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206A -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206A
KR20090072206A KR1020070140246A KR20070140246A KR20090072206A KR 20090072206 A KR20090072206 A KR 20090072206A KR 1020070140246 A KR1020070140246 A KR 1020070140246A KR 20070140246 A KR20070140246 A KR 20070140246A KR 20090072206 A KR20090072206 A KR 2009007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el
weight
extract
ee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122B1 (ko
Inventor
오준기
Original Assignee
오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기 filed Critical 오준기
Priority to KR102007014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 0.18~0.34 중량% (a); 장어 추출액 66.55~81.35 중량% (b); 작약, 용안육, 감초, 구기자, 황기, 백출, 당귀, 복령, 천궁, 생강, 대추, 원지, 산조인, 산약, 산수유, 곽향, 사인, 맥아, 계피, 나한과로 조성되는 한약재의 추출액 17~31.7 중량% (c); 쌀조청 1.26~1.54 중량% (d);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엑기스에 홍삼 농축액 및 한약재를 첨가한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어의 첨가량을 극대화시켜 장어 효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장어의 특유의 풍미를 제거하여 풍미 및 맛이 좋은 홍삼 장어 엑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알카리수, 장어, 조성물, 한약재, 홍삼

Description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Composition of eel extract and red ginseng}
본 발명은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어 엑기스에 홍삼 농축액 및 한약재를 첨가한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어는 예부터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유럽 등에서도 즐겼던 보양 식품으로, 종류는 민물고기인 뱀장어, 바닷고기인 먹장어, 붕장어, 갯장어 등이 있다.
장어는 성장촉진, 시력회복 및 피부와 점막의 건강유지 등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 A가 쇠고기의 200배 함유되어 있으며,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예방 및 암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 함량도 타 어종보다 높다. 또한, 노화방지의 효능이 있는 비타민 E,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에 좋은 비타민 B1, 항산화제인 비타민 C, 칼슘, 인뿐만 아니라 필수아미노산도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장어는 강장 상승효과가 있고, 혈관에 콜레스테롤이나 칼슘의 침착을 방지하여 동맥경화 치료 및 예방효과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의보감 및 방약 합편에 의하면 민간용법으로 폐결핵, 요통, 신경통, 폐렴, 관절염, 성기능 회복 및 어린아이 허약체질 개선 등에도 이용되어 왔다.
한편, 홍삼은 수삼을 정선한 후,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를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하며, 배당체(glycosides), 인삼 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홍삼에는 다른 인삼보다 사포닌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데, 사포닌은 노화억제, 기억력증진, 뇌기능 개선, 항피로작용, 항종양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홍삼은 환경으로부터 오는 유해작용인 누병 또는 스트레스 등에 대한 방어능력 및 면역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어댑토겐 (adaptogen) 효과, 동맥경화 예방, 항산화 효과, 불면증 개선, 세포재생 효과 등도 있다.
한편, 장어 엑기스에 부재료(사상자, 토사자, 복분자, 구기자, 오미자)를 첨가하여 제조한 장어 엑기스가 대한민국 공개 특1995-0007703에 개시된바 있으나, 장어의 첨가량이 적어 장어에 대한 효능이 미약하며 장어의 특유의 냄새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아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어 첨가량을 극대화시켜 장어의 효능을 증진시키면서도 장어 특유의 풍미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한 장어 엑기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홍삼농축액 0.18~0.34 중량% (a); 장어 추출액 66.55~81.35 중량% (b); 작약, 용안육, 감초, 구기자, 황기, 백출, 당귀, 복령, 천궁, 생강, 대추, 원지, 산조인, 산약, 산수유, 곽향, 사인, 맥아, 계피, 나한과로 조성되는 한약재의 추출액 17~31.7 중량% (c); 쌀조청 1.26~1.54 중량% (d);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홍삼 농축액을 0.18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홍삼의 효능이 미약하고 홍삼의 풍미를 느낄 수 없으며, 0.34 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홍삼의 맛이 강해지고 엑기스의 품질 적성을 훼손한다.
한편, 장어 추출액을 66.5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장어의 효능이 미약하고 한약재의 맛이 강하여 관능적으로 좋지 못하고, 81.35 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장어 특유의 풍미로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한약재를 18.2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한약재의 풍미가 풍부 하지 못하면서 장어 특유의 풍미 때문에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고, 33.85 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한약재의 특유의 쓴맛 때문에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쌀 조청을 17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한약재 및 홍삼 농축액의 쓴맛을 완화시키지 못하여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31.7 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단맛이 강하여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엑기스의 품질 적성을 훼손한다.
