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574A - 필기구의 축통 - Google Patents

필기구의 축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574A
KR20060023574A KR1020057024744A KR20057024744A KR20060023574A KR 20060023574 A KR20060023574 A KR 20060023574A KR 1020057024744 A KR1020057024744 A KR 1020057024744A KR 20057024744 A KR20057024744 A KR 20057024744A KR 20060023574 A KR20060023574 A KR 2006002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rface layer
inner layer
writing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266B1 (ko
Inventor
요시히로 고바야시
아키노리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06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bstract

안쪽층에 대해 표면층을 피복하는 조립성이 좋은, 그립 부재를 적층으로 한 필기구의 축통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축통 본체(2)의 파지부(3)에,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4)과 표면층(5)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그립 부재(G)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축통(1)에 있어서, 상기 안쪽층(4)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을 피복하여 배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상기 표면층(5)의 내벽면(5b)의 적어도 한쪽의 벽면에, 상기 안쪽층(4)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1)을 해결수단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구의 축통{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축통 본체의 파지부에, 그립 부재를 장착한 필기구의 축통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과 표면층을 배치 설치한 적층구조의 그립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축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축통 본체의 파지부에,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과 표면층을 배치 설치한 적층구조의 그립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축통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필기구의 축통에 있어서, 일본 특허공개 평8-197883호 공보의「필기구, 도포구에 있어서의 파지부 구조」에,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겔 형상체 또는 젤리 형상체를 봉입한 변형이 가능한 통 형상의 파지체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0-355185호 공보의「필기구의 그립」에, 안쪽층의 쇼어 경도가 Hs(JIS A) 5∼30, 표면층의 쇼어 경도가 Hs(JIS A) 40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그립이나 일본 특허공개 평09-169194호 공보「필기구의 그립」에, 경도가 다른 2종류의 수지 부재를 부분적으로 융합시켜 이루어진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8-19788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0-355185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평9-16919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자는,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겔 형상체 또는 젤리 형상체를 봉입한 변형이 가능한 통 형상의 파지체를 배치하는 제조가 곤란하고, 또한 내부에 봉입한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겔 형상체 또는 젤리 형상체가 누출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자는, 안쪽층과 표면층을 딥핑(침적피복법)이나 스프레이 코팅에 의해서 그립 본체를 제조하거나, 2색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할 때에 적층하는 등, 안쪽층에 대해서 표면층의 경계면을 미리 융합 혹은 접착하고 있지만, 이것은, 면조도(面粗度) 등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연질재끼리가 접촉하면, 연질재와 경질재의 마찰 저항에 비해, 저항력이 강해지므로, 미리 형성하고 있던 안쪽층에, 단순하게 표면층을 피복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안쪽층과 표면층의 경계면을 융합하기 위해서는, 제조가 곤란하고, 또한 제조 비용이 비싸져 낮은 가격의 상품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표면층과 안쪽층의 융합부에서 경도가 변화해 버리거나, 표면층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또한 표면층과 안쪽층에서 색이 다른 경우에는, 융합부에서 색이 서로 섞여 버려, 요구하는 색감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쪽층에 대해 표면층을 피복하는 조립성이 좋은, 그립 부재를 적층으로 한 필기구의 축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
다음에,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요소에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예(실시예)의 요소와의 대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시예의 요소의 부호를 괄호에 넣은 것을 부기한다. 또한, 본 발명을 후술의 실시예의 부호와 대응시켜 설명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예에 한정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축통 본체(2)의 파지부(3)에,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4, 14)과 표면층(5, 15)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그립 부재(G, G')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축통(1, 11)에 있어서, 상기 안쪽층(4, 14)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 15)을 피복하여 배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4, 14)의 외벽면(4b, 14b) 및 상기 표면층(5, 15)의 내벽면(5b, 15b)의 적어도 한쪽의 벽면에, 상기 안쪽층(4, 14)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 15)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원활한 삽입이 가능한 형상(31, 41, 5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철 형상에 의해 구성된 상기 원활한 삽입이 가능한 형상(31, 41, 5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에 의해 구성된 상기 원활한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을, 