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234A - 내부전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내부전압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234A
KR20050091234A KR1020040016574A KR20040016574A KR20050091234A KR 20050091234 A KR20050091234 A KR 20050091234A KR 1020040016574 A KR1020040016574 A KR 1020040016574A KR 20040016574 A KR20040016574 A KR 20040016574A KR 20050091234 A KR20050091234 A KR 2005009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ias
driving transistor
voltage
internal voltage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950B1 (ko
Inventor
장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1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50B1/ko
Priority to US10/850,843 priority patent/US7046074B2/en
Publication of KR2005009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234A/ko
Priority to GB0525342A priority patent/GB2423622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Dram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초래되는 누설 전류로 인한 내부전압의 이상 변동을 억제한 내부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제 1 입력 단자를 통하여 기준전압을 수신하고 제 2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내부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전압과 내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며, 제 1 단자는 구동전압과 연결되고 제 2 단자는 상기 내부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백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는 상기 비교기의 상기 제 2 입력 단자와 피드백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는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Description

내부전압 발생장치{An internal voltage generator}
본 발명은 내부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초래되는 누설 전류로 인한 내부전압의 이상 변동을 억제한 내부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일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비교기(100)와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를 구비한다. 비교기(100)는 네거티브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전압(Vref)과 포지티브 단자로 입력되는 내부전압(Vint)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고,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는 비교기(100)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턴온/오프된다.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의 소오스는 구동전압(VDD)와 연결되며,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이 턴온되는 경우 그 드레인을 통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에 내부전압(Vint)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의 드레인 단자는 비교기(100)의 포지티브 입력단자로 피드백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1 에 도시된 종래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를 턴온시킨다.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교기(100)는 기준전압(Vref)과 내부전압(Vint)을 비교하여 내부전압(Vint)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로우 레벨을 출력하여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소오스 단자의 구동전압(VDD)은 드레인 단자로 전달되어 내부전압(Vint)을 상승시킨다. 상승된 내부전압이 기준전압(Vref)을 초과하면 비교기(100)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 되어 PMOS 형 구동 트랜지스터(PM1)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내부전압(Vint)의 상승이 억제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전압(Vint)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져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계속 반복 수행할 것이다. 그 결과, 내부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지속적으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같은 문제점들이 초래될 수 있다.
1. 반도체 장치의 고속화 추세로 인하여 내부전압 발생장치에서의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2.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내부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이즈가 큰 구동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동 능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3. 반도체 장치의 구동전압이 낮아지면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도 함께 낮아지는 추세인데, 그로 인하여(즉, 문턱 전압이 낮아진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누설 절류가 발생하여 내부전압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턴오프 상태의 누설전류=Io*exp(Vgs-Vth)/nkT 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의 사이즈가 커지고 문턱 전압이 낮아지는 경우 누설 전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턴오프 상태에서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초래되는 누설 전류로 인한 내부전압의 이상 변동을 억제한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여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는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압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제 1 입력 단자를 통하여 기준전압을 수신하고 제 2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내부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전압과 내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며, 제 1 단자는 구동전압과 연결되고 제 2 단자는 상기 내부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백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는 상기 비교기의 상기 제 2 입력 단자와 피드백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는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도체 장치가 스탠드바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으로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보다 더 높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일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반도체 장치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압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비교기(200)와, 구동 트랜지스터(PM21)와, 백 바이어스 회로부(202)와, 제어부(204)를 구비한다.
비교기(200)는 제 1 입력 단자인 네거티브 단자를 통하여 기준전압(Vref)을 수신하고 제 2 입력 단자인 포지티브 단자를 통하여 내부전압(Vint)을 수신하여 이를 비교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회로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PM21)는 게이트를 통하여 비교기(2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며, 제 1 단자인 소오스는 구동전압(VDD)과 연결되고 제 2 단자인 드레인은 내부전압(Vint)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자는 비교기(200)의 포지티브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백 바이어스 회로부(202)는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영역에 소정 전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며, 제어부(204)는 비교기(2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백 바이어스 회로부(202)의 동작을 제어한다.
