분이 리액터 박스(50) 내로 들어가지 않게 차단된다. 그리고 공기와 소량의 수분이, 도 6에 도시하는 공기류(F2)에 의하여,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 비스듬히 상방으로 흘러 가고,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 근방에 도달한다. 그러나 수분은, 공기에 비하여 비중이 크기 때문에, 상방을 향하는 것이 어렵고,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을 통과하기 어렵다. 나아가, 하부 왼쪽 슬릿(71)을 통과하여 좌측 차수 공간(S7)에까지 수분이 도달하였다고 하여도, 그와 같은 미량의 수분은, 하부 왼쪽 슬릿(71)을 통과한 것으로 공기류(F2)의 기세가 약해져 있기 때문에, 좌측 차수 공간(S7)의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수 구멍(76)을 통하여 다시 리액터 박스(50) 외부의 송풍실(S1) 내로 방출된다. 또한,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 근방에 있어서는,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좌측 차수 공간(S7)에 도달하는 미량의 수분에 대해서도,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과 마찬가지로, 상방을 향하여 통과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공기류(F2)의 기세에 의하여 이동하여 오는 수분이어도,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 근방에서는,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차수 구멍(91b)을 상방을 향하여 통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에서는, 수분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류(F3)가 생긴다.
이와 같이, 리액터 박스(50)의 이중 구조에 의하여, 이중 차수 공간(S5) 내부로는 수분이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징>
(1)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서는, 발열 부품인 리액터(52)가 기계실(2)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는 등의 배설 장소, 배설 구조 등이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52)의 근방에서 부분적으로밖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지 않는 등 때문에 리액터(52)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놓치기 어렵고, 리액터(52)의 냉각을 충분히 행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전장 부품(42)이나 리액터(52) 등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버리면, 전장 부품(42)이나 리액터(52)의 사용 조건에 제약을 걸거나 하는 원인으로 되는 등,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나아가, 이것에 의하여, 별도로 새롭게 내열성이 뛰어난 리액터(52)를 개발·제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등, 코스트가 걸려 버린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발열 부품인 리액터(52)는,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 및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의 외기 도입구와 방출구(O4)가 설치된 리액터 박스(50)에 수납되고, 프로펠러 팬(27)에 의하여 공기류(F)가 형성되는 송풍실(S1)에 배설된다. 이 때문에, 프로펠러 팬(27)이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 및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의 외기 도입구로부터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를 통하여 방출구(O4)에 걸친 공기류(F)가 생겨, 리액터(52) 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확산시키고, 열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리액터(52)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내열성이 뛰어난 리액터를 별도로 새롭게 개발·제조할 필요성도 없어진다.
(2)
근년(近年)은, 실외기의 설치 스페이스의 협소화 등에 따라, 실외기 전체의 컴팩트화가 진흥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외기 전체가 협소화되면, 발열 부품인 리액터(52)와, 전장 부품 유닛(40)에 수납된 비교적 열에 약한 전장 부품(42)의 설치 거리가 가까워져 버려, 리액터(52)로부터 발생한 열에 의하여 전장 부품(42)에 악영향을 주어 버리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내열성이 뛰어난 전기 부품을 개발·제조할 필요가 생겨 버려, 코스트가 비싸져 버린다. 덧붙여, 전장 부품 유닛(40)과 리액터 박스(50)를 기계실(S2)의 내부에 배치한 예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방열성 확보를 위하여 전장 부품 유닛(40)에 설치되어 있는 방열 핀(43)이 리액터(52)의 근방에 배설되게 되기 때문에, 방열 핀(43)에 의한 전장 부품 유닛(40)의 냉각 효과가 감소하여 버린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2)에서는, 전장 부품(42)이 수납되어 있는 전장 부품 유닛(40)과, 리액터(52)가 수납되어 있는 리액터 박스(50)가 다른 방에 배설되고, 양자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52)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전장 부품(42)이 악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리액터(52)의 방열성을 확보하면서, 실외기(2)의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리액터(52)나 전장 부품(42) 등의 소재의 설계 온도를 낮게 할 수 있고 내열성을 다소 낮추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계실(S2) 내의 전장 부품 유닛(40)의 아래에 배설되어 있는 기계 부품이나, 전장 부품 유닛(4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장 부품(42)이 발열하는 성질의 부품이었다고 하여도, 리액터(52)와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3)
덧붙여, 리액터(52)를 송풍실(S1)에 배설하여 충분한 냉각을 행하는 경우에서도, 실외기(2)의 송풍실(S1)로 옥외의 빗물 등이 진입하여 리액터(52)에 수분을 가해 버려 단락을 초래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별도로 내수성이 뛰어난 리액터의 개발·제조가 필요하여, 코스트가 걸려 버린다. 또한, 전장 부품 유닛(40)으로부터 리액터(52)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태양(態樣)으로서, 기계실(S2)의 상방 공간의 전장 부품 유닛(40)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인 실외기(2)의 바닥 프레임 근방에 리액터(52)를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한랭지 등에 있어서는, 빗물 등의 수분이 실외기(2)의 저면 근방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얼음이 되어 버려, 리액터(52) 자신이 수몰하여 버리는 것에 의하여 단락을 초래한다고 하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과 리액터(52)의 사이에서,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를 채용한 차수 슬릿(91)을 배설하고 있 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액터 박스(50)에서는,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 및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에 의한 이중의 구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으로부터 리액터 박스(50)의 내부에 공기와 수분이 혼입하는 경우에서도, 차수 왼쪽 슬릿(91)의 차수 구멍(91b)에 의하여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리액터(52)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액터(52)는, 실외기(2)의 상방 공간인 실외기(2)의 상판의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52)가 수몰하는 위험성에 대해서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이것에 의하여, 내수성이 뛰어난 리액터를 별도로 새롭게 개발·제조할 필요성도 없어진다.