상기 안쪽층(4, 14) 및 축통 본체(2)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피복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상기 안쪽층(4, 14)을 상기 표면층(5, 15)과 다른 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의 안쪽을 광택면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과 안쪽층(4, 14)을, 경도가 다른 연질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4, 14)을 경도가 낮은 연질재로 구성하고, 상기 표면층(5, 1 5)을 경도가 단단한 연질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안쪽층(4, 14)의 바깥지름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5, 15)의 안지름을 크게 함과 동시에, 상기 축통 본체(2)의 상기 파지부(3)에, 상기 표면층(5, 15)을 축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15)의 앞끝단부에, 축 중심을 향해 이어지는 돌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20)의 뒤끝단면(20a)을, 상기 안쪽층(14)의 앞끝단면(14a)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안쪽층(4, 14)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5, 15)의 평균 두께를, 1㎜ 이상, 5㎜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본 발명의 필기구의 축통(1, 11)에서는,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4, 14)과 표면층(5, 15)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그립 부재(G, G')는, 축통 본체(2)의 파지부(3)에 장착된다. 상기 표면층(5, 15)은, 상기 안쪽층(4, 14)에 대해 피복하여 배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쪽층(4, 14)의 외벽면(4b, 14b) 및 상기 표면층(5, 15)의 내벽면(5b, 15b)의 적어도 한쪽의 벽면에는, 상기 안쪽층(4, 14)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 15)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31, 41, 5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기구의 축통(1, 11)은, 표면층(5, 15)을 안쪽층(4, 14)에 용이하게 피복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그립 부재(G, G')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31, 41, 51)을 요철형상에 의해 구성했을 경우, 상기 요철형상에 의해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표면층(5)을 안쪽층(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5)이 변형하여 표면층(5)과 안쪽층(4)이 밀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철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표면층(5)과 안쪽층(4)의 사이에 공기가 진입하기 쉬워지므로, 밀착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쉽다.
또한, 상기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테이퍼 형상에 의해 구성했을 경우, 테이퍼 형상에 의해, 표면층(5, 15)을 안쪽층(4, 1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이, 상기 안쪽층(4, 14) 및 축통 본체(2)에 대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피복했을 경우, 접착이나 융합했을 경우에 비해, 표면층(5, 15)을 사용자가 좋아하는 색이나 경도의 연질재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상기 안쪽층(4, 14)을 상기 표면층(5, 15)과 다른 색으로 형성했을 경우, 안쪽층(4, 14)에 실시된 각 캐릭터나 장식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의 안쪽을 광택면으로 했을 경우, 외부로부터 안쪽층(4)이나, 안쪽층(4)에 실시된 문자나 장식 등을 보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5, 15)과 안쪽층(4, 14)이, 경도가 다른 연질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4, 14)을 경도가 낮은 연질재로 구성하고, 상기 표면층(5, 15)을 경도가 단단한 연질재로 구성했을 경우, 표면층(5, 15)에 시간 경과에 따라 팽윤(澎潤)하기 어려운 경도가 높은 연질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팽윤에 의해 표면층(5, 15)이 안쪽층(4, 14)으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안쪽층(4, 14)의 바깥지름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5, 15)의 안지름을 크게 함과 동시에, 상기 축통 본체(2)의 상기 파지부(3)에, 상기 표면층(5, 15)을 축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장착했을 경우, 안쪽층(4, 14)의 바깥지름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5, 15)의 안지름이 크기 때문에, 표면층(5, 15)을 안쪽층(4, 14)에 장착하기 쉽다. 또한, 축통 본체(2)의 상기 파지부(3)에, 상기 표면층(5, 15)을 축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장착하고 있으므로, 필기할 때에 힘이 가해져도 표면층(5, 15)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표면층(15)의 앞끝단부(15a)에, 축 중심을 향해 이어지는 돌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20)의 뒤끝단면(20a)을, 상기 안쪽층(14)의 앞끝단면(14a)에 접촉시켰을 경우, 앞끝단부에 있어서의 안쪽층(14)과 표면층(15)의 접촉하는 부분이 많아져, 저항력이 강해지므로, 표면층(15)의 위치 어긋남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안쪽층(4, 14)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5, 15)의 평균 두께를, 1㎜ 이상, 5㎜ 이하로 했을 경우, 표면층(5, 15)을 1㎜ 미만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표면층(5, 1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안쪽층(4, 14)에 피복하기 쉽고, 표면층(5, 15)이 변형하여 표면층(5, 15)과 안쪽층(4, 14)이 밀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쉽다. 또한, 표면층(5, 15)이 5㎜보다 큰 경우에 비해서, 안쪽층(4, 14)의 경도나 색 등의 효과가 발휘되기 쉽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연질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부틸고무, 불소고무, 염화비닐수지, 부타디엔고무, 우레탄고무, 폴리에틸렌수지, 그 외 합성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필기구의 그립 부재(G, G')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탄성체 중에서 적절히 선정하면 좋다. 또한, 경도가 다른 연질재는, 동일한 종류여도 좋고 다른 종류의 연질재여도 좋다.