백 바이어스 회로부(202)의 구성은 구동전압(VDD)과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영역 사이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21)와, 고전압(VPP)과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영역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22)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전압(VPP)은 구동전압(VDD)보다 높은 전위 레벨을 갖는다.
제어부(204)는 노아 게이트(NOR21)로 구성되며, 노아 게이트(NOR21)는 비교기의 출력 신호(drv_onb)와 스탠드바이 신호(standby)를 수신한다. 스탠드바이 신호는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대기 모드인 경우에 인에이블되는 신호이다. 스탠드바이 신호의 논리 레벨은 정상 모드에서는 로우 레벨이고, 스탠드바이 상태에서는 하이 레벨이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반도체 장치가 정상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참고로, 정상 동작 모드의 경우, 스탠드바이 신호는 로우 레벨을 출력한다.
정상 동작시, 내부전압(Vint)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비교기의 출력신호는 로우 레벨이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PM21)가 턴온되어 내부전압(Vint)을 상승시킨다.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 레벨인 경우인 경우, 노아 게이트(NOR21)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므로(왜냐하면, 스탠드바이 신호 또한 로우 레벨이기 때문이다) NMOS 트랜지스터(NM21)가 턴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영역으로 소정 전압의 백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 문제가 개입될 소지가 없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 전압은 사실상 크게 중요하지 않다.
다음, 내부전압(Vint)이 상승하여 기준전압(Vref)를 초과하는 경우, 비교기의 출력신호는 하이 레벨이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PM21)는 턴오프되어 내부 전압(Vint)의 상승을 차단한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누설 전류로 인하여 내부전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기(2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204)와 제어부(204)에 의하여 조절되어 백 바이어스 회로부(202)를 이용하여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바이어스 전압을 상승 시킴으로써 누설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즉,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므로 노아 게이트(NOR21)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어 PMOS 트랜지스터(PM22)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웰 영역으로 고전압(VPP)의 백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그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PM21)의 턴오프 누설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다른 일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반도체 장치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압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비교기(300)와, 구동 트랜지스터(PM31)와, 백 바이어스 회로부(302)와, 제어부(304)를 구비한다.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백 바이어스 회로부(302)가 PMOS 트랜지스터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며, 그 외의 다른 차이는 없다. 따라서, 회로 동작은 도 2의 경우와 사실상 동일하다.
도 4는 누설 전류로 인한 내부전압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은 구동전압(VDD)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내부전압(Vint)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의 내부전압을 나타내고,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의 내부전압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 전압의 증가에 따라 누설전류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준전압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전압이 일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일정 전압을 출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들어 반도체 장치가 고속화되고, 구동전압이 낮아지면서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를 증가시켜 안정된 배부 전압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속도 개선을 위하여 문턱 전압이 낮은 구동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회로가 제시되어으나, 이로 인하여 누설 전류도 함께 증가하여 내부전압의 이상 변동 현상이 초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백 바이어스 전압을 조저할 수 있는 회로를 추가로 제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오프 누설 전류를 극소화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금가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는 모든 반도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를 차단, 억제하는 회로를 추가로 제공하여 안정된 내부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를 억제하여 전압 변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구동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더욱 더 낮출수 있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일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전압 발생장치의 다른 일예이다.
