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384B1 -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384B1
KR100462384B1 KR10-2002-0067190A KR20020067190A KR100462384B1 KR 100462384 B1 KR100462384 B1 KR 100462384B1 KR 20020067190 A KR20020067190 A KR 20020067190A KR 100462384 B1 KR100462384 B1 KR 10046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atio
eel
bokbunja
health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296A (ko
Inventor
임대수
Original Assignee
임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수 filed Critical 임대수
Priority to KR10-2002-006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3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3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은 장어 2kg, 복분자 300g, 구기자 100g, 오미자 100g, 도사자 100g, 사상자 100g, 숙지황 100g, 산약 100g, 산수유 100g, 목단피 100g, 백복령 100g, 택사 100g, 삼지구엽초 100g, 생강 150g, 대추 150g을 세척하는 원료세척과정과,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하는 약재건조과정과, 원료를 추출기에 넣고 95℃~100℃ 온도에서 6시간동안 중탕하는 중탕과정과, 중탕후 10시간정도 6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숙성과정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를 통과하여 원료중 장어의 동물성 기름을 제거하는 동물성기름 제거과정과, 살균기를 통해 100℃의 온도로 살균시키는 1차살균과정과, 자동포장기로 일정량씩 팩에 포장하는 포장과정 및 포장된 제품을 2차 살균기를 통해 살균시키는 2차살균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은 장어추출물 54%중량비, 복분자추출물 8.1%중량비, 구기자추출물 2.7%중량비, 오미자추출물 2.7%중량비, 도사자추출물 2.7%중량비, 사상자추출물 2.7%중량비, 숙지황추출물 2.7%중량비, 산약추출물 2.7%중량비, 산수유추출물 2.7%중량비, 목단피추출물 2.7%중량비, 백복령추출물 2.7%중량비, 택사추출물 2.7%중량비, 삼지구엽초추출물 2.7%중량비, 생강추출물 4.1%중량비, 대추추출물 4.1%중량비로 이루어져 인체의 음을 보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간이나, 방광 및 신장 등을 보하여 남성에게는 스태미너용으로 정력을 강화시키고, 여성에게는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alth foods mixed eel and herb medicine and the same}
본 발명은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양식품으로서 꾸준하게 일정기간 동안 복용할 수 있어 몸의 저항력 및 체력이 떨어진 환자의 신체를 보양하여줌으로써 신체의 저항력과 체력향상을 도와주는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뱀장어(eel/Japanese eel)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의 민물고기로, 일본명은 Unagi이다. 최대 몸길이 150cm까지 성장한다. 몸은 가늘고 길며 횡단면이 원통형이다. 뒤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쪽으로 약간 더 튀어나와 있다. 아가미 구멍은 반달 모양으로 가슴지느러미 기저(base:기관 또는 부속기관과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에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시작되는 자리와의 길이가 가슴지느러미가 시작되는 자리에서 주둥이 끝까지와의 길이보다 짧다.
몸은 언뜻 봐서는 찾기 어렵지만 피부 속에 있는 작은 비늘로 덮여 있으며 측선 감각공(sensory pore:측선의 유공과 같이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구멍)이 머리와 몸에 뚜렷이 나타난다.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지느러미는 없다. 가슴지느러미가 잘 발달되어 있다.
몸빛깔은 서식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등쪽이 암갈색, 배쪽이 은백색을 띤다. 등지느러미·뒷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검은색이며, 가슴지느러미는 황갈색을 띤다. 산란기가 되면 등쪽은 적동색으로 변해 금속광택을 띠고 배쪽은 붉은빛을 띤 은백색으로 변하며 가슴지느러미 기부는 황금색, 주둥이 끝은 자흑색을 띠어 온몸에 아름다운 혼인색이 나타난다.
따뜻한 물을 좋아해 크고 작은 강, 호수, 늪, 논 등의 모든 민물에서 서식한다. 민물에서 5∼12년간 생활하다 성숙되면 8∼10월에 산란할 목적으로 바다로 내려가 난류를 따라 높은 수온(16∼17℃)과 높은 염분도를 가진 심해에 들어가 알을 낳는다. 이 시기에는 생식기관은 성숙되는 반면 소화기관은 퇴화하여 절식하면서 깊은 바다의 산란장을 찾아간다.