한편, 장어 추출액에 사용되는 장어는 특정 장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홍삼 농축액에 사용되는 홍삼도 특정 조건의 홍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한약재 추출액은 작약, 용안육, 감초, 구기자, 황기, 백출, 당귀, 복령, 천궁, 생강, 대추, 원지, 산조인, 산약, 산수유, 곽향, 사인, 맥아, 계피, 나한과를 혼합하여 추출되어 지는데, 구성 성분 중 작약은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맛이 쓰면서 시며, 청혈 작용, 발열, 토혈, 경폐 및 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용안육은 맛이 달고 독특한 무환자나무 용안의 과육으로, 가슴이 진정되지 않거나 노인성으로 빈혈증상을 보이며 땀이 많이 날 때, 소화력이 떨어질 때, 건망증 및 불면증에 효과가 있고, 본 발명에 쓰이는 생강과 대추와 함께 달여서 복용하면 산후에 기혈이 허약 및 부종예방에 효과를 발휘한다.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한약재의 효능을 증가시키고 약물 중독, 음식물 중독 및 세균독소 등에 대한 해독작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알레르기작용, 항이뇨작용, 아세틸콜린에 대한 길항작용 및 아드레날린의 강심작용을 증강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단맛을 내어 본 발명에 쓰이는 한약재들의 쓴맛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의 열매로 강장제, 해열제로 쓰이고 산기능 보호작용이 뛰어나다. 또한, 뼈나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시력을 좋게 하며 폐와 신장기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황기는 조금 단맛을 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본 발명에 쓰이는 한약재들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고, 신체 허약, 피로 권태, 이뇨, 기혈허탈(氣血虛脫), 소종, 내장하수 및 식은땀 등에 대해 효과가 있다.
백출은 쓰면서 단맛을 내는 삽주의 뿌리로 소화장애, 위장병, 야맹증, 설사, 감기 및 진정작용 효과가 있고 허약으로 인해 땀이 많이 나거나 임신 구토에도 효능이 있다.
당귀는 약간 쓴맛이 나는 승검초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피로회복, 진정효과, 혈압강하 및 진통작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변비, 빈혈, 두통 및 혈액 장애에 특효이며 혈액순환도 개선 시킨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서 기생하는 버섯류의 일종으로, 이뇨작용, 항종양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 심신수축 강화작용 및 면역기능 증강 효과가 탁월하다.
천궁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혈액순환, 빈혈, 월경불순, 두통 및 감기에 대해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진정작용, 강압작용 및 자궁 수축 작용 등의 효과도 있다.
생강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소화불량, 구토 및 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 및 진통효과도 있다.
대추는 과당, 포도당 및 올리고당이 76.4∼83.4% 구성되어 있고 이뇨제와 강장제 및 지각 과민증 및 근육 급박 증상 등의 완화제로 쓰일 뿐만 아니라, 결핵과 출혈성 질환, 담즙증 및 만성기관지염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단맛으로 본 발명에 쓰이는 한약재들의 쓴맛을 완화시킨다.
원지는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 치료제로 쓰일 뿐만 아니라 강장, 강정 및 진정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산조인은 산대추의 씨앗으로 불면증, 신경쇄약, 신경성 스트레스 및 건망증에 효과가 있다.
산약은 마과의 주피를 제거하여 쪄서 말린 것으로 진정작용 및 위와 폐장 보호작용을 하며 피부를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정력 등의 기운을 더하는데 효과가 있다.
산수유는 산수유나무 열매껍질로 약간 떫으면서 단맛과 강한 신맛이 난다. 산수유는 항당뇨, 항히스타민, 자양강장 등의 효과가 있으며, 각종 성인병, 부인병 예방, 허리무릎 등의 통증 및 여성 월경 과다 조절 등에도 효과가 있다.
곽향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맛은 매우며 위장의 기운을 보충해준다. 또한, 악취를 제거하고 습열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고 기침, 설사, 두통, 구토 및 가래 증상 등에도 효능이 있다.
사인은 축사의 씨로, 맛은 시며 구토, 설사 및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다.