도 4는 누설 전류로 인한 내부전압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반도체 장치에서 사용하는 내부전압을 생성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 1 입력 단자를 통하여 기준전압을 수신하고 제 2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내부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전압과 내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며, 제 1 단자는 구동전압과 연결되고 제 2 단자는 상기 내부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제 1 백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백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와 스탠드바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백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전압보다 높은 전위 레벨을 가지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는 상기 비교기의 상기 제 2 입력 단자와 피드백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는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상기 제 1 백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가 스탠드바이 모드인 경우,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상기 제 1 백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으로 상시 제 1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전압보다 더 높은 전위 레벨을 갖는 상기 제 1 백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아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노아 게이트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반도체 장치가 스탠드바이 모드임을 나타낸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바이어스부 회로부는 상기 구동전압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사이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장치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N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백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웰 영역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20040016574A 2004-03-11 2004-03-11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072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74A KR100728950B1 (ko) 2004-03-11 2004-03-11 내부전압 발생장치
US10/850,843 US7046074B2 (en) 2004-03-11 2004-05-21 Internal voltage generator
GB0525342A GB2423622B (en) 2004-03-11 2005-12-13 Light-emitting diod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74A KR100728950B1 (ko) 2004-03-11 2004-03-11 내부전압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34A true KR20050091234A (ko) 2005-09-15
KR100728950B1 KR100728950B1 (ko) 2007-06-15

Family

ID=3491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574A KR100728950B1 (ko) 2004-03-11 2004-03-11 내부전압 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46074B2 (ko)
KR (1) KR100728950B1 (ko)
GB (1) GB242362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625B1 (ko) * 2005-06-27 2007-07-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기
KR100904733B1 (ko) * 2007-10-29 2009-06-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문턱전압 조절회로 및 이를 이용한 내부전압 생성회로
US9417647B2 (en) 2014-07-08 2016-08-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ulk bias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790B1 (ko) * 2004-07-01 2006-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발생기
US7230810B1 (en) * 2004-12-09 2007-06-12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over-voltage protection scheme for integrated-circuit devices
JP4468229B2 (ja) * 2005-04-14 2010-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パレータ回路および赤外線リモコン受信機
US7505752B1 (en) 2005-07-25 2009-03-17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Receiver for differential and reference-voltage signaling with programmable common mode
US8072834B2 (en) * 2005-08-25 2011-12-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Line driver circuit and method with standby mode of operation
KR100649973B1 (ko) * 2005-09-14 2006-1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압 발생 장치
US7265605B1 (en) * 2005-10-18 2007-09-04 Xilinx, Inc. Supply regulator for memory cells with suspend mode capability for low power applications
US7547995B1 (en) 2006-02-02 2009-06-16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over-voltage protection scheme for interface circuitry
KR100794994B1 (ko) * 2006-04-06 2008-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회로
KR100886628B1 (ko) * 2006-05-10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내부전압 생성회로
KR100761371B1 (ko) * 2006-06-29 2007-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액티브 드라이버
KR100816725B1 (ko) 2006-09-28 2008-03-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0803371B1 (ko) * 2007-01-11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0990144B1 (ko) * 2007-03-05 2010-10-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동작방법
KR100873617B1 (ko) * 2007-04-12 2008-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액티브 드라이버 제어 회로
KR100892637B1 (ko) * 2007-04-13 2009-04-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분배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US7701245B1 (en) 2007-10-26 2010-04-20 Xilinx, Inc. Enhanced voltage regulation with power supply disable capability for low-power operation
US7667489B1 (en) * 2007-10-26 2010-02-23 Xilinx, Inc. Power-on reset circuit for a voltage regulator having multiple power supply voltages
