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724A -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724A
KR20060010724A KR1020057016894A KR20057016894A KR20060010724A KR 20060010724 A KR20060010724 A KR 20060010724A KR 1020057016894 A KR1020057016894 A KR 1020057016894A KR 20057016894 A KR20057016894 A KR 20057016894A KR 20060010724 A KR20060010724 A KR 20060010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region
resin
area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14Electro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6Multi-colour or double shot injection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용의 수지제 부품의 금속 도금에 의한 가식 수단을 더욱 발전시켜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이나 장식 부재의 보다 고도하고 다양성 있는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이다. 목적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 또는 장식 부재를 다른 수지 소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다색 수지 성형법에 의해 형성하고, 해당 수지제 부품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을 부착시킨다.
다색 수지 성형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MULTICOLOR RESIN MOLDING COMPONENT FOR 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 장치(PDA) 등 모바일 기기용 부품에 있어서의 가식(加飾)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 도금에 의한 가식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 모바일 기기용의 수지제 부품, 예를 들면, 누름 버튼 스위치용 키 톱(조작 키)에는 대소의 다양한 것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네비게이션 키 등이라고 불리는 다방향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은 대형이고 누름 버튼군의 중앙에 배치되고, 해당 모바일 기기중 가장 두드러진 부품이다. 또 다른 예로서 각 부분을 장식하고 디자인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장식 부재가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렌즈의 주위를 장식하는 부재가 이용되는 것이 많다. 이런 종류의 키 톱이나 부재에 장식을 시행함에 있어서, 금속 도금은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의 금속 도금을 시행한 키 톱 또는 장식 부재는, 그 전면(全面)이나, 또는 표면의 단일 영역만에 도금을 시행한 것으로서, 키 톱 또는 장식 부재의 디자인으로서는 단조함을 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용의 수지제 부품의 금속 도금에 의한 가식 수단을 더욱 발전시켜서, 보다 고도하고 다양성 있는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는, 목적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 또는 장식 부재를, 다른 수지 소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다색 수지 성형법에 의해 형성되고, 해당 수지제 부품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을 부착시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은, 이종의 수지 소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으로서, 해당 부품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 본 발명에 관한 다색 수지 성형 부품의 제조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 1 공정은, 목적으로 하는 수지제 부품의 원형(原形)을 수지 성형법으로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금속 도금을 시행하여야 할 영역과, 금속 도금을 시행하고 싶지않은 영역을 다른 수지 소재로 형성한다. 이것은, 이른바 다색(본 실시 형태에서는 2색)의 수지 성형이다. 예를 들면, 전자(도금 영역)를 도금 그레이드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수지)로 형성하고, 후자(비도금 영역)를 보통 그레이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수지)로 형성하는 등이다. 요컨대, 표면에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을, 도금막이 부착하기 쉽게 된 도금 그레이드의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그 이외의 도금막을 부착시키지 않는(부착시키고 싶지 않은) 영역을, 상기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의 수지에 대한 무전해 도금 전처리 공정으로는 도금 가능해지지 않는 이종(異種)의 수지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도 2에, 이 제 1 공정에서 작성되는 수지 성형 부품의 일예를 평면도(A), 이면도(B)와, X-X화살로 본 단면도(C) 및 Y-Y화살로 본 단면도(D)에 의해 도시한다. 도 2에서 부호 1은 키 톱, 2는 키 톱(1)의 성형시에 있어서 캐비티에 용융 재료를 유입하는 경로로 되어 있던 러너부, 3은 제 1 도금 영역, 4는 제 2 도금 영역, 5는 비도금 영역, 6은 제 1 도금 영역용 통전(通電) 접점, 7은 제 2 도금 영역용 통전 접점, 8은 원형(圓形)의 창(窓)이다. 또한, 비도금 영역(5)은 통상, 유색 또는 무색의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투광성을 갖도록 된다.