도 1은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주요부를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주요부를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도 5는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3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6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4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7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5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8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6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1 : 필기구의 축통 2 : 축통본체
3 : 파지부 4, 14 : 안쪽층
4a, 14a : 앞끝단면 4b, 14b : 외벽면
5, 15 : 표면층 5a, 15a : 앞끝단면
5b, 15b : 내벽면 6 : 입구끝부재
6a : 뒤끝단면 7 : 수나사부
8 : 암나사부 14a : 앞끝단면
20 : 돌기부 20a : 뒤끝단면
31, 41, 51 :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
G, G' : 그립 부재
K, K' : 표면층의 앞끝단면의 살두께
L : 입구끝부재의 뒤끝단면의 바깥지름
m, m' : 안쪽층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n, n' : 안쪽층의 뒤끝단부 바깥지름
M, M' : 표면층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N, N' : 표면층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 동일한 개소를 나타내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1)은, 먼저, 축통 본체(2)를 에틸렌니트릴스틸렌수지(AS수지)로 성형한다. 축통 본체(2)의 파지부(3)는, 바깥지름이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파지부(3)에 그립 부재(G)를 장착하는데, 그립 부재(G)는, 미리 실리콘 고무로서, 쇼어 경도가 Hs(JIS A) 30인 청색의 안쪽층(4)과, 쇼어 경도가 Hs(JIS A) 70인 투명한 표면층(5)을 성형하고 있으며, 축통 본체(2)의 파지부(3)에 안쪽층(4)을 장착하고, 그 후, 표면층(5)을 적층시켜 피복하고 있다. 계속해서 그 후, 입구끝부재(6)의 내벽에 형성한 암 나사부(7)를, 축통 앞끝단에 형성한 수나사부(8)에 나사장착하고, 입구끝부재(6)의 뒤끝단면(6a)이 안쪽층(4)의 앞끝단면(4a) 및 표면층(5)의 앞끝단면(5a)에 접촉하고, 안쪽층(4) 및 표면층(5)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하여 필기구의 축통(1)을 얻는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필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축통 내 에, 앞끝단에 볼펜 칩을 장착한 볼펜 리필을 수납한다.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5)의 내벽면(5b)은, 미세한 요철면 형상(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안쪽층(4)에 대해 바깥층(5)을 피복할 때에,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표면층(5)의 내벽면(5b)이 접촉하여도, 접촉저항을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필기할 때의 필기 압력 등에 의해서, 표면층(5)의 내벽면(5b) 및 안쪽층(4)의 외벽면(4b)이 밀착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본 발명의 연질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만,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표면층(5)의 내벽면(5b)을 요철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기가 진입하기 쉬워지므로, 밀착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쉽다. 요철면의 형성방법이나 요철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안쪽층의 외벽면 및 표면층의 내벽면을 이지(梨地: 표면이 배의 껍질처럼 올록볼록한 것)면으로 마무리하는 등, 전체면에 걸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안쪽층(4)의 외벽면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4)의 내벽면을 뒤끝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지름이 확대하는, 안쪽층(4)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m, 뒤끝단부 바깥지름 n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5)의 앞끝단부 안지름 M, 뒤끝단부 바깥지름 N으로 했을 때, m<n, M<N의 관계로 이루어진 테이퍼 형상(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표면층(4)을 피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립 부재(G)에 사용되는 연질재는, 적지 않은 수분이나 유분을 많이 흡수하여, 팽윤(澎潤)하고, 설치할 때에 비해 시간 경과에 따라 안쪽층(4)의 바깥지름 및 표면층(5)의 안지름이 지름이 확대하여 버린다. 그 결과, 필기할 때에 축 통 앞끝단측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그립 부재가 이동하고, 심한 경우에는 축통 본체(2)로부터 표면층(5)이 빠져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5)의 내벽면(5b)을 뒤끝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지름이 확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표면층(5)의 앞끝단면(5a)측의 두께 K를 보다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서, 입구끝부재(6)에 의해서 유지되는 면적이 많아져 필기할 때에 축통 앞끝단에 힘이 가해져도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쪽층(4)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m, 및 뒤끝단부 바깥지름 n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5)의 앞끝단부 안지름 M, 뒤끝단부 바깥지름 N을 크게 함으로써(m<M, n<N), 표면층(5)을 피복할 때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피복한 후에, 안쪽층(4)과 표면층(5)이 밀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 성형조건 등에 의한 치수 정밀도를 고려하여, 안쪽층(4)의 바깥지름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5)의 안지름을 0.05㎜정도 크게 하면 좋다.
