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822A - 파스너 백 - Google Patents

파스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822A
KR20050116822A KR1020057017165A KR20057017165A KR20050116822A KR 20050116822 A KR20050116822 A KR 20050116822A KR 1020057017165 A KR1020057017165 A KR 1020057017165A KR 20057017165 A KR20057017165 A KR 20057017165A KR 20050116822 A KR20050116822 A KR 2005011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cut tape
bag
fla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859B1 (ko
Inventor
라이죠 쿠게
쇼 오바라
유이치 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05011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gusseted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7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 B65D33/258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the slide fastener being attached to one wall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또 확실하게 컷 개시부분이 형성되는 파스너 백을 제공한다.
가제트 타입의 포장봉지로서 구성되고, 이 포장봉지의 개폐를 자유자재로 하는 파스너(10)가 부착된 파스너 백(1)에 관해, 상기 파스너(10)를, 돌기(11b)가 형성된 웅형부재(11)와, 상기 돌기(11b)를 자유자재로 결합 및 분리시키는 홈부(12b)가 형성된 자형부재(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 부재(11,12)를, 상기 돌기(11b)와 상기 홈부(12b)가 대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기부(11a,12a)가 한 쪽의 평면부(2) 또는 측면부(3)의 내면에 부착된다. 또, 기부(11a)와 기부(12a)와의 사이에, 이 평면부(2)를 웅형부재(11)측과 자형부재(12)측으로 절단 분리하는 컷 테이프(14)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파스너 백{FASTENER BAG}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게다가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파스너를 갖는 가제트(Gazette)타입의 파스너 백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장봉지에 있어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개봉된 포장봉지의 입구부를 자유자재로 개폐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포장봉지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용물의 충전과 포장을 동시에 행하는 자동충전 포장의 분야에서, 이 양 기능을 구비한 파스너 백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 특허출원인은,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포장봉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파스너를 포장봉지의 평면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파스너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평탄봉지를 갈라 개봉하는 컷 오픈부가 형성된 평탄봉지 타입의 파스너 백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특원 2000-302725)
그러나, 상술한 평탄봉지 타입의 파스너 백의 경우, 내용물 충전용 호퍼를 삽입시키는 부분이 그다지 넓게 벌려지지 않아, 여전히 작업효율 향상의 방해가 되고 있다. 또, 갈라서 개봉하는 컷 오픈부의 컷 개시부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한편으로, 포장봉지의 입구부의 형태가 충전시키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내용물에 적합한 입구부를 구비하는 포장봉지에 대한 요청도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더 한층 작업효율의 향상을 꾀하고, 또 확실하게 컷 개시부분이 형성되는 파스너 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파스너 백을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파스너 백 및 개봉수단으로서의 컷 테이프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파스너 백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파스너 백이 구비하는 컷 테이프 엔드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손잡이부와는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손잡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파스너 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하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조법과는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제조법의 하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파스너 백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파스너 백이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여 평면부에 부착된 파스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파스너 백의 구조와, 파스너와 컷 테이프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손잡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평면부의 대각선상에 파스너가 부착된 파스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손잡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파스너 및 컷 테이프의 부착 방향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측면부에 파스너가 부착된 파스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파스너 백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파스너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측면부에 부착된 파스너 백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장봉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포장봉지를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포장봉지의 제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포장봉지를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포장봉지를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포장봉지를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포장봉지로서 형성되는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접착시킨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테이프에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접착시킨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와, 이들 평면부의 양측 테두리에 이들 평면부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가 접는선에 의해 안쪽으로 접혀져서 가제트 타입의 봉지체로서 구성되고, 이 포장봉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파스너가 이 포장봉지의 내면에 설치된 파스너 백으로서, 상기 파스너는 기부(基部)의 일면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된 웅형(雄型)부재와, 기부의 일면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를 자유자재로 결합 및 분리시키는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자형(雌型)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웅형부재와 상기 자형부재는 상기 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이 대향되도록, 이들중 한 쪽의 기부에 대해서는 상기 일면측이, 다른 쪽의 기부에 대해서는 타면측이, 한 쪽의 상기 평면부 또는 한 쪽의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 접착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의 사이에는, 한 쪽의 평면부 또는 한 쪽의 측면부를 상기 웅형부재측과 자형부재측부로 절단 분리하는 컷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파스너 백을 채용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컷 테이프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파스너 백을 개봉할 수 있다. 또, 파스너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서서히 소비하는 경우라도, 파스너가 개봉부분을 자유자재로 개폐하므로, 일단 개봉한 후에도 개봉부를 재밀봉할 수 있어, 내용물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파스너 백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 파스너 백의 상부를 융착 전에, 이 상부의 개구부에 호퍼 등을 삽입해서 내용물을 충전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에서는, 가제트 타입의 포장봉지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 개구부를 크게 벌릴 수 있어, 충전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파스너 백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평면부와 한 쌍의 상기 측면부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봉지 본체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봉지 본체의 한 쪽 개구부를 바닥면부에 의해 폐쇄하여,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면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높은 자립성을 갖는 파스너 백을 얻는다.
또, 상기 파스너 및 상기 컷 테이프는, 해당 파스너 백의 수평 방향, 이들이 접착된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측면부의 단테두리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방향, 혹은, 해당 파스너 백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중 어느 쪽 방향에 배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충전되는 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 파스너 및 컷 테이프의 부착 방향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목적에 맞는 파스너 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컷 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컷 테이프의 접착된 평면부 또는 측면부에는,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 쪽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슬릿을 만들어 상기 평면부 또는 측면부로부터 일부를 분리시킨 개봉용 손잡이부를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개봉의 개시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파스너 백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부에, 평면부와 측면부를 접착시킨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 엔드부를 상기 융착부까지 도달시켜,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접착부를 설치하고, 이 미접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경계가 상기 손잡이부를 포위하고 있는 파스너 백을 채용한다.
또한, 상기 파스너 백에 있어서, 상기 봉지 본체와 상기 바닥면부의 경계부분에, 봉지 본체와 바닥면부를 접착시킨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 엔드부를 상기 융착부까지 도달시켜,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접착부를 형성하고, 이 미접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경계가 상기 손잡이부를 포위하고 있는 파스너 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융착부와 미접착부의 경계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부에 있어서 파스너 백의 내외가 연통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 자체는 융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형태로서는, 다음 2가지의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다.
첫째, 상기 미접착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융착하고, 손잡이부의 대응부분은 미접착부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컷 테이프의 폭방향 양측방 부분을, 상기 평면부 또는 측면부의 단테두리로부터 상기 컷 테이프의 측테두리보다 외측의 위치를, 컷 테이프의 측테두리를 향해 형성한다.