맥아는 겉보리를 발아시킨 보리의 낟알로, 당류 및 비타민류 등 영양소가 풍부하고, 특히 아밀라아제가 강하여 본 발명의 홍삼 장어 엑기스의 소화작용을 돕는다.
계피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또는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건조하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한 것으로 향이 강하면서 특이하며 맛은 맵고 달다. 또한, 계피는 혈액순환 및 소화를 촉진하며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나한과는 향기가 매우 향기롭고, 마른 열매의 당도는 설탕의 300배나 되어 본발명에서 쓴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정작용, 고혈압, 해열, 호흡기계통의 세균감염질환 등의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당뇨병 환자의 당분 보급에도 쓰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쌀 조청은 본 발명에 쓰이는 한약재의 쓴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의 한약재 추출액(c)은, 바람직하게 작약 5.8~8.6 중량%, 용안육 2.9~5.3 중량%, 감초 4.6~6.8 중량%, 구기자 3.1~5.9 중량%, 황기 4.6~6.8 중량%, 백출 6.6~9.9 중량%, 당귀 6.1~9.1 중량%, 복령 2.7~4.9 중량%, 천궁 2.7~4.9 중량%, 생강 7.5~11.3 중량%, 대추 4.6~6.8 중량%, 원지 3.1~5.9 중량%, 산조인 3.1~5.9 중량%, 산약 3.1~5.9 중량%, 산수유 2.4~4.4 중량%, 곽향 2.4~4.4 중량%, 사인 2.9~5.3 중량%, 맥아 3.1~5.9 중량%, 계피 3.1~5.9 중량%, 나한과 0.2~0.4 중량%로 조성되는 혼합물의 추출액인 것이 좋다.
상기의 한약재들을 각각의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경우, 장어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풍미 및 맛이 좋은 홍삼 장어 엑기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한약재들을 중량%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한약재의 풍미 및 맛이 강하여 관능적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장어 및 한약재로부터 추출액의 수득은 특정 추출용매의 사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10% 이상으로 110~130℃에서 12~16시간 동안 알카리수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알카리수 추출은 일반 물 추출보다 침투력이 강하기 때문에 추출이 빠르고 살균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장어 특유의 불쾌한 풍미를 제거할 수 있어 홍삼 장어 엑기스 섭취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은 장어 첨가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장어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장어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것이다. 또한, 홍삼 농축액을 첨가함으로써 홍삼으로 말미암은 추가적인 효능을 기대할 수 있고, 한약재 및 장어의 맛이 잘 조화되어 섭취하기 용이한 홍삼 장어 엑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홍삼 장어 엑기스 제조
작약 118g, 용안육 68g, 감초 93g, 구기자 75g, 황기 93g, 백출 137g, 당귀 125g, 복령 62g, 천궁 62g, 생강 156g, 대추 93g, 원지 75g, 산조인 75g, 산약 75g, 산수유 56g, 곽향 56g, 사인 69g, 맥아 75g, 계피 75g, 나한과 5g와 생물 장어 9639g을 알카리수로 세정한 다음, 알카리수 56400g에 혼합하여 고형분 10%이상으로 11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15분간 가열하였고, 15분 후에 기름을 제거하고 홍삼 농축액 18g, 쌀 조청 95g을 첨가하여 15분 동안 가열하면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혼합한 후, 100℃에서 30분간 살균하였고 살균된 배합액을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 비교예 1> 장어 엑기스 제조
사상자 1185g, 토사자 1185g, 복분자 1072g, 구기자 1015g, 오미자 1185g, 장어 5643g을 정제수로 세정한 다음, 정제수 56400g에 혼합하여 고형분 10%이상으로 11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15분간 가열하였고, 15분 후에 기름을 제거하고 15분 동안 가열하면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혼합한 후, 100℃에서 30분간 살균하였고 살균된 배합액을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 실험예 1>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훈련된 10명의 관능요원에게 평가하게 하였고, 평가 방법은 9점 척도법(1점 가장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3점 나쁘다, 4점 조금 나쁘다, 5점 보통이다, 6점 조금 좋다, 7점 좋다, 8점 매우 좋다, 9점 가장 좋다)으로 하였다. 평가 항목은 냄새, 색, 맛, 종합적인 기호도로 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냄새 8.1 4.5
7.5 4.2
8.5 5.1
종합적인 기호도 8.3 4.8
관능검사 측정 결과, 실시예 1은 다량의 한약재를 첨가하여 알칼리수 추출을 하였기 때문에 장어 특유의 비린내가 나지 않고, 한약재의 쓴맛을 나한과와 쌀 조청 및 여러 한약재들이 완화시켜 맛이 좋았으며, 색과 종합적인 기호도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비교예 1은 첨가된 한약재의 종류가 적고 일반 물로 추출하였기 때문에 장어 특유의 비린내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한약재들의 쓴맛 때문에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색과 종합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Claims (4)

