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786A -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786A
KR20060050786A KR1020050079782A KR20050079782A KR20060050786A KR 20060050786 A KR20060050786 A KR 20060050786A KR 1020050079782 A KR1020050079782 A KR 1020050079782A KR 20050079782 A KR20050079782 A KR 20050079782A KR 20060050786 A KR20060050786 A KR 2006005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justing means
yaw rate
driving force
for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651B1 (ko
Inventor
스미오 모토야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60W10/16Axle differentials, e.g. for dividing torque between left and righ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haracterised by computing methods or stabilisation processes or systems, e.g. responding to yaw rate, lateral wind, load, roa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2Active Steering, Steer-by-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4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4Y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후륜(2c, 2d)의 구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각 차륜(2a 내지 2d)에 제동력차를 갖게 하는 제동력 조정기구(9)와, 전륜(2a, 2b)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차량(1)의 거동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 (13), 핸들 각 센서(14) 및 요 레이트 센서(15)와, 각 센서(13, 14, 15)에 의해 검출된 차속(V), 조타각(θ) 및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12)를 가지며, 제어 장치(12)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기 전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다.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Description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PIVO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개략도.
도 2는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전륜 조타각 조정 제어, 좌우륜 구동력 조정 제어 및 제동력 조정 제어의 통합적인 제어 체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륜 구동력 조정 제어, 제동력 조정 제어 및 조타각 조정 제어의 통합적인 제어 체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a 내지 2d : 차륜
3 : 전륜 보조 조타 기구
4 : 스티어링
5 :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
6 :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7 :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
8a 내지 8d : 브레이크 기구
9 : 제동력 조정기구
1O : 브레이크 페달
11 :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
12 : 제어 장치
13 : 차속 센서
14 : 핸들 각 센서
15 : 요 레이트 센서
16 :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
17 :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
18 : 요 모멘트 산출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선회시에 있어서의 거동을 제어하고, 그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나 제동력 조정기구 등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는, 차량의 거동에 따라 좌우륜 사이의 구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기구이고, 선회중에 있어서의 좌우륜의 구동력 분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동력 조정기구는 차량의 선회 상태에 따라 차륜 사이의 제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기구이고, 선회중에 있어서의 각 차륜의 브레이크 압력 분배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 및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의 일예로서, 상술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와 제동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차속과 핸들 각(角)에 의거하여 산출한 목표 요 레이트와, 차량에 실제로 생기고 있는 실(實) 요 레이트와의 차인 요 레이트 편차에 따라 양 기구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요 레이트 편차가 제 1 임계치 이상 제 2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만을 작동시키고, 제 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양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18312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마련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및 제동력 조정기구는 요 레이트 편차에 따라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요 레이트 편차가 미소하고,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및 제동력 조정기구를 작동시키려고 하여도 제어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서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및 제동력 조정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는 불감대(제 1 임계치 이하의 영역)를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이 불감대에서도 차량의 거동을 제어한 것이 요구되는 경우, 불감대을 없애고, 미소한 요 레이트 편차의 조타 영역으로부터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및 제동력 조정기구를 작동시킬 수도 있지만,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클러치의 마모나 클러치 작동시에 발생하는 파워 로스, 또는 유압 제어에 의한 미소한 제어가 곤란하다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동력 조정기구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마모와 발열,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감, 또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이상의 미소한 제어가 곤란하다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 및 제동력 조정기구는, 타이어의 횡력(橫力) 여유(그립 력)가 작은 선회 한계 영역(제 1 임계치 이상의 영역)이나 마찰력이 낮은 노면에서는 특히 유효하지만, 타이어의 횡력 여유가 큰 통상 운전시(제 1 임계치 이하의 영역)에서는 효과가 작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요 레이트 편차가 미소한 조타 영역으로부터 차륜 조타각을 제어한 차륜 조타 기구를 작동시켜서, 차량 거동 제어가 행하여지는 영역을 확대함에 의해, 차량의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좌우륜 구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과,