실시예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11)은, 그립 부재 G'(14, 15)가, 축통의 파지부에 배치 설치된 상태에서, 쇼어 경도가 Hs(JIS A) 70인 반투명의 표면층(15)의 앞끝단부에, 안쪽으로 이어지는 볼록부(돌기부)(20)를 형성하고, 쇼어 경도가 Hs(JIS A) 50인 투명한 안쪽층(14)의 앞끝단면(14a)이, 볼록부(20)의 뒤끝단면(20a)에 접촉시켜 피복한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서 필기구의 축통(11)을 얻고 있다.
표면층(15)의 앞끝단부에, 안쪽으로 이어지는 볼록부(20)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20)의 뒤끝단면(20a)이, 안쪽층(14)의 앞끝단면(14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앞끝단부에 있어서의 안쪽층(14)과 표면층(15)의 접촉하는 부분이 많아져, 저항력이 강해지므로, 표면층(15)의 위치 어긋남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표면층(15)의 앞끝단부의 두께 K'가 두꺼워지므로, 시간 경과에 따라 안쪽층(14) 및 표면층(15)이 팽윤하더라도, 입구끝부재(6)의 뒤끝단면의 바깥지름 L보다, 표면층(15)의 앞끝단면의 안지름 M'가 커지기 어려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쪽층(14)의 외벽면(14b)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15)의 내벽면(15b)을 뒤끝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지름이 확대하는, 안쪽층(14)의 앞끝단부 바깥지름 m', 뒤끝단부 바깥지름 n'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표면층(15)의 앞끝단부 안지름 M', 뒤끝단부 바깥지름 N'으로 했을 때, m'<M', n'<N'의 관계로 이루어진 테이퍼 형상(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안쪽층(14)에 대해 표면층(15)을 피복하기 쉽게 하고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필기구의 축통을 설명하는데, 이 실시예 3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3의 안쪽층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안쪽층(4)의 외벽면(4b)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필기구의 축통(1)에서는, 표면층(5)을 안쪽층(4)에 삽입하고 장착하여 피복할 때에, 상기 홈(31)에 의해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접촉 저항(마찰 저항)이 작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필기할 때의 필기 압력 등에 의해서, 표면층(5)의 내벽면(5b) 및 안쪽층(4)의 외벽면(4b)이 밀착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상기 홈(31)에 의해 표면층(5)과 안쪽층의 사이에 공기가 진입하기 쉬워지므로, 밀착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쉽다.