  1. 홍삼 농축액 0.18~0.34 중량% (a);
    장어 추출액 66.55~81.35 중량% (b);
    작약, 용안육, 감초, 구기자, 황기, 백출, 당귀, 복령, 천궁, 생강, 대추, 원지, 산조인, 산약, 산수유, 곽향, 사인, 맥아, 계피, 나한과로 조성되는 한약재의 추출액 17~31.7 중량% (c);
    쌀조청 1.26~1.54 중량% (d);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한약재 추출액은,
    작약 5.8~8.6 중량%, 용안육 2.9~5.3 중량%, 감초 4.6~6.8 중량%, 구기자 3.1~5.9 중량%, 황기 4.6~6.8 중량%, 백출 6.6~9.9 중량%, 당귀 6.1~9.1 중량%, 복령 2.7~4.9 중량%, 천궁 2.7~4.9 중량%, 생강 7.5~11.3 중량%, 대추 4.6~6.8 중량%, 원지 3.1~5.9 중량%, 산조인 3.1~5.9 중량%, 산약 3.1~5.9 중량%, 산수유 2.4~4
    .4 중량%, 곽향 2.4~4.4 중량%, 사인 2.9~5.3 중량%, 맥아 3.1~5.9 중량%, 계피 3.1~5.9 중량%, 나한과 0.2~0.4 중량%로 조성되는 혼합물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장어 추출액은,
    고형분이 최소 10%가 되게 110~130℃에서 12~16시간 동안 알카리수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한약재 추출액은,
    고형분이 최소 10%가 되게 110~130℃에서 12~16시간 동안 알카리수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1020070140246A 2007-12-28 2007-12-28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10091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6A KR100912122B1 (ko) 2007-12-28 2007-12-28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6A KR100912122B1 (ko) 2007-12-28 2007-12-28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06A true KR20090072206A (ko) 2009-07-02
KR100912122B1 KR100912122B1 (ko) 2009-08-13

Family

ID=4132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246A KR100912122B1 (ko) 2007-12-28 2007-12-28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5822A (zh) * 2013-11-01 2015-05-06 河北科技师范学院 生姜秸秆饮料
KR20200085035A (ko) * 2019-01-04 2020-07-14 김태현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장어 엑기스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02B1 (ko) 2010-12-23 2013-11-11 김문동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3636876A (zh) * 2013-12-25 2014-03-19 广东岭南职业技术学院 一种养喉茶及其生产和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27A (ko) * 1999-05-26 1999-10-05 송윤강 건강보조발효식품의제조법
KR100374004B1 (ko) 2000-07-12 2003-03-03 박윤자 장어와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보약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0384A (ko) * 2002-05-23 2003-11-28 김춘자 민물장어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462384B1 (ko) * 2002-10-31 2004-12-17 임대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5822A (zh) * 2013-11-01 2015-05-06 河北科技师范学院 生姜秸秆饮料
KR20200085035A (ko) * 2019-01-04 2020-07-14 김태현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장어 엑기스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122B1 (ko)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749816B (zh) 一种荷叶苦瓜降脂保健茶及其制作方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CN106213444A (zh) 一种酱油及其制作方法
KR100853078B1 (ko) 숙취 해소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80214504A1 (en) Health supplement food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mitigation and alleviation of hair loss,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alleviation and relief of gastric disorder symptoms
KR20090127970A (ko) 생식환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CN106720727A (zh) 一种金莲花凉茶及其制备方法
KR100912122B1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CN104068177A (zh) 天然植物保健益寿茶
CN103749782A (zh) 一种金花火麻养生茶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2537A (ko) 자석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재 조성물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CN105558838A (zh) 一种多味黑豆及其制备方法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CN108142751A (zh) 一种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58422B1 (ko)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0166A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