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071A -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 Google Patents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071A
KR20050038071A KR1020030073267A KR20030073267A KR20050038071A KR 20050038071 A KR20050038071 A KR 20050038071A KR 1020030073267 A KR1020030073267 A KR 1020030073267A KR 20030073267 A KR20030073267 A KR 20030073267A KR 20050038071 A KR20050038071 A KR 2005003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eight
extract
extract concentrate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010B1 (ko
Inventor
강승철
박정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한국생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3007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0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은, 홍삼을 물과 1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다시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1공정,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를 각각 6 ~ 9 중량%, 당귀를 2 ~ 3 중량%를 혼합하여 전체가 100 %가 되도록 배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전체 생약재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0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다시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2공정, 제 1공정의 홍삼 추출농축액과 제 2공정의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1 : 9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전체중량대비 2 ~ 3 중량%의 저당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제 3공정, 배합물을 교반하는 제 4공정,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고 포장하는 제 5공정을 거쳐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워진다.
본 발명에 의해, 보양강장제로서 그 효과가 뛰어나고, 간장을 보호하고, 빈혈에도 효과가 뛰어나며, 맛이 좋고 휴대가 간편한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EXTRACTED CONCENTRATION OF GINESENG STEAMED RED AND HERB MEDICINES}
본 발명은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홍삼이란 4 ~ 6년근 수삼(생삼)을 정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그 제조과정중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많은 갈색화 반응 생성물이 형성되고, 그 중 말톨(maltol)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도 다량 생성되어 홍삼의 품질안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 Rh2, Re3),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등과 같은 다른 인삼에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특유 성분 8 종이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홍삼에는 항암성분, 암세포 독소활성 억제성분, 혈소판 응집억제성분, 간장애 억제성분, 혈당강하성분, 비만억제성분, 노화억제성분, 중금속 해독성분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는 홍삼을 이용한 건강음료나 건강보조식품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37380 (홍삼농축액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는, 홍삼농축액 5 ~ 15 중량부, 생약성분 농축액 15 ~ 25 중량부, 피크노제놀 5 ~ 15 중량부, 토코페롤 0.1 ~ 0.2 중량부, 백납 3 ~ 7 중량부, 소맥배아유 40 ~ 50 중량부, 팜유 10 ~ 20 중량부 및 수분을 함유하는 홍삼추출액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90874 (홍삼농축액을 주원료로한 액상음료의 제조방법)에는, 홍삼, 생지황, 천문동, 맥문동, 복분자, 당귀, 천궁, 구기자, 백봉령, 황기, 하수오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 98 ℃에서 8 시간씩 2회 추출하여 엑기스화한 다음 진공 농축시켜, 홍삼엑기스 25중량%, 생지황엑기스 20중량%, 천문동엑기스 7중량%, 맥문동엑기스 8중량%, 복분자엑기스 7중량%, 당귀엑기스 5중량%, 천궁엑기스 5중량%, 구기자엑기스 5중량%, 백봉령엑기스 5중량%, 황기엑기스 3중량%, 하수오엑기스 3중량%를 혼합하고, 벌꿀 6.95 중량%와 안식행산 Na 0.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액상음료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홍삼과 다양한 종류의 생약재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제조할때, 홍삼과 다른 생약재와는 추출하기에 적합한 온도가 다르며, 추출시 농도와 생약재와의 배합비율, 압력 등에 의해 농축액의 맛과 품질,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홍삼을 이용한 발명들은 홍삼의 추출시 온도가 너무 높아 홍삼만이 가지고 있는 유용한 물질들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홍삼과 다른 생약재들 각각의 적합한 배합비율, 농도, 압력 등의 적절한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홍삼의 유용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10 여종의 생약재의 추출농축액과 혼합하여 제조한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보양강장제로서 그 효과가 뛰어나고, 간장을 보호하고, 빈혈에도 효과가 뛰어나며, 맛이 좋고 휴대가 간편한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은, 추출기에 홍삼과 물의 중량비를 1 : 10 으로 하여 넣고, 0.5 ~ 1 ㎏중/㎠의 압력으로, 80 ~ 90 ℃ 에서 24 시간 동안 추출하는 홍삼 추출공정, 홍삼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공정,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 70 ℃로 하고,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1공정,
추출기에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를 각각 6 ~ 9 중량%, 당귀를 2 ~ 3 중량%를 혼합하여 전체가 100 %가 되도록 배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생약재 전체 중량과 물의 비율의 1 : 10이 되도록 물을 넣고, 110 ~ 120 ℃의 온도로 8 ~ 9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추출하는 생약재 추출공정,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공정,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 70 ℃로 하고,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2공정,
제 1공정의 홍삼 추출농축액과 제 2공정의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1 : 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전체중량대비 2 ~ 3 중량%의 저당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제 3공정, 제 3공정의 배합물을 교반기에 넣고, 80 ~ 90 ℃로 1 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 4공정,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고 포장하는 제 5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홍삼은, 3 ~ 6 년근 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증삼기에 찐 다음 건조시켜 만든 홍삼을 이용하였고, 이런 홍삼은 말톨(maltol)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도 다량 생성되어 홍삼의 품질안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 Rh2, Re3),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등과 같은 다른 인삼에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특유 성분 8 종이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생약재는 서로 잘 어울리는 생약재들로서 홍삼과고 잘 어울리면서, 홍삼과 혼합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생약재로서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 당귀를 선택하게 되었다.