즉, 키 톱(1)은 두께가 얇은 원판 형상으로 되고,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측(表側)에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하여 차례로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경계선에 의해 구획된 제 1 도금 영역(3), 비도금 영역(5), 제 2 도금 영역(4) 및 중앙의 창(8)이 배설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톱(1)의 이측(裏側)은 중앙의 창(8)의 개구 연부를 제외한 영역의 표층이 PC 수지에 의해 덮여서 비도금 영역(5)으로 됨과 함께, 상기 창(8)의 개구 연부에 ABS 수지로 형성된 제 2 도금 영역(4)이 돌아 들어가 있다.
도 2의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도금 영역용 통전 접점(6)은 러너부(2)에 마련되고, 제 2 도금 영역용 통전 접점(7)은 키 톱(1)의 이측이며 창(8)의 개구 연부가 키 톱(1)의 이면까지 돌아 들어간 제 2 도금 영역(4)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도금 영역용 통전 접점(6) 및 제 2 도금 영역용 통전 접점(7)은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러너부(2)도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PC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 도금 그레이드의 ABS 수지를 선정하는 이유는, 전기(電氣) 도금 공정을 위한 전처리로서의 무전해 도금을 행함에 의해, ABS 수지제 부분의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도전성 피막을 부착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에 대해 보통 그레이드의 PC 수지 부분의 표면은, ABS 수지와 동일 조건으로 무전해 도금을 행하여도 도전성 피막 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공정에서는, 제 1 도금 영역(3)과, 비도금 영역(5)으로 격리된 제 2 도금 영역(4)의 각각에, 전기 도금 공정에서 통전 접점이 되는 돌기(6, 7)를 ABS 수지로 일체로 형성한다.
제 2 공정은, 상기 제 1 공정으로 작성한 수지제 부품에, 무전해 도금을 위한 전처리를 시행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탈지·세척, 표면 조화(粗化), 표면에의 팔라듐 촉매 부여의 각 부(副)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표면 조화(에칭)는 ABS 수지 표면을 조화하지만 PC 수지 표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약제(프리에칭 없음, 크롬 산·황산 혼합 용액)를 사용하여 행한다.
제 3 공정은, 무전해 도금에 의해 ABS 수지 표면만에 선택적으로 구리 또는 니켈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면 니켈 피막 형성의 경우에는, 상기 수지제 부품을 황산 니켈(30g/ℓ), 차아인산 나트륨(2Og/ℓ) 및 구연산 암모늄(50g/ℓ)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에, pH 8 내지 9.5, 온도 20 내지 40℃로 5 내지 10분간 침지(浸漬)함에 의해, 표면에 O.2 내지 1㎛의 니켈 피막이 형성된다.
제 4 공정은, 상기 수지제 부품 표면의 도전성 피막이 형성된 부분에, 전기 도금에 의해 소망하는는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복수의 부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 부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제 3 공정에서 형성된 니켈 피막 위에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을 행하고, 그 위에 구리 도금, 또한 그 위에 반광택 및 광택 니켈 도금을 행하고, 최후(최상층)는 크롬 등에 의한 장식 도금을 행한다.