상기 차량의 거동을 검출하는 차량 거동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적어도 한쪽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조타각 조정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통합적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의하면, 차량 거동 제어가 행하여지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차량의 각 바퀴 사이에 제동력차를 갖게 하는 제동력 조정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통합적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작동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차량 거동 제어가 행하여지는 영역을 보다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이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각 조정 수단의 제어 간섭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지고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되므로,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를 산출하고 상기 요구 요 모멘트가 크게 됨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각 조정 수단의 제어 간섭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지고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 모멘트를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 분배하여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의 요구 모멘트의 최대 분배량을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으 로의 최대 분배량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으로의 최대 분배량보다 적게 설정한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차량 거동 제어가 행하여지는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면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작동량을 저하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조타각 조정에 의한 제어 효과가 낮게 되는 영역에서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에 의한 제어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고,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은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의 조타량을 검출하는 조타량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에 생기는 요 레이트를 검출하는 요 레이트 검출 수단과,
상기 차속 및 상기 조타량에 의거하여 목표 요 레이트를 산출하고, 해당 목표 요 레이트와 상기 요 레이트의 차를 요 레이트 편차로서 산출하는 요 레이트 편차 산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 산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요 레 이트 편차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모멘트를 산출하고, 해당 모멘트를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 분배하여 작동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상기 요 레이트 편차의 크기에 따라 각 조정 수단이 모멘트를 상기 차량에 줄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거동의 안정화를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만을 작동시키고,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클수록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작동량을 크게 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차량 거동 제어가 행하여지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상기 제 1 임계치 이상일 때에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고,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커짐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조타각 조정 제어의 기여율을 저하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조타각 조정 제어 효과가 작은 상기 제 1 임계치 이상에서는,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상기 제 1 임계치 이상일 때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제어량을 일정하게 시킨다.
이 알맞는 형태에 의하면,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과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과의 작동 빈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의 마모, 브레이크의 마모·발열, 감속감 등의 문제를 적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개략도, 도 2는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좌우륜 구동력 조정 제어, 제동력 조정 제어 및 조타각 조정 제어의 통합적인 제어 체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고, 이 차량(1)에는 전륜(2a, 2b)과 후륜(2c, 2d)이 구비되어 있다.
전륜(2a, 2b)의 사이에는 전륜 보조 조타 기구(3)가 마련되고, 이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는 스티어링(4)과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에 접속되어 있다.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는 구동 모터, 기어 기구 및 링크 기구(각각 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과 전륜(2a, 2b)의 조타각 사이의 차동각(差動角)을 제어하는 것이다. 통상은, 스티어링(4)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조타축(도시 생략)이 회전하고, 전륜(2a, 2b)이 조타되지만, 구동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스티어링(4)의 회전 각도에 대해 조타축의 회전이 증감되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과 전륜(2a, 2b)의 조타각과의 사이에 차동각을 줄 수 있다.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에 의한 차동각의 제어는,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한편, 후륜(2c, 2d)의 사이에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가 마련되고, 이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에 접속되어 있다.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는, 엔진(도시 생략)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후륜(2c, 2d)에 분배하는 것이다.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에 의한 후륜(2c, 2d)으로의 구동력의 분배량은,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각 차륜(2a 내지 2d)에는 브레이크 기구(8a, 8b, 8c, 8d)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8a 내지 8d)는 제동력 조정 기구(9)에 접속되고, 이 제동력 조정기구(9)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됨에 의해, 각 차륜(2a 내지 2d)에 제동력(브레이크력)을 줄 수 있다. 제동력 조정기구(9)는 브레이크 페달(10)과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에 접속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10)의 밟는 힘에 따라 각 브레이크 기구(8a 내지 8d)에 제동력을 줌과 함께,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각 브레이크 기구(8a 내지 8d)에 제동력차를 줄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라도, 각 브레이크 기구(8a 내지 8d)에 개별의 제동력을 줄 수 있다.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는 제어 장치(1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2)는 이른바 ECU라고 불리는 전자 제어 장치를 이용하고 있고, ECU 자체는 제어 프로그램, 제어 맵이나 산출용에 이용하는 기억 장치(ROM, RAM 등), 산출 처리를 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및 타이머 카운터 및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어 장치(12)에는, 차속 센서(13), 핸들 각 센서(14) 및 요 레이트 센서(15)가 접속되어 있다.