각각의 생약재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수오는 새박덩굴뿌리라는 덩굴풀로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주며, 부인과 질병에 좋고,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으며, 머리를 검게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구기자는 구기 열매를 말하며, 강장제, 해열제로 허로요통(虛勞腰痛)에 쓰인다. 구기자 뿌리 껍질은 지골피(地骨皮)라 하여 한방에서 소갈(消渴), 도한(盜汗) 등의 해열제로 이용하며, 다른 한약제와는 달리 오용해도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숙지황은 지황을 아홉번 찌고 말리기를 거듭한 것을 말하며, 자연 그대로의 것을 생지황(生地黃),건조 시킨 것을 건지황(乾地黃)이라 한다.
숙지황은 보혈 강장 강정제로 허약한 사람에게 유효한 약이다. 인삼처럼 특정한 적응증을 들 수 없을 만큼 보음(補陰)의 성약이고, 머리털을 검게 만들고 정력을 북돋운다고 알려져 있다.
수삼은 밭에서 채굴하여 말리거나 가공하지 않은 인삼을 말하며, 70%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수삼은 세월의 깊이와 경작인의 정성을 먹고 자란 영삼(靈蔘)이자 영초(靈草)로서 뿌리는 보혈,강장제로 쓰이고 있다.
영지는 항암효과, 혈전억제작용, 불면증, 신경쇠약 등의 중추신경계의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호흡기 질환, 소화기관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며, 한방에서 유용한 약재로 쓰이는데, 맥문동의 덩이줄기는 신장염, 해열, 감기, 강장 등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갈근은 콩과식물로서, 칡뿌리는 갈근이라고 하여 한약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한방에서는 갈근을 발한, 해열제 등으로 많이 쓰고 있으며, 이밖에도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주독, 감기, 부인의 하혈, 구토 등에도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감초는 모든 약재 와 조화를 이루면서 효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독을 중화시키는 약성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약제에 쓰이고 있다. 감초는 간장을 보호하고 간기능을 원활케하여 피로를 조절하는 약효가 있다. 감초가 지닌 특수한 해독작용은 간의 부담을 경감시켜준다. 또 장안의 균의 부식을 억제하고 해열과 거담의 작용을 한다.
천궁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천궁의 뿌리는 간질과 치통의 증상을 가볍게 하고, 피를 맑게하며, 부인들의 대하증을 치료하고 기운을 북돋아주는 작용을 하며, 두통, 어지럼증, 고혈약, 협심증, 근육 마비, 류머티즘, 중풍 후유증, 신경통, 수족 냉증 등에 좋은 약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백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풀로, 한방과 민간에서 뿌리를 부인병, 복통, 진경, 두통, 해열, 지혈, 창종, 대하, 진통, 객혈, 금창, 하리, 혈림, 이뇨등에 약제로 쓴다.
백복령은 복력 중 속이 흰것을 말한다. 복령은 베어낸지 여러해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란 균핵이다. 비경, 폐경, 방광경에 작용하며, 소변을 잘나오게 하고 위장은 튼튼하게 하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고, 폐위로 담이 막힌것을 낫게 한다.