둘째, 미접착부에 있어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 주위를 둘러싸듯이 하여 상기 미접착부에 슬릿을 만들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채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1)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파스너 백(1)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파스너 백(1)을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파스너(10)의 부착부 상태를 나타내는 파스너 백(1)의 종단면도, 도 3은 파스너 백(1)을 개봉하는 컷 테이프(14)의 개봉 개시부의 확대도이다.
파스너 백(1)은,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2,2)와, 이 평면부(2,2)들의 측테두리(2a,2a)의 위치에 개재하는 측면부(3,3)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파스너 백(1)의 바닥부를 폐쇄하고 있는 바닥면부(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스너 백(1)은, 접는선(3a)에 의해 주름 형상으로 안쪽으로 접혀져 있는 측면부(3,3)를 갖는 가제트 타입의 포장봉지가 채용되어 있다.
이 파스너 백(1)은, 평면부(2,2)의 측테두리(2a,2a)와 측면부(3,3)의 측테두리(3b,3b)가 융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평면부(2,2)의 하단테두리(2b,2b) 및 측면부(3,3)의 하단테두리(3c,3c)가 바닥면부(4)의 모서리(4a)와 각각 융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파스너 백(1)의 상단은, 안쪽으로 접혀진 측면부(3,3)를 평면부(2,2)의 양측 모서리(2a,2a)로 끼워넣듯이 하여 평면부(2,2)의 상단테두리(2c,2c)가 융착되고, 이 파스너 백(1)의 상부(1A)는 폐쇄되어 있다.
더욱이, 이 파스너 백(1)에는, 개봉 후에도 재봉쇄할 수 있도록, 개봉부분을 자유자재로 개폐하기 위한 파스너(10)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컷 테이프(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파스너(10) 및 컷 테이프(14)는, 파스너 백(1)을 구성하는 한 쪽의 평면부(2)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파스너(10)는, 상호 분리가능한 가늘고 긴 웅형부재(11)와 자형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웅형부재(11)는, 띠형상의 기부(11a)와, 그 일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1b)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1b)는 기부(11a)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분에서, 기부(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b)의 선단은, 그 횡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자형부재(12)는, 띠형상으로 형성된 기부(12a)와, 이 기부(12a)의 표면에 형성되어, 웅형부재(11)의 돌기(11b)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홈부(12b)로 구성되어 있다.
자형부재(12)의 기부(12a)는, 웅형부재(11)의 그것에 비해, 그 폭이 상당히 넓게 형성된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또, 홈부(12b)는, 홈부(12b)의 측벽을 이루는 두 개의 부재(12c,12c)가, 기부(12a)의 측단 부근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기부(12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홈부(12b) 내면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웅형부재(11)에 설치된 돌기(11b)의 선단이 이 홈부(12b)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11a)는, 그 횡단면의 형상을 쐐기형상이나 화살표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홈부(12a)는, 그 횡단면의 형상을 돌기의 형상에 대응시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웅형부재(11)는, 파스너 백(1)의 상부에서, 그 기부(11a)가 한 쪽의 평면부(2)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을 파스너 백(1)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 융착되어 있어, 기부(11a)에 형성된 돌기(11b)가 다른 쪽의 평면부(2)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자형부재(12)는, 웅형부재(11)의 부착 위치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웅형부재(11)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한 쪽의 평면부(2)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자형부재(12)는, 기부(12a)의 폭방향 일단측에 형성된 홈부(12b)를 웅형부재(11)의 돌기(11b)와 대향시키기 위해, 홈부(12b)가 형성된 면과 동일면의 폭방향 타단측이 평면부(2)의 내면에 융착되어 있다.
그리고, 파스너 백(1)을 개봉하기 위한 컷 테이프(14)는, 파스너(10)가 융착된 한 쪽의 평면부(2)에 있어서, 웅형부재(11)의 기부(11a)가 융착된 부분과, 자형부재(12)의 기부(12a)가 융착된 부분과의 사이에서, 이들 양부재(11,12)와 평행을 이루면서 평면부(2,2)의 내면에 융착되어 있다. 이 컷 테이프(14)는, 평면부(2)를 웅형부재(11)측과 자형부재(12)측으로 분리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띠형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이 컷 테이프(14)의 길이방향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개봉 개시부로서의 손잡이부(16)를 나타내고 있다. 손잡이부(16)는, 컷 테이프(14)의 폭방향의 양측방을, 평면부(2)의 측단으로부터 컷 테이프(14)를 따라 평면부(2)에 슬릿(18,18)을 만들어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부(2,2)와 측면부(3,3)는 양자의 측테두리(2a,3b)들이 융착되어 있으나, 해당 손잡이부(16)의 근방에서는, 이 손잡이부(16)를 피해서, 그 주위를 포위하도록 하여 융착되고, 손잡이부(16)가 존재하는 부분은 양자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미접착부(15)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16)는, 평면부(2)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손가락으로 손잡이부(16)를 잡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파스너 백(1)을 개봉할 때에는, 컷 테이프(14)의 엔드부(14a)째 해당 손잡이부(16)를 손가락으로 잡고, 컷 테이프(14)를 파스너 백(1)의 타단측으로, 또는 파스너 백(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컷 테이프(14)가 절단수단으로서 기능하여, 평면부(2)가 해당 컷 테이프(14)를 따라 절단되어, 웅형부재(11) 부착부측과, 자형부재(12) 부착부측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봉 개시부로서의 손잡이부(16)는, 개봉용이 수단으로서 작용하여, 파스너 백(1)의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손잡이부(21)를 나타내고 있다. 컷 테이프(14)의 엔드부(14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형의 미접착부(20)가 형성되도록 컷 테이프(14) 엔드부의 주위가 융착되어 있다. 원형의 미접착부(20)에는, 컷 테이프(14)의 엔드부를 포위하도록 원호형상의 슬릿(22)이 만들어져 있다. 이 슬릿(22)의 내측이 손잡이부(21)이다. 이 손잡이부(21)도, 융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평면부(2)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젖힐수 있어, 손잡이부(21)의 내측에 있는 컷 테이프(14)의 엔드부째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다.
파스너 백(1)을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낸 손잡이부(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으로 컷 테이프(14)의 엔드부째 손잡이부(21)를 잡고, 컷 테이프(14)를 파스너 백(1)의 타단측으로, 또는 파스너 백(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실시예, 및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어느 경우도, 이들 손잡이부(16,21)를 파스너 백(1)의 한 쪽 측단부에만 설치하거나, 양단 모두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평면부(2)에 슬릿(18,22)을 만들어 손잡이부(16,22)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부(16,21)가 평면부(2)의 다른 부분과 분리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손잡이부(16,21)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상으로 설명한 파스너 백(1)을 구성하기 위한 포장재, 컷 테이프(14)는 다음에 설명하는 부재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을 갖는 파스너 백(1)을 형성할 경우, 파스너 백(1)을 구성하는 포장재로서, 두께 20~50㎛의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두께 20~6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두께 2~3㎛의 드라이 접착층에서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 두께 9~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두께 25~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두께 2~3㎛의 드라이 접착층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 두께 9~20㎛ 2축연신 나일론 필름과 두께 25~120㎛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두께 2~3㎛의 드라이 접착층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접착층으로서는 드라이 접착층에 한정되지 않고, 12~20㎛의 폴리에틸렌 압출층으로 해도 된다.