차속 센서(13)는 각 차륜(2a 내지 2d)에 마련되고, 차량(1)의 차속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각 차륜 속도의 평균 속도로부터 차량(1)의 속도를 구하거나, 또는 종동륜(從動輪)의 평균 속도로부터 차량(1)의 속도를 구하는 것이다. 핸들 각 센서(14)는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에 부설되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것이다. 요 레이트 센서(15)는 차량(1)의 수직축 주위의 요 레이트(회전 각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2)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2)는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16),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17) 및 요 모멘트 산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16)는, 차속 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차량(1)의 차속(V)과, 핸들 각 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스티어링(4)의 조타각(θ)에 의거하여 차량(1)의 선회시에 있어서의 목표 요 레이트(ψ')를 산출하는 것이다. 요 레이트 편 차 산출부(17)는,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16)에 의해 산출된 목표 요 레이트(ψ')와, 요 레이트 센서(15)에 의해 검출된 차량(1)에 실제로 생기는 요 레이트(실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요 레이트 편차(△ψ)를 산출하는 것이다.
요 모멘트 산출부(18)는,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17)에 의해 산출된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선회시의 차량(1)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M)를 산출하고,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에 요구 요 모멘트(M)를 소정 비율로 분배하는 것이다. 이때,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전륜 보조 조타 기구(3))에 분배되는 요 모멘트를 Mf,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에 분배되는 요 모멘트를 My,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제동력 조정기구(9))에 분배되는 요 모멘트를 Ms로 나타낸다. 즉, 요 모멘트 연산부(18)는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에, M=Mf+My+Ms가 되도록 요구 요 모멘트(M)를 분배한다.
즉, 제어 장치(12)는 차속 센서(13)가 검출한 차속(V)과, 핸들 각 센서(14)가 검출한 스티어링(4)의 조타각(θ)과, 요 레이트 센서(15)가 검출한 차량(1)의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를 통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에 요구 요 모멘트(작동량)를 분배하여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 장치(12)의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소정의 주기마다 차속(V), 조타각(θ) 및 요 레이트(ψ)가 검출되고 있다. 검출된 차속(V)과 조타각(θ)의 신호가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16)에 입력되면 목표 요 레이트(ψ')가 산출된다. 한편, 검출된 요 레이트트(ψ)의 신호가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17)에 입력되면, 이 요 레이트(ψ)와 목표 요 레이트 산출부(16)로부터 입력된 목표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요 레이트 편차(△ψ)가 산출되고, 그 신호가 요 모멘트 산출부(18)에 출력된다. 이때, 요 레이트 편차(△ψ)는 목표 요 레이트(ψ')와 요 레이트(ψ)의 차(△ψ=ψ'-ψ)에 의해 구하여진다.
요 모멘트 산출부(18)에서는, 입력된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요구 요 모멘트(M)를 산출함과 함께, 요 레이트 편차(△ψ)의 크기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요 레이트 편차(△ψ)가 제 1 임계치(ψa)보다 큰지의 여부, 또한, 제 1 임계치(ψa)보다 큰 경우에는 제 2 임계치(ψb)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그리고 요 레이트 편차(△ψ)의 크기에 따라 하기에 나타내는 (A) 내지 (C)의 3개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A) |△ψ|<ψa
(B) ψa≤|△ψ|<ψb
(C) ψb≤l△ψ|
이 판정 처리에 의해, 요 레이트 편차(△ψ)가 (A)의 범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차량(1)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M)가 산출된다. 이때, 요구 요 모멘트(M)는 요 모멘트(Mf)로서 치환되고, 그 신호가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만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는 요 모멘트(Mf)의 크기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θ)과 전륜(2a, 2b)의 조타각 사이의 차동각을 제어한다.
따라서 (A)의 범위에서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만을 작동시키고, 요 모멘트(Mf)를 차량(1)에 준다. 즉, (A)의 범위에서는 M=Mf로 되도록 제어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요 레이트 편차(△ψ)가 (B)의 범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차량(1)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M)가 산출된 후, 이 요구 요 모멘트(M)를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와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에 분배하는 요 모멘트(Mf, My)가 산출됨과 함께, 그 신호가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와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는 요 모멘트(Mf)의 크기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θ)과 전륜(2a, 2b)의 조타각 사이의 차동각을 제어한다. 동시에,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는 요 모멘트(My)의 크기에 따라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를 작동시키고, 후륜(2c, 2d) 사이에서 이동 토오크를 발생시켜 구동력의 분배를 행한다.