황기는 체력과 양기를 증가시키는 기본 생약이며, 빈혈을 없애고 땀을 다스려 살갗과 근육을 튼튼히 해준다. 여성의 경우 심한 자궁점막출혈을 막으며 산전산 후 체력증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며, 혈을 보하는 작용이 있다. 당귀는 땅의 기운을 얻은 것이어서 그 맛이 맵고 쓰며, 혈(血)에 관련된 질환에 두루 쓰인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홍삼의 유용성분이 파괴되지 않게 추출하면서, 홍삼과 잘 어울리는 다른 유용한 생약재가 잘 어우러질 수 있는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던 끝에, 홍삼과 생약재를 처음부터 혼합하여 추출하게 되면 홍삼의 사포닌 등의 유용성분이 파괴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홍삼은 사포닌이 파괴되지 않도록 80 ~ 90 ℃ 에서 추출하고, 생약재는 110 ~ 120 ℃ 에서 추출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홍삼은 추출기에서 0.5 ~ 1 ㎏중/㎠의 압력으로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기타 생약재는 추출기에서 1.5 ~ 2 ㎏중/㎠의 압력으로 8 ~ 9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맛과 품질이 더욱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홍삼과 기타 생약재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고 질감을 더욱 부드럽게 하며, 이 여과액을 농축할때의 조건은, 농축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 70 ℃로 ,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여과액 전체중량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홍삼추출농축액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혼합하여 교반할때, 저당을 첨가하여 교반하게 되면 저당의 점성으로 인해 고형분을 높이고, 맛을 더욱 부드럽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전체혼합물의 중량대비 2 ~ 3 중량%의 저당을 첨가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저당은, 전분을 효소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하고 정제. 농축한 시럽으로, 점성이 높고 단맛은 설탕의 약 1/4 ~ 1/5 수준으로 매우 낮으며, 물엿과 마찬가지로 섭취시 체내 소화효소(glucosidase)에 의해 포도당으로 완전히 분해된 후 체내의 대사과정을 거쳐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천연의 감미소재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 1공정 : 홍삼 추출농축액의 제조
1. 세척
홍삼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준비한다.
2. 추출
추출기에 홍삼과 물의 중량비를 1 : 10 으로 하여 넣고, 0.5 ~ 1 ㎏중/㎠의 압력으로, 80 ~ 90 ℃ 에서 24 시간 동안 추출한다.
3. 여과
홍삼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4. 농축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 70 ℃로 ,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2) 제 2공정 :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
1. 세척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 당귀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2. 추출
추출기에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를 각각 6 ~ 9 중량%, 당귀를 2 ~ 3 중량%를 혼합하여 전체가 100 %가 되도록 배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생약재 전체 중량과 물의 비율의 1 : 10이 되도록 물을 넣는다.
추출기의 온도는 110 ~ 120 ℃, 압력은 1.5 ~ 2 ㎏중/㎠ 에서 8 ~ 9 시간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추출한다.
3. 여과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4. 농축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60 ~ 70 ℃에서 농축기의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3) 제 3공정 : 배합
제 1공정의 홍삼 추출농축액과 제 2공정의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1 : 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전체중량대비 2 ~ 3 중량%의 저당을 첨가하여 배합한다.
(4) 제 4공정 : 교반
제 3공정의 배합물을 교반기에 넣고, 80 ~ 90 ℃로 1 시간 동안 20 ~ 30 rpm으로 교반하여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은 건강식품으로서, 이미 홍삼의 효능과 본 발명에서 이용한 생약재들의 효능도 알려진 바다. 그러나, 기존의 홍삼 농축액이나 생약재 농축액보다 맛이 향상되고, 보양강장효과가 뛰어나며, 빈혈에 좋고,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도 뛰어나다.
본 발명의 농축액을 충진기 탱크로 이동시켜 200~ 250 ℃에서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여 포장하여 사용함으로서,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종래의 농축액은 병이나 팩에 충진되어 휴대가 어려웠고, 음용시에도 불편한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농축액은 치약용기와 유사한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음용시 불편한 점을 해소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
시중에서 홍삼을 구입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시중에서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 당귀를 구입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추출기에 홍삼 2 ㎏과 물 20 ㎏ 넣고, 0.5 ㎏중/㎠의 압력으로, 85 ℃ 에서 2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홍삼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70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로,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로 조절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추출기에 하수오 700 g, 구기자 800 g, 숙지황 800 g, 수삼 800 g, 영지 700 g, 맥문동 900 g, 갈근 700 g, 감초 900 g, 천궁 900 g, 백작약 800 g, 백복령 800 g, 황기 800 g, 당귀 400 g을 추출기에 넣고, 물 100 ㎏을 넣었다.