(4)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액터 박스(50)는, 실외기(2)의 송풍실(S1)의 상하 방향(D1)의 상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D2)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 박스(50)는, 프로펠러 팬(27)이 설치되어 있고 송풍 강도가 강한 송풍실(S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 박스(50)를 송풍실(S1)에 배치했다고 하여도, 프로펠러 팬(27)에 의하여 송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리액터 박스(50)를 송풍실(S1)에 배치한 경우에서도, 프로펠러 팬(27)의 송풍 성능을 가능한 한 높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리액터 박스(50)의 형상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부터 오른쪽 아래 부분이 깎아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로펠러 팬(27)이 설치되어 있 는 송풍실(S1)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가능한 한 방해하지 않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 박스(50)를 송풍실(S1)의 내부에 배설하는 경우에서도, 송풍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송풍 성능의 열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송풍실(S1)에 있어서, 리액터 박스(50)는, 새롭게 리액터 박스(50)를 배설하기 위한 지주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팬 모터(28)의 설치에 이용되고 있는 팬 모터대(28a)를 유용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의 방해로 되는 리액터 박스 배설용의 지주를 설치하지 않아도, 리액터 박스(50)를 배설할 수 있게 된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는,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을 지나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로 진입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 구멍(7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으로, 이 배수 구멍(76)으로부터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케이싱(70)의 저면(79)에 접촉하도록 하여 차수 케이싱(90)의 접촉판(9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왼쪽 슬릿(71)의 차수 구멍(71b)을 지나 리액터 박스(50)의 내부로 진입한 물은, 리액터 박스(50)의 좌측 차수 공간(S7)의 저면 근방을 흐르도록 하여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로 방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 액터(52)에 대한 차수성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리액터(52)에 대하여 수분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액터(52)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리액터 박스(50)를 이중 구조화시켜 송풍실(S1)에 배설되어 있는 실외기(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즉, 공기의 유로에서 상방을 향하는 부분을 가지는 구조의 리액터 박스(50)를 채용하여, 물과 공기의 비중에 기초하여, 공기보다도 비중이 큰 물이 상방으로 올라가기 어렵다고 하는 성질에 의하여, 공기와 물을 분리하여 리액터(52)의 냉각 효과를 확보하면서 리액터 박스(50)의 차수성을 담보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이나 차수 후방 슬릿(91')으로서는,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이 미세한 구멍이 다수 설치된 것과 같은 리액터 박스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나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을 통과하여 오는 물방울의 크기에 착목(着目)하여, 그 물방울의 크기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의 물방 울을 잡는 것이 가능한 작은 구멍이 다수 설치된 다공질의 차수 왼쪽 슬릿 및 차수 후방 슬릿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다공질의 차수 왼쪽 슬릿 및 차수 후방 슬릿에서는,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나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을 통과한 물방울 (수분) 및 공기 중, 물방울을 많이 잡고 공기만을 통과시켜, 물방울과 공기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공질의 차수 왼쪽 슬릿 및 차수 후방 슬릿에 잡힌 수분은, 어느 정도 축적되어 오면 상하 방향(D1)의 하측으로 떨어져 내린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나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을 통과한 물방울을, 하부 케이싱(70)에 설치된 배수 구멍(76)으로부터 리액터 박스(50)의 외부의 송풍실(S1)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나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과 리액터(52)의 사이에 있어서,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이나 차수 후방 슬릿(91')과 같은 구조의 슬릿이 몇 겹으로 겹쳐 배설되어 있는 실외기여도 무방하다. 또한, 차수 왼쪽 슬릿(91)이나 차수 후방 슬릿(91')은, 리액터 박스(50)의 하부 케이싱(70)의 하부 왼쪽 슬릿(71)이나 상부 케이싱(80)의 상부 후방 슬릿(81)과 리액터(52)의 사이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복수의 차수 케이싱(90)의 차수 왼쪽 슬릿(91)이나 차수 후방 슬릿(91')이 일체로 형성되는 실외기여도 무방하다.