따라서, (B)의 범위에서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를 작동시키고, 요 모멘트(Mf, My)를 차량(1)에 준다. 즉, (B)의 범위에서는 M=Mf+My가 되도록 제어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요 레이트 편차(△ψ)가 (C)의 범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차량(1)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M)가 산출된 후, 이 요 구 요 모멘트(M)를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에 분배하는 요 모멘트(Mf, My, Ms)가 산출됨과 함께, 그 신호가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 및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륜 보조 조타용 컨트롤러(5)는 요 모멘트(Mf)의 크기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고, 스티어링(4)의 조타각(θ)과 전륜(2a, 2b)의 조타각 사이의 차동각을 제어한다. 동시에, 좌우륜 구동력 조정용 컨트롤러(7)는 요 모멘트(My)의 크기에 따라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를 작동시키고, 후륜(2c, 2d) 사이에서 이동 토오크를 발생시켜 구동력의 분배를 행한다. 또한 동시에, 제동력 조정용 컨트롤러(11)는 요 모멘트(Ms)의 크기에 따라 제동력 조정기구(9)를 작동시키고, 각 차륜(2a 내지 2d)에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C)의 범위에서는,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작동시키고, 요 모멘트(Mf, My, Ms)를 차량(1)에 준다. 즉, (C)의 범위에서는 M=Mf+My+Ms가 되도록 제어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상술한 전륜 조타각 조정 제어, 좌우륜 구동력 조정 제어 및 제동력 조정 제어를 통합적으로 행하는 본 실시의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의 제어 체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념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요 레이트 편차(△ψ)와 요구 요 모멘트(M)와의 관계로부터, 분배하는 요 모멘트량(요 모멘트(Mf, My, Ms))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차량(1)이 좌선회 상태인지 우선회 상태인지에 따라, 또한 그때의 요 레이트 편차(△ψ)의 정부(正負)에 따라, 오버스티어 또는 언더스티어가 되도록 차량(1)에 요구 요 모멘트(M)가 주어진다. 도 3중에서는, 요 레이트 편차(△ψ)가 정(正)인 영역만에 관해 설명하고, 요 레이트 편차(△ψ)가 부(負)인 영역에 관해서는, 요구 요 모멘트(M)가 부인 영역일 뿐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 레이트 편차(△ψ)가 (A)인 범위에서는, 요 모멘트(Mf)만이 차량(1)에 주어지고, 요 레이트 편차(△ψ)의 증가에 수반하여 요 모멘트(Mf)도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즉, 요 레이트 편차(△ψ)가 커질수록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작동량이 증가된다.
(A)의 범위와 같이 요 레이트 편차(△ψ)가 미소한 경우에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제동력 조정기구(9)의 제어 효과는 발휘되기 어렵기 때문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만을 작동시킨다. 이로써, 제어의 불감대을 없앨 수 있고, 통상 운전 영역(제 1 임계치(ψa) 미만의 영역)에서도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제동력 조정기구(9)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마모나 클러치 작동시에 발생하는 파워 로스, 브레이크 마모와 발열, 또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감이라는 문제도 해소된다.
다음에, 요 레이트 편차(△ψ)가 (B)인 범위에 있어서는, 요 모멘트(Mf, My)가 차량(1)에 주어진다. 요 모멘트(Mf)는 일정량으로 차량(1)에 주어지지만, 요 모멘트(My)는 요 레이트 편차(△ψ)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즉,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작동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요 레이트 편차(△ψ)가 커질수록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의 작동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만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원활하고 감속감이 없는 주행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요 레이트 편차(△ψ)가 (C)인 범위에서는, 요 모멘트(Mf, My, Ms)가 차량(1)에 주어진다. 요 모멘트(Mf, My)는 일정량으로 차체(1)에 주어지지만, 요 모멘트(Ms)는 요 레이트 편차(△ψ)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되고, 요 레이트 편차(△ψ)가 어떤 소정치 이상부터는 일정하게 제어된다. 즉,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의 작동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요 레이트 편차(△ψ)가 커질수록 제동력 조정기구(9)의 작동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술한 제어 체계를 전체적으로 보면, 요 레이트 편차(△ψ)가 증가함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각 기구(3, 6, 9)의 제어 간섭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상호의 이점을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요 레이트 편차(△ψ)의 크기에 따라 각 기구(3, 6, 9)가 요 모멘트(Mf, My, Ms)를 차량(1)에 줄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거동의 안정화를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임계치(ψa) 이하(불감대 : 통상 운전시)뿐만 아니라 제 1 임계치(ψa) 이상(한계 영역)에서도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제동력 조정기구(9)의 작동 빈도를 적게 할 수 있고, 클러치의 마모나 클러치 작동시에 발생하는 파워 로스, 브레이크 마모와 발열, 또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감이라는 문제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를 작동시키기 전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가 반드시 작동되기 때문에, 제 1 임계치(ψa) 및 제 2 임계치(ψb)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제동력 조정기구(9)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임계치(ψa) 이상일 때, 즉 (B)의 범위로부터 요 모멘트(Mf)가 감소하도록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작동량을 저하시켜도 상관없다. 