추출기의 온도는 120 ℃, 압력은 2 ㎏중/㎠ 에서 9 시간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60 ℃에서 농축기의 진공압력을 70 ㎏중/㎠으로 하고,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 제조한 홍삼 추출농축액 1 ㎏과 생약재 추출농축액 9 ㎏을 혼합하고, 여기에 저당을 200 g 넣고 배합한 다음, 교반기에 넣고 80 ℃로 1 시간 동안 25 rpm으로 교반하여,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고 포장하여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홍삼 추출농축액의 제조
추출기에 홍삼 2 ㎏과 물 20 ㎏ 넣고, 0.5 ㎏중/㎠의 압력으로, 85 ℃ 에서 24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홍삼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70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로,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로 조절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
추출기에 하수오 700 g, 구기자 800 g, 숙지황 800 g, 수삼 800 g, 영지 700 g, 맥문동 900 g, 갈근 700 g, 감초 900 g, 천궁 900 g, 백작약 800 g, 백복령 800 g, 황기 800 g, 당귀 400 g을 추출기에 넣고, 물 100 ㎏을 넣었다.
추출기의 온도는 120 ℃, 압력은 2 ㎏중/㎠ 에서 9 시간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60 ℃에서 농축기의 진공압력을 70 ㎏중/㎠으로 하고,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관능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홍삼 추출농축액을 병에 넣어 준비하였다.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병에 넣어 준비하였다.
시중에서 인삼, 복령, 지황, 꿀을 이용하여 제조한 경옥고를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10 대에서 50 대 까지 성별과 연령의 비율을 같게 하여 50 명을 선발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편리성, 기호도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관능검사 결과
구 분 편리성 기호도 종 합
실시예 1 8.8 8.9 8.9 8.89
비교예 1 8.3 7.2 8.3 7.93
비교예 2 8.1 7.1 8.0 7.73
일반 경옥고 7.9 7.3 7.5 7.57
* 1 : 아주 나쁘다 9 : 아주 좋다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경옥고 보다 홍삼 추출농축액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이 관능검사 결과 맛, 편리성,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이 가장 기호도가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보양강장제로서 그 효과가 뛰어나고, 간장을 보호하고, 빈혈에도 효과가 뛰어나며, 맛이 좋고 휴대가 간편한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이 제공된다.

Claims (5)

  1. 생약재의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홍삼을 물을 1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다시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1공정,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수삼, 영지, 맥문동, 갈근, 감초, 천궁, 백작약, 백복령, 황기를 각각 6 ~ 9 중량%, 당귀를 2 ~ 3 중량%를 혼합하여 전체가 100 %가 되도록 배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전체 생약재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0이 되도록 혼합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다시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제 2공정,
    제 1공정의 홍삼 추출농축액과 제 2공정의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1 : 9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전체중량대비 2 ~ 3 중량%의 저당을 첨가하여 배합하는 제 3공정,
    배합물을 교반하는 제 4공정, 튜브형 용기에 충진하고 포장하는 제 5공정을 거쳐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공정은 0.5 ~ 1 ㎏중/㎠의 압력으로, 80 ~ 90 ℃ 에서 24 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이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농축온도는 60 ~ 70 ℃, 농축기의 순환냉각수는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홍삼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공정은, 110 ~ 120 ℃에서 1.5 ~ 2 ㎏중/㎠ 의 압력으로 8 ~ 9 시간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추출한 다음,
    이 추출액을 눈의 크기가 1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에 넣고, 60 ~ 70 ℃에서 농축기의 진공압력을 65 ~ 75 ㎏중/㎠으로 하고, 0 ~ 5 ℃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체 여과액의 60 중량%가 될때까지 농축시켜 생약재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4공정의 교반시, 제 3공정의 배합물을 교반기에 넣고, 80 ~ 90 ℃로 1 시간 동안 20 ~ 30 rpm으로 교반하는 것이 특징인,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튜브형 용기에 충진되어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음용이 편리한,
    홍삼과 생약재 추출농축액.