또, 실시예 3에서는, 홈(31)을 안쪽층(4)의 외벽면(4b)에 형성했지만, 표면층(5)의 내벽면(5b)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안쪽층(4)의 외벽면(4b) 및 표면층(5)의 내벽면(5b) 양쪽 모두의 벽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필기구의 축통을 설명하는데, 이 실시예 4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3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4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3과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4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시예 4의 안쪽층(4)의 외벽면(4b)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홈(41)은, 앞끝단측 홈(41a)과 뒤끝단측 홈(41b)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앞끝단측 홈(41a)과 뒤끝단측 홈(41b)의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면(4b)의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각 비홈부(42)는, 축방향을 따라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필기구의 축통(1)에서도,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면층(5)을 안쪽층(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앞끝단측 홈(41a)이나 뒤끝단측 홈(41b), 비홈부(42)의 위치나 사이즈 등은, 디자인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필기구의 축통을 설명하는데, 이 실시예 5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5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5의 안쪽층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시예 5의 안쪽층(4)의 외벽면(4b)에는, 복수의 반구형상의 볼록부(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볼록부(51)에 의한 요철 형상에 의해 구성된 외벽면(4b)을 가진 실시예 5의 필기구의 축통(1)은, 미세한 요철 형상(올록볼록면,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가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마찰 저항이 적어, 표면층(5b)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필기구의 축통을 설명하는데, 이 실시예 6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6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다르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필기구의 축통의 실시예 6의 안쪽층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실시예 6의 안쪽층(4)의 외벽면(4b)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요철 형상(올록볼록면,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면(4b)에는, 고객의 이름이 인쇄되어 있다(이름이 들어가 있다). 또, 도시하지 않는 표면층(5)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투명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6의 필기구의 축통(1)에서는, 안쪽층(4)의 외벽면(4b)에 이름이 넣어져 있으며, 또한, 표면층(5)이 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름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축통 본체(2)의 파지부(3)에 직접 이름을 넣으면 그립 부재(G)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실시예 6의 필기구의 축통(1)에서는, 안쪽층(4)에 이름이 넣 어져 있으므로, 이름이 넣어진 부분에서 외부까지의 살두께{표면층(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이름을 넣은 문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다.
또, 상기 안쪽층(4)의 외벽면(4b)에는, 고객의 이름을 넣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상품명이나 제조회사명을 넣거나, 무늬나 패턴 등의 장식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면층(5)은, 반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안쪽층(4)도 반투명 부재 또는 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면층(5)의 안쪽을 광택면으로 하고, 안쪽층(4)의 외벽면을 요철 면 형상으로 했을 경우, 외부로부터의 안쪽층이나 상기한 문자나 장식을 확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를 하기에 예시한다.
본 발명의 그립 부재의 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층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안쪽층을 표면층과 다른 색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장식 효과를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 및 안쪽층의 경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낮은 경도의 연질재, 특히 쇼어 경도가 Hs 40 미만의 연질재는, 시간 경과에 따라 팽윤하기 쉬운 것을 고려하여, 낮은 경도의 연질재를 안쪽층에 배치 설치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미리 성형한 안쪽층 및 표면층을, 안쪽층을 축통 본체의 파지부에 장착한 후, 표면층을 피복하고 있지만, 안쪽층은 축통 본체와 2색 성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안쪽층의 파지부측에, 다른 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안쪽층에 대하여 표면층을 피복하여 배치 설치하지만, 안쪽층과, 대응하는 표면층의 경계면을 융합 혹은 접착하지 않고, 안쪽층에 대해 표면층을 피복하고 있으면, 축통 본체에 안쪽층을 장착한 후에, 표면층을 피복해도 좋고, 안쪽층에 표면층을 피복한 후에, 축통 본체에 장착해도 좋다. 또한, 안쪽층에 표면층을 피복한 후에, 안쪽층의 외벽 및 표면층의 내벽에 영향이 없도록 접착이나 융합해도 상관없지만, 사용자가 좋아하는 색이나 경도의 연질재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표면층을 안쪽층 및 축통 본체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 자유롭도록 피복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 및 안쪽층의 살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미만에서는 표면층이 변형하기 쉽고, 피복하기 어렵고, 밀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어려우며, 또한, 안쪽층에 대응하는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5㎜를 넘으면, 안쪽층의 경도, 색 등, 안쪽층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므로, 안쪽층에 대응하는 표면층의 평균 두께를 1㎜ 이상, 5㎜ 이하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안쪽층에 대응하는 표면층의 평균 두께란, 안쪽층과 표면층이 적층 구조로 되어 있는 표면층의 살두께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3, 4에 있어서,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서의 요 철 형상으로서 홈(31, 41)을 형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외벽면(4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 2에 있어서, 그립 부재(G, G')는 요철면 형상과 테이퍼 형상의 2개의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만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이므로, 안쪽층에 대하여 표면층을 피복하는 조립성이 좋은, 그립 부재를 적층으로 한 필기구의 축통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축통 본체의 파지부에, 연질재로 이루어진 안쪽층과 표면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그립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의 축통에 있어서, 상기 안쪽층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을 피복하여 배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의 외벽면 및 상기 표면층의 내벽면의 적어도 한쪽의 벽면에, 상기 안쪽층에 대해서 상기 표면층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기구의 축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요철 형상에 의해 구성된 상기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3.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에 의해 구성된 상기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한 형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상기 안쪽층 및 축통 본체에 대해서 붙이고 떼기 자유롭도록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고, 상기 안쪽층을 상기 표면층과 다른 색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안쪽을 광택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안쪽층이, 경도가 다른 연질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안쪽층을 경도가 낮은 연질재로 구성하고, 상기 표면층을 경도가 단단한 연질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층의 바깥지름에 대해서, 그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의 안지름을 크게 함과 동시에, 상기 축통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상기 표면층을 축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앞끝단부에, 축 중심을 향하여 이어지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의 뒤끝단면이, 상기 안쪽층의 앞끝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층에 대응하는 상기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축통.