한편, 불투명성 파스너 백(1)을 형성할 경우, 포장재로서, 두께 9~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두께 6~30㎛의 알루미늄박과 두께 25~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두께 2~3㎛의 드라이 접착층에서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 두께 9~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두께 12㎛의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두께 20~6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두께 2~3㎛의 드라이 접착층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접착층으로서는 드라이 접착층에 한정되지 않고, 12~20㎛의 폴리에틸렌 압출층으로 해도 된다.
또, 컷 테이프(14)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층과 폴리에스테르층, 이지필(easy peel)의 3층구조의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이지필층은 박리강도가 약 200g/㎝가 되도록,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이나, EVA, 또는 핫멜트(hot-melt)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 백(1)의 포장봉지를 구성하는 포장재는, 그 절단강도가 컷 테이프(14)의 이지필층의 박리강도보다 높은 것이 채용되어 있다.
이 컷 테이프(14)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층, 폴리에스테르층, 저밀도 폴리에스테르층 및 이지필층의 4층구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층, 폴리에스테르층,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층 및 이지필층의 4층구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층, 폴리에스테르층, 초저밀도 폴리에스테르층 및 이지필층의 4층구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 폴리에스테르층, 무연신 플로프로필렌층 및 이지필층의 4층구조로 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파스너 백(1)에 의하면, 내용물을 충전할 때, 포장봉지의 개구부를 크게 벌릴 수 있어,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다. 또, 가제트 타입의 포장봉지를 채용함으로써, 파스너 백(1)의 전후방향에 폭을 갖게 할 수 있어, 수용하는 내용물의 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가제트 타입의 포장봉지를 채용했으므로, 내용물을 소비하여, 잔존량이 줄어들었을 때, 해당 파스너 백(1)을 그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파스너 백(1)을 좁은 장소에서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평면부(2,2) 및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가 별체로서 설치되어, 이들을 융착하여 포장봉지를 형성하고, 또 도 3에 나타낸 형태의 손잡이부(16)가 채용된 파스너 백(1)을 예로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평면부(2,2)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된 포장재, 한 쌍의 측면부(3,3)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포장재 및 파스너 백(1)의 바닥면부(4)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포장재를 준비한다.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에는, 그 중앙부에 접는선(3a)을 만들어, 포장재를 둘로 접어 둔다.
다음으로, 한 쪽의 평면부(2)를 구성하는 포장재의 모서리를 이루는 한변의 근방(A)에, 파스너(10)를 구성하는 웅형부재(11)의 기부(11a)를 융착함과 동시에, 이 웅형부재(11)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자형부재(12)의 기부(12a)를 융착한다. 웅형부재(11)에 대해서는, 포장재의 모서리(2a)보다 약간 내측 부분에 이 모서리(2a)와 평행을 이루도록 그 기부(11a)를 융착하는 한편, 자형부재(12)에 대해서는, 그 기부(12a)를 포장재의 모서리와 웅형부재(11)와의 사이에서 모서리 및 웅형부재(11)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융착한다. 이 때, 자형부재(12)의 기부(12a)는, 홈부(12b)가 형성된 측테두리와 대향하는 반대측의 측테두리, 또 홈부(12b)가 형성된 면과 동일면이 포장재에 융착된다. 이에 의해, 자형부재(12)의 홈부(12b)와 웅형부재(11)의 돌기(11b)를 대향시킨다.
또, 개봉용 컷 테이프(14)를 웅형부재(11)의 기부(11a)가 융착된 부분과 자형부재(12)의 기부(12a)가 융착된 부분 사이에서, 이들 양자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서 접착한다. 이 때, 이 컷 테이프(14)가 평면부(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웅형부재(11) 및 자형부재(12)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접착된다.
이상의 공정을 종료한 후, 측면부(3,3)를 구성하는 2장의 포장재, 파스너(10) 및 컷 테이프(14)가 부착된 한 쪽의 평면부(2)를 구성하는 포장재, 및 특히 아무 것도 부착되지 않은 평면부(2)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포장재를 융착하여, 통체(筒體)를 형성한다. 해당 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가 통체의 중심측으로 접혀지도록 접는선(3a)을 통체의 안쪽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그 양측 테두리가 평면부(2,2)를 구성하는 양 포장재의 측테두리와 각각 융착된다. 이에 의해 양 평면부(2,2)가 대향되고, 또 접는선(3a)으로 안쪽으로 접혀진 한 쌍의 측면부(3,3)를 갖는 통체가 형성된다.
또한, 포장재들을 융착할 때, 아무 것도 부착되지 않은 다른 쪽의 평면부(2)와 측면부(3,3)는, 이들의 측테두리(2a,3b)를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융착된다. 이에 대해, 파스너(10) 및 컷 테이프(14)가 부착된 한 쪽의 평면부(2)와 측면부(3,3)의 융착에 대해서는, 컷 테이프(14)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미접착부(15)가 형성되도록, 컷 테이프(14)의 양단부(14a,14a)를 원호형상으로 피해서 융착된다. 그 결과, 컷 테이프(14)의 양단부(14a,14a)는 그 주위가 융착부에 의해 원호형상으로 포위된다.
다음으로, 이 미접착부(15)에 있어서의 컷 테이프(14)의 폭방향 양측부분에 해당 컷 테이프(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슬릿이 형성된다. 이 슬릿을 만든 부분이, 개봉 개시부로서의 손잡이부(16)이다.
이상으로, 한 개의 파스너 백(1)을 형성하는 포장재가 미리 적절한 치수로 재단된 것을 사용하여 통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양산하는 경우에는, 평면부(2,2) 및 측면부(3,3)을 구성하는 포장재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형상의 포장재(31,32)를 사용해도 된다. 즉, 평면부(2,2)를 구성하는 띠형상의 포장재(31,31)를 대향시키고, 이들의 길이방향으로 반송(搬送)시킨다. 또,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32,32)를 평면부(2,2) 구성용 포장재(31,31)의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또 이들 양 포장재(31,31) 사이에서, 대향하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반송한다.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32,32)는 반송되는 도중에, 그 폭방향의 중심부에 접는선(3a,3a)이 형성되도록 접는다. 이 때, 이들 양 포장재(31,31)의 접는선(3a,3a)이, 평면부(2,2)를 구성하는 포장재(31,31)의 중심측을 향해 형성되도록 접힌다.