이로써,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조타각 조정 제어 효과가 작은 이 한계 영역에서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를 보다 많이 작동시킴으로써, 차량(1)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서 전륜(2a, 2b)측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마련하였지만, 이와 같은 것을 후륜(2c, 2d)측에 마련하여도 좋고, 또한,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으로서 후륜(2c, 2d)측에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를 마련하였지만, 이와 같은 것을 전륜(2a, 2b)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의하면, 후륜(2c, 2d)의 구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각 차륜(2a 내지 2d)에 제동력차를 갖게 하는 제동력 조정기구(9)와, 전륜(2a, 2b)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차량(1)의 거동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13), 핸들 각 센서(14) 및 요 레이트 센서(15)와, 각 센서(13, 14, 15)에 의해 검출된 차속(V), 조타각(θ) 및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 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12)를 가지며, 제어 장치(12)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기 전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킴에 의해, 차량 제어의 불감대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차량(1)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차량 거동이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에 의해, 각 기구(3, 6, 9)의 제어 간섭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지고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차량(1)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차속(V) 및 조타각(θ)에 의거하여 목표 요 레이트(ψ')를 산출하고, 해당 목표 요 레이트(ψ')와 요 레이트(ψ)의 차를 요 레이트 편차(△ψ)로서 산출하는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17)를 가지며, 요 레이트 편차 산출부(17)에 의해 검출된 요 레이트 편차(△ψ)에 의거하여 차량(1)에 부여하는 요구 요 모멘트(M)를 산출하고, 해당 요구 요 모멘트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에 분배하여 작동시킴에 의해, 요 레이트 편차(△ψ)의 크기에 따라 각 기구(3, 6, 9)가 요 모멘트(Mf, My, Ms)를 차량(1)에 줄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거동의 안정화를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요 레이트 편차(△ψ)가 제 1 임계치(ψa) 미만일 때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만을 작동시키고, 요 레이트 편차(△ψ)가 클수록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작동량을 크게 시킴에 의해, 차량 제어의 불감대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차량(1)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요 레이트 편차(△ψ)가 제 1 임계치(ψa) 이상일 때에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고, 요 레이트 편차(△ψ)가 커짐에 따라,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조타각 조정 제어의 기여율을 저하시킴에 의해,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조타각 조정 제어 효과가 작은 제 1 임계치(ψa) 이상에서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량(1)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요 레이트 편차(△ψ)가 제 1 임계치(ψa) 이상일 때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의 제어량을 일정하게 시킴에 의해,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제동력 조정기구(9)의 작동 빈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의 마모, 브레이크의 마모·발열, 감속감 등의 문제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회중의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차량의 좌우륜 구동력에 차를 갖게 하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6)과,
    상기 차량의 거동을 검출하는 차량 거동 검출 수단(13, 14, 15)과,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2)을 갖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적어도 한쪽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조타각 조정 수단(3)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통합적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바퀴 사이에 제동력차를 갖게 하는 제동력 설정 수단(9)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통합적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 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이 불안정하게 됨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거동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주는 요구 요 모멘트를 산출하고 상기 요구 요 모멘트가 크게 됨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 모멘트를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 분배하여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의 요구 모멘트의 최대 분배량을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으 로의 최대 분배량 및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으로의 최대 분배량보다 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면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작동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동 검출 수단은,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의 조타량을 검출하는 조타량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에 생기는 요 레이트를 검출하는 요 레이트 검출 수단과,