이 제 4 공정의 최초에 행하여지는 스트라이크 도금은, 상기 제 3 공정에서 형성된 니켈 피막을 보강하기 위해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지 성형 부품을 황산 니켈(24Og/ℓ), 염화 니켈(45g/ℓ) 및 붕산(30g/ℓ)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에, 온도 30 내지 45℃로 3 내지 6분간 침지함에 의해, 표면에 2 내지 3㎛의 니켈 피막을 형성한다. 다음의 구리 도금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 성형 부품을 황산동(200g/ℓ), 황산(50g/ℓ) 및 유기 첨가제인 광택제(적량)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에, 온도 20 내지 3O℃로 20 내지 6O분간 침지함에 의해, 표면에 7 내지 15㎛의 구리 피막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리 도금은 반드시 행하여진다고는 한하지 않지만, 반광택 및 광택 니켈 도금의 하지를 구리로 하면 니켈의 골고루 붙음이 좋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반광택 니켈 도금 공정 및 광택 니켈 도금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제 부품을 황산 니켈(24Og/ℓ), 염화 니켈(45g/ℓ) 및 붕산(30g/ℓ)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광택 니켈 도금의 경우만 적량의 광택제를 첨가)에, 온도 45 내지 55℃로 각각 10 내지 30분간 침지함에 의해, 표면에 4 내지 8㎛(반광택 니켈 피막과 광택 니켈 피막의 두께의 비율은 6:4)의 2중의 니켈 피막이 형성된다. 마무리 도금인 크롬 도금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 성형 부품을 크롬산(250g/ℓ), 황산(2.5g/ 1), 3가 크롬(1 내지 3g/ℓ)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에, 온도 45 내지 55℃로 1 내지 3분간 침지함에 의해, 표면에 0.1㎛의 크롬 피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 용액에 3가 크롬을 사용하는 것은 환경 보호 대책을 위한 것과, 후술하는 금속 알레르기 대책을 위해, 유해물질인 6가 크롬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크롬 도금의 하지 도금이 되는 니켈 도금이 반광택과 광택의 2중 도금으로 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광택 니켈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혼합 용액에 첨가되는 광택제는, 전착면(電着面)에 있어서의 결정의 성장을 방해하고, 결정을 미세화함에 의해 광택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광택 니켈 도금은 크롬 도금의 하지 도금으로서 필요하지만, 내식성에 관해서는 도금 용액에 광택제를 첨가하지 않은 반광택 니켈 도금에 미치지 못한다. 이것은, 광택제중 유황 성분이 니켈과 공석하여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제 4 공정에 있어서의 최상층은 이른바 장식 도금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크롬 외에, 금, 백금, 팔라듐, 로듐, 은(銀)의 귀금속이나 티탄, 구리, 아연 및 각종 합금 등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관한 키 톱 또는 장식 부재의 각 도금 영역마다 이들 금속의 적절한 조합시킴에 의해, 각 도금 영역마다 색이나 질감을 여러가지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최상층의 도금 금속중, 아연, 니켈, 은, 구리, 구리합금 등은 특수한 염료 용액에 침지하는 것, 특수한 황하물 욕(浴)으로 화성처리막을 작성하는 것 또는 전착도장 등에 의해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금속 질감을 갖는 채로 착색하면, 더욱 키 톱 또는 장식 부재의 디자인에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금 금속에 착색한 경우에는, 표면 보호를 위해 UV 경화 수지 등에 의한 표면 코팅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제 4 공정의 각 부공정에서 행하는 도금은 2종류 이상의 금속의 접촉으로 되기 때문에, 각 금속의 성질 외에 양쪽의 금속으로부터 생기는 성질을 고려하여 행하여야한다. 예를 들면, 니켈 도금은 균일 전착성에 우수하고, 핀 홀도 적고, 소지(素地)의 보호 능력에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장식 도금의 하지 도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 니켈을 비롯한 수종의 금속에 의한 알레르기가 문제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땀이나 체액에 의해 금속이 이온화하고 표면으로 용출하여 알레르기 물질로 되기 때문이다. 이 알레르기를 야기하는 금속으로서는 니켈, 코발트, 크롬(6가 크롬만) 등이 있지만, 사용량이 가장 많은 니켈에 의한 금속 알레르기가 가장 많은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기기용의 수지제 부품에 있어서 금속 알레르기 대책을 행하는 경우는, 하지 도금 및 표면 도금으로서 니켈 등의 금속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4 공정에서는, 하나의 도금 영역과, 비도금 영역으로 결리된 다른 도금 영역의 각각에 대해 통전 접점을 통하여 별개로, 또는 동시에 통전하여 행한다. 