KR1020030073267A 2003-10-21 2003-10-21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KR10057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67A KR100579010B1 (ko) 2003-10-21 2003-10-21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67A KR100579010B1 (ko) 2003-10-21 2003-10-21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1A true KR20050038071A (ko) 2005-04-27
KR100579010B1 KR100579010B1 (ko) 2006-05-12

Family

ID=372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67A KR100579010B1 (ko) 2003-10-21 2003-10-21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01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08B1 (ko) * 2006-12-08 2008-05-28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홍삼과 한방재가 혼합된 음료
KR100903161B1 (ko) * 2007-09-21 2009-06-17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파우치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707B1 (ko) * 2008-03-03 2011-04-12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구증구포홍삼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당대사조절강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034809B1 (ko) * 2011-03-03 2011-05-16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144920B1 (ko) * 2009-08-19 2012-05-11 주식회사 청송제약 홍삼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정
KR101380625B1 (ko) * 2012-03-13 2014-04-10 개삼터홍삼직거래 영농조합법인 한약재 농축액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414768B1 (ko) * 2013-04-09 2014-07-03 금호제약 (주) 생약성분이 함유된 오이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오이 추출 음료
KR20150113624A (ko) * 2014-03-31 2015-10-08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삼 및 홍삼농축액 제조방법을 통해 편의성이 증진된 홍삼튜브 제조 방법
KR20210035666A (ko) *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산양삼 겔 제조방법
KR102565623B1 (ko) * 2022-10-17 2023-08-09 이동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25B1 (ko) 2008-06-20 2011-08-30 김영식 간기능 개선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강보조식품 및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3131606A (zh) * 2011-12-01 2013-06-05 鲜丹科 补血酒
CN104886705A (zh) * 2015-07-05 2015-09-09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延缓衰老功效的参贝保健饮料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08B1 (ko) * 2006-12-08 2008-05-28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홍삼과 한방재가 혼합된 음료
KR100903161B1 (ko) * 2007-09-21 2009-06-17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파우치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707B1 (ko) * 2008-03-03 2011-04-12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구증구포홍삼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당대사조절강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144920B1 (ko) * 2009-08-19 2012-05-11 주식회사 청송제약 홍삼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정
KR101034809B1 (ko) * 2011-03-03 2011-05-16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KR101380625B1 (ko) * 2012-03-13 2014-04-10 개삼터홍삼직거래 영농조합법인 한약재 농축액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414768B1 (ko) * 2013-04-09 2014-07-03 금호제약 (주) 생약성분이 함유된 오이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오이 추출 음료
KR20150113624A (ko) * 2014-03-31 2015-10-08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삼 및 홍삼농축액 제조방법을 통해 편의성이 증진된 홍삼튜브 제조 방법
KR20210035666A (ko) *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안정 산양삼 겔 제조방법
KR102565623B1 (ko) * 2022-10-17 2023-08-09 이동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010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2291A (zh) 黑枸杞果实工业应用技术
KR100685745B1 (ko) 기능성 새싹채소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새싹 채소 음료
KR20110051748A (ko)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과실맥주 그 제조방법.
CN106071552A (zh) 一种火龙果花、玫瑰花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579010B1 (ko) 홍삼과 생약재의 추출농축액
KR20160025880A (ko) 곡물류 및 구근류를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CN107541387A (zh) 一种刺梨果酒及生产方法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95275B (zh) 一种双参酒的制备方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6348B1 (ko) 하수오와 홍삼을 함유하는 생약재 추출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5054146B (zh) 一种酸汤的制作方法
KR20090072206A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CN103431100A (zh) 一种具有保健养生作用的芦笋饮料
KR101058422B1 (ko)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741046B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CN104498271A (zh) 秋葵蓝莓果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4611180A (zh) 富硒植物纳米乳保健酒
CN109805128A (zh) 一款玛咖茶植物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CN110050911A (zh) 五谷养生露
KR20030004288A (ko) 차의 제조방법
CN108185252A (zh) 一种冬虫夏草饮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621081B1 (ko) 조개 및 해산물류의 양념소스 제조방법
KR20030059432A (ko) 홍삼 십전대보양갱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