한 쪽의 평면부(2)를 구성하는 포장재(31)에는, 다른 쪽의 평면부(2)를 구성하는 포장재(31)와 대향하는 면측에, 그 측방으로부터 파스너(10)를 구성하는 웅형부재(11) 및 자형부재(12)가 세트로 순차 이동되고, 이 포장재(3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간격마다 융착된다. 융착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기부(11a,12a)가 포장재의 길이방향에 소정 간격을 둔 부분에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실시된다. 또, 컷 테이프(14)도 포장재(31)의 측방으로부터 반송되고 있는 포장재(31)로 이동되어, 파스너(10)를 구성하는 웅형부재(11)의 기부(11a)와 자형부재(12)의 기부(12a)가 융착된 부분의 거의 중앙 위치에서, 이들 부재(11,12)와 평행을 이루며 접착된다.
그 후, 평면부(2,2)를 구성하는 포장재(31,31)의 양측 테두리부(31a,31a)가, 측면부(3,3)를 구성하는 포장재(32,32)의 양측 테두리부(32a,32a)와 융착되어, 통체가 형성된다. 포장재(31,32)들이 융착될 때, 컷 테이프(14)의 양단부(14a,14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미접착부(15)가 형성되도록, 이들의 엔드부를 원호형상으로 피해서 융착된다. 그 후, 미접착부(15)에는, 통체의 측방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슬릿이 만들어져, 손잡이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형부재(12)의 기부(12a)가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간격을 둔 위치가 통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순차 재단되어, 한 개의 파스너 백(1)에 대응하는 길이의 통체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통체의 하단부에, 바닥면부(4)를 구성하는 포장재가 부착되어, 상부가 개방된 포장봉지가 형성된다. 바닥면부(4)를 구성하는 포장재는, 통체의 횡단면과 거의 같은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이 포장재의 모서리가 통체의 하단 테두리와 융착됨으로써 포장봉지가 형성된다.
그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한 포장봉지의 상부(1A)에 내용물 충전용의 호퍼(40)가 삽입되고, 내용물이 포장봉지에 충전된다. 이 파스너 백(1)의 포장봉지는 측면부(3,3)가 가제트 타입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가 크게 벌려져, 매우 용이하게 호퍼를 포장봉지 상부의 개구부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봉지의 상단 테두리(1A)가 융착되어, 파스너 백(1)이 완성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5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파스너 백(50)은,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51,51)와, 이들 평면부(51,51)의 측테두리부에서, 평면부(51,51)들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52,52)로 이루어지는 봉지본체(50a)를 갖고 있다.
이 봉지본체(50a)는, 평면부(51,51)의 측테두리와 측면부(52,52)의 측테두리가 융착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51,51)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탄한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 한편, 측면부(52,52)는, 봉지본체(51a)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접는선(53,53)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 접는선(53,53)이 봉지본체(51a)의 안쪽을 향해 접혀있다.
또, 이 파스너 백(50)은, 봉지본체(51a)의 한 쪽 개구부를 폐쇄하여,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부(54)를 갖고 있다. 이 바닥면부(54)는, 직사각형 형상의 필름이 사용되고 있어, 봉지본체(50a)의 개구부에 그 모서리가 융착된다.
그리고, 이 파스너 백(50)을 구성하는 한 쪽의 평면부(51)에는, 그 내면에 파스너(60)가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파스너(60)는, 상호 분리가능한 웅형부재(61)와 자형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또, 평면부(51)에는, 웅형부재(61)와 자형부재(62)의 사이에, 띠형상의 컷 테이프(63)가, 이 파스너(60)와 평행을 이루며 접착되어 있다.
웅형부재(61)는, 띠형상의 기부(61a)와, 그 일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61b)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으로, 자형부재(62)는, 띠형상으로 형성된 기부(62a)와, 이 기부(62a)의 표면에 형성되고, 웅형부재(61)의 돌기(61b)가 결합 및 분리 자유자재로 걸어맞춤하는 홈부(62b)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61b)는 기부(61a)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분에서, 기부(6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61b)의 선단은, 그 횡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자형부재(62)의 기부(62a)는, 웅형부재(61)의 기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또, 홈부(62b)는, 홈부(62b)의 측벽을 이루는 두 개의 부재(62c,62c)가, 기부(62a)의 측단 부근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기부(62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홈부(62b) 내면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웅형부재(61)에 설치된 돌기(61b)의 선단이 이 홈부(62b)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웅형부재(61)는, 파스너 백(50)의 좌단보다 약간 중심측에서, 그 기부(61a)에 있어서의, 돌기(61b)가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이 한 쪽의 평면부(51)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을 파스너 백(5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융착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61a)에 형성된 돌기(61b)가 다른 쪽의 평면부(51)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자형부재(62)는, 웅형부재(61)의 부착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좌단측에 떨어진 위치에서, 웅형부재(61)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한 쪽의 평면부(5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형부재(62)는, 기부(62a)의 폭방향 일면측에 형성된 홈부(62b)를 웅형부재(61)의 돌기(61b)와 대향시키기 위해, 홈부(62b)가 형성된 면과 동일면의 폭방향 타단측이 평면부(51)의 내면에 융착되어 있다.
그리고, 파스너 백(50)을 개봉하기 위한 컷 테이프(63)는, 파스너(60)가 융착된 한 쪽의 평면부(51)에 있어서, 웅형부재(61)의 기부(61a)가 융착된 부분과, 자형부재(62)의 기부(62a)가 융착된 부분의 사이에서, 이들 양 부재(61,62)와 평행을 이루면서 평면부(51)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 컷 테이프(63)는, 평면부(51)를 웅형부재(11)측과 자형부재(12)측으로 절단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띠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파스너 백(50)의 하단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컷 테이프(63)의 엔드부를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72)가 형성된 위치에서는, 평면부(51)와 바닥면부(54)의 융착부(56)에 대해서, 컷 테이프(63)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접착부(70)가 설치되어 있다. 미접착부(70)는, 융착부(56)가 컷 테이프(63)의 엔드부를 피해서 엔드부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하여,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접착부(70)에서는, 평면부(50)에 대해서, 컷 테이프(63)의 측테두리의 외측 부분을, 하단으로부터 약간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컷 테이프(63)를 따라 평면부(50)에 슬릿(71,71)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72)는 이 슬릿(71,71)의 사이에 형성된 부분이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72)는, 평면부(51)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손가락으로 잡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파스너(60) 및 컷 테이프(63)를 평면부(51)의 좌측부에 구비한 실시예를 예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로 연장되도록 만들어진 것이라면, 평면부의 중앙이나, 우측부에 설치해도 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8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파스너 백(50)도,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81,81)와, 이들 평면부(81,81)의 측테두리부에서, 평면부(81,81)들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82,82)로 이루어지는 봉지본체(80a)를 갖고 있다. 또, 봉지본체(81a)의 한 쪽 개구부에는,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부(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파스너 백(80)도, 그 측면부(82,82)에는 접는선(83,83)이 설치되어, 이 접는선(83,83)이 안쪽으로 접혀져 있다.