이 경우, 복수의 도금 영역의 전부에 동종 금속을 도금하는 경우는 동시 통전이 적합하지만, 각 영역에 이종 금속을 도금하는 경우는, 각각의 금속 종류에 대응하는 도금액을 이용하여, 시점을 바꾸어 통전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 도금막은 다종류의 막을 적층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막의 구성에 따라 통전 방법과 도금액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키 톱(1)은 제 1 도금 영역(3) 및 제 2 도금 영역(4)으로의 도금이 이루어진 후, 도 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너부(2)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이면의 제 2 도금 영역 통전용 접점(7)이 제거된다(후술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도금 영역(5)에 크로스 해치를 시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조 공정으로 작성되는 수지 성형 부품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수지 성형 부품으로부터 러너부 및 각통 전용 접점을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키 톱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6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기기용 수지제 부품의, 도 2에 도시한 것 이외의 알 맞는 실시예로서, 도 4에 6개의 사례를 나타내는 도형을 열거한다. (1) 내지 (3)에 도시한 1a, 1b, 1c는 각각 장식 부재의 예, (4) 내지 (6)에 도시한 1d, 1e, 1f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의 예이다. 각 도형에서 크로스 해치를 시행한 부분은 비도금 영역을, 흰색으로 된 부분은 도금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중앙의 원(또는 타원)중, 도금 영역으로 둘러싸인 것은 창, 비도금 영역으로 둘러싸인 것은 도금 영역(또는 창)이다.
도 4의 (1) 및 (2)에 도시한 장식 부재(1a 및 1b)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내장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렌즈의 주위를 장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장식 부재(1a)는, 하나의 비도금 영역에 의해 격리된 2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중앙의 창(8)으로 이루어진다. 장식 부재(1b)는 2중의 비도금 영역으로 격리된 2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제 1)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제 2)비도금 영역(9)과, 중앙의 창(8)으로 이루어진다.
도 4의 (3)에 도시한 장식 부재(1c)는, 2중의 비도금 영역에 의해 격리된 2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에서 액정 표시 패널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앞면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장식 부재(1c)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제 1)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거의 직사각형을 이룬 (제 2)비도금 영역(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장식 부재(1c)의 경우에는 비도금 영역(9)을 투과하여 액정 패널의 표시가 보이도록 하기 위해, 또는 렌즈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무색 또는 거의 무색에 가까운 투명으로 되어 있다.
도 4의 (4)에 도시한 키 톱(1d)은, 2중의 비도금 영역에 의해 격리된 2중(또는 3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제 1)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제 2)비도금 영역(9)과, 중앙의 창(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키 톱(1d)에서는 중앙의 영역을 창(8)이 아니고, 도 3 도금 영역(1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5)에 도시한 키 톱(1e)은, 하나의 비도금 영역에 의해 격리된 2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중앙의 창(8)으로 이루어진다.
도 4의 (6)에 도시한 키 톱(1f)은, 2중의 비도금 영역에 의해 격리된 3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것이고,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제 1 도금 영역(3)과, (제 1)비도금 영역(5)과, 제 2 도금 영역(4)과, (제 2)비도금 영역(9)과, 도 3 도금 영역(10)과, 중앙 부분의 창(8)으로 이루어진다. (1), (2), (3), (5)는 2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예, (4), (6)는 3중의 도금 영역을 갖는 예이다.