US7733075B1 (en) 2007-10-26 2010-06-08 Xilinx, Inc. Voltage sensing in a supply regulator for a suspend mode
KR101548242B1 (ko) * 2008-07-21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출력구동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처리 장치
KR101003152B1 (ko) 2009-05-14 2010-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1027699B1 (ko) * 2010-01-29 2011-04-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트리밍 회로
US8787096B1 (en) * 2013-01-16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N-well switch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1188B2 (ja) * 1991-07-26 2002-09-03 株式会社東芝 出力回路
JP3253389B2 (ja) * 1992-03-31 2002-02-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461338A (en) * 1992-04-17 1995-10-24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orporated with substrate bias control circuit
KR0169157B1 (ko) * 1993-11-29 1999-02-01 기다오까 다까시 반도체 회로 및 mos-dram
US5581500A (en) 1994-12-16 1996-12-03 Sun Microsystems, Inc. Memory cell with power supply induced reversed-bias pass transistors for reducing off-leakage current
JP3085130B2 (ja) * 1995-03-22 2000-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ドライバ回路
US5786724A (en) * 1996-12-17 1998-07-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rol of body effect in MOS transistors by switching source-to-body bias
JP3814385B2 (ja) * 1997-10-14 2006-08-3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191615B1 (en) * 1998-03-30 2001-02-20 Nec Corporation Logic circuit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JPH11355123A (ja) * 1998-06-11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的しきい値mos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バッファ
JP2000195284A (ja) 1998-12-24 2000-07-14 Toshiba Corp ラッチ型レベルシフト回路
US6255851B1 (en) * 1999-08-04 2001-07-03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ulti-voltage I/O buffer clamping circuit
JP2001156619A (ja) * 1999-11-25 2001-06-08 Texas Instr Japan Ltd 半導体回路
JP2001186007A (ja) * 1999-12-24 2001-07-06 Sharp Corp 金属酸化膜半導体トランジスタ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
JP4023079B2 (ja) * 2000-08-31 2007-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面状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20030128313A1 (en) * 2001-12-14 2003-07-10 Eastman Kodak Company Light diffusion material with color temperature correction
EP1496488A1 (en) * 2002-04-17 2005-01-12 Kabushiki Kaisha Box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US6765430B2 (en) * 2002-07-22 2004-07-20 Yoshiyuki Ando Complementary source follower circuit controlled by back bias voltage
TWI321248B (en) * 2003-05-12 2010-03-01 Au Optronics Corp Led backlight module
JP2005164357A (ja) * 2003-12-02 2005-06-23 Seiko Instruments Inc 電圧検出回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625B1 (ko) * 2005-06-27 2007-07-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기
KR100904733B1 (ko) * 2007-10-29 2009-06-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문턱전압 조절회로 및 이를 이용한 내부전압 생성회로
US7772719B2 (en) 2007-10-29 2010-08-10 Hynix Semiconductor Inc. Threshold voltage control circuit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having the same
US9417647B2 (en) 2014-07-08 2016-08-16 SK Hynix Inc.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ulk bias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996095B2 (en) 2014-07-08 2018-06-12 SK Hynix Inc.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ulk bias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6074B2 (en) 2006-05-16
GB2423622B (en) 2007-09-26
GB0525342D0 (en) 2006-01-18
KR100728950B1 (ko) 2007-06-15
GB2423622A (en) 2006-08-30
US20050200401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950B1 (ko)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0223770B1 (ko) 반도체 장치의 문턱전압 제어회로
US8125846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40110669A (ko) 내부전압 생성용 액티브 드라이버
KR100854503B1 (ko) 내부 전압 발생기
US7751230B2 (en) Negative voltage generating device
KR100812936B1 (ko) 스탠바이 모드에서 누설전류가 감소된 내부전원전압발생회로
KR10090442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08131266A (ja) 半導体装置
KR100996186B1 (ko) 내부 전압 생성회로
JP2004103941A (ja) 電圧発生装置
US8111561B2 (en) Bulk bias voltage genera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35408B1 (ko) 반도체 장치
US7893755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KR10046080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KR20110047892A (ko) 집적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065642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96192B1 (ko) 파워 업 신호 생성회로
KR2004001179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 전원전압 발생회로
KR20080001054A (ko) 내부 전압 발생 장치
KR100845405B1 (ko) 바이어스 전류 생성회로
KR2003002719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발생회로
KR20020024914A (ko) 액티브 내부전압 발생회로
KR2008006514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80077799A (ko) 카스 레이턴시를 이용한 백 바이어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