KR1020057024744A 2003-06-26 2004-06-16 필기구의 축통 KR100764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2020 2003-06-26
JPJP-P-2003-00182020 2003-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74A true KR20060023574A (ko) 2006-03-14
KR100764266B1 KR100764266B1 (ko) 2007-10-05

Family

ID=3354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744A KR100764266B1 (ko) 2003-06-26 2004-06-16 필기구의 축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94164B2 (ko)
EP (1) EP1642750B1 (ko)
JP (1) JP4602250B2 (ko)
KR (1) KR100764266B1 (ko)
CN (1) CN100488786C (ko)
DE (1) DE602004030570D1 (ko)
WO (1) WO2005000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14A (ja) * 2006-03-06 2007-09-20 Pilot Precision Co Ltd 筆記具のグリップ
JP5024857B2 (ja) * 2006-06-02 2012-09-1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のグリップ
JP4834489B2 (ja) * 2006-08-21 2011-12-14 アスカカンパニー株式会社 筆記具
JP4793870B2 (ja) * 2006-10-26 2011-10-12 三菱鉛筆株式会社 複合部材
JP4822355B2 (ja) * 2007-03-28 2011-11-2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のグリップ
EP2008724A1 (de) * 2007-06-26 2008-12-31 Faber-Castell AG Griffzonen aus Siliconkautschuk für Schreib-, Mal-, Zeichen- und Sportgeräte
JP5110691B2 (ja) * 2007-11-01 2012-12-26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4831696B2 (ja) * 2007-11-14 2011-12-07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FR2938266B1 (fr) * 2008-11-12 2012-03-02 Ermanno Bo Encre auto-effacante par auto evaporation,utilisable sur support papier,au moyen d'un stylo specifique,mais non exclusivement.
EP2269838A1 (de) 2009-06-29 2011-01-05 Pelikan PBS-Produktionsgesellschaft mbH & Co. KG Schreibgerät
JP2013022765A (ja) * 2011-07-15 2013-02-04 Sailor Pen Co Ltd:The 筆記具
CN102774178A (zh) * 2012-08-07 2012-11-14 昆山大百科实验室设备工程有限公司 带弯曲功能的照明笔
CN105189136B (zh) * 2013-03-21 2017-08-08 派通株式会社 装设有握持部件的笔具的轴筒以及使用该轴筒的笔具
CN104057750A (zh) * 2014-07-01 2014-09-24 赵夫超 防滑铅笔套
DE102014010308B4 (de) * 2014-07-02 2016-10-27 Staedtler Mars Gmbh & Co. Kg Schreib-, Zeichen-, Markier- und/oder Malgerät oder Kosmetikgerät oder Eingabegerät für berührungsempfindliche Oberfläch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219906B2 (ja) * 2015-11-10 2017-10-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の軸筒
DE102017009364B4 (de) * 2017-10-04 2024-01-11 Staedtler Mars Gmbh & Co. Kg Schreib-, Zeichen-, Markiergerät und/oder Kosmetikgerä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99A (en) * 1893-07-04 Hay-stacker
US3250033A (en) * 1964-01-22 1966-05-10 Duro Pen Co Inc Ball point pen, including personalized display element
JPS55110288U (ko) * 1979-01-30 1980-08-02
JPS58175091A (ja) 1982-04-06 1983-10-14 株式会社東芝 セキユリテイ・ストレツド検出装置
JPS58175091U (ja) 1982-05-14 1983-11-22 菊川 起男 筆記具掴持矯正具
US4819939A (en) * 1985-10-30 1989-04-11 Maruman Golf Co., Ltd. Grip for a golf club shaft
US5000599A (en) * 1987-01-05 1991-03-19 Boyd I. Willat Writing implement