그리고, 이 파스너 백(80)의 한 쪽의 평면부(81)에는, 그 내면에 파스너(90)가 해당 평면부(81)의 대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파스너(90)에 대해서도, 상호 분리가능한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평면부(81)에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사이에, 띠형상의 컷 테이프(93)가, 이 파스너(90)와 평행을 이루며 접착되어 있다. 파스너(90)의 구조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파스너 백(80)의 좌측 아래 코너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컷 테이프(93)의 엔드부를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97)가 설치되어 있다. 코너부에는,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부채형상의 시트가 평면부(81)의 내면으로부터 컷 테이프의 엔드부(93a)를 덮 듯이 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 코너부는, 평면부(81)와 측면부(82)의 융착부(85), 및 평면부(81)와 바닥면부(84)의 융착부(86)가 교차하는 융착부(87)에 대해서, 컷 테이프(93)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접착부(95)가 설치되어 있다. 미접착부(95)는, 융착부(87)가 컷 테이프(63)의 엔드부를 피해서 엔드부(93a)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하여,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접착부(95)에서는, 평면부(91)에 대해서, 컷 테이프(93)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원호형상의 슬릿(96)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7)는 이 슬릿(96)의 내측 부분이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97)는, 평면부(81)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손가락으로 잡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코너부에는, 평면부(81)의 내측으로부터 시트(98)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파스너(90) 및 컷 테이프(93)를 평면부(81)의 대각선상으로 연장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스너(90) 및 컷 테이프(93)는, 평면부(81)의 단테두리(81a)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부착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부착해도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파스너 백(100)도,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101,101)와, 이들 평면부(101,101)의 측테두리부에서, 평면부(101,101)들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102,102)로 이루어지는 봉지본체(100a)를 갖고 있다. 또, 봉지본체(101a)의 한 쪽의 개구부에는, 평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스너 백(100)도, 그 측면부(102,102)에는 접는선(103,103)이 설치되어, 이 접는선(103,103)이 안쪽으로 접혀져 있다.
그리고, 파스너 백(100)의 한 쪽의 측면부(102)에는, 그 내면에 웅형부재와 자형부재로 구성되는 파스너(100)가 해당 측면부(102)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파스너(100)는 측면부(102)의 중심부에서 접는선(103)을 따르듯이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100)의 구조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측면부(103)에는, 웅형부재와 자형부재의 사이에, 띠형상의 컷 테이프(103)가, 이 파스너(100)와 평행을 이루며 접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관계되는 파스너 백(100)에서는, 손잡이부(117)가 측면부(10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117)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는, 측면부(102)와 바닥면부(104)의 융착부(106)에 원호형상의 미접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17)는, 이 미접착부(115)에 있어서, 측면부(102)의 컷 테이프(113)의 측테두리보다 바깥쪽 부분에 슬릿(114,114)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103)에 파스너 및 컷 테이프를 설치할 경우, 도 14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파스너 백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파스너 백(12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접는선(123)이 형성된 측면부(122)에 파스너(130) 및 컷 테이프(133)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파스너(130) 및 컷 테이프(133)는, 파스너 백(120)의 전후방향, 즉,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측면부(122)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부의 한 쪽을 이루는 배면부와 측면부(122)의 융착부(125)에 손잡이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37)가 설치된 위치에 대해서도, 융착부(125)에 원호형상의 미접착부(135)가 설치되고, 컷 테이프(133)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측면부(122)에 대해서, 측테두리의 외측방에 슬릿(134,134)이 만들어져 있다. 손잡이부(137)는 슬릿(134,134)의 사이 부분이다.
이상으로, 파스너 백이, 별체로서 준비된 평면부, 측면부 및 바닥면부가 상호 융착됨으로써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각종 실시예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7~도 25에 나타낸 포장봉지는, 모두 한 장의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융착하여 일단 원통형상의 부재를 형성한 후에 포장봉지를 형성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포장봉지(14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141,141) 및 평면부(141,141)의 양측 테두리부에서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143,143)를 갖고 있다. 평면부의 한 쪽을 이루는 배면부(141)에는, 한 장의 필름을 접착시킨 융착부(142)가 배면부(141)의 바깥쪽을 향해 나와 있다. 측면부(143,143)에는, 그 중앙에 접는선(144,144)이 각각 형성되고, 이 접는선(144,144)이 포장봉지(140)의 안쪽을 향해 접혀져 있다. 그리고, 평면부(141,141)의 모서리와 측면부(143,143)의 경계부분에는, 융착부(14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은, 내용물을 수용하고 봉지의 입구부를 밀봉한 후에, 포장봉지(140)를 자립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평면부(141,141) 및 측면부(143,143)는, 하부가 구부려져서,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 평탄하게 형성된 부분이 바닥면부(146)로서 기능한다. 또, 평면부(141,141)와 측면부(143,143)의 경계부에 설치된 융착부(145)는, 포장봉지(140)를 자립시켰을 때에, 지주로서 기능하여, 자립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 포장봉지(14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다. 우선,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장의 필름을 구부려서, 그 단테두리들을 접착시킨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평면부(141,141)와, 접는선(144,144)을 갖는 한 쌍의 측면부(143,143)가 형성된다. 또한, 필름의 단테두리들이 접착된 부분이 배면부(141)의 융착부(142)이다. 그 후,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141,141)와 측면부(143,143)의 경계부분을 단단히 융착한다. 이와 같이, 단단히 융착함으로써 이 융착부(145)가 지주로서 기능한다. 이 때, 통체의 하부에서는, 아래쪽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융착한다. 그 후,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대해서, 융착부(145)의 외측 코너부분을 떼어낸다. 이에 의해, 평면부(141,141)가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포장봉지(140)가 완성된다.
도 20 및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포장봉지도, 한 장의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접착시켜서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는, 2종류의 포장봉지를 나타낸다. 하나는,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151,151) 및 평면부(151,151)의 양측 테두리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153,153)를 갖는 것이다. 이 포장봉지(150A)의 평면부(151,15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평면부의 한 쪽을 이루는 배면부(151)에는, 한 장의 필름을 접착시킨 융착부(152)가 배면부(151)의 바깥쪽을 향해 나와 있다. 측면부(153,153)에는, 그 중앙에 접는선(154,154)이 각각 형성되고, 이 접는선(154,154)이 포장봉지(150A)의 안쪽을 향해 접혀져 있다. 그리고, 평면부(151,151)의 모서리와 측면부(153,153)의 경계부분에는, 융착부(15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나의 포장봉지(150B)는, 그 기본구조가 포장봉지(150A)와 같다.