이때 곧장 깊은 바다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하구 근해 염분도가 낮은 기수역에서 환경조건에 적응되도록 순화를 거듭한 후에 바다로 들어간다. 암수는 깊은 바다에서 산란을 마친 후 죽는다. 부화된 새끼는 렙토세팔루스라는 유생으로 난류를 따라서 먼 여행과 오랜 시일(1∼3년)을 거쳐서 대륙 연안에 다다른 뒤 북상하여 무리를 이루면서 강이나 하천을 거슬러 올라간다.
하구에 가까워지면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는 변태되어 흰실뱀장어(몸길이 약 5∼8cm)가 되어 강으로 오르기 시작한다. 그 후 흑실뱀장어(몸길이 9∼15cm), 피리뱀장어(몸길이 16∼29cm), 메소뱀장어(몸길이 20∼25cm) 순으로 성장하여 성어가 된다.
한편 북아메리카산 장어(Anguilla rostrata)와 유럽산 뱀장어(Anguilla anguilla)는 사르가소해 지역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탐식성 물고기로 갑각류, 곤충, 작은 어류 등을 마구 잡아먹는다. 밤에 땅 위로 올라와 기어다니기도 한다. 한국(서남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의 수계),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전유럽, 서인도제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서부태평양 연근해의 열대 해역에서 발견된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민물장어,풍천장어,뻘두적이,짱애,구무장어 등은 모두 사투리로, 뱀장어가 바다에서 산란 후, 새끼가 민물로 올라와 성장하므로 통상적으로 민물장어라고 부른다.
이런 민물장어는 조직층의 수분유지로 피부의 탄력 및 혈관, 내장에 윤기를 주고, 세포를 젊게 해주므로 노화방지 및 감정 강장 작용을 하며, 혈관 노화시 콜레스테롤이나 칼슘 침착방지로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하고, 단백질의 흡수이용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강정 강장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관절염 통증을 완화시키는 중요한 미네랄, 칼슘과, 빈혈 예방에 좋은 철과, 당뇨 및 합병증을 억제하는 비타민 B2와, 바이러스 퇴치에 좋은 비타민 C, 시력이나 병을 회복시키는 비타민 A,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비타민 B1, 몸에 좋은 불포화 지방, 에너지원의 중요한 보급원 탄수화물, 몸의 중요한 부분을 만드는 단백질 등이 풍부한 보양식품이다.
또한,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서는 옛날부터 보양강장 식품으로 인기가 좋은 스테미너 식품이고, 불포화 지방 산화를 억제하고 혈관에 활기를 불어넣는 작용하며, 여성의 난소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주름방지 피부탄력에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에 탁월하며, 고단백질 식품에도 불구하고 성인병(고혈압, 동맥경화)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런 민물장어는 이런 유익한 보양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구워서 먹거나 탕으로 끓여먹는 일회용으로 먹기 때문에 보양식품으로서 꾸준히 복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양식품으로서 꾸준하게 일정기간 동안 복용할 수 있어 몸의 저항력 및 체력이 떨어진 환자의 신체를 보양하여줌으로써 신체의 저항력과 체력향상을 도와주는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은 장어 2kg, 복분자 300g, 구기자 100g, 오미자 100g, 도사자 100g, 사상자 100g, 숙지황 100g, 산약 100g, 산수유 100g, 목단피 100g, 백복령 100g, 택사 100g, 삼지구엽초 100g, 생강 150g, 대추 150g을 세척하는 원료세척과정과;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하는 약재건조과정과;
원료를 추출기에 넣고 95℃~100℃ 온도에서 6시간동안 중탕하는 중탕과정과;
중탕후 10시간정도 6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숙성과정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를 통과하여 원료중 장어의 동물성 기름을 제거하는 동물성기름 제거과정과;
살균기를 통해 100℃의 온도로 살균시키는 1차살균과정과;
자동포장기로 일정량씩 팩에 포장하는 포장과정 및
포장된 제품을 2차 살균기를 통해 살균시키는 2차살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은 장어추출물 54%중량비, 복분자추출물 8.1%중량비, 구기자추출물 2.7%중량비, 오미자추출물 2.7%중량비, 도사자추출물 2.7%중량비, 사상자추출물 2.7%중량비, 숙지황추출물 2.7%중량비, 산약추출물 2.7%중량비, 산수유추출물 2.7%중량비, 목단피추출물 2.7%중량비, 백복령추출물 2.7%중량비, 택사추출물 2.7%중량비, 삼지구엽초추출물 2.7%중량비, 생강추출물 4.1%중량비, 대추추출물 4.1%중량비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은 장어 2kg, 복분자 300g, 구기자 100g, 오미자 100g, 도사자 100g, 사상자 100g, 숙지황 100g, 산약 100g, 산수유 100g, 목단피 100g, 백복령 100g, 택사 100g, 삼지구엽초 100g, 생강 150g, 대추 150g을 세척하는 원료세척과정과,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하는 약재건조과정과, 원료를 추출기에 넣고 95℃~100℃ 온도에서 6시간동안 중탕하는 중탕과정과, 중탕후 10시간정도 6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숙성과정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를 통과하여 원료중 장어의 동물성 기름을 제거하는 동물성기름 제거과정과, 살균기를 통해 100℃의 온도로 살균시키는 1차살균과정과, 자동포장기로 일정량씩 팩에 포장하는 포장과정과, 포장된 제품을 2차 살균기를 통해 살균시키는 2차살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시킨다.