이들과 같은 같은 구조가 채용된 실외기의 리액터 박스에서도, 상술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전장 부품 유닛(40)에 설치된 파워 트랜지스터(45) 등의 발열성의 전장 부품은, 전장 부품 유닛(40)에서 송풍실(S1)에 통하도록 설치된 방열 핀(43)을 통하여, 열을 놓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액터 박스(50)와 전장 부품 유닛(40)의 양자 모두 송풍실(S1)에 배설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송풍실(S1)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는 양자를 보다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덧붙여, 프로펠러 팬(27)이 2개 설치되어 있는 실외기의 경우에는, 특히 용이하게 송풍실(S1)에서 양자를 떨어뜨려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리액터(52) 및 발열성의 전장 부품(42)의 각각을 보다 효과 좋게 냉각할 수 있도록 가장 떨어진 배치로 할 수 있다.
덧붙여, 전장 부품 유닛(40)에 설치되어 있는 전장 부품(42) 중, 발열성이 높은 것만을 선택하여, 송풍실(S1)에 배치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C)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에서는, 리액터 박스(50)는, 송풍실(S1)의 상방 공간에 배설되어 있다. 그러나 리액터 박스(50)에 수납되는 리액터(52)의 수몰의 우려가 없도록 한 경우에는, 리액터 박스(50)를 실외기(2)의 저면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도,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외기(2)와 마찬가지로, 프로펠러 팬(27)에 의한 송풍의 저항을 억제하여 리액터의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D)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액터 박스(50)는, 3개의 케이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액터 박스(50)는, 상기 실시예와 구조는 같게 한 채로, 3개의 케이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액터 박스(50)에서는, 리액터(52)는, 차수 케이싱(90)의 상면(99)에 있어서 리액터 장착 오목부(98)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리액터(52)는, 수분이 모일 우려가 있는 리액터 박스(50)의 저면(79)에 접하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리액터(52)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부분은 각 케이싱의 측면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의하면, 발열 부품에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하면서, 발열 부품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송풍기가 배설되어 있는 송풍기실과 송풍기실 이외의 기계실로 칸막이되고, 발열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대하여 특히 유효하다.

Claims (9)

  1. 송풍기(27)가 배설(配設)되어 있는 송풍기실(S1)과 상기 송풍기실 이외의 기계실(S2)로 칸막이되고, 발열 부품(52)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실(S1) 내에 배설되고, 개구(開口, 71b)가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발열 부품(52)을 수납하는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에 있어서 상기 개구(71b)가 설치된 위치와 상기 발열 부품(52)이 수납되어 있는 위치의 사이에 배설되고, 공기보다도 물 쪽이 통과하기 어려운 차수판(遮水板, 91)
    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송풍기실(S1)의 상방(上方)에 배설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S2) 내에, 상기 발열 부품(52) 이외의 다른 전장 부품(42)을 배설하기 위한 전장 부품 유닛(40)을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송풍기실(S1)의 내부 중, 상기 기계실(S2) 측과는 반대 측에 배설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27)를 상기 송풍기실(S1)에 배설하기 위한 송풍기대(28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송풍기대(28a)에 대하여 장착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91)은, 상기 발열 부품(52)을 수납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구(7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팽출한 팽출부(91a)를 가지고,
    상기 팽출부(91a)는, 하단(下端) 부분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품(52)의 근방의 공간과 상기 케이스의 개구(71b)의 근방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연통(連通)시키는 차수 구멍(91b)을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0)의 개구(71b)는, 상기 케이스(60)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60)의 내부로 받아들이는 도입구이며,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차수판(91)의 차수 구멍(91b)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O4)를 더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품(52)은, 상기 케이스(60)의 저면(底面, 79)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설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부품(52)은, 공조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에서 이용되는 리액터(reactor)인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2).