이 포장봉지(150B)는, 그 하부에 있어서, 양 코너부에 측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를 연결하듯이 비스듬히 연장되는 융착부(156,15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융착부는, 코너 일부에 있어서, 평면부(151)와 측면부(153,153)를 비스듬히 띠형상으로 접착시킨 것이다.
도 21은, 포장봉지(150A)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상부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151,151) 및 측면부(153,153)는, 하부가 구부려져서, 바닥면부(157)로서 기능한다. 또, 융착부(155)는, 포장봉지(150A)를 자립시켰을 때에, 지주로서 기능하여, 자립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포장봉지(150B)에 대해서도, 자립시킨 상태는 도 12와 같다.
도 22 및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포장봉지(160)는, 평면부(161,161)와 측면부(163,163)의 경계부에 융착부를 설치하지 않은 타입의 포장봉지이다. 이 포장봉지(16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161,161)와, 이들 평면부(161,161)의 양측 테두리의 위치에서 평면부(161,161)의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163,163)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의 한 쪽을 이루는 배면부(161)에는,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접착시킨 융착부(162)가 바깥으로 나오듯이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평면부(161,161)는, 그 하부가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이 되는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테두리들은 평행을 이루며 포장봉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으로,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듯이 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평면부(161,161)의 하부는, 아래쪽을 향해 점점 가늘어지도록, 그 양 코너가 측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를 비스듬히 연결하듯이 사변부(斜邊部)(166,16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면부(163,163)는, 포장봉지(16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에 접는선(164,16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163,163)는 이 접는선(164,164)에서 포장봉지(160)의 안쪽으로 접혀져 있다. 그리고, 평면부(161,161)와 측면부(163,163)는, 하부 테두리(165)와 사변부(166,166)의 위치에서 융착되어 있어, 포장봉지(160)의 바닥부가 밀폐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포장봉지(160)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봉지(160)는 내용물이 충전된 후, 상부 테두리가 융착되어 개구부가 밀폐된다. 평면부(161,161)와 측면부(163,163)는, 포장봉지(160)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위치가 중심측으로 구부려져, 바닥부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 평탄하게 형성된 부분이 바닥면부(167)로서 기능한다. 이 바닥면부(167)가 해당 포장봉지(160)를 자립시키고 있다.
또한, 이 포장봉지(160)의 제조법은, 평면부(161,161)와 측면부(163,163)의 경계부에 융착부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갖지 않는 점 이외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포장봉지(140)의 제조법과 거의 같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3은, 평면부와 측면부의 경계부에 융착부를 갖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포장봉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20 및 도 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종류의 포장봉지(170A,170B)를 나타내고 있다. 하나는,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봉지(170A)의 하부에 사변융착부를 갖지 않는 타입이고, 또 하나의 포장봉지(170B)는, 하부에 사변융착부(176,176)를 갖는 타입이다.
(a)에 나타내는 타입의 포장봉지(170A)는,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171,171), 및 평면부(171,171)의 양측 테두리부분에서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173,173)를 갖는 것이다. 이 포장봉지(170A)의 평면부(151,15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부의 한 쪽을 이루는 배면부(171)에는, 융착부(152)가 바깥쪽을 향해 나와 있다. 측면부(173,173)에는, 그 중앙에 접는선(174,174)이 각각 형성되고, 이 접는선(174,174)이 포장봉지(170A)의 안쪽을 향해 접혀져 있다. 그리고, 포장봉지(170A)의 하부 테두리에는, 측면부(173,173)를 끼우듯이 하여 평면부(171,171)의 하부 테두리들을 접착시킨 융착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나의 포장봉지(170B)의 기본구조는, 포장봉지(170A)와 같다. 이 포장봉지(170B)는, 그 하부에 있어서, 양 코너부에 측테두리와 하부 테두리를 연결하듯이 비스듬히 연장하는 사변융착부(176,176)를 만들고 있다. 이 사변융착부(176,176)는, 코너부에 있어서, 평면부(171)와 측면부(173,173)를 비스듬히 띠형상으로 접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포장봉지(170A)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포장봉지(170A)는 내용물이 충전된 후, 상부 테두리가 융착되어 개구부가 밀폐된다. 평면부(171,171)와 측면부(173,173)는, 포장봉지(170A)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위치가 중심측으로 구부려져, 바닥부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 평탄하게 형성된 부분이 바닥면부(177)로서 기능한다. 이 바닥면부(177)가 해당 포장봉지(170)를 자립시키고 있다. 또한, 포장봉지(17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포장봉지(170B)의 하부가 바닥면부로서 기능하여, 포장봉지를 자립시킨다.
이상으로, 도 17~도 25를 참조하여, 한 장의 필름으로 포장봉지를 형성할 때에, 내면들을 대향시켜, 필름의 단테두리들을 융착시킨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테두리들을 접착시킨 실시예로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에 대해서, 한 쪽의 단테두리(181)의 외면과 다른 쪽의 단테두리(182)의 내면을 융착하는 것이나,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테두리(183,183)들을 서로 맞대고, 이들을 테이프(184)에 의해 접착시켜도 된다.
이상으로, 한 장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봉지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들의 포장봉지에 대해서, 평면부의 내면 또는 측면부의 내면에, 도 2 혹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웅형부재 및 자형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스너를 부착함과 동시에, 컷 테이프를 파스너와 평행하게 부착한다. 부착 방향은, 포장봉지의 수평방향, 상하방향의 어느 방향에 부착해도 된다. 또, 평면부 또는 측면부의 단테두리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하여 부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을 용이하게 하고, 또 재개봉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는 가제트 타입의 파스너 백을 얻을 수 있다. 또,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파스너의 부착 방향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충전시키는 개구부와, 파스너가 부착되는 위치를 따로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용의 개구부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충전하고, 게다가 충전할 수 있는 내용물의 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와, 이들 평면부의 양측 테두리에서 이들 평면부에 개재하는 한 쌍의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가 접는선에 의해 안쪽으로 접혀져서 가제트 타입의 봉지체로서 구성되고, 이 포장봉지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파스너가 이 포장봉지의 내면에 만들어진 파스너 백으로서,
    상기 파스너는, 기부의 일면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된 웅형부재와, 기부의 일면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기를 자유자재로 결합 및 분리시키는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자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웅형부재와 상기 자형부재는 상기 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이 대향되도록, 이들의 한 쪽 기부에 대해서는 상기 일면측이, 다른 쪽의 기부에 대해서는 타면측이, 한 쪽의 상기 평면부 또는 한 쪽의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 접착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걸어맞춤홈의 사이에는, 한 쪽의 평면부 또는 한 쪽의 측면부를 상기 웅형부재측과 자형부재측으로 절단 분리하는 컷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평면부와 한 쌍의 상기 측면부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봉지본체를 구성하고 있고, 이 봉지본체는 그 한 쪽의 개구부가 바닥면부에 의해 폐쇄되고,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및 상기 컷 테이프는, 해당 파스너 백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컷 테이프가 접착된 평면부 또는 측면부에는,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 쪽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를 중앙에 위치시켜 슬릿을 만들어 상기 평면부 또는 측면부로부터 일부를 분리시킨 개봉용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및 상기 컷 테이프는, 이들이 접착된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측면부의 단테두리에 대해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컷 테이프가 접착된 평면부 또는 측면부에는,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 쪽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를 중앙에 위치시켜 슬릿을 만들어 상기 평면부 또는 측면부로부터 일부를 분리시킨 개봉용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및 상기 컷 테이프는, 해당 파스너 백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컷 테이프가 접착된 평면부 또는 측면부에는, 상기 컷 테이프의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 쪽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를 중앙에 위치시켜 슬릿을 만들어 상기 평면부 또는 측면부로부터 일부를 분리시킨 개봉용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부에는, 평면부와 측면부를 접착시킨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 테이프는 그 축방향의 엔드부가 상기 융착부에 도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미접착부가 형성되고, 이 미접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경계가 상기 손잡이부를 포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본체와 상기 바닥면부의 경계부분에는, 봉지본체와 바닥면부를 접착시킨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 테이프는 그 축방향의 엔드부가 상기 융착부에 도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 상기 컷 테이프의 엔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미접착부가 형성되고, 이 미접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경계가 상기 손잡이부를 포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백.