또한, 상기 키 톱(1d, 1e, 1f)의 창(8)은, 키 톱(1d, 1e, 1f)이 네비게이션 키 등의 대형 다방향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그 내측에 이른바 확정키용 별체의 작은 흔들림의 키 톱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도 3에 도시한 장식 부재나 키 톱과 같이 2 및 3, 또는 그 이상의 도금 영역을 갖는 수지 성형 부품이라도, 표면의 서로 격리된 각 도금 영역마다 통전 접 점을 마련함에 의해, 각 도금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1b 및 1c), 키 톱(1d 및 1f)은 복수개의 비도금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의 장식 부재(1b 및 1c), 키 톱(1d 및 1f)은 복수의 도금 영역과 비도금 영역을 조합시키는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금 영역마다 이종 금속으로 도금하는 것(색이나 질감이 다른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 더하여, 비도금 영역마다 수지의 색을 바꿈에 의해서도, 더욱 디자인에 다양성을 주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에는 없었던 참신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제 1항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을 부착시킨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이 제공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고도하고 다양성 있는 디자인이 실현되고, 해당 모바일 기기의 외관적 매력과 사용감이 향상되고, 젊은층의 수요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제 2항의 발명에 의하면,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을, 도금막이 부착하기 쉽게 된 도금 그레이드의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그 이외의 영역을,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의 수지에 대한 무전해 도금 전처리 공정으로는 도금 가능해지지 않는 수지에 의해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의 도금 그레이드의 수지에 대한 도금 공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만으로 선택적으로 도금을 할 수 있다.
제 3항 및 제 4항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을 부착시킨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 또는 장식 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 고도하고 다양성 있는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다.
제 5항의 발명에 의하면,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복수의 영역으로의 전해(電解) 도금은, 각 도금 영역마다의 통전 접점을 통한 통전에 의해 행하여지기 때문에, 통상으로는 통전 불가능하고 도금 불가능한 영역이라도, 통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종 또는 동일한 금속으로 도금할 수 있다.

Claims (5)

  1. 이종의 수지 소재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으로서, 해당 부품 표면의 서로 격리된 복수의 영역에, 동일 금속 또는 이종 금속의 도금막이 부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도금막이 부착된 복수의 영역이, 도금막이 부착하기 쉽게 된 도금 그레이드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도금막을 부착시키지 않는 영역이, 상기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영역의 수지에 대한 무전해 도금 전처리 공정으로는 도금 가능하지 않는 이종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이, 각종 조작을 행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 톱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이, 모바일 기기의 각 부분을 장식하여 디자인성을 높이는 장식 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5. 제 2항에 있어서,
    도금막을 부착시키는 복수의 영역으로의 전해 도금은, 각 영역마다 마련된 통전 접점을 이용하여 통전함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KR1020057016894A 2003-04-25 2004-04-15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KR20060010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2060 2003-04-25
JP2003122060A JP2004327306A (ja) 2003-04-25 2003-04-25 モバイル機器用の多色樹脂成形部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724A true KR20060010724A (ko) 2006-02-02

Family

ID=3341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894A KR20060010724A (ko) 2003-04-25 2004-04-15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222824A1 (ko)
EP (1) EP1626422A4 (ko)
JP (1) JP2004327306A (ko)
KR (1) KR20060010724A (ko)
CN (1) CN1762034A (ko)
BR (1) BRPI0409723A (ko)
MX (1) MXPA05011504A (ko)
WO (1) WO2004097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81B1 (ko) * 2009-05-18 2011-06-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다이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483A (ja) * 2006-01-26 2007-08-09 Kyocera Corp メッキ付樹脂部材の固定構造、電子機器及びメッキ付樹脂部材の固定方法
JP2008000983A (ja) * 2006-06-22 2008-01-10 Seiko Epson Corp 2色成形部材、2色製品、電子機器及びメッキ処理方法
DE102008044974A1 (de) 2008-08-29 2010-03-04 Daimler Ag Bauteil mit einem Kunststoffkörper mit einem metallisch beschichteten Oberflächenbereich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474394B1 (ko) 2011-07-13 2014-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이차 전지
FR3003080B1 (fr) * 2013-03-08 2015-03-13 Seb Sa Tableau de commande d'appareil electromenage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tableau de commande