    상기 차속 및 상기 조타량에 의거하여 목표 요 레이트를 산출하고, 해당 목표 요 레이트와 상기 요 레이트의 차를 요 레이트 편차로서 산출하는 요 레이트 편차 산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 산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요 레이트 편차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모멘트를 산출하고, 해당 모멘트를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 및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으로 분배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제 1 임계치 미만일 때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만을 작동시키고,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클수록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작동량을 크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상기 제 1 임계치 이상일 때에 상기 좌우륜 구동력 조정 수단 또는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고,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커짐에 따라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조타각 조정 제어의 기여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요 레이트 편차가 상기 제 1 임계치 이상일 때에 상기 조타각 조정 수단의 제어량을 일정하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KR1020050079782A 2004-10-25 2005-08-30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KR100749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9074A JP4069921B2 (ja) 2004-10-25 2004-10-25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JPJP-P-2004-00309074 2004-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86A true KR20060050786A (ko) 2006-05-19
KR100749651B1 KR100749651B1 (ko) 2007-08-14

Family

ID=355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782A KR100749651B1 (ko) 2004-10-25 2005-08-30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3922B2 (ko)
EP (1) EP1650096B1 (ko)
JP (1) JP4069921B2 (ko)
KR (1) KR100749651B1 (ko)
CN (1) CN10045337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58A (ko) * 2014-11-14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 구동 및 제동을 통합한 요모멘트 분배를 위한 통합 샤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9960B2 (ja) * 2006-08-22 2010-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舵支援装置
JP2008087644A (ja) * 2006-10-02 2008-04-17 Fujitsu Ten Ltd 操舵制御装置、及び操舵制御方法
JP4984822B2 (ja) * 2006-10-26 2012-07-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動制御方法
JP4315226B2 (ja) * 2007-11-09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制御装置
US20110218723A1 (en) * 2008-09-25 2011-09-08 Andreas Erba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difference moment
US20110077823A1 (en) * 2009-03-03 2011-03-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er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FR2943974A3 (fr) * 2009-04-07 2010-10-08 Renault Sas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correction de la trajectoire d'un vehicule automobile
DE112009005281B4 (de) * 2009-09-24 2019-07-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ätzen einer Drehcharakteristik eines Fahrzeugs
JP5143103B2 (ja) * 2009-09-30 2013-02-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の運動制御装置
DE102010012497A1 (de) 2010-03-24 2011-09-2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mseinrichtung eines Fahrzeugs mit an einer Achse abhängig von einem Lenkeingriff angepasster Bremsdruckdifferenz
KR101415208B1 (ko) * 2011-10-14 2014-08-07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2206010A1 (de) * 2012-04-12 2013-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besserung der Traktion und Kurvenfahrteigenschaften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4200100B4 (de) * 2013-01-15 2018-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nkwinkelfehlerkorrektur
JP5988171B2 (ja) * 2013-11-29 2016-09-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挙動制御装置および車両挙動制御システム
CN103675320B (zh) * 2013-12-13 2015-08-1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压路机最大转向速度检测方法、防侧翻控制方法及设备
CN103707884A (zh) * 2013-12-26 2014-04-09 广东工业大学 一种赛车稳定性控制装置及控制方法
DE102014202230A1 (de) * 2014-02-07 2015-08-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hindern eines Kippens eines lenkbaren Fahrzeugs
JP6040945B2 (ja) * 2014-02-14 2016-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先行車選択装置
CN104709341B (zh) * 2015-01-19 2017-05-17 盐城工学院 车辆后轮辅助转向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6143802B2 (ja) * 2015-02-02 2017-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MY177665A (en) * 2015-02-19 2020-09-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DE102015005023B4 (de) * 2015-04-20 2021-08-05 Audi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Anlenkverhaltens bei Kraftfahrzeugen mit Überlagerungslenkung an der Vorderachse
DE112015000147T5 (de) * 2015-10-23 2016-06-02 Komatsu Ltd. Vorrichtung zur Beurteilung der Vorhersage von Überschlag von Fahrzeugkombination und Fahrzeugkombination
JP6578212B2 (ja) * 2016-01-08 2019-09-18 Ntn株式会社 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6747182B2 (ja) 2016-08-30 2020-08-26 愛知製鋼株式会社 車両用の姿勢検出システム
CN108068938B (zh) * 2016-11-11 2020-01-03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轮车速度控制方法及系统