KR1020057017165A 2003-03-17 2003-03-17 파스너 백 KR100969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3152 WO2004083065A1 (ja) 2003-03-17 2003-03-17 ファスナー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822A true KR20050116822A (ko) 2005-12-13
KR100969859B1 KR100969859B1 (ko) 2010-07-13

Family

ID=330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65A KR100969859B1 (ko) 2003-03-17 2003-03-17 파스너 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97480B2 (ko)
EP (2) EP2161212B1 (ko)
JP (1) JP4721709B2 (ko)
KR (1) KR100969859B1 (ko)
CN (1) CN1759046A (ko)
AU (1) AU2003221407A1 (ko)
DE (1) DE60331594D1 (ko)
WO (1) WO20040830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6832A (ja) * 2016-01-29 2017-08-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袋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8147A1 (en) * 2002-06-06 2009-08-20 Mark Steele Multi-compartment flexible package
US20050238765A1 (en) * 2004-04-23 2005-10-27 Weaver Rodney M Flexible carbonated beverage pouch
JP4526884B2 (ja) 2004-06-28 2010-08-1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
WO2006062136A1 (ja) * 2004-12-07 2006-06-15 Idemitsu Unitech Co., Ltd. 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付き袋
US20060198561A1 (en) * 2005-03-01 2006-09-07 Illinois Tool Works Inc. Diagonal front panel zipper opening on flexible pouches
CN101263001B (zh) * 2005-09-13 2010-09-15 葛西寿一 具有防止不正当开封功能的塑料夹头及其制造方法和制造装置
DE602007012342D1 (de) * 2006-06-08 2011-03-17 Hollister Inc Katheterproduktverpack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4874742B2 (ja) * 2006-08-21 2012-02-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DE102006043576B3 (de) * 2006-09-16 2008-03-27 Lemo Maschinenbau Gmbh Blockbodenbeutel
ATE477196T1 (de) * 2006-12-05 2010-08-15 Procter & Gamble WIEDERVERSCHLIEßBARER BEUTEL
US20080240622A1 (en) * 2007-03-30 2008-10-02 Gary Michael Bell Bag construction with flat bottom having removable layer
US8277121B2 (en) * 2007-03-30 2012-10-02 Ampac Holdings Llc Bag construction with flat bottom having removable layer
US20080240626A1 (en) * 2007-03-30 2008-10-02 Gary Michael Bell Bag construction with side gussets
DE102007027994A1 (de) * 2007-06-14 2008-12-18 Bischof + Klein Gmbh & Co. Kg Seitenfaltenbeutel
CA2693285C (en) * 2007-08-02 2012-05-22 The Iams Company Burst resistant side gusseted bag
JP5032945B2 (ja) 2007-11-08 2012-09-2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およびカットテープ付き包装袋
GB2470308B (en) * 2008-10-07 2011-03-23 Cadbury Holdings Ltd Packaging
US20100226600A1 (en) * 2009-02-26 2010-09-09 Mark Steele Package with releasable film access opening
US20100243670A1 (en) * 2009-03-24 2010-09-30 Ferro Corporation Methods and products for replenishing a polishing slurry in a polishing apparatus
IT1395150B1 (it) * 2009-08-07 2012-09-05 Goglio Spa Confezione in materiale flessibile con apertura a strappo
US20110182531A1 (en) * 2009-12-18 2011-07-28 Mark Steele Package having a fill and seal feature
US8784289B2 (en) 2010-04-29 2014-07-22 Illinois Tool Works Inc. Process of forming a wide mouth gusseted bag with edge seals
US20120294551A1 (en) * 2011-05-19 2012-11-22 Brandi Ford Disposable bag for feminine hygeine products
JP2013151312A (ja) * 2012-01-26 2013-08-08 Aiwa Kogyo Kk 食品包装体および食品包装用袋
US10661963B2 (en) 2014-04-04 2020-05-26 Polytex Fibers Corporation Peelable easy open plastic bags
US11459157B2 (en) 2012-02-13 2022-10-04 Polytex Fibers Llc Woven plastic bags with features that reduce leakage, breakage and infestations
JP6160853B2 (ja) * 2012-03-30 2017-07-1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チャック付き袋体
MY177322A (en) * 2012-10-03 2020-09-11 Toppan Printing Co Ltd Refillable container
CA2845896C (en) * 2013-03-15 2021-06-08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False flange child resistant closure for recloseable pouch and methods
JP6126457B2 (ja) * 2013-05-22 2017-05-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チャック成型品
US9611076B2 (en) * 2013-10-21 2017-04-04 Minigrip Llc Hanging milk storage bag
US11654648B2 (en) * 2014-01-17 2023-05-23 Rezip Co. Washable, waterproof, sealable and reusable soft gusseted volumized storage bags
CN110395475B (zh) 2014-01-17 2021-10-22 布鲁艾沃卡多公司 存储袋
US11305927B2 (en) * 2014-04-04 2022-04-19 Polytex Fibers Llc Easy open plastic bags
CN104118631B (zh) * 2014-06-27 2016-08-17 广德县七彩斑马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易撕包装袋
EP3194289A4 (en) 2014-09-18 2018-05-23 Mark Steele Package having a child-restrictive opening feature
FR3028502B1 (fr) * 2014-11-13 2017-11-17 Brodart Ind Sac a soufflets lateraux sans angle, procede et machine de fabrication d'un tel sac
DK179813B1 (da) * 2015-06-15 2019-07-04 Schur Technology A/S Pose med lynlåslukke og sidefals
EP3351128A4 (en) * 2015-09-14 2019-06-19 Idemitsu Unitech Co., Ltd. BAG BODY HAVING A ZIP BAND, BAG BODY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BODY BODY
CN106115078B (zh) * 2016-08-09 2018-10-09 海宁市粤海彩印有限公司 易撕裂复合软包装及其制造方法
US20180105296A1 (en) * 2016-10-14 2018-04-19 Innoflex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bottom-gusseted package with tape elements
CN106628605B (zh) * 2016-12-20 2018-09-21 重庆市长寿区舒福食品有限公司 用于袋装食品的包装袋
JP6894753B2 (ja) * 2017-05-08 2021-06-3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フィルム体、及び袋体の製造方法
WO2020065542A1 (en) * 2018-09-25 2020-04-02 Blijlevens, Antonius Petrus Henricus A bag and related methods
JP7203553B2 (ja) * 2018-10-01 2023-01-13 株式会社細川洋行 角底包装袋、包装体、および角底包装袋の製造方法
US11530076B2 (en) 2018-12-19 2022-12-20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Hidden flange child resistant closure for recloseable pouch and methods
US11286086B2 (en) * 2018-12-19 2022-03-29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Hidden flange child resistant closure for recloseable pouch and methods
PL242136B1 (pl) 2019-02-08 2023-01-23 Elplast Europe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amknięcie strunowe z zabezpieczeniem przed otwarciem oraz opakowanie z zamknięciem strunowym z zabezpieczeniem przed otwarciem
EP4095060A4 (en) * 2020-01-24 2024-03-13 Idemitsu Unitech Co Ltd ZIPPER TAPE,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087A (en) * 1964-03-31 Tearable sheet construction
US2952395A (en) * 1957-10-21 1960-09-13 Arthur T Spees Tear tape
ATE10730T1 (de) * 1980-06-19 1984-12-15 Folienwalzwerk Brueder Teich Aktiengesellschaft Packung.