JP2552183Y2 (ja) * 1988-12-24 1997-10-27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滑り止め部材
JP2552183B2 (ja) 1989-01-10 1996-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検索装置
USH1050H (en) * 1990-11-02 1992-05-05 The Gillette Company Writing instrument
JPH05110288A (ja) 1991-10-17 1993-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H0593882U (ja) * 1992-05-25 1993-12-21 岡城金型化成株式会社 筆記具用滑止め部材
JP3348180B2 (ja) 1994-11-30 2002-11-20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KR0159685B1 (ko) * 1995-01-19 1998-12-15 사토 아키오 폴리프로필렌 다층블로성형체
JPH08197883A (ja) 1995-01-30 1996-08-06 Pentel Kk 筆記具、塗布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JP3756563B2 (ja) 1995-12-19 2006-03-15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グリップ
JPH11216985A (ja) 1998-01-30 1999-08-10 Pentel Kk 軸筒へのグリップ取付け構造
US6447190B1 (en) * 1998-10-16 2002-09-10 Benjamin J. Kwitek Viscoelastic grip for a writing implement
JP2000280681A (ja) 1999-01-29 2000-10-10 Pentel Corp 筆記具
JP2000355185A (ja) 1999-06-14 2000-12-26 Pentel Corp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01121876A (ja) 1999-10-28 2001-05-08 Pentel Corp 弾性部材の軸体への取り付け構造
EP1227939A1 (en) 1999-11-02 2002-08-07 Sanford L.P. Deformable grip
JP2001191681A (ja) 2000-01-07 2001-07-17 Taisei Plas Kk 筆記具用グリップ
US6652941B1 (en) * 2000-09-27 2003-11-25 Bic Corporation Grip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2493421Y (zh) 2001-05-14 2002-05-29 陈国寿 书写用笔具
JP2002337495A (ja) * 2001-05-16 2002-11-27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のグリップ部材
JP3701897B2 (ja) 2001-11-19 2005-10-05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筆記具用グリップ
JP3937824B2 (ja) * 2001-11-29 2007-06-27 ぺんてる株式会社 グリップの軸への挿着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419A (zh) 2006-10-04
EP1642750A4 (en) 2009-04-01
US20070020018A1 (en) 2007-01-25
US7794164B2 (en) 2010-09-14
EP1642750B1 (en) 2010-12-15
WO2005000600A1 (ja) 2005-01-06
CN100488786C (zh) 2009-05-20
JP4602250B2 (ja) 2010-12-22
DE602004030570D1 (de) 2011-01-27
JPWO2005000600A1 (ja) 2006-11-30
EP1642750A1 (en) 2006-04-05
KR100764266B1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266B1 (ko) 필기구의 축통
JP4322707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KR100908364B1 (ko) 복합 부재의 성형 방법 및 복합 부재
JP2002331789A (ja) 筆記具の軸筒
JP2012055548A (ja) 液体化粧料塗布具
JP2008230180A (ja) グリップを有した筆記具
JP4364868B2 (ja) 筆記具の軸筒
JP4412935B2 (ja) 筆記具の軸筒
JP2000355185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08230692A (ja) 金属チューブ製容器用被覆体及び複合容器
JP6808472B2 (ja) 筆記具
JP4831696B2 (ja) 筆記具
JP3928990B2 (ja) 塗布具におけるキャップの嵌合構造
KR20000071198A (ko)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
JP2001010287A (ja) 筆記具
JP2003080880A (ja) 筆記具の軸筒
JP4344258B2 (ja) 筆記具の軸筒
JP2007237443A (ja) 筆記具
JP4581247B2 (ja) 塗布具用キャップ
JP6839962B2 (ja) 筆記具
JP4315370B2 (ja) 筆記具
JP2006205638A (ja) クリップ
JPH07276887A (ja) グリップ部分に名入れ等を施した筆記具
JP2607593Y2 (ja) 筆記具のキャップ
JP3918081B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