KR1020067006348A 2003-10-08 2004-10-08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0665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9148A JP3698152B2 (ja) 2003-10-08 2003-10-08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3-00349148 2003-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49A true KR20060060049A (ko) 2006-06-02
KR100665791B1 KR100665791B1 (ko) 2007-01-09

Family

ID=3443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348A KR100665791B1 (ko) 2003-10-08 2004-10-08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06610A1 (ko)
EP (1) EP1684023A4 (ko)
JP (1) JP3698152B2 (ko)
KR (1) KR100665791B1 (ko)
CN (1) CN100510557C (ko)
AU (1) AU2004280422B2 (ko)
WO (1) WO2005036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7934B2 (ja) * 2005-08-09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4方向リードフラットパッケージic実装プリント配線基板、4方向リードフラットパッケージicの半田付方法、空気調和機。
JP4196979B2 (ja) * 2005-09-07 2008-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ード形電子部品実装プリント配線基板、リード形電子部品の半田付方法、空気調和機。
JP2007271212A (ja) * 2006-03-31 2007-10-18 Daikin Ind Ltd ヒートポンプ給湯機の室外ユニット
WO2008000056A1 (en) * 2006-06-30 2008-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learning a context of a segment of text, and associa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1297714Y (zh) * 2008-09-18 2009-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
JP2010236781A (ja) * 2009-03-31 2010-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IT1400737B1 (it) * 2009-05-20 2013-07-02 Sanyo Electric Co Unita' esterna per lo scambio di calore, particolarmente in scambiatori di calore e simili.
DE102009045341A1 (de) * 2009-10-05 2011-04-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Ventilator
CN103037645B (zh) * 2011-10-08 2016-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室外机、室外机的电器盒
JP2013120026A (ja) * 2011-12-08 2013-06-17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3673140B (zh) * 2012-09-14 2016-06-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室外机及其电器盒
JP6113989B2 (ja) * 2012-09-28 2017-04-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機
CN103322626A (zh) * 2013-05-31 2013-09-25 向运明 一种空调室外机结构
KR102170317B1 (ko) * 2014-01-14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845066B2 (en) * 2014-03-27 2020-11-24 Daikin Industries, Ltd.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JP2014206373A (ja) * 2014-07-04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
JP6491761B2 (ja) * 2015-11-19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回路
JP6537700B2 (ja) * 2016-03-04 2019-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装品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6016508B (zh) * 2016-07-22 2021-05-25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及空调
US11879648B2 (en) * 2018-02-05 2024-0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WO2020095439A1 (ja) * 2018-11-09 2020-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7112027B2 (ja) * 2018-11-16 2022-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7006735A (zh) * 2019-10-22 2023-11-07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一体式空气源热泵
CN111425950A (zh) * 2020-04-20 2020-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盒、空调室外机及空调器
JP2022168978A (ja) * 2021-04-27 2022-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媒体循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2057A (ja) * 1985-03-01 198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電気部品収納箱
JPH05296496A (ja) * 1992-04-22 1993-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672709B2 (ja) * 1992-10-21 1994-09-14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3618507B2 (ja) * 1997-03-03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03139352A (ja) * 2001-11-02 2003-05-14 Daikin Ind Ltd 室外機用電装品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946056B2 (ja) * 2002-02-28 2007-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80422B2 (en) 2008-05-29
CN100510557C (zh) 2009-07-08
EP1684023A1 (en) 2006-07-26
KR100665791B1 (ko) 2007-01-09
CN1864036A (zh) 2006-11-15
JP3698152B2 (ja) 2005-09-21
EP1684023A4 (en) 2009-01-21
US20070006610A1 (en) 2007-01-11
JP2005114244A (ja) 2005-04-28
WO2005036064A1 (ja) 2005-04-21
AU2004280422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9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WO2009041425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611514B2 (ja) 室外ユニット
CN106839162B (zh) 室外机及空调器
JP6254052B2 (ja) エンジンシステム
JP201109492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0785613B (zh) 制冷机室外单元
JP2009068743A (ja) 空気調和機
CN110770507A (zh) 制冷机室外单元
JP638752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6969430B (zh) 室外机及空调器
JP200001864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18169129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66327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702346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5368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1224193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6737641B2 (ja) 冷凍ユニット
JP6974754B2 (ja) 冷凍装置の室外機
JP200313935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789548B2 (ja) 空気調和装置
CN219494548U (zh) 热交换设备的散热装置和热交换设备
JP4269603B2 (ja) 室外機の電装品ユニット
KR10161953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