US4650079A (en) * 1983-02-08 1987-03-17 Kazuhiro Itoh Easy-to-open synthetic resin bag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4629071A (en) * 1985-08-29 1986-12-16 Kanari Tani Easy-to-open bag
JPH0633092B2 (ja) * 1988-06-03 1994-05-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咬合具付袋
JP2749886B2 (ja) * 1989-07-21 1998-05-13 ▲しょう▼ 小原 ファスナー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DE8914623U1 (ko) * 1989-12-13 1990-02-01 Bischof Und Klein Gmbh & Co, 4540 Lengerich, De
JP2513515B2 (ja) * 1990-02-14 1996-07-03 株式会社生産日本社 横ガゼット付袋体
JP2810215B2 (ja) * 1990-06-15 1998-10-15 株式会社平野屋物産 開封容易な合成樹脂製袋
US5782733A (en) * 1992-10-26 1998-07-21 Innoflex Incorporated Zippered film and bag
JP3410142B2 (ja) * 1993-03-30 2003-05-26 株式会社平野屋物産 開封容易とした自立可能な合成樹脂製袋
JPH09207948A (ja) * 1996-01-31 1997-08-12 Okada Shigyo Kk 包装袋
US5672009A (en) * 1996-05-21 1997-09-30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ouch and zipper therefor
JPH11115948A (ja) * 1997-08-14 1999-04-27 Hosokawa Yoko:Kk 自立形固体および粉粒体用容器
JPH11321882A (ja) * 1998-05-20 1999-11-24 Howa Sangyo Kk 包装シート及び包装体
GB2341591A (en) * 1998-09-16 2000-03-22 Jonathan Lee Round Bag with reclosure strip across corner
US6224262B1 (en) * 1999-03-08 2001-05-01 Innoflex Incorporated Bag with perforated opening and reinforcing patch
US6609828B2 (en) * 1999-04-15 2003-08-26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of making reclosable packaging
JP4324273B2 (ja) 1999-04-21 2009-09-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無水酢酸蒸留精製設備
JP2001139038A (ja) * 1999-11-11 2001-05-22 Hosokawa Yoko Co Ltd 引き裂き案内手段、袋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6481183B1 (en) * 2000-04-21 2002-11-19 Cmd Corporation Vertical form fill seal bag with recloseable sea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7476030B1 (en) * 2000-09-18 2009-01-13 Kabushiki Kaisha Hosokawa Yoko Fastener bag and fastener device
JP2002104440A (ja) * 2000-10-02 2002-04-10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ーバッグ
DE60224845T2 (de) * 2001-12-18 2008-11-13 Idemitsu Unitech Co., Ltd. Abgedichteter beutel mit aufreissstreifen
US6659643B2 (en) * 2002-02-04 2003-12-09 Illinois Tool Works Inc. Barrier arrangements for plastic bags
US7396163B2 (en) * 2002-12-14 2008-07-08 Mcgregor James Ray Paper and plastic bags flexible packages and other containers with re-closabl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6832A (ja) * 2016-01-29 2017-08-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21709B2 (ja) 2011-07-13
JPWO2004083065A1 (ja) 2006-06-22
EP2161212B1 (en) 2012-05-16
US20060104550A1 (en) 2006-05-18
CN1759046A (zh) 2006-04-12
EP2161212A1 (en) 2010-03-10
EP1607340B1 (en) 2010-03-03
AU2003221407A1 (en) 2004-10-11
EP1607340A1 (en) 2005-12-21
KR100969859B1 (ko) 2010-07-13
DE60331594D1 (de) 2010-04-15
WO2004083065A1 (ja) 2004-09-30
AU2003221407A8 (en) 2004-10-11
US7597480B2 (en) 2009-10-06
EP1607340A4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859B1 (ko) 파스너 백
JP4526884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
EP1181216B1 (en) Stand-up bag
EP1181205B1 (en) Stand-up bag for flowable or pourable products
US6843042B2 (en) Container packaging method
US20070116388A1 (en) Fastener bag and fastening device
JP2002104440A (ja) ファスナーバッグ
EP1325872B1 (en) Fastener bag and fastener device
JPH01308754A (ja) 咬合具付袋
JP5043264B2 (ja) ファスナーバッグ
JP3759683B2 (ja) ファスナーバッグ
JPH0776354A (ja) 易開封テープ貼り密封袋
JPH0637941Y2 (ja) 易開封包装袋
JP3761745B2 (ja) ファスナーバッグ
WO2023002925A1 (ja) 容器、容器の製造方法、容器の製造装置、シールバーおよびフィルム組立体
JP5474446B2 (ja) ジッパー付袋及びその製法
JP2002337890A (ja) ファスナーバッグ
JP2020083356A (ja) パウチ
JP2005112368A (ja) 合成樹脂製の包装袋
JPH0633091B2 (ja) 合掌背シ−ル袋
JP2010274933A (ja) チャック付き自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