US10737530B2 (en) * 2015-05-14 2020-08-11 Lacks Enterprises, Inc. Two-shot molding for selectively metalizing parts
US11408086B2 (en) * 2015-05-14 2022-08-09 Lacks Enterprises, Inc. Method for creating multiple electrical current pathways on a work piece
US11326268B2 (en) * 2015-05-14 2022-05-10 Lacks Enterprises, Inc. Floating metallized el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1639552B2 (en) * 2015-05-14 2023-05-02 Lacks Enterprises, Inc. Method for creating multiple electrical current pathways on a work pie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4308A (en) * 1968-12-19 1971-11-17 Bakelite Xylonite Ltd Selective plating of plastics mouldings
US3640789A (en) * 1969-04-01 1972-02-08 Furniture City Mfg Corp Method of making metal-plated plastic articles
JPS531135A (en) * 1976-06-25 1978-01-07 Nissan Motor Partial plating method of plastics
JPS55745A (en) * 1978-06-20 1980-01-07 Nissei Plastics Ind Co Partial metal plating of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EP0132485A1 (en) * 1983-07-21 1985-02-13 Celluloid I Gislaved Ab A method of producing chromium-plated plastics materials or plastics details,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the method into effect
JPH10102268A (ja) * 1996-09-24 1998-04-21 Kanehiro Metaraijingu:Kk 装飾品
FI973391A (fi) * 1997-08-19 1999-02-20 Silitek Corp Metallivärinen kaksoisväritetty ekstrudoitu muovinäppäin
JPH11167839A (ja) * 1997-12-02 1999-06-22 Porimatec Kk 照光キースイッチ
EP1020947A3 (en) * 1998-12-22 2000-10-04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enna body for a phone and phone or handset having an internal antenna
US6433728B1 (en) * 1999-01-22 2002-08-13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lly molded remote entry transmitter
JP4489929B2 (ja) * 2000-11-09 2010-06-2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JP2002175738A (ja) * 2000-12-07 2002-06-21 Polymatech Co Ltd 加飾キートップ
JP2002212780A (ja) * 2001-01-19 2002-07-31 Ishikawa Kinzoku Kogyo Kk プラスチックへの部分めっき方法
TW554086B (en) * 2001-02-16 2003-09-21 Taiyo Mfg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molded product
JP2003077358A (ja) * 2001-08-31 2003-03-14 Polymatech Co Ltd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81B1 (ko) * 2009-05-18 2011-06-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다이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6422A1 (en) 2006-02-15
CN1762034A (zh) 2006-04-19
US20060222824A1 (en) 2006-10-05
BRPI0409723A (pt) 2006-05-02
EP1626422A4 (en) 2007-08-08
MXPA05011504A (es) 2006-04-18
WO2004097875A1 (ja) 2004-11-11
JP2004327306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0355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41725B (zh) 一种手机中框制作方法和手机中框结构
KR20060010724A (ko) 모바일 기기용의 다색 수지 성형 부품
CN1397420A (zh) 用喷射模塑法获得的部件的局部电镀方法
EP1544690B1 (en) Decorative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component, and timepiece
JPH0824019A (ja) 装身具
KR100921650B1 (ko) 금속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8310A (ko) 전자장비용 덮개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927061B2 (ja) めっき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1073154A (ja) 部分めっき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H0565687A (ja) プラスチツク成形体の部分めつき方法
US11326268B2 (en) Floating metallized el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958861A (zh) 人造首饰的制造方法
KR20090034672A (ko) 합금 전기 주조 방법
JPH02115390A (ja) メッキ付き合成樹脂部材およびそのメッキ方法
WO2019173282A1 (en) Floating metallized el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366013B1 (ko) 스티커형 컬러 문자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2899695B (zh) 无镍合金镀层的电镀方法
JP3660238B2 (ja) 時計用文字板の製造方法
JP5912715B2 (ja) 部分めっきプラスチック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GB1338404A (en) Methods of preparing nonstick surfaces
US11795563B2 (en) Selective metallized translucent automotive components by laser ablation
JPS5896895A (ja) 透明或いは半透明の部分を有するメツキ製品の製造方法
JP2001073158A (ja) 部分めっき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2639005B2 (ja) 2色メッキ合成樹脂部材およびそのメッ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