실시예>
본 발명의 예시로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알아본다.
원료(60팩 기준)
장어(자연산) 2kg
복분자 300g
구기자 100g
오미자 100g
도사자 100g
사상자 100g
숙지황 100g
산약 100g
산수유 100g
목단피 100g
백복령 100g
택사 100g
삼지구엽초 100g
생강 150g
대추 150g
1. 원료세척과정
장어는 민물 자연산 그대로 세척하고, 각종 한약재는 깨끗한 물로 2회
정도 세척한다.
2. 약재건조과정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한다.
3. 중탕과정
상기 15가지 원료를 추출기에 넣고 95℃~100℃에서 6시간정도 중탕한다.
4. 숙성과정
중탕후 10시간정도 60℃ 온도에서 숙성한다.
5. 동물성기름 제거과정
열교환기(냉각기)를 통해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를 통과하여 장어의
동물성 기름을 제거한다.
장어의 기름은 동물성이고 장어 자체를 끓이면 기름이 나오며 그 자체만
으로도 효능효과가 뛰어나지만, 섭취후 많은 양의 기름기는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분리기를 통해서 90%정도의 기름을 걸러낸다.
6. 1차살균과정
다시 살균기를 통해 100℃의 온도로 살균시킨다.
7. 포장과정
자동포장기에서 80ml의 비닐팩으로 포장한다.
8. 2차살균과정
포장된 제품을 2차 살균기에서 100℃의 온도로 살균시켜서 본 발명의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이 제공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은 장어추출물 54%중량비, 복분자추출물 8.1%중량비, 구기자추출물 2.7%중량비, 오미자추출물 2.7%중량비, 도사자추출물 2.7%중량비, 사상자추출물 2.7%중량비, 숙지황추출물 2.7%중량비, 산약추출물 2.7%중량비, 산수유추출물 2.7%중량비, 목단피추출물 2.7%중량비, 백복령추출물 2.7%중량비, 택사추출물 2.7%중량비, 삼지구엽초추출물 2.7%중량비, 생강추출물 4.1%중량비, 대추추출물 4.1%중량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은 1일 2회복용으로, 아침과 저녁에 80ml인 비닐팩을 식후에 복용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은 인체의 음을 보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간이나, 방광 및 신장 등을 보하여 남성에게는 스태미너용으로 정력을 강화시키고, 여성에게는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음을 보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간이나, 방광 및 신장 등을 보하여 남성에게는 스태미너용으로 정력을 강화시키고, 여성에게는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민물장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어 2kg, 복분자 300g, 구기자 100g, 오미자 100g, 도사자 100g, 사상자 100g, 숙지황 100g, 산약 100g, 산수유 100g, 목단피 100g, 백복령 100g, 택사 100g, 삼지구엽초 100g, 생강 150g, 대추 150g을 세척하는 원료세척과정과;
    복분자는 영하 40℃에서 동실 건조하고, 그 외의 한약재는 자연건조하는 약재건조과정과;
    원료를 추출기에 넣고 95℃~100℃ 온도에서 6시간동안 중탕하는 중탕과정과;
    중탕후 10시간정도 6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숙성과정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키고, 원심분리기를 통과하여 원료중 장어의 동물성 기름을 제거하는 동물성기름 제거과정과;
    살균기를 통해 100℃의 온도로 살균시키는 1차살균과정과;
    자동포장기로 일정량씩 팩에 포장하는 포장과정 및
    포장된 제품을 2차 살균기를 통해 살균시키는 2차살균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2. 민물장어를 이용한 건강식품에 있어서;
    장어추출물 54%중량비, 복분자추출물 8.1%중량비, 구기자추출물 2.7%중량비,오미자추출물 2.7%중량비, 도사자추출물 2.7%중량비, 사상자추출물 2.7%중량비, 숙지황추출물 2.7%중량비, 산약추출물 2.7%중량비, 산수유추출물 2.7%중량비, 목단피추출물 2.7%중량비, 백복령추출물 2.7%중량비, 택사추출물 2.7%중량비, 삼지구엽초추출물 2.7%중량비, 생강추출물 4.1%중량비, 대추추출물 4.1%중량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KR10-2002-0067190A 2002-10-31 2002-10-31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6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90A KR100462384B1 (ko) 2002-10-31 2002-10-31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90A KR100462384B1 (ko) 2002-10-31 2002-10-31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6A KR20040038296A (ko) 2004-05-08
KR100462384B1 true KR100462384B1 (ko) 2004-12-17

Family