DE102017213750A1 (de) * 2017-08-08 2019-02-14 Audi Ag Verfahren und Einstellsystem zur Einhaltung einer Kursbewegung eines Fahrzeuges bei auftretenden Wankbewegungen eines Fahrzeugaufbaus
JP6607532B2 (ja) * 2017-12-27 2019-11-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挙動制御装置
FR3093689B1 (fr) * 2019-03-12 2021-04-09 Renault Procédé d’élaboration d’une consigne de pilotage mixte d’un système de braquage de roues et d’un système de freinage différentiel d’un véhicule automobile
CN113859118A (zh) * 2021-10-15 2021-12-31 深圳喜为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大型车辆道路安全预警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593A (en) * 1989-03-31 1991-03-1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teering and brake controlling system
JPH03239673A (ja) * 1990-02-15 1991-10-25 Toyota Motor Corp 車両の運動制御装置
JP3079538B2 (ja) * 1990-04-18 2000-08-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補助舵角と制駆動力の総合制御装置
DE4201146C2 (de) * 1991-01-18 2003-01-30 Hitachi Lt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Kraftfahrzeugverhaltens
JP3046108B2 (ja) * 1991-08-26 2000-05-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差動制限装置付き車両の舵力制御方法
JPH05185801A (ja) * 1992-01-10 1993-07-2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挙動制御装置
JP2770661B2 (ja) * 1992-07-08 1998-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操舵と駆動力配分との総合制御装置
JP2861651B2 (ja) * 1992-07-16 1999-0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運動制御装置
JPH07108949A (ja) * 1993-10-12 1995-04-25 Fuji Heavy Ind Ltd 車両の総合制御装置
JP3274758B2 (ja) * 1993-12-17 2002-04-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JP3268124B2 (ja) * 1994-06-27 2002-03-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トルク配分制御装置
JP3225766B2 (ja) * 1994-11-10 200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挙動制御装置
JPH0986373A (ja) * 1995-09-21 1997-03-31 Akebono Brake Ind Co Ltd 流量制御弁とそれを用いたアンチロック装置
JP3423125B2 (ja) * 1995-09-28 2003-07-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JP3183124B2 (ja) * 1995-09-28 2001-07-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JP3827837B2 (ja) * 1997-11-19 2006-09-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運動制御装置
DE19812238A1 (de) * 1998-03-20 1999-09-23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Gierverhaltens von Fahrzeugen
JP3688175B2 (ja) * 2000-02-02 2005-08-24 光洋精工株式会社 車両用操舵装置
JP3626388B2 (ja) * 2000-02-23 2005-03-09 光洋精工株式会社 車両の姿勢制御装置
JP4187918B2 (ja) 2000-10-11 2008-11-2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挙動制御装置
DE10053604A1 (de) * 2000-10-28 2002-05-02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JP3623456B2 (ja) * 2001-02-28 2005-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走行制御装置
JP3862224B2 (ja) * 2001-11-28 2006-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運転制御装置
JP4055438B2 (ja) * 2002-03-04 2008-03-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操舵・制動統合制御装置
JP2004075013A (ja) 2002-08-22 2004-03-11 Denso Corp 車両制御装置
JP4459561B2 (ja) 2002-09-04 2010-04-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コーナリングパワー制御装置およびコーナリングパワー制御方法
JP2005112007A (ja) * 2003-10-02 2005-04-28 Toyoda Mach Works Ltd 車両の統合制御装置
JP4114657B2 (ja) * 2004-10-25 2008-07-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58A (ko) * 2014-11-14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 구동 및 제동을 통합한 요모멘트 분배를 위한 통합 샤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651B1 (ko) 2007-08-14
US7643922B2 (en) 2010-01-05
US20060086543A1 (en) 2006-04-27
CN100453373C (zh) 2009-01-21
EP1650096B1 (en) 2011-07-27
JP2006117176A (ja) 2006-05-11
EP1650096A3 (en) 2008-09-10
JP4069921B2 (ja) 2008-04-02
CN1765669A (zh) 2006-05-03
EP1650096A2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651B1 (ko)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KR100645179B1 (ko)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EP2251235B1 (en) Vehicle stability control device
US7089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hibiting torque steer
WO2013099919A1 (ja) 車両の走行軌跡制御装置
JP2008529888A (ja) 横力係数に基づいた車両の走行安定化のための安定化装置及び方法
WO2006134789A1 (ja) 車両の操舵装置
US777560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pressure
JP6048253B2 (ja) 操舵制御装置
JP4850435B2 (ja) 車両の操舵制御装置
JP4901701B2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2008081115A (ja) 車輌の制御装置
JP2008030610A (ja) 車両前進判定装置
JP2001233195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JP2859697B2 (ja) 4輪駆動車のトルク配分制御装置
JPH01109174A (ja) 自動車用4輪操舵装置の制御方法
KR20050077319A (ko) 차량의 선회 안정성 제어방법
JPH01109177A (ja) 自動車用4輪操舵装置の制御方法
JP2008162303A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