ID=3733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90A KR100462384B1 (ko) 2002-10-31 2002-10-31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44B1 (ko) * 2011-01-27 2013-04-01 이경주 장어생약재 복분자 혼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327802B1 (ko) 2010-12-23 2013-11-11 김문동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730B1 (ko) 2016-06-24 2017-04-14 사비생물연구소 영어조합법인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22B1 (ko) * 2007-12-28 2009-08-13 오준기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101053064B1 (ko) * 2008-07-14 2011-08-01 박남수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03A (ko) * 1993-09-02 1995-04-15 주동관 장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960000078A (ko) * 1994-06-30 1996-01-25 차해진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제조방법
KR19990073127A (ko) * 1999-05-26 1999-10-05 송윤강 건강보조발효식품의제조법
KR20020006326A (ko) * 2000-07-12 2002-01-19 박윤자 장어와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보약음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03A (ko) * 1993-09-02 1995-04-15 주동관 장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960000078A (ko) * 1994-06-30 1996-01-25 차해진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제조방법
KR19990073127A (ko) * 1999-05-26 1999-10-05 송윤강 건강보조발효식품의제조법
KR20020006326A (ko) * 2000-07-12 2002-01-19 박윤자 장어와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보약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02B1 (ko) 2010-12-23 2013-11-11 김문동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249544B1 (ko) * 2011-01-27 2013-04-01 이경주 장어생약재 복분자 혼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730B1 (ko) 2016-06-24 2017-04-14 사비생물연구소 영어조합법인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6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sley Primitive physic, or, an easy and natural method of curing most diseases
CN103549607B (zh) 泥鳅饮品及其制作方法
KR102048694B1 (ko) 뼈를 단단하게 해 주는 애완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R100914644B1 (ko) 다슬기장 제조방법
KR100462384B1 (ko) 민물장어와 한약재를 배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5901A (ko) 느릅나무 뿌리를 이용한 복어즙의 제조방법
Slater Use and exploitation of sea cucumbers
KR102204842B1 (ko) 북어 콜라겐을 함유한 기능성 젤리 제조방법
KR100447106B1 (ko) 복어 알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 제조방법
Chen Chinese health foods and herb tonics
KR20040095909A (ko) 건 해태에 약효가 있는 음식재료를 첨가한 건 해태 식품및 가공 제조방법
Wesley Primitive physic: An easy and natural method of curing most diseases
KR100377987B1 (ko) 건조명태를 주원료로 한 음식물과 그 제조방법
KR950002781B1 (ko) 가물치와 붕어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강화식품의 제조방법
KR100614919B1 (ko) 한방 용오탕 제조방법
KR20130129025A (ko) 발모촉진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발모촉진용 건강식품
KR100984028B1 (ko) 새콤달콤한 조성물을 난(卵)에 전이하여 구운 새로운 향미의 도포 난(卵) 제조방법
JPH01304861A (ja) ミミズ乾燥粉末の製法
KR100938677B1 (ko) 갑오징어를 이용한 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갑오징어죽
KR101952442B1 (ko) 난백과 노근을 이용한 간고등어 제조방법
KR100848472B1 (ko) 간꽁치 제조방법
KR20150068537A (ko) 처방전의 김치류 일절
KR100491475B1 (ko) 연체동물과 박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방법
KR20220084527A (ko) 근육 증강, 운동능력 향상 및 운동피로 회복용 조성물
CN106798316A (zh) 一种含有猴头